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8355B1 - Mobile for preventing leakage of call contents using hopping - Google Patents

Mobile for preventing leakage of call contents using hopp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8355B1
KR102168355B1 KR1020180088681A KR20180088681A KR102168355B1 KR 102168355 B1 KR102168355 B1 KR 102168355B1 KR 1020180088681 A KR1020180088681 A KR 1020180088681A KR 20180088681 A KR20180088681 A KR 20180088681A KR 102168355 B1 KR102168355 B1 KR 102168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output
speaker
band
beam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86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13460A (en
Inventor
이상민
김헌기
조우형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88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8355B1/en
Publication of KR20200013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346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8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83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05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combining the signals of two or more 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Obtaining Desirable Characteristics In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을 통해 출력되는 수화음을 빔포밍에 의해 전달함으로써 모바일 단말 사용자에게만 수화음이 집중되도록 하여 제3자에게 통화내용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 호핑을 이용한 통화음 유출 방지를 위한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화음 유출 방지를 위한 단말기는 통신부;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음향을 출력하는 복수의 스피커를 구비하는 스피커부; 상기 스피커부의 출력방향 전방의 미리 지정된 지점에 상기 음향이 집중되도록 상기 음향을 처리하여 복수의 상기 스피커 각각에 출력음향을 할당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rminal for preventing the outflow of ringtones using hopping, which prevents the outflow of the call contents to a third party by transmitting the received consonant sound output through the mobile terminal by beamforming so that the received consonant is concentrated only on the mobile terminal user About.
The terminal for preventing the outflow of a call sou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A speaker unit spac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speakers for outputting sound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a control unit that processes the sound so that the sound is concentrated at a predetermined point in front of the output direction of the speaker unit and allocates an output soun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peakers.

Description

호핑을 이용한 통화음 유출 방지를 위한 단말기{Mobile for preventing leakage of call contents using hopping}Terminal for preventing leakage of call sound using hopping {Mobile for preventing leakage of call contents using hopping}

본 발명은 통화음 유출 방지를 위한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바일 단말을 통해 출력되는 수화음을 빔포밍에 의해 전달함으로써 모바일 단말 사용자에게만 수화음이 집중되도록 하여 제3자에게 통화내용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 호핑을 이용한 통화음 유출 방지를 위한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for preventing the leakage of a call sound, and in particular, by transmitting a received sound output through a mobile terminal by beamforming, the received sound is concentrated only to the mobile terminal user, thereby preventing the leakage of the call content to a third party. It relates to a terminal for preventing the leakage of a call sound using one hopping.

최근에는 다양한 형태의 모바일 단말들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단말들은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네트워크와 같이 서비스 시스템과 연결되어 사용자에게 음성 통화 서비스를 제공한다. 때문에, 사용자들이 편리하게 언제 어디서나 통화서비스를 즐기게 되었다.Recently, various types of mobile terminals have been used. These mobile terminals are generally connected to a service system like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provide a voice call service to a user. Therefore, users can conveniently enjoy the call service anytime, anywhere.

모바일 단말에 의한 편리함은 증가하였지만, 이와 함께 통화내용의 유출이 문제가 되고 있다. 사용자들이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음성통화를 하게 됨에 따라 사용자 외의 사람들이 있는 곳에서도 빈번하게 통화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모바일 단말의 음향 출력 크기가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 주변 사람이 의도하지 않게 통화내용을 듣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실정이다. 특히, 이러한 유출은 공공장소에서 통화를 하는 경우 더욱 빈번하게 발생된다.Convenience by mobile terminals has increased, but the leakage of call contents is also a problem. As users make voice calls using mobile terminals, there are cases of frequent calls even where there are people other than users. In this situation, when the sound output level of the mobile terminal is above a certain level, a situation in which a nearby person unintentionally listens to a call is frequently generated. In particular, these outflows occur more frequently when making calls in public places.

하지만, 종래에는 이러한 통화 내용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이 거의 없는 실정이며, 이를 위해 고안된 방법도 실현이 복잡하거나 효과적을 유출을 방지하지 못하는 실정이다.However, conventionally, there are few methods for preventing the leakage of the contents of a call, and the method devised for this is complicated to realize, or it is not effective to prevent leakage.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52736호(등록일 2006.11.24.) "통신 단말기의 통화 누설음 방지 장치 및 방법"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652736 (registration date 2006.11.24.)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the leakage sound of a communication terminal"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바일 단말을 통해 출력되는 수화음을 빔포밍에 의해 전달함으로써 모바일 단말 사용자에게만 수화음이 집중되도록 하여 제3자에게 통화내용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 호핑을 이용한 통화음 유출 방지를 위한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event the outflow of phonetic sound using hopping that prevents the outflow of the content of the phone call to a third party by delivering the incoming-concept sound output through the mobile terminal by beamforming so that the incoming phonetic sound is concentrated only to the mobile terminal user It is to provide a terminal fo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빔포밍 대상이 되는 수화음 대역을 빔포밍에 의해 전달하되, 빔포밍 대역을 호핑에 의해 변경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만 수화음이 집중되도록 하고 제3자에게는 잡음으로 인식되도록 하여 통화내용의 유출이 방지되도록 한 호핑을 이용한 통화음 유출 방지를 위한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transmit the reception sound band to be beamforming by beamforming, but by changing the beamforming band by hopping so that the reception sound is concentrated only on the user and recognized as noise by a third party. Thus, it is to provide a terminal for preventing the leakage of a call sound using hopping that prevents the leakage of call content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통화시 외부에서 수화음을 인식하지 못하도록 별도의 음향을 제공하도록 하여 통화내용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호핑을 이용한 통화음 유출 방지를 위한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rminal for preventing the outflow of the telephone sound using hopping so as to prevent the outflow of the call contents by providing a separate sound to prevent the outflow of the telephone conversation during a user's call. will b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화음 유출 방지를 위한 단말기는 통신부;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음향을 출력하는 복수의 스피커를 구비하는 스피커부; 상기 스피커부의 출력방향 전방의 미리 지정된 지점에 상기 음향이 집중되도록 상기 음향을 처리하여 복수의 상기 스피커 각각에 출력음향을 할당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terminal for preventing the outflow of a call sou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A speaker unit spac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speakers for outputting sound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a control unit that processes the sound so that the sound is concentrated at a predetermined point in front of the output direction of the speaker unit and allocates an output soun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peakers.

본 발명에 따른 호핑을 이용한 통화음 유출 방지를 위한 단말기는 모바일 단말을 통해 출력되는 수화음을 빔포밍에 의해 사용자에게 전달함으로써 모바일 단말 사용자에게만 수화음이 집중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제3자에게 통화내용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The terminal for preventing the outflow of call sound using hopp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the reception sound output through the mobile terminal to the user by beamforming, so that the reception sound is concentrated only on the mobile terminal user, and the call contents to a third party through this It becomes possible to prevent this outflow.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호핑을 이용한 통화음 유출 방지를 위한 단말기는 빔포밍 대상이 되는 수화음 대역을 복수의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고, 각 주파수 대역을 호핑하여 전체 대역 또는 선택된 일부 대역에 대해 빔포밍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수화음이 집중되도록 하는 한편, 제 3자에게는 잡음으로 인식되도 하여 통화내용의 유출을 적극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addition, the terminal for preventing the outflow of ringtones using hopp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vides the reception sound band to be beamforming into a plurality of frequency bands, and hopping each frequency band to perform beamforming for the entire band or selected partial bands.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actively prevent the leakage of the contents of a call because it is perceived as noise by a third party while allowing the user to concentrate the received phonetic soun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호핑을 이용한 통화음 유출 방지를 위한 단말기는 사용자가 통화를 하는 경우 외부에서 수화음을 인식하지 못하도록 별도의 음향을 출력함으로써 제3자가 재밍 음향에 의해 통화내용을 인식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addition, the terminal for preventing the outflow of call sound using hopp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a separate sound so that the user does not recognize the received consonant sound when the user makes a call, so that a third party cannot recognize the call contents by the jamming sound. It becomes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내부 구성을 블록형태로 도시한 블록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들의 지향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음향의 주파수 대역과 출력음향의 빔포밍 및 이에 대응되는 재밍음향을 출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출력음향의 빔포밍에 따른 재밍음향의 선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in a block form.
3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directivity characteristics of speak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frequency band of sound, beamforming of an output sound, and outputting a jamming sound corresponding thereto.
5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selection of a jamming sound according to beamforming of an output sound.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m. It should be noted that the reference numbers indicated in the configuration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use the same reference numbers as much as possible when indicating the same configuration in other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a known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certain features presented in the drawings are enlarged or reduced or simplified for ease of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and their components are not necessarily drawn to scale. Howeve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understand these detail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내부 구성을 블록형태로 도시한 블록 예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in a block form.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호핑을 이용한 통화음 유출 방지를 위한 단말기는 스피커부(10), 제어부(20), 통신부(30), 저장부(40) 및 표시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and 2, a terminal for preventing the outflow of a call sound using hopp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peaker unit 10, a control unit 20, a communication unit 30, a storage unit 40, and a display unit 50. It consists of including.

스피커부(10)는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되어 단말기(1)의 본체(2)에 설치되고, 제어부(20)를 통해 전달되는 음향(이하 '원음향'라 함)인 수화음을 출력한다. 또한, 스피커부(10)는 제어부(20)로부터 전달되는 재밍음향을 출력음향과 함께 출력할 수 있다.The speaker unit 10 is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installed in the main body 2 of the terminal 1, and outputs a received sound, which is a sound (hereinafter referred to as “original sound”) transmitted through the control unit 20. In addition, the speaker unit 10 may output jamming sound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20 together with the output sound.

구체적으로, 스피커부(10)는 제어부(20)에서 원음향을 출력가능한 형태로 변환하여 전달한 출력음향을 빔포밍을 통해 사용자에게만 전달되도록 지향성 스피커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3에서는 스피커(11: 11a 내지 11c)가 세 개로 구성된 경우를 도시하곤 있지만, 스피커(11)의 수는 변경이 가능하다. 출력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11)는 빔포밍에 의해 출력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출력음향을 그대로 출력하는 스피커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스피커(11)는 지향성 스피커와 무지향성 스피커가 혼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peaker unit 10 may be configured as a directional speaker so that the output sound transmitted by converting the original sound from the control unit 20 into an outputable form is transmitted only to the user through beamforming. Here, in FIGS. 1 to 3, a case in which three speakers 11 (11a to 11c) are formed is shown, but the number of speakers 11 can be changed. The speaker 11 outputting the output sound may be composed of a speaker that outputs the output sound through beamforming and a speaker that outputs the output sound as it is. The speaker 11 may be configured by mixing a directional speaker and an omni-directional speaker.

스피커(11)는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배치되는 어레이 스피커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스피커가 일렬로 배치된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일렬로 배치되지 않을 수도 있는 것으로 제시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스피커(11)는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초점이 맞춰지도록 미리 정해진 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피커(11)는 제어부(20)로부터 전달되는 출력음향이 초점에서 합산되어 사용자에게 원래의 음향으로 전달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The speaker 11 may be composed of array speakers dispos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s shown. 1 and 2 illustrate an example in which the speakers are arranged in a lin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fact that it is suggested that the speakers may not be arranged in a line. The speaker 11 may b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angle so as to be focus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speaker 11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serves to allow the output sound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20 to be summed at the focus and transmitted to the user as the original sound.

이를 위해, 각 스피커(11)에 전달되는 출력음향은 원음향을 제어부(20)가 분할하여 각 스피커(11)별로 할당한 분할음향일 수 있다. 이러한 출력음향은 스피커(11)별로 원음향의 위상을 각 스피커별로 다르게 하거나, 음압을 원음향에 비해 낮춘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위상이나 음압은 초점 위치에서 합산되어 최대가 되게 분할된다.To this end, the output sound transmitted to each speaker 11 may be a divided sound allocated to each speaker 11 by dividing the original sound by the control unit 20. The output sound may be obtained by varying the phase of the original sound for each speaker 11 or lowering the sound pressure compared to the original sound. These phases or sound pressures are summed up at the focal position and divided to maximize.

특히, 이러한 빔포밍은 원음향의 음향 주파수 대역 중 일부 대역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어부(20)가 원음향의 음향 주파수 대역을 구분하여 복수의 대역으로 나누고, 복수의 대역 중 특정 대역에 대한 출력음향을 빔포밍 대상으로 하여 음향의 출력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In particular, such beamforming may be performed on some of the acoustic frequency bands of the original sound. That is, the control unit 20 divides the sound frequency band of the original sound into a plurality of bands, and outputs sound by using the output sound for a specific band among the plurality of bands as a beamforming target.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스피커부(10)는 원음향이 출력되는 경우 제3자가 원음향을 인지하는 것을 방해하기 위한 재밍음향을 출력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보조스피커(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보조스피커(13)는 스피커(11)와 다른 방향, 예를 들어, 제3자의 위치를 향해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스피커(11)가 표시화면이 있는 본체(2)의 전면에 배치되는 경우, 보조스피커(13)는 본체(2)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보조스피커(13)는 무지향성 스피커를 사용하여 불특정 다수의 제3자에 대해 재밍음향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지향성 스피커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When the original sound is output, the speaker unit 10 may output a jamming sound to prevent a third party from recognizing the original sound, and may include an auxiliary speaker 13 for this purpose. The auxiliary speaker 13 may be arranged in a different direction than the speaker 11, for example, toward a third person's position. For example, when the speaker 11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2 with the display screen, the auxiliary speaker 13 may be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2. The auxiliary speaker 13 may output jamming sound to an unspecified number of third parties using an omni-directional speaker, but this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implemented using a directional speaker.

제어부(20)는 통신부(30)를 통해 입력되는 원음향을 출력음향으로 변환하여 스피커부(10)의 각 스피커(11)에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는 통신부(30)를 통해 원음향이 전달되면, 원음향의 주파수를 미리 정해진 복수의 주파수 대역으로 구분한다. 그리고, 제어부(20)는 미리 정해진 알고리즘에 따라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고, 선택된 대역의 원음향을 빔포밍 알고리즘에 의해 변환한다. 이때, 제어부(20)는 선택된 대역의 원음향을 위상차를 가지는 복수의 출력음향으로 변환하거나, 음압의 차이를 가지는 출력음향으로 변환하게 된다. 이를 위해 제어부(20)는 공지된 밝기 제어, 대조 제어 및 이득차이 제어와 같은 에너지 기반 방법 또는 해인역 필터링과 같은 최소 자승법 기반 방법을 이용하여 원음향을 출력음향으로 변환하게 된다.The control unit 20 converts the original sound input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0 into an output sound and transmits the converted sound to each speaker 11 of the speaker unit 10. Specifically, when the original sound is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0, the controller 20 divides the frequency of the original sound into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frequency bands. Then, the control unit 20 selects a frequency ban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algorithm, and converts the original sound of the selected band using a beamforming algorithm.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20 converts the original sound of the selected band into a plurality of output sounds having a phase difference or converts the output sound having a difference in sound pressure. To this end, the controller 20 converts the original sound into an output sound using an energy-based method such as brightness control, contrast control, and gain difference control, or a least-squares method such as solution band filtering.

이러한, 제어부(20)는 스피커(11)를 통해 출력되는 대역 중 선택된 대역의 원음향을 빔포밍을 위해 변환하고 나머지 대역의 음향은 그대로 스피커(11)에 전달하여 출력되도록 하게 된다. The control unit 20 converts the original sound of the selected band among the bands output through the speaker 11 for beamforming, and transmits the sound of the remaining bands to the speaker 11 as it is to be output.

여기서, 제어부(20)는 선택된 대역을 시간이 경과하면 복수의 대역 중 선택되지 않은 대역으로 교체 즉, 호핑(hopping)하여 빔포밍이 이루어지는 음향 대역을 변경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20)는 수화음이 통신부(30)를 통해 전달되면, 이 수화음의 주파수 대역을 분석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20)는 분석된 주파수 대역을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복수의 대역으로 구분하게 된다. 복수의 대역으로 수화음의 주파수 대역이 구분되면 제어부(20)는 복수의 대역(M)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대역(N, 여기서 N은 2 내지 M)을 빔포밍 대역으로 선택하게 된다. Here, the control unit 20 changes the acoustic band in which the beamforming is performed by replacing the selected band with an unselected band among the plurality of bands, that is, hopping.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20 analyzes the frequency band of the sign language when the sign language is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0. In addition, the controller 20 divides the analyzed frequency band into a plurality of band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tandard. When the frequency band of the received sound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bands, the controller 20 selects any one or a plurality of bands (N, where N is 2 to M) among the plurality of bands M as the beamforming band.

여기서, 빔포밍 대상 대역의 선택은 랜덤(Random)하게 선택하여 임의 대역이 선택되도록 할 수도 있고, 복수의 대역(M)을 순차적으로 선택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의해 선택되는 대역과 동시에 선택되는 대역의 수를 가변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Here, the beamforming target band may be selected at random so that an arbitrary band may be selected, or a plurality of bands M may be sequentially selected. Alternatively, it is possible to vary the number of bands selected at the same time as the bands selected by a preset algorithm.

그리고, 제어부(20)는 선택된 대역에 대해 빔포밍 처리를 수행하여 출력음향을 생성하고, 출력음향을 각 스피커(11)에 할당하게 된다. 특히, 제어부(20)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빔포밍 대상이 되는 대역을 변경하여 출력음향을 생성하게 된다. 이때, 선택되지 않은 대역은 빔포밍 처리가 이루어지지 않은 원음향 상태로 스피커(11)에 전달되어 출력된다.Then, the controller 20 generates output sound by performing beamforming processing on the selected band, and allocates the output sound to each speaker 11. In particular, the control unit 20 generates an output sound by changing a band to be subjected to beamforming over time. At this time, the unselected band is transmitted to the speaker 11 and output in the original sound state in which the beamforming process is not performed.

이와 같이 제어부(20)는 일부 대역을 빔포밍하여 빔포밍 음향과 원음향이 함께 출력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제어부(20)는 빔포밍 음향과 원음향이 혼합되어 제3자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제3자에 수화음이 알아듣기 힘든 노이즈 형태로 전달되게 한다. 특히, 제어부(20)는 빔포밍 대상 대역을 지속적으로 변경함으로써 출력음향이 제3자에게 노이즈로 인식되도록 하는 효과를 증대시키게 된다.In this way, the controller 20 beamforms a partial band so that the beamforming sound and the original sound are output together. Through this, the control unit 20 allows the beamforming sound and the original sound to be mixed and transmitted to a third party, so that the reception sound is transmitted to the third party in a form of noise that is difficult to understand. In particular, the control unit 20 increases the effect of allowing the output sound to be recognized as noise by a third party by continuously changing the target band for beamforming.

한편, 제어부(20)는 원음향과는 별도의 재밍음향을 선택하여 보조스피커(13)에 공급할 수 있다. 이 재밍음향은 음악, 효과음과 같이 원음향 또는 수화음의 내용과는 상관없는 음향으로 저장부(20)에 미리 저장된다. 여기서, 재밍음향은 미리 정해진 알고리즘에 따라 즉석으로 생성되는 음으로 원음향과 연관성이 없는 음향일 수 있다. 다만, 즉석으로 생성되는 음을 재밍음향으로 이용하는 경우 제어부(20)를 비롯한 장치의 부하부담이 증가할 수 있다. 하지만,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재밍음향이 미리 저장된 복수의 음향 중 제어부(20)에 의해 선택되어 출력되는 음향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을 진행하기로 한다. 제어부(20)는 출력음향이 스피커(11)를 통해 출력되는 동안 선택된 재밍음향을 보조스피커(13)를 통해 출력하도록 스피커(11)에 전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3자는 주로 재밍음향을 듣게 되어 원음향에 집중하지 못하게 되고, 원음향을 듣더라도 빔포밍 처리된 음향이 혼합된 출력음향을 듣게 되어 통화내용의 인식이 곤란해지게 된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20 may select a jamming sound separate from the original sound and supply it to the auxiliary speaker 13. The jamming sound is pre-stored in the storage unit 20 as a sound irrelevant to the contents of the original sound or the received sound, such as music and effect sound. Here, the jamming sound is a sound that is instantaneously generat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algorithm, and may be a sound that is not related to the original sound. However, when the instantaneously generated sound is used as the jamming sound, the load burden of the device including the control unit 20 may increase. However, this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the jamming sound is a sound selected and output by the control unit 20 among a plurality of pre-stored sounds. To The controller 20 may transmit the selected jamming sound to the speaker 11 to be output through the auxiliary speaker 13 while the output sound is output through the speaker 11. Through this, the third party mainly listens to the jamming sound and thus cannot concentrate on the original sound, and even when listening to the original sound, the third party hears the output sound mixed with the beamformed sound, making it difficult to recognize the call contents.

특히, 제어부(20)는 원음향의 주파수 대역을 분석하여 이에 대응되는 재밍음향을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20)는 원음향 중 빔포밍 처리가 이루어지는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여 이에 대응되는 재밍음향을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도 4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In particular, the controller 20 may analyze a frequency band of the original sound and select a jamming sound corresponding thereto. Alternatively, the controller 20 may select a jamming sound corresponding to the frequency band in which the beamforming process is performed among the original sound.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 4.

통신부(30)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과 통신채널을 형성하여, 원음향을 제어부(20)에 전달한다.The communication unit 30 forms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a base st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transmits the original sound to the control unit 20.

저장부(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출력음향의 생성을 위한 알고리즘이 적용되는 프로그램과 재밍음향이 저장된다. 저장부(40)는 재밍음향이 다수 저장되고, 이 중 어느 하나가 제어부(20)에 의해 선택되어 보조스피커(13)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40 stores a program to which an algorithm for generating an output sound is applied and a jamming sound as described above. The storage unit 40 stores a plurality of jamming sounds, and any one of them may be selected by the controller 20 and output through the auxiliary speaker 13.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제어부(20)가 스피커(11)와 보조스피커(13)에 직접적으로 음향을 전달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 구성에서는 음향을 변환하는 구성이 추가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을 제어부(20)에 포함시킨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Her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hown that the control unit 20 directly transmits sound to the speaker 11 and the auxiliary speaker 13, but in the actual configuration, a configuration for converting sound may be added. It can be understood that it is included in (20).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들의 지향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3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directivity characteristics of speak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화음 유출 방지를 위한 단말기는 복수로 구성되는 스피커(11)와 보조스피커(13)가 마련된다. 이러한 스피커(11)는 출력음향을 출력함에 있어서, 출력음향에 빔포밍 특성을 부여하여 사용자 외의 제3자가 음향의 내용을 청취하지 못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스피커(11)는 지향성을 가지는 스피커로 구성될 수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일부 스피커는 무지향성 스피커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3, as described above, the terminal for preventing the outflow of a call sou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peaker 11 and an auxiliary speaker 13 configured in plural. In outputting the output sound, the speaker 11 is configured to provide a beamforming characteristic to the output sound so that a third party other than the user cannot hear the contents of the sound. To this end, the speaker 11 may be configured as a speaker having directivity, but as described above, some speakers may be configured as an omnidirectional speaker.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11)의 지향특성이 향상되도록 복수로 구성하고, 이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배치한 어레이 스피커를 이용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제시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시된 어레이 스피커 외에도 초음파 스피커나 음향을 반사하는 돔을 구비하는 스피커를 이용할 수도 있다. 특히, 어레이 스피커에 지향성 스피커를 사용하는 경우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바를 실현하는 데에 있어서 더 효과적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어레이스피커로 스피커(11)가 구성된 경우의 예를 위주로 설명을 진행하기로 한다.To this end, in the present invention, an example in which the speaker 11 outputting sound is configured in plural to improve the directivity characteristics, and an array speaker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s shown, but this is present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is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array speaker presented, an ultrasonic speaker or a speaker having a dome reflecting sound may be used. In particular, when a directional speaker is used for an array speaker, it may be more effective in realiz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mainly made based on an example in which the speaker 11 is configured as an array speaker.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피커(11: 11a 내지 11c)는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단말기 본체(2)의 전면(front side)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스피커들(11)은 미리 정해진 포인트(P)에 대한 지향성을 가지도록 배치되며, 이를 향상시키기 위해 전방에 대한 지향성을 가지는 스피커들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can be seen in FIG. 3, the speakers 11 (11a to 11c)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terminal body 2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se speakers 11 are arranged to have directivity toward a predetermined point P, and may be configured using speakers having directivity toward the front to improve this.

이러한, 스피커(11)는 포인트(P)에서 출력음향의 위상이 일치 또는 취합되어 원래 출력하고자 했던 음향으로 복원되거나, 포인트(P)에서 최대의 음압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speaker 11 may be restored to a sound originally intended to be output by matching or collecting the phases of the output sound at the point P, or may be arranged to have a maximum sound pressure at the point P.

이 스피커들(11)이 이 지향성 스피커로만 구성되는 경우 각 스피커(11a 내지 11c)의 지향로브(r: r1 내지 r3)은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피커(11)와 포인트(P)를 잇는 가상의 선을 따라 길죽한 타원형의 형상을 가지게 된다. 반면, 무지향성 스피커를 이용하는 경우 포인트(P)를 포함하는 원 형태의 지향로브가 그려지게 된다.When the speakers 11 are composed of only these directional speakers, the directional lobes (r: r1 to r3) of each speaker 11a to 11c are virtual lines connecting the speaker 11 and the point P as shown. It has an elongated oval shape along the line. On the other hand, when an omni-directional speaker is used, a directional lobe in a circular shape including the point P is drawn.

즉, 지향로브(r)의 중첩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귀 안쪽에 해당하는 포인트(P)에서 위상이 합쳐져 음향의 위상값이 최대가 되거나, 음압이 최대가 됨으로써 외부로 유출되는 음향이 적어지게 된다. In other words, as can be seen through the overlapping of the directional lobes (r), the phases are combined at the point (P) corresponding to the inside of the user's ear to maximize the phase value of the sound, or the sound that is leaked to the outside due to the maximum sound pressure. This will be less.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빔포밍을 복수의 대역으로 구분되는 빔포밍 대상 대역 중 선택되는 일부 대역에 대해 수행하여, 이러한 효과를 증대시키게 된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20)는 원음향이 전달되면, 이 중 수화음이 주로 분포하는 대역을 빔포밍 대상 대역으로 설정하고, 빔포밍 대상이 되는 대역을 복수의 대역으로 구분하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such beamforming is performed on some bands selected from among the target bands for beamforming divided into a plurality of bands, thereby enhancing this effect. Specifically, as described above, when the original sound is transmitted, the control unit 20 sets a band in which the reception sound is mainly distributed as a beamforming target band, and divides the band to be beamforming into a plurality of bands.

그리고, 제어부(20)는 복수의 대역 중 빔포밍 처리를 통해 출력할 대역과 수화음을 원음향 그대로 출력할 대역을 선택하게 된다. 선택이 이루어지면 제어부(20)는 선택된 대역의 원음향에 대해서는 빔포밍처리를 수행하여, 나머지 대역의 원음향은 빔포밍처리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 각 스피커(11)에 할당되는 출력음향을 생성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0 selects a band to be output through the beamforming process among the plurality of bands and a band to output the received sound as it is. When the selection is made, the controller 20 performs beamforming processing for the original sound in the selected band, and generates output sound allocated to each speaker 11 without beamforming processing for the original sound in the remaining bands. do.

이러한 방식에 의한 대역 변경은 미리 정해진 조건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는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대역의 변경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수화음이 일시적으로 끊기는 순간, 수화음이 주로 분포하는 대역이 변경되는 순간과 같이 특정 조건이 충족되는 순간에 빔포밍 대역을 다른 대역으로 변경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복수의 대역을 짧은 시간 간격 예를 들어, 1초에 수회 이상 변경하도록 하는 것이 수화음의 유출을 방지하는데에 있어서 유리할 수 있다.The band change in this manner may be performed under predetermined conditions.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20 may change the band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lternatively, it is also possible to change the beamforming band to another band at a moment when a specific condition is satisfied, such as a moment when a received signal is temporarily cut off or a band in which a reception sound is mainly distributed is changed. However, changing the plurality of bands at short time intervals, for example, several times per second or more, may be advantageous in preventing the outflow of the received speech.

이를 위해 제어부(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빔포밍 대상 대역을 구분한 복수의 대역을 난수적으로 선택하여 하나 이상의 대역을 빔포밍 대상으로 선택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대역에 순서를 부과하여 순서대로 빔포밍 대역을 변경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미리 정해진 알고리즘에 따라 빔포밍이 이루어질 대역의 수와 대상 대역을 선택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례로, 제어부(20)가 미리 정해진 알고리즘에 따라 패턴을 생성하고, 패턴에 따라 특정 대역을 빔포밍 대상으로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는 패턴을 생성하는 알고리즘에 의해 홀수번째 대역을 순차적 또는 난수적으로 선택하는 패턴, 짝수번째 대역을 순차적 또는 난수적으로 선택하는 패턴, 특정 수의 배수에 대응되는 대역을 선택하는 패턴과 같이 대역을 선택하는 패턴을 생성하고, 이에 따른 빔포밍 대역 선택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알고리즘은 특정 대역을 빔포밍 대역으로 유지하는 시간, 분할되는 대역의 수, 대역의 폭 같은 다양한 조건을 가변하여 호핑을 위한 패턴을 산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3자가 분석장치를 이용하더라도 빔포밍이 이루어지는 대역을 파악하는 것이 곤란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To this end,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20 may randomly select a plurality of bands for dividing the beamforming target band and select one or more bands as the beamforming target. Alternatively, the beamforming bands may be changed in order by imposing an order on a plurality of bands. Alternatively, it is possible to select the number of bands in which beamforming is to be performed and a target ban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algorithm. For example, the controller 20 may generate a patter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algorithm, and select a specific band as a beamforming target according to the pattern.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20 selects a pattern for sequentially or randomly selecting an odd-numbered band, a pattern for sequentially or randomly selecting an even-numbered band, and a band corresponding to a multiple of a specific number by an algorithm for generating a pattern. Like the selected pattern, a pattern for selecting a band may be generated, and a beamforming band may be selected accordingly. Such an algorithm can calculate a pattern for hopping by varying various conditions such as a time for maintaining a specific band as a beamforming band, the number of divided bands, and a width of the band. Through this, even if a third party uses the analysis device, it is possible to make it difficult to grasp the band in which beamforming is performed.

이러한 출력음향은 빔포밍된 원음향과, 빔포밍 처리가 되지 않은 원음향이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즉, 스피커(11)들 각각이 빔포밍된 원음향과 빔포밍 처리가 되지 않은 원음향이 혼합된 출력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The output sound may be a mixture of a beamformed original sound and a non-beamformed original sound. That is, each of the speakers 11 may output an output sound in which the original sound beamformed and the original sound that has not been beamformed are mixed.

이와 달리 출력음향이 빔포밍된 원음향에 의해 생성되는 출력음향과 빔포밍 처리가 되지 않은 원음향에 의해 생성되는 출력음향으로 구분되는 경우 스피커(11) 중 일부는 빔포밍된 출력음향을 출력하고, 나머지 스피커(11)는 빔포밍되지 않은 출력음향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In contrast, when the output sound is divided into the output sound generated by the beamformed original sound and the output sound generated by the original sound without beamforming, some of the speakers 11 output the beamformed output sound. , The remaining speaker 11 may output an output sound that is not beamformed.

이와 같이 빔포밍된 출력음향과 빔포밍되지 않음 출력음향이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경우 빔포밍되지 않은 출력음향의 에너지와 빔포밍된 출력음향의 에너지가 차이를 가지게 될 수 있다.When the beamformed output sound and the non-beamformed output sound are transmitted to the user, the energy of the non-beamformed output sound and the energy of the beamformed output sound may have a difference.

즉, 빔포밍이 이루어진 대역의 소리만 크게 들리고, 나머지 대역의 소리는 작게 들리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때문에, 제어부(20)는 빔포밍 처리된 출력음향의 출력과 빔포밍되지 않은 출력음향의 출력을 조절하여 빔포밍 처리된 대역의 음향과 다른 대역의 음향이 같은 에너지 레벨로 사용자에게 전달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원음향 중 일부음향만 크거나 선명하게 들리는 통화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at is, only the sound of the band in which the beamforming is formed is loud, and the sound of the remaining band is small. Therefore, the control unit 20 can adjust the output of the beamformed output sound and the output of the non-beamformed output sound so that the sound of the beamformed band and the sound of another band are transmitted to the user at the same energy level. have.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deterioration of the call quality in which only some of the original sounds are loud or clear.

이를 위해, 제어부(20)는 빔포밍 처리된 출력음향의 출력을 낮추거나, 빔포밍되지 않은 출력음향의 출력을 높임으로써 출력음향의 에너지 레벨을 조절하게 된다.To this end, the controller 20 adjusts the energy level of the output sound by lowering the output of the beamformed output sound or increasing the output of the non-beamformed output sound.

이러한 출력음향의 에너지 레벨을 조절하는 경우 제3자의 위치에 전달되는 음향의 에너지 레벨이 불균일해지기 때문에 제3자가 원음향의 내용을 인식하기 어려워지게 된다.When the energy level of the output sound is adjusted, the energy level of the sound transmitted to the location of the third party becomes non-uniform, making it difficult for a third party to recognize the contents of the original sound.

한편, 도 3에서와 같이 보조스피커(13)가 마련되어 재밍음향이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재밍음향은 불특정 다수를 상대로 공간으로 재밍음향을 전파해야 하기 때문에, 보조스피커(13)는 무지향 특성을 가지는 스피커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보조스피커(13)에 의한 재밍음향 출력의 효율을 고려하여 지향성 스피커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보조스피커(13)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지향성 스피커와 무지향성 스피커를 혼합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Meanwhile, as shown in FIG. 3, an auxiliary speaker 13 may be provided to output jamming sound. Since such jamming sound must propagate jamming sound to a space for an unspecified number, the auxiliary speaker 13 may be configured using a speaker having omni-directional characteristics. However, it may be configured using a directional speaker in consideration of the efficiency of outputting the jamming sound by the auxiliary speaker 13. In addition, a plurality of auxiliary speakers 13 may be formed, and in this case, a directional speaker and an omni-directional speaker may be mixed and configured.

도 4는 음향의 주파수 대역과 출력음향의 빔포밍 및 이에 대응되는 재밍음향을 출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출력음향의 빔포밍에 따른 재밍음향의 선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4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frequency band of sound, beamforming of an output sound, and outputting a jamming sound corresponding thereto. 5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selection of a jamming sound according to beamforming of an output sound.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단말기는 원음향을 출력음향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출력음향을 각 스피커(11)에 분배하여 출력한다. 이 과정에서 단말기의 제어부(20)는 원음향의 일부 대역을 빔포밍 처리하여 원음향과 빔포밍 된 음향이 혼합된 출력음향을 생성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4, th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converts original sound into output sound, and distributes the converted output sound to each speaker 11 and outputs the converted sound. In this process, the control unit 20 of the terminal generates an output sound in which the original sound and the beam-formed sound are mixed by beamforming a partial band of the original sound.

특히, 단말기의 제어부(20)는 원음향이 입력되면 원음향의 주파수 대역(A1-D1)을 확인하고, 이를 복수의 주파수 대역(A 내지 D)로 구분한다. 그리고, 이 복수의 주파수 대역(A 내지 D) 중 어느 하나(A)를 선택하게 된다. 도 4에서는 A 대역 하나가 선택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여러 대역을 선택할 수 있는 것으로 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제어부(20)는 선택된 대역의 원음향을 빔포밍 처리하고 나머지 대역(B, C, D)는 원음향인 출력음향을 생성하여 스피커(11)에 공급하게 된다.Particularly, when the original sound is input, the control unit 20 of the terminal checks the frequency bands A1-D1 of the original sound and divides it into a plurality of frequency bands A to D. Then, any one (A) of the plurality of frequency bands (A to D) is selected. In FIG. 4, a case in which one band A is selected is shown, but it is suggested that several bands can be selected,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n, the control unit 20 beamforming the original sound of the selected band, and the remaining bands B, C, and D generate output sound that is the original sound and supply it to the speaker 11.

이와 같이 빔포밍을 수행하는 과정은 많은 양의 연산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러한 연산은 필연적으로 많은 전력을 소모하게 되고, 다른 기능의 수행에 제약을 가져올 수 있는 이유가 된다. 원음향의 주파수 대역 전부를 복수의 주파수 대역으로 구분할 수도 있지만, 효과적인 보안 유지와 단말기 성능의 소모를 저감하기 위해 원음향의 음향이 주로 분포하는 대역을 빔포밍 대상으로 한정할 수 있다.The process of performing beamforming in this way requires a large amount of computation. Such an operation inevitably consumes a lot of power, and is a reason for limiting the execution of other functions. All of the frequency bands of the original sound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frequency bands, but in order to maintain effective security and reduce consumption of terminal performance, a band in which the sound of the original sound is mainly distributed may be limited as a beamforming target.

도면에서 f1 내지 f2의 주파수 범위는 가청주파수의 범위 또는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해 전달되는 수화음의 출력 주파수 범위를 나타낸다. 이 중, 사람의 대화에 사용되는 주파수는 출력 주파수 범위의 일부 영역에 국한된다. 때문에, 출력주파수 범위의 일부 영역인 A1 내지 D1 구간의 주파수에 해당하는 음향만을 대상으로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A1과 D1의 주파수 값은 미리 저장부(4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수화음이 주로 분포하는 주파수 대역만 빔포밍을 수행함으로써 불필요한 대역을 빔포밍 처리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단말기 성능의 과도한 소모는 방지하면서도 효과적인 보안 처리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In the drawing, the frequency range f1 to f2 indicates the range of the audible frequency or the range of the output frequency of the received sound transmitte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mong them, the frequency used for human conversation is limited to a part of the output frequency rang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erform conversion for only the sound corresponding to the frequency of the section A1 to D1, which is a partial region of the output frequency range. To this end, the frequency values of A1 and D1 may be previously stored in the storage unit 40. As a result, by performing beamforming only in a frequency band in which the received sound is mainly distributed, it is possible to perform effective security processing while preventing excessive consumption of terminal performance that may occur by beamforming an unnecessary band.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음향의 음원 분포가 나타나면, A1 내지 D1의 주파수 구간을 빔포밍 대상 구간으로 선정하고, 이 구간을 복수의 주파수 대역으로 구분하여 선택된 대역에 대해 빔포밍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When the sound source distribution of the original sound appears as shown in FIG. 4, a frequency section of A1 to D1 is selected as a beamforming target section, and the section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frequency bands to perform beamforming processing for the selected band. do.

그리고, 시간이 경과하면 제어부(20)는 나머지 B, C, D 구간 중 다른 대역을 선택하여, 빔포밍을 수행한다. 마찬가지로, 새로 대역이 선택되면, 이전에 빔포밍이 이루어진 대역은 원음향 그대로 출력하고, 새로 선택된 대역을 빔포밍하여 출력음향으로 출력하게 된다.Then, when time elapses, the controller 20 selects another band among the remaining sections B, C, and D to perform beamforming. Likewise, when a new band is selected, the previously beamformed band is output as it is, and the newly selected band is beamformed to output the output sound.

이러한 대역의 이동은 통화가 진행되는 동안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며, 대역의 변경이 이루어지는 주기는 미리 정해진 주기에 따라 이루어질 수도 있고, 변경주기를 난수적으로 결정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는 통화 중 일시적으로 대화가 중단되는 시점마다 대역을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movement of the band is continuously performed while a call is in progress, and the period in which the band is changed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eriod, or may be performed by randomly determining the change period. Alternatively,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band whenever the conversation is temporarily stopped during a call.

제어부(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보조스피커(13)를 이용하여 재밍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출력주파수 범위에 대응되는 재밍음향을 출력할 수 있으나, 이 경우 불필요한 주파수 대역의 음향이 출력될 수 있다. 즉, 다른 주파수 범위의 음향을 출력하는 것에 비해 유출을 방지하고자 하는 대역의 음향과 같은 주파수 범위의 재밍음향을 출력하는 것이 제3자가 음향을 인지하지 못하도록 하는데에 있어 효과적이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20 may output a jamming sound using the auxiliary speaker 13. In this case, a jamming sound corresponding to the output frequency range may be output, but in this case, an unnecessary frequency band sound may be output. That is, compared to outputting sounds in other frequency ranges, outputting jamming sounds in the same frequency range as the sound in the band to be prevented from leaking is effective in preventing a third party from recognizing the sound.

때문에, 제어부(20)는 재밍음향의 주파수 대역이 빔포밍 대상이 되는 대역(A1 내지 D1)의 주파수와 유사한 또는 이를 주로 포함하는 재밍음향을 선택하여 보조스피커(13)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특히, 재밍음향이 복수로 저장되는 경우 이러한 빔포밍 대상 영역의 주파수 대역의 음향이 주를 이루는 재밍음향을 선택하여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출력음향과 재밍음향의 주파수 대역이 겹치도록 함으로써 출력음향을 제3자가 인식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the control unit 20 may select a jamming sound in which the frequency band of the jamming sound is similar to or mainly include the frequency of the bands A1 to D1 to be beamforming, and output through the auxiliary speaker 13. In particular, when a plurality of jamming sounds are stored, a jamming sound in which the sound in the frequency band of the target region for beamforming is mainly selected and output may be performed. Through this, the frequency bands of the output sound and the jamming sound are overlapped, so that a third person cannot recognize the output sound.

한편, 도 5는 재밍음향의 다른 출력예를 도시한 것이다.Meanwhile, FIG. 5 shows another example of output of jamming sound.

도 5를 참조하면, 출력되는 재밍음향의 선택을 빔포밍이 이루어지는 대역을 고려하여 선정함으로써 좀 더 효과적으로 음향의 유출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지다. Referring to FIG. 5, by selecting the output jamming sound in consideration of a band in which beamforming is performed,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prevent the outflow of sound.

전술한 도 4에서는 빔포밍 대상 대역(A1 내지 D1)을 모두 포함하는 음향을 재밍음향으로 선택하여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한 바 있다. 그러나, 출력음향은 빔포밍 대상 대역(A1 내지 D1) 중 일부 대역(A1 내지 A2)에 대한 빔포밍이 이루어진 음향을 포함하게 된다. 때문에 빔포밍 처리가 된 일부 대역(A1 내지 A2)외의 다른 대역 즉 빔포밍이 이루어지지 않은 대역(A2 내지 D1)은 제3자가 청취할 경우 일부 내용을 인식할 수도 있다. 이러한 유출을 재밍음향에 의해 집중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In FIG. 4 described above, a method of selecting and outputting a sound including all of the beamforming target bands A1 to D1 as a jamming sound has been described. However, the output sound includes sound in which beamforming has been performed for some of the bands A1 to D1 to be beamformed (A1 to A2). Therefore, when a third party listens to other bands other than some of the beamforming-processed bands A1 to A2, that is, the non-beamforming bands A2 to D1, some contents may be recognized. It is possible to intensively prevent such leakage by jamming sound.

도 5에서와 같이 A대역(A1 내지 A2)의 음향이 빔포밍 되는 경우 B 내지 D의 대역(A2 내지 D1)의 영역은 빔포밍되지 않고 원음향 그대로 출력된다. 이때, 재밍음향을 A2 내지 D1의 주파수 대역이 주를 이루는 음향을 선택하여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빔포밍이 이루어진 A대역의 주파수 포함여부에 무관하게, 재밍음향의 주파수 대역이 B, C, D 영역의 주파수를 주로 포함하는 경우 이를 재밍음향으로 선택하여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when the sound of the band A (A1 to A2) is beamformed, the region of the band B to D (A2 to D1) is not beamformed, and the original sound is output as it is. In this case, the jamming sound may be output by selecting a sound whose frequency bands A2 to D1 dominate. That is, irrespective of whether or not the frequency of the band A in which the beamforming is performed, when the frequency band of the jamming sound mainly includes the frequencies of the regions B, C, and D, the jamming sound may be selected and output.

예를 들어, C 대역( B1 내지 C1)이 선택되어 빔포밍이 이루어지는 경우 재밍음향은 A, B 및 D 대역의 주파수를 모두 포함하는 음향이거나, A, B와 같이 더 넓은 대역의 주파수를 포함하는 음향을 재밍음향으로 선택하여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C band (B1 to C1) is selected and beamforming is performed, the jamming sound is a sound that includes all the frequencies of the A, B, and D bands, or includes the frequencies of a wider band such as A and B. The sound can be selected and output as a jamming sound.

이를 통해 빔포밍이 이루어지는 대역외의 나머지 대역은 재밍음향에 의해 통화음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utflow of the call sound by the jamming sound in the remaining bands outside the band in which the beamforming is perform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려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Although shown and described as a specific example to illustrat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am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s the specific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out in Therefore, such modifications should be regarded as belongi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1: 단말기 2: 본체
3: 표시부 4: 마이크
11: 스피커 10: 스피커부
13: 보조스피커 20: 제어부
30: 통신부 40: 저장부
50: 표시부
1: terminal 2: main body
3: display 4: microphone
11: speaker 10: speaker unit
13: auxiliary speaker 20: control unit
30: communication unit 40: storage unit
50: display

Claims (6)

통신부;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음향을 출력하는 복수의 스피커를 구비하는 스피커부; 및
상기 스피커부의 출력방향 전방의 미리 지정된 지점에 상기 음향이 집중되도록 상기 음향을 처리하여 복수의 상기 스피커 각각에 출력음향을 할당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상기 출력음향의 음향 대역을 복수의 대역으로 구분하여 복수의 상기 대역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대역의 상기 출력음향을 빔포밍하여 출력하고 나머지 다른 대역의 상기 출력음향은 원음향으로 출력하며, 상기 출력음향을 빔포밍하여 출력할 대역을 호핑시켜 시간의 경과에 따라 다른 대역으로 변경하며,
상기 스피커부는
복수의 상기 스피커와 출력방향이 다른 보조스피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출력음향을 타인이 듣지 못하도록 상기 보조스피커를 통해 재밍음향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음 유출 방지를 위한 단말기.
Communication department;
A speaker unit spac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speakers for outputting sound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And a control unit that processes the sound so that the sound is concentrated at a predetermined point in front of the output direction of the speaker unit and assigns an output soun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peakers,
The control unit
The sound band of the output sound output through the plurality of speakers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bands, and the output sound of one or more bands select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bands is beamformed and output, and the output sound of the other bands is original. It outputs as sound, and beamforming the output sound to hopping the band to be outputted to change to another band over time,
The speaker unit
A terminal for preventing the leakage of a call sound, further comprising an auxiliary speaker having an output direction different from that of the plurality of speakers, wherein a jamming sound is output through the auxiliary speaker so that others cannot hear the output sound output through the speaker.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 이상의 대역의 상기 출력음향은
복수의 상기 스피커별로 다른 위상을 가지거나, 음압이 조절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음 유출 방지를 위한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output sound of any one or more bands is
Terminal for preventing the outflow of a call sound,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speakers have different phases or sound pressure is adjust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빔포밍된 출력음향과 나머지 대역의 출력음향의 출력을 서로 다르게 조절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음 유출 방지를 위한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A terminal for preventing the outflow of a call sound,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put of the beamformed output sound and the output sound of the remaining bands are differently adjusted and output.
KR1020180088681A 2018-07-30 2018-07-30 Mobile for preventing leakage of call contents using hopping KR1021683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681A KR102168355B1 (en) 2018-07-30 2018-07-30 Mobile for preventing leakage of call contents using hopp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681A KR102168355B1 (en) 2018-07-30 2018-07-30 Mobile for preventing leakage of call contents using hopp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3460A KR20200013460A (en) 2020-02-07
KR102168355B1 true KR102168355B1 (en) 2020-10-22

Family

ID=69570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8681A KR102168355B1 (en) 2018-07-30 2018-07-30 Mobile for preventing leakage of call contents using hopp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8355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21428A1 (en) * 2001-07-30 2003-01-30 Kazutaka Abe Sound reproduction device
KR100878110B1 (en) 2007-08-08 2009-01-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An installation for directional speaker of mobil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2736B1 (en) 2005-07-05 2006-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leakage audio of call in communication terminal
KR100858283B1 (en) * 2007-01-09 2008-09-17 최현준 Sound masking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eavesdropping
KR100919642B1 (en) * 2007-12-17 2009-09-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Directive Speaker and mobile station thereof
KR101564288B1 (en) * 2009-05-12 2015-10-3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Apparatus for implementing multiple speaker in terminal and its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21428A1 (en) * 2001-07-30 2003-01-30 Kazutaka Abe Sound reproduction device
KR100878110B1 (en) 2007-08-08 2009-01-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An installation for directional speaker of mobi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3460A (en) 2020-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90129B2 (en) Acoustic device
US9794677B2 (en) Headphone
US10269369B2 (en) System and method of noise reduction for a mobile device
US8300801B2 (en) System and method for telephone based noise cancellation
US8194871B2 (en) System and method for call privacy
US9794676B2 (en) Headphone
US8538492B2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lized noise cancellation
KR100919642B1 (en) Directive Speaker and mobile station thereof
CN104661152B (en) Spatial filter bank for hearing system
CN105493177B (en) System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audio processing
US10735870B2 (en) Hearing assistance system
US20070055513A1 (en) Method, medium, and system masking audio signals using voice formant information
US20090023479A1 (en) Method and system for routing phone call audio through handset or headset
US20180206055A1 (en) Techniques for generating multiple auditory scenes via highly directional loudspeakers
US9532736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a tinnitus relief application
US9615179B2 (en) Hearing assistance
US8170229B2 (en) Audio privacy apparatus and method
KR102168355B1 (en) Mobile for preventing leakage of call contents using hopping
US20220408200A1 (en) Generating an audio signal from multiple inputs
US20110105034A1 (en) Active voice cancellation system
US10638240B2 (en) Bone conduction wave generation device, bone conduction wave generation method, bone conduction wave generation device program, and bone conduction wave output apparatus
JP2009218764A (en) Hearing aid
KR102100287B1 (en) Mobile for preventing leakage of call contents
JP5707871B2 (en) Voice communication device and mobile phone
CN107153796B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