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7224B1 - User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 Google Patents

User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7224B1
KR102157224B1 KR1020150142195A KR20150142195A KR102157224B1 KR 102157224 B1 KR102157224 B1 KR 102157224B1 KR 1020150142195 A KR1020150142195 A KR 1020150142195A KR 20150142195 A KR20150142195 A KR 20150142195A KR 102157224 B1 KR102157224 B1 KR 102157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terminal device
display device
event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21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52319A (en
Inventor
김벽선
엄상훈
김용덕
윤현규
이명준
전병조
정재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5/01091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6072635A1/en
Priority to US14/922,878 priority patent/US9766849B2/en
Priority to CN201510736854.0A priority patent/CN105573628B/en
Priority to EP15192691.2A priority patent/EP3016397B1/en
Publication of KR20160052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2319A/en
Priority to US15/680,354 priority patent/US10353656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7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72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Market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사용자 단말 장치, 제어 방법 및 컨텐츠 제공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감지부,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복수의 입력부 및 감지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 장치가 디스플레이 장치와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복수의 입력부 중 적어도 하나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거리 정도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보다 직관적이면서 신속하고 다양하게 제공할 수 있다.Disclosed are a user terminal device, a control method, and a content providing system. The user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a display device, a sensing unit for sensing a distance from the display device, a plurality of input units for receiving a user command, and a preset distance between the user terminal device and the display device.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input units to be activated when it is detected as being within the range. Accordingly, the user terminal device can provide a more intuitive, quick and diverse function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degree of distance to the display device.

Description

사용자 단말 장치, 제어 방법 및 컨텐츠 제공 시스템{User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TECHNICAL FIELD User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 장치, 제어 방법 및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가능한 사용자 단말 장치, 제어 방법 및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r terminal device, a control method, and a content provid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user terminal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a control method, and a content providing system.

통신 및 전자 기기의 발달로, 디스플레이 장치와 사용자 단말 장치 간의 상호 작용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제공 가능한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를 통해서도 제공받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리모컨의 기능까지 이용할 수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and electronic devices, according to the interaction between the display device and the user terminal device, a user may also receive various information that can be provided by the display device through the user terminal device. In addition, the user may use the function of a remote control capable of controlling the display device through the user terminal device.

즉, 사용자 단말 장치는 리모컨 관련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해당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UI를 통해서만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at is, when a specific application related to the remote control is activated, the user terminal device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only through a UI related to the application.

그러나, 사용자는 단순히 추가로 제공하는 리모컨 기능을 넘어 디스플레이 장치와 사용자 단말 장치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다양한 인터렉션 경험과 멀티태스킹을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위치 및 상황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보다 직관직이면서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However, users are demanding a variety of interaction experiences and multitasking through interactions between a display device and a user terminal device, beyond simply providing an additional remote control func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to more intuitively and convenientl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through the user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user's location and situation.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상황 및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다 직관적이면서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a user terminal device to more intuitively and conveniently control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ituation and a location.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감지부,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복수의 입력부 및 상기 감지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복수의 입력부 중 적어도 하나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 user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a display device, a sensing unit for sensing a distance to the display device, a plurality of input units for receiving a user command, an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input units to be activated when the user terminal device is detected to be within a preset distance from the display device through the detection unit.

그리고, 상기 복수의 입력부는, 터치 입력부 및 근접 입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터치 입력부 및 상기 근접 입력부가 활성화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input units include a touch input unit and a proximity input unit, and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activate the touch input unit and the proximity input unit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user terminal device is within a preset distance from the display device. Can be controlled to operate as.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접 입력부가 활성화되면, 핑거 호버링 영역이 확장되도록 상기 근접 입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proximity input unit is activated,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proximity input unit so that a finger hovering area is expanded.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션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기울기 값이 기설정된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확장된 핑거 호버링 영역이 기설정된 핑거 호버링 영역으로 복귀되도록 상기 근접 입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And, a motion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motion of the user terminal device; further comprising, the control unit, if the slope value detected through the motion detection uni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the extended finger hovering area is preset The proximity input unit may be controlled to return to the finger hovering area.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부 및 상기 근접 입력부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근접 입력부가 비활성화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touch input unit and the proximity input unit do not exist within the preset distance while the touch input unit and the proximity input unit are activated,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proximity input unit to operate in a deactivation mode.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설정된 거리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절전 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제1 모드 제어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절전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기설정된 범위 이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활성화 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제2 모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And,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control unit does not exist within the preset distance, the control unit transmits a first mode control signal for operating in a power saving mode to the display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when the display device is in a power saving mode, When it is detected that it exists within the preset range, a second mode control signal for operating in an activation mode may be transmitted to the display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또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UI를 제공하며, 상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UI를 제공할 수 있다.Further, further comprising a display unit, the control unit,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presence within the preset distance, provides a UI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through the display unit, and does not exist within the preset distance. When detected, the content and the UI related to the content may be provided through the display unit.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UI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controller does not exist within the preset distance, the controller may provide the content and a UI related to the content through the display unit based on conten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display device.

그리고, 상기 감지부는, BLE(Bluetooth Low Energy) 센서 및 초음파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ing unit may be at least one of a BLE (Bluetooth Low Energy) sensor and an ultrasonic sensor.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은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면, 복수의 입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 모드로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control method of a user terminal device includes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a display device, detecting a distance from the display device, and the user terminal device Determining whether the display device is within a preset distance, and if the user terminal device is within a preset distance from the display device, operating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input units in an activation mode.

그리고, 상기 복수의 입력부는, 터치 입력부 및 근접 입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활성화 모드로 동작시키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터치 입력부 및 상기 근접 입력부를 활성화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input units include a touch input unit and a proximity input unit, and the operating in the activation mode includes: when the user terminal device is detected to be within a preset distance from the display device, the touch input unit and the The proximity input unit can be operated in an activation mode.

또한, 상기 활성화 모드로 동작시키는 단계는, 상기 근접 입력부가 활성화되면, 상기 근접 입력부의 핑거 호버링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다.Further, in the operating in the activation mode, when the proximity input unit is activated, a finger hovering area of the proximity input unit may be expanded.

그리고, 상기 활성화 모드로 동작시키는 단계는, 모션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기울기 값이 기설정된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확장된 핑거 호버링 영역을 기설정된 핑거 호버링 영역으로 복귀시킬 수 있다.In the step of operating in the activation mode, if the slope value sensed through the motion detection uni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value, the extended finger hovering region may be returned to a preset finger hovering region.

또한, 상기 활성화 모드로 동작시키는 단계는, 상기 터치 입력부 및 상기 근접 입력부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근접 입력부를 비활성화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Further, in the operating in the activation mode, when the touch input unit and the proximity input unit are activated and it is detected that they do not exist within the preset distance, the proximity input unit may be operated in the deactivation mode.

그리고, 상기 활성화 모드로 동작시키는 단계는, 상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절전 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제1 모드 제어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절전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활성화 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제2 모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And, in the operating in the activation mode, when it is detected that there is no presence within the preset distance, a first mode control signal for operating in a power saving mode is transmitted to the display device, and the display device is in a power saving mode. When it is detected that it exists within the preset distance, a second mode control signal for operating in an activation mode may be transmitted to the display device.

또한, 상기 활성화 모드로 동작시키는 단계는, 상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터치 스크린상에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UI를 제공하며, 상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UI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operation of the activation mode, when it is detected that it exists within the preset distance, a UI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is provided on the touch screen, and it is detected that it does not exist within the preset distance. If so, the content and the UI related to the content may be provided on the touch screen.

그리고, 상기 활성화 모드로 동작시키는 단계는, 상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UI를 제공할 수 있다.And, in the operating in the activation mode, when it is detected that there is no presence within the preset distance, the content and the UI related to the content are provided on the touch screen based on the conten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display device. I can.

또한, 상기 감지하는 단계는, BLE(Bluetooth Low Energy) 센서 및 초음파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ing may include detecting a distance to the display device through at least one of a Bluetooth Low Energy (BLE) sensor and an ultrasonic sensor.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거리 정도에 따라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복수의 입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시켜 상기 활성된 입력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includes at least one of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content and a plurality of input units receiving a user command according to a distance between the display device and the display device. And a user terminal device that activates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through the activated input unit.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BLE(Bluetooth Low Energy) 센서 및 초음파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Further, at least one of the user terminal device and the display device may detect a distance between the user terminal device and the display device through at least one of a Bluetooth Low Energy (BLE) sensor and an ultrasonic sensor.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는, 상기 센서를 통해 감지된 거리 정보 혹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거리 정보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감지되 면, 터치 입력부 및 근접 입력부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활성화된 근접 입력부를 비활성화시키며, 상기 근접 입력부가 활성화되면, 상기 근접 입력부의 핑커 호버링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다.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UI를 제공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절전 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제1 모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Further, the user terminal device activates the touch input unit and the proximity input unit when it is detected as being within a preset distance from the display device through distance information sensed through the sensor or distanc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display device. If the display device is not within a preset distance, the activated proximity input unit is deactivated, and when the proximity input unit is activated, a pinker hovering area of the proximity input unit may be expanded. And, the user terminal device, A first mode for providing a UI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if it exists within a preset distance from the display device, and for operating in a power saving mode with the display device if it is not within a preset distance from the display device Can transmit control signals.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1 모드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전송한 후, 절전 모드로 동작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는, 상기 수신된 컨텐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UI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when the first mode control signal is input, transmits content information on the content being displayed to the user terminal device, and then operates in a power saving mode, and the user terminal device, the received content Based on the information, the content and a UI related to the content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설정된 이벤트 발생에 따라 생성된 이벤트 신호가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되면, 주변 밝기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로부터 센싱된 센싱값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밝기 제어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밝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하우징 내에 포함된 후면 발광판(Backlit)의 발광을 제어하며, 상기 기설정된 이벤트는, 상기 활성화된 입력부로부터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이벤트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모션이 감지되는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In addition, when an event signal generated according to occurrence of a preset event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the display device transmits a brightness control signal to the user terminal device based on a sensing value sensed from an illuminance sensor that detects ambient brightness. And the user terminal device controls light emission of a backlit included in the housing of the user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 brightness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display device, and the preset event is the activated It may be at least one of an event in which a user command is input from an input unit and an event in which a motion of the user terminal device is detected.

그리고, 제어부는,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이벤트 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밝기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하우징 내에 포함된 후면 발광판(Backlit)의 발광을 제어하며, 상기 기설정된 이벤트는, 상기 활성화된 입력부로부터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이벤트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모션이 감지되는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an event signal to the display device when a preset event occurs, and when a brightness control signal is received from the display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the control unit is included in the housing of the user terminal device. The light emission of the backlit is controlled, and the preset event may be at least one of an event in which a user command is input from the activated input unit and an event in which a motion of the user terminal device is detected.

또한, 상기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는,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이벤트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활성화 모드로 동작시키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밝기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하우징 내에 포함된 후면 발광판(Backlit)에서 빛을 발광하도록 상기 후면 발광판을 활성화 모드로 동작시키며, 상기 기설정된 이벤트는, 상기 활성화된 입력부로부터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이벤트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모션이 감지되는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performing of the communication may include transmitting an event signal to the display device when a preset event occurs, and operating in the activation mode, when a brightness control signal is received from the display device, the user terminal The rear light-emitting plate is operated in an activation mode to emit light from a backlit included in the housing of the device, and the preset event is an event in which a user command is input from the activated input unit and the user terminal device It may be at least one of the events in which the motion of is detect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거리 정도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보다 직관적이면서 신속하고 다양하게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user terminal device may more intuitively, quickly and variously provide a functio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degree of distance to the 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절차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세부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거리 정도에 따라 상이한 동작을 수행하는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근접 입력부의 감지 영역을 확장시키는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기설정된 거리 내에 존재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UI를 제공하는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기설정된 거리 내에 존재하지 않는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UI를 제공하는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주변 환경에 따라 적응적으로 백라이트를 제공하는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거리 정도에 따라 복수의 입력부 및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ent providing system for providing a content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of a content providing system for providing a content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 user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user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diagram of performing different operations according to a distance from a display device in a user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emplary view of expanding a sensing area of a proximity input unit of a user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emplary view of providing a UI in a user terminal device existing within a preset distance from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emplary view of providing a UI in a user terminal device that does not exist within a preset distance from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emplary view of adaptively providing a backlight according to a surrounding environment in a user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controlling a user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displaying a plurality of input units and a UI according to a distance between display devices in a user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절차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ent providing system for providing a content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rocedure of a content providing system for providing a content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장치(100) 및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스마트 TV, 디지털 TV와 같은 단말 장치로써,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스마트 폰, 테블릿 PC와 같은 휴대 단말 장치로써,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대한 제어 및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서브 장치가 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includes at least one user terminal device 100 and a display device 200. Here, the display device 200 is a terminal device such as a smart TV or a digital TV, and may be a device that displays content.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is a portable terminal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and includes a sub device that controls the display device 200 and displays content information on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200. Can be.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리모컨과 같은 원격 제어 장치가 될 수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may be a remote control device such as a remote controller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200.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디스플레이 장치(200) 간의 데이터 통신이 개시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주기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와의 거리를 감지한다(S210,S220).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 when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and the display device 200 starts,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periodically senses the distance to the display device 200 ( S210, S220).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동일한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포함하는 복수의 단말 장치로 브로드캐스트 방식을 통해 응답 메시지를 요청할 수 있다. 이 같은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복수의 단말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수신한 응답 메시지에 기초하여 동일한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복수의 단말 장치를 검색하고, 검색된 단말 장치에 대한 리스트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같은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대한 단말 장치의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입력된 선택 명령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페어링을 수행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통신을 개시할 수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may request a response message through a broadcast method to a plurality of terminal devices including the display device 200 existing on the same network.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terminal devices receiving the response message may transmit the response message to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ly,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may search for a plurality of terminal devices existing on the same network based on the received response message, and display a list of the searched terminal devices on the screen. When such a list is displayed and a user inputs a terminal device selection command for the display device 200,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performs pairing with the display device 200 corresponding to the input selection command. Communication with the display device 200 may be initiated.

이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통신이 개시된 이후,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구비된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와의 거리를 감지한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BLE(Bluetooth Low Energy)와 같은 감지 센서를 통해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디스플레이 장치(200) 간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In this way, after communication with the display apparatus 200 is started, the user terminal apparatus 100 periodically senses the distance to the display apparatus 200 using the provided detection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may detect a distance between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and the display device 200 through a detection sensor such as Bluetooth Low Energy (BLE).

이 같은 감지 센서를 통해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디스플레이 장치(200) 간의 거리가 감지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감지된 거리 정보와 기설정된 임계 거리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기설정된 임계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30).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and the display device 200 is detected through such a detection sensor,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compares the detected distance information with preset threshold distance information, and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is within a predetermined threshold range with the display apparatus 200 (S230).

판단 결과,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복수의 입력부 구성을 활성화시킨다(S240). 여기서, 복수의 입력부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구성으로써,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입력부는 터치 센서인 터치 입력부와 근접 센서인 근접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입력부는 터치 스크린 상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UI에 대한 터치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구성이며, 근접 입력부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근접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동작 관련 제어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구성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모션 감지 센서, 카메라 등과 같은 입력부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터치 입력부, 근접 입력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동작 제어 가능한 모든 입력부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exists within a preset distance from the display device 200,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activates the configuration of a plurality of input units (S240). Here, the plurality of input units is configured to receive a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apparatus 200, 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lurality of input units may include a touch input unit that is a touch sensor and a proximity input unit that is a proximity sensor. Here, the touch input unit is a configuration for receiving a touch command for a control UI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apparatus 200 on the touch screen, and the proximity input unit determines whether the user's finger is close to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This is a configuration for sensing and receiving an operation-related control command of the display apparatus 20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200 through an input unit such as a motion detection sensor or a camera. Accordingly,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may activate all input units capable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apparatus 200 including a touch input unit and a proximity input unit.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통해 사용자가 요청한 채널의 컨텐츠를 시청하고 있는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터치 입력부 뿐만 아니라, 근접 입력부와 같은 다양한 입력부를 통해 채널을 변경하거나, 시청 중인 컨텐츠에 대한 볼륨을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ly, a user who is viewing the content of the channel requested by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device 200 changes the channel through various input units such as a proximity input unit as well as the touch input unit of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You can control the volume for.

한편,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비된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와의 거리를 감지하고, 감지된 거리 정보와 기설정된 임계 거리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기설정된 임계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따라서, 복수의 입력부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기설정된 임계 범위 밖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활성화된 복수의 입력부 중 터치 입력부를 제외한 나머지 활성화된 입력부를 비활성화시킨다(S250).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periodically senses the distance to the display device 200 by using the provided detection sensor, and compares the detected distance information with the preset threshold distance informa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100 is within a preset threshold range with the display apparatus 200. Therefor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exists outside the preset threshold range with the display device 200 in a state in which the plurality of input units are activated,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performs a touch input among the plurality of activated input units. Activated input units other than the unit are deactivated (S250).

이후,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모드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S260).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모드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현재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와 해당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전송한다(S270).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수신된 모드 제어 신호에 따라 절전 모드로 모드 전환을 수행한다(S280). 한편,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컨텐츠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컨텐츠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 및 해당 컨텐츠를 제어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한다(S290).Thereafter,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transmits a mode control signal to the display device 200 (S260). When the mode control signal is received, the display device 200 transmits content currently being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200 and content information on the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S270). Thereafter, the display apparatus 200 performs mode conversion to a power saving mode according to the received mode control signal (S280). Meanwhile, when content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display device 200,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displays the content being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200 and a UI for controlling the content based on the received content information (S290). ).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200)인 스마트 TV가 있는 거실 공간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인 스마트 폰과의 기설정된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거실에 놓여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는 모든 입력부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통해 드라마를 시청하는 사용자는 사용자 옆에 놓인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제어 UI를 직접적으로 터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채널을 변경하거나 볼륨을 조정하는 등의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터치 스크린을 직접적인 터치를 수행하지 않고도 터치 모션만으로도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채널을 변경하거나 볼륨을 조정하는 등의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living space in which the smart TV, which is the display device 200, is located, may be set as a preset area with the smart phone, which is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ly, when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is placed in a living room,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may activate all input units capable of controlling the display device 200. Accordingly, a user who watches a drama through the display device 200 directly touches the control UI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of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placed next to the user to change the channel of the display device 200 or adjust the volume. Operations such as adjustment can be performed. In addition, the user may perform manipulations such as changing a channel of the display apparatus 200 or adjusting a volume using only a touch motion without directly touching the touch screen of the user terminal apparatus 100.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원격 제어 장치인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이벤트 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서, 기설정된 이벤트는 복수의 입력부 중 활성화된 입력부로부터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이벤트 및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모션이 감지되는 이벤트가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is a remote control device,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transmits an event signal to the display device 200 when a preset event occurs. Here, the preset event may be at least one of an event in which a user command is input from an activated input unit among the plurality of input units and an event in which a motion of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is detected.

이 같은 이벤트 신호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구비된 조도 센서를 통해 주변 밝기를 감지하고, 감지된 밝기 정보가 기설정된 임계값 이하인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밝기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When such an event signal is received, the display device 200 detects ambient brightness through an illuminance sensor provided in the display device 200, and when the detected brightness information is less than a preset threshold,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To transmit the brightness control signal.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구비된 조도 센서를 통해 주변 밝기를 감지하고, 감지된 밝기 정보가 기설정된 임계값 이하인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밝기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when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200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the display device 200 When the ambient brightness is sensed through and the detected brightness information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threshold, a brightness control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이 같은 밝기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밝기 제어 신호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하우징 내에 포함된 후면 발광판(Backlit)(미도시)의 발광을 제어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기설정된 임계 시간 동안 발광하도록 후면 발광판을 제어할 수 있다.When such a brightness control signal is received,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includes a backlit (not shown) included in the housing of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brightness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display device 200. Control the light emission.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may control the rear light emitting panel to emit light for a predetermined threshold time.

후면 발광판을 통해 발광된 빛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형성된 키 버튼을 통해 발산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어두운 실내 공간에서도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조작할 수 있다.The light emitted through the rear light emitting panel is emitted through a key button formed on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ly, the user can operate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even in a dark indoor space.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대해서 개략적으로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사용자 단말 장치(100) 및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So far,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chematically described. Hereinafter, the above-described user terminal device 100 and display device 2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세부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 user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user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통신부(110), 감지부(120), 입력부(130), 제어부(140) 및 디스플레이부(15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3,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10, a detection unit 120, an input unit 130, a control unit 140, and a display unit 150.

통신부(110)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무선으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뿐만 아니라, 통신부(110)는 동일한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주변 단말 장치와 무선으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The communication unit 110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the display device 200 that displays content.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110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peripheral terminal devices existing on the same network.

이 같은 통신부(11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이란 디스플레이 장치(200) 및 주변 단말 장치와 무선으로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써, 블루투스(bluetooth)모듈,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모듈, NFC(Near Field Communication)모듈, 와이파이(WIFI)모듈, 지그비(Zigbee) 모듈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이란 WIFI, IEEE 등과 같은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이 밖에 무선 통신 모듈은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 통신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 망에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various communication modules such as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Here,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refers to wireless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 the display device 200 and peripheral terminal devices, and includes a Bluetooth module, an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module, and a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It may be implemented as at least one of a module, a WiFi module, and a Zigbee modul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s a module that performs communication by being connected to an external network according to a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 such as WIFI or IEEE. 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urther includes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that performs communication by acces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various mobile communication standards such as 3rd Generation (3G),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and Long Term Evoloution (LTE). You may.

감지부(1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디스플레이 장치(200) 간의 거리를 감지한다. 이때, 감지부(120)는 주기적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디스플레이 장치(200) 간의 거리를 주기적으로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감지부(120)는 BLE(Bluetooth Low Energy) 및 초음파를 발생시켜 거리나 두께, 움직임 등을 검출하는 초음파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를 통해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디스플레이 장치(200) 간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디스플레이 장치(200) 간의 거리를 감지하거나 측정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20 detects a distance between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and the display device 200.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nsing unit 120 periodically detects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and the display device 200.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sensing unit 120 generates a Bluetooth Low Energy (BLE) and an ultrasonic wave to detect distance, thickness, motion, etc., through at least one detection sensor of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and the display device. The distance between 200 can be detect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configuration capable of detecting or measuring a distance between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and the display device 200 may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입력부(130)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다. 구체적으로, 입력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및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 같은 입력부(130)는 복수 개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입력부(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입력부(131), 근접 입력부(133) 및 버튼 입력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입력부(131)는 터치 스크린 상에서 사용자의 터치 명령을 입력받는 터치 센서가 될 수 있으며, 근접 입력부(133)는 근접한 위치에 있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여 감지된 결과에 대응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근접 센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버튼 입력부(135)는 각종 기능키, 숫자키, 특서키, 문자키 등을 구비한 키패드(Key Pad)로 구현될 수 있다.The input unit 130 receives a user command. Specifically, the input unit 130 may receive a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apparatus 200 and a user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A plurality of such input units 130 may be implemen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lurality of input units 130 may include a touch input unit 131, a proximity input unit 133, and a button input unit 135 as illustrated in FIG. 4. The touch input unit 131 may be a touch sensor that receives a user's touch command on the touch screen, and the proximity input unit 133 detects a user's gesture at a nearby location and receives a user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result. It can be a proximity sensor. In addition, the button input unit 135 may be implemented as a keypad including various function keys, numeric keys, special keys, and character keys.

제어부(14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구성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40)는 감지부(120)를 통해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복수의 입력부(130) 중 적어도 하나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입력부(130)는 터치 입력부(131) 및 근접 입력부(133)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4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터치 입력부(131) 및 근접 입력부(133)가 활성화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이 같은 제어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터치 입력부(131) 및 근접 입력부(133)는 활성화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40 overall controls the configuration of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In particular, the controller 140 controls to activate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input units 130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exists within a preset distance from the display device 200 through the detection unit 120 do. As described above, the plurality of input units 130 may be the touch input unit 131 and the proximity input unit 133. Accordingly, when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is detected to be within a preset distance from the display device 200, the controller 140 controls the touch input unit 131 and the proximity input unit 133 to operate in an activation mode. According to such a control command, the touch input unit 131 and the proximity input unit 133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apparatus 200 may operate in an activation mode.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BLE(Bluetooth Low Energy) 센서 및 초음파를 발생시켜 거리나 두께, 움직임 등을 검출하는 초음파 센서와 같은 감지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이 같은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거리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통신부(11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디스플레이 장치(200) 간의 거리 정도가 기설정된 거리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디스플레이 장치(200) 간의 거리 정도가 기설정된 거리 이내이면, 제어부(140)는 터치 입력부(131) 및 근접 입력부(133)가 활성화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display device 200 includes a user terminal device 100 through a sensing unit such as a Bluetooth Low Energy (BLE) sensor and an ultrasonic sensor that detects distance, thickness, and motion by generating ultrasonic waves. The distance to and from may be sensed, and distance information sensed through the sensing unit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40 determines whether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and the display device 200 is within a preset distance based on the distanc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display device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Judg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and the display device 200 is within a preset distance, the controller 140 can control the touch input unit 131 and the proximity input unit 133 to operate in the activation mode. have.

한편, 제어부(1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부(180)를 통해 촬영된 영상 이미지를 분석하여 영상 이미지상에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대응되는 오브젝트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대응되는 오브젝트가 포함되어 있으면, 제어부(14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터치 입력부(131) 및 근접 입력부(133)가 활성화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이 같은 제어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터치 입력부(131) 및 근접 입력부(133)는 활성화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4, the controller 140 analyzes the image image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180 and according to whether a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apparatus 200 is included in the image image,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exists within a preset distance from the display device 200.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a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device 200 is included, the controller 140 determines that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exists within a preset distance from the display device 200, and the touch input unit 131 And the proximity input unit 133 is controlled to operate in an activation mode. According to such a control command, the touch input unit 131 and the proximity input unit 133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apparatus 200 may operate in an activation mode.

한편, 제어부(140)는 근접 입력부(133)가 활성화되면, 근접한 위치에 있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는 핑거 호버링 영역이 확장되도록 근접 입력부(133)를 제어한다. 이 같은 제어 명령에 따라, 근접 입력부(133)는 근접한 위치에 있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는 핑거 호버링 영역을 기설정된 임계 범위만큼 확장시킬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proximity input unit 133 is activated, the control unit 140 controls the proximity input unit 133 to expand a finger hovering area that detects a user's gesture located in a proximity position. In accordance with such a control command, the proximity input unit 133 may expand a finger hovering area for sensing a gesture of a user located in a proximity position by a predetermined threshold range.

한편,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 감지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모션 감지부(160)는 공간상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가속도 센서 및 방향성을 감지하는 지자기 센서의 기술적 특징이 활용된 6축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같은 6축 센서로 구현된 모션 감지부(16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모션을 감지하고, 그에 따른 모션 감지 정보를 생성한다. Meanwhile, 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motion detection unit 160 that detects motion of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as shown in FIG. 4.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otion detection unit 160 may be implemented as a six-axis sensor utilizing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an acceleration sensor that recognizes motion in space and a geomagnetic sensor that detects direction. The motion detection unit 160 implemented with such a 6-axis sensor detects mo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and generates motion detection information accordingly.

한편, 제어부(140)는 활성화된 근접 입력부(133)의 핑거 호버링 영역이 확장된 상태에서, 모션 감지부(160)를 통해 모션 감지 정보가 생성되면, 생성된 모션 감지 정보에 포함된 기울기 값과 저장부(170)에 기설정되어 저장된 임계값을 비교한다. 비교 결과, 모션 감지부(160)를 통해 감지된 기울기 값이 기설정된 임계값 이상이면, 제어부(140)는 확장된 핑거 호버링 영역을 초기의 핑거 호버링 영역으로 복귀하도록 근접 입력부(133)를 제어한다. 이 같은 제어 명령에 따라, 핑거 호버링 영역이 확장된 근접 입력부(133)는 확장된 핑거 호버링 영역을 초기의 핑거 호버링 영역으로 복귀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motion detec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through the motion detection unit 160 in a state where the finger hovering area of the activated proximity input unit 133 is expanded, the control unit 140 determines a slope value included in the generated motion detection information and The threshold values preset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170 are compared.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if the slope value sensed through the motion detection unit 160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the control unit 140 controls the proximity input unit 133 to return the extended finger hovering region to the initial finger hovering region. . According to such a control command, the proximity input unit 133 in which the finger hovering region is extended may return the extended finger hovering region to the initial finger hovering region.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수평 방향으로 테이블에 놓여질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터치 입력부(131) 및 근접 입력부(133)가 활성화될 수 있으며, 특히, 활성화된 근접 입력부(133)의 핑거 호버링 영역이 확장될 수 있다. 이 같이, 활성화된 근접 입력부(133)의 핑거 호버링 영역이 확장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수평 방향으로 테이블에 놓여진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집어 올릴 수 있다. 이 같은 이벤트 발생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모션 감지부(16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모션을 감지하여 그에 따른 기울기 값을 산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may be placed on a table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display device 200 may be located within a preset distance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In this case, the touch input unit 131 and the proximity input unit 133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apparatus 200 may be activated, and in particular, a finger hovering area of the activated proximity input unit 133 may be expanded. In this way, while the finger hovering area of the activated proximity input unit 133 is expanded, the user can pick up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placed on the t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en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such an event, the motion detector 160 may detect the motion of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and calculate a slope value according thereto.

이 같은 기울기 값이 산출되면, 제어부(140)는 산출된 기울기 값과 저장부(170)에 기저장된 임계값을 비교하여, 산출된 기울기 값이 임계값 이상이면, 확장된 핑거 호버링 영역이 축소되도록 근접 입력부(133)를 제어한다. 이 같은 제어 명령에 따라, 활성화된 근접 입력부(133)는 확장된 핑거 호버링 영역을 초기의 핑거 호버링 영역으로 복귀할 수 있다.When such a slope value is calculated, the controller 140 compares the calculated slope value with a threshold value previously stored in the storage unit 170, and if the calculated slope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value, the extended finger hovering area is reduced. Controls the proximity input unit 133. According to such a control command, the activated proximity input unit 133 may return the extended finger hovering region to the initial finger hovering region.

한편, 기설정된 기울기 값을 저장하는 저장부(17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동작시키기 위해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등이 저장되는 저장매체로서, 메모리, HDD(Hard Disk Drive) 등으로 구현가능하다. 예를 들어, 저장부(170)는 제어부(140)의 동작 수행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ROM, 제어부(140)의 동작 수행에 따른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RAM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Meanwhile, the storage unit 170 for storing a preset slope value is a storage medium for storing various programs required to operate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and can be implemented as a memory or a hard disk drive (HDD). For example, the storage unit 170 may include a ROM for storing a program for performing an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140, a RAM for temporarily storing data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140, and the like. In addition, an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for storing various reference data may be further provided.

한편, 터치 입력부(131) 및 근접 입력부(133)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감지부(120)를 통해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감지되면, 제어부(140)는 활성화된 근접 입력부(133)를 비활성화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이 같은 제어 명령에 따라, 활성화된 근접 입력부(133)는 비활성화 모드로 동작함으로써, 터치 입력부(131)만 활성화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어부(14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감지되면, 활성화된 터치 입력부(131) 및 근접 입력부(133)가 모두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is detected as not being within a preset distance from the display device 200 through the detection unit 120 while the touch input unit 131 and the proximity input unit 133 are activated, the controller 140 controls the activated proximity input unit 133 to operate in an inactive mode. According to such a control command, the activated proximity input unit 133 operates in an inactive mode, so that only the touch input unit 131 can operate in an active mod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does not exist within a preset distance from the display device 200, the activated touch input unit 131 and the proximity input unit ( 133) can be controlled to be deactivated.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40)는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지 않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확장된 제1 임계 영역 내에 존재하는 경우, 활성화된 터치 입력부(131) 및 근접 입력부(133) 중 근접 입력부(133)만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지 않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확장된 제1 임계 영역 이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40)는 활성화된 터치 입력부(131) 및 근접 입력부(133) 모두가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디스플레이 장치(200) 간의 거리 정도에 따라, 활성화된 복수의 입력부(130)의 동작 모드를 단계적으로 비활성화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that does not exist within a preset distance exists within the extended first critical area, the control unit 140 closes the activated touch input unit 131 and the proximity input unit 133. Only the input unit 133 can be controlled to be deactivat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that does not exist within a preset distance does not exist within the extended first critical area, the controller 140 allows both the activated touch input unit 131 and the proximity input unit 133 to be deactivated. Can be controlled. That is, the control unit 140 may control the operation modes of the plurality of input units 130 activated in stages to operate in the deactivation mode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and the display device 200.

한편, 제어부(14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감지되면, 통신부(11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절전 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제1 모드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40)는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지 않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확장된 제1 임계 영역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절전 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제1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does not exist within a preset distance from the display device 200, the controller 140 controls the display device 200 to operate in a power saving mod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1 Transmits a mode control signal.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140 operates in a power saving mode when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that does not exist within a preset distance does not exist within the extended first critical area. The first control signal to be used may be transmitted to the display apparatus 200.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제1 모드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컨텐츠에 대한 디스플레이 동작을 중단하고, 절전 모드로 모드 전환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제1 모드 제어 신호에 따라 절전 모드로 모드 전환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제어부(140)는 통신부(11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활성화 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제2 모드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따라서, 절전 모드 상태의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입력된 제2 모드 제어 신호에 따라, 전원 온 동작을 수행하여 활성화 모드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first mode control signal is input, the display apparatus 200 may stop a display operation for content and perform an operation of switching the mode to a power saving mode. In this way, in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device 200 is switched to the power saving mode according to the first mode control signal, when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is detected to be within a preset distance from the display device 200, the controller ( 140) transmits a second mode control signal for operating in the activation mode to the display apparatus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Accordingly, the display apparatus 200 in a power saving mode state may perform an operation in an active mode by performing a power-on operation according to an input second mode control signal.

한편, 제어부(14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UI를 제공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UI는 채널 리스트 UI, 볼륨 UI 등을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is detected to be within a preset distance from the display device 200, the controller 140 provides a UI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200 through the display unit 150. to provide. Here, the UI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apparatus 200 may include a channel list UI and a volume UI.

한편,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감지되면,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 및 해당 컨텐츠 관련 UI를 제공한다. 여기서, 컨텐츠 관련 UI는 볼륨 UI, 고속 재생 관련 플레이 UI 등이 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detects that it does not exist within a preset distance from the display device 200, the controller 140 determines the content being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200 and the corresponding content through the display unit 150. Provides related UI. Here, the content-related UI may be a volume UI, a play UI related to high-speed playback, or the like.

구체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감지되면,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절전 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제1 모드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이 같은 제1 모드 제어 신호를 수신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절전 모드로 모드 전환하기에 앞서,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 데이터 혹은 컨텐츠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한다.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입력된 제1 모드 제어 신호에 따라 컨텐츠에 대한 디스플레이 동작을 중단하고, 절전 모드로 모드 전환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Specifically, as described above,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does not exist within a preset distance from the display device 200, the controller 140 controls the display device 200 to operate in a power saving mode. 1 Transmits a mode control signal. The display device 200 receiving the first mode control signal transmits the currently displayed content data or content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before switching to the power saving mode. Thereafter, the display apparatus 200 may stop the display operation of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input first mode control signal and perform an operation of switching the mode to a power saving mode.

따라서,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거나, 컨텐츠 정보에 포함된 URL 정보를 참조하여 컨텐츠 서버(미도시)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제어부(140)는 해당 컨텐츠와 관련된 UI를 제공하도록 디스플레이부(15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 및 해당 컨텐츠와 관련된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ler 140 performs signal processing on the content data received from the display device 200 or refers to UR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ntent information, and i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200 from a content server (not shown). You can receive content.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40 controls the display unit 150 to provide a UI related to the corresponding content. Accordingly, the display unit 150 may display the content currently being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200 and a UI related to the content.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원격 제어 장치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이벤트 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서, 기설정된 이벤트는 터치 입력부(131) 및 근접 입력부(133) 중 활성화된 입력부로부터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이벤트 및 모션 감지부(160)를 통해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모션이 감지되는 이벤트가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may be a remote control device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200. In this case, when a preset event occurs, the controller 140 transmits an event signal to the display device 200. Here, the preset event is an event in which a user command is input from an activated input unit among the touch input unit 131 and the proximity input unit 133, and the motion of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user's manipulation through the motion detection unit 160. At least one of the detected events may be.

이 같은 이벤트가 발생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이벤트 신호를 전송한다. 이벤트 신호를 전송한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밝기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밝기 제어 신호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하우징 내에 포함된 후면 발광판(미도시)의 발광을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140)는 기설정된 임계 시간 동안 발광하도록 후면 발광판(미도시)을 제어할 수 있다.When such an event occurs,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transmits an event signal to the display device 200. After transmitting the event signal, when a brightness control signal is received from the display apparatus 200, the controller 140 controls the rear surface included in the housing of the user terminal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brightness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display apparatus 200. Controls the light emission of the light emitting plate (not shown).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40 may control the rear light emitting plate (not shown) to emit light for a preset threshold time.

따라서, 후면 발광판(미도시)을 통해 발광된 빛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형성된 버튼 입력부(135)를 통해 발산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어두운 실내 공간에서도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쉽게 조작할 수 있다.Accordingly, light emitted through the rear light emitting plate (not shown) is emitted through the button input unit 135 formed in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manipulate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even in a dark indoor space.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각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각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So far, each configuration of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통신부(210), 디스플레이부(220), 제어부(230), 촬영부(240), 입력부(250) 및 저장부(26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5, the display device 2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210, a display unit 220, a control unit 230, a photographing unit 240, an input unit 250, and a storage unit 260.

통신부(210)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서버(미도시)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하여 사용자가 요청한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10)는 복수의 주변 단말 장치 중 페어링되어 통신이 개시된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하여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데이터 및 컨텐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한다. 페어링된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컨텐츠 혹은 컨텐츠 정보를 전송할 경우, 통신부(210)는 블루투스(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UPNP(Universal Plug and Play),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WIFI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로 컨텐츠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210 may receive content requested by a user by performing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content server (not shown) that provides content.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210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that has been paired and initiated communication among a plurality of peripheral terminal devices to transmit at least one of content data and content information on the content being displayed. In the case of transmitting content or content information to the paired user terminal device 100, the communication unit 210 includes Bluetooth, Bluetooth Low Energy (BLE), Universal Plug and Play (UPN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and WIFI. Content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using at least one of the communication methods.

디스플레이부(220)는 컨텐츠 서버(미도시)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 이 같은 디스플레이부(22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전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또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등으로 구현되어,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통해 제공 가능한 다양한 디스플레이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220 displays content received from a content server (not shown). Such a display unit 220 is implemented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a plasma display panel (PDP), etc. 200) can provide a variety of display screens that can be provided.

제어부(23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구성하는 구성들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230)는 통신부(210)를 통해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모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절전 모드 혹은 활성화 모드로 모드 전환 동작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30)는 디스플레이부(220)를 통해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제1 모드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통신부(210)를 통해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해당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데이터 혹은 해당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전송한다. 이후, 제어부(23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기설정된 특정 구성만 동작을 수행하는 절전 모드로 모드 전환하도록 제어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어부(230)는 입력된 제1 모드 제어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전원 오프 상태로 진입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200)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230 controls overall operations of components constituting the display apparatus 200. In particular, the controller 230 performs a mode switching operation to a power saving mode or an activation mode based on a mod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10. Specifically, when the first mode control signal is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while the content is being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220, the control unit 230 displays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10. ) To transmit content data for the content or content information for the content. Thereafter, the control unit 230 controls the display apparatus 200 to switch the mode to a power saving mode in which only a predetermined specific configuration is perform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ntroller 230 may cut off the power supply to the display device 200 so that the display device 200 enters the power-off state according to the input first mode control signal.

한편,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감지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감지부(270)는 BLE(Bluetooth Low Energy) 센서 및 초음파를 발생시켜 거리나 두께, 움직임 등을 검출하는 초음파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같은 센서를 포함하는 감지부(270)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사용자 단말 장치(100) 간의 거리 정보가 획득되면, 제어부(230)는 감지부(270)를 통해 감지된 거리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제어부(1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터치 입력부(131) 및 근접 입력부(133)가 활성화 모드로 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apparatus 200 may include a sensing unit 270 that detects a distance to the user terminal apparatus 100, such as the user terminal apparatus 100. Here, the sensing unit 27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Bluetooth Low Energy (BLE) sensor and an ultrasonic sensor that generates ultrasonic waves to detect distance, thickness, and motion. Accordingly, when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display apparatus 200 and the user terminal apparatus 100 is obtained through the detection unit 270 including such a sensor, the control unit 230 stores the distance information sensed through the detection unit 270. It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ly,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140 of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allows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and the display device 200 to be within a preset distance based on the distanc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display device 200.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location is located, and control the touch input unit 131 and the proximity input unit 133 to operate in the activation mod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어부(230)는 감지부(270)를 통해 감지된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30)는 감지부(270)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사용자 단말 장치(100) 간의 거리 정보가 획득되면, 해당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감지부(270)를 통해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제어부(230)는 통신부(210)를 통해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복수의 입력부(130)가 모두 활성화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ntroller 230 determines whether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is within a preset distance from the display device 200 based on the distance information sensed through the sensing unit 270. I can judge. Specifically, when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display apparatus 200 and the user terminal apparatus 100 is obtained through the detection unit 270, the controller 230 determines the display apparatus 200 based on the distance information. ) And whether it exists within a preset distance can be determined. When the detection unit 270 detects that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exists within a preset distance from the display device 200, the controller 230 transmits a plurality of devices to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10.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input unit 130 to be activated may be transmitted.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어부(230)는 촬영부(240)를 통해 촬영된 영상 이미지를 분석하여 영상 이미지상에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대응되는 오브젝트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복수의 입력부(130)가 모두 활성화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1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제1 제어 신호에 따라, 터치 입력부(131) 및 근접 입력부(133)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ntroller 230 analyzes an image image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240 and determines whether a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is included in the image image. , It determines whether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is within a preset distance from the display device 200 and transmits a first control signal to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to control all of the plurality of input units 130 to be activated. I can. Accordingly,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may activate the touch input unit 131 and the proximity input unit 133 according to the first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display device 200.

한편, 복수의 입력부(130)가 모두 활성화된 상태에서, 감지부(미도시) 혹은 촬영부(240)를 통해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30)는 통신부(210)를 통해 활성화된 근접 입력부(133)가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2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제2 제어 신호에 따라, 활성화된 근접 입력부(133)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Meanwhile, in a state in which all of the plurality of input units 130 are activated,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through the sensing unit (not shown) or the photographing unit 240 does not exist within a preset distance from the display device 200. If determined, the controller 230 may transmit a second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proximity input unit 133 activa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10 to be deactivated. Accordingly,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may deactivate the activated proximity input unit 133 according to the second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display device 200.

한편, 제어부(230)는 제2 제어 신호를 전송한 이후,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디스플레이부(220)를 통해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 및 컨텐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고, 절전 모드로 모드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fter transmitting the second control signal, the control unit 230 transmits at least one of the content being displayed and the content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through the display unit 220, and performs mode switching to the power saving mode. can do.

따라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혹은 컨텐츠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 및 해당 컨텐츠와 관련된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통해 컨텐츠를 시청 중인 사용자가 거실 밖으로 이동할 경우, 사용자는 시청 중인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통해 연속해서 시청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may display the content currently being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200 and a UI related to the content based on the content or conten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display device 200. Accordingly, when a user who is watching content through the display device 200 moves outside the living room, the user can continuously view the content being viewed through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한편, 전술한 감지부(270)는 주변 밝기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30)는 통신부(210)를 통해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이벤트 신호가 감지되면, 조도 센서(미도시)를 통해 주변 환경의 밝기를 감지하도록 감지부(27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조도 센서(미도시)를 통해 주변 환경의 밝기가 감지되면, 제어부(270)는 감지된 밝기 정보와 기설정된 임계값를 비교한다. 비교 결과, 조도 센서(미도시)를 통해 감지된 밝기 정보가 기설정된 임계값 이하이면, 제어부(270)는 통신부(210)를 통해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밝기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Meanwhile, the above-described sensing unit 270 may further include an illuminance sensor (not shown) for sensing ambient brightness. In this case, when an event signal is detected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10, the control unit 230 controls the detection unit 270 to sense the brightness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rough an illuminance sensor (not shown). . Accordingly, when the brightness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s detected through the illuminance sensor (not shown), the controller 270 compares the detected brightness information with a preset threshold.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if the brightness information sensed through the illuminance sensor (not shown)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threshold, the controller 270 transmits a brightness control signal to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10.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어부(27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조도 센서(미도시)를 통해 감지된 밝기 정보와 기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밝기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when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200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the control unit 270 displays the brightness sensed through the illuminance sensor (not shown). The information may be compared with a preset threshold value, and a brightness control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따라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밝기 제어 신호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하우징 내에 포함된 후면 발광판(Backlit)(미도시)의 발광을 제어한다. 따라서, 후면 발광판을 통해 발광된 빛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형성된 버튼 입력부(350)를 통해 발산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어두운 실내 공간에서도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쉽게 조작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controls light emission of a backlit (not shown) included in the housing of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brightness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display device 200. Accordingly, light emitted through the rear light emitting panel is emitted through the button input unit 350 formed in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manipulate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even in a dark indoor space.

한편, 입력부(25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구비된 조작부(미도시) 혹은 터치 패널(미도시)과 같은 입력 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아 제어부(230)로 전달한다. 따라서, 제어부(230)는 입력부(250)를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컨텐츠 서버(미도시)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Meanwhile, the input unit 250 receives a user command input from an input means such as an operation unit (not shown) or a touch panel (not shown) provided in the display apparatus 200 and transmits the received user command to the control unit 230. Accordingly, the controller 23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apparatus 200 or receive content from a content server (not shown) based on a user command input by the input unit 250.

한편, 저장부(26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동작시키기 위해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등이 저장되는 저장매체로서, 메모리, HDD(Hard Disk Drive) 등으로 구현가능하다. 예를 들어, 저장부(260)는 제어부(230)의 동작 수행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ROM, 제어부(230)의 동작 수행에 따른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RAM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Meanwhile, the storage unit 260 is a storage medium in which various programs required to operate the display device 200 are stored, and can be implemented as a memory or a hard disk drive (HDD). For example, the storage unit 260 may include a ROM for storing a program for performing an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230, a RAM for temporarily storing data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230, and the like. In addition, an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for storing various reference data may be further provided.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각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거리 정도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복수의 입력부(130)를 제어하는 동작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So far, each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input units 130 of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200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and the display device 200 described above is described.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거리 정도에 따라 상이한 동작을 수행하는 예시도이다.6 is an exemplary diagram for performing different operations according to a distance from a display device in a user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A 영역에 고정되어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고정된 A 영역에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있을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고정된 A 영역 내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통해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A 영역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기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하는 영역이 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6, the display apparatus 200 may be fixed to area A, and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may be located in area A to which the display apparatus 200 is fixed. Meanwhile, a user may view content through the display device 200 within the area A where the display device 200 is fixed, and control the display device 200 using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Here, the area A may be an area in which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is located within a preset distance from the display device 200.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A 영역에 위치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터치 입력부(131) 및 근접 입력부(133)를 활성화시킨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터치 입력부(131) 또는 근접 입력부(133)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채널을 변경하거나 볼륨을 조정하는 등의 제어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is located in the area A,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receives a user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200, the touch input unit 131 and the proximity input unit 133 Activates Accordingly, the user may change a channel of the display apparatus 200 or control a volume through the touch input unit 131 or the proximity input unit 133.

한편,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휴대한 사용자는 A 영역을 벗어나 B 지점 혹은 C 지점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기설정된 거리 밖으로 벗어난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활성화된 근접 입력부(133)를 비활성화시킨다. 이후,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절전 모드로 모드 전환하라는 모드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데이터 및 해당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하고, 절전 모드로 모드 전환한다.Meanwhile, a user carrying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may move to a point B or a point C outside the area A.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determines that it is out of a preset distance from the display device 200. Accordingly,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deactivates the activated proximity input unit 133. Thereafter,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transmits a mode control signal to the display device 200 to switch the mode to the power saving mode. Accordingly, the display device 200 transmits at least one of content data on the currently displayed content and content information on the corresponding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and switches the mode to a power saving mode.

한편,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수신한 컨텐츠 및 컨텐츠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절전 모드로 전환하기 전,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 및 해당 컨텐츠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UI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통해 컨텐츠를 시청하고 있는 중에 A 영역을 벗어나 B 영역 혹은 C 영역으로 이동할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통해 시청하던 컨텐츠를 연속하여 시청할 수 있다.Meanwhile,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displays the content being displayed and a UI for executing a control command for the content on the screen before switching to the power saving mode in the display device 200 based on the received content and content information. Display. Accordingly, when the user moves out of area A and moves to area B or area C while viewing content through the display device 200,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displays the content that has been viewed through the display device 200. You can watch continuously.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와의 거리 정도에 따라 단계적으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perform an operation step by step according to a distance to the display device 200.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A 영역을 벗어나 제1 임계 영역인 B 지점에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활성화된 근접 입력부(133)를 비활성화시킨다. 한편, A 영역을 벗어난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제1 임계 영역 밖에 해당하는 C 지점에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활성화된 근접 입력부(133)를 비활성화시킨다. 이와 함께,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절전 모드로 모드 전환하라는 모드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데이터 및 해당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하고, 절전 모드로 모드 전환한다. 한편,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및 컨텐츠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절전 모드로 전환하기 전,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 및 해당 컨텐츠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UI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is located at a point B, which is a first critical area, out of area A,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deactivates the activated proximity input unit 133. Meanwhile, when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outside the area A is located at a point C corresponding to the outside of the first critical area,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deactivates the activated proximity input unit 133.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transmits a mode control signal to the display device 200 to switch the mode to the power saving mode. Accordingly, the display device 200 transmits at least one of content data on the currently displayed content and content information on the corresponding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and switches the mode to a power saving mode. Meanwhile,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performs a control command for the content being displayed and the corresponding content before switching to the power saving mode in the display device 200 based on the content and conten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display device 200. The UI for this is displayed on the screen.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 와의 거리 정도에 따라, 활성화된 복수의 입력부(130)의 동작 모드를 단계적으로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In this way,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step-by-step deactivate the operation modes of the plurality of activated input units 130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display device 200.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근접 입력부의 감지 영역을 확장시키는 예시도이다.7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anding a sensing area of a proximity input unit of a user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A 영역에 고정되어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고정된 A 영역에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있을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고정된 A 영역 내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통해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A 영역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기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하는 영역이 될 수 있다.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the display apparatus 200 may be fixed to area A, and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may be located in area A to which the display apparatus 200 is fixed. Meanwhile, a user may view content through the display device 200 within the area A where the display device 200 is fixed, and control the display device 200 using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Here, the area A may be an area in which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is located within a preset distance from the display device 200.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A 영역에 위치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터치 입력부(131) 및 근접 입력부(133)를 활성화시킨다. 이때,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근접한 위치에 있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는 핑거 호버링 영역이 확장되도록 근접 입력부(133)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근접 입력부(133)의 핑거 호버링 영역이 확장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is located in area A,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receives a user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200, the touch input unit 131 and the proximity input unit 133 Activates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controls the proximity input unit 133 to expand a finger hovering area that detects a gesture of a user in a proximity position. Accordingly, the finger hovering area of the proximity input unit 133 may be expanded.

구체적으로,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일 측 영역에는 근접 입력부(133)가 구비될 수 있으며, 최초 기설정된 핑거 호버링 영역(710) 내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의 근접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즉, 활성화된 근접 입력부(133)는 초기 핑거 호버링 영역(710) 내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의 근접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 같은 활성화된 근접 입력부(133)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기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하는 A 영역에 존재하면, 기설정된 임계 범위만큼 핑거 호버링 영역을 확장시킨다. 따라서, 활성화된 근접 입력부(133)는 초기 핑거 호버링 영역(710)과 확장된 핑거 호버링 영역(720)을 내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의 근접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a) of FIG. 7, a proximity input unit 133 may be provided in one area of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and the user's first preset finger hovering area 710 It can detect whether the finger is close. That is, the activated proximity input unit 133 may detect whether the user's finger is close within the initial finger hovering area 710. The activated proximity input unit 133 expands the finger hovering area by a preset threshold range when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is in the area A located within a preset distance from the display device 200. Accordingly, the activated proximity input unit 133 may detect whether the user's finger is close within the initial finger hovering region 710 and the extended finger hovering region 720.

한편, 사용자는 테이블에 수평 방향으로 놓여진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들어 올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수직 방향으로 이동되는 모션이 감지되고, 그 감지된 기울기 값이 기설정된 임계값 이상이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초기 핑거 호버링 영역(710) 내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성화된 근접 입력부(133)는 초기 핑거 호버링 영역(710) 내에서 사용자의 근접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Meanwhile, the user may lift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placed on the t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ccordingly, when a motion in which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detected, and the detected slope valu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It controls to detect whether or not the finger is close. Accordingly, as shown in (b) of FIG. 7, the activated proximity input unit 133 may detect whether the user is near within the initial finger hovering area 710.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00)와의 거리 정도에 따라 UI를 제공하는 동작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of providing a UI according to a distance between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and the display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기설정된 거리 내에 존재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UI를 제공하는 예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기설정된 거리 내에 존재하지 않는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UI를 제공하는 예시도이다.8 is an exemplary view of providing a UI in a user terminal device existing within a preset distance from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within a preset distance. This is an exemplary diagram of providing a UI in a user terminal device that does not exist.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와 관련된 채널 리스트 UI(820)를 터치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통해 제1 채널에서 제공하는 드라마 관련 컨텐츠(810)를 시청하는 중에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이용하여 채널 변경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터치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된 채널 리스트 UI(820)를 통해 시청하고자 하는 채널을 선택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입력된 채널 선택 명령에 대응되는 채널 변경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채널 변경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채널을 선국하여 해당 채널로부터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when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is within a preset distance from the display device 200,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displays a channel list UI related to the content being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200. 820)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For example, a user may change a channel using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while watching the drama-related content 810 provided in the first channel through the display device 200. That is, the user can select a channel to be viewed through the channel list UI 820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of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and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can select a channel corresponding to the input channel selection command. The change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display device 200. Accordingly, the display device 200 may select a channel corresponding to the channel chang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and receive and display broadcast content from the corresponding channel.

한편,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지 않으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모드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이 같은 모드 제어 신호를 수신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데이터 및 해당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한다.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에 대한 디스플레이 동작을 중단하고, 절전 모드로 모드 전환을 수행한다.Meanwhile, if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does not exist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display device 200,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transmits a mode control signal to the display device 200. Receiving the mode control signal, the display device 200 transmits at least one of content data on the currently displayed content and content information on the corresponding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Thereafter, the display apparatus 200 stops the display operation of the content currently being displayed, and performs a mode change to the power saving mode.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컨텐츠 및 해당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수신되면, 수신된 컨텐츠 데이터 및 컨텐츠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절전 모드로 진입하기 직전에 디스플레이한 컨텐츠(810’)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810’)와 관련하여 해당 컨텐츠(810’)의 오디오 신호의 세기를 조정하기 위한 볼륨 UI(920), 고속 재생 플레이 혹은 채널 전환 UI(930,940)를 생성하여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9, when at least one of content and content information on the content is received from the display device 200,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is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received content data and content information. Thus, the content 810' displayed immediately before entering the power saving mode in the display device 200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includes a volume UI 920 for adjusting the intensity of an audio signal of the content 810', a high-speed playback play, or a channel switching UI 930,940 in relation to the content 810' being displayed. ) And display it on the screen.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통해 시청 중인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통해 연속해서 시청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당 컨텐츠와 관련된 다양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continuously view the content being viewed through the display device 200 through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and perform various control operations related to the corresponding content.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주변 환경에 따라 적응적으로 백라이트를 제공하는 예시도이다.10 is an exemplary diagram of adaptively providing a backlight according to a surrounding environment in a user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원격 제어 장치가 될 수 있다. 이 같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이벤트 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서, 기설정된 이벤트는 터치 입력부(131) 및 근접 입력부(133) 중 활성화된 입력부로부터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이벤트 및 모션 감지부(160)를 통해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모션이 감지되는 이벤트가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0,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may be a remote control device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200. When a preset event occurs,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transmits an event signal to the display device 200. Here, the preset event is an event in which a user command is input from an activated input unit among the touch input unit 131 and the proximity input unit 133 and the motion of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user's manipulation through the motion detection unit 160. At least one of the detected events may be.

이 같은 이벤트가 발생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이벤트 신호를 전송한다. 이벤트 신호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구비된 조도 센서(1010)를 통해 주변 밝기를 감지하고, 감지된 밝기 정보와 기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한다. 비교 결과, 밝기 정보가 기설정된 임계값 이하이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밝기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When such an event occurs,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transmits an event signal to the display device 200. When an event signal is received, the display apparatus 200 detects ambient brightness through the illuminance sensor 1010 provided in the display apparatus 200, and compares the detected brightness information with a preset threshold.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if the brightness information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threshold, the display apparatus 200 transmits a brightness control signal to the user terminal apparatus 100.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구비된 조도 센서(1010)를 통해 주변 밝기를 감지하고, 감지된 밝기 정보와 기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밝기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when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200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the display device 200 A brightness control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a result of detecting ambient brightness through 1010, comparing the detected brightness information with a preset threshold value.

이 같은 밝기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밝기 제어 신호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하우징 내에 포함된 후면 발광판(Backlit) 의 발광을 제어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기설정된 임계 시간 동안 발광하도록 후면 발광판을 제어할 수 있다.When such a brightness control signal is received,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controls the light emission of the backlit included in the housing of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brightness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display device 200. do.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may control the rear light emitting panel to emit light for a predetermined threshold time.

후면 발광판을 통해 발광된 빛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형성된 버튼 입력부(135)를 통해 발산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어두운 실내 공간에서도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쉽게 조작할 수 있다.The light emitted through the rear light emitting panel is emitted through the button input unit 135 formed in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operate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even in a dark indoor space.

이하에서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제어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controlling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user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통신을 개시한다(S1010).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페어링되어 통신이 개시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주기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와의 거리를 감지한다(S1020).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BLE(Bluetooth Low Energy) 및 초음파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를 통해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디스플레이 장치(200) 간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 내 구비된 센서를 통해 감지된 거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디스플레이 장치(200) 간의 거리 정보가 감지되거나 혹은 그 거리 정보가 수신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해당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복수의 입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 모드로 동작시킨다(S1030,S1040). As shown in FIG. 11,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starts communication with the display device 200 (S1010 ). When communication is initiated by being paired with the display device 200,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periodically senses the distance to the display device 200 (S1020 ).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may detect a distance between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and the display device 200 through at least one detection sensor of Bluetooth Low Energy (BLE) and an ultrasonic senso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may receive distance information sensed through a sensor included in the display device 200. In this way, when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and the display device 200 is detected or the distance information is received,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displays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based on the distance informa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evice 200 is within a preset distance, an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input units is operated in an activation mode (S1030 and S1040).

여기서, 복수의 입력부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및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것이다. 이 같은 복수의 입력부는 터치 입력부 및 근접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입력부는 터치 스크린 상에서 사용자의 터치 명령을 입력받는 터치 센서가 될 수 있으며, 근접 입력부는 근접한 위치에 있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여 감지된 결과에 대응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근접 센서가 될 수 있다.Here, the plurality of input units is for receiving a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apparatus 200 and a user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Such a plurality of input units may include a touch input unit and a proximity input unit. The touch input unit may be a touch sensor receiving a user's touch command on the touch screen, and the proximity input unit may be a proximity sensor receiving a user command corresponding to a detected result by sensing a gesture of a user at a nearby location. .

한편,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원격 제어 장치인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이벤트 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서, 기설정된 이벤트는 터치 입력부 및 근접 입력부 중 활성화된 입력부로부터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이벤트 및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모션이 감지되는 이벤트가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is a remote control device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200,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transmits an event signal to the display device 200 when a preset event occurs. . Here, the preset event may be at least one of an event in which a user command is input from an activated input unit among the touch input unit and the proximity input unit, and an event in which motion of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is detected.

이 같은 이벤트가 발생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이벤트 신호를 전송한다. 이벤트 신호를 전송한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밝기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전술한 단계 S1040를 통해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하우징 내에 포함된 후면 발광판(미도시)에서 빛을 발광하도록 후면 발광판을 활성화 모드로 동작시킨다.When such an event occurs,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transmits an event signal to the display device 200. After transmitting the event signal, when a brightness control signal is received from the display device 200,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performs the above-described step S1040 through a rear light-emitting plate (not shown) included in the housing of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 To emit light, the rear panel is operated in the activation mode.

따라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버튼 입력부(135)를 통해 활성화 모드로 전환된 후면 발광판(미도시)로부터 발광된 빛을 투과시킨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어두운 실내 공간에서도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쉽게 조작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transmits light emitted from the rear light emitting plate (not shown) that has been switched to the activation mode through the button input unit 135.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manipulate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even in a dark indoor space.

이하에서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복수의 입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 모드로 동작시키는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operating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input units in the activation mode according to whether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is within a preset distance from the display device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거리 정도에 따라 복수의 입력부 및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12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displaying a plurality of input units and a UI according to a distance between display devices in a user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감지부를 통해 주기적으로 디스플레이장치(200)와의 거리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거리 정보를 획득하거나 혹은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감지된 거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같은 거리 거리 정보가 입력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입력된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기설정된 임계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110). As shown in FIG. 12,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periodically senses a distance to the display device 200 through a sensing unit, and obtains distan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istance information, or obtains distance information sensed from the display device 200. Can receive. When such distance distance information is input,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determines whether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exists within a preset threshold distance from the display device 200 based on the input distance information (S1110). .

판단 결과,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디스플레이 장치(200) 간의 거리가 기설정된 임계 거리 미만이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터치 입력부 및 근접 입력부를 모두 활성화시킨다(S1120). 이 같이, 터치 입력부 및 근접 입력부가 활성화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활성화된 근접 입력부의 핑거 호버링 영역을 확장시키니다. 여기서, 핑거 호버링 영역은 근접 입력부와 근접한 위치에 있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 영역이 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and the display device 200 is less than a preset threshold distance,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activates both the touch input unit and the proximity input unit (S1120). In this way, when the touch input unit and the proximity input unit are activated,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expands the finger hovering area of the activated proximity input unit. Here, the finger hovering region may be a sensing region for detecting a gesture of a user located in a position close to the proximity input unit.

한편,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활성화된 근접 입력부의 핑거 호버링 영역이 확장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모션 감지에 따른 기울기 값이 감지되면, 감지된 기울기 값과 기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한다. 비교 결과, 기울기 값이 기설정된 임계값 이상이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확장된 핑거 호버링 영역을 초기의 핑거 호버링 영역으로 복귀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detects a slope value according to motion detection of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in a state where the finger hovering area of the activated proximity input unit is expanded, the detected slope value and a preset threshold value are Compare.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if the slope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threshold value,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may return the extended finger hovering region to the initial finger hovering region.

한편, 터치 입력부 및 근접 입력부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감지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활성화된 근접 입력부를 비활성화 모드로 동작시킨다(S1130). 이후,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절전 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즉,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감지되면, 활성화된 근접 입력부를 비활성화 모드로 동작시킨 후,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제1 모드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제1 모드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컨텐츠에 대한 디스플레이 동작을 중단하고, 절전 모드로 모드 전환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touch input unit and the proximity input unit are activated and it is detected that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does not exist within a preset distance from the display device 200,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deactivates the activated proximity input unit. Operate in the mode (S1130). Thereafter,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transmits a control signal for operating in a power saving mode. That is, when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detects that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does not exist within a preset distance from the display device 200,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operates the activated proximity input unit in the inactive mode, and then the display device 200 Transmits a first mode control signal. Accordingly, when the first mode control signal is input, the display apparatus 200 may stop a display operation for content and perform an operation of switching the mode to a power saving mode.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제1 모드 제어 신호에 따라절전 모드로 모드 전환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활성화 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제2 모드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한다. 따라서, 절전 모드 상태의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입력된 제2 모드 제어 신호에 따라, 전원 온 동작을 수행하여 활성화 모드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isplay device 200 is in a state in which the mode is switched to the power saving mode according to the first mode control signal, when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is detected to exist within a preset distance from the display device 200, the user terminal device The 100 transmits a second mode control signal for operating in the activation mode to the display apparatus 200. Accordingly, the display apparatus 200 in a power saving mode state may perform an operation in an active mode by performing a power-on operation according to an input second mode control signal.

한편, 제1 모드 제어 신호를 수신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절전 모드로 모드 전환을 수행하기에 앞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데이터 및 해당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한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컨텐츠 관련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컨텐츠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절전 모드로 진입하기 직전의 컨텐츠 및 해당 컨텐츠와 관련된 UI를 디스플레이한다(S1150,S1160).On the other hand, the display device 200 receiving the first mode control signal prior to performing the mode switching to the power saving mode, at least one of content data for the content being displayed by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and content information for the corresponding content. Transmit one. Accordingly, when the content-related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display device 200,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is based on the received content-related information, the content immediately before entering the power saving mode in the display device 200 and the UI related to the content. Is displayed (S1150, S1160).

이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 및 해당 컨텐츠 관련 UI를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UI를 터치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content being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200 and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that displays the UI related to the content are within a preset distance from the display device 200,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200 is controlled. The UI for doing so can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is generally used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s well as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idea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사용자 단말 장치 110,210 : 통신부
120 : 감지부 130,250 : 입력부
140,230 : 제어부 150,220 : 디스플레이부
160 : 모션 감지부 170,260 : 저장부
180 : 촬영부 200 : 디스플레이 장치
100: user terminal device 110,210: communication unit
120: sensing unit 130,250: input unit
140,230: control unit 150,220: display unit
160: motion detection unit 170,260: storage unit
180: photographing unit 200: display device

Claims (26)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조도 센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조도 센서로부터 센싱된 센싱 값에 기초하여 주변 조도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주변 조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버튼의 밝기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기 설정된 이벤트 발생에 따라 생성된 이벤트 신호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되면, 주변 조도에 대한 센싱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조도 센서를 제어하고,
상기 감지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활성화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감지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절전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이벤트 신호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를 통해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이벤트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모션이 감지되는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에 따라 생성된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
In the display device,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a user terminal device;
Illuminance sensor;
A sensing unit detecting a distance to the user terminal device; And
And a processor for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unit to identify ambient illuminance based on a sensing value sensed from the illuminance sensor and transmit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brightness of a button of the user terminal device based on the identified ambient illuminance; and,
The processor,
When an event signal generated according to occurrence of a preset event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the illuminance sensor is controlled to perform a sensing operation for surrounding illuminance,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user terminal device is within a preset distance from the display device through the detection unit, the display device is controlled to operate in an activation mode,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user terminal device does not exist within the preset distance from the display device through the detection unit, the display device is controlled to operate in a power saving mode,
The event signal,
The display device generated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an event in which a user command is input through the user terminal device and an event in which motion of the user terminal device is detec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된 주변 조도가 기 설정된 임계값 이하이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마련된 버튼의 밝기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rocessor,
When the identified ambient illuminance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threshold, the display device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brightness of a button provided in the user terminal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버튼 후면에 배치된 발광판(Backlit)의 발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인,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signal,
A display device, which is a signal for controlling light emission of a backlit disposed behind a button of the user terminal device.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조도 센서로부터 센싱된 센싱 값에 기초하여 주변 조도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주변 조도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의 버튼의 밝기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버튼 후면에 배치된 발광판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발광판의 발광을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는,
기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면 이벤트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이벤트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조도 센서를 통해 주변 조도를 식별하고상기 식별된 주변 조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버튼의 밝기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활성화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감지되면, 절전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기설정된 이벤트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를 통해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이벤트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모션이 감지되는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In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A display device that identifies ambient illuminance based on a sensing value sensed by an illuminance sensor, and transmit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brightness of a button of a user terminal device based on the identified ambient illuminance; And
A user terminal device comprising a light emitting plate disposed behind the button, and controlling light emission of the light emitting plate when the control signal is received from the display device; and
The user terminal device,
When a preset event occurs, an even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display device,
The display device,
In response to the event signal,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for identifying the ambient illuminance through the illuminance sensor and controlling the brightness of a button of the user terminal device based on the identified ambient illuminance,
When the user terminal device is detected to exist within a preset distance from the display device, it operates in an activation mode,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user terminal device does not exist within the preset distance from the display device, it operates in a power saving mode,
The preset event,
Content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an event in which a user command is input through the user terminal device and an event in which motion of the user terminal device is detect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식별된 주변 조도가 기 설정된 임계값 이하이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마련된 버튼의 밝기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The display device,
When the identified ambient illuminance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threshold, a content providing system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brightness of a button provided in the user terminal device.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조도 센서로부터 센싱된 센싱 값에 기초하여 주변 조도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주변 조도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의 버튼의 밝기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와의 거리에 기초하여 활성화 모드 또는 절전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주변 조도를 식별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이벤트 발생에 따라 생성된 이벤트 신호가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되면, 주변 조도에 대한 센싱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조도 센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신호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를 통해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이벤트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모션이 감지되는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에 따라 생성되고,
상기 동작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활성화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절전 모드로 동작하는 제어방법.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display device,
Identifying ambient illuminance based on a sensing value sensed by an illuminance sensor of the display device;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brightness of a button of a user terminal device based on the identified ambient illuminance; And
Operating in an activation mode or a power saving mode based on the distance to the user terminal device; Including,
The step of identifying the ambient illuminance,
When an event signal generated according to occurrence of a preset event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controlling the illuminance sensor to perform a sensing operation for surrounding illuminance,
The event signal,
Generated according to at least one event of an event in which a user command is input through the user terminal device and an event in which motion of the user terminal device is detected,
The operating step,
When the user terminal device is detected to exist within a preset distance from the display device, it operates in the activation mode,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user terminal device does not exist within the preset distance from the display device, the control method operates in the power saving mod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된 주변 조도가 기 설정된 임계값 이하이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마련된 버튼의 밝기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Transmitting the control signal,
A control method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brightness of a button provided in the user terminal device when the identified ambient illuminance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threshol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버튼 후면에 배치된 발광판(Backlit)의 발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인,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The control signal,
The control method, which is a signal for controlling light emission of a backlit disposed behind a button of the user terminal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50142195A 2014-11-03 2015-10-12 User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KR1021572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5/010919 WO2016072635A1 (en) 2014-11-03 2015-10-15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 thereof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US14/922,878 US9766849B2 (en) 2014-11-03 2015-10-26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 thereof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CN201510736854.0A CN105573628B (en) 2014-11-03 2015-11-03 User terminal device, control method thereof,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EP15192691.2A EP3016397B1 (en) 2014-11-03 2015-11-03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 thereof
US15/680,354 US10353656B2 (en) 2014-11-03 2017-08-18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 thereof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51001 2014-11-03
KR1020140151001 2014-11-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2319A KR20160052319A (en) 2016-05-12
KR102157224B1 true KR102157224B1 (en) 2020-09-17

Family

ID=56024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2195A KR102157224B1 (en) 2014-11-03 2015-10-12 User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722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33456A1 (en) * 2021-09-06 2023-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1236B1 (en) * 2018-11-07 2024-01-08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CN117795967A (en) 2021-09-01 2024-03-29 三星电子株式会社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30033285A (en) * 2021-09-01 2023-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230033288A (en) * 2021-09-01 2023-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603659B1 (en) * 2023-05-09 2023-11-20 주식회사 엘토브 Display type device capable of saving power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21414A2 (en) 2006-04-14 2007-10-25 Qualcomm Incorporated Distance-based association
US20070259690A1 (en) * 2006-04-14 2007-11-08 Qualcomm Incorporated Distance-based presence management
JP2011071902A (en) 2009-09-28 2011-04-07 Sharp Corp Remote control operation apparatus
JP2011109421A (en) 2009-11-18 2011-06-02 Sharp Corp Remote control device
JP2013114160A (en) 2011-11-30 2013-06-10 Seiko Epson Corp Display system and image display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2540A (en) * 2006-11-10 2008-05-15 (주)지엔더블유테크놀러지 Digital display system
KR101668245B1 (en) * 2010-01-15 2016-10-28 엘지전자 주식회사 Image Display Device Controllable by Remote Controller and Operation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20130005682A (en) * 2011-07-07 2013-01-16 주식회사 엠투아이코퍼레이션 Touch display apparatus for industrial
US8917877B2 (en) * 2011-10-12 2014-12-23 Sony Corporation Distance-based rendering of media files
KR102186103B1 (en) * 2013-02-22 2020-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Context awareness based screen scroll method,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and terminal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21414A2 (en) 2006-04-14 2007-10-25 Qualcomm Incorporated Distance-based association
US20070259690A1 (en) * 2006-04-14 2007-11-08 Qualcomm Incorporated Distance-based presence management
JP2014099855A (en) 2006-04-14 2014-05-29 Qualcomm Incorporated Distance-based association
JP2011071902A (en) 2009-09-28 2011-04-07 Sharp Corp Remote control operation apparatus
JP2011109421A (en) 2009-11-18 2011-06-02 Sharp Corp Remote control device
JP2013114160A (en) 2011-11-30 2013-06-10 Seiko Epson Corp Display system and image display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33456A1 (en) * 2021-09-06 2023-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2319A (en) 2016-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53656B2 (en)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 thereof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KR102157224B1 (en) User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US10116781B2 (en) Method, devic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controlling a device
US10764415B2 (en) Screen lighting method for dual-screen terminal and terminal
US20120144299A1 (en) Blind Navigation for Touch Interfaces
JP6522124B2 (en) Gesture control method, device and system
KR102270007B1 (en)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remote control thereof
WO2017107714A1 (en) Method and device for switching screen interface, and terminal
KR20160060972A (en) User terminal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1011797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graphic user interface in mobile terminal
CN108476339B (en) Remote control method and terminal
KR20170091426A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9169991A1 (en) Display method and mobile terminal
CN108446156B (en) Application program control method and terminal
US9823635B2 (en) Handhel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with remote control output mode
WO2016062039A1 (en) Information fast look-up method, display control system and input device
KR101897828B1 (en)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it
WO2022110352A1 (en) Smart hom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and terminal and storage medium
US20160124523A1 (en) Electronic devic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073611B2 (en) Display apparatus to display a mirroring scree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140159880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WO2017166149A1 (en)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140086937A (en) Remote controller for setting mode according to state of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CN109542324B (en) Icon display method and terminal
US10388248B2 (en)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