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9296B1 - Bus duct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 Google Patents

Bus duct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9296B1
KR102159296B1 KR1020200025858A KR20200025858A KR102159296B1 KR 102159296 B1 KR102159296 B1 KR 102159296B1 KR 1020200025858 A KR1020200025858 A KR 1020200025858A KR 20200025858 A KR20200025858 A KR 20200025858A KR 102159296 B1 KR102159296 B1 KR 102159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bar
housing
duct
bind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58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주성은
박상규
Original Assignee
대한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한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5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929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9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929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4Partially-enclosed installations, e.g. in ducts and adapted for sliding or rolling current coll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6Rails or bus-bar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screte connecting locations for counterparts
    • H01R25/161Details
    • H01R25/162Electrical connections between or with rails or bus-bars

Landscapes

  • Installation Of Bus-Bars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a bus duct. The bus duct comprises: a duct unit provided with a bus bar; a tap ba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us bar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duct unit; a connection kit having a connection assembly formed with a first binding space portion for accommodating the vertically inserted tab bar, and a second binding space portion for accommodating a horizontally inserted connection ba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ab bar and the connection bar; and a connection box slidingly moving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uct unit and provided with the connection ba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kit. In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kit and the connection box are coupled, an operator can visually check a coupling state of the tab bar, the connection assembly, and the connection bar from the outside.

Description

부스덕트 및 그의 조립방법{BUS DUCT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Bus duct and its assembly method {BUS DUCT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본 발명은 부스덕트 및 그의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탭바와 접속 조립체 및 접속바의 결합 상태를 외부에서 작업자가 육안으로 직접 확인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인 부스덕트 및 그의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s duct and a method for assembling the bus duct, and more particularly, to a bus duct and a method for assembling the bus duct, which is made so that an operator can directly visually check the bonding state of the tab bar and the connection assembly and the connection bar. .

일반적으로, 전기 에너지를 전달하는 매개체로서 예전에는 케이블을 많이 사용해 왔으나, 최근에는 케이블의 대체품으로 부스덕트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부스덕트는 전력 수요가 많은 고층 건물이나 아파트, 대단위 공장 및 플랜트 시설 등에서의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다.In general, cables have been used a lot in the past as a medium for transmitting electrical energy, but bus ducts are widely used as a replacement for cables in recent years. Such a bus duct is widely used in high-rise buildings or apartments, large-scale factories, and plant facilities with high demand for electricity.

이러한 부스덕트는 증설과 이설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부스바의 전력배선 상에 이상이나 사고 발생 시 그 처리가 용이하여 신속하게 복구할 수 있으므로 비교적 많은 전력을 사용하는 장소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Such a bus duct is not only easy to expand and relocate, but is also widely used in places that use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power because it is easy to handle when an abnormality or accident occurs on the power wiring of the bus bar and can be quickly restored.

더욱이 예전에 비해서 지금의 건축물 전기공급 시스템은 점점 크고 다양한 용량의 에너지를 필요로 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안전하고 에너지 손실이 적은 부스덕트의 사용량이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Moreover, compared to the past, since the current building electricity supply system is increasingly larger and requires energy of various capacities, the use of bus ducts with safe and low energy loss is rapidly increasing in line with this trend.

이와 같은 부스덕트에는 전기를 분기시키기 위한 분기장치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분기장치로는 피에이치 박스(PH BOX: Plug in Hole Box)가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피에이치 박스는 부스덕트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다수의 케이블을 연결하여 필요한 곳에 분기된 전기를 공급하게 된다.Such a bus duct may be provided with a branching device for branching electricity, and the branching device may include a PH BOX (Plug in Hole Box). In such a PH box, a number of cables are connected while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us duct to supply branched electricity to a required place.

다만, 고압의 전류가 흐르는 부스덕트와의 분기장치의 전기접속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화재 등의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부스덕트와 분기장치의 정확한 전기적 연결은 매우 중요하다.However, if the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branch device with the bus duct through which high-voltage current flows is not properly made, an accident such as a fire may occur. Therefore, accurat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bus duct and the branch device is very important.

그러나 종래에는 이와 같은 부스덕트와 분기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함에 있어,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작업 결과가 달라지는 문제가 있었다. 즉, 종래의 부스덕트와 분기장치는 작업자가 외부에서 부스덕트와 분기장치의 결합 부위를 직접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구조이기에, 부스덕트와 분기장치의 정확한 접속 여부를 제대로 확인할 수가 없었다.However, in the prior art, in electrically connecting the bus duct and the branching devic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work result varies depending on the skill level of the operator. That is, in the conventional bus duct and branch device, since the operator cannot directly visually check the joint portion of the bus duct and branch device from the outside, it was not possible to properly check whether the bus duct and the branch device are correctly connected.

이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작업자가 식별부재를 통해 부스덕트와 분기장치의 접속 여부를 간편하게 확인하도록 이루어진 기술도 개발되어 있기는 하지만, 단지 식별부재를 통해 부스덕트와 분기장치의 접속 여부만을 확인할 뿐, 실제 각 구성 간의 전기적 연결 상태를 육안으로 직접 확인하지는 못하는 문제가 있다. 즉, 부스덕트와 분기장치의 접속 부위의 전기적 접속 상태를 작업자가 직접 눈으로 확인할 수 없기에, 정밀한 점검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In order to improve this problem, a technology has been developed that allows the operator to easily check whether the bus duct and the branch device are connected through the identification member, but only check whether the bus duct and the branch device are connected through the identification member.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directly check the electrical connection state between each component. That is, there is a problem that precise inspection cannot be performed because the operator cannot directly check the electrical connection state of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bus duct and the branch device.

도 1은 종래의 부스덕트와 분기장치의 조립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예시도이다.1 is an exemplary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ssembly state of a conventional bus duct and a branch device.

도 1에서 보는 같이, 분기장치(20)는 부스덕트(10)의 내부에 구비된 부스바(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탭바(12)와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1, the branch device 2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ab bar 12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us bar 11 provided in the bus duct 10.

여기서 분기장치(20)에 구비된 접속도체(21)는 탭바(12)와 선접촉되며, 탭바(12)와 연결도체(2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클립형의 분기장치(20)와 부스덕트(10)의 결합구조에서는 작업자가 외부로부터 탭바(12)와 접속도체(21)의 접속부분을 육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없기에 정확한 전기적 연결 상태를 파악할 수 없다.Here, the connection conductor 21 provided in the branch device 20 is in line contact with the tab bar 12, and electrically connects the tab bar 12 and the connection conductor 22. However, in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clip-type branch device 20 and the bus duct 10, the operator cannot directly check the connection part of the tab bar 12 and the connection conductor 21 from the outside, so it is possible to grasp the correct electrical connection state. Can't.

그리고 부스덕트(10)와 분기장치(20)의 정밀 점검을 위해서는 분기장치(20)를 부스덕트(10)로부터 완전히 분리시킨 상태에서 정밀 검사를 해야되는 어려움이 있다.In addition, for the precise inspection of the bus duct 10 and the branch device 20, there is a difficulty in performing a detailed inspection in a state where the branch device 20 is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bus duct 10.

선행문헌 1 :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10445호(2018.01.31)Prior Document 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10445 (2018.01.31)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탭바와 접속 조립체 및 접속바의 결합 상태를 외부에서 작업자가 육안으로 직접 확인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인 부스덕트 및 그의 조립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bus duct and an assembly method thereof, which is made so that an operator can directly visually check the bonding state of the tab bar, the connection assembly, and the connection bar from the outsid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부스바가 구비된 덕트부; 상기 부스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덕트부의 외부로 노출된 탭바; 수직하게 삽입되는 상기 탭바를 수용하는 제1 결속 공간부와, 수평하게 삽입되는 접속바를 수용하는 제2 결속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탭바와 접속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 조립체가 구비된 접속 키트; 및 상기 덕트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며, 상기 접속 키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접속바가 구비된 접속함을 포함하며, 상기 접속 키트와 접속함이 결합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외부에서 상기 탭바와 접속 조립체 및 접속바의 결합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인 부스덕트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uct portion provided with a bus bar; A tab ba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us bar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duct part; A connection kit including a first binding space for receiving the vertically inserted tab bar and a second binding space for receiving a horizontally inserted connection bar, and including a connection assembly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ab bar and the connection bar; And a junction box with the connection bar slidably mov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duct part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kit. In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kit and the connection box are coupled, the operator It provides a bus duct made to be able to visually check the bonding state of the connection assembly and the connection ba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속 키트는, 외형을 이루되 내부에 제1 수용 공간부를 형성하며, 하면에는 상기 탭바가 관통 삽입되는 제1 삽입홀이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상기 접속바가 관통 삽입되는 제2 삽입홀이 형성된 제1 하우징; 상기 제1 수용 공간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 결속 공간부와 제2 결속 공간부가 형성된 접속 조립체; 및 상기 제1 하우징과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1 하우징의 상부에 형성된 제1 상면 개방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 도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하우징의 하부에는 상기 덕트부에 고정 설치되는 제1 고정 브라켓이 구비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kit has an outer shape but forms a first accommodation space therein, and a first insertion hole through which the tab bar is inserted is formed on a lower surface thereof, and the connection bar is formed on one side thereof. A first housing having a second insertion hole inserted therethrough; A connection assembly provided inside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part, the first binding space part and the second binding space part formed therein; And a first door part hinge-coupled to the first housing and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a first upper surface opening hole formed on an upper part of the first housing, and a first door part fixedly installed in the duct part at a lower part of the first housing. 1 A fixing bracket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속 조립체는, 중앙에 제1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하우징의 폭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개의 절연 플레이트; 중앙에 제2 관통홀이 형성되고, 마주보는 상기 절연 플레이트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 결속 공간부와 제2 결속 공간부를 형성하는 통전 플레이트; 중앙에 제3 관통홀이 형성되고, 이격된 상기 통전 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통전 플레이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탭바 및 접속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전부재; 이격 배치되는 상기 절연 플레이트의 최외측에 구비되는 지지 플레이트; 하단부는 상기 제1 하우징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상단부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상기 제1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지지 고정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외측면에 구비되며, 중앙에는 제4 관통홀이 형성된 와셔부; 및 상기 제1 관통홀 내지 제4 관통홀에 관통 삽입되며, 상기 절연 플레이트, 통전 플레이트 및 도전부재를 지지 고정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속 공간부로 삽입되는 상기 탭바와 상기 제2 결속 공간부로 삽입되는 상기 접속바는 상기 통전 플레이트와 면접촉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assembly includes: a plurality of insulating plates having a first through hole formed in the center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housing; A conductive plate having a second through hole formed in the center,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insulating plate facing each other, and forming the first binding space portion and the second binding space portion; A conductive member having a third through hole formed in the center, provided between the conductive plat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ductive plat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ab bar and the connection bar; A support plate provided on the outermost side of the insulating plate dispos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support fixing part that is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and the upper end is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to fix the support plate to the first housing; A washer part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and having a fourth through hole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nd a fastening part that is inserted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through the fourth through hole and supports and fixes the insulating plate, the energizing plate and the conductive member, and the tab bar and the second binding space inserted into the first binding space part. The connection bar inserted into the part may b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conductive plat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전부재는, 외형을 이루며, 일측면과 타측면에는 회전 방지홈이 형성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과 타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통전 플레이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과 타측면으로부터 돌출되되, 상기 제3 관통홀을 형성하며, 단부는 상기 절연 플레이트에 지지 고정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의 외측면은 상기 제1 결속 공간부로 삽입되는 상기 탭바와, 상기 제2 결속 공간부로 삽입되는 상기 접속바와 접촉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ductive member comprises an outer shape, and a body portion having a rotation preventing groove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 first protrusion protruding from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nergizing plate; And a second protrusion protruding from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body portion, forming the third through hole, and having an end portion supported and fixed to the insulating plate, and an out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toward the first binding space portion. The tab bar to be inserted may be in contact with the connection bar to be inserted into the second binding spac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전 플레이트에는 상기 회전 방지홈에 삽입되어 상기 도전부재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 회전 방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ergizing plate may be provided with a rotation preventing part inserted into the rotation preventing groove to prevent rotation of the conductive membe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전 플레이트는 상기 절연 플레이트에 형성된 안착 고정홈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ergizing plate may be inserted and fixed in a mounting fixing groove formed in the insulating plat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속함은, 외형을 이루며 내부에 제2 수용 공간부가 형성된 제2 하우징; 상기 제2 수용 공간부의 내부에 구비되되, 일단에는 제1 연결단자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제2 연결단자가 구비되는 차단 제어부; 일단부는 상기 제1 연결단자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 결속 공간부에 삽입되는 접속바; 및 상기 제2 하우징과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2 하우징의 상부에 형성된 제2 상면 개방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 도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하우징의 하부에는 이동 안내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덕트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junction box comprises: a second housing forming an outer shape and having a second accommodation space therein; A blocking control unit provided inside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wherein a first connection terminal is provided at one end and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A connection bar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and the other end inserted into the second binding space; And a second door hingedly coupled to the second housing and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a second upper surface opening hole formed on the second housing, and a movement guide member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housing, wherein the The second housing may slide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duct par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속 키트에 구비되는 제1 결합 브라켓과 상기 접속함에 구비되는 제2 결합 브라켓이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될 시, 상기 접속 키트의 일면에는 구비된 제1 가스켓과 상기 접속함의 일면에 구비된 제2 가스켓은 밀착 결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coupling bracket provided in the connection kit and the second coupling bracket provided in the connection box are coupled by a coupling member, a first gasket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connection kit and The second gasket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junction box may be closely coupl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에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된 측면 개방홀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측면 덮개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 하우징에 결합된 제2 고정 브라켓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상면 개방홀을 차단하는 제1 보호부재가 구비되되, 상기 제1 보호부재는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housing is provided with a side cover portion for selectively blocking a side opening hole formed on the side of the first housing, and is coupled to a second fixing bracket coupled to the first housing, And a first protection member blocking the first upper surface opening hole, and the first protection member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a) 덕트부에 연결된 탭바가 접속 조립체의 제1 결속 공간부에 수직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접속 키트를 상기 덕트부에 결합하는 단계; b) 상기 접속함에 구비된 접속바가 상기 접속 조립체의 제2 결속 공간부에 수평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접속함을 상기 덕트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키며, 상기 접속함을 상기 접속 키트에 결합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1 결속 공간부에 상기 탭바가 삽입되고, 상기 제2 결속 공간부에 상기 접속바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접속 조립체에 구비된 체결부를 조이며, 상기 탭바, 접속 조립체 및 접속바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부스덕트의 조립방법을 제공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upling the connection kit to the duct portion so that the tab bar connected to the duct portion is vertically inserted into the first coupling space portion of the connection assembly; b) sliding the junction box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uct portion so that the connection bar provided in the junction box is horizontally inserted into the second binding space portion of the connection assembly, and coupling the junction box to the connection kit; And c) tightening a fastening part provided in the connection assembly in a state in which the tab bar is inserted in the first binding space and the connection bar is inserted in the second binding space, and electrically connects the tab bar, connection assembly, and connection bar. It provides a method of assembling a bus duct comprising the step of coupling to be connected.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 및 그의 조립방법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effects of the bus duct and its assembly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본 발명에 따르면, 부스덕트는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는 탭바와 접속 조립체 및 접속바를 작업자가 외부에서도 육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기에, 부스덕트의 전기적 연결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us duct can accurately grasp the electrical connection state of the bus duct because the operator can directly visually check the tab bar, the connection assembly, and the connection bar to which electrical connection is made.

따라서, 현장 설치시, 덕트부와 접속 키트 및 접속함의 전기적 연결은 정확하고, 간편하며,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현장 설치시, 작업자의 숙련도에 상관없이 누구라도 정확하게 덕트부와 접속 키트 및 접속함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에, 현장 시공성은 높아질 수 있다.Therefore, when installing on-site,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duct part, the connection kit, and the junction box can be made accurately, conveniently, and quickly. And at the time of on-site installation, anyone can accurately electrically connect the duct part, the connection kit and the junction box regardless of the skill level of the operator. Accordingly, on-site workability can be improved.

그리고 해당 부스덕트의 유지 보수시에도 작업자는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는 탭바와 접속 조립체 및 접속바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기에, 정밀한 점검이 가능하고, 점검 시간도 단축될 수 있다.In addition, even during maintenance of the bus duct, the operator can directly visually check the tab bar, the connection assembly, and the connection bar to which the electrical connection is made, so that precise inspection is possible and the inspection time can be shortened.

본 발명에 따르면, 접속 조립체는 탭바 및 접속바와 면접촉이 이루어지기에, 접촉저항이 최소화되어 전압강하가 개선되고, 전기적 연결부위의 접촉 불량으로 인한 화재 등의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종래의 부스덕트는 클립형의 접속도체와 탭바가 선접촉 상태로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기에, 전기적 연결부위의 접촉 불량률이 매우 높다. 그리고 클립형의 접속도체가 소성변형 등에 의해 휘어질 경우, 접속도체와 탭바의 전기적 연결은 매우 불안정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nnection assembly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tab bar and the connection bar, contact resistance is minimized to improve voltage drop,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accidents such as fire due to poor contact between electrical connection parts. In other words, since the conventional bus duct is electrically connected in line contact with the clip-type connection conductor and the tab bar, the contact failure rate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is very high. And when the clip-type connection conductor is bent by plastic deformation,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ion conductor and the tab bar is very unstable.

이에 반해, 본 발명에 따른 접속 조립체는 탭바 및 접속바와 면접촉이 이루어지기에, 종래의 부스덕트에 비해 전기적 안정성이 매우 우수하다. 즉, 탭바, 접속 조립체 및 접속바는 접촉 불량으로 인한 사고 발생 가능성이 제로화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connection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kes surface contact with the tab bar and the connection bar, electrical stability is very excellent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bus duct. That is, the possibility of an accident due to poor contact with the tab bar, the connection assembly, and the connection bar may be reduced.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ffec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종래의 부스덕트와 분기장치의 조립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덕트부, 접속 키트 및 접속함이 결합된 부스덕트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덕트부, 접속 키트 및 접속함이 분리된 부스덕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덕트부와 탭바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속 키트를 상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속 키트를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속 조립체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속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속 조립체의 단면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속 조립체의 절연 플레이트, 통전 플레이트 및 도전부재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스 덕트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탭바, 접속바 및 접속 조립체가 결합된 상태를 평면에서 바라본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부스덕트의 조립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1 is an exemplary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ssembly state of a conventional bus duct and a branch devic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s duct to which a duct part, a connection kit, and a junction box are combi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us duct from which a duct part, a connection kit, and a junction box are sepa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uct portion and a tab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as viewed from above of a connection k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as viewed from the bottom of the connection k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on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on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emplary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ion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insulating plate, a conductive plate, and a conductive member of a connection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lan view of a booth du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tab bar, a connection bar, and a connection assembly are combi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flowchart showing an assembly process of a bus du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erefore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member interposed therebetween. .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provi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본 발명에서 상부와 하부는 대상부재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반드시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mean that they are positioned above or below the target member, and do not necessarily mean that they are positioned above or below the gravitational direc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덕트부, 접속 키트 및 접속함이 결합된 부스덕트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덕트부, 접속 키트 및 접속함이 분리된 부스덕트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덕트부와 탭바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속 키트를 상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속 키트를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속 조립체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속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속 조립체의 단면 예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속 조립체의 절연 플레이트, 통전 플레이트 및 도전부재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스 덕트의 평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탭바, 접속바 및 접속 조립체가 결합된 상태를 평면에서 바라본 예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s duct in which a duct part, a connection kit, and a junction box are combi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duct part, a connection kit, and a junction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us duct,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uct part and a tab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on k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above,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on k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bottom, Figure 7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on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n exploded view of the connection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erspective view, and Fig. 9 is an exemplary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ion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insulating plate, a conductive plate, and a conductive member of the connection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lan view of a booth du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n exemplary view viewed from a plan view of a state in which a tab bar, a connection bar, and a connection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도 2 내지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부스덕트(1000)는 덕트부(100), 탭바(200), 접속 키트(300) 및 접속함(400)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 to 12, the bus duct 1000 may include a duct part 100, a tab bar 200, a connection kit 300, and a junction box 400.

여기서 덕트부(100)의 내부에는 내부 공간(미도시)이 형성되어, 해당 내부 공간에는 부스바(11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덕트부(100)는 덕트부(100)의 내부에 내재된 부스바(110)를 보호하도록 이루어진다.Here, an internal space (not shown) is formed inside the duct 100, and a bus bar 110 may be provided in the corresponding internal space. That is, the duct part 100 is made to protect the bus bar 110 embedded in the duct part 100.

이러한 덕트부(100)는 알루미늄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알루미늄 소재로 이루어진 덕트부(100)는 무게가 가벼워 부스덕트(1000)의 설치 작업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덕트부(100)의 소재는 반드시 알루미늄 소재로만 이루어져야 되는 것은 아니며, 알루미늄 이외에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duct part 100 may be made of an aluminum material. In this way, the duct portion 100 made of an aluminum material has a light weight, so that the installation work of the bus duct 1000 can be easily performed. Here, the material of the duct unit 100 is not necessarily made of aluminum, but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other than aluminum.

그리고 탭바(200)는 덕트부(100)의 내부에 구비된 부스바(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부스바(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탭바(200)를 통해 접속 키트(300) 및 접속함(400)은 필요한 곳에 분기된 전기를 공급하도록 이루어진 피에이치 박스(PH BOX)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In addition, the tab bar 2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us bar 110 provided inside the duct unit 100. In this way, the connection kit 300 and the connection box 400 through the tab bar 20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us bar 110 serve as a PH BOX configured to supply the branched electricity to the required place. do.

이러한 탭바(200)의 일단부는 부스바(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부는 덕트부(10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이루어진다.One end of the tab bar 2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us bar 110, and the other en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duct 100.

한편, 접속 키트(300)는 탭바(200)의 타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탭바(200)는 접속 키트(300)에 형성된 제1 결속 공간부(331)에 삽입된 상태로, 탭바(200)와 접속 키트(300)는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Meanwhile, the connection kit 300 is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tab bar 200. That is, the tab bar 200 is inserted into the first binding space 331 formed in the connection kit 300, and the tab bar 200 and the connection kit 3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이러한 접속 키트(300)는 제1 하우징(310), 제1 도어부(320) 및 접속 조립체(3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on kit 300 may include a first housing 310, a first door part 320, and a connection assembly 330.

여기서 제1 하우징(310)은 접속 키트(300)의 외형을 이루며, 내부에는 제1 수용 공간부(311)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1 하우징(310)의 하면에는 제1 삽입홀(312)이 형성되어, 탭바(200)는 제1 삽입홀(312)을 통해 제1 하우징(310)의 내부로 관통 삽입될 수 있다.Here, the first housing 310 forms the outer shape of the connection kit 300, and a first accommodation space 311 is formed therein. A first insertion hole 312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310, so that the tab bar 200 may be inserted through the first housing 310 through the first insertion hole 312. .

이러한 제1 하우징(310)의 하부에는 제1 고정 브라켓(313)이 구비되어, 볼트 및 너트 등의 결합부재를 통해 상기 제1 하우징(310)은 덕트부(100)의 상부에 일체로 고정 설치될 수 있다.A first fixing bracket 313 is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310, and the first housing 310 is integrally fixed and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duct 100 through coupling members such as bolts and nuts. Can be.

그리고 제1 하우징(310)의 일측면에는 제2 삽입홀(314)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2 삽입홀(314)로는 접속함(400)에 구비된 접속바(430)가 관통 삽입될 수 있다.In addition, a second insertion hole 314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housing 310. The connection bar 430 provided in the junction box 400 may be inserted through the second insertion hole 314.

이에, 덕트부(100), 접속 키트(300) 및 접속함(400)의 결합이 이루어질 시, 탭바(200) 및 접속바(430)는 접속 키트(300)의 내부에 구비된 접속 조립체(330)와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탭바(200)는 접속 조립체(330)의 제1 결속 공간부(331)에 삽입되고, 접속바(430)는 접속 조립체(330)의 제2 결속 공간부(332)에 삽입된 상태에서 탭바(200)와 접속바(430)는 접속 조립체(330)와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탭바(200)는 제1 결속 공간부(331)에 수직하게 삽입되고, 접속바(430)는 제2 결속 공간부(332)에 수평하게 삽입된다. 이와 같은 탭바(200)와 접속바(430) 및 접속 조립체(330)의 결합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Accordingly, when the duct part 100, the connection kit 300, and the junction box 400 are combined, the tab bar 200 and the connection bar 430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assembly 330 provided inside the connection kit 300. ) And electrical connection can be made. At this time, the tab bar 200 is inserted into the first binding space 331 of the connection assembly 330, and the connection bar 43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binding space 332 of the connection assembly 330. The tab bar 200 and the connection bar 43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assembly 330. Here, the tab bar 200 is vertically inserted into the first binding space 331, and the connection bar 430 is horizontally inserted into the second binding space 332.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tab bar 200, the connection bar 430, and the connection assembly 330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제1 하우징(310)에는 제1 보호부재(318)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보호부재(318)는 작업자가 제1 도어부(320)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탭바(200), 접속 조립체(330) 및 접속바(430)의 결합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외부로부터 제1 수용 공간부(311)의 내부로 물건 등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제1 보호부재(318)는 외부로부터 제1 수용 공간부(311)에 수용된 각 부품을 보호하도록 이루어진다.Meanwhile, a first protection member 318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housing 310. This first protection member 318 is removed from the outside in the process of checking the coupling state of the tab bar 200, the connection assembly 330, and the connection bar 430 in a state where the operator opens the first door part 320. 1 It is made to prevent objects, etc. from falling into the interior of the accommodation space 311. That is, the first protection member 318 is configured to protect each component accommodated in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311 from the outside.

이와 같은 제1 보호부재(318)는 제1 하우징(310)에 결합된 제2 고정 브라켓(317)에 의해 지지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보호부재(318)는 투명한 아크릴 및 유리 등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보호부재(318)는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자는 탭바(200), 접속 조립체(330) 및 접속바(430)의 결합 상태를 외부에서도 육안으로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The first protection member 318 may be supported and fixed by the second fixing bracket 317 coupled to the first housing 310. Here, the first protection member 318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transparent acrylic and glass. Since the first protection member 318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he operator can accurately check the bonding state of the tab bar 200, the connection assembly 330, and the connection bar 430 with the naked eye.

그리고 제1 하우징(310)에는 측면 덮개부(319)가 형성된다. 이러한 측면 덮개부(319)는 제1 하우징(310)의 측면에 형성된 측면 개방홀(미도시)을 차단하도록 이루어진다.In addition, a side cover portion 319 is formed on the first housing 310. The side cover part 319 is formed to block a side opening hole (not shown) formed on the side of the first housing 310.

예를 들어, 작업자가 작업 공구를 이용하여 제1 수용 공간부(311)의 내부에 구비된 접속 조립체(330)를 조이거나 풀 경우, 작업자는 측면 덮개부(319)를 제1 하우징(310)으로부터 분리시킨 다음 작업 공구를 측면 개방홀로 삽입한 상태에서 접속 조립체(330)를 조이거나 풀 수 있다. 따라서, 제1 하우징(310)의 내부에 수용된 탭바(200), 접속 조립체(330) 및 접속바(430)는 외부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됨은 물론 탭바(200), 접속 조립체(330) 및 접속바(430)의 결합도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For example, when an operator tightens or looses the connection assembly 330 provided inside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311 using a work tool, the operator may replace the side cover portion 319 with the first housing 310 The connection assembly 330 may be tightened or loosened in a state in which the work tool is inserted into the side opening hole after being separated from it. Therefore, the tab bar 200, the connection assembly 330, and the connection bar 430 accommodated in the first housing 310 are safely protected from the outside, as well as the tab bar 200, the connection assembly 330, and the connection bar 430. ) Can be easily combined.

한편, 제1 도어부(320)는 제1 하우징(310)과 힌지 결합된다. 이러한 제1 도어부(320)는 회전을 통해 제1 하우징(310)의 상부에 형성된 제1 상면 개방홀(30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작업자가 제1 하우징(310)의 내부에 구비된 탭바(200), 접속 조립체(330) 및 접속바(430)의 상태를 점검할 경우, 작업자는 잠긴 상태의 제1 도어부(320)의 잠금장치를 푼 후, 제1 도어부(320)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제1 하우징(310)의 내부에 구비된 각 구성품의 전기적 연결 상태 등을 직접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door part 320 is hinge-coupled with the first housing 310. The first door part 320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first upper surface opening hole 301 formed on the first housing 310 through rotation. For example, when the operator checks the state of the tab bar 200, the connection assembly 330, and the connection bar 430 provided inside the first housing 310, the operator is the first door unit in the locked state ( After unlocking the locking device 320, the electrical connection status of each component provided in the first housing 310 can be directly checked with the naked eye while the first door part 320 is opened.

한편, 접속 조립체(330)는 제1 수용 공간부(311)의 내부에 구비된다. 이러한 접속 조립체(330)에는 탭바(200)가 삽입되는 제1 결속 공간부(331)와 접속바(430)가 삽입되는 제2 결속 공간부(332)가 형성된다.Meanwhile, the connection assembly 330 is provided inside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311. The connection assembly 330 includes a first binding space 331 into which the tab bar 200 is inserted and a second binding space 332 into which the connection bar 430 is inserted.

이와 같은 접속 조립체(330)는 절연 플레이트(340), 통전 플레이트(350), 도전부재(360), 지지 플레이트(370), 지지 고정부(380), 와셔부(390) 및 체결부(395)를 포함할 수 있다.Such a connection assembly 330 includes an insulating plate 340, a conductive plate 350, a conductive member 360, a support plate 370, a support fixing part 380, a washer part 390, and a fastening part 395. It may include.

이러한 접속 조립체(330)는 탭바(200)와 접속바(430)의 전기적 연결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connection assembly 330 is configured to effectively connect the tab bar 200 and the connection bar 430 to each other.

여기서 절연 플레이트(340)는 중앙에 제1 관통홀(34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절연 플레이트(340)는 제1 하우징(310)의 폭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Here, the insulating plate 340 has a first through hole 341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The insulating plates 34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housing 310.

그리고 통전 플레이트(350)는 중앙에 제2 관통홀(35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통전 플레이트(350)는 마주보는 절연 플레이트(340)의 내측에 구비된다. 여기서 통전 플레이트(350)는 절연 플레이트(340)에 형성된 안착 고정홈(342)에 삽입 고정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통전 플레이트(350)는 안착 고정홈(342)에 삽입된 상태에서 절연 플레이트(340)에 지지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a second through hole 351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energizing plate 350. Such a conductive plate 350 is provided inside the insulating plate 340 facing each other. Here, the conducting plate 350 is formed to be inserted and fixed in the mounting fixing groove 342 formed in the insulating plate 340. That is, the conductive plate 350 may be supported and fixed to the insulating plate 340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mounting fixing groove 342.

이와 같이, 절연 플레이트(340)의 내측에 구비되는 통전 플레이트(350)는 서로 마주보도록 이루어지며, 이격된 통전 플레이트(350)는 탭바(200)가 삽입되는 제1 결속 공간부(331)와 접속바(430)가 삽입되는 제2 결속 공간부(332)를 형성하게 된다.In this way, the conducting plates 350 provided inside the insulating plate 340 are made to face each other, and the spaced conducting plates 350 are connected to the first binding space part 331 into which the tab bar 200 is inserted. A second binding space portion 332 into which the bar 430 is inserted is formed.

이와 같은 통전 플레이트(350)는 제1 결속 공간부(331)로 삽입되는 탭바(200)와 제2 결속 공간부(332)로 삽입되는 접속바(430)와 면접촉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The energizing plate 350 may be coupled to b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tab bar 200 inserted into the first binding space 331 and the connection bar 430 inserted into the second binding space 332.

그리고 도전부재(360)는 중앙에 제3 관통홀(361)이 형성된다. 이러한 도전부재(360)는 이격된 통전 플레이트(350) 사이에 구비된다. 이와 같은 도전부재(360)는 제1 결속 공간부(331)와 제2 결속 공간부(332)를 구획하게 된다.In addition, the conductive member 360 has a third through hole 361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The conductive member 360 is provided between the spaced apart conductive plates 350. Such a conductive member 360 partitions the first binding space 331 and the second binding space 332.

이러한 도전부재(360)는 통전 플레이트(350)에 사이에 구비되며, 통전 플레이트(3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와 같은 도전부재(360)는 제1 결속 공간부(331)로 삽입된 탭바(200)와 제2 결속 공간부(332)로 삽입된 접속바(430)의 중간에 배치되어, 탭바(200)와 접속바(4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도전부재(360)는 제1 결속 공간부(331)로 삽입된 탭바(200)와 제2 결속 공간부(332)로 삽입된 접속바(430)와 접촉되도록 이루어진다.The conductive member 360 is provided between the conductive plate 350 and is made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ductive plate 350. And such a conductive member 360 is disposed in the middle of the tab bar 200 inserted into the first binding space portion 331 and the connection bar 430 inserted into the second binding space portion 332, the tab bar 200 ) And the connection bar 430 are electrically connected. Here, the conductive member 360 is made to contact the tab bar 200 inserted into the first binding space 331 and the connection bar 430 inserted into the second binding space 332.

이와 같이, 통전 플레이트(350)는 탭바(200) 및 접속바(430)와 면접촉되도록 이루어지고, 도전부재(360)도 탭바(200) 및 접속바(430)와 접촉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탭바(200)로부터 접속바(430)로 전력 공급이 이루어짐에 있어, 접촉저항이 최소화되어 전압강하가 개선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1000)는 탭바(200), 접속 조립체(330) 및 접속바(430)가 면접촉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전기적 연결부위의 접촉 불량으로 인한 화재 등의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탭바(200)로부터 접속바(430)로는 전력 공급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way, the conductive plate 350 is made to b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tab bar 200 and the connection bar 430, and the conductive member 360 is also made to contact the tab bar 200 and the connection bar 430, so that the tab bar When power is supplied from 200 to the connection bar 430, contact resistance is minimized, and voltage drop can be improved. In other words, in the bus duct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ab bar 200, the connection assembly 330, and the connection bar 430 are made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by preventing accidents such as fire due to contact failure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power can be effectively supplied from the tab bar 200 to the connection bar 430.

이러한 도전부재(360)는 몸체부(362), 제1 돌출부(363) 및 제2 돌출부(364)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ductive member 360 may include a body portion 362, a first protrusion 363 and a second protrusion 364.

여기서 몸체부(362)는 도전부재(360)의 외형을 이룬다. 이와 같은 몸체부(362)의 일측면과 타측면에는 회전 방지홈(365)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회전 방지홈(365)에는 통전 플레이트(350)에 형성된 회전 방지홈(365)과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는 회전 방지부(352)가 삽입된다. 이에, 도전부재(360)의 회전은 방지될 수 있다.Here, the body portion 362 forms the outer shape of the conductive member 360. A rotation preventing groove 365 is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body portion 362. A rotation preventing portion 352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preventing groove 365 formed in the energizing plate 350 is inserted into the rotation preventing groove 365. Accordingly, rotation of the conductive member 360 can be prevented.

여기서 회전 방지부(352)는 통전 플레이트(35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구비된다. 따라서, 회전 방지부(352)가 회전 방지홈(365)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몸체부(362)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회전 방지부(352)는 단면 형상이 삼각 형태인 것을 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회전 방지부(352)의 단면 형상은 사각, 오각 등은 다양한 형상을 이룰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 the rotation preventing part 352 is provided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energizing plate 350. Accordingly, rotation of the body portion 362 may be prevented when the rotation preventing portion 352 is inserted into the rotation preventing groove 365. The rotation preventing part 352 is described as an exampl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shape is a triangular shape, but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rotation preventing part 352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square and a pentagon.

그리고 제1 돌출부(363)는 몸체부(362)의 일측면과 타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제1 돌출부(363)는 통전 플레이트(350)와 맞닿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제1 돌출부(363)는 통전 플레이트(3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protrusion 363 is formed to protrude from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body portion 362. The first protrusion 363 is formed to contact the energizing plate 350. Accordingly, the first protrusion 363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ductive plate 350.

그리고 제2 돌출부(364)는 몸체부(362)의 일측면과 타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제2 돌출부(364)는 제3 관통홀(361)을 형성하되, 제2 돌출부(364)의 단부는 절연 플레이트(340)에 맞닿은 상태로 지지 고정되도록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second protrusion 364 is formed to protrude from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body part 362. The second protrusion 364 forms a third through hole 361, and the end of the second protrusion 364 is supported and fixed in a state in contact with the insulating plate 340.

한편, 지지 플레이트(370)는 이격 배치된 절연 플레이트(340)의 최외측에 구비된다. 이러한 지지 플레이트(370)는 제1 하우징(310)에 고정 설치된 지지 고정부(380)에 의해 제1 수용 공간부(311) 내에 지지 고정될 수 있다.Meanwhile, the support plate 370 is provided on the outermost side of the insulating plate 340 dispos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support plate 370 may be supported and fixed in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311 by a support fixing part 380 fixedly installed on the first housing 310.

이와 같은 지지 고정부(380)의 하단부는 제1 하우징(310)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상단부는 지지 플레이트(370)에 결합된다. 이러한 지지 고정부(380)는 제1 하우징(310)의 바닥면으로부터 요구되는 위치에 지지 플레이트(370)가 배치되도록 지지 플레이트(370)를 제1 하우징(310)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킨다.The lower end of the support fixing part 380 is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310, and the upper end is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370. The support fixing part 380 separates the support plate 370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310 so that the support plate 370 is disposed at a position requir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310.

그리고 와셔부(390)는 지지 플레이트(370)의 외측면에 구비된다. 이러한 와셔부(390)는 중앙에 제4 관통홀(39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와셔부(390)는 접속 조립체(330)의 조임작업이 이루어질 시, 접속 조립체(330)의 체결력을 높일 수 있다. 즉, 와셔부(390)는 접속 조립체(330)가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한다.And the washer part 390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370. The washer part 390 has a fourth through hole 391 formed in the center. The washer part 390 may increase the fastening force of the connection assembly 330 when the connection assembly 330 is tightened. That is, the washer part 390 allows the connection assembly 330 to be firmly assembled.

그리고 체결부(395)는 접속 조립체(330)의 조임 및 풀림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체결부(395)는 제1 관통홀(341) 내지 제4 관통홀(391)에 관통 삽입되며, 절연 플레이트(340), 통전 플레이트(350) 및 도전부재(360)를 지지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체결부(395)는 볼트 및 너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fastening part 395 may control tightening and loosening of the connection assembly 330. The fastening part 395 is inserted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341 to the fourth through hole 391, and supports and fixes the insulating plate 340, the energizing plate 350, and the conductive member 360. The fastening part 395 may be formed of a bolt and a nut.

이와 같은 체결부(395)는 제1 결속 공간부(331)에 탭바(200)가 삽입되고, 제2 결속 공간부(332)에 접속바(430)가 삽입된 상태에서 조임 과정을 통해 탭바(200) 및 접속바(430)가 접속 조립체(330)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In such a fastening part 395, the tab bar 200 is inserted into the first binding space 331 and the connection bar 430 is inserted in the second binding space 332 through a tightening process. 200) and the connection bar 430 to be firmly coupled to the connection assembly 330.

한편, 접속함(400)은 덕트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접속함(400)은 덕트부(100)를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며, 접속 키트(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junction box 400 is made to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uct 100. The junction box 400 slides the duct portion 100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kit 300.

이와 같은 접속함(400)은 부스바(110)로부터 전달된 전력을 분배하도록 이루어진다.Such a junction box 400 is made to distribute the power transmitted from the bus bar (110).

이러한 접속함(400)은 제2 하우징(410), 차단 제어부(420), 접속바(430) 및 제2 도어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junction box 400 may include a second housing 410, a blocking control unit 420, a connection bar 430, and a second door part 440.

여기서 제2 하우징(410)은 접속함(400)의 외형을 이루며, 내부에는 제2 수용 공간부(411)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2 하우징(410)의 하부에는 이동 안내부재(412)가 구비되어, 제2 하우징(410)은 덕트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Here, the second housing 410 forms the outer shape of the junction box 400, and a second accommodation space 411 is formed therein. A movement guide member 412 is provided under the second housing 410, so that the second housing 410 may be mov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duct part 100.

이와 같은 제2 하우징(410)에는 제1 보호부재(318)와 같은 제2 보호부재(414)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보호부재(414)는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A second protection member 414 such as the first protection member 318 may be provided in the second housing 410. The second protection member 414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그리고 차단 제어부(420)는 제2 수용 공간부(411)의 내부에 구비된다. 이러한 차단 제어부(420)의 일단에는 제1 연결단자(421)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제2 연결단자(422)가 구비된다.In addition, the blocking control unit 420 is provided inside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411. A first connection terminal 421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blocking control unit 420 and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422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여기서 제1 연결단자(421)에는 접속바(430)가 결합되고, 제2 연결단자(422)에는 터미널 러그(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터미널 러그에는 예를 들어 분배 케이블(미도시)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부스바(110)로부터 전달되는 전력은 접속바(430)를 통해 제2 연결단자(422)에 결합된 다양한 분배 케이블로 공급될 수 있다.Here, a connection bar 43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421, and a terminal lug (not shown)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422. A distribution cable (not shown) may be connected to such a terminal lug, for example. Accordingly, power transmitted from the bus bar 110 may be supplied to various distribution cables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422 through the connection bar 430.

그리고 제2 도어부(440)는 제2 하우징(410)과 힌지 결합된다. 이러한 제2 도어부(440)는 회전을 통해 제2 하우징(410)의 상부에 형성된 제2 상면 개방홀(415)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작업자가 제2 하우징(410)의 내부에 구비된 차단 제어부(420) 및 접속바(430)의 상태를 점검할 경우, 작업자는 닫힌 상태의 제2 도어부(440)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내부의 각 구성품을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door part 440 is hinged to the second housing 410. The second door portion 440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second upper surface opening hole 415 formed on the second housing 410 through rotation. For example, when the operator checks the state of the blocking control unit 420 and the connection bar 430 provided inside the second housing 410, the operator rotates the second door unit 440 in the closed state. Each component inside can be checked in the state.

한편, 이와 같은 접속함(400)에는 다양한 검출기(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Meanwhile, various detectors (not shown)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e junction box 400.

이러한 검출기는 예를 들어, 제1 연결단자(421)와 제2 연결단자(422) 부위의 온도 변화를 감지하거나, 접속함(400)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도 있고, 누설 전류를 파악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차단 제어부(420)의 상태를 정보를 감지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검출기는 상기에서 언급한 내용 이외에 부스덕트(1000)의 다양한 상태 정보를 감지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Such a detector, for example, may be configured to detect a temperature change in the portion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421 and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422, or to detect the temperature inside the junction box 400, and to determine the leakage current. The blocking control unit 420 may be configured to sense information. It goes without saying that such a detector may detect various state information of the bus duct 1000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contents.

이와 같이, 검출기로부터 감지된 다양한 상태 정보는 예를 들어, 제2 하우징(410)의 외부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통해 작업자에게 정보 제공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In this way, various state information sensed by the detector may be provided to an operator through, for example, a display unit (not shown) provided outside the second housing 410.

한편, 덕트부(100), 접속 키트(300) 및 접속함(400)이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있어, 접속 키트(300)와 접속함(400)은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서, 접속 키트(300)에는 제1 결합 브라켓(315)이 구비되고, 접속함(400)에는 제2 결합 브라켓(401)이 구비되어, 제1 결합 브라켓(315)과 제2 결합 브라켓(401)은 볼트 및 너트 등의 결합부재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접속 키트(300)와 접속함(400)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duct part 100, the connection kit 300 and the junction box 40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e connection kit 300 and the junction box 400 are rigidly coupled. In other words, the connection kit 300 is provided with a first coupling bracket 315, the junction box 400 is provided with a second coupling bracket 401, the first coupling bracket 315 and the second coupling bracket ( 401) may be firmly coupled by a coupling member such as bolts and nuts. Therefore, the connection kit 300 and the junction box 400 may be integrally combined.

여기서 접속 키트(300)의 일면에는 제1 가스켓(316)이 구비되고, 접속함(400)의 일면에는 제2 가스켓(413)이 구비된다. 이러한 제1 가스켓(316)과 제2 가스켓(413)은 접속 키트(300)와 접속함(400)의 결합이 이루어질 시, 서로 밀착되도록 이루어진다.Here, a first gasket 316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connection kit 300, and a second gasket 413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connection box 400. The first gasket 316 and the second gasket 413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connection kit 300 and the connection box 400 are coupled.

이와 같은 제1 가스켓(316)과 제2 가스켓(413)은 접속 키트(300)와 접속함(400)의 결합부위로 먼지, 물 및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이 차단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제1 가스켓(316)과 제2 가스켓(413)은 방진, 방습 및 방수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The first gasket 316 and the second gasket 413 are configured to block the inflow of dust, water, and foreign substances into the joint portion between the connection kit 300 and the junction box 400. That is, the first gasket 316 and the second gasket 413 serve as dustproof, moistureproof, and waterproof.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1000)는 덕트부(100), 접속 키트(300) 및 접속함(400)이 각각 개별적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현장 설치가 간편하다.The bus duct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asily installed on-site as the duct unit 100, the connection kit 300, and the connection box 400 are individually detachable.

그리고 예를 들어, 접속 키트(300)의 수리 및 교체가 필요한 경우, 작업자는 해당 접속 키트(300)만을 분리해서 고장이 발생된 부품을 교체하던지 아니면 접속 키트(300) 전체를 교체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접속 키트(300)와 접속함(400)이 일체로 구비되는 경우에 비해, 수리 작업이 간편함은 물론 교체 비용도 최소화될 수 있다.And, for example, when repair and replacement of the connection kit 300 is required, the operator may separate only the connection kit 300 and replace the defective part or the entire connection kit 300. Therefore,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connection kit 300 and the junction box 400 are provided integrally, the repair work is simple and the replacement cost can be minimized.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부스덕트의 조립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로, 먼저, 덕트부(100)에 연결된 탭바(200)가 접속 조립체(330)의 제1 결속 공간부(331)에 수직하게 삽입되도록 덕트부(100)와 접속 키트(300)를 결합한다. (S100)13 is a flow chart showing the assembly process of the bus du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tab bar 200 connected to the duct 100 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binding space 331 of the connection assembly 330 The duct part 100 and the connection kit 300 are combined so as to be inserted so as to be inserted. (S100)

다음으로, 접속함(400)에 구비된 접속바(430)가 접속 조립체(330)의 제2 결속 공간부(332)에 수평하게 삽입되도록 덕트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접속함(400)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며, 접속 키트(300)와 접속함(400)을 일체로 결합한다. (S200)Next, the connection box 400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duct part 100 so that the connection bar 430 provided in the connection box 400 is horizontally inserted into the second binding space 332 of the connection assembly 330. ) To slide, and integrally combine the connection kit 300 and the junction box 400. (S200)

마지막으로, 제1 결속 공간부(331)에 탭바(200)가 삽입되고, 제2 결속 공간부(332)에 접속바(430)가 삽입된 상태에서 접속 조립체(330)에 구비된 체결부(395)를 조이며, 탭바(200), 접속 조립체(330) 및 접속바(430)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결합한다. (S300)Finally, a fastening part provided in the connection assembly 330 in a state in which the tab bar 200 is inserted into the first binding space 331 and the connection bar 43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binding space 332 ( 395) is tightened, and the tab bar 200, the connection assembly 330, and the connection bar 43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S300)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의 기재 범위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However, this is only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scope described in this embodiment.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덕트부
110: 부스바
200: 탭바
300: 접속 키트
301: 제1 상면 개방홀
310: 제1 하우징
311: 제1 수용 공간부
312: 제1 삽입홀
313: 제1 고정 브라켓
314: 제2 삽입홀
315: 제1 결합 브라켓
316: 제1 가스켓
317: 제2 고정 브라켓
318: 제1 보호부재
319: 측면 덮개부
320: 제1 도어부
330: 접속 조립체
331: 제1 결속 공간부
332: 제2 결속 공간부
340: 절연 플레이트
341: 제1 관통홀
342: 안착 고정홈
350: 통전 플레이트
351: 제2 관통홀
352: 회전 방지부
360: 도전부재
361: 제3 관통홀
362: 몸체부
363: 제1 돌출부
364: 제2 돌출부
365: 회전 방지홈
370: 지지 플레이트
380: 지지 고정부
390: 와셔부
391: 제4 관통홀
395: 체결부
400: 접속함
401: 제2 결합 브라켓
410: 제2 하우징
411: 제2 수용 공간부
412: 이동 안내부재
413: 제2 가스켓
414: 제2 보호부재
415: 제2 상면 개방홀
420: 차단 제어부
421: 제1 연결단자
422: 제2 연결단자
430: 접속바
440: 제2 도어부
1000: 부스덕트
100: duct part
110: busbar
200: tab bar
300: connection kit
301: first upper surface open hole
310: first housing
311: first accommodation space portion
312: first insertion hole
313: first fixing bracket
314: second insertion hole
315: first coupling bracket
316: first gasket
317: second fixing bracket
318: first protection member
319: side cover portion
320: first door portion
330: connection assembly
331: first binding space portion
332: second binding space portion
340: insulation plate
341: first through hole
342: mounting fixing groove
350: energizing plate
351: second through hole
352: anti-rotation unit
360: conductive member
361: third through hole
362: body part
363: first protrusion
364: second protrusion
365: anti-rotation groove
370: support plate
380: support fixing part
390: washer part
391: fourth through hole
395: fastening part
400: access box
401: second coupling bracket
410: second housing
411: second accommodation space portion
412: moving guide member
413: second gasket
414: second protection member
415: second upper surface open hole
420: blocking control unit
421: first connection terminal
422: second connection terminal
430: connection bar
440: second door portion
1000: bus duct

Claims (10)

부스바가 구비된 덕트부;
상기 부스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덕트부의 외부로 노출된 탭바;
수직하게 삽입되는 상기 탭바를 수용하는 제1 결속 공간부와, 수평하게 삽입되는 접속바를 수용하는 제2 결속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탭바와 접속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 조립체가 구비된 접속 키트; 및
상기 덕트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며, 상기 접속 키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접속바가 구비된 접속함을 포함하며,
상기 접속 키트와 접속함이 결합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외부에서 상기 탭바와 접속 조립체 및 접속바의 결합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접속 키트에 구비되는 제1 결합 브라켓과 상기 접속함에 구비되는 제2 결합 브라켓이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될 시, 상기 접속 키트의 일면에 구비된 제1 가스켓과 상기 접속함의 일면에 구비된 제2 가스켓은 밀착 결합되는 것인 부스덕트.
Duct portion provided with a bus bar;
A tab ba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us bar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duct part;
A connection kit including a first binding space for receiving the vertically inserted tab bar and a second binding space for receiving a horizontally inserted connection bar, and including a connection assembly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ab bar and the connection bar; And
It slid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uct portion, and includes a junction box provided with the connection ba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kit,
In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kit and the junction box are coupled, the operator is made to be able to visually check the coupling state of the tab bar, the connection assembly, and the connection bar from the outside,
When the first coupling bracket provided in the connection kit and the second coupling bracket provided in the connection box are coupled by a coupling member, a first gasket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connection kit and a second coupling bracket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connection box The gasket is a bus duct that is closely coupl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키트는,
외형을 이루되 내부에 제1 수용 공간부를 형성하며, 하면에는 상기 탭바가 관통 삽입되는 제1 삽입홀이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상기 접속바가 관통 삽입되는 제2 삽입홀이 형성된 제1 하우징;
상기 제1 수용 공간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 결속 공간부와 제2 결속 공간부가 형성된 접속 조립체; 및
상기 제1 하우징과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1 하우징의 상부에 형성된 제1 상면 개방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 도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하우징의 하부에는 상기 덕트부에 고정 설치되는 제1 고정 브라켓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덕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nection kit,
A first housing having an outer shape but forming a first accommodation space therein, a first insertion hole through which the tab bar is inserted, and a second insertion hole through which the connection bar is inserted on one side thereof;
A connection assembly provided inside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part, the first binding space part and the second binding space part formed therein; And
A first door hingedly coupled to the first housing and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a first upper surface opening hole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A bus duct, characterized in that a first fixing bracket fixedly installed in the duct part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조립체는,
중앙에 제1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하우징의 폭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개의 절연 플레이트;
중앙에 제2 관통홀이 형성되고, 마주보는 상기 절연 플레이트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 결속 공간부와 제2 결속 공간부를 형성하는 통전 플레이트;
중앙에 제3 관통홀이 형성되고, 이격된 상기 통전 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통전 플레이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탭바 및 접속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전부재;
이격 배치되는 상기 절연 플레이트의 최외측에 구비되는 지지 플레이트;
하단부는 상기 제1 하우징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상단부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상기 제1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지지 고정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외측면에 구비되며, 중앙에는 제4 관통홀이 형성된 와셔부; 및
상기 제1 관통홀 내지 제4 관통홀에 관통 삽입되며, 상기 절연 플레이트, 통전 플레이트 및 도전부재를 지지 고정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속 공간부로 삽입되는 상기 탭바와 상기 제2 결속 공간부로 삽입되는 상기 접속바는 상기 통전 플레이트와 면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덕트.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nection assembly,
A plurality of insulating plates having a first through hole formed in the center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housing;
A conductive plate having a second through hole formed in the center,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insulating plate facing each other, and forming the first binding space portion and the second binding space portion;
A conductive member having a third through hole formed in the center, provided between the conductive plat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ductive plat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ab bar and the connection bar;
A support plate provided on the outermost side of the insulating plate dispos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support fixing part that is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and the upper end is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to fix the support plate to the first housing;
A washer part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and having a fourth through hole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nd
It is inserted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through the fourth through hole, and includes a fastening portion for supporting and fixing the insulating plate, the conductive plate and the conductive member,
The bus duct, characterized in that the tab bar inserted into the first binding space part and the connection bar inserted into the second binding space part ar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conducting plat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부재는,
외형을 이루며, 일측면과 타측면에는 회전 방지홈이 형성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과 타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통전 플레이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과 타측면으로부터 돌출되되, 상기 제3 관통홀을 형성하며, 단부는 상기 절연 플레이트에 지지 고정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의 외측면은 상기 제1 결속 공간부로 삽입되는 상기 탭바와, 상기 제2 결속 공간부로 삽입되는 상기 접속바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덕트.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ductive member,
A body portion having an external shape and having a rotation preventing groove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 first protrusion protruding from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nergizing plate; And
Doedoe protruding from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body portion, forming the third through-hole, the end includes a second protrusion supported and fixed to the insulating plate,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is a bus duct, characterized in that in contact with the tab bar inserted into the first binding space portion and the connection bar inserted into the second binding space por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 플레이트에는 상기 회전 방지홈에 삽입되어 상기 도전부재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 회전 방지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덕트.
The method of claim 4,
A bus duct, characterized in that the energizing plate is provided with a rotation preventing portion inserted into the rotation preventing groove to prevent rotation of the conductive memb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 플레이트는 상기 절연 플레이트에 형성된 안착 고정홈에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덕트.
The method of claim 3,
The energizing plate is a bus duct, characterized in that inserted and fixed in the mounting fixing groove formed in the insulating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함은,
외형을 이루며 내부에 제2 수용 공간부가 형성된 제2 하우징;
상기 제2 수용 공간부의 내부에 구비되되, 일단에는 제1 연결단자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제2 연결단자가 구비되는 차단 제어부;
일단부는 상기 제1 연결단자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 결속 공간부에 삽입되는 접속바; 및
상기 제2 하우징과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2 하우징의 상부에 형성된 제2 상면 개방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 도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하우징의 하부에는 이동 안내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덕트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덕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junction box,
A second housing forming an external shape and having a second accommodation space therein;
A blocking control unit provided inside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wherein a first connection terminal is provided at one end and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A connection bar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and the other end inserted into the second binding space; And
And a second door hingedly coupled to the second housing and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a second upper surface opening hole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housing,
A bus duct, characterized in that a movement guide member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slides along a length direction of the duct part.
삭제dele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에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된 측면 개방홀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측면 덮개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 하우징에 결합된 제2 고정 브라켓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상면 개방홀을 차단하는 제1 보호부재가 구비되되, 상기 제1 보호부재는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덕트.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housing is provided with a side cover portion for selectively blocking a side opening hole formed on the side of the first housing,
A bus duct,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protection member is provided with a second fixing bracket coupled to the first housing and blocks the first upper surface opening hole, wherein the first protection member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 덕트부에 연결된 탭바가 접속 조립체의 제1 결속 공간부에 수직하게 삽입되도록 접속 키트를 상기 덕트부에 결합하는 단계;
b) 접속함에 구비된 접속바가 상기 접속 조립체의 제2 결속 공간부에 수평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접속함을 상기 덕트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키며, 상기 접속함을 상기 접속 키트에 결합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1 결속 공간부에 상기 탭바가 삽입되고, 상기 제2 결속 공간부에 상기 접속바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접속 조립체에 구비된 체결부를 조이며, 상기 탭바, 접속 조립체 및 접속바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부스덕트의 조립방법.
a) coupling the connection kit to the duct portion so that the tab bar connected to the duct portion is vertically inserted into the first coupling space portion of the connection assembly;
b) sliding the junction box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uct portion so that the connection bar provided in the junction box is horizontally inserted into the second binding space portion of the connection assembly, and coupling the junction box to the connection kit; And
c) In a state in which the tab bar is inserted into the first binding space and the connection bar is inserted into the second binding space, tighten the fastening part provided in the connection assembly, and electrically connect the tab bar, connection assembly, and connection bar. Assembling method of the bus duct comprising the step of combining so as to.
KR1020200025858A 2020-03-02 2020-03-02 Bus duct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KR1021592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858A KR102159296B1 (en) 2020-03-02 2020-03-02 Bus duct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858A KR102159296B1 (en) 2020-03-02 2020-03-02 Bus duct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9296B1 true KR102159296B1 (en) 2020-09-23

Family

ID=72708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5858A KR102159296B1 (en) 2020-03-02 2020-03-02 Bus duct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929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79668A (en) * 2022-10-09 2023-01-06 广州南盾通讯设备有限公司 Clamping force is difficult for decay and less plug claw and jack box of required slot
WO2023003270A1 (en) * 2021-07-19 2023-01-26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Bus duct and bus duct system provided with same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97762A (en) * 2009-10-30 2011-05-12 Furukawa Electric Co Ltd:The Plug-in fitting
KR101104689B1 (en) * 2010-04-01 2012-01-16 주식회사 신화기전 Joint kit for bus duct
JP5203273B2 (en) * 2009-03-30 2013-06-05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Plug-in equipment
KR20130070833A (en) * 2011-12-20 2013-06-28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Bus duct joint kit for confirming easily locking condition
KR101566069B1 (en) * 2013-02-14 2015-11-04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diverging device for bus duct
KR20180010445A (en) 2016-07-21 2018-01-3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mold frame for joint of mold type busduct
KR20190049066A (en) * 2017-11-01 2019-05-09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Busduct connection kit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03273B2 (en) * 2009-03-30 2013-06-05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Plug-in equipment
JP2011097762A (en) * 2009-10-30 2011-05-12 Furukawa Electric Co Ltd:The Plug-in fitting
KR101104689B1 (en) * 2010-04-01 2012-01-16 주식회사 신화기전 Joint kit for bus duct
KR20130070833A (en) * 2011-12-20 2013-06-28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Bus duct joint kit for confirming easily locking condition
KR101566069B1 (en) * 2013-02-14 2015-11-04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diverging device for bus duct
KR20180010445A (en) 2016-07-21 2018-01-3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mold frame for joint of mold type busduct
KR20190049066A (en) * 2017-11-01 2019-05-09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Busduct connection ki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03270A1 (en) * 2021-07-19 2023-01-26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Bus duct and bus duct system provided with same
CN115579668A (en) * 2022-10-09 2023-01-06 广州南盾通讯设备有限公司 Clamping force is difficult for decay and less plug claw and jack box of required slot
CN115579668B (en) * 2022-10-09 2023-06-09 广州南盾通讯设备有限公司 Clamping force is difficult for decay and less claw and jack box of inserting of required slo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9296B1 (en) Bus duct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CA2681363C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ies and joint assemblies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US8547710B2 (en) Electromagnetically shielded power module
KR101566069B1 (en) diverging device for bus duct
US10401405B2 (en) Electrical meter center
WO2011142685A2 (en) Distribution meter cabinet with ventilation device for mounting on the posts, walls or on the stand to post on public areas, either independently or side-to-side
BRPI0711316A2 (en) high voltage fuse / switchgear maintenance device and method in an installation
KR100968588B1 (en) Uninterrupted power supply bypass device for repairing underground power lines and equipments and method thereof
KR102336382B1 (en) Safety line detection current transformer
AU715916B2 (en) Switching device with movable connecting leads
KR102288149B1 (en) Bus duct
US9673602B2 (en) System for isolating power conductors using cover assemblies
KR100714799B1 (en) A compound distributing board
KR100704226B1 (en) A compound distributing board
CN103683167B (en) Split-type terminal box protective cover
KR100643184B1 (en) A high voltage cable connecting housing
KR20100029809A (en) Uninterrupted power supply bypass device for repairing underground power lines and equipments and method thereof
KR20120045704A (en) Fabricated cabinet panel
KR101941666B1 (en) Terminal unit of power system control circuit for transformer equipment
CN109564841A (en) For the voltage tap head system of Fuse box matrix, Fuse box matrix and the measurement module for combining the system
CN208986371U (en) A kind of Combined insulating box body structure and switch cabinet busbar insulation protecting box
GB2557947A (en) Improvements to safety enclosures for covering linkages between items of hazardous equipment
KR200412122Y1 (en) Electric busway system
KR102474570B1 (en) providing method for a distribution box
KR200187954Y1 (en) Heat pipe laying monito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