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1174B1 -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of character possible of selected character input by pattern input part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of character possible of selected character input by pattern input par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1174B1
KR102161174B1 KR1020190172850A KR20190172850A KR102161174B1 KR 102161174 B1 KR102161174 B1 KR 102161174B1 KR 1020190172850 A KR1020190172850 A KR 1020190172850A KR 20190172850 A KR20190172850 A KR 20190172850A KR 102161174 B1 KR102161174 B1 KR 102161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input unit
input
charact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28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선영진
Original Assignee
선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영진 filed Critical 선영진
Priority to KR1020190172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117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1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1174B1/en
Priority to PCT/KR2020/018971 priority patent/WO2021133050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acter input device capable of inputting characters selected through a pattern input part and a method thereof.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the character input device for outputting characters selected through a pattern input part shared when inputting known characters or newly created characters by using a touch screen in an image display device and the like on a display, and a method thereof. The character input device capable of inputting characters selected through a pattern input part comprises: a touch screen (100) including a screen display part (110) and a touch panel (120) stacked and installed in an upper part of the screen display part (110) to divide the area into an input window area (130) and a pattern input part area (140) to enable patterning input for characters, numbers, symbols and functional key parts selected through the provided pattern input part (50); a pattern detection part (200) that detects patter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contact position coordinate information along with a touch operation of a user, a basic slip operation, and a continuous slip operation input through the pattern input part (50) provided in the touch screen; and a control part (300) that controls to retrieve and output characters, numbers, symbols, and function key parts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information to the screen display part (110) based on the patter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pattern detection part (200).

Description

패턴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문자 입력이 가능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of character possible of selected character input by pattern input part}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of character possible of selected character input by pattern input part}

본 발명은 패턴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문자 입력이 가능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한글, 영어 알파벳, 일본 문자. 특수문자 등과 같은 공지의 언어별 문자 중에서 선택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가상키보드 상의 키(또는 키버튼)가 아닌 패턴입력부를 통해 터치동작, 슬립동작 및 연속 슬립동작을 통해 패턴을 입력하면 이에 대응하도록 미리 설정된 문자가 화면표시부 상에 출력되도록 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capable of inputting a character selected through a pattern input unit, and more particularly, to a user in Korean, English alphabet, and Japanese characters. In order to input a character selected from known language-specific characters such as special characters, if the pattern is input through the pattern input unit rather than a key (or key button) on the virtual keyboard, the pattern is entered in advance. It relates to a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in which the set character is output on a screen display unit.

일반적으로 문자를 종이 또는 디스플레이상에 출력하는 방법으로는 물리적 키를 가진 타자기, 키보드 등이 있다. In general, a typewriter having a physical key, a keyboard, etc. are used to output characters on paper or a display.

또한 물리적 키보드가 없는 휴대폰, 태블릿PC, PDA 등과 같은 영상표시기기는 문자 입력이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 키보드(가상키보드)가 구비되어 디스플레이상에 출력하게 구성된다.In addition, video display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tablet PCs, PDAs, etc. that do not have a physical keyboard are configured to be provided with a soft keyboard (virtual keyboard) to input characters or perform functions to output them on the display.

상기와 같은 가상키보드는 터치스크린 상에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를 구성하는 개별 자음 또는 모음에 대응하는 모양을 가진 문자가 개별키에 시현되도록 구성되어 입력하고자 하는 모양을 가진 키를 누름으로써 입력과 출력이 이루어지게 된다.The virtual keyboard as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so that characters with a shape corresponding to individual consonants or vowels constituting the character to be inputted on the touch screen are displayed on individual keys, and input and output are performed by pressing the key with the shape to be input. Will come true.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입력하고자 하는 각 언어를 선택하여 해당 언어에 해당하는 문자가 표시되는 가상키보드를 불러오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Accordingly, the user selects each language he/she wants to input, and goes through a process of calling up a virtual keyboard in which characters corresponding to the language are displayed.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입력방법은 언어별 문자를 구성하는 자음, 모음 및 특수 기호의 개수에 따라 가상 키보드의 키 숫자가 부족할 수도 있고, 해당 언어마다 가상키보드의 키 배열도 각각 다르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input method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number of keys on the virtual keyboard may be insufficient depending on the number of consonants, vowels, and special symbols constituting characters for each language, and the key arrangement of the virtual keyboard is different for each language.

또한 기존에 알려진 공지의 언어별 문자 즉, 한글, 영어 알파벳, 일본 문자와 같은 문자들이 아닌 혹 새로운 문자가 생길 경우는 종래의 키보드를 이용할 수 없다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 structural problem in that a conventional keyboard cannot be used when a new character other than the previously known language-specific characters, ie, Korean, English alphabet, and Japanese characters, is generated.

한편, 상기와 같은 문자를 액정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영상표시기기에서 입력하는 수단으로 대표적으로 터치스크린 방식이 있다.Meanwhile, as a means for inputting the above characters in an image display device equipped with a liquid crystal display, there is a typical touch screen method.

터치스크린은 특정 위치에 사람의 손 또는 물체가 닿으면, 그 위치를 파악하여 제어부로 전달한다. 터치스크린이 구비되는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해 요청되는 기능에 따라 서로 다른 이미지들을 터치스크린에 출력하고,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는 이미지를 파악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When a person's hand or object touches a specific location, the touch screen recognizes the location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A terminal equipped with a touch screen outputs different images on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 function requested by a user, and performs a corresponding function by grasping an image touched by the user.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PC에서 터치스크린 상의 소프트 키보드(가상키보드)를 이용하여 입력기능을 수행할 때 키(또는 키버튼)를 터치하여 문자를 입력하는데, 문자의 입력기능과 화면 표시기능을 모두 실현해야 하므로 넓은 시현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When performing an input function using a soft keyboard (virtual keyboard) on the touch screen on a smart phone or tablet PC, touch a key (or key button) to input characters, but both the character input function and the screen display function must be realiz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cure wide visibility.

그러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터치식 키보드의 면적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방법은 오직 키(또는 키버튼)의 크기를 줄이거나 한 줄에 여러 개의 키를 나열하여 키보드가 차지하는 면적을 줄일 수밖에 없는 바, 이러한 경우에 키 간의 간격이 너무 좁아져 오타가 자주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However, the only way to minimize the area of the currently used touch keyboard is to reduce the size of the keys (or key buttons) or arrange several keys in one row to reduce the area occupied by the keyboard. On the other hand, the gap between the keys is too narrow, which causes frequent typos.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키 간의 간격을 넓히는 경우에는 단어를 입력하기 위해서 가상 키보드의 여러 키를 눌러야 하는데, 소프트 키보드의 면적이 넓을수록 손가락의 이동거리가 증가하므로 그만큼 입력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disadvantage, when the spacing between keys is increased, several keys on the virtual keyboard must be pressed to input words. As the area of the soft keyboard increases,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fingers increases. There is this.

다른 방법은 사용자가 선택한 가상 키보드 상의 키(또는 키버튼) 주위에 연관된 문자가 표시 되도록 하여 원하는 문자를 선택하도록 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 경우도 나열된 문자가 처음에 배치되어 있는 문자를 가리게 되어 그 다음에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의 위치인식 파악이 어려워 문자입력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Another method is to display the related character around a key (or key button) on the virtual keyboard selected by the user to select the desired character, but in this case, the characters listed will cover the character placed at the beginning.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the location of the character to be entered next, so it takes a lot of time to input the character.

또한 상기와 같은 시각적으로 보여지는 가상키보드들은 시각적인 장애가 있거나 손 동작의 장애가 있는 사람들에게는 키에 보여지는 문자나 기호를 식별하기 어렵고, 키보드상의 키간을 이동하기 어렵다는 구조적인 단점이 존재한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visually visible virtual keyboards have structural disadvantages in that it is difficult to identify characters or symbols displayed on a key and to move between keys on the keyboard for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or hand movements.

또한 종래의 터치스크린 상의 가상키보드 중 쿼티키보드와 같은 종류 말고 숫자 키에 숫자에 해당하는 키패드에 문자를 적용한 키패드 구성을 보면 대부분 문자입력 키 배열이 최소 4열4행 이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디스플레이 화면의 절반이상을 차지하여 입력된 문자를 표시하거나 유사 한자음 또는 모든 외국 알파벳 등을 나열할 수 있는 표시 공간이 협소하여 문자입력에 많은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는 공간상에 단점도 있어서 이에 대한 해결이 필요한 실정이다.In addition, if you look at the keypad configuration in which characters are applied to the keypad corresponding to the number, not the same type as the QWERTY keyboard among the conventional virtual keyboards on the touch screen, most of the character input keys are arranged in at least 4 columns and 4 rows. There is also a shortcoming in space, which causes a lot of inconvenience in inputting characters due to a narrow display space for displaying input characters or listing similar Chinese consonants or all foreign alphabets, and thus a solution is needed.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561783(2015.10.13.)Korean Patent Publication Registration No. 10-1561783 (2015.10.13.)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983194(2010.09.13.)Korean Patent Publication Registration No. 10-0983194 (2010.09.13.)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248752(2013.03.25.)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Registration No. 10-1248752 (2013.03.25.)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5-0043541(2005.05.11.)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05-0043541 (2005.05.11.)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표시기기 등에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공지의 문자 또는 새롭게 만들어진 문자를 입력시 가상키보드상에 보여지는 해당 문자별 모양이 보여지는 키(또는 키버튼)가 아닌 공용으로 사용되는 패턴입력부를 통해 터치동작, 슬립동작 및 연속 슬립동작을 통해 패턴을 입력하면 이에 대응하도록 미리 설정된 문자가 선택되어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되도록 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 key (or key button) showing the shape of each character displayed on a virtual keyboard when a known character or a newly created character is input using a touch screen in a video display device, etc. When a pattern is input through a touch operation, a slip operation, and a continuous slip operation through a pattern input unit that is used in common, not ), a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in which a preset character is selected and output on the display to correspond thereto. .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음에 해당하는 문자의 입력과 모음에 해당하는 문자의 입력 영역을 분리하여 직관적으로 패턴화하여 입력할 수 있는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capable of intuitively patterning and inputting a character corresponding to a consonant and an input area of a character corresponding to a vowel.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지의 문자가 아닌 사용자에 의해 새로 만들어진 문자도 패턴입력부를 통해 편하게 입력할 수 있는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capable of conveniently inputting characters newly created by a user other than known characters through a pattern input uni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문자 등을 입력시 영상표시기기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상에서 입력 영역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지 않도록 최소화하여 면적을 줄여줌으로써, 입력된 문자나 유사 한자음 나열 등의 표시 공간을 확장시켜 주는 동시에, 문자의 위치 인식이 쉽고 손가락이 이동하는 거리도 최소화하여 문자입력을 더욱 신속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패턴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문자 입력이 가능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area by minimizing the input area not to occupy more than half on the display screen constituting the image display device when inputting characters, etc., thereby expanding the display space of the input characters or similar Chinese consonants. At the same time, it is to provide a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capable of inputting a selected character through a pattern input unit that facilitates recognition of the location of a character and minimizes the distance a finger moves, thereby performing character input more quickly and conveniently.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화면 표시부와, 상기 화면 표시부 상부에 적층되어 설치되는 터치패널로 구성되어, 그 영역을 입력창 영역과 패턴입력부 영역으로 구분하여 제시된 패턴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문자, 숫자, 부호 및 기능키부에 대한 패턴화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터치스크린과;The present invention, which achieves the above object and performs the task of removing the conventional defects, is composed of a screen display unit and a touch panel that is stacked and installed on the screen display unit, and includes an input window area and a pattern input unit. A touch screen configured to enable patterning input for letters, numbers, symbols, and function keys selected through the pattern input unit divided into regions and presented;

상기 터치스크린에 제시된 패턴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터치동작, 기본 슬립동작 및 연속 슬립동작과 함께, 접촉되는 위치좌표에 의한 패턴정보를 감지하는 패턴 감지부와;A pattern detection unit that detects pattern information based on contact position coordinates along with a user's touch operation, basic slip operation, and continuous slip operation input through the pattern input unit presented on the touch screen;

상기 패턴 감지부로부터 전송되는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화면 표시부에 패턴정보에 대응하는 문자, 숫자, 부호 및 기능키부를 저장부에서 불러와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문자 입력이 가능한 문자 입력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control to retrieve and output characters, numbers, symbols, and function keys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information to the screen display unit based on the patter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pattern detection unit. This is achieved by providing a character input device capable of inputting selected characters through an input unit.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저장부는 공지의 언어별로 패턴과 이에 대응하는 문자, 기호, 숫자가 저장된 공지문자저장부와; 사용자가 새롭게 만든 패턴과 이에 대응하는 문자, 기호, 숫자가 저장된 사용자문자저장부 및 하나 이상의 패턴입력부가 저장된 패턴입력부 저장부;로 구성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storage unit includes a known character storage unit in which a pattern for each known language and characters, symbols, and numbers corresponding thereto are stored; A user character storage unit in which a pattern newly created by a user and corresponding characters, symbols, and numbers are stored, and a pattern input unit storage unit in which at least one pattern input unit is stored.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패턴입력부는 자음 입력을 위한 패턴을 형성하도록 다각형으로 구성된 제 1 자음입력부와;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pattern input unit includes a first consonant input unit configured in a polygonal shape to form a pattern for inputting consonants;

상기 제 1 자음입력부의 내부 영역에 위치하여 자음 입력을 위한 패턴을 형성하도록 다각형으로 구성된 제 2 자음입력부와;A second consonant input unit positioned in an inner region of the first consonant input unit and configured in a polygonal shape to form a pattern for inputting consonants;

모음 입력을 위한 패턴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 2 자음입력부 내부 영역에 위치하는 모음입력부와;A vowel input unit positioned in an inner region of the second consonant input unit to form a pattern for vowel input;

숫자, 부호, 문자 입력을 위해 상기 제 1 자음입력부를 구성하는 다각형의 각 꼭지점마다 바깥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삐침부와;At least one protruding portion extending outwardly at each vertex of the polygon constituting the first consonant input unit for inputting numbers, signs, and characters;

기능키부 입력을 위해 상기 제 1 자음입력부 및 제 2 자음입력부를 구성하는 다각형의 각 꼭지점 영역마다 형성된 기능키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t may include a function key unit formed for each vertex area of a polygon constituting the first consonant input unit and the second consonant input unit for inputting a function key unit.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패턴입력부는 선택된 문자, 숫자, 부호의 형상에 따른 특징을 이용하여 사전 정의되어 저장부에 저장된 패턴에 따라 제 1 자음입력부, 제 2 자음입력부, 모음입력부, 삐침부, 기능키부 및 이들 사이 영역간을 터치 동작, 슬립 동작, 누름 동작 및 위치좌표 정보를 조합하여 패턴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pattern input unit is predefined using feature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selected letter, number, and sign, and according to the pattern stored in the storage unit, the first consonant input unit, the second consonant input unit, the vowel input unit, the beep unit, and the function It may be configured to pattern the key portion and a region between them by combining a touch operation, a slip operation, a pressing operation, and position coordinate information.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제 1 자음입력부 및 제 2 자음입력부의 다각형을 구성하는 각 방향의 선분은 터치시 한 개의 점으로 인식되어 서로다른 패턴정보로 입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a line segment in each direction constituting a polygon of the first consonant input unit and the second consonant input unit may be recognized as a single point when touched, and may be configured to be input as different pattern information.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삐침부는 각 꼭지점에 형성된 개수보다 많은 입력을 위해 삐침부 사이 영역에 대한 방향성을 가지는 터치에 의해 패턴정보가 생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pattern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by a touch having a directionality with respect to an area between the beeps for inputting more than the number formed at each vertex.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삐침부는 각 꼭지점 마다 1 ~ 3개로 구성될 수 있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beep portion may be composed of 1 to 3 per vertex.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패턴입력부는 다각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pattern input unit may be formed of a polygon.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패턴입력부는 하나 또는 복수개가 패턴입력부 영역(140)에 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ne or more of the pattern input units may be configured to be presented in the pattern input unit area 140.

본 발명은 다른 실시양태로, 상기 패턴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문자 입력이 가능한 문자 입력 장치를 구비한 후, In another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haracter input device capable of inputting a selected character through the pattern input unit,

패턴 감지부를 통해 다각형의 패턴입력부가 표시되어, 사용자의 동작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터치동작, 기본 슬립동작 및 연속 슬립동작과 함께, 접촉되는 위치좌표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와;A step of displaying a polygonal pattern input unit through the pattern detection unit, and detecting contact position coordinate information along with a user's touch operation, a basic slip operation, and a continuous slip operation in response to the user's operation;

상기 감지되는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감지 신호에 해당되는 사용자의 터치동작, 기본 슬립동작 및 연속 슬립동작과 함께, 접촉되는 위치좌표 정보를 조합하여 대응되는 패턴을 기반으로 저장부에 저장된 선택된 문자를 선택하는 단계와;Based on the detected detection signal, the user's touch operation, basic slip operation, and continuous sleep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signal are combined, and the contacted position coordinate information is combined to select the selected charact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based on the corresponding pattern. And;

상기 선택된 문자를 입력창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문자 입력이 가능한 문자 입력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It is achieved by providing a character input method capable of inputting a selected character through a pattern input unit, comprising the step of displaying the selected character in an input window area.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패턴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문자 입력이 가능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capable of inputting a character selected through a pattern inpu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haracteristics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영상표시기기 등에서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공지의 문자 또는 새롭게 만들어진 문자를 입력시 종래처럼 가상키보드 상에 보여지는 해당 문자별 모양이 보여지는 키(또는 키버튼)가 아닌 공용으로 사용되는 패턴입력부를 통해 터치동작, 슬립동작 및 연속 슬립동작을 통해 패턴을 입력하면 이에 대응하도록 미리 설정된 선택된 문자가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First, when inputting a known character or a newly created character using a touch screen in a video display device, it is not a key (or key button) showing the shape of each character displayed on a virtual keyboard as in the prior art, but a common pattern input When a pattern is input through a touch operation, a slip operation, and a continuous slip operation through the unit, there is an effect that a predetermined character set to correspond thereto can be output on the display.

둘째, 문자입력을 위한 수단인 다각형의 패턴입력부를 통해 사용자의 터치동작, 기본 슬립동작 및 연속 슬립동작을 이용하여 원하는 문자를 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키 누름 회수를 최소화할 수 있어 획기적으로 문자입력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econd, since the user's touch operation, basic slip operation, and continuous slip operation can be used to input the desired character through the polygonal pattern input unit, which is a means for character input, the number of key presses can be minimiz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shorten.

셋째, 문자입력을 위한 수단이 2차원 좌표 대응방식을 이용한 다각형만을 영상 표시기기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쉽고 빠르게 문자 입력이 가능한 효과도 있다.Third, since the means for inputting characters displays only polygons using a two-dimensional coordinate correspondence method on the image display device, the user can easily and quickly input characters.

넷째, 문자입력을 위한 수단이 다각형의 패턴입력부만으로 구성함으로써, 한정된 디스플레이 화면 내에서 입력된 문자표시나 유사 한자음 등을 나열할 수 있는 공간을 최대한 크게 확장시켜 줄 뿐만 아니라, 문자의 위치 인식이 쉽고 손가락이 이동하는 거리도 최소화하여 문자입력을 더욱 신속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Fourth, since the means for character input is composed of only the polygonal pattern input unit, the space for arranging the input character display or similar Chinese consonants within the limited display screen is expanded as much as possible, and the position of characters is easily recognized. By minimizing the distance that the finger moves, there is an effect such that character input can be performed more quickly and conveniently.

다섯째, 문자입력을 위한 수단이 다각형의 패턴입력부만으로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휴대폰, Ultra Mobile PC 및 Ubiquitous Fashionable Computer 뿐 아니라, 게임기(PS3, XBOX, PSP등), PDA나 PMP 등 다양한 소형 기기들에 적용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Fifth, as the means for character input consists only of a polygonal pattern input unit, it can be applied not only to existing mobile phones, Ultra Mobile PCs and Ubiquitous Fashionable Computers, but also to various small devices such as game consoles (PS3, XBOX, PSP, etc.), PDA or PMP. There are also possible effects.

여섯째, 문자입력을 위한 수단이 다각형의 패턴입력부만으로 입력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키보드 상에 특정 문자 키나 기능키가 보이도록 배치하지 않아도 문자입력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Sixth, since the means for inputting characters is configured to be input only by a polygonal pattern input unit, there is an effect that characters can be input without arranging specific character keys or function keys on the keyboard to be visible.

일곱째, 문자입력을 위한 수단이 다각형의 패턴입력부만으로 구성함으로써, 터치스크린 상의 소프트 키보드의 면적을 줄일 수 있어, 화면의 넓은 시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eventh, since the means for inputting characters is composed of only the polygonal pattern input unit, the area of the soft keyboard on the touch screen can be reduced, thereby securing wide visibility of the screen.

여덟째, 문자입력을 위한 수단이 다각형의 패턴입력부만으로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소프트 키보드보다 터치 오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Eighth, since the means for inputting characters is composed of only the polygonal pattern input unit,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ouch errors than the conventional soft keyboard.

아홉째, 문자입력을 위한 수단이 다각형의 패턴입력부만으로 구성함으로써, 손가락의 이동거리를 줄일 수 있어 빠르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Ninth, since the means for inputting characters is composed of only the polygonal pattern input uni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finger, and thus, there is an effect that characters can be quickly input.

열째, 문자입력을 위한 수단인 다각형의 패턴입력부 구성이 자음에 해당하는 문자 입력 영역과 모음에 해당하는 문자 입력 영역이 분리되어 직관적으로 패턴화하여 입력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Tenth, in the configuration of the polygonal pattern input unit, which is a means for inputting characters, there is an effect that a character input area corresponding to a consonant and a character input area corresponding to a vowel are separated and intuitively patterned for input.

열한째, 문자입력을 위한 수단이 다각형의 패턴입력부만으로 구성함으로써 시각적인 장애가 있거나 손 동작의 장애가 있는 사람들도 보다 손쉽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문자에 패턴을 넣음으로 해서 생기는 부가적인 기능이다.Eleventh, since the means for inputting characters is composed of only a polygonal pattern input unit, there is an effect that even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or hand movements can easily input characters. It is an additional function created by putting a pattern in the text.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다양한 효과를 가진 유용한 발명으로 산업상 그 이용이 크게 기대되는 발명인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useful invention having various effects as described above, and is an invention that is highly expected to be used in industr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턴입력부를 통한 문자입력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시의 영역을 표시한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패턴입력부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4a 내지 도 4j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사각형 패턴입력부를 통한 자음 입력 방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패턴입력부를 통한 모음 입력 방법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패턴입력부를 통해 숫자를 입력하는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초심자를 위한 한글 패턴 입력 가이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패턴입력부의 기본 및 양손형 실시예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haracter input device through a pattern inpu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region when text is in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pattern inpu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to 4J are exemplary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inputting consonants through a square pattern inpu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vowel input method through a pattern inpu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inputting a number through a pattern inpu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guide for inputting a Hangul pattern for beginn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basic and two-handed embodiment of a pattern inpu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conne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턴입력부를 통한 문자입력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시의 영역을 표시한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패턴입력부를 보인 예시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haracter input device through a pattern inpu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region during character in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pattern inpu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문자입력 장치는 영상표시기기 등에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공지의 문자 또는 새롭게 만들어진 문자를 입력시 가상키보드상에 보여지는 해당 문자별 모양이 보여지는 키(또는 키버튼)가 아닌 공용으로 사용되는 패턴입력부를 통해 터치동작, 슬립동작 및 연속 슬립동작을 통해 패턴을 입력하면 이에 대응하도록 미리 설정된 선택된 문자가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되도록 한 문자 입력 장치로 그 구성은 터치스크린(100), 패턴 감지부(200), 제어부(300) 및 저장부(400)를 포함한다. As shown, the character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key (or key button) showing the shape of each character displayed on a virtual keyboard when a known character or a newly created character is input using a touch screen in an image display device. In addition, when a pattern is input through a commonly used pattern input unit through a touch operation, a slip operation, and a continuous slip operation, a character input device that is selected in advance to be outputted on the display. , A pattern detection unit 200, a control unit 300, and a storage unit 400.

상기 터치스크린(100)은 화면 표시부(110)와, 상기 화면 표시부(110) 상부에 적층되어 설치되는 투명 터치패널(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touch screen 100 includes a screen display unit 110 and a transparent touch panel 120 that is laminated and installed on the screen display unit 110.

또한 상기 화면 표시부(110)는 영상 표시기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메뉴 버튼, 소프트 키보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문자 등의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screen display unit 110 is configured to display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such as a menu button for operating the video display device, a soft keyboard, and a character selected by a user.

상기 터치스크린(100)은 그 영역이 입력창 영역(130)과 패턴입력부 영역(140)으로 구분된다. The area of the touch screen 100 is divided into an input window area 130 and a pattern input unit area 140.

입력창 영역(130)은 사용자가 패턴입력부 영역(140)에서 입력한 패턴에 대응하는 문자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이다.The input window area 130 is an area in which characters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input by the user in the pattern input unit area 140 are displayed.

또한 패턴입력부 영역(140)에는 사용자가 어플을 실행하여 문자를 입력하고자 할 경우 상기 제어부(300)가 저장부(400)의 패턴입력부 저장부(430)에 저장된 페턴입력부 중 어느 하나의 패턴입력부(50)가 표시되도록 하여 선택된 문자입력을 위한 패턴을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In addition, in the pattern input unit area 140, when a user wants to input characters by executing an application, the control unit 300 includes any one of pattern input units stored in the pattern input unit storage unit 430 of the storage unit 400 ( 50) is displayed so that the pattern for inputting the selected character can be input.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패턴은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패턴으로 이하 설명하는 특정 패턴모양이나 입력 실시예가 본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중요한 것은 패턴을 입력할 수 있는 패턴화가 가능한 패턴입력부 구성이 중요한 것이다. 사전에 정의되는 패턴은 단순해 질수록 문자입력은 편해지므로 경우에 따라 새로운 패턴을 정의하여 자음이나 문자 입력이 편하게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pattern mention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ttern for inputting characters, and a specific pattern shape or input embodiment described below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mportant to configure a pattern input unit capable of patterning to input a pattern. As the pattern defined in the dictionary becomes simpler, the character input becomes easier, so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consonant or character input can be conveniently configured by defining a new pattern in some cases.

상기 패턴입력부 영역(140)에 표시되는 패턴입력부(50)를 통해 사용자가 터치동작, 기본 슬립동작 및 연속 슬립동작과 함께 접촉되는 위치좌표와 같은 정보가 터치패널(120)을 통해 패턴 감지부(200)로 전송되게 된다.Through the pattern input unit 50 displayed in the pattern input unit area 140, information such as a position coordinate contacted by the user with a touch operation, a basic slip operation, and a continuous slip operation is transmitted through the touch panel 120. 200).

상기 패턴입력부 영역(140)에 표시되는 패턴입력부(50)의 내외부에서 시작된 입력동작은 패턴입력부(50)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종료된다. The input operation started inside or outside the pattern input unit 50 displayed in the pattern input unit area 140 is terminated inside or outside the pattern input unit 50.

또한 상기 패턴입력부가 실행되는 패턴입력부 영역(140) 또는 패턴입력부의 크기는 한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것처럼 입력창 영역(130) 보다 작은 비례를 가지도록 한정되지는 않는다, 입력창 영역(130)보다 더 크게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다. In addition, the size of the pattern input unit area 140 or the pattern input unit in which the pattern input unit is executed is not limited to have a proportion smaller than that of the input window area 130 as show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input window area 130 Of course, it can be formed larger than that.

또한 경우에 따라 터치스크린의 전체 화면 영역을 모두 사용해도 된다. 이와 같이 전체화면 영역에 표시될 경우 문자가 보여지는 입력창 영역은 겹치게 구성하거나 플로팅된 별도의 윈도 형태로 구성하면 된다.Also, in some cases, the entire screen area of the touch screen may be used. When displayed in the full screen area as described above, the input window area in which characters are displayed may be overlapped or configured as a separate floating window.

상기 패턴 감지부(200)는 상기 터치스크린(100)에 제시되는 패턴입력부(400)를 통한 사용자의 동작 및 위치좌표 정보의 조합에 따른 패턴을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패턴 감지부(200)는 패턴입력부 영역(140)에 위치하는 터치패드를 통해 사용자의 터치동작, 기본 슬립동작 및 연속 슬립동작과 함께, 접촉되는 위치 좌표를 감지한 패턴 정보를 상기 제어부(30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패턴정보라는 것은 특정 패턴을 확정한 정보는 아니고 제어부에서 판단할 수 있도록 전송되는 패턴정보이다.The pattern detection unit 200 detects a pattern according to a combination of a user's motion and position coordinate information through the pattern input unit 400 presented on the touch screen 100. Specifically, the pattern detection unit 200 detects the user's touch motion, basic slip motion, and continuous slip motion, as well as the pattern information by detecting the contacted position coordinates through the touch pad located in the pattern input unit area 140. It serves to transmit to the control unit 300. At this time, the pattern information is not information on which a specific pattern is determined, but pattern information transmitted so that the control unit can determine it.

상기 제어부(300)는 영상 표시기기 전체의 작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면서, 상기 패턴 감지부(200)로부터 전송되는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화면 표시부(110)에 패턴정보에 대응하는 문자, 숫자, 부호 및 기능키부의 출력을 제어한다. The control unit 300 plays a role of controlling the entire operation of the video display device, and displays letters and numbers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information to the screen display unit 110 based on the patter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pattern detection unit 200. Controls the output of, sign and function key.

즉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패턴 감지부(200)가 감지한 사용자의 터치동작, 기본 슬립동작 및 연속 슬립동작과 함께, 접촉되는 위치좌표 정보의 조합에 대응되는 패턴을 전송받아 이 패턴에 대응하는 문자가 선택되어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That is, the control unit 300 receives a pattern corresponding to a combination of contacted position coordinate information along with a user's touch operation, basic slip operation, and continuous sleep operation sensed by the pattern detection unit 200 and responds to this pattern. Controls the selected character to be displayed.

제어부는 상기 패턴에 각각 대응되는 문자가 미리 저장된 저장부(400)를 제어하여 전송된 패턴정보를 가지고 특정 패턴을 확정한 후 이와 매칭되는 문자를 패턴문자저장부에서 검출하여 상기 화면 표시부(110)에 출력한다.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storage unit 400 in which the characters corresponding to the patterns are stored in advance, determines a specific pattern with the transmitted pattern information, and detects the matching character in the pattern character storage unit, and the screen display unit 110 Output to

상기 저장부(400)은 공지의 언어별로 패턴과 이에 대응하는 문자, 기호, 숫자가 저장된 공지문자저장부(410)와; 사용자가 새롭게 만든 패턴과 이에 대응하는 문자, 기호, 숫자가 저장된 사용자문자저장부(420) 및 하나 이상의 패턴입력부가 저장된 패턴입력부 저장부(430);로 구성된다.The storage unit 400 includes a known character storage unit 410 in which patterns for each known language and characters, symbols, and numbers corresponding thereto are stored; A user character storage unit 420 in which a pattern newly created by the user and corresponding characters, symbols, and numbers are stored, and a pattern input unit storage unit 430 in which at least one pattern input unit is stored.

공지문자저장부(410)에 저장된 정보는 한글, 영어 알파벳, 일본문자, 아랍문자, 그리스문자, 러시아문자 ...등등과 같이 현재 존재하여 통용되는 문자와 기호, 숫자 등을 말한다.Information stored in the notice character storage unit 410 refers to currently existing and commonly used characters, symbols, and numbers, such as Korean, English alphabet, Japanese characters, Arabic characters, Greek characters, Russian characters, etc.

사용자문자저장부(420)에 저장된 정보는 공지되지 않은 문자가 발생할 경우 이를 저장할 수 있는 패턴 및 문자 입력기를 통해 생성되어 저장되는 정보이다. 또한 기호, 숫자 등을 말한다. 이에 따라 공지되지 않은 새롭게 생겨나는 문자도 자유롭게 만들어 화면 표시부(110)에 출력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user character storage unit 420 is information generated and stored through a pattern and a character input device capable of storing unknown characters when they occur. It also refers to symbols, numbers, etc.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freely create an unknown character and output it to the screen display unit 110.

패턴입력부 저장부(430)는 문자별 패턴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패턴입력부(50)가 저장되는 곳이다. 저장된 패턴입력부는 상기 제어부(300)가 불러와 화면 표시부(110)에 그 모양을 제시하게 된다.The pattern input unit storage unit 430 is a place in which at least one pattern input unit 50 configured to form a pattern for each character is stored. The stored pattern input unit is called by the control unit 300 and presents its shape on the screen display unit 110.

패턴입력부(50)는 다각형으로 구성된 하나 이상의 형상이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이하 설명되는 형상은 4각형을 기본으로 하는 형상인데. 5각 이상의 임의의 다각형 형상으로 패턴입력부를 추가로 저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pattern input unit 50 may store one or more polygonal shapes. The shape described be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hape based on a square. Of course, it is possible to additionally store the pattern input unit in an arbitrary polygonal shape of 5 or more.

패턴입력부(50)의 형상은 다양한 문자별 형상을 참고로 특징화한 다양한 패턴이 조합될 수 있어서 입력시 특정 문자만을 입력하도록 구성된 공지의 키보드상 키와 같은 것을 이용하지 않고도 다양한 문자를 패턴화해서 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문자별로 별도의 가상키보드 및 키배열이 필요치 않게 된다.The shape of the pattern input unit 50 can be combined with various patterns characterized by referring to the shape of various characters, so that various characters are patterned without using keys on a known keyboard configured to input only specific characters during input. Since it can be entered, a separate virtual keyboard and key arrangement for each character are not required.

한편, 패턴입력부(50)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는 한 개로 예시하지만 2개 이상으로 구성할 수 잇다. 2개 이상으로 구성하면 더 많은 패턴 조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the pattern input unit 50 is illustrated as on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may be configured with two or more. This is because more pattern combinations are possible when composed of two or more.

이하 도 2 및 도 3에 따라 상기 패턴입력부 영역(140)에 표시되는 패턴입력부(50)의 형상 또는 구성을 한 실시예에 따라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원형 점선은 터치 또는 슬립시 터치되는 바람직한 영역을 말한다.Hereinafter, the shape or configuration of the pattern input unit 50 displayed on the pattern input unit area 140 according to FIGS. 2 and 3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circular dotted line shown in FIG. 3 refers to a preferred area to be touched during touch or slip.

본 발명에 따른 패턴입력부(50)는,The pattern input unit 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자음 입력을 위한 패턴을 형성하도록 다각형으로 구성된 제 1 자음입력부(51)와;A first consonant input unit 51 formed of a polygon to form a pattern for inputting consonants;

상기 제 1 자음입력부의 내부 영역에 위치하여 자음 입력을 위한 패턴을 형성하도록 다각형으로 구성된 제 2 자음입력부(52)와;A second consonant input unit 52 positioned in the inner region of the first consonant input unit and configured in a polygonal shape to form a pattern for inputting consonants;

모음 입력을 위한 패턴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 2 자음입력부 내부 영역에 위치하는 모음입력부(53)와;A vowel input unit 53 positioned in the inner region of the second consonant input unit to form a pattern for vowel input;

숫자, 부호, 문자 입력을 위해 상기 제 1 자음입력부를 구성하는 다각형의 각 꼭지점마다 바깥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삐침부(54)와;One or more protruding portions 54 extending outwardly at respective vertices of the polygon constituting the first consonant input unit for inputting numbers, signs, and characters;

기능키부 입력을 위해 상기 제 1 자음입력부 및 제 2 자음입력부를 구성하는 다각형의 각 꼭지점 영역마다 형성된 기능키부(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nd a function key unit 55 formed for each vertex area of a polygon constituting the first consonant input unit and the second consonant input unit for inputting a function key unit.

상기와 같이 구성된 패턴입력부(50)는 선택된 다양한 문자, 숫자, 부호의 형상에 따른 특징을 이용하여 사전 정의되어 저장부에 저장된 패턴에 따라 제 1 자음입력부(51), 제 2 자음입력부(52), 모음입력부(53), 삐침부(54), 기능키부(55) 및 이들 사이 영역간을 터치동작, 슬립 동작, 누름동작 및 위치좌표 정보를 조합하여 패턴화하도록 구성된다.The pattern input unit 5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cludes a first consonant input unit 51 and a second consonant input unit 52 according to a pattern stored in a storage unit that is predefined using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shape of various selected letters, numbers, and symbols. , The vowel input unit 53, the beep unit 54, the function key unit 55, and a region between them are patterned by combining touch operation, slip operation, pressing operation, and position coordinate information.

상기 제 1 자음입력부(51) 및 제 2 자음입력부(52)의 다각형을 구성하는 각 방향의 선분은 터치시 한 개의 점으로 인식되어 서로 다른 패턴정보로 입력된다. 즉, 인식된 점 정보는 터치시의 위치 좌표에 따라 서로 다른 정보로 인식된다.Line segments in each direction constituting the polygon of the first consonant input unit 51 and the second consonant input unit 52 are recognized as one point when touched, and are input as different pattern information. That is, the recognized point information is recognized as differ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location coordinates when touched.

따라서 선택된 문자별로 대응하는 패턴을 할당한다. Therefore, a corresponding pattern is allocated for each selected character.

이를 위해 자음일 경우 제 1 자음입력부(51) 및 제 2 자음입력부(52)를 구성하는 특정 위치 선분(변) 간을 터치하도록 슬립(드래그)하거나 제 1 자음입력부(51) 및 제 2 자음입력부(52)를 구성하는 선분까지 슬립(드래그)하지 않고 사이 영역까지만 슬립(드래그함)으로써 다양한 자음 입력 조합이 가능하다.To this end, in the case of consonants, slip (drag) to touch between a specific position line segment (side) constituting the first consonant input unit 51 and the second consonant input unit 52, or the first consonant input unit 51 and the second consonant input unit Various consonant input combinations are possible by not slipping (drag) to the line segment constituting (52), but slipping (drag) only to the intervening area.

또한 모음은 모음입력부(53)의 중심 영역에서 시작하여 드래그하는 방향과 제 2 자음입력부(52)를 구성하는 선분과의 터치 여부 그리고 기능키부의 터치 여부에 따라 다양한 모음 입력 조합이 가능하다.In addition, various combinations of vowel inputs are possible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vowel starting from the center area of the vowel input unit 53 and the dragging direction, whether a line segment constituting the second consonant input unit 52 is touched, and whether the function key is touched.

한 실시예로 모음입력시 한번 클릭은 항상 한글 "ㅇ" 또는 영문 "O"로 인식하도록 설정한다. 다만 다른 문자일 경우 그 설정에 따라 인식되는 모음이 다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a vowel is input, one click is always set to be recognized as Korean "ㅇ" or English "O". However, in the case of different characters, the recognized vowels may differ depending on the setting.

상기 제 1 자음입력부(51)의 각 꼭지점에서 바깥방향으로 형성된 각 삐침부들과 상기 제 1 자음입력부(51) 및 제 2 자음입력부(52)의 꼭지점마다 형성된 기능키부들은 선택 또는 더블 클릭에 의해 정보가 입력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 1 자음입력부(51)를 구성하는 다각형의 선분과 삐침부는 서로 간을 드래그시 특정 정보로 인식되지 않도록 설정한다.Each beep portion formed outward from each vertex of the first consonant input unit 51 and function key units formed at each vertex of the first consonant input unit 51 and the second consonant input unit 52 are selected or double-clicked to provide information. Is configured to be entered. At this time, the polygonal line segment and the beeping portion constituting the first consonant input unit 51 are set so that they are not recognized as specific information when dragging between each other.

상기 제 1 자음입력부(51) 및 제 2 자음입력부(52)를 구성하는 선분들은 문자입력을 위한 패턴의 시작점으로 되도록이면 선분의 가운데서 시작하는 것이 정확한 패턴 입력 정보로 인식된다.The line segments constituting the first consonant input unit 51 and the second consonant input unit 52 are recognized as accurate pattern input information, starting from the center of the line segment as a starting point of a pattern for character input.

상기 삐침부는 끝에서 시작하여 입력되도록 설정한다. The beep part is set to be input starting from the end.

삐침부의 개수는 1~3개로 구성되어 숫자, 부호 뿐만 아니라 기본적인 제 1 자음입력부(51) 및 제 2 자음입력부(52)에서 입력되도록 패턴화할 수 없는 문자의 자음을 입력할때도 사용된다. 다만, 다각형으로 구성된 본 발명의 제 1 자음입력부(51)의 다각이 큰 다각으로 구성시 예를 들어 10각형에서는 꼭지점에 형성된 삐침부의 개수가 여러개일 필요는 없고 1개면 충분하다. 10각형 정도가 되면 숫자와 특수키 입력에 아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The number of beep portions is composed of 1 to 3, and is used when inputting consonants of characters that cannot be patterned so as to be input from the basic first consonant input unit 51 and the second consonant input unit 52 as well as numbers and symbols. However, when the first consonant input unit 5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polygon is configured as a large polygon,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ten-shape, it is not necessary to have several, but one is sufficient. When it is about 10 squares, it can be used very effectively for entering numbers and special keys.

삐침부는 한 실시예로 꼭지점에서 바깥으로 연장된 삐침부가 2개일 경우 다각형을 4각형으로 구성시 모든 숫자를 표시할 수 없을 것 같지만 한 꼭지점에 형성된 2개의 삐침부와 삐침부 사이 영역을 이용하면 한 개의 꼭지점에서 3개의 숫자를 모두 이용할 수 있다. 즉, 어느 하나의 삐침부를 터치하여 클릭 후 두개의 삐침부 사이 영역으로 방향성을 주면 또 다른 문자 또는 숫자까지 할당할 수 있게 된다. As an example, if there are two protrusions extending outward from the vertex, it is likely that all numbers cannot be displayed when the polygon is formed into a quadrangular shape. However, if the area between the two protrusions formed at one vertex and the area between the apex is used You can use all three numbers at each vertex. That is, by touching and clicking any one of the beep parts, and giving direction to the area between the two beep parts, another letter or number can be allocated.

또한 다각형이 4각형이 아닌 더 큰 다각형일 경우도 사전 설정에 의해 0에서 9까지의 모든 숫자를 할당할 수 있다. In addition, even if the polygon is a larger polygon than a square, all numbers from 0 to 9 can be assigned by preset.

일반적으로 삐침부를 문자로 사용하는 경우는 공지의 문자일 경우 영어 같은 알파벳에 해당되고, 한글 입력에서는 삐침부를 문자로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한글입력시 삐침부를 한번 클릭하면 숫자가 바로 입력되게 된다. In general, when the beep part is used as a character, it corresponds to an alphabet such as English in the case of a known character, and since the beep part is not used as a character in Korean input, a number is entered immediately by clicking the beep part when entering Korean.

따라서 옵션으로 삐침부를 문자로 선택할지 여부를 결정하면 된다. 이때 언어별로 삐침부의 문자 기능 선택은 자동으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라별 문자를 입력하면 기본형은 그것을 사용할지 말지를 이미 정해져 있다. 따라서 선택된 언어가 영어 같이 삐침이 있다면 자동으로 문자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다만 문자의 사용자 선택 패턴 입력란에서는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 Therefore, as an option, you can decide whether or not to select the punctuation as text. In this case, the selection of the character function of the beep part for each language may be automatically selected. For example, if you enter country-specific characters, the basic form has already been decided whether to use them or not. Therefore, if the selected language has a beep, such as English, it can be automatically used as text. However, the user can select the text in the user selection pattern input field.

또한 삐침부에서 단순한 터치가 아닌 길게 누를 경우 자동으로 숫자 입력 패턴으로 인식하게 된다.In addition, if you press the button for a long time rather than a simple touch, it is automatically recognized as a number input pattern.

상기 기능키부는 꼭지점 영역을 터치시 교차점인 꼭지점 인근 선분을 터치해도 인식되도록 설정한다. 이러한 꼭지점 영역은 클릭 또는 더블클릭 터치시 입력 정보로 인식된다.When the vertex area is touched, the function key unit is set to be recognized even when a line segment adjacent to the vertex is touched. This vertex area is recognized as input information when a click or double click is touched.

또한 기능키부들은 제 1 자음입력부(51)와 제 2 자음입력부(52)가 사각형으로 구성시 8개의 기능키부를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consonant input unit 51 and the second consonant input unit 52 are formed in a square shape, eight function key units may be used as the function key units.

각 꼭지점 영역에 형성되는 기능키부의 역할을 설정시 알파벳의 대문자 소문자, 일본어의 히라가나 가타가나의 선택을 할 수 있도록 구성시 공지의 물리적 키보드에서 CAPS LOCK키와 숫자키 NUM LOCK은 키보드는 불이 들어와 있어서 사용자가 알수 있지만 본 발명과 같은 터치스크린이 사용되는 모바일 장치와 같은 영상표시기기에는 터치스크린에 입력키가 없을 때 이를 알 수 없기에 다음과 같이 사용할 수 있다.When setting the role of the function keys formed in each vertex area, it is possible to select uppercase and lowercase letters of the alphabet and Japanese hiragana and katakana. Although the user can know, the video display device such as a mobile device us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not know when there is no input key on the touch screen, so it can be used as follows.

기능키부에서 CAPS LOCK와 NUM LOCK 키에는 사용자가 알 수 있게 꼭지점에 발광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하여 해당 기능키부가 활성화 되었는지 눈으로 확인할수 있도록 구성한다.The CAPS LOCK and NUM LOCK keys in the function key are configured to visually check whether the corresponding function key is activated by adding a function that can be illuminated at the vertex so that the user can know.

또한 8개로 구성된 기능키부의 용도는 꼭지점 기능키부를 클릭, 더블 클릭, 길게누름과 같은 기능을 부여하여 24개의 기능키부로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 of the function key unit consisting of 8 vertex function keys can be used as 24 function key units by giving functions such as click, double click, and long press.

이러한 기능키부에 부여되는 역할로는 대표적으로 언어선택, SPASE, ENTER, DELETE, CAPS LOCK(길게 누르면 활성화 불빛이 나오고 한번 누르면 키 한번에 대해서 대문자 입력), NUM LOCK(길게 누르면 불빛 활성화, 한번 누르면 특수키 입력), ESC, 한자변환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The roles given to these functional keys are typically language selection, SPASE, ENTER, DELETE, CAPS LOCK (long press to turn on activation light, press once to enter capital letters for one key), NUM LOCK (long press to activate light, press once to activate special keys). Input), ESC, Chinese character conversion, etc.

기능키부가 사용 가능한 이유는 패턴화 방법이 제 1 자음입력부(51)와 제 2 자음입력부(52)를 구성하는 선분의 중심에서 시작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기에 꼭지점에서 시작하는 경우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The reason why the function key unit can be used is that the patterning method starts at the center of the line segment constituting the first consonant input unit 51 and the second consonant input unit 52, so there is no case of starting from a vertex. to be.

상기와 같이 설정된 패턴입력부는 제 1 자음입력부(51) 및 제 2 자음입력부(52)를 구성하는 각 선분들을 한개의 점으로 보고 점이 선택되는 순서에 따라서 패턴이 인식되면서 대응되는 문자와 연동되게 된다. The pattern input unit set as described above is viewed as a single dot for each line segment constituting the first consonant input unit 51 and the second consonant input unit 52, and the pattern is recognized according to the order in which the dots are selected, and is linked with the corresponding character. do.

또한 삐침부는 슬립(드래그) 없이 한번의 선택으로만 선택이 되고, 또한 특수키 등의 입력을 편하게 하기 위해서 방향성을 주면 한 개의 삐침이 여러개로 사용될수 있다. In addition, the beep part can be selected only with one selection without slip (drag), and one beep can be used multiple times if direction is given to facilitate input of special keys.

또한 터치, 더블터치도 사용할수 있다. 이와같이 삐침은 여러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You can also use touch and double touch. In this way, peep can be used in several ways.

또한 내부의 제 2 자음입력부(52)를 구성하는 선분들은 중간에 멈춘 경우 인식되거나 제 2 자음입력부에서 시작한 경우 인식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line segments constituting the second consonant input unit 52 are recognized when they are stopped in the middle or are recognized when starting from the second consonant input unit.

상기와 같은 패턴 입력시의 설정을 가지도록 구성함으로써 문자를 구성하는 자음, 모음, 숫자 및 기능키부의 시작 지점이 겹침이 없어서 터치 인식에 강한 패턴을 입력시킬 수 있다.By configuring to have the above-described setting for pattern input, consonants, vowels, numbers, and starting points of the function keys constituting characters do not overlap, so that a pattern that is strong for touch recognition can be input.

따라서 사용자의 터치동작, 기본 슬립동작 및 연속 슬립동작과 함께, 접촉되는 위치좌표 정보의 조합에 의해 다양한 서로 다른 패턴 정보를 형성시킬 수 있다.Accordingly, various different pattern information can be formed by a combination of the user's touch operation, basic slip operation, and continuous sleep operation, and contact position coordinate information.

패턴입력부(50)에서 특정 패턴이 형성되면 이를 패턴 감지부(200)가 특정 패턴으로 감지하여 그 형상을 제어부(300)로 전송하면 제어부는 저장부(400)에 저장된 공지문자저장부(410)에서 전송된 특정 패턴에 대응하는 문자, 기호, 숫자를 대응하여 터치스크린(100)의 입력창 영역(130)에 표시하게 된다.When a specific pattern is formed in the pattern input unit 50, the pattern detection unit 200 detects it as a specific pattern and transmits the shape to the control unit 300, and the control unit stores the notification character storage unit 410 stored in the storage unit 400. Characters, symbols, and numbers corresponding to a specific pattern transmitted from are displayed on the input window area 130 of the touch screen 100.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만든 패턴문자의 경우에도 입력되는 패턴을 패턴 감지부(200)가 특정 패턴으로 감지하여 그 형상을 제어부에 보내면 제어부는 저장부(400)에 저장된 사용자문자저장부(420)에서 전송된 특정 패턴에 대응하는 문자, 기호, 숫자를 대응하여 터치스크린(100)의 입력창 영역(130)에 표시하게 된다. Similarly, even in the case of a pattern character created by a user, when the pattern detection unit 200 detects the input pattern as a specific pattern and sends the shape to the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transmits the input pattern from the user character storage unit 420 stored in the storage unit 400. Characters, symbols, and numbers corresponding to a specific pattern are displayed on the input window area 130 of the touch screen 100.

한편, 상기 제 1 자음입력부(51) 및 제 2 자음입력부(52)를 구성하는 다각형은 한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도면에서는 정사각형으로 표시되었지만 삼각형, 직사각형, 오각형, 육각형과 같은 다각형으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다양한 다각형 그리고 삐침부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패턴입력부(50)는 저장부(400)의 패턴입력부 저장부(430)에 저장되어 설정 또는 어플 사용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불러와 표시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polygon constituting the first consonant input unit 51 and the second consonant input unit 52 is represented by a square in the drawing shown according to an embodiment, but is implemented by configuring a polygon such as a triangle, a rectangle, a pentagon, and a hexagon. Of course you can. At least one pattern input unit 50 formed of such various polygons and protrusions is stored in the pattern input unit storage unit 430 of the storage unit 400 and is called and displayed by a user's selection when setting or using an application.

상기한 설명에서 특정 언어별 문자에 대응하는 특정 터치에 의한 패턴 입력을 정의하지 않은 이유는 본 발명은 특정 문자만을 위한 패턴입력부(50)가 아닌 모든 문자에 대응할 수 있는 통합된 패턴입력부(50)이기 때문이다.The reason why pattern input by a specific touch corresponding to a specific language-specific character is not defined in the above description is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tegrated pattern input unit 50 capable of responding to all characters, not the pattern input unit 50 for only specific characters. Because it is.

따라서 사용자의 터치동작, 기본 슬립동작 및 연속 슬립동작과 함께, 접촉되는 위치좌표 정보를 검출하여 다양한 패턴 조합을 설정할 수 있기에 상기한 패턴입력부(50)의 각 영역의 배치 위치 및 기능의 종류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refore, a variety of pattern combinations can be set by detecting the user's touch operation, basic slip operation, and continuous sleep operation, as well as contact position coordinate information, so the arrangement position of each area of the pattern input unit 50 and the type of function are examples.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에서 설명한 패턴입력부를 구비함으로써 공지된 전세계의 언어를 이 패턴의 경우의 수에 집어 넣는 것이 문자로 표현할 수 있는 문자 입력 장치가 구성된다. By providing the pattern input unit described above, a character input device capable of expressing a character by inserting a known global language into the number of cases of this pattern is constructed.

즉, 본 발명의 패턴입력부의 장점은 선택된 다양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는 자유성을 가진 입력 장치라는 것이다.That is, the advantage of the pattern input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t is an input device having the freedom to input various selected characters.

즉, 일반적으로 공지의 문자들은 보통 자음과 모음이 10 ~ 30개 내외의 알파벳으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가 대다수이지만 다만 예외적으로 일본어의 경우는 50 음도로 구성된 히라가나를 모두 기억하기란 여간 어려움이 있다. That is, in general, known characters usually consist of 10 to 30 alphabets of consonants and vowels, but there is some difficulty in remembering all hiragana composed of 50 phonemes in Japanese as an exception.

하지만 본 발명처럼 각국 언어에 한글의 모음을 사용하면 예를 들어 일본어의 자음은 7개만 외우면 된다. 즉, "아이우에오야유요'를 포함하여 50음도가 15개음도로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50음도에 해당하는 패턴이 제공되지만 그것을 외우는 것보다 본 발명을 따라 한글의 모음을 사용하는게 문자입력에 편리하게 된다. 이를 이용하면 공지의 외국어에 모음패턴을 이용하는 이용자가 늘어날 수 있다. 또한 가타가나의 경우는 영어의 대문자 개념으로 기능키를 이용해서 동일한 패턴으로 입력을 하면 된다. However, as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Korean vowels are used in each language, for example, only 7 consonants in Japanese need to be memorized. In other words, 50 tones including "Aiueo Yayuyo" are reduced to 15 tones. Therefore, a pattern corresponding to 50 tones is provided, but it is more convenient to use Korean vowe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than memorizing them. If this is used, the number of users who use vowel patterns in well-known foreign languages can increase, and in the case of Katakana, you can enter the same pattern using the function keys in English capital letters.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패턴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문자 입력이 가능한 문자 입력 장치는, A character input device capable of inputting a character selected through the pattern input unit as described above,

패턴 감지부를 통해 다각형의 패턴입력부가 표시되어, 사용자의 동작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터치동작, 기본 슬립동작 및 연속 슬립동작과 함께, 접촉되는 위치좌표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와;A step of displaying a polygonal pattern input unit through the pattern detection unit, and detecting contact position coordinate information along with a user's touch operation, a basic slip operation, and a continuous slip operation in response to the user's operation;

상기 감지되는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감지 신호에 해당되는 사용자의 터치동작, 기본 슬립동작 및 연속 슬립동작과 함께, 접촉되는 위치좌표 정보의 조합에 대응되는 패턴을 기반으로 저장부에 저장된 문자를 선택하는 단계와;Selecting a charact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based on a pattern corresponding to a combination of the user's touch operation, basic slip operation, and continuous sleep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signal based on the sensed detection signal, and the contact position coordinate information. Step and;

상기 선택된 문자를 입력창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선택된 문자 입력이 가능하게 된다.The selected character can be input, including the step of displaying the selected character in an input window area.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패턴입력부(50)를 통한 패턴화에 따른 문자입력 방식을 통해 선택된 특정 문자가 영상 표시기기에서 출력되는 과정을 이하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a process in which a specific character selected through a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patterning through the pattern input unit 50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is output from the video display devic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the following embodiments.

또한 이하의 설명은 영어와 한글 위주로 모양이 비슷한 것을 설명하지만 꼭 이와 같은 예시모양의 패턴이 본 발명을 한정하지는 않는다. 패턴 및 이에 대응하는 문자는 자율성 있게 설정이 변경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llowing description describes a similar shape mainly in English and Korean, but such an exemplary pattern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pattern and the character corresponding thereto may be autonomously changed.

도 4a 내지 도 4j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패턴입력부를 통한 자음 입력 방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패턴입력부를 통한 모음 입력 방법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패턴입력부를 통해 숫자를 입력하는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이다.4A to 4J are exemplary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inputting consonants through a pattern inpu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method of inputting a vowel through a pattern inpu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inputting numbers through a pattern inpu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내지 도 4j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패턴입력부를 통한 자음 입력 방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4A to 4J are exemplary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inputting consonants through a pattern inpu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때, 도 4a 내지 도 4l는 사용자의 동작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터치동작, 기본 슬립동작 및 연속 슬립동작과 함께, 접촉되는 위치좌표 정보의 조합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저장부에 저장된 자음을 선택하는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In this case, FIGS. 4A to 4L show the user's touch operation, basic sleep operation, and continuous sleep operation, as well as the selection of consonants stored in the storage unit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the contacted positional coordinate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user's operation. It shows an example.

이하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외부에 위치한 정사각형의 제 1 자음입력부(51)와 그 내부에 위치한 정사각형의 제 2 자음입력부(52)를 갖는 패턴입력부(50)를 구비한 것을 전제로 하며, 다만 설명시 패턴화에 관여하는 제 1 자음입력부의 일부 선분만 예시하여 설명하고, 제 2 자음입력부 역시 선택적으로 일부 선분만을 도시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a pattern input unit 50 having a square first consonant input unit 51 located outside and a square second consonant input unit 52 located therein is provided, However, in the description, only some line segments of the first consonant input unit involved in patterning are illustrated and described, and the second consonant input unit is also described by selectively showing only some line segments.

하지만 이와 같은 예시는 용이한 설명을 위한 것일 뿐, 패턴입력부(50)의 다각형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양한 도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그 개수도 더 많게도 또는 하나만으로도 구성할 수 있다. 단지 하나의 도형보다는 2개의 도형을 이용하는 것이 더 많은 패턴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이는 경우의 수를 감안하여 그 개수가 조절될 수 있다.However, such an example is for ease of explanation only, and the polygon of the pattern input unit 50 may be composed of various figures, as described above, and the number of the polygons may be more or only one. Since using two figures rather than just one figure can form more patterns, the number can be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of cases.

도 4a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외부에 위치한 정사각형의 제 1 자음입력부(51)와 그 내부에 위치한 정사각형의 제 2 자음입력부(52)를 갖는 패턴입력부(50)를 구비한 것을 전제로 하며, 다만 설명시 패턴화에 관여하는 제 1 자음입력부의 일부 선분만 예시하여 설명하고, 제 2 자음입력부 역시 선택적으로 일부 선분만을 도시하여 설명한다.4A is based on a premise that a pattern input unit 50 having a square-shaped first consonant input unit 51 located outside and a square second consonant input unit 52 located therein is provi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n the description, only some line segments of the first consonant input unit involved in patterning are illustrated and described, and the second consonant input unit is also described by selectively showing only some line segments.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터치동작을 통해 중앙의 모음입력부(53)가 터치되면, 자음 'o'가 선택된다.As shown, when the central vowel input unit 53 is touched through a user's touch operation, the consonant'o' is selected.

도 4b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외부에 위치한 정사각형의 제 1 자음입력부(51)와 그 내부에 위치한 정사각형의 제 2 자음입력부(52)를 갖는 패턴입력부(50)를 구비한 것을 전제로 하며, 다만 설명시 패턴화에 관여하는 제 1 자음입력부의 일부 선분만 예시하여 설명하고, 제 2 자음입력부 역시 선택적으로 일부 선분만을 도시하여 설명한다.4B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a pattern input unit 50 having a square-shaped first consonant input unit 51 located outside and a square second consonant input unit 52 located inside is provi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n the description, only some line segments of the first consonant input unit involved in patterning are illustrated and described, and the second consonant input unit is also described by selectively showing only some line segments.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기본 슬립동작을 통해 2변이 선택되면, 선택된 변만이 남으며 설정된 하나의 자음이 선택된다. 예로서, 도 4b(a)와 같이 상부변 및 우측변이 슬립동작으로 선택되면, 자음 'ㄱ'이 선택된다. 그리고 도 4b(b)와 같이 좌측변 및 하부변이 슬립동작으로 선택되면, 자음 'ㄴ'이 선택된다. 참고로, 이 외 우측변 및 하부변이 슬립동작으로 선택되거나, 또는 상부변 및 좌측변이 슬립동작으로 선택되는 경우는 미리 약속된 자음으로 설정하여 추가할 수 있을 것이다. As illustrated, when two sides are selected through the user's basic sleep operation, only the selected side remains and one set consonant is selected. For example, when the upper side and the right side are selected as the slip operation as shown in FIG. 4B(a), the consonant'a' is selected. And, as shown in Fig. 4b(b), when the left side and the lower side are selected as the slip operation, the consonant'b' is selected. For reference, if the right side and the lower side are selected as the slip operation, or the upper side and the left side are selected as the slip operation, it may be added by setting a predetermined consonant.

도 4c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외부에 위치한 정사각형의 제 1 자음입력부(51)와 그 내부에 위치한 정사각형의 제 2 자음입력부(52)를 갖는 패턴입력부(50)를 구비한 것을 전제로 하며, 다만 설명시 패턴화에 관여하는 제 1 자음입력부의 일부 선분만 예시하여 설명하고, 제 2 자음입력부 역시 선택적으로 일부 선분만을 도시하여 설명한다.4C is a premise that a pattern input unit 50 having a square-shaped first consonant input unit 51 located outside and a square second consonant input unit 52 located inside is provi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n the description, only some line segments of the first consonant input unit involved in patterning are illustrated and described, and the second consonant input unit is also described by selectively showing only some line segments.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연속 슬립동작을 통해 제 1 자음입력부의 3변이 먼저 선택되면, 설정된 하나의 자음이 선택된다. 이때 대칭으로 위치하는 2개의 선분 중 어떤 변을 선택해도 최종 패턴의 모양이 같으면 동일한 패턴에 따른 자음이 입력되기 때문에 시작 변의 위치는 어떤 것이라고 상관없다.As illustrated, when three sides of the first consonant input unit are first selected through the user's continuous sleep operation, one set consonant is selected. At this time, no matter which side of the two symmetrically located line segments is selected, if the shape of the final pattern is the same, consonants according to the same pattern are input.

또다른 방법으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터치동작을 통해 어느 하나의 변이 더블 터치되면, 더블 터치된 변이 삭제되어 설정된 하나의 자음이 선택된다. As another method, as shown in the figure, when any one side is double-touched through the user's touch operation, the double-touched side is deleted and a set consonant is selected.

예로서, 도 4c(a)와 같이 우측변이 더블 터치되면, 더블 터치된 우측변이 삭제되고 자음 'ㄷ'이 선택된다. For example, when the right side is double-touched as shown in FIG. 4C(a), the double-touched right side is deleted and the consonant'c' is selected.

그리고 도 4c(b)와 같이 좌측변이 더블 터치되면, 더블 터치된 좌측변이 삭제되고 자음 'ㄹ'이 선택된다. 참고로, 이 외 상부변이 더블 터치되거나, 또는 하부변이 더블 터치되는 경우는 미리 약속된 자음으로 설정하여 추가할 수 있을 것이다.And when the left side is double-touched as shown in FIG. 4C(b), the double-touched left side is deleted and the consonant'ㄹ' is selected. For reference, when the upper side is double-touched or the lower side is double-touched, it may be added by setting a predetermined consonant.

도 4d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외부에 위치한 정사각형의 제 1 자음입력부(51)와 그 내부에 위치한 정사각형의 제 2 자음입력부(52)를 갖는 패턴입력부(50)를 구비한 것을 전제로 하며, 다만 설명시 패턴화에 관여하는 제 1 자음입력부의 일부 선분만 예시하여 설명하고, 제 2 자음입력부 역시 선택적으로 일부 선분만을 도시하여 설명한다.4D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a pattern input unit 50 having a square-shaped first consonant input unit 51 located outside and a square second consonant input unit 52 located inside is provi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n the description, only some line segments of the first consonant input unit involved in patterning are illustrated and described, and the second consonant input unit is also described by selectively showing only some line segments.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기본 슬립동작을 통해 제 2 자음입력부의 1변이 먼저 선택되고, 이어서 선택된 내부 변과 가장 근접한 제 1 자음입력부의 1변이 슬립동작으로 선택되면, 설정된 하나의 자음이 선택된다. As illustrated, when one side of the second consonant input unit is first selected through the user's basic slip operation, and then the first side of the first consonant input unit closest to the selected inner side is selected as a slip operation, one set consonant is selected.

예로서, 제 2 자음입력부의 상부변이 선택된 후, 선택된 제 2 자음입력부의 상부변과 가장 근접한 제 1 자음입력부의 상부변이 슬립동작으로 선택되면, 자음 'ㅎ'이 선택된다. For example, after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consonant input unit is selected, if the upper side of the first consonant input unit closest to the upper side of the selected second consonant input unit is selected as a slip operation, the consonant'ㅎ' is selected.

참고로, 이 외 선택된 제 2 자음입력부이 좌측변 또는 우측변 또는 하부변일 때, 이때 가장 근접한 제 1 자음입력부의 좌측변 또는 우측변 또는 하부변이 슬립동작으로 선택되는 경우는 미리 약속된 자음으로 설정하여 추가할 수 있을 것이다.For reference, when the other selected second consonant input unit is the left side or right side or the lower side, and in this case, if the left side or the right side or the lower side of the closest first consonant input unit is selected as the slip operation, it is set as a predetermined consonant. Will be able to add.

도 4e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외부에 위치한 정사각형의 제 1 자음입력부(51)와 그 내부에 위치한 정사각형의 제 2 자음입력부(52)를 갖는 패턴입력부(50)를 구비한 것을 전제로 하며, 다만 설명시 패턴화에 관여하는 제 1 자음입력부의 일부 선분만 예시하여 설명하고, 제 2 자음입력부 역시 선택적으로 일부 선분만을 도시하여 설명한다.4E is based on a premise that a pattern input unit 50 having a square-shaped first consonant input unit 51 located outside and a square second consonant input unit 52 located inside is provi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n the description, only some line segments of the first consonant input unit involved in patterning are illustrated and described, and the second consonant input unit is also described by selectively showing only some line segments.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기본 슬립동작을 통해 제 1 자음입력부의 1변이 먼저 선택되고, 이어서 선택된 외부 변과 가장 근접한 제 2 자음입력부의 1변이 슬립동작으로 선택되면, 설정된 하나의 자음이 선택된다. 예로서, 제 1 자음입력부의 상부변이 선택되고, 이어서 선택된 제 1 자음입력부의 상부변과 가장 근접한 제 2 자음입력부의 상부변이 슬립동작으로 선택되면, 자음 'ㅂ'이 선택된다. 참고로, 제 1 자음입력부의 좌측변 또는 우측변 또는 하부변이 선택되고, 선택된 변과 가장 근접한 제 2 자음입력부의 좌측변 또는 우측변 또는 하부변이 슬립동작으로 선택되는 경우는 미리 약속된 자음으로 설정하여 추가할 수 있을 것이다. As illustrated, when the first side of the first consonant input unit is first selected through the user's basic sleep operation, and then the first side of the second consonant input unit closest to the selected outer side is selected as a slip operation, one set consonant is selected. For example, whe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consonant input unit is selected, and the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consonant input unit closest to the upper side of the selected first consonant input unit is selected as the slip operation, the consonant'ㅂ' is selected. For reference, if the left or right side or lower side of the first consonant input unit is selected, and the left or right side or lower side of the second consonant input unit closest to the selected side is selected as a slip operation, it is set as a predetermined consonant. You can add it.

도 4f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외부에 위치한 정사각형의 제 1 자음입력부(51)와 그 내부에 위치한 정사각형의 제 2 자음입력부(52)를 갖는 패턴입력부(50)를 구비한 것을 전제로 하며, 다만 설명시 패턴화에 관여하는 제 1 자음입력부의 일부 선분만 예시하여 설명하고, 제 2 자음입력부 역시 선택적으로 일부 선분만을 도시하여 설명한다.4F is based on a premise that a pattern input unit 50 having a square-shaped first consonant input unit 51 located outside and a square second consonant input unit 52 located there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However, in the description, only some line segments of the first consonant input unit involved in patterning are illustrated and described, and the second consonant input unit is also described by selectively showing only some line segments.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연속 슬립동작을 통해 제 1 자음입력부의 3변이 먼저 선택되고, 이어서 마지막 선택된 외부 변과 가장 근접한 제 2 자음입력부의 1변이 연속 슬립동작으로 선택되면, 설정된 하나의 자음이 선택된다. As shown in the figure, when three sides of the first consonant input unit are first selected through the user's continuous slip operation, and then, one side of the second consonant input unit closest to the last selected outer side is selected as a continuous slip operation, one set consonant is selected. do.

예로서, 도 4f(a)와 같이, 제 1 자음입력부의 하부변, 좌측변 및 상부변이 선택된 후, 마지막에 선택된 제 1 자음입력부의 상부변과 가장 근접한 제 2 자음입력부의 상부변이 연속 슬립동작으로 선택되면, 자음 'ㅌ'이 선택된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f(a), after the lower side, the left side, and the upper side of the first consonant input unit are selected,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consonant input unit closest to the upper side of the first consonant input unit selected last is a continuous slip operation. When selected, the consonant't' is selected.

또 다른 방법으로는 상기에서 설명한 패턴화에 관여하지 않는 제1자음입력부의 영역 즉, 도면에서 예시적으로 선분(변)이 없는 곳으로 표시한 영역을 더블터치하고 제2 자음입력부 선분으로 슬립하여 자음 'ㅌ'이 선택되는 빠른 단축 입력도 가능하다. As another method, double-touch the area of the first consonant input unit that is not involved in patterning described above, that is, the area exemplarily marked as no line segment (side) in the drawing, and slip to the second consonant input unit line segment. It is also possible to enter a quick shortcut in which the consonant'ㅌ' is selected.

도 4g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외부에 위치한 정사각형의 제 1 자음입력부(51)와 그 내부에 위치한 정사각형의 제 2 자음입력부(52)를 갖는 패턴입력부(50)를 구비한 것을 전제로 하며, 다만 설명시 패턴화에 관여하는 제 1 자음입력부의 일부 선분만 예시하여 설명하고, 제 2 자음입력부 역시 선택적으로 일부 선분만을 도시하여 설명한다.4G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a pattern input unit 50 having a square-shaped first consonant input unit 51 located outside and a square second consonant input unit 52 located there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However, in the description, only some line segments of the first consonant input unit involved in patterning are illustrated and described, and the second consonant input unit is also described by selectively showing only some line segments.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연속 슬립동작을 통해, 제 2 자음입력부의 좌측변, 우측변 및 또는 상부변 및 하부변이 선택된 후, 선택된 제 2 자음입력부의 변과 가장 근접한 제 1 자음입력부의 변 전 영역까지만 두 개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동시에 내부에서 바깥쪽으로 벌리는 슬립동작으로 선택되면, 자음 'ㅍ'이 선택된다.As shown in the figure, after the left side, the right side, and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econd consonant input unit are selected through the user's continuous sleep operation, the transition area of the first consonant input unit closest to the side of the selected second consonant input unit When only two are selected as a slip motion spreading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at the same time using a finger, the consonant'ㅍ' is selected.

참고로, 이외에도 상기와 같이 두 개의 손가락을 이용해 바깥방향으로 동시에 벌리는 슬립동작을 통해 나타나는 패턴의 경우는 미리 약속된 자음으로 설정하여 추가할 수 있을 것이다.For reference, in the case of a pattern that appears through a slip motion that is simultaneously spread outward using two fingers as described above, a predetermined consonant may be set and added.

도 4h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외부에 위치한 정사각형의 제 1 자음입력부(51)와 그 내부에 위치한 정사각형의 제 2 자음입력부(52)를 갖는 패턴입력부(50)를 구비한 것을 전제로 하며, 다만 설명시 패턴화에 관여하는 제 1 자음입력부의 일부 선분만 예시하여 설명하고, 제 2 자음입력부 역시 선택적으로 일부 선분만을 도시하여 설명한다.4H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a pattern input unit 50 having a square-shaped first consonant input unit 51 located outside and a square second consonant input unit 52 located therein is provi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n the description, only some line segments of the first consonant input unit involved in patterning are illustrated and described, and the second consonant input unit is also described by selectively showing only some line segments.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연속 슬립동작을 통해 제 1 자음입력부의 2변이 먼저 선택되고, 이어서 마지막 선택된 외부 변과 가장 근접한 제 2 자음입력부의 1변이 연속 슬립동작으로 선택되면, 설정된 하나의 자음이 선택된다. As shown in the figure, when two sides of the first consonant input unit are first selected through the user's continuous slip operation, and then the first side of the second consonant input unit closest to the last selected outer side is selected as a continuous slip operation, one set consonant is selected. do.

예로서, 도 4h(a)와 같이, 제 1 자음입력부의 좌측변 및 상부변이 선택된 후, 마지막에 선택된 제 1 자음입력부의 상부변과 가장 근접한 제 2 자음입력부의 상부변이 연속 슬립동작으로 선택되면, 자음 'ㅊ'이 선택된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H(a), after the left side and the upper side of the first consonant input unit are selected,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consonant input unit closest to the upper side of the first consonant input unit selected last is selected as a continuous slip operation. , The consonant'ㅊ' is selected.

그리고 도 4h(b)와 같이, 제 1 자음입력부의 상부면 및 좌측변이 선택된 후, 마지막에 선택된 제 1 자음입력부의 좌측변과 가장 근접한 제 2 자음입력부의 좌측변이 연속 슬립동작으로 선택되면, 자음 'ㅈ'이 선택된다. And, as shown in Fig. 4h(b), after the top and left sides of the first consonant input unit are selected, the left side of the second consonant input unit closest to the left side of the first consonant input unit selected last is selected as a continuous slip operation, 'ㅈ' is selected.

그리고 도 4h(c)와 같이, 제 1 자음입력부의 우측변 및 상부변이 선택된 후, 마지막에 선택된 제 1 자음입력부의 상부변과 가장 근접한 제 2 자음입력부의 상부변이 연속 슬립동작으로 선택되면, 자음 'ㅋ'이 선택된다. And, as shown in Fig. 4h(c), after the right side and the upper side of the first consonant input unit are selected,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consonant input unit closest to the upper side of the first consonant input unit selected last is selected as a continuous slip operation, 'ㅋ' is selected.

참고로, 이 외 이러한 연속 슬립동작을 통해 나타나는 패턴의 경우는 미리 약속된 자음으로 설정하여 추가할 수 있을 것이다.For reference, in the case of a pattern that appears through such continuous slip operation, it may be added by setting it as a predetermined consonant.

도 4i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외부에 위치한 정사각형의 제 1 자음입력부(51)와 그 내부에 위치한 정사각형의 제 2 자음입력부(52)를 갖는 패턴입력부(50)를 구비한 것을 전제로 하며, 다만 설명시 패턴화에 관여하는 제 1 자음입력부의 일부 선분만 예시하여 설명하고, 제 2 자음입력부 역시 선택적으로 일부 선분만을 도시하여 설명한다.4I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a pattern input unit 50 having a square-shaped first consonant input unit 51 located outside and a square second consonant input unit 52 located inside is provi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n the description, only some line segments of the first consonant input unit involved in patterning are illustrated and described, and the second consonant input unit is also described by selectively showing only some line segments.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기본 슬립동작을 통해 제 1 자음입력부의 1변이 먼저 선택되고, 이어서 선택된 외부 변과 대각선에 위치하는 제 2 자음입력부의 1변이 슬립동작으로 선택되면, 설정된 하나의 자음이 선택된다. As shown in the figure, when the first side of the first consonant input unit is first selected through the user's basic slip operation, and then the selected outer side and the first side of the second consonant input unit located on the diagonal are selected as a slip operation, one set consonant is selected. do.

예로서, 제 1 자음입력부의 우측변이 먼저 선택되고, 이어서 선택된 제 1 자음입력부의 우측변과 대각선에 위치하는 제 2 자음입력부의 상부변이 슬립동작으로 선택되면, 자음 'ㅅ'이 선택된다. 참고로 이외 이러한 슬립동작을 통해 나타나는 패턴의 경우는 미리 약속된 자음으로 설정하여 추가할 수 있을 것이다.For example, when the right side of the first consonant input unit is first selected, and then the right side of the selected first consonant input unit and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consonant input unit positioned diagonally are selected as the slip operation, the consonant'ㅅ' is selected. For reference, in the case of a pattern that appears through such a slip operation, it may be added by setting it as a predetermined consonant.

한편, 상기'ㄷ'이나 'ㅌ'의 입력 예시와 같은 방법 뿐만 아니라 삼면이 막히고 한면이 개방된 자음 같은 경우의 패턴화에서는 자음의 형상 중 개방된 영역이 존재하는 영역에 해당하는 선분쪽을 부분을 더블클릭하여 편하게 패턴을 형성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same method as the input example of'C' and'T' above, as well as patterning in the case of consonants with three sides blocked and one side open, the line segment corresponding to the open area of the consonant shape is partially You can also double-click to form a pattern conveniently.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4a 내지 도 4i는 패턴입력부(50)를 이용하여 선택된 언어의 자음의 형태와 유사하게 나타나는 패턴을 이용하여 자음을 설정하여 선택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패턴입력부를 이용하여 자음을 입력할 때 직관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FIGS. 4A to 4I, the consonant is set and selected using a pattern that appears similar to the consonant shape of the selected language using the pattern input unit 50,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pattern input unit. It is organized so that it can be intuitively selected when inputting.

그러나 이는 하나에 실시예일 뿐, 나타나는 패턴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문자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국어 문자입력으로 적용 가능하다.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can be set to various types of characters through the pattern that appears, and thus can be applied to multilingual character input.

도 4j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외부에 위치한 정사각형의 제 1 자음입력부(51)와 그 내부에 위치한 정사각형의 제 2 자음입력부(52)를 갖는 패턴입력부(50)를 구비한 것을 전제로 하며, 다만 설명시 패턴화에 관여하는 제 1 자음입력부의 일부 선분만 예시하여 설명하고, 제 2 자음입력부 역시 선택적으로 일부 선분만을 도시하여 설명한다.4J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a pattern input unit 50 having a square-shaped first consonant input unit 51 located outside and a square second consonant input unit 52 located therein is provi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n the description, only some line segments of the first consonant input unit involved in patterning are illustrated and described, and the second consonant input unit is also described by selectively showing only some line segments.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외부 제 1 자음입력부와 내부 제 2 자음입력부 두 개의 정사각형을 갖는 패턴입력부(50)에서 하나만 터치할 경우 설정된 하나의 자음이 선택될 수 있다.As illustrated, when a user touches only one of the pattern input unit 50 having two squares of the external first consonant input unit and the internal second consonant input unit, one set consonant may be selected.

또한, 사용자의 터치동작을 통해 변을 한 번씩 터치하여, 터치된 선만 남게 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by touching the side once through the user's touch operation, only the touched line may be left.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패턴입력부를 통한 모음 입력 방법을 보인 예시도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외부에 위치한 정사각형의 제 1 자음입력부(51)와 그 내부에 위치한 정사각형의 제 2 자음입력부(52)와 상기 제 2 자음입력부 내부 영역에 위치하는 모음입력부(53)가 형성된 패턴입력부(50)를 구비한 것을 전제로 하며, 다만 설명시 모음의 패턴화에 관여하는 제 2 자음입력부와 모음입력부 위주로 설명한다.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vowel input method through a pattern inpu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first consonant input unit 51 having a square shape located outside and a square shape located there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second consonant input unit 52 and the pattern input unit 50 in which the vowel input unit 53 located in the inner region of the second consonant input unit are formed are provided. The explanation is mainly on the consonant input unit and the vowel input unit.

여러 실시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는 사용자의 동작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기본 슬립동작 및 연속 슬립동작을 통해 이에 대응하여 저장부에 저장된 모음을 선택하는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를 위해 모음입력부(53)에서 제 2 자음입력부(52)의 상하좌우 변 중 어느 하나의 변 이상을 이용하여 한글의 모음을 입력하는 패턴이 보여진다.As shown in various embodiments, FIG. 5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a vowel stored in a storage unit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user's basic sleep operation and continuous sleep operation in response to the user's operation. To this end, the vowel input unit 53 shows a pattern for inputting a Korean vowel using at least one of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cond consonant input unit 52.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모음입력부(53)에서 제 2 자음입력부(52)의 우측변 전까지만 슬립 동작하면, 모음 'ㅏ'가 선택된다. 다음으로 동일하지만 제 1 자음입력부까지 슬립 동작하면, 모음 'ㅑ'가 선택되고 이때, 'ㅏ'입력 후 기능키부(55)를 클릭하면 모음 'ㅐ'가 선택된다. Specifically, if the vowel input unit 53 performs the slip operation only before the right side of the second consonant input unit 52, the vowel'ㅏ' is selected. Next, although the same is the same, when the first consonant input unit sleeps, the vowel'ㅑ' is selected. At this time, the vowel'ㅐ' is selected by clicking the function key unit 55 after inputting'ㅏ'.

여기서 기능키부(55)는 모음에서 기능키 'ㅣ'생성과 자음에서는 쌍받침(탁음)을 입력하는 입력장치로 사용된다. "ㄱ","ㄷ","ㅈ","ㅂ","ㅅ"을 입력 후 기능키를 누르면 "ㄲ","ㄸ","ㅉ","ㅃ","ㅆ"이 입력되게 된다. Here, the function key unit 55 is used as an input device for generating a function key'ㅣ' from a vowel and inputting a pair of support (voiced sound) in a consonant. Enter "ㄱ","ㄷ","ㅈ","ㅂ","ㅅ" and press the function keys to input "ㄲ","ㄸ","ㅉ","ㅃ","ㅆ".

다른 방법으로는 모음입력부를 길게 눌러서 'ㅣ'와 'ㅡ'를 추가하여 표현할 수 있다. 하지만 'ㅣ'의 경우는 연속사용되는 경우 빠른 입력을 위해서 꼭지점 기능키부(55)를 사용하는게 빠른 입력 방법이 될 수 있다.Alternatively, you can express by adding'ㅣ' and'ㅡ' by long pressing the vowel input unit. However, in the case of'I', if it is used continuously, the use of the vertex function key part 55 for fast input may be a fast input method.

또한 모음입력부(53)에서 제 2 자음입력부(52)의 우측변까지 이동하여 접촉하면서 슬립 동작하면, 모음 'ㅑ'가 선택된다. 이때, 기능키부(55)를 클릭하면 모음 'ㅒ'가 선택된다.In addition, when the vowel input unit 53 moves to the right side of the second consonant input unit 52 and makes contact while slipping, the vowel'ㅑ' is selected. At this time, when the function key part 55 is clicked, the vowel'ㅒ' is selected.

또한 모음입력부(53)에서 제 2 자음입력부(52)의 좌측변 전까지만 슬립 동작하면, 모음 'ㅓ'가 선택된다. 이때, 기능키부(55)까지 이동하면, 모음 'ㅔ'가 선택된다. In addition, when the vowel input unit 53 performs the slip operation only before the left side of the second consonant input unit 52, the vowel'ㅓ' is selected. At this time, when moving to the function key part 55, the vowel'ㅔ' is selected.

상기와 같은 슬립 방법을 응용하면 도시된 예처럼 슬립하면, 모음 'ㅕ', 'ㅖ', 'ㅗ', 'ㅛ', 'ㅜ', 'ㅠ', 'ㅡ', 'ㅣ'가 선택된다.When the above slip method is applied, the vowels'ㅕ','ㅖ','ㅗ','ㅛ','ㅜ','ㅠ','ㅡ' and'ㅣ' are selected when slipping as in the illustrated example. .

이외에, 모음 'ㅗ'의 패턴과 모음 'ㅏ'의 패턴이 결합되면 모음 'ㅘ'가 선택된다. 즉, 모음입력부(53)에서 제 2 자음입력부(52)의 상부변 전까지만 슬립 동작하면, 모음 'ㅗ'가 선택된다. 그리고 연이어 모음입력부(53)에서 제 2 자음입력부(52)의 우측변 전까지만 슬립 동작하면 모음 'ㅏ'가 선택되면서 2개의 패턴이 결합되면서 'ㅘ'가 선택된다.In addition, when the pattern of the vowel'ㅗ' and the pattern of the vowel'ㅏ' are combined, the vowel'ㅘ' is selected. That is, when the vowel input unit 53 slips only before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consonant input unit 52, the vowel'ㅗ' is selected. Then, if the vowel input unit 53 slips only until the right side of the second consonant input unit 52, the vowel “ㅏ” is selected, and the two patterns are combined, and “ㅘ” is selected.

이와 같은 방식으로 모음 'ㅛ'의 패턴과 모음 'ㅐ'의 패턴이 결합되면 모음 'ㅙ'가 선택된다. 또한, 모음 'ㅗ'의 패턴과 모음 'ㅣ'의 패턴이 결합되면 모음 'ㅚ'가 선택된다. 또한, 모음 'ㅜ'의 패턴과 모음 'ㅓ'의 패턴이 결합되면 모음 'ㅝ'가 선택된다. 또한, 모음 'ㅜ'의 패턴과 모음 'ㅔ'의 패턴이 결합되면 모음 'ㅞ'가 선택된다. 또한, 모음 'ㅜ'의 패턴과 모음 'ㅣ'의 패턴이 결합되면 모음 'ㅟ'가 선택된다. 또한, 모음 'ㅡ'의 패턴과 모음 'ㅣ'의 패턴이 결합되면 모음 'ㅢ'가 선택된다. In this way, when the pattern of the vowel'ㅛ' and the pattern of the vowel'ㅐ' are combined, the vowel'ㅙ' is selected. Also, when the pattern of the vowel'ㅗ' and the pattern of the vowel'ㅣ' are combined, the vowel'ㅚ' is selected. In addition, when the pattern of the vowel'ㅜ' and the pattern of the vowel'ㅓ' are combined, the vowel'ㅝ' is selected. Also, when the pattern of the vowel'TT' and the pattern of the vowel'ㅔ' are combined, the vowel'ㅞ' is selected. Also, when the pattern of the vowel'ㅜ' and the pattern of the vowel'ㅣ' are combined, the vowel'ㅟ' is selected. Also, when the pattern of the vowel'ㅡ' and the pattern of the vowel'ㅣ' are combined, the vowel'ㅢ' is selected.

이처럼, 도 5는 모음의 형태와 유사하게 나타나는 패턴을 이용하여 모음을 설정하여 선택할 수 있다. 참고로 모음의 경우는 자음과는 다르게 사용자가 페턴을 변경할 수 없고 이미 정형화된 패턴만 사용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FIG. 5, a vowel can be set and selected using a pattern that appears similar to the shape of the vowel. For reference, in the case of vowels, unlike consonants, the user cannot change the pattern and uses only the already standardized pattern.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패턴입력부를 통해 숫자를 입력하는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이다.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inputting numbers through a pattern inpu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동작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기본 슬립동작 및 연속 슬립동작을 통해 이에 대응하여 저장부에 저장된 숫자를 선택하는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As shown, an embodiment of selecting a number stored in a storage unit in response to a user's basic sleep operation and a continuous sleep operation is shown.

도시된 한 실시예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정사각형의 제 1 자음입력부(51)와 그 내부에 위치한 정사각형의 제 2 자음입력부(52)와 상기 제 2 자음입력부 내부 영역에 위치하는 모음입력부(53)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자음입력부를 구성하는 다각형의 각 꼭지점마다 바깥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서로 다른 각도를 가지는 삐침부(54)로 이루어진 패턴입력부(50)를 구비한 것을 전제로 하며, 다만 설명시 숫자 입력 패턴화에 관여하는 제 1 자음입력부와 삐침부 위주로 설명한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a first consonant input unit 51 having a square shape, a second consonant input unit 52 having a square shape located therein, and a vowel input unit 53 disposed in an inner region of the second consonant input unit Is formed, and the pattern input unit 50 including the protruding portions 54 having different angles formed by extending outward at each vertex of the polygon constituting the first consonant input unit is provided. The description will be focused on the first consonant input unit and the beep unit involved in patterning poetry number input.

도시된 숫자 패턴화에서는 제 1 자음입력부의 상부 수직으로 형성된 삐침부를 '1'로 시작해서 순차적으로 순서를 정의하여 사용자가 숫자를 입력할 때 보다 용이할 수 있도록 보인 예시로 이와 같은 순서가 숫자 입력의 패턴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삐침부를 이용하기만 하면 된다.In the illustrated number patterning, the beep part formed vertically above the first consonant input unit starts with '1' and sequentially defines the order so that it is easier for the user to input numbers. It does not limit the pattern of the pattern, just use the beep.

또한 도시된 한 실시예에서 삐침부는 제 1 자음입력부의 꼭지점에서 바깥으로 연장된 삐침부가 2개일 경우 다각형을 4각형으로 구성시 모든 숫자를 표시할 수 없을 지만 한 꼭지점에 형성된 2개의 삐침부와 삐침부 사이 영역을 이용하면 한 개의 꼭지점에서 3개의 숫자를 모두 이용할 수 있다. 즉, 어느 하나의 삐침부를 터치 하여 클릭 후 두개의 삐침부 사이 영역까지 방향성을 주면 또 다른 숫자까지 할당할 수 있게 된다. 만약 다각형이 4각형이 아닌 더 큰 다각형일 경우도 사전 설정에 의해 0에서 9까지의 모든 숫자를 할당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when there are two beep portions extending outward from the vertex of the first consonant input unit, all numbers cannot be displayed when the polygon is formed into a quadrangular shape, but two beeps and beeps formed at one vertex. If you use the area between the parts, you can use all three numbers at one vertex. In other words, if you touch and click any one of the beep parts and give direction to the area between the two beep parts, another number can be allocated. If the polygon is not a square but a larger polygon, all numbers from 0 to 9 can be assigned by preset.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자음입력부에서 4개의 꼭지점 중 좌측 상부에 위치한 삐침부는 일반적인 선택시 한번 클릭은 사각에 삐침부가 있는 코드로 연결되어 코드에 해당하는 문자가 생성된다. As shown in the figure, in the first consonant input unit, the beep portion located in the upper left of the four vertices is connected to a code having a beep in a square when one click is normally selected to generate a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code.

따라서 숫자를 입력하고자 할 경우는 길게 누르면 숫자 '1'이 선택된다. 참고로 삐침부를 문자로 사용하는 경우는 공지의 문자일 경우 영어 같은 알파벳에 해당되고, 한글 입력에서는 삐침부를 문자로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한글 입력시 삐침부를 한번 클릭하면 숫자가 바로 입력되게 된다. 따라서 옵션으로 삐침부를 문자로 선택할지 여부를 결정하면 된다.Therefore, if you want to enter a number, press and hold to select the number '1'. For reference, when the beep part is used as a character, it corresponds to an alphabet such as English if it is a known character, and since the beep part is not used as a character in Korean input, a number is entered immediately by clicking the beep part once when entering Korean. Therefore, as an option, you can decide whether or not to select the punctuation as text.

공통사항으로 삐침부의 끝을 클릭 후 방향성을 주면 그에 해당하는 숫자나 특수문자가 선택된다. 이후 나머지 삐침부는 위와 동일하다. As a common matter, if you click the tip of the tip and give a direction, the corresponding number or special character is selected. After that, the rest of the peep is the same as above.

이처럼, 삐침부를 이용하여 숫자 입력을 위한 패턴을 터치하게 되면 입력할 때 직관적으로 그 순서에 따라 선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As such, it can be seen that when a pattern for number input is touched by using the beep part, it can be intuitively selected according to the order when inputting.

그러나 이는 하나에 실시예일 뿐, 나타나는 패턴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문자로 설정할 수 있다.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can be set to various types of characters through the pattern that appears.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초심자를 위한 패턴 입력 가이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pattern input guide for beginn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와 같은 패턴화 가이드 예시가 문자, 숫자, 기능키부 입력을 위한 입력시 참고적으로 보여지게 제어부가 화면표시부에 나타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may be controlled to appear on the screen display so that the example of the patterning guide is shown for reference when inputting letters, numbers, and function keys.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어플을 통해 별도의 윈도로 플로팅되게 구성될 수 있다.Alternatively, it may be configured to be floated in a separate window through an application at the user's selection.

따라서 사용하고자 하는 언어별 문자별로 익숙해질 때까지 패턴화 예시를 보면서 입력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input by configuring the pattern so that it can be input while viewing the patterned example until familiar with each character for each language to be used.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패턴입력부의 기본 및 양손형 실시예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basic and two-handed embodiment of a pattern inpu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본형은 1개의 패턴입력부로 구성되지만, 스마트폰과 같은 영상표시기기에서 회전에 의해 양손형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일측은 자음입력을 위한 패턴입력부로 사용하고 타측은 모음 입력을 위한 패턴입력부로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양손형은 세로모드에서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the basic typ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one pattern input unit, but it is configured to be used in a two-handed type by rotation in a video display device such as a smartphone, so that one side is used as a pattern input unit for consonant input, and the other side uses a vowel input. It can be used as a pattern input unit. Of course, the two-handed type can also be used in portrait mode.

또한 필요시 패턴입력부는 복수개로 자유롭게 구성될 수 있다. Also, if necessary, a plurality of pattern input units may be freely configured.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포함된 여러 단계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매체(예: CD-ROM, DVD), 디지털 저장매체(예: USB 메모리, 메모리 카드(SD, CF, MS, XD)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기록매체를 포함한다.Meanwhil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written as a program that can be executed on a computer. That is, various steps included in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medium is a magnetic storage medium (e.g., ROM, floppy disk, hard disk, etc.), optical reading medium (e.g., CD-ROM, DVD), digital storage medium (e.g., USB memory, memory card (SD, CF, MS, etc.) XD), etc.) and carrier waves (for example,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any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can implement various modifications Of course, such change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50) : 패턴입력부 (51) : 제 1 자음입력부
(52) : 제 2 자음입력부 (53) : 모음입력부
(54) : 삐침부 (55) : 기능키부
(100) : 터치스크린 (110) : 화면 표시부
(120) : 터치패널 (130) : 입력창 영역
(140) : 패턴입력부 영역 (200) : 패턴 감지부
(300) : 제어부 (400) : 저장부
(410) : 공지문자저장부 (420) : 사용자문자저장부
(430) : 패턴입력부 저장부
(50): pattern input unit 51: first consonant input unit
(52): second consonant input unit 53: vowel input unit
(54): beep part (55): function key part
(100): touch screen (110): screen display
(120): touch panel (130): input window area
(140): pattern input unit area (200): pattern detection unit
(300): control unit 400: storage unit
(410): Notice text storage unit (420): User text storage unit
(430): pattern input unit storage unit

Claims (10)

화면 표시부(110)와, 상기 화면 표시부(110) 상부에 적층되어 설치되는 터치패널(120)로 구성되어, 그 영역을 입력창 영역(130)과 패턴입력부 영역(140)으로 구분하여 제시된 패턴입력부(50)를 통해 선택된 문자, 숫자, 부호 및 기능키부에 대한 패턴화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터치스크린(100)과;
상기 터치스크린에 제시된 패턴입력부(5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터치동작, 기본 슬립동작 및 연속 슬립동작과 함께, 접촉되는 위치좌표 정보의 조합에 따른 패턴정보를 감지하는 패턴 감지부(200)와;
상기 패턴 감지부(200)로부터 전송되는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화면 표시부(110)에 패턴정보에 대응하는 문자, 숫자, 부호 및 기능키부를 저장부(400)에서 불러와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패턴입력부(50)는 자음 입력을 위한 패턴을 형성하도록 다각형으로 구성된 제 1 자음입력부(51)와; 상기 제 1 자음입력부의 내부 영역에 위치하여 자음 입력을 위한 패턴을 형성하도록 다각형으로 구성된 제 2 자음입력부(52)와; 모음 입력을 위한 패턴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 2 자음입력부 내부 영역에 위치하는 모음입력부(53)와; 숫자, 부호, 문자 입력을 위해 상기 제 1 자음입력부를 구성하는 다각형의 각 꼭지점마다 바깥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삐침부(54)와; 기능키부 입력을 위해 상기 제 1 자음입력부 및 제 2 자음입력부를 구성하는 다각형의 각 꼭지점 영역마다 형성된 기능키부(55);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문자 입력이 가능한 문자 입력 장치.
A pattern input unit that is composed of a screen display unit 110 and a touch panel 120 that is stacked and installed on the screen display unit 110, and divides the area into an input window area 130 and a pattern input unit area 140. A touch screen 100 configured to enable patterning input for letters, numbers, symbols, and function keys selected through 50;
A pattern detection unit 200 that detects pattern information according to a combination of a user's touch operation, a basic slip operation, and a continuous slip operation input through the pattern input unit 50 presented on the touch screen, and the contact position coordinate information. ;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screen display unit 110 to retrieve and output letters, numbers, symbols, and function keys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information on the screen display unit 110 based on the patter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pattern detection unit 200 ( 300); including,
The pattern input unit 50 includes a first consonant input unit 51 configured in a polygonal shape to form a pattern for inputting consonants; A second consonant input unit 52 positioned in the inner region of the first consonant input unit and configured in a polygonal shape to form a pattern for inputting consonants; A vowel input unit 53 positioned in an inner region of the second consonant input unit to form a pattern for vowel input; One or more protruding portions 54 extending outwardly at each vertex of the polygon constituting the first consonant input unit for inputting numbers, signs, and characters; Character input capable of inputting a selected character through a pattern input unit, comprising: a function key unit 55 formed for each vertex area of a polygon constituting the first consonant input unit and the second consonant input unit for inputting a function key unit.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400)는 공지의 언어별로 패턴과 이에 대응하는 문자, 기호, 숫자가 저장된 공지문자저장부(410)와; 사용자가 새롭게 만든 패턴과 이에 대응하는 문자, 기호, 숫자가 저장된 사용자문자저장부(420) 및 하나 이상의 패턴입력부가 저장된 패턴입력부 저장부(4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문자 입력이 가능한 문자 입력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orage unit 400 includes a known character storage unit 410 in which patterns for each known language and characters, symbols, and numbers corresponding thereto are stored; The character selected through the pattern input uni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newly created pattern and a user character storage unit 420 in which characters, symbols, and numbers corresponding thereto, and a pattern input unit storage unit 430 in which one or more pattern input units are stored; Character input device that can be input.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턴입력부(50)는 선택된 문자, 숫자, 부호의 형상에 따른 특징을 이용하여 사전 정의되어 저장부에 저장된 패턴에 따라 제 1 자음입력부(51), 제 2 자음입력부(52), 모음입력부(53), 삐침부(54), 기능키부(55) 간을 터치 동작(원터치 더블 터치), 슬립 동작, 누름 동작 및 위치좌표 정보를 조합하여 패턴화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문자 입력이 가능한 문자 입력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attern input unit 50 is a first consonant input unit 51, a second consonant input unit 52, and a vowel input unit according to a pattern that is predefined using features according to the shape of a selected letter, number, and sign, and stored in a storage unit. 53), the character selected through the pattern input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pattern by combining touch operation (one-touch double touch), slip operation, pressing operation and position coordinate information between the beep unit 54 and the function key unit 55 Character input device that can be inpu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자음입력부(51) 및 제 2 자음입력부(52)의 다각형을 구성하는 각 방향의 선분은 터치시 한 개의 점으로 인식되어 서로다른 패턴정보로 입력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문자 입력이 가능한 문자 입력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Line segments in each direction constituting the polygon of the first consonant input unit 51 and the second consonant input unit 52 are recognized as a single point when touched, and are input as different pattern information. Character input device capable of inputting selected character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삐침부(54)는 각 꼭지점에 형성된 개수보다 많은 입력을 위해 삐침부 사이 영역에 대한 방향성을 가지는 터치에 의해 패턴정보가 생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문자 입력이 가능한 문자 입력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eep part 54 is configured to generate pattern information by a touch having a directionality on the area between the beep parts for input more than the number formed at each vertex. Character input capable of inputting selected characters through the pattern input unit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삐침부(54)는 각 꼭지점 마다 1 ~ 3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문자 입력이 가능한 문자 입력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otruding part 54 is for each vertex Character input device capable of inputting selected characters through a pattern input uni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1 to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턴입력부(50)는 다각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문자 입력이 가능한 문자 입력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attern input unit 50 is a character input device capable of inputting a selected character through a pattern input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polygon.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패턴입력부(50)는 하나 또는 복수개가 패턴입력부 영역(140)에 제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문자 입력이 가능한 문자 입력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pattern input unit 50 is a character input device capable of inputting a selected character through a pattern input unit, characterized in that one or more are configured to be presented in the pattern input unit area 140.
청구항 1, 청구항 2, 청구항 4, 청구항 5, 청구항 6, 청구항 7, 청구항 8,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패턴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문자 입력이 가능한 문자 입력 장치를 구비한 후,
패턴 감지부를 통해 다각형의 패턴입력부가 표시되어, 사용자의 동작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터치동작, 기본 슬립동작 및 연속 슬립동작과 함께, 접촉되는 위치좌표 정보의 조합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되는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감지 신호에 해당되는 사용자의 터치동작, 기본 슬립동작 및 연속 슬립동작과 함께 접촉되는 위치좌표 정보를 조합하여 대응되는 패턴을 기반으로 저장부에 저장된 선택된 문자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문자를 입력창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문자 입력이 가능한 문자 입력 방법.
After having a character input device capable of inputting a selected character through the pattern input uni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4, 5, 6, 7, 8, and 9,
Detecting a combination of a user's touch motion, a basic slip motion, and a continuous slip motion, as well as a combination of contact position coordinate information, by displaying a polygonal pattern input unit through the pattern detection unit;
Selecting the selected charact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based on the corresponding pattern by combining the user's touch operation, basic sleep operation, and position coordinate information contacted with the continuous sleep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signal based on the detected detection signal. Step and;
Character input method capable of inputting a selected character through a pattern input unit, comprising the step of displaying the selected character in an input window area.
KR1020190172850A 2019-12-23 2019-12-23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of character possible of selected character input by pattern input part KR102161174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2850A KR102161174B1 (en) 2019-12-23 2019-12-23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of character possible of selected character input by pattern input part
PCT/KR2020/018971 WO2021133050A1 (en) 2019-12-23 2020-12-23 Pattern input type multilingual virtual keypad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2850A KR102161174B1 (en) 2019-12-23 2019-12-23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of character possible of selected character input by pattern input par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1174B1 true KR102161174B1 (en) 2020-09-29

Family

ID=72661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2850A KR102161174B1 (en) 2019-12-23 2019-12-23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of character possible of selected character input by pattern input par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1174B1 (e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3541A (en) 2003-11-06 2005-05-11 주식회사 유퍼스트에프엔 Fingertip touchscreen with five perceiving area and character inputting method using it
KR20100048434A (en) * 2008-10-31 2010-05-11 임양원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the korean alphabets using vowel drag pattern
KR100983194B1 (en) 2010-03-18 2010-09-20 김진욱 Text input method using a touch screen and a device for the same
KR101248752B1 (en) 2010-12-31 2013-04-03 김진욱 Text Input Method of Touch Screen And a Device For The Same
KR101373654B1 (en) * 2013-02-27 2014-03-25 이의복 Character input terminal by recognization of divided drag region, server for downloading application program
KR20140121374A (en) * 2013-04-05 2014-10-15 박동철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text using touch pattern
KR101548512B1 (en) * 2014-02-27 2015-09-01 김춘동 Pattern Recognition based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thereof
KR101561783B1 (en) 2014-10-14 2015-10-19 천태철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on touch screen of terminal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3541A (en) 2003-11-06 2005-05-11 주식회사 유퍼스트에프엔 Fingertip touchscreen with five perceiving area and character inputting method using it
KR20100048434A (en) * 2008-10-31 2010-05-11 임양원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the korean alphabets using vowel drag pattern
KR100983194B1 (en) 2010-03-18 2010-09-20 김진욱 Text input method using a touch screen and a device for the same
KR101248752B1 (en) 2010-12-31 2013-04-03 김진욱 Text Input Method of Touch Screen And a Device For The Same
KR101373654B1 (en) * 2013-02-27 2014-03-25 이의복 Character input terminal by recognization of divided drag region, server for downloading application program
KR20140121374A (en) * 2013-04-05 2014-10-15 박동철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text using touch pattern
KR101548512B1 (en) * 2014-02-27 2015-09-01 김춘동 Pattern Recognition based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thereof
KR101561783B1 (en) 2014-10-14 2015-10-19 천태철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on touch screen of termi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04317A (en) Data entry device and method
JP6000385B2 (en) Multilingual key input device and method
US8381119B2 (en) Input device for pictographic languages
JP5656511B2 (en) Display device
US20160077602A1 (en) Method and Handheld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and Selecting Diacritics
US2010022559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numerals for communication terminal
KR2008009711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US20220129126A9 (en) System for capturing event provided from edge of touch screen
KR2010002732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acter input
US20100194700A1 (en) Character input device
KR101248752B1 (en) Text Input Method of Touch Screen And a Device For The Same
KR101162243B1 (en) Method for inputting information of touch screen panal
KR10216117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of character possible of selected character input by pattern input part
KR100647827B1 (en) Touch type character input device
US20150089432A1 (en) Quick data entry systems and methods
KR102253889B1 (en) Pattern Input Type Multi-language Virtual Key Pad System
JP2007213615A (en) Touch type key input device, touch type key input method and program
KR20230039741A (en) Adaptive touchscreen keypad with dead zone
KR20110048754A (en) Method for inputting information of touch screen panal
KR101654710B1 (en) Character input apparatus based on hand gesture and method thereof
KR20160014329A (en) UI of keyboard of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including cell phone
WO2013078621A1 (en) Touch screen input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KR102339191B1 (en) Apparatus for inputting chinese character and method for inputting chinese character using the same
KR20220031578A (en) The method of noticing alphabet which has been inputted shortly before now when inputting text in electronic device
JP4027964B2 (en) Keyboard sheet sett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