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7621B1 - 휴대장치 및 그 컨텐츠 공유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장치 및 그 컨텐츠 공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7621B1
KR102157621B1 KR1020140002823A KR20140002823A KR102157621B1 KR 102157621 B1 KR102157621 B1 KR 102157621B1 KR 1020140002823 A KR1020140002823 A KR 1020140002823A KR 20140002823 A KR20140002823 A KR 20140002823A KR 102157621 B1 KR102157621 B1 KR 102157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unit
portable device
contact
ic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2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3266A (ko
Inventor
이강민
한선영
유임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2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7621B1/ko
Publication of KR20150083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3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7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7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file transfer between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장치 및 그 컨텐츠 공유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자석을 포함하는 타 기기의 접촉을 감지하는 자기 감지부와; 자기 감지부에서 타 기기의 접촉이 감지되면, 타 기기와의 통신 연결을 수행하고, 타 기기가 접촉되는 방향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 컨텐츠 공유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자기 감지부와 자석을 이용한 기기 간 접촉에 따라 통신 연결을 자동으로 수행 및 컨텐츠가 공유되므로, 기기 간 호환성, 재료비 상승 및 소비 전력의 문제가 개선될 수 있으며, 정보의 보안 유지가 용이하고, 사용자 편의가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휴대장치 및 그 컨텐츠 공유 방법{PORTABLE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CONTENT THEREOF}
본 발명은 휴대장치 및 그 컨텐츠 공유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장치와 타 기기 간에 통신 연결을 수행하고 컨텐츠를 공유하는 휴대장치 및 그 컨텐츠 공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휴대장치의 사용이 확대됨에 따라, 휴대장치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 및 기능들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의 발달과 사용자들의 다양한 요구에 대응하여 하나의 휴대장치에서부터 다른 휴대장치로 데이터(예를 들어, 음악, 동영상 등)를 공유하는 기기 간 컨텐츠 공유 및 그 연계 서비스를 위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컨텐츠 공유 및 연계 서비스를 위해서는 사용자가 해당 서비스를 실행하고, 컨텐츠가 공유되는 기기의 탐색 및 선택 등의 복잡한 사전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기기간 컨텐츠 전송을 위해 많이 사용되는 블루투스(Bluetooth)나,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의 경우, 서비스 활성화, 기기 탐색, 기기 선택, 컨텐츠 선택, 컨텐츠 전송 순서로 진행되며, 이 모든 과정을 사용자가 수작업을 통해 진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최근 NFC, IR 등을 이용한 기기 연결 솔루션이 출시되고 있으나, 해당 솔류션을 지원하는 추가 모듈로 인한 제품의 단가 상승 및 모듈 미탑재 제품과의 호환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보안 및 전력 문제로 서비스 이용을 위해서는 여전히 사용자의 사전 작업을 필요로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NFC의 경우, 제품 후면 탑재로 인해 기기 뒷면을 서로 맞댄 상태에서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성에 불편을 초래할 수 있으며, 서비스 종료 시점이 불분명하여 불필요한 전력 낭비 및 보안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자석을 포함하는 타 기기의 접촉을 감지하는 자기 감지부와; 자기 감지부에서 타 기기의 접촉이 감지되면, 타 기기와의 통신 연결을 수행하고, 타 기기가 접촉되는 방향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 컨텐츠 공유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휴대장치의 컨텐츠 중에서 타 기기와 공유되는 컨텐츠의 아이콘이 위치 가능한 공유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축소 또는 스크롤하여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드래그 앤 드롭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고, 제어부는, 소정 컨텐츠의 아이콘을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위치되게 이동시키는 드래그 앤 드롭에 대응하여, 이동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타 기기와 공유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통신 연결에 의해 타 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자기 감지부에서 타 기기의 접촉이 분리되는 것이 감지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위치된 아이콘의 컨텐츠를 타 기기로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컨텐츠의 전송이 완료되면, 전송된 컨텐츠의 아이콘을 타 기기와 공유되었음을 나타내도록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통신 연결에 의해 타 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자기 감지부에서 타 기기의 접촉이 분리되는 것이 감지되면, 타 기기로부터 공유 대상 컨텐츠를 수신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컨텐츠의 수신이 완료되면, 수신된 컨텐츠의 아이콘을 타 기기와 공유되었음을 나타내도록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자기 감지부의 센싱 데이터의 변경에 대응하여 타 기기의 접촉 여부, 접촉 방향 및 접촉 자세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라 타 기기와의 통신 연결 수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결정 결과에 따라 타 기기에 통신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제어부는 휴대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브로드 캐스팅 신호를 사용하여 통신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자성을 가지는 자석과; 자석이 마련된 방향에 접촉된 타 기기로부터 통신 연결 요청이 수신되면, 타 기기와의 통신 연결을 수행하고, 타 기기가 접촉되는 방향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 컨텐츠 공유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드래그 앤 드롭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고, 제어부는, 소정 컨텐츠의 아이콘을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위치되게 이동시키는 드래그 앤 드롭에 대응하여, 이동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타 기기와 공유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장치의 컨텐츠 공유방법에 있어서, 자석을 포함하는 타 기기의 접촉을 감지하는 단계와; 감지된 타 기기의 접촉에 대응하여 타 기기와의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와; 타 기기가 접촉되는 방향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 컨텐츠 공유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휴대장치의 컨텐츠 중에서 타 기기와 공유되는 컨텐츠의 아이콘이 위치 가능한 공유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축소 또는 스크롤하여 표시할 수 있다.
소정 컨텐츠의 아이콘을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위치되게 이동시키는 드래그 앤 드롭을 입력받는 단계와; 이동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타 기기와 공유하도록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기 감지부에서 타 기기의 접촉이 분리되는 것을 감지하는 단계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위치된 아이콘의 컨텐츠를 타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의 전송이 완료되면, 전송된 컨텐츠의 아이콘을 타 기기와 공유되었음을 나타내도록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기 감지부에서 타 기기의 접촉이 분리되는 것을 감지하는 단계와; 타 기기로부터 공유 대상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의 수신이 완료되면, 수신된 컨텐츠의 아이콘을 타 기기와 공유되었음을 나타내도록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타 기기의 접촉을 감지하는 단계는, 자기 감지부의 센싱 데이터의 변경에 대응하여 타 기기의 접촉 여부, 접촉 방향 및 접촉 자세를 감지하는 단계와; 감지 결과에 따라 타 기기와의 통신 연결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결정 결과에 따라 타 기기에 통신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는, 휴대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브로드 캐스팅 신호를 사용하여 통신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컨텐츠 공유 시스템을 구성하는 휴대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3과 도 4는 제1 및 제2 휴대장치의 접촉 전 후 자기 감지부의 센싱 데이터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휴대장치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된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휴대장치의 컨텐츠 공유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컨텐츠 공유 시스템을 구성하는 휴대장치(101, 102)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 일실시예에 의한 컨텐츠 공유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공유가 가능한 복수의 휴대장치(100)로서, 제1휴대장치(101)와, 제2휴대장치(102)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장치(100)는 스마트폰, 태블릿을 포함한 디지털 기기(스마트 기기)로 구현되며, 이하에서는 휴대장치(100)가 스마트폰으로 구현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및 제2 휴대장치(101, 102)는 각각의 통신부를 이용하여,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상호간에 접속 가능하다. 도 1에서는 편의상 2개의 휴대장치(101, 102)가 상호간에 통신을 수행하여 컨텐츠가 공유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 컨텐츠 공유 시스템은 3개 이상의 휴대장치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장치(101, 102)의 일 측면에는 자성을 감지하는 자기감지부(magnetic sensor)(171)가 마련되고, 타 측면에는 약한 자성을 가지는 자석(magnet)(175)이 부착된다. 여기서, 어느 하나의 휴대장치(101)에 포함된 자석(174)은 타 기기(102)에 마련된 자기감지부(171)에서 자성을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과 같이, 휴대장치(101, 102)의 전면 상부 좌측에 자기감지부(171)가 마련된 경우, 자석(174)은 측면 상부 우측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과 같이 나란하게 위치된 제1 및 제2 휴대장치(101, 102)가 상호 근접 또는 접촉하면, 제1휴대장치(101)의 자석(174)의 자성을 제2휴대장치(102)의 자기감지부(171)에서 감지하게 되고, 그 결과가 제2휴대장치(102)의 제어부(도 2의 110)로 전달된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휴대장치(100)의 전면 중앙부에는 디스플레이부(190)가 위치하며, 디스플레이부(190)는 터치스크린(191)을 포함한다. 휴대장치(100)에 사용자가 로그인하는 경우, 터치스크린(191)에는 홈 화면을 포함한 다양한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휴대장치(100)는 서로 다른 복수의 홈 화면들을 가질 수 있다. 홈 화면에는 터치에 의해 선택가능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단축 아이콘, 날씨 위젯 및 시계 위젯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은 컴퓨터용 OS(Operating System) 또는 모바일 OS 위에서 실행되어 사용자가 직접 사용하는 소프트웨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워드 프로세서, 스프레드 시트, SNS(Social Network System), 채팅(chatting), 지도(Map), 뮤직 플레이어 및 동영상 플레이어 등이 있다.
위젯(widget)은 사용자와 어플리케이션 또는 OS와의 상호 작용을 보다 원활하게 지원해주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Graphic User Interface) 중 하나인 미니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날씨 위젯, ·계산기 위젯, 시계 위젯 등이 있다. 단축 아이콘 형태로 만들어 데스크 탑 또는 휴대장치, 블로그, 카페, 개인 홈페이지 등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웹 브라우저를 통하지 않고 클릭을 통해 해당 서비스를 바로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든 것이다. 또한, 위젯은 지정된 경로로 바로 가기 또는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가능한 단축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어플리케이션은 위젯을 포함한다.
홈 화면의 상단에는 배터리 충전상태, 수신신호의 세기, 현재 시각과 같은 휴대장치(100)의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바(Status Bar)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에 따라 휴대장치(100)는 홈 화면을 상태 바의 하단에 위치하거나 또는 상태바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자기감지부(171)는 근접 센서로서, 휴대장치(100)의 전면 상부 일측, 예를 들어 도 1과 같이 좌측에 위치할 수 있다. 휴대장치(100)의 전면 상부에는 제1카메라(151), 조도 감지부(172)가 더 위치할 수 있다. 휴대장치(100)의 후면 상부에는 제2카메라(152) 및 선택적으로 플래시(flash)(153)가 위치할 수 있다. 제1카메라(151)와 제2카메라(152)는 촬영대상을 인식하는 영상감지부(150)에 포함된다.
휴대장치(100)의 측면에는 예를 들어 전원/잠금 버튼, 볼륨 버튼, 하나 또는 복수의 마이크(162) 등이 위치할 수 있다. 휴대장치(100)의 하단 측면에는 커넥터(165)가 마련되어 휴대장치를 포함하는 타 기기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물리적인 버튼, 터치스크린(191)에 표시되는 키패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가능한 별도의 입력장치(포인팅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입력유닛을 정의할 수 있으며, 입력유닛은 터치스크린(191)에 대한 사용자의 신체(예를 들어, 손가락)에 의한 터치를 수신할 수 있다. 입력유닛은 터치 입력을 포함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기 설정된 다양한 제어 커맨드 또는 정보를 제어부(110)에 전달한다.
본 실시예의 휴대장치(100)는 후술하는 이동통신부(120) 또는 서브통신부(130)를 이용하여 타 기기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 송/수신에 따라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휴대장치(100)는 터치스크린(191)을 가지고, 서브통신부(130)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 가능한 장치로서 정의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휴대장치(100)의 구성은 도 1의 제1휴대장치(101) 및 제2휴대장치(102)에 공통적으로 적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90)로서 터치스크린(191)과,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를 포함한다. 휴대장치(100)는 제어부(110), 이동통신부(120), 서브통신부(130), 영상처리부(140), 영상감지부(150), GPS 유닛(155), 입/출력 유닛(160), 감지부(170), 저장부(175) 및 전원공급부(180)를 포함한다.
서브통신부(130)은 무선랜 유닛(131) 및 근거리 통신부(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영상처리부(140)는 방송통신 유닛(141), 오디오재생 유닛(142) 및 동영상재생 유닛(14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영상감지부(150)는 제1카메라(151) 및 제2카메라(1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입/출력 유닛(160)은 버튼(161), 마이크(162), 스피커(163), 진동모터(164), 커넥터(165), 키패드(166) 및 입력장치(167)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감지부(170)는 자기감지부(171), 조도감지부(172) 및 자세감지부(173)를 포함한다.
제어부(110)는 AP(Application Processor, 111), 휴대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112) 및 휴대장치(100)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휴대장치(100)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작업에 대한 저장 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 1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휴대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휴대장치(100)의 내부 구성요소들(120 내지 195)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10)는 전원공급부(180)로부터 내부 구성요소들(120 내지 195)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한다. 또한, 사용자의 입력 또는 설정되어 저장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저장부(175)에 저장된 OS(Operation System) 및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어부(110)는 AP(111), 롬(112) 및 램(113)을 포함한다. AP(111)는 그래픽 처리를 위한 GPU(Graphic Processing Unit, 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AP(111)는 코어(core, 도시되지 아니함) 및 GPU(도시되지 아니함)가 SoC(System On Chip)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AP(111)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쿼드 코어 및 그 배수의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AP(111), 롬(112) 및 램(113)은 내부 버스(bus)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이동통신부(130), 서브통신부(130), 영상처리부(140), 영상감지부(150), GPS 유닛(155), 입/출력 유닛(160), 감지부(170), 저장부(175), 전원공급부(180), 터치스크린(191) 및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를 제어할 수 있다.
이동통신부(130)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안테나(도시되지 아니함)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에 의해 외부장치 즉, 타 기기와 연결할 수 있다. 이동통신부(130)은 휴대장치(100)와 연결가능한 전화번호를 가지는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또는 다른 휴대장치와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문자메시지(SMS), 멀티미디어 메시지(MMS)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서브통신부(130)은 무선랜 유닛(131)과 근거리 통신부(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랜 유닛(131)만 포함하거나, 근거리 통신부(132)만 포함하거나 또는 무선랜 유닛(131)과 근거리 통신부(132)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무선랜 유닛(131)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AP(access point)(도시되지 아니함)가 설치된 장소에서 무선을 이용하여 AP(access point)와 연결될 수 있다. 무선랜 유닛(131)은 미국전기전자학회(IEEE)의 무선랜 규격(IEEE802.11x)을 지원한다. 또한, 근거리 통신부(132)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AP(access point)없이 무선으로 타 기기 즉, 외부장치와 사이에 근거리 통신을 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블루투스 저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와이파이(Wi-Fi) 즉,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휴대장치(100)는 성능에 따라 이동통신부(130), 무선랜 유닛(131) 및 근거리 통신부(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장치(100)는 성능에 따라 이동통신부(130), 무선랜 유닛(131), 및 근거리 통신부(132)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브통신부(13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타 기기(예를 들어, 다른 사용자의 휴대장치)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의 송/수신 동작에 의해 타 기기와 컨텐츠가 공유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110)는 후술하는 자기 감지부(171)에서 타 기기의 접촉이 감지되면, 컨텐츠 공유를 위해 근거리 통신부(132)의 통신연결을 설정하는 것을 일례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통신부라는 용어는 이동통신부(120)와 서브통신부(130)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동통신부(120)와 서브통신부(130)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영상처리부(140)는 방송통신 유닛(141), 오디오 재생 유닛(142) 또는 동영상 재생 유닛(143)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통신 유닛(141)은 제1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방송통신 안테나(도시되지 아니함)를 통해 외부의 방송국에서부터 송출되는 방송 신호(예를 들어, TV방송 신호, 라디오방송 신호 또는 데이터방송 신호) 및 방송부가 정보(예를 들어, EPS(Electric Program Guide) 또는 ESG(Electric Service Guide))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수신된 방송 신호 및 방송부가 정보를 비디오 코덱 유닛(Codec unit) 및 오디오 코덱 유닛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90) 및 스피커(163)에서 재생 가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오디오 재생 유닛(142)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휴대장치(100)의 저장부(175)에 기 저장되거나 또는 외부에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소스(예를 들어, 파일 확장자가 mp3, wma, ogg 또는 wav인 오디오 파일)를 스피커(163)에서 재생 가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오디오 재생 유닛(142)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터치스크린(191)에서 검출되는 터치 또는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대응되는 청각 피드백(예를 들어, 저장부(175)에 저장된 오디오 소스의 출력 등)을 오디오 코덱 유닛을 통해 재생할 수도 있다.
동영상 재생 유닛(143)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휴대장치(100)의 저장부(175)에 기 저장되거나 또는 외부에서부터 수신되는 디지털 동영상 소스(예를 들어, 파일 확장자가 mpeg, mpg, mp4, avi, mov, 또는 mkv인 파일)을 비디오 코덱 유닛을 이용하여 재생할 수 있다. 휴대장치(100)에 설치 가능한 대부분의 어플리케이션은 오디오 코덱 유닛 또는 비디오 코덱 유닛을 이용하여 오디오 소스 또는 동영상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동영상 재생 유닛(143)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터치스크린(191)에서 검출되는 터치 또는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대응되는 시각 피드백(예를 들어, 제1저장부(175)에 저장된 동영상 소스의 출력 등)을 비디오 코덱 유닛을 통해 재생할 수 있다.
많은 종류의 비디오 및 오디오 코덱 유닛이 생산 및 판매되고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영상처리부(140)는 휴대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대응하여 방송통신 유닛(141)을 제외하고 오디오재생 유닛(142)과 동영상재생 유닛(14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영상처리부(140)의 오디오재생 유닛(142) 또는 동영상재생 유닛(143)은 제어부(110)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비디오 코덱 유닛 이라는 용어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비디오 코덱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오디오 코덱 유닛 이라는 용어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오디오 코덱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감지부(15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정지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전면의 제1카메라(151) 및 후면의 제2카메라(1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감지부(150)는 제1카메라(151)와 제2카메라(152) 중 하나 또는 양자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카메라(151) 또는 제2카메라(152)는 촬영에 필요한 광량을 제공하는 보조 광원(예를 들어, 플래시(15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GPS 유닛(155)은 지구 궤도상에 있는 복수의 GPS 위성(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주기적으로 정보(예를 들어, 휴대장치(100)에 수신가능한 GPS위성(도시되지 아니함)의 정확한 위치 정보와 시간 정보)를 수신한다. 휴대장치(100)는 복수의 GPS위성에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휴대장치(100)의 위치, 속도 또는 시간을 알 수 있다.
입/출력 유닛(160)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버튼(161), 마이크(162), 스피커(163), 진동모터(164), 커넥터(165), 키패드(166) 및 입력장치(167)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161)은 전면의 하부에 마련되는 메뉴 버튼, 홈 버튼, 및 돌아가기 버튼(back button)을 포함한다. 버튼(161)은 측면의 전원/잠금 버튼 및 볼륨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휴대장치(100)에서 버튼(161)은 물리적 버튼이 아니라 터치스크린(191)에 마련된 터치 버튼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휴대장치(100)에서 버튼(161)은 터치스크린(191)내에 텍스트 또는 아이콘으로 표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휴대장치(100)의 입/출력 유닛(160)은 터치스크린(191)에 표시된 컨텐츠에 대한 인터랙션 즉, 터치 또는 터치 제스쳐에 따른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마이크(162)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외부에서부터 음성(voice) 또는 사운드(sound)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한다. 마이크(162)에서 생성된 전기적인 신호는 오디오 코덱 유닛에서 변환되어 저장부(175)에 저장되거나 또는 스피커(163)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62)는 휴대장치(100)의 전면, 측면 및 후면에 하나 또는 둘 이상 위치할 수 있다.
스피커(163)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오디오 코덱 유닛을 이용하여 이동통신부(130), 서브통신부(130), 영상처리부(140) 또는 영상감지부(150)의 다양한 신호(예를 들어, 무선신호, 방송신호, 오디오 소스, 동영상 파일 또는 사진 촬영 등)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휴대장치(100)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63)는 휴대장치(100)가 수행하는 기능에 대응되는 사운드(예를 들어, 전화 번호 입력에 대응되는 터치 조작음, 또는 사진촬영 버튼 조작음)를 출력할 수 있다. 휴대장치(100)의 전면, 측면 및 후면에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163)가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스피커(163)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터치스크린(191)에서 검출되는 터치 또는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대응되는 청각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진동 모터(164)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터(164)는 리니어 진동 모터, 바 타입 진동 모터, 코인 타입 진동 모터 또는 압전 소자 진동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휴대장치에서부터 음성통화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진동 모드인 휴대장치(100)의 진동모터(164)가 동작한다. 진동모터(164)는 휴대장치(100)에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진동모터(164)는 휴대장치(100) 전체를 진동되게 하거나 또는 휴대장치(100)의 일부분만 진동되게 할 수 있다.
커넥터(165)는 휴대장치(100)와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이용될 수 있다.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휴대장치(100)는 커넥터(165)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저장부(175)에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거나 또는 외부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휴대장치(100)는 커넥터(165)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전원소스에서부터 전원이 입력되거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를 충전할 수 있다. 또한, 휴대장치(100)는 커넥터(165)를 통해 외부의 액세서리(예를 들어, 키보드 도크(keyboard dock), 도시되지 아니함)와 연결될 수 있다.
키패드(166)는 휴대장치(100)의 제어를 위해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키패드(166)는 휴대장치(100)에 전면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 터치스크린(191)내 표시되는 가상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 및 무선으로 연결가능한 물리적인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한다. 휴대장치(100)의 전면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는 휴대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제외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입력장치(167)는 휴대장치(100)의 터치스크린(191)에 표시되는 화면에 표시되는 오브젝트(object, 예를 들어, 메뉴,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도형, 아이콘 및 단축 아이콘)를 터치하거나 선택할 수 있다. 입력장치(167)는 휴대장치(100)의 터치스크린(191)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로서 컨텐츠(content)를 터치하거나 선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컨텐츠는 휴대장치(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카메라(151, 152)를 통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 저장부(175)에 저장된 미디어 데이터, 문서나 연락처 등의 텍스트 데이터 등의 타 기기와 송수신이 가능한 다양한 데이터를 모두 포함한다.
입력장치(167)는 예를 들어, 정전 용량 방식, 저항방식 및 전자기 유도(electromagnetic induction) 방식의 터치스크린을 터치하거나 가상 키보드를 이용하여 문자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입력장치(167)는 예를 들어 포인팅 디바이스, 스타일러스, 휴대장치(100)의 통신부(130)로부터 수신된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내장된 펜 진동 소자(예를 들어, 진동 모터 또는 액추에이터(actuator))가 진동하는 햅틱 펜(haptic pe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장치(100)에서부터 수신되는 제어 정보가 아니라 입력장치(167)에 내장된 센서(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 도시되지 아니함)에서 검출된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진동 소자가 진동할 수 있다. 입력장치(167)는 휴대장치(100)의 삽입구에 삽입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휴대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제외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감지부(170)는 휴대장치(100)의 상태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감지부(170)는 사용자의 휴대장치(100)의 전면 상부 일측에 위치하고, 휴대장치(100)에 대한 접근여부를 검출하는 근접 센서로 마련된 자기 감지부(171), 휴대장치(100) 주변의 빛의 양을 검출하는 조도 감지부(172), 휴대장치(100)의 자세 및 방향을 검출하는 자세 감지부(173), 중력의 작용 방향을 검출하는 중력 센서(Gravity Sensor), 또는 대기의 압력을 측정하여 고도를 검출하는 고도계(Altimeter)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 감지부(173)는 회전관성을 이용하는 자이로 센서, 휴대장치(100)에 가해지는 3축(예를 들어, x축, y축, z축)의 기울기를 검출하는 가속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170)은 휴대장치의 운동 가속도와 중력 가속도가 더해진 가속도를 측정가능하며, 휴대장치(170)가 움직이지 않는 경우, 중력 가속도만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장치(100)의 전면이 위로 향하는 경우, 중력 가속도는 양(+)방향이고, 휴대장치(100)의 후면이 위로 향하는 경우, 중력가속도는 음(-)의 방향일 수 있다.
감지부(17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휴대장치(100)의 상태를 검출하고, 검출에 대응되는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서 자기 감지부(171)는 자석(174)을 포함하는 타 기기의 접촉이 감지되면, 그에 대응되는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한다.
감지부(170)의 센서는 휴대장치(100)의 성능에 따라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저장부(175)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부(130), 서브통신부(130), 영상처리부(140), 영상감지부(150), GPS 유닛(155), 입/출력 유닛(160), 감지부(170), 및 터치스크린(191)의 동작에 대응되게 입/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75)는 휴대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과 제조사에서 제공되거나 외부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GUI(graphical user interface), GUI를 제공하기 위한 이미지들, 사용자 정보, 문서, 데이터베이스들 또는 관련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75)에는 컨텐츠 공유를 위해 타 기기로 송신 가능한 컨텐츠, 타 기기로부터 수신된 컨텐츠가 저장된다.
저장부(175)는 터치 및/또는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대응되는 터치 정보(예를 들어, 검출된 터치 위치의 X와 Y좌표, 터치 검출 시간 등)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75)는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의 종류(예를 들어, 플릭, 드래그 또는 드래그 앤 드롭)도 저장할 수 있으며, 제어부(110)는 입력된 사용자 터치를 저장부(175)의 정보와 비교하여, 터치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다. 저장부(175)는 입력되는 터치 또는 터치 제스처에 대응되어 터치스크린(190)에 출력되는 사용자가 인지가능한 시각 피드백(예를 들어, 비디오 소스 등), 스피커(163)에서 출력되는 사용자가 인지가능한 청각 피드백(예를 들어, 사운드 소스 등) 및 진동 모터(164)에서 출력되는 사용자가 인지가능한 촉각 피드백(예를 들어, 햅틱 패턴 등)을 더 저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저장부(175)에는 타 기기의 접촉에 따른 자기 감지부(171)의 센싱 데이터 정보가 저장된다. 제어부(110)는 자기 감지부(171)를 통해 센싱 데이터의 변경이 검출되면, 변경된 센싱 데이터의 값을 저장부(175)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타 기기의 접촉 여부, 접촉 방향 및 접촉 자세를 감지할 수 있다.
도 3과 도 4는 제1 및 제2 휴대장치(101, 102)의 접촉 전 후 자기 감지부(171)의 센싱 데이터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휴대장치(101, 102)는 서로 분리된 미 접촉 상태에서의 자기 감지부(171)의 센싱 데이터(31)와, 접촉 상태에서의 자기 감지부(171)의 센싱 데이터(32)가 서로 상이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가기 감지부(171)의 센싱 데이터는 제1 및 제2 휴대장치(101, 102)의 접촉 방향 및 접촉 자세에 따라 그 값이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도 4의 경우를 예로 들면, 제2휴대장치(102)의 제어부(110)는 자기 감지부(171)에서 제1휴대장치(101)의 접촉이 검출되면, 센싱 데이터를 통해 자기 감지부(171)가 위치된 방향 즉, 좌측에 제1휴대기기(101)가 접촉되었는지 여부와, 제2휴대기기(102)와 같은 자세 즉, 동일한 롤(Roll), 요(Yaw), 피치(Pitch) 값을 가지도록 제1휴대기기(101)가 접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제어부(110)는 자기 감지부(171)가 위치된 방향에, 당해 휴대장치(101)가 같은 자세를 가진 타 기기가 접촉되는 것을 감지하여, 컨텐츠 공유를 위한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저장부 라는 용어는 저장부(175), 제어부(110) 내 롬(112), 램(113) 또는 휴대장치(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도시되지 아니함)(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한다. 저장부(175)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8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휴대장치(100) 내부에 위치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배터리는 전면에 위치하는 터치스크린(191)과 후면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전원공급부(18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커넥터(165)와 연결된 유선 케이블(도시되지 아니함)을 통해 외부의 전원 소스(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휴대장치(100)로 공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90)는 영상처리부(140)에서 처리되는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한다.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부(190)는 휴대장치(100)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컨텐츠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90)의 구현 방식은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액정(liquid crystal), 플라즈마(plasma),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면전도 전자총(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나노 크리스탈(nano-crysta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1)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예를 들어, 통화, 데이터 전송, 방송, 사진촬영, 동영상,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1)은 GUI를 통해 입력되는 싱글 터치 또는 멀티 터치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로 전송한다. 터치스크린(191)은 사용자의 신체(예를 들어, 엄지를 포함하는 손가락) 또는 터치가능한 입력장치(167)를 통해 싱글 터치 또는 멀티 터치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터치는 터치스크린(191)과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가능한 입력장치(167)의 접촉에 한정되지 않고, 비접촉(예를 들어, 터치스크린(191)과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스크린(191)과 입력장치(167)과의 검출가능한 간격이 30 mm 이하의 호버링(hovering))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1)에서 검출가능한 비접촉 간격은 휴대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터치스크린(191)은 예를 들어, 저항막(resistive) 방식, 정전 용량(capacitive) 방식, 적외선(infrared) 방식 또는 초음파(acoustic wave)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는 터치스크린(191)에서부터 수신된 싱글 터치 또는 멀티 터치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예를 들어, 검출된 터치 위치에 대응되는 X와 Y좌표)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한다. 제어부(110)는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에서부터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191) 상의 터치 위치에 대응되는 X와 Y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에서부터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191)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입력된 터치에 응답하여 터치스크린(191)에 표시된 아이콘이 선택되었음을 다른 아이콘과 구분되게 표시하거나 또는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터치스크린(191)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나 또는 복수의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는 하나 또는 복수의 터치스크린(190)을 제어할 수 있다. 휴대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대응하여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는 제어부(110)에 포함될 수도 있다.
사용자의 터치는 드래그(drag), 플릭(flick),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 탭(tap), 롱 탭(long tap), 더블 탭(double tap) 등을 포함한다.
드래그(drag)는 사용자가 화면 내 손가락이나 입력장치(167)를 이용한 터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화면 내의 다른 위치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의미한다. 드래그 동작으로 인하여 선택된 오브젝트가 이동될 수 있다. 또한, 화면 내 오브젝트를 선택하지 않고 화면을 터치하여 드래그하는 경우, 드래그에 의해 화면이 이동하거나 다른 화면이 표시된다.
플릭(flick)은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입력장치(167)를 이용하여 임계 속도(예를 들어, 100 pixel/s) 이상으로 드래그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손가락이나 입력 유닛의 이동 속도 및 임계 속도(예컨대, 100 pixel/s)의 비교하여 드래그와 플릭을 구별할 수 있다.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은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입력장치(167)를 이용하여 선택한 오브젝트를 화면 내 다른 위치로 드래그한 후 놓는 동작을 의미한다. 드래그 앤 드롭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는 다른 위치로 이동된다.
탭(tap)은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입력장치(167)를 이용하여 화면을 빠르게 터치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손가락이나 입력장치(167)가 화면에 닿는 시점과 터치 후 손가락이나 입력장치(167)가 화면에서 떨어지는 시점의 시간 차이가 매우 짧은 경우를 의미한다.
롱 탭(long tap)(이하, 롱 프레스(long press) 라고도 한다)은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터치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소정 시간 이상 화면을 터치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롱 탭은 손가락이나 입력장치(167)가 화면에 닿는 시점과 터치 후 손가락이나 입력장치(167)가 화면에서 떨어지는 시점의 시간 차이가 탭보다 길게 되며, 제어부(110) 기설정된 기준시간과 터치 시간(화면에 닿는 시점과 화면에서 떨어지는 시점의 시간 차이)을 비교하여, 탭과 롱 탭을 구별할 수 있다.
더블 탭(double tap)은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입력장치(167)를 이용하여 화면을 2회 연속하여 터치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제어부(110)는 컨텐츠의 편집에 응답하여 터치스크린(191) 및 통신부(120 또는 130)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터치가 멀티터치를 이용한 줌 인/아웃(zoom in/out) 조작인 경우, 이에 대응하여 오브젝트 영역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9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터치가 플릭(flick), 드래그(drag)와 같은 소정 방향으로의 연속적인 움직임을 가지는 경우, 사용자 터치의 움직임 방향에 대응하도록 오브젝트 영역을 이동하여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9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 도시된 휴대장치(100)의 구성 요소들은 휴대장치(100)의 성능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들의 위치는 휴대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이하, 휴대장치와 타 기기가 접촉하여, 통신 연결을 설정 및 컨텐츠를 공유하는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휴대장치(100)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된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의 실시예는 자석(174)을 포함하는 제1휴대장치(101)가 제2휴대장치(102)에 접촉되면, 제2휴대장치(102)의 자기 감지부(171)에서 이를 감지하고, 제2휴대장치(102)의 제어부(110)가 제1 및 제2 휴대기기(101, 102)의 통신 연결을 수행하고, 이에 따라 기기(101, 102)들 간에 컨텐츠가 공유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한 것으로, 제1휴대기기(101)가 타 기기로서 동작한다. 여기서, 도 5 내지 도 8의 실시예들이 제1휴대장치(101)의 자기 감지부(171)에서 제2휴대장치(102)(자석(174)을 포함)의 접촉을 감지하는 경우 즉, 제2휴대장치(102)가 타 기기로서 동작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휴대장치(102)의 제어부(110)는 자기 감지부(171)의 센싱 데이터의 변경에 대응하여 자석(174)이 구비된 제1휴대장치(101)가 접촉되는 것을 감지한다. 여기서, 도 1과 같이 제2휴대장치(102)는 자기 감지부(171)는 전면 좌측 상부에 위치되고, 제1휴대장치(101)의 자석(174)은 측면 우측 상부에 마련되어, 제2휴대장치(102)의 자기 감지부(171)에서 접촉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5와 같이 제1휴대장치(102)는 제2휴대장치(102)의 자기 감지부(171)의 위치에 대응하게, 제2휴대장치(102)와 동일한 자세로 접촉된다.
제2휴대장치(102)의 제어부(110)는 자기 감지부(171)의 센싱 데이터 변경에 대응하여 타 기기(101)의 접촉 여부, 접촉 방향 및 접촉 자세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라 타 기기(101)와의 통신 연결 수행 여부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제2휴대장치(102)의 제어부(110)는 저장부(175)에 기저장된 정보를 참조하여 제2휴대장치(102)와 같은 자세 즉, 동일한 롤(Roll), 요(Yaw), 피치(Pitch) 값을 가지는 타 기기인 제1휴대장치(101)와 통신 연결을 수행하도록 결정하게 된다.
제2휴대장치(102)의 제어부(110)는 제2휴대장치(102)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신호를 사용하여 통신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브로드 캐스팅 신호는 이동 통신부(130)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요청 대상인 통신은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을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일 수 있으며, 블루투수의 경우를 예로 들면, 식별정보는 제2휴대장치(102)의 어드레스 정보를 포함한다.
타 기기 즉, 제1휴대장치(101)는 제2휴대장치(102)로부터 브로드캐스팅 신호를 수신하고, 통신 연결을 수락한다. 여기서, 제1휴대장치(101)는 제1휴대장치(102)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브로드캐스팅 또는 유니캐스팅 신호를 사용하여 통신 연결을 수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휴대장치(101, 102) 간에 근거리 무선통신에 의한 통신 연결이 완료된다.
그리고, 제2휴대장치(102)의 제어부(110)는 타 기기(101)가 접촉되는 방향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부(190)의 일 영역에 컨텐츠 공유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52)를 표시한다. 타 기기(101)가 좌측에서 접촉되는 도 5의 경우를 예로 들면, 제2휴대장치(102)의 디스플레이부(190)의 좌측 영역에 사용자 인터페이스(52)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51)는 제2휴대장치(102)의 컨텐츠 중에서 타 기기와 공유되는 컨텐츠의 아이콘이 위치 가능한 바(bar) 형태의 공유 패널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부(1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52)의 표시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90)의 화면을 축소 또는 스크롤하여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90)를 제어한다.
한편, 제1휴대장치(101)의 제어부(110)도 제2휴대장치(102)의 접촉 방향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부(190)의 일 영역 예를 들어, 우측에 컨텐츠 공유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51) 즉, 공유 패널을 표시할 수 있으며, 제1휴대장치(101)의 제어부(110)도 사용자 인터페이스(51)의 표시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90)의 화면을 축소 또는 스크롤하여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90)를 제어한다.
도 6은 공유 패널(51, 52)의 열림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90)의 화면이 축소 또는 스크롤되는 실시예들을 예로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home) 화면은 가로 방향으로 스크롤(scroll)되어 표시된다. 또한, 도 6의 (b), (c), (d),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갤러리(gallery), 북마크(bookmark), 웹브라우저(web browser), 연락처(contact), 스케줄(schedule)에 각각 대응하는 화면은 가로 방향으로 축소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화면들은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에서는 디스플레이부(130)에서 표시 가능한 다양한 화면에서, 일 영역에서의 공유 패널(51, 52)의 열림에 대응하여 화면이 축소 또는 스크롤되어 표시되도록 구현 가능한 점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제1 및 제2 휴대장치(101, 102) 각각의 터치 스크린(191)은 장치 내의 소정 컨텐츠의 아이콘을 사용자 인터페이스(51, 52)에 위치되게 이동시키는 터치입력 즉, 드래그 앤 드롭을 수신하고, 제어부(110)는 드래그 앤 드롭에 의해 이동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타 기기와 공유하도록 결정한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를 예로 들면, 사용자는 제2휴대장치(102)의 컨텐츠 중에서 공유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아이콘(71)을 선택하고, 이를 드래그 앤 드롭에 의해 공유 패널(52)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7과 같이, 선택된 해당 아이콘(72)은 공유 패널(52)에도 위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제1휴대장치(101)의 컨텐츠 중이서 공유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선택하여, 이를 드래그 앤 드롭에 의해 공유 패널(51)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렇게 공유 패널(51, 52)에 위치되는 아이콘(72)에 대응하는 컨텐츠는 제1 및 제2 휴대장치(101, 102) 상호 간에 공유되도록 결정된다.
제2휴대장치(102)의 제어부(110)는 자기 감지부(171)에서 타 기기(101)의 접촉이 분리되는 것이 감지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52)에 위치된 아이콘(72)의 컨텐츠를 타 기기(101)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30)를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부(110)는 타 기기(171)의 접촉 감지에 대응하여 통신 연결이 완료된 근거리 통신부(132)를 이용하여 해당 컨텐츠를 타 기기(101)로 전송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휴대장치(101)의 제어부(110)는 제2휴대장치(102)의 접촉 분리에 대응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51)에 위치된 아이콘의 컨텐츠를 제2휴대장치(102)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휴대장치(101)는 제2휴대장치(102)로부터 접촉이 분리되었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여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2휴대장치(102)로부터의 통신 연결 요청에 대응하여 통신 연결이 완료된 근거리 통신부(132)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휴대장치(101, 102)의 접촉 분리에 대응하여 공유 패널(51, 52)은 닫히고, 디스플레이부(190)에는 컨텐츠가 송수신 중임을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더 표시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휴대장치(101, 102)의 제어부(110)는 컨텐츠의 송수신이 완료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컨텐츠의 아이콘을 타 기기와 공유되었음을 나타내도록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90)를 제어한다. 도 8의 경우를 예로 들면, 송수신에 따라 기기(101, 102)들 간에 공유된 컨텐츠의 아이콘에 대하여 하이라이트(또는 강조) 표시하는 포인터(81, 82)가 더 표시됨을 확인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휴대장치(101, 102)는 자석(174) 및 자기 감지부(171)를 이용한 상호간의 접촉 감지에 대응하여 통신 연결을 수행하고, 접촉 방향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부의 영역에 컨텐츠 공유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51, 52)를 표시하며, 접촉 분리가 감지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51, 52) 상에 위치된 아이콘의 컨텐츠를 상대 기기와 송수신하여, 해당 컨텐츠를 공유하도록 구현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방법에 관해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휴대장치(100)의 컨텐츠 공유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장치(100)는 자기 감지부(171)의 센싱 데이터 변경에 따라 자석(174)이 탑재된 타 기기의 접촉을 감지한다(S201).
단계 S201의 접촉 감지에 대응하여 휴대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접촉이 감지된 타 기기에 통신 연결을 요청한다(S203). 여기서, 제어부(110)는 통신 연결을 위한 휴대장치(100)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브로드캐스팅 신호를 사용하여 통신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휴대장치(100)는 단계 S203의 연결 요청을 수신한 타 기기로부터 연결 요청을 수락받는다(S205). 여기서, 타 기기로부터 수신된 연결 요청 수락 신호는 타 기기의 식별번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휴대장치(100)와 타 기기 간의 통신 연결이 완료된다.
여기서, 단계 S203 및 S204의 통신 연결은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의 근거리 통신부(132)에 대한 통신 연결일 수 있다.
한편, 단계 S201의 접촉 감지에 대응하여 휴대장치(100)의 타 기기가 접촉되는 방향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부(190)의 일 영역에 컨텐츠 공유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공유 패널(52)이 열림 즉, 표시된다(S207). 여기서, 표시된 공유 패널(52)은 휴대장치(100)의 컨텐츠 중에서 타 기기와 공유되는 컨텐츠의 아이콘이 위치 가능하며, 공유 패널(52)의 표시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90)의 화면이 축소 또는 스크롤하여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단계 S207에서 표시된 공유 패널(52)을 이용하여 공유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선택한다(S209). 여기서, 휴대장치(100)는 공유 대상인 컨텐츠의 아이콘(71)을 공유 패널(52)에 위치되게 이동시키는 사용자로부터의 드래그 앤 드롭에 의해 공유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선택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자기 감지부(171)는 자기 감지부(171)의 센싱 데이터 변경에 따라 단계 S201에서 접촉된 타 기기의 접촉이 분리되는 것을 감지한다(S211).
단계 S211의 접촉 분리에 대응하여 단계 S207에서 열린 공유 패널(52)이 닫힌다(S213).
그리고, 제어부(110)는 단계 S209에서 선택된 컨텐츠를 타 기기로 전송하여 공유한다(S215). 여기서, 휴대장치(100)는 타 기기에서 공유하도록 선택된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 송수신 과정은 단계 S204 및 S205의 과정에 의해 통신 연결된 통신부(130) 즉, 근거리 통신부(132)에 의해 수행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장치는 자기 감지부와 자석을 이용하여 기기 간 접촉을 인지하고, 이를 기반으로 접촉된 기기 간의 통신 연결을 자동으로 수행 및 컨텐츠 공유가 가능하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스마트 기기에 일반적으로 탑재된 자기 감지부를 이용한 자동 통신 연결을 지원하므로, 기기 간 호환성, 재료비 상승 및 소비 전력의 문제가 개선될 수 있으며, 기기가 접촉된 상태에서만 컨텐츠 공유가 가능하므로, 정보의 보안 유지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접촉된 기기 간에 컨텐츠 공유를 위한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표시하여, 공유 서비스의 시작 및 종료 시점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공유 대상의 컨텐츠 아이콘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이동시키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위치된 아이콘의 컨텐츠가 자동으로 상대 기기로 전송되는 간편한 방식으로 컨텐츠가 공유되므로, 사용자 편의가 보다 향상된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100 : 휴대장치 110: 제1제어부
120, 130 : 통신부 140 : 영상처리부
150 : 영상감지부 160 : 입/출력 유닛
170 : 감지부 171 : 자기 감지부
174 : 자석 175 : 저장부
180 : 전원공급부 190 : 디스플레이부
191 : 터치스크린 195 : 터치스크린 컨트롤러

Claims (24)

  1. 휴대장치에 있어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자석을 포함하는 타 기기의 접촉을 감지하는 자기 감지부와;
    상기 자기 감지부에서 상기 타 기기의 접촉이 감지되면, 상기 타 기기와의 통신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타 기기가 접촉되는 방향에 대응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 컨텐츠 공유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휴대장치의 컨텐츠 중에서 상기 타 기기와 공유할 컨텐츠의 아이콘이, 사용자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영역 내에 위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축소 또는 스크롤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드래그 앤 드롭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소정 컨텐츠의 아이콘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위치되게 이동시키는 드래그 앤 드롭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상기 타 기기와 공유하도록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연결에 의해 상기 타 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기 감지부에서 상기 타 기기의 접촉이 분리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위치된 아이콘의 컨텐츠를 상기 타 기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의 전송이 완료되면, 상기 전송된 컨텐츠의 아이콘을 상기 타 기기와 공유되었음을 나타내도록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연결에 의해 상기 타 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기 감지부에서 상기 타 기기의 접촉이 분리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타 기기로부터 공유 대상 컨텐츠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의 수신이 완료되면, 상기 수신된 컨텐츠의 아이콘을 상기 타 기기와 공유되었음을 나타내도록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장치.
  9.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기 감지부의 센싱 데이터의 변경에 대응하여 상기 타 기기의 접촉 여부, 접촉 방향 및 접촉 자세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타 기기와의 통신 연결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 결과에 따라 상기 타 기기에 통신 연결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브로드 캐스팅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통신 연결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장치.
  12. 휴대장치에 있어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자성을 가지는 자석과;
    상기 자석이 마련된 방향에 접촉된 타 기기로부터 통신 연결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타 기기와의 통신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타 기기가 접촉되는 방향에 대응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 컨텐츠 공유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휴대장치의 컨텐츠 중에서 상기 타 기기와 공유할 컨텐츠의 아이콘이, 사용자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영역 내에 위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드래그 앤 드롭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소정 컨텐츠의 아이콘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위치되게 이동시키는 드래그 앤 드롭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상기 타 기기와 공유하도록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장치.
  14. 휴대장치의 컨텐츠 공유방법에 있어서,
    자기감지부에서 자석을 포함하는 타 기기의 접촉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된 타 기기의 접촉에 대응하여 상기 타 기기와의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타 기기가 접촉되는 방향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 컨텐츠 공유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휴대장치의 컨텐츠 중에서 상기 타 기기와 공유할 컨텐츠의 아이콘이, 사용자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영역 내에 위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장치의 컨텐츠 공유방법.
  15. 삭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축소 또는 스크롤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장치의 컨텐츠 공유방법.
  17. 제14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소정 컨텐츠의 아이콘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위치되게 이동시키는 드래그 앤 드롭을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이동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상기 타 기기와 공유하도록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장치의 컨텐츠 공유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감지부에서 상기 타 기기의 접촉이 분리되는 것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위치된 아이콘의 컨텐츠를 상기 타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장치의 컨텐츠 공유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전송이 완료되면, 상기 전송된 컨텐츠의 아이콘을 상기 타 기기와 공유되었음을 나타내도록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장치의 컨텐츠 공유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감지부에서 상기 타 기기의 접촉이 분리되는 것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타 기기로부터 공유 대상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장치의 컨텐츠 공유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수신이 완료되면, 상기 수신된 컨텐츠의 아이콘을 상기 타 기기와 공유되었음을 나타내도록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장치의 컨텐츠 공유방법.
  22. 제14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타 기기의 접촉을 감지하는 단계는,
    자기 감지부의 센싱 데이터의 변경에 대응하여 상기 타 기기의 접촉 여부, 접촉 방향 및 접촉 자세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타 기기와의 통신 연결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장치의 컨텐츠 공유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결과에 따라 상기 타 기기에 통신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장치의 컨텐츠 공유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브로드 캐스팅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통신 연결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장치의 컨텐츠 공유방법.
KR1020140002823A 2014-01-09 2014-01-09 휴대장치 및 그 컨텐츠 공유 방법 KR102157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2823A KR102157621B1 (ko) 2014-01-09 2014-01-09 휴대장치 및 그 컨텐츠 공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2823A KR102157621B1 (ko) 2014-01-09 2014-01-09 휴대장치 및 그 컨텐츠 공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3266A KR20150083266A (ko) 2015-07-17
KR102157621B1 true KR102157621B1 (ko) 2020-09-18

Family

ID=53873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2823A KR102157621B1 (ko) 2014-01-09 2014-01-09 휴대장치 및 그 컨텐츠 공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76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4639B1 (ko) * 2015-08-24 2022-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6930B1 (ko) * 2011-02-15 2018-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송수신 방법,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
KR102008495B1 (ko) * 2012-02-24 2019-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공유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3266A (ko) 2015-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01964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haptic feedback
EP4138368B1 (en) User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211509B1 (en) Mobile device comprising stylus pen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EP3629674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0635295B2 (en) Device including plurality of touch screens and screen change method for the device
EP2809055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creen display us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EP2811420A2 (en) Method for quickly executing application on lock screen in mobile device, and mobile device therefor
US11281313B2 (en) Mobile device comprising stylus pen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US2018032959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display box management
EP3211515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device
KR20170043065A (ko)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의 화면 표시방법
CN109582212B (zh) 用户界面显示方法及其设备
KR102131645B1 (ko) 휴대장치 및 그 컨텐츠 공유 방법
US20140349628A1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multilateral conversation
KR20150025450A (ko) 컨텐츠 스크랩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KR20140062190A (ko) 패럴랙스 스크롤 기능을 가지는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57621B1 (ko) 휴대장치 및 그 컨텐츠 공유 방법
KR20150026110A (ko) 아이콘들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모바일 단말기
KR20140117092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482630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2187856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2239019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