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6883B1 - Stacked Display Apparatus and System - Google Patents

Stacked Display Apparatus and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6883B1
KR102156883B1 KR1020180147111A KR20180147111A KR102156883B1 KR 102156883 B1 KR102156883 B1 KR 102156883B1 KR 1020180147111 A KR1020180147111 A KR 1020180147111A KR 20180147111 A KR20180147111 A KR 20180147111A KR 102156883 B1 KR102156883 B1 KR 102156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cked
image
output
display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71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61605A (en
Inventor
김정현
김영우
문성재
Original Assignee
한국광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광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광기술원
Priority to KR1020180147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6883B1/en
Publication of KR20200061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16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6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688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2Networking aspects
    • G09G2370/022Centralised management of display operation, e.g. in a server instead of locall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6Use of wireless transmission of display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적층형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해 출력하고자 하는 영상 정보를 외부로부터 수신하여 영상신호를 생성한 후, 상기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관리서버 및 다양한 형태로 적층 가능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각 디스플레이 모듈이 영상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한다.
A stacked display device and method are disclosed.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in a stacked display system including a stacked display device and a management server, after receiving image information to be output using the stacked display device from outside to generate an image signal, the stacked display device A stacked type display device comprising a management server that transmits to and a plurality of display modules that can be stacked in various forms, and receives an image signal from the management server and controls each display module to output an image. Provide a display system.

Description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시스템{Stacked Display Apparatus and System}Stacked Display Apparatus and System

본 발명은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cked display device and system.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The content described in this section merely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on the present embodiment and does not constitute the prior art.

도 1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display system.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은 메인 디스플레이(110), 주변 디스플레이(115) 및 도선(12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conventional display system 100 includes a main display 110, a peripheral display 115, and a conductor 120.

디스플레이 시스템(110)에는 주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메인 디스플레이(110)가 배치되며, 메인 디스플레이(110) 주변으로 주 영상과 관련된 보조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주변 디스플레이(115)가 배치된다.A main display 110 for outputting a main image is disposed in the display system 110, and a peripheral display 115 for outputting an auxiliary image related to the main image is disposed around the main display 110.

주변 디스플레이(115)는 메인 디스플레이(110)가 출력하는 주 영상과 관련된 보조 영상을 출력하여야 했기 때문에, 메인 디스플레이(110)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 디스플레이가 사용되었다. 이때, 메인 디스플레이(110)의 사이즈는 통상적으로, 디스플레이 시스템(110)이 설치된 공간에 있는 관객이 모두 볼 수 있도록 커진다. 특히, 야외에 설치된 메인 디스플레이(110)라면 더욱 커지게 된다. 이러한 메인 디스플레이(110)의 주변에 설치될 주변 디스플레이(115)들 역시 높이가 메인 디스플레이(110) 만큼 높아져야만 한다. Since the peripheral display 115 had to output an auxiliary image related to the main image output from the main display 110, a display having the same height as the main display 110 was used. At this time, the size of the main display 110 is usually increased so that all the audience in the space where the display system 110 is installed can see it. In particular, if the main display 110 installed outdoors, it will be even larger. The height of the peripheral displays 115 to be installed around the main display 110 must also be as high as the main display 110.

이처럼, 디스플레이 시스템(100) 내 주변 디스플레이(115)의 크기(높이)가 커지는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In this way, when the size (height) of the peripheral display 115 in the display system 100 increases, the following problems occur.

먼저, 디스플레이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열이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에 고중량의 방열재나 냉각재가 사용되어야 한다. 주변 디스플레이(115)도 마찬가지로, 고중량의 방열재나 냉각재가 사용되어야 하므로, 주변 디스플레이(115)의 중량이 증가하게 된다. 주변 디스플레이(115)의 중량이 증가함에 따라, 주변 디스플레이(115)를 설치함에 있어 어려움이 발생하게 된다. First, as the size of the display increases, a lot of heat is generated, so a high-weight heat dissipating material or coolant must be used for the display. Similarly, for the peripheral display 115, since a high-weight heat dissipating material or coolant must be used, the weight of the peripheral display 115 is increased. As the weight of the peripheral display 115 increases, difficulties arise in installing the peripheral display 115.

메인 제어장치(미도시)로부터 제어신호나 영상신호를 공급받아야 하기 때문에, 메인 디스플레이(110)와 각각의 주변 디스플레이(115)들은 도선(120)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도선(120)은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이 배치되는 공간의 미감을 해치는 문제가 있으며, 디스플레이 개수가 많아질수록 배선이 복잡해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이 배치되는 무대의 설치가 복잡해진다. 또한,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이 기 설치된 상황에서 영상 등의 변화로 인해, 메인 디스플레이(110) 주변에 배치될 주변 디스플레이(115)의 개수가 변경되어야할 경우, 배선 문제와 출력할 영상의 재 조정으로 인해, 설치된 대부분의 주변 디스플레이(115)들이 다시 배치되어야 하는 불편이 발생하게 된다.Since a control signal or an image signal must be supplied from the main control device (not shown), the main display 110 and each of the peripheral displays 115 include a conducting wire 120. The conductive wire 120 has a problem of deteriorating the aesthetics of a space in which the display system 100 is disposed, and wiring becomes complicated as the number of displays increases, and thus, the installation of a stage in which the display system 100 is disposed becomes complicated. In addition, when the number of peripheral displays 115 to be arranged around the main display 110 needs to be changed due to changes in images, etc. in a situation where the display system 100 is already installed, wiring problems and readjustment of images to be output As a result, most of the installed peripheral displays 115 need to be re-arranged.

주변 디스플레이(115)의 크기(높이)가 커져야 하므로, 주변 디스플레이(115)로 고 해상도의 디스플레이가 사용되기 어렵거나, 고 해상도의 디스플레이가 사용되기엔 많은 비용이 소모되는 문제가 있다.Since the size (height) of the peripheral display 115 needs to be increased, it is difficult to use a high-resolution display as the peripheral display 115, or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large cost is consumed to use a high-resolution display.

또한, 주변 디스플레이(115)는 메인 디스플레이(110)와 같은 평면 상에서 2D 디스플레이만이 가능하기 때문에, 입체감있는 영상을 구현함에 있어 제약이 존재한다.In addition, since the peripheral display 115 is only capable of a 2D display on the same plane as the main display 110, there are limitations in implementing a three-dimensional image.

이러한 문제에 의해, 설치와 재배치가 용이하며, 저비용으로도 고 해상도로 구현 가능하고, 입체감있는 영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Due to these problems,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a display system that is easy to install and relocate, can be implemented with high resolution at low cost, and can provide a three-dimensional imag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적층함으로써, 설치와 배치의 재구성이 용이하고, 현실감있는 영상 구현이 가능한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acked display device and system capable of reconfiguring installation and arrangement and realizing realistic images by stacking display module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영상 및 가시광 신호로 피드백을 받아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와 출력 영상을 재조정하는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acked display device and system that readjusts the state of the stacked display device and an output image by receiving feedback from the stacked display device as an image and visible light signal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적층형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해 출력하고자 하는 영상 정보를 외부로부터 수신하여 영상신호를 생성한 후, 상기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관리서버 및 다양한 형태로 적층 가능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각 디스플레이 모듈이 영상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cked display system including a stacked display device and a management server, after receiving image information to be output using the stacked display device from the outside to generate an image signal, the stacked display device A stacked type display device comprising a management server that transmits to and a plurality of display modules that can be stacked in various forms, and receives an image signal from the management server and controls each display module to output an image. Provide a display system.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 내 각 디스플레이 모듈이 적층된 위치에 부합하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agement serv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acked display device generates an image signal that enables the stacked display device to output an image corresponding to a stacked position of each display module in the stacked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로 무선통신을 이용해 상기 영상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agement serv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transmits the video signal to the stacked display devic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각 디스플레이 모듈은 적층이 용이하도록 다면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display modules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polyhedral shape to facilitate stacking.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각 디스플레이 모듈은 마이크로 LED와 같은 미세 크기의 LED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display modules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fine-sized LED such as a micro LED.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각 디스플레이 모듈이 적층된 자신의 위치에 부합하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도록,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한 영상신호를 분석하여 각 디스플레이 모듈로 출력 영상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cked display device analyzes the image signal receiv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and transmits the output image to each display module so that each display module can output an image corresponding to its position in which the display modules are stacke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provide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출력 영상을 제어하는 관리서버에 있어서, 상기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출력할 영상신호를 상기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부와 상기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해 출력하고자 하는 영상 정보를 외부로부터 수신하여 시뮬레이션하는 시뮬레이션부 및 상기 시뮬레이션부의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라 상기 영상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무선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서버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management server for controlling an output image of a stacked display devic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at transmits an image signal to be output by the stacked display device to the stacked display device and the stacked display device are used for outpu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generate the image signal according to the simulation result of the simulation unit and transmit the generated image signal to the stack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simulation unit for receiving and simulating the image information from the outside. Provide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시뮬레이션 결과를 이용해 상기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적층된 형상을 파악하여, 적층된 형상에 부합하는 영상을 상기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determine the stacked shape of the stacked display device using a simulation result, and generate an image signal that enables the stacked display device to output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stacked shape. It feature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다양한 형태로 적층될 수 있는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기 설정된 형상을 가져 다양한 형태로 적층 가능하며, 영상을 출력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과 외부로부터 출력하기 위한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및 상기 무선 통신부가 수신한 영상신호를 분석하여 각 디스플레이 모듈이 영상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cked display device that can be stacked in various forms, it is possible to stack in various forms having a preset shape, and a plurality of display modules for outputting an image and an image signal for outputting from the outside are provided. It provides a stacked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each display module to output an image by analyzing the image signal receiv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영상신호는 각 디스플레이 모듈이 적층된 위치에 부합하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signal is characterized in that it enables an image corresponding to a stacked position of each display module to be outpu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신호를 분석하여, 각 디스플레이 모듈이 적층된 자신의 위치에 부합하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도록, 각 디스플레이 모듈로 출력 영상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analyzes the image signal and provides an output image to each display module so that each display module can output an image corresponding to its stacked position. .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관리서버가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출력영상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해 출력하고자 하는 영상 정보를 외부로부터 수신하여 시뮬레이션하는 시뮬레이션과정과 상기 시뮬레이션과정의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라 상기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출력할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생성과정 및 상기 생성과정에서 생성된 영상신호를 상기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전송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제어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method for a management server to control an output image of a stacked display device, a simulation process of receiving and simulating image information to be output using the stacked display device from the outside and a simulation of the simulation process It provides an image control method comprising a generating process of generating an image signal to be output by the stack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result, and a transmission step of transmitting the image signal generated in the generating step to the stacked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전송과정은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생성과정에서 생성된 영상신호를 상기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ssion proces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mage signal generated in the generation process is transmitted to the stacked display devic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여 다양한 형태로 적층될 수 있는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영상을 출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출력하기 위한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과정과 상기 영상신호를 분석하여 각 디스플레이 모듈이 영상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과정 및 상기 제어과정의 제어에 따라, 각 디스플레이 모듈을 이용하여 영상을 출력하는 출력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제어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method of outputting an image by a stacked display device that can be stacked in various forms including a plurality of display modules, a receiving process of receiving an image signal for output from the outside and the image signal Provides an image control method comprising a control process of analyzing and controlling each display module to output an image, and an output process of outputting an image using each display module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proces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제어과정은 상기 영상신호를 분석하여, 각 디스플레이 모듈이 적층된 자신의 위치에 부합하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도록, 각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process is characterized in that each display module is controlled to output an image corresponding to its own position in which each display module is stacked by analyzing the image signal.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영상을 출력함에 있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적층하여 배치함으로써, 설치와 배치의 재구성이 용이하고, 현실감있는 영상 구현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utputting an image, by stacking and arranging a plurality of display modules,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nstallation and reconfiguration of the arrangement are easy, and a realistic image can be realized.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영상 및 가시광 신호로 피드백을 받아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와 출력 영상을 재조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of being able to readjust a state of the stacked display device and an output image by receiving feedback as an image and visible light signals from the stacked display device.

도 1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현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한 타이밍차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display system.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cked 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tack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mplementation example of a stacked 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timing 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stacked 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stack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In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changes may be made and various embodiments may be provided,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each drawing, similar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used for similar elements.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A, and B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element. The term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서,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the middle.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should be understood as not precluding the possibility of existence or addition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Terms a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es not.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포함된 각 구성, 과정, 공정 또는 방법 등은 기술적으로 상호간 모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공유될 수 있다.In addition, each configuration, process, process, or method included in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hared within a range not technically contradicting each other.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cked 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디스플레이 시스템(200)은 관리서버(210) 및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22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a stacked display system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nagement server 210 and a stacked display device 220.

관리서버(210)는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220)가 출력할 영상신호를 생성하여 제공하고,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220)로부터 피드백을 받아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220)의 상태와 출력 영상을 관리한다.The management server 210 generates and provides an image signal to be output by the stacked display device 220, receives feedback from the stacked display device 220, and manages the state of the stacked display device 220 and an output image.

관리서버(210)는 외부로부터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220)를 이용해 출력하고자 하는 영상 정보를 수신하여,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220)가 출력할 영상신호를 생성한다. 관리서버(210)는 외부로부터 기획자 등이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220)를 이용해 출력하고자 하는 영상 정보를 수신한다. 관리서버(210)는 수신한 영상 정보를 시뮬레이션하여,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220) 내 각 디스플레이 모듈들이 어떻게 적층되어야 할지, 적층된 형태가 안전성이 있을 지 등을 파악하며, 적층된 형태에서 각 디스플레이모듈이 어떠한 영상들을 출력해야할 지를 판단한다.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22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적층되어 구현되기 때문에, 관리서버(210)는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적층된 각 모듈의 안전성과 적층된 각 모듈의 출력 영상 등을 판단한다. 관리서버(210)는 시뮬레이션 결과를 토대로,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220), 특히,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220) 내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이 출력할 영상을 파악하여 영상 신호를 생성한다. The management server 210 receives image information to be output using the stacked display device 220 from the outside, and generates an image signal to be output by the stacked display device 220. The management server 210 receives image information that a planner or the like wants to be output using the stacked display device 220 from the outside. The management server 210 simulates the received image information to determine how each display module in the stacked display device 220 should be stacked, whether the stacked form is safe, etc., and each display module in the stacked form It determines what kind of images to output. Since the stacked display device 220 is implement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display modules, the management server 210 performs a simulation to determine the safety of each stacked module and an output image of each stacked module. Based on the simulation result, the management server 210 identifies an image to be output by each of the display modules in the stacked display device 220, in particular, the stacked display device 220, and generates an image signal.

관리서버(210)는 생성된 영상 신호를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220)로 전송한다. 종래의 디스플레이 시스템 내에서 관리서버(210)의 역할을 하는 제어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도선을 이용해 영상신호 등을 전송하였기 때문에, 배선 문제로 인해 조립이나 설치가 곤란한 불편이 있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를 재배치하기도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고자, 관리서버(210)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영상 신호를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220)로 전송한다. 관리서버(210)가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영상 신호를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220)로 전송함으로써, 영상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배선문제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어 디스플레이 모듈의 설치과정이나 재배치과정이 수월해지는 장점이 있다.The management server 210 transmits the generated image signal to the stacked display device 220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In the conventional display system, the control device serving as the management server 210 transmits image signals and the like using wires to the display device, so assembly or installation is difficult due to wiring problems, and the display device may be rearranged. There was a difficult problem. To solve such inconvenience, the management server 210 transmits an image signal to the stacked display device 220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Since the management server 210 transmits the image signal to the stacked display device 220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it is possible to be free from wiring problems for transmitting the image signal, so that the installation process or relocation process of the display module is easy. .

관리서버(210)는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220)로부터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220)가 출력하는 영상을 피드백받는다. 관리서버(210)는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220)가 출력하는 영상을 취득하여 분석함으로써, 시뮬레이션된 영상 정보와 일치하는 영상이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220)로부터 출력되고 있는지 피드백받는다. 시뮬레이션된 영상 정보와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220)가 출력하는 영상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관리서버(210)는 영상 신호를 수정하여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220)로 재전송한다.The management server 210 receives feedback of an image output from the stacked display device 220 from the stacked display device 220. The management server 210 acquires and analyzes the image output from the stacked display device 220 to receive feedback on whether an image matching the simulated image information is being output from the stacked display device 220. When the simulated image information and the image output from the stacked display device 220 do not match, the management server 210 corrects the image signal and retransmits it to the stacked display device 220.

관리서버(210)는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220)로부터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220)가 출력하는 가시광 신호를 피드백받는다.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220)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이용하여 각 디스플레이 모듈들의 상태값을 가시광 신호로 생성할 수 있다. 관리서버(210)는 가시광 신호를 수신하여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토대로 각 디스플레이 모듈들의 상태에 따라 영상이 제대로 출력될 수 있도록, 영상 신호를 수정하여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220)로 재전송한다. The management server 210 receives feedback from the stacked display device 220 with a visible light signal output from the stacked display device 220. The stacked display device 220 may generate a state value of each display module as a visible light signal using a display module. The management server 210 receives and analyzes the visible light signal, modifies the image signal and retransmits it to the stacked display device 220 so that the image can be properly output according to the state of each display modul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220)는 관리서버(210)로부터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영상을 출력하며, 각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태값을 파악하여 가시광 신호를 이용해 관리서버(210)로 피드백한다.The stacked display device 220 receives an image signal from the management server 210 and outputs an image, grasps the state value of each display module, and feeds it back to the management server 210 using a visible light signal.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22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여, 다양한 형태로 적층된다. 각 디스플레이 모듈은 육면체 등 적층되기 용이한 다면체 형상을 갖는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출력하고자 하는 영상이나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배치될 무대나 공간 등 다양한 여건을 고려하여 적층된다. 특히, 적층에 있어 아무런 제약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모듈은 2차원 평면 상으로만 배치되는 것에 그치지 않고, 특정 부분은 전방으로 튀어나오거나 후방으로 빠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부분에 입체감을 형성할 수 있어 3차원 상으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The stacked display device 220 is stacked in various forms, including a plurality of display modules. Each display module has a polyhedral shape that is easy to be stacked, such as a hexahedron. The display modules are stacked in consideration of various conditions, such as a stage or space in which an image to be output or a display system is to be placed. In particular, since there is no restriction on the stacking, the display module is not limited to being disposed on a two-dimensional plane, and a specific portion may protrude forward or fall out rearward. Accordingly, a three-dimensional effect can be formed in various parts, and an image can be output in three dimensions.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220)는 수신한 영상 신호를 출력한다. 전술한 대로,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22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적층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하나의 영상이 출력되기 위해서는, 적층된 각 모듈의 위치마다 위치에 대응되는 영상이 출력되어야 한다.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220)는 수신한 영상 신호를 분석하여, 각 디스플레이 모듈이 자신의 위치에 대응되는 영상을 출력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관리서버(210)에서 전송한 영상 신호가 출력된다.The stacked display device 220 outputs a received image signal. As described above, the stacked display device 220 is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display modules. Therefore, in order to output one image,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must be output for each position of each stacked module. The stacked display device 220 analyzes the received image signal and causes each display module to output an image corresponding to its own position. Accordingly, an imag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210 is output.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220)는 각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태값을 파악하여 가시광 신호를 생성한다. 각 디스플레이 모듈에는 각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태값을 센싱하는 센서가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태값은 디스플레이의 밝기, 조도, 휘도 또는 광속 등 디스플레이 자체의 상태정보와 디스플레이가 배치된 방향에 의해 영상이 출력되는 (정면으로부터의) 각도 등 디스플레이 배치 상태정보를 포함한다.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220)는 각 디스플레이 모듈 내 포함된 센서로부터 각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태값을 파악하여, 가시광 통신을 위한 가시광 신호로 변환한다. 가시광 통신이란 눈으로 인지할 수 있는 가시광 파장 대역의 빛을 이용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기술로서, 디스플레이 모듈이 점등(On) 또는 소등(Off)을 반복하여 가시광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인간의 시신경이 인지하지 못할 속도로 점등 또는 소등을 반복하기 때문에, 영상을 출력하면서도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220)는 디스플레이 모듈 일부 또는 전부를 제어하여 각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태값에 대응되는 가시광 신호를 생성한다.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220)는 각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태값에 대응되는 가시광 신호를 관리서버(210)로 피드백한다.The stacked display device 220 generates a visible light signal by grasping the state value of each display module. Each display module includes a sensor that senses a state value of each display module. Here, the state value of the display module includes state information of the display itself, such as brightness, illuminance, luminance, or luminous flux of the display, and display arrangement state information such as an angle (from the front) at which an image is output accor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display is arranged. The stacked display device 220 detects a state value of each display module from a sensor included in each display module and converts it into a visible light signal for visible light communicatio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is a technology that transmits information using light in a visible light wavelength band that can be perceived by the eye, and the display module generates a visible light signal by repeatedly turning on or off. Since the display module repeatedly turns on or turns off at a speed that the human optic nerve cannot recognize, data can be transmitted while outputting an image. The stacked display device 220 generates visible light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state values of each display module by controlling some or all of the display modules. The stacked display device 220 feeds back a visible ligh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tate value of each display module to the management server 210.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210)는 시뮬레이션부(310), 제어부(320), 무선 통신부(330), 영상 및 광 취득부(340) 및 정보 처리부(350)를 포함한다.3, the management server 2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imulation unit 310, a control unit 320,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30, an image and light acquisition unit 340, and a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350. ).

시뮬레이션부(310)는 외부로부터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해 출력하고자 하는 영상 정보를 수신하여 시뮬레이션한다. 시뮬레이션부(310)는 수신한 영상정보를 시뮬레이션함으로써, 영상 정보를 출력하기 위해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 내 각 디스플레이 모듈들이 어떻게 적층되어야 할지, 영상 정보를 출력하기 위해 적층된 각 디스플레이 모듈들이 각자 적층된 위치에서 어떤 영상을 출력해야 하는지를 제어부(320)가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시뮬레이션부(310)는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디스플레이 모듈들의 적층된 형태가 안전성이 있는지를 제어부(320)가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The simulation unit 310 receives and simulates image information to be output using a stacked display device from the outside. By simulating the received image information, the simulation unit 310 determines how each display module in the stacked display device should be stacked in order to output image information, and each display module stacked to output image information is stacked at each position. It allows the control unit 320 to determine which image to output. Furthermore, the simulation unit 310 performs a simulation so that the controller 320 can determine whether the stacked form of the display modules is safe.

제어부(320)는 시뮬레이션부(310)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토대로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210)가 출력할 영상 신호를 생성한다. 제어부(320)는 시뮬레이션부(310)부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토대로,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각 디스플레이 모듈들이 적층된 형상을 기준으로 각각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위치에 따라 출력할 영상 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제어부(320)는 추후 영상을 피드백받을 때, 각 모듈의 영상들을 용이하게 확인하고,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도 각 디스플레이 모듈들에 적절한 영상을 용이하게 분배할 수 있도록, 각 디스플레이 모듈에 ID를 부여한다. ID의 부여 형식은 관리서버(210)와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220)에서 함께 인식할 수 있는 형식이면 어떠한 형식이라도 무방하다. 즉, 제어부(320)는 시뮬레이션 결과를 토대로 영상 정보를 출력하는 데 필요한 디스플레이 모듈들에 각각 ID를 부여하여 각 모듈들을 구분하고, 각 모듈들이 각각 출력할 영상들을 생성한다. 제어부(320)는 각 디스플레이 모듈들이 각각 출력할 영상들을 생성하며, 영상 출력 설정값도 포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20)는 특정 디스플레이 모듈이 영상 출력 세기 등의 설정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제어부(320)는 디스플레이 모듈들이 각각 출력할 영상들을 포함하는 영상신호를 생성한다. 제어부(320)는 영상 신호를 생성함에 있어, 영상 신호 내 포함된 정보들을 매트릭스(Matrix)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20)는 각 모듈들의 ID, 각 모듈들이 출력할 영상, 각 모듈들의 영상 출력 설정값을 특정 순서나 배치하여 매트릭스화하여 전송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320 generates an image signal to be output by the stacked display device 210 based on the simulation result of the simulation unit 310. Based on the simulation result of the simulation unit 310, the control unit 320 generates an image signal to be output by each display module according to the position based on the stacked shape of the display modules in the stacked display device. At this time, the controller 320 gives an ID to each display module so as to easily check the images of each module when receiving an image feedback later, and to easily distribute an appropriate image to each display module even in a stacked display device. do. The ID assignment format may be any format as long as it can be recognized by the management server 210 and the stacked display device 220 together. That is, the controller 320 identifies each module by assigning IDs to each of the display modules required to output image information based on the simulation result, and generates images to be output by each module. The controller 320 generates images to be respectively output by each of the display modules, and may include an image output setting value. For example, the controller 320 may include a setting value such as an image output intensity of a specific display module. In this way, the controller 320 generates an image signal including images to be output by the display modules, respectively. When generating an image signal, the controller 320 may form a matrix of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mage signal.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320 may arrange the IDs of each module, an image to be output by each module, and an image output setting value of each module in a specific order, form a matrix, and transmit the matrix.

제어부(320)는 정보 처리부(350)에서 처리된 정보를 토대로, 생성한 영상 신호를 수정한다. 정보 처리부(350)에서는 영상 및 광 취득부(340)가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220)로부터 취득한 피드백받은 영상 및 가시광 신호에 영상 또는 신호처리가 수행된다. 제어부(320)는 정보 처리부(350)에서 처리된 정보를 토대로,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220)가 영상 신호에 따라 영상을 제대로 출력하고 있는지 또는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220) 내 각 디스플레이 모듈이 정상적으로 잘 동작하고 있거나 제대로 배치되어 있는지 등을 판단한다. 예를 들어, 특정 디스플레이 모듈이 전송한 영상 신호대로 출력되지 않고 다른 영상이 출력되는 경우가 있거나, 특정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출력되는 영상의 출력값이 충분치 않거나 또는 특정 디스플레이 모듈이 시뮬레이션 값대로 배치되지 않고 (정면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만큼 틀어져 배치되는 등의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제어부(320)는 정보 처리부(350)에서 분석된 정보를 토대로,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220) 내 각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태나 영상 출력 상태를 판단하여, 판단한 상태에 따라 영상 신호를 수정한다. 예를 들어, 특정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출력되는 영상의 출력값이 충분치 않은 경우, 제어부(320)는 특정 디스플레이 모듈의 영상 출력 세기를 조절하는 설정값을 포함하도록 영상 신호를 수정할 수 있다. 또는, 특정 디스플레이 모듈이 시뮬레이션 값대로 배치되지 않고 (전방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만큼 틀어져 배치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320)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틀어져 배치되어 있는 각도만큼 출력될 영상이 틀어지도록 영상신호를 수정할 수 있다. 이처럼, 제어부(320)는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220)의 상태나 영상 출력 상태를 피드백받고 이를 영상 신호에 반영함으로써,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220)의 상태 이상(異常)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controller 320 modifies the generated image signal based on the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350. In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350, image or signal processing is performed on an image and a visible light signal fed back obtained by the image and light acquisition unit 340 from the stacked display device 220. Based on the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350, the control unit 320 determines whether the stacked display device 220 properly outputs an image according to an image signal or whether each display module in the stacked display device 220 operates normally. Whether it is or is properly placed, etc. For example, there may be cases where the video signal transmitted from a specific display module is not output and another video is output, or the output value of the video output from a specific display module is insufficient, or a specific display module is not arranged according to the simulation value (front Based on ), there may be cases such as being distorted by a certain angle. The controller 320 determines a state of each display module or an image output state of each display module in the stacked display device 220 based on the information analyzed by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350 and modifies the image signal according to the determined state. For example, when an output value of an image output from a specific display module is insufficient, the controller 320 may modify the image signal to include a set value for adjusting the image output intensity of the specific display module. Alternatively, when a specific display module is not arranged according to the simulation value but is arranged at a certain angle (with respect to the front), the controller 320 generates an image signal so that the image to be output is distorted by the angle at which the display module is arranged. Can be modified. In this way, the controller 320 receives feedback on the state of the stacked display device 220 or the image output state and reflects the feedback on the image signal, thereby minimizing a state abnormality of the stacked display device 220.

무선 통신부(330)는 제어부(320)가 생성한 영상 신호를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220)로 전송한다.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220) 내 각 디스플레이 모듈들의 배선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무선 통신부(330)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영상 신호를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220)로 전송한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30 transmits the image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320 to the stacked display device 220. In order to minimize the wiring problem of each display module in the stacked display device 220,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30 transmits an image signal to the stacked display device 220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영상 및 광 취득부(340)는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22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및 가시광 신호를 취득한다. 영상 및 광 취득부(340)는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22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을 피드백 받아, 제어부(320)가 영상 신호대로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220)에서 영상을 출력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영상 및 광 취득부(340)는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220)로부터 출력되는 가시광 신호를 피드백 받아, 제어부(320)가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220)의 상태가 정상적인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영상 및 광 취득부(340)는 카메라 등 영상이나 가시광을 취득할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떠한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image and light acquisition unit 340 acquires an image and a visible light signal output from the stacked display device 220. The image and light acquisition unit 340 receives feedback from the image output from the stacked display device 220 so that the control unit 320 can check whether the image is being output from the stacked display device 220 as an image signal. In addition, the image and light acquisition unit 340 receives a feedback of a visible light signal output from the stacked display device 220 so that the controller 320 can check whether the state of the stacked display device 220 is normal. The image and light acquisition unit 340 may be implemented with any configuration, such as a camera, capable of acquiring an image or visible light.

정보 처리부(350)는 영상 및 광 취득부(340)가 취득한 영상과 가시광 신호를 제어부(320)가 확인하여 분석할 수 있도록 처리한다. 정보 처리부(350)는 영상 및 광 취득부(340)가 취득한,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22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을 영상처리하여, 제어부(320)가 이를 분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정보 처리부(350)는 영상 및 광 취득부(340)가 취득한,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220)로부터 출력되는 가시광 신호을 신호처리하여, 마찬가지로, 제어부(320)가 이를 분석할 수 있도록 한다.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350 processes the image and the visible light signal acquired by the image and light acquisition unit 340 so that the control unit 320 can check and analyze it.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350 processes an image acquired by the image and light acquisition unit 340 and output from the stacked display device 220 so that the controller 320 can analyze it. In addition,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350 processes the visible light signal obtained by the image and light acquisition unit 340 and output from the stacked display device 220 so that the control unit 320 can analyze it as well.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tack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220)는 무선 통신부(410), 제어부(420), 디스플레이 모듈(430a 내지 430n) 및 센서(440a 내지 440n)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4, a stacked display device 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0, a control unit 420, display modules 430a to 430n, and sensors 440a to 440n.

무선 통신부(410)는 관리서버(210)로부터 영상 신호를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수신한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0 receives an image signal from the management server 210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추가적으로, 무선 통신부(410)는 관리서버(210)로 각 센서(440a 내지 440n)가 센싱한 디스플레이 모듈(430a 내지 430n)의 상태값을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0 may transmit the status values of the display modules 430a to 430n sensed by each of the sensors 440a to 440n to the management server 210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제어부(420)는 수신한 영상 신호를 분석하여, 각 디스플레이 모듈(430a 내지 430n)이 자신의 적층된 위치에 대응되는 영상을 출력하도록 한다. 전술한 대로, 영상 신호 내에는, 각 디스플레이 모듈(430a 내지 430n)을 구분하기 위한 ID와 각 모듈들이 각각 출력할 영상들이 포함되어 있다. 제어부(420)는 분석 결과를 토대로, 각 디스플레이 모듈(430a 내지 430n)이 출력할 영상들을 파악하여 각 디스플레이 모듈(430a 내지 430n)로 전달한다. 추가적으로, 제어부(420)는 영상 신호 내 추가로 포함된 영상 출력 설정값도 함께 각 디스플레이 모듈(430a 내지 430n)로 전달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420 analyzes the received image signal so that each of the display modules 430a to 430n outputs an image corresponding to its stacked position. As described above, the image signal includes an ID for identifying each display module 430a to 430n and images to be output by each modul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the controller 420 identifies images to be output by each of the display modules 430a to 430n and transmits them to each of the display modules 430a to 430n. Additionally, the controller 420 may transmit an image output setting value additionally included in the image signal to each of the display modules 430a to 430n.

제어부(420)는 각 센서(440a 내지 440n)가 센싱한 상태값을 가시광 신호로 생성한다. 제어부(420)는 각 센서(440a 내지 440n)가 센싱한 디스플레이 모듈(430a 내지 430n)의 상태값을 수신한다. 전술한 대로,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태값은 각 디스플레이 모듈의 밝기, 조도, 휘도 또는 광속 등 디스플레이 모듈 자체의 상태정보와 각 디스플레이 모듈이 배치된 방향에 의해 영상이 출력되는 (정면으로부터의) 각도 등 디스플레이 모듈 배치 상태정보를 포함한다. 제어부(420)는 각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태값을 수신하여 생성 신호의 형식과 같이 매트릭스화할 수 있다. 제어부(420)는 관리서버(210) 자신이 생성한 영상 신호와 비교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관리서버(210)에서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220)의 상태정보를 이용해 트랜스포즈 매트릭스(Transpose Matrix)를 생성할 수 있다. 관리서버(210)는 영상 신호와 동일한 형식의 트랜스포즈 매트릭스를 수신함으로써,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220)의 상태 또는 영상 출력 상태를 수월하게 파악하고 수정할 수 있다. 제어부(420)는 수신한 상태값 또는 생성한 트랜스포즈 매트릭스를 가시광 신호로 생성한다. 제어부(420)는 디스플레이 모듈(430a 내지 430n) 일부 또는 전부를 제어하여 상태값 또는 생성한 트랜스포즈 매트릭스를 가시광 신호로 생성한다. The controller 420 generates a state value sensed by each of the sensors 440a to 440n as a visible light signal. The controller 420 receives the state values of the display modules 430a to 430n sensed by each of the sensors 440a to 440n. As described above, the status value of the display module is the display module's own status information such as brightness, illuminance, luminance or luminous flux of each display module and the angle (from the front) at which an image is output depending on the direction in which each display module is placed Contains module deployment status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420 may receive the state values of each display module and form a matrix in the form of a generated signal. The control unit 420 generates a transpose matrix using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stacked display device 220 in the management server 210 so that the management server 210 can easily compare the image signal generated by itself. can do. The management server 210 can easily grasp and correct the state of the stacked display device 220 or the image output state by receiving the transpose matrix in the same format as the image signal. The control unit 420 generates the received state value or the generated transpose matrix as a visible light signal. The controller 420 controls some or all of the display modules 430a to 430n to generate a state value or a generated transpose matrix as a visible light signal.

제어부(420)는 상태값 또는 생성한 트랜스포즈 매트릭스를 가시광 신호로 생성하지 않고, 직접 관리서버(210)로 전송하도록 무선 통신부(41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만, 통상적으로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이 배치된 환경에서는 다양한 통신기기들의 무선 통신이 수행되는 점에서, 무선 통신부(410)를 이용한 전송은 데이터 간 간섭이 발생할 우려가 존재한다. 따라서 제어부(420)는 상태값 또는 생성한 트랜스포즈 매트릭스를 무선 통신이나 가시광 신호를 이용한 가시광 통신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전송할 수 있으나, 우선적으로 가시광 신호를 이용한 가시광 통신으로 전송할 수 있다.The controller 420 may control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0 to directly transmit the status value or the generated transpose matrix to the management server 210 without generating a visible light signal. However, sinc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various communication devices is typically performed in an environment in which the display system 100 is disposed, there is a concern that interference between data may occur in transmission 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0. Accordingly, the controller 420 may selectively transmit the state value or the generated transpose matrix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or visible light communication using a visible light signal, but may preferentially transmit it through visible light communication using a visible light signal.

디스플레이 모듈(430a 내지 430n)은 다양한 형태로 적층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제어부(420)의 제어에 따라 영상을 출력하며, 가시광 신호를 전송한다.The display modules 430a to 430n are configured to be stackable in various forms, output an imag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420, and transmit a visible light signal.

디스플레이 모듈(430a 내지 430n)은 기 설정된 크기의 다면체 형상을 갖도록 구성된다. 디스플레이 모듈(430a 내지 430n)은 마이크로 LED와 같은 미세 크기의 LED로 구성되며, 적층, 운반 및 배치이 용이하도록 기 설정된 크기를 갖는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430a 내지 430n)은 적층이 용이하고 안전하게 될 수 있도록, 육면체 등 적층되기 용이한 다면체 형상으로 구현된다.The display modules 430a to 430n are configured to have a polyhedral shape having a preset size. The display modules 430a to 430n are composed of LEDs having a fine size such as a micro LED, and have a preset size to facilitate stacking, transportation, and arrangement. In addition, the display modules 430a to 430n are implemented in a polyhedral shape that is easy to be stacked such as a hexahedron so that stacking can be easily and safely performed.

디스플레이 모듈(430a 내지 430n)은 제어부(420)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을 출력한다. 디스플레이 모듈(430a 내지 430n)은 제어부(420)로부터 출력할 영상을 각각 수신하여, 이를 출력한다.The display modules 430a to 430n output an image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420. The display modules 430a to 430n respectively receive images to be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420 and output them.

디스플레이 모듈(430a 내지 430n)의 일부 또는 전부는 제어부(420)의 제어에 따라, 생성된 가시광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점멸(온/오프)한다. 디스플레이 모듈(430a 내지 430n)의 일부 또는 전부는 상태값 또는 생성한 트랜스포즈 매트릭스에 대한 가시광 신호를 제어부(420)의 제어에 따라 관리서버(210)로 전송한다.Some or all of the display modules 430a to 430n flash (on/off) to transmit the generated visible light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420. Some or all of the display modules 430a to 430n transmit a status value or a visible light signal for the generated transpose matrix to the management server 21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420.

각 센서(440a 내지 440n)는 각 디스플레이 모듈(430a 내지 430n) 내 배치되어, 각 디스플레이 모듈(430a 내지 430n)의 상태값을 센싱한다. 각 센서(440a 내지 440n)는 각 디스플레이 모듈(430a 내지 430n)의 상태값을 센싱하며, 센싱한 상태값을 제어부(420)로 전송한다.Each of the sensors 440a to 440n is disposed in each of the display modules 430a to 430n to sense a state value of each of the display modules 430a to 430n. Each of the sensors 440a to 440n senses the state values of each of the display modules 430a to 430n and transmits the sensed state values to the controller 420.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현예를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mplementation example of a stacked 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적층형 디스플레이 시스템(200)은 메인 디스플레이(510)가 배치되며, 메인 디스플레이(510) 주변으로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220)의 각 디스플레이 모듈(430a 내지 430n)들이 적층되어 배치된다. In the stacked display system 200, a main display 510 is disposed, and each of the display modules 430a to 430n of the stacked display device 220 is stacked and disposed around the main display 510.

전술한 대로, 디스플레이 모듈(430a 내지 430n)들은 적층되기 용이한 다면체 형상(도 5에는 일예로, 정육면체 형상으로 구현됨)가져, 일정한 형태(도 5에는 일예로, 직사각형 형태로 구현됨)로 적층되어 영상을 각각 출력한다. 또한, 적층되는 형태가 용이하기 때문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부분만 무대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디스플레이 모듈이 추가적으로 적층됨으로써, 영상의 입체감을 증대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modules 430a to 430n have a polyhedral shape that is easily stacked (in FIG. 5 as an example, implemented in a cube shape), and are stacked in a certain shape (in FIG. 5 as an example, implement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output each video. In addition, since the stacking form is easy, as shown in FIG. 5, the display module is additionally stacked so that only a certain portion of the display module protrudes toward the front of the stage, thereby increasing the three-dimensional effect of the image.

관리서버(210)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영상 신호를 전송하기 때문에, 무대에는 도선이 배치되지 않는다. 또한, 관리서버(210)는 영상 및 광 취득부(340)를 구비하여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22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및 가시광 신호를 수신한다.Since the management server 210 transmits an image signal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no wires are arranged on the stage. In addition, the management server 210 includes an image and light acquisition unit 340 to receive an image and a visible light signal output from the stacked display device 220.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220)는 무선 통신부(410)를 이용하여 관리서버(210)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며, 제어부(420)는 영상신호를 분석하여 각 디스플레이 모듈(430a 내지 430n)로 자신의 위치에 대응되는 영상을 전달하여 출력하도록 한다.The stacked display device 220 receives an image signal from the management server 210 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0, and the control unit 420 analyzes the image signal and uses the respective display modules 430a to 430n. The corresponding image is delivered and output.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한 타이밍차트이다. 도 6의 각 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2 내지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기 때문에 생략하기로 한다.6 is a timing 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stacked 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each process in FIG. 6 will be omitted since it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

관리서버(210)는 출력하고자 하는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시뮬레이션한다(S610).The management server 210 receives and simulates the image information to be output (S610).

관리서버(210)는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라 각 디스플레이 모듈이 출력할 영상신호를 생성한다(S620). The management server 210 generates an image signal to be output by each display module according to the simulation result (S620).

관리서버(210)는 영상신호를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220)로 전송한다(S630).The management server 210 transmits the image signal to the stacked display device 220 (S630).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220)는 수신한 영상 신호에 따라, 각 디스플레이 모듈(430n)의 위치에 대응되는 영상을 출력한다(S640).The stacked display device 220 outputs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each display module 430n according to the received image signal (S640).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220)는 각 디스플레이 모듈(430a 내지 430n)의 센싱값을 획득하여, 가시광 신호로 생성한다(S650).The stacked display device 220 acquires the sensing values of each of the display modules 430a to 430n and generates a visible light signal (S650).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220)는 가시광 신호를 전송한다(S660). The stacked display device 220 transmits a visible light signal (S660).

관리서버(210)는 가시광 신호 및 영상을 수신하여 분석한다(S670).The management server 210 receives and analyzes the visible light signal and image (S670).

관리서버(210)는 분석 내용에 따라 영상 신호를 수정한다(S680).The management server 210 modifies the video signal according to the analysis content (S680).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7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관리서버(210)는 출력하고자 하는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시뮬레이션한다(S710). 시뮬레이션부(310)는 외부로부터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시뮬레이션한다.The management server 210 receives and simulates the image information to be output (S710). The simulation unit 310 receives and simulates image information from the outside.

관리서버(210)는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라, 각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에 부합하도록 영상 신호를 생성한다(S720). 제어부(320)는 시뮬레이션부(310)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이용하여,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각 디스플레이 모듈들이 적층된 형상을 기준으로 각각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위치에 따라 출력할 영상 신호를 생성한다. The management server 210 generates an image signal to match the position of each display module according to the simulation result (S720). The controller 320 uses the simulation result of the simulation unit 310 to generate an image signal to be output by each display module according to the position based on the stacked shape of the display modules in the stacked display device.

관리서버(210)는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220)로 영상신호를 전송한다(S730). 무선 통신부(330)는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220)로 영상신호를 전송한다.The management server 210 transmits an image signal to the stacked display device 220 (S730).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30 transmits an image signal to the stacked display device 220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관리서버(210)는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22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 및 가시광 신호를 수신한다(S740). 영상 및 광 취득부(340)는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22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 및 가시광 신호를 수신한다.The management server 210 receives an image signal and a visible light signal output from the stacked display device 220 (S740). The image and light acquisition unit 340 receives an image signal and a visible light signal output from the stacked display device 220.

관리서버(210)는 수신한 영상신호 및 가시광 신호를 분석한다(S750). 정보 처리부(350)는 수신한 영상을 영상처리하고, 수신한 가시광 신호을 신호처리하여, 제어부(320)로 전달한다. 제어부(320)는 처리된 정보를 토대로,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220)가 영상 신호에 따라 영상을 제대로 출력하고 있는지 또는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220) 내 각 디스플레이 모듈이 정상적으로 잘 동작하고 있거나 제대로 배치되어 있는지 등을 판단한다. The management server 210 analyzes the received image signal and visible light signal (S750).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350 image-processes the received image, processes the received visible light signal,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controller 320. Based on the processed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320 determines whether the stacked display device 220 properly outputs an image according to an image signal, or whether each display module in the stacked display device 220 is operating normally or is properly disposed. Judge

관리서버(210)는 분석 내용에 따라, 영상신호를 수정하여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220)로 재전송한다(S760). 제어부(320)는 피드백 받아 분석한 영상 정보나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태값을 파악하여, 그에 따라 영상신호를 수정한다. 관리서버(210)는 수정한 영상신호를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220)로 재전송한다.The management server 210 modifies the image signal according to the analysis content and retransmits it to the stacked display device 220 (S760). The controller 320 recognizes image information analyzed by receiving feedback or a state value of the display module, and corrects the image signal accordingly. The management server 210 retransmits the modified image signal to the stacked display device 220.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stack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220)는 관리서부(210)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한다(S810).The stacked display device 220 receives an image signal from the management unit 210 (S810).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220)는 수신한 영상신호에 따라, 각 디스플레이 모듈(430a 내지 430n) 자신의 위치에 부합하는 영상을 출력한다(S820). 제어부(420)는 수신한 영상신호를 분석하여, 각 디스플레이 모듈(430a 내지 430n)의 위치에 대응되는 영상을 확인하고 이를 각 모듈로 전달한다. 각 디스플레이 모듈(430a 내지 430n)는 제어부(420)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을 출력한다.The stacked display device 220 outputs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each of the display modules 430a to 430n according to the received image signal (S820). The controller 420 analyzes the received image signal, checks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each display module 430a to 430n, and transmits the image to each module. Each of the display modules 430a to 430n outputs an image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420.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220)는 각 센서(440a 내지 440n)로부터 각 디스플레이 모듈(430a 내지 430n)의 상태값을 센싱한다(S830). The stacked display device 220 senses a state value of each display module 430a to 430n from each of the sensors 440a to 440n (S830).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220)는 센싱한 상태값을 가시광 신호로 생성한다(ㄴ840). 제어부(420)는 각 센서(440a 내지 440n)가 센싱한 디스플레이 모듈(430a 내지 430n)의 상태값을 수신한다. 전술한 대로,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태값은 각 디스플레이 모듈의 밝기, 조도, 휘도 또는 광속 등 디스플레이 모듈 자체의 상태정보와 각 디스플레이 모듈이 배치된 방향에 의해 영상이 출력되는 (정면으로부터의) 각도 등 디스플레이 모듈 배치 상태정보를 포함한다. 제어부(420)는 각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태값을 수신하여 생성 신호의 형식과 같이 매트릭스화할 수 있다. The stacked display device 220 generates a sensed state value as a visible light signal (b840). The controller 420 receives the state values of the display modules 430a to 430n sensed by each of the sensors 440a to 440n. As described above, the status value of the display module is the display module's own status information such as brightness, illuminance, luminance or luminous flux of each display module and the angle (from the front) at which an image is output depending on the direction in which each display module is placed Contains module deployment status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420 may receive the state values of each display module and form a matrix in the form of a generated signal.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220)는 디스플레이 모듈(430a 내지 430n) 일부 또는 전부를 제어하여 가시광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한다(S850). 제어부(420)는 수신한 상태값 또는 매트릭스를 가시광 신호로 생성한다. 제어부(420)는 디스플레이 모듈(430a 내지 430n) 일부 또는 전부를 제어하여 상태값 또는 매트릭스를 가시광 신호로 생성한다. The stacked display device 220 controls some or all of the display modules 430a to 430n to transmit a visible light signal (S850). The control unit 420 generates the received state value or matrix as a visible light signal. The control unit 420 controls some or all of the display modules 430a to 430n to generate a state value or matrix as a visible light signal.

도 7 및 8에서는 각 과정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7 및 8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각 과정 중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7 및 8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FIGS. 7 and 8, it is described that each process is sequentially executed, but this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words, if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one or more of each process may be performed by changing the order shown in FIGS. 7 and 8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rocess is executed in parallel and may be applied by various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FIGS. 7 and 8 are not limited to a time series order.

한편, 도 7 및 8에 도시된 과정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즉,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Meanwhile, the processes illustrated in FIGS. 7 and 8 can be implemented as computer-readable codes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that store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That is,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s a magnetic storage medium (e.g., ROM, floppy disk, hard disk, etc.), optical reading medium (e.g., CD-ROM, DVD, etc.), and carrier wave (e.g., Internet And storage media such as transmission through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be distributed over a computer system connected through a network to store and execute computer-readable codes in a distributed manner.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embodiment belongs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embodiment. Accordingly, the present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but to explain the technical idea,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is embodiment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embodiment.

100: 디스플레이 시스템
110, 510: 메인 디스플레이
115: 주변 디스플레이
120: 도선
210: 관리서버
220: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
310: 시뮬레이션부
320: 제어부
330: 무선통신부
340: 영상 및 광 취득부
350: 정보 처리부
410: 무선 통신부
420: 제어부
430a 내지 430n: 디스플레이 모듈
440a 내지 440n: 센서
100: display system
110, 510: main display
115: peripheral display
120: lead
210: management server
220: stacked display device
310: simulation unit
320: control unit
330: Ministry of Wireless Communication
340: image and light acquisition unit
350: information processing unit
410: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20: control unit
430a to 430n: display module
440a to 440n: sensor

Claims (15)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적층형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해 출력하고자 하는 영상 정보를 외부로부터 수신하여 영상신호를 생성한 후, 상기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관리서버; 및
다양한 형태로 적층 가능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각 디스플레이 모듈이 영상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은 밝기, 조도, 휘도 또는 광속을 포함한 디스플레이 상태 정보와, 각 디스플레이 배치 방향에 의해 영상이 출력되는 정면으로부터의 각도를 포함한 배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값을 센싱하는 센서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각 디스플레이 모듈 내의 센서로부터 각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태값을 수신하여, 상기 영상 신호의 형식에 대응되는 트랜스포즈 매트릭스(Transpose Matrix)를 생성하고, 각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태값 또는 트랜스포즈 매트릭스에 대응되는 가시광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트랜스포즈 매트릭스에 대응되는 가시광 신호를 분석하여 각 디스플레이의 모듈의 상태 또는 영상 출력 상태를 확인하고, 각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태 정보에 따라 영상이 정상적으로 출력되도록 영상 신호를 수정하여 상기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로 재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디스플레이 시스템.
In a stacked display system comprising a stacked display device and a management server,
A management server that receives image information to be output using the stacked display device from the outside, generates an image signal, and transmits the image signal to the stacked display device;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display modules that can be stacked in various forms, including a stacked display device for controlling each display module to output an image by receiving an image signal from the management server,
Each of the plurality of display modules includes a sensor for sensing a state value including display state information including brightness, illuminance, luminance, or luminous flux, and placement state information including an angle from the front at which an image is output according to each display arrangement direction. Including,
The stacked display device receives a state value of each display module from a sensor in each display module, generates a transpose matrix corresponding to the format of the image signal, and generates a state value or transpose matrix of each display module. A visible light signal corresponding to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The management server analyzes the visible ligh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transpose matrix to check the state of each display module or the image output state, and modifies the image signal so that the image is normally output according to the state information of each display module. A stacked displa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retransmission to the display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 내 각 디스플레이 모듈이 적층된 위치에 부합하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디스플레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management server,
And generating an image signal that enables the stacked display device to output an image corresponding to a position in which each display module is stacked in the stacked display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로 무선통신을 이용해 상기 영상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디스플레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management server,
A stacked displa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ransmitting the image signal to the stacked display devic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디스플레이 모듈은,
적층이 용이하도록 다면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디스플레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Each of the display modules,
A stacked displa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polyhedral shape to facilitate stack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디스플레이 모듈은,
마이크로 LED와 같은 미세 크기의 LED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디스플레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Each of the display modules,
A stacked displa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LEDs of fine size such as micro LED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각 디스플레이 모듈이 적층된 자신의 위치에 부합하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도록,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한 영상신호를 분석하여 각 디스플레이 모듈로 출력 영상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디스플레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stacked display device,
A stacked displa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image signal receiv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is analyzed and an output image is provided to each display module so that each display module can output an image corresponding to its stacked position.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출력 영상을 제어하는 관리서버에 있어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적층되어 구현되는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출력할 영상신호를 상기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부;
상기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해 출력하고자 하는 영상 정보를 외부로부터 수신하여, 각 디스플레이 모듈의 적층 형태 또는 적층 형태의 안전성, 기설정된 적층 형태에서 각 디스플레이 모듈의 출력 영상에 대해 시뮬레이션하는 시뮬레이션부; 및
상기 시뮬레이션부의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라 상기 영상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무선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각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태값에 대해 상기 영상 신호의 형식에 대응되는 트랜스포즈 매트릭스(Transpose Matrix) 형태의 가시광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가시광 신호를 분석하여 각 디스플레이의 모듈의 상태 또는 영상 출력 상태를 확인하고, 각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태 정보에 따라 영상이 정상적으로 출력되도록 영상 신호를 수정하여 상기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로 재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서버.
In the management server for controlling the output image of the stacked display devic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at transmits an image signal to be output from a stacked display device implement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display modules to the stacked display device;
A simulation unit that receives image information to be output using the stacked display device from the outside and simulates the output image of each display module in a stacked form or stacked form safety of each display module, and a preset stacked form;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generate the image signal according to the simulation result of the simulation unit and transmit it to the stacked display device,
When a visible light signal in the form of a transpose matrix corresponding to the format of the image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tacked display device, the controller of each display module analyzes the visible light signal. A management server, comprising: checking a state of or outputting an image, modifying an image signal so that an image is normally output according to state information of each display module, and retransmitting it to the stacked display devi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시뮬레이션 결과를 이용해 상기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적층된 형상을 파악하여, 적층된 형상에 부합하는 영상을 상기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서버.
The method of claim 7,
The control unit,
A management server,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an image signal for determining the stacked shape of the stacked display device using a simulation result, and allowing the stacked display device to output an image conforming to the stacked shape.
다양한 형태로 적층될 수 있는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기 설정된 형상을 가져 다양한 형태로 적층 가능하며, 영상을 출력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외부로부터 출력하기 위한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밝기, 조도, 휘도 또는 광속을 포함한 디스플레이 상태 정보와, 각 디스플레이 배치 방향에 의해 영상이 출력되는 정면으로부터의 각도를 포함한 배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값을 센싱하는 센서; 및
상기 무선 통신부가 수신한 영상신호를 분석하여 각 디스플레이 모듈이 영상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각 디스플레이 모듈 내의 센서로부터 각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태값을 수신하여, 상기 영상 신호의 형식에 따른 트랜스포즈 매트릭스(Transpose Matrix)를 생성하고, 각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태값 또는 트랜스포즈 매트릭스에 대응되는 가시광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외부로부터 각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태값에 대한 가시광 신호에 따라 영상이 정상적으로 출력되도록 영상 신호가 수정되어 수신되면, 상기 수정된 영상 신호에 따라 각 디스플레이 모듈이 영상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
In a stacked display device that can be stacked in various forms,
A plurality of display modules that have a preset shape and can be stacked in various forms and output an imag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n image signal for output from the outside;
A sensor for sensing a state value including display state information including brightness, illuminance, luminance, or luminous flux of the display module, and placement state information including an angle from a front at which an image is output in each display arrangement direction;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alyzes the image signal received and controls each display module to output an image, receives a state value of each display module from a sensor in each display module, and transmits a transpose matrix according to the format of the image signal. Matrix) and generating a visible light signal corresponding to a state value of each display module or a transpose matrix to be output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e control unit controls each display module to output an image according to the modified image signal when an image signal is modified and received so that an image is normally output according to a visible light signal for a state value of each display module from the outside. A stacked display device made of.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는,
각 디스플레이 모듈이 적층된 위치에 부합하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The video signal,
A stacked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module outputs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stacked position of each display modul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신호를 분석하여, 각 디스플레이 모듈이 적층된 자신의 위치에 부합하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도록, 각 디스플레이 모듈로 출력 영상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The control unit,
A stacked display device comprising: analyzing the image signal and providing an output image to each display module so that each display module may output an image corresponding to its position in which the display modules are stacked.
관리서버가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출력 영상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적층되어 구현되는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해 출력하고자 하는 영상 정보를 외부로부터 수신하여, 각 디스플레이 모듈의 적층 형태 또는 적층 형태의 안전성, 기설정된 적층 형태에서 각 디스플레이 모듈의 출력 영상에 대해 시뮬레이션하는 시뮬레이션과정;
상기 시뮬레이션과정의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라 상기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출력할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생성과정; 및
상기 생성과정에서 생성된 영상신호를 상기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전송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생성 과정은 상기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각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태값에 대해 상기 영상 신호의 형식에 대응되는 트랜스포즈 매트릭스(Transpose Matrix) 형태의 가시광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가시광 신호를 분석하여 각 디스플레이의 모듈의 상태 또는 영상 출력 상태를 확인하고, 각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태 정보에 따라 영상이 정상적으로 출력되도록 영상 신호를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제어방법.
In the method for the management server to control the output image of the stacked display device,
Using a stacked display device in which a plurality of display modules are stacked, the image information to be output is received from the outside, and the stacked form or safety of the stacked form of each display module, and the output image of each display module in a preset stacked form Simulation process to simulate;
A generating process of generating an image signal to be output by the stack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imulation result of the simulation process; And
Including a transmission process of transmitting the image signal generated in the generation process to the stacked display device,
In the generation process, when a visible light signal in the form of a transpose matrix corresponding to the format of the image signal is received for the state value of each display module from the stacked display device, the visible light signal is analyzed and the module of each display A video control method, comprising: checking a state or an image output state of and modifying an image signal so that an image is normally output according to state information of each display modul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과정은,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생성과정에서 생성된 영상신호를 상기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The transmission process,
An image control method comprising transmitting the image signal generated in the generation process to the stacked display devic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여 다양한 형태로 적층될 수 있는 적층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영상을 출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출력하기 위한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과정;
각 디스플레이 모듈에 포함된 센서로부터 밝기, 조도, 휘도 또는 광속을 포함한 디스플레이 상태 정보와, 각 디스플레이 배치 방향에 의해 영상이 출력되는 정면으로부터의 각도를 포함한 배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값을 센싱하는 센싱 과정;
상기 영상신호를 분석하여 각 디스플레이 모듈이 영상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각 디스플레이 모듈 내의 센서로부터 각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태값을 수신하여, 상기 영상 신호의 형식에 따른 트랜스포즈 매트릭스(Transpose Matrix)를 생성하고, 각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태값 또는 트랜스포즈 매트릭스에 대응되는 가시광 신호를 생성하여 외부로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과정; 및
상기 제어과정의 제어에 따라, 각 디스플레이 모듈을 이용하여 영상을 출력하는 출력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 과정은 외부로부터 각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태값에 대한 가시광 신호에 따라 영상이 정상적으로 출력되도록 영상 신호가 수정되어 수신되면, 상기 수정된 영상 신호에 따라 각 디스플레이 모듈이 영상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제어방법.
In a method for outputting an image by a stacked display device that can be stacked in various forms including a plurality of display modules,
A receiving process of receiving an image signal for output from the outside;
Sensing to sense a status value including display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brightness, illuminance, luminance or luminous flux from a sensor included in each display module, and placement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an angle from the front where an image is output by each display arrangement direction process;
Analyzing the image signal, controlling each display module to output an image, receiving a state value of each display module from a sensor in each display module, generating a transpose matrix according to the format of the image signal, A control process of generating and outputting a visible light signal corresponding to a state value of each display module or a transpose matrix; And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of the control process, including an output process of outputting an image using each display module,
In the control process, when an image signal is modified and received so that an image is normally output according to a visible light signal for a state value of each display module from the outside, the display module controls each display module to output an image according to the modified image signal. Video control method.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과정은,
상기 영상신호를 분석하여, 각 디스플레이 모듈이 적층된 자신의 위치에 부합하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도록, 각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The control process,
And controlling each display module to analyze the image signal and output an image corresponding to its own position in which each display module is stacked.
KR1020180147111A 2018-11-26 2018-11-26 Stacked Display Apparatus and System KR10215688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111A KR102156883B1 (en) 2018-11-26 2018-11-26 Stacked Display Apparatus and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111A KR102156883B1 (en) 2018-11-26 2018-11-26 Stacked Display Apparatus and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605A KR20200061605A (en) 2020-06-03
KR102156883B1 true KR102156883B1 (en) 2020-09-16

Family

ID=71087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7111A KR102156883B1 (en) 2018-11-26 2018-11-26 Stacked Display Apparatus and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6883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5776B1 (en) 2014-03-26 2015-09-24 (주)원테크놀로지 Apparatus for controling electronic display using wireless network between modul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6999A (en) * 2011-11-23 2013-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A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a method for displaying
KR102373465B1 (en) * 2016-01-04 2022-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multi display apparatus and image display method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5776B1 (en) 2014-03-26 2015-09-24 (주)원테크놀로지 Apparatus for controling electronic display using wireless network between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605A (en) 2020-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74973B (en) The image sensor and light source drive being integrated in same semiconductor packages
CN106471796B (en) The flight time image sensor and light source drive of simulated range ability
US9812059B2 (en) Display device,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packet, and LED system
JP680780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mitting print device status information using an optical indicator feedback mechanism
CN108550343A (en) LED display and its brightness adjusting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JP6462856B2 (en) Video signal monitoring method, video signal monitor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WO2019139344A1 (en) Method and optical system for determining depth information
KR102156883B1 (en) Stacked Display Apparatus and System
US20090016806A1 (en) Display system
KR20210034279A (en) Display apparatus, server and method for calibrating color of display apparatus
US11350040B2 (en)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camera on basis of external light,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2010002862A (en) Display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18061692A1 (en) Optical scanning control device and retina scanning projection device
US8988485B2 (en) Dynamic wireless configuration for video conference environments
US20230154060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anchoring of augmented reality object
JP5481885B2 (en)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information emission control device, and program
US20170193869A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projected image processing
KR20170142156A (en) Emission control system using modulation of spreading century
US20240040228A1 (en) Method of processing image and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same
US20230154131A1 (en) Electronic device for generating image and method thereof
US20230008917A1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of electronic device for detecting crack of signal line
US11843874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under display camera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230025006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flickering light source in electronic device
CN105988639B (en) Image data sensing system and image data method for sensing
KR20230026921A (en) Method for providing image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