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5022B1 - Hand washing device - Google Patents

Hand wash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5022B1
KR102165022B1 KR1020200032890A KR20200032890A KR102165022B1 KR 102165022 B1 KR102165022 B1 KR 102165022B1 KR 1020200032890 A KR1020200032890 A KR 1020200032890A KR 20200032890 A KR20200032890 A KR 20200032890A KR 102165022 B1 KR102165022 B1 KR 102165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s
washing
user
wash
tra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28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원철
Original Assignee
오원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원철 filed Critical 오원철
Priority to KR1020200032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502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5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502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02Portable toilet tables; Wash cabinets or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2Cabinets for shaving tackle, medicin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8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by special arrangements for accommodating removable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04Basins; Jugs; Holding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6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with means for storing soiled tow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48Drying by means of hot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6Adding soap, disinfectant, or the like in the supply line or at the water outlet
    • E03C1/0465Adding soap, disinfectant, or the like in the supply line or at the water outlet by mounting an independent soap dispenser to outlet of ta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 washing device comprising: a washing device body formed in a prescribed height and width to install a washbasin thereon; a face washing unit having a washbasin installed at a middle height of the washing device body to allow a user to wash his/her hands, and a faucet installed on the washbasin to allow the user to wash his/her hands; a waste storage unit installed on a lower portion of the face washing unit to discard paper towels after the user washes his/her hands; and a toiletry storage unit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washing device body to store paper towels and a disinfecting solution for use after the user washes his/her hands. Hands can be washed with a washing solution in a single hand washing device. The hands can be neatly and cleanly dried by paper towels or high-temperature air discharged from a hot air outlet after washing the hands. Hands can be washed and teeth can be brushed in the single hand washing apparatus. A hidden wastebasket is provided for a clean, neat hand washing device installation.

Description

손 세정장치{Hand washing device}Hand washing device

본 발명은 손 세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면대에서 손을 씻고 난 후 자리 및 위치를 이동하지 않고서 손을 닦거나 건조시킬 수 있으면서 세정장치에 종이타올 및 세정액 등을 보관할 수 있는 손 세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 wash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after washing hands in a wash basin, hand washing capable of storing paper towels and cleaning liquids in the washing device while being able to wipe or dry hands without moving the seat or position It relates to the device.

일반적으로 손세정대라 함은 손의 청결을 위하여 손을 씻기 위한 장치로서, 사용자가 사용에 편이하도록 일정높이를 가지는 케이스의 상측에 수도관에 연결되어 있으며 일측으로 잠금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수도꼭지가 형성되어 있어 손을 이용하여 잠금장치를 조작하면 수도관을 통해 수도꼭지에서 물이 공급되는 장치를 말하는 것이다.In general, a hand sanitizer is a device for washing hands for the cleanliness of hands, and a faucet with a locking device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a case having a certain height so that the user can use it easily. It refers to a device in which water is supplied from a faucet through a water pipe when the locking device is operated with a hand.

한편 손 세정액은 에틸 알콜이나 천연 물질에서 추출된 항균 및 살균성이 있는 물질을 함유한 것으로, 전염성 세균 등의 살균을 위하여 사용된다. 특히 많이 사람들이 모이는 공공장소나 저항력이나 면역력이 약한 사람들을 전염성 병원균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철저한 개인 위생 및 공공 위생을 위하여 널리 사용된다.On the other hand, hand washing liquid contains a substance having antibacterial and bactericidal properties extracted from ethyl alcohol or natural substances, and is used for sterilization of infectious bacteria. In particular, it is widely used for thorough personal hygiene and public hygiene in order to protect public places where large numbers of people gather or people with weak resistance or immunity from infectious pathogens.

이와 같은 위생을 위한 손 세정액을 보다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손 세정액을 이용한 손 세정기가 개발되어 있다.Hand scrubbers using hand scrubbing fluids have been developed so that such hygiene hand scrubbing solutions can be used more conveniently.

종래의 손 세정기는 세정액을 담은 용기가 내부에 장착되고, 용기의 출납을 위하여 개폐 도어가 설치되며, 손을 넣을 수 있는 공간의 하부에 받침대가 설치되며, 손이 위치하는 상부에 세정액이 분사되는 노즐이 형성되어 있다.In a conventional hand washer, a container containing a cleaning solution is installed inside, an opening door is installed to store and unload the container, a pedestal is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space where a hand can be placed, and the cleaning solution is sprayed on the upper part where the hand is located. Nozzles are formed.

눈에는 보이지 않는 수많은 세균이나 바이러스로 인해 감기를 포함한 각종 질병이 유발되며 그로 인해 특히 현대인들의 건강이 더욱 위협 받고 있으며 위생이나 살균문제가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 발생한 신종플루엔자, 코로나 바이러스 등으로 인해 손의 세정이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Various diseases, including colds, are caused by a number of bacteria or viruses that are invisible to the eye, and as a result, the health of modern people is more threatened, and hygiene or sterilization issues are becoming social issues. In particular, hand washing is becoming more important due to the recent swine flu and coronavirus.

상기 위생이나 살균의 주요 대상으로서 손은 그 청결의 중요성을 거듭 말하지 않을 수 없다. 왜냐하면 우리들은 매일 바깥에서 여러 사회 활동을 하면서, 주로 손을 이용해서 우리 생활의 대부분을 영위하므로 수많은 세균과 병균 등이 손에 묻혀지기 때문이다.As the main object of the above hygiene or sterilization, the hand cannot but repeat the importance of its cleanliness. This is because we do many social activities outside every day, mainly using our hands to lead most of our lives, so many germs and germs are buried in our hands.

대부분의 전염병은 사람의 손을 통해 가장 많이 전염되고 있다. 특히, 호흡기 감염은 손에 묻은 병균을 입이나 코에 갖다 대는 것에 의하여 전염되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Most infectious diseases are spread most through the human hands. In particular, most of the respiratory infections are spread by putting germs on your hands to your mouth or nose.

그 원인은 바이러스가 책상이나 문의 손잡이 등에 존재하고 있다가 접촉되는 사람의 손 또는 신체로 옮겨지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손에 존재하는 병원균 또는 바이러스 등의 살균을 통해 전염병 및 기타 질병으로부터 건강을 지킬 수 있을 것이다.The reason is that the virus is present in the handle of a desk or door and is transferred to the hands or body of the person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refore, it will be possible to protect health from infectious diseases and other diseases through sterilization of pathogens or viruses present in the hand.

최근에는 손의 세정을 위하여 손이 삽입되면 손에 액상 물질을 분사하여 손을 소독하는 손 세정 장치가 존재하고 있다. 다만, 종래에 존재하는 손 세정 장치는 액상 물질에 민감한 사용자 또는 손에 남아 있는 액상 물질에 이물감을 느끼거나 불편함을 느끼는 사용자를 고려하지 않은 채 액상 물질만 분사하여 손을 세정해 주고 있다.Recently, there is a hand washing device that disinfects the hand by spraying a liquid substance onto the hand when a hand is inserted for washing the hand. However, conventional hand washing apparatuses wash their hands by spraying only liquid substances without taking into account a user who is sensitive to liquid substances or a user who feels foreign or uncomfortable with the liquid substance remaining on the hand.

이와 같은 손 세정 장치는 때로는 어떤 사용자에게는 액상 물질의 휘발성 때문에 손이 과도하게 건조되는 경우도 있고, 손 세정 장치를 이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다시 손을 세척하는 경우도 있다.Such a hand washing device sometimes causes excessive drying of hands for some users due to the volatility of liquid substances, and in some cases, users wash their hands again even though the hand washing device is used.

따라서 사용자의 신체에 액상 물질을 분사하여 손을 세정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른 액상 물질을 분사하고 건조하여 이중 세정을 할 수 있는 장치가 존재한다면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Therefore, if there is a device capable of spraying a liquid substance onto the user's body to wash hands and spraying and drying other liquid substances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such a problem can be solved.

도 1은 자동발판 손 세정장치의 입체도이다.1 is a three-dimensional view of an automatic footrest hand washing devic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자동발판 손 세저장치는 다수의 링크 구조를 이용하여 발판에 힘을 가하면 스프링에 의한 탄성을 가지는 밸브을 개방하는 방식의 세정대를 나타낸 것이다.As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automatic scaffolding hand cleaning device shows a washing table in a manner that opens a valve having elasticity by a spring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scaffold using a plurality of link structures.

상측으로 물이 공급되는 수도꼭지(10) 구비되어 있고, 이 수도꼭지(10)는 케이스(20) 내측 하단으로 탄성을 가지는 밸브(30)가 구비되어 있는 물 공급관(40)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밸브(30)는 상기 케이스(20)의 전방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발판(50)과 링크부(60)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A faucet 10 for supplying water to the upper side is provided, and the faucet 10 is connected to a water supply pipe 40 provided with a valve 30 having elasticity at the lower end of the case 20, and the valve Reference numeral 30 shows that the case 20 is connected to the foot plate 50 formed on the front and lower sides of the case 20 and the link portion 60.

그리고 상기 발판(50)에는 스프링(51)이 장착되어 있어 상기 링크부(60)에 복원력을 가해 줄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spring 51 is mounted on the foot plate 50, a restoring force can be applied to the link unit 60.

따라서 발판에 힘을 가하면 발판의 끝단에 연결되어 있는 링크부가 하측으로 이동되고 이에 링크부에 연결되어 있는 밸브가 개방되어 상기 물공급관을 통해 상기 수도꼭지로 물이 공급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scaffold, the link part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caffold is moved downward, and the valve connected to the link part is opened thereto, and water is supplied to the faucet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그러나 상기한 세정대는 발판에 순간적인 힘을 가하게 되면 링크부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또 발판의 하측으로 지지판을 형성하고 내측으로 스프링을 삽입하여 상기 발판에 탄성을 부가해 줌으로서, 발판부와 링크부의 제작시 과다한 비용이 낭비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cleaning table also had a problem in that the link portion is easily damaged when an instantaneous force is applied to the footrest. In addition, since a support plate is formed under the scaffold and a spring is inserted into the scaffold to add elasticity to the scaffold, there is a problem that excessive cost is wasted when manufacturing the scaffold and the link section.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손 세정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For example,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hand washing apparatus."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손 세정 장치는 바디;Hand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 1 is a body;

상기 바디의 전면 상측에 위치된 삽입부를 통해 손을 포함하는 신체가 삽입되면 상기 삽입부에 설치된 제1 센서를 통해 이를 감지하여 저장부에 저장된 액상 물질을 제1 노즐을 통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삽입부 내측으로 분사하는 제1 세정모듈 및 상기 제1 세정모듈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바디의 전면에 내측으로 함입되도록 결합되고 전면에 손을 포함하는 신체가 삽입되는 세척통을 구비한다.When the body including the hand is inserted through the insertion unit located on the front upper side of the body, the liquid substance stored in the storage unit is detected through the first sensor installed in the insertion unit and inserted through the first nozzle for a preset time. A first cleaning module for injecting to the inside of the unit, and a cleaning container positioned under the first cleaning module and coupled to be recessed inwardly into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and into which a body including hands is inserted into the front surface thereof.

상기 세척통으로 삽입되는 신체의 삽입 여부를 제2 센서를 통해 감지하여 상기 세척통의 안쪽으로 내측에 설치된 제2 노즐을 통해 외부 수도관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분사하고, 상기 제2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물의 공급이 차단되면, 상기 세척통의 전면과 인접된 위치에 설치된 에어 노즐을 통해 공기를 분사하는 제2 세정 모듈을 포함한다.A second sensor detects whether or not a body inserted into the washing tub is inserted, and water supplied from an external water pipe is sprayed through a second nozzle installed inside the washing tub, and the water sprayed through the second nozzle When the supply is cut off, it includes a second cleaning module for injecting air through an air nozzle installed in a position adjacent to the front of the cleaning tank.

상기 세척통은 투입된 신체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오염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세정모듈은 상기 오염감지센서에 의해 측정된 신체 오염상태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며, 신체의 오염상태에 따라 상기 제2 노즐을 통해 물이 분사되는 시간을 가감하고, 상기 세척통은 상기 바디의 전면에서 후면 방향으로 하향되도록 설치되고, 후면 측 아래 부분에 내부의 물이 중력에 의해 자연 배수되도록 하는 배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에어 노즐을 통해 분사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환풍구가 형성된다.The washing container further includes a pollution detection sensor for measuring the level of contamination of the injected body, and the second cleaning module displays the body contamination status measured by the contamination detection sensor through a display, and according to the contamination status of the body, the The time during which water is sprayed through the second nozzle is added or subtracted, and the washing tub is installed downward from the front of the body to the rear, and a drain hole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rear to allow the internal water to be drained naturally by gravity. And, a ventilation opening for discharging the air injected through the air nozzle to the outside is formed.

상기 에어 노즐은 상기 세척통의 전면과 인접된 위치에서 상기 세척통의 내주면에 따라 복수 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내주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노즐은 상기 에어 노즐이 형성된 위치로부터 상기 세척통의 안쪽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세척통의 내주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2 노즐은 복수 개가 상기 세척통의 내부 중심선을 기준으로 동일한 거리에서 대칭적으로 배열되도록 결합된다.A plurality of the air nozzles are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ashing tub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front of the washing tub, and the second nozzle is formed with the air nozzle. A plurality of second nozzles are coupl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ashing tub by being spaced from the position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washing tub, and a plurality of the second nozzles are symmetrically arranged at the same distance with respect to the inner center line of the washing tub.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손세정기'가 개시되어 있다.In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 2, a'hand washer' is disclosed.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손세정기는 정해진 크기의 내부공간을 가지고,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개방부가 일측에 형성되는 케이스와, 신체와 접촉하여 세정을 수행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위치되며, 정해진 길이를 가져 상기 내부공간에서 이동하면서 상기 개방부로 노출되는 세정부재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세정부재가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세정부재가 상기 개방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세정부재를 이송시키게 되는 이송부재 및 상기 케이스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세정부재에 의해 세정되는 이물질을 받치기 위한 이물질 받침부를 포함한다.The hand washer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2 below has an internal space of a predetermined size, and is made of a case in which an opening part communicating with the internal space is formed on one side, and a material capable of performing cleaning by contacting the body, and the interior of the case A cleaning member that is located in a space and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exposed to the opening while moving in the inner space, and is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ase so that the cleaning member is movably fixed, and the cleaning member is moved to the opening. And a transfer member that transfers the cleaning member to be exposed, and a foreign material receiving part that is coupled to a lower side of the case to receive foreign materials that are cleaned by the cleaning member.

상기 이송부재에 의해 이동하는 상기 세정부재가 노출되는 상기 케이스의 개방부에 사용자가 손등, 손바닥, 손톱, 손가락을 포함하는 신체부위를 위치시키면서 신체부위의 세정이 이루어진다.The body part is cleaned while the user places the body part including the back of the hand, the palm, the fingernail, and the finger in the open part of the case where the cleaning member moving by the transfer member is exposed.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7-0024833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24833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2011-0002745호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1-0002745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3-0112890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112890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세정액을 이용하여 손을 씻음과 함께 손 세정 후 손을 청결하게 닦을 수 있도록 하는 손 세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to provide a hand washing apparatus capable of washing hands using a washing liquid and washing hands cleanly after washing hand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손을 씻은 다음에 자리 또는 위치를 이동하지 않고서도 손을 곧바로 건조 또는 닦을 수 있는 손 세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and washing apparatus capable of directly drying or wiping hands without moving a seat or position after washing hand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손의 세정 및 세면도구를 곧바로 꺼내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손 세정에 필요한 세정액, 세면도구 등을 컴팩트하게 구비할 수 있도록 하는 손 세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and washing apparatus that enables a user to wash hands and immediately take out and use toiletries so that a washing liquid and toiletries required for hand washing can be compactly provided.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손 세정장치는 세면대(21)가 설치되도록 소정의 높이 및 폭으로 형성되는 세정기본체(10); 사용자가 손을 씻을 수 있도록 세정기본체의 중간 높이에 설치되는 설치되는 세면대와, 사용자가 손을 씻을 수 있도록 세면대에 설치되는 수도꼭지가 구비된 세면부(20); 사용자가 손을 씻고 난 후 종이타올을 버릴 수 있도록 상기 세면부(20)의 하부에 설치되는 쓰레기수납부(30); 상기 사용자가 손을 씻고 난 후 종이타올 및 소독액이 수납되게 상기 세정기본체(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세면도구 수납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hand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washing main body 10 formed with a predetermined height and width so that the sink 21 is installed; A wash basin installed at an intermediate height of the washing body so that the user can wash their hands, and a wash basin 20 provided with a faucet installed on the wash basin so that the user can wash their hands; A garbage storage part 30 installed under the wash basin 20 so that the user can discard the paper towel after washing their hands; And a toiletry storage unit 40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leaning main body 10 to accommodate paper towels and disinfectant solutions after the user has washed their hands.

상기 세정기본체(10)는 상기 쓰레기수납부(30)의 쓰레기통이 탈착 가능하게 수납되도록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는 쓰레기통수납홈부(11); 상기 쓰레기통수납홈부(11)의 상부에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는 중간지지대(13); 상기 세면도구 수납부(40)가 형성되도록 상기 중간지지대(13)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지지대(14);를 포함하며,The cleaning main body 10 includes a trash bin storage groove 11 formed in a predetermined size so that the trash bin of the trash storage unit 30 is detachably accommodated; An intermediate support 13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bove the trash bin storage groove 11; Includes; an upper support 14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intermediate support 13 so that the toiletry storage part 40 is formed,

상기 쓰레기통수납홈부(11)는 상기 쓰레기통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수납되게 상기 쓰레기통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rash bin storage groove 11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n arc shape having a diameter equal to the diameter of the trash bin so that the trash bin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세면부(20)는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어 상면이 개방되어 반구(半球) 형상으로 형성되는 세면대(21); 사용자가 손을 씻을 수 있도록 물이 공급되는 수도꼭지(22); 사용자가 손을 세정액을 이용하여 씻을 수 있게 세정액이 공급되는 세정액 수도꼭지(23); 사용자가 손을 씻은 후 손을 건조시킬 수 있도록 온풍이 공급되는 온풍토출구(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ash basin (20)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size, the upper surface is opened to form a hemispherical (半球) a wash basin (21); A faucet 22 supplied with water so that the user can wash their hands; A washing liquid faucet 23 supplied with a washing liquid so that a user can wash their hands using the washing liquid; And a warm air discharge port 24 through which warm air is supplied so that the user can dry their hands after washing their hands.

상기 세면도구 수납부(40)는 사용자가 손을 씻고 난 후 손을 닦을 수 있도록 종이타올이 수납되는 종이타올 수납공간(41); 사용자의 세면도구를 수납할 수 있도록 상기 종이타올 수납공간(41)의 일측에 형성되는 세면도구 수납공간(42); 상기 세면부(20)의 세정액 수도꼭지(23)에 세정액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세정액이 수납되는 세정액 수납공간(43); 상기 종이타올 수납공간(41)과 세면도구 수납공간(42) 사이에 고정되는 제1 격판(44); 상기 세면도구 수납공간(42)과 세정액 수납공간(43) 사이에 고정되는 제2 격판(45); 상기 수납공간(41~43)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개폐도어(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세정장치.The toiletry storage unit 40 includes a paper towel storage space 41 in which a paper towel is accommodated so that a user can wipe his or her hands after washing their hands; A toiletry storage space 42 formed on one side of the paper towel storage space 41 to accommodate the user's toiletries; A cleaning liquid storage space 43 in which a cleaning liquid is accommodated so as to supply a cleaning liquid to the cleaning liquid faucet 23 of the wash basin 20; A first partition plate 44 fixed between the paper towel storage space 41 and the toiletries storage space 42; A second partition plate 45 fixed between the toiletry storage space 42 and the cleaning liquid storage space 43; A hand washing apparatus comprising: a pair of opening/closing doors (46) installed to be opened and closed so that the storage spaces (41 to 43) are not exposed to the outsid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손 세정장치는 세면대(21)가 설치되도록 소정의 높이 및 폭으로 형성되는 세정기본체(10); 사용자가 손을 씻을 수 있도록 세정기본체의 중간 높이에 설치되는 설치되는 세면대와, 사용자가 손을 씻을 수 있도록 세면대에 설치되는 수도꼭지가 구비된 세면부(20); 사용자가 손을 씻고 난 후 종이타올을 버릴 수 있도록 상기 세면부(20)의 하부에 설치되는 쓰레기수납부(30);를 포함하며,In addition, the hand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shing base body 10 formed with a predetermined height and width so that the sink 21 is installed; A wash basin installed at an intermediate height of the washing body so that the user can wash their hands, and a wash basin 20 provided with a faucet installed on the wash basin so that the user can wash their hands; Including; a garbage storage unit 30 installed under the washing portion 20 so that the user can discard the paper towel after washing his hands,

상기 쓰레기수납부(30)의 내측에는 쓰레기통(31)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수납되며, 상기 세면부(20)의 전면에는 거울(25)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rash bin 31 is accommodated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trash storage unit 30, and a mirror 25 is installed in the front surface of the washing portion 2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손 세정장치에 의하면, 하나의 손 세정장치에서 세정액으로 손을 씻을 수 있고, 손 세정 후 종이타올 또는 온풍토출구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공기에 의해 손을 깔끔하면서도 깨끗하게 건조시킬 수 있으며, 하나의 손 세정장치에서 손의 세정 뿐만 아니라 치아 등을 닦을 수 있고, 쓰레기통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구비되어 보다 깨끗하면서도 깔끔한 손 세정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hand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nds can be washed with a cleaning solution in one hand washing apparatus, and after hand washing, the hands are neatly and cleanly cleaned by a paper towel or high temperature air discharged from the warm air outlet. It can be dried, and it is possible to clean not only hands, but also teeth, etc. in a single hand cleaning device, and the trash can is provided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a cleaner and cleaner hand cleaning device can be installed.

본 발명에 따른 손 세정장치에 의하면, 세면도구 수납부에 종이타올을 보관할 수 있고, 세면도구 및 세정액 등을 각각 구획된 공간에 수납할 수 있으며, 종이타올, 세정액 등을 주기적으로 교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분의 종이타올 및 세정액을 추가로 보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According to the hand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aper towels can be stored in the toiletry storage unit, toiletries and cleaning liquids can be stored in separate spaces, and paper towels and cleaning solutions can be periodically replac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dditionally store extra paper towels and cleaning solutions.

도 1은 자동발판 손 세정장치의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손 세정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손 세정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손 세정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손 세정장치를 도시한 입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손 세정장치를 도시한 입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손 세정장치를 도시한 입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손 세정장치를 도시한 입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손 세정장치를 도시한 입체도.
1 is a three-dimensional view of an automatic footrest hand cleaning device
2 is an exploded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hand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hand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showing a hand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hand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hand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hand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hand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hand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손 세정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hand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손 세정장치는 세면대(21)가 설치되도록 소정의 높이 및 폭으로 형성되는 세정기본체(10)와, 사용자가 손을 씻을 수 있도록 세정기본체의 중간 높이에 설치되는 설치되는 세면대와, 사용자가 손을 씻을 수 있도록 세면대에 설치되는 수도꼭지가 구비된 세면부(20)와, 사용자가 손을 씻고 난 후 종이타올을 버릴 수 있도록 상기 세면부(20)의 하부에 설치되는 쓰레기수납부(30)와, 상기 사용자가 손을 씻고 난 후 종이타올 및 소독액이 수납되게 상기 세정기본체(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세면도구 수납부(40)를 포함한다.The hand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leaning base 10 formed with a predetermined height and width so that the sink 21 is installed, and an installation installed at an intermediate height of the cleaning base so that the user can wash their hands. The wash basin 20 is provided with a wash basin and a faucet installed in the wash basin so that the user can wash their hands, and the wash basin 20 is installed under the wash basin 20 so that the user can discard the paper towel after washing their hands. It includes a garbage storage unit 30, and a toiletry storage unit 40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leaning body 10 to accommodate the paper towel and disinfectant solution after the user's hands are wash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손 세정장치는 세면대(21)에서 손을 씻고 난 다음에 자리를 이동하지 않고서도 제자리에서 손을 건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이타올을 이용하여 닦을 수 있도록 한다.The hand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not only to dry hands in place without moving the seat after washing hands in the sink 21, but also to wipe using paper towels.

아울러 종이타올 및 쓰레기 등을 세면대(21) 하부에 구비된 쓰레기통(31)에 직접 버림으로써, 사용자가 이동하지 않고서도 제자리에서 손 세정 및 손 세정 이후의 동작을 움직이지 않고서 할 수 있는 편리성을 갖도록 한다.In addition, by directly disposing of paper towels and trash in the trash can 31 provided under the sink 21, the user can wash their hands in place without moving and the operation after hand washing can be performed without moving. To have.

<제1 실시 예><First embodiment>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손 세정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손 세정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손 세정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2 is an exploded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hand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xploded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hand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s a front view showing a hand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손 세정장치는 세정기본체(10)의 중간 높이에 손을 세정할 수 있는 세면부(20)가 설치되고, 상기 세면부(20)의 하부에는 손 세정 후 사용된 쓰레기 등을 버릴 수 있는 쓰레기수납부(30)가 설치되며, 상기 세정기본체(10)의 상부부에는 세면에 필요한 세면도구 등을 수납할 수 있는 세면도구 수납부(40)가 설치된다.2 to 4, in the hand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ashing face part 20 capable of washing hands is installed at an intermediate height of the washing body 10, and the washing face A trash storage unit 30 is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unit 20 to dispose of the used trash after hand washing, and the upper part of the washing main body 10 is a washing machine capable of storing toiletries, etc. The tool receiving part 40 is installed.

상기 세정기본체(10)는 상기 쓰레기수납부(30)의 쓰레기통(31)이 탈착 가능하게 수납되도록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는 쓰레기통수납홈부(11)와, 상기 쓰레기통수납홈부(11)의 상부에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는 중간지지대(13)와, 상기 세면도구 수납부(40)가 형성되도록 상기 중간지지대(13)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지지대(14)를 포함한다.The cleaning main body 10 includes a trash bin storage groove 11 formed in a predetermined size so that the trash bin 31 of the trash storage portion 30 is detachably accommodated, and a predetermined upper portion of the trash bin storage groove 11 And an intermediate support 13 formed at a height of, and an upper support 14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intermediate support 13 so that the toiletries storage unit 40 is formed.

아울러 상기 쓰레기통수납홈부(11)는 상기 쓰레기통(31)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수납되게 상기 쓰레기통(31)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trash bin storage groove 11 is formed in an arc shape having the same diameter as the trash bin 31 so that the trash bin 31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세정기본체(10)의 하부에는 쓰레기통(31)을 내측에 수납할 수 있도록 쓰레기통수납홈부(11)가 형성되며, 상기 쓰레기통수납홈부(11)는 소정의 직경으로 이루어진 쓰레기통(31)이 세정기본체(1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소정의 직경으로 형성된다.A trash bin storage groove 11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leaning main body 10 to accommodate the trash bin 31 inside, and the trash bin storage groove 11 includes a trash bin 31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It is formed with a predetermined diameter so as not to protrude outward of (10).

즉, 상기 쓰레기통수납홈부(11)는 쓰레기통(31)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된다.That is, the trash bin storage groove 11 is formed with the same diameter as the trash bin 31.

아울러 상기 쓰레기통수납홈부(11)의 하부에는 쓰레기통받침판(12)이 설치되고, 상기 쓰레기통받침판(12) 또한 쓰레기통(31)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됨은 물론이다.In addition, a trash can support plate 12 is installed below the trash can storage groove 11, and the trash can support plate 12 is also formed to have the same diameter as the trash can 31.

아울러 쓰레기통수납홈부(11)의 상부에는 소정의 높이로 중간지지대(13)가 일체로 고정되며, 상기 중간지지대(13)의 상부에는 세면도구 수납부(40)가 설치되도록 상부지지대(14)가 고정된다.In addition, an intermediate support 13 is integrally fixed to a predetermined height at the upper portion of the trash bin storage groove 11, and an upper support 14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intermediate support 13 so that the toiletries storage unit 40 is installed. It is fixed.

상기 세면부(20)는 사용자가 손을 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세면부(20)는 쓰레기통수납부(30)의 상부에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손을 씻을 수 있는 높이에 설치된다.The wash-basin part 20 allows the user to wash their hands, and the wash-basin part 20 is formed on the top of the trash can storage part 30 and is installed at a height where the user can wash their hands.

상기 세면부(20)는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어 상면이 개방되어 반구(半球) 형상으로 형성되는 세면대(21)와, 사용자가 손을 씻을 수 있도록 물이 공급되는 수도꼭지(22)와, 사용자가 손을 세정액을 이용하여 씻을 수 있게 세정액이 공급되는 세정액 수도꼭지(23)와, 사용자가 손을 씻은 후 손을 건조시킬 수 있도록 온풍이 공급되는 온풍토출구(24)를 포함한다.The wash basin 20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size and the upper surface is opened to form a hemispherical shape, a faucet 22 supplied with water so that the user can wash their hands, and the user It includes a washing liquid faucet 23 supplied with a washing liquid to wash hands using a washing liquid, and a warm air discharge port 24 supplied with warm air so that the user can dry their hands after washing their hands.

상기 세면부(20)에는 물을 수납하는 세면대(21)가 설치되고, 상기 세면대(21)는 상면이 개방되게 형성됨은 물론 물을 배수시킬 수 있게 배수구(미도시)가 설치됨은 물론이다.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wash basin 21 for accommodating water is installed in the wash basin 20, and the wash basin 21 is formed to have an open top surface as well as a drain hole (not shown) to drain water.

상기 세면대(21)의 상면 일측에는 손을 씻을 수 있게 물이 배수되는 수도꼭지(22)가 설치되고, 상기 수도꼭지(22)에는 사용자의 손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 faucet 22 for draining water so as to wash hands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wash basin 21, and a detection sensor (not shown) for detecting the user's hand may be installed on the faucet 22 Of course.

아울러 상기 수도꼭지(22)의 일측에는 세정액을 공급하는 세정액 수도꼭지(23)가 설치되고, 사용자가 손을 씻고 난 후 손을 건조시킬 수 있도록 온풍토출구(24)가 설치된다.In addition, a washing liquid faucet 23 for supplying a washing liquid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faucet 22, and a warm air discharge port 24 is installed so that the user can dry their hands after washing their hands.

상기 세정액 수도꼭지(23)는 물비누 등이 공급되게 설치되어 세면대(21)에 비누 등을 올려놓지 않게 함으로써, 세면대(21) 주변을 보다 깨끗하고 깔끔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한다.The washing liquid faucet 23 is installed so as to supply water soap and the like so that soap or the like is not placed on the wash basin 21, so that the surroundings of the wash basin 21 can be kept cleaner and neat.

또한 상기 온풍토출구(24)는 따뜻한 공기를 배출시켜 별도의 타올이나 손수건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손을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warm air discharge port 24 discharges warm air so that hands can be dried without using a separate towel or handkerchief.

상기 쓰레기수납부(30)는 쓰레기통수납홈부(11)에 내장되는 쓰레기통(31)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쓰레기통(31)에는 쓰레기통(31)을 꺼내거나 집어넣을 수 있게 손잡이 구멍(32)이 형성된다.The trash storage unit 30 is made of a trash can 31 embedded in the trash storage groove 11, and a handle hole 32 is formed in the trash can 31 so that the trash can 31 can be removed or inserted. .

상기 세면부(20)의 상부에는 세면에 필요한 도구 등을 간편하게 수납할 수 있게 세면도구 수납부(40)가 설치된다.A toiletry storage part 40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toilet 20 so as to conveniently accommodate tools necessary for washing the toilet.

상기 세면도구 수납부(40)는 사용자가 손을 씻고 난 후 손을 닦을 수 있도록 종이타올이 수납되는 종이타올 수납공간(41)과, 사용자의 세면도구를 수납할 수 있도록 상기 종이타올 수납공간(41)의 일측에 형성되는 세면도구 수납공간(42)과, 상기 세면부(20)의 세정액 수도꼭지(23)에 세정액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세정액이 수납되는 세정액 수납공간(43)과, 상기 종이타올 수납공간(41)과 세면도구 수납공간(42) 사이에 고정되는 제1 격판(44)과, 상기 세면도구 수납공간(42)과 세정액 수납공간(43) 사이에 고정되는 제2 격판(45)과, 상기 수납공간(41~43)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개폐도어(46)를 포함한다.The toiletry storage unit 40 includes a paper towel storage space 41 in which a paper towel is accommodated so that a user can wipe their hands after washing their hands, and the paper towel storage space 41 to accommodate the user's toiletries ( A toiletry storage space 42 formed on one side of 41), a cleaning liquid storage space 43 in which cleaning liquid is accommodated so as to supply cleaning liquid to the cleaning liquid faucet 23 of the wash basin 20, and the paper towel storage A first partition plate 44 fixed between the space 41 and the toiletry storage space 42, and a second partition plate 45 fixed between the toiletry storage space 42 and the cleaning solution storage space 43, , It includes a pair of opening and closing doors 46 that are installed to be opened and closed so that the storage spaces 41 to 43 are not exposed to the outside.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손 세정장치를 도시한 입체도이다.5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hand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손 세정장치는 세면부(20)의 상부에 세면도구 수납부(40)를 설치함으로써, 세면에 필요한 칫솔, 치약, 종이타올 등을 수납할 수 있게 한다.2, 3, and 5, the hand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s a toiletry storage unit 4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oilet 20, so that a toothbrush required for washing , Toothpaste, paper towels, etc. can be stored.

상기 세면도구 수납부(40)는 종이타올 등과 같은 손을 닦을 수 있는 종이타올 수납부(41)와, 치약, 칫솔, 비누 등을 수납할 수 있는 세면도구 수납공간(42)과, 세정액 수도꼭지(23)에 세정액을 공급할 수 있는 세정액을 수납하는 세정액 수납공간(43)으로 구획 형성된다.The toiletry storage unit 40 includes a paper towel storage unit 41 for cleaning hands such as paper towels, a toiletry storage space 42 for storing toothpaste, toothbrush, soap, and the like, and a washing liquid faucet ( It is partitioned into a cleaning liquid storage space 43 for storing a cleaning liquid capable of supplying the cleaning liquid to 23).

상기 종이타올 수납공간(41)에는 종이타올을 적층시켜 둠으로써, 사용자가 손을 세정하고 난 후 종이타올로 손을 닦을 수 있도록 하며, 세면도구 수납공간(42)에는 사용자가 개인적으로 사용하는 치약, 칫솔, 비누 등과 같은 세면도구를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세정액 수납공간(43)에는 세정액이 담긴 세정액 통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Paper towels are stacked in the paper towel storage space 41 so that the user can wipe their hands with paper towels after washing their hands, and the toiletries storage space 42 contains toothpaste that the user uses personally. , To be able to store toiletries such as a toothbrush, soap, etc., and to be able to install a cleaning liquid container containing the cleaning liquid in the cleaning liquid storage space 43.

상기 세정액 수납공간(43)과 세정액 수도꼭지(23)는 호스(미도시) 등으로 연결되어 세정액 수도꼭지(23)를 통해 세정액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The cleaning liquid storage space 43 and the cleaning liquid faucet 23 are connected by a hose (not shown) to continuously supply the cleaning liquid through the cleaning liquid faucet 23.

또 상기 세정액 수납공간(43)에 수납되는 세정액 통은 주기적으로 교체 가능하게 설치됨은 물론이다.In addition,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cleaning liquid container accommodated in the cleaning liquid storage space 43 is periodically replaced.

상기 종이타올 수납공간(41)과 세면도구 수납공간(42) 사이에는 제1 격판(44)이 설치되고, 세면도구 수납공간(42)과 세정액 수납공간(43) 사이에는 제2 격판(45)이 설치된다.A first partition plate 44 is installed between the paper towel storage space 41 and the toiletries storage space 42, and a second partition plate 45 is provided between the toiletries storage space 42 and the cleaning solution storage space 43. Is installed.

이들 제1 격판(44)과 제2 격판(45)은 필요에 따라 수납공간(41~43)의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간격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se first and second diaphragms 44 and 45 may be installed so that the size of the storage spaces 41 to 43 can be freely adjusted as required.

상기 세면도구 수납부(40)의 전면에는 수납공간(41~43)을 은폐시키는 개폐도어(46)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An opening and closing door 46 for concealing the storage spaces 41 to 43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toiletry storage unit 40.

이러한 개폐도어(46)는 경첩(미도시) 등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opening and closing door 46 is rotatably installed by a hinge (not shown).

다음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손 세정장치의 작동방법을 설명한다.Next, a method of operating a hand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7.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손 세정장치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손 세정장치를 도시한 입체도이다.6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hand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hand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손 세정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사용자는 손을 씻기 위하여 세면부(20)의 수도꼭지(22)를 통해 물을 배출시키면서 세정액 수도꼭지(23)를 통해 세정액을 손에 묻히게 된다.6 and 7 show a state in which the hand wash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nd the user is a washing liquid faucet while discharging water through the faucet 22 of the wash basin 20 to wash hands. Through (23), the cleaning solution is applied to the hand.

이어서 손을 깨끗하게 씻은 다음 종이타올 수납공간(41)에 수납된 종이타올을 뽑아 손을 닦을 수 있으며, 온풍토출구(24)를 통해 배출되는 온풍에 의해 손을 건조시킬 수 있게 된다.Subsequently, after washing the hands cleanly, the paper towels stored in the paper towel storage space 41 can be pulled out to wipe the hands, and the hands can be dried by the warm air discharged through the warm air outlet 24.

또한 손을 씻는 세정 외에 치아를 닦고자 하는 경우에는 세면도구 수납공간(42)에 구비된 칫솔 등을 꺼내어 치아를 닦을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cleaning the teeth other than hand washing, the toothbrush provided in the toiletry storage space 42 can be taken out to clean the teeth.

손을 닦은 종이타올은 세정기본체(10)의 하부에 구비된 쓰레기통(31)에 투입하여 버리게 된다.The paper towels cleaned by hand are put into the trash bin 31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cleaning body 10 and discarded.

<제2 실시 예><Second Example>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손 세정장치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손 세정장치를 도시한 입체도이다.8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hand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hand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손 세정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세정기본체(10)에 세면부(20)를 설치함과 함께 쓰레기수납부(30)를 은폐시킬 수 있게 하며, 제1 실시 예와 동일한 명칭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이에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8 and 9 show a hand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wash-basin 20 is installed on the washing base 10 and the garbage storage 30 can be concealed. In addition, the same names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uplicate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세면부(20)의 중간지지대(13) 전면에는 사용자가 세면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거울(25)이 설치되고, 상기 쓰레기수납부(30)에는 쓰레기통(31)을 은폐시키는 개폐도어(33)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A mirror 25 is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intermediate support 13 of the wash basin 20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check the wash condition, and an opening and closing door for concealing the trash can 31 in the waste storage part 30 ( 33) is installed rotatably.

이와 같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손 세정장치는 중간지지대(13)에 거울(25)을 설치하여 줌으로써, 사용자가 세면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고, 쓰레기통수납홈부(11) 내에 수납된 쓰레기통(31)을 개폐도어(33)로 은폐시킴으로써 보다 깔끔한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In the hand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by installing the mirror 25 on the intermediate support 13, the user can visually check the washing condition, and the trash bin 31 accommodated in the trash bin storage groove 11 ) Is concealed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33 to have a cleaner structure.

아울러 제1 실시 예의 중간지지대(13)에 거울(25)을 설치할 수 있음은 몰론 쓰레기통수납홈부(11)의 전면에 개폐도어(33)를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mirror 25 can be installed on the intermediate support 13 of the first embodiment, of course,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33 can be installed in the front of the trash bin storage groove 11.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Although the invention made by the present inventor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and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10: 세정기본체 11: 쓰레기통수납홈부
12: 쓰레기통받침판 13: 중간지지대
14: 상부지지대
20: 세면부 21: 세면대
22: 수도꼭지 23: 세정액 수도꼭지
24: 온풍토출구 25: 거울
30: 쓰레기수납부 31: 쓰레기통
32: 손잡이구멍 33: 개폐도어
40: 세면도구 수납부 41: 종이타올 수납공간
42: 세면도구 수납공간 43: 세정액 수납공간
44: 제1 격판 45: 제2 격판
46: 개폐도어
10: cleaning base 11: garbage bin storage groove
12: trash can support plate 13: intermediate support
14: upper support
20: washbasin 21: washbasin
22: faucet 23: washing liquid faucet
24: warm air outlet 25: mirror
30: garbage storage 31: garbage can
32: handle hole 33: opening door
40: toiletries storage unit 41: paper towel storage space
42: toiletries storage space 43: cleaning liquid storage space
44: first plate 45: second plate
46: opening door

Claims (5)

세면대(21)가 설치되도록 소정의 높이 및 폭으로 형성되는 세정기본체(10);
사용자가 손을 씻을 수 있도록 세정기본체(10)의 중간 높이에 설치되는 설치되는 세면대(21)와, 사용자가 손을 씻을 수 있도록 세면대(21)에 설치되는 수도꼭지(22)가 구비된 세면부(20);
사용자가 손을 씻고 난 후 종이타올을 버릴 수 있도록 상기 세면부(20)의 하부에 설치되며, 쓰레기통(31)과 상기 쓰레기통(31)을 세면부(20)의 하부에 꺼내거나 집어넣을 수 있게 손잡이 구멍(32)이 형성된 쓰레기수납부(30);
상기 사용자가 손을 씻고 난 후 종이타올 및 소독액이 수납되게 상기 세정기본체(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세면도구 수납부(40);를 포함하되,
상기 세정기본체(10)는
상기 쓰레기수납부(30)의 쓰레기통(31)이 탈착 가능하게 수납되도록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쓰레기통(31)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수납되도록 상기 쓰레기통(31)의 동일한 직경을 갖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쓰레기통수납홈부(11);
상기 쓰레기통수납홈부(11)의 하부에는 쓰레기통(31)과 동일한 직경으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쓰레기통받침판(12);
상기 쓰레기통수납홈부(11)의 상부에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는 중간지지대(13);
상기 세면도구 수납부(40)가 형성되도록 상기 중간지지대(13)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지지대(14);를 포함하며,
상기 세면부(20)는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어 상면이 개방되어 반구(半球) 형상으로 형성되는 세면대(21);
사용자가 손을 씻을 수 있도록 물이 공급되는 수도꼭지(22);
사용자가 손을 세정액을 이용하여 씻을 수 있게 세정액이 공급되는 세정액 수도꼭지(23);
사용자가 손을 씻은 후 손을 건조시킬 수 있도록 온풍이 공급되는 온풍토출구(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세정장치.
A cleaning main body 10 formed with a predetermined height and width so that the sink 21 is installed;
A wash basin 21 installed at an intermediate height of the washing body 10 so that the user can wash their hands, and a faucet 22 installed on the wash basin 21 so that the user can wash their hands ( 20);
It is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wash basin 20 so that the user can dispose of the paper towel after washing their hands, and the trash can 31 and the trash can 31 can be removed or put in the lower part of the wash basin 20. Garbage storage unit 30 formed with a handle hole 32;
Including; a toiletry storage unit 40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leaning body 10 to accommodate the paper towel and disinfectant solution after the user wash their hands,
The cleaning body 10 is
The trash bin 31 of the trash storage part 30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size so that it is detachably accommodated, and the trash bin 31 has an arc shape having the same diameter so that the trash bin 31 is stored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Garbage bin storage groove 11 formed as;
A trash can support plate 12 formed in an arc shape with the same diameter as the trash can 31 at a lower portion of the trash can storage groove 11;
An intermediate support 13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bove the trash bin storage groove 11;
Includes; an upper support 14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intermediate support 13 so that the toiletry storage part 40 is formed,
The washing part 20 is
A wash basin 21 formed in a predetermined size and having an open upper surface to form a hemispherical shape;
A faucet 22 supplied with water so that the user can wash their hands;
A washing liquid faucet 23 supplied with a washing liquid so that a user can wash their hands using the washing liquid;
A hand washing apparatus comprising: a warm air outlet 24 through which warm air is supplied so that the user can dry their hands after washing their hand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면도구 수납부(40)는 사용자가 손을 씻고 난 후 손을 닦을 수 있도록 종이타올이 수납되는 종이타올 수납공간(41);
사용자의 세면도구를 수납할 수 있도록 상기 종이타올 수납공간(41)의 일측에 형성되는 세면도구 수납공간(42);
상기 세면부(20)의 세정액 수도꼭지(23)에 세정액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세정액이 수납되는 세정액 수납공간(43);
상기 종이타올 수납공간(41)과 세면도구 수납공간(42) 사이에 고정되는 제1 격판(44);
상기 세면도구 수납공간(42)과 세정액 수납공간(43) 사이에 고정되는 제2 격판(45);
상기 수납공간(41~43)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개폐도어(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세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toiletry storage unit 40 includes a paper towel storage space 41 in which a paper towel is accommodated so that a user can wipe his or her hands after washing their hands;
A toiletry storage space 42 formed on one side of the paper towel storage space 41 to accommodate the user's toiletries;
A cleaning liquid storage space 43 in which a cleaning liquid is accommodated so as to supply a cleaning liquid to the cleaning liquid faucet 23 of the wash basin 20;
A first partition plate 44 fixed between the paper towel storage space 41 and the toiletries storage space 42;
A second partition plate 45 fixed between the toiletry storage space 42 and the cleaning liquid storage space 43;
A hand washing apparatus comprising: a pair of opening/closing doors (46) installed to be opened and closed so that the storage spaces (41 to 43) are not exposed to the outsid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00032890A 2020-03-17 2020-03-17 Hand washing device KR10216502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2890A KR102165022B1 (en) 2020-03-17 2020-03-17 Hand wash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2890A KR102165022B1 (en) 2020-03-17 2020-03-17 Hand wash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5022B1 true KR102165022B1 (en) 2020-10-13

Family

ID=72885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2890A KR102165022B1 (en) 2020-03-17 2020-03-17 Hand wash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5022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58142U (en) * 1986-10-03 1988-04-18
JPH03125730A (en) * 1989-10-06 1991-05-29 Inax Corp Washstand device
JP2532252Y2 (en) * 1990-06-11 1997-04-09 株式会社ニフコ Storage case structure
JP2006271788A (en) * 2005-03-30 2006-10-12 Takara Standard Co Ltd Wall cabinet with blower, and wash cabinet having the same
KR20110002745U (en) 2009-09-11 2011-03-17 김지연 Hand cleansing machine
KR20130112890A (en) 2010-09-29 2013-10-14 트리스텔 피엘씨 Hand sanitizer
KR20170024833A (en) 2015-08-26 2017-03-08 이경직 Apparatus for cleaning hand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58142U (en) * 1986-10-03 1988-04-18
JPH03125730A (en) * 1989-10-06 1991-05-29 Inax Corp Washstand device
JP2532252Y2 (en) * 1990-06-11 1997-04-09 株式会社ニフコ Storage case structure
JP2006271788A (en) * 2005-03-30 2006-10-12 Takara Standard Co Ltd Wall cabinet with blower, and wash cabinet having the same
KR20110002745U (en) 2009-09-11 2011-03-17 김지연 Hand cleansing machine
KR20130112890A (en) 2010-09-29 2013-10-14 트리스텔 피엘씨 Hand sanitizer
KR20170024833A (en) 2015-08-26 2017-03-08 이경직 Apparatus for cleaning hand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92430A (en) Automatic hand washing and drying apparatus including combined blow drying means, towel dispensing means and waste disposal means
KR100835878B1 (en) Hand sterilizer with display device
KR101730597B1 (en) Apparatus for cleaning hands
CA2256376A1 (en) Automatic hand washing and drying apparatus including combined blow drying means and towel dispensing means
US6789695B1 (en) Door handle disinfecting/cover dispensing system
US20010006206A1 (en) Commercially modeled portable towelette dispenser apparatus with sensor means
CA2613463A1 (en) Publicly-accessible moist hand cleaning wipe station
KR100970888B1 (en) Hand sterilizer
KR100712147B1 (en) Traveling a washstand
KR102165022B1 (en) Hand washing device
KR101466865B1 (en) Transportable hand-washing Apparatus
BR112020014153A2 (en) CLEANING DEVICE AND DISPENSER
CA2296152A1 (en) The hygiene controller
KR20090053003A (en) The hand cleansing device use ultrasonic generator
KR200460224Y1 (en) Hand cleansing machine
US8491849B2 (en) Writing implement sanitizer and method of sanitization therefor
US20220395148A1 (en) Infection reducing Toilet seat cover
KR102218902B1 (en) foot pedal type hand sterilizer
KR101538436B1 (en) Spray disinfectant disposable toilet seat cover automatically
KR200410634Y1 (en) Wash apparatus equipped with supply means for antiseptic solution
KR100800151B1 (en) Pump type moisture supply equipment
KR102559272B1 (en) A hand brush
KR102443577B1 (en) hand shower cleaner
KR20220103406A (en) One hand sterilizer to clean even fine parts
JP3228825U (en) Hand clean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