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0178B1 - 모바일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 사용 제어 방법 및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모바일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 사용 제어 방법 및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0178B1
KR102170178B1 KR1020130027577A KR20130027577A KR102170178B1 KR 102170178 B1 KR102170178 B1 KR 102170178B1 KR 1020130027577 A KR1020130027577 A KR 1020130027577A KR 20130027577 A KR20130027577 A KR 20130027577A KR 102170178 B1 KR102170178 B1 KR 102170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data network
mobile
mode
clien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7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2904A (ko
Inventor
장금주
박수영
황선민
이주승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7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0178B1/ko
Priority to PCT/KR2014/001808 priority patent/WO2014142466A1/en
Priority to US14/197,825 priority patent/US9642001B2/en
Priority to EP14158184.3A priority patent/EP2779752B1/en
Priority to EP19183984.4A priority patent/EP3570595A3/en
Priority to JP2014044985A priority patent/JP6425392B2/ja
Priority to AU2014201360A priority patent/AU2014201360B2/en
Priority to CN201410095855.7A priority patent/CN104053210B/zh
Publication of KR20140112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2904A/ko
Priority to US15/491,555 priority patent/US10420014B2/en
Priority to US16/510,358 priority patent/US11140610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0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0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2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2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 H04W48/06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based on traf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10Access point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e.g. multi-mode access 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2Inter-network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4Charging, meter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data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 H04L12/1432Metric aspects
    • H04L12/1435Metric aspects volume-bas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4Charging, meter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data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 H04L12/1442Charging, meter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data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at network operator level
    • H04L12/145Charging, meter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data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at network operator level trading network capacity or selecting route based on tari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10Active monitoring, e.g. heartbeat, ping or trace-rou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39Arrangements for preventing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88Provision for limiting connection, or expenditure
    • H04M15/888Provision for limiting connection, or expenditure severing connection after predetermined time o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모바일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를 통한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 사용 제어 방법 및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모바일 AP로 설정된 호스트 디바이스는 데이터 리스 모드의 설정 여부를 확인하여, 데이터 리스 모드가 설정된 경우에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해 모바일 AP를 통한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 사용을 차단하고, 데이터 리스 모드가 해제된 경우에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해 모바일 AP를 통한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 사용을 허용한다. 모바일 AP에 연결되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는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태에서 모바일 AP로 설정된 호스트 디바이스에 연결하는 경우에 호스트 디바이스의 데이터 리스 모드의 설정 여부를 확인하여, 데이터 리스 모드가 설정된 경우에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 연결을 유지하고, 데이터 리스 모드가 해제된 경우에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 연결을 해제한다.

Description

모바일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 사용 제어 방법 및 디바이스{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USE OF EXTERNAL DATA NETWORK VIA MOBILE ACCESS POINT}
본 발명은 모바일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바일 AP를 통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것을 제어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Wi-Fi(Wireless-Fidelity)와 같은 WLAN(Wireless Local Network Area) 연결을 지원하는 여러 가지 모바일 디바이스들이 출시되었으나, 이동성이 없는 WLAN의 한계로 인해 사용자들이 이동 중에는 WLAN을 사용할 수 없는 제한이 있었다.
최근에 출시되는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들은 대부분 모바일 AP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모바일 AP 기능은 모바일 단말을 AP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다. 모바일 AP 기능은 PC(Personal Computer)와 같은 디바이스가 모바일 AP에 연결하고 모바일 AP가 등록된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와 같은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접속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테더링(Tethering) 기능을 무선화한 것이다. 모바일 AP 기능은 통상적으로 'Wi-Fi 테더링', 'Wi-Fi 핫스팟', '휴대용 핫스팟' 등으로도 불린다.
모바일 AP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단말은 모바일 AP 기능이 설정되면 모바일 AP로 동작하며, 모바일 AP 주변에 핫스팟이 생성된다. 이처럼 생성된 핫스팟 내에서 모바일 AP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는 모바일 AP와 통신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바일 AP를 통해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AP로 설정된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이 호스트 디바이스가 되며, 모바일 AP에 연결되는 랩탑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폰 등과 같은 디바이스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된다. 모바일 AP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간의 연결은 WLAN,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등과 같은 무선 근거리 통신이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WLAN인 Wi-Fi가 모바일 AP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간의 연결에 널리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에 관한 요금 체계는 전송되는 패킷의 양에 따라 과금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모바일 단말 사용자는 인터넷 접속을 해야 하는 경우, 자신의 모바일 단말이 등록된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 대신에 유선 데이터 네트워크처럼 상대적으로 요금이 저렴하거나 무료인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에 연결된 WLAN이 사용 가능하다면, 이 WLAN을 사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한다. 즉, 모바일 단말 사용자는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WLAN AP에 모바일 단말을 연결한 후, 연결된 WLAN AP를 통해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인터넷 접속을 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모바일 단말은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태에서 WLAN AP에 연결되어 WLAN AP를 통해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는 상황이 되면,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 연결을 해제한다. 이후 모바일 단말이 WLAN AP를 통해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를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는 상황이 되면, 모바일 단말은 WLAN 연결을 해제하고, 다시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에 연결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이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태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서 모바일 AP에 연결되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는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 연결을 해제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인터넷 접속을 해야 할 경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는 연결 해제된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 대신에 모바일 AP를 통한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모바일 AP에 연결된 경우에,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인터넷 접속은 항상 모바일 AP의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의한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 이용료에 관한 과금 대상은 호스트 디바이스로 동작하는 모바일 단말이 된다. 만일 모바일 AP의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가 외부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라면, 호스트 디바이스 사용자는 추가 무선 데이터 사용료를 부담하게 될 수 있다. 특히 호스트 디바이스가 무제한 요금제에 가입하여 과금 부담이 없는 경우가 아니라면, 호스트 디바이스 사용자에게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외부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 사용에 따른 추가 무선 데이터 사용료가 부과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모바일 AP를 통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 사용을 제어할 수 있는 방법 및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모바일 AP를 통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 사용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거나 허용할 수 있는 방법 및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모바일 AP를 통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 사용을 호스트 디바이스의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 연결 상황에 따라 자동으로 차단하거나 허용할 수 있는 방법 및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모바일 AP를 통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 사용을 호스트 디바이스와 클라이언트 중에 적어도 하나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단하거나 허용할 수 있는 방법 및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모바일 AP를 통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 사용을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별, 데이터 공유 애플리케이션별 중에 적어도 한 가지로 선택적으로 차단하거나 허용할 수 있는 방법 및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모바일 AP를 통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외부 데이터 사용량을 선택적으로 제한할 수 있는 방법 및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모바일 AP를 통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외부 데이터 사용량을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별, 데이터 공유 애플리케이션별 중에 적어도 한 가지로 선택적으로 제한할 수 있는 방법 및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모바일 AP에 연결되는 경우에 기존에 연결된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를 계속 사용하도록 할 수 있는 방법 및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라, 모바일 AP로 설정된 호스트 디바이스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해 상기 모바일 AP를 통한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 사용 제어 방법은, 데이터 리스 모드의 설정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리스 모드가 설정된 경우에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해 상기 모바일 AP를 통한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 사용을 차단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리스 모드가 해제된 경우에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해 상기 모바일 AP를 통한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 사용을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모바일 AP에 연결되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서 상기 모바일 AP를 통한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 사용 제어 방법은,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모바일 AP로 설정된 호스트 디바이스에 연결하는 경우에 상기 호스트 디바이스의 데이터 리스 모드의 설정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리스 모드가 설정된 경우에 상기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 연결을 유지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리스 모드가 해제된 경우에 상기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라, 모바일 AP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서 상기 모바일 AP를 통한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 사용 제어 방법은,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모바일 AP로 설정된 호스트 디바이스에 연결하는 경우에 데이터 공유 애플리케이션 모드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공유 애플리케이션 모드인 경우에 상기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 연결을 유지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공유 애플리케이션 모드가 아닌 경우에 상기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라, 모바일 AP에 연결되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서 상기 모바일 AP를 통한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 사용 제어 방법은,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모바일 AP로 설정된 호스트 디바이스에 연결하는 경우에 데이터 공유 애플리케이션 모드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공유 애플리케이션 모드인 경우에 상기 호스트 디바이스의 데이터 리스 모드의 설정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리스 모드가 설정된 경우에 상기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 연결을 유지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공유 애플리케이션 모드가 아니거나 상기 데이터 리스 모드가 해제된 경우에 상기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라, 모바일 AP로 설정된 호스트 디바이스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와 무선 근거리 통신에 의한 모바일 AP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무선 근거리 통신 유니트와, 상기 모바일 AP 네트워크에 대해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인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하는 무선 통신 유니트와, 데이터 리스 모드가 설정된 경우에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해 상기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 사용을 차단하고, 상기 데이터 리스 모드가 해제된 경우에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해 상기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 사용을 허용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라, 모바일 AP에 연결되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는, 상기 모바일 AP로 설정된 호스트 디바이스와 무선 근거리 통신에 의한 모바일 AP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무선 근거리 통신 유니트와,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하는 무선 통신 유니트와, 상기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호스트 디바이스에 연결하는 경우에 상기 호스트 디바이스의 데이터 리스 모드의 설정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데이터 리스 모드가 설정된 경우에 상기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 연결을 유지하고, 상기 데이터 리스 모드가 해제된 경우에 상기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 연결을 해제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라, 모바일 AP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는, 상기 모바일 AP로 설정된 호스트 디바이스와 무선 근거리 통신에 의한 모바일 AP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무선 근거리 통신 유니트와,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하는 무선 통신 유니트와, 상기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호스트 디바이스에 연결하는 경우에 데이터 공유 애플리케이션 모드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데이터 공유 애플리케이션 모드인 경우에 상기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 연결을 유지하고, 상기 데이터 공유 애플리케이션 모드가 아닌 경우에 상기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 연결을 해제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라, 모바일 AP에 연결되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는, 상기 모바일 AP로 설정된 호스트 디바이스와 무선 근거리 통신에 의한 모바일 AP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무선 근거리 통신 유니트와,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하는 무선 통신 유니트와, 상기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모바일 AP로 설정된 호스트 디바이스에 연결하는 경우에 데이터 공유 애플리케이션 모드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데이터 공유 애플리케이션 모드인 경우에 상기 호스트 디바이스의 데이터 리스 모드의 설정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데이터 리스 모드가 설정된 경우에 상기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 연결을 유지하고, 상기 데이터 공유 애플리케이션 모드가 아니거나 상기 데이터 리스 모드가 해제된 경우에 상기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 연결을 해제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모바일 AP에 연결되는 경우에, 모바일 AP를 통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 사용이 호스트 디바이스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중에 적어도 하나에 의해 선택적으로 허용되거나 차단됨으로써, 호스트 디바이스에 불필요한 추가 무선 데이터 사용료가 과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모바일 AP를 통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 사용이 차단되는 경우에도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등록된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 연결을 유지함으로써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AP 네트워크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호스트 디바이스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호스트 디바이스의 처리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호스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리스 모드 설정 상태 표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호스트 디바이스의 데이터 리스 모드 제어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호스트 디바이스의 데이터 리스 모드 제어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처리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리스 모드 설정 상태 표시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AP 네트워크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호스트 디바이스의 블록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호스트 디바이스의 데이터 리스 모드 제어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에 동일한 구성요소들에는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대한 참조 부호를 사용한 이하의 설명은 특허청구범위와 그에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의된 것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의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여러 가지 특정 상세들이 포함되지만, 이는 단지 예시에 관한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따라서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및 정신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이하에 설명된 실시 예들의 여러 가지 변경 및 수정을 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또한 공지 기능이나 구성에 관한 설명은 명확성과 간결성을 위해 생략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들 및 단어들은 서지적인 의미에 한정되지 않으며, 단지 본 발명의 명확하고 일관된 이해가 가능하도록 발명자에 의해 사용된 것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모바일 AP로 설정되는 호스트 디바이스와 모바일 AP에 연결되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스마트폰인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하지만 유사한 기술적 배경을 가지는 다른 장치들에도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일부 변형을 통해 다른 장치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AP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호스트 디바이스(100)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에 의해 모바일 AP 네트워크(104)가 구성된다. 모바일 AP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이 모바일 AP로 설정됨에 따라 모바일 AP 네트워크(104)의 호스트 디바이스(100)로 동작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들, '호스트 디바이스'와 '모바일 AP'는 필요에 따라 동일한 의미로도 사용된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도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일 수 있으며, 랩탑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등과 같은 디바이스도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될 수 있다. 호스트 디바이스(100)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간의 연결은 LAN, 블루투스, RFID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이 사용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는 WLAN인 Wi-Fi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 1에는 모바일 AP 네트워크(104)에 하나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만이 포함되는 예를 보였으나, 다수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이 포함될 수 있다.
호스트 디바이스(100)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는 호스트 디바이스(100)가 등록된 GPRS, WCDMA, LTE와 같은 공중망인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106)를 공유할 수 있다. 즉,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는 호스트 디바이스(100)를 통해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106)를 사용할 수 있다. 이처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는 호스트 디바이스(100)를 통해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106)를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에 있어서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106)는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에 해당한다. 또한 Wi-Fi와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106)를 동시에 사용하는 것은 예를 들어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애플리케이션에서도 사용하는 기술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Wi-Fi를 통해 데이터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중에 MMS를 사용하는 경우, MMS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모바일 단말의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의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사용하여 Wi-Fi와 같은 디폴트 연결이 아닌 셀룰라와 같은 다른 연결이 가능하다. Wi-Fi와 셀룰라 네트워크를 동시에 사용하고자 하는 애플리케이션이 해당 API를 호출하면 두가지의 연결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호스트 디바이스(100)는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106)뿐만 아니라 고정 AP에도 연결될 수 있다. 고정 AP는 유선 데이터 네트워크에 연결된 AP로서, WLAN을 통해 고정 AP에 연결되는 클라이언트에게 유선 데이터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전통적인 WLAN AP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는 호스트 디바이스(100)를 통해 유선 데이터 네트워크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유선 데이터 네트워크도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가 등록된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 이외의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관해서는 후술하는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호스트 디바이스(100)의 사용자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의 사용자는 데이터 공유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모바일 AP를 통해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다. 데이터 공유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예로서, 동일한 화면을 여러 사람이 각자의 스마트 디바이스로 볼 수 있다. 스마트 디바이스는 스마트 TV, 랩탑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폰 등이 될 수 있다. 모바일 AP를 통한 데이터 공유의 다른 예로서 멀티플레이 게임도 가능하다.
데이터 공유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기 위해 호스트 디바이스(100)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가 연결되는 경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는 호스트 디바이스(100)를 통해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106)와 같은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도 있게 된다. 이처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가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호스트 디바이스(100) 사용자는 추가 무선 데이터 사용료를 부담하게 될 수 있다.
이에 관련하여, 호스트 디바이스(100)는 데이터 리스(data less) 모드가 설정되거나 해제될 수 있다. 데이터 리스 모드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가 호스트 디바이스(100)를 통해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모드이다. 호스트 디바이스(100)는 데이터 리스 모드가 설정된 경우에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가 호스트 디바이스(100)를 통해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것을 차단(block)한다. 호스트 디바이스(100)는 데이터 리스 모드가 해제된 경우에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가 호스트 디바이스(100)를 통해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것을 허용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호스트 디바이스의 블록도로서, 도 1에 보인 호스트 디바이스(100)가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인 경우의 구성을 보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호스트 디바이스(100)는, 콘트롤러(200), 무선 통신 유니트(202)), Wi-Fi 유니트(204), 오디오 유니트(206), 메모리(208), 디스플레이(210), 키 입력부(212)를 포함한다.
무선 통신 유니트(202)는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106)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한다. 무선 근거리 통신 유니트인 Wi-Fi 유니트(204)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를 포함한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와 Wi-Fi 통신에 의한 모바일 AP 네트워크(104)를 형성한다. 오디오 유니트(206)는 스피커와 같은 오디오 출력 디바이스, 마이크와 같은 오디오 입력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호스트 디바이스(100)의 동작에 따른 각종 오디오를 입력 및 출력한다. 메모리(208)는 콘트롤러(20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며, 콘트롤러(200)의 동작에 따른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208)에는 외장형 메모리가 더 포함될 수 있고, HDD(Hard Disk Drive)와 같은 스토리지 장치도 더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10)는 콘트롤러(200)의 동작에 따른 화상을 디스플레이한다. 키 입력 유니트(212)는 사용자로부터 호스트 디바이스(1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키 입력을 콘트롤러(200)에 제공한다. 키 입력 유니트(212)는 디스플레이(210) 상에 설치되는 터치 스크린 패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콘트롤러(200)는 무선 통신 유니트(202), Wi-Fi 유니트(204), 오디오 유니트(206), 메모리(208), 디스플레이(210), 키 입력 유니트(212)를 제어하여 호스트 디바이스(100)의 각종 기능을 수행한다. 콘트롤러(200)로서는 통상적인 모바일 단말의 주 제어부인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 사용 제어 기능을 추가로 실행하도록 하여 구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호스트 디바이스의 처리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호스트 디바이스(100)의 콘트롤러(200)는 모바일 AP 동작을 시작하면, (300)단계에서 데이터 리스 모드의 설정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300)단계에서 확인 결과, 데이터 리스 모드가 설정된 경우라면, (302)단계에서 콘트롤러(200)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에 대해 호스트 디바이스(100)를 통한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 사용을 차단한다. 이에 따라 이후의 (304)단계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가 데이터 공유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는 호스트 디바이스(100)와 공유하게 되지만,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는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상기 (300)단계에서 확인 결과, 데이터 리스 모드가 해제된 경우라면, (306)단계에서 콘트롤러(200)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에 대해 호스트 디바이스(100)를 통한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 사용을 허용한다. 이에 따라 이후의 (308)단계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가 데이터 공유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뿐만 아니라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도 호스트 디바이스(100)와 공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콘트롤러(200)는 디스플레이(210)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모바일 AP 인디케이터를 통해 데이터 리스 모드 설정 상태를 도 4에 보인 것처럼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호스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리스 모드 설정 상태 표시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참조부호 400은 데이터 리스 모드가 해제된 경우의 모바일 AP 인디케이터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402는 데이터 리스 모드가 설정된 경우의 모바일 AP 인디케이터를 나타낸다. 데이터 리스 모드가 설정된 경우, 모바일 AP 인디케이터(402)에는 호스트 디바이스(100)가 데이터 리스 모드임을 나타내는 데이터 리스 모드 아이콘(404)이 추가로 포함된다. 데이터 리스 모드 아이콘(404)의 형태나 색상은 도 4에 보인 것과 얼마든지 다르게 구현될 수도 있다. 이 상태에서 데이터 리스 모드가 해제되면 모바일 AP 인디케이터(400)처럼 데이터 리스 모드 아이콘(404)이 사라진다. 이에 따라 호스트 디바이스(100)의 사용자는 데이터 리스 모드의 설정 여부를 알 수 있게 된다.
호스트 디바이스(100)에 대한 데이터 리스 모드의 설정 및 해제는 호스트 디바이스(100)의 사용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상적인 모바일 단말의 환경 설정 메뉴에 데이터 리스 모드의 설정 및 해제 항목을 추가하여, 사용자가 호스트 디바이스(100)의 키 입력 유니트(212)를 통해 데이터 리스 모드를 설정하거나 해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호스트 디바이스(100)가 등록된 통신 사업자나 외부 세팅에 의해 데이터 리스 모드가 수동 또는 자동으로 설정 및 해제될 수도 있다.
또한 데이터 공유 애플리케이션의 구동 및 모바일 AP의 구동에 따라 자동으로 데이터 리스 모드가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공유 애플리케이션의 구동 후 모바일 AP가 구동되는 경우, 모바일 AP 구동 시 데이터 공유 애플리케이션이 선택되는 경우에 데이터 리스 모드가 자동으로 설정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별로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 사용에 대한 제한을 위해 허용량이 설정될 수도 있고, 데이터 공유 애플리케이션별로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 사용에 대한 제한을 위해 허용량이 설정될 수 있다. 즉, 클라이언트별, 데이터 공유 애플리케이션별 중에 적어도 한 가지로 허용량이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허용량은 호스트 디바이스(100)의 사용자 또는 호스트 디바이스(100)가 등록된 통신 사업자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고, 외부 세팅에 의해 수동 또는 자동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호스트 디바이스의 데이터 리스 모드 제어 흐름도로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별로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 사용에 대한 허용량이 설정된 경우의 예를 보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호스트 디바이스(100)의 콘트롤러(200)는 (500)단계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의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 사용량이 허용량에 도달하였는지 확인한다. 만일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 사용량이 허용량보다 적다면, 콘트롤러(200)는 (502)단계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에 대해 데이터 리스 모드를 해제한다. 이후 (500)단계에서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 사용량이 허용량에 도달하게 되면, 콘트롤러(200)는 (504)단계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에 대해 데이터 리스 모드를 설정한다.
이에 따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의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 사용량이 허용량이 되기 전까지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의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 사용이 허용된다. 하지만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의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 사용량이 허용량에 도달하게 되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의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 사용이 차단된다.
상기한 도 5에 관한 설명에서는 하나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의 예를 들었지만, 모바일 AP 네트워크(104)에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 이외에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더 포함되는 경우에도 각각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해 상기한 도 5에 따른 처리가 이루어진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호스트 디바이스의 데이터 리스 모드 제어 흐름도로서, 데이터 공유 애플리케이션별로 허용량이 설정된 경우의 예를 보인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호스트 디바이스(100)의 콘트롤러(200)는 (600)단계에서 데이터 공유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의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 사용량이 허용량에 도달하였는지 확인한다. 만일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 사용량이 허용량보다 적다면, 콘트롤러(200)는 (602)단계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에 대해 데이터 리스 모드를 해제한다. 이후 데이터 공유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의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 사용량이 허용량에 도달하게 되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에 대해 데이터 리스 모드를 설정한다.
이에 따라 데이터 공유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의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 사용량이 허용량이 되기 전까지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의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 사용이 허용된다. 하지만 데이터 공유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의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 사용량이 허용량에 도달하게 되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의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 사용이 차단된다.
상기한 도 6에 관한 설명에서는 하나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의 예를 들었지만, 모바일 AP 네트워크(104)에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 이외에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더 포함되는 경우에도 각각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해 데이터 공유 애플리케이션별로 상기한 도 6에 따른 처리가 이루어진다.
한편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에 대한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 사용 제어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에 의해 자율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공유 애플리케이션 모드 여부 또는 호스트 디바이스(100)의 데이터 리스 모드의 설정 여부 중에 적어도 하나에 따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에 대한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 사용 제어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에 관해서는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블록도로서, 도 1에 보인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가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인 경우의 구성을 보인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는, 콘트롤러(700), 무선 통신 유니트(702), Wi-Fi 유니트(704), 오디오 유니트(706), 메모리(708), 디스플레이(710), 키 입력부(712)를 포함한다.
무선 통신 유니트(702)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가 등록된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도시하지 않았음)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한다. 무선 근거리 통신 유니트인 Wi-Fi 유니트(704)는 모바일 AP로 설정된 호스트 디바이스(100)와 Wi-Fi 통신에 의한 모바일 AP 네트워크(104)를 형성한다. 오디오 유니트(706)는 스피커와 같은 오디오 출력 디바이스, 마이크와 같은 오디오 입력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의 동작에 따른 각종 오디오를 입력 및 출력한다. 메모리(708)는 콘트롤러(70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며, 콘트롤러(700)의 동작에 따른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708)에는 외장형 메모리가 더 포함될 수 있고, HDD와 같은 스토리지 장치도 더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710)는 콘트롤러(700)의 동작에 따른 화상을 디스플레이한다. 키 입력 유니트(712)는 사용자로부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키 입력을 콘트롤러(700)에 제공한다. 키 입력 유니트(712)는 디스플레이(710) 상에 설치되는 터치 스크린 패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콘트롤러(700)는 무선 통신 유니트(702), Wi-Fi 유니트(704), 오디오 유니트(706), 메모리(708), 디스플레이(710), 키 입력 유니트(712)를 제어하여 클라이언트 디바이스(700)의 각종 기능을 수행한다. 콘트롤러(700)로서는 통상적인 모바일 단말의 주 제어부인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 사용 제어 기능을 추가로 실행하도록 하여 구현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처리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의 콘트롤러(700)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가 등록된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에 무선 통신 유니트(702)에 의해 연결된 상태에서 호스트 디바이스(100)에 연결하는 경우에 (800)단계에서 현재의 동작 모드가 그룹 캐스트와 같은 데이터 공유 애플리케이션 모드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일 데이터 공유 애플리케이션 모드인 경우라면, 콘트롤러(700)는 (802)단계에서 호스트 디바이스(100)의 데이터 리스 모드의 설정 여부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콘트롤러(700)는 특정 웹 페이지에 대해 호스트 디바이스(100)를 통해 핑(ping)을 실행함으로써 호스트 디바이스(100)의 데이터 리스 모드의 설정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특정 웹 페이지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가 가장 최근에 연결했던 웹 페이지, 가장 자주 방문하는 웹 페이지, 홈페이지로 설정된 웹 페이지 중에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콘트롤러(700)는 이러한 웹 페이지들 각각의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주소 중에 하나를 사용하여 핑을 실행하고, 핑에 대한 응답 여부에 근거하여 호스트 디바이스(100)의 데이터 리스 모드의 설정 여부를 확인한다. 콘트롤러(700)는 핑에 대한 응답이 없는 경우에는, 호스트 디바이스(100)를 통한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 사용이 차단된 경우이므로, 데이터 리스 모드가 설정된 것으로 판단한다. 콘트롤러(700)는 핑에 대한 응답이 있는 경우에는, 호스트 디바이스(100)를 통한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 사용이 허용된 경우이므로, 데이터 리스 모드가 해제된 것으로 판단한다.
다른 예로서, 콘트롤러(700)는 미리 설정된 외부 네트워크 서버에 대해 호스트 디바이스(100)를 통해 핑을 실행하고, 핑에 대한 응답 여부에 근거하여 호스트 디바이스(100)의 데이터 리스 모드의 설정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외부 네트워크 서버는 예를 들어 통신 사업자에 의해 지정된 특정 서버가 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콘트롤러(700)는 호스트 디바이스(100)로부터 데이터 리스 모드의 설정 여부를 통지받아, 통지에 근거하여 호스트 디바이스(100)의 데이터 리스 모드의 설정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호스트 디바이스(100)는 데이터 리스 모드의 설정 여부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에 통지한다. 이러한 통지는 호스트 디바이스(100)에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가 연결될 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별 또는 데이터 공유 애플리케이션별로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 사용에 대한 허용량이 설정되는 경우, 호스트 디바이스(100)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에 대한 데이터 리스 모드가 설정 또는 해제되면 데이터 리스 모드의 설정 여부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로 통지할 수 있다. 또한 호스트 디바이스(100)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에 대한 허용량 또는 현재 실행 중인 데이터 공유 애플리케이션 모드에 대한 허용량을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로 통지할 수 있다. 또한 호스트 디바이스(100)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에 대한 현재의 사용량 또는 현재 실행 중인 데이터 공유 애플리케이션 모드에 대한 현재의 사용량을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로 통지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는 호스트 디바이스(100)로부터 통지되는 허용량 및 사용량을 디스플레이(710)를 통해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는 사용량이 허용량에 도달하기 전에, 예를 들어 허용량의 80%가 된 경우, 이에 관한 문구를 디스플레이(710)를 통해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상기 (804)단계에서 호스트 디바이스(100)에 데이터 리스 모드가 설정된 것으로 확인되면, 콘트롤러(700)는 (806)단계에서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 연결을 유지한다. 이에 따라 데이터 공유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는 Wi-Fi 유니트(704)를 통해 호스트 디바이스(100)와 공유되지만, 인터넷 접속과 같은 데이터 통신은 무선 통신 유니트(702)를 통한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데이터 공유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는 모바일 AP 네트워크(104)에 연결될 수 있는 다른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와도 공유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공유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기 위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가 호스트 디바이스(100)에 연결되는 경우, 호스트 디바이스(100)가 데이터 리스 모드로 설정되었다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는 기존에 연결된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계속적으로 인터넷 접속을 할 수 있다.
상기 (800)단계에서 데이터 공유 애플리케이션 모드가 아닌 것으로 확인된 경우나 상기 (804)단계에서 데이터 리스 모드가 해제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콘트롤러(700)는 (808)단계에서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 연결을 해제한다. 이에 따라 데이터 공유 애플리케이션 모드이면서 호스트 디바이스(100)의 데이터 리스 모드가 해제된 경우에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는 호스트 디바이스(100)를 통해 데이터 공유 애플리케이션 및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도 8에서는 데이터 공유 애플리케이션 모드 여부와 호스트 디바이스(100)의 데이터 리스 모드 설정 여부를 모두 확인하여,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의 기존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 연결을 유지하거나 해제하는 예를 보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제 적용에 있어서, 데이터 공유 애플리케이션 모드 여부와 호스트 디바이스(100)의 데이터 리스 모드 설정 여부 중에 어느 한 가지에 따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의 기존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 연결을 유지하거나 해제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제 적용에 있어서, (802),(804)단계가 생략되고, (800)단계 이후에 (806)단계 또는 (808)단계가 실행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800)단계가 생략되고, (802)단계부터 실행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리스 모드 설정 상태 표시 예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참조부호 900은 데이터 리스 모드가 해제된 경우의 모바일 AP 인디케이터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902는 데이터 리스 모드가 설정된 경우의 모바일 AP 인디케이터를 나타낸다. 데이터 리스 모드가 설정된 경우, 모바일 AP 인디케이터(902)에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가 데이터 리스 모드임을 나타내는 데이터 리스 모드 아이콘(904)이 추가로 포함된다. 데이터 리스 모드 아이콘(904)의 형태나 색상은 도 9에 보인 것과 얼마든지 다르게 구현될 수도 있다. 이 상태에서 데이터 리스 모드가 해제되면 모바일 AP 인디케이터(900)처럼 데이터 리스 모드 아이콘(904)이 사라진다. 이에 따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의 사용자는 데이터 리스 모드의 설정 여부를 알 수 있게 된다.
한편 호스트 디바이스(100)의 데이터 리스 모드의 설정 및 해제는 호스트 디바이스(100)의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 연결 상황에 따라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일 예로서, 호스트 디바이스(100)가 무선 데이터 사용에 관해 무제한 요금제에 가입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데이터 리스 모드가 자동으로 설정 또는 해제될 수 있다. 즉, 호스트 디바이스(100)가 무제한 요금제에 가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데이터 리스 모드가 자동으로 설정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데이터 리스 모드가 자동으로 해제될 수 있다. 이처럼 호스트 디바이스(100)의 무제한 요금제 가입 여부에 따른 데이터 리스 모드의 자동 설정 및 해제는 호스트 디바이스(100)가 가입된 통신 사업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호스트 디바이스(100)가 무제한 요금제 가입 여부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경우에는 호스트 디바이스(100)의 무제한 요금제 가입 여부에 따라 호스트 디바이스(100)에 의해 데이터 리스 모드의 자동 설정 및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 1에 관한 설명에 기재한 것처럼, 호스트 디바이스(100)가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106)뿐만 아니라 고정 AP에도 연결될 수 있는 경우에, 고정 AP에 연결 여부에 따라 데이터 리스 모드가 자동으로 설정 또는 해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관해서는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AP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10은, 호스트 디바이스(1000)가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106)뿐만 아니라 고정 AP(1004)에도 연결되는 예를 보인다. 호스트 디바이스(1000)는 도 1의 호스트 디바이스(100)에 대응한다. 고정 AP(1004)는 유선 데이터 네트워크(1006)에 연결되며, WLAN과 같은 무선 근거리 통신에 의해 호스트 디바이스(1000)와 연결된다. 이러한 경우 AP 모바일 네트워크(1002)에 포함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는 호스트 디바이스(1000)를 통해 유선 데이터 네트워크(1006)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고정 AP(1004)를 통한 유선 데이터 네트워크(1006)도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가 등록된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 이외의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에 해당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호스트 디바이스의 블록도로서, 도 10에 보인 호스트 디바이스(1000)가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인 경우의 구성을 보인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호스트 디바이스(1000)는, 콘트롤러(1100), 무선 통신 유니트(1102)), 제1 Wi-Fi 유니트(1104), 제2 Wi-Fi 유니트(1106), 오디오 유니트(1108), 메모리(1110), 디스플레이(1112), 키 입력부(1114)를 포함한다.
무선 통신 유니트(1102)는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106)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한다. 무선 근거리 통신 유니트인 제1 Wi-Fi 유니트(1104)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를 포함한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와 Wi-Fi 통신에 의한 모바일 AP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무선 근거리 통신 유니트인 제2 Wi-Fi 유니트(1106)는 고정 AP(1004)와 Wi-Fi 통신으로 연결된다. 오디오 유니트(1108)는 스피커와 같은 오디오 출력 디바이스, 마이크와 같은 오디오 입력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호스트 디바이스(1000)의 동작에 따른 각종 오디오를 입력 및 출력한다. 메모리(1100)는 콘트롤러(100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며, 콘트롤러(1000)의 동작에 따른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110)에는 외장형 메모리가 더 포함될 수 있고, HDD와 같은 스토리지 장치도 더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12)는 콘트롤러(1100)의 동작에 따른 화상을 디스플레이한다. 키 입력 유니트(1114)는 사용자로부터 호스트 디바이스(11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키 입력을 콘트롤러(1100)에 제공한다. 키 입력 유니트(1114)는 디스플레이(1112) 상에 설치되는 터치 스크린 패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콘트롤러(1100)는 무선 통신 유니트(1102), 제1, 제 Wi-Fi 유니트(1104, 1106), 오디오 유니트(1108), 메모리(1110), 디스플레이(1112), 키 입력 유니트(1114)를 제어하여 호스트 디바이스(1000)의 각종 기능을 수행한다. 콘트롤러(1100)로서는 통상적인 모바일 단말의 주 제어부인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 사용 제어 기능을 추가로 실행하도록 하여 구현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호스트 디바이스의 데이터 리스 모드 제어 흐름도로서, 도 10처럼 모바일 AP 네트워크(1002)가 구성되는 경우의 예를 보인 것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호스트 디바이스(1000)의 콘트롤러(1100)는 (1200)단계에서 제2 Wi-Fi 유니트(1106)를 통해 고정 AP(1004)에 연결되는지 확인한다. 만일 고정 AP(1004)에 연결되면 콘트롤러(1100)는 (1202)단계에서 데이터 리스 모드를 해제한다. 이후 (1204)단계에서 콘트롤러(1100)는 고정 AP(1004)와 연결이 해제되는지 확인한다. 만일 고정 AP(1004)와 연결이 해제되면, 콘트롤러(1100)는 (1206)단계에서 데이터 리스 모드를 설정한다.
이에 따라 호스트 디바이스(1000)의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 연결 상황에 따라 자동으로 호스트 디바이스(1000)의 데이터 리스 모드의 설정 및 해제가 이루어진다.
한편 모바일 단말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 사용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예컨대 애플리케이션)을 원격에 위치한 프로그램 제공 장치(예컨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받거나, 설치하여 실행함으로써,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 사용 제어에 사용할 수 있다. 즉,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 사용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모바일 단말에 인스톨되면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되어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 사용 제어를 할 수 있다.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모바일 단말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의 전송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또는 자동으로 상기 프로그램을 모바일 단말로 전송한다. 이때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모바일 단말에 대하여 서비스 가입 여부 판단, 사용자 인증 및 결재 정보 확인 등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모바일 단말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프로그램을 저장한 저장매체와, 상기 프로그램을 통신부에 의해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저장매체는 프로그램 제공 장치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등과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CD(Compact Disc), DVD(Digital Versatile Disc),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임의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컴퓨터 등)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Claims (30)

  1. 휴대용 통신 장치에 있어서,
    제 1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제 1 통신 회로;
    제 2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제 2 통신 회로;
    외부 전자 장치와 컨텐트를 공유하기 위한 제 1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통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외부 네트워크와 제 1 통신 연결을 개설하도록 상기 제 1 통신 회로를 제어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컨텐트를 공유하기 위한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컨텐트를 공유하기 위해, 상기 제 2 통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모바일 AP(access point)로 구동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제 2 통신 연결을 개설하도록 상기 제 2 통신 회로를 제어하고,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상기 모바일 AP로 구동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와 상기 외부 네트워크 사이에 개설된 상기 제 1 통신 연결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를 통한 상기 외부 네트워크로의 접근을 비허용하도록 설정된, 휴대용 통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통신 프로토콜의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비-근거리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상기 제 1 통신 연결을 개설하도록 상기 제 1 통신 회로를 제어하고,
    상기 제 2 통신 프로토콜의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상기 제 2 통신 연결을 개설하도록 상기 제 2 통신 회로를 제어하도록 더 설정된, 휴대용 통신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통신 연결을 개설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서,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를 상기 제 2 통신 연결의 호스트 장치로 설정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상기 제 2 통신 연결의 클라이언트 장치로 설정하도록 더 설정된, 휴대용 통신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통신 연결을 개설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테더된 장치로서 식별하도록 설정된, 휴대용 통신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을 위한 상기 제 1 통신 연결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상기 제 1 통신 연결의 공유를 금지하도록 더 설정된, 휴대용 통신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통신 연결의 공유를 금지하는 동안, 상기 제 1 통신 연결을 통해서 다른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하도록 설정된, 휴대용 통신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알림을 제공하도록 설정된, 휴대용 통신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오디오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사용자 입력의 적어도 일부로서, 상기 오디오 회로를 이용하여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도록 설정된, 휴대용 통신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에서 실행되는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서 실행되는 제 2 어플리케이션 간에 통신 채널을 개설하도록 설정된, 휴대용 통신 장치.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통신 연결이 해제된 것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제 1 통신 연결의 상기 공유의 금지를 중지하도록 설정된, 휴대용 통신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통신 연결을 개설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서,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의 모드를 설정하도록 설정된, 휴대용 통신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의 모드가 해제된 것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를 통해 상기 외부 네트워크로 접근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설정된, 휴대용 통신 장치.
  13. 휴대용 통신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통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외부 네트워크와 제 1 통신 연결을 개설하는 단계;
    외부 전자 장치와 컨텐트를 공유하기 위한 제 1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단계;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컨텐트를 공유하기 위해 제 2 통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모바일 AP(access point)로 구동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제 2 통신 연결을 개설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상기 모바일 AP로 구동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와 상기 외부 네트워크 사이에 개설된 상기 제 1 통신 연결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를 통한 상기 외부 네트워크로의 접근을 비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신 연결을 개설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에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상기 제 2 통신 연결의 클라이언트 장치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의 상기 제 1 통신 연결의 공유를 금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통신 연결의 공유를 금지하는 동안, 상기 제 1 통신 연결을 통해서 다른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KR1020130027577A 2013-03-14 2013-03-14 모바일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 사용 제어 방법 및 디바이스 KR102170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7577A KR102170178B1 (ko) 2013-03-14 2013-03-14 모바일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 사용 제어 방법 및 디바이스
US14/197,825 US9642001B2 (en) 2013-03-14 2014-03-05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use of external data network via mobile access point
PCT/KR2014/001808 WO2014142466A1 (en) 2013-03-14 2014-03-05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controlling use of external data network via mobile access point
EP19183984.4A EP3570595A3 (en) 2013-03-14 2014-03-06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controlling use of external data network via mobile access point
EP14158184.3A EP2779752B1 (en) 2013-03-14 2014-03-06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controlling use of external data network via mobile access point
JP2014044985A JP6425392B2 (ja) 2013-03-14 2014-03-07 モバイルアクセスポイントを通した外部のデータネットワークの使用を制御する方法及びデバイス
AU2014201360A AU2014201360B2 (en) 2013-03-14 2014-03-11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controlling use of external data network via mobile access point
CN201410095855.7A CN104053210B (zh) 2013-03-14 2014-03-14 控制经由移动接入点的外部数据网络的使用的方法和装置
US15/491,555 US10420014B2 (en) 2013-03-14 2017-04-19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use of external data network via mobile access point
US16/510,358 US11140610B2 (en) 2013-03-14 2019-07-12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use of external data network via mobile access poi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7577A KR102170178B1 (ko) 2013-03-14 2013-03-14 모바일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 사용 제어 방법 및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2904A KR20140112904A (ko) 2014-09-24
KR102170178B1 true KR102170178B1 (ko) 2020-10-26

Family

ID=50423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7577A KR102170178B1 (ko) 2013-03-14 2013-03-14 모바일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 사용 제어 방법 및 디바이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3) US9642001B2 (ko)
EP (2) EP3570595A3 (ko)
JP (1) JP6425392B2 (ko)
KR (1) KR102170178B1 (ko)
CN (1) CN104053210B (ko)
AU (1) AU2014201360B2 (ko)
WO (1) WO20141424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36335B2 (en) * 2012-12-13 2018-04-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obile computing device application sharing
JP6112903B2 (ja) * 2013-02-22 2017-04-12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2170178B1 (ko) * 2013-03-14 2020-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 사용 제어 방법 및 디바이스
JP6478367B2 (ja) * 2013-11-26 2019-03-06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情報管理装置、ローカル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情報管理方法および情報管理プログラム
CN111556497B (zh) 2014-08-21 2022-06-10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网络接入控制方法及设备、系统
WO2016065619A1 (zh) * 2014-10-31 2016-05-0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流量管理方法及装置
KR102448170B1 (ko) 2015-11-19 2022-09-28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근거리 통신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방법 및 전자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88975A1 (en) * 2009-01-28 2010-07-29 Gregory G. Raleigh Verifiable device assisted service policy implementation
US20120054353A1 (en) * 2010-08-26 2012-03-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Wlan terminal supporting mobile infrastructure mode and method of providing tethering service of the same
US20120240197A1 (en) * 2011-03-18 2012-09-20 Smith Micro Software, Inc. Managing Tethered Data Traffic Over a Hotspot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2567B1 (ko) 1997-12-31 2000-11-15 서평원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이동 인터넷
US20030046701A1 (en) * 2001-08-31 2003-03-06 O'donnell Mary E. User interface for mobile platforms and related methods
CN1268093C (zh) 2002-03-08 2006-08-02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局域网加密密钥的分发方法
US20030210700A1 (en) * 2002-05-09 2003-11-13 Ambicom, Inc. System and method of dynamically switching between 802.11b client and access point in MS-Windows environment
US20030233580A1 (en) * 2002-05-29 2003-12-18 Keeler James D. Authorization and authentication of user access to a distributed network communication system with roaming features
KR100652336B1 (ko) 2005-09-27 2006-11-29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랜/휴대인터넷 연동 기능을 가지는 이동접속장치 및그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US7672695B1 (en) * 2005-12-06 2010-03-02 Marvell International Ltd. Wearable access point
US20070153984A1 (en) 2006-01-03 2007-07-05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 and Apparatus for Routing Emergency Calls in a VoIP System
EP1885095A1 (fr) 2006-08-02 2008-02-06 Nagravision S.A. Méthode d'accès conditionnel local pour équipements mobiles
US8432920B2 (en) 2006-09-19 2013-04-30 Marvell World Trade Ltd. Direct link setup mechanisms for wireless LANs
US9532399B2 (en) 2006-11-30 2016-12-27 Kyocera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ervice to a multi-mod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US9185123B2 (en) * 2008-02-12 2015-11-10 Finsphere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identity protection for online user authentication
US8594627B2 (en) * 2008-10-06 2013-11-26 Telecommunications Systems, Inc. Remotely provisioned wirelessly proxy
WO2010093831A1 (en) * 2009-02-11 2010-08-19 Social Gaming Network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for an interactive proximity display tether with remote co-play
GB2470071B (en) 2009-05-08 2013-06-05 Vodafone Plc Telcommunications networks
CN101541068B (zh) * 2009-05-12 2011-01-05 杭州华三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wlan网络的控制方法和设备
KR101663011B1 (ko) * 2010-05-17 2016-10-06 삼성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단말기에서 테더링 서비스 수행 방법
EP2391179B1 (en) * 2010-05-31 2014-04-02 BlackBerry Limited Management of mobile hotspot connections
EP2403226A1 (en) 2010-06-30 2012-01-04 Runs NV Method for real-time monitoring of packet-based telecom services, and corresponding server and client device
KR101780021B1 (ko) * 2010-10-18 2017-10-11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자동 설정에 기초해 인터넷 연결을 공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361823B1 (ko) 2011-03-23 2014-02-25 주식회사 케이티 통신시스템에서 테더링 서비스 판단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8831517B2 (en) * 2011-04-13 2014-09-0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sponsored tethered connectivity
JP6051203B2 (ja) * 2011-04-13 2016-12-27 エンパイア テクノロジー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ルエルシー モバイルデバイスに関連付けられているネットワークアドレスに基づいてサービス品質を調整すること
US9942093B2 (en) 2011-08-26 2018-04-10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Data gathering for a node
US9220065B2 (en) * 2012-01-16 2015-12-22 Smith Micro Software, Inc. Enabling a mobile broadband hotspot by an auxiliary radio
US9197733B2 (en) * 2012-02-21 2015-11-24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data between electronic devices
US20130254264A1 (en) * 2012-03-07 2013-09-26 26Ones Inc. Tethering method, computing devices, system and software
US8949439B1 (en) * 2012-05-01 2015-02-03 Google Inc. Resource conscious tethering
US9584682B2 (en) * 2012-05-24 2017-02-28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data across multiple electronic devices
US9060329B2 (en) * 2012-06-06 2015-06-16 Blackberry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use in facilitating communication for different types of wireless networks
US9713174B2 (en) * 2012-06-11 2017-07-1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nection tethering and service remoting
US9825910B2 (en) * 2012-08-17 2017-11-21 Gogo Llc System for providing temporary internet access from a restricted local area network environment
US8989670B2 (en) * 2012-09-24 2015-03-24 Intel Corporation Location aware file sharing between near field communication enabled devices
US20140125554A1 (en) * 2012-11-07 2014-05-08 Shanghai Powermo Information Tech. Co. Ltd. Apparatus and algorithm to implement smart mirroring for a multiple display system
CN102970675B (zh) * 2012-12-21 2016-01-13 东莞宇龙通信科技有限公司 移动终端和数据通信处理方法
KR102170178B1 (ko) * 2013-03-14 2020-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 사용 제어 방법 및 디바이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88975A1 (en) * 2009-01-28 2010-07-29 Gregory G. Raleigh Verifiable device assisted service policy implementation
US20120054353A1 (en) * 2010-08-26 2012-03-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Wlan terminal supporting mobile infrastructure mode and method of providing tethering service of the same
US20120240197A1 (en) * 2011-03-18 2012-09-20 Smith Micro Software, Inc. Managing Tethered Data Traffic Over a Hotspot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223606A1 (en) 2017-08-03
CN104053210A (zh) 2014-09-17
WO2014142466A1 (en) 2014-09-18
US11140610B2 (en) 2021-10-05
KR20140112904A (ko) 2014-09-24
AU2014201360A1 (en) 2014-10-02
US20190335380A1 (en) 2019-10-31
CN104053210B (zh) 2019-01-08
EP2779752B1 (en) 2019-07-03
US9642001B2 (en) 2017-05-02
JP2014179982A (ja) 2014-09-25
EP2779752A1 (en) 2014-09-17
US20140274021A1 (en) 2014-09-18
AU2014201360B2 (en) 2017-07-13
US10420014B2 (en) 2019-09-17
EP3570595A2 (en) 2019-11-20
EP3570595A3 (en) 2020-01-22
JP6425392B2 (ja) 2018-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0178B1 (ko) 모바일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 사용 제어 방법 및 디바이스
US10142829B2 (en) Method for providing network service and electronic device
CN105916134B (zh) 用于选择引导eSIM的方法和装置
CN102047214B (zh) 具有对用户接口的前台访问的确定性控制的无线通信装置
US9420496B1 (en) Activation sequence using permission based connection to network
JP5438846B2 (ja) 移動体通信サービスプロバイダとの改良された登録
EP2933965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accessing network
EP3226432B1 (en) Method and devices for sharing media data between terminals
KR101713305B1 (ko) 스마트 기기의 라우터 액세스 방법, 장치, 시스템,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20120057871A (ko) 보안 등급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어하는 모바일 단말기 및 이의 구현방법
JP2017530496A (ja) 機器制御方法、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20150271263A1 (en) Collecting application sharing information
KR102178481B1 (ko) 연결 정보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JP2006287394A (ja)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サーバ、及び携帯通信機器
CN104468499A (zh) 在跨数据处理设备传送多媒体文件前确定格式兼容性
KR20080070391A (ko) 휴대 단말기 원격 제어 방법 및 시스템
WO2017073050A1 (ja) サーバ端末装置、クライアント端末装置、シンクライアントシステム、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US923702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tethering alert based on a threshold similarity between incoming data and outgoing data
KR101571525B1 (ko) 복수 통신망 연결상태에 있는 무선 단말기의 통신망 사용을 제어하는 방법과 장치
JP6042371B2 (ja) 端末データ管理サーバ、端末データ管理方法、及び、端末データ管理サーバ用プログラム
KR101969829B1 (ko) 이동 단말기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제공 방법
KR20110114844A (ko) 인터넷 접속 제어 방법 및 이동 단말기
KR20180068513A (ko) 홈허브 단말의 암호 관리 방법, 그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2019022107A (ja) 通信制御装置、通信制御システム、通信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onstantinou et al. An architecture for a distributed 3G mobi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