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3445B1 - Culture content preference collection system through big data collection - Google Patents

Culture content preference collection system through big data colle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3445B1
KR102153445B1 KR1020200047930A KR20200047930A KR102153445B1 KR 102153445 B1 KR102153445 B1 KR 102153445B1 KR 1020200047930 A KR1020200047930 A KR 1020200047930A KR 20200047930 A KR20200047930 A KR 20200047930A KR 102153445 B1 KR102153445 B1 KR 102153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reference
gear
thread
col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79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염은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알커뮤니케이션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알커뮤니케이션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알커뮤니케이션즈
Priority to KR1020200047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344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3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34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1Indexing; Web crawling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g data collection-based culture content preference collection system. With the present invention, preferences for culture content produced at various platforms are collected by means of various terminals of individual users such as smartphones, kiosks, and PCs. Big data is established thereon, and then the data can be provided for, for example, culture content companies in need of the data, examples of which include exhibition planning, PR, and design companies.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eference collection terminal including at least one of a mobile terminal, a kiosk terminal, and a PC terminal and generating preference information by being installed with a dedicated application for culture content preference collection service provision, a user selecting his or her preferred culture content on a content list provided by the terminal through connection to a webpage providing the culture content preference collection service, or direct input from the user; a preference collection server performing a culture content preference survey based on the preferenc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reference collection terminal and providing a culture content provider with a preference list resulting from the preference survey; and a big data unit establishing big data by accumulating the preference list generated by the preference collection server by period, region, gender, or age.

Description

빅데이터 수집을 통한 문화 컨텐츠 선호도 수집 시스템{CULTURE CONTENT PREFERENCE COLLECTION SYSTEM THROUGH BIG DATA COLLECTION}Cultural content preference collection system through big data collection {CULTURE CONTENT PREFERENCE COLLECTION SYSTEM THROUGH BIG DATA COLLECTION}

본 발명은 빅데이터 수집을 통한 문화 컨텐츠 선호도 수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개인 사용자가 사용하는 스마트폰, 키오스크 또는 개인용 PC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플랫폼에서 제작되는 문화 컨텐츠들의 선호도를 수집하여 빅데이터를 구축한 뒤 이를 필요로 하는 전시기획, 홍보, 디자인 등의 문화 컨텐츠 업체 등에 제공할 수 있도록 구현한 빅데이터 수집을 통한 문화 컨텐츠 선호도 수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collecting preferences for cultural contents through the collection of big data, and more particularly, to determine the preferences of cultural contents produced on various platforms using various terminals such as smartphones, kiosks, or personal PCs used by individual users. It relates to a system for collecting preferences for cultural contents through the collection of big data implemented so that it can be provided to cultural contents companies such as exhibition planning, promotion, design, etc. after collecting and constructing big data.

최근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개인용 디지털 정보기기가 발전함에 따라, 일반인들이 간단한 저작도구를 이용하여 직접 디지털 콘텐츠를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소위 유씨씨 또는 유지씨(UGC: User Generated Contents)로 불리는 이 같은 사용자 제작 콘텐츠는 인터넷이라고 하는 개방된 네트워크상을 통한 빠른 공개와 피드백에 의해 더욱 많이 생산되고 있다.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personal digital information devices such as digital cameras, it has become possible for ordinary people to directly produce digital contents using simple authoring tools. Such user-generated content, so-called UCC or User Generated Contents (UGC), is being produced more by rapid disclosure and feedback through an open network called the Internet.

유씨씨와 같은 다양한 디지털 콘텐츠에 익숙한 시청자들은 다양한 채널을 통해 제공되는 디지털 콘텐츠를 중심으로 자신들의 생각을 전달하고 공유하는데도 익숙해 있다. 나아가 이러한 시청자들의 의견이나 정보의 공유는 더 많은 콘텐츠의 제작을 유발하는 것을 넘어, 산업적 또는 상업적으로 예측되지 않은 많은 영향력을 발생시키기도 한다.Viewers who are familiar with various digital contents such as Mr. Yoo are also used to conveying and sharing their thoughts centering on digital contents provided through various channels. Furthermore, the sharing of opinions or information of such viewers not only causes the production of more content, but also generates many unpredictable influences industrially or commercially.

그러나 아직까지 이러한 시청자 정보 교류의 공간은 인터넷, 특히 시청자의 개인용 컴퓨터로 연결된 인터넷 공간에 한정되고 있다. 이러한 공간은 인터넷의 개방성에 불구하고 인터넷 접속을 위한 시청자 인터페이스의 제약이라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더욱 다양한 형태의 시청자 공간에 대한 요구가 존재하고 있다.However, such a space for exchange of viewer information is still limited to the internet, especially internet space connected to the viewer's personal computer. In spite of the openness of the Internet, this space has a problem that viewer interfaces for Internet access are limited. Therefore, there is a demand for more diverse types of viewer space.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described background technology is technical information that the inventor possessed for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cquired during the deriva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necessarily a known technology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prior to filing the present invention. .

한국등록특허 제10-0624748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624748 한국등록특허 제10-2081553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081553

본 발명의 일측면은 개인 사용자가 사용하는 스마트폰, 키오스크 또는 개인용 PC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를 이용하여 다양환 플랫폼에서 제작되는 문화 컨텐츠들의 선호도를 수집하여 빅데이터를 구축한 뒤 이를 필요로 하는 전시기획, 홍보, 디자인 등의 문화 컨텐츠 업체 등에 제공할 수 있도록 구현한 빅데이터 수집을 통한 문화 컨텐츠 선호도 수집 시스템을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llect the preferences of cultural contents produced on various platforms using various terminals such as smartphones, kiosks, or personal PCs used by individual users to build big data and then plan exhibitions that require them. Provides a system for collecting preferences for cultural contents through big data collection implemented so that it can be provided to cultural contents companies such as public relations, design, etc.

또한, 불특정 다수인이 사용할 수 있도록 공개된 장소에 설치되는 키오스크 단말기의 경우 사용자로부터의 터치 입력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압력을 탄성 지지대를 이용하여 완충시키고, 단말기가 설치되는 장소에서 단말기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단말기로부터 발생되어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완충 지지대를 이용하여 완충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빅데이터 수집을 통한 문화 컨텐츠 선호도 수집 시스템을 제공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kiosk terminal installed in a public place for use by a large number of unspecified people, the pressure that may be generated according to the user's touch input is buffered using an elastic support, and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at the location where the terminal is installed. Provides a cultural content preference collection system through big data collection implemented to buffer vibrations or vibrations or shocks generated and transmitted from a terminal using a buffer support.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수집을 통한 문화 컨텐츠 선호도 수집 시스템은, 모바일 단말기, 키오스크 단말기 및 PC 단말기 중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단말기로 이루어지며, 문화 컨텐츠 선호도 수집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거나, 문화 컨텐츠 선호도 수집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페이지 접속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자신이 선호하는 문화 컨텐츠를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 리스트 중에서 선택 받거나 또는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받아 선호도 정보를 생성하는 선호도 수집 단말기; 상기 선호도 수집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선호도 정보를 기초로 문화 컨텐츠에 대한 선호도 조사를 수행하며, 선호도 조사 수행에 따라 생성된 선호도 리스트를 문화 컨텐츠 제공업자에게 제공하는 선호도 수집 서버; 및 상기 선호도 수집 서버에서 생성되는 선호도 리스트를 기간, 지역, 성별 또는 나이 별로 누적하여 빅데이터를 구축하는 빅데이터부;를 포함한다.The culture content preference collection system through big data coll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t least one type of terminal among a mobile terminal, a kiosk terminal, and a PC terminal, and a dedicated application for providing a culture content preference collection service is installed. A preference collection terminal for generating preference information by receiving a selection from a content list provided by a user or directly from a user through access to a web page providing a culture content preference collection service; A preference collection server that performs a preference survey on cultural content based on preferenc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reference collection terminal, and provides a preference list generated according to the preference survey to a cultural content provider; And a big data unit for constructing big data by accumulating a preference list generated by the preference collection server by period, region, gender, or ag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선호도 수집 서버는, 상기 선호도 수집 단말기로 제공된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하는 컨텐츠 리스트 생성부; 상기 선호도 수집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선호도 정보를 기초로 문화 컨텐츠에 대한 선호도 조사를 수행하는 선호도 조사부; 상기 선호도 조사부에서 수행된 선호도 조사를 기초로 선호도 리스트를 생성하는 선호도 리스트 생성부; 및 상기 컨텐츠 리스트 생성부로부터 컨텐츠 리스트를 전달받아 상기 선호도 수집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선호도 수집 단말기로부터 선호도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선호도 조사부로 전달하고, 상기 선호도 리스트 생성부로부터 선호도 리스트를 전달받아 문화 컨텐츠 제공업자 또는 상기 빅데이터부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preference collection server includes: a content list generation unit that generates a content list provided to the preference collection terminal; A preference survey unit that performs a preference survey on cultural contents based on preferenc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reference collection terminal; A preference list generation unit that generates a preference list based on the preference survey performed by the preference survey unit; And receiving a content list from the content list generation unit and transmitting the content list to the preference collecting terminal, receiving preference information from the preference collecting terminal and transmitting it to the preference research unit, receiving a preference list from the preference list generation unit, and receiving cultural content It may include; an interface unit for transmitting to the provider or the big data unit.

일 실시예에서,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는,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상측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전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페널을 통해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바닥면에 형성되는 베이스홈에 안착되며, 상측에 상기 바디가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디스플레이의 후단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탄성 지지대; 및 상기 베이스홈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보조홈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홈에 안착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한 완충 지지대;를 포함한다.In an embodiment, the kiosk terminal includes: a body formed in a square pillar shape; A display connected and installed to be rotatable at an upper front end of the body and displaying information through a display panel installed at the front; A base plate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plate, seated in a base groove formed on a bottom surface, and having the body installed on an upper side; An elastic support for supporting the rear end of the display using an elastic force; And a buffering support installed in a plurality of auxiliary grooves formed in the base groove, respectively, for buffering vibrations or shocks transmitted from the base plate seated in the base groov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완충 지지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측을 지지하는 받침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받침대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외주면을 따라 나선 방향으로 제1 나사산을 형성하는 승하강 슬라이더; 상기 보조홈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가 안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의 안착홈을 형성하며,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가 회전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안착홈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제1 나사산이 맞물려 연결 설치되기 위한 제2 나사산이 나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 바디; 외주면을 따라 평 기어 형태의 제3 기어산을 형성하며,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가 상기 안착홈에서 기 설정된 깊이 이상 하강할 경우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와 함께 회전하면서 하강하는 지지 기어; 상기 지지 기어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안착홈의 하측에서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 기어를 지지하는 기어 지지 스프링; 상기 안착홈의 하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지지 기어의 상기 제3 기어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의 하강을 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기어의 회전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저지하는 수평 제동부; 및 상기 지지 바디에 설치되며, 상기 제2 나사산이 상하 방향으로 펼쳐짐에 따라 상기 제1 나사산과 밀착되어 상기 제1 나사산의 회전을 제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받침대가 하강함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해 둔 유체를 각각의 상기 제2 나사산으로 공급하는 수직 제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uffer support,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lower side of the base plate; An elevating slider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connected to be rotatable to the lower side of the pedestal and forming a first thread in a helical direction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t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uxiliary groove and forms a seating groov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elevating slider so that the elevating slider is seated and slid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elevating slider rotat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 support body in which a second thread for connection and installation is formed in a helical direction by engaging the first threa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ting groove so as to be moved in a helical direction; A third gear mountain in the form of a spur gear is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elevating slider, and when the elevating slider descends more than a preset depth in the seating groove, while rotating together with the elevating slider Lowering support gear; A gear support spring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gear and supporting the support gear by using an elastic force at the lower side of the seating groove; It is installed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bottom of the seating groove, is connected to the third gear mountain of the support gear, and is connected to the third gear mountain of the support gear, and the rotation of the support gear is prevented by using an elastic force so as to prevent the descending of the elevating slider. Brake unit; And installed on the support body, and as the second screw thread is spread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screw thread and is compres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the pedestal descends so as to brake the rotation of the first screw thread. It may include a; vertical braking unit for supplying the fluid stored in each of the second thread.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나사산은, 상측 및 하측을 따라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롤러가 설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screw thread may be provided with a roller to reduce frictional force along the upper and lower sides.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평 제동부는, 상기 안착홈의 하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3 기어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3 기어산이 회전함에 따라 좌우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수평 렉 기어; 및 상기 수평 렉 기어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렉 기어가 일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저지하는 수평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horizontal brake unit includes: a horizontal rack gear installed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a lower portion of the seating groove and connected to the third gear mountain to move in a horizontal direction left and right as the third gear mountain rotates; And a horizontal spring installed at one end of the horizontal rack gear to prevent movement of the rack gear in one direction using an elastic forc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기어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의 하측에 설치되는 플런저; 상기 플런저의 하부 외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하부 나사산; 및 상기 수평 제동부에 맞물릴 수 있도록 하부 외주면을 따라 평 기어 형태의 제3 기어산을 형성하며, 상기 기어 지지 스프링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기 플런저가 삽입되어 회전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부에 상기 플런저에 대응하는 형상의 회전홈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나사산이 맞물리기 위한 내부 나사산이 상기 회전홈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기어 본체;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upport gear, a plunger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elevating slider; A lower thread extending along a low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lunger; And a third gear mountain in the form of a spur gear formed along a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horizontal braking part, supported by the gear support spring, and the plunger inserted and rotated at the upper part so as to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gear body having a rotation groov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lunger, and an internal thread for engaging the lower thread extending alo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on groove.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어 본체는, 상기 플런저가 상기 회전홈의 바닥면까지 하강한 이후에 회전을 시작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gear body may start rotating after the plunger descends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otation groov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나사산은, 상기 안착홈의 내주면을 따라 다수 개의 기어 블록이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나선 방향으로 열을 지어 설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cond screw thread may be formed by a plurality of gear block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ting groove and installed in a spiral direc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어 블록은, 상측면이 평평한 직각 역삼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나사산의 하부를 형성하는 나사산 하부; 상기 나사산 하부의 상부 후단에 후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나사산의 상부를 형성하는 나사산 상부; 상기 나사산 하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설치홈에 안착되며, 상기 수직 제동부로부터 공급되는 유체에 의해 팽창되어 상기 나사산 상부를 상측 방향으로 승강시켜 주는 팽창 파우치; 및 상기 안착홈의 내주면에 설치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나사산 상부의 후단을 지지하는 후단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gear block includes a lower threaded thread forming a lower portion of a thread having a flat upper surface in a right-angled inverted triangle shape; A threaded upper end connected to the upper rear end of the lower threaded thread so that the rear end is rotatable to form an upper portion of the threaded thread; An expansion pouch seated in an installation groove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crew thread and expanded by a fluid supplied from the vertical braking unit to lift the upper portion of the thread upward and downward; And a rear end support that is install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unting groove and supports the rear end of the upper portion of the thread by using an elastic forc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 제동부는, 상기 지지 바디의 상측으로 상부가 노출되도록 직립되어 설치되며, 상기 받침대가 하강함에 따라 하측으로 눌려 하강하는 수직 바아; 상기 수직 바아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수직 바아가 하강함에 따라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하여 둔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탱크; 및 상기 유체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각각의 기어 블록으로 전달하는 공급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vertical braking unit is installed upright so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body is exposed, and the vertical bar is pressed downward as the pedestal descends to descend; A fluid tank installed below the vertical bar and compressed as the vertical bar descends to supply a fluid stored in an internal space; And a supply line for transferring the fluid supplied from the fluid tank to each gear block.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 지지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후단의 하측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대; 상기 바디의 상측에 안착되는 하부 지지대; 상부가 상기 상부 지지대의 하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제1 경사 프레임과, 상부가 상기 제1 경사 프레임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상기 지지대의 상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직립되어 연결 설치되는 제1 직립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제1 중간 지지대; 상부가 상기 상부 지지대의 하부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제2 경사 프레임과, 상부가 상기 제2 경사 프레임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상기 지지대의 상부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직립되어 연결 설치되는 제2 직립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제2 중간 지지대; 하부가 회동 가능한 "V"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중간 지지대와 상기 제2 중간 지지대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연결 설치되며, 상기 상부 지지대가 하강하여 상기 제1 중간 지지대와 상기 제2 중간 지지대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는 경우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V" 형 지지대; 상기 제1 경사 프레임의 하부와 상기 제2 경사 프레임의 하부를 수평 방향으로 각각 관통하고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V" 형 지지대의 상측을 지지하는 제1 수평 지지대; 상기 제1 직립 프레임과 상기 제2 직립 프레임을 수평 방향으로 각각 관통하고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V" 형 지지대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2 수평 지지대; 및 상기 제1 수평 지지대의 일측과 상기 제2 수평 지지대의 일측 사이, 및 상기 제1 수평 지지대의 다른 일측과 상기 제2 수평 지지대의 다른 일측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 수평 지지대와 상기 제2 수평 지지대 사이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잡아당겨 주는 간격 지지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elastic support, the upper support for supporting the lower side of the rear end of the display; A lower support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A first inclined frame having an upper part rotatably connected to a lower side of the upper support and installed so as to incline in the other direction, and a first inclined frame with an upper part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inclined frame, and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A first intermediate support made of a first upright frame that is upright and connected to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A second inclined frame having an upper part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lower part of the upper support and installed so as to be inclined in one direction, and a second inclined frame having an upper part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inclined frame, and a lower part of the support. A second intermediate support made of a second upright frame that is upright and connected to be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portion; The lower part is formed in a rotatable "V" shape, and at least one is connected and installed between the first intermediate support and the second intermediate support, and the upper support lowers so that between the first intermediate support and the second intermediate support "V" type support for supporting using an elastic force when the gap of the narrower; A first horizontal support that passes through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inclined frame and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inclined frame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is installed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support an upper side of the "V"-shaped support; A second horizontal support that penetrates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upright frames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is installed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support a lower side of the “V”-shaped support; And between one side of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and one side of the second horizontal support, and betwee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horizontal support, respectively, so that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and the second It may include; a gap support elastic body that pulls between the horizontal supports using an elastic force.

일 실시예에서, 상기 "V" 형 지지대는, 상부가 상기 제1 경사 프레임과 상기 제1 직립 프레임이 연결 설치되는 부위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부가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제1 지지바아; 하부가 상기 제1 지지바아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부가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다른 "V" 형 지지대의 제1 지지바아의 상부 또는 상기 제2 경사 프레임과 상기 제2 직립 프레임이 연결 설치되는 부위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지지바아; 상기 제1 지지바아와 상기 제2 지지바아가 연결 설치되는 회동 부위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2 수평 지지대의 상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하부 렉기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상기 하부 렉기어를 따라 이동하는 하부 연결 기어; 및 상기 제1 지지바아와 상기 제2 지지바아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지지바아와 상기 제2 지지바아 사이를 지지하는 중간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V" type support is installed so that the upper portion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portion where the first inclined frame and the first upright frame are connected and installed, and the lower portion is installed to be inclined in the other direction. 1 support bar; The lower part is connected and installed so as to be rotatable with the first support bar, and the upper part is installed so as to be inclined in the other direction so that the upper part of the first support bar or the second inclined frame and the second upright frame of another "V" type support A second support bar that is connected and installed so as to be rotatable to the connected portion; The first support bar and the second support bar are connected and installed so as to be rotatable at a rotational portion to which the second support bar is connected, and connected to and connected to the lower rack gear installed along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horizontal support bar to connect the lower rack gear. A lower connecting gear moving along; And an intermediate elastic body installed between the first support bar and the second support bar to support between the first support bar and the second support bar by using an elastic force.

일 실시예에서, 상기 "V" 형 지지대는, 다른 "V" 형 지지대와 연결 설치되는 경우에, 상기 제2 지지바아의 상부와 상기 다른 "V" 형 지지대의 제1 지지바아의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동 부위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수평 지지대의 하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상부 렉기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상기 상부 렉기어를 따라 이동하는 상부 연결 기어; 및 상기 제2 지지바아와 상기 다른 "V" 형 지지대의 제1 지지바아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지지바아와 상기 다른 "V" 형 지지대의 제1 지지바 사이를 지지하는 추가 중간 탄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V" type support is installed in connection with another "V" type support,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support bar and the upper part of the first support bar of the other "V" type support rotate An upper connection gear that is connected and installed so as to be rotatable to a rotational portion that is connected and installed so as to be possible, and is connected to and connected to an upper rack gear installed along a lower side of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to move along the upper rack gear; And it is installed between the second support bar and the first support bar of the other "V" type support, using an elastic force to support between the second support bar and the first support bar of the other "V" type support. The intermediate elastic body; may further include.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스마트폰, 키오스크 또는 개인용 PC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플랫폼에서 제작되는 문화 컨텐츠들의 선호도를 수집하여 빅데이터를 구축한 뒤 이를 필요로 하는 전시기획, 홍보, 디자인 등의 문화 컨텐츠 업체 등에 제공함으로써, 양질의 문화 컨텐츠의 생산을 장려하여 문화 컨텐츠 제작 플랫폼을 형성할 수 있고, 빅데이터 구축을 통해 생성된 양질의 문화 컨텐츠를 이를 공급하는 업체에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어 문화 컨텐츠 생산과 소비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fter collecting the preferences of cultural contents produced on various platforms using various terminals such as smartphones, kiosks, personal PCs, etc., after constructing big data, exhibition planning and promotion requiring them By providing it to cultural contents companies such as design, etc., it is possible to promote the production of high-quality cultural contents to form a cultural contents production platform, and to quickly supply high-quality cultural contents created through the construction of big data to companies that supply them. It can provide the effect of improving the efficiency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cultural contents.

또한, 불특정 다수인이 사용할 수 있도록 공개된 장소에 설치되는 키오스크 단말기의 경우 사용자로부터의 터치 입력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압력을 탄성 지지대를 이용하여 완충시키고, 단말기가 설치되는 장소에서 단말기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단말기로부터 발생되어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완충 지지대를 이용하여 완충시킴으로써, 사용자로부터의 반복적인 디스플레이 페널의 터치 입력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파손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kiosk terminal installed in a public place for use by a large number of unspecified people, the pressure that may be generated according to the user's touch input is buffered using an elastic support, and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at the location where the terminal is installed. By buffering vibrations or vibrations or shocks generated and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using a buffer support, damage that may occur due to repeated touch inputs of the display panel from the user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various effects may be included within a rang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the contents to be described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수집을 통한 문화 컨텐츠 선호도 수집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선호도 수집 서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1의 키오스크 단말기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은 도 3의 완충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지지 기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제2 나사산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기어 블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4의 탄성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10의 "V" 형 지지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collecting preferences for cultural contents through big data coll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eference collection server of FIG. 1.
3 to 5 are views showing the kiosk terminal of FIG. 1.
6 is a view showing the buffer support of FIG. 3.
7 is a view showing the support gear of FIG. 6.
8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second thread of FIG. 6.
9 is a view showing the gear block of FIG. 8.
10 is a view showing the elastic support of FIG. 4.
11 and 12 are views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V” type support of FIG. 10.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later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detail sufficient to enable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ertain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relation to one embodiment. In addi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loca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detailed description to be described below is not intended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properly described, is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all scopes equivalent to those claimed by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over several aspects.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수집을 통한 문화 컨텐츠 선호도 수집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collecting preferences for cultural contents through big data coll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수집을 통한 문화 컨텐츠 선호도 수집 시스템(1)은, 선호도 수집 단말기(10), 선호도 수집 서버(20) 및 빅데이터부(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system for collecting preferences for cultural contents through big data coll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includes a preference collection terminal 10, a preference collection server 20, and a big data unit 30. Include.

선호도 수집 단말기(10)는, 다수 개의 모바일 단말기(S1-1 내지 S-N), 키오스크 단말기(S2) 및 PC 단말기(S3) 중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단말기로 이루어지며, 문화 컨텐츠 선호도 수집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거나, 문화 컨텐츠 선호도 수집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페이지 접속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자신이 선호하는 문화 컨텐츠를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 리스트 중에서 선택 받거나 또는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받아 선호도 정보를 생성하며, 생성한 선호도 정보를 네트워크(N)를 통해 선호도 수집 서버(20)로 전송한다.The preference collection terminal 10 is composed of at least one type of terminal among a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S1-1 to SN), a kiosk terminal (S2), and a PC terminal (S3), and is dedicated for providing a cultural content preference collection service. By installing an application or accessing a web page that provides a service for collecting preferences for cultural contents, the user selects his or her preferred cultural contents from the contents list provided from the terminal or directly inputs from the user to generate preference information. The preferenc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preference collection server 20 through the network (N).

여기서, 네트워크(N)라 함은, 선호도 수집 단말기(10), 선호도 수집 서버(20) 및 빅데이터부(30) 간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예컨대 무선 통신, 유선 통신, 광 초음파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BAN(Body Area Network), 위성 통신, 셀룰러 통신, 블루투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standard), WiFi(Wireless Fidelity), 및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는 통신 경로에 포함될 수 있는 무선 통신의 예이며, 이더넷, DSL(Digital Subscriber Line), FTTH(Fiber to the Home), 및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는 통신망에 포함될 수 있는 유선 통신의 예이다. 또한, 통신망은 다수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및 거리를 횡단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망은 직접 연결,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또는 그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LoRaWAN, NB-Fi, RPMA을 포함하는 저전력광대역 네트워크(Low Power Wide Area Network)를 통해 이루어 질 수도 있다. 다만, 네트워크(N)은 통신망에 관한 설명은 상기한 통신망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임의의 최신 데이터 통신망이 적용될 수 있다.Here, the network (N) is a configuration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the preference collection terminal 10, the preference collection server 20, and the big data unit 30, for example, wireless communication, wired communication, optical ultrasound, or Combinations can be included. Body Area Network (BAN), satellite communication, cellular communication, Bluetooth,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Infrared Data Association standard (IrDA), Wireless Fidelity (WiMAX), and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are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path. Examples of possible wireless communication are Ethernet, Digital Subscriber Line (DSL), Fiber to the Home (FTTH), and Plain Old Telephone Service (POTS) are examples of wired communication that may be included in a communication network.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network can traverse multiple network topologies and distances.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network may include a direct connection, a personal area network (PAN), a local area network (LAN), a 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a wide area network (WAN), or any combination thereof. In addition, it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low power wide area network including LoRaWAN, NB-Fi, and RPMA. However, the description of the network 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communication network, and any latest data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applied.

선호도 수집 서버(20)는, 네트워크(N)를 통해 선호도 수집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되는 선호도 정보를 기초로 문화 컨텐츠에 대한 선호도 조사를 수행하며, 선호도 조사 수행에 따라 생성된 선호도 리스트를 문화 컨텐츠 제공업자에게 제공한다.The preference collection server 20 performs a preference survey on cultural contents based on preferenc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reference collection terminal 10 through the network (N), and uses a preference list generated according to the preference survey to be culture contents. Provide it to the provider.

빅데이터부(30)는, 선호도 수집 서버(20)에서 생성되는 선호도 리스트를 기간, 지역, 성별 또는 나이 별로 누적하여 빅데이터를 구축한다.The big data unit 30 builds big data by accumulating a preference list generated by the preference collection server 20 by period, region, gender, or age.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수집을 통한 문화 컨텐츠 선호도 수집 시스템(1)은, 스마트폰, 키오스크 또는 개인용 PC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플랫폼에서 제작되는 문화 컨텐츠들의 선호도를 수집하여 빅데이터를 구축한 뒤 이를 필요로 하는 전시기획, 홍보, 디자인 등의 문화 컨텐츠 업체 등에 제공함으로써, 양질의 문화 컨텐츠의 생산을 장려하여 문화 컨텐츠 제작 플랫폼을 형성할 수 있고, 빅데이터 구축을 통해 생성된 양질의 문화 컨텐츠를 이를 공급하는 업체에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어 문화 컨텐츠 생산과 소비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Culture content preference collection system 1 through big data coll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culture produced on various platforms using various terminals such as smartphones, kiosks, personal PCs, etc. By collecting the preferences of contents, constructing big data, and providing them to cultural contents companies such as exhibition planning, promotion, and design that require them, the production of high-quality cultural contents can be encouraged to form a cultural contents production platform. High-quality cultural contents created through big data construction can be quickly supplied to companies that supply them, thereb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cultural contents production and consumption.

도 2는 도 1의 선호도 수집 서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eference collection server of FIG. 1.

도 2를 참조하면, 선호도 수집 서버(20)는, 컨텐츠 리스트 생성부(21), 선호도 조사부(22), 선호도 리스트 생성부(23) 및 인터페이스부(24)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preference collection server 20 includes a content list generation unit 21, a preference research unit 22, a preference list generation unit 23, and an interface unit 24.

컨텐츠 리스트 생성부(21)는, 선호도 수집 단말기(10)로 제공된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한다.The content list generation unit 21 generates a content list provided to the preference collection terminal 10.

선호도 조사부(22)는, 선호도 수집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되는 선호도 정보를 기초로 문화 컨텐츠에 대한 선호도 조사를 수행한다.The preference survey unit 22 performs a preference survey on cultural contents based on preferenc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reference collection terminal 10.

선호도 리스트 생성부(23)는, 선호도 조사부(22)에서 수행된 선호도 조사를 기초로 선호도 리스트를 생성한다.The preference list generation unit 23 generates a preference list based on the preference survey performed by the preference survey unit 22.

인터페이스부(24)는, 컨텐츠 리스트 생성부(21)로부터 컨텐츠 리스트를 전달받아 선호도 수집 단말기(10)로 전송하고, 선호도 수집 단말기(10)로부터 선호도 정보를 수신받아 선호도 조사부(22)로 전달하고, 선호도 리스트 생성부(23)로부터 선호도 리스트를 전달받아 문화 컨텐츠 제공업자 또는 빅데이터부(30)로 전송한다.The interface unit 24 receives the content list from the content list generation unit 21 and transmits it to the preference collection terminal 10, receives preference information from the preference collection terminal 10, and transmits it to the preference research unit 22. , The preference list is received from the preference list generator 23 and transmitted to the cultural content provider or the big data unit 30.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빅데이터 수집을 통한 문화 컨텐츠 선호도 수집 시스템(1)은, 운영체제(Operation System; OS), 즉 시스템을 기반으로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거나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운영체제는 소프트웨어가 장치의 하드웨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스템 프로그램으로서, 안드로이드 OS, iOS, 윈도우 모바일 OS, 바다 OS, 심비안 OS, 블랙베리 OS 등 모바일 컴퓨터 운영체제 및 윈도우 계열, 리눅스 계열, 유닉스 계열, MAC, AIX, HP-UX 등 컴퓨터 운영체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The cultural content preference collection system 1 through the collection of big data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may execute or produce various software based on an operating system (OS), that is, a system. The operating system is a system program for allowing software to use the hardware of the device, and mobile computer operating systems such as Android OS, iOS, Windows Mobile OS, Bada OS, Symbian OS, Blackberry OS, Windows series, Linux series, Unix series, It can include all computer operating systems such as MAC, AIX, and HP-UX.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 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특허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The term'~ unit' used in the above embodiments refers to software or hardware components such 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or ASIC, and the'~ unit' performs certain roles. However,'~ part' is not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The'~ unit' may be configured to be i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or may be configured to reproduce one or more processors. Therefore, as an example,'~ unit' refers to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processes, functions, properties, and procedures. ,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patent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ry, data, database,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The components and functions provided in the'~ units' may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elements and'~ units' or separated from the additional elements and'~ units'.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 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components and'~ units' may be implemented to play one or more CPUs in a device or a security multimedia card.

도 3 내지 도 5는 도 1의 키오스크 단말기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3 to 5 are views showing the kiosk terminal of FIG. 1.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키오스크 단말기(S2)는, 바디(100), 디스플레이(200), 베이스 플레이트(300), 탄성 지지대(500) 및 완충 지지대(400)를 포함한다.3 to 5, the kiosk terminal S2 includes a body 100, a display 200, a base plate 300, an elastic support 500, and a buffer support 400.

바디(100)는,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베이스 플레이트(300)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부 전단 양측에 설치되는 체결 돌기(110)에 디스플레이(200)하 하부 양측에 형성되는 체결홈(230)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The body 100 is formed in the form of a square pillar and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plate 300, and the fastening grooves 230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side under the display 200 in the fastening protrusions 110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front end It is connected and installed so that it can be rotated.

디스플레이(200)는, 바디(100)의 상측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전면에 설치되는 터치 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페널(210)을 통해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통하여 자신이 선호하는 문화 컨텐츠를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 리스트 중에서 선택받거나 또는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받는다.The display 200 is connected and installed so as to be rotatable at the upper front end of the body 100, and displays information through a display panel 210 capable of a touch input installed on the front side, and the user prefers it through a touch input. The desired cultural content is selected from the content list provided from the terminal or directly input from the user.

하며, 후단에 설치되는 역삼각형 형태의 지지대(221)의 하측에 설치되는 탄성 지지대(500)에 의하여 지지된다.And, it is supported by an elastic support 500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inverted triangle-shaped support 221 installed at the rear end.

베이스 플레이트(300)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바닥면에 형성되는 베이스홈(600)에 안착되어 완충 지지대(400)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측에 바디(100)가 설치된다.The base plate 30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plate and is seated in the base groove 600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and supported by the buffer support 400, and the body 100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탄성 지지대(500)는, 디스플레이(200)의 후단(220)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한다.The elastic support 500 supports the rear end 220 of the display 200 using an elastic force.

완충 지지대(400)는, 베이스홈(600)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보조홈(700)에 각각 설치되며, 베이스홈(600)에 안착된 베이스 플레이트(30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킨다.The buffer support 400 is installed in a plurality of auxiliary grooves 700 formed in the base groove 600, respectively, and buffers vibration or shock transmitted from the base plate 300 seated in the base groove 600.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키오스크 단말기(S2)는, 불특정 다수인이 사용할 수 있도록 공개된 장소에 설치되는 장치로서, 사용자로부터의 터치 입력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압력을 탄성 지지대(500)를 이용하여 완충시키고, 단말기가 설치되는 장소에서 단말기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단말기로부터 발생되어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완충 지지대(400)를 이용하여 완충시킴으로써, 사용자로부터의 반복적인 디스플레이 페널(210)의 터치 입력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파손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The kiosk terminal (S2)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s a device installed in a public place for use by a large number of unspecified persons, and uses an elastic support 500 to apply pressure that may be generated according to a touch input from a user. And buffers the vibration transmitted to the terminal at the place where the terminal is installed, or the vibration or shock generated from the terminal by using the buffer support 400, thereby repetitively touching the display panel 210 from the user. Damage that may occur according to input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도 6은 도 3의 완충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the buffer support of FIG. 3.

도 6을 참조하면, 완충 지지대(400)는, 받침대(410), 승하강 슬라이더(420), 지지 바디(430), 지지 기어(440), 기어 지지 스프링(450), 수평 제동부(460) 및 수직 제동부(47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6, the buffer support 400 includes a pedestal 410, an elevating slider 420, a support body 430, a support gear 440, a gear support spring 450, and a horizontal brake unit 460. And a vertical braking unit 470.

받침대(410)는, 베이스 플레이트(300)의 하측을 지지하며, 하측에 승하강 슬라이더(420)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The pedestal 410 supports the lower side of the base plate 300 and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so that the elevating slider 420 is rotatable.

일 실시예에서, 받침대(410)는, 원판 또는 사각 평판으로 형성되는 지지 플레이트(411), 지지 플레이트(411)의 하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연장 바아(412) 및 승하강 슬라이더(420)의 상측에 형성되는 회전홈(421)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장 바아(412)의 하측에 설치되는 회전 바아(413)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edestal 410 is a support plate 411 formed of a circular plate or a square plate, an extension bar 412 extending from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plate 411, and an upper side of the elevating slider 420 It may include a rotation bar 413 installed under the extension bar 412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formed rotation groove 421.

승하강 슬라이더(420)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받침대(410)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외주면을 따라 나선 방향으로 제1 나사산(S1)을 형성하여 지지 바디(430)의 안착홈(431)에 안착되며, 베이스 플레이트를 통해 전달되는 압력에 의해 받침대(410)가 하강함에 따라 회전하면서 안착홈(431)에서 하강한다.The elevating slider 42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is connected to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pedestal 410, and forms a first thread (S1) in a spiral direction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form a seating groove of the support body 430 It is seated in 431, and descends from the seating groove 431 while rotating as the pedestal 410 descends by the pressure transmitted through the base plate.

일 실시예에서, 제1 나사산(S1)은, 상측 및 하측을 따라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롤러(R)가 설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thread (S1), the roller (R) may be installed to reduce the frictional force along the upper and lower sides.

지지 바디(430)는, 보조홈(700)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승하강 슬라이더(420)가 안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승하강 슬라이더(420)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의 안착홈(431)이 상부에 형성하며, 승하강 슬라이더(420)가 회전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안착홈(431)의 내주면을 따라 제1 나사산(S1)이 맞물려 연결 설치되기 위한 제2 나사산(S2)이 나선 방향으로 형성된다.The support body 430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uxiliary groove 700 and has a seating groov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elevating slider 420 so that the elevating slider 420 is seated and slides in the vertical direction. (431) is formed on the top, and the first thread (S1) is engag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unting groove 431 so that the elevating slider 420 can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rotating S2) is formed in a spiral direction.

지지 기어(440)는, 외주면을 따라 평 기어 형태의 제3 기어산(S3)을 형성하며, 승하강 슬라이더(420)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며, 승하강 슬라이더(420)가 안착홈(431)에서 기 설정된 깊이 이상(즉, 플런저(441)가 회전홈(4431)의 바닥면까지 하강하기까지의 깊이에 대응하는 거리) 하강할 경우 승하강 슬라이더(420)와 함께 회전하면서 하강하며, 기어 지지 스프링(450)에 의하여 지지된다.The support gear 440 forms a third gear mountain (S3) in the form of a spur gear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elevating slider 420, and the elevating slider 420 is a seating groove 431 When the plunger 441 descends over a preset depth (that is, the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depth until the plunger 441 descends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otation groove 441), it descends while rotating with the elevating slider 420, and the gear is supported. It is supported by the spring 450.

기어 지지 스프링(450)은, 지지 기어(440)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어 안착홈(431)의 하측에서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 기어(440)를 지지한다.The gear support spring 450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gear 440 and supports the support gear 440 using an elastic force at the lower side of the seating groove 431.

일 실시예에서, 기어 지지 스프링(450)은, 지지 기어(440)가 회전 가능하도록 안착되는 회전 안착대(452) 및 회전 안착대(452)의 하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회전 안착대(452)를 지지하는 지지 스프링(451)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t least one gear support spring 450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rotary seat 452 and the rotary seat 452 on which the support gear 440 is rotatably seated, and rotates using an elastic force. It may include a support spring 451 for supporting the mounting table 452.

수평 제동부(460)는, 안착홈(431)의 하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지지 기어(440)의 제3 기어산(S3)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승하강 슬라이더(420)의 하강을 저지할 수 있도록 지지 기어(440)의 회전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저지한다.The horizontal braking part 460 is installed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bottom of the seating groove 431 and connected to the third gear mountain S3 of the support gear 440 and prevents the descending of the elevating slider 420 The rotation of the support gear 440 is prevented by using an elastic force so that it can be performed.

일 실시예에서, 수평 제동부(460)는, 수평 렉 기어(461) 및 수평 스프링(462)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horizontal brake unit 460 may include a horizontal rack gear 461 and a horizontal spring 462.

수평 렉 기어(461)는, 안착홈(431)의 하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제3 기어산(S3)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제3 기어산(S3)이 회전함에 따라 좌우 수평 방향으로 이동한다.The horizontal rack gear 461 is installed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bottom of the seating groove 431 and is engaged with the third gear mountain S3 to be connected and installed to move in the left and right horizontal direction as the third gear mountain S3 rotates. .

수평 스프링(462)은, 수평 렉 기어(461)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어 렉 기어가 일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저지한다.The horizontal spring 462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horizontal rack gear 461 to prevent the rack gear from moving in one direction using an elastic force.

수직 제동부(470)는, 지지 바디(430)에 설치되며, 제2 나사산(S2)이 상하 방향으로 펼쳐짐에 따라 제1 나사산(S1)과 밀착되어 제1 나사산(S1)의 회전을 제동시킬 수 있도록 받침대(410)가 하강함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해 둔 유체를 각각의 제2 나사산(S2)으로 공급한다.The vertical braking part 470 is installed on the support body 430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thread S1 as the second thread S2 is sprea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brake the rotation of the first thread S1. As the pedestal 410 descends, the fluid stored in the internal space is compres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be supplied to each of the second threads S2.

일 실시예에서, 수직 제동부(470)는, 수직 바아(471), 유체 탱크(472) 및 공급 라인(473)을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vertical brake 470 includes a vertical bar 471, a fluid tank 472 and a supply line 473.

수직 바아(471)는, 지지 바디(430)의 상측으로 상부가 노출되도록 직립되어 설치되며, 받침대(410)가 하강함에 따라 하측으로 눌려 하강하여 유체 탱크(472)를 압축시켜 준다.The vertical bar 471 is installed upright so that the upper portion thereof is exposed to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body 430, and is pressed downward as the pedestal 410 descends to compress the fluid tank 472.

유체 탱크(472)는, 수직 바아(471)의 하측에 설치되며, 수직 바아(471)가 하강함에 따라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하여 둔 유체를 공급 라인(473)를 통해 제2 나사산(S2)을 구성하는 각각의 기어 블록(480)으로 전달한다.The fluid tank 472 is installed under the vertical bar 471, and is compressed as the vertical bar 471 descends to receive the fluid stored in the internal space through a supply line 473 with a second thread (S2). It transmits to each gear block 480 constituting the.

공급 라인(473)은, 유체 탱크(472)로부터 각각의 기어 블록(480)으로 개별적인 공급 파이프들로 이루어지며, 유체 탱크(472)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각각의 기어 블록(480)으로 전달한다.The supply line 473 is composed of individual supply pipes from the fluid tank 472 to each gear block 480, and delivers the fluid supplied from the fluid tank 472 to each gear block 480.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완충 지지대(400)는, 바디(100)가 안착된 베이스 플레이트(300)의 각 하측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여 사용자들의 터치 입력 또는 기타 외압으로 인해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완충시킴으로써, 키오스크 단말기(S2)의 파손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The shock absorbing support 400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supports each lower side of the base plate 300 on which the body 100 is seated using an elastic force to provide vibration or shock caused by a user's touch input or other external pressure. By buffering the back, damage to the kiosk terminal S2 can be efficiently prevented.

도 7은 도 6의 지지 기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the support gear of FIG. 6.

도 7을 참조하면, 지지 기어(440)는, 플런저(441), 하부 나사산(442) 및 기어 본체(443)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7, the support gear 440 includes a plunger 441, a lower thread 442, and a gear body 443.

플런저(441)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승하강 슬라이더(420)의 하측에 설치되며, 회전홈(4431)에사 회전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The plunger 441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installed under the elevating slider 420, and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rotating in the rotation groove 441.

하부 나사산(442)은, 플런저(441)가 회전홈(4431)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플런저(441)의 하부 외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내부 나사산(4432)에 맞물려 연결 설치된다.The lower thread 442 is formed to extend along the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lunger 441 so that the plunger 441 can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rotating along the rotation groove 441, and is engaged with the internal thread 4432 to be connected and installed. .

기어 본체(443)는, 수평 제동부(460)에 맞물릴 수 있도록 하부 외주면을 따라 평 기어 형태의 제3 기어산(S3)을 형성하며, 기어 지지 스프링(450)에 의하여 지지되며, 플런저(441)가 삽입되어 회전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부에 플런저(441)에 대응하는 형상의 회전홈(4431)이 형성되며, 하부 나사산(442)이 맞물리기 위한 내부 나사산(4432)이 회전홈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The gear body 443 forms a spur gear-shaped third gear mountain S3 along the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horizontal braking part 460, is supported by a gear support spring 450, and is supported by a plunger ( A rotation groove 441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lunger 441 is formed at the top so that the 441 is inserted and rotated so that it can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n internal thread 4432 for engaging the lower thread 442 is a rotation groove It is formed extending along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일 실시예에서, 기어 본체(443)는, 플런저(441)가 회전홈(4431)의 바닥면까지 하강한 이후에 회전을 시작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gear body 443 may start rotating after the plunger 441 descends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otation groove 441.

즉, 플런저(441)는 처음 안착시에는 회전홈(4431)의 상측에 일부만이 삽입되어 안착되어 플런저(441)가 회전하는 경우에도 기어 본체(443)는 회전하지 못하며, 플런저(441)이 회전하면서 회전홈(4431)의 바닥면에 안착되어서야 회전력에 의해 기어 본체(443)를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plunger 441 is first seated, only a part of the plunger 441 is inserted and se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rotation groove 441, so that even when the plunger 441 rotates, the gear body 443 cannot rotate, and the plunger 441 rotates. The gear body 443 is rotated by the rotational force only when it is se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otation groove 441.

도 8은 도 6의 제2 나사산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second thread of FIG. 6.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나사산(S2)은, 안착홈(431)의 내주면을 따라 다수 개의 기어 블록(480a, 48b)이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나선 방향으로 열을 지어 설치되어 형성된다.Referring to Figure 8, the second thread (S2)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plurality of gear blocks (480a, 48b)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ting groove 431 to form a row in a spiral direction. It is installed and formed.

도 8의 경우에는 두 개의 기어 블록(480a, 48b)만을 도시하였으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나사산(S2)은, 안착홈(431)의 내주면을 따라서 다수 개가 열을 지어 설치됨에 따라 제1 나사산(S1)이 맞물려 연결 설치되기 위한 나사산을 형성할 수 있다.In the case of FIG. 8, only two gear blocks 480a and 48b are shown, but the second thread S2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installed in a row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ting groove 431. The thread (S1) may be engaged to form a thread for connection installation.

도 9는 도 8의 기어 블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9 is a view showing the gear block of FIG. 8.

도 9를 참조하면, 기어 블록(480)은, 나사산 하부(481), 나사산 상부(482), 팽창 파우치(483) 및 후단 지지대(484)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9, the gear block 480 includes a lower threaded thread 481, an upper threaded thread 482, an expansion pouch 483, and a rear end support 484.

나사산 하부(481)는, 상측면이 평평한 직각 역삼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기어 블록(480)에 의한 나사산의 하부를 형성한다.The lower thread 481 forms the lower part of the thread by the gear block 480 formed in a right-angled inverted triangle shape with a flat upper side.

나사산 상부(482)는, 나사산 하부(481)의 상부 후단에 후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기어 블록(480)에 의한 나사산의 상부를 형성하며, 하측에 설치되는 팽창 파우치(483)가 팽창함에 따라 승강되어 제1 나사산(S1)과 밀착되어 승하강 슬라이더(420)의 회전을 제동시킨다.The upper thread 482 is connected to the upper and rear end of the lower thread 481 so that the rear end can be rotated to form the upper end of the thread by the gear block 480, and the expansion pouch 483 installed at the lower side expands. Accordingly, it is raised and lowered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thread S1 to brake the rotation of the elevating slider 420.

팽창 파우치(483)는, 나사산 하부(481)의 상부에 형성되는 설치홈(4811)에 안착되며, 수직 제동부(470)로부터 공급되는 유체에 의해 팽창되어 나사산 상부(482)를 상측 방향으로 승강시켜 준다.The expansion pouch 483 is seated in an installation groove 4811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thread 481, and is expanded by the fluid supplied from the vertical braking unit 470 to lift the upper thread 482 upward Let me do it.

후단 지지대(484)는, 안착홈(431)의 내주면에 설치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나사산 상부(482)의 후단을 지지한다.The rear end support 484 is install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ting groove 431, and supports the rear end of the upper thread 482 using an elastic force.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기어 블록(480)은, 베이스 플레이트(300)에 기 설정된 압력 이상이 전달되어 수직 제동부(470)가 압축됨에 따라 나사산 상부(482)를 승강시켜 제1 나사산(S1)과 밀착되어 승하강 슬라이더(420)의 회전을 제동시켜 베이스 플레이트(300)가 더 이상 하강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키오스크 단말기(S2)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완충함은 물론, 단말기가 파손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The gear block 480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thread (S1) by raising and lowering the upper thread 482 as the vertical braking unit 470 is compressed by transmitting more than a preset pressure to the base plate 300 ) In close contact with the base plate 300 by braking the rotation of the elevating slider 420 to prevent further descending, thereby buffering vibration or shock transmitted to the kiosk terminal S2, as well as damaging the terminal.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도 10은 도 4의 탄성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10 is a view showing the elastic support of FIG. 4.

도 10을 참조하면, 탄성 지지대(500)는, 상부 지지대(510), 하부 지지대(520), 제1 중간 지지대(530), 제2 중간 지지대(540), "V" 형 지지대(550), 제1 수평 지지대(560), 제2 수평 지지대(570) 및 간격 지지 탄성체(58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 10, the elastic support 500, the upper support 510, the lower support 520, the first intermediate support 530, the second intermediate support 540, "V" type support 550, It includes a first horizontal support 560, a second horizontal support 570, and a space support elastic body 580.

상부 지지대(510)는, 디스플레이(200)의 후단(220)의 하측을 지지하며, 하측에 설치되는 제1 중간 지지대(530) 및 제2 중간 지지대(540)에 의하여 지지되어 디스플레이(20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제1 중간 지지대(530) 및 제2 중간 지지대(540)로 전달한다.The upper support 510 supports the lower side of the rear end 220 of the display 200, and is supported by the first intermediate support 530 and the second intermediate support 540 installed at the lower side of the display 200. The transmitted vibration or shock is transmitted to the first intermediate support 530 and the second intermediate support 540.

하부 지지대(520)는, 바디(100)의 상측에 안착되며, 제1 중간 지지대(530) 및 제2 중간 지지대(540)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The lower support 520 is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100 and is connected and installed so that the lower sides of the first intermediate support 530 and the second intermediate support 540 are rotatable.

제1 중간 지지대(530)는, 상부가 상부 지지대(510)의 하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제1 경사 프레임(531)과, 상부가 제1 경사 프레임(531)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지지대의 상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직립되어 연결 설치되는 제1 직립 프레임(532)으로 이루어진다.The first intermediate support 530 includes a first inclined frame 531 with an upper part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one side of the upper support 510 and installed to incline in the other direction, and a first inclined frame ( It consists of a first upright frame 532 which is connected and installed to be rotatable on the lower side of 531, and the lower part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제2 중간 지지대(540)는, 상부가 상부 지지대(510)의 하부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제2 경사 프레임(541)과, 상부가 제2 경사 프레임(541)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지지대의 상부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직립되어 연결 설치되는 제2 직립 프레임(542)으로 이루어진다.The second intermediate support 540 includes a second inclined frame 541 with an upper portion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other side of the upper support 510 and installed to incline in one direction, and a second inclined frame ( It consists of a second upright frame 542 that is connected and installed to be rotatable at the lower side of the 541, and the lower part is upright and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V" 형 지지대(550)는, 하부가 회동 가능한 "V" 형태로 형성되며, 제1 중간 지지대(530)와 제2 중간 지지대(540)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연결 설치되며, 상부 지지대(510)가 하강하여 제1 중간 지지대(530)와 제2 중간 지지대(54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는 경우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한다.The "V" type support 550 is formed in a "V" shape with a pivotable lower part, at least on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intermediate support 530 and the second intermediate support 540 is installed, and the upper support 510 ) Is lowered and the gap between the first intermediate support 530 and the second intermediate support 540 is narrowed, and is supported using an elastic force.

즉, 상부 지지대(510)가 디스플레이(20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하강하는 경우 제1 중간 지지대(530)와 제2 중간 지지대(540)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게 되며, 해당 간격을 지지하고 있는 "V" 형 지지대(550)가 디스플레이(20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진동이나 충격 등을 감소시키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upper support 510 descends due to vibration or shock transmitted from the display 200, the gap between the first intermediate support 530 and the second intermediate support 540 decreases, and supports the space. The “V”-shaped support 550 that is there is to absorb vibration or shock transmitted from the display 200 to reduce vibration or shock.

제1 수평 지지대(560)는, 제1 경사 프레임(531)의 하부와 제2 경사 프레임(541)의 하부를 수평 방향으로 각각 관통하고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V" 형 지지대(550)의 상측을 지지한다.The first horizontal support 560 passes through each of the lower portions of the first inclined frame 531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inclined frame 541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is installed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the upper side of the "V"-type supporter 550 Support.

제2 수평 지지대(570)는, 제1 직립 프레임(532)과 제2 직립 프레임(542)을 수평 방향으로 각각 관통하고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V" 형 지지대(550)의 하측을 지지한다.The second horizontal support 570 passes through the first upright frame 532 and the second upright frame 542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is installed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support the lower side of the “V”-shaped support 550.

간격 지지 탄성체(580)는, 제1 수평 지지대(560)의 일측과 제2 수평 지지대(570)의 일측 사이, 및 제1 수평 지지대(560)의 다른 일측과 제2 수평 지지대(570)의 다른 일측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제1 수평 지지대(560)와 제2 수평 지지대(570) 사이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잡아당겨 준다.The gap support elastic body 580 is between one side of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560 and one side of the second horizontal support 570, an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560 and the other of the second horizontal support 570 Each is installed between one side and pulls between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560 and the second horizontal support 570 using an elastic force.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탄성 지지대(500)는, 반복적인 디스플레이 페널(210)의 터치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200)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완충시킴으로써,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키오스크 단말기(S2)의 유지에 발생되는 수리 비용 등을 감소시켜 관리자의 보수 유지에 필요로 하는 경비를 줄이도록 할 수 있다.The elastic support 50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mproves the durability of the device by buffering vibrations or shocks transmitted to the display 200 according to the repeated touch input of the display panel 210.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required for maintenance by the manager by reducing the repair cost incurred in the maintenance of S2).

도 11 및 도 12는 도 10의 "V" 형 지지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11 and 12 are views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V” type support of FIG. 10.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V" 형 지지대(550)는, 제1 지지바아(551), 제2 지지바아(552), 하부 연결 기어(553) 및 중간 탄성체(554)를 포함한다.11 and 12, the "V"-shaped support 5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first support bar 551, a second support bar 552, a lower connection gear 553, and an intermediate elastic body ( 554).

제1 지지바아(551)는, 상부가 제1 경사 프레임(531)과 제1 직립 프레임(532)이 연결 설치되는 부위(V1)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부가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제2 지지바아(552)의 하부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The first support bar 551 is connected and installed so that the upper part is rotatable to the part V1 where the first inclined frame 531 and the first upright frame 532 are connected and installed, and the lower part is inclined in the other direction. It is installed and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bar 552 so as to be rotatable.

제2 지지바아(552)는, 하부가 제1 지지바아(551)의 하부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부가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다른 "V" 형 지지대(550a)의 제1 지지바아(551a)의 상부 또는 제2 경사 프레임(541)과 제2 직립 프레임(542)이 연결 설치되는 부위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The second support bar 552 is connected and installed so that the lower part is rotatable with the lower part of the first support bar 551, and the upper part is installed so as to be inclined in the other direction, so that the first of the other "V"-type support bars 550a It is connected so as to be rotatable on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bar 551a or at a portion where the second inclined frame 541 and the second upright frame 542 are connected and installed.

하부 연결 기어(553)는, 제1 지지바아(551)와 제2 지지바아(552)가 연결 설치되는 회동 부위(V2)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2 수평 지지대(570)의 상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하부 렉기어(521)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하부 렉기어(521)를 따라 이동한다.The lower connection gear 553 is connected and installed so as to be rotatable to a rotational portion V2 where the first support bar 551 and the second support bar 552 are connected and installed, and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horizontal support 570 It is connected to the lower rack gear 521 installed along the line and is installed to move along the lower rack gear 521.

중간 탄성체(554)는, 제1 지지바아(551)와 제2 지지바아(552)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1 지지바아(551)와 제2 지지바아(552) 사이를 지지한다.The intermediate elastic body 554 i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support bar 551 and the second support bar 552 and supports between the first support bar 551 and the second support bar 552 using an elastic force.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V" 형 지지대(550)는, 상부 연결 기어(555) 및 추가 중간 탄성체(5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shaped support 5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may further include an upper connection gear 555 and an additional intermediate elastic body 556.

상부 연결 기어(555)는, 제2 지지바아(552)의 상부와 다른 "V" 형 지지대(550a)의 제1 지지바아(551a)의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동 부위(V3)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1 수평 지지대(560)의 하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상부 렉기어(561)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상부 렉기어를(561) 따라 이동한다.The upper connection gear 555 is connected to a rotating portion V3 that is connected and installed so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bar 552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bar 551a of the “V”-shaped support table 550a are rotatable. It is connected and installed so as to be rotatable, and is connected to and connected to the upper rack gear 561 installed along the lower side of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560 to move along the upper rack gear 561.

추가 중간 탄성체(556)는, 제2 지지바아(552)와 다른 "V" 형 지지대(550a)의 제1 지지바아(551a)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2 지지바아(552)와 다른 "V" 형 지지대(550)의 제1 지지바 사이를 지지한다.The additional intermediate elastic body 556 is installed between the second support bar 552 and the first support bar 551a of the other “V” support bar 550a, and is different from the second support bar 552 by using an elastic force. It supports between the first support bar of the "V"-shaped support (550).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for illustration onl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elong can easily transform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You can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non-limiting in all respects.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to be protected through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should be interpreted as including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 concept of equivalents thereof. .

1: 빅데이터 수집을 통한 문화 컨텐츠 선호도 수집 시스템
10: 선호도 수집 단말기
20: 선호도 수집 서버
30: 빅데이터부
1: Cultural content preference collection system through big data collection
10: preference collection terminal
20: affinity collection server
30: Big Data Department

Claims (9)

모바일 단말기, 키오스크 단말기 및 PC 단말기 중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단말기로 이루어지며, 문화 컨텐츠 선호도 수집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거나, 문화 컨텐츠 선호도 수집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페이지 접속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자신이 선호하는 문화 컨텐츠를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 리스트 중에서 선택 받거나 또는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받아 선호도 정보를 생성하는 선호도 수집 단말기;
상기 선호도 수집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선호도 정보를 기초로 문화 컨텐츠에 대한 선호도 조사를 수행하며, 선호도 조사 수행에 따라 생성된 선호도 리스트를 문화 컨텐츠 제공업자에게 제공하는 선호도 수집 서버; 및
상기 선호도 수집 서버에서 생성되는 선호도 리스트를 기간, 지역, 성별 또는 나이 별로 누적하여 빅데이터를 구축하는 빅데이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는,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상측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전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페널을 통해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바닥면에 형성되는 베이스홈에 안착되며, 상측에 상기 바디가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디스플레이의 후단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탄성 지지대; 및
상기 베이스홈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보조홈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홈에 안착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한 완충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 지지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측을 지지하는 받침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받침대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외주면을 따라 나선 방향으로 제1 나사산을 형성하는 승하강 슬라이더;
상기 보조홈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가 안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의 안착홈을 형성하며,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가 회전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안착홈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제1 나사산이 맞물려 연결 설치되기 위한 제2 나사산이 나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 바디;
외주면을 따라 평 기어 형태의 제3 기어산을 형성하며,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가 상기 안착홈에서 기 설정된 깊이 이상 하강할 경우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와 함께 회전하면서 하강하는 지지 기어;
상기 지지 기어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안착홈의 하측에서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 기어를 지지하는 기어 지지 스프링;
상기 안착홈의 하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지지 기어의 상기 제3 기어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의 하강을 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기어의 회전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저지하는 수평 제동부; 및
상기 지지 바디에 설치되며, 상기 제2 나사산이 상하 방향으로 펼쳐짐에 따라 상기 제1 나사산과 밀착되어 상기 제1 나사산의 회전을 제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받침대가 하강함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해 둔 유체를 각각의 상기 제2 나사산으로 공급하는 수직 제동부;를 포함하는, 빅데이터 수집을 통한 문화 컨텐츠 선호도 수집 시스템.
It consists of at least one type of terminal among mobile terminals, kiosk terminals, and PC terminals, and the user prefers them through a dedicated application to provide a cultural content preference collection service or access to a web page that provides a cultural content preference collection service. A preference collection terminal for generating preference information by receiving selected cultural contents from a list of contents provided from the terminal or directly input from a user;
A preference collection server that performs a preference survey on cultural content based on preferenc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reference collection terminal, and provides a preference list generated according to the preference survey to a cultural content provider; And
Including; a big data unit for constructing big data by accumulating a preference list generated by the preference collection server by period, region, gender or age; and
The kiosk terminal,
A body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pillar;
A display connected and installed to be rotatable at an upper front end of the body and displaying information through a display panel installed at the front;
A base plate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plate, seated in a base groove formed on a bottom surface, and having the body installed on an upper side;
An elastic support for supporting the rear end of the display using an elastic force; And
Including; is install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auxiliary grooves formed in the base groove, a buffer support for buffering the vibration or shock transmitted from the base plate seated in the base groove,
The buffer support,
A pedestal supporting the lower side of the base plate;
An elevating slider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connected to be rotatable to the lower side of the pedestal and forming a first thread in a helical direction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t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uxiliary groove and forms a seating groov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elevating slider so that the elevating slider is seated and slid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elevating slider rotat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 support body in which a second thread for connection and installation is formed in a helical direction by engaging the first threa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ting groove so as to be moved in a helical direction;
A third gear mountain in the form of a spur gear is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elevating slider, and when the elevating slider descends more than a preset depth in the seating groove, while rotating together with the elevating slider Lowering support gear;
A gear support spring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gear and supporting the support gear by using an elastic force at the lower side of the seating groove;
It is installed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bottom of the seating groove, is connected to the third gear mountain of the support gear, and is connected to the third gear mountain of the support gear, and the rotation of the support gear is prevented by using an elastic force so as to prevent the descending of the elevating slider. Brake unit; And
It is installed on the support body, and as the second screw thread is spread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screw thread and is compres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the pedestal descends so as to brake the rotation of the first thread. A system for collecting preferences for cultural contents through big data collection, including; vertical braking unit for supplying the stored fluid to each of the second thread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도 수집 서버는,
상기 선호도 수집 단말기로 제공된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하는 컨텐츠 리스트 생성부;
상기 선호도 수집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선호도 정보를 기초로 문화 컨텐츠에 대한 선호도 조사를 수행하는 선호도 조사부;
상기 선호도 조사부에서 수행된 선호도 조사를 기초로 선호도 리스트를 생성하는 선호도 리스트 생성부; 및
상기 컨텐츠 리스트 생성부로부터 컨텐츠 리스트를 전달받아 상기 선호도 수집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선호도 수집 단말기로부터 선호도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선호도 조사부로 전달하고, 상기 선호도 리스트 생성부로부터 선호도 리스트를 전달받아 문화 컨텐츠 제공업자 또는 상기 빅데이터부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빅데이터 수집을 통한 문화 컨텐츠 선호도 수집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reference collection server,
A content list generator for generating a content list provided to the preference collecting terminal;
A preference survey unit that performs a preference survey on cultural contents based on preferenc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reference collection terminal;
A preference list generation unit that generates a preference list based on the preference survey performed by the preference survey unit; And
Receives a content list from the content list generation unit and transmits it to the preference collection terminal, receives preference information from the preference collection terminal and delivers it to the preference research unit, and provides cultural content by receiving a preference list from the preference list generation unit A system for collecting preferences for cultural contents through big data collection, including; an interface unit for transmitting to a business operator or the big data uni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어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의 하측에 설치되는 플런저;
상기 플런저의 하부 외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하부 나사산; 및
상기 수평 제동부에 맞물릴 수 있도록 하부 외주면을 따라 평 기어 형태의 제3 기어산을 형성하며, 상기 기어 지지 스프링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기 플런저가 삽입되어 회전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부에 상기 플런저에 대응하는 형상의 회전홈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나사산이 맞물리기 위한 내부 나사산이 상기 회전홈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기어 본체;을 포함하는, 빅데이터 수집을 통한 문화 컨텐츠 선호도 수집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upport gear,
A plunger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installed below the elevating slider;
A lower thread extending along a low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lunger; And
A third gear mountain in the form of a spur gear is formed along the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horizontal braking part, is supported by the gear support spring, and the plunger is inserted and rotated in the upper part to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A gear body having a rotation groov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lunger, and an internal thread for engaging the lower thread extending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on groove; including, cultural content preference collection system through big data coll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나사산은,
상기 안착홈의 내주면을 따라 다수 개의 기어 블록이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나선 방향으로 열을 지어 설치되어 형성되며,
상기 기어 블록은,
상측면이 평평한 직각 역삼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나사산의 하부를 형성하는 나사산 하부;
상기 나사산 하부의 상부 후단에 후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나사산의 상부를 형성하는 나사산 상부;
상기 나사산 하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설치홈에 안착되며, 상기 수직 제동부로부터 공급되는 유체에 의해 팽창되어 상기 나사산 상부를 상측 방향으로 승강시켜 주는 팽창 파우치; 및
상기 안착홈의 내주면에 설치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나사산 상부의 후단을 지지하는 후단 지지대;를 포함하는, 빅데이터 수집을 통한 문화 컨텐츠 선호도 수집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thread is,
A plurality of gear block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ting groove, and are formed by forming a row in a spiral direction,
The gear block,
A lower threaded thread forming a lower portion of the thread formed in a right-angled inverted triangle shape having a flat upper side;
A threaded upper end connected to the upper rear end of the lower threaded thread so that the rear end is rotatable to form the upper end of the thread;
An expansion pouch seated in an installation groove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crew thread and expanded by a fluid supplied from the vertical braking unit to lift the upper portion of the thread upward and downward; And
A system for collecting preferences for cultural contents through big data collection, including; a rear end supporter install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ting groove and supporting the rear end of the upper threaded thread using an elastic for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지지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후단의 하측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대;
상기 바디의 상측에 안착되는 하부 지지대;
상부가 상기 상부 지지대의 하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제1 경사 프레임과, 상부가 상기 제1 경사 프레임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상기 지지대의 상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직립되어 연결 설치되는 제1 직립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제1 중간 지지대;
상부가 상기 상부 지지대의 하부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제2 경사 프레임과, 상부가 상기 제2 경사 프레임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상기 지지대의 상부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직립되어 연결 설치되는 제2 직립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제2 중간 지지대;
하부가 회동 가능한 "V"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중간 지지대와 상기 제2 중간 지지대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연결 설치되며, 상기 상부 지지대가 하강하여 상기 제1 중간 지지대와 상기 제2 중간 지지대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는 경우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V" 형 지지대;
상기 제1 경사 프레임의 하부와 상기 제2 경사 프레임의 하부를 수평 방향으로 각각 관통하고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V" 형 지지대의 상측을 지지하는 제1 수평 지지대;
상기 제1 직립 프레임과 상기 제2 직립 프레임을 수평 방향으로 각각 관통하고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V" 형 지지대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2 수평 지지대; 및
상기 제1 수평 지지대의 일측과 상기 제2 수평 지지대의 일측 사이, 및 상기 제1 수평 지지대의 다른 일측과 상기 제2 수평 지지대의 다른 일측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 수평 지지대와 상기 제2 수평 지지대 사이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잡아당겨 주는 간격 지지 탄성체;를 포함하는, 빅데이터 수집을 통한 문화 컨텐츠 선호도 수집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elastic support,
An upper support for supporting a lower side of the rear end of the display;
A lower support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A first inclined frame having an upper part rotatably connected to a lower side of the upper support and installed so as to incline in the other direction, and a first inclined frame with an upper part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inclined frame, and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A first intermediate support made of a first upright frame that is upright and connected to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A second inclined frame having an upper part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lower part of the upper support and installed so as to be inclined in one direction, and a second inclined frame having an upper part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inclined frame, and a lower part of the support. A second intermediate support made of a second upright frame that is upright and connected to be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portion;
The lower part is formed in a rotatable "V" shape, and at least one is connected and installed between the first intermediate support and the second intermediate support, and the upper support lowers so that between the first intermediate support and the second intermediate support "V" type support for supporting using an elastic force when the gap of the narrower;
A first horizontal support that passes through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inclined frame and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inclined frame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is installed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support an upper side of the "V"-shaped support;
A second horizontal support that penetrates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upright frames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is installed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support a lower side of the “V”-shaped support; And
It is installed between one side of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and one side of the second horizontal support, and betwee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horizontal support, respectively, so that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and the second horizontal support A system for collecting preferences for cultural contents through big data collection, including; a gap-supporting elastic body that pulls between the supports by using an elastic for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V" 형 지지대는,
상부가 상기 제1 경사 프레임과 상기 제1 직립 프레임이 연결 설치되는 부위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부가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제1 지지바아;
하부가 상기 제1 지지바아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부가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다른 "V" 형 지지대의 제1 지지바아의 상부 또는 상기 제2 경사 프레임과 상기 제2 직립 프레임이 연결 설치되는 부위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지지바아;
상기 제1 지지바아와 상기 제2 지지바아가 연결 설치되는 회동 부위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2 수평 지지대의 상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하부 렉기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상기 하부 렉기어를 따라 이동하는 하부 연결 기어; 및
상기 제1 지지바아와 상기 제2 지지바아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지지바아와 상기 제2 지지바아 사이를 지지하는 중간 탄성체;를 포함하는, 빅데이터 수집을 통한 문화 컨텐츠 선호도 수집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V" type support,
A first support bar whose upper portion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portion where the first inclined frame and the first upright frame are connected and installed so that the lower portion is inclined in the other direction;
The lower part is connected and installed so as to be rotatable with the first support bar, and the upper part is installed so as to be inclined in the other direction so that the upper part of the first support bar or the second inclined frame and the second upright frame of another "V" type support A second support bar that is connected and installed so as to be rotatable to the connected portion;
The first support bar and the second support bar are connected and installed so as to be rotatable at a rotational portion to which the second support bar is connected, and connected to and connected to a lower rack gear installed along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horizontal support bar to connect the lower rack gear. A lower connecting gear moving along; And
An intermediate elastic body installed between the first support bar and the second support bar to support between the first support bar and the second support bar using an elastic force; including, collecting preferences for cultural content through big data collection system.
제8항에 있어서, 상기 "V" 형 지지대는,
다른 "V" 형 지지대와 연결 설치되는 경우에,
상기 제2 지지바아의 상부와 상기 다른 "V" 형 지지대의 제1 지지바아의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동 부위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수평 지지대의 하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상부 렉기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상기 상부 렉기어를 따라 이동하는 상부 연결 기어; 및
상기 제2 지지바아와 상기 다른 "V" 형 지지대의 제1 지지바아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지지바아와 상기 다른 "V" 형 지지대의 제1 지지바 사이를 지지하는 추가 중간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빅데이터 수집을 통한 문화 컨텐츠 선호도 수집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V" type support,
If installed in connection with other "V" type support,
The second support bar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bar of the other "V" type support are rotatably connected and installed at a rotational part that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and installed along the lower side of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An upper connection gear engaged with the upper rack gear to be connected and installed to move along the upper rack gear; And
An additional intermediate that is installed between the second support bar and the first support bar of the other "V"-type support and supports between the second support bar and the first support bar of the other "V"-type support using elastic force Elastic body; cultural content preference collection system through the collection of big data further comprising.
KR1020200047930A 2020-04-21 2020-04-21 Culture content preference collection system through big data collection KR1021534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930A KR102153445B1 (en) 2020-04-21 2020-04-21 Culture content preference collection system through big data colle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930A KR102153445B1 (en) 2020-04-21 2020-04-21 Culture content preference collection system through big data colle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3445B1 true KR102153445B1 (en) 2020-09-08

Family

ID=72471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7930A KR102153445B1 (en) 2020-04-21 2020-04-21 Culture content preference collection system through big data colle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3445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6224B1 (en) * 2021-08-27 2022-04-12 화려한덕후들(주) Real-time reservation system
KR102418850B1 (en) * 2022-04-28 2022-07-11 주식회사 화인비에스 Manufacturing and selling system of functional foods
KR102481917B1 (en) * 2022-09-28 2022-12-26 양진옥 Virtual reality-based interior simulation system
KR102539945B1 (en) * 2022-11-14 2023-06-02 (주)스타원엔터테인먼트 Video content preference survey system for infants using big data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4748B1 (en) 2005-01-14 2006-09-20 (주)스타라이브러리 Online community service system using cluture contents
KR20070042320A (en) * 2005-10-18 2007-04-23 주식회사 레인콤 Method for selling customized content on internet using multimedia displayer
KR20110131015A (en) * 2010-05-28 2011-12-06 전자부품연구원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media contents streaming service using preference information
KR200463545Y1 (en) * 2011-07-15 2012-11-09 주식회사 금영 Apparatus for advertising board having norae-bang system
KR20130091131A (en) * 2012-02-07 2013-08-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inferring preference using watching data and meta data
KR102081553B1 (en) 2019-10-11 2020-02-25 서민승 Big Data-Based Monitoring System of Promotional Content for Cultural Media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4748B1 (en) 2005-01-14 2006-09-20 (주)스타라이브러리 Online community service system using cluture contents
KR20070042320A (en) * 2005-10-18 2007-04-23 주식회사 레인콤 Method for selling customized content on internet using multimedia displayer
KR20110131015A (en) * 2010-05-28 2011-12-06 전자부품연구원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media contents streaming service using preference information
KR200463545Y1 (en) * 2011-07-15 2012-11-09 주식회사 금영 Apparatus for advertising board having norae-bang system
KR20130091131A (en) * 2012-02-07 2013-08-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inferring preference using watching data and meta data
KR102081553B1 (en) 2019-10-11 2020-02-25 서민승 Big Data-Based Monitoring System of Promotional Content for Cultural Media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6224B1 (en) * 2021-08-27 2022-04-12 화려한덕후들(주) Real-time reservation system
KR102418850B1 (en) * 2022-04-28 2022-07-11 주식회사 화인비에스 Manufacturing and selling system of functional foods
KR102481917B1 (en) * 2022-09-28 2022-12-26 양진옥 Virtual reality-based interior simulation system
KR102539945B1 (en) * 2022-11-14 2023-06-02 (주)스타원엔터테인먼트 Video content preference survey system for infants using big dat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3445B1 (en) Culture content preference collection system through big data collection
KR102386224B1 (en) Real-time reservation system
CN205121430U (en) High adaptability graphoscope
KR102159831B1 (en) Campus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for virtual campus tour
CN203278894U (en) Exhibition content management control platform
CN111887592B (en) Desk is placed with notebook computer to desk
CN208422020U (en) A kind of modularity wisdom POS cashing machine
CN208123342U (en) A kind of track damping rotating support
CN110973909A (en) Show shelf for mechanical equipment sales
CN210687574U (en) Computer network strutting arrangement
CN210696714U (en) Hanging cabinet with adjustable mounting hanging weight
CN210018721U (en) Exhibition shelf
KR102658796B1 (en) Unmanned building facility management system considering user convenience
CN211376132U (en) Advertising equipment convenient to installation
CN210563550U (en) Supporting frame structure for building
CN219047962U (en) Telescopic exhibition stand
KR102619927B1 (en) Food Catering offering System
CN212181789U (en) Building model building device based on BIM
KR102644015B1 (en) AI algorithm-based personalized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CN213120475U (en) Building structure displacement testing arrangement based on BIM
CN104516183A (en) Stand special for projector
CN213817981U (en) Video conference system
KR102605173B1 (en) Platform modularization system by service type and function
CN206447107U (en) A kind of carriage
CN215281853U (en) Auxiliary mounting bracket for office furni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