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6966B1 -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state information of wireless terminal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state information of wireless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6966B1
KR102166966B1 KR1020130117929A KR20130117929A KR102166966B1 KR 102166966 B1 KR102166966 B1 KR 102166966B1 KR 1020130117929 A KR1020130117929 A KR 1020130117929A KR 20130117929 A KR20130117929 A KR 20130117929A KR 102166966 B1 KR102166966 B1 KR 102166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terminal
hlr
message
atm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79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39401A (en
Inventor
김병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7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6966B1/en
Publication of KR20150039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940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6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696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4Registration at HLR or HSS [Home Subscriber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상태 정보 전송 방법이 제공되며, 무선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무선 단말의 Regi 메세지에 기반한 ATM(AnyTime Modification) 메세지를, HLR(Home Location Register)를 향해 전송하는 단계, HLR 또는 IGW(INTEGRATED GATEWAY)로부터 ATM 메세지에 대한 등록 오류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등록 오류 응답을 저장하는 단계, 무선 단말의 기 설정된 이벤트를 수신하는 단계, 및 기 설정된 이벤트에 기초하여 ATM 메세지를 HLR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status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is provided, and transmitting an ATM (AnyTime Modification) message based on the Regi message of the wireless terminal receiv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to the Home Location Register (HLR), and ATM from HLR or IGW (INTEGRATED GATEWAY). When receiving a registration error response to the message, storing the registration error response, receiving a preset event of the wireless terminal, and transmitting an ATM message to the HLR based on the preset event.

Figure R1020130117929
Figure R1020130117929

Description

무선 단말의 상태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STATE INFORMATION OF WIRELESS TERMINAL}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tatus information of a wireless terminal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STATE INFORMATION OF WIRELESS TERMINAL}

본 발명은 무선 단말의 상태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태 정보 복구를 위하여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태 정보를 재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tate information of a wireless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transmitting state information when a predetermined condition for state information recovery is satisfied.

최근 스마트 패드나 타블렛 PC, 스마트 폰과 같은 무선 단말(UE)의 보급이 증가하면서 3G보다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데이터 망을 이용하는 무선 단말이 늘어나고 있다. Recently, as the spread of wireless terminals (UEs) such as smart pads, tablet PCs, and smart phones is increasing, wireless terminals using data networks are increasing in order to receive better services than 3G.

이때, 무선 단말에서 상태 정보를 등록하는 방법은 이동국 식별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10-0047471호(2010.05.10 공개)에는, 무선 단말에서 위치 등록이 실패한 경우 이동국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위치 등록을 재시도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method of registering state information in the wireless terminal is performed by using the mobile st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is regar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0-0047471 (published on May 10, 2010), which is a prior art, discloses a method of automatically retrying location registration by using mobile st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en location registration fails in a wireless terminal.

다만, 무선 단말은 자신의 상태 정보가 바뀌는 경우, 자신의 상태 정보를 HLR로 알려줄 수 있는데, IGW 장애 등의 비정상적 상황에서 무선 단말의 상태 정보 전달이 실패할 경우, HLR과 TAS의 상태 불일치가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무선 단말의 정상적인 통화가 불가능할 수 있다.However, if the wireless terminal changes its status information, it can inform the HLR of its status information.If the delivery of status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fails in an abnormal situation such as an IGW failure, a status mismatch between the HLR and the TAS may occur. In this case, it may be impossible to make a normal call of the wireless terminal.

한국공개특허 제2010-0047471호(2010.05.10 공개)에는 "이동 단말기에서 위치 등록 실패시 처리 방법"이 공개되어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0-0047471 (published on May 10, 2010) discloses a "processing method when a location registration fails in a mobile termin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TAS에서 HLR로의 상태 정보 전송이 실패하면 에러 응답을 플래그로 저장하고, 기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을 조건으로 무선 단말의 상태 변경 정보를 재전송함으로써, 메세지 재전송 시점을 분산시켜 TAS의 과부하를 막고, TAS의 불필요한 메세지 재전송을 방지할 수 있는 상태 정보 전송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ransmission of status information from the TAS to the HLR fails, the error response is stored as a flag, and the status change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is retransmitted under the condition that a preset event occurs, thereby distributing the timing of message retransmission.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tatus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that can prevent TAS overload and prevent unnecessary message retransmission of TAS. However,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 a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무선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무선 단말의 Regi 메세지에 기반한 ATM(AnyTime Modification) 메세지를, HLR(Home Location Register)를 향해 전송하는 단계, HLR 또는 IGW(INTEGRATED GATEWAY)로부터 ATM 메세지에 대한 등록 오류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등록 오류 응답을 저장하는 단계, 무선 단말의 기 설정된 이벤트를 수신하는 단계, 및 기 설정된 이벤트에 기초하여 ATM 메세지를 HLR로 재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an ATM (AnyTime Modification) message based on the Regi message of the wireless terminal receiv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to a Home Location Register (HLR). When receiving a registration error response for an ATM message from HLR or IGW (INTEGRATED GATEWAY), storing the registration error response, receiving a preset event of the wireless terminal, and ATM based on a preset event And retransmitting the message to the HLR.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메세지 재전송 시점을 분산시켜 TAS의 과부하를 막고, TAS의 불필요한 메세지 재전송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overload of the TAS by distributing the timing of message retransmissions and prevent unnecessary message retransmission of the TA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네트워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의 상태 정보 전송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데이터 네트워크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데이터 네트워크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 정보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data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status information of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iagram show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components included in the data network system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components included in the data network system of FIG.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transmitting status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no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any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네트워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데이터 네트워크 시스템(1)은 UE(User Equipment, 100), eNB(Evolved Node B, 200), SGW(Serving Gateway, 300),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310), HLR(Home Location Register, 330), IGW(Integrated Gateway, 350), PGW(PDN Gateway, 400), CSCF(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500), TAS(Telephony Application Server, 600), PCRF(Policy and Charging Rules Function, 700), SPR(Subscriber Profile Repository, 810), OFCS(Offline Charging System, 820), OCS(Online Charging System, 830), PDN(Public Data Network, 9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의 데이터 네트워크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data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1, the data network system 1 is UE (User Equipment, 100), eNB (Evolved Node B, 200), SGW (Serving Gateway, 300), 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 310), HLR (Home Location Register, 330), IGW (Integrated Gateway, 350), PGW (PDN Gateway, 400), CSCF (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500), TAS (Telephony Application Server, 600), PCRF (Policy and Charging Rules Function, 700) ), SPR (Subscriber Profile Repository, 810), OFCS (Offline Charging System, 820), OCS (Online Charging System, 830), and PDN (Public Data Network, 900). However, since the data network system 1 of FIG. 1 is onl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ly interpreted through FIG. 1.

UE(100)는 사용자 단말일 수 있다. 이때, UE(100)는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UE(100)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DN(900)에 접속가능한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UE 100 may be a user terminal. In this case, the UE 100 may be implemented as a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e UE 100 is, for exampl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guarantees portability and mobility, and all kinds of devices such as a smartphone, a smart pad, a tablet PC, etc.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PDN 900 It may include a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eNB(200)는 LTE 기지국일 수 있으며, UE(100)와 LTE 네트워크 간의 무선 연결을 제공하는 장치일 수 있다. 즉, eNB(200)는 SGW(300)와 UE(100) 간을 연결할 수 있고, UE(100)의 핸드오버를 관리할 수 있다. 이때, eNB(200)와 UE(100)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eNB 200 may be an LTE base station, and may be a device that provides a wireless connection between the UE 100 and an LTE network. That is, the eNB 200 may connect between the SGW 300 and the UE 100 and manage handover of the UE 100. At this time, the eNB 200 and the UE 100 may be wirelessly connected.

SGW(300)는 3GPP/E-UTRAN 간의 UE(100) 이동을 제어하고, eNB(200)의 UE(100)에 대한 핸드오버시 앵커링(Anchoring)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eNB(200)로부터 다른 하나의 eNB(200)로 UE(100)가 핸드오버되는 경우, SGW(300)를 축으로 UE(100)의 핸드오버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SGW(300)는 Intra-LTE 모빌리티(Mobility)에서 앵커 포인트(Anchor Point)로 동작할 수 있다.The SGW 300 may control the movement of the UE 100 between 3GPP/E-UTRAN and may perform anchoring during handover of the eNB 200 to the UE 100. For example, when the UE 100 is handed over from one eNB 200 to another eNB 200, handover of the UE 100 may occur around the SGW 300. Accordingly, the SGW 300 may operate as an anchor point in intra-LTE mobility.

MME(310)는 eNB(200)와 SGW(300) 간의 신호를 제어하고, 라우팅을 결정할 수 있으며, UE(100)를 인증(Authentication)할 수 있다. 이때, MME(310)의 인증 프로토콜은 EPS-AKA일 수 있고, UE(100)를 인증하기 위한 키 정보는 HLR(330)에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MME(310)는 키 정보를 HLR(330)로부터 수신하여 UE(10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MME(310)는 EPS 베어러를 관리할 수 있다. 이때, EPS 베어러(Bearer)는 예를 들어, UE(100)와 PGW(400) 간(UE(100)-eNB(200)-SGW(300)-PGW(400)) 간에 생성되는 논리적인 터널일 수 있는데, MME(310)는 그 터널의 생성, 변경 및 해제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EPS 베어러는 UE(100) 당 하나만 생성되지 않고 각 서비스 특성에 따라 복수개가 생성될 수 있고, 다양한 종류의 트래픽, 즉 IP 플로우(Flow)가 EPS 베어러에 존재할 수 있다. 그리고, MME(310)는 가입자의 모빌리티(Mobility) 상태를 관리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현재 UE(100)가 데이터 네트워크 시스템(1)에 접속하고 있는지, 또는 접속하고 있다면 인터넷을 사용하는지 또는 사용하고 있지 않은지(Idle State) 등을 관리할 수 있다.The MME 310 may control a signal between the eNB 200 and the SGW 300, determine routing, and may authenticate the UE 100. In this case, the authentication protocol of the MME 310 may be EPS-AKA, and key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the UE 100 may be stored in the HLR 330. Accordingly, the MME 310 may receive key information from the HLR 330 and perform authentication for the UE 100. In addition, the MME 310 may manage the EPS bearer. In this case, the EPS bearer is, for example, a logical tunnel created between the UE 100 and the PGW 400 (UE (100)-eNB (200)-SGW (300)-PGW (400))). However, the MME 310 may control the creation, change, and release of the tunnel. In addition, not only one EPS bearer is generated per UE 100, but a plurality of EPS bearers may be generated according to service characteristics, and various types of traffic, that is, IP flows, may exist in the EPS bearer. And, the MME 310 can manage the mobility state of the subscriber. For example, whether the UE 100 is currently connected to the data network system 1, or if it is connected, whether or not the Internet is used or You can manage the Idle State.

HLR(330)은 UE(100)별로 인증을 위한 키 정보와, 가입자 프로파일, 가입자 위치 정보 등을 보유하고 있는 LTE 네트워크의 중앙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다. 이때, 가입자 프로파일은 각 가입자가 가입한 서비스 상품에 맞는 QoS(Quality of Service) 등급 정보, 예를 들어 우선 순위, 최대 사용 가능 대역폭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HLR 330 may be a central database of an LTE network that holds key information for authentication, subscriber profile, and subscriber location information for each UE 100. In this case, the subscriber profile may include information on quality of service (QoS) grade information suitable for a service product subscribed to by each subscriber, for example, priority, maximum usable bandwidth, and the like.

IGW(350)는 HLR(330)과 TAS(600)를 연결하기 위한 게이트웨이일 수 있다. 이때, IGW(350)가 고장 등으로 연결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는 경우, HLR(330)과 TAS(600)의 상태 불일치가 발생하여, UE(100)의 정상 통화가 불가능할 수 있다.The IGW 350 may be a gateway for connecting the HLR 330 and the TAS 600. In this case, when the IGW 350 fails to provide a connection function due to a failure or the like, a state mismatch between the HLR 330 and the TAS 600 may occur, and thus the UE 100 may not be able to make a normal call.

PGW(400)는 UE(100)에 IP 주소를 할당할 수 있다. 이때, IP 주소는 DHCP 프로토콜이 아닌 3GPP에서 규정한 UE(100) 접속 절차를 통하여 할당될 수 있다. 또한, PGW(400)는 SGW(300)에 대한 앵커링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100)가 이동중에 하나의 SGW(300)에서 다른 하나의 SGW(300)로 변경되는 경우, PGW(400)가 앵커링 포인트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PGW(400)는 UE(100)별로 서로 다른 QoS 정책을 적용할 수 있고, UE(100)별로 어카운팅 데이터(Accounting Data)를 관리할 수 있다. 이때, 어카운팅 데이터는 예를 들어 상하향 트래픽 양, 접속 시간 등일 수 있으며, PGW(400)는 어카운팅 데이터를 CDR(Charging Data Record) 형태로 OFCS(820)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어카운팅 데이터를 통하여 각 가입자별로 언제 접속했고, 얼마나 데이터를 사용했으며, 얼마나 접속했는지의 로그를 알 수 있으며, PGW(400)는 이를 모두 생성 및 관리하여 OFCS(8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PGW(400)는 PCRF(700)로부터 UE(100)에 대한 정책과 과금을 수신할 수 있다. The PGW 400 may allocate an IP address to the UE 100. In this case, the IP address may be allocated through the UE 100 access procedure specified by 3GPP, not the DHCP protocol. In addition, the PGW 400 may perform anchoring on the SGW 300. For example, when the UE 100 changes from one SGW 300 to another SGW 300 while moving, the PGW 400 may serve as an anchoring point. In addition, the PGW 400 may apply different QoS policies for each UE 100 and may manage accounting data for each UE 100. In this case, the accounting data may be, for example, an amount of uplink and downlink traffic, an access time, and the like, and the PGW 400 may transmit the accounting data to the OFCS 820 in the form of a charging data record (CDR).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know a log of when each subscriber has accessed, how much data, and how much access has been made through the accounting data, and the PGW 400 can generate and manage all of them and transmit them to the OFCS 820. In addition, the PGW 400 may receive a policy and billing for the UE 100 from the PCRF 700.

CSCF(500)는 호 처리에 관련된 부분 담당하는 기능으로 ICGW(Incoming CAll GateWay)와 CCF(CAll Control Function), SPD(Serving Profile Database), AH(Address handling)으로 구성된다. ICGW는 첫 진입점(entry point)로 동작하며 입력호에 대한 라우팅을 수행한다. 또한 호 스크리닝(screening) 및 포워딩과 같은 입력호에 대한 서비스 서비스 트리거링(triggering)을 수행하며 AH에 대한 질의, HSS와의 통신을 담당한다. CCF는 호의 설정과 종료 및 상태/이벤트 관리, 다자간 서비스를 위한 MRF(Multimedia Resource Function)과의 상호 작용, 과금을 위한 호 이벤트 보고, 응용 레벨 등록의 수신 및 처리 등을 담당한다. SPD는 홈 도메인의 HSS와 통신하여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관리하며 사용자의 처음 엑세스 시 홈 도메인을 알려주는 기존 망의 VLR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한다. AH는 주소를 분석, 변환, 수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주소 이동성 기능을 제공한다.The CSCF 500 is a function that is in charge of a part related to call processing, and is composed of Incoming CAll GateWay (ICGW), CAll Control Function (CCF), Serving Profile Database (SPD), and Address Handling (AH). ICGW acts as the first entry point and performs routing for input calls. It also performs service service triggering for input calls such as call screening and forwarding, and is responsible for querying AH and communicating with HSS. CCF is responsible for call setup and termination, status/event management, interaction with MRF (Multimedia Resource Function) for multi-party service, call event reporting for billing, and application level registration reception and processing. The SPD communicates with the HSS of the home domain to manage user profile information and performs a function similar to that of the existing network VLR, which informs the home domain when the user first accesses. AH analyzes, converts, and corrects addresses and provides address portability.

이때, CSCF(500)는 UE(100)가 위치하고 있는 망에 따라 수행하는 기능이 다르므로, 그 위치와 역할을 기준으로 P-CSCF(Proxy CSCF), I-CSCF(Interrogating CSCF), S-CSCF(Serving CSCF)로 구분할 수 있다. 우선, P-CSCF는 UE(100)가 IMS(IP Multimedia Subsystem)에 접속하기 위한 최초 접속점 역할을 수행하고,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과 같은 도메인에 존재할 수 있다. 또한, P-CSCF는 CDR(Change Data Record)를 발생하고, 베어러 자원의 권한 검증과 QoS(Quality of Service) 관리를 할 수 있다. 두 번째로, I-CSCF는 UE(100)가 망에 접속하는 첫 포인트 지점이고, 하나의 네트워크 도메인에 복수개가 존재할 수도 있다. I-CSCF는 서로 다른 도메인 간의 메세지를 전달할 때 방화벽 기능의 THIG(Topology Hiding Inter-Network Gateway)를 수행하여 망 정보의 일부를 보내지 않을 수 있다. 세 번째로, S-CSCF는 실제 등록된 UE(100)의 세션 상태를 관리하면서 제어하는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고, UE(100)에게 서비스 자원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CSCF 500 functions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network in which the UE 100 is located, P-CSCF (Proxy CSCF), I-CSCF (Interrogating CSCF), and S-CSCF are based on their location and role. It can be classified as (Serving CSCF). First, the P-CSCF serves as an initial access point for the UE 100 to access an IP Multimedia Subsystem (IMS), and may exist in the same domain as the Gateway GPRS Support Node (GGSN). In addition, the P-CSCF can generate a change data record (CDR), verify rights of bearer resources, and manage quality of service (QoS). Second, the I-CSCF is the first point point at which the UE 100 accesses the network, and a plurality of I-CSCFs may exist in one network domain. When transferring messages between different domains, I-CSCF may not send part of the network information by performing the firewall function's Topology Hiding Inter-Network Gateway (THIG). Third, the S-CSCF may perform a service that manages and controls the session state of the actually registered UE 100, and may provide information related to service resources to the UE 100.

TAS(600)는 호를 처리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TAS(600)는 가입자 데이터베이스, 연동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과금, OAM(Operation, Administration, Maintenance)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호를 처리하는 기능은, 그룹 영상 통화 등 부가 서비스 동작 및 호 처리 전반에 대하여 처리하며, 호 처리를 위한 메세지 필드 변경 등을 수행하는 기능일 수 있다. 과금 기능은, UE(100)로 과금을 하기 위한 기능일 수 있다.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는, 가입자의 부가 서비스 상태 및 등록(Regi) 상태 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연동 인터페이스는, CSCF(500), HLR(330) 및 부가 서비스 수행을 위해 다양한 노드와의 연동을 처리할 수 있다. OAM은, 운용, 관리 및 보수를 처리할 수 있다.The TAS 600 may be a server that processes a call. In addition, the TAS 600 includes a subscriber database and an interworking interface, and may perform billing and OAM (Operation,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functions. In this case, the call processing function may be a function of processing additional service operations such as group video calls and overall call processing, and changing a message field for call processing. The charging function may be a function for charging to the UE 100. The subscriber database can store information about the subscriber's supplementary service status and registration (Regi) status, and the interworking interface handles interworking with various nodes to perform CSCF (500), HLR (330) and additional services. I can. OAM can handle operation, management and maintenance.

PCRF(700)는 UE(100)별로 정책과 과금에 대한 룰을 정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이때, 정책은 UE(100)가 사용할 QoS 정보일 수 있고, 과금은 오프라인 과금을 할 것인지 또는 온라인 과금을 할 것인지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이 정보들은 PCRF(700)로부터 PGW(400)로 전달될 수 있고, PGW(400)는 PCRF(7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UE(100)에 대한 제어(QoS, Charging)를 수행할 수 있다.The PCRF 700 may be a device that determines a policy and a billing rule for each UE 100. At this time, the policy may be QoS information to be used by the UE 100, and the billing may be information on whether to perform offline charging or online charging. These information may be transferred from the PCRF 700 to the PGW 400, and the PGW 400 may perform control (QoS, charging) for the UE 100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CRF 700. have.

SPR(810)는 UE(100)별로 정책 및 과금 룰(Policy and Charging Rule)을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PCRF(700)는 SPR(810)로부터 UE(100)에 대한 정보를 가져올 수 있다.The SPR 810 may store a policy and charging rule for each UE 100. Accordingly, the PCRF 700 may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UE 100 from the SPR 810.

OFCS(820)는 PGW(400)가 전달하는 CDR을 수신하여 중앙에서 관리할 수 있다.The OFCS 820 may receive the CDR transmitted by the PGW 400 and manage it centrally.

OCS(830)는 UE(100)에서 선불제(Prepaid)를 사용하는 경우, UE(100)별로 실시간 사용량에 대한 잔여 사용량(Balance 또는 Credit)을 중앙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간 사용량은 PGW(400)에서 관리하고 잔여 사용량을 OCS(83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OCS(830)는 잔여 사용량을 모두 사용한 UE(100)에 대해서는 더 이상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도록 PGW(400)에 해당 정보를 알려줄 수 있다.When the UE 100 uses a prepaid, the OCS 830 may centrally manage the remaining amount of usage (Balance or Credit) for real-time usage for each UE 100. Here, real-time usage can be managed by the PGW 400 and the remaining usage can be delivered to the OCS 830. In this case, the OCS 830 may inform the PGW 400 of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so that the service is no longer available for the UE 100 that has used up all the remaining usage.

PDN(900)는 공중 데이터망으로, 예를 들어 인터넷, IP 네트워크일 수 있다.The PDN 900 is a public data network, and may be, for example, an Internet or an IP network.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데이터 세션 정보 동기화 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A method of synchronizing data session information occurring in a data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최근 스마트 패드나 타블렛 PC, 스마트 폰과 같은 무선 단말(UE)의 보급이 증가하면서 3G보다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데이터 망을 이용하는 무선 단말이 늘어나고 있다. Recently, as the spread of wireless terminals (UEs) such as smart pads, tablet PCs, and smart phones is increasing, wireless terminals using data networks are increasing in order to receive better services than 3G.

이때, 무선 단말은 자신의 상태 정보가 바뀌는 경우, 자신의 상태 정보를 HLR로 알려줄 수 있다. 여기서, IGW 장애 등의 비정상적 상황에서 무선 단말의 상태 정보 전달이 실패할 경우, HLR과 TAS의 상태 불일치가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무선 단말의 정상적인 통화가 불가능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changes, the wireless terminal may inform the HLR of the state information of itself. Here, when the transmission of state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fails in an abnormal situation such as an IGW failure, a state mismatch between the HLR and the TAS may occur, and thus, a normal call of the wireless terminal may be impossible.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 정보 전송 방법은, TAS에서 HLR로의 상태 정보 전송이 실패하면 에러 응답을 플래그로 저장하고, 기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을 조건으로 무선 단말의 상태 변경 정보를 재전송함으로써, 메세지 재전송 시점을 분산시켜 TAS의 과부하를 막고, TAS의 불필요한 메세지 재전송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tate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the error response as a flag when the transmission of the state information from the TAS to the HLR fails, and the state change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is stored on the condition that a preset event occurs. By retransmitting, the timing of message retransmission can be distributed to prevent TAS overload and unnecessary message retransmission by TAS can be prevent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의 상태 정보 전송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이때, 무선 단말의 상태 정보 전송 장치는 도 1의 TAS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그 이외의 장치에서도 구동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의 상태 정보 전송 장치가 TAS로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status information of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the apparatus for transmitt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may be implemented with the TAS of FIG. 1, or may be driven by other devices. In FIG. 2, an embodiment in which 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state information of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as a TAS is described.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AS(600)는, 제 1 전송부(610), 저장부(630), 수신부(650), 제 2 전송부(6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 1의 UE(100)는 무선 단말(100)로 정의한다.Referring to FIG. 2, the TAS 6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transmission unit 610, a storage unit 630, a reception unit 650, and a second transmission unit 670. can do. In this case, the UE 100 of FIG. 1 is defined as a wireless terminal 100.

제 1 전송부(610)는, 무선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제 1 이벤트에 기반한 ATM(AnyTime Modification) 메세지를 HLR(330)로 전송한다. 이때, 제 1 이벤트는 무선 단말(100)의 상태 변경 데이터를 HLR(330)로 등록하기 위한 레지스터(Register) 메세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단말(100)은 전원을 켜거나 자신의 위치가 변경되거나 하는 등의 상태 정보가 변경될 때, 자신의 상태가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데이터를 HLR(330)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TAS(600)와 HLR(330)은 무선 단말(100)의 상태 변경 정보를 등록 및 저장할 수 있고, 상태 변경 정보를 레지스터 메세지로 자신에게 전송한 주체에게, 수신 작업을 잘 마쳤다는 신호, 예를 들어, 200 OK와 같은 신호를 ACK 신호와 같이 전송할 수 있다.The first transmission unit 610 transmits an ATM (AnyTime Modification) message based on the first event receiv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100 to the HLR 330. In this case, the first event may be a register message for registering state change data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to the HLR 330. For example, when state information such as power-on or a change in its own location is changed, the wireless terminal 100 transmits data indicating that its own state has changed to the HLR 330. At this time, the TAS 600 and the HLR 330 can register and store the state change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and send the state change information to themselves as a register message,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reception operation has been successfully completed, For example, a signal such as 200 OK may be transmitted together with an ACK signal.

저장부(630)는 HLR(330)로부터 ATM 메세지에 대한 등록 오류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수신한 등록 오류 응답을 저장한다. 이때, 등록 오류 응답은 플래그(Flag)로 관리될 수 있고, 등록 오류 응답은 에러 응답에 대응될 수 있다. 이때, 등록 오류 응답은 HLR(330)과 TAS(600)를 연결하는 IGW(350)가 정상적인 동작을 하지 않는 경우에 발생될 수 있다.When receiving the registration error response for the ATM message from the HLR 330, the storage unit 630 stores the received registration error response. In this case, the registration error response may be managed as a flag, and the registration error response may correspond to the error response. In this case, the registration error response may occur when the IGW 350 connecting the HLR 330 and the TAS 600 does not operate normally.

수신부(650)는 무선 단말(100)의 제 1 이벤트 또는 발신 호에 대한 제 2 이벤트를 수신한다. 이때, 제 2 이벤트는, 무선 단말(100)의 착신 단말에 대한 발신 호에 대응하는 인바이트(Invite) 메세지일 수 있다. The receiver 650 receives a first event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or a second event for an outgoing call. In this case, the second event may be an invite message corresponding to an outgoing call to the destination terminal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제 2 전송부(670)는 제 1 이벤트 또는 제 2 이벤트에 기초하여 ATM 메세지를 HLR(330)로 전송한다. 즉, 무선 단말(100)로부터 상태 변경 정보를 재등록하는 메세지(re-Regi)를 수신하거나 또는 TAS(600)로 무선 단말(100)의 발신 호가 올라오는 경우에, ATM 메세지를 HLR(330)로 재전송할 수 있다.The second transmission unit 670 transmits the ATM message to the HLR 330 based on the first event or the second event. That is, when a message (re-Regi) for re-registering state change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100, or when an outgoing call from the wireless terminal 100 comes up to the TAS 600, the ATM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HLR 330. Can be retransmitted to.

이와 같은 도 2의 상태 정보 전송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상태 정보 전송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Matters that are not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state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of FIG. 2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state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through FIG. 1 or can be easily inferred from the descriptions, so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데이터 네트워크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데이터 네트워크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3 is a diagram show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components included in the data network system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data of FIG.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agram show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components included in a network system. Hereinafter, an example of a process in which data is transmitted/received between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but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ly interpreted as such an embodiment, and FIG. 3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oces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shown in FIG. 4 may be changed.

도 3을 참조하면, UE(100)에서 CSCF(500)로 상태 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메세지(Regi)를 전송하면(S3110), CSCF(500)는 해당 메세지를 잘 수신하였다는 응답(200 OK)을 UE(100)로 전송한다(S3120). 마찬가지로, CSCF(500)가 TAS(600)로 무선 단말(100)의 상태 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메세지(Regi)를 전송하면(S3210), TAS(600)는 상태 변경 데이터를 저장하고, 수신에 대한 응답을 CSCF(500)로 전송한다(S3230).Referring to FIG. 3, when the UE 100 transmits a message (Regi) for registering status information to the CSCF 500 (S3110), the CSCF 500 responds that the message has been well received (200 OK). Is transmitted to the UE 100 (S3120). Similarly, when the CSCF 500 transmits a message (Regi) for registering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100 to the TAS 600 (S3210), the TAS 600 stores the state change data, and The response is transmitted to the CSCF 500 (S3230).

TAS(600)는 IGW(350)를 경유하여 HLR(330)로 ATM 메세지를 전송하는데(S3300), 이때 HLR(330)과 연결이 불가한 경우(S3400), IGW(350)는 등록 오류 응답(3500)을 TAS(600)로 전송한다(S3500). 여기서, TAS(600)는 등록 오류 응답을 플래그(Flag)로 관리한다.TAS (600) transmits an ATM message to HLR (330) via IGW (350) (S3300). At this time, when connection with HLR (330) is impossible (S3400), IGW (350) responds to a registration error ( 3500) is transmitted to the TAS 600 (S3500). Here, the TAS 600 manages the registration error response as a flag.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 정보 전송 방법은, UE(100)에서 CSCF(500)를 경유하여 TAS(600)로 상태 변경 정보를 알리는 메세지를 전송하는 경우(S3710~S3910), TAS(600)는 ATM 메세지를 HLR(330)로 전송한다(S3920).At this time, the state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hen transmitting a message informing the state change information from the UE 100 to the TAS 600 via the CSCF 500 (S3710 to S3910), TAS (600) transmits the ATM message to the HLR (330) (S3920).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태 정보 전송 방법은, 도 4를 참조하면, UE(100)에서 착신 단말에 대한 발신 호(Invite)를 TAS(600)로 올릴 때(S4700~S4800), TAS(600)는 ATM 메세지를 HLR(330)로 전송한다(S4900). 여기서, 도 4의 S4110~S4600의 단계는 도 3의 S3110~S3600의 단계와 대응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state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when the UE 100 raises an outgoing call (Invite) to the called terminal to the TAS 600 (S4700 to S4800), The TAS 600 transmits the ATM message to the HLR 330 (S4900). Here, since the steps S4110 to S4600 of FIG. 4 correspond to the steps of S3110 to S3600 of FIG. 3, duplicate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이와 같은 도 3 및 도 4의 상태 정보 전송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및 도 2의 상태 정보 전송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Matters that are not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method of transmitting the state information of FIGS. 3 and 4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for the method of transmitting the state information of FIGS. 1 and 2 or can be easily inferred from the description. It should be omitted.

상술한 단계들(S3110~S3920, S4110~S49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3110~S3920, S4110~S49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The order between the above-described steps (S3110 to S3920 and S4110 to S4900) is only an example and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order of the above-described steps (S3110 to S3920 and S4110 to S4900) may be mutually changed, and some of the steps may be executed or deleted at the same tim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 정보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TAS는, 무선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무선 단말의 Regi 메세지에 기반한 ATM(AnyTime Modification) 메세지를, HLR(Home Location Register)를 향해 전송한다(S5100).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transmitting status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the TAS transmits an ATM (AnyTime Modification) message based on the Regi message of the wireless terminal receiv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to the Home Location Register (HLR) (S5100).

그리고 나서, TAS는, HLR 또는 IGW(INTEGRATED GATEWAY)로부터 ATM 메세지에 대한 등록 오류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등록 오류 응답을 저장한다(S5200).Then, when the TAS receives a registration error response for an ATM message from HLR or IGW (INTEGRATED GATEWAY), the TAS stores the registration error response (S5200).

그리고, TAS는 무선 단말의 기 설정된 이벤트를 수신하고(S5300), 제 1 이벤트 또는 제 2 이벤트에 기초하여 ATM 메세지를 HLR로 재전송한다(S5400).Then, the TAS receives a preset event of the wireless terminal (S5300), and retransmits the ATM message to the HLR based on the first event or the second event (S5400).

이와 같은 도 5의 상태 정보 전송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상태 정보 전송 방법에 대해서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Matters not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state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of FIG. 5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for the state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through FIGS. 1 to 4 or can be easily inferred from the description, so th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below. .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 정보 전송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The method for transmitting statu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includ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such as an application executed by a computer or a program module. Computer-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Further,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both computer storage media and communication media.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Communication media typically include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in a modulated data signal such as a carrier wave, or other transmission mechanism, and includes any information delivery medium.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Claims (5)

상태 정보 전송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단말의 상태 정보 전송 방법에 있어서,
무선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무선 단말의 상태 변경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에 기반한 ATM(AnyTime Modification) 메시지를, IGW(Integrated Gateway)를 경유하여 HLR(Home Location Register)로 전송 하는 단계;
상기 ATM 메시지의 전송에 응답하여, 상기 HLR 또는 상기 IGW로부터, 상기 상태 변경 정보의 상기 HLR로의 등록의 오류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오류 응답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무선 단말의 기 설정된 이벤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오류 응답 및 상기 기 설정된 이벤트를 수신하면 상기 ATM 메시지를 상기 IGW를 경유하여 상기 HLR로 재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단말의 상태 정보 전송 방법.
In the method of transmitting state information of a wireless terminal, performed by a state information transmitting device,
Transmitting an AnyTime Modification (ATM) message based on a message including state change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receiv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to a Home Location Register (HLR) via an integrated gateway (IGW);
Receiving, from the HLR or the IGW, an error response of registration of the state change information to the HLR in response to the transmission of the ATM message;
Storing the received error response;
Receiving a preset event of the wireless terminal; And
Retransmitting the ATM message to the HLR via the IGW upon receiving the error response and the preset event
Containing, the method of transmitting state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이벤트는, 상기 무선 단말의 상태 변경 데이터를 상기 HLR로 등록하기 위한 레지스터(Register) 메시지인 제 1 이벤트; 또는
상기 무선 단말의 착신 단말에 대한 발신 호에 대응되는 인바이트(Invite) 메시지인 제 2 이벤트
를 포함하는 것인, 무선 단말의 상태 정보 전송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preset event may include a first event, which is a register message for registering state change data of the wireless terminal to the HLR; or
The second event, which is an invite message corresponding to an outgoing call to the destination terminal of the wireless terminal
That includes, the method of transmitting state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TM 메시지에 대한 등록 오류 응답은 플래그(Flag)로 관리되는 것인, 무선 단말의 상태 정보 전송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registration error response to the ATM message is managed by a flag (Flag), the state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of the wireless terminal.
무선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무선 단말의 상태 변경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에 기반한 ATM(AnyTime Modification) 메시지를, IGW(Integrated Gateway)를 경유하여 HLR(Home Location Register)로 전송하는 제 1 전송부;
상기 ATM 메시지의 전송에 응답하여, 상기 HLR 또는 상기 IGW로부터, 상기 상태 변경 정보의 상기 HLR로의 등록의 오류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오류 응답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무선 단말의 기 설정된 이벤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오류 응답 및 상기 기 설정된 이벤트를 수신하면 상기 ATM 메시지를 상기 IGW를 경유하여 상기 HLR로 전송하는 제 2 전송부
를 포함하는, 무선 단말의 상태 정보 전송 장치.
A first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an ATM (AnyTime Modification) message based on a message including state change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receiv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to a Home Location Register (HLR) via an integrated gateway (IGW);
Receiving, from the HLR or the IGW, an error response of registration of the state change information to the HLR in response to the transmission of the ATM message;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received error response;
A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a preset event of the wireless terminal; And
A second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ATM message to the HLR via the IGW upon receiving the error response and the preset event
Containing, the state information transmission apparatus of the wireless terminal.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이벤트는, 상기 무선 단말의 상태 변경 데이터를 상기 HLR로 등록하기 위한 레지스터(Register) 메시지인 제 1 이벤트; 또는
상기 무선 단말의 착신 단말에 대한 발신 호에 대응되는 인바이트(Invite) 메시지인 제 2 이벤트
를 포함하는 것인, 무선 단말의 상태 정보 전송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preset event may include a first event, which is a register message for registering state change data of the wireless terminal to the HLR; or
The second event, which is an invite message corresponding to an outgoing call to the destination terminal of the wireless terminal
That includes, the state information transmission apparatus of the wireless terminal.
KR1020130117929A 2013-10-02 2013-10-02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state information of wireless terminal KR1021669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7929A KR102166966B1 (en) 2013-10-02 2013-10-02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state information of wireless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7929A KR102166966B1 (en) 2013-10-02 2013-10-02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state information of wireless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9401A KR20150039401A (en) 2015-04-10
KR102166966B1 true KR102166966B1 (en) 2020-10-16

Family

ID=53029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7929A KR102166966B1 (en) 2013-10-02 2013-10-02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state information of wireless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6966B1 (e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691B1 (en) * 2008-09-26 2010-12-23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obile transfer service in communication system
KR101194629B1 (en) 2008-10-29 2012-10-2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Method for processing at location registration fail in mobile terminal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ETSI TS 129 002 V9.11.0(2013.07.31.)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9401A (en) 2015-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05096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user location inform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US1011645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internet communications
US8839382B2 (en) Mobile network operator and data service provider interoperation
US10492237B2 (en) Mobile gateway selection using a direct connection between a PCRF node and a mobility management node
US9203504B2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d paging and quality of service establishment in mobile satellite systems
US9912626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ferring and receiving message in roaming system
JP5356331B2 (en) Mobile communication method and priority control node
WO2018228678A1 (en) Quality of service initiated handover
KR2016006488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ponsoring service between user equipments
US20130142120A1 (en) Mobile communication method and call session control server device
US20140242942A1 (en) Optimization of online charging triggers in communication networks
KR10207270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ata session information
KR10200369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session in a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216696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state information of wireless terminal
KR101530648B1 (en) Method for registering state imformation of wireless terminal and call processing server for performing the same
US20180048655A1 (en) Access Network Determination
KR10209287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error code
KR102273762B1 (en) VoLTE SYSTEM, CONTROL METHOD THEREOF, PGW AND CSCF COMPRISED IN THE SYSTEM,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9821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pdating data session
KR102072713B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roviding single radio voice call continuity integrated call control
KR102109822B1 (en) Method for synchronizing data session information and apparatus for analyzing radius
KR10211176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ingle radio voice call continuity
JP2015195438A (en) Pgw device, method and program
KR100921771B1 (en) Resource allocation method in radio network connected to multimedia network
WO2013026484A2 (en) Optimization of online charging triggers in communciation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