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5712B1 - Device for sensing falling accident and method for sensing falling accident using it - Google Patents

Device for sensing falling accident and method for sensing falling accident using 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5712B1
KR102155712B1 KR1020200075186A KR20200075186A KR102155712B1 KR 102155712 B1 KR102155712 B1 KR 102155712B1 KR 1020200075186 A KR1020200075186 A KR 1020200075186A KR 20200075186 A KR20200075186 A KR 20200075186A KR 102155712 B1 KR102155712 B1 KR 102155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ll
sensor
detection terminal
distance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51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성출
이경민
Original Assignee
닥터애니케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닥터애니케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닥터애니케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75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571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5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57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7/023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distance between sensor and obje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01P15/02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66Radar-tracking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70Radar-tracking systems; Analogous systems for range tracking on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a fall accident detection terminal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which performs network connection with a server; a detection unit which detects a fall event; a control unit which controls the driving of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detection unit, and determines the fall; and a power supply unit which supplies power to at least one of the communication unit, the detection unit, and the control unit. The detection unit further includes a first sensor measuring the acceleration and a second sensor calculating a distance (D) to the floor.

Description

낙상 사고 감지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낙상 사고 감지 방법{DEVICE FOR SENSING FALLING ACCIDENT AND METHOD FOR SENSING FALLING ACCIDENT USING IT}Fall accident detection terminal and fall accident detection method using the same{DEVICE FOR SENSING FALLING ACCIDENT AND METHOD FOR SENSING FALLING ACCIDENT USING IT}

본 발명은 낙상 사고 감지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낙상 사고 감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센서의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낙성 여부를 판단하고, 낙상으로 판단된 경우 구호 시설 등에 이를 신속하게 알리는 낙상 사고 감지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낙상 사고 감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ll accident detection terminal and a fall accident detection method using the same. In more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ll accident detection terminal that determines whether or not it is successful using sensing information from a sensor, and promptly informs an aid facility when it is determined as a fall, and a fall accident detection method using the same.

건강을 위해 등산을 즐기거나 자신과의 싸움을 위해 등반에 도전하는 인구가 많아지고 있으며, 사고 방지를 위해 안전 장치 착용을 권하고 있으나 이를 법적으로 강제할 수는 없으며, 안전 장치를 착용한다 하여도 사고 발생 가능성 자체를 배제할 수는 없다. There is an increasing number of people who enjoy mountain climbing for health or challenge to climb to fight against themselves, and it is recommended to wear safety devices to prevent accidents, but this cannot be legally enforced, and accidents even if safety devices are worn. The possibility of occurrence cannot be ruled out.

산에서 발생하는 사고 중 대표적인 사고는 낙상(落傷) 사고를 들 수 있으며, 문자 그대로 떨어지거나 넘어져서 다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낙상 사고가 발생한 경우 등산자 또는 등반자(이하, "사고 당사자"라고 한다)와 동행한 일행이나 이를 목격한 목격자가 존재한다면 구호 시설 등에 대신하여 신고할 수 있겠으나, 산이라는 장소의 특수성에 의해 그렇지 않은 상황과 더불어 사고 당사자의 현재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려운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A typical accident that occurs in the mountains is a fall (落傷), which literally means falling or falling and getting hurt. In the event of such a fall, if there is a climber or a climb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accident party"), or if there are any witnesses who have witnessed it, it may be reported on behalf of the relief facility, but due to the specificity of the mountain. In addition to situations that are not, there is a problem in that situations in which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determine the current location of the person involved in the accident may occur frequently.

결국 낙상 사고가 발생했을 경우의 가장 좋은 해결책은 타인에게 의존하지 않고 사고 당사자 스스로 구호 시설 등에 신고하는 것이겠으나, 사고 당사자가 심각한 부상을 당해 움직일 수 없거나 정신을 잃은 경우라면 신고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In the end, the best solution in case of a fall accident would be to report the accident person to an aid facility, etc. without relying on others, but if the person in the accident is seriously injured and unable to move or lose his mind, the report would be practically impossible. .

한편, 낙상 사고는 산이라는 장소에서뿐만 아니라 일상 생활을 영위하는 장소에서도 얼마든지 발생할 수 있는바, 다리를 다친 환자나 노인 등과 같은 신체적 약자들에게 낙상 사고가 발생한다면 최대한 신속하게 응급 조치를 취하고 의료기관으로 이송되어야 온전한 치료가 가능하고 혹시나하는 후유증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fall accidents can occur in any number of places not only in the mountains, but also in places where you live daily life.If a fall accident occurs for a patient with a leg injured or the elderly, etc., take emergency measures as soon as possible and go to a medical institution. Only when transported, complete treatment is possible, and possible sequelae can be minimized.

따라서, 낙상 사고 발생 여부를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감지하고, 낙상 사고가 발생한 경우 타인 또는 사고 당사자가 구호 시설 등에 신고하지 못한다 할지라도 자동적으로 신고가 이루어질 수 있는 새로운 안전 장치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이에 관한 것이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new safety device that accurately detects whether a fall has occurred in real time, and can automatically report a fall even if another person or the person involved in the accident cannot report it to an aid facilit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is.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37633호(2012.04.20)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37633 (2012.04.20)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낙상 사고 발생 여부를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낙상 사고 감지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낙상 사고 감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all accident detection terminal capable of accurately detecting whether a fall occurs in real time, and a fall accident dete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낙상 사고가 발생한 경우 타인 또는 사고 당사자가 구호 시설 등에 신고하지 못한다 할지라도 자동적으로 신고가 이루어질 수 있는 낙상 사고 감지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낙상 사고 감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all accident detection terminal and a fall accident detection method using the same, which can be automatically reported even if another person or the accident party fails to report a fall accident, etc. will b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구호 시설 등에 신고하는 경우 사고 당사자의 현재 위치를 함께 전송함으로써 신속하고 정확한 구호가 가능하도록 이바지할 수 있는 낙상 사고 감지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낙상 사고 감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all accident detection terminal and a fall accident detection method using the same, which can contribute to enabling quick and accurate relief by transmitt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person involved in the accident when reporting to an aid facility, etc. Is to do.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낙상 사고 감지 단말기는 서버와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는 통신부, 낙상 이벤트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통신부 및 감지부의 구동을 제어하며, 낙상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통신부, 감지부 및 제어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는, 가속도를 측정하는 제1 센서 및 바닥까지의 거리(D)를 산정하는 제2 센서를 더 포함한다. A fall accident detec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task controls a communication unit that performs a network connection with a server, a detection unit that detects a fall event,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detection unit, and determines whether a fall occurs. A control unit to determine an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one or more of the communication unit, the sensing unit, and the control unit, wherein the sensing unit includes a first sensor measuring acceleration and a second sensor calculating a distance D to the floor It includes mor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센서는, 가속도 센서이며, 상기 제2 센서는, 거리측정 센서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sensor may be an acceleration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may be a distance measurement sensor.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센서를 휴지(Sleep) 상태로 구동시키되, 상기 제1 센서가 측정한 가속도가 제1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만 상기 제2 센서를 웨이크업(Wake UP) 상태로 구동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ler wakes up the second sensor only when an acceleration measured by the first sensor exceeds a first set value while driving the second sensor in a sleep state ( Wake UP) can be operate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센서는, 측면에서 관찰하는 경우 상기 낙상 사고 감지 단말기의 저면과 제1 각도를 형성하며 기울어져 배치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cond sensor may be disposed to be inclined while forming a first angle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fall accident detection terminal when viewed from the sid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각도는, 0° 초과, 60° 이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angle may be any one of more than 0° and less than 60°.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제2 센서의 저면 방향으로 입사파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출력한 입사파가 바닥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파를 입력 받는 입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하기 수학식 1인 바닥까지의 거리(D) = 입사파 및 반사파를 이용하여 산정한 제1 거리 Х COS(제1 각도)를 통해 상기 바닥까지의 거리(D)를 산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cond sensor includes an output unit that outputs an incident wave toward a bottom of the second sensor, and an input unit that receives a reflected wave returned after the output incident wave is reflected on the floor. The control unit may calculate the distance to the floor (D) through the following Equation 1, the distance to the floor (D) = the first distance Х COS (first angle) calculated using the incident wave and the reflected wave. .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정한 바닥까지의 거리(D)가 제2 설정값 미만인 경우 또는 제3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낙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calculated distance D to the floor is less than a second set value or exceeds a third set value,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a fall.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설정값 및 제3 설정값은, 상기 낙상 사고 감지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신장, 상기 사용자가 상기 낙상 사고 감지 단말기를 착용 또는 소지한 위치로부터 바닥까지의 거리 및 상기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자세를 구현했을 때의 상기 낙상 사고 감지 단말기의 위치로부터 바닥까지의 거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설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cond set value and the third set value are the height of the user who uses the fall detection terminal, the distance from the location of the user wearing or holding the fall accident detection terminal to the floor, and When the user implements one or more postures, it may be set through any one or more of distances from the location of the fall accident detection terminal to the floor.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가 반사파를 입력 받지 못하여 상기 제1 거리의 산정이 불가능한 경우에 낙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input unit does not receive a reflected wave and it is impossible to calculate the first distance,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a fall.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낙상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통신부로 하여금 상기 서버에 낙상 발생 사실 및 현재 위치를 전송하게 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all is determined, the controller may cause th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he fact of the fall and the current location to the server.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부가 제2 센서를 휴지 상태로 구동시킴을 기본으로 하되, 제1 센서가 측정한 가속도가 제1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만 제2 센서를 웨이크업 상태로 구동시키는바, 불필요한 배터리 소진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배터리 충전이 불가능한 산이라는 장소에서 배터리를 최대한의 사용 시간으로 소진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based on the control unit driving the second sensor in the idle state, but driving the second sensor in the wake-up state only when the acceleration measured by the first sensor exceeds the first set value. As a result, unnecessary battery exhaustion can be prevented, and the battery can be exhausted with the maximum usage time in a mountain place where battery charging is not possible.

또한, 바닥까지의 거리를 산정하는 제2 센서를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낙상 사고 감지 단말기의 저면과 제1 각도를 형성하며 기울어져 배치하는바, 사용자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낙상 사고 감지 단말기를 착용 또는 소지하는 경우 신체와의 접촉을 최소화하여 바닥까지의 거리 산정에 정확도를 기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sensor for calculating the distance to the floor is arranged at an angle to form a first angle with the bottom of the fall detec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wearing or carrying a fall accident detec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following, it is possible to minimize contact with the body to improve accuracy in calculating the distance to the floor.

또한, 제1 센서의 센싱값과 제2 센서의 센싱값을 종합적으로 고려함과 동시에 제1 센서의 센싱값과 비교의 대상이 되는 제1 설정값, 제2 센서의 센싱값과 비교의 대상이 되는 제2 설정값 및 제3 설정값을 사용자의 신체 조건을 고려하여 개별적인 설정이 가능하므로 낙상 사고 발생 여부에 대한 정확한 판단이 가능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nsing value of the first sensor and the sensing value of the second sensor are comprehensively considered, and at the same time, the sensing value of the first sensor is compared with the first set value and the sensing value of the second sensor. Since the second set value and the third set value can be individually set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determine whether a fall has occurred.

또한, 낙상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서버에 낙상 발생 사실 및 현재 위치를 자동으로 전송하므로 구호 시설 등으로 하여금 신속한 구호 활동이 가능함과 동시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사고 당사자 위치 수색을 할 필요가 없도록 이바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fall has occurred, the fact of the fall and the current location are automatically transmitted to the server, so that aid facilities, etc., can perform quick relief activities and at the same time, contribute to the need to search for the location of the person involved in the accident, which takes a lot of time. I can.

또한, 낙상 사고 발생 사실을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함에 있어 사용자의 현재 위치, 낙상 사고 발생 시간, 산정된 바닥까지의 거리 등을 함께 저장함으로써 구호 시설 등이 도착하였을 때 낙상 사고가 발생한 경위나 적절한 응급 치료법을 선택할 수 있는 일종의 블랙 박스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storing the fact of the fall accident in the data storage unit,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he time of the fall accident, and the calculated distance to the floor are stored together to determine how the fall accident occurred when the relief facility arrived. It can act like a black box from which treatment options can be selected.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낙상 사고 감지 단말기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낙상 사고 감지 단말기를 전면에서 관찰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낙상 사고 감지 단말기를 측면에서 관찰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낙상 사고 감지 단말기 및 제2 센서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제1 거리, 제1 각도 및 바닥까지의 거리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사용자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낙상 사고 감지 단말기를 목걸이 형태로 착용한 경우 낙상 사고가 발생하여 쓰러진 모습을 상황을 나누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낙상 사고 감지 방법의 대표적인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fall accident detection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of observing a fall accident detection terminal from the fro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of observing a fall accident detection terminal from the sid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a part of a fall accident detection terminal and a second sens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3.
5 is a diagram showing a first distance, a first angle, and a distance to the floor in FIG. 3.
6 to 8 are diagrams illustrating situations in which a fall accident occurs and falls down when a user wears the fall accident detec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rm of a necklace.
9 is a flow chart showing representative steps of a method for detecting a fall acciden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결정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to be post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pos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e possessor, and the invention is only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다른 결정이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Unless otherwise determ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used with meanings that can be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결정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결정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In addition, generally used terms determined in advance are not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clearly specifically determined.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for describing exemplary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specifically stated in the phrase.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As used in the specification, "comprises" and/or "comprising" refers to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actions and/or elements, and/or elements, steps, actions and/or elements mentioned. Or does not exclude additions.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낙상 사고 감지 단말기(100)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fall accident detec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낙상 사고 감지 단말기(100)는 통신부(10), 제1 센서(21) 및 제2 센서(22)를 포함하는 감지부(20), 제어부(30) 및 전원부(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함에 있어 필요한 부가적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fall accident detec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0, a detection unit 20 including a first sensor 21 and a second sensor 22, a control unit 30, and a power supply unit. It goes without saying that it may include (40), and may further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necessary to achieve 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통신부(1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낙상 사고 감지 단말기(100)가 또 다른 낙상 사고 감지 단말기(미도시), 통상적인 이동통신 단말기(미도시) 및 서버(미도시) 중 어느 하나 이상과 네크워크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네트워크 연결 대상이 되는 구성과 통신상의 호환성을 지니고 있는 통신 모듈(11)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0 includes another fall accident detection terminal (not shown),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not shown), and a server (not shown). As a configuration for performing a network connection with one or more, it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11 having communication compatibility with a configuration to be connected to the network.

이러한 통신 모듈(11)은 예를 들어, 3G 통신 모듈, 4G 통신 모듈, 5G 통신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모듈, 와이파이(Wi-Fi) 통신 모듈, 와이브로(Wibro) 통신 모듈, M2M 통신 모듈,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 모듈 및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중 어느 하나 등과 같이 공지된 통신 모듈일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낙상 사고 감지 단말기(100)가 사용하는 통신사의 유무 또는 통신사의 종류 등에 따라 상이해질 수 있을 것이다. These communication modules 11 are, for example, 3G communication module, 4G communication module, 5G communication module,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Wi-Fi communication module, Wibro communication module, M2M communication module, It may be a known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any one of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communication module and 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which is used by the fall accident detec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communication company or the type of communication company.

한편, 통신부(1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낙상 사고 감지 단말기(100)의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특정할 수 있는 GPS 모듈(12) 및 GPS 모듈(12)이 특정한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낙상 이벤트를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 저장부(13)을 더 포함할 수 있는바, 이는 제어부(30)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Meanwhile, the communication unit 10 includes a GPS module 12 and a GPS module 12 capable of specify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of the fall accident detec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data storage unit 13 capable of storing the fall event and the bar,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description of the control unit 30.

감지부(20)는 낙상 이벤트를 감지한다. The detector 20 detects a fall event.

여기서 낙상 이벤트는 사용자에기 낙상이라는 사고가 발생했는지 여부에 대한 이벤트로서, 감지부(20)가 포함하는 제1 센서(21) 및 제2 센서(22)의 센싱 결과를 통해 감지할 수 있다. 이하 설명하도록 한다. Here, the fall event is an event as to whether an accident called a fall has occurred in the user, and may be detected through a sensing result of the first sensor 21 and the second sensor 22 included in the detection unit 20. It will be described below.

제1 센서(21)는 가속도를 측정한다. The first sensor 21 measures acceleration.

가속도를 측정하기에 제1 센서(21)는 가속도 센서일 수 있으며, 가속도 센서가 아닌 속도 센서를 선택하되, 후술할 제어부(30)가 일정 시간 동안 속도 센서가 측정한 속도의 변화량으로 가속도를 산정할 수도 있으나, 낙상 사고는 시급을 요하는 긴급한 상황이기 때문에 가속도 산정에 소모되는 짧은 시간이라도 가급적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가속도 센서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In order to measure acceleration, the first sensor 21 may be an acceleration sensor, and a speed sensor other than the acceleration sensor is selected, but the controller 30 to be described later calculates the acceleration based on the amount of change in the speed measured by the speed sensor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lthough it can be done, it is desirable to select an acceleration sensor because a fall accident is an urgent situation that requires an urgent need, so it is desirable to eliminate even a short time spent in calculating the acceleration as much as possible.

제2 센서(22)는 바닥까지의 거리(D)를 산정한다. The second sensor 22 calculates the distance D to the floor.

여기서 바닥까지의 거리(D)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낙상 사고 감지 단말기(100)와 바닥까지의 거리를 의미하는바, 거리를 산정하기에 제2 센서(22)는 거리측정 센서일 수 있다. Here, the distance to the floor (D) refers to the distance between the fall detection terminal 100 and the flo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alculate the distance, the second sensor 22 is a distance measurement sensor. Can be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센서(22)는 예를 들어, 적외선 이용식 센서, 자연광 이용식 센서 및 초음파 센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입사파를 바닥으로 출력하고, 입사파가 바닥에 부딪혀 반사되는 반사파가 되돌아오기까지 소요되는 총 시간 또는 되돌아온 반사파의 세기를 통해 바닥까지의 거리를 산정할 수 있는바, 그에 따라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낙상 사고 감지 단말기(100)를 전면에서 관찰한 경우를 도시한 도 2를 참조하면 제2 센서(22)는 제2 센서(22)의 저면 방향으로 입사파를 출력하는 출력부(22-1) 및 출력한 입사파가 바닥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파를 입력 받는 입력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sensor 22 may be, for example, any one of an infrared sensor, a natural light sensor, and an ultrasonic sensor, and outputs an incident wave to the floor, and a reflected wave that is reflected when the incident wave hits the floor is returned.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distance to the floor through the total time required to come or the intensity of the reflected wave returned, and accordingly, a case where the fall accident detec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bserved from the front is shown. Referring to FIG. 2, the second sensor 22 inputs an output unit 22-1 that outputs an incident wave toward the bottom of the second sensor 22, and a reflected wave returned after the output incident wave is reflected on the floor. A receiving input unit 22-2 may be included.

이러한 제2 센서(2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낙상 사고 감지 단말기(100)를 측면에서 관찰하는 경우 낙상 사고 감지 단말기(100)의 저면과 제1 각도(a)를 형성하며 기울어져 배치되는바, 사용자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낙상 사고 감지 단말기(100)를 착용 또는 소지하는 경우 신체와의 접촉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As shown in FIG. 3, when the fall accident detec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bserved from the side, the second sensor 22 is a bottom surface of the fall accident detection terminal 100 and a first angle. (a) is formed and disposed in an inclined manner. This is to minimize contact with the body when the user wears or possesses the fall accident detec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낙상 사고 감지 단말기(100)를 사용자가 목걸이 형태로 착용한 경우 제2 센서(22)가 기울어져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출력부(22-1)가 출력한 입사파 및 입력부(22-2)가 입력 받는 반사파가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3, when the user wears the fall accident detec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rm of a necklace, since the second sensor 22 is disposed at an angle, the output unit 22-1 A phenomenon in which the incident wave output by) and the reflected wave received by the input unit 22-2 contact the user's body can be minimized.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낙상 사고 감지 단말기(100) 및 제2 센서(22)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인바, 제2 센서(22)의 저면과 수직인 방향으로 출력하는 입사파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낙상 사고 감지 단말기(100)의 저면과 수직인 방향 사이(Ⅰ)의 각도가 제1 각도(a)이기 때문에 제2 센서(22)의 저면의 연장선(Ⅱ)과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낙상 사고 감지 단말기(100)의 저면과 수직인 방향(Ⅰ)과 수직인 방향(Ⅲ) 사이의 각도 역시 제1 각도(a)이고, 그에 따라 제2 센서(22)의 저면과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낙상 사고 감지 단말기(100)의 저면 사이의 각도 역시 제1 각도(a)임을 확인할 수 있다. FIG. 4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part of the fall accident detection terminal 100 and the second sensor 22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3, and the bottom of the second sensor 22 Since the angle (I) between the incident wave output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fall detec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is the first angle (a), the second sensor 22 ), the angle between the extension line (II) of the bottom surface and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all detec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 and the vertical direction (III) is also a first angle (a ), and accordingly,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angle between the bottom of the second sensor 22 and the bottom of the fall detec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 first angle (a).

여기서 제1 각도(a)는 0° 초과, 60° 이하의 범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는바, 제1 각도(a)가 0° 인 경우 기울어져 배치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할 수 있으며, 60°를 초과하여 지나치게 크게 기울어져 배치된 경우 입력부(22-2)가 입력 받는 반사파의 신호 세기가 지나치게 약해질 수 있기에 거리 측정 자체가 불가능할 수 있기 때문이다. Here, the first angle (a) may be any one of a range of more than 0° and less than 60°. When the first angle (a) is 0°, it is not inclined and thus may contact the user's body. In addition, since the signal strength of the reflected wave received by the input unit 22-2 may be too weak when the signal is disposed at an excessively large inclination exceeding 60°, distance measurement itself may be impossible.

이러한 제1 각도(a)는 수천 번의 실험 결과 30° 이상, 45° 이하의 범위 중 어느 하나인 경우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하지 않음과 동시에 바닥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반사파를 입력부(22-2)가 언제나 입력 받을 수 있었기 때문에 가장 바람직한 제1 각도(a)의 범위라 할 수 있을 것이다. If the first angle (a) is in any one of a range of 30° or more and 45° or less as a result of thousands of experiments, the input unit 22-2 receives the reflected wave that is reflected on the floor and returns at the same time as it does not contact the user's body Since it could always be input, it could be said to be the most desirable range of the first angle (a).

한편, 감지부(20)가 제1 센서(21) 및 제2 센서(22)를 포함하기에, 이들 센서가 상시 구동중인 경우라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낙상 사고 감지 단말기(100)의 배터리가 지나치게 빠르게 소진될 가능성이 있으며, 낙상 여부 판단의 정확도를 기하기 위해 제1 센서(21)의 센싱값과 제2 센서(22)의 센싱값을 종합하여 낙상 여부를 판단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 역시 제어부(30)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detection unit 20 includes the first sensor 21 and the second sensor 22, if these sensors are always driven, the fall accident detec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battery is exhausted too quickly, and there is a need to determine whether a fall has occurred by combining the sensing value of the first sensor 21 and the sensing value of the second sensor 22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a fall has occurred. have. This will also be described later in the description of the control unit 30.

제어부(30)는 통신부(10) 및 감지부(20)의 구동을 제어하며, 낙상 여부를 판단한다. The control unit 30 controls the driving of the communication unit 10 and the detection unit 20, and determines whether a fall has occurred.

앞서 감지부(20)에 대한 설명에서 제1 센서(21) 및 제2 센서(22)가 상시 구동중인 경우라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낙상 사고 감지 단말기(100)의 배터리가 지나치게 빠르게 소진될 가능성이 있다고 한바, 이를 방지하는 구성이 제어부(30)이다. 이하 설명하도록 한다. 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detection unit 20, if the first sensor 21 and the second sensor 22 are always driven, the battery of the fall accident detec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o fast. It is sai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being exhausted, and the control unit 30 is a component that prevents this. It will be described below.

제어부(30)는 제2 센서(22)를 기본적으로 휴지(Sleep) 상태로 구동시키되, 제1 센서(21)가 측정한 가속도가 제1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만 제2 센서(22)를 웨이크업(Wake Up) 상태로 구동시킨다. The control unit 30 basically drives the second sensor 22 in a sleep state, but only when the acceleration measured by the first sensor 21 exceeds the first set value, the second sensor 22 is operated. Drive in Wake Up state.

여기서 제1 센서(21)가 아닌 제2 센서(22)를 기본적으로 휴지(Sleep) 상태로 구동시키는 것은 제1 센서(21)의 전원 소모량이 제2 센서(22)의 전원 소모량보다 적다는 이유도 있지만 제1 센서(21)의 센싱값과 제2 센서(22)의 센싱값을 종합하여 낙상 여부를 판단해야 할 필요성에 의해 제1 센서(21)의 센싱값인 가속도가 급격하게 증가했다는 이유만으로 낙상 사고가 발생했다고 단정할 수 없기 때문임과 동시에 제2 센서(22)는 사용자가 착용 또는 소지한 상태에서 흔들리는 경우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할 미약한 가능성이 존재하지만 가속도 측정의 경우 이와 무관하게 측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Here, driving the second sensor 22 instead of the first sensor 21 in a basic sleep state is the reason that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first sensor 21 is less than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second sensor 22 However, the reason why the acceleration, which is the sensing value of the first sensor 21, has rapidly increased due to the need to determine whether a fall has occurred by combining the sensing value of the first sensor 21 and the sensing value of the second sensor 22 This is because it cannot be concluded that a fall accident has occurred by itself, and at the same time, the second sensor 22 has a weak possibility of contacting the user's body when it is shaken while wearing or possessing the user, but in the case of acceleration measurement, irrespective of this. Because it can be measured.

이렇게 제2 센서(22)가 기본적으로 휴지 상태로 구동되고, 제1 센서(21)가 측정한 가속도가 제1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만 제2 센서(22)가 웨이크업 상태로 구동되므로 낙상 사고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낙상 사고 감지 단말기(100)를 착용 또는 소지한 경우 배터리 소진을 최소화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second sensor 22 is basically driven in a dormant state, and the second sensor 22 is driven in a wake-up state only when the acceleration measured by the first sensor 21 exceeds the first set value. When the user wears or carries the fall accident detec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no accident has occurred, battery exhaustion can be minimized.

여기서 제1 설정값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낙상 사고 감지 단말기(100)를 착용 또는 소지한 사용자의 성별, 나이, 키, 몸무게, 100m 주파 시간에 따른 최대 가속도 등과 같은 신체 조건에 따라 상이해질 수 있으나, 낙상 사고 발생시에 사용자가 받는 중력 가속도인 9.8m/s2, 오차를 고려한다면 10 m/s2를 초과하면 안 된다 할 것이며,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낙상 사고 감지 단말기(100)의 최초 부팅 시 사용자가 입력한 신체 조건에 따라 제어부(30)가 자동으로 설정하거나, 사용자 스스로 설정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Here, the first set value is according to physical conditions such as gender, age, height, weight, and maximum acceleration according to 100m frequency of the user wearing or possessing the fall accident detec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it may be different, it should not exceed 9.8m/s 2 , which is the gravitational acceleration received by the user when a fall occurs, and if the error is taken into account, it should not exceed 10 m/s 2 , and fall detec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erminal 100 is initially booted, the controller 30 may automatically set it according to the physical condition input by the user, or it may be set by the user himself.

이러한 기술적 특징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낙상 사고 감지 단말기(100)에게 있어 매우 중요한 것인바, 낙상 사고가 발생하는 산에서 사용자가 별도의 보조 배터리를 소지하고 있지 않은 경우라 한다면 배터리 충전 자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배터리를 최대한의 사용 시간으로 소진해야 할 필요성이 그 어느 장소보다 크기 때문이다. This technical feature is very important to the fall accident detec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user does not have a separate auxiliary battery in the mountain where the fall accident occurs, the battery is charged. This is because it is impossible to do so, so the need to exhaust the battery to the maximum usage time is greater than anywhere else.

한편, 제어부(30)는 제2 센서(22)를 기본적으로 휴지 상태가 아닌 OFF 상태로 구동시키고, 제1 센서(21)가 측정한 가속도가 제1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만 제2 센서(22)를 ON 상태로 구동시킬 수도 있는바, 이 경우 제2 센서(22)의 부팅 속도가 현저하게 빨라야만 바닥까지의 거리(D)를 신속하게 산정할 수 있으므로 제2 센서(22)의 성능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해야 할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30 drives the second sensor 22 in an OFF state instead of the idle state, and only when the acceleration measured by the first sensor 21 exceeds the first set value, the second sensor ( 22) can be driven in the ON state. In this case, the performance of the second sensor 22 can be quickly calculated only when the booting speed of the second sensor 22 is remarkably fast. It will have to be applied selectively according to.

이번에는 낙상 여부 판단의 정확도를 기하기 위해 제1 센서(21)의 센싱값과 제2 센서(22)의 센싱값을 종합하여 낙상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3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This time, in order to ensure the accuracy of determining whether a fall has occurred,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the controller 30 that determines whether a fall has occurred by combining the sensing value of the first sensor 21 and the sensing value of the second sensor 22.

앞서 제2 센서(22)는 사용자가 착용 또는 소지한 상태에서 흔들리는 경우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할 미약한 가능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슬립 상태로 구동시키되, 제1 센서(21)가 측정한 가속도가 제1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만 웨이크업 상태로 구동시킨다고 한바, 웨이크업 상태로 구동된 제2 센서(22)는 바닥까지의 거리를 산정함에 있어 하기와 같은 수학식 1을 이용한다. Previously, when the second sensor 22 is shaken while wearing or possessed by the user, there is a weak possibility of contacting the user's body, so it is basically driven in a sleep state, but the acceleration measured by the first sensor 21 is Since it is said that the drive in the wake-up state is driven only when the first set value is exceeded, the second sensor 22 driven in the wake-up state uses Equation 1 as follows to calculate the distance to the floor.

수학식 1: 바닥까지의 거리(D): 입사파 및 반사파를 이용하여 산정한 제1 거리 Х COS(제1 각도)Equation 1: Distance to the floor (D): The first distance calculated using incident and reflected waves Х COS (first angle)

도 5는 도 3에 제1 거리, 제1 각도(a) 및 바닥까지의 거리(D)를 표시한 도면인바, 제1 거리와 제1 각도(a)가 확보되면 COS 법칙에 의해 바닥까지의 거리(D)를 산정할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제1 각도(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낙상 사고 감지 단말기(100)의 저면과 제2 센서(22)의 저면 사이의 각도와 동일함은 도 4에 대한 설명에서 이미 서술한 바이다. 5 is a diagram showing the first distance, the first angle (a), and the distance to the floor (D) in FIG. 3. When the first distance and the first angle (a) are secured, The distance (D) can be calculated, and the first angle (a) shown in FIG. 5 is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fall accident detection terminal 100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sensor 22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as the angle of has already been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of FIG. 4.

제어부(30)가 제2 센서(22)를 구동시켜 바닥까지의 거리(D)를 산정한 것은 제1 센서(21)에 의해 제1 설정값을 초과하는 가속도가 감지된 것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낙상 사고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는 상황이 후보로 추려진 것이며, 제어부(30)는 산정한 바닥까지의 거리(D)를 기초로 낙상 여부를 최종 판단한다. The control unit 30 drives the second sensor 22 to calculate the distance D to the floor on the premise that the acceleration exceeding the first set value is detected by the first sensor 21. A situation in which an accident may have occurred has been selected as a candidate, and the control unit 30 finally determines whether a fall has occurred based on the calculated distance D to the floor.

제어부(30)는 산정한 바닥까지의 거리(D)가 제2 설정값 미만인 경우 또는 제3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낙상으로 판단하며, 여기서 제2 설정값 및 제3 설정값은 사용자의 신장, 사용자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낙상 사고 감지 단말기(100)를 착용 또는 소지한 위치로부터 바닥까지의 거리 및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자세를 구현했을 때의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낙상 사고 감지 단말기(100)의 위치로부터 바닥까지의 거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설정할 수 있다. When the calculated distance D to the floor is less than the second set value or exceeds the third set value, the controller 30 determines that a fall is, where the second set value and the third set value are the height of the user. ,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implements one or more postures and the distance from the position wearing or holding the fall accident detec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floor. It can be set through any one or more of the distances from the location of the fall accident detection terminal 100 to the floor.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도 6 내지 도 8은 사용자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낙상 사고 감지 단말기(100)를 목걸이 형태로 착용한 경우 낙상 사고가 발생하여 쓰러진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Let's explain with an example. 6 to 8 are diagrams illustrating a fall accident occurring when a user wears the fall accident detec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rm of a necklace and falls dow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낙상 사고 감지 단말기(100)의 전면이 바닥을 향하고 있는바, 산정한 바닥까지의 거리(D)가 지나치게 짧기에 이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낙상 사고가 발생하여 쓰러진 것을 예측할 수 있다. 그러나 산정한 바닥까지의 거리(D)가 짧다는 것만으로 사용자에게 낙상 사고가 발생하여 쓰러진 것으로 예측할 수는 없으므로 제2 설정값과 비교하여 제2 설정값 미만인 경우에만 낙상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6, the front of the fall accident detec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aces the floor, and the calculated distance D to the floor is too short. Can be predicted to occur and collapse. However, since the calculated distance D to the floor is short, it cannot be predicted that the user has fallen due to a fall accident, so the fall is determined only when it is less than the second set value compared to the second set value.

여기서 제2 설정값은 사용자의 신장, 사용자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낙상 사고 감지 단말기(100)를 착용 또는 소지한 위치로부터 바닥까지의 거리 및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자세를 구현했을 때의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낙상 사고 감지 단말기(100)의 위치로부터 바닥까지의 거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설정할 수 있는바, 예를 들어 낙상 사고가 발생하지 않은 보통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취할 수 있는 가장 낮은 높이의 자세인 쭈그려 앉은 자세에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낙상 사고 감지 단말기(100)의 위치로부터 바닥까지의 거리를 제2 설정값으로 설정한다면, 제2 설정값 미만인 경우 낙상 사고가 발생하여 쓰러진 것으로 예측 가능한 확률이 현저하게 높아질 것이다. Here, the second set value is the height of the user, the distance from the position where the user wears or holds the fall accident detec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floor, and when the user implements one or more postures. It can be set through any one or more of the distance from the location of the fall accident detec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floor, for example, the user can take in a normal state in which a fall accident does not occur. If the distance from the position of the fall accident detec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floor is set as the second set value in the squatting posture, which is the lowest possible posture, if it is less than the second set value The predictable probability of falling due to a fall will increase significantly.

한편, 제어부(100)는 사용자의 신장,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낙상 사고 감지 단말기(100)를 착용 또는 소지한 위치를 기초로 해당 사용자가 낙상 사고가 발생하지 않은 보통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취할 수 있는 가장 낮은 높이의 자세에서의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낙상 사고 감지 단말기(100)의 위치로부터 바닥까지의 거리를 제2 설정값으로 자동으로 설정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신장은 최초 부팅 시 사용자가 입력한 신체 조건으로부터,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낙상 사고 감지 단말기(100)를 착용 또는 소지한 위치로부터 바닥까지의 거리는 제2 설정값 설정을 위해 최초 착용 또는 소지한 상태에서 의무적으로 산정될 수 있을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100 is based on the height of the user and the position where the fall accident detec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or held, the user in a normal state in which a fall accident does not occur. The distance from the position of the fall accident detec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floor at the lowest posture that can be taken may be automatically set as a second set value, and the height of the user is From the physical condition input by the user at the time of initial booting, the distance from the position where the fall accident detec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or held to the floor is initially worn or held to set the second set value. It can be calculated obligatory in the state.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낙상 사고 감지 단말기(100)의 전면이 전면이 하늘을 향하고 있는바, 산정한 바닥까지의 거리(D), 도 7의 경우 절벽 측면까지의 거리가 지나치게 길기에 이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낙상 사고가 발생한 것을 예측할 수 있다. 그러나 산정한 바닥까지의 거리(D)가 길다는 것만으로 사용자에게 낙상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예측할 수는 없으므로 제3 설정값과 비교하여 제3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만 낙상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Referring to FIG. 7, the front of the fall accident detec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aces the sky, the calculated distance to the floor (D), and in the case of FIG. Because the distance is too long, it is possible to predict the occurrence of a fall to the user based on this. However, it is not possible to predict that a fall has occurred in the user just because the calculated distance D to the floor is long, so that a fall is determined only when it exceeds the third set value compared to the third set value.

여기서 제3 설정값은 제2 설정값과 상이하게 산정한 바닥까지의 거리(D)가 긴 경우에 해당하나, 이와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신장, 사용자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낙상 사고 감지 단말기(100)를 착용 또는 소지한 위치로부터 바닥까지의 거리 및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자세를 구현했을 때의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낙상 사고 감지 단말기(100)의 위치로부터 바닥까지의 거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설정할 수 있는바, 예를 들어, 낙상 사고가 발생하지 않은 보통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취할 수 있는 가장 높은 높이인 최대 점프를 한 자세에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낙상 사고 감지 단말기(100)의 위치로부터 바닥까지의 거리를 제3 설정값으로 설정한다면, 제3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낙상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예측 가능한 확률이 현저하게 높아질 것이다. Here, the third set value corresponds to a case where the distance to the floor (D) calculated differently from the second set value is long. Likewise, the height of the user and the user's fall detec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y of the distance from the position wearing or holding the 100 to the floor and the distance from the position of the fall accident detec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floor when the user implements one or more postures It can be set through more than one bar, for example, detection of a fall accide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ne posture of the maximum jump that is the highest height that the user can take in a normal state where no fall accident has occurred. If the distance from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100 to the floor is set as the third set value, if the third set value is exceeded, the predictable probability that a fall accident has occurred will be remarkably increased.

한편, 제어부(100)는 사용자의 신장,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낙상 사고 감지 단말기(100)를 착용 또는 소지한 위치를 기초로 해당 사용자가 낙상 사고가 발생하지 않은 보통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취할 수 있는 가장 높은 높이의 자세에서의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낙상 사고 감지 단말기(100)의 위치로부터 바닥까지의 거리를 제3 설정값으로 자동으로 설정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신장은 최초 부팅 시 사용자가 입력한 신체 조건으로부터,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낙상 사고 감지 단말기(100)를 착용 또는 소지한 위치로부터 바닥까지의 거리는 제3 설정값 설정을 위해 최초 착용 또는 소지한 상태에서 의무적으로 산정될 수 있을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100 is based on the height of the user and the position where the fall accident detec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or held, the user in a normal state in which a fall accident does not occur. The distance from the position of the fall accident detec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floor at the highest posture that can be taken may be automatically set to a third set value, and the height of the user is From the physical condition input by the user at the time of initial booting, the distance from the position wearing or holding the fall accident detec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floor is initially worn or held to set the third set value. It can be calculated obligatory in the state.

도 8을 참조하면 도 7과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낙상 사고 감지 단말기(100)의 전면이 하늘을 향하고 있으나, 도 7과 상이하게 주변에 절벽이 존재하지 않아 출력부(22-1)가 출력한 입사파가 반사파로 입력부(22-2)에 입력 받지 못하여 제1 거리, 보다 구체적으로 바닥까지의 거리(D) 산정 자체가 불가능한 경우를 도시한바, 입사파가 긴 시간이 경과하여 어느 순간 바닥에 일부 부딪힌다 하여도 그 강도가 매우 약할 것이기에 반사파 역시 약한 강도에 의해 입력부(22-2)에 입력 받을 만큼 돌아오지 못할 것이므로 바닥까지의 거리(D) 산정이 불가능한 것이며, 제어부(30)는 이러한 상황 역시 낙상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as in FIG. 7, the front of the fall accident detec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aces the sky, but unlike FIG. 7, there are no cliffs around the output unit 22- 1) shows a case where the first distance, more specifically, the distance to the floor (D), cannot be calculated because the incident wave output by 1) is not received as a reflected wave into the input unit 22-2. Therefore, even if it partially hits the floor at any moment, the intensity will be very weak, so the reflected wave will not return enough to be input to the input unit 22-2 due to the weak intensity, so it is impossible to calculate the distance (D) to the floor, and the control unit 30 ) Can be judged that such a situation has also occurred.

결국 산정한 바닥까지의 거리(D)가 제2 설정값 이상, 제3 설정값 이하인 경우에는 낙상 사고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확정적인 판단을 하는바, 기준이 되는 제2 설정값 및 제3 설정값을 사용자의 신장, 사용자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낙상 사고 감지 단말기(100)를 착용 또는 소지한 위치로부터 바닥까지의 거리 및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자세를 구현했을 때의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낙상 사고 감지 단말기(100)의 위치로부터 바닥까지의 거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설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낙상 사고 발생 여부 판단의 정확도가 비약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In the end, if the calculated distance to the floor (D)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cond set value and less than the third set value, a definitive judgment is made that no fall has occurred. The second set value and the third set value as the reference The height of the user, the distance from the location where the user wears or holds the fall accident detec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floor, and the firs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implements one or more postures. Since it is set through at least one of the distances from the location of the fall accident detection terminal 100 to the flo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accuracy of determining whether a fall accident has occurred can be dramatically improved.

한편, 제어부(30)는 낙상 사고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 웨이크업 상태로 구동시킨 제2 센서(22)를 다시 휴지 상태로 구동시켜 불필요한 배터리 소진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all accident has not occurred, the control unit 30 may prevent unnecessary battery exhaustion by driving the second sensor 22 driven in the wake-up state to a rest state again.

이상 설명한 도 6 내지 도 8의 경우가 낙상 사고가 발생한 경우 존재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낙상 사고 감지 단말기(100)의 대부분의 상황에 해당하나, 이와 상이한 상황이 존재할 여지도 있으므로 낙상 사고가 발생했다고 판단한 즉시 제어부(3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낙상 사고 감지 단말기(100)의 알람, 진동 등과 같은 인지 수단을 강제로 실행시켜 사용자가 이를 OFF하는지 여부를 추가적으로 확인하여 소정 시간 내에 OFF하지 않는다면 낙상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확정적인 판단을 할 수도 있다.The cases of FIGS. 6 to 8 described above correspond to most situations of the fall accident detec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exist when a fall accident occurs. As soon as it is determined that an accident has occurred, the control unit 30 additionally checks whether or not the user turns it off by forcibly executing a recognition means such as an alarm or vibration of the fall accident detec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not turned off within a certain time, it is possible to make a definite judgment that a fall has occurred.

또한, 제어부(30)는 낙상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통신부(10)로 하여금 서버(미도시)에 낙상 발생 사실 및 현재 위치를 전송하게 할 수 있는바, 사용자의 현재 위치는 GPS 모둘(12)로부터 획득하여 전송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구호 시설 등에 자동으로 신고가 이루어져 신속한 구호가 가능해질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all accident has occurred, the control unit 30 can cause the communication unit 10 to transmit the fall occurrence fact and the current location to the server (not show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is the GPS module 12 ) Can be obtained and transmitted, and through this, an automatic report will be made to an aid facility, etc., thereby enabling rapid relief.

더 나아가, 제어부(3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낙상 사고 감지 단말기(100)의 설정에 따라 낙상 발생 사실 및 현재 위치를 서버(미도시)에 전송하여 구호 시설 등에 자동으로 신고가 이루어지게 할뿐만 아니라 기 설정된 가족, 친지 등의 이동통신 단말(미도시)에 이를 전송하게 할 수도 있으나, 이들이 부재중인 경우가 존재할 수 있으므로 서버(미도시)에 전송하여 구호 시설 등에 자동으로 신고가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Further, the control unit 30 transmits the fact of the fall occurrence and the current location to a server (not shown) according to the setting of the fall accident detec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report is automatically reported to the aid facility, etc. Not only can it be made, but it can also be transmitt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not shown) such as a family member or relative, etc. It would be desirable to make it happen.

아울러, 제어부(30)는 낙상 발생 사실을 데이터 저장부(13)에 저장할 수 있는바, 낙상 발생 사실을 저장함에 있어 사용자의 현재 위치, 낙상 사고 발생 시간, 산정된 바닥까지의 거리(D) 등을 함께 저장함으로써 구호 시설 등이 도착하였을 때 낙상 사고가 발생한 경위나 적절한 응급 치료법을 선택할 수 있는 일종의 블랙 박스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게 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0 can store the fact of the fall occurrence in the data storage unit 13, and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he time when the fall occurs, the calculated distance to the floor (D), etc. By storing them together, they can act as a kind of black box to select an appropriate emergency treatment or how a fall accident occurred when an aid facility arrived.

다시 도 2에 대한 설명으로 돌아가도록 한다. Returning to the description of FIG. 2 again.

전원부(40)는 통신부(10), 감지부(20) 및 제어부(3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전원을 공급하며, 이상의 설명에서 언급한 배터리를 전원부(40)로 볼 수 있을 것인바, 충전하여 재사용이 가능한 2차 전지로 구현함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The power supply unit 40 supplies power to any one or more of the communication unit 10, the detection unit 20, and the control unit 30, and the battery mentioned in the above description can be viewed as the power supply unit 40. It would be desirable to implement a reusable secondary battery.

지금까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낙상 사고 감지 단말기(100)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부(30)가 제2 센서(22)를 휴지 상태로 구동시킴을 기본으로 하되, 제1 센서(21)가 측정한 가속도가 제1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만 제2 센서(22)를 웨이크업 상태로 구동시키는바, 불필요한 배터리 소진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배터리 충전이 불가능한 산이라는 장소에서 배터리를 최대한의 사용 시간으로 소진할 수 있다. 또한, 바닥까지의 거리(D)를 산정하는 제2 센서(22)를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낙상 사고 감지 단말기(100)의 저면과 제1 각도를 형성하며 기울어져 배치하는바, 사용자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낙상 사고 감지 단말기(100)를 착용 또는 소지하는 경우 신체와의 접촉을 최소화하여 바닥까지의 거리(D) 산정에 정확도를 기할 수 있다. 또한, 제1 센서(21)의 센싱값과 제2 센서(22)의 센싱값을 종합적으로 고려함과 동시에 제1 센서(21)의 센싱값과 비교의 대상이 되는 제1 설정값, 제2 센서(21)의 센싱값과 비교의 대상이 되는 제2 설정값 및 제3 설정값을 사용자의 신체 조건을 고려하여 개별적인 설정이 가능하므로 낙상 사고 발생 여부에 대한 정확한 판단이 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낙상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서버(미도시)에 낙상 발생 사실 및 현재 위치를 자동으로 전송하므로 구호 시설 등으로 하여금 신속한 구호 활동이 가능함과 동시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사고 당사자 위치 수색을 할 필요가 없도록 이바지할 수 있다. 또한, 낙상 사고 발생 사실을 데이터 저장부(13)에 저장함에 있어 사용자의 현재 위치, 낙상 사고 발생 시간, 산정된 바닥까지의 거리(D) 등을 함께 저장함으로써 구호 시설 등이 도착하였을 때 낙상 사고가 발생한 경위나 적절한 응급 치료법을 선택할 수 있는 일종의 블랙 박스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So far, the fall accident detec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30 is based on driving the second sensor 22 in an idle state, but only when the acceleration measured by the first sensor 21 exceeds the first set value, the second sensor By driving (22) in a wake-up state, unnecessary battery exhaustion can be prevented, and the battery can be exhausted with the maximum usage time in a mountain where battery charging is impossible. In addition, the second sensor 22 for calculating the distance D to the floor is disposed at an angle to form a first angle with the bottom of the fall detec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wears or carries the fall accident detec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contact with the body to improve accuracy in calculating the distance D to the floor. In addition, the sensing value of the first sensor 21 and the sensing value of the second sensor 22 are comprehensively considered, and the sensing value of the first sensor 21 is compared with the first set value and the second sensor. Since the sensing value of (21) and the second set value and the third set value to be compared can be individually set in consideration of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user,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determine whether a fall accident has occurred. 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fall accident has occurred, the fact of the fall and the current location are automatically transmitted to the server (not shown), so that it is necessary to search the location of the person involved in the accident, which takes a lot of time while allowing quick relief activities for aid facilities, etc. You can contribute so that there is no In addition, in storing the fact of the fall accident in the data storage unit 13,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he time of the fall accident, and the calculated distance to the floor (D) are stored together. It can be played as a kind of black box for selecting an appropriate emergency treatment or how it occurred.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낙상 사고 감지 단말기(100)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낙상 사고 감지 방법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0)가 낙상 사고 감지 단말기(100)를 초기화하고 제2 센서(22)를 휴지 상태로 구동시키는 단계(S910), 제어부(30)가 제1 센서(21)가 측정한 가속도가 제1 설정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S920), 제어부(30)가 S920 단계의 판단 결과 제1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YES) 제2 센서(22)를 웨이크업 상태로 구동시키는 단계(S930), 제어부(30)가 제2 센서(22)의 센싱값을 이용하여 산정한 바닥까지의 거리(D)가 제2 설정값 미만 또는 제3 설정값을 초과하는지, 제1 거리의 산정이 불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940), 제어부(30)가 S940 단계의 판단 결과 산정한 바닥까지의 거리(D)가 제2 설정값 미만 또는 제3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또는 제1 거리의 산정이 불가능한 경우(YES) 낙상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서버(미도시)에 낙상 발생 사실 및 현재 위치를 전송하는 단계(S950) 및 제어부(30)가 데이터 저장부(13)에 이를 저장하는 단계(S960)를 포함할 수 있으며, S920 단계의 판단 결과가 NO인 경우 제어부(30)가 제2 센서(22)를 휴지 상태로 유지하는 단계(S925)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all accident detec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fall accident det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9, the control unit 30 initializes the fall detection terminal 100 and drives the second sensor 22 to a rest state (S910), and the control unit 30 performs the first sensor (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acceleration measured by 21) exceeds the first set value (S920), when the control unit 30 exceeds the first set valu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step S920 (YES), the second sensor 22 wakes up Step of driving in the up state (S930), whether the distance D to the floor calculated by using the sensing value of the second sensor 22 is less than the second set value or exceeds the third set value , Determining whether the first distance is impossible to calculate (S940), the distance to the floor (D) calculated by the control unit 30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940 is less than the second set value or exceeds the third set value In case the first distance cannot be calculated (YES),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fact of the fall and the current location to the server (not shown) by determining that a fall has occurred (YES) and the control unit 30 are provided with a data storage unit ( 13) may include a step (S960) of storing it, and when the determination result of step S920 is NO, the control unit 30 may include a step (S925) of maintaining the second sensor 22 in a dormant state. have.

중복 서술을 방지하기 위해 자세히 설명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낙상 사고 감지 단말기(100)에 적용된 모든 기술적 특징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낙상 사고 감지 방법에 모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Although not described in detail in order to prevent overlapping descriptions, all technical features applied to the fall accident detec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he same as in the fall accident det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course it can be applied.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can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and non-limiting in all respects.

100: 낙상 사고 감지 단말기
10: 통신부
11: 통신 모듈
12: GPS 모듈
13: 데이터 저장부
20: 감지부
21: 제1 센서
22: 제2 센서
22-1: 출력부
22-2: 입력부
30: 제어부
40: 전원부
a: 제1 각도
D: 바닥까지의 거리
100: fall accident detection terminal
10: communication department
11: communication module
12: GPS module
13: data storage
20: detection unit
21: first sensor
22: second sensor
22-1: output
22-2: input
30: control unit
40: power supply
a: first angle
D: distance to the floor

Claims (10)

서버와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는 통신부;
낙상 이벤트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통신부 및 감지부의 구동을 제어하며, 낙상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통신부, 감지부 및 제어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를 포함하는 낙상 사고 감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가속도를 측정하는 제1 센서; 및
바닥까지의 거리(D)를 산정하는 제2 센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센서를 휴지(Sleep) 상태로 구동시키되, 상기 제1 센서가 측정한 가속도가 제1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만 상기 제2 센서를 웨이크업(Wake UP) 상태로 구동시키는,
낙상 사고 감지 단말기.
A communication unit performing a network connection with a server;
A detector for detecting a fall event;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driving of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detection unit and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fall has occurred; And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at least one of the communication unit, the detection unit, and the control unit;
In the fall accident detection terminal comprising a,
The sensing unit,
A first sensor measuring acceleration; And
A second sensor for calculating the distance D to the floor;
Including,
The control unit,
Driving the second sensor in a sleep state, but driving the second sensor in a wake-up state only when the acceleration measured by the first sensor exceeds a first set value,
Fall accident detection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는,
가속도 센서이며,
상기 제2 센서는,
거리측정 센서인,
낙상 사고 감지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sensor,
Is an acceleration sensor,
The second sensor,
Distance measuring sensor,
Fall accident detection terminal.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는,
측면에서 관찰하는 경우 상기 낙상 사고 감지 단말기의 저면과 제1 각도를 형성하며 기울어져 배치된,
낙상 사고 감지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sensor,
When observed from the side, it forms a first angle with the bottom of the fall accident detection terminal,
Fall accident detection terminal.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각도는,
0° 초과, 60° 이하 중 어느 하나인,
낙상 사고 감지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4,
The first angle is,
Any one of more than 0° and less than or equal to 60°,
Fall accident detection terminal.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제2 센서의 저면 방향으로 입사파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출력한 입사파가 바닥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파를 입력 받는 입력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하기 수학식 1을 통해 상기 바닥까지의 거리(D)를 산정하는,
낙상 사고 감지 단말기.
수학식 1: 바닥까지의 거리(D): 입사파 및 반사파를 이용하여 산정한 제1 거리 × COS(제1 각도)
The method of claim 4,
The second sensor,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an incident wave toward the bottom of the second sensor; And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 reflected wave from which the output incident wave is reflected on the floor and returned;
Including,
The control unit,
To calculate the distance (D) to the floor through Equation 1 below,
Fall accident detection terminal.
Equation 1: Distance to the floor (D): The first distance calculated using the incident wave and the reflected wave × COS (first angl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정한 바닥까지의 거리(D)가 제2 설정값 미만인 경우 또는 제3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낙상으로 판단하는,
낙상 사고 감지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6,
The control unit,
When the calculated distance (D) to the floor is less than the second set value or exceeds the third set value, it is judged as a fall,
Fall accident detection terminal.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설정값 및 제3 설정값은,
상기 낙상 사고 감지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신장, 상기 사용자가 상기 낙상 사고 감지 단말기를 착용 또는 소지한 위치로부터 바닥까지의 거리 및 상기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자세를 구현했을 때의 상기 낙상 사고 감지 단말기의 위치로부터 바닥까지의 거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설정하는,
낙상 사고 감지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7,
The second set value and the third set value,
Height of the user who uses the fall detection terminal, the distance from the position where the user wears or holds the fall detection terminal to the floor, and the position of the fall accident detection terminal when the user implements one or more postures Set through any one or more of the distances from to the floor,
Fall accident detection terminal.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가 반사파를 입력 받지 못하여 상기 제1 거리의 산정이 불가능한 경우에 낙상으로 판단하는,
낙상 사고 감지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6,
The control unit,
If the input unit does not receive the reflected wave and it is impossible to calculate the first distance, it is determined as a fall,
Fall accident detection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낙상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통신부로 하여금 상기 서버에 낙상 발생 사실 및 현재 위치를 전송하게 하는,
낙상 사고 감지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If it is determined as a fall, causing th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he fact of the fall and the current location to the server,
Fall accident detection terminal.
KR1020200075186A 2020-06-19 2020-06-19 Device for sensing falling accident and method for sensing falling accident using it KR1021557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5186A KR102155712B1 (en) 2020-06-19 2020-06-19 Device for sensing falling accident and method for sensing falling accident using 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5186A KR102155712B1 (en) 2020-06-19 2020-06-19 Device for sensing falling accident and method for sensing falling accident using 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5712B1 true KR102155712B1 (en) 2020-09-14

Family

ID=72471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5186A KR102155712B1 (en) 2020-06-19 2020-06-19 Device for sensing falling accident and method for sensing falling accident using 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5712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7633A (en) 2010-10-12 2012-04-20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Climbing support system and method
US20170281056A1 (en) * 2014-09-16 2017-10-05 Hip Hope Technologies Ltd. Fall detection device and method
KR20180095242A (en) * 2017-02-17 2018-08-27 (주)와이파이브 Apparatus and method for fall-down detection)
KR102023355B1 (en) * 2018-10-19 2019-11-26 주식회사 스팬엑스 Falling risk sensing device based on the phase change of upper and lower body movement of wearer and falling risk senising method using i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7633A (en) 2010-10-12 2012-04-20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Climbing support system and method
US20170281056A1 (en) * 2014-09-16 2017-10-05 Hip Hope Technologies Ltd. Fall detection device and method
KR20180095242A (en) * 2017-02-17 2018-08-27 (주)와이파이브 Apparatus and method for fall-down detection)
KR102023355B1 (en) * 2018-10-19 2019-11-26 주식회사 스팬엑스 Falling risk sensing device based on the phase change of upper and lower body movement of wearer and falling risk senising method using i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69765B (en) Activit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incident detection and response
JP3762966B1 (en) Physical condition management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physical condition management program
EP3246887A1 (en) Intelligent waistband and intelligent falling emergency early warning system
US6321177B1 (en) Programmable dive computer
KR101461306B1 (en) Device and method for fall detection and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fall accident therefor
US20210016115A1 (en) Smart fall arrest system
US20160314675A1 (en) Swimming aid to prevent drowning
US10232198B2 (en) Method for detecting a fall of a worker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 fall of a worker
US2013014762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ssisting firefighters during a fire drill by identifying locations of victims, exits, and dangerous areas
CN107808494B (en) Drowning alarm method based on wearable device and wearable device
JP2014520324A (en) Disaster relief system
KR2019011678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fall accident using wearable device
KR101990032B1 (en) A wearable smart device for distinguishing dangerous situation and a method for distinguishing dangerous situation using the same
KR102155712B1 (en) Device for sensing falling accident and method for sensing falling accident using it
KR102269659B1 (en) Knee protector, and Method for predicting disease information based on IoT using knee protector
JP2018126307A (en) Detection device and warning output program
Lokeshwaran et al. Raphael—The Smart Helmet
CN112438721A (en) State determination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KR20160095353A (en) Danger notification device embedded in shoes
CN111724569B (en) Alarm method, alarm device and storage medium
KR102322567B1 (en) Smart safety life jacket and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it
CN109859441B (en)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ally asking for help when falling into water, storage medium and computer equipment
JP2011099793A (en) Living body information detection system and method
KR20200016439A (en) Walking monitoring system using sensing module mounted on wearer's shoes
US20210386329A1 (en) Measurement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