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0636B1 - 전자 장치 및 입출력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입출력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0636B1
KR102160636B1 KR1020140020477A KR20140020477A KR102160636B1 KR 102160636 B1 KR102160636 B1 KR 102160636B1 KR 1020140020477 A KR1020140020477 A KR 1020140020477A KR 20140020477 A KR20140020477 A KR 20140020477A KR 102160636 B1 KR102160636 B1 KR 102160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input
user
modul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0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9019A (ko
Inventor
김현수
신현석
최종민
정철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0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0636B1/ko
Priority to US14/536,971 priority patent/US10169559B2/en
Priority to PCT/KR2015/001367 priority patent/WO2015126091A1/en
Priority to EP15155763.4A priority patent/EP2911376B1/en
Publication of KR20150099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9019A/ko
Priority to US16/235,169 priority patent/US11663305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0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06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44Monitoring or controlling distance between sensor an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8Portable consumer electronic devices, e.g. music players, telephones, tablet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31Monitoring the presence, absence or movement of u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87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switching off individual functional units in the computer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0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 G06F13/102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where the programme performs an interfacing function, e.g. device dr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05Determining heart rate varia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3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with portable devices, e.g. worn by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2Global tracking of patients, e.g. by using G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89Electromyography [EM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 H04M1/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by electronic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전자 장치에서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는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 적어도 상기 생체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기 전자 장치의 탈부착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 모듈, 및 적어도 상기 탈부착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의 각각을 독립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입출력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입출력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INPUT-OUTPUT DEVIC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예컨대, 입출력 장치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예: 스마트 폰(smart phone) 또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wearable electronic device))의 성능이 향상됨에 따라, 전자 장치는 다양한 입출력 장치들을 포함하게 되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터치(또는, 호버링)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터치 패널 또는 음성을 수신할 수 있는 마이크 등과 같은 입력 장치들과, 시각적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청각적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 또는 촉감적(예: 진동)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햅틱 장치 등과 같은 출력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다양한 입출력 장치들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종류의 입력을 획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자 장치에서 실행되는 다양한 정보를 전자 장치에 대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다양한 입출력 장치들을 직접 제어함으로써, 원하는 기능을 실행시키거나 전자 장치의 일부 기능의 실행을 제한(예: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에 대한 제어 버튼을 누름으로써 디스플레이를 턴-오프)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다양한 입출력 장치들을 독립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각각의 입출력 장치들에 대해 별개의(예: 독립적인)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해야 한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에 알림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기본적인 설정에 따라 알림 이벤트(예: 메시지 수신 또는 전화 수신)에 대한 알림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예컨대, 전자 장치는 알림 정보에 대한 기본적인 설정인 스피커의 소리(예: 벨 소리)와 햅틱 장치의 진동 모두를 이용하여 알림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이 경우, 사용자가 전자 장치에 대한 상황(context 예: 전자 장치가 극장에 있는 경우)을 고려하여 알림 정보를 진동만을 통하여 획득하고 싶은 경우, 사용자는 다양한 입력 장치들(예: 터치 패널 또는 하드웨어 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직접 햅틱 장치를 턴-온하고 스피커를 턴-오프해야 한다. 예컨대, 전자 장치는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 중 알림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입출력 장치들을 사용자의 입력이 없이 자동으로 선택하지 못한다. 이에 따라,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성이 떨어짐에도 불구하고, 사용자의 제어 없이는 턴-온 되어 있는바, 전자 장치의 소모 전류가 증가하게 된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 대한 상황들이 변경되더라도,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에 대한 상황에 적합하도록 자동으로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의 구동 방식을 독립적으로 조정하지 못한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가 밝은 실외(예: 야외)에서 어두운 실내(예: 극장)로 이동한 경우,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의 밝기 정보를 현재 지정된 밝기보다 좀 더 어둡게 하거나, 스피커를 턴-온(turn-on) 상태에서 턴-오프(turn-off) 상태로 변경하거나, 햅틱 장치를 턴-오프 상태에서 턴-온 상태로 변경하지 못한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에 대한 상황 변화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의 각각을 개별적으로(또는, 독립적으로) 제어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다양한 실시 예들은, 예를 들면, 별도의 사용자 입력이 없더라도 전자 장치에 대한 다양한 상황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입출력 장치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또는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 적어도 상기 생체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기 전자 장치의 탈부착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 모듈, 및 적어도 상기 탈부착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의 각각을 독립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입출력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입출력 장치 제어 장치 및 방법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에 대한 상황에 기반하여, 선택적으로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 각각에 턴-온 또는 턴-오프 할 수 있는바, 불필요한 상황에서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의 턴-온 되는 상황을 방지하여 전자 장치의 소모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입출력 장치 제어 장치 및 방법은, 예를 들면, 사용자의 추가적인 입력이 없더라도 전자 장치에 대한 상황에 기반하여 다양한 입출력 장치들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바, 사용자에게 입출력 장치를 이용함에 있어서 개선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환경을 도시한다.
도 2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대한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복수의 입출력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복수의 입출력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복수의 입출력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대한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전자 장치들 사이의 통신 프로토콜을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과 연관되어 기재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개시(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또는”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의 어떠한, 그리고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A 또는 B”는, A를 포함할 수도, B를 포함할 수도, 또는 A 와 B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된 “제 1,”“제2,”“첫째,”또는“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실시 예들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모두 사용자 기기이며,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생체 인식 기능이 포함된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스마트 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화상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예: 전자 안경과 같은 head-mounted-device(HMD),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전자 문신, 또는 스마트 와치(smart watch))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생체 인식 기능을 갖춘 스마트 가전 제품(smart home appliance)일 수 있다. 스마트 가전 제품은, 예를 들자면, 전자 장치는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TV 박스(예를 들면,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게임 콘솔(game consoles),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camcorder),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GPS 수신기(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및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금융 기관의 ATM(automatic teller’s machine) 또는 상점의 POS(point of sale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생체 인식 기능을 포함한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입력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대해서 살펴본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이용되는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101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환경 100을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 101은 버스 110, 프로세서 120, 메모리 130, 입출력 인터페이스 140, 디스플레이 150, 통신 인터페이스 160 및 장치 관리 모듈 1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스 110은 전술한 구성요소들을 서로 연결하고, 전술한 구성요소들 간의 통신(예: 제어 메시지)을 전달하는 회로일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 120은, 예를 들면, 상기 버스 110을 통해 전술한 다른 구성요소들(예: 상기 메모리 130,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140, 상기 디스플레이 150,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160, 또는 상기 장치 관리 모듈 170 등)로부터 명령을 수신하여, 수신된 명령을 해독하고, 해독된 명령에 따른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130은, 상기 프로세서 120 또는 다른 구성요소들(예: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140, 상기 디스플레이 150,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160, 또는 상기 장치 관리 모듈 170 등)로부터 수신되거나 상기 프로세서 120 또는 다른 구성요소들에 의해 생성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130은, 예를 들면, 커널 131, 미들웨어 13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133 또는 어플리케이션 134 등의 프로그래밍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각각의 프로그래밍 모듈들은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널 131은 나머지 다른 프로그래밍 모듈들, 예를 들면, 상기 미들웨어 132, 상기 API 133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에 구현된 동작 또는 기능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시스템 리소스들(예: 상기 버스 110, 상기 프로세서 120 또는 상기 메모리 130 등)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널 131은 상기 미들웨어 132, 상기 API 133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에서 상기 전자 장치 101의 개별 구성요소에 접근하여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미들웨어 132는 상기 API 133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가 상기 커널 131과 통신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중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들웨어 132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로부터 수신된 작업 요청들과 관련하여, 예를 들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상기 전자 장치 101의 시스템 리소스(예: 상기 버스 110, 상기 프로세서 120 또는 상기 메모리 130 등)를 사용할 수 있는 우선 순위를 배정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작업 요청에 대한 제어(예: 스케쥴링 또는 로드 밸런싱)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API 133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가 상기 커널 131 또는 상기 미들웨어 132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예를 들면, 파일 제어, 창 제어, 화상 처리 또는 문자 제어 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또는 함수(예: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는 SMS/MMS 어플리케이션, 이메일 어플리케이션, 달력 어플리케이션, 알람 어플리케이션, 건강 관리(health care) 어플리케이션(예: 운동량 또는 혈당 등을 측정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환경 정보 어플리케이션(예: 기압, 습도 또는 온도 정보 등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는 상기 전자 장치 워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 104) 사이의 정보 교환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상기 정보 교환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특정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알림 전달(notification relay) 어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관리(device management)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알림 전달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전자 장치 101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예: SMS/MMS 어플리케이션, 이메일 어플리케이션, 건강 관리 어플리케이션 또는 환경 정보 어플리케이션 등)에서 발생한 알림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 104)로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알림 전달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 104)로부터 알림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장치 101과 통신하는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 104)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기능(예: 외부 전자 장치 자체(또는, 일부 구성 부품)의 턴온/턴오프 또는 디스플레이의 밝기(또는, 해상도) 조절),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예: 통화 서비스 또는 메시지 서비스)를 관리(예: 설치, 삭제 또는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 104)의 속성(예: 전자 장치의 종류)에 따라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 전자 장치가 MP3 플레이어인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는 음악 재생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외부 전자 장치가 모바일 의료기기인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는 건강 관리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는 전자 장치 101에 지정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외부 전자 장치(예: 서버 106 또는 전자 장치 104)로부터 수신된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140은, 입출력 장치(예: 센서, 키보드, 통신 모듈(예: BT 모듈, Wifi 모듈) 또는 터치 스크린)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예를 들면, 상기 버스 110을 통해 상기 프로세서 120, 상기 메모리 130,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160, 또는 상기 장치 관리 모듈 170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140은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의 터치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프로세서 120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140은, 예를 들면, 상기 버스 110을 통해 상기 프로세서 120, 상기 메모리 130,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160, 또는 상기 장치 관리 모듈 170으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기 입출력 장치(예: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140은 상기 프로세서 120을 통하여 처리된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150은 사용자에게 각종 정보(예: 멀티미디어 데이터 또는 텍스트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160은 상기 전자 장치 101과 외부 장치(예: 전자 장치 104 또는 서버 106) 간의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160은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서 네트워크 162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Wifi(wireless fidelity), BT(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또는 cellular 통신(예: LTE, LTE-A, CDMA, WCDMA, UMTS, WiBro 또는 GSM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선 통신은,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 232)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네트워크 162는 통신 네트워크(telecommunications network)일 수 있다. 상기 통신 네트워크는 컴퓨터 네트워크(computer network), 인터넷(internet),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또는 전화망(telephone networ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 101과 외부 장치 간의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예: transport layer protocol, data link layer protocol 또는 physical layer protocol))은 어플리케이션 134,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133, 상기 미들웨어 132, 커널 131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 160 중 적어도 하나에서 지원될 수 있다.
상기 장치 관리 모듈 170은, 다른 구성요소(예: 프로세서 120, 메모리 130, 입출력 인터페이스 140,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 160 등)과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전자 장치에 대한 상황(예: 적어도 사용자에 대한 전자 장치의 탈부착 상태)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 관리 모듈 170은, 전자 장치에 대한 상황에 기반하여, 예컨대,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140을 통하여, 복수개의 입출력 장치들(예: 센서, 터치 패널, 마이크,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 등)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후술하는 도 2 내지 도 6을 통하여 상기 장치 관리 모듈 170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가 제공된다.
도 2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 101)의 장치 관리 모듈 170의 블록도 200을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장치 관리 모듈 170은 수신 모듈 210, 확인 모듈 230 및 입출력 제어 모듈 250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 모듈 210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생체 신호 또는 상기 전자 장치와 연관된 다양한 정보(예: 움직임 정보, 전자 장치 주변에 대한 밝기 정보 또는 전자 장치의 상태 정보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수신 모듈 210은, 전자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신 모듈 210은 전자 장치에 대한 사용자로부터 생성된 생체 신호를 직접적으로 획득(예: 감지)할 수 있다. 또는, 수신 모듈 210은 전자 장치에 대한 외부 장치(예: 전자 장치 104 또는 서버 106)를 통하여 획득된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외부 장치로부터 간접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생체 신호는, 예를 들면, 심전도, 심박수, 심박 변화도, 지문, 홍채, 체지방, 산소 포화도, 맥박, 체온, 피부 수화도, 피부 습도 지수, 혈관 정보, 얼굴, 음성, 안구, 손금, 정맥, 근전도 또는 뇌파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다양한 생체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하여, 수신 모듈 210 또는 상기 외부 장치는, 예를 들면, 심전도 센서(예: ECG(electrocardiogram) 센서 또는 EKG(electrocardiography) 센서), 심박 센서(예: 광혈류량 센서(PPG: photoplethysmography), HRM(heart rate monitor) 센서, 또는 HRV(heart rate variability) 센서), 지문 센서, 홍채 센서, 체지방 측정 센서, 산소 포화도 센서, 온도 센서, 피부 수화도 측정 센서, 피부 습도 측정 센서, 얼굴 인식 센서, 손금 인식 센서, 정맥 인식 센서, 근전도 센서 또는 뇌파 측정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들은 전술한 장치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수신 모듈 210은 광혈류량 센서를 통하여 사용자의 혈류량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수신 모듈 210은 광혈류량 센서를 통하여, 지정된 시간 동안(예: 약 1분)의 혈류량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광혈류량 센서는, 혈류량 변화에 기반하여, 예를 들면, 심박수, 심박 변화도 또는 심전도 등의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수신 모듈 210은 뇌파 측정 센서를 통하여, 사용자의 뇌전도(EEG(electroencephalogram))신호를 생체 정보로 획득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수신 모듈 210은 심전도 측정 센서를 통하여, 사용자의 심전도 신호를 생체 정보의 적어도 일부로 획득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수신 모듈 210은 전자 장치의 움직임 정보, 이벤트, 전자 장치의 상태 정보, 외부 환경 정보, 또는 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외부 장치와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신 모듈 210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직접적으로 획득(예: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수신 모듈 210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 101) 또는 외부 장치(예: 전자 장치 104 또는 서버 106)를 통하여 획득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외부 장치로부터 간접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수신 모듈 210은 전자 장치 또는 외부 장치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움직임 센서(예: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또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등)를 통하여 전자 장치의 움직임 정보(예: 이동 거리, 이동 방향 또는 회전 각도 등)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수신 모듈 210은 전자 장치 또는 외부 장치에서 발생된 이벤트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벤트는 전화 수신 이벤트, 메시지 수신 이벤트, 알람 이벤트, 일정 정보 알림 이벤트, 또는 SNS(social network service)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수신 모듈 210은 전자 장치의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상태 정보는, 예를 들면, 전원 상태 정보(예: 배터리 잔량 정보) 또는 전자 장치에 포함된 프로세서(processor)의 처리량(load)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수신 모듈 210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 101)에 대한 외부 환경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외부 환경 정보는, 예컨대, 전자 장치 주변의 밝기 정보, 전자 장치 주변에서 발생하는 소리 정보(예: 소리의 세기, 주파수 또는 파장), 후각 정보 또는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수신 모듈 210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 101)와 통신하는 외부 장치(예: 전자 장치 104 또는 서버 106) 사이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신 모듈 210은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와 통신하기 위해 전송되는 통신 신호의 세기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와 외부 장치 사이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신호의 세기가 제 1 지정된 범위에 대응하는 경우(예: 지정된 세기보다 강한 경우), 수신 모듈 210은 전자 장치와 외부 장치의 거리를 제 1 지정된 거리(예: 서로 통신 가능한 기준 거리보다 가까운 거리)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에, 통신 신호의 세기가 제 2 지정된 범위에 대응하는 경우(예: 지정된 세기보다 약한 경우), 수신 모듈 210은 전자 장치와 외부 장치의 거리를 제 2 지정된 범위(예: 서로 통신 가능한 기준 거리보다 먼 거리)로 판단할 수 있다.
확인 모듈 230은, 예를 들면, 적어도 생체 신호(예: 생체 신호의 감지 여부, 생체 신호의 속성 정보(예: 생체 신호의 신호 세기, 또는 생체 신호의 신호 패턴) 등)에 기반하여 사용자에 대한 전자 장치의 탈부착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탈부착 상태는, 예를 들면, 탈착 상태(또는, 미착용 상태), 부착 상태(또는, 착용 상태) 또는 불완전 부착 상태(또는, 불완전 착용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탈착 상태는 전자 장치가 사용자의 몸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부착 상태는 전자 장치가 사용자의 몸에 정상적으로 부착된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불완전 부착 상태는 전자 장치가 사용자의 몸에 비정상적으로 부착된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기재된 전자 장치의 탈부착 상태(예: 탈착, 부착 또는 불완전 부착)는 일 예로서, 사용자의 설정 또는 전자 장치의 설계자에 따라 탈부착 상태에 대한 정의 또는 설정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생체 신호의 감지 여부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의 탈부착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스마트 와치일 수 있다. 스마트 와치가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지 않은 경우(예: 스마트 와치가 사용자 의복의 주머니 또는 사용자가 매거나 들고 있는 가방에 위치하는 경우, 또는 스마트 와치가 사용자의 신체가 아닌 다른 물체(예: 책상)에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에 대한 생체 신호가 감지되지 않는바, 확인 모듈 230은 스마트 와치의 탈부착 상태를 탈착 상태로 확인할 수 있다.
반면에, 스마트 와치가 사용자의 손목에 정상적으로(예: 완전히) 착용된 경우, 사용자의 생체 신호가 정상적으로(예: 일정한 신호 패턴으로 또는 해당 신호가 어떠한 신호인지 구분이 될 수 있는 정도의 세기로) 감지되는바, 확인 모듈 230은 스마트 와치의 탈부착 상태를 부착 상태로 확인할 수 있다. 스마트 와치가 사용자의 손목에 비정상적으로(예: 느슨하게) 착용된 경우, 사용자의 생체 신호는 불완전하게 감지(예: 감지된 생체 신호의 신호 세기 또는 신호 패턴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되는 바, 확인 모듈 230은 스마트 와치의 탈부착 상태를 불완전 부착 상태로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수신 모듈 210(예: 지문 인식 센서)을 통해 사용자의 지문을 감지하지 못한 경우, 확인 모듈 230은 전자 장치의 탈부착 상태를 탈착 상태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수신 모듈 210이 사용자의 지문을 감지한 경우, 확인 모듈 230은 전자 장치의 탈부착 상태를 부착 상태로 감지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확인 모듈 230은 생체 신호의 신호 세기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의 탈부착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확인 모듈 230은, 생체 신호의 신호 세기가 제 1 지정된 범위에 대응하는 경우(예: 제 1 세기보다 강한 경우), 전자 장치의 탈부착 상태를 부착 상태로 확인할 수 있다. 확인 모듈 230은, 생체 신호의 신호 세기가 제 2 지정된 범위에 대응하는 경우(예: 제 2 세기보다 약한 경우), 전자 장치의 탈부착 상태를 탈착 상태로 확인할 수 있다. 확인 모듈 230은, 생체 신호의 신호 세기가 제 3 지정된 범위에 대응하는 경우(예: 제 1 세기보다 약하고, 제 2 세기보다 강한 경우), 전자 장치의 탈부착 상태를 불완전 부착 상태로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신 모듈 210(예: 심박 센서)을 통하여 획득되는 맥파 신호는 전자 장치의 탈부착 상태에 따라 제 1 내지 제 3 지정된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PPG 센서에 의해 수신된 맥파 신호는, AC(맥동성분) 또는 DC(직류성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AC는 심장의 수축과 이완에 의해 나타나는 성분이며, DC는 생체에 의한 흡수도 혹은 반사도에 따라 나타나는 성분이다. 수신된 맥파 신호는, 예를 들어 수신되는 광신호에 대응하는 DC 레벨값의 범위가 최소 0 ~ 최대 200,000 레벨일 경우, 예를 들면, 대략 60,000 레벨 이하(예: 제 1 지정된 범위, 탈착 상태), 예: 대략 80,000 레벨 이상(예: 제 2 지정된 범위, 부착 상태) 또는 상기 범위 외인 60,000초과 80,000 레벨 미만(예: 제 3 지정된 범위, 불완전 부착 상태)로 지정될 수 있다. 이러한 DC 신호의 레벨값은 수신된 신호의 증폭과정을 통해 판별되므로, 증폭범위설정에 따라 그 범위가 다를 수 있다. 또한, 탈착 상태에서도 주변광에 의해 DC 레벨값이 높아질 수 있으므로 수신되는 주변광의 성분을 제거하는 동작을 수행한 후에 얻은 값을 이용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확인 모듈 230은, 현재 수신 모듈 210을 통하여 획득된 맥파 신호의 신호 세기(예: 측정한 DC 레벨이 수신 모듈 210이 측정가능한 최대치의 약 30% ~ 50%인 영역)에 대응하는 범위(예: 불완전 부착상태)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를 탈착 상태, 부착 상태, 또는 불완전 부착 상태 중 하나의 상태(예: 탈착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정된 기간 동안에 감지된 DC 레벨의 평균값, 최대치 또는 최저치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할 수도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확인 모듈 230은 생체 신호의 맥동성분의 진폭에 따라 전자 장치의 탈부착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맥동성분의 진폭은 심전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R파 진폭, PPG 센서에 의해 측정된 AC 성분 중 피크(peak)의 진폭, 또는 가속도 맥파(accelerated plethysmo)의 진폭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한 예로, 확인 모듈 230은 수신 모듈 210을 통해 수신된 생체 신호에 대응하는 AC 신호의 진폭(amplitude)이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예: 지정된 최대 진폭의 대략 20% ~ 60% 인 경우), 이는 심장의 수축기에 혈관의 확장(혈액량 증가), 이완기에 혈관 축소(혈액량 감소)에 따른 광수신부에 빛의 증감 차이가 작음을 나타내므로, 전자 장치가 불완전 부착 상태라고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C 신호의 진폭이 지정된 최대 진폭의 대략 20% 미만으로, 특히 0%에 가까워질수록, 이는 혈관 확장과 축소가 거의 없다는 의미로서 센서가 생체가 아닌 다른 물체로 덮여 있거나 주변광의 영향을 많이 받는 상태(예: 탈착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AC 신호의 진폭이 지정된 최대 진폭의 60%를 초과하는 범위에 있다면 착용상태로 판별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어떠한 PPG 센서가 수신하는 맥파 신호가 AC 신호와 DC 신호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경우, DC 신호가 최대 레벨값에 가깝고, AC 신호가 소정 값 이하로 매우 약하다면, 이는 DC 성분만 강하고, AC 신호는 미약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는 PPG 센서에 수신되는 광량은 많으나 실제로 혈관의 반사광이나 투사광을 측정한 것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여 탈착 상태로 판별할 수도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확인 모듈 230은 생체 신호의 신호대잡음비(SNR: signal-to-noise ratio)를 판별하고 전자 장치의 탈부착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수신된 맥파 신호는, 예를 들어 수신되는 광신호에 대응하는 신호대잡음비가 지정된 시간(예: 약 5초) 동안 임계값(예: 약 -8dB)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정상적인 부착 상태로 판별할 수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불완전 부착 상태나 탈착 상태로 판별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확인 모듈 230은 생체 신호의 신호 패턴(예: 주파수 또는 주기)에 따라, 전자 장치의 탈부착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확인 모듈은 230은 수신 모듈 210을 통해 수신된 생체 신호의 신호 패턴과 지정된(예: 미리 정의된, 또는 미리 저장된) 신호 패턴을 비교할 수 있다. 지정된 신호 패턴은, 예를 들면, 생체 신호의 속성(예: 지문, 뇌파, 맥파, 또는 심박 등을 나타내는 생체 신호의 종류)에 기반하여 결정된 패턴일 수 있다. 또한, 지정된 신호 패턴은 전자 장치가 사용자에게 정상적으로 부착된 경우, 감지될 수 있는 신호들에 대한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확인 모듈 230은, 생체 신호의 신호 패턴과 지정된 신호 패턴이 유사 또는 일치하는 정도(예: 유사도)가 제 1 지정된 범위에 대응하는 경우(예: 제 1 유사도보다 낮은 경우), 전자 장치의 탈부착 상태를 탈착 상태로 확인할 수 있다. 확인 모듈 230은, 생체 신호의 신호 패턴과 지정된 신호의 패턴에 대한 유사도가 제 2 지정된 범위에 대응하는 경우(예; 제 2 유사도보다 높은 경우), 전자 장치의 탈부착 상태를 부착 상태로 확인할 수 있다. 확인 모듈 230은, 생체 신호의 신호 패턴과 지정된 신호의 패턴에 대한 유사도가 제 3 지정된 정도에 대응하는 경우(예: 제 1 유사도보다 높고, 제 2 유사도보다 낮은 경우), 전자 장치의 탈부착 상태를 불완전 부착 상태로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확인 모듈 230은 수신 모듈 210(예: 심전도 센서)을 통하여 획득된 심전도 신호의 신호 패턴을 지정된 신호 패턴(예: P, Q, R, S, 또는 T파)과 비교할 수 있다. 이 경우, 지정된 신호 패턴은, 예컨대, 심전도 신호의 경우 심장의 활동 전류에 해당하는 신호의 패턴(예: P, Q, R, S, 또는 T파)을 포함할 수 있으며, 뇌파 신호의 경우 뇌의 신경에서 발생한 전기적 신호(예: 델타파(약 0.2~4Hz), 세타파(약 4~8Hz), 알파파(약 8~13Hz), 베타파(약 13~30Hz) 또는 감마파(약 30~50Hz)에 해당하는 신호의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확인 모듈 230은, 획득된 심전도 신호의 신호 패턴과 지정된 신호 패턴이, 예를 들면, 제 1 유사도(예: 약 70%)보다 높은 정도로 일치하는(또는, 유사한) 경우, 전자 장치의 탈부착 상태를 부착 상태로 확인할 수 있다. 확인 모듈 230은, 획득된 심전도 신호의 신호 패턴과 지정된 신호 패턴이, 예를 들면, 제 2 유사도(예: 약 30%)보다 낮은 정도로 일치하는 경우, 전자 장치의 탈부착 상태를 탈착 상태로 확인할 수 있다. 확인 모듈 230은, 획득된 심전도 신호의 신호 패턴과 지정된 신호 패턴이, 예를 들면, 제 1 유사도(예: 약 70%)보다 낮고, 제 2 유사도(예: 약 30%)보다 높은 정도로 일치하는 경우, 전자 장치의 탈부착 상태를 불완전 부착 상태로 확인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확인 모듈 230은, 전자 장치의 움직임에 더 기반하여 전자 장치의 탈착 상태에 대한 세부 정보(예: 사용자가 전자 장치를 소지하는지 또는 미소지하는 지)에 대해서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확인 모듈 230은 전자 장치의 탈착 상태에서 전자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소지 여부(예: 사용자가 들고 있는 가방(또는 의복 주머니)에 전자 장치가 위치하는 지(소지) 또는 전자 장치가 사용자와 떨어진 다른 물체(예: 책상)에 위치하는 지(미소지))를 더 확인할 수 있다.
소지 상태는, 예컨대, 전자 장치가, 전자 장치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신체 위치에 부착(또는, 착용)되지 않고, 예를 들면, 사용자의 다른 부위(예: 스마트 와치의 경우 팔목이 아닌 손바닥)에 위치된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신체 위치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가 스마트 와치인 경우 사용자의‘팔목’이고, 전자 장치가 HMD인 경우 사용자의‘머리’일 수 있다. 또한, 소지된 상태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가 사용자의 의복의 주머니에 위치하는 상태 또는 사용자가 매거나 들고 있는 가방에 위치된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미소지된 상태는, 예컨대, 전자 장치가 사용자의 움직임에 영향을 받지 않는 장소(예: 테이블)에 놓여진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확인 모듈 230은 전자 장치의 움직임에 대한 강도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의 소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확인 모듈 230은, 움직임의 강도가 제 1 지정된 범위에 대응하는 경우(예: 지정된 강도보다 강한 경우), 전자 장치가 사용자에게 소지된 상태(또는, 전자 장치가 운송 수단에 위치된 상태)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확인 모듈 230은, 움직임의 강도가 제 2 지정된 범위에 대응하는 경우(예: 지정된 강도보다 약한 경우), 전자 장치가 사용자에게 미소지된 상태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확인 모듈 230은 전자 장치의 움직임에 대한 신호 패턴에 더 기반하여 전자 장치의 소지 여부에 대해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확인 모듈 230은 움직임에 해당하는 신호 패턴을 사용자의 다양한 움직임들에 따라 지정된 패턴의 유사도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소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지정된 패턴은, 예컨대, 사용자의 걷는 움직임 또는 뛰는 움직임의 각각에 대응하는 데이터 패턴(예: 속도, 가속도 또는 흔들림 정도 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정된 패턴은 다양한 운송 수단에 대응하는 데이터 정보(예: 속도, 가속도 또는 흔들림 정도)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확인 모듈 230은 생체 신호 또는 전자 장치의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사용자를 인증(또는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인증을 위하여 생체 신호를 이용하는 경우, 전자 장치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예컨대, 메모리(예: 메모리 130)는 제 1 사용자에 해당하는 제 1 생체 신호와 제 2 사용자에 해당하는 제 2 생체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확인 모듈 230은, 수신 모듈 210을 통해 수신된 생체 신호가 제 1 생체 신호에 대응하는 경우, 전자 장치에 대한(예: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를 제 1 사용자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확인 모듈 230은 수신 모듈 210을 통해 수신된 생체 신호가 제 2 생체 신호에 대응하는 경우, 전자 장치에 대한 사용자를 제 2 사용자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생체 신호가 홍채 정보인 경우, 확인 모듈 230은 수신 모듈 210을 통해 획득된 홍채 정보를 사용자에 따라 지정된 홍채 정보와 비교할 수 있다. 확인 모듈 230은, 획득된 홍채 정보에 해당하는 지정된 홍채 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지정된 홍채 정보에 해당하는 사용자를 전자 장치에 대한 사용자로 판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인증을 위하여 움직임을 이용하는 경우, 전자 장치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예컨대, 메모리(예: 메모리 130)는 제 1 사용자에 해당하는 제 1 움직임 정보와 제 2 사용자에 해당하는 제 2 움직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확인 모듈 230은, 수신 모듈 210을 통해 수신된 움직임 정보가 제 1 움직임 정보에 대응하는 경우,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를 제 1 사용자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확인 모듈 230은 수신 모듈 210을 통해 수신된 움직임 정보가 제 2 움직임 정보에 대응하는 경우,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를 제 2 사용자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움직임이 걸음인 경우(예: 사용자가 걷는 경우), 확인 모듈 230은 수신 모듈 210을 통해 획득된 걸음 정보를 사용자에 따라 지정된 걸음 정보와 비교할 수 있다. 확인 모듈 230은 획득된 걸음 정보에 해당하는 지정된 걸음 정보가 있는 경우, 지정된 걸음 정보에 해당하는 사용자를 전자 장치에 대한 사용자로 판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확인 모듈 230은 수신 모듈 210을 통해 획득된 이벤트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다. 확인 모듈 230은 이벤트에 중요성 정도를 지정할 수 있다. 중요성 정도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 대한 이벤트의 종류(또는, 긴급한 정도)에 기반하여 지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화 수신 이벤트는 중요성을 제 1 중요성 정도(예: 높은 중요도)로 지정하고, 메시지 수신 이벤트는 중요성을 제 2 중요성 정도(예: 제 1 중요성 정도 보다 낮은 중요도)로 지정하고, 알람 이벤트는 중요성을 제 3 중요성 정도(예: 제 2 중요성 정도 보다 낮은 중요도)로 지정할 수 있다. 또는, 중요성 정도는, 예를 들면, 이벤트가 나타내는 내용의 긴급성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이벤트가 사용자와 연관된 중요한 사람으로부터 발생된 경우 또는 위급한 내용(예: 교통 사고, 화재 등의 긴급 재난과 연관된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중요성 정도는 높게 지정될 수 있다.
입출력 제어 모듈 250은, 예를 들면, 적어도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 101)의 탈부착 상태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의 각각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생체 신호 또는 움직임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된 탈부착 상태(예: 탈착 상태, 부착 상태 또는 불완전 부착 상태)에 따라,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예: 마이크, 디스플레이, 스피커 또는 햅틱 장치)의 각각에 대한 턴-온/턴-오프, 또는 상기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을 통하여 입력되는 입력 신호 또는 출력되는 출력 신호에 대한 세기 중 적어도 하나를 독립적으로(예: 개별적으로) 제어(예: 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입출력 제어 모듈 250은 전자 장치가 사용자에서 탈착 상태(예: 생체 신호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또는 스마트 와치가 사용자 의복의 주머니 또는 신체가 아닌 다른 물체(예: 책상)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인 경우,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를 턴-오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 101)는 헤드폰 타입의 전자 장치 또는 이어폰 타입의 전자 장치와 같은 사용자가 전자 장치를 착용하여 콘텐츠를 감상할 수 있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가 사용자로부터 탈착된 상태인 경우, 입출력 제어 모듈 250은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가 재생되지 않도록 디스플레이를 턴-오프하여 영상 재생을 중지하거나, 스피커를 턴-오프하여 소리 재생을 중지하거나, 햅틱 장치를 턴-오프 하여 진동 재생을 중지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입출력 제어 모듈 250은 전자 장치가 사용자에게 부착 상태(예: 생체 신호가 정상적으로 감지되는 경우 또는 스마트 와치가 사용자의 팔목에 올바르게(예: 완전히) 장착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인 경우,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를 턴-온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출력 제어 모듈 250은 디스플레이를 턴-온하여 영상을 재생하거나, 스피커를 턴-온하여 소리를 재생하거나, 햅팁 장치를 턴-온하여 진동 재생을 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입출력 제어 모듈 250은 전자 장치가 사용자에게 불완전하게 부착된 상태(예: 생체 신호가 비정상적으로 감지되는 경우 또는 스마트 와치가 사용자의 팔목에 부적절하게(예: 헐겁게) 착용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인 경우,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를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불완전 부착 상태에 대한 피드백(예: 알림(notification))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출력 제어 모듈 250은 스마트 와치가 사용자에게 불완전하게 부착되어 생체 신호가 정상적으로 감지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에게 피드백으로서,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시각 정보를 제공하거나, 스피커를 통하여 소리 정보를 제공하거나, 햅틱 장치를 통하여 진동 정보, 또는 후각 출력 장치를 통하여 후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생체 신호가 정상적으로 감지되지 않는 경우는, 예를 들면, 수신 모듈 210을 통해 수신한 생체 신호가 일정하지 않은 패턴을 보이거나, 어떠한 신호인지 구분하기 어려운 정도의 미약한 신호 세기를 가지거나, 혹은 신호 대 잡음비(SNR)가 임계값(threshold) 이하인 경우 중 한 가지 이상이 감지된 경우일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입출력 제어 모듈 250은, 상기 시각 정보의 적어도 일부로, 스마트 와치의 스트랩을 좀 더 느슨하게 하거나, 좀 더 죄라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입출력 제어 모듈 250은 전자 장치가 사용자에게 탈착된 상태(예: 생체 신호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또는 스마트 와치가 사용자에 부착되지 않은 경우나 외부에 센서가 노출된 경우)인 경우,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를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탈착 상태에 대한 피드백(예: 알림(notification))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입출력 제어 모듈 250은 전자 장치의 탈부착 상태에 기반하여,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를 통하여 출력 신호(또는, 입력 신호)가 출력(또는, 입력)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장치의 각각에 대한 신호 세기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의 일 예로서 스마트 와치가 부착 상태인 경우, 입출력 제어 모듈 250은 디스플레이의 화면 밝기를 ‘상’, 스피커의 소리 출력 세기를 ‘하’ 또는 햅틱 장치의 진동 세기를 ‘중’으로 제어할 수 있다. 반면에, 스마트 와치가 탈착 상태인 경우, 디스플레이의 화면 밝기를 ‘하(또는, 턴-오프)’, 스피커의 소리 출력 세기를 ‘상’또는 햅틱 장치의 진동 세기를 ‘하’로 제어할 수 있다.
입출력 제어 모듈 250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의 움직임에 더 기반하여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의 각각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입출력 제어 모듈 250은 전자 장치에 대한 움직임의 강도가 ‘상’인 경우(예: 전자 장치를 소지(또는, 착용)한 사용자가 빠른 속도로 걷거나 뛰는 경우)에는, 전자 장치에 대한 움직임의 강도가 ‘하’인 경우(예: 전자 장치를 소지한 사용자가 느리게 걷거나, 제자리에서 미비한 미동을 하는 경우)보다 더 강한 출력 신호가 제공될 수 있도록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의 각각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출력 제어 모듈 250은 움직임의 강도가 ‘상’인 경우에는 햅틱 장치의 진동 세기를 ‘강’으로, 움직임의 강도가 ‘중’인 경우에는 진동 세기를 ‘중’으로, 움직임의 강도가 ‘하’인 경우에는 진동 세기를 ‘하’로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입출력 제어 모듈 250은 전자 장치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이벤트에 대응하는 알림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의 각각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의 움직임의 강도가 ‘상’인 경우,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제공되는 정보를 확인하기 어려운 바,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메시지 수신에 대한 알림을 스피커의 소리 또는 햅틱 장치의 진동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반면에, 전자 장치의 움직임의 강도가 ‘하’인 경우, 입출력 제어 모듈 25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메시지 수신에 대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입출력 제어 모듈 250은 전자 장치에 발생된 이벤트의 중요성에 따라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의 각각을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에 대한 움직임의 강도가 ‘강’이더라도, 전자 장치에 수신된 메시지의 속성의 중요성이 높은 경우(예: 메시지의 내용이 중요하거나, 긴급하거나, 또는 메시지의 송신자가 중요한 사람인 경우), 입출력 제어 모듈 250은 디스플레이를 턴-온할 수 있으며, 햅틱 장치의 진동 세기 또는 스피커의 소리 세기를 더 강하게 할 수 있다. 반면에, 전자 장치에 대한 움직임의 강도가 ‘하’이더라도, 메시지의 중요성이 낮은 경우(예: 메시지의 내용이 차단한 문자를 포함하거나, 스팸이거나, 또는 송신자의 정보가 없는 경우), 입출력 제어 모듈 250은 디스플레이를 턴-오프 할 수 있으며, 스피커의 소리 세기나 햅틱 장치의 진동 세기를 더 약하게 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입출력 제어 모듈 250은 시간 정보가 포함된 이벤트의 경우, 시간 정보에 따라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의 각각을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알람 이벤트의 경우, 입출력 제어 모듈 250은 알림 이벤트에 지정된 시간에 가까워질수록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에 대한 신호의 세기를 점진적으로 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일정 이벤트의 경우, 입출력 제어 모듈 250은 일정 이벤트에 지정된 시간으로부터 제 1 시간 전(예: 약 1시간 전)에는 햅틱 장치만 턴-온하여 진동만을 제공할 수 있다. 입출력 제어 모듈 250은 일정 이벤트에 지정된 시간으로부터 제 2 시간 전(예: 약 30분 전)에는 햅틱 장치와 스피커 장치를 턴-온하여 진동과 소리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입출력 제어 모듈 250은 전자 장치에서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에 더 기반하여 복수의 전자 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에서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예: 스트레스 측정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입출력 제어 모듈 250은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지 않거나 또는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알림 정보가 제공되지 않도록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서 생체 신호를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더라도, 전자 장치에 수신된 메시지의 중요성이 높은 경우, 입출력 제어 모듈 250은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메시지에 대한 알림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출력 제어 모듈 250은 디스플레이를 턴-온하거나, 스피커의 소리 세기를 약하게 하거나, 또는 햅틱 장치의 진동 세기를 약하게 하여 메시지에 대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입출력 제어 모듈 250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 101)와 외부 장치(예: 전자 장치 104 또는 서버 106) 사이의 거리 정보에 기반하여,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의 각각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와 외부 장치 사이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가까운 것으로 판단된 경우(예: 전자 장치인 스마트 와치와 외부 장치인 휴대폰 사이의 거리가 약 1M 내외로 판단된 경우), 입출력 제어 모듈 250은 적어도 하나의 입출력 장치를 턴-오프를 하거나 또는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의 각각에 대한 신호 세기를 약하게 할 수 있다. 반면에, 전자 장치와 외부 장치 사이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먼 것으로 판단된 경우(예: 전자 장치인 스마트 와치와 외부 장치인 휴대폰 사이의 거리가 5M 내외로 판단된 경우),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에 대한 신호 세기를 강하게 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입출력 제어 모듈 250은 전자 장치와 외부 장치 사이의 거리가 변화함에 따라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에 대한 신호 세기를 점진적으로 강하게 조절(예: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에서 외부 장치를 찾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예: 장치 찾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입출력 제어 모듈 250은 외부 장치에 포함된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의 각각에 대한 신호 세기를 강하게 조절(예: 설정)하여, 사용자가 외부 장치를 찾을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입출력 제어 모듈 250은 전자 장치의 상태 정보에 더 기반하여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의 각각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의 배터리의 잔량이 많은 경우(예: 60% 이상), 입출력 제어 모듈 250은 배터리 소모량이 많은 디스플레이를 턴-온하거나, 햅틱 장치의 진동 세기 또는 스피커의 소리를 강하게 조절할 수 있다. 반면에, 전자 장치의 배터리 잔량이 적은 경우(예: 약 30% 이하), 입출력 제어 모듈 250은 디스플레이를 턴-오프 할 수 있으며, 햅틱 장치의 진동 세기 또는 스피커의 소리를 약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입출력 제어 모듈 250은 전자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인증 정보에 더 기반하여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의 각각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에 대한 사용자가 성인으로 판단된 경우, 입출력 제어 모듈 250은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 각각에 대해 턴-온을 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을 제어하는 정도에 따라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에 대응하는 신호 세기를 조정할 수 있다. 반면에, 전자 장치에 대한 사용자가 미성년자로 판단된 경우, 입출력 제어 모듈 250은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를 턴-오프 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전자 장치를 제어함에 있어 제한이 되도록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입출력 제어 모듈 250은 사용자의 인증 정보뿐만 아니라, 전자 장치를 통하여 제공되는 콘텐츠의 종류(예: 성인물 또는 아동물)에 더 기반하여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을 제어할 수도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입출력 제어 모듈 250은 전자 장치에 대한 외부 환경 정보(예: 전자 장치 주변의 밝기 정보, 소리 정보, 후각 정보, 또는 위치 정보)에 더 기반하여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의 각각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 주변에서 발생한 소리 세기가 ‘약’인 경우, 스피커의 약한 소리도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는바, 입출력 제어 모듈 250은 스피커의 소리 세기가 약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면에, 전자 장치 주변에서 발생한 소리의 세기가 ‘강’인 경우, 입출력 제어 모듈 250은 스피커의 소리 세기가 강해지도록(예: 전자 장치 주변에서 발생한 소리의 세기인 ‘강’보다 더 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 주변에서 발생한 소리의 세기가 ‘강’인 경우, 스피커의 강한 소리도 사용자가 감지하기 어려울 수 있는바, 입출력 제어 모듈 250은 햅틱 장치를 턴-온하여 사용자에게 진동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 주변에서 발생한 향의 강도가 ‘약’인 경우, 약한 향도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는바, 입출력 제어 모듈 250은 후각 출력 장치가 약한 향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면, 전자 장치 주변에서 발생한 향의 강도가 ‘강’인 경우, 입출력 제어 모듈 250은 후각 출력 장치가 강한 향(예: 전자 장치 주변에서 발생한 향의 강도인 ‘강’보다 강한 향)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입출력 제어 모듈 250은 적어도 전자 장치의 탈부착 상태에 따라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을 독립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탈부착 상태에 기반하여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 각각에 대한 설정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설정 정보는, 예컨대, 전자 장치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 각각에 대한 실행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행 정보는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 각각에 대한 턴-온/턴-오프 정보,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을 통하여 입력되는 입력 신호의 세기, 또는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을 통하여 출력되는 출력 신호의 세기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제어 모듈 250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가 탈착 상태인 경우, 디스플레이를 ‘턴-오프’로, 스피커의 소리 세기를 ‘강’으로, 또는 햅틱 장치의 진동 세기를 ‘약’으로 각각 설정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입출력 제어 모듈 250은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에 대해 사용자가 설정한 설정 정보에 더 기반하여,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가 탈착 상태인 경우, 탈착 상태에 따라 디스플레이가 턴-오프가 되어야 하더라도 사용자가 항상 턴-온으로 설정한 경우에는 입출력 제어 모듈 250은 디스플레이를 턴-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에 대한 예로서, 디스플레이, 스피커, 햅틱 장치, 또는 후각 출력 장치 등을 기재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러한 장치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에 대한 탈부착 상태를 결정하기 위하여, 다양한 정보(예: 움직임 정보 또는 전자 장치의 상태 정보 등)에 대한 지정된 범위가 예를 통해서 기재되었으나, 지정된 범위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설정 정보 또는 전자 장치의 설계자에 의해서 다양한 지정된 범위를 가질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기재된 기능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 101) 자체에 포함된 입출력 장치 또는 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외부 장치(예: 전자 장치 104 또는 서버 106)에 포함된 입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 101)는,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의 생체 신호(예: 맥파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예: 수신 모듈 210), 적어도 상기 생체 신호(예: 맥파 신호의 신호 세기, 패턴, AC 파의 진폭)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기 전자 장치의 탈부착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 모듈(예: 확인 모듈 230), 및 적어도 상기 탈부착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예: 스피커 또는 햅틱 장치)의 각각을 독립적으로 제어(예: 스피커의 소리 출력 세기를 강으로 제어 또는 햅틱 장치를 턴-오프)하기 위한 입출력 제어 모듈(예: 입출력 제어 모듈 25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수신 모듈은, 심전도, 심박수, 심박 변화도, 지문, 홍채, 체지방, 산소 포화도, 맥박, 체온, 피부 수화도, 피부 습도 지수, 혈관 정보, 얼굴, 음성, 안구, 손금, 정맥, 근전도 또는 뇌파 중의 적어도 하나를 상기 생체 신호로서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확인 모듈은, 상기 생체 신호의 속성 정보(예: 생체 신호의 신호 세기 또는 신호 패턴)를 획득하고, 상기 속성 정보가 제 1 지정된 범위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탈부착 상태를 부착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속성 정보가 제 2 지정된 범위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탈부착 상태를 탈착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속성 정보가 제 3 지정된 범위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탈부착 상태를 불완전 부착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확인 모듈은, 상기 생체 신호 또는 상기 전자 장치의 움직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확인 모듈은, 상기 생체 신호가 지문 정보인 경우, 상기 지문 정보가 제 1 지문 정보인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를 제 1 사용자로 판단하고, 상기 지문 정보가 제 2 지문 정보인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를 제 2 사용자로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확인 모듈은, 상기 생체 신호의 신호 세기를 획득하고, 상기 신호 세기가 제 1 지정된 범위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탈부착 상태를 부착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신호 세기가 제 2 지정된 범위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탈부착 상태를 탈착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확인 모듈은, 상기 신호 세기가 제 3 지정된 범위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탈부착 상태를 불완전 부착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입출력 제어 모듈은,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불완전 부착 상태이거나 탈착 상태인 경우, 상기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불완전 부착 상태 혹은 탈착 상태에 대한 피드백(예: 알림)을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확인 모듈은, 상기 전자 장치에서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예: 스트레스 측정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입출력 제어 모듈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더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의 각각을 제어(예: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지 않거나 또는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알림 정보가 제공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입출력 제어 모듈은, 적어도 상기 탈부착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의 각각에 대응하는 설정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예: 스피커 및 햅틱 장치) 중 대응하는 장치(예: 햅틱 장치)를 제어(예: 진동 강도를 ‘강’으로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의 각각에 대한 턴-온/턴-오프 정보, 상기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을 통하여 입력되는 입력 신호 또는 출력되는 출력 신호에 대한 세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입출력 제어 모듈은, 상기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의 각각에 대한 턴-온(turn-on) 또는 턴-오프(turn-off)를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은 스피커, 햅틱 장치, 후각 출력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입출력 제어 모듈은, 상기 스피커의 소리 세기, 상기 햅틱 장치의 진동 세기, 상기 후각 출력 장치의 향 강도,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밝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입출력 제어 모듈은,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한 외부 환경 정보(예: 전자 장치 주변의 밝기 정보, 전자 장치 주변에서 발생하는 소리 정보 또는 후각 정보)에 대응하는 신호 세기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신호의 세기를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입출력 제어 모듈은,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 정보, 상기 전자 장치의 움직임 정보,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인증 정보, 또는 상기 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외부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더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입출력 제어 모듈은, 상기 전자 장치에서 획득된 이벤트의 중요성(예: 메시지의 내용이 중요성, 긴급한 정도, 또는 메시지의 송신자의 중요도)에 더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입출력 제어 모듈은, 상기 이벤트의 중요성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예: 스피커 또는 햅틱 장치) 중 적어도 하나(예: 스피커)를 이용하여 상기 이벤트에 대한 알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 101)가 복수의 입출력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 300을 도시한다. 동작 310에서, 전자 장치(예: 수신 모듈 210)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예: 맥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수신 모듈 210)는 전자 장치의 움직임 정보, 이벤트, 전자 장치의 상태 정보, 외부 환경 정보, 또는 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외부 장치와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이하, 설명의 편의상, ‘전자 장치에 대한 상황 정보(context information)’)를 더 획득할 수 있다.
동작 330에서, 전자 장치(예: 확인 모듈 230)는 적어도 생체 신호(예: 맥파 신호의 신호 세기)에 기반하여, 사용자에 대한 전자 장치의 탈부착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에 대한 상황 정보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의 탈부착 상태에 대한 세부 정보(예: 사용자가 전자 장치를 소지하는지 또는 미소지하는 지)를 더 확인할 수 있다.
동작 350에서, 전자 장치(예: 입출력 제어 모듈 250)는 적어도 탈부착 상태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예: 스피커, 디스플레이, 햅틱 장치, 또는 후각 출력 장치)의 각각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적어도 탈부착 상태에 따라,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 각각에 대한 턴-온/턴-오프,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되는 소리의 세기, 디스플레이의 밝기 정보, 햅틱 장치의 진동 세기, 또는 후각 출력 장치의 향의 세기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 101)가 복수의 입출력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 400을 도시한다. 도 4에서 기재되는 동작들 중 도 3과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동작 410에서, 전자 장치(예: 수신 모듈 210)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예: 뇌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430에서, 전자 장치(예: 확인 모듈 230)는 적어도 생체 신호(예: 뇌파 신호의 신호 세기)에 기반하여, 사용자에 대한 전자 장치의 탈부착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동작 450에서, 전자 장치(예: 입출력 제어 모듈 250)는 적어도 탈부착 상태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의 각각에 대응하는 설정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설정 정보는, 예를 들면,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 각각에 대한 턴-온/턴-오프 설정 여부,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을 통하여 입력되는 입력 신호의 세기 정도, 또는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을 통하여 출력되는 출력 신호의 세기 정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470에서, 전자 장치(예: 입출력 제어 모듈 250)는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 중 대응하는 장치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에 대한 설정 정보가 ‘턴-오프’, 스피커에 대한 설정 정보가 ‘강’ 및 햅틱 장치에 대한 설정 정보가 ‘약’인 경우,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턴-오프하며, 스피커의 소리 세기를 강으로 하여 소리를 출력하고, 햅틱 장치의 진동 세기를 약하게 하여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 101)가 복수의 입출력 장치(예: 디스플레이, 햅틱 장치 또는 스피커)를 제어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 500을 도시한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와 연관된 다양한 상황 정보(예: 전자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생체 신호 또는 움직임)에 따라, 전자 장치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이종의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을 각각을 독립적으로 다양한 방법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동작 510에서, 전자 장치(예: 수신 모듈 210)는 전자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생체 신호 및 전자 장치에 대한 상황 정보 중 하나로서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동작 520에서, 전자 장치(예: 확인 모듈 230)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 대한 생체 신호와 지정된 값(예: 생체 신호와 연관되어 미리 설정된 기준)과 비교(예: 생체 신호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복수의 범위들 중 어느 범위에 해당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동작 521에서, 전자 장치(예: 확인 모듈 230)는 생체 신호가 지정된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전자 장치가 사용자에게 부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에, 동작 523에서, 전자 장치는 생체 신호가 지정된 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전자 장치가 사용자에게 탈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확인 모듈 230)는 전자 장치의 탈착 또는 부착 상태와 함께, 전자 장치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예를 들면, 전자 장치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상태(예: 전자 장치에 대한 이동 또는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동작 530 및 동작 540에서,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에 대한 움직임의 강도와 지정된 값(예: 움직임과 연관되어 미리 설정된 기준)을 비교(예: 움직임의 강도와 연관되어 미리 설정된 복수의 범위들 중 어느 범위에 해당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가 사용자에게 부착 상태인 경우, 동작 531에서, 움직임 강도가 지정된 값보다 큰 경우,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가 이동(예: 사용자가 전자 장치를 착용하여 격렬한 운동 또는 걷는 운동 등을 하고 있는 경우)을 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는, 동작 533에서, 움직임 강도가 지정된 값보다 작은 경우,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가 정지(예: 사용자가 전자 장치를 착용하여 스트레스 측정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경우)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가 사용자에게 탈착 상태인 경우, 동작 541에서, 움직임 강도가 지정된 값보다 큰 경우, 전자 장치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를 소지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가 위치해야 하는 장소(예: 스마트 와치인 경우, 사용자의 팔목)가 아닌 다른 장소(예: 스마트 와치인 경우, 손바닥 또는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의복 주머니)에 사용자에 의해 전자 장치가 소지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동작 543에서, 움직임 강도가 지정된 값보다 작은 경우, 전자 장치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를 미소지(예: 전자 장치가 사용자의 움직임을 영향받지 않는 책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입출력 제어 모듈 250)는 탈부착 상태 및 움직임에 따라 결정된 전자 장치에 대한 상태(예: 이동, 정지, 소지 또는 미소지)에 따라, 디스플레이, 햅틱 장치 및 스피커를 각각 다양한 방법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동작 550에서, 전자 장치가 사용자에게 부착되어 이동 상태인 경우,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턴-오프’, 햅틱 장치의 진동 세기를 ‘강’ 및 스피커의 소리 세기를 ‘강’으로 할 수 있다. 동작 560에서, 전자 장치가 사용자에게 부착되어 정지 상태인 경우,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턴-온, 햅틱 장치의 진동 세기를 ‘약’ 및 스피커를 ‘턴-오프’할 수 있다.
동작 570에서, 전자 장치가 사용자에게 탈착된 상태이나, 사용자가 전자 장치를 소지하고 있는 경우,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턴-오프’, 햅틱 장치를 ‘턴-오프’ 및 스피커의 소리 세기를 ‘강’으로 할 수 있다. 동작 580에서, 전자 장치가 사용자에게 탈착된 상태와 함께 사용자로부터 완전히 분리된 경우,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턴-오프’, 햅틱 장치를 ‘턴-오프’ 및 스피커를 ‘턴-오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을 제어하는 방법은,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의 생체 신호(예: 뇌파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적어도 상기 생체 신호(예: 뇌파 신호의 신호 패턴)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기 전자 장치의 탈부착 상태를 확인하는 동작, 및 적어도 상기 탈부착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예: 디스플레이 또는 마이크)의 각각을 독립적으로 제어(예: 디스플레이의 화면 밝기를 약으로 제어 또는 마이크를 턴-온)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수신하는 동작은, 심전도, 심박수, 심박 변화도, 지문, 홍채, 체지방, 산소 포화도, 맥박, 체온, 피부 수화도, 피부 습도 지수, 혈관 정보, 얼굴, 음성, 안구, 손금, 정맥, 근전도 또는 뇌파 중의 적어도 하나를 상기 생체 신호로 획득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생체 신호의 속성 정보(예: 생체 신호의 신호 세기 또는 신호 패턴)를 획득하고, 상기 속성 정보가 제 1 지정된 범위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탈부착 상태를 부착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속성 정보가 제 2 지정된 범위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탈부착 상태를 탈착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속성 정보가 제 3 지정된 범위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탈부착 상태를 불완전 부착 상태로 판단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생체 신호 또는 상기 전자 장치의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인증하는 동작은, 상기 움직임 정보가 제 1 움직임 정보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를 제 1 사용자로 판단하고, 상기 움직임 정보가 제 2 움직임 정보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를 제 2 사용자로 판단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생체 신호의 신호 세기를 획득하고, 상기 신호 세기가 제 1 지정된 범위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탈부착 상태를 부착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신호 세기가 제 2 지정된 범위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탈부착 상태를 탈착 상태로 판단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신호 세기가 제 3 지정된 범위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탈부착 상태를 불완전 부착 상태로 판단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불완전 부착 또는 탈착 상태인 경우, 상기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불완전 부착 상태 또는 상기 탈착 상태에 대한 피드백(예: 알림)을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 장치에서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예: 스트레스 측정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더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의 각각을 제어(예: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지 않거나 또는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알림 정보가 제공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동작은, 적어도 상기 탈부착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의 각각에 대응하는 설정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예: 디스플레이 및 마이크) 중 대응하는 장치(예: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예: 턴-온 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의 각각에 대한 턴-온/턴-오프 정보, 상기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을 통하여 입력되는 입력 신호 또는 출력되는 출력 신호에 대한 세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의 각각에 대한 턴-온(turn-on) 또는 턴-오프(turn-off)를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은 스피커, 햅틱 장치, 후각 출력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스피커의 소리 세기, 상기 햅틱 장치의 진동 세기, 상기 후각 출력 장치의 향 강도,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밝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한 외부 환경 정보(예: 전자 장치 주변의 밝기 정보, 전자 장치 주변에서 발생하는 소리 정보 또는 후각 정보)에 대응하는 신호 세기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신호의 세기를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 정보, 상기 전자 장치의 움직임 정보,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인증 정보, 또는 상기 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외부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더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을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 장치에서 획득된 이벤트의 중요성(예: 메시지의 내용이 중요성, 긴급한 정도, 또는 메시지의 송신자의 중요도)에 더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을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이벤트의 중요성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예: 디스플레이 및 햅틱 장치) 중 적어도 하나(예: 햅틱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이벤트에 대한 알림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601의 블록도 600을 도시한다. 상기 전자 장치 601은,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 101의 전체 또는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 601은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application processor) 610, 통신 모듈 620,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 624, 메모리 630, 센서 모듈 640, 입력 장치 650, 디스플레이 660, 인터페이스 670, 오디오 모듈 680, 카메라 모듈 691, 전력관리 모듈 695, 배터리 696, 인디케이터 697 및 모터 69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P 610은 운영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상기 AP 610에 연결된 다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한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AP 610은, 예를 들면, SoC(system on chip) 로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AP 610은 GPU(graphic processing unit, 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 620(예: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160)은 상기 전자 장치 워(예: 상기 전자 장치 101)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다른 전자 장치들(예: 전자 장치 104 또는 서버 106) 간의 통신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 모듈 620은 셀룰러 모듈 621, Wifi 모듈 623, BT 모듈 625, GPS 모듈 627, NFC 모듈 628 및 RF(radio frequency) 모듈 62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셀룰러 모듈 621은 통신망(예: LTE, LTE-A, CDMA, WCDMA, UMTS, WiBro 또는 GSM 등)을 통해서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문자 서비스 또는 인터넷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셀룰러 모듈 621은, 예를 들면, 가입자 식별 모듈(예: SIM 카드 624)을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의 구별 및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셀룰러 모듈 621은 상기 AP 610가 제공할 수 있는 기능 중 적어도 일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셀룰러 모듈 621은 멀티 미디어 제어 기능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셀룰러 모듈 621은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 commun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셀룰러 모듈 621은, 예를 들면, SoC로 구현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상기 셀룰러 모듈 621(예: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 상기 메모리 630 또는 상기 전력관리 모듈 695 등의 구성요소들이 상기 AP 610과 별개의 구성요소로 도시되어 있으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AP 610가 전술한 구성요소들의 적어도 일부(예: 셀룰러 모듈 621)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AP 610 또는 상기 셀룰러 모듈 621(예: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은 각각에 연결된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다른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load)하여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P 610 또는 상기 셀룰러 모듈 621은 다른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하거나 다른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store)할 수 있다.
상기 Wifi 모듈 623, 상기 BT 모듈 625, 상기 GPS 모듈 627 또는 상기 NFC 모듈 628 각각은, 예를 들면, 해당하는 모듈을 통해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셀룰러 모듈 621, Wifi 모듈 623, BT 모듈 625, GPS 모듈 627 또는 NFC 모듈 628이 각각 별개의 블록으로 도시되었으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 621, Wifi 모듈 623, BT 모듈 625, GPS 모듈 627 또는 NFC 모듈 628 중 적어도 일부(예: 두 개 이상)는 하나의 integrated chip(IC) 또는 IC 패키지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셀룰러 모듈 621, Wifi 모듈 623, BT 모듈 625, GPS 모듈 627 또는 NFC 모듈 628 각각에 대응하는 프로세서들 중 적어도 일부(예: 셀룰러 모듈 621에 대응하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 및 Wifi 모듈 623에 대응하는 Wifi 프로세서)는 하나의 SoC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RF 모듈 629는 데이터의 송수신, 예를 들면, RF 신호의 송수신을 할 수 있다. 상기 RF 모듈 629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예를 들면, 트랜시버(transceiver), PAM(power amp module), 주파수 필터(frequency filter) 또는 LNA(low noise amplifi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RF 모듈 629는 무선 통신에서 자유 공간상의 전자파를 송수신하기 위한 부품, 예를 들면, 도체 또는 도선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셀룰러 모듈 621, Wifi 모듈 623, BT 모듈 625, GPS 모듈 627 및 NFC 모듈 628이 하나의 RF 모듈 629를 서로 공유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 621, Wifi 모듈 623, BT 모듈 625, GPS 모듈 627 또는 NFC 모듈 628 중 적어도 하나는 별개의 RF 모듈을 통하여 RF 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SIM 카드 624는 가입자 식별 모듈을 포함하는 카드일 수 있으며, 전자 장치의 특정 위치에 형성된 슬롯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SIM 카드 624는 고유한 식별 정보(예: ICCID(integrated circuit card identifier)) 또는 가입자 정보(예: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630(예: 상기 메모리 130)은 내장 메모리 632 또는 외장 메모리 6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장 메모리 632는, 예를 들면,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면,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 예를 들면,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NAND flash memory, NOR flash memory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내장 메모리 632는 Solid State Drive (SSD)일 수 있다. 상기 외장 메모리 634는 flash drive,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또는 Memory Stick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장 메모리 634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전자 장치 601과 기능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 601은 하드 드라이브와 같은 저장 장치(또는 저장 매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모듈 640은 물리량을 계측하거나 전자 장치 601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계측 또는 감지된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센서 모듈 640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640A, 자이로 센서 640B, 기압 센서 640C, 마그네틱 센서 640D, 가속도 센서 640E, 그립 센서 640F, 근접 센서 640G, 컬러(color) 센서 640H(예: RGB(red, green, blue) 센서), 생체 센서 640I, 온/습도 센서 640J, 조도 센서 640K 또는 UV(ultra violet) 센서 640M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센서 모듈 640은, 예를 들면, 후각 센서(E-nose sensor, 미도시), EMG 센서(electromyography sensor, 미도시), EEG 센서(electroencephalogram sensor, 미도시), ECG 센서(electrocardiogram sensor, 미도시), IR(infra red) 센서(미도시), 홍채 센서(미도시) 또는 지문 센서(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모듈 640은 그 안에 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장치 650은 터치 패널(touch panel) 652, (디지털) 펜 센서(pen sensor) 654, 키(key) 656 또는 초음파(ultrasonic) 입력 장치 65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 652는, 예를 들면, 정전식, 감압식,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터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패널 652는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정전식의 경우, 물리적 접촉 또는 근접 인식이 가능하다. 상기 터치 패널 652는 택타일 레이어(tactile layer)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터치 패널 652는 사용자에게 촉각 반응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펜 센서 654는, 예를 들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받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법 또는 별도의 인식용 쉬트(sheet)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키 656은, 예를 들면, 물리적인 버튼, 광학식 키 또는 키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ultrasonic) 입력 장치 658은 초음파 신호를 발생하는 입력 도구를 통해, 전자 장치 601에서 마이크(예: 마이크 688)로 음파를 감지하여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로서, 무선 인식이 가능하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 601은 상기 통신 모듈 620을 이용하여 이와 연결된 외부 장치(예: 컴퓨터 또는 서버)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660(예: 상기 디스플레이 150)은 패널 662, 홀로그램 장치 664 또는 프로젝터 66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 662는, 예를 들면, LCD(liquid-crystal display) 또는 AM-OLED(act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등일 수 있다. 상기 패널 662는, 예를 들면, 유연하게(flexible), 투명하게(transparent) 또는 착용할 수 있게(wearable)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패널 662는 상기 터치 패널 652과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홀로그램 장치 664는 빛의 간섭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허공에 보여줄 수 있다. 상기 프로젝터 666은 스크린에 빛을 투사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은,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장치 601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660은 상기 패널 662, 상기 홀로그램 장치 664, 또는 프로젝터 666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670은, 예를 들면,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672, USB(universal serial bus) 674, 광 인터페이스(optical interface) 676 또는 D-sub(D-subminiature) 67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670은,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통신 인터페이스 160에 포함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인터페이스 670은, 예를 들면,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인터페이스, SD(secure Digital) 카드/MMC(multi-media card) 인터페이스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규격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모듈 680은 소리(sound)와 전기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상기 오디오 모듈 680의 적어도 일부 구성요소는, 예를 들면, 도 1 에 도시된 입출력 인터페이스 140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모듈 680은, 예를 들면, 스피커 682, 리시버 684, 이어폰 686 또는 마이크 688 등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소리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 691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로서,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예: 전면 센서 또는 후면 센서), 렌즈(미도시), ISP(image signal processor, 미도시) 또는 플래쉬 (flash, 미도시)(예: LED 또는 xenon lamp)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 관리 모듈 695는 상기 전자 장치 601의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전력 관리 모듈 695는,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충전 IC(charger integrated circuit) 또는 배터리 또는 연료 게이지(battery or fuel gaug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MIC는, 예를 들면, 집적회로 또는 SoC 반도체 내에 탑재될 수 있다. 충전 방식은 유선과 무선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충전 IC는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으며, 충전기로부터의 과전압 또는 과전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충전 IC는 유선 충전 방식 또는 무선 충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충전 IC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충전 방식으로는, 예를 들면, 자기공명 방식, 자기유도 방식 또는 전자기파 방식 등이 있으며, 무선 충전을 위한 부가적인 회로, 예를 들면, 코일 루프, 공진 회로 또는 정류기 등의 회로가 추가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게이지는, 예를 들면, 상기 배터리 696의 잔량, 충전 중 전압, 전류 또는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696은 전기를 저장 또는 생성할 수 있고, 그 저장 또는 생성된 전기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 601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696은, 예를 들면, 충전식 전지(rechargeable battery) 또는 태양 전지(solar battery)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 697은 상기 전자 장치 601 혹은 그 일부(예: 상기 AP 610)의 특정 상태, 예를 들면, 부팅 상태, 메시지 상태 또는 충전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모터 698은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전자 장치 601은 모바일 TV 지원을 위한 처리 장치(예: GPU)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TV지원을 위한 처리 장치는, 예를 들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또는 미디어플로우(media flow) 등의 규격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술한 구성요소들 각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품(componen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 요소의 명칭은 전자 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 요소들 중 일부가 결합되어 하나의 개체(entity)로 구성됨으로써, 결합되기 이전의 해당 구성 요소들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복수의 전자 장치들(예: 전자 장치 710 및 전자 장치 730) 사이의 통신 프로토콜 700을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예를 들면, 상기 통신 프로토콜 700은, 장치 발견 프로토콜(device discovery protocol) 751, 기능 교환 프로토콜(capability exchange protocol) 753, 네트워크 프로토콜(network protocol) 755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application protocol) 75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장치 발견 프로토콜 751은 전자 장치들(예: 전자 장치 710 또는 전자 장치 730)이 자신과 통신 가능한 외부 전자 장치를 감지하거나 감지된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프로토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 710(예: 전자 장치 101)은, 상기 장치 발견 프로토콜 751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 710에서 사용 가능한 통신 방법(예: Wifi, BT 또는 USB 등)을 통해, 상기 전자 장치 710과 통신 가능한 기기(device)로, 전자 장치 730(예: 전자 장치 104)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 710은, 상기 전자 장치 730과의 통신 연결을 위해, 상기 장치 발견 프로토콜 751을 이용하여, 감지된 전자 장치 730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 710은, 예를 들면, 적어도 상기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 730과의 통신 연결을 개설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장치 발견 프로토콜 751은 복수의 전자 장치들 사이에서 상호 인증을 하기 위한 프로토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 710은 적어도 전자 장치 워 연결을 위한 통신 정보(예: MAC(media access control) address,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SSID(subsystem identification), IP(internet protocol) address)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 710과 상기 전자 장치 730 간의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기능 교환 프로토콜 753은 전자 장치 710 또는 전자 장치 730 중 적어도 하나에서 지원 가능한 서비스의 기능과 관련된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프로토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 710 및 전자 장치 730은 상기 기능 교환 프로토콜 753을 통하여, 각각이 현재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의 기능과 관련된 정보를 서로 교환할 수 있다. 교환 가능한 정보는 전자 장치 710 및 전자 장치 730에서 지원 가능한 복수의 서비스들 중에서 특정 서비스를 가리키는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 710은 상기 기능 교환 프로토콜 753을 통해 전자 장치 730으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 730가 제공하는 특정 서비스의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전자 장치 710은 상기 수신된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 710이 상기 특정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네트워크 프로토콜 755는 통신할 수 있도록 연결된 전자 장치들(예: 전자 장치 710, 전자 장치 730) 간에, 예컨대, 서비스를 연동하여 제공하기 위하여 송수신 되는,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토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 710 또는 전자 장치 730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네트워크 프로토콜 755를 이용하여, 오류 제어, 또는 데이터 품질 제어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프로토콜 755는 전자 장치 710와 전자 장치 730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전송 포맷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 710 또는 전자 장치 730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네트워크 프로토콜 755를 이용하여 상호 간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적어도 세션(session)을 관리(예: 세션 연결 또는 세션 종료)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 757은 외부 전자 장치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된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절차 또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토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 710(예: 전자 장치 101)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 757을 통해 전자 장치 730(예: 전자 장치 104 또는 서버 106)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 프로토콜 700은 표준 통신 프로토콜, 개인 또는 단체에서 지정한 통신 프로토콜(예: 통신 장치 제조 업체 또는 네트워크 공급 업체 등에서 자체적으로 지정한 통신 프로토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사용된 용어 “모듈”은, 예를 들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firmware)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단위(unit)를 의미할 수 있다. “모듈”은 예를 들면, 유닛(unit), 로직(logic), 논리 블록(logical block), 부품(component) 또는 회로(circuit) 등의 용어와 바꾸어 사용(interchangeably use)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모듈”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도 있다. “모듈”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은, 알려졌거나 앞으로 개발될,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programmable-logic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예컨대, 프로그래밍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예: 상기 프로세서 122)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예를 들면, 상기 메모리 130가 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래밍 모듈의 적어도 일부는, 예를 들면, 상기 프로세서 210에 의해 구현(implement)(예: 실행)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래밍 모듈의 적어도 일부는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예를 들면, 모듈, 프로그램, 루틴, 명령어 세트 (sets of instructions) 또는 프로세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마그네틱 매체(Magnetic Media)와,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와,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와, 그리고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예: 프로그래밍 모듈)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래밍 모듈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래밍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heuristic)한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동작은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명령들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될 때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것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 101)에서 사용자의 생체 신호(예: 맥파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적어도 상기 생체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기 전자 장치의 탈부착 상태를 확인하는 동작 및 적어도 상기 탈부착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입출력 장치들(예: 디스플레이, 스피커 또는 마이크)의 각각을 독립적으로 제어(예: 턴-온/턴-오프)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70: 장치 관리 모듈 210: 수신 모듈
230: 확인 모듈 250: 입출력 제어 모듈

Claims (20)

  1. 웨어러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 센서 및 제2 센서를 포함하는 복수의 센서,
    회로를 포함하는 통신 모듈,
    햅틱 디바이스,
    명령어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및
    상기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상기 제1 센서로부터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센서로부터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움직임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생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가 착용 중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상기 움직임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복수의 상태 중 하나를 확인하고,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하여, 메시지 수신 이벤트에 대응하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메시지 수신 이벤트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를 처리하여 알림을 제공하고,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가 착용 중이고 확인된 상태가 제1 상태인 경우, 상기 메시지 수신 이벤트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에 응답하여 진동을 출력하도록 상기 햅틱 디바이스를 제어하고,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가 착용 중이고 상기 확인된 상태가 제2 상태인 경우, 상기 메시지 수신 이벤트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에 응답하여 진동을 출력하지 않도록 상기 햅틱 디바이스를 제어
    하도록 구성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는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움직임 신호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수신 이벤트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는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알림 중계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가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하여 페어링된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를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센서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회로를 포함하는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6. 웨어러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 센서 및 제2 센서를 포함하는 복수의 센서,
    회로를 포함하는 통신 모듈,
    햅틱 디바이스,
    명령어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및
    상기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상기 제1 센서로부터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센서로부터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움직임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생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가 착용 중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상기 움직임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복수의 상태 중 하나를 확인하고,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하여, 메시지 수신 이벤트에 대응하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메시지 수신 이벤트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를 처리하여 알림을 제공하고,
    상기 메시지 수신 이벤트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가 착용 중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확인된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햅틱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가 착용 중이 아니라고 결정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메시지 수신 이벤트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가 수신되었을 때 진동을 출력하지 않도록 상기 햅틱 디바이스를 제어
    하도록 구성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는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움직임 신호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수신 이벤트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는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알림 중계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가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하여 페어링된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를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센서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회로를 포함하는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40020477A 2014-02-21 2014-02-21 전자 장치 및 입출력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KR102160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0477A KR102160636B1 (ko) 2014-02-21 2014-02-21 전자 장치 및 입출력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US14/536,971 US10169559B2 (en) 2014-02-21 2014-11-10 Controlling input/output devices
PCT/KR2015/001367 WO2015126091A1 (en) 2014-02-21 2015-02-11 Controlling input/output devices
EP15155763.4A EP2911376B1 (en) 2014-02-21 2015-02-19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input-output device
US16/235,169 US11663305B2 (en) 2014-02-21 2018-12-28 Controlling input/output devi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0477A KR102160636B1 (ko) 2014-02-21 2014-02-21 전자 장치 및 입출력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9019A KR20150099019A (ko) 2015-08-31
KR102160636B1 true KR102160636B1 (ko) 2020-09-28

Family

ID=52596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0477A KR102160636B1 (ko) 2014-02-21 2014-02-21 전자 장치 및 입출력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0169559B2 (ko)
EP (1) EP2911376B1 (ko)
KR (1) KR102160636B1 (ko)
WO (1) WO20151260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29682B2 (en) * 2012-01-06 2018-11-13 Bacch Laborato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to provide a virtualized audio file
KR102337509B1 (ko) * 2014-08-29 2021-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제공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EP3198618B1 (en) 2014-09-24 2021-05-19 Taction Technolog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damped electromagnetically actuated planar motion for audio-frequency vibrations
US9936273B2 (en) * 2015-01-20 2018-04-03 Taction Technology,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altering the appearance of wearable devices
JP2016208348A (ja) * 2015-04-24 2016-12-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4834908B (zh) * 2015-05-07 2018-09-07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基于眼纹识别的图像曝光方法及曝光系统
US10799122B2 (en) * 2015-06-14 2020-10-13 Facense Ltd. Utilizing correlations between PPG signals and iPPG signals to improve detection of physiological responses
US10390139B2 (en) 2015-09-16 2019-08-20 Taction Technology,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audio-tactile spatialization of sound and perception of bass
US10573139B2 (en) 2015-09-16 2020-02-25 Taction Technology, Inc. Tactile transducer with digital signal processing for improved fidelity
CN114167743A (zh) * 2015-10-30 2022-03-11 安定宝公司 用于控制受控电器的可穿戴控制装置、控制系统及方法
US9923930B2 (en) 2015-11-19 2018-03-20 Bank Of America Corporation Selectively enabling and disabling biometric authentication based on mobile device state information
US10827320B2 (en) 2015-12-04 2020-11-03 Lenovo (Singapore) Pte. Ltd. Presentation of information based on whether user is in physical contact with device
CN105372982A (zh) * 2015-12-10 2016-03-02 深圳先进技术研究院 智能虹膜手表
GB2548420B (en) * 2016-06-10 2018-08-22 Polar Electro Oy Clock synchronization within wireless network
US10335045B2 (en) 2016-06-24 2019-07-02 Universita Degli Studi Di Trento Self-adaptive matrix completion for heart rate estimation from face videos under realistic conditions
US11074325B1 (en) * 2016-11-09 2021-07-27 Wells Fargo Bank, N.A.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bio-behavioral authentication
US10885676B2 (en) * 2016-12-27 2021-01-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odifying display settings in virtual/augmented reality
EP3684463A4 (en) 2017-09-19 2021-06-23 Neuroenhancement Lab, LLC NEURO-ACTIVATION PROCESS AND APPARATUS
US11717686B2 (en) 2017-12-04 2023-08-08 Neuroenhancement Lab,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neuroenhancement to facilitate learning and performance
WO2019133997A1 (en) 2017-12-31 2019-07-04 Neuroenhancement Lab, LLC System and method for neuroenhancement to enhance emotional response
CN108577828A (zh) * 2018-01-31 2018-09-28 希蓝科技(北京)有限公司 心电监测系统及其控制方法
CN111712778B (zh) 2018-02-23 2023-08-29 索尼公司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和计算机程序
US11364361B2 (en) 2018-04-20 2022-06-21 Neuroenhancement Lab, LLC System and method for inducing sleep by transplanting mental states
US10888224B2 (en) * 2018-07-11 2021-01-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stimation model for motion intensity
EP3849410A4 (en) 2018-09-14 2022-11-02 Neuroenhancement Lab, LLC SLEEP ENHANCEMENT SYSTEM AND METHOD
EP3846428B1 (en) * 2018-10-15 2023-12-06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for adjusting parameter of audio service and terminal
US11786694B2 (en) 2019-05-24 2023-10-17 NeuroLight, Inc. Device, method, and app for facilitating sleep
CN110286738B (zh) * 2019-06-29 2021-06-0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指纹采集方法及相关产品
US11784674B2 (en) * 2020-03-24 2023-10-10 Qualcomm Incorporated Calibration of open space for an antenna array module
JP2022052364A (ja) * 2020-09-23 2022-04-04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230389812A1 (en) * 2020-10-20 2023-12-07 Google Llc System and Method for In-Ear Detection Using PPG
US20220330872A1 (en) * 2021-04-16 2022-10-20 Atsens Co., Ltd.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for detecting abnormal signal section in electrocardiogram data by using heart sound data related to electrocardiogram data, and bio-signal measuring method
WO2022234952A1 (ko) * 2021-05-06 2022-11-10 삼성전자 주식회사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동작 방법
US11606111B2 (en) 2021-05-26 2023-03-14 Getac Technology Corporation Adaptive power and communication routing for body-worn devices
US11808823B2 (en) * 2021-06-02 2023-11-07 Getac Technology Corporation Detection of device dislocation using power and non-powered dislocation sensors
US20230039530A1 (en) * 2021-08-09 2023-02-09 Disney Enterprises, Inc. Automated generation of haptic effects based on haptics data
US11864271B2 (en) 2021-09-21 2024-01-02 Getac Technology Corporation Mobile device ID tracking for automatic incident data association and correlation
KR20240065344A (ko) * 2022-11-03 2024-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17978A1 (en) * 2012-02-16 2013-08-22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and device with customizable power management

Family Cites Families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0365B2 (ja) * 1995-03-03 2000-06-12 日本電気株式会社 通信機器の温度制御方式
KR0120590Y1 (ko) 1995-07-29 1998-08-01 김광호 손목 시계형 무선 호출기의 수신알람과 수신 진동 모드자동 변환장치
WO1997024652A1 (en) * 1995-12-29 1997-07-10 Advanced Micro Devices, Inc. Integrated circuit reset incorporating battery monitor and watchdog timer
US6527711B1 (en) * 1999-10-18 2003-03-04 Bodymedia, Inc. Wearable human physiological data sensors and reporting system therefor
JP4321944B2 (ja) * 2000-04-27 2009-08-26 富士通株式会社 生体情報を用いた個人認証システム
US20020095587A1 (en) * 2001-01-17 2002-07-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mart card with integrated biometric sensor
US7222239B2 (en) * 2002-03-16 2007-05-2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ynamic security system
AU2002328390A1 (en) * 2002-08-30 2004-03-29 Fujitsu Limited Electronic storage apparatus, authentication apparatus, and authentication method
US7712675B2 (en) * 2003-01-15 2010-05-1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hysical items for holding data securely, and methods and apparatus for publishing and reading them
JP4633347B2 (ja) * 2003-08-27 2011-02-16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
US7809954B2 (en) * 2005-03-31 2010-10-05 Brian Scott Miller Biometric control of equipment
US20060288233A1 (en) * 2005-04-25 2006-12-21 Douglas Kozlay Attachable biometric authentication apparatus for watchbands and other personal items
KR100739769B1 (ko) 2005-12-05 2007-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의 자동 전원 제어 방법 및 장치
EP1983732A4 (en) 2006-02-08 2010-07-21 Nec Corp MOBILE DEVICE, CONTROL METHOD FOR A MOBILE TERMINAL, CONTROL PROGRAM FOR A MOBILE TERMINAL AND RECORDING MEDIUM
US20070255961A1 (en) * 2006-04-27 2007-11-01 Tracy Mark S Systems and methods for coupling a biometric device to a computer
JP4177858B2 (ja) * 2006-05-18 2008-11-05 株式会社カシオ日立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指紋認証機能付き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7890863B2 (en) * 2006-10-04 2011-02-15 Immersion Corporation Haptic effects with proximity sensing
US7649456B2 (en) * 2007-01-26 2010-01-19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User interface for an electronic device used as a home controller
US8054160B2 (en) * 2007-03-09 2011-11-08 Innovation Law Group, Ltd. RFID tag power conservation system and method
EP2149068B1 (en) * 2007-04-23 2021-06-09 Huawei Technologies Co., Ltd. Eyewear having human activity monitoring device
TWI410824B (zh) * 2007-12-18 2013-10-01 Htc Corp 具有整合顯示元件與輸入元件之模組的電子裝置
US8344998B2 (en) 2008-02-01 2013-01-01 Wimm Labs, Inc. Gesture-based power management of a wearable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display
US8037331B2 (en) * 2008-04-28 2011-10-11 Dell Products L.P. Energy efficient method to wake host system for charging battery powered portable devices via bus powered external i/o ports
CA2764914C (en) * 2008-07-09 2016-12-13 Global Rainmakers, Inc. Biometric data acquisition device
US20100081411A1 (en) * 2008-09-29 2010-04-01 John Mathew Montenero, III Multifunctional telemetry alert safety system (MTASS)
US20100134327A1 (en) * 2008-11-28 2010-06-03 Dinh Vincent Vinh Wireless haptic glove for language and information transference
US20100152620A1 (en) * 2008-12-12 2010-06-17 Immersio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Haptic Monitoring System Using Multiple Sensors
US9727139B2 (en) * 2008-12-12 2017-08-08 Immersio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haptic monitoring system using multiple sensors
US8289130B2 (en) * 2009-02-19 2012-10-16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unauthorized users of an electronic device
US9086875B2 (en) * 2009-06-05 2015-07-21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ling power consumption of a mobile device based on gesture recognition
US20120221254A1 (en) * 2009-11-06 2012-08-30 Kateraas Espen D Data collection unit with integrated closure system and sensor housing
KR101725541B1 (ko) 2009-12-07 2017-04-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시계 및 제어방법
US8645732B2 (en) * 2010-02-19 2014-02-04 Qualcomm, Incorporated Protocol stack power optimiz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s
US8401875B2 (en) * 2010-03-12 2013-03-19 Os - New Horizons Personal Computing Solutions Ltd. Secured personal data handling and management system
US8948145B2 (en) 2010-08-04 2015-02-03 Cellco Partnership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autonomous Wi-Fi control based on usage of battery in device
US8948745B2 (en) 2010-11-03 2015-02-03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Rogue tower detection in a wireless network
WO2012139042A2 (en) * 2011-04-08 2012-10-11 Dexcom,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and transmitting sensor data
US9948676B2 (en) * 2013-07-25 2018-04-17 Workshare, Ltd. System and method for securing documents prior to transmission
US20150077234A1 (en) * 2011-07-12 2015-03-19 Aliphcom System of wearable devices with sensors for synchronization of body motions based on haptic prompts
US20130109997A1 (en) * 2011-11-02 2013-05-02 Peter Linke System for monitoring biological data
US8541745B2 (en) * 2011-11-16 2013-09-24 Motorola Mobility Llc Methods and devices for clothing detection about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JP5494633B2 (ja) * 2011-12-02 2014-05-2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GB201205740D0 (en) * 2012-03-30 2012-05-16 Univ Surrey Information determination in a portable device
US9218043B2 (en) * 2012-07-26 2015-12-22 Intersil Americas LLC Battery charge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operating in different configurations
US9075462B2 (en) * 2012-12-10 2015-07-07 Sap Se Finger-specific input on touchscreen devices
US9053308B2 (en) * 2012-12-12 2015-06-09 Intel Corporation Multi electro-biometric user recognition
KR102171444B1 (ko) 2013-04-22 2020-10-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워치 및 제어 방법
KR102065407B1 (ko) 2013-07-11 2020-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9606721B2 (en) 2013-07-22 2017-03-28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5683871B (zh) * 2013-09-10 2019-01-29 Lg电子株式会社 电子设备
US20150186628A1 (en) * 2013-12-27 2015-07-02 Isabel F. Bush Authentication with an electronic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17978A1 (en) * 2012-02-16 2013-08-22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and device with customizable power mana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9019A (ko) 2015-08-31
WO2015126091A1 (en) 2015-08-27
US10169559B2 (en) 2019-01-01
EP2911376A1 (en) 2015-08-26
US20150242608A1 (en) 2015-08-27
US11663305B2 (en) 2023-05-30
US20190138705A1 (en) 2019-05-09
EP2911376B1 (en) 2020-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0636B1 (ko) 전자 장치 및 입출력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US993071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KR102456541B1 (ko) Sar 저감을 위한 안테나 스위칭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432620B1 (ko) 외부 객체의 근접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KR102532366B1 (ko) 무선 충전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114178B1 (ko) 근거리에 위치한 전자 장치들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529686B1 (ko)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그립 상태를 인식하는 방법
KR102327803B1 (ko)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266730B1 (ko) 전자 장치
US20150190062A1 (en) Method and system for measuring heart rate in electronic device using photoplethysmography
KR102223376B1 (ko) 데이터 소스 결정 방법
US20170185134A1 (en) Electronic device for managing pow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170019824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팬 제어 방법
KR20180090507A (ko) 생체 정보 인증을 위한 전자 장치 및 시스템
KR20150138632A (ko) 보안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561570B1 (ko) 무선 충전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60103471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위치 보정 방법
KR102262086B1 (ko)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2546212B1 (ko) 소리 출력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60035859A (ko) 사용자 인증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374018B1 (ko) 전자 장치들 사이의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전자 장치
KR102630519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이물 검출방법
KR20150082045A (ko) 전자 장치 및 광혈류 측정 방법
KR102244855B1 (ko) 전자 장치의 입출력 장치 선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장치
KR102491941B1 (ko) 전원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