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3216B1 - Multi-position seat for vehicle - Google Patents

Multi-position seat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3216B1
KR102153216B1 KR1020190028472A KR20190028472A KR102153216B1 KR 102153216 B1 KR102153216 B1 KR 102153216B1 KR 1020190028472 A KR1020190028472 A KR 1020190028472A KR 20190028472 A KR20190028472 A KR 20190028472A KR 102153216 B1 KR102153216 B1 KR 102153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frame
seat cushion
seatback
shou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84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지선
김길주
문현규
나선채
김요한
정찬호
김두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28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321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3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32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60N2/02253Electric mo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between the electric motor and the seat or seat parts
    • B60N2/023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til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 B60N2002/023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ulti-position seat for a vehicle, which can adjust a posture for rest and sleeping, etc. to a posture desired by a passenger, such as a semi-relaxation mode, a deep relaxation mode, and a smart relaxation mode, and can implement various postures such as a height adjustment mode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entire seat, and a getting-on and off mode to assist the comfortable getting-off posture of the passenger, thereby satisfying passengers′ desire to change their body shape and posture appropriate to situations.

Description

자동차용 멀티 포지션 시트{MULTI-POSITION SEAT FOR VEHICLE}Automotive multi-position seat {MULTI-POSITION SEAT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멀티 포지션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트쿠션과 시트백, 그리고 시트백과 숄더를 프리 힌지로 연결한 상태에서 소정의 메카니즘 구성을 기반으로 승객이 원하는 여러가지 자세 구현이 가능하도록 한 자동차용 멀티 포지션 시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osition seat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a seat cushion and a seat back, and a seat back and a shoulder connected by a free hinge to enable various postures desired by a passenger based on a predetermined mechanism configuration. It relates to a multi-position seat for an automobile.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시트는 착석을 위한 시트쿠션과, 등을 기대는 시트백과, 목과 머리를 받쳐주는 헤드레스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러한 시트의 내외부에는 시트 조절 장치 및 여러 편의 장치들이 설치되고 있다.In general, a seat of a car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at cushion for seating, a seat back leaning against the back, and a headrest supporting the neck and head, and a seat adjustment device and various convenience devices are installed inside and outside the seat. .

특히, 고급 차량의 시트에는 자세 구현을 위한 여러 장치들이 설치되고 있지만, 승객의 신체 체형 및 상황에 맞는 자세 변경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In particular, although various devices for implementing a posture are installed on a seat of a luxury vehicl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does not satisfy the desire to change the posture suitable for the body shape and situation of the passenger.

이에, 승객의 신체 체형 및 상황에 맞는 자세 변경이 자유롭게 구현될 수 있는 시트 메카니즘이 요구되고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seat mechanism capable of freely implementing a posture change suitable for a passenger's body shape and situation.

더욱이, 향후 출시될 자율주행 차량의 시트의 경우, 장거리 주행시 휴식 및 취침 등을 위하여 승객이 원하는 자세 구현이 가능한 시트 메카니즘의 탑재가 요구되고 있다.Moreover, in the case of a seat of an autonomous vehicle to be released in the future, it is required to mount a seat mechanism capable of implementing a posture desired by a passenger for rest and sleeping during long-distance driving.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휴식 및 취침 등을 위한 자세를 세미 릴렉션 모드, 딥 릴렉션 모드, 스마트 릴렉션 모드 등 승객이 원하는 자세로 조절할 수 있고, 그리고 시트 전체의 높이 조절을 위한 하이트 조절 모드, 승객의 편안한 하차 자세를 보조하는 승하차 모드 등 다양한 자세 구현이 가능하도록 한 자동차용 멀티 포지션 시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points, and the posture for rest and sleeping, etc. can be adjusted to a posture desired by the passenger such as a semi-relaxation mode, a deep relaxation mode, and a smart relaxation mode, and The purpose of this is to provide a multi-position seat for a vehicle capable of implementing various postures, such as a height adjustment mode for height adjustment and a boarding and dismounting mode to assist passengers in a comfortable disembarkation postur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숄더 프레임; 내측부에 상기 숄더 프레임의 측단부가 회전 및 직선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고, 하단부가 차체에 힌지 체결되어 전후 방향으로 회전하는 숄더 가이드; 상기 숄더 가이드의 외측부에 회전 및 직선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어, 숄더 가이드를 전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숄더 구동장치; 상기 숄더 프레임과 힌지 체결되는 시트백 프레임; 내측부에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측단부가 회전 및 직선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고, 하단부가 차체에 힌지 체결되어 전후 방향으로 회전하는 시트백 가이드; 상기 시트백 가이드의 외측부에 회전 및 직선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어, 시트백 가이드를 전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시트백 구동장치; 상기 시트백 프레임과 힌지 체결되는 시트쿠션 프레임; 내측부에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측단부가 회전 및 직선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고, 하단부가 차체에 힌지 체결되어 전후 방향으로 회전하는 시트쿠션 가이드; 상기 시트쿠션 가이드의 외측부에 회전 및 직선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어, 시트쿠션 가이드를 전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시트쿠션 구동장치; 및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의 전후진 및 틸팅을 위하여 시트쿠션 프레임의 전단부에 장착되는 시트쿠션 서포트 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멀티 포지션 시트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shoulder frame; A shoulder guide that is fastened to the inner side to enable rotation and linear movement of the side end of the shoulder frame, and the lower end is hinged to the vehicle body to rotat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 shoulder driving device that is fastened to the outer portion of the shoulder guide so as to be rotatable and linearly moved, and rotates the shoulder guide in the front-rear direction; A seatback frame hinged to the shoulder frame; A seatback guide that rotate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by fastening a side end portion of the seatback frame to an inner portion so as to be rotatable and linearly moving, and a lower portion hingedly coupled to the vehicle body; A seatback driving device that is fastened to an outer portion of the seatback guide so as to be rotatable and linearly moved, and rotates the seatback guide in a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A seat cushion frame hingedly coupled to the seat back frame; A seat cushion guide for rotating and linearly moving the side end portion of the seatback frame to the inner portion thereof, and the lower portion hingedly coupled to the vehicle body to rotate in the front-rear direction; A seat cushion driving device that is fastened to an outer portion of the seat cushion guide so as to be rotatable and linearly movable, and rotates the seat cushion guide in a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And a seat cushion support device mounted on the front end of the seat cushion frame for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and tilting of the seat cushion frame. It provides a multi-position seat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바람직하게는, 상기 숄더 가이드의 내측부에는 제1슬라이드 홀이 형성되고, 상기 숄더 프레임의 측단부에는 제1슬라이드 홀에 회전 및 직선 이동 가능하게 삽입 체결되는 제1가이드 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a first slide hole is formed in an inner portion of the shoulder guide, and a first guide pin is formed at a side end portion of the shoulder frame to be inserted and fastened to rotate and move linearly to the first slide hole.

또한, 상기 숄더 가이드의 하단부는 차체에 장착된 제1가이드 마운팅 브라켓에 힌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shoulder guide is hinged to the first guide mounting bracket mounted on the vehicle body.

특히, 상기 숄더 구동장치는: 차체에 모터 마운팅 브라켓을 매개로 장착되는 제1모터; 일단부는 제1모터의 출력축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타단부는 숄더 가이드의 외측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1회전바;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particular, the shoulder drive device includes: a first motor mounted on a vehicle body through a motor mounting bracket; A first rotation bar that is rotatably fastened to the output shaft of the first motor, and the other end is fastened to be linearly movable to the outer side of the shoulder guid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또한, 상기 숄더 가이드의 외측부에는 제1회전바의 타단부가 직선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슬라이드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second slide hole in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first rotation bar is linearly movable is formed at an outer portion of the shoulder guide.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트백 가이드의 내측부에는 제3슬라이드 홀이 형성되고,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측단부에는 제3슬라이드 홀에 회전 및 직선 이동 가능하게 삽입 체결되는 제2가이드 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a third slide hole is formed in an inner portion of the seatback guide, and a second guide pin is formed in a side end portion of the seatback frame to be inserted and fastened to rotate and move linearly into the third slide hole.

또한, 상기 시트백 가이드의 하단부는 차체에 장착된 제2가이드 마운팅 브라켓의 뒤쪽에 힌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seatback guide may be hinged to the rear of the second guide mounting bracket mounted on the vehicle body.

특히, 상기 시트백 구동장치는: 차체에 모터 마운팅 브라켓을 매개로 장착되는 제2모터; 일단부는 제2모터의 출력축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타단부는 시트백 가이드의 외측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회전바;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particular, the seatback driving device includes: a second motor mounted on a vehicle body through a motor mounting bracket; A second rotation bar that is rotatably fastened to the output shaft of the second motor, and the other end is fastened to be linearly movable to the outer side of the seatback guid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또한, 상기 시트백 가이드의 외측부에는 제2회전바의 타단부가 직선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4슬라이드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fourth slide hole in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second rotation bar is linearly movable is formed at an outer portion of the seatback guide.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트쿠션 가이드의 내측부에는 제5슬라이드 홀이 형성되고,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의 측단부에는 제5슬라이드 홀에 회전 및 직선 이동 가능하게 삽입 체결되는 제3가이드 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a fifth slide hole is formed in the inner portion of the seat cushion guide, and a third guide pin is formed in the side end portion of the seat cushion frame so as to be rotatably and linearly moved into the fifth slide hole. do.

또한, 상기 시트쿠션 가이드의 하단부는 차체에 장착된 제2가이드 마운팅 브라켓의 앞쪽에 힌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seat cushion guide is hinged to the front of the second guide mounting bracket mounted on the vehicle body.

특히, 상기 시트쿠션 구동장치는: 차체에 모터 마운팅 브라켓을 매개로 장착되는 제3모터; 일단부는 제3모터의 출력축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타단부는 시트쿠션 가이드의 외측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3회전바;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particular, the seat cushion driving device includes: a third motor mounted to a vehicle body through a motor mounting bracket; A third rotation bar rotatably fastened to the output shaft of the third motor, and the other end rotatably fastened to the outer side of the seat cushion guid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또한, 상기 시트쿠션 가이드의 외측부에는 제3회전바의 타단부가 직선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6슬라이드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sixth slide hole in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third rotation bar is linearly movable is formed at an outer portion of the seat cushion guide.

바람직하게는, 상기 숄더 프레임과 시트백 프레임 간의 힌지 체결을 위하여, 상기 숄더 프레임의 하부에 숄더 힌지브라켓이 장착되고, 시트백 프레임의 상부에 제1시트백 힌지브라켓이 장착되어, 숄더 힌지브라켓과 제1시트백 힌지브라켓이 힌지축으로 상호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in order to fasten the hinge between the shoulder frame and the seatback frame, a shoulder hinge bracket is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shoulder frame, and a first seatback hinge bracket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atback frame, so that the shoulder hinge bracket and the first seatback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inge brackets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a hinge shaft.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트백 프레임과 시트쿠션 프레임 간의 힌지 체결을 위하여,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하부에 제2시트백 힌지브라켓이 장착되고, 시트쿠션 프레임의 후부에 시트쿠션 힌지브라켓이 장착되어, 제2시트백 힌지브라켓과 시트쿠션 힌지브라켓이 힌지축으로 상호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in order to fasten the hinge between the seatback frame and the seat cushion frame, a second seatback hinge bracket is mounted under the seatback frame, and a seat cushion hinge bracket is mounted at the rear of the seat cushion frame, so that the second seatback hing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racket and the seat cushion hinge bracket are mutually fastened by a hinge shaft.

한편, 상기 시트쿠션 서포트 장치는: 차체 플로어에 상하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유압 실린더; 유압 실린더에 전후진 가능하게 포함된 것으로서, 시트쿠션 프레임의 전단부에 힌지 체결되는 피스톤; 유압 실린더에 유압을 제공하는 유압모터;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seat cushion support device: a hydraulic cylinder mounted to be rotatable up and down on the vehicle body floor; A piston that is included in a hydraulic cylinder to be forward and backward, and is hinged to the front end of the seat cushion frame; A hydraulic motor that provides hydraulic pressure to the hydraulic cylinde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체 플로어에는 유압실린더의 후부가 회전 가능하게 힌지 체결되는 제1서포트 브라켓이 장착되고,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의 전단부에는 피스톤이 힌지 체결되는 제2서포트 브라켓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a first support bracket to which a rear portion of the hydraulic cylinder is rotatably hinged is mounted on the vehicle body floor, and a second support bracket to which a piston is hinged is mounted on a front end of the seat cushion frame. do.

부가적으로, 상기 제1서포트 브라켓에는 유압실린더를 상하로 강제 회전시키기 위한 별도의 보조모터가 더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dditionally, a separate auxiliary motor for forcibly rotating the hydraulic cylinder up and down is further mounted on the first support bracket.

또한, 상기 숄더 프레임과 시트백 프레임과 시트쿠션 프레임의 양측부에 걸쳐 승객에게 독립적인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공간 구획용 트림이 차체와 결합되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space division trim for providing an independent space to a passenger across both sides of the shoulder frame, the seatback frame, and the seat cushion frame is combined with the vehicle body and disposed.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첫째, 휴식 및 취침 등을 위한 시트 포지션을 세미 릴렉션 모드, 딥 릴렉션 모드, 스마트 릴렉션 모드 등 승객이 원하는 자세로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다.First, the seat position for rest and sleep can be conveniently adjusted to the position desired by passengers such as semi-relaxation mode, deep relaxation mode, and smart relaxation mode.

둘째, 하이트 조절 모드를 통하여 시트 전체의 높이를 승강시켜, 리어쪽 승객의 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Second,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front view of the rear passenger by raising and lowering the height of the entire seat through the height adjustment mode.

셋째, 시트쿠션 전단부의 승강 작동에 의한 승하차 모드를 통하여 승객의 편안한 승하차 자세를 보조할 수 있다.Third, it is possible to assist passengers in a comfortable getting on and off posture through the getting on and off mode by the lift operation of the front end of the seat cushion.

넷째, 숄더와 시트백의 각도 조절과, 시트쿠션의 길이 및 각도 조절 등을 통하여 승객이 원하는 다양한 시트 포지션 구현이 가능하여, 승객의 신체 체형 및 상황에 맞는 자세 변경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Fourth, it is possible to implement various seat positions desired by passengers by adjusting the angles of shoulders and seatbacks, and adjusting the length and angle of the seat cushions, thereby satisfying the passenger's desire to change the body shape and posture appropriate to the situ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멀티 포지션 시트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멀티 포지션 시트의 내부 구성을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멀티 포지션 시트의 숄더 프레임에 대한 측부 조립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멀티 포지션 시트의 시트백 프레임과 시트쿠션 프레임에 대한 측부 조립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멀티 포지션 시트의 시트쿠션 프레임에 대한 익스텐션 및 틸팅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멀티 포지션 시트의 숄더 프레임과 시트백 프레임 간의 힌지 체결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멀티 포지션 시트의 시트백 프레임과 시트구션 프레임 간의 힌지 체결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멀티 포지션 시트의 피스톤 전진 구동에 따라 시트가 움직이는 궤적을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멀티 포지션 시트의 피스톤 각도 조절에 따라 시트가 움직이는 궤적을 도시한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멀티 포지션 시트의 숄더 가이드 작동에 따라 시트가 움직이는 궤적을 도시한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멀티 포지션 시트의 시트백 가이드 작동에 따라 시트가 움직이는 궤적을 도시한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멀티 포지션 시트의 시트쿠션 가이드 작동에 따라 시트가 움직이는 궤적을 도시한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멀티 포지션 시트의 세미 릴렉스 모드가 구현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멀티 포지션 시트의 딥 릴렉스 모드가 구현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멀티 포지션 시트의 스마트 릴렉스 모드가 구현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멀티 포지션 시트의 시트 하이트 조절 모드가 구현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멀티 포지션 시트의 시트 승하차 모드가 구현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multi-position seat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multi-position seat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ide assembly structure for a shoulder frame of a multi-position seat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ide assembly structure of a seat back frame and a seat cushion frame of a multi-position seat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tension and a tilting structure for a seat cushion frame of a multi-position seat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inge fastening structure between a shoulder frame and a seatback frame of a multi-position seat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inge fastening structure between a seatback frame and a seat cushion frame of a multi-position seat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ide view showing a trajectory of a seat moving according to a piston forward driving of a multi-position seat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ide view showing a trajectory of movement of the seat according to the piston angle adjustment of the multi-position seat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ide view showing a trajectory of movement of the sea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houlder guide of the multi-position seat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ide view showing a trajectory of movement of the sea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eat back guide of the multi-position seat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ide view showing a trajectory of movement of the sea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eat cushion guide of the multi-position seat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mi-relaxation mode of the multi-position seat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13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eep relaxation mode of a multi-position seat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14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mart relaxation mode of a multi-position seat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15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at height adjustment mode of a multi-position seat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Figure 16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at riding mode of the multi-position seat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멀티 포지션 시트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멀티 포지션 시트의 전체 내부 구성을 사시도이며, 도 3 내지 도 6b는 멀티 포지션 시트의 내부 구성 및 그 조립 구조를 부분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multi-position seat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ntir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multi-position seat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 to 6B are multi-position It is a diagram partially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sheet and its assembly structure.

본 발명에 따른 시트프레임은 승객의 하체가 닿는 시트쿠션(30)과, 승객의 허리 및 등 하부가 부분이 닿는 시트백(20)과, 승객의 등 상부 및 어깨 부분이 닿는 숄더(10) 등이 독립적으로 움직이도록 구비된다.The seat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at cushion 30 that touches the lower body of a passenger, a seat bag 20 that touches the waist and lower back of the passenger, and a shoulder 10 that touches the upper and shoulders of the passenger. It is equipped to move independently.

즉, 본 발명의 시트프레임은 숄더 프레임(100)과, 시트백 프레임(200)과, 시트쿠션 프레임(300)으로 구성되되, 숄더 프레임(100)과 시트백 프레임(200)이 프리 힌지로 상호 체결되고, 시트백 프레임(200)과 시트쿠션 프레임(300)이 프리 힌지로 상호 체결되는 구조로 구비됨으로써, 숄더 프레임(100)이 내장된 숄더(10)와, 시트백 프레임(200)이 내장된 시트백(20)과, 시트쿠션 프레임(300)이 내장된 시트쿠션(30)이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상태가 된다.That is, the seat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shoulder frame 100, a seat back frame 200, and a seat cushion frame 300, and the shoulder frame 100 and the seat back frame 200 are mutually fastened with a free hinge. , The seatback frame 200 and the seat cushion frame 300 are provided in a structure in which a free hinge is mutually fastened, so that the shoulder frame 100 is embedded in the shoulder 10 and the seatback frame 200 is embedded in the seatback 20 ), and the seat cushion 30 in which the seat cushion frame 300 is embedded is in a state in which it can independently move.

이를 위해, 도 6a에서 보듯이 상기 숄더 프레임(100)의 하부에 숄더 힌지브라켓(102)이 장착되고, 시트백 프레임(200)의 상부에 제1시트백 힌지브라켓(202)이 장착되는 바, 이 숄더 힌지브라켓(102)과 제1시트백 힌지브라켓(202)을 겹쳐지게 하여 힌지축(104)으로 상호 체결함으로써, 상기 숄더 프레임(100)과 시트백 프레임(200)이 힌지축(104)을 중심으로 전후 방향(차체 길이방향)을 향하여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To this end, as shown in FIG. 6A, a shoulder hinge bracket 102 is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shoulder frame 100, and the first seat bag hinge bracket 202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atback frame 200, and this shoulder By overlapping the hinge bracket 102 and the first seat back hinge bracket 202 and mutually fastening them with the hinge shaft 104, the shoulder frame 100 and the seat back frame 200 are front and rear around the hinge shaft 104 It becomes a state capable of rotating toward the direction (lengthwise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또한, 도 6b에서 보듯이 상기 시트백 프레임(200)의 하부에 제2시트백 힌지브라켓(204)이 장착되고, 시트쿠션 프레임(300)의 후부에 시트쿠션 힌지브라켓(302)이 장착되는 바, 이 제2시트백 힌지브라켓(204)과 시트쿠션 힌지브라켓(302)을 겹쳐지게 하여 힌지축(304)으로 상호 체결함으로써, 시트백 프레임(200)과 시트쿠션 프레임이 힌지축(304)을 중심으로 전후 방향(차체 길이방향)을 향하여 회전 가능하게 상태가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6B, a second seatback hinge bracket 204 is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seatback frame 200, and a seat cushion hinge bracket 302 is mounted on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cushion frame 300. By overlapping the second seatback hinge bracket 204 and the seat cushion hinge bracket 302 and mutually fastening them with the hinge shaft 304, the seatback frame 200 and the seat cushion frame are moved forward and backward around the hinge shaft 304 It is in a state of being able to rotate toward (lengthwise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상기 숄더 프레임(100)의 전후 회전 운동 및 상하 직선 운동을 위한 구성으로서, 숄더 프레임(100)의 측부와 인접되는 위치에 숄더 가이드(110)와 숄더 구동장치(120)가 배치된다.As a configuration for the forward and backward rotational movement and vertical linear movement of the shoulder frame 100, the shoulder guide 110 and the shoulder driving device 120 are dispos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side of the shoulder frame 100.

상기 숄더 가이드(110)는 내측부에 상기 숄더 프레임(100)의 측단부가 회전 및 직선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고, 하단부가 차체 사이드(40)에 힌지 체결되어 전후 방향으로 회전하는 구조로 구비된다.The shoulder guide 110 is provided with a structure in which a side end portion of the shoulder frame 100 is rotatably and linearly movable on an inner side, and a lower end portion is hinged to the vehicle body side 40 to rotate in the front-rear direction.

이를 위해,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숄더 가이드(110)는 길다란 막대형 프레임으로서, 내측부에 장공 형태의 제1슬라이드 홀(111)이 관통 형성되고, 외측부에도 장공 형태의 제2슬라이드 홀(112)이 관통 형성된 구조로 구비된다.To this end, as shown in FIG. 3, the shoulder guide 110 is a long rod-shaped frame, and a first slide hole 111 having a long hole is formed through the inner part, and a second slide hole 112 having a long hole is formed on the outside. It is provided with this through-formed structure.

또한, 상기 숄더 가이드(110)의 하단부는 차체 사이드(40)에 장착된 제1가이드 마운팅 브라켓(113)에 힌지 체결되어, 숄더 가이드(110)는 하단부 힌지 체결점을 중심으로 전후방향을 향하여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shoulder guide 110 is hinged to the first guide mounting bracket 113 mounted on the vehicle body side 40, so that the shoulder guide 110 rotate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round the lower hinge fastening point. It becomes possible.

이때, 도 3에서 잘 볼 수 있듯이 상기 숄더 프레임(100)의 측단부에는 숄더 가이드(110)의 제1슬라이드 홀(111)에 회전 및 직선 이동 가능하게 삽입 체결되는 제1가이드 핀(101)이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At this time, as can be seen well in FIG. 3, a first guide pin 101 is inserted into the first slide hole 111 of the shoulder guide 110 so as to be rotatably and linearly moved at the side end of the shoulder frame 100. It is formed to protrude integrally.

상기 숄더 구동장치(120)는 숄더 가이드(110)의 외측부에 형성된 제2슬라이드 홀(112)에 회전 및 직선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어, 숄더 가이드(110)를 전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한다.The shoulder driving device 120 is fastened to the second slide hole 112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shoulder guide 110 so as to be rotatably and linearly moved, and provides a driving force for rotating the shoulder guide 110 in the front-rear direction.

이를 위해,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숄더 구동장치(120)는 차체 사이드(40)에 모터 마운팅 브라켓(122)을 매개로 장착되는 제1모터(121)와, 일단부는 제1모터(121)의 출력축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타단부는 숄더 가이드(110)의 제2슬라이드 홀(112)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삽입 체결되는 제1회전바(123)로 구성된다.To this end, as shown in FIG. 3, the shoulder driving device 120 includes a first motor 121 mounted on the vehicle body side 40 via a motor mounting bracket 122, and one end of the first motor 121 It is rotatably fastened to the output shaft, and the other end is composed of a first rotation bar 123 that is inserted and fastened to be linearly movable in the second slide hole 112 of the shoulder guide 110.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회전바(123)의 타단부는 숄더 가이드(110)의 제2슬라이드 홀(112)에 삽입 체결되도록 직각으로 절곡되고, 이탈 방지를 위해 제2슬라이드 홀(112)의 폭 보다 크게 형성된다.Preferably, the other end of the first rotation bar 123 is bent at a right angle so as to be inserted and fastened into the second slide hole 112 of the shoulder guide 110, and the second slide hole 112 is It is formed larger than the width.

따라서, 상기 제1모터(121)의 구동에 의하여 제1회전바(123)가 전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1회전바(123)의 타단부가 숄더 가이드(110)의 제2슬라이드 홀(112)에 삽입 체결된 상태이므로 숄더 가이드(110)도 그 하단부 힌지 체결점을 중심으로 전후방향을 향하여 제1회전바(123)와 함께 회전하게 되며, 이때 제1회전바(123)의 타단부는 숄더 가이드(110)의 회전각도에 따라 제2슬라이드 홀(112)을 따라 직선 이동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first rotation bar 123 rotates in the front-rear direction by the driving of the first motor 121, the other end of the first rotation bar 123 is the second slide hole ( 112), so the shoulder guide 110 rotates together with the first rotation bar 123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round the hinge fastening point at the lower end thereof, and at this time, the other end of the first rotation bar 123 Is linearly moved along the second slide hole 112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shoulder guide 110.

이와 동시에, 상기 숄더 가이드(110)의 제1슬라이드 홀(111)에 숄더 프레임(100)의 제1가이드 핀(101)이 삽입 체결된 상태이므로 숄더 프레임(100)도 시트백 프레임(200)과 연결된 힌지축(104)을 중심으로 숄더 가이드(110)와 함께 전후방향을 향하여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고, 이때 숄더 프레임(100)의 제1가이드 핀(101)이 숄더 가이드(110)의 회전각도에 따라 제1슬라이드 홀(111)을 따라 직선 이동하게 된다.At the same time, since the first guide pin 101 of the shoulder frame 100 is inserted into the first slide hole 111 of the shoulder guide 110, the shoulder frame 100 is also connected to the seatback frame 200. The hinge shaft 104 is in a state capable of being rotat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long with the shoulder guide 110, and at this time, the first guide pin 101 of the shoulder frame 100 is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angle of the shoulder guide 110. It moves linearly along the first slide hole 111.

상기 시트백 프레임(200)의 전후 회전 운동 및 상하 직선 운동을 위한 구성으로서, 시트백 프레임(200)의 측부와 인접되는 위치에 시트백 가이드(210)와 시트백 구동장치(220)가 배치된다.As a configuration for the forward and backward rotational motion and vertical linear motion of the seatback frame 200, the seatback guide 210 and the seatback driving device 220 are dispos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side of the seatback frame 200.

상기 시트백 가이드(210)는 내측부에 상기 시트백 프레임(200)의 측단부가 회전 및 직선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고, 하단부가 차체 사이드(40)에 힌지 체결되어 전후 방향으로 회전하는 구조로 구비된다.The seatback guide 210 is provided with a structure in which a side end portion of the seatback frame 200 is rotatably and linearly moved to an inner portion, and a lower end portion is hinged to the vehicle body side 40 to rotate in the front-rear direction.

이를 위해,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시트백 가이드(210)는 길다란 막대형 프레임으로서, 내측부에 장공 형태의 제3슬라이드 홀(211)이 관통 형성되고, 외측부에도 장공 형태의 제4슬라이드 홀(212)이 관통 형성된 구조로 구비된다.To this end, as shown in FIG. 4, the seatback guide 210 is a long rod-shaped frame, and a third slide hole 211 in a long hole is formed through the inner part, and a fourth slide hole 212 in a long hole is formed on the outside. It is provided with this through-formed structure.

또한, 상기 시트백 가이드(210)의 하단부는 차체 플로어(42)에 장착된 제2가이드 마운팅 브라켓(213)의 뒷쪽에 힌지 체결되어, 시트백 가이드(210)는 하단부 힌지 체결점을 중심으로 전후방향을 향하여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seatback guide 210 is hinged to the rear of the second guide mounting bracket 213 mounted on the vehicle body floor 42, so that the seatback guide 210 moves forward and backward around the lower hinge fastening point. It is in a state that can be rotated toward.

이때, 도 4에서 잘 볼 수 있듯이 상기 시트백 프레임(200)의 측단부에는 시트백 가이드(210)의 제3슬라이드 홀(211)에 회전 및 직선 이동 가능하게 삽입 체결되는 제2가이드 핀(201)이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At this time, as can be seen well in FIG. 4, a second guide pin 201 is inserted and fastened to the third slide hole 211 of the seatback guide 210 so as to be rotatably and linearly moved at the side end of the seatback frame 200. It is formed to protrude integrally.

상기 시트백 구동장치(220)는 시트백 가이드(210)의 외측부에 형성된 제4슬라이드 홀(212)에 회전 및 직선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어, 시트백 가이드(210)를 전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한다.The seatback driving device 220 is fastened to the fourth slide hole 212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seatback guide 210 so as to be rotatably and linearly moved, and provides a driving force to rotate the seatback guide 210 in the front-rear direction.

이를 위해,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시트백 구동장치(220)는 차체 사이드(40)에 모터 마운팅 브라켓(222)을 매개로 장착되는 제2모터(221)와, 일단부는 제2모터(221)의 출력축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타단부는 시트백 가이드(210)의 제4슬라이드 홀(212)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삽입 체결되는 제2회전바(223)로 구성된다.To this end, as shown in FIG. 4, the seatback driving device 220 includes a second motor 221 mounted on the vehicle body side 40 via a motor mounting bracket 222, and one end of the second motor 221 It is rotatably fastened to the output shaft, and the other end is composed of a second rotation bar 223 inserted and fastened to be linearly movable into the fourth slide hole 212 of the seatback guide 210.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회전바(223)의 타단부는 시트백 가이드(210)의 제4슬라이드 홀(212)에 삽입 체결되도록 직각으로 절곡되고, 이탈 방지를 위해 제4슬라이드 홀(212)의 폭 보다 크게 형성된다.Preferably, the other end of the second rotation bar 223 is bent at a right angle so as to be inserted into and fastened to the fourth slide hole 212 of the seatback guide 210, and the fourth slide hole 212 is It is formed larger than the width.

따라서, 상기 제2모터(221)의 구동에 의하여 제2회전바(223)가 전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2회전바(223)의 타단부가 시트백 가이드(210)의 제4슬라이드 홀(212)에 삽입 체결된 상태이므로 시트백 가이드(210)도 그 하단부 힌지 체결점을 중심으로 전후방향을 향하여 제2회전바(223)와 함께 회전하게 되며, 이때 제2회전바(223)의 타단부는 시트백 가이드(210)의 회전각도에 따라 제4슬라이드 홀(212)을 따라 직선 이동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second rotation bar 223 rotate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by the driving of the second motor 221, the other end of the second rotation bar 223 is a fourth slide hole of the seatback guide 210 ( 212), so the seatback guide 210 also rotates with the second rotation bar 223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round the hinge fastening point at the lower end thereof, and at this time, the other end of the second rotation bar 223 Is linearly moved along the fourth slide hole 212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seatback guide 210.

이와 동시에, 상기 시트백 가이드(210)의 제3슬라이드 홀(211)에 시트백 프레임(200)의 제2가이드 핀(201)이 삽입 체결된 상태이므로 시트백 프레임(200)도 시트쿠션 프레임(300)과 연결된 힌지축(304)을 중심으로 시트백 가이드(210)와 함께 전후방향을 향하여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고, 이때 시트백 프레임(200)의 제2가이드 핀(201)이 시트백 가이드(210)의 회전각도에 따라 제3슬라이드 홀(211)을 따라 직선 이동하게 된다.At the same time, since the second guide pin 201 of the seatback frame 200 is inserted into the third slide hole 211 of the seatback guide 210, the seatback frame 200 is also connected to the seat cushion frame 300. It is in a state capable of rotat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with the seatback guide 210 around the connected hinge shaft 304, and at this time, the second guide pin 201 of the seatback frame 200 corresponds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seatback guide 210. Accordingly, it moves linearly along the third slide hole 211.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300)의 전후 직선 운동 및 틸팅을 위한 구성으로서, 시트쿠션 프레임(300)의 측부와 인접되는 위치에 시트쿠션 가이드(310)와 시트쿠션 구동장치(320)가 배치된다.As a configuration for the front and rear linear motion and tilting of the seat cushion frame 300, a seat cushion guide 310 and a seat cushion driving device 320 are dispos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side of the seat cushion frame 300.

상기 시트쿠션 가이드(310)는 내측부에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300)의 측단부가 틸팅 및 직선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고, 하단부가 차체에 힌지 체결되어 전후 방향으로 회전하는 구조로 구비된다.The seat cushion guide 310 is provided with a structure in which a side end portion of the seat cushion frame 300 is tilted and linearly moved to an inner portion thereof, and a lower portion thereof is hinged to a vehicle body to rotate in a front-rear direction.

이를 위해,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시트쿠션 가이드(310)는 길다란 막대형 프레임으로서, 내측부에 장공 형태의 제5슬라이드 홀(311)이 관통 형성되고, 외측부에도 장공 형태의 제6슬라이드 홀(312)이 관통 형성된 구조로 구비된다.To this end, as shown in FIG. 4, the seat cushion guide 310 is a long rod-shaped frame, and a fifth slide hole 311 in a long hole is formed through the inner portion, and a sixth slide hole 312 in a long hole is formed on the outer side. ) Is provided in a through-formed structure.

또한, 상기 시트쿠션 가이드(310)의 하단부는 차체 플로어(42)에 장착된 제2가이드 마운팅 브라켓(213)의 앞쪽에 힌지 체결되어, 시트쿠션 가이드(310)는 하단부 힌지 체결점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을 향하여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seat cushion guide 310 is hinged to the front of the second guide mounting bracket 213 mounted on the vehicle body floor 42, so that the seat cushion guide 310 is up and down around the hinge fastening point at the lower end. It is in a state of being able to rotate toward the direction.

이때, 도 4에서 잘 볼 수 있듯이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300)의 측단부에는 시트쿠션 가이드(310)의 제5슬라이드 홀(311)에 회전 및 직선 이동 가능하게 삽입 체결되는 제3가이드 핀(301)이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At this time, as can be seen well in Figure 4, the third guide pin 301 inserted into the fifth slide hole 311 of the seat cushion guide 310 to enable rotation and linear movement at the side end of the seat cushion frame 300 ) Is formed integrally protruding.

상기 시트쿠션 구동장치(320)는 시트쿠션 가이드(310)의 외측부에 형성된 제6슬라이드 홀(312)에 회전 및 직선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어, 시트쿠션 가이드(310)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한다.The seat cushion driving device 320 is fastened to the sixth slide hole 312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seat cushion guide 310 so as to be rotatably and linearly moved, so as to provide a driving force for rotating the seat cushion guide 310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provide.

이를 위해,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시트쿠션 구동장치(320)는 차체 사이드(40)에 모터 마운팅 브라켓(322)을 매개로 장착되는 제3모터(321)와, 일단부는 제3모터(321)의 출력축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타단부는 시트쿠션 가이드(310)의 제6슬라이드 홀(312)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삽입 체결되는 제3회전바(323)로 구성된다.To this end, as shown in FIG. 4, the seat cushion driving device 320 includes a third motor 321 mounted on a vehicle body side 40 via a motor mounting bracket 322, and a third motor 321 at one end thereof. It is rotatably fastened to the output shaft of the, the other end is composed of a third rotation bar 323 that is inserted and fastened to be linearly movable into the sixth slide hole 312 of the seat cushion guide 310.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회전바(323)의 타단부는 시트백 가이드(310)의 제6슬라이드 홀(312)에 삽입 체결되도록 직각으로 절곡되고, 이탈 방지를 위해 제6슬라이드 홀(312)의 폭 보다 크게 형성된다.Preferably, the other end of the third rotation bar 323 is bent at a right angle to be inserted into the sixth slide hole 312 of the seatback guide 310, and the sixth slide hole 312 is It is formed larger than the width.

따라서, 상기 제3모터(321)의 구동에 의하여 제3회전바(323)가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3회전바(323)의 타단부가 시트쿠션 가이드(310)의 제6슬라이드 홀(312)에 삽입 체결된 상태이므로 시트쿠션 가이드(310)도 그 하단부 힌지 체결점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을 향하여 제3회전바(323)와 함께 회전하게 되며, 이때 제3회전바(323)의 타단부는 시트쿠션 가이드(310)의 회전각도에 따라 제6슬라이드 홀(312)을 따라 직선 이동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third rotation bar 323 is rot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driving of the third motor 321, the other end of the third rotation bar 323 is a sixth slide hole of the seat cushion guide 310 Since the seat cushion guide 310 is inserted and fastened to the 312, the seat cushion guide 310 also rotates with the third rotation bar 323 in the vertical direction around the hinge fastening point at the lower end thereof. The other end moves linearly along the sixth slide hole 312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seat cushion guide 310.

이와 동시에, 상기 시트쿠션 가이드(310)의 제5슬라이드 홀(311)에 시트쿠션 프레임(300)의 제3가이드 핀(301)이 삽입 체결된 상태이므로 시트쿠션 프레임(300)도 시트백 프레임(200)과 연결된 힌지축(304)을 중심으로 시트쿠션 가이드(310)와 함께 전후방향을 향하여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고, 이때 시트쿠션 프레임(300)의 제3가이드 핀(301)이 시트쿠션 가이드(310)의 회전각도에 따라 제5슬라이드 홀(311)을 따라 직선 이동하게 된다.At the same time, since the third guide pin 301 of the seat cushion frame 300 is inserted into the fifth slide hole 311 of the seat cushion guide 310, the seat cushion frame 300 is also a seat back frame 200. ) Is in a state capable of being rotated toward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with the seat cushion guide 310 around the hinge shaft 304 connected to the seat cushion, and at this time, the third guide pin 301 of the seat cushion frame 300 is the seat cushion guide 310 ) Is moved linearly along the fifth slide hole 311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한편,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300)의 전후진 및 틸팅을 위하여 시트쿠션 프레임(300)의 전단부에 시트쿠션 서포트 장치(330)가 장착된다.On the other hand, the seat cushion support device 330 is mounted on the front end of the seat cushion frame 300 for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and tilting of the seat cushion frame 300.

상기 시트쿠션 서포트 장치(330)는 도 5에서 보듯이, 차체 플로어(42)에 상하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유압 실린더(331)와, 이 유압 실린더(331)에 전후진 가능하게 포함된 것으로서 시트쿠션 프레임(300)의 전단부에 힌지 체결되는 피스톤(332)과, 유압 실린더(331)에 유압을 제공하는 유압모터(333)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5, the seat cushion support device 330 includes a hydraulic cylinder 331 mounted to be rotatable up and down on the vehicle body floor 42, and a seat cushion included in the hydraulic cylinder 331 so as to be able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It consists of a piston 332 hinged to the front end of the frame 300 and a hydraulic motor 333 that provides hydraulic pressure to the hydraulic cylinder 331.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차체 플로어(42)에 장착된 제1서포트 브라켓(334)에 유압실린더(331)의 후부가 회전 가능하게 힌지 체결되고,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300)의 전단부에 장착된 제2서포트 브라켓(335)에 피스톤(332)의 전단부가 힌지 체결된다.In more detail, the rear portion of the hydraulic cylinder 331 is hinged to the first support bracket 334 mounted on the vehicle body floor 42 so as to be rotatable, and mounted on the front end of the seat cushion frame 300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piston 332 is hinged to the second support bracket 335 that has been formed.

더욱이, 상기 제1서포트 브라켓(334)의 측부에는 유압실린더(331)를 상하로 강제 회전시키기 위한 별도의 보조모터(336)가 더 장착된다.Furthermore, a separate auxiliary motor 336 for forcibly rotating the hydraulic cylinder 331 up and down is further mounted on the side of the first support bracket 334.

즉, 상기 보조모터(336)의 출력축을 제1서포트 브라켓(334)와 유압실린더(331)의 후부 간의 힌지 체결점에 연결함으로써, 도 8에서 보듯이 보조모터(336)의 회전 구동력에 의하여 유압실린더(331)의 후부 힌지 체결점을 중심으로 유압실린더(331) 및 피스톤(332)을 보다 용이하게 상하로 강제 회전시킬 수 있다.That is, by connecting the output shaft of the auxiliary motor 336 to the hinge fastening point between the first support bracket 334 and the rear portion of the hydraulic cylinder 331, the hydraulic pressure by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of the auxiliary motor 336 as shown in FIG. It is possible to forcibly rotate the hydraulic cylinder 331 and the piston 332 up and down more easily around the hinge fastening point of the cylinder 331.

한편, 상기 숄더 프레임(100)과 시트백 프레임(200)과 시트쿠션 프레임(300)의 양측부에 걸쳐 소정 높이의 공간 구획용 트림(50)이 차체 사이드(40)와 결합되며 배치되는 바, 공간 구획용 트림(50)은 승객에게 독립적인 공간감과 및 안락감을 제공하는 기능을 하게 되고, 또한 각 프레임(100,200,300) 및 차체 사이드(40) 등에 조립되는 상기한 각 부품들을 외관미를 고려하여 보이지 않게 가려주는 역할을 한다.On the other hand, the shoulder frame 100, the seat back frame 200 and the seat cushion frame 300 across both sides of the space division trim 50 of a predetermined height is combined with the vehicle body side 40 and arranged bar, space The compartment trim 50 functions to provide passengers with an independent sense of space and comfort, and the above-described parts assembled in each frame (100, 200, 300) and the body side (40) are invisible in consideration of the aesthetic beauty. It acts as a mask.

여기서, 상기한 구성들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멀티 포지션 시트에 대한 다양한 작동 모드를 살펴보기로 한다.Here, various operation modes for the multi-position seat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s will be described.

첨부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멀티 포지션 시트의 피스톤 전진 구동에 따라 시트가 움직이는 궤적을 도시한 측면도이다.7 is a side view showing a trajectory of movement of the seat according to the piston forward driving of the multi-position seat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서 보듯이, 상기 유압실린더(331)의 구동에 의하여 피스톤(332)이 전진하면, 피스톤(332)의 전단부가 시트쿠션 프레임(300)의 전단부에 힌지 체결된 상태이므로 시트쿠션 프레임(300)이 전진하여 시트쿠션의 앞단부 길이가 전방으로 증대되는 시트 익스텐션 동작이 구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when the piston 332 advances by the drive of the hydraulic cylinder 331, the front end of the piston 332 is hinged to the front end of the seat cushion frame 300, so the seat cushion frame ( The seat extension operation may be implemented in which the length of the front end of the seat cushion is increased forward by moving 300).

이와 동시에,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300)이 전진함에 따라 시트쿠션 프레임(300)과 시트백 프레임(200) 간에 연결된 힌지 포인트 즉, 힌지축(304)이 전진되는 상태가 된다.At the same time, as the seat cushion frame 300 advances, a hinge point connected between the seat cushion frame 300 and the seat back frame 200, that is, the hinge shaft 304 is in a state in which the seat cushion frame 300 is advanced.

또한, 상기 힌지축(304)의 전진에 의하여 시트백 프레임(200)의 하단부가 전방으로 당겨지는 동시에 시트백 프레임(200)의 제2가이드 핀(201)이 정지된 상태인 시트백 가이드(210)의 제3슬라이드 홀(211)에 삽입된 상태이므로 시트백 프레임(200) 전체가 힌지축(304)을 중심으로 후방으로 기울어지는 틸팅이 이루어지게 된다.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seatback frame 200 is pulled forward by the advance of the hinge shaft 304 and the second guide pin 201 of the seatback frame 200 is stopped. 3 Since it is inserted into the slide hole 211, the entire seatback frame 200 is tilted rearwardly around the hinge axis 304.

또한, 상기 시트백 프레임(200)의 후방 틸팅시 시트백 프레임(200)과 힌지축(104)에 의하여 연결된 숄더 프레임(100)은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때 숄더 프레임(100)의 제1가이드 핀(101)이 정지 상태인 숄더 가이드(110)의 제1슬라이드 홀(111)을 따라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seatback frame 200 is tilted rearward, the shoulder frame 100 connected by the seatback frame 200 and the hinge shaft 104 moves downward, and at this time, the first guide pin of the shoulder frame 100 101 moves downward along the first slide hole 111 of the shoulder guide 110 in a stationary state.

이와 같이, 상기 피스톤(332)의 전진 구동시 시트쿠션의 전단부가 늘어나는 시트 익스텐션 동작과 시트백이 후방으로 기울어지는 틸팅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승객이 시트쿠션 익스텐션 및 시트백 틸팅을 동시에 원할 경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piston 332 is driven forward, the seat extension operation in which the front end of the seat cushion is stretched and the tilting operation in which the seat back inclines rearward are simultaneously performed, so that it is useful when a passenger wants the seat cushion extension and the seat back tilt at the same time Can be used.

첨부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멀티 포지션 시트의 피스톤 각도 조절에 따라 시트가 움직이는 궤적을 도시한 측면도이다.8 is a side view showing a trajectory of a seat movement according to the piston angle adjustment of the multi-position seat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모터(336)를 구동시켜서 유압실린더(331) 및 피스톤(332)을 상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피스톤(332)의 전단부가 시트쿠션 프레임(300)의 전단부에 힌지 체결된 상태이므로 시트쿠션 프레임(300)의 전단부가 상승하여 시트쿠션의 후방 틸팅이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8, when the auxiliary motor 336 is driven to rotate the hydraulic cylinder 331 and the piston 332 upward, the front end of the piston 332 is the front end of the seat cushion frame 300 Since the seat cushion frame 300 is hinged,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seat cushion frame 300 rises to allow rear tilting of the seat cushion.

이때,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300)의 전단부가 상승할 때 시트백 프레임(200)의 제2가이드 핀(201)을 중심으로 시트쿠션 프레임(300)의 후단부는 하강하게 되고, 이에 시트백 프레임(200)과의 힌지 체결점인 힌지축(304)도 하강하여 시트백 프레임(200)과 숄더 프레임(100)이 아래쪽으로 당겨지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front end of the seat cushion frame 300 is raised, the rear end of the seat cushion frame 300 is lowered around the second guide pin 201 of the seat back frame 200, and thus the seat back frame 200 The hinge shaft 304, which is a hinge fastening point of the and, is also lowered so that the seatback frame 200 and the shoulder frame 100 are pulled downward.

이와 동시에, 상기 시트백 프레임(200)의 제2가이드 핀(201)이 시트백 가이드(210)의 제3슬라이드 홀(211)을 따라 하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숄더 프레임(100)의 제1가이드 핀(101)이 숄더 가이드(110)의 제1슬라이드 홀(111)을 따라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시트백 프레임(200)과 숄더 프레임(300)의 틸팅각이 가변될 수 있다.At the same time, the second guide pin 201 of the seatback frame 200 moves downward along the third slide hole 211 of the seatback guide 210 or the first guide pin of the shoulder frame 100 ( As 101 moves downward along the first slide hole 111 of the shoulder guide 110, the tilting angles of the seatback frame 200 and the shoulder frame 300 may be varied.

이와 같이, 상기 피스톤(332)의 상하 회전 궤적에 의하여 시트쿠션의 틸팅각도를 비롯하여 시트백 및 숄더의 틸팅각도가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승객이 시트쿠션 틸팅 및 시트백 틸팅을 동시에 원할 경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In this way, by adjusting the tilt angle of the seat cushion as well as the tilt angle of the seat back and shoulder by the vertical rotation trajectory of the piston 332, it can be usefully used when a passenger wants the seat cushion tilt and the seat back tilt at the same time.

첨부한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멀티 포지션 시트의 숄더 가이드 작동에 따라 시트가 움직이는 궤적을 도시한 측면도이다.9 is a side view showing a trajectory of movement of the sea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houlder guide of the multi-position seat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숄더 프레임(100)의 틸팅 각도 만을 조절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9, only the tilting angle of the shoulder frame 100 can be adjusted.

이를 위해, 상기 숄더 구동장치(120)의 제1모터(121)를 구동시키면, 제1모터(121)의 출력축에 연결된 제1회전바(123)가 마치 스윙을 하듯이 전후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To this end, when the first motor 121 of the shoulder driving device 120 is driven, the first rotating bar 123 connected to the output shaft of the first motor 121 rotate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s if swinging. do.

이와 동시에, 상기 제1회전바(123)의 타단부가 숄더 가이드(110)의 제2슬라이드 홀(112)에 삽입된 상태이므로, 상기 제1회전바(123)의 회전시 숄더 가이드(110)도 그 하단부 힌지 체결점을 중심으로 전후방향을 향하여 회전을 하게 된다.At the same time, since the other end of the first rotation bar 123 is inserted into the second slide hole 112 of the shoulder guide 110, the shoulder guide 110 when the first rotation bar 123 rotates. Also rotates toward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round the hinge fastening point at the lower end.

또한, 상기 숄더 가이드(110)의 제1슬라이드 홀(111)에 숄더 프레임(100)의 제1가이드 핀(101)이 삽입된 상태이므로, 상기 숄더 프레임(100)도 힌지축(104)을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향하여 회전을 하게 됨으로써, 숄더 프레임(100)이 내장된 숄더(10)의 전후 틸팅 각도가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irst guide pin 101 of the shoulder frame 100 is inserted into the first slide hole 111 of the shoulder guide 110, the shoulder frame 100 is also centered on the hinge axis 104. By rotat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front-rear tilting angle of the shoulder 10 in which the shoulder frame 100 is embedded can be easily adjusted.

이때, 상기 숄더 프레임(100)의 틸팅 동작시 제1가이드 핀(101)이 숄더 가이드(110)의 제1슬라이드 홀(111)을 따라 직선 이동하는 동시에 상기 제1회전바(123)의 타단부는 제2슬라이드 홀(112)을 따라 직선 이동하게 됨으로써, 숄더 프레임(100)의 전후방향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shoulder frame 100 is tilted, the first guide pin 101 moves linearly along the first slide hole 111 of the shoulder guide 110 and at the same time the other end of the first rotation bar 123 By moving linearly along the second slide hole 112, the shoulder frame 100 can be easily rotat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이와 같이, 상기 숄더의 틸팅 각도만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승객이 어깨 부분과 목 부분을 뒤로 젖히고 싶을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In this way, by allowing only the tilting angle of the shoulder to be adjusted, it can be usefully used when the passenger wants to tilt the shoulder and neck back.

첨부한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멀티 포지션 시트의 시트백 가이드 작동에 따라 시트가 움직이는 궤적을 도시한 측면도이다.FIG. 10 is a side view showing a trajectory of a seat movement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a seat back guide of a multi-position seat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백 프레임(200)의 틸팅 각도 만을 조절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0, only the tilting angle of the seatback frame 200 can be adjusted.

이를 위해, 상기 시트백 구동장치(220)의 제2모터(221)를 구동시키면, 제2모터(221)의 출력축에 연결된 제2회전바(223)가 마치 스윙을 하듯이 전후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To this end, when the second motor 221 of the seatback driving device 220 is driven, the second rotation bar 223 connected to the output shaft of the second motor 221 rotate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s if swinging. do.

이와 동시에, 상기 제2회전바(223)의 타단부가 시트백 가이드(210)의 제4슬라이드 홀(212)에 삽입된 상태이므로, 상기 제2회전바(223)의 회전시 시트백 가이드(210)도 그 하단부 힌지 체결점을 중심으로 전후방향을 향하여 회전을 하게 된다.At the same time, since the other end of the second rotary bar 223 is inserted into the fourth slide hole 212 of the seatback guide 210, the seatback guide 210 when the second rotary bar 223 rotates. Also rotates toward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round the hinge fastening point at the lower end.

또한, 상기 시트백 가이드(210)의 제3슬라이드 홀(211)에 시트백 프레임(200)의 제2가이드 핀(201)이 삽입된 상태이므로, 상기 시트백 프레임(200)도 힌지축(304)을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향하여 회전을 하게 됨으로써, 시트백 프레임(200)이 내장된 시트백(20)의 전후 틸팅 각도가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econd guide pin 201 of the seatback frame 200 is inserted into the third slide hole 211 of the seatback guide 210, the seatback frame 200 is also centered on the hinge axis 304. By rotating toward the front-rear direction, the front-rear tilting angle of the seatback 20 in which the seatback frame 200 is embedded can be easily adjusted.

이때, 상기 시트백 프레임(200)의 틸팅 동작시 제2가이드 핀(201)이 시트백 가이드(210)의 제3슬라이드 홀(211)을 따라 직선 이동하는 동시에 상기 제2회전바(223)의 타단부는 제4슬라이드 홀(212)을 따라 직선 이동하게 됨으로써, 시트백 프레임(200)의 전후방향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seatback frame 200 is tilted, the second guide pin 201 moves linearly along the third slide hole 211 of the seatback guide 210 and at the same time the other end of the second rotation bar 223 By moving linearly along the fourth slide hole 212, the seatback frame 200 can be easily rotat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더욱이, 상기 시트백 프레임(200)의 틸팅 동작시 시트백 프레임(200)와 힌지축(104)으로 연결된 숄더 프레임(100)이 상방으로 밀리거나 하방으로 당겨지게 되고, 이와 동시에 숄더 가이드(110)가 고정된 상태에서 숄더 프레임(100)의 제1가이드 핀(101)이 숄더 가이드(110)의 제1슬라이드 홀(111)을 따라 직선 이동함으로써, 숄더 프레임(100)의 전후방향 틸팅 각도로 함께 조절될 수 있다.Moreover, when the seatback frame 200 is tilted, the shoulder frame 100 connected by the seatback frame 200 and the hinge shaft 104 is pushed upward or pulled downward, and the shoulder guide 110 is fixed at the same time. The first guide pin 101 of the shoulder frame 100 is moved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first slide hole 111 of the shoulder guide 110, so that it can be adjusted together with the tilting angl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shoulder frame 100. I can.

이와 같이,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틸팅 각도 조절과 숄더의 틸팅 각도를 함께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승객이 상체를 시트백에 기대는 각도를 조절하고 싶을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In this way, by allowing the tilting angle of the seatback frame and the tilting angle of the shoulder to be adjusted together, it can be usefully used when the passenger wants to adjust the angle in which the upper body leans against the seatback.

첨부한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멀티 포지션 시트의 시트쿠션 가이드 작동에 따라 시트가 움직이는 궤적을 도시한 측면도이다.11 is a side view showing a trajectory of movement of the sea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eat cushion guide of the multi-position seat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300)의 틸팅 각도 만을 조절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1, only the tilting angle of the seat cushion frame 300 can be adjusted.

이를 위해, 상기 시트쿠션 구동장치(320)의 제3모터(321)를 구동시키면, 제3모터(321)의 출력축에 연결된 제3회전바(323)가 마치 스윙을 하듯이 상하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To this end, when the third motor 321 of the seat cushion driving device 320 is driven, the third rotation bar 323 connected to the output shaft of the third motor 321 rotat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if swinging. Is done.

이와 동시에, 상기 제3회전바(323)의 타단부가 시트쿠션 가이드(310)의 제6슬라이드 홀(312)에 삽입된 상태이므로, 상기 제3회전바(323)의 회전시 시트쿠션 가이드(310)도 그 후단부 힌지 체결점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을 향하여 회전을 하게 된다.At the same time, since the other end of the third rotation bar 323 is inserted into the sixth slide hole 312 of the seat cushion guide 310, the seat cushion guide ( 310) also rotates upward and downward around the hinge fastening point at the rear end.

또한, 상기 시트쿠션 가이드(310)의 제5슬라이드 홀(311)에 시트쿠션 프레임(300)의 제3가이드 핀(301)이 삽입된 상태이므로,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300)의 후단부도 힌지축(304)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향하여 회전을 하게 됨으로써, 시트쿠션 프레임(300)이 내장된 시트쿠션(30)의 전후 틸팅 각도가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third guide pin 301 of the seat cushion frame 300 is inserted into the fifth slide hole 311 of the seat cushion guide 310, the rear end of the seat cushion frame 300 is also a hinge axis. By rot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round (304), the front and rear tilting angle of the seat cushion 30 in which the seat cushion frame 300 is embedded can be easily adjusted.

이와 같이,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의 틸팅 각도만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승객이 하체의 착석 각도를 조절하고 싶을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In this way, by allowing only the tilting angle of the seat cushion frame to be adjusted, it can be usefully used when the passenger wants to adjust the seating angle of the lower body.

한편, 상기 제1 내지 제3모터(121,221,321)의 출력축 회전수 및 회전 각도, 그리고 상기 피스톤(332)의 전후진 길이 및 각도 등을 제어기의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시트 포지션이 구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number of rotations and angles of the output shafts of the first to third motors 121, 221, 321, and the length and angle of the piston 332 can be individually controlled using a control signal from a controller. Seat position can be implemented.

여기서, 본 발명의 멀티 포지션 시트의 다양한 시트 포지션 구현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 looking at various seat position implementation examples of the multi-position sea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첨부한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멀티 포지션 시트의 세미 릴렉스 모드가 구현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12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mi-relaxation mode of the multi-position seat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객의 하체 착석 면적을 조절하는 동시에 상체를 뒤로 젖히면서 기댈 수 있는 세미 릴렉스 모드가 구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2, a semi-relax mode in which a passenger's lower body seating area can be adjusted and the upper body can be reclined while leaning back may be implemented.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332) 전진에 따른 시트쿠션(30)의 전단부가 늘어나는 익스텐션 작동과, 제1모터(121) 구동에 따른 숄더 가이드(110) 및 숄더 프레임(100)의 후방 틸팅 작동과, 제2모터(221) 구동에 따른 시트백 가이드(210) 및 시트백 프레임(200)의 후방 틸팅 작동 등이 조합되도록 함으로써, 승객의 하체 착석 면적을 조절하는 동시에 상체를 뒤로 젖히면서 기댈 수 있는 세미 릴렉스 모드가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xtension operation in which the front end of the seat cushion 30 increases according to the advance of the piston 332 and the rear tilting operation of the shoulder guide 110 and the shoulder frame 100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first motor 121 And, by allowing the rear tilting operation of the seatback guide 210 and the seatback frame 200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second motor 221 to be combined,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lower body seating area of the passenger and at the same time The relaxation mode can be easily implemented.

첨부한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멀티 포지션 시트의 딥 릴렉스 모드가 구현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13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eep relaxation mode of a multi-position seat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객의 하체 착석 면적을 조절하는 동시에 상체를 누울 수 있는 자세로 맞추어줄 수 있는 딥 릴렉스 모드가 구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3, a deep relaxation mode capable of adjusting a passenger's lower body seating area and adjusting the upper body to a lying position may be implemented.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332) 전진에 따른 시트쿠션(30)의 전단부가 늘어나는 익스텐션 작동과, 제1모터(121) 구동에 따른 숄더 가이드(110) 및 숄더 프레임(100)의 후방 틸팅 작동과, 제2모터(221) 구동에 따른 시트백 가이드(210) 및 시트백 프레임(200)의 후방 틸팅 작동과, 제3모터(321) 구동에 따른 시트쿠션 가이드(310)의 틸팅 각도 조절에 의한 시트쿠션 프레임(300)의 후단부 상승 작동 등이 조합되도록 함으로써, 승객의 하체 착석 면적을 조절하는 동시에 상체를 취침 등을 위해 누울 수 있는 딥 릴렉스 모드가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xtension operation in which the front end of the seat cushion 30 increases according to the advance of the piston 332 and the rear tilting operation of the shoulder guide 110 and the shoulder frame 100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first motor 121 And, the rear tilting operation of the seatback guide 210 and the seatback frame 200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second motor 221, and the seat by adjusting the tilting angle of the seat cushion guide 310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third motor 321 By allowing the rear end of the cushion frame 300 to be lifted together, a deep relaxation mode in which a passenger's lower body seating area can be adjusted and the upper body can be lie down for sleeping, etc. can be easily implemented.

첨부한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멀티 포지션 시트의 스마트 릴렉스 모드가 구현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14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mart relaxation mode of a multi-position seat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객이 누울 수 있는 딥 릴렉스 모드에서 숄더의 틸팅 각도를 조절하여 독서 등을 위한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는 스마트 릴렉스 모드가 구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4, in a deep relaxation mode in which a passenger can lie down, a smart relaxation mode can be implemented in which a comfortable posture for reading, etc. can be obtained by adjusting the tilting angle of the shoulder.

상기와 같이, 승객의 하체 착석 면적을 조절하는 동시에 상체를 취침 등을 위해 누울 수 있는 딥 릴렉스 모드가 구현된 후, 제1모터(121)의 역구동에 따른 숄더 가이드(110) 및 숄더 프레임(100)의 틸팅 작동을 통해 숄더(10) 만이 전방으로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승객이 누운 자세에서 상체 및 어깨 부분을 전방으로 약간 세워지게 하여 독서 등을 위한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fter a deep relaxation mode in which a passenger's lower body seating area can be adjusted while the upper body can lie down for sleeping, etc. is implemented, the shoulder guide 110 and the shoulder frame according to the reverse driving of the first motor 121 ( By allowing only the shoulder 10 to rotate forward through the tilting operation of 100), the upper body and shoulder portions are slightly erected forward in the passenger's lying position, so that a comfortable posture for reading, etc. can be taken.

첨부한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멀티 포지션 시트의 시트 하이트 조절 모드가 구현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FIG. 15 is a side view showing a seat height adjustment mode of a multi-position seat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쪽 승객의 전방 시야가 프론트 시트 등에 의하여 가려지는 경우, 전체 시트 높이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리어 시트쪽 승객의 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시트 하이트 조절 모드가 구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5, when the front view of the rear passenger is obscured by the front seat, etc., the seat height adjustment mode is provided to secure the front view of the rear passenger by allowing the entire seat height to be raised or lowered. Can be implemented.

이를 위해, 상기 보조모터(336)를 구동시켜서 유압실린더(331)의 후부 힌지 체결점을 중심으로 유압실린더(331) 및 피스톤(332)을 상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시트쿠션 프레임의 전단부의 높이를 상승시킨다.To this end, by driving the auxiliary motor 336 to rotate the hydraulic cylinder 331 and the piston 332 upward around the hinge fastening point of the hydraulic cylinder 331, the height of the front end of the seat cushion frame Raise.

이와 동시에, 상기 제3모터(321)를 구동시켜서 제3회전바(323)를 상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시에 제3회전바(323)의 타단부가 삽입 체결된 시트쿠션 가이드(310)를 그 하단 힌지 체결점을 중심으로 상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시트쿠션 가이드(310)의 제5슬라이드 홀(311)에 삽입된 제3가이드 핀(301)의 위치가 상승됨과 함께 제3가이드 핀(301)을 갖는 시트쿠션 프레임(300)도 상승하게 된다.At the same time, the third motor 321 is driven to rotate the third rotation bar 323 upward, and the other end of the third rotation bar 323 is inserted and fastened to the seat cushion guide 310 at the lower end thereof. By rotating upward around the hinge fastening point, the position of the third guide pin 301 inserted into the fifth slide hole 311 of the seat cushion guide 310 is raised and the third guide pin 301 is The seat cushion frame 300 is also raised.

이때,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300)이 상승함에 따라 시트쿠션 프레임(300)과 힌지축(304)으로 체결된 시트백 프레임(200)과, 시트백 프레임(200)과 힌지축(104)으로 체결된 숄더 프레임(100)도 동일 높이로 상승하게 된다.At this time, as the seat cushion frame 300 rises, the seat back frame 200 fastened with the seat cushion frame 300 and the hinge shaft 304, and the shoulder fastened with the seat back frame 200 and the hinge shaft 104 The frame 100 is also raised to the same height.

이와 같이,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300)을 비롯하여 시트백 프레임(200) 및 숄더 프레임(100)이 모두 상승하게 됨으로써, 결국 시트 전체 높이가 상승하여 리어 시트쪽 승객의 전방 시야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seat cushion frame 300 as well as the seat back frame 200 and the shoulder frame 100 are all raised, so that the overall height of the seat increases, so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secure the front view of the passenger toward the rear seat. .

첨부한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멀티 포지션 시트의 시트 승하차 모드가 구현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FIG. 16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at boarding and disembarkation mode of the multi-position seat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객이 하차할 경우 시트쿠션의 전단부 높이를 최대한 하강시킴으로써, 승객의 하차 동작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시트 승하차 모드가 구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6, by lowering the height of the front end of the seat cushion as much as possible when the passenger gets off, the seat boarding and disembarkation mode in which the disembarkation operation of the passenger can be conveniently performed can be implemented.

이를 위해, 상기 피스톤(332)을 최대로 후진시켜서 시트 전단부 길이를 최소화시키고, 동시에 상기 보조모터(336)를 역구동시켜서 유압실린더(331)의 후부 힌지 체결점을 중심으로 유압실린더(331) 및 피스톤(332)을 하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시트쿠션 프레임(300)의 전단부의 높이를 최대한 하강시킨다.To this end, the piston 332 is retracted to the maximum to minimize the length of the front end of the seat, and at the same time, the auxiliary motor 336 is driven in reverse to the hydraulic cylinder 331 around the rear hinge fastening point of the hydraulic cylinder 331 And by rotating the piston 332 in the downward direction, the height of the front end of the seat cushion frame 300 is lowered as far as possible.

이에,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300)이 내장된 시트쿠션(30)이 전체적으로 전방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는 상태가 됨으로써, 승객의 하차 동작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시트 승하차 모드가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seat cushion 30 in which the seat cushion frame 300 is embedded is in a state in which the seat cushion 30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front as a whole, so that a seat boarding and dismounting mode in which the disembarkation operation of the passenger can be conveniently performed can be easily implemented.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시트 포지션을 휴식 및 취침 등을 위한 세미 릴렉션 모드 및 딥 릴렉션 모드, 독서 등을 위한 스마트 릴렉션 모드, 리어쪽 승객의 전방 시야 확보를 위한 하이트 조절 모드, 승하차 보조를 위한 승하차 모드 등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승객의 신체 체형 및 상황에 맞는 자세 변경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As seen above, the seat position is set in a semi-relaxation mode and a deep relaxation mode for rest and sleep, a smart relaxation mode for reading, etc. By allowing various implementations such as a ride mode for passengers, it is possible to satisfy the desire to change the posture suitable for the body shape and situation of the passenger.

10 : 숄더 20 : 시트백
30 : 시트쿠션 40 : 차체 사이드
42 : 차체 플로어 50 : 공간 구획용 트림
100 : 숄더 프레임 101 : 제1가이드 핀
102 : 숄더 힌지브라켓 104 : 힌지축
110 : 숄더 가이드 111 : 제1슬라이드 홀
112 : 제2슬라이드 홀 113 : 제1가이드 마운팅 브라켓
120 : 숄더 구동장치 121 : 제1모터
122 : 모터 마운팅 브라켓 123 : 제1회전바
200 : 시트백 프레임 201 : 제2가이드 핀
202 : 제1시트백 힌지브라켓 204 : 제2시트백 힌지브라켓
210 : 시트백 가이드 211 : 제3슬라이드 홀
212 : 제4슬라이드 홀 213 : 제2가이드 마운팅 브라켓
220 : 시트백 구동장치 221 : 제2모터
222 : 모터 마운팅 브라켓 223 : 제2회전바
300 : 시트쿠션 프레임 301 : 제3가이드 핀
302 : 시트쿠션 힌지브라켓 304 : 힌지축
310 : 시트쿠션 가이드 311 : 제5슬라이드 홀
312 : 제6슬라이드 홀 320 : 시트쿠션 구동장치
321 : 제3모터 322 : 모터 마운팅 브라켓
323 : 제3회전바 330 : 시트쿠션 서포트 장치
331 : 유압 실린더 332 : 피스톤
333 : 유압모터 334 : 제1서포트 브라켓
335 : 제2서포트 브라켓 336 : 보조모터
10: shoulder 20: seat bag
30: seat cushion 40: body side
42: body floor 50: space compartment trim
100: shoulder frame 101: first guide pin
102: shoulder hinge bracket 104: hinge shaft
110: shoulder guide 111: first slide hole
112: second slide hole 113: first guide mounting bracket
120: shoulder drive device 121: first motor
122: motor mounting bracket 123: first rotating bar
200: seatback frame 201: second guide pin
202: first seatback hinge bracket 204: second seatback hinge bracket
210: seat back guide 211: third slide hole
212: 4th slide hole 213: 2nd guide mounting bracket
220: seatback driving device 221: second motor
222: motor mounting bracket 223: second rotation bar
300: seat cushion frame 301: third guide pin
302: seat cushion hinge bracket 304: hinge shaft
310: seat cushion guide 311: 5th slide hole
312: sixth slide hole 320: seat cushion driving device
321: third motor 322: motor mounting bracket
323: third rotating bar 330: seat cushion support device
331: hydraulic cylinder 332: piston
333: hydraulic motor 334: first support bracket
335: second support bracket 336: auxiliary motor

Claims (19)

숄더 프레임;
내측부에 상기 숄더 프레임의 측단부가 회전 및 직선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고, 하단부가 차체에 힌지 체결되어 전후 방향으로 회전하는 숄더 가이드;
상기 숄더 가이드의 외측부에 회전 및 직선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어, 숄더 가이드를 전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숄더 구동장치;
상기 숄더 프레임과 힌지 체결되는 시트백 프레임;
내측부에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측단부가 회전 및 직선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고, 하단부가 차체에 힌지 체결되어 전후 방향으로 회전하는 시트백 가이드;
상기 시트백 가이드의 외측부에 회전 및 직선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어, 시트백 가이드를 전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시트백 구동장치;
상기 시트백 프레임과 힌지 체결되는 시트쿠션 프레임;
내측부에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측단부가 회전 및 직선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고, 하단부가 차체에 힌지 체결되어 전후 방향으로 회전하는 시트쿠션 가이드;
상기 시트쿠션 가이드의 외측부에 회전 및 직선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어, 시트쿠션 가이드를 전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시트쿠션 구동장치;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의 전후진 및 틸팅을 위하여 시트쿠션 프레임의 전단부에 장착되는 시트쿠션 서포트 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멀티 포지션 시트.
Shoulder frame;
A shoulder guide that is fastened to the inner side to enable rotation and linear movement of the side end of the shoulder frame, and the lower end is hinged to the vehicle body to rotat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 shoulder driving device that is fastened to the outer portion of the shoulder guide so as to be rotatable and linearly moved, and rotates the shoulder guide in the front-rear direction;
A seatback frame hinged to the shoulder frame;
A seatback guide that rotate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by fastening the side end portion of the seatback frame to the inner portion so as to be rotatable and linearly movable, and the lower portion being hinged to the vehicle body;
A seatback driving device that is fastened to an outer portion of the seatback guide so as to be rotatable and linearly moved, and rotates the seatback guide in a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A seat cushion frame hingedly coupled to the seat back frame;
A seat cushion guide for rotating and linearly moving the side end portion of the seatback frame to the inner portion thereof, and the lower portion hingedly coupled to the vehicle body to rotate in the front-rear direction;
A seat cushion driving device that is fastened to an outer portion of the seat cushion guide so as to be rotatable and linearly movable, and rotates the seat cushion guide in a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A seat cushion support device mounted on the front end of the seat cushion frame for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and tilting of the seat cushion frame;
Automotive multi-position seat,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숄더 가이드의 내측부에는 제1슬라이드 홀이 형성되고, 상기 숄더 프레임의 측단부에는 제1슬라이드 홀에 회전 및 직선 이동 가능하게 삽입 체결되는 제1가이드 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멀티 포지션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slide hole is formed in the inner portion of the shoulder guide, and a first guide pin is formed in the side end portion of the shoulder frame so as to be rotatably and linearly moved into the first slide hole.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숄더 가이드의 하단부는 차체에 장착된 제1가이드 마운팅 브라켓에 힌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멀티 포지션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multi-position seat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end of the shoulder guide is hinged to the first guide mounting bracket mounted on the vehicle bod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숄더 구동장치는:
차체에 모터 마운팅 브라켓을 매개로 장착되는 제1모터;
일단부는 제1모터의 출력축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타단부는 숄더 가이드의 외측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1회전바;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멀티 포지션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houlder drive is:
A first motor mounted on the vehicle body through a motor mounting bracket;
A first rotation bar that is rotatably fastened to the output shaft of the first motor, and the other end is fastened to be linearly movable to the outer side of the shoulder guide;
Automotive multi-position sea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숄더 가이드의 외측부에는 제1회전바의 타단부가 직선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슬라이드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멀티 포지션 시트.
The method of claim 4,
A multi-position seat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a second slide hole in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first rotation bar is linearly movable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shoulder guid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 가이드의 내측부에는 제3슬라이드 홀이 형성되고,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측단부에는 제3슬라이드 홀에 회전 및 직선 이동 가능하게 삽입 체결되는 제2가이드 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멀티 포지션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third slide hole is formed in the inner portion of the seatback guide, and a second guide pin is formed in the side end portion of the seatback frame so as to be rotatably and linearly moved to the third slide hole.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 가이드의 하단부는 차체에 장착된 제2가이드 마운팅 브라켓의 뒤쪽에 힌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멀티 포지션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multi-position seat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end of the seatback guide is hinged to the rear of the second guide mounting bracket mounted on the vehicle bod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 구동장치는:
차체에 모터 마운팅 브라켓을 매개로 장착되는 제2모터;
일단부는 제2모터의 출력축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타단부는 시트백 가이드의 외측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회전바;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멀티 포지션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atback driving device is:
A second motor mounted on the vehicle body through a motor mounting bracket;
A second rotation bar that is rotatably fastened to the output shaft of the second motor, and the other end is fastened to be linearly movable to the outer side of the seatback guide;
Automotive multi-position sea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 가이드의 외측부에는 제2회전바의 타단부가 직선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4슬라이드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멀티 포지션 시트.
The method of claim 8,
A multi-position seat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a fourth slide hole in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second rotation bar is linearly movable is formed at an outer portion of the seatback guid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트쿠션 가이드의 내측부에는 제5슬라이드 홀이 형성되고,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의 측단부에는 제5슬라이드 홀에 회전 및 직선 이동 가능하게 삽입 체결되는 제3가이드 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멀티 포지션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fth slide hole is formed in the inner portion of the seat cushion guide, and a third guide pin is formed in the side end portion of the seat cushion frame so as to be rotatably and linearly moved into the fifth slide hole. Position shee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트쿠션 가이드의 하단부는 차체에 장착된 제2가이드 마운팅 브라켓의 앞쪽에 힌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멀티 포지션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multi-position seat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end of the seat cushion guide is hinged to the front of the second guide mounting bracket mounted on the vehicle bod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트쿠션 구동장치는:
차체에 모터 마운팅 브라켓을 매개로 장착되는 제3모터;
일단부는 제3모터의 출력축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타단부는 시트쿠션 가이드의 외측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3회전바;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멀티 포지션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at cushion driving device is:
A third motor mounted on the vehicle body via a motor mounting bracket;
A third rotation bar rotatably fastened to the output shaft of the third motor, and the other end rotatably fastened to the outer side of the seat cushion guide;
Automotive multi-position sea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시트쿠션 가이드의 외측부에는 제3회전바의 타단부가 직선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6슬라이드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멀티 포지션 시트.
The method of claim 12,
A multi-position seat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a sixth slide hole in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third rotation bar is linearly movable is formed at an outer portion of the seat cushion guid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숄더 프레임과 시트백 프레임 간의 힌지 체결을 위하여, 상기 숄더 프레임의 하부에 숄더 힌지브라켓이 장착되고, 시트백 프레임의 상부에 제1시트백 힌지브라켓이 장착되어, 숄더 힌지브라켓과 제1시트백 힌지브라켓이 힌지축으로 상호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멀티 포지션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o fasten the hinge between the shoulder frame and the seatback frame, a shoulder hinge bracket is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shoulder frame, and a first seatback hinge bracket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atback frame, so that the shoulder hinge bracket and the first seatback hinge bracket are hinged. Multi-position seats for automobiles,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ft is mutually fasten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 프레임과 시트쿠션 프레임 간의 힌지 체결을 위하여,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하부에 제2시트백 힌지브라켓이 장착되고, 시트쿠션 프레임의 후부에 시트쿠션 힌지브라켓이 장착되어, 제2시트백 힌지브라켓과 시트쿠션 힌지브라켓이 힌지축으로 상호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멀티 포지션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o fasten the hinge between the seatback frame and the seat cushion frame, a second seatback hinge bracket is mounted under the seatback frame, and a seat cushion hinge bracket is mounted at the rear of the seat cushion frame, so that the second seatback hinge bracket and the seat cushion Multi-position seat for automobiles, characterized in that the hinge brackets are mutually fastened by a hinge shaf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트쿠션 서포트 장치는:
차체 플로어에 상하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유압 실린더;
유압 실린더에 전후진 가능하게 포함된 것으로서, 시트쿠션 프레임의 전단부에 힌지 체결되는 피스톤;
유압 실린더에 유압을 제공하는 유압모터;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멀티 포지션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at cushion support device:
A hydraulic cylinder mounted to the vehicle body floor so as to be rotatably vertically;
A piston that is included in a hydraulic cylinder to be forward and backward, and is hinged to the front end of the seat cushion frame;
A hydraulic motor that provides hydraulic pressure to the hydraulic cylinder;
Automotive multi-position sea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차체 플로어에는 유압실린더의 후부가 회전 가능하게 힌지 체결되는 제1서포트 브라켓이 장착되고,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의 전단부에는 피스톤이 힌지 체결되는 제2서포트 브라켓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멀티 포지션 시트.
The method of claim 16,
The vehicle body floor is equipped with a first support bracket to which the rear portion of the hydraulic cylinder is hinged so as to be rotatable, and a second support bracket to which a piston is hinged is mounted at the front end of the seat cushion frame. Position sheet.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1서포트 브라켓에는 유압실린더를 상하로 강제 회전시키기 위한 별도의 보조모터가 더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멀티 포지션 시트.
The method of claim 17,
A multi-position seat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a separate auxiliary motor for forcibly rotating the hydraulic cylinder up and down is further mounted on the first support bracke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숄더 프레임과 시트백 프레임과 시트쿠션 프레임의 양측부에 걸쳐 승객에게 독립적인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소정 높이의 공간 구획용 트림이 차체와 결합되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멀티 포지션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multi-position seat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a space division trim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for providing an independent space to a passenger across both sides of the shoulder frame, the seatback frame, and the seat cushion frame is combined with the vehicle body and disposed.
KR1020190028472A 2019-03-13 2019-03-13 Multi-position seat for vehicle KR1021532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472A KR102153216B1 (en) 2019-03-13 2019-03-13 Multi-position seat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472A KR102153216B1 (en) 2019-03-13 2019-03-13 Multi-position seat for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3216B1 true KR102153216B1 (en) 2020-09-07

Family

ID=72471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8472A KR102153216B1 (en) 2019-03-13 2019-03-13 Multi-position seat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321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3602A (en) 2021-11-19 2023-05-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seat position based learn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2296A (en) * 2004-10-28 2006-05-19 니혼 하츠쵸 가부시키가이샤 A vehicular seat
JP2007536143A (en) * 2004-04-30 2007-12-13 ヘクター サーバー Seat assembly and method with movable seat and backrest
KR101317653B1 (en) * 2012-09-06 2013-10-15 현대다이모스(주) Apparatis for tilting seat
KR101746457B1 (en) * 2015-12-24 2017-06-14 현대다이모스(주) Apparatus for reclining rear seat for vehic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36143A (en) * 2004-04-30 2007-12-13 ヘクター サーバー Seat assembly and method with movable seat and backrest
KR20060052296A (en) * 2004-10-28 2006-05-19 니혼 하츠쵸 가부시키가이샤 A vehicular seat
KR101317653B1 (en) * 2012-09-06 2013-10-15 현대다이모스(주) Apparatis for tilting seat
KR101746457B1 (en) * 2015-12-24 2017-06-14 현대다이모스(주) Apparatus for reclining rear seat for vehi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3602A (en) 2021-11-19 2023-05-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seat position based learn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38714B2 (en) Vehicle seat with cantilevered headrest assembly and positioning system
RU150260U1 (en) ARMCHAIR FOR VEHICLE
US9187012B2 (en) Pivoting and reclining vehicle seating assembly
US10239419B2 (en) Anthropomorphic pivotable upper seatback support
JP6192221B2 (en) Sheet
CA2957892C (en) Vehicle access seating
US9315130B2 (en) Articulating head restraint
KR102153216B1 (en) Multi-position seat for vehicle
US7255395B2 (en) Seat assembly with movable inner seat back
KR101785277B1 (en) Apparatus for moving seat cushion of vehicle
JPS5911796Y2 (en) Posture adjustable power seat
KR102540545B1 (en) Device for swiveling seat of vehicle
JPH115479A (en) Vehicular seat
KR102338310B1 (en) Seat for vehicle
JP2005306322A (en) Seat device for vehicle
KR102309253B1 (en) Seat cushion extension apparatus using double gear and seat cushion comprising the same
JP7420455B2 (en) vehicle seat
JP7096477B2 (en) Vehicle seat
KR200145175Y1 (en) Rotatable car front seat
JP3541868B2 (en) Vehicle seat device
KR20230093585A (en) Seat for vehicle
KR20230011579A (en) Seat for vehicle
KR20130047017A (en) A height adjuster seat of automobile
KR20240033822A (en) Device for extention seat cushion of fold and dive seat
KR20240016050A (en) Seat adjust apparatus for mob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