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7588B1 - Video producing service device based on contents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user equipments, video producing method based on contents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user equipment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for - Google Patents

Video producing service device based on contents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user equipments, video producing method based on contents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user equipment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7588B1
KR102167588B1 KR1020140010404A KR20140010404A KR102167588B1 KR 102167588 B1 KR102167588 B1 KR 102167588B1 KR 1020140010404 A KR1020140010404 A KR 1020140010404A KR 20140010404 A KR20140010404 A KR 20140010404A KR 102167588 B1 KR102167588 B1 KR 102167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device
video
personal content
template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04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90351A (en
Inventor
전혁준
신형철
전병기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십일번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십일번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0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7588B1/en
Priority to PCT/KR2014/010557 priority patent/WO2015115720A1/en
Publication of KR20150090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035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7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75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사용자 장치를 기반으로 동영상을 생성하는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 개인 컨텐츠에 기반하여 동영상을 생성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개시한다. 즉, 본 발명은 복수의 사용자 장치를 사용하여 템플릿에 각각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개인 컨텐츠를 획득하여 복수의 사용자 장치가 동영상을 공유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획득한 개인 컨텐츠가 포함된 동영상을 생성함에 있어 각 템플릿에 매핑된 개인 컨텐츠를 결합하기 위한 영역의 위치 정보 및 크기 정보를 고려하여 복수의 사용자 장치가 각각의 개인 컨텐츠를 매핑함으로써 개인 컨텐츠를 자연스럽게 매핑할 수 있다. 또한 개인 컨텐츠를 기반으로 생성된 동영상이 미리 설정된 시간에 삭제됨으로써 동영상에 포함된 개인 정보를 보호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content creation service device for generating a moving picture based on a plurality of user devices, a method for generating a moving picture based on personal contents, and a recording medium in which a computer program is recorded.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user devices may share a video by acquiring personal content from each user device in a template using a plurality of user devices. When creating a video including personal content acquired from a plurality of user devices, a plurality of user devices map each personal content in consideration of location information and size information of an area for combining personal content mapped to each template. Personal content can be mapped naturally. In addition, a video generated based on personal content is deleted at a preset time, thereby protecting persona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video.

Description

복수의 사용자 장치를 기반으로 동영상을 생성하는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 복수의 사용자 장치를 기반으로 동영상을 생성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Video producing service device based on contents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user equipments, video producing method based on contents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user equipment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for}A content creation service device that generates a video based on a plurality of user devices, a method of creating a video based on a plurality of user devices, and a recording medium in which a computer program is recorded. equipments, video producing method based on contents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user equipment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for}

본 발명은 복수의 사용자 장치를 기반으로 동영상을 생성하는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 복수의 사용자 장치를 기반으로 동영상을 생성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사용자 장치에서 획득된 개인 컨텐츠와 선택된 템플릿을 기반으로 동영상을 생성하는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 동영상 생성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 creation service device for generating a moving picture based on a plurality of user devices, a method for generating a moving picture based on a plurality of user devices, and a recording medium in which a computer program is recorded, and in particular, obtained from a plurality of user device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 generation service device that generates a video based on the personal content and a selected template, a video generation method, and a recording medium in which a computer program is recorded.

참여와 개방, 공유, 개인화 등으로 특징지어지는 웹의 패러다임이 등장하면서 개인들이 제작한 컨텐츠들이 인터넷 상으로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웹 페러다임은 과거에는 미디어를 중심으로 제공되는 컨텐츠들을 수동적으로 향유했던 네티즌들이 직접 컨텐츠를 제작하고 소비하도록 변화시키고 있다. 개인에 의해 생성되는 컨텐츠 또한 텍스트에서 이미지로, 이미지에서 동영상으로 점차 변화되고 있다. 사용자 장치(고사양의 PC, 디지털 카메라, 스마트폰)의 발달 또한 개인적인 컨텐츠를 제작하는 네티즌들을 확산시키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With the emergence of the web paradigm characterized by participation, openness, sharing, and personalization, contents created by individuals are being widely distributed on the Internet. This web paradigm is changing so that in the past, netizens who passively enjoyed content provided centering on media can directly create and consume content. Contents created by individuals are also gradually changing from text to image and from image to video. The development of user devices (high-end PCs, digital cameras, smartphones) is also helping to spread netizens who create personal contents.

이뿐만 아니라 네티즌들이 개인적인 컨텐츠를 보다 쉽게 생산하도록 하기 위한 툴(tool) 역시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컨텐츠 생성툴들은 과거 어렵게 홈페이지를 만들거나 컨텐츠를 생성하고 업로드하기 위해 프로그램 기술을 익혀야 하는 어려움이 없이도 쉽게 컨텐츠를 제작하고 컨텐츠를 웹 상에 업로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개인 제작 컨텐츠를 사용하고자 하는 요구는 SNS(social network service)와 같은 어플리케이션의 진화 형태도 변화시키고 있다.In addition, tools to make it easier for netizens to produce personal content are also increasing. These content creation tools make it possible to easily create content and upload content on the web without the difficulty of creating a homepage or learning programming techniques to create and upload content in the past. The demand to use such personalized content is also changing the evolution of applications such as social network service (SNS).

소셜 미디어는 기존의 신문 및 방송으로 대변되는 매스미디어에 대비되는 개념으로 일반인들이 주도하는 개방적이며 양방향 소통이 가능한 매체로서, 자신의 생각, 경험, 정보 등을 생산·확산 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개방된 플랫폼(블로그, 유튜브)과 관계를 형성하는 SNS를 의미한다. 소셜 미디어의 카테고리 중 SNS란 기존부터 존재해오던 사회적 관계를 온라인 상에 구현함으로써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 보다 활발한 인적 네트워크 형성을 지원하는 온라인 인맥 구축 서비스이다Social media is an open platform that is used to produce and spread one's own thoughts, experiences, and information as an open and interactive medium led by the general public as a concept in contrast to mass media represented by traditional newspapers and broadcasting. (Blog, YouTube) refers to social media that form a relationship. Among the social media categories, SNS is an online social networking service that supports the formation of a more active human network that transcends time and space by implementing social relationships that have existed online.

스마트폰의 사용자들은 SNS를 통해 다른 스마트폰의 사용자와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다. 이때, 스마트폰의 사용자들은 SNS 어플리케이션에서 개인적인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텍스트뿐만이 아니라 다양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사용해 자신이 전송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좀 더 명확하고 풍요롭게 표현하고자 하는 욕구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사용자들의 개인적인 표현 욕구를 충족시키고 커뮤니케이션을 더욱 풍요롭게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다.Smartphone users can communicate with other smartphone users through SNS. At this time, smartphone users have a desire to express the message they want to transmit more clearly and abundantly by using not only text but also various multimedia information in order to transmit personal messages in SNS applications. Accordingly, there is an increasing need for a method capable of satisfying the personal expression needs of users and enriching communication.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08313 [명칭: 합성 동영상 생성 장치 및 방법]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0-0008313 [Name: Synthetic video generation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의 목적은 미리 저장된 템플릿과 복수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각각 전송된 개인 컨텐츠를 결합하여 복수의 사용자 장치간에 하나의 동영상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복수의 사용자 장치를 기반으로 동영상을 생성하는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 복수의 사용자 장치를 기반으로 동영상을 생성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tent creation service device for generating a video based on a plurality of user devices for sharing one video information between a plurality of user devices by combining a pre-stored template and personal content respectively transmitted from a plurality of user devices , To provide a method for generating a moving picture based on a plurality of user devices and a recording medium in which a computer program is record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의 사용자 장치 사이에서 생성된 동영상을 공유하고, 공유된 동영상이 사용자 장치가 설정한 시간 내에 복수의 사용자 장치 및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에서 삭제되도록 하여 개인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복수의 사용자 장치를 기반으로 동영상을 생성하는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 복수의 사용자 장치를 기반으로 동영상을 생성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by sharing a video generated between a plurality of user devices, and allowing the shared video to be deleted from a plurality of user devices and content creation service devices within a time set by the user device. A content generation service device that generates a video based on a user device of, a method of creating a video based on a plurality of user devices, and a recording medium in which a computer program is record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템플릿과 개인 컨텐츠를 결합함에 있어 템플릿에 개인 컨텐츠를 결합할 개인 컨텐츠 결합 위치 정보와 개인 컨텐츠의 사이즈를 매핑하여 개인 컨텐츠를 정확한 위치에서 템플릿에 결합하기 위한 복수의 사용자 장치를 기반으로 동영상을 생성하는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 복수의 사용자 장치를 기반으로 동영상을 생성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urality of user devices for combining personal content with a template at an accurate location by mapping personal content combination location information to combine personal content with the template and the size of personal content in combining the template and personal cont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ent generation service device that generates a moving picture based on a video, a method of generating a moving picture based on a plurality of user devices, and a recording medium in which a computer program is record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사용자 장치를 기반으로 동영상을 생성하는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는 제1 사용자 장치로부터 제1 동영상을 생성하기 위해 선택된 선택 템플릿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선택 템플릿에 기반하여 제1 사용자 장치로부터 제1 개인 컨텐츠를 획득하고, 제1 개인 컨텐츠를 선택된 템플릿과 결합하여 제1 동영상을 생성하고, 제1 동영상을 제1 사용자 장치 및 제2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제1 동영상 생성부; 선택된 템플릿에 제2 개인 컨텐츠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제2 개인 컨텐츠가 필요한 경우, 제2 사용자 장치로부터 제2 개인 컨텐츠를 획득하고 제2 개인 컨텐츠를 제1 동영상과 결합하여 제2 동영상을 생성하고, 제2 동영상을 제1 사용자 장치 및 제2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제2 동영상 생성부; 및 제1 개인 컨텐츠를 제1 사용자 장치로부터 획득하고 제2 개인 컨텐츠를 제2 사용자 장치로부터 획득하는 개인 컨텐츠 획득부를 포함할 수 있다.A content creation service device that generates a video based on a plurality of user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information on a selection template selected to generate a first video from a first user device, and based on the selection template Creating a first video by acquiring first personal content from a first user device, creating a first video by combining the first personal content with a selected template, and transmitting the first video to a first user device and a second user device par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elected template requires the second personal content, and if the second personal content is required, the second personal content is obtained from the second user device, and the second personal content is combined with the first video to generate a second video. And a second moving picture generator for transmitting the second moving picture to the first user device and the second user device; And a personal content obtaining unit that obtains first personal content from a first user device and obtains second personal content from a second user device.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제1 개인 컨텐츠는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가 제1 사용자 장치에 등록된 프로필 정보를 기반으로 객체 인식 방법을 사용하여 추출하여 획득한 정보이고, 제2 개인 컨텐츠는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가 제2 사용자 장치에 등록된 프로필 정보를 기반으로 객체 인식 방법을 사용하여 추출하여 획득한 정보일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ersonal content is information obtained by extracting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device using an object recognition method based on the profile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first user device, and the second personal content is a content creation service It may be information obtained by extracting by the device using an object recognition method based on profile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second user device.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제1 동영상은 제2 개인 컨텐츠에 해당하는 부분이 특정한 문양으로 가려져서 생성된 동영상일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video may be a video generated by covering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ersonal content with a specific pattern.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제2 동영상 생성부는 제1 사용자 장치 및 제2 사용자 장치에 의해 특정한 문양이 선택되는 경우, 특정한 문양이 제2 개인 컨텐츠로 표시되도록 저용량 데이터의 제2 개인 컨텐츠 정보를 우선 전송하고, 저용량 데이터를 제외한 나머지 제2 개인 컨텐츠 정보의 데이터를 추가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specific pattern is selected by the first user device and the second user device, the second video generation unit prioritizes the second personal content information of low-volume data so that the specific pattern is displayed as the second personal content. Then, data of the second personal content information other than the low-capacity data may be additionally transmitted.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는 제1 사용자 장치가 설정한 삭제 시간에 기반하여 제2 사용자 장치가 제2 동영상을 재생한 후 설정된 삭제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제1 동영상 및 제2 동영상이 삭제되도록 삭제 시간을 설정하는 삭제 시간 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t deletion time elapses after the second user device plays the second video based on the deletion time set by the first user device, the first video and the second A deletion time setting unit for setting a deletion time so that the video is deleted may be further included.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가, 제1 사용자 장치 및 제2 사용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치가 제2 동영상을 확인하지 않은 경우, 제2 동영상 정보를 확인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치로 제2 동영상을 확인하라는 알람 정보를 생성하는 알람 신호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t least one of the first user device and the second user device does not check the second video,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device is at least one user who does not check the second video information The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alarm signal generator that generates alarm information for checking the second video.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는 제1 개인 컨텐츠 및 제2 개인 컨텐츠를 결합하기 위한 복수의 템플릿을 저장하는 템플릿 저장부; 및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템플릿 탐색 정보와 복수의 템플릿에 매핑된 복수의 템플릿의 컨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해쉬 태그를 비교하여 템플릿 탐색 정보에 매칭되는 매칭 템플릿을 탐색하고, 매칭 탬플릿을 제1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여 제1 사용자 장치가 선택 탬플릿을 결정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템플릿 탐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ntent creation service device includes: a template storage unit for storing a plurality of templates for combining first personal content and second personal content; And comparing the template search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device with a hash tag for identifying contents of a plurality of templates mapped to the plurality of templates to search for a matching template matching the template search information, and to transfer the matching template to the first user device. It may further include a template search unit implemented so that the first user device can determine the selection template by transmitting.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제1 동영상 생성부는 제1 개인 컨텐츠가 선택 템플릿에 합성되는 합성위치에 대한 정보 및 합성위치에서 합성될 제1 개인 컨텐츠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판단하고, 제1 개인 컨텐츠의 합성위치에 대한 정보 및 제1 개인 컨텐츠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제1 개인 컨텐츠를 선택 템플릿에 결합하여 제1 동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video generation unit determines information on the synthesis location where the first personal content is synthesized in the selection template and information on the size of the first personal content to be synthesized in the synthesis location, and the first personal content The first video may be generated by combining the first personal content with the selection template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synthesis location of and the size of the first personal conten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사용자 장치를 기반으로 동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은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가 제1 사용자 장치로부터 제1 동영상을 생성하기 위해 선택된 선택 템플릿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가 선택 템플릿에 기반하여 제1 사용자 장치로 제1 개인 컨텐츠를 요청하고, 제1 사용자 장치로부터 제1 개인 컨텐츠를 획득하는 단계;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가 제1 개인 컨텐츠를 선택 템플릿과 결합하여 제1 동영상을 생성하고, 제1 동영상을 제1 사용자 장치 및 제2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가 선택 템플릿에 제2 개인 컨텐츠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2 개인 컨텐츠가 선택 템플릿에 필요한 경우, 제2 사용자 장치로 제2 개인 컨텐츠를 요청하는 단계; 및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가 제2 사용자 장치로부터 제2 개인 컨텐츠를 획득하고, 제2 개인 컨텐츠를 제1 동영상과 결합하여 제2 동영상을 생성하고, 제2 동영상에 대한 정보를 제1 사용자 장치 및 제2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 method of generating a video based on a plurality of user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by a content creation service device, receiving information on a selection template selected to generate a first video from a first user device; Requesting, by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device, first personal content from the first user device based on the selection template, and obtaining first personal content from the first user device; Generating, by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device, a first video by combining the first personal content with a selection template, and transmitting the first video to the first user device and the second user device; Determining, by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device, whether second personal content is required in the selection template, and requesting second personal content from a second user device when 2 personal content is required in the selection template; And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device obtains second personal content from the second user device, combines the second personal content with the first video to generate a second video, and sends information on the second video to the first user device and the second video. 2 It may include transmitting to the user device.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가 선택 템플릿에 기반하여 제1 사용자 장치로 제1 개인 컨텐츠를 요청하고 제1 사용자 장치로부터 제1 개인 컨텐츠를 획득하는 단계는 요청되는 제1 개인 컨텐츠가 객체의 이미지 정보인 경우, 제1 사용자 장치가 객체의 윤곽선 정보에 기반하여 객체를 촬상하여 제1 개인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도록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가 객체의 윤곽선 정보를 제1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가 제1 사용자 장치로부터 윤곽선 정보를 기반으로 촬상된 제1 개인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requesting the first personal content from the first user device and obtaining the first personal content from the first user device by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device based on the selection template is the requested first personal content In the case of image information of an object,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device transmitting the contour information of the object to the first user device so that the first user device can image the object based on the contour information of the object to generate first personal content ; And receiving, by the content generation service device, first personal content captured based on the outline information from the first user device.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제2 동영상에 대한 정보는 제2 개인 컨텐츠를 제1 동영상에 결합하여 제2 동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영상 합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on the second video may include image synthesis information for generating a second video by combining second personal content with the first video.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는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A computer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thod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may be stored in the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computer progra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corded.

본 발명은 복수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개인 컨텐츠를 획득하여 미리 저장된 템플릿에 결합하여 복수의 사용자가 개별 개인 컨텐츠를 기반으로 생성한 동영상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복수의 사용자 간에 다양한 동영상 컨텐츠를 생성 및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obtains personal content from a plurality of user devices and combines it with a pre-stored template to allow a plurality of users to share a video created based on individual personal content, thereby generating and sharing various video content between a plurality of users. Make it possible.

또한, 개인 컨텐츠와 템플릿을 결합함에 있어 템플릿에 개인 컨텐츠를 결합할 개인 컨텐츠의 결합 위치 및 개인 컨텐츠의 크기를 매핑하여 개인 컨텐츠를 결합하는데 사용함으로써 자연스럽게 개인 컨텐츠를 템플릿에 결합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combining the personal content and the template, the personal content can be naturally combined with the template by mapping the location of the personal content to be combined with the template and the size of the personal content to combine the personal content.

이뿐만 아니라 생성된 동영상을 설정된 시간 내에 삭제함으로써 생성된 동영상에 포함된 개인 정보를 보호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generated video by deleting the generated video within a set tim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컨텐츠 기반의 동영상 생성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에서 템플릿을 선택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템플릿에서 개인 컨텐츠를 추가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컨텐츠를 기반으로 한 동영상 생성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로 개인 컨텐츠를 요청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사용자 장치의 개인 컨텐츠를 기반으로 동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사용자 장치가 동영상 정보를 전송 및 수신하여 채팅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정보 표시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사용자 장치에서 동영상 정보를 송신 및 수신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을 생성하는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a video based on personal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selecting a template in a us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adding personal content in a tem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a video based on personal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requesting personal content from a us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a video based on personal contents of a plurality of user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performing a chat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video information by a plurality of user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video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moving image information in a plurality of user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content creation service device for generating a vide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technic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technic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general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a meaning or an excessively reduced meaning. In addition, when a technical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correct technical term that does not accurately express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replaced with a technical term that can be correct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addition, gener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defined in the dictionary or according to the context before and after,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an excessively reduced meaning.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n addition, the singular expressio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consisting of” or “comprising”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all of the various components or steps described in the invention, and some components or some steps may not be included. It should be construed that it may or may further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In addition,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to describe the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ily understanding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장치 및 다른 사용자 장치에서 각각 획득된 개인 컨텐츠를 기반으로 동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 개시한다.Hereinafte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generating a video based on personal content obtained from a user device and another user device is disclos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컨텐츠 기반의 동영상 생성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a video based on personal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컨텐츠 기반의 동영상 생성 동작은 사용자 장치에 설치된 컨텐츠 생성 어플리케이션에서 수행되거나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에서 수행되는 동작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주로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150)에서 수행되는 동작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generating a video based on personal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 operation performed by a content generation application installed in a user device or by a content generation service device. Hereinaft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the operation is mainly performed by the content generation service device 150.

도 1을 참조하면, 제1 사용자 장치(110)는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150)에 저장된 템플릿을 탐색하고 제1 개인 컨텐츠를 합성하기 위한 템플릿을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150)로부터 제1 사용자 장치(110)에 미리 다운로드된 템플릿을 선택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first user device 110 may search for a template stored in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device 150 and select a template for synthesizing first personal content. Alternatively, a template previously downloaded from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device 150 to the first user device 110 may be selected.

제1 사용자 장치(110)는 템플릿을 선택하고,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150)로부터 제1 개인 컨텐츠를 합성할 수 있는 템플릿을 수신할 수 있다. 선택된 템플릿에는 제1 개인 컨텐츠 정보가 결합될 수 있고, 이후, 제1 개인 컨텐츠와 결합된 템플릿은 다른 사용자 장치인 제2 사용자 장치(120)로 전송될 수 있다. The first user device 110 may select a template and receive a template capable of synthesizing first personal content from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device 150. First personal content information may be combined with the selected template, and then, the template combined with the first personal content may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user device 120, which is another user device.

제1 개인 컨텐츠는 기존에 제1 사용자 장치(110)에 저장된 이미지 정보를 기반으로 추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템플릿에 제1 사용자 장치(110)의 사용자 얼굴 이미지를 제1 개인 컨텐츠 정보로써 결합하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개인 컨텐츠는 제1 사용자 장치(110)에 설치된 컨텐츠 생성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되거나 제1 사용자 장치(110)에 저장된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에서 추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장치(110)의 컨텐츠 생성 어플리케이션 또는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150)는 제1 사용자 장치(110)에 등록된 프로필 정보 중 얼굴에 해당하는 이미지 정보를 추출하여 제1 개인 컨텐츠로서 제1 사용자 장치(110)에 의해 선택된 템플릿에 결합할 수 있다. 사용자 얼굴 이미지 정보는 제1 개인 컨텐츠에 대한 하나의 예시이고 이외에도 다양한 멀티미디어 정보가 제1 개인 컨텐츠가 될 수 있다. The first personal content may be extracted based on image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first user device 110. For example, it may be assumed that the face image of the user of the first user device 110 is combined with the template as first personal content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first personal content may be registered in a content creatio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first user device 110 or extracted from profile information of the user stored in the first user device 110. For example, the content generation application of the first user device 110 or the content generation service device 150 extracts imag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face from among profile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first user device 110 to provide first personal content. As an example, it may be combined with the template selected by the first user device 110. The user face image information is an example of the first personal content, and various multimedia information may be the first personal content.

제1 사용자 장치(110)는 템플릿에 따라 템플릿에 결합하기 위해 요청되는 제1 개인 컨텐츠를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150)로 전송할 수 있고,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150)는 제1 개인 컨텐츠를 템플릿과 결합하여 제1 동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장치(110)로부터 수신된 제1 개인 컨텐츠와 템플릿을 기반으로 생성된 제1 동영상은 제2 사용자 장치(120)로 전송될 수 있다.The first user device 110 may transmit the first personal content requested to be combined with the template according to the template to the content generation service device 150, and the content generation service device 150 transmits the first personal content to the template. Combined to create a first video. The first personal content received from the first user device 110 and the first video generated based on the template may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user device 12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동영상은 제2 사용자 장치(120)로부터 획득되는 추가의 개인 컨텐츠인 제2 개인 컨텐츠가 추가되어 제2 동영상으로 완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템플릿에 제1 사용자 장치(110)로부터 추출된 사용자 얼굴 이미지만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제2 사용자 장치(120)로부터 추출된 사용자 얼굴 이미지가 결합되어 제2 동영상을 생성하는 템플릿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150)는 제2 사용자 장치(120)로부터 제2 개인 컨텐츠를 별도로 획득하고 제1 사용자 장치(110)로부터 추출된 제1 개인 컨텐츠를 기반으로 생성된 제1 동영상과 결합하여 제2 동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제2 동영상은 제1 사용자 장치(110)와 제2 사용자 장치(120)로 전송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video may be completed as a second video by adding second personal content, which is additional personal content acquired from the second user device 120. For example, the template may be a template in which not only the user face image extracted from the first user device 110 is combined, but the user face image extracted from the second user device 120 is combined to generate a second video. . In this case,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device 150 separately obtains the second personal content from the second user device 120 and includes a first video generated based on the first personal content extracted from the first user device 110. Combined to create a second video. The generated second video may be transmitted to the first user device 110 and the second user device 120.

예를 들어, 제2 사용자 장치(120)의 사용자 얼굴 이미지가 제1 사용자 장치(110)가 전송한 제1 동영상에 결합되어 제2 동영상을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 제2 사용자 장치(120)의 얼굴에 해당하는 이미지가 제2 사용자 장치(120)에 등록된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를 기반으로 추출될 수 있다.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150)는 제2 사용자 장치(120)로부터 획득한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합성하여 제2 동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얼굴의 이미지는 제2 사용자 장치(120)로부터 수신되는 제2 개인 컨텐츠의 하나의 예시이고 제2 사용자 장치(120)로부터 다른 멀티미디어 정보가 제2 개인 컨텐츠로 수신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제2 동영상이 생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in order to create a second video by combining the user face image of the second user device 120 with the first video transmitted by the first user device 110, the second user device 120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face of may be extracted based on the profile information of the user registered in the second user device 120.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device 150 may generate a second video by synthesizing the user's face image acquired from the second user device 120. The image of the face is an example of the second personal content received from the second user device 120 and other multimedia information may be received as the second personal content from the second user device 120, and based on this, a second video Can be generated.

이러한 템플릿 기반의 동영상 생성 방법은 실시간으로 수행될 수 있고, 사용자 장치와 다른 사용자 장치가 네트워크를 통해 채팅과 같은 서비스를 이용 시 사용될 수 있다.This template-based video generation method may be performed in real time, and may be used when a user device and another user device use a service such as chat through a network.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개인 컨텐츠를 수신하여 동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개시한다.Hereinafte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generating a video by receiving personal content from a plurality of user devic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에서 템플릿이 선택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selecting a template in a us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는 동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다양한 템플릿이 저장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동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템플릿이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의 템플릿 풀(200)(또는 템플릿 저장부)에 저장된 것으로 가정하나 동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템플릿은 사용자 장치에 저장되어 바로 사용될 수도 있다.The content creation service device may store various templates for generating a video. Hereinafte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a template for generating a video is stored in the template pool 200 (or a template storage unit) of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device, but the template for creating a video is stored in the user device. It can be used immediately.

사용자 장치는 템플릿 풀(200)에 저장된 개인 컨텐츠를 결합하기 위한 템플릿을 선택할 수 있다. 템플릿은 해쉬 태그(hash tag)를 가지고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 장치는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에 저장된 탬플릿을 해쉬 태그를 기반으로 탐색할 수 있다. 해쉬 태그는 템플릿을 검색하기 위해 달아놓은 태그로서 이러한 해쉬 태그를 사용함으로써 저장된 템플릿이 효율적으로 검색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에서 템플릿을 제작하여 업로드를 하는 경우 해쉬 태그를 태깅함으로써 다른 사용자 장치들이 업로드된 템플릿 탐색을 용이하게 하도록 할 수 있다. 템플릿은 이러한 해쉬 태그를 기반으로 카테고리화될 수도 있다.The user device may select a template for combining personal content stored in the template pool 200. Templates can be saved with a hash tag. The user device may search for a template stored in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device based on a hash tag. The hash tag is a tag attached to search for a template. By using the hash tag, the stored template can be efficiently searched. In addition, when a template is produced and uploaded by a user device, a hash tag may be tagged to facilitate other user devices to search for an uploaded template. Templates may be categorized based on these hash tags.

도 2를 참조하면, 템플릿은 개인 컨텐츠를 결합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정보일 수 있다. 개별 템플릿은 템플릿을 탐색하기 위한 해쉬 태그가 할당될 수 있다. 해쉬 태그는 템플릿을 식별하기 위한 복수개의 태그가 부여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정 템플릿이 남자가 여자에게 꽃을 주는 템플릿으로 남자의 얼굴과 여자의 얼굴에 해당하는 부분에 개인 컨텐츠를 추가하여 템플릿을 동영상으로 생성하는 템플릿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특정 템플릿은 "프로포즈", "연애", "꽃" 등 템플릿에 포함된 컨텐츠를 표현하기 위한 해쉬 태그가 부여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template may be multimedia information for combining personal content. Individual templates may be assigned a hash tag to search for templates. The hash tag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ags for identifying the template. For example, it may be assumed that a specific template is a template in which a man gives flowers to a woman, and that a template is created as a video by adding personal content to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man's face and the woman's face. In this case, a hash tag for expressing content included in the template, such as "propose", "love", and "flower", may be attached to the specific template.

사용자 장치에서 프로포즈에 관련된 템플릿을 검색하고자 하는 경우,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의 템플릿 검색부에 "프로포즈"라는 검색어를 입력하여 템플릿을 검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의 템플릿 저장부에서 프로포즈라는 태그를 가진 템플릿이 검색되고 검색 결과가 사용자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When a user device wants to search for a template related to a proposal, the template may be searched by entering a search word “propose” in the template search unit of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device. In this case, a template with a tag of proposal may be searched in the template storage unit of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device and the search result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device.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에 저장된 템플릿은 이러한 해쉬 태그를 기준으로 다양한 카테고리(210, 220)로 분류될 수 있다. 사용자 장치는 카테고리(210, 220)를 기반으로 템플릿을 탐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가족, 여행, 연인, 회사, 학교 등으로 1차적으로 분류를 위한 카테고리(210, 220)를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카테고리(210, 220)에 연관되는 해쉬 태그를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족인 경우, 아빠, 엄마, 동생, 형, 누나, 언니, 사촌, 할아버지, 할머니 등 가족에 연관될 수 있는 해쉬 태그를 할당할 수 있다. 만약, 특정 사용자 장치에서 템플릿을 만들어 올리는 경우 생성된 템플릿에는 태그를 붙여서 업로드를 할 수 있다. 태그를 붙은 상태로 업로드된 템플릿은 해당 태그가 어떠한 카테고리(210, 220)에 할당된 태그인지에 따라 해당되는 카테고리(210, 220)로 분류될 수 있다. Templates stored in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device may be classified into various categories 210 and 220 based on such hash tags. The user device may search for a template based on the categories 210 and 220.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categories 210 and 220 primarily for classification into family, travel, couple, company, school, and the like. Next, a hash tag associated with the categories 210 and 220 may be assigned.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family, a hash tag that can be associated with the family such as dad, mother, younger brother, older brother, older sister, older sister, cousin, grandfather, grandmother may be assigned. If a template is created and uploaded on a specific user device, the created template can be uploaded by attaching a tag. Templates uploaded with a tag may be classified into corresponding categories 210 and 220 according to which category 210 and 220 the tag is assigned to.

또 다른 카테고리 분류 방법으로 해쉬 태그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태그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카테고리(210, 220)를 적응적으로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랑" 이라는 해쉬 태그가 할당된 템플릿이 늘어나는 경우, 새로운 카테고리로 사랑이라는 카테고리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적응적인 카테고리(210, 220) 재생성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많이 사용되는 태그일수록 사용자 장치에 의해 쉽게 탐색될 수 있다. As another category classification method, categories 210 and 220 may be adaptively generated based on information on tags that are most used among hash tags. For example, when the number of templates to which a hash tag of "love" is assigned increases, a category of love may be created as a new category. In the case of using the adaptive category 210 and 220 regeneration method, the more frequently used tags can be easily searched by the user devic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템플릿에 개인 컨텐츠를 추가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adding personal content to a tem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사용자 장치에 등록된 프로필에서 추출된 얼굴 영상(300)을 템플릿에 결합하여 동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 개시한다. FIG. 3 discloses a method of generating a video by combining a face image 300 extracted from a profile registered in a user device with a template.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장치에 의해 개인 컨텐츠를 합성할 템플릿이 선택되고, 선택된 템플릿에 사용자 장치에 등록되어 있는 프로필의 얼굴 이미지(300)가 개인 컨텐츠로 결합되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또는 사용자 장치에 설치된 컨텐츠 생성 어플리케이션,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에서 수행되는 동작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는 사용자 장치의 사용자 프로필 정보로 등록된 이미지를 우선 탐색하여 사람의 얼굴에 해당하는 이미지(300)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사람의 얼굴에 해당하는 이미지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이미지에서 얼굴에 해당하는 이미지(300)가 추출될 수 있다. 사람의 얼굴(300)을 탐색하고 추출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영상 처리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람의 얼굴에 대한 템플릿 모델을 기준으로 프로필 정보에 등록된 이미지에 템플릿 모델과 유사한 이미지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프로필 정보에 사람의 얼굴에 해당하는 영역(300)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사람의 얼굴에 해당하는 영역(300)을 추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it may be assumed that a template for synthesizing personal content is selected by a user device, and a face image 300 of a profile registered in the user device is combined with the selected template as personal content. The content generation service device (or a content generation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user device,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an operation performed by the content generation service device is described) is registered as user profile information of the user device.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or not an image 300 corresponding to a person's face exists by first searching for an image. When an image corresponding to a human face exists, an image 300 corresponding to the face may be extracted from the image. Various image processing techniques may be used to search and extract the human face 300. For example, based on the template model of a person's face, it is determined whether an image similar to the template model exists in the image registered in the profile information, and whether the region 300 corresponding to the person's face exists in the profile information. May be determined and the region 300 corresponding to the person's face may be extracted.

또 다른 방법으로 사람의 얼굴에 해당하는 영상(300)의 특징점 정보를 기반으로 프로필 정보에 등록된 이미지에서 동일한 특징점이 존재하는 객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사람의 얼굴에 해당하는 영상(300)의 특징점 정보와 매핑되는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객체를 사람의 얼굴(300)로 인식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이 이미지에서 사람의 얼굴(300)을 인식하고 추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As another method, based on the feature point information of the image 300 corresponding to the person's face, it is determined whether an object with the same feature point exists in the image registered in the profile information, and the image 300 corresponding to the person's face If there is an object mapped to the feature point information of, the object may be recognized as a human face 300. In addition, various methods can be used to recognize and extract a person's face 300 from an image.

사람의 얼굴 이미지(300)가 프로필 정보에 복수개 존재하는 경우, 해당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가 개인 컨텐츠로서 사용자 장치에 의해 선택된 템플릿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여러 장의 프로필 정보가 저장된 경우, 여러 장의 프로필 정보 이미지에서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300)가 추출될 수도 있다.When a plurality of human face images 300 exist in the profile information, at least one of the corresponding images may be combined with a template selected by the user device as personal content. In addition, when multiple pieces of profile information are stored, the user's face image 300 may be extracted from the multiple pieces of profile information images.

또 다른 방법으로 사용자 장치에 의해 추출된 이미지가 템플릿에 결합하고자 하는 개인 컨텐츠가 맞는지 여부를 한번 확인하여 템플릿에 추출된 이미지를 결합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As another metho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o combine the extracted image to the template by checking once whether the image extracted by the user device is the personal content to be combined with the template.

만약, 프로필에 얼굴 이미지가 존재하지 않거나, 프로필에 존재하는 사람의 얼굴이 사용자가 템플릿에 결합하고자 하는 이미지가 아닐 경우,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는 사용자 장치에 별도의 개인 컨텐츠 정보를 요청하거나 사용자 장치에 저장된 이미지 정보에서 개인 컨텐츠를 자동으로 추출할 수 있다. If the face image does not exist in the profile, or the face of the person in the profile is not the image that the user wants to combine with the template,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device requests separate personal content information from the user device or Personal content can be automatically extracted from stored image information.

예를 들어,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는 템플릿에 매핑되어야 하는 개인 컨텐츠(예를 들어, 얼굴 이미지 정보)를 사용자 장치로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는 수신한 개인 컨텐츠 요청 신호를 기반으로 개인 컨텐츠를 선택하여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device may transmit a signal requesting personal content (eg, face image information) to be mapped to a template to the user device. The user device may select personal content based on the received personal content request signal and transmit it to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devic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사용자 장치를 기반으로 한 동영상 생성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video generation method based on a plurality of user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템플릿(400)이 3 개의 이미지(제1 영상(410), 제2 영상(430), 제3 영상(430))로 이루어진 동영상이고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가 사용자 장치로 개인 컨텐츠를 요청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In FIG. 4,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template 400 is a video consisting of three images (a first image 410, a second image 430, and a third image 430), and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device is a personal content as a user device. The description assumes the case of requesting.

도 4를 참조하면, 템플릿(400)에 사람이 머리를 돌리는 영상을 개인 컨텐츠로써 결합하여 동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영상(410)에는 얼굴의 우측면, 제2 영상(420)에는 얼굴의 우측면과 정면의 중간지점, 제3 영상(430)에는 얼굴의 정면 이미지가 필요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a video may be generated by combining an image of a person turning their head in a template 400 as personal content. In this case, the first image 410 may require a right side of the face, the second image 420 may require a middle point between the right side and the front of the face, and the third image 430 may require a front image of the face.

이러한 경우,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는 얼굴의 우측면 이미지, 얼굴의 우측면과 정면의 중간 이미지, 얼굴의 정면 이미지를 사용자 장치로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는 촬상된 영상 정보를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는 다양한 객체 추출 방법을 통해 전송된 정보 중 얼굴의 우측면 이미지, 얼굴의 우측면과 정면의 중간 이미지, 얼굴의 정면 이미지를 전송된 정보에서 추출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는 기존에 촬상된 영상의 정보를 개인 컨텐츠로써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로 전송할 수도 있으나 새롭게 촬상한 영상 정보를 개인 컨텐츠로서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는, 사용자의 얼굴 템플릿 모델을 생성하여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에 저장하여 놓음으로써 템플릿을 생성할 때마다 별도의 영상 정보를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지 않을 수도 있다. 템플릿(400)에 사용할 객체를 추출하는 방법 및 사용자의 얼굴 템플릿 모델을 등록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추가적으로 후술한다.In this case,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device may request the right side image of the face, the middle image of the right side and the front side of the face, and the front image of the face from the user device. The user device may transmit the captured image information to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device.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device may extract a right side image of a face, an intermediate image of a right side and a front side, and a front image of a face from among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various object extraction methods. The user device may transmit information of the previously captured image as personal content to the content generation service device, but may transmit newly captured image information as personal content to the content generation service device. Alternatively, the user's face template model may be generated and stored in the content generation service device, so that separate image information may not be transmitted to the content generation service device each time a template is generated. A method of extracting an object to be used in the template 400 and a method of registering a user's face template model will be described later.

입력된 개인 컨텐츠인 얼굴의 우측면 이미지, 얼굴의 우측면과 정면의 중간 이미지, 얼굴의 정면 이미지는 템플릿 좌표 및 개인 컨텐츠의 크기에 맞추어 조정되어 템플릿에 합성될 수 있다.The input personal content, such as the right side image of the face, the middle image of the right side and the front side of the face, and the front image of the face,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template coordinates and the size of the personal content and synthesized into the template.

템플릿(400)에 포함된 각 영상에는 개인 컨텐츠를 합성하기 위한 영상의 좌표, 개인 컨텐츠의 크기에 대한 정보 또는 움직임 벡터에 대한 정보 등이 매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상에는 (x1, y1)이라는 개인 컨텐츠 합성을 위한 좌표가 존재하고, 1cm2이라는 개인 컨텐츠의 크기에 대한 정보가 매핑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영상(410)에 개인 컨텐츠를 합성하기 위해서 추출된 개인 컨텐츠(예를 들어, 얼굴의 좌측면 이미지)의 크기가 설정된 개인 컨텐츠의 크기에 맞도록 리사이징될 수 있다. 리사이징된 개인 컨텐츠는 템플릿(400)에 개인 컨텐츠를 합성하는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해당 영상 위치로 이동됨으로써 템플릿(400)의 제1 영상(410)과 개인 컨텐츠가 합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템플릿의 제2 영상(420) 및 제3 영상(430)과 개인 컨텐츠가 결합될 수 있고, 템플릿(400)과 개인 컨텐츠가 결합되어 하나의 동영상이 생성될 수 있다.Each image included in the template 400 may be mapped to coordinates of an image for synthesizing personal content, information on the size of personal content, or information on a motion vector. For example, coordinates for synthesizing personal content of (x1, y1) may exist in the first image, and information on the size of personal content of 1 cm 2 may be mapped. In order to synthesize personal content with the first image 410, the size of the extracted personal content (eg, an image of the left side of the face) may be resized to fit the size of the set personal content. The resized personal content may be moved to a corresponding image location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for synthesizing the personal content with the template 400, so that the first image 410 of the template 400 and the personal content may be synthesized. In this way, the second image 420 and the third image 430 of the template and personal content may be combined, and the template 400 and personal content may be combined to generate a single video.

도 4에서는 템플릿(400)에서 복수의 개인 컨텐츠를 수신하여 이를 기반으로 동영상을 생성하는 것으로 예로 들었으나, 하나의 개인 컨텐츠, 즉, 하나의 사람 얼굴 이미지만을 받아 템플릿에 합성하여 동영상이 생성될 수도 있고 이러한 실시예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된다.In FIG. 4, it has been exemplified that a plurality of personal contents are received from the template 400 and a video is generated based on them. And these embodiments are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로 개인 컨텐츠를 요청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requesting personal content from a us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가 사용자 장치로 템플릿에 합성하기 위한 개인 컨텐츠를 요청하는 방법에 대해 개시한다.FIG. 5 discloses a method for a content creation service device to request personal content to be synthesized into a template by a user device.

도 5를 참조하면,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는 사용자 장치(500)로 특정한 각도로 객체를 촬상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도 4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얼굴의 우측면, 얼굴의 우측면과 정면의 중간, 얼굴의 정면의 이미지가 필요하다면, 얼굴의 윤곽선의 정보(510, 520, 530)를 제공하고 해당 윤곽선 정보(510, 520, 530)에 맞도록 객체 이미지를 촬상하여 전송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즉,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는 템플릿에 따라 요구되는 개인 컨텐츠에 해당하는 객체의 윤곽선 정보(510, 520, 530)를 제공하고 사용자 장치(500)가 윤곽선 정보에 매칭되도록 촬상된 이미지를 전송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device may request the user device 500 to capture an object at a specific angle. As described above in FIG. 4, if an image of the right side of the face, the middle of the right side and the front of the face, and the front of the face is required, information on the outline of the face (510, 520, 530) is provided and the corresponding outline information (510, 520) is provided. , 530), the object image may be captured and transmitted. That is,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device may provide contour information 510, 520, 530 of an object corresponding to personal content requested according to the template, and request the user device 500 to transmit a captured image to match the contour information. have.

또 다른 예로, 만약, 동영상 정보가 필요하다면, 사용자 장치가 동영상 촬영을 하기 위해 도움이 되는 메시지를 전송하여 사용자 장치가 해당 수신한 메시지를 기반으로 동영상을 생성하여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사람이 목을 돌리는 개인 컨텐츠가 필요한 경우, 사용자 장치로 "얼굴이 좌측에서 정면으로 나오도록 목을 돌려주세요."라는 동영상 촬영 도움 메시지를 전송하고 사용자 장치에 설치된 카메라를 연동하여 작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도움 메시지는 개별 템플릿에 매핑되어 해당 템플릿이 선택된 경우, 사용자 장치로 전송되어 사용자 장치가 쉽게 개인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if video information is required, the user device can be set to transmit a message that is helpful for shooting a video, and the user device generates a video based on the received message and transmits it to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device. have. For example, as described above, if a person needs personal content that turns their neck, a video recording help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user device saying "Please turn your neck so that your face comes out from the left to the front." Can be operated by interlocking. Such a help message is mapped to an individual template, and when a corresponding template is selected, it is transmitted to a user device, thereby helping the user device to easily create personal conten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템플릿에 합성되는 개인 컨텐츠로서 자주 사용하는 개인 컨텐츠의 경우 모델링을 수행하여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에 등록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자주 사용되는 객체(예를 들어, 사람의 얼굴)의 경우 객체를 모델링하여 객체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객체 모델링을 위해 객체가 필요할 경우, 사용자 장치로 개인 컨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를 요청하지 않고, 모델링된 객체를 사용하여 동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객체 모델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personal content that is frequently used as personal content synthesized in a template, modeling may be performed and then registered in a content creation service device for use. For example, in the case of an object that is frequently used (eg, a human face), an object model can be created by modeling the object. When an object is required for object modeling, a video can be generated using the modeled object without requesting information for generating personal content from a user device. To create an object model, for example, the following method can be used.

객체 모델은 움직임 기반 모델링(Shape from Motion, SFM)을 사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움직임 기반 모델링 방법은 객체를 여러 시점에서 촬영한 동영상이나 객체를 여러 시점에서 촬영한 이미지에서 객체의 특징점을 산출하고 객체에 대한 이들 프레임 간 대응 관계(correspondence)를 구함으로써 3차원 모델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상과 제2 영상 간에 포함된 객체의 특징점 사이의 대응 관계를 기반으로 객체의 형상을 모델링하여 객체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객체 모델은 이외에도 실루엣 기반 모델링(Shape from Silhouette)을 통해 생성될 수도 있다. Object models can be created using motion-based modeling (Shape from Motion, SFM). In the motion-based modeling method, a three-dimensional model can be obtained by calculating the feature points of an object from a moving picture of an object from several viewpoints or from an image photographing the object from several viewpoints and calculating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se frames for the object. have. For example, an object model may be generated by modeling a shape of an object based on a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feature points of an object included between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Object models can also be created through silhouette-based modeling (Shape from Silhouette).

전술한 도 1 내지 도 5에서 개시된 동영상 생성 방법을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 장치에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에서 템플릿을 검색하고 개인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컨텐츠 생성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 장치는 컨텐츠 생성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개인 컨텐츠가 포함된 동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In order to use the video generation method disclosed in FIGS. 1 to 5 described above, a content generation application for searching a template from a content generation service device and providing personal content may be installed on a user device. The user device may generate a video including personal content based on the content creation applic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는 위와 같은 방법으로 생성된 동영상을 기반으로 사용자 장치에 추가 정보(상품 정보, 기프티콘 또는 쿠폰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device may transmit additional information (product information, gifticon or coupon information) to the user device based on the video generated by the above method.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사용자 장치의 개인 컨텐츠를 기반으로 동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6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a video based on personal contents of a plurality of user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서는 제1 사용자 장치(610)가 제1 개인 컨텐츠를 합성한 제1 동영상을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600)를 통해 제2 사용자 장치(620)로 전송하고 제2 사용자 장치(620)로부터 획득되는 제2 사용자 장치(620)의 개인 컨텐츠인 제2 개인 컨텐츠를 결합하여 제2 동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 개시한다. In FIG. 6, the first user device 610 transmits a first video obtained by synthesizing the first personal content to the second user device 620 through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device 600 and obtains it from the second user device 620. A method of generating a second video by combining second personal content, which is personal content of the second user device 620, is disclosed.

도 6에서는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600)가 제1 사용자 장치(610)와 제2 사용자 장치(620) 사이에서 동영상 정보를 송신 및 수신하는 서비스 장치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가정하나,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600)가 아닌 다른 송수신 서비스 장치가 사용되어 제1 사용자 장치(610) 및 제2 사용자 장치(620) 사이에서 동영상 정보가 송신 및 수신 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In FIG. 6, it is assumed that the content generation service device 600 plays the role of a service device that transmits and receives video information between the first user device 610 and the second user device 620, but the content generation service device A transmission/reception service device other than 600 may be used to transmit and receive video information between the first user device 610 and the second user device 620.

도 6을 참조하면, 제1 사용자 장치(610)에서 회득된 제1 개인 컨텐츠를 결합한 제1동영상은 제2 사용자 장치(620)로 전송될 수 있다.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600)는 제1 사용자 장치(610)가 제2 사용자 장치(620)로 전송하는 동영상에 포함된 템플릿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템플릿이 제2 사용자 장치(620)로부터 획득되는 추가적인 제2 컨텐츠를 결합하여야 하는 템플릿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템플릿이 제2 컨텐츠의 결합이 필요가 없는 템플릿인 경우,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600)는 생성된 동영상을 제2 사용자 장치(620)로 전송할 수 있다. 하지만 템플릿이 제2 컨텐츠의 결합이 필요한 템플릿인 경우,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600)는 추가적인 제2 개인 컨텐츠를 제2 사용자 장치(62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a first video obtained by combining the first personal content obtained from the first user device 610 may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user device 620.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device 600 is based on the templat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video that the first user device 610 transmits to the second user device 620, the corresponding template is obtained from the second user device 620 2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it is a template to be combined with contents. If the template is a template that does not require the combination of the second content,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device 600 may transmit the generated video to the second user device 620. However, if the template is a template requiring the combination of the second content,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device 600 may obtain additional second personal content from the second user device 620.

예를 들어, 템플릿이 제2 사용자 장치(620)로부터 제2 컨텐츠로서 제2 사용자 장치(620)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가 필요한 템플릿인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600)는 제2 사용자 장치(620)의 컨텐츠 생성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된 프로필 정보를 탐색하고 사람의 얼굴에 해당하는 이미지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탐색하여 사람의 얼굴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장치(620)에 등록된 프로필 정보를 탐색하여 사람의 얼굴에 해당하는 이미지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사람의 얼굴 이미지를 추출하여 제1 사용자 장치(610)가 전송한 동영상에 포함된 템플릿에 결합할 수 있다. 즉, 제1 사용자 장치(610)에서 전송한 제1 동영상에 제2 사용자 장치(620)로부터 획득한 제2 개인 컨텐츠 정보를 결합하여 제2 동영상을 완성할 수 있다. 제2 개인 컨텐츠 정보를 결합하여 완성한 제2 동영상은 제1 사용자 장치(610) 및 제2 사용자 장치(620)로 전송될 수 있다. 제2 동영상의 전체 정보가 전송되거나 제2 동영상 중 추가로 결합된 제2 개인 컨텐츠에 대한 결합 정보만이 제1 사용자 장치(610) 및 제2 사용자 장치(620)로 전송될 수 있다.For example, it may be assumed that the template is a template that requires a face image of the user of the second user device 620 as the second content from the second user device 620. In this case,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device 600 searches for profile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content creation application of the second user device 620 and searches whether imag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person's face exists, and retrieves the person's face information. Can be extracted. If there is imag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person's face by searching for profile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second user device 620, a template included in the video transmitted by the first user device 610 by extracting the person's face image Can be combined with That is, the second video may be completed by combining the first video transmitted from the first user device 610 with the second personal content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second user device 620. The second video completed by combining the second personal content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first user device 610 and the second user device 620. The entire information of the second video may be transmitted, or only combined information of the additionally combined second personal content of the second video may be transmitted to the first user device 610 and the second user device 620.

실시간으로 제2 개인 컨텐츠를 결합하여 제2 동영상을 생성하기 위해 제1 동영상에서 아직 결합되지 않은 제2 개인 컨텐츠에 해당하는 부분은 모자이크와 같은 처리가 될 수 있다. 제2 개인 컨텐츠를 수신하여 제1 동영상과 결합이 완료된 후 모자이크 대신 제2 개인 컨텐츠가 동영상에 표시되도록 제1 사용자 장치(610)와 제2 사용자 장치(620)로 제2 동영상에 관련된 영상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In order to create a second video by combining the second personal content in real time,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ersonal content that has not yet been combined in the first video may be processed like a mosaic. After receiving the second personal content and completing the combination with the first video, video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cond video is transmitted to the first user device 610 and the second user device 620 so that the second personal content is displayed in the video instead of a mosaic. Can be transmitted.

이러한 모자이크 표시와 같은 특정한 문양은 사용자 장치에 의해 터치 등을 통해 선택되는 경우, 사라지면서 점차적으로 제2 개인 컨텐츠가 결합된 동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장치(610) 또는 상기 제2 사용자 장치(620)에 표시되는 특정한 문양이 터치 등을 통해 선택되는 경우 해당 특정한 문양이 제2 개인 컨텐츠로 표시되도록 저용량의 제2 개인 컨텐츠 정보를 우선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송된 제2 개인 컨텐츠 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제2 개인 컨텐츠 정보의 데이터를 추가적으로 제1 사용자 장치(610) 또는 제2 사용자 장치(620)로 전송할 수 있다.When a specific pattern such as a mosaic display is selected through a touch or the like by a user device, it disappears and may be gradually displayed as a video in which the second personal content is combined. For example, when a specific pattern displayed on the first user device 610 or the second user device 620 is selected through touch, etc., a low-volume second personal content so that the specific pattern is displayed as the second personal content.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first. Next, data of the second personal content information other than the transmitted second personal content information may be additionally transmitted to the first user device 610 or the second user device 620.

또 다른 방법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600)가 제2 사용자 장치(620)에서 획득된 이미지가 제1 동영상에 결합될 제2 개인 컨텐츠로 사용될지 여부를 제2 사용자 장치(620)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장치(620)가 제1 동영상에 결합될 제2 개인 컨텐츠가 맞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만 동영상에서 추출된 제2 개인 컨텐츠가 결합될 수 있다.As another method, as described above,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device 600 determines whether the image obtained from the second user device 620 is used as the second personal content to be combined with the first video. You can check it through. The second personal content extracted from the video may be combined only when the second user device 620 determines that the second personal content to be combined with the first video is correct.

만약, 제2 사용자 장치(620)에서 탐색을 수행한 결과, 사람의 얼굴 정보에 해당하는 이미지 정보가 존재하지 않거나, 추출된 이미지가 제2 사용자 장치(620)가 결합하기 원하는 제2 개인 컨텐츠가 아닌 경우, 제2 사용자 장치(620)에 별도의 제2 개인 컨텐츠에 해당하는 멀티미디어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거나 제2 사용자 장치(620)의 이미지 저장부와 같은 멀티미디어 저장부를 통해 필요한 제2 개인 컨텐츠를 추출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If, as a result of performing the search on the second user device 620, there is no imag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ace information of the person, or the extracted image is the second personal content that the second user device 620 wants to combine. If not, the second user device 620 may request and receive multimedia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ersonal content, or the second personal content required through a multimedia storage unit such as an image storage unit of the second user device 620 may be provided. It can also be extracted and used.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사용자 장치가 동영상 정보를 전송 및 수신하여 채팅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7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performing a chat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video information by a plurality of user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제1 사용자 장치는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를 기반으로 템플릿을 선택하고, 선택된 템플릿에 제1 개인 컨텐츠를 결합한 제1 동영상 정보(710)를 채팅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네트워킹 서비스를 통해 제2 사용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채팅 어플리케이션은 복수의 사용자 장치 사이에서 동영상 정보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하나의 예시이다. 채팅 어플리케이션뿐만 아니라 다른 네트워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1 서비스 장치와 제2 서비스 장치가 동영상 정보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a first user device selects a template based on a content creation service device, and transmits first video information 710 obtained by combining first personal content with the selected template through a networking service such as a chat applic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user device. Here, the chat application is an example of an application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ideo information between a plurality of user devices. The first service device and the second service device may transmit and receive video information through other network service applications as well as a chat application.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또는 제2 사용자 장치)는 수신한 제1 동영상 정보(710)를 기반으로 제1 동영상 정보(710)에 제2 개인 컨텐츠를 추가해야 할지 여부에 대해 판단할 수 있다.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device (or the second user device) may determine whether to add the second personal content to the first video information 710 based on the received first video information 710.

제1 동영상 정보(710)는 제1 사용자 장치가 결합한 제1 개인 컨텐츠만으로 완성되는 동영상 정보일 수도 있고, 제2 사용자 장치와 같은 다른 사용자 장치로부터 획득되는 제2 개인 컨텐츠를 별도로 결합하여 완성이 되는 동영상 정보일 수도 있다. 제1 동영상 정보(710)는 제1 사용자 장치가 결합한 제1 개인 컨텐츠만으로 완성되는 동영상 정보인 경우, 제2 사용자 장치는 제1 동영상 정보(710)를 그대로 수신할 수 있다. 반대로 제1 동영상 정보(710)가 제1 사용자 장치가 결합한 제1 개인 컨텐츠만으로 완성되는 동영상 정보가 아니라 제2 사용자 장치에서 제2 개인 컨텐츠를 추가하여 완성되는 동영상인 경우, 제2 사용자 장치는 제1 동영상 정보(710)를 그대로 수신하지 않고, 제2 개인 컨텐츠가 해당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특정한 표시(예를 들어, 모자이크 표시)(700)를 하여 수신할 수 있다. The first video information 710 may be video information that is completed only with first personal content combined with the first user device, or is completed by separately combining second personal content obtained from another user device such as a second user device. It may be video information. When the first video information 710 is video information completed only with first personal content combined with the first user device, the second user device may receive the first video information 710 as it is. Conversely, if the first video information 710 is not video information completed by only the first personal content combined by the first user device, but a video completed by adding the second personal content in the second user device, the second user device 1 The moving picture information 710 may not be received as it is, and a specific display (eg, mosaic display) 700 may be performed o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ersonal content.

제1 사용자 장치에 표시되는 제1 동영상 정보(710)에도 제2 개인 컨텐츠가 결합되어야 할 부분이 모자이크 처리(700)될 수 있다. In the first video information 710 displayed on the first user device, a portion to which the second personal content is to be combined may be mosaic-processed 700.

제2 사용자 장치는 템플릿 정보를 기반으로 제1 동영상 정보(710)에서 요청되는 제2 개인 컨텐츠를 판단하고 제2 개인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가 제1 동영상 정보(710)에서 요청되는 제2 개인 컨텐츠를 판단하고 제2 사용자 장치로부터 제2 개인 컨텐츠를 획득할 수도 있다.The second user device may determine the second personal content requested from the first video information 710 based on the template information and transmit information on the second personal content to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device. Alternatively,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device may determine second personal content requested from the first video information 710 and obtain second personal content from the second user device.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는 제2 개인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 후 제1 동영상(710)에 제2 개인 컨텐츠를 결합하여 제2 동영상 정보(720)를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추가된 제2 동영상 정보(720)는 제1 사용자 장치 및 제2 사용자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는 제2 개인 컨텐츠의 합성 정보만을 제1 사용자 장치 및 제2 사용자 장치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사용자 장치 및 제2 사용자 장치에서 모자이크(700)로 표시되어 있던 부분이 모자이크가 없어지면서 제2 개인 컨텐츠가 결합된 완성된 제2 동영상 정보(720)가 제1 사용자 장치 및 제2 사용자 장치로 전송될 수도 있다.The content creation service device may generate second video information 720 by combining the second personal content with the first video 710 after obtaining information on the second personal content. The added second video information 720 may be transmitted to the first user device and the second user device.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device may transmit only the synthesis information of the second personal content to the first user device and the second user device. In this case, the portion displayed as the mosaic 700 in the first user device and the second user device disappears, and the completed second video information 720 in which the second personal content is combined is displayed on the first user device and the second user device. 2 It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device.

이러한 동작은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에서 제2 개인 컨텐츠의 결합이 수행되는 되는 경우를 가정한 것이다. 제2 동영상 정보(720)을 생성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 개별 장치에서 제1 동영상 정보(710)에 제2 개인 컨텐츠를 결합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사용자 장치에서 컨텐츠 생성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선택한 제2 개인 컨텐츠를 제1 동영상 정보(710)에 직접 결합하여 제2 동영상 정보(720)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개인 컨텐츠는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를 통해 제1 사용자 장치로 전송되고, 제2 사용자 장치에서 컨텐츠 생성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제2 개인 컨텐츠를 제1 동영상 정보(710)에 결합하여 제2 동영상 정보(720)를 생성할 수 있다. 동영상 생성부는 기능상 제1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제1 개인 컨텐츠를 기반으로 동영상을 생성하는 제1 동영상 생성부 및 제2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제2 개인 컨텐츠를 기반으로 동영상을 생성하는 제2 동영상 생성부로 구분될 수 있다.This operation is assumed to be a case in which the second personal content is combined in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device. As another method of generating the second video information 720, an operation of combining the second personal content with the first video information 710 may be performed in an individual device. For example, the second personal content selected by the second user device based on the content creation application may be directly combined with the first video information 710 to generate the second video information 720. In addition, the second personal content is transmitted to the first user device through the content generation service device, and the second personal content is combined with the first video information 710 based on the content generation application in the second user device to provide a second video. Information 720 may be generated. The video generation unit functionally generates a first video generation unit that generates a video based on the first personal content received from the first user device and a second video generation unit that generates a video based on the second personal content received from the second user device It can be divided into wealth.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정보 표시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8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video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서는 제2 개인 컨텐츠가 제2 사용자 장치로부터 획득되어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가 획득된 제2 개인 컨텐츠를 기반으로 제1 동영상 정보에 존재하는 모자이크 정보를 없애고 제2 개인 컨텐츠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에 대해 개시한다.In FIG. 8, a method for displaying second personal content information by removing mosaic information from the first video information based on the second personal content obtained by the content generation service device by obtaining second personal content from a second user device About it.

도 8의 좌측을 참조하면, 제2 개인 컨텐츠는 제1 사용자 장치 또는 제2 사용자 장치가 터치를 수행한 경우 모자이크(800, 850)가 해제되면서 제1 사용자 장치와 제2 사용자 장치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2 사용자 장치가 수신한 동영상에서 모자이크 부분(850)을 터치하는 동작을 통해 제1 사용자 장치는 제2 사용자 장치가 전송한 동영상을 수신하였는지 여부에 대해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제2 사용자 장치가 제1 사용자 장치가 전송한 제1 동영상을 확인하지 않는 경우, 주기적인 진동과 같은 알람 신호를 통해 제2 사용자 장치가 수신한 동영상을 확인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left side of FIG. 8, when the first user device or the second user device performs a touch, the second personal content is displayed on the first user device and the second user device while the mosaics 800 and 850 are released. I can. In addition, through an operation of touching the mosaic part 850 in the video received by the second user device, the first user device may check whether or not the video transmitted by the second user device has been received. If the second user device does not check the first video transmitted by the first user device, the second user device may request to check the video received by the second user device through an alarm signal such as periodic vibration.

또한, 제1 사용자 장치에서 제2 사용자 장치로 전송한 제1 동영상 및 제2 개인 컨텐츠를 합성한 제2 동영상은 일정한 시간을 설정하고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 해당 데이터가 삭제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장치에서 제1 동영상을 전송 시 데이터 삭제 시간을 30초로 설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video obtained by combining the first video and the second personal content transmitted from the first user device to the second user device may be set to be deleted when a predetermined time is set and the set time elapses. . For example, when transmitting the first video from the first user device, the data deletion time may be set to 30 seconds.

이러한 경우, 제2 사용자 장치가 제1 동영상을 확인하고 제2 컨텐츠를 합성하여 동영상이 재생된 후 30초 후에 제1 동영상 및 제2 컨텐츠가 결합된 제2 동영상이 삭제될 수 있다. In this case, 30 seconds after the second user device checks the first video and synthesizes the second content to play the video, the second video to which the first video and the second content are combined may be deleted.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사용자 장치에서 동영상 정보를 송신 및 수신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moving image information in a plurality of user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에서 동영상을 생성하기 위해 수행되는 동작에 대해 개시한다. 9 shows an operation performed to generate a video in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device.

도 9를 참조하면, 제1 사용자 장치에 의해 템플릿이 선택될 수 있다(단계 S900).Referring to FIG. 9, a template may be selected by the first user device (step S900).

제1 사용자 장치는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로부터 미리 다운로드된 템플릿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제1 사용자 장치가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에서 템플릿이 저장된 템플릿 풀을 탐색하여 개인 컨텐츠를 합성하고자 하는 템플릿을 선택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템플릿에는 해쉬 태그가 매핑되어 있고, 제1 사용자 장치에서 입력된 정보와 템플릿의 해쉬 태그를 매칭하여 제1 사용자 장치로 템플릿을 제공할 수 있다. 템플릿은 복수개가 선택될 수 있고, 복수개의 템플릿이 순서를 정하여 배열되어 하나의 동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The first user device may use a template previously downloaded from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device. Alternatively, the first user device may select a template for synthesizing personal content by searching a template pool in which the template is stored in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device. As described above, a hash tag is mapped to the template, and the template may be provided to the first user device by matching information input from the first user device with the hash tag of the template. A plurality of templates may be selected, and a plurality of templates may be arranged in order to generate a single video.

제1 사용자 장치에 의해 선택된 템플릿 정보에 제1 개인 컨텐츠를 결합하여 제1 동영상이 생성된다(단계 S910).A first video is generated by combining the first personal content with the template information selected by the first user device (step S910).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개인 컨텐츠는 제1 사용자 장치에 미리 등록 또는 저장된 정보(예를 들어, 제1 사용자 장치의 프로필 정보)로부터 추출되어 생성될 수 있다. 또는,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가 템플릿에서 요청되는 개인 컨텐츠 정보를 판단하여 별도의 제1 개인 컨텐츠를 제1 사용자 장치로 요청할 수도 있다.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는 제1 개인 컨텐츠 및 템플릿을 결합하여 제1 동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템플릿에 제1 개인 컨텐츠가 결합되기 위한 위치 정보 내지 제1 개인 컨텐츠의 사이즈 정보와 같은 제1 개인 컨텐츠를 템플릿에 결합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가 존재할 수 있다.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는 제1 개인 컨텐츠를 템플릿에 결합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기반으로 제1 개인 컨텐츠를 결합하여 제1 동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동영상을 생성하는 동작은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가 아닌 제1 사용자 장치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장치에 설치된 컨텐츠 생성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1 개인 컨텐츠를 결합하여 제1 동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personal content may be generated by being extracted from information registered or stored in advance in the first user device (eg, profile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device). Alternatively,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device may request separate first personal content from the first user device by determining personal content information requested from the template. The content generation service device may generate a first video by combining the first personal content and the template. As described above, information necessary for combining the first personal content to the template, such as location information for combining the first personal content to the template or size information of the first personal content, may be present.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device may generate a first video by combining the first personal content based on information necessary to combine the first personal content with the template. 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of generating the first video may be performed in a first user device other than a content creation service device. For example, a first video may be generated by combining first personal content through a content generation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first user device.

만약, 제1 동영상에 제2 개인 컨텐츠의 결합이 필요한 경우, 제1 동영상에서 제2 컨텐츠에 해당하는 부분은 모자이크 표시와 같이 특정한 표시가 되어 생성될 수 있다.If it is necessary to combine the second personal content with the first video,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ntent in the first video may be generated as a specific display such as a mosaic display.

제1 동영상이 제2 사용자 장치로 전송된다(단계 S920).The first video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user device (step S920).

단계 S910을 기반으로 생성된 제1 동영상은 제2 사용자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The first video generated based on step S910 may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user device.

제2 사용자 장치로 전송되는 제1 동영상도 제2 개인 컨텐츠에 해당하는 부분은 모자이크 표시와 같이 특정한 표시가 될 수 있다.In the first video transmitted to the second user device,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ersonal content may be a specific display such as a mosaic display.

제2 개인 컨텐츠가 필요한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단계 S930).It may be determined whether or not second personal content is required (step S930).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에 의해 제1 동영상에 포함된 템플릿을 기반으로 추가적으로 제2 개인 컨텐츠가 필요한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second personal content is additionally required based on a template included in the first video by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device.

제1 동영상에 제2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을 해야 할 제2 개인 컨텐츠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2 사용자 장치는 수신된 제1 동영상을 그대로 표시할 수 있다.If the second personal content to be received from the second user device does not exist in the first video, the second user device may display the received first video as it is.

제1 동영상에 제2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을 해야 할 제2 개인 컨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제2 사용자 장치로부터 제2 개인 컨텐츠를 획득하여 제2 동영상이 생성될 수 있다(단계 S940). When second personal content to be received from the second user device exists in the first video, a second video may be generated by obtaining second personal content from the second user device (step S940).

제2 개인 컨텐츠는 제2 사용자 장치에 미리 등록 또는 저장된 정보(예를 들어, 제2 사용자 장치의 프로필 정보)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또는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가 템플릿에서 요청되는 개인 컨텐츠 정보를 판단하여 제2 개인 컨텐츠를 제2 사용자 장치로 요청할 수도 있다.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는 제2 개인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고, 제2 개인 컨텐츠 및 템플릿을 결합하여 제2 동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제2 개인 컨텐츠 및 템플릿을 결합하여 제2 동영상을 생성하는 동작은 제2 사용자 장치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제2 동영상이 생성되는 경우 모자이크로 가려졌던 부분이 제2 개인 컨텐츠로 표시될 수 있다.The second personal content may be extracted from information registered or stored in advance in the second user device (eg, profile information of the second user device). Alternatively,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device may request second personal content from the second user device by determining personal content information requested from the template. The content generation service device may receive the second personal content information, and may generate a second video by combining the second personal content and the template. The operation of generating the second video by combining the second personal content and the template may be performed in the second user device. When a second video is generated, a portion covered by a mosaic may be displayed as second personal content.

제2 개인 컨텐츠 또는 제2 동영상이 제1 사용자 장치로 전송된다(단계 S950).The second personal content or the second video is transmitted to the first user device (step S950).

제2 사용자 장치로부터 획득된 제2 개인 컨텐츠에 대한 정보가 제1 사용자 장치로 전송되어 제2 동영상이 생성되도록 하거나, 제2 동영상이 제1 사용자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제1 사용자 장치는 기존에 생성된 제1 동영상에 제2 개인 컨텐츠가 추가적으로 결합된 제2 동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Information on the second personal content obtained from the second user device may be transmitted to the first user device to generate a second video, or the second video may be transmitted to the first user device. The first user device may acquire second video information in which second personal content is additionally combined with the previously generated first video.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동영상 또는 제2 동영상을 삭제하기 위한 시간이 제1 사용자 장치에 설정된 경우, 제1 사용자 장치의 설정에 따라 제1 동영상 또는 제2 동영상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삭제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time for deleting the first video or the second video is set in the first user device,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device may store data corresponding to the first video or the second video according to the setting of the first user device. You can also delete it.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는 추가적으로 사용자 장치에서 생성되어 업로드된 템플릿를 수신할 수 있고, 템플릿에 매핑된 해쉬 태그를 기반으로 템플릿을 다양한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다.The content creation service device may additionally receive a template generated by the user device and uploaded, and may classify the template into various categories based on a hash tag mapped to the template.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을 생성하는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10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content creation service device for generating a vide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는 템플릿 저장부(1000), 템플릿 분류부(1010), 템플릿 탐색부(1020), 개인 컨텐츠 획득부(1030), 동영상 생성부(1040), 삭제 시간 설정부(1050), 통신부(1060) 및 프로세서(107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device includes a template storage unit 1000, a template classification unit 1010, a template search unit 1020, a personal content acquisition unit 1030, a video generation unit 1040, and a deletion time setting. A unit 1050, a communication unit 1060, and a processor 1070 may be included.

도 10에 개시된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는 도 1 내지 도 9에서 전술한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에 포함된 각 구성부의 동작은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ntent generation service device disclosed in FIG. 10 may perform the operation of the content generation service device described above in FIGS. 1 to 9.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device may perform, for example, the following operation.

템플릿 저장부(1000)는 개인 컨텐츠를 합성하기 위한 다양한 템플릿이 저장된 템플릿 풀일 수 있다. 템플릿 저장부(1000)에는 템플릿의 해쉬 태그 정보를 기반으로 탬플릿이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템플릿 저장부(1000)에는 템플릿이 해쉬 태그 정보를 기반으로 카테고리화되어 저장될 수 있다.The template storage unit 1000 may be a template pool in which various templates for synthesizing personal content are stored. The template may be classified and stored in the template storage unit 1000 based on hash tag information of the template. In addition, templates may be categorized and stored in the template storage unit 1000 based on hash tag information.

템플릿 분류부(1010)는 다양한 템플릿을 분류하여 저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템플릿 분류부(1010)는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에 새롭게 등록되는 템플릿의 해쉬 태그 정보를 기반으로 템플릿을 분류하여 템플릿 저장부(1000)에 저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The template classification unit 1010 may be implemented to classify and store various templates. The template classifying unit 1010 may be implemented to classify a template based on hash tag information of a template newly registered in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device and store it in the template storage unit 1000.

템플릿 탐색부(1020)는 사용자 장치가 입력한 템플릿 검색 정보를 기반으로 탬플릿 저장부(1000)에 저장된 탬플릿을 탐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템플릿 탐색부(1020)는 해쉬 태그를 기반으로 사용자 장치가 입력한 템플릿 검색 정보와 대응되는 템플릿을 탐색하여 사용자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The template search unit 1020 may be implemented to search for a template stored in the template storage unit 1000 based on template search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device. The template search unit 1020 may search for a template corresponding to the template search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device based on the hash tag and provide it to the user device.

개인 컨텐츠 획득부(1030)는 템플릿에 따른 개인 컨텐츠를 획득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템플릿이 제1 사용자 장치의 제1 개인 컨텐츠 및 제2 사용자 장치의 제2 개인 컨텐츠가 필요한 템플릿인 경우, 제1 사용자 장치 및 제2 사용자 장치로부터 제1 개인 컨텐츠 및 제2 개인 컨텐츠를 획득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개인 컨텐츠 획득부(1030)는 미리 저장 또는 등록된 사용자 장치의 프로필 정보를 기반으로 개인 컨텐츠를 획득하거나 별도의 개인 컨텐츠를 제1 사용자 장치 및 제2 사용자 장치로 요청하여 개인 컨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The personal content acquisition unit 1030 may be implemented to acquire personal content according to a template. When the template is a template that requires the first personal content of the first user device and the second personal content of the second user device, implementation to obtain the first personal content and the second personal content from the first user device and the second user device Can be. The personal content acquisition unit 1030 may acquire personal content based on profile information of a user device that is previously stored or registered, or may obtain personal content by requesting separate personal content from the first user device and the second user device. .

동영상 생성부(1040)는 사용자 장치에 의해 선택된 템플릿과 개인 컨텐츠 획득부(1030)를 통해 각각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획득된 개인 컨텐츠를 결합하여 동영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동영상 생성부(1040)는 개인 컨텐츠가 아직 결합되지 않은 동영상에 대해서는 개인 컨텐츠가 결합될 부분에 모자이크 표시를 하여 동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동영상 생성부(1040)는 제1 사용자 장치 및 제2 사용자 장치에 별도로 구현되어 제1 사용자 장치 및 제2 사용자 장치에서 동영상을 생성할 수도 있다. 동영상 생성부는 기능상 제1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제1 개인 컨텐츠를 기반으로 동영상을 생성하는 제1 동영상 생성부 및 제2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제2 개인 컨텐츠를 기반으로 동영상을 생성하는 제2 동영상 생성부로 구분될 수 있다.The video generation unit 1040 may generate video information by combining the template selected by the user device and personal content obtained from each user device through the personal content acquisition unit 1030. The video generation unit 1040 may generate a video by displaying a mosaic on a portion to which personal content is to be combined with respect to a video in which personal content has not yet been combined. The moving picture generator 1040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in the first user device and the second user device to generate a moving picture in the first user device and the second user device. The video generation unit functionally generates a first video generation unit that generates a video based on the first personal content received from the first user device and a second video generation unit that generates a video based on the second personal content received from the second user device It can be divided into wealth.

통신부(1060)는 동영상 생성부(1040)에 의해 생성된 동영상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로부터 개인 컨텐츠를 수신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060 may be implemented to transmit moving imag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moving image generating unit 1040. In addition, it may be implemented to receive personal content from a user device.

또한,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는 알람 신호 생성부(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제1 사용자 장치 및 제2 사용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치가 제2 동영상을 확인하지 않은 경우, 제2 동영상 정보를 확인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치로 제2 동영상을 확인하라는 알람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ent generation service device further includes an alarm signal generator (not shown) to check the second video information when at least one of the first user device and the second user device does not check the second video. Alarm information for checking the second video may be generated with at least one user device that has not been performed.

프로세서(1070)는 템플릿 저장부(1000), 템플릿 분류부(1010), 템플릿 탐색부(1020), 개인 컨텐츠 획득부(1030), 동영상 생성부(1040), 삭제 시간 설정부(1050), 통신부(106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The processor 1070 includes a template storage unit 1000, a template classification unit 1010, a template search unit 1020, a personal content acquisition unit 1030, a video generation unit 1040, a deletion time setting unit 1050, and a communication unit. It may be implement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106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사용자 장치를 기반으로 동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며,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컴퓨터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 등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동영상 컨텐츠 생성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A method of generating a moving picture based on a plurality of user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written in a computer program, and codes and code segments constituting a computer program can be easily inferred by a computer programmer in the field. have. In addition, the computer program is stored in a computer readable media, and is read and executed by a computer, a us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ntent generation service device, thereby providing a video content generation service. Can be implemented.

정보저장매체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및 캐리어 웨이브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사용자 장치를 기반으로 동영상을 생성하는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 복수의 사용자 장치를 기반으로 동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사용자 장치 등의 내장 메모리에 저장 및 설치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사용자 장치를 기반으로 동영상을 생성하는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 복수의 사용자 장치를 기반으로 동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 및 설치한 스마트 카드 등의 외장 메모리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장치 등에 장착될 수도 있다.Information storage media include magnetic recording media, optical recording media, and carrier wave medi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tent creation service device for generating a video based on a plurality of user devices, and a computer program for implementing a method for generating a video based on a plurality of user devices are stored in an internal memory such as a user device, and Can be installed. Alternatively, a content generation service device that generates a video based on a plurality of user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mart card storing and installing a computer program that implements a method of creating a video based on a plurality of user devices, etc. The external memory of may be mounted on a user device or the like through an interface.

전술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contents may be modified and modif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the technical idea,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복수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개인 컨텐츠를 획득하여 미리 저장된 템플릿에 결합하여 복수의 사용자가 개별 개인 컨텐츠를 기반으로 생성한 동영상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복수의 사용자 간에 다양한 동영상 컨텐츠를 생성 및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개인 컨텐츠는 사용자 장치에서 별도로 촬상될 수도 있으나 사용자 장치에서 미리 저장된 프로필 정보를 기반으로 이미지에서 객체를 추출함으로써 획득될 수도 있어, 사용자 장치의 추가적인 선택 없이도 개인 컨텐츠가 획득할 수 있다. 또한, 개인 컨텐츠와 템플릿을 결합함에 있어 개인 컨텐츠를 결합할 개인 컨텐츠의 결합 위치 및 개인 컨텐츠의 크기를 매핑하여 개인 컨텐츠를 결합하는데 사용함으로써 자연스럽게 개인 컨텐츠를 템플릿에 결합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생성된 동영상을 설정된 시간 내에 삭제함으로써 생성된 동영상에 포함된 개인 정보를 보호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obtains personal content from a plurality of user devices and combines it with a pre-stored template to allow a plurality of users to share a video created based on individual personal content, thereby generating and sharing various video content between a plurality of users. Make it possible. Personal content may be separately captured by the user device, but may be acquired by extracting an object from an image based on profile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user device, and thus personal content may be acquired without additional selection of the user device. In addition, in combining the personal content and the template, the personal content can be naturally combined with the template by mapping the location of the personal content to be combined with the personal content and the size of the personal content and using it to combine the personal conten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generated video by deleting the generated video within a set time.

100: 사용자 장치 150: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
200: 템플릿 풀 210: 제1 카테고리
220: 제2 카테고리 300: 프로필 정보
400: 템플릿 410: 제1 영상
420: 제2 영상 430: 제3 영상
610: 제1 사용자 장치 620: 제2 사용자 장치
1000: 템플릿 저장부 1010: 템플릿 분류부
1020: 템플릿 탐색부 1030: 개인 컨텐츠 획득부
1040: 동영상 생성부 1050: 삭제 시간 설정부
1060: 통신부 1070: 프로세서
100: user device 150: content creation service device
200: template pool 210: first category
220: second category 300: profile information
400: template 410: first image
420: second image 430: third image
610: first user device 620: second user device
1000: template storage unit 1010: template classification unit
1020: template search unit 1030: personal content acquisition unit
1040: video generation unit 1050: deletion time setting unit
1060: communication unit 1070: processor

Claims (12)

제1 사용자 장치로부터 제1 동영상을 생성하기 위해 선택된 선택 템플릿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선택 템플릿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사용자 장치로부터 제1 개인 컨텐츠를 획득하고, 상기 제1 개인 컨텐츠를 상기 선택된 템플릿과 결합하여 제1 동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제1 동영상을 상기 제1 사용자 장치 및 제2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제1 동영상 생성부;
상기 선택된 템플릿에 제2 개인 컨텐츠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제2 개인 컨텐츠가 필요한 경우, 상기 제2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2 개인 컨텐츠를 획득하고, 상기 제2 개인 컨텐츠를 상기 제1 동영상과 결합하여 제2 동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제2 동영상을 상기 제1 사용자 장치 및 상기 제2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제2 동영상 생성부; 및
상기 제1 개인 컨텐츠를 상기 제1 사용자 장치로부터 획득하고 상기 제2 개인 컨텐츠를 상기 제2 사용자 장치로부터 획득하는 개인 컨텐츠 획득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사용자 장치를 기반으로 동영상을 생성하는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
Receive information on a selection template selected to generate a first video from a first user device, obtain first personal content from the first user device based on the selection template, and select the first personal content A first moving picture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 first moving picture by combining with a template and transmitting the first moving picture to the first user device and the second user device;
Determine whether the selected template requires second personal content, if the second personal content is needed, obtain the second personal content from the second user device, and combine the second personal content with the first video A second moving picture generator configured to generate a second moving picture and transmit the second moving picture to the first user device and the second user device; And
A content creation service device for generating a video based on a plurality of user devices including a personal content acquisition unit acquiring the first personal content from the first user device and acquiring the second personal content from the second user devic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영상은 상기 제2 개인 컨텐츠에 해당하는 부분이 특정한 문양으로 가려져서 생성된 동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사용자 장치를 기반으로 동영상을 생성하는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video is a content creation service device for generating a video based on a plurality of user devices, wherein the first video is a video generated by covering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ersonal content with a specific pattern.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동영상 생성부는, 상기 제1 사용자 장치 및 상기 제2 사용자 장치에 의해 상기 특정한 문양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특정한 문양이 상기 제2 개인 컨텐츠로 표시되도록 저용량 데이터의 상기 제2 개인 컨텐츠 정보를 우선 전송하고 상기 저용량 데이터를 제외한 나머지 제2 개인 컨텐츠 정보의 데이터를 추가적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사용자 장치를 기반으로 동영상을 생성하는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n the specific pattern is selected by the first user device and the second user device, the second video generation unit may generate the second personal content information of low-volume data so that the specific pattern is displayed as the second personal content. A content creation service device for generating a video based on a plurality of user devices, characterized in that first transmitting and additionally transmitting data of second personal content information other than the low-capacity data.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인 컨텐츠 및 상기 제2 개인 컨텐츠를 결합하기 위한 복수의 템플릿을 저장하는 템플릿 저장부; 및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템플릿 탐색 정보와 상기 복수의 템플릿에 매핑된 상기 복수의 템플릿의 컨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해쉬 태그를 비교하여 상기 템플릿 탐색 정보에 매칭되는 매칭 템플릿을 탐색하고 상기 매칭 템플릿을 상기 제1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제1 사용자 장치가 상기 선택 템플릿을 결정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템플릿 탐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사용자 장치를 기반으로 동영상을 생성하는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template storage unit that stores a plurality of templates for combining the first personal content and the second personal content; And
By comparing the template search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device with a hash tag for identifying the contents of the plurality of templates mapped to the plurality of templates, a matching template matching the template search information is searched, and the matching template 1 A content creation service device for generating a moving picture based on a plurality of user devices, further comprising a template search unit that is transmitted to a user device and implemented so that the first user device can determine the selection templa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40010404A 2014-01-28 2014-01-28 Video producing service device based on contents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user equipments, video producing method based on contents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user equipment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for KR1021675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404A KR102167588B1 (en) 2014-01-28 2014-01-28 Video producing service device based on contents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user equipments, video producing method based on contents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user equipment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for
PCT/KR2014/010557 WO2015115720A1 (en) 2014-01-28 2014-11-05 Content generating service device for generating video on basis of plurality of user devices, method for generating video on basis of plurality of user devices, and recording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404A KR102167588B1 (en) 2014-01-28 2014-01-28 Video producing service device based on contents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user equipments, video producing method based on contents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user equipment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f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0351A KR20150090351A (en) 2015-08-06
KR102167588B1 true KR102167588B1 (en) 2020-10-19

Family

ID=53757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0404A KR102167588B1 (en) 2014-01-28 2014-01-28 Video producing service device based on contents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user equipments, video producing method based on contents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user equipment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fo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67588B1 (en)
WO (1) WO2015115720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89281B2 (en) 2018-11-27 2021-08-10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Volumetric video creation from user-generated content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79353B1 (en) * 1991-07-17 1997-01-03 Bull Sa METHOD FOR LAYING UP STRUCTURED DOCUMENTS.
KR20040042248A (en) * 2002-11-13 2004-05-20 (주)모빅 Method for designation the living time for the e-mail or electrical message containing multimedia data transferred via some network, system thereof and advertising method using the method and system
KR20060104515A (en) * 2005-03-30 2006-10-09 삼성전자주식회사 Multimedia albume form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scanner
KR20090072569A (en) * 2007-12-28 2009-07-02 주식회사 국민은행 Risk management system
KR100956768B1 (en) 2008-07-15 2010-05-11 김승숙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composed moving picture
KR101097592B1 (en) * 2009-09-30 2011-12-22 이성도 Method of providing video message making service
KR20130005904A (en) * 2011-07-07 2013-01-16 김현우 Online album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smart device
KR101356636B1 (en) * 2012-02-28 2014-02-03 김상국 System and method for horse riding simul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0351A (en) 2015-08-06
WO2015115720A1 (en) 2015-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8260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tion and matching of objects depicted in images
CN110300909B (en) Systems, methods, and media for displaying an interactive augmented reality presentation
CN107924414B (en) Personal assistance to facilitate multimedia integration and story generation at a computing device
US9922461B2 (en) Reality augmenting method, client device and server
CN110716645A (en) Augmented reality data presentation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09472365A (en) Network is fought to refine generated data by production using auxiliary input
JP2016521882A5 (en)
US20160041981A1 (en) Enhanced cascaded object-related content provision system and method
US20180260479A1 (en) Method, apparatus,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for picture book recognition
US20140289323A1 (en) Knowledge-information-processing server system having image recognition system
KR20150103266A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using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to provide augmented reality
CN104969205A (en) System for adaptive selection and presentation of context-based media in communications
KR20230162977A (en) Interactive augmented reality content including face compositing
US20190244431A1 (en)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producing augmented reality
KR20170125618A (en) Method for generating content to be displayed at virtual area via augmented reality platform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CN113806306B (en) Media file processing method, device, equipment, readable storage medium and product
CN115867905A (en) Augmented reality based speech translation in travel situations
CN113906413A (en) Contextual media filter search
KR102135287B1 (en) Video producing service device based on private contents, video producing method based on private content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for
KR102167588B1 (en) Video producing service device based on contents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user equipments, video producing method based on contents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user equipment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for
CN116580707A (en)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action video based on voice
CN104978389A (en) Method, system, and client for content management
Shin et al. Enriching natural monument with user-generated mobile augmented reality mashup
JP7027524B2 (en) Processing of visual input
CN112487858A (en) Video generation method and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