KR102170989B1 - 효과적인 bim을 이용하기 위한 철근 분류코드 활용시스템 및 활용방법 - Google Patents

효과적인 bim을 이용하기 위한 철근 분류코드 활용시스템 및 활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0989B1
KR102170989B1 KR1020180160070A KR20180160070A KR102170989B1 KR 102170989 B1 KR102170989 B1 KR 102170989B1 KR 1020180160070 A KR1020180160070 A KR 1020180160070A KR 20180160070 A KR20180160070 A KR 20180160070A KR 102170989 B1 KR102170989 B1 KR 1021709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model
modeling
shape
classification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0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2176A (ko
Inventor
김상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성이엔씨
동승엔지니어링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성이엔씨, 동승엔지니어링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성이엔씨
Priority to KR1020180160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0989B1/ko
Publication of KR20200072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21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0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09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7Mechanical parametric or variational desig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효과적인 BIM을 이용하기 위한 철근 분류코드 활용시스템 및 활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형상 모델링 수단(10)으로 BIM 형상을 모델링하는 BIM형상 모델링단계(S10단계)와; 철근 라이브러리 템플릿(template) 모델링 수단(20)으로 철근 상세를 정의하는 철근의 상세 정의단계(S20단계)와; 파트(part) 자동생성 및 배치 프로그램 실행 수단(30)으로 형상의 피복 두께(cover thickness) 기준이 되는 면(surface)을 설정하는 기준이 되는 면 설정단계(S30단계)와 철근 분류코드에 해당하는 템플릿 모델을 적용하는 템플릿 모델 적용단계(S40단계)와; 3D 철근 모델수단(40)으로 엑셀 데이터를 정의 하고 단일 혹은 다수의 3차원 철근 모델을 생성하는 3차원 철근모델링 생성단계(S50단계)와; 철근정보 추출 프로그램 수단(50)으로 모델 기반의 재료표 데이터를 추출하는 재료표 데이터 추출단계(S60단계) 및; 재료표 생성수단(60)으로 2D/3D 재료표를 생성하는 2D/3D 재료표 생성단계(S70단계)로 이루어져 개방형이나 폐합형 같은 철근의 형태별로 분류함과 더불어 절곡 패튼에 따른 분류도 하여 철근 분류에 따른 철근의 배근 정보를 포함한 철근의 모든 정보를 설계단계에서부터 제작 및 시공뿐만 아니라 유지 관리단계까지 제공하여 정보의 단절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오류(정보 누락, 잘못된 시공 등)를 배제하고 유지 관리를 경제적으로 할 수 있고, 사전 구축된 라이브러리와 연계되며 직관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분류 코드로 작업자에 따른 편차를 최소화함과 더불어 생산성 향상과 정보의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철근의 배근시 인접 철근에 대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으므로 철근의 배근에 있어서 배치공간의 확보 및 철근 상호 간의 상호간섭을 제거할 수 있는 각별한 장점이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효과적인 BIM을 이용하기 위한 철근 분류코드 활용시스템 및 활용방법{Reinforcing bar classification code usage system and its application method for effective BIM}
본 발명은 각종 구조물에 있어서 사용하는 철근을 최적화하고 철근의 배근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철근의 활용시스템 및 활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철근의 기하학적인 구성이 개방형 형태(RC)와 폐합형 형태(RO)로 구분하고 철근의 절곡에 의해 구성되는 두변과 그 끼인각의 특성을 반영하여 변의 개수와 그 구성 패턴을 구분하여 분류 기호를 부여하여 철근의 정보를 설계단계에서부터 제작 및 시공단계까지 전달함에 있어서 정보의 단절이 없도록 하는 효과적인 BIM을 이용하기 위한 철근 분류코드 활용시스템 및 활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건설현장에서는 철근가공형상을 산출한 후 손으로 직접 기록하여 관리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사실은 철근 정보를 수작업 관리해야 하므로 전체 물량을 철근 규격별로 산출하거나 또는 정착 길이별로 산출하기가 복잡하였으며, 이러한 사실은 철근의 손실을 초래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 제강회사에서 생산하고 있는 정착철근의 종류는 재고로 보유하고 있는 종류까지 합하여 6m, 7m, 8m, 9m, 10m, 11m, 12m 정도로 생산하고 있다. 철근 공사 현장에서는 주로 8m, 10m의 정착철근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철근 공사 현장에서는 설계도(샵드로잉도)를 받아서 철근 조립도에 있는 모양으로 철근 하나씩을 가공하며 전체 설계도를 보며 부분에 끼워 맞추며 작업한다. 이때, 철근이 손실되는 부분은 정착철근을 하나씩 자를 때 발생한다. 공사에 들어가는 각 철근들은 수치가 다 같지 않기 때문에 작업 물량이 몇백 톤에 달하면 미리 작업 순서를 계획해 놓고 작업을 할 수는 없다.
그러므로, 규격화되어져 생산되는 정착철근을 각 현장의 치수에 맞게 잘라서 사용할 때 자르고 남은 철근은 다시 사용하지 않고 버리게 된다. 이때, 절단하고 버리는 철근은 철근의 물량과 항목이 많을수록 많아지기 때문에 철근의 손실률은 그만큼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실정을 개선하고자 개발된 기술로서 특허 제0756005호의 "철근 최적화 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 및 그 방법에 대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가 공개특허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 제0756005호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시스템을 구성하여 컴퓨터의 저장장치에 철근 최적화 서비스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철근 최적화 서비스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철근 최적화 서비스 윈도우 창을 여는 단계; 상기 철근 최적화 서비스 윈도우 창에서 작업공정방을 만든 후 철근 데이터를 항목별로 입력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작업공정방에 저장된 철근 데이터를 기준으로 입력된 철근을 조합 및 연산하여 최적화된 철근 조립도 및 작업공정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철근 조립도 및 작업공정도를 저장하고 모니터 화면으로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철근 공사시 철근의 가공 공정을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데이터베이스화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입력된 모든 철근을 조합 및 연산하여 최적화된 작업공정도를 산출해 내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특허 제0756005호는 철근의 설계가 완료되고 시공 단계에 이르러서 철근의 주문량을 최적화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으로서, 시공 단계에 한정해서 적용할 수 있는 단점이 있고, 기본 철근에 대한 정보는 2D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것이므로 철근의 설계를 입체적으로 하고 수정, 편집하지 못하며, 철근을 분류하기 위한 번호도 일련번호와 같이 철근의 형태가 다름을 단순히 구분하는 것이어서 개방형이나 폐합형 같은 철근의 형태나 철근의 절곡패턴을 나타내지 못할 뿐만 아니라 철근에 대한 정보가 유지 관리단계의 관계자들에게 까지 전달되지 못하여 정보의 단절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오류(정보 누락, 잘못된 시공 등)와 경제적으로 유지 관리를 할 수 없다고 하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철근에 대한 분류기술로는 특허 제1718727호의 "철근 가공 관리방법"이 등록특허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 제1718727호의 "철근 가공 관리방법"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장 데이터 입력단계(S100)와; 최적화 옵션 설정단계(S200)와; 기본 데이터 추출 및 철근 강종 및 직경 단위로 분류하는 단계(S300)와; 최적화 알고리즘 수행단계(S400)와; 산출된 최적화 결과값 저장단계(S500) 및; 출력단계(S600) 단계로 이루어져 철근의 로스율을 최소화할 수 있는 최적의 철근 조합을 연산함으로써 철근 로스에 따른 금전적인 손해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특허 제1718727호의 "철근 가공 관리방법"은 철근의 설계가 완료되고 시공 단계에 이르러서 철근의 주문수량을 최적화하기 위한 프로그램에 관한 기술로서, 철근을 관리하기 위해 철근을 분류하고 있기는 하지만, 이 또한 개방형이나 폐합형 같은 철근의 형태나 철근의 절곡패턴에 따른 분류를 하지 않아 시공시 철근의 배근을 최적화할 수 없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특허 제1692586호 "BIM을 이용한 건축 개산견적을 위한 합성단가 정보 연산 및 분류 방법"이 공개특허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 제1692586호 "BIM을 이용한 건축 개산견적을 위한 합성단가 정보 연산 및 분류 방법"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a) 건축 구조 공사종류(대분류), 구조 부위(중분류), 구조 객체(소분류)를 선별(S300)하는 단계에서 (b) 건축 구조 공사종류 RC(철근콘크리트), SRC(철골철근콘크리트), SC(철골콘크리트) 중 공사종류를 선별(S300a)하는 단계, (c) 선별한 구조 공사종류의 건축 구조 부위인 기초, 기둥, 보, 옹벽, 슬래브, 계단 중 구조 부위를 선별(S300b)하는 단계, (d) 선별한 구조 부위의 콘크리트, 거푸집, 철근, 철골 중 구조 객체를 선별(S300c)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며, (e) 상기 선별한 구조 공사종류, 구조 부위, 구조 객체를 포함한 구조 코드가 분류되어 선정(S310)되는 방법(도면 5)을 포함하며, (f) 상기 선정된 코드에 해당하는 구조 객체의 일위대가를 선정하기 위해 해당 공종을 분류(S320a)하고 일위대가를 DB에서 추출(S320b)하여 합성단가를 산정(S320c)하는 방법을 포함하며, (g) 상기 구조 객체의 단위체적(m3)과 상기 단위체적(m3) 합성단가가 곱셈 연산되어 해당 구조 객체의 개산견적이 산정(S330)되는 방법을 포함하며, (h) 상기 선정된 구조 객체 코드와 상기 산정된 구조 객체의 개산견적 결과가 포함된 구조 객체 정보모델이 생성(s340)되는 방법을 포함하며, (i) 구조 객체 정보모델의 코드와 해당 개산견적 결과가 출력(S350)되는, 건축 구조 개산견적을 위한 합성단가 정보 연산 및 분류 방법으로서, 이러한 건축 구조(RC, SRC, SC) 및 구조 부위(기초, 기둥, 보, 옹벽, 슬래브, 계단)의 콘크리트, 철근, 거푸집 정보를 일괄된 코드 정보로 관리 할 수 있어, 공종별 일위대가의 합인 합성단가 비용 정보와 연계하여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특허 제1692586호도 또한 코드 선정이라는 분류가 구조 개체와 공사가 진행되는 과정을 분류하는 방법으로, 개방형이나 폐합형 같은 철근의 형태나 철근의 절곡패턴을 나타내지 못할 뿐만 아니라 철근에 대한 정보가 유지 관리단계의 관계자들에게 까지 전달되지 못하여 정보의 단절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오류(정보 누락, 잘못된 시공 등)와 경제적으로 유지 관리를 할 수 없다고 하는 단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특허 제0756005호 특허공개공보 특허문헌 2 : 특허 제1718727호 등록특허공보 특허문헌 3 : 특허 제1692586호 특허공개공보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철근의 분류 및 철근 사용에 있어서의 여러 가지 결점 및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철근을 개방형이나 폐합형 같은 철근의 형태별로 분류함과 더불어 절곡 패튼에 따른 분류도 하여 철근 분류에 따른 철근의 배근 정보를 포함한 철근의 모든 정보를 설계단계에서부터 제작 및 시공뿐만 아니라 유지 관리단계까지 제공하여 정보의 단절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오류(정보 누락, 잘못된 시공 등)를 배제하고 유지 관리를 경제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적인 BIM을 이용하기 위한 철근 분류코드 활용시스템 및 활용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철근을 개방형이나 폐합형 같은 철근의 형태별로 분류함과 더불어 절곡 패튼에 따른 분류도 하여 사전 구축된 라이브러리와 연계되며 직관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분류 코드로 작업자에 따른 편차를 최소화함과 더불어 생산성 향상과 정보의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적인 BIM을 이용하기 위한 철근 분류코드 활용시스템 및 활용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철근의 배근시 인접 철근에 대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으므로 철근의 배치에 있어서 작업자별 편차를 줄일 수 있고, 배치공간의 확보 및 철근 상호간의 상호간섭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적인 BIM을 이용하기 위한 철근 분류코드 활용시스템 및 활용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효과적인 BIM을 이용하기 위한 철근 분류코드 활용시스템은 3D 곡선(curve)과 표면(surface)을 기반으로 3차원 모델의 형상 및 위치의 변경되는 정보가 정의된 항목을 포함하는 모델링을 실행하는 형상 모델링 수단(10)과; 철근 형상에 따른 철근 분류코드를 설정하고, 모델링된 콘크리트 형상의 경계조건 변경에 따른 철근의 직선길이, 피복등의 기준이 되는 면을 설정하며, 철근 형상에 대한 제어 요소 중 파라메트릭(Parametric) 요소를 적용하는 철근 라이브러리 템플릿(template) 모델링 수단(20)과; 사전 정의된 철근 템플릿 모델링을 적용하는 파트(part) 자동생성 및 배치 프로그램 실행 수단(30)과; 적용된 템플릿 모델을 활용하여 단일 혹은 다수의 철근모델을 생성하는 3D 철근 모델수단(40)과; 상기 3D 철근 모델수단(40)으로 생성된 철근의 형상모델을 기반으로 개별 철근의 세부정보를 추출하고 제작 가능 수준의 철근 정보를 생성하는 철근정보 추출 프로그램 수단(50) 및; 상기 철근정보 추출 프로그램 수단(50)으로 추출한 데이터와 철근분류 코드를 기반으로 2D 도면 재료표를 생성하고 상기 3D 철근 모델수단(40)으로 생성한 철근 3D 모델과 연계된 3D 재료를 생성하는 재료표 생성수단(6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개방형이나 폐합형 같은 철근의 형태별로 분류함과 더불어 절곡 패튼에 따른 분류도 하여 철근 분류에 따른 철근의 배근 정보를 포함한 철근의 모든 정보를 설계단계에서부터 제작 및 시공뿐만 아니라 유지 관리단계까지 제공하여 정보의 단절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오류(정보 누락, 잘못된 시공 등)를 배제하고 유지 관리를 경제적으로 할 수 있고, 사전 구축된 라이브러리와 연계되며 직관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분류 코드로 작업자에 따른 편차를 최소화함과 더불어 생산성 향상과 정보의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철근의 배근시 인접 철근에 대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으므로 철근의 배근에 있어서 배치공간의 확보 및 철근 상호 간의 상호간섭을 제거할 수 있는 각별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철근 최적화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종래 철근 가공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종래 건물의 구조 객체 개산견적 정보 연산 및 분류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 효과적인 BIM을 이용하기 위한 철근 분류코드 활용시스템을 실시하는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 효과적인 BIM을 이용하기 위한 철근 분류코드 활용시스템을 실시하는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 분류 기호를 부여하는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로서 (a)는 개방형(RO), (b)는 폐합형(RC)을 나타낸 도면,
도 7(a) 내지 (f)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 분류 기호를 코드화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 현황을 나타내는 시트와 개별 철근들의 상세를 나타내는 시트로 구성된 해당 철근의 전체 현황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3D 철근 모델링수단의 상세한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3D 철근 모델링수단의 철근 모델링 순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제작을 실시하는 블록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제작을 실시하는 순서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효과적인 BIM을 이용하기 위한 철근 분류코드 활용시스템 및 활용방법을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 효과적인 BIM을 이용하기 위한 철근 분류코드 활용시스템을 실시하는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 효과적인 BIM을 이용하기 위한 철근 분류코드 활용시스템을 실시하는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 분류 기호를 부여하는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로서 (a)는 개방형(RO), (b)는 폐합형(RC)을 나타낸 도면, 도 7(a) 내지 (f)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 분류 기호를 코드화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 현황을 나타내는 시트와 개별 철근들의 상세를 나타내는 시트로 구성된 해당 철근의 전체 현황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3D 철근 모델링수단의 상세한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3D 철근 모델링수단의 철근 모델링 순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제작을 실시하는 블록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제작을 실시하는 순서도로서, 본 발명 효과적인 BIM을 이용하기 위한 철근 분류코드 활용시스템은 3D 곡선(curve)과 표면(surface)을 기반으로 3차원 모델의 형상 및 위치의 변경되는 정보가 정의된 항목을 포함하는 모델링을 실행하는 형상 모델링 수단(10)과; 철근 형상에 따른 철근 분류코드를 설정하고, 모델링된 콘크리트 형상의 경계조건 변경에 따른 철근의 직선길이, 피복 등의 기준이 되는 면을 설정하며, 철근 형상에 대한 제어 요소 중 파라메트릭(Parametric) 요소를 적용하는 철근 라이브러리 템플릿(template) 모델링 수단(20)과; 사전 정의된 철근 템플릿 모델링을 적용하는 파트(part) 자동생성 및 배치 프로그램 실행 수단(30)과; 적용된 템플릿 모델을 활용하여 단일 혹은 다수의 철근모델을 생성하는 3D 철근 모델수단(40)과; 상기 3D 철근 모델수단(40)으로 생성된 철근의 형상모델을 기반으로 개별 철근의 세부정보를 추출하고 제작 가능 수준의 철근 정보를 생성하는 철근정보 추출 프로그램 수단(50) 및; 상기 철근정보 추출 프로그램 수단(50)으로 추출한 데이터와 철근분류 코드를 기반으로 2D 도면 재료표를 생성하고 상기 3D 철근 모델수단(40)으로 생성한 철근 3D 모델과 연계된 3D 재료를 생성하는 재료표 생성수단(6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철근 라이브러리 템플릿(template) 모델링 수단(20)에서의 철근의 분류코드는 철근의 기하학적 구성에 따라 개방형 형태(RC)와 폐합 형태(RO)로 구분하여 분류 기호를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철근의 절곡에 의하여 구성되는 두변과 끼인각의 특성을 반영하여 변의 개수와 그 구성 패턴을 구분하여 분류 기호를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3D 철근 모델수단(40)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형상 모델에서 철근 피복 정의 서피스를 정의하는 선형 3D 모델링 수단(41)과; 철근 코드에 해당하는 철근 라이브러리 적용 피복 서피스 연결을 정의하는 단위 파트 모델링 및 부분 파라미터 테이블 작성수단(42)과; 철근의 세부 형태를 조정하는 파라미터 테이블을 설정하는 부분 모델을 전체 구간에 적용하는 수단(43)과; 연계된 철근의 정보를 엑셀기반 데이터 링크하는 철근 배근 모델링수단(44)과; 재료표 출력을 위한 모델 기반 데이터 파라미터 테이블을 설정하는 전체 제품 구성 및 모델 검토, 물량 산출수단(45) 및; 다수의 철근을 생성하기 위한 연결된 엑셀리스트를 작성하는 수단(46)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재료표 생성수단(60)에서 생성한 재료표를 출력하기 위한 양식은 해당 철근의 전체 현황을 나타내는 시트와 개별 철근들의 상세를 나타내는 시트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체 현황을 나타내는 시트와 개별 철근들의 상세를 나타내는 시트는 모두 Excel sheet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재료표 생성수단(60)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철근 코드 적용된 라이브러리를 활용한 철근을 모델링하는 생성된 부분 모델링수단(61)과; 데이터를 추출할 목록 액셀을 작성하는 부분 읽기수단(62)과; 철근의 데이터를 모델로부터 수집하는 데이터 읽어오기 수단(63)과; 수집된 데이터를 사전 정의한 시트양식에 맞게 분류 출력하는 자료, 통계 임시저장 수단(64)과; 개별 출력된 철근 데이터 정보를 수집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철근 제작도 실행수단(65)과; 전체 철근에 데이터를 통계하는 리포트 양식 및 철근 상세도 수단(66) 및; 2D/3D 재료표를 생성하는 2D/3D 재료표 생성수단(67)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효과적인 BIM을 이용하기 위한 철근 분류코드 활용방법은 형상 모델링 수단(10)으로 BIM 형상을 모델링하는 BIM형상 모델링단계(S10단계)와; 철근 라이브러리 템플릿(template) 모델링 수단(20)으로 철근 상세를 정의하는 철근의 상세 정의단계(S20단계)와; 파트(part) 자동생성 및 배치 프로그램 실행 수단(30)으로 형상의 피복 두께(cover thickness) 기준이 되는 면(surface)을 설정하는 기준이 되는 면 설정단계(S30단계)와 철근 분류코드에 해당하는 템플릿 모델을 적용하는 템플릿 모델 적용단계(S40단계)와; 3D 철근 모델링수단(40)으로 엑셀 데이터를 정의 하고 단일 혹은 다수의 3차원 철근 모델을 생성하는 3차원 철근모델링 생성단계(S50단계)와; 철근정보 추출 프로그램 수단(50)으로 모델 기반의 재료표 데이터를 추출하는 재료표 데이터 추출단계(S60단계) 및; 재료표 생성수단(60)으로 2D/3D 재료표를 생성하는 2D/3D 재료표 생성단계(S70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철근의 상세 정의단계(S20단계)에서는 철근의 분류코드는 철근의 기하학적 구성에 따라 개방형 형태(RC)와 폐합 형태(RO)로 구분하여 분류 기호를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철근의 절곡에 의하여 구성되는 두변과 끼인각의 특성을 반영하여 변의 개수와 그 구성 패턴을 구분하여 분류 기호를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3차원 철근모델링 생성단계(S50단계)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형상 모델에서 철근 피복 정의 서피스를 정의하는 철근의 서피스 정의 단계(S41단계)와; 철근 코드에 해당하는 철근 라이브러리 적용 피복 서피스 연결을 정의하는 피복 서피스 연결 정의단계(S42단계)와; 철근의 세부 형태를 조정하는 파라미터 테이블 설정단계(S43단계)와; 연계된 철근의 정보를 엑셀기반 데이터 링크하는 엑셀기반 데이터 링크단계(S44단계)와; 재료표 출력을 위한 모델 기반 데이터 파라미터 테이블을 설정하는 데이터 파라미터 테이블 설정단계(S45단계) 및; 다수의 철근을 생성하기 위한 연결된 엑셀리스트를 작성하는 엑셀리스트 작성단계(S46단계)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모델기반의 재료표 데이터 추출단계(S60단계)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철근 코드 적용된 라이브러리를 활용한 철근을 모델링하는 철근 모델링단계(S61단계)와; 데이터를 추출할 목록 액셀을 작성하는 목록 액셀 작성단계(S62단계)와; 철근의 데이터를 모델로부터 수집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실행단계(S63단계)와; 수집된 데이터를 사전 정의한 시트양식에 맞게 분류 출력하는 분류 출력단계(S64단계)와; 개별 출력된 철근 데이터 정보를 수집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철근 데이터 정보 수집단계(S65단계) 및; 전체 철근에 데이터를 통계하는 데이터 통계단계(S66단계)를 거쳐 2D/3D 재료표를 생성하는 것(S70단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2D/3D 재료표 생성단계(S70단계)에서 생성한 재료표를 출력하기 위한 양식은 해당 철근의 전체 현황을 나타내는 시트와 개별 철근들의 상세를 나타내는 시트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체 현황을 나타내는 시트와 개별 철근들의 상세를 나타내는 시트는 모두 Excel sheet인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실시예
다음에는 본 발명에 따른 순서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 효과적인 BIM을 이용하기 위한 철근 분류코드 활용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BIM형상 모델링단계(S10단계)에서 형상 모델링 수단(10)으로 3D 커버(curve)와 서피스(surface)를 기반으로 3차원 모델의 위치 및 방향을 정하고 엑셀시트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단일 혹은 다수의 3차원 모델의 형상 및 위치의 변경되는 정보가 정의된 항목을 포함하는 모델링을 실행하고, 이어서 철근의 상세 정의단계(S20단계)에서 철근 라이브러리 템플릿(template) 모델링 수단(20)으로 철근 형상에 따른 철근 분류코드를 설정하며, 기준이 되는 면 설정단계(S30단계)에서 파트(part) 자동생성 및 배치 프로그램 실행 수단(30)으로 모델링된 콘크리트 형상의 경계조건 변경에 따른 철근의 직선길이, 피복 등의 기준이 되는 면을 설정하고, 템플릿 모델 적용단계(S40단계)에서 파트(part) 자동생성 및 배치 프로그램 실행 수단(30)으로 철근 형상에 대한 제어 요소 중 파라메트릭(Paramet ric) 요소가 적용이 되어 사전 정의된 철근 템플릿 모델링을 적용한다.
다음으로 3차원 철근모델 생성단계(S50단계)에서 3D 철근 모델링수단(40)으로 이전 단계(S40단계)에서 적용한 철근 텔플릿의 기본 형상과 연결된 엑셀 데이터 시트를 이용하여 세부 형상 조정과 상호 인접하여 배치되는 철근의 위치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적용된 템플릿 모델을 활용하여 단일 혹은 다수의 철근 모델을 생성한다.
계속하여 재료표 데이터 추출단계(S60단계)에서 철근정보 추출 프로그램 수단(50)으로 이전 단계(S50단계)에서 생성된 철근의 형상모델을 기반으로 개별 철근의 세부 정보를 추출하고 제작 가능 수준의 철근의 정보를 생성한다.
마지막으로 2D/3D 재료표 생성단계(S70단계)에서 이전 단계(S60)에서 추출된 데이터와 철근 분류코드를 기반으로 2D 도면 재료표를 생성하고 S50단계에서 생성된 철근 3D 모델과 연계된 3D 재료를 생성한다.
상기 철근의 상세 정의단계(S20단계)에서 철근의 분류코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철근의 기하학적 구성에 따라 개방형 형태(RC)와 폐합 형태(RO)로 구분하여 분류 기호를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철근의 절곡에 의하여 구성되는 두변과 끼인각의 특성을 반영하여 변의 개수와 그 구성 패턴을 구분하여 분류 기호를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분류된 전체 철근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드화할 수 있다.
상기 2D/3D 재료표 생성단계(S70단계)에서 상기 S60단계에서 추출된 데이터와 철근 분류코드를 기반으로 2D 도면 재료표를 생성하고 S50단계에서 생성된 철근 3D 모델과 연계된 3D 재료를 생성한 재료표를 출력하기 위한 양식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철근의 전체 현황을 나타내는 시트와 개별 철근들의 상세를 나타내는 시트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체 현황을 나타내는 시트와 개별 철근들의 상세를 나타내는 시트는 모두 Excel sheet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템플릿 모델 적용단계(S40단계)는 형상모델에서 철근피복 정의 서피스를 정의하는 단계(S41단계)와; 철근코드에 해당하는 철근 라이브러리 적용 피복 서피스의 연결을 정의하는 단계(S42단계)와; 철근의 세부 형태를 조정하는 파라미터 테이블 설정단계(S43단계)와; 연계된 철근의 정보를 엑셀기반 데이터 링크하는 단계(S44단계)와; 재료표 출력을 위한 모델기반 데이터 파라미터 테이블 설정단계(S45단계) 및; 다수의 철근의 생성하기 위한 연결된 엑셀리스트 작성단계(S46단계)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재료표 데이터 추출단계(S60단계)는 철근코드 적용된 라이브러리를 활용한 철근 모델링단계(S61단계)와; 데이터를 추출할 목록 엑셀을 작성하는 단계(S62단계)와; 철근의 데이터를 모델로부터 수집하는 프로그램 실행 단계(S63단계)와; 수집된 데이터를 사전 정의한 시트 양식에 맞게 분류 출력하는 단계(S64단계)와; 개별 출력된 철근 데이터 정보를 수집하는 프로그램 실행단계(S65단계) 및; 전체 철근에 데이터를 통계하는 단계(S66단계)로 이루어진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 형상 모델링 수단
20 : 철근 라이브러리 템플릿(template) 모델링 수단
30 : 파트(part) 자동생성 및 배치 프로그램 실행 수단
40 : 3D 철근 모델수단 41 : 선형 3D 모델링 수단
42 : 단위 파트 모델링 및 부분 파라미터 테이블 작성수단
43 : 부분 모델을 전체 구간에 적용하는 수단
44 : 철근 배근 모델링수단
45 : 전체 제품 구성 및 모델 검토, 물량 산출수단
46 : 엑셀리스트를 작성하는 수단 50 : 철근정보 추출 프로그램 수단
60 : 재료표 생성수단 61 : 생성된 부분 모델링수단
62 : 부분 읽기수단 63 : 데이터 읽어오기 수단
64 : 자료, 통계 임시저장 수단 65 : 철근 제작도 실행수단
66 : 리포트 양식 및 철근 상세도 수단 67 : 2D/3D 재료표 생성수단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3D 곡선(curve)과 표면(surface)을 기반으로 3차원 모델의 형상 및 위치의 변경되는 정보가 정의된 항목을 포함하는 모델링을 실행하는 형상 모델링 수단(10)과; 철근 형상에 따른 철근 분류코드를 설정하고, 모델링된 콘크리트 형상의 경계조건 변경에 따른 철근의 직선길이, 피복 등의 기준이 되는 면을 설정하며, 철근 형상에 대한 제어 요소 중 파라메트릭(Parametric) 요소를 적용하는 철근 라이브러리 템플릿(template) 모델링 수단(20)과; 사전 정의된 철근 템플릿 모델링을 적용하는 파트(part) 자동생성 및 배치 프로그램 실행 수단(30)과; 적용된 템플릿 모델을 활용하여 단일 혹은 다수의 철근모델을 생성하는 3D 철근 모델수단(40)과; 상기 3D 철근 모델수단(40)으로 생성된 철근의 형상모델을 기반으로 개별 철근의 세부정보를 추출하고 제작 가능 수준의 철근 정보를 생성하는 철근정보 추출 프로그램 수단(50) 및; 상기 철근정보 추출 프로그램 수단(50)으로 추출한 데이터와 철근분류 코드를 기반으로 2D 도면 재료표를 생성하고 상기 3D 철근 모델수단(40)으로 생성한 철근 3D 모델과 연계된 3D 재료를 생성하는 재료표 생성수단(60)으로 구성되고;
    상기 철근 라이브러리 템플릿(template) 모델링 수단(20)에서의 철근의 분류코드는 철근의 기하학적 구성에 따라 개방형 형태(RC)와 폐합 형태(RO)로 구분하여 분류 기호를 부여하고, 철근의 절곡에 의하여 구성되는 두변과 끼인각의 특성을 반영하여 변의 개수와 그 구성 패턴을 구분하여 분류 기호를 부여하는 철근 분류코드 활용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3D 철근 모델수단(40)은 형상 모델에서 철근 피복 정의 서피스를 정의하는 선형 3D 모델링 수단(41)과; 철근 코드에 해당하는 철근 라이브러리 적용 피복 서피스 연결을 정의하는 단위 파트 모델링 및 부분 파라미터 테이블 작성수단(42)과; 철근의 세부 형태를 조정하는 파라미터 테이블을 설정하는 부분 모델을 전체 구간에 적용하는 수단(43)과; 연계된 철근의 정보를 엑셀기반 데이터 링크하는 철근 배근 모델링수단(44)과; 재료표 출력을 위한 모델 기반 데이터 파라미터 테이블을 설정하는 전체 제품 구성 및 모델 검토, 물량 산출수단(45) 및; 다수의 철근을 생성하기 위한 연결된 엑셀리스트를 작성하는 수단(46)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과적인 BIM을 이용하기 위한 철근 분류코드 활용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형상 모델링 수단(10)으로 BIM 형상을 모델링하는 BIM형상 모델링단계(S10단계)와; 철근 라이브러리 템플릿(template) 모델링 수단(20)으로 철근 상세를 정의하는 철근의 상세 정의단계(S20단계)와; 파트(part) 자동생성 및 배치 프로그램 실행 수단(30)으로 형상의 피복 두께(cover thickness) 기준이 되는 면(surface)을 설정하는 기준이 되는 면 설정단계(S30단계)와 철근 분류코드에 해당하는 템플릿 모델을 적용하는 템플릿 모델 적용단계(S40단계)와; 3D 철근 모델수단(40)으로 엑셀 데이터를 정의 하고 단일 혹은 다수의 3차원 철근 모델을 생성하는 3차원 철근모델링 생성단계(S50단계)와; 철근정보 추출 프로그램 수단(50)으로 모델 기반의 재료표 데이터를 추출하는 재료표 데이터 추출단계(S60단계) 및; 재료표 생성수단(60)으로 2D/3D 재료표를 생성하는 2D/3D 재료표 생성단계(S70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철근의 상세 정의단계(S20단계)에서는 철근의 분류코드는 철근의 기하학적 구성에 따라 개방형 형태(RC)와 폐합 형태(RO)로 구분하여 분류 기호를 부여하고, 철근의 절곡에 의하여 구성되는 두변과 끼인각의 특성을 반영하여 변의 개수와 그 구성 패턴을 구분하여 분류 기호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분류코드 활용방법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철근모델링 생성단계(S50단계)는 형상 모델에서 철근 피복 정의 서피스를 정의하는 철근의 서피스 정의 단계(S41단계)와; 철근 코드에 해당하는 철근 라이브러리 적용 피복 서피스 연결을 정의하는 피복 서피스 연결 정의단계(S42단계)와; 철근의 세부 형태를 조정하는 파라미터 테이블 설정단계(S43단계)와; 연계된 철근의 정보를 엑셀기반 데이터 링크하는 엑셀기반 데이터 링크단계(S44단계)와; 재료표 출력을 위한 모델 기반 데이터 파라미터 테이블을 설정하는 데이터 파라미터 테이블 설정단계(S45단계) 및; 다수의 철근을 생성하기 위한 연결된 엑셀리스트를 작성하는 엑셀리스트 작성단계(S46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과적인 BIM을 이용하기 위한 철근 분류코드 활용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80160070A 2018-12-12 2018-12-12 효과적인 bim을 이용하기 위한 철근 분류코드 활용시스템 및 활용방법 KR1021709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0070A KR102170989B1 (ko) 2018-12-12 2018-12-12 효과적인 bim을 이용하기 위한 철근 분류코드 활용시스템 및 활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0070A KR102170989B1 (ko) 2018-12-12 2018-12-12 효과적인 bim을 이용하기 위한 철근 분류코드 활용시스템 및 활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2176A KR20200072176A (ko) 2020-06-22
KR102170989B1 true KR102170989B1 (ko) 2020-10-28

Family

ID=71142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0070A KR102170989B1 (ko) 2018-12-12 2018-12-12 효과적인 bim을 이용하기 위한 철근 분류코드 활용시스템 및 활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09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35906B (zh) * 2020-07-17 2023-12-22 中国二十冶集团有限公司 一种多元化冲渣沟入口电算组合建模精细化调整方法
CN112035914B (zh) * 2020-07-17 2023-12-22 中国二十冶集团有限公司 一种外弧切线电算组合建模精细化调整方法
CN111922251B (zh) * 2020-08-06 2022-06-10 中交第一航务工程局有限公司 基于bim的钢筋下料优化及自动化加工与管理的成套方法
CN112257150B (zh) * 2020-10-19 2024-01-19 中国二十冶集团有限公司 基于bim建模的筏形基础板带加强筋精细化算量的方法
CN112487541A (zh) * 2020-12-17 2021-03-12 中建一局集团建设发展有限公司 一种地下连续墙钢筋笼制作与吊装施工方法
CN112613089A (zh) * 2020-12-18 2021-04-06 东南大学 一种基于隧道主体结构异形钢筋的bim优化设计方法
CN113158295A (zh) * 2021-03-12 2021-07-23 贵州建工集团第四建筑工程有限责任公司 基于bim模板整装技术运用在模板支撑架体的施工工法
CN113701821B (zh) * 2021-09-01 2024-03-05 西南科技大学 一种基于局部特征的建筑铝模板识别结构及其方法
KR102561979B1 (ko) * 2022-07-14 2023-08-02 주식회사 한울씨앤비 개방형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자동 모델링 장치 및 방법
CN116258287B (zh) * 2023-05-16 2024-01-26 北京城建集团有限责任公司 钢筋下料组合优化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5109B1 (ko) * 2013-02-22 2013-12-0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Bim을 이용한 골조 공사의 개산견적 연산 방법
KR101607886B1 (ko) 2015-07-30 2016-04-11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3차원 모델을 이용한 건축물 배근시공도 자동생성 시스템
KR101695591B1 (ko) * 2016-03-03 2017-01-23 정근창 공간상의 모델의 위치를 특정하는 프로그램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토목지식 기반의 설계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18727A (en) 1927-05-27 1929-06-25 Charles H Allan Adjustable liner
KR100756005B1 (ko) 2004-10-19 2007-09-06 (주)지중공영 철근 최적화 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 및 그 방법에 대한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1626384B1 (ko) * 2009-12-04 2016-06-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차원 모델 데이터 검색 장치 및 방법
KR20150088022A (ko) * 2014-01-23 2015-07-31 주식회사 글로텍 비아이엠 툴을 활용한 수량산출 자동화 시스템
KR101692586B1 (ko) 2014-10-02 2017-01-03 윤명철 Bim을 이용한 건축 개산견적을 위한 단위단가 정보 연산 및 분류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5109B1 (ko) * 2013-02-22 2013-12-0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Bim을 이용한 골조 공사의 개산견적 연산 방법
KR101607886B1 (ko) 2015-07-30 2016-04-11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3차원 모델을 이용한 건축물 배근시공도 자동생성 시스템
KR101695591B1 (ko) * 2016-03-03 2017-01-23 정근창 공간상의 모델의 위치를 특정하는 프로그램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토목지식 기반의 설계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2176A (ko) 2020-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0989B1 (ko) 효과적인 bim을 이용하기 위한 철근 분류코드 활용시스템 및 활용방법
CN108595891B (zh) 混凝土桥主梁施工临时支架结构的二维化bim设计方法
KR101670602B1 (ko) 파라메트릭 툴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자동 설계 방법
CN108550020A (zh) 基于bim技术的工程造价控制方法
Sacks et al. A target benchmark of the impact of three-dimensional parametric modeling in precast construction
Jiang Developments in cost estimating and scheduling in BIM technology
KR101695591B1 (ko) 공간상의 모델의 위치를 특정하는 프로그램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토목지식 기반의 설계방법
KR101227723B1 (ko) 파라메트릭 디자인 프로세스를 이용한 한옥설계 지원 정보시스템 구축방법
KR20190099779A (ko) 건축물 구조 설계 방법
KR101394022B1 (ko) Bim을 이용한 건물 외피 형태 자동화 생성 및 이를 이용한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 방법
CN111353188B (zh) 人造岩石结构设计和制造的自动化系统
Cuellar Lobo et al.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BIM-) based generative design for drywall installation planning in prefabricated construction
Lim et al. Automatic rebar estimation algorithms for integrated project delivery
JP7277876B2 (ja) 建設物の施工管理装置
Meadati BIM extension into later stages of project life cycle
Khosakitchalert et al. BIM-based wall framing calculation algorithms for detailed quantity takeoff
Park BIM-based simulator for rebar placement
JP6429380B2 (ja) 建物企画設計システムと方法
Alzarrad et al. 4D BIM simulation guideline for construction visualization and analysis of renovation projects: A case study
Kuzminykh et al. 4D and 5D design processes automation using databases, classification and applied programming
Khosakitchalert et al. Development of BIM-based quantity takeoff for light-gauge steel wall framing systems.
Heesom et al. A dynamic VR system for visualizing construction space usage
Khan et al. Evaluating benefits of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BIM) using a 5D model for construction project
Ghodasara et al. Application of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in facility management: a case study of a commercial project’
Santos et al. Building design coordination, Comparing 2D and 3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