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5833B1 - Method and Device for diagnosing abnormal health conditions - Google Patents

Method and Device for diagnosing abnormal health conditio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5833B1
KR102165833B1 KR1020180090905A KR20180090905A KR102165833B1 KR 102165833 B1 KR102165833 B1 KR 102165833B1 KR 1020180090905 A KR1020180090905 A KR 1020180090905A KR 20180090905 A KR20180090905 A KR 20180090905A KR 102165833 B1 KR102165833 B1 KR 102165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user
questionnaire
terminal
wearab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09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15281A (en
Inventor
박진현
홍정숙
Original Assignee
(주) 프로큐라티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프로큐라티오 filed Critical (주) 프로큐라티오
Priority to KR1020180090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5833B1/en
Publication of KR20200015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528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5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583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건강의 이상반응을 자동검출하는 서버, 단말기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피부에 탈부착가능한 웨어러블기기, 사용자 단말기 및 통신이 가능한 노드(node)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한 데이터와 사용자와의 문진을 통해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사용자에게 나타난 이상반응의 병기를 실시간으로 분류하여 이상반응에 조기대처가 가능하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rver, a terminal, and a method for automatically detecting an adverse reaction of a user's health.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s health status is analyzed in real time through data acquired from at least one of a wearable device detachable to the user's skin, a user terminal, and a node capable of communication, and an interview with the user. By classifying the stage of the adverse reaction that appeared in the patient in real time, early response to the adverse reaction is possible.

Description

이상반응을 검출하는 단말기, 서버 또는 방법{Method and Device for diagnosing abnormal health conditions}Terminal, server, or method for detecting abnormal reactions {Method and Device for diagnosing abnormal health conditions}

본 발명은 사용자의 건강상태의 이상반응을 사전에 검출하는 단말기, 서버 또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a server, or a method for detecting an adverse reaction of a user's health condition in advance.

최근 사회 환경 변화가 급속히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면서 건강관리 비용이 함께 증대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IT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IT 기술이 의료 분야에 접목되어 네트워크 환경을 기반으로 한 헬스케어 분야의 연구 개발이 태동하고 있다.In recent years, amid rapid changes in the social environment, health care costs are increasing as interest in health increases. In addition,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in the healthcare field based on the network environment is beginning with the grafting of IT technology into the medical field.

그러나 이러한 의료비 지출의 증가 및 새로운 의료 서비스의 개발에도 불구하고, 일상을 살아가는 많은 환자들에게 이상 반응이 발생한 경우 이상 징후를 미리 포착하지 못하여 적절한 의료 서비스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despite the increase in medical expenditures and the development of new medical services, when an abnormal reaction occurs in many patients living on a daily basis, there are often cases in which abnormal symptoms cannot be detected in advance and appropriate medical services are not received.

한편 급속한 노령화 사회 진입으로 인한 노인 인구의 증가, 맞벌이 세대의 증가, 핵가족화에 따른 가족 간의 물리적 거리 증가, 산후 조리원, 실버 타운 등의 노약자가 집중된 시설 급증, 농어촌 인구 감소로 인한 의료 공백 등에 의해 환자의 이상 반응 발현 시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없는 경우 또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Meanwhile, patients due to an incr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due to rapid entry into an aging society, an increase in double-income households, an increase in the physical distance between families due to the nuclear familyization, a rapid increase in facilities concentrated in the elderly such as postpartum cooking centers and silver towns, and a medical gap due to a decrease in the rural population There is also an increasing trend in cases where appropriate measures cannot be taken when adverse reactions of

이와 같이 노령화, 핵가족화 등에 따라, 환자에 대한 이상 반응 발생 시 이에 대한 조기 발견 및 신속한 응급 처치가 사회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As such, early detection and rapid emergency treatment for abnormal reactions to patients are emerging as a social problem with aging and nuclear family.

또한 일반인들도 과도한 업무와 스트레스로 인한 돌연사 비율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병원이 아닌 곳에서도 전문가에 의해 각 개인의 건강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 또는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In addition, the rate of sudden death due to excessive work and stress is also increasing in the general population, and accordingly, the need for a system or device that can check the health status of each individual by experts is increasing even in places other than hospitals.

KR 10-1812406 B1KR 10-1812406 B1

Automatic detection system for cough sounds as a symptom of abnormal health condition, IEEE Trans Inf Technol Biomed. 2009 Jul;13(4):486-93. doi: 10.1109/TITB.2008.923771. Epub 2008 Apr 22.Automatic detection system for cough sounds as a symptom of abnormal health condition, IEEE Trans Inf Technol Biomed. 2009 Jul;13(4):486-93. doi: 10.1109/TITB.2008.923771. Epub 2008 Apr 22.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병원 치료를 받고 퇴원한 환자들, 노령자들, 만성 질환을 지니고 있는 사용자들의 건강에 나타난 이상반응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자 한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tended to detect in real time adverse reactions in the health of patients, elderly people, and users with chronic diseases who have been discharged after receiving hospital treatment.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들의 건강에서 검출된 이상반응의 상태를 자동분류하고, 이상반응이 위험 또는 응급상태에 속하는 경우 이에 신속하게 대응하는 응급대처시스템을 제시하고자 한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n emergency response system that automatically classifies the state of adverse reactions detected in the health of users, and responds quickly when the adverse reaction belongs to a dangerous or emergency state.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임상연구 대상자들이 임상 실험을 하는 도중 건강에 이상반응이 발생할 경우 이를 신속하게 감지하고 대처하는 응급대처시스템을 제시하고자 한다.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mergency response system that quickly detects and responds to adverse health reactions during clinical trials by clinical research subjects.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미세먼지, 대기 환경 오염 등과 같은 환경의 변화가 발생한 경우 건강에 이상이 발생하는 사용자들을 신속히 감지하고 이에 대처하는 건강이상검출시스템을 제시하고자 한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fine dust and air pollution occur, a health abnormality detection system that quickly detects and responds to users who have an abnormality in health is propos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이상반응을 자동검출하는 서버는 사용자의 피부에 탈부착가능한 웨어러블기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웨어러블기기 또는 상기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한 노드(node)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수집부; 사용자에게 문진표를 제시하고, 사용자의 문진응답정보를 수신하는 문진부;및 상기 수집된 데이터 및 상기 문진응답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나타난 이상반응의 병기(stage)를 실시간으로 분류하고 과거정보를 누적 관리하는 건강분석부;를 포함하고, 이 경우 상기 웨어러블기기는 침습적 또는 비침습적으로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기기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는 카메라, 디스플레이, 메모리 및 통신부를 포함하고, 영상데이터 또는 음성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통신이 가능한 노드는 상기 웨어러블기기 또는 상기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한 센서, 홈어플라이언스(Home-appliance), CCTV를 포함하는 영상촬영장치, 초음파검출부, 전자기 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for automatically detecting adverse reactions is data obtained from at least one of a wearable device detachable to the user's skin, a user terminal, and a nod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wearable device or the terminal. A data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An interviewer that presents a questionnaire to the user and receives the user's questionnaire response information; An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and the questionnaire response information, the stage of the adverse reaction that appears to the user is classified in real time and the past information is accumulated A health analysis unit that manages; In this case, the wearable device includes a device for measuring a biosignal in an invasive or non-invasive manner, and the terminal includes a camera, a display, a memory and a communication unit, and image data or audio data And an interface for transmitting/receiving, and the communication capable node includes a sensor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wearable device or the terminal, a home-appliance, an imaging device including a CCTV, an ultrasonic detection unit, and an electromagnetic detection unit. It feature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건강분석부는 건강보험공단 표본코호트 데이터베이스, 환자진료내역 데이터베이스, 기상데이터베이스, 대기환경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또는 라이프로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마다 나이, 성별, 거주지역, 과거 진단내력, 과거 진료형태, 투약내력, 미세먼지 농도, 위치, 날씨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학습하는 빅데이터학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빅데이터학습부의 학습내용을 더 반영하여 상기 이상반응의 병기를 실시간으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lth analysis unit uses at least one of the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sample cohort database, patient treatment history database, meteorological database, atmospheric environment database data, or life log data for each user. A big data learning unit that additionally learns at least one of a region, a past diagnosis history, a past treatment type, a medication history, a fine dust concentration, a location, and the weather; and further including, by further reflecting the learning contents of the big data learning unit, th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age of the adverse reaction is classified in real tim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건강분석부는 상기 실시간으로 분류된 상기 이상 반응의 병기에 따라 사용자, 의료관계자, 응급구조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알람을 제공하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lth analysis unit further comprises a notification unit for providing an alarm to at least one or more of a user, medical personnel, and emergency rescue personnel according to the stage of the adverse reaction classified in real time; It is characteriz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된 상기 웨어러블기기의 위치, 상기 웨어러블 기기에서 획득한 데이터 또는 상기 단말기에서 획득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인체모형도에 대응하는 위치에 표시하고, 상기 데이터의 변화량을 더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데이터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stores the location of the wearable device attached to the user's skin, data acquired from the wearable device, or data acquired from the terminal to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human body model displayed on the display. And a data providing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and further displaying the amount of change in the data.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문진표는 피부 이상의 형태, 피부 이상의 범위, 피부 이상과 동반되는 동반증상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질의를 포함하고, 상기 피부 이상의 형태 또는 상기 피부 이상의 범위에 대해 질의시 영상입력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여 상기 사용자의 문진응답정보로 영상데이터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questionnaire includes a query on at least one of a skin abnormality type, a skin abnormality range, and accompanying symptoms accompanying a skin abnormality, and when inquiring about the skin abnormality type or the skin abnormality range The image input interface is activated to receive image data as the questionnaire response information of the us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영상데이터를 입력받을 때 상기 디스플레이에 2차원 또는 3차원 인체모형도를 표시하며, 상기 인체모형도에서 상기 영상데이터와 관련된 위치를 먼저 선택하도록 선택인터페이스를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mage data is input, a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human body model is displayed on the display, and a selection interface is further provided to first select a position related to the image data in the human body model. It feature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2차원 또는 3차원 인체모형도를 표시하며, 사용자가 상기 표시된 인체모형도에서 특정 부위를 선택하면 상기 문진부는 선택한 특정 부위와 연관된 문진이 포함된 문진표를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displays a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human body model, and when a user selects a specific area from the displayed human body model, the interviewer presents a questionnaire including a questionnaire related to the selected specific area. Characterized in that.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이상반응을 자동검출하는 방법은 데이터수집부에서 사용자의 피부에 탈부착가능한 웨어러블기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웨어러블기기 또는 상기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한 노드(node)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문진부에서 사용자에게 문진표를 제시하고, 사용자의 문진응답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및 건강분석부에서 상기 수집된 데이터 및 상기 문진응답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나타난 이상반응의 병기(stage)를 실시간으로 분류하고 과거정보를 누적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 경우 상기 웨어러블기기는 침습적 또는 비침습적으로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기기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는 카메라, 디스플레이, 메모리 및 통신부를 포함하고, 영상데이터 또는 음성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통신이 가능한 노드는 상기 웨어러블기기 또는 상기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한 센서, 홈어플라이언스(Home-appliance), CCTV를 포함하는 영상촬영장치, 초음파검출부, 전자기 검출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automatically detecting an adverse reaction is one of a wearable device detachable to the user's skin in the data collection unit, a user terminal, and a nod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wearable device or the terminal. Collecting data obtained from at least one; Presenting a questionnaire to the user by the interviewer and receiving the user's questionnaire response information; An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and the questionnaire response information from the health analysis unit, the stage of the adverse reaction that appears to the user is recorded in real time. Classifying and accumulating and managing past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wearable device includes a device that measures a biosignal in an invasive or non-invasive manner, and the terminal includes a camera, a display, a memory and a communication unit, and an image It has an interfa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or voice data, and the communication node is a sensor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wearable device or the terminal, a home-appliance, an image capture device including a CCTV, an ultrasonic detection unit, and an electromagnetic fiel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of the detection uni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건강에 이상이 있거나, 병원 치료를 받고 퇴원한 환자들, 노령자들, 만성 질환을 지니고 있는 사용자들의 건강에 나타난 이상반응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이상반응을 진행상태에 따라 Grade로 분류하여 위급하거나 응급상황인 경우 의료진의 신속한 대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dverse reactions appearing in the health of patients who have abnormal health or are discharged from hospital after receiving treatment, elderly people, and users with chronic diseases are detected in real time, and adverse reactions are detected in progress. According to this, it is classified as a grade, and in case of an emergency or emergency, it is effective for prompt response by medical staff.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임상연구 대상자들이 임상 실험을 하는 도중 건강에 이상반응이 발생할 경우 신속하게 대처하여 임상연구 대상자의 건강을 지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adverse reaction to health occurs during clinical trials of clinical research subjects, there is an effect of quickly coping with them to protect the health of clinical research subjects.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미세먼지, 대기 환경 오염 등과 같은 환경의 변화가 발생한 경우 건강에 이상이 발생하는 사용자들을 신속히 감지하고 이에 대처함으로써 건강에 이상이 발생한 것을 실시간으로 검출하는 효과가 있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fine dust and air pollution occur, users who have an abnormality in health are quickly detected and cope with it, thereby detecting in real time tha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health. have.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이상반응을 자동검출하는 서버의 내부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이상반응을 자동검출하는 서버가 동작하는 시스템도를 도시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사용자가 피부에 나타난 이상반응을 촬영한 영상과 피부이상형태를 선택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사용자 단말기에 인체모형도를 도시하고 병의 진행단계, 위험도, 그리고 병의 진행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5 내지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문진부에서 질문데이터를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기에 제시하는 실시예 및 문진부에서 의사결정나무를 이용하여 질문데이터를 학습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8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이상반응을 자동검출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1 i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server for automatically detecting an adverse reaction.
2 i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ystem diagram in which a server for automatically detecting an adverse reaction operates.
3 i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an example in which a user selects an image of an adverse reaction appearing on the skin and an abnormal skin type.
4 i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n example of providing information by showing a human body model diagram on a user terminal and displaying at least one of a disease progression stage, a risk level, and a disease progression speed.
5 to 7 ar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ing an embodiment in which question data is generated by a questionnaire and presented to a user terminal, and an example of a method for learning question data using a decision tree in the questionnaire. do.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automatically detecting an adverse rea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later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detail sufficient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specific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changed from one embodiment to another and implement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ositions or arrangements of individual elements in each embodiment may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etailed description to be described below is not made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taken as encompassing the scope claimed by the claims of the claims and all scopes equivalent thereto.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indicate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over several aspects.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이상반응을 자동검출하는 서버(100)의 내부 구성도를 도시하고, 도 2 는 이상반응을 자동검출하는 서버(200)가 동작하는 시스템도(S200)를 도시한다. 1 i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server 100 for automatically detecting adverse reactions, Figure 2 is a system diagram in which the server 200 for automatically detecting adverse reactions operates (S200 ).

도 1 내지 2 를 참고하여, 이상반응을 자동검출하는 서버(100, 200)을 설명한다.Servers 100 and 200 for automatically detecting adverse reaction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2.

본 발명에서 개시하는 사용자 단말기(230)는 UE(User Equipment), ME(Mobile Equipment),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휴대기기(Handheld Device), AT(Access Terminal), 웨어러블디바이스, 로봇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휴대폰, 셀룰러폰, 스마트 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tablet device), 컴퓨터(computer), 스마트와치, CCTV, 인공지능스피커, 홈어플라이언스 또는 멀티미디어 기기 등의 형태로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클라우딩 컴퓨팅(Cloud Computing)을 사용하여 피진료자와 의료진에게 단말을 제공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로서 단말기(230)는 카메라, 디스플레이, 메모리 및 통신부를 포함하고, 영상데이터 또는 음성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230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equipment (UE), a mobile equipment (ME), a mobile station (MS), a user terminal (UT), a subscriber station (SS), a mobile subscriber station (MSS), and a wireless device. (Wireless Device), portable device (Handheld Device), AT (Access Terminal), wearable device, robot, etc. are all included. Mobile phone, cellular phone, smart phone,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 ( Portable Multimedia Player), tablet device, computer, smart watch, CCTV,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home appliance or multimedia device. In addition, a terminal can be provided to and utilized by the patient and medical staff using cloud computing. In addition,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230 includes a camera, a display, a memory, and a communication unit, and may include an interfa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mage data or audio data.

사용자 단말기(230)는 또한 앱 형태로 이상반응을 자동검출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서버(100, 200)으로부터 다운받아 설치하여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개시하는 이상반응을 자동검출하는 서버(100,200)는 위에서 기술한 단말기의 형태로도 구현이 가능함을 유의하여야 한다. The user terminal 230 may also download and install an application for automatically detecting an adverse reaction in the form of an app from the servers 100 and 200 to implement i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ervers 100 and 200 for automatically detecting adverse reaction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the terminal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이상반응을 자동검출하는 서버(100,200)는 자진료내역데이터베이스(211), 라이프로거데이터베이스(212), 영상처리서버(213), 기계학습서버(214), 국립환경원데이터베이스(215), 기상데이터 데이터베이스(216) 및 건강보험공간표본코호트 데이터베이스(217) 등을 포함하는 기기(210) 중 적어도 하나와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위급상황 발생시 콜센터서버(221) 내지 응급환자관리서버(222) 등을 포함하는 응급상황대처기기(220)와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다.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s 100 and 200 for automatically detecting adverse reactions include a self-medicine history database 211, a life logger database 212, an image processing server 213, a machine learning server 214, and a national Wired/wireless communication is possible with at least one of the devices 210 including the environment source database 215, the meteorological data database 216, and the health insurance spatial sample cohort database 217. In addition, when an emergency occurs,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is possible with an emergency response device 220 including a call center server 221 to an emergency patient management server 222, and the lik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이상반응을 자동검출하는 서버(100,200)는 데이터수집부(110), 문진부(120), 건강분석부(130) 및 데이터제공부(140)를 포함한다. 문진부(120)는 문진표제공부(121), 문진응답수신부(123), 제 1 기계학습부(125), 영상입력인터페이스활성화부(127) 및 음성입력인터페이스활성화부(129)를 포함한다. 건강분석부(130)는 빅데이터학습부(132), 제 2 기계학습부(134) 및 알림부(136)를 포함한다.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s 100 and 200 for automatically detecting adverse reactions include a data collection unit 110, an interviewer 120, a health analysis unit 130, and a data providing unit 140. The questionnaire 120 includes a questionnaire providing unit 121, a questionnaire response receiving unit 123, a first machine learning unit 125, an image input interface activating unit 127, and a voice input interface activating unit 129. The health analysis unit 130 includes a big data learning unit 132, a second machine learning unit 134 and a notification unit 136.

각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한다.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데이터수집부(110)는 사용자 피부에 탈부착가능한 웨어러블디바이스,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웨어러블기기 또는 상기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한 노드(node)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구현된다. The data collection unit 110 is implemented to collect data obtained from at least one of a wearable device detachable to the user's skin, a user terminal, and the wearable device or a nod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terminal.

사용자 피부에 탈부착가능한 웨어러블기기는 침습적 또는 비침습적으로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생체정보측정기기를 포함한다. 생체정보측정기기는 맥박, 혈압, 체온 등을 포함하는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센서 또는 기기 등을 포함한다. Wearable devices detachable to the user's skin include a biometric information measuring device that measures a biosignal invasively or non-invasively. The biometric information measuring device includes a sensor or device that measures biometric information including pulse, blood pressure, and body temperature.

사용자 피부에 탈부착가능한 웨어러블기기 각각은 식별번호가 부여될 수 있으며, 식별번호가 부여된 웨어러블기기 각각에서 수집한 데이터는 데이터제공부(140)를 통해 도 3에 도시된 일 실시예인 인체모형도의 대응되는 부위에 표시되도록 가공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일 실시예와 같이 신체부위마다 병의 진행단계(410, 420, 430, 440, 450), 위험도(414, 424), 병의 진행속도(412, 422, 432, 442, 452)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병의 진행단계(410, 420, 430, 440, 450), 위험도(414, 424), 그리고 병의 진행속도(412, 422, 432, 442, 452)를 표시하는 방법은 도 4에 도시된 일 예시외에도 다양한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Each wearable device detachable to the user's skin may be assigned an identification number, and the data collected by each wearable device to which an identification number has been assigned is provided through the data providing unit 140 to correspond to the human body model diagram shown in FIG. It can be processed to be marked on the part that is being used. In addition, as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 the progression stages (410, 420, 430, 440, 450) of the disease, the risk level (414, 424), the progression speed of the disease (412, 422, 432, 442, for each body part) 452) can be displayed together. The method of displaying the disease progression stage (410, 420, 430, 440, 450), the risk level (414, 424), and the disease progression speed (412, 422, 432, 442, 452) is shown in FIG. In addition to the examples, various methods can be used.

통신이 가능한 노드(node)는 웨어러블기기 또는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한 센서, 홈어플라이언스(Home-appliance), CCTV를 포함하는 영상촬영장치, 초음파검출부, 전자기 검출부 등을 포함한다. 또한 통신이 가능한 노드는 생체정보 측정 센서가 부착된 물건을 포함한다. 일 예로서, 휠체어, 인체이식장치, 공항검색대의 체온측정영상을 촬영하는 영상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A communication node includes a sensor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 wearable device or a terminal, a home-appliance, an imaging device including a CCTV, an ultrasonic detection unit, an electromagnetic detection unit, and the like. In addition, nodes capable of communication include objects to which a biometric information measurement sensor is attached. As an example, it may include a wheelchair, a human body transplant device, an imaging device for photographing a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image of an airport search desk.

문진부(120)는 문진표제공부(121)를 통해 사용자에게 문진표를 제시하고, 문진응답수신부(123)를 통해 사용자의 문진응답정보를 수신한다. The questionnaire 120 presents the questionnaire to the user through the questionnaire providing unit 121 and receives the user's questionnaire response information through the questionnaire response receiving unit 123.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문진부(120)는 문진표제공부(121)에 각 신체부위별로 질의데이터를 관리하고, 도 5에 도시된 일 실시예와 같이 문진표제공부(523)에서 선택한 질의데이터를 사용자단말기(520a)에 표시할 수 있다.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questionnaire 120 manages the query data for each body part in the questionnaire providing unit 121, and is selected by the questionnaire providing unit 523 as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Query data may be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520a.

문진표제공부(121)는 제 1 기계학습부(125)를 통해 기계학습을 수행한 후 질의데이터를 선별하여 사용자단말기(230)에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기계학습부(125)는 도 7에 도시된 일 실시예와 같이 분류(classification)와 회귀(regression)가 가능한 의사결정나무 기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세한 내용은 도 7을 참고한다. The questionnaire providing unit 121 may perform machine learning through the first machine learning unit 125 and then select query data and display it on the user terminal 230. In this case, the first machine learning unit 125 may use a decision tree technique capable of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as in the exemplary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7. For details, refer to FIG. 7.

문진표제공부(121)는 도 6 에 도시된 일 실시예와 같이 질의데이터에 대한 응답에 영상데이터가 요구되는 경우(도 6, 621), 영상입력인터페이스활성화부(127)를 통해 사용자가 문진응답을 송신하는 단말기의 영상입력인터페이스(611)를 활성화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문진표제공부(121)에서 제공하는 질의데이터에 대한 응답에 음성데이터가 요구되는 경우, 음성입력인터페이스활성화부(129)를 통해 사용자가 문진응답을 송신하는 단말기의 음성입력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할 수 있다. In the case where image data is requested in response to the query data as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6 (FIGS. 6 and 621), the questionnaire providing unit 121 responds to the user through the image input interface activation unit 127 The image input interface 611 of the terminal transmitting the signal may be activated. Similarly, when voice data is requested for a response to the questionnaire data provided by the questionnaire providing unit 121, the voice input interface of the terminal through which the user transmits the questionnaire response can be activated through the voice input interface activation unit 129. have.

문진응답수신부(123)는 문진표제공부(121)에서 제공하는 문진표 내의 질의데이터에 대한 사용자의 문진응답을 수신한다. The questionnaire response receiving unit 123 receives a user's questionnaire response to the questionnaire data in the questionnaire provided by the questionnaire providing unit 121.

건강분석부(130)는 데이터수집부(110)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 및 문진부(120)에서 획득한 문진응답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나타난 이상반응의 병기(stage)를 실시간으로 분류하고 과거정보를 누적 관리할 수 있다. 증상의 심각한 정도 또는 병기는 Grade1, Grade2, Grade3,,,,등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기계학습부(134)를 통해 기계학습을 수행하고, 수행된 학습에 따라 병기를 자동으로 분류할 수 있다. 그리고 기설정된 Grade를 초과하는 경우 이상 반응의 병기에 따라 알림부(136)를 통해 사용자, 의료관계자, 응급구조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제 2 기계학습부(134)는 데이터 분석 및 예측에 활용되는 DBN(Deep Belief Network),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RNN(Recurrent Neural Network) 등의 알고리즘을 이용하거나, 이 외에도 다양한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The health analysis unit 130 classifies in real time the stage of adverse reactions that appear to the user based on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data collection unit 110 and the questionnaire respons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interviewer 120 and provides past information. Can be accumulated and managed. The severity or stage of symptoms can be classified as Grade1, Grade2, Grade3,,,, etc. In this case, machine learning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second machine learning unit 134 and the weapons may be automatically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erformed learning. In addition, when it exceeds a predetermined grade, an alarm may be provided to at least one of a user, a medical personnel, and an emergency rescuer through the notification unit 136 according to the stage of the adverse reaction. The second machine learning unit 134 uses algorithms such as DBN (Deep Belief Network), 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and RNN (Recurrent Neural Network) used for data analysis and prediction, or various other machine learning algorithms. Can be used.

건강분석부(130)는 빅데이터학습부(132)를 통해 건강보험공단 표본코호트 데이터베이스, 환자진료내역 데이터베이스, 기상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대기환경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또는 라이프로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마다 나이, 성별, 거주지역, 과거 진단내력, 과거 진료형태, 투약내력, 미세먼지 농도, 위치, 날씨 중 적어도 하나를 학습한다. The health analysis unit 130 uses at least one of a sample cohort database of the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a patient treatment history database, a meteorological data database, an atmospheric environment database, or life log data through the big data learning unit 132 for each user's age. , Gender, residential area, past diagnosis history, past treatment type, medication history, fine dust concentration, location, and weather.

건강분석부(130)는 또한 빅데이터학습부(132)를 통해 학습한 내용을 반영하여 이상반응의 병기를 실시간으로 재분류할 수 있다. 일 예로, 미세먼지 농도와 사용자의 라이프로그 데이터 정보를 분석한 경우, 사용자가 산책을 하는 시간에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경우 기분류된 사용자의 이상반응의 병기를 실시간으로 재분류할 수 있다. The health analysis unit 130 may also reflect the content learned through the big data learning unit 132 to reclassify the stage of the adverse reaction in real time. For example, in the case of analyzing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nd the user's life log data information, if the fine dust concentration is high at the time the user is walking, the stage of the adverse reaction of the user who has been sensational can be reclassified in real time.

도 3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사용자에게 문진을 제시하기 이전에 사용자 단말기에 이상반응이 나타난 인체모형도를 표시한 예를 도시한다. 3 is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n example of displaying a human body model diagram showing an adverse reaction on a user terminal before presenting a questionnaire to the user.

사용자 단말기 디스플레이에 2차원 또는 3차원 인체모형도가 표시되며, 사용자는 인체모형도에서 현재 자신에게 이상반응이 나타난 부위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문진부는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부위와 연관된 문진이 포함된 문진표를 제시한다. A 2D or 3D human body model is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user can select a portion of the human body model that currently exhibits an adverse reaction. In this case, the interviewer presents a questionnaire including a paperweight related to a specific part selected by the user.

일 예로, 사용자 피부에 이상반응이 발생한 경우, 사용자는 단말기에서 이상반응이 나타난 부위를 '피부'로 선택하고, 신체 중 피부이상이 발생한 부위를 선택(311, 312, 313, 314)하고, 선택한 부위의 적어도 하나 이상에 관련 영상을 업로드할 수 있다. 또한 선택한 부위의 적어도 하나 이상에 사용자가 생각하는 관련 증상(330)을 선택할 수 있다. 도 3 을 참고하면, 사용자가 피부이상형태(330) 인터페이스를 선택하고, 피부이상형태(330) 인터페이스 선택시 리스트되는 홍반(331), 색소변화(332), 출혈(333), 대상포진(334) 등의 피부이상형태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단말기에 도시된 인체모형도는 사용자가 영상을 업로드하면, 이상반응이 나타난 부위의 비중을 표시할 수 있다(310a). For example, when an adverse reaction occurs on the user's skin, the user selects the area where the adverse reaction occurs in the terminal as'skin', selects the area where the skin abnormality occurs in the body (311, 312, 313, 314), and selects Related images may be uploaded to at least one or more of the site. Also, a related symptom 330 that the user thinks may be selected in at least one or more of the selected region. Referring to FIG. 3, when a user selects the skin abnormal form 330 interface and the skin abnormal form 330 interface is selected, erythema 331, pigment change 332, bleeding 333, shingles 334 are listed. ) You can select at least one of the types of abnormal skin types. When the user uploads an image, the human body model diagram shown in the terminal may display the weight of the portion where the adverse reaction has occurred (310a).

도 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문진부에서 질문데이터를 생성하는 일 예와 생성한 질문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FIG. 5 illustrates an example of generating question data in a questionnaire and an example of displaying the generated question data on a user terminal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가 단말기에서 자신에게 발생한 이상반응을 선택한다. 이상반응 인터페이스를 통해 피부(10), 전신(12), 머리(5), 배(8), 가슴(6), 팔/다리(3) 등의 리스트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The user selects an adverse reaction that occurred to him in the terminal. Through the adverse reaction interface, it may be provided to the user as a list of skin 10, whole body 12, head 5, belly 8, chest 6, arms/legs 3, and the like.

사용자가 단말기에서 피부(510a) 이상반응을 선택하고, 피부(510a)이상 반응과 관련된 이상반응들 중 '피부에 뭐가 났어요'라는 이상반응(520a)을 선택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이상반응을 자동검출하는 서버의 문진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피부(510)와 관련된 탭을 선택하고, 해당 탭에 누적되어 관리되는 질문데이터 중 기계학습을 통해 사용자에게 필요한 질문데이터를 선택하여 문진의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시한다. 이 경우 서버의 문진부에서 제공되는 질문데이터는 사용자 단말기에 사용자 친화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When the user selects an adverse reaction of the skin 510a in the terminal and selects the adverse reaction 520a of'what happened to the skin' among the adverse reactions related to the abnormal reaction of the skin 510a,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questionnaire of the server that automatically detects adverse reactions selects a tab related to the skin 510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and selects question data necessary for the user through machine learning among the question data accumulated and managed in the corresponding tab. Present to the user in the form. In this case, the question data provided by the questionnaire of the server may be displayed in a user-friendly manner on the user terminal.

예를 들어, 서버에서 '피부에 뭐가 났어요'라는 이상반응(520)과 관련된 질문데이터가 '피부 변화가 언제부터 있었나요?'(521), '가족 중에 같은 증상이 있는 분이 있나요?'(522) 내지 '알레르기가 있으신가요?'(523)라는 있는 경우, 제 1 기계학습부에서는 기계학습을 통해 '피부 변화가 언제부터 있었나요?'(521)와 '알레르기가 있으신가요?'(523) 중 관련된 질문데이터만을 선택하여 문진이 이루어지도록 학습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기계학습부는 빅데이터학습부(도 1, 132)의 학습내용을 더 참고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question data related to the adverse reaction 520 of'What happened to the skin' on the server is'When did the skin change occur?' (521),'Does anyone in your family have the same symptoms?' (522) ) Or'Do you have allergies?' (523), the first machine learning unit uses machine learning to'start when did your skin change?' (521) and'Do you have allergies?' (523) Among them, it is possible to learn to make a questionnaire by selecting only relevant question data. In this case, the first machine learning unit may further refer to the learning contents of the big data learning unit (FIGS. 1 and 132).

사용자가 '피부변화는 언제부터 있었나요?'(521a)라는 문진에 '2일전'(521b)이라는 답변을 한 경우, 문진표제공부는 기계학습을 통해 사용자의 문진응답정보에 기초하여 다음(530) 문진에 필요한 질문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When the user answers the questionnaire '2 days ago' (521b) to the questionnaire'When did the skin change begin?' (521a), the questionnaire providing unit is based on the user's questionnaire response information through machine learning, and then (530) You can select the question data required for the interview.

도 6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문진표제공부에서 제공한 질문데이터가 사용자단말기에 표시된 일 예를 도시한다. 사용자가 피부발진(610)과 관련된 이상반응을 선택한 경우, 문진표제공부는 '피부 발진이 일어난 부위가 어느 부위인가요?'(620)라는 질문데이터와 함께, 사용자가 피부 발진이 일어난 부위를 선택할 수 있도록 인체모형도(621)에 선택인터페이스(622a, 622b, 622c, 622d)를 표시할 수 있다. 문진표제공부는 또한 영상데이터(611)가 필요한 경우, 사용자에게 '선택한 부위의 영상을 업로드 해주세요'(630)라는 안내메시지와 함께 사용자 단말기의 영상입력인터페이스부가 활성화되도록 제어가 가능하다. 사용자는 인체모형도(621)에서 선택인터페이스(622a, 622b, 622c, 622d)를 통해 선택한 부위에 대응하는 사진을 업로드할 수 있다. 6 shows an example in which question data provided by a questionnaire providing unit is displayed on a user terminal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selects an adverse reaction related to the skin rash 610, the questionnaire providing unit allows the user to select the area where the skin rash has occurred, along with the question data,'Which part is the skin rash?' 620. Selection interfaces 622a, 622b, 622c, 622d may be displayed on the human body schematic 621. In addition, the questionnaire providing unit can control the image input interface unit of the user terminal to be activated with a guide message to the user, when the image data 611 is required,'Please upload the image of the selected area' 630. The user may upload a pictur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portion through the selection interfaces 622a, 622b, 622c, 622d in the human body model diagram 621.

도 7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문진표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기계학습 방법으로 분류(classification)와 회귀(regression)가 가능한 의사결정나무 기법을 이용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7 i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n embodiment using a decision tree technique capable of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by a machine learning method in the process of creating a questionnaire.

문진표의 질문데이터(710)는 필수질문항목을 포함한다. 필수질문항목은 주호소증상, 악화요인, 약화요인, 다른동방증상, 증상의 심각한 정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증상의 심각한 정도는 Grade1, Grade2, Grade3,,,,등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Question data 710 of the questionnaire includes essential question items. The required questionnaire includes information on the main complaint symptoms, aggravating factors, weakening factors, other Eastern symptoms, and the severity of symptoms. The severity of symptoms can be classified as Grade1, Grade2, Grade3,,,, etc.

문진표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기계학습부(740)는 의사결정나무 기법 등을 이용하여 루트노드(731)에서는 주호소증상에 대한 문진응답정보 x1이 기설정된 기준 c1을 초과하는지를 묻고, 초과하는 경우 중간마디에서 악화요인에 대한 문진응답정보 x2가 기설정된 기준 c2를 초과하는지(740)를 묻는 방식으로 분류를 수행한다.In the process of preparing the questionnaire, the machine learning unit 740 asks whether the questionnaire response information x1 for the main complaint symptom exceeds a preset criterion c1 using a decision tree technique, etc. Classification is performed in such a manner as to ask whether the questionnaire response information x2 for the worsening factor exceeds the preset criterion c2 (740).

문진표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제1기계학습부(740)는 필수질문항목(710)에 대한 사용자의 답변을 문진응답수신부(741)를 통해 수집하고, 의사결정나무 기법을 이용하는 기계학습부(742)에서 기계학습을 수행한 후, 분석부(743)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한다. 분석부(743)는 분석한 데이터 결과를 원격서버 및 데이터베이스(710a)에 제공할 수 있다. In the process of creating a questionnaire, the first machine learning unit 740 collects the user's answers to the essential question items 710 through the questionnaire response receiving unit 741, and the machine learning unit 742 uses a decision tree technique. After the machine learning is performed at, the data collected by the analysis unit 743 is analyzed. The analysis unit 743 may provide the analyzed data result to the remote server and the database 710a.

도 8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이상반응을 자동검출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automatically detecting an adverse rea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데이터수집부는 사용자의 피부에 탈부착가능한 웨어러블기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웨어러블기기 또는 상기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한 노드(node)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수집한다(S810). 이 경우, 통신 방식은 블루투스(Bluetooth) 방식, WiMAX 방식, 와이파이(Wi-fi) 방식, 지그비(ZigBee) 방식, WBAN(Wireless Body Area Network) 방식 및 MBAN(Medical Body Area Network) 방식과 같은 근거리 통신 방식, LTE 방식, LTE Advanced 방식, EV-DO 방식, Wibro 방식, HSPDA 방식, CDMA2000 방식, GSM 방식 및 WCDMA 방식과 같이 이동 통신 단말의 통신을 위해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방식을 모두 포함한다.The data collection unit collects data acquired from at least one of a wearable device detachable to the user's skin, a user terminal, and a nod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wearable device or the terminal (S810). In this case, the communication method is short-range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method, WiMAX method, Wi-fi method, ZigBee method, WBAN (Wireless Body Area Network) method, and MBAN (Medical Body Area Network) method. It includes all of the methods commonly used for communic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such as method, LTE method, LTE Advanced method, EV-DO method, Wibro method, HSPDA method, CDMA2000 method, GSM method, and WCDMA method.

문진부는 사용자에게 질문데이터가 포함된 문진표를 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문진응답정보를 수신한다(S820).The questionnaire unit presents the questionnaire including question data to the user, and receives questionnaire response information from the user (S820).

건강분석부는 데이터수집부에서 수집된 데이터 및 문진부에서 문진응답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나타난 이상반응의 병기(stage)를 실시간으로 분류하고 과거정보를 누적 관리한다(S830). 이 경우 과거 정보는 이상 반응이 발생한 시기, 시간에 따른 이상 반응의 병기변화, 이상반응의 형태, 그 외 이상반응과 관련한 정보를 모두 포함한다. 건강분석부는 이상 반응을 실시간으로 분류하여, 이상반응의 병기가 특정 Grade이상인 경우 알림부를 통해 알림을 수행한다. The health analysis unit classifies in real time a stage of adverse reactions that appeared to the user based on the data collected by the data collection unit and the questionnaire response information from the interviewer, and accumulates and manages the past information (S830). In this case, the past information includes all information related to the time when the adverse reaction occurred, the stage change of the adverse reaction over time, the type of the adverse reaction, and other adverse reactions. The health analysis department classifies the adverse reactions in real time, and when the stage of the adverse reaction is above a certain grade, it performs notification through the notification unit.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The apparatu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hardware component, a software component, and/or a combination of a hardware component and a software component. For example, the devices and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are, for example, a processor, a controller, an arithmetic logic unit (ALU), a digital signal processor, a microcomputer,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 A programmable logic unit (PLU), a microprocessor, or any other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nd responding to instructions, such as one or more general purpose computers or special purpose computers. The processing device may execute an operating system (OS) and one or more software applications executed on the operating system. In addition, the processing device may access, store, manipulate, process, and generate data in response to the execution of software. For the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lthough it is sometimes described that one processing device is used,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e processing device is a plurality of processing elements and/or a plurality of types of processing elements. It can be seen that it may include. For example, the processing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cessors or one processor and one controller. In addition, other processing configurations are possible, such as a parallel processor.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The software may include a computer program, code, instructions,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se, configuring the processing unit to behave as desired or processed independently or collectively. You can command the device. Software and/or data may be interpreted by a processing device or to provide instructions or data to a processing device, of any type of machine, component, physical device, virtual equipment, computer storage medium or device. , Or may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embodyed in a transmitted signal wave. The software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ed computer systems and stored or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Software and data may be stored on one or mor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 or may be known and usable to those skilled in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A hardware device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magneto-optical media, and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 of the embodiment,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y the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from the above description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ar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from the described method, and/or components such as a system, structure, device, circuit, etc. described are combined or combined in a form different from the described method, or other components Alternatively, even if substituted or substituted by an equivalent, an appropriate result can be achieved.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claims and equivalent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Claims (10)

사용자의 피부에 탈부착가능한 웨어러블기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웨어러블기기 또는 상기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한 노드(node)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수집부;
사용자에게 질문데이터가 포함된 문진표를 제시하고, 사용자의 문진응답정보를 수신하며, 수신한 문진응답정보에 기초하여 기계학습을 수행한 후 다음 문진에 필요한 질문데이터를 선택하는 문진부;및
상기 수집된 데이터 및 상기 문진응답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나타난 이상반응의 병기(stage)를 실시간으로 분류하고 과거정보를 누적 관리하는 건강분석부;를 포함하고,
이 경우 상기 웨어러블기기는 침습적 또는 비침습적으로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기기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는 카메라, 디스플레이, 메모리 및 통신부를 포함하고, 영상데이터 또는 음성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통신이 가능한 노드는 상기 웨어러블기기 또는 상기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한 센서, 홈어플라이언스(Home-appliance), CCTV를 포함하는 영상촬영장치, 초음파검출부, 전자기 검출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반응을 자동검출하는 서버.
A data collection unit configured to collect data obtained from at least one of a wearable device detachable to the user's skin, a user terminal, and a nod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wearable device or the terminal;
An interviewer that presents a questionnaire including question data to a user, receives the user's questionnaire response information, performs machine learning based on the received questionnaire response information, and then selects question data necessary for the next questionnaire; And
Including; a health analysis unit for classifying the stage of the adverse reactions presented to the user in real time based on the collected data and the questionnaire response information and accumulating and managing past information; and
In this case, the wearable device includes a device that measures a biological signal in an invasive or non-invasive manner, and the terminal includes a camera, a display, a memory, and a communication unit, and includes an interfa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mage data or audio data, and the communication The possible node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wearable device or a sensor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terminal, a home-appliance, an imaging device including a CCTV, an ultrasonic detection unit, and an electromagnetic detection unit. Server that automatically detect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분석부는
건강보험공단 표본코호트 데이터베이스, 환자진료내역 데이터베이스, 기상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대기환경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또는 라이프로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마다 나이, 성별, 거주지역, 과거 진단내력, 과거 진료형태, 투약내력, 미세먼지 농도, 위치, 날씨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학습하는 빅데이터학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빅데이터학습부의 학습내용을 더 반영하여 상기 이상반응의 병기를 실시간으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반응을 자동검출하는 서버.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health analysis unit
By using at least one of the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sample cohort database, patient treatment history database, meteorological data database, air environment database data, or life log data for each user, age, gender, residential area, past diagnosis history, past treatment type, and medication history , A big data learning unit that additionally learns at least one of fine dust concentration, location, and weather; further comprising, and classifying the stage of the adverse reaction in real time by further reflecting the learning contents of the big data learning unit. Server that automatically detects adverse reactio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분석부는
상기 실시간으로 분류된 상기 이상 반응의 병기에 따라 사용자, 의료관계자, 응급구조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알람을 제공하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반응을 자동검출하는 서버.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health analysis unit
A server for automatically detecting an abnormal reaction, further comprising: a notification unit for providing an alarm to at least one of a user, a medical person, and an emergency rescuer according to the stage of the abnormal reaction classified in real ti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된 상기 웨어러블기기의 위치, 상기 웨어러블 기기에서 획득한 데이터 또는 상기 단말기에서 획득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인체모형도에 대응하는 위치에 표시하고, 상기 데이터의 변화량을 더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데이터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반응을 자동검출하는 서버.
The method of claim 1,
Control to display the location of the wearable device attached to the user's skin, the data acquired from the wearable device, or the data acquired from the terminal at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manikin diagram displayed on the display, and further display the amount of change in the data Server for automatically detecting an adverse rea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data providing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문진표는 피부 이상의 형태, 피부 이상의 범위, 피부 이상과 동반되는 동반증상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질의를 포함하고, 상기 피부 이상의 형태 또는 상기 피부 이상의 범위에 대해 질의시 영상입력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여 상기 사용자의 문진응답정보로 영상데이터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반응을 자동검출하는 서버.
The method of claim 1,
The questionnaire includes a query for at least one of a form of a skin abnormality, a range of a skin abnormality, and accompanying symptoms associated with a skin abnormality, and activates an image input interface when inquiring about the shape of the skin abnormality or the range of the skin abnormality. Server for automatically detecting adverse reactions, characterized in that receiving image data as questionnaire response informatio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데이터를 입력받을 때
상기 디스플레이에 2차원 또는 3차원 인체모형도를 표시하며, 상기 인체모형도에서 상기 영상데이터와 관련된 위치를 먼저 선택하도록 선택인터페이스를 더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반응을 자동검출하는 서버.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when receiving the image data
A server for automatically detecting abnormal reactions, characterized in that: displaying a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human body model diagram on the display, and further activating a selection interface to first select a position related to the image data in the human body model view.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2차원 또는 3차원 인체모형도를 표시하며, 사용자가 상기 표시된 인체모형도에서 특정 부위를 선택하면 상기 문진부는 선택한 특정 부위와 연관된 문진이 포함된 문진표를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반응을 자동검출하는 서버.
The method of claim 1,
The display displays a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human body model, and when a user selects a specific part from the displayed human body model, the interviewer presents a questionnaire including a questionnaire related to the selected specific part. Server to detect.
데이터수집부에서 사용자의 피부에 탈부착가능한 웨어러블기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웨어러블기기 또는 상기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한 노드(node)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문진부에서 사용자에게 질문데이터가 포함된 문진표를 제시하고, 사용자의 문진응답정보를 수신하며, 수신한 문진응답정보에 기초하여 기계학습을 수행한 후 다음 문진에 필요한 질문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및
건강분석부에서 상기 수집된 데이터 및 상기 문진응답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나타난 이상반응의 병기(stage)를 실시간으로 분류하고 과거정보를 누적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 경우 상기 웨어러블기기는 침습적 또는 비침습적으로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기기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는 카메라, 디스플레이, 메모리 및 통신부를 포함하고, 영상데이터 또는 음성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통신이 가능한 노드는 상기 웨어러블기기 또는 상기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한 센서, 홈어플라이언스(Home-appliance), CCTV를 포함하는 영상촬영장치, 초음파검출부, 전자기 검출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반응을 자동검출하는 방법.
Collecting data obtained from at least one of a wearable device detachable to the user's skin, a user terminal, and the wearable device or a nod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terminal, in a data collection unit;
Presenting a questionnaire including question data to the user by the questionnaire, receiving the user's questionnaire response information, performing machine learning based on the received questionnaire response information, and selecting question data necessary for the next questionnaire; And
Including, in a health analysis unit, classifying a stage of an adverse reaction that appears to a user in real time based on the collected data and the questionnaire response information, and accumulating and managing past information; and
In this case, the wearable device includes a device that measures a biological signal in an invasive or non-invasive manner, and the terminal includes a camera, a display, a memory, and a communication unit, and includes an interfa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mage data or audio data, and the communication The possible node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wearable device or a sensor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terminal, a home-appliance, an imaging device including a CCTV, an ultrasonic detection unit, and an electromagnetic detection unit. How to automatically detect.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문진부는 상기 문진표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의사결정나무 기법을 이용하여 기계학습을 수행하며, 이 과정에서 루트노드에서는 주호소증상에 대한 문진응답정보 x1이 기설정된 기준 c1을 초과하는지를 묻고, 초과하는 경우 중간마디에서 악화요인에 대한 문진응답정보 x2가 기설정된 기준 c2를 초과하는지를 묻는 방식으로 분류를 수행하여 질문데이터를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반응을 자동검출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In the process of preparing the questionnaire, the interviewer performs machine learning using a decision tree technique, and in this process, the root node asks whether the questionnaire response information x1 for the main complaint exceeds a preset criterion c1, and exceeds In the case, a method for automatically detecting adverse reactions, characterized in that the questionnaire data is selected by performing classification in a manner asking whether the questionnaire response information x2 for the worsening factor in the middle node exceeds a preset criterion c2.
사용자의 피부에 탈부착가능한 웨어러블기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웨어러블기기 또는 상기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한 노드(node)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수집부;
사용자에게 질문데이터가 포함된 문진표를 제시하고, 사용자의 문진응답정보를 수신하며, 수신한 문진응답정보에 기초하여 기계학습을 수행한 후 다음 문진에 필요한 질문데이터를 선택하는 문진부;및
상기 수집된 데이터 및 상기 문진응답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나타난 이상반응의 병기(stage)를 실시간으로 분류하고 과거정보를 누적 관리하는 건강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반응을 자동검출하는 단말기.
A data collection unit configured to collect data obtained from at least one of a wearable device detachable to the user's skin, a user terminal, and a nod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wearable device or the terminal;
An interviewer that presents a questionnaire including question data to a user, receives the user's questionnaire response information, performs machine learning based on the received questionnaire response information, and then selects question data necessary for the next questionnaire; And
A health analysis unit for classifying the stage of adverse reactions presented to the user in real time based on the collected data and the questionnaire response information and accumulating and managing past information; and automatically detecting adverse reactions comprising: terminal.
KR1020180090905A 2018-08-03 2018-08-03 Method and Device for diagnosing abnormal health conditions KR10216583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905A KR102165833B1 (en) 2018-08-03 2018-08-03 Method and Device for diagnosing abnormal health conditio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905A KR102165833B1 (en) 2018-08-03 2018-08-03 Method and Device for diagnosing abnormal health condi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5281A KR20200015281A (en) 2020-02-12
KR102165833B1 true KR102165833B1 (en) 2020-10-14

Family

ID=69569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0905A KR102165833B1 (en) 2018-08-03 2018-08-03 Method and Device for diagnosing abnormal health condition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583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61340A (en) * 2021-01-15 2021-12-07 北京京东拓先科技有限公司 Information recommendation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KR102662060B1 (en) * 2023-05-19 2024-04-30 주식회사 엘에이치생활건강 AI-Based Active Digital Healthcare System and Metho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4609B1 (en) * 2017-05-08 2018-08-02 (주)헬스허브 System for diagnosing disease through modularized reinforcement learning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9697A (en) * 2010-11-09 2012-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telemedicine
KR20120138313A (en) * 2011-06-14 2012-12-26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notifying emergency situation and u-health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170096904A (en) * 2016-02-17 2017-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according to skin type of user
KR101812406B1 (en) 2016-03-16 2017-12-27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The method and system for diagnosing skin disease
KR102061886B1 (en) * 2016-09-21 2020-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apparatus for measuring skin condition, patch therefor and method theref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4609B1 (en) * 2017-05-08 2018-08-02 (주)헬스허브 System for diagnosing disease through modularized reinforcement learn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5281A (en) 2020-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54676B2 (en) Providing live first aid response guidance using a machine learning based cognitive aid planner
US2021012805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health status
US20240091623A1 (en) System and method for client-side physiological condition estimations based on a video of an individual
KR102439807B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ement of dementia patient
US20160217260A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atient triage
US20180330802A1 (en) Adaptive patient questionnaire generation system and method
US20220301666A1 (en) System and methods of monitoring a patient and documenting treatment
KR102165833B1 (en) Method and Device for diagnosing abnormal health conditions
Awotunde et al.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n edge-IoMT-based system for combating COVID-19 pandemic
Chauhan et al. A novel patient monitoring system using photoplethysmography and IOT in the age of COVID-19
CN110610754A (en) Immersive wearable diagnosis and treatment device
Alsaeedi et al. Ambient assisted living framework for elderly care using Internet of medical things, smart sensors, and GRU deep learning techniques
Usharani et al. Pregnancy Women—Smart Care Intelligent Systems: Patient Condition Screening, Visualization and Monitoring with Multimedia Technology
Priya et al. SAARTHI: Real-time monitoring of patients by wearable device
WO2022125312A1 (en) Identification and tracking of infection in humans
El Arbaoui et al. A review on the application of the Internet of Things in monitoring autism and assisting parents and caregivers
Dey et al. Patient Health Observation and Analysis with Machine Learning and IoT Based in Realtime Environment
Kotha et al. ARTEMIS: AI-driven Robotic Triage Labeling and Emergency Medical Information System
Fergus et al. Collaborative pressure ulcer prevention: an automated skin damage and pressure ulcer assessment tool for nursing professionals, patients, family members and carers
JP2021125201A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data structure of monitoring data
KR102438367B1 (en) Human data managing system
JP7161812B1 (en) Consciousness state analysis device and program, and observation system
Veeraprakashkumar et al. Survey on Various Iot Healthcare Monitoring and Prediction System Using Machine Learning Concepts
Sudha et al. Stress detection based on human parameters using machine learning algorithms
Vats Machine Learning Enabled Vital Sign Monitor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