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9430B1 - Wearable mobile terminal having strap with mounted battary - Google Patents

Wearable mobile terminal having strap with mounted batta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9430B1
KR102159430B1 KR1020180091514A KR20180091514A KR102159430B1 KR 102159430 B1 KR102159430 B1 KR 102159430B1 KR 1020180091514 A KR1020180091514 A KR 1020180091514A KR 20180091514 A KR20180091514 A KR 20180091514A KR 102159430 B1 KR102159430 B1 KR 102159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p
screen
power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15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91791A (en
Inventor
최기은
Original Assignee
최기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기은 filed Critical 최기은
Priority to KR1020180091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9430B1/en
Publication of KR20180091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179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9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94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5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ion of battery packs and other power supplies such as fuel cells or integrated AC adap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Abstract

본 개시(Disclosure)는, 전원의 크기(용량), 화면의 크기를 확대하여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착용되는 인체의 곡면에 맞게 화면에 곡률을 부여할 수 있는 배터리가 구비된 스트랩을 가지는 착용 가능한 스마트폰에 관한 것으로서, 화상이 표시되는 화면과, 상기 화면의 배면으로서 피 착용 부와 마주하는 후면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양측에 각각 결합 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를 상기 피 착용부에 고정시키는 스트랩 및 상기 스트랩의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로 배치되고, 상기 스트랩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의 단위 전원;으로 구성되는 전원유닛으로서, 상기 복수의 단위 전원은 서로 병렬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유닛을 포함하는 배터리가 구비된 스트랩을 가지는 착용 가능한 스마트폰을 제1 발명으로 제공한다.The present disclosure (Disclosure)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 by expanding the size (capacity) of the power source and the size of the screen, and wearing a strap equipped with a battery capable of giving a curvature to the screen according to the curved surface of the worn human body It relates to a possible smartphone, comprising: a display having a screen on which an image is displayed, and a rear surface facing the worn part as a rear surface of the screen; A power unit consisting of a strap that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display to fix the display to the worn portion, and a plurality of unit power sources that are sequentially dispos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trap and detachably provided to the strap; As a first invention, the plurality of unit power sources are connected in parallel to each other to provide a wearable smart phone having a strap with a battery including a power unit that supplies power to the display.

Figure 112018077673508-pat00001
Figure 112018077673508-pat00001

Description

배터리가 구비된 스트랩을 가지는 착용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WEARABLE MOBILE TERMINAL HAVING STRAP WITH MOUNTED BATTARY} Wearable portable terminal having a strap equipped with a battery {WEARABLE MOBILE TERMINAL HAVING STRAP WITH MOUNTED BATTARY}

본 개시(Disclosure)는, 배터리가 구비된 스트랩을 가지는 착용 가능한 스마트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원의 크기(용량), 화면의 크기를 확대하여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피 착용하는 인체의 곡면에 맞게 화면에 곡률을 부여할 수 있는 배터리가 구비된 스트랩을 가지는 착용 가능한 스마트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Disclosure) relates to a wearable smartphone having a strap equipped with a battery, and more particularly,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by expanding the size (capacity) of the power source and the size of the screen, It relates to a wearable smartphone having a strap equipped with a battery capable of imparting a curvature to the screen in accordance with the curved surface of the human body.

여기서는, 본 발명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Here, background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nd these do not necessarily mean known technology (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최근 휴대용 전화기, PDA 등과 같은 단말기는, 손목, 발목이나 인체의 두부(head portion)에 착용할 수 있는 제품이 등장하고 있으나, 전원의 크기가 한정되어 있어서 화면의 크기 및 사용 시간에 불편이 커지고 있다. Recently, terminals such as portable telephones and PDAs have appeared in products that can be worn on the wrist, ankle, or the head portion of the human body, but the size of the power supply is limited, which increases inconvenience in the size and use time of the screen. .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10-2015-0026082호는, 다수의 단위 케이스 프레임이 서로에 대하여 연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케이스 프레임과, 상기 케이스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되, 일정 간격을 갖도록 다수개의 단위 기판이 휘어질 수 있는 전기적 연결 수단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판과, 상기 케이스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되, 일정간격을 갖도록 다수개의 단위 배터리 셀이 휘어질 수 있는 전기적 연결 수단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터리팩 및 상기 케이스 프레임의 일부에 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In this regard,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5-0026082 discloses a case frame in which a plurality of unit case frames are installed so as to b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units disposed in an inner space of the case frame, A substrate to which the substrate is electrically connected by an electrical connection means that can be bent, and arrang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ase frame,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by an electrical connection means in which a plurality of unit battery cells can be bent to have a predetermined interval. Disclosed is a battery pack and a flexible display device that is installed to be exposed to a part of the case frame.

이에 의하면, 전자 장치 전체가 임의대로 휘어지며, 휘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현되어 별도의 스트랩 없이 인체 또는 각종 구조물에 착용 가능하며, 디자인적 미려함을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사용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the entire electronic device is bent at will, and it is implemented to maintain the bent state, so that it can be worn on the human body or various structures without a separate strap, and can provide design beauty and user convenience. .

그러나 이 경우 착용을 위해 휘어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구조(도 1의 12)가 복잡하며, 그 동작의 신뢰성이 의문이다. However, in this case, the structure (12 in Fig. 1) for maintaining the bent state for wearing is complicated, and the reliability of the operation is questionable.

1. 한국공개특허 10-2015-0026082호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026082

본 개시는, 전원의 크기(용량), 화면의 크기를 확대하여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피 착용하는 인체의 곡면에 맞게 화면에 곡률을 부여할 수 있는 배터리가 구비된 스트랩을 가지는 착용 가능한 스마트폰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disclosure solves the conventional problems by expanding the size (capacity) of the power source and the size of the screen, and a wearable smart device having a strap equipped with a battery capable of giving a curvature to the screen according to the curved surface of the body to be worn. The purpose of providing a phone is to work.

여기서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발명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Here, a summar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nd 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상기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개시는, 화상이 표시되는 화면과, 상기 화면의 배면으로서 피 착용부와 마주하는 후면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프레이의 양측에 각각 결합 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를 상기 피 착용 부에 고정하는 스트랩; 및 상기 스트랩의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로 배치되고, 상기 스트랩에 착 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의 단위 전원으로 구성되는 전원유닛으로서, 상기 복수의 단위 전원은 서로 병렬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유닛을 포함하는 배터리가 구비된 스트랩을 가지는 착용 가능한 스마트폰을 제1 발명으로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display having a screen on which an image is displayed, and a rear surface facing the worn part as a rear surface of the screen; Straps respective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display to fix the display to the worn portion; And a power unit comprising a plurality of unit powers sequentially arrang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trap and detachably provided on the strap, wherein the plurality of unit power supplies are connected in parallel to each other to supply power to the display. A wearable smart phone having a strap provided with a battery including a power unit is provided as a first invention.

본 개시는, 상기 제1 발명에 따른 배터리가 구비된 스트랩을 가지는 착용 가능한 스마트폰에 있어, 상기 디스플레이의 측면 일 측에 구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기 화면 또는 상기 배면 중 어느 하나와 평행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촬영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제2 발명으로 제공한다.The present disclosure is in the wearable smartphone having a strap provided with a battery according to the first inventio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ide of the display, and a direction parallel to any one of the screen or the rear of the display It is provided as a second invention to further include a photographing unit disposed to face.

본 개시는, 상기 제1 발명에 따른 배터리가 구비된 스트랩을 가지는 착용 가능한 스마트폰에 있어,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화면과 상기 전원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화상을 제어하는 회로 유닛이 횡 또는 종 방향으로 적층 배치되는 것을 제3 발명으로 제공한다.The present disclosure is in the wearable smartphone having a strap equipped with a battery according to the first invention, wherein the display is a circuit for controlling an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by the screen and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unit The third invention provides that the units are stacked and arranged in a transverse or longitudinal direction.

본 개시는, 상기 제1 발명에 따른 배터리가 구비된 스트랩을 가지는 착용 가능한 스마트폰에 있어,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후면은 상기 피 착용 부에 밀착되도록 설정된 제1 곡률을 가지도록 휘어진 것을 제4 발명으로 제공한다.In the present disclosure, in the wearable smartphone having a strap provided with a battery according to the first invention, the display is curved to have a first curvature set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worn part. Provided by

본 개시는, 상기 제4 발명에 따른 배터리가 구비된 스트랩을 가지는 착용 가능한 스마트폰에 있어,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화면이 제2 곡률을 가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제5 발명으로 한다.In the present disclosure, in the wearable smartphone having a strap equipped with a battery according to the fourth invention, the display is a fifth invention that the screen is provided to have a second curvature.

본 개시는, 상기 제4 또는 제5 발명에 따른 배터리가 구비된 스트랩을 가지는 착용 가능한 스마트폰에 있어, 상기 화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화상이 표시되는 화면 확장 면을 가지며, 일 단이 상기 디스플레이 일 측에 힌지 결합 되는 확장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제6 발명으로 한다.The present disclosure is a wearable smartphone having a strap equipped with a battery according to the fourth or fifth invention, and has a screen extension surface disposed to face the screen and displaying an image, and one end is the display. It is a sixth invention to further include an extended display hinged to the side.

본 개시는, 상기 제6 발명에 따른 배터리가 구비된 스트랩을 가지는 착용 가능한 스마트폰에 있어, 상기 확장 디스플레이는, 상기 화면 확장 면의 이면에 구비되며, 화상이 표시되는 보조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제7 발명으로 한다.In the present disclosure, in the wearable smartphone having a strap equipped with a battery according to the sixth invention, the extended display further includes an auxiliary display unit provided on a rear surface of the screen extended surface and displaying an image. Let it be the seventh invention.

본 개시는, 상기 제1 발명에 따른 배터리가 구비된 스트랩을 가지는 착용 가능한 스마트폰에 있어, 상기 복수의 단위 전원은, 서로 분리되어 구비되고, 일 측에 상호 간에 전원연결을 위한 전원 단자를 가지며, 상기 스트랩은, 상기 복수의 단위 전원이 각각 결합 되는 복수의 전원 장착 부로서, 각각은 상기 전원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서로 인접한 두 개의 단위 전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 단자;를 가지는 복수의 전원 장착부를 가지는 것을 제8 발명으로 한다.The present disclosure is in the wearable smartphone having a strap provided with a battery according to the first invention, wherein the plurality of unit power sources are provid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and have a power terminal for connecting power to each other at one side. , The strap is a plurality of power mounting units to which the plurality of unit power sources are respectively coupled, each of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terminal, and a connection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ing two adjacent unit power sources to each other; The eighth invention is to have a power supply mounting part.

본 개시는, 상기 제8 발명에 따른 배터리가 구비된 스트랩을 가지는 착용 가능한 스마트폰에 있어, 상기 스트랩은, 상기 피 착용 부를 감싸도록 유연한 재질로 구비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구비되며 경질의 재질로 구비되는 복수의 전원 장착부를 가지는 것을 제9 발명으로 한다.The present disclosure is provided in a wearable smartphone having a strap provided with a battery according to the eighth invention, wherein the strap includes a body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to surround the worn portion, and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And it is a ninth invention to have a plurality of power mounting parts provided with a hard material.

본 개시에 따르면, 복수의 단위 전원이 상대적으로 면적이 큰 스트랩에 배치되므로, 전원용량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화면의 크기 및 사용시간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since a plurality of unit power supplies are disposed on a strap having a relatively large area, the power capacity can be greatly increased. Therefore, the screen size and usage time can be improved.

본 개시에 따르면, 촬영 유닛을 디스플레이의 폭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므로, 조리개의 후방 영역이 길어져 줌 기능의 고배율화가 가능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since the photographing unit is arrang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display, the rear area of the diaphragm is lengthened, thereby enabling high magnification of the zoom function.

도 1은 종래 착용 가능한 스마트폰을 보인 도면.
도 2는 본 개시에 따른 배터리가 구비된 스트랩을 가지는 착용 가능한 스마트폰의 제1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
도 3은 도 2의 배터리가 구비된 스트랩을 가지는 착용 가능한 스마트폰의 단면을 보인 도면.
도 4는 도 2에서 전원 장착부를 확대하여 보인 도면.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배터리가 구비된 스트랩을 가지는 착용 가능한 스마트폰의 제2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
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wearable smartphone.
2 is a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wearable smartphone having a strap provided with a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3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a wearable smart phone having a strap provided with a battery of Figure 2;
Figure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power mounting unit in Figure 2;
5 is a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wearable smart phone having a strap equipped with a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이하, 본 개시에 따른 배터리가 구비된 스트랩을 가지는 착용 가능한 스마트폰을 구현한 다양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implementing a wearable smartphone having a strap provided with a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다만, 본 개시의 사상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개시의 사상을 이해하는 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와 동일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양한 실시 형태를 치환 또는 변경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됨을 밝힌다.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cannot be said to be limited to the possible embodiments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include various Although it will be possible to easily propose an embodiment as a method of substitution or change, it is revealed that this is also included 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것이므로, 본 개시의 기술적 내용을 파악함에 있어서,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고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since the terms used below are selec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grasping the technical cont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not limited to a dictionary meaning and should be properly interpreted as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2는 본 개시에 따른 배터리가 구비된 스트랩을 가지는 착용 가능한 스마트폰의 제1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 도 3은 도 2의 배터리가 구비된 스트랩을 가지는 착용 가능한 스마트폰의 단면을 보인 도면, 도 4는 도 2에서 전원 장착 부를 확대하여 보인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wearable smartphone having a strap with a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FIG. 3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a wearable smartphone having a strap with a battery of FIG. 2;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a power mounting unit in FIG. 2.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가 구비된 스트랩을 가지는 착용 가능한 스마트폰(100)은, 디스플레이(110), 스트랩(120), 복수의 단위 전원(131)으로 구성되는 전원유닛(130)을 포함한다.2 to 4, the wearable smartphone 100 having a strap equipped with a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display 110, a strap 120, and a plurality of unit power sources 131. It includes a power unit 130.

디스플레이(110)는, 화상이 표시되는 화면(111)과, 화면의 배면으로서 피 착용부와 마주하는 후면(112)을 가지는 판 형상을 구비된다.The display 110 has a plate shape having a screen 111 on which an image is displayed, and a rear surface 112 facing the worn part as a rear surface of the screen.

피 착용부는 인체의 손목이 일반적일 것이나, 발목, 팔뚝 등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wearer's wrist would be common, but of course, it could be an ankle or a forearm.

디스플레이(110)는, 판 형상의 외형을 형성하며,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가지는 케이스와 케이스의 일 면에 배치되는 화면(111)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display 110 forms a plate-shaped outer shape and may include a case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and a screen 111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case.

화면(111)은, LCD, OLED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screen 111 may be provided with an LCD, OLED, or the like.

디스플레이(110)는, 화면(111)과 전원유닛(13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화면(111)에 표시되는 화상을 제어하는 회로 유닛(110c)이 횡 또는 종 방향으로 적층 배치된다.In the display 110, a screen 111 and a circuit unit 110c for controlling an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111 by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130 are stacked in a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한편, 디스플레이(110)는, 후면(112)이 피 착용부에 밀착되도록 설정된 제1 곡률을 가지도록 휘어지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display 110 is preferably provided to be bent so that the rear surface 112 has a first curvature set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worn portion.

나아가, 화면(111)이 제2 곡률을 가지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m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creen 111 is provided to have a second curvature.

여기서 제1,2 곡률은 동일한 곡률로 구비될 수 있다.Here, the first and second curvatures may be provided with the same curvature.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디스플레이(110)의 측면 일 측에 구비되며, 디스플레이(110)의 화면(111) 또는 후면(112) 중 어느 하나와 평행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촬영 유닛(1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hotographing unit 113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isplay 110 and is disposed to face in a direction parallel to any one of the screen 111 or the rear 112 of the display 110. ) May be further included.

이에 의하면, 촬영 유닛(113)이 종래 디스플레이(110)의 두께방향이 아닌 디스플레이의 길이방향 또는 폭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므로, 조리개의 후방 영역이 길어져 줌 기능의 고배율화가 가능하게 된다.Accordingly, since the photographing unit 113 is dispos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ength direction or the width direction of the display rather tha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conventional display 110, the rear area of the diaphragm is lengthened, thereby enabling high magnification of the zoom function.

스트랩(120)은, 디스플레이(110)를 피 착용부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한다.The strap 120 functions to fix the display 110 to the worn part.

스트랩(120)은, 그 양단이 디스플레이(110)의 양측에 각각 결합 되어 구비된다.The strap 120 is provided with its both end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display 110, respectively.

스트랩(120)은, 서로 체결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두 개의 단위 스트랩으로 분리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두 개의 단위 스트랩은 각각의 말단이 디스플레이(110)의 양측에 각각 결합된다. 이 결합은 힌지 결합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trap 120 may be provided separated by two unit straps provided to be fastened to each other. In this case, the end of each of the two unit straps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display 110, respectively. This coupling is preferably provided by a hinge coupling.

전원유닛(130)은, 복수의 단위 전원(131)으로 구성된다. The power unit 13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unit power sources 131.

복수의 단위 전원(131)은, 각각 스트랩(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로 배치되고, 스트랩(120)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다.Each of the plurality of unit power sources 131 is sequentially dispos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trap 120 and is detachably provided to the strap 120.

한편, 복수의 단위 전원(131)은 서로 병렬 연결되어 디스플레이(110)에 전원을 공급한다.Meanwhile, the plurality of unit power sources 131 are connected in parallel to each other to supply power to the display 110.

병렬 연결에 의해, 어느 하나의 단위 전원이 방전된 상태에서도 전원 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복수의 단위 전원(131) 중 방전된 단위 전원만을 별도로 분리하여 충전할 수 있게 된다.By the parallel connection, power supply can be smoothly performed even when any one unit power is discharg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eparately separate and charge only the discharged unit power among the plurality of unit power sources 131.

또한, 병렬 연결에 의해, 공급되는 전원의 크기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by the parallel connection,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constant size of the supplied power.

서로 분리되어 구비되는 복수의 단위 전원(131)은, 일 측에 상호 간에 전원연결을 위한 전원 단자(131a)를 가진다.A plurality of unit power sources 131 separated from each other have a power terminal 131a for connecting power to each other at one side.

스트랩(120)은, 복수의 단위 전원(131)이 각각 결합 되는 복수의 전원 장착부(123)를 가진다.The strap 120 has a plurality of power mounting portions 123 to which a plurality of unit power sources 131 are respectively coupled.

복수의 전원 장착부(123) 각각은 전원 단자(131a)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서로 인접한 두 개의 단위 전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 단자(123a)를 가진다.Each of the plurality of power mounting portions 123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terminal 131a, and has a connection terminal 123a electrically connecting two adjacent power units to each other.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트랩(120)은, 피 착용부를 감싸도록 유연한 재질로 구비되는 몸체와, 몸체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구비되며 경질의 재질로 구비되는 복수의 전원 장착부(123)를 가진다.On the other hand, in this embodiment, the strap 120 has a body provided with a flexible material to surround the worn part, and a plurality of power mounting parts 123 provided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and provided with a hard material. .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배터리가 구비된 스트랩을 가지는 착용 가능한 스마트폰의 제2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wearable smart phone having a strap equipped with a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가 구비된 스트랩을 가지는 착용 가능한 스마트폰(100)은, 다른 구성은 제1 실시형태의 각 구성과 동일하나, 확장 디스플레이(140)가 더 구비되는 점에서 제1 실시형태와 차이를 가진다.The wearable smartphone 100 having a strap equipped with a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each configu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but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an extended display 140 is further provided. Has a difference with

따라서, 이하에서는 확장 디스플레이(140)에서 자세히 설명하고, 다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앞선 제1 실시형태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하고 생략하기로 한다. Accordingly, in the following, the extended display 14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d a description of othe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and replaced with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embodiment.

도 5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확장 디스플레이(140)는, 화면(111)과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화상이 표시되는 화면 확장면(141)을 가지며, 일 단이 디스플레이(110) 일 측에 힌지결합 된다.Referring to FIG. 5, in this embodiment, the extended display 140 has a screen extended surface 141 disposed to face the screen 111 and on which an image is displayed, and one end thereof is one side of the display 110 It is hinged on.

한편, 확장 디스플레이(140)는, 화면 확장면(141)의 이면에 구비되며, 화상이 표시되는 보조 표시부(142)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extended display 140 is preferably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creen extended surface 141 and further includes an auxiliary display unit 142 displaying an image.

보조 표시부(142)는, 확장 디스플레이(140)를 열지 않은 상태에서 시계, 날짜, 수신된 내용 등과 같은 상태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도와 준다.The auxiliary display unit 142 helps to check status information such as a clock, a date, and received contents without opening the extended display 140.

도 5에서 140c는 화면 확장면(141)과 보조 표시부(142)에 표시되는 화상을 제어하는 회로 유닛을 의미한다.In FIG. 5, 140c denotes a circuit unit that controls an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extension surface 141 and the auxiliary display unit 142.

Claims (3)

곡률을 부여한 화상이 표시되는 화면이 일 면에 배치되고, 상기 화면의 배면으로써 피 착용부와 마주하는 곡률을 갖는 후면을 구비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상기 케이스 내부에는 배터리와 전원 공급 장치가 없어 상기 케이스 외부로부터 화면에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메인 회로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음-;
상기 화면에 마주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힌지로 연결되는 확장 화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케이스 밖에서 다수의 배터리가 개별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병렬연결로 이루어지는 스트랩;을 포함하는 배터리가 구비된 스트랩을 가지는 착용 가능한 스마트폰으로,
상기 스트랩은,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스와 분리되며, 디스플레이부와 힌지로 결합되어 상기 메인회로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인체의 피 착용부에 착용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트랩은, 착용밴드 표면 위로 돌출되어 이루어진 복수의 단위 전원 배터리 삽입 체결구가 각각 스트랩의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로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 양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힌지로 연결되는, 배터리가 구비된 스트랩을 가지는 착용 가능한 스마트폰
A display unit including a case having a screen on which an image with a curvature is displayed and having a curvature facing the worn part as a rear surface of the screen-a battery and a power supply device inside the case No power is supplied to the main circuit for displaying images on the screen from outside the case -;
An extended screen hinged to one side of the case to face the screen;
A wearable smartphone having a strap provided with a battery including a strap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ies are individually sequentially arranged outside the case of the display unit to be connected in parallel,
The strap is separated from the display case, is coupled with a display unit and a hinge to supply power to the main circuit,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display unit can be worn on the worn part of the human body,
In the strap, a plurality of unit power battery insertion fasteners protruding above the surface of the wearing band are sequentially arrang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trap, and are connected by hinges to the display unit on both sides of the display unit. Wearable smartphone with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위 전원 배터리 삽입 체결구는, 각각 일 단위 단위전원인 배터리가 체결되며, 하나 또는 다수의 배터리를 분리하여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만으로도 스마트폰이 작동되는 병렬연결이 특징인 배터리가 구비된 스트랩을 가지는 착용 가능한 스마트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nit power battery insertion fasteners are each fastened with a battery that is a unit power unit, and even if one or more batteries are separated, the smartphone is operated with only one or more batteries. Smartphone available
KR1020180091514A 2018-08-06 2018-08-06 Wearable mobile terminal having strap with mounted battary KR1021594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514A KR102159430B1 (en) 2018-08-06 2018-08-06 Wearable mobile terminal having strap with mounted batta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514A KR102159430B1 (en) 2018-08-06 2018-08-06 Wearable mobile terminal having strap with mounted battary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4788A Division KR102042871B1 (en) 2015-05-08 2015-05-08 Wearable mobile terminal having strap with mounted battar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1791A KR20180091791A (en) 2018-08-16
KR102159430B1 true KR102159430B1 (en) 2020-09-23

Family

ID=63444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1514A KR102159430B1 (en) 2018-08-06 2018-08-06 Wearable mobile terminal having strap with mounted batta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9430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7635Y1 (en) * 2006-12-26 2007-12-13 (주)위지트 Band for wristwatch type mobile
JP2011141905A (en) 1999-10-27 2011-07-21 Ghassabian Benjamin Firooz Integrated keypad system
US20140239065A1 (en) * 2011-07-18 2014-08-28 Tiger T G Zhou Wearable personal digital device with changeable bendable battery and expandable display used as standalone electronic payment card
KR101480675B1 (en) * 2014-03-24 2015-01-14 김중영 Wristwatch type smart mobile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2051A (en) * 2001-11-20 2003-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Wireless head-set
KR102189784B1 (en) 2013-08-30 2020-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Flexible electronic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41905A (en) 1999-10-27 2011-07-21 Ghassabian Benjamin Firooz Integrated keypad system
KR200437635Y1 (en) * 2006-12-26 2007-12-13 (주)위지트 Band for wristwatch type mobile
US20140239065A1 (en) * 2011-07-18 2014-08-28 Tiger T G Zhou Wearable personal digital device with changeable bendable battery and expandable display used as standalone electronic payment card
KR101480675B1 (en) * 2014-03-24 2015-01-14 김중영 Wristwatch type smart mobi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1791A (en) 2018-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2871B1 (en) Wearable mobile terminal having strap with mounted battary
KR102189784B1 (en) Flexible electronic device
US6529372B1 (en) Wearable computer-battery system
EP1835704A2 (en) Wrist wearable type portable terminal
EP3087643B1 (en) Electrical and mechanical connection mechanisms
US20180337542A1 (en) Wearable power supply and hand worn mobile device having the same
US20090219788A1 (en) Combination watch and cell phone foldable onto each other for use around a wrist of a user
EP1846809A1 (en) Ultra mobile communicating computer
US20150237181A1 (en) Glove with user-interactable electronic components
KR101632408B1 (en) Watch type mobile terminal
TW201741806A (en) Wearable power supply and hand worn mobile device having the same
JP2003306819A (en) Belt housing battery
KR102067377B1 (en) Wearable mobile terminal having strap with mounted battary
KR102159430B1 (en) Wearable mobile terminal having strap with mounted battary
CN106798377A (en) Intelligent watch
CN112470084B (en) Tape electronic apparatus
US20120282980A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pparatus having multiple mobile devices
CN105183175B (en) Wearable communication apparatus
US10712776B2 (en) Display terminals and wearable devices
CN214225798U (en) Wearable electronic equipment
CN108599797A (en) A kind of wearable electronic device
CN209573463U (en) A kind of intelligent wearable device
JP2002069737A (en) Helmet with cell, garment with cell and belt with cell
CN209488653U (en) The fixed holder device of drawing and pulling type multipurpose and the mobile phone shell containing this device
KR20100084148A (en) Mobile phone twist disp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