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2640B1 - Holder and walking aid robot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Holder and walking aid robot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2640B1
KR102152640B1 KR1020140009064A KR20140009064A KR102152640B1 KR 102152640 B1 KR102152640 B1 KR 102152640B1 KR 1020140009064 A KR1020140009064 A KR 1020140009064A KR 20140009064 A KR20140009064 A KR 20140009064A KR 102152640 B1 KR102152640 B1 KR 102152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holder
link
link assembly
lin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90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88573A (en
Inventor
이연백
김용재
김정훈
노세곤
이민형
이종원
최병준
최현도
권영도
상태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9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2640B1/en
Priority to JP2014245044A priority patent/JP6387292B2/en
Priority to US14/598,785 priority patent/US10085908B2/en
Priority to EP15152169.7A priority patent/EP2898861B1/en
Priority to CN201510035905.7A priority patent/CN104800052B/en
Publication of KR20150088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857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2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26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4Kn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44Hi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55Both knee and hip of a patient, e.g. in supine or sitting position, the feet being moved together in a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body-symmetrical pl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66Fo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08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using suspension devices for supporting the body in an upright walking or standing position, e.g.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03Constructive details infla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201/1215Rotary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38Driving means with hydraulic or pneumatic drive
    • A61H2201/1246Driving means with hydraulic or pneumatic drive by piston-cylinder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28Pelv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28Pelvis
    • A61H2201/163Pelvis 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A61H2201/1642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83Surface of interface
    • A61H2201/169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rface, e.g. material, relief, texture or indic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07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61Forc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30/00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1H2230/08Other bio-electrical sign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의하면, 케이블에 텐션을 가해 홀더가 용이하게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될 수 있다.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되는 홀더의 내측면은 사용자의 신체에 균일한 압력을 전달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홀더와의 접촉면에 의해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holder may be easily mounted on the user's body by applying tension to the cable. The inner surface of the holder in contact with the user's body allows uniform pressure to be transmitted to the user's body so that the user does not feel uncomfortable by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holder.

Description

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보행보조로봇{Holder and walking aid robot having the same}Holder and walking aid robot including the same {Holder and walking aid robot having the same}

개시된 기술은 넓은 영역에 힘을 균일하게 전달할 수 있는 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보행보조로봇에 관한 것이다.The disclosed technology relates to a holder capable of uniformly transmitting a force over a large area, and a walking aid robot including the same.

보행보조로봇은, 사용되는 분야에 따라 감퇴된 근력과 체중을 보조해주는 보조장치로 이용되거나, 큰 중량을 가진 물건을 운반하는 작업 등을 위해 사용자의 근력을 증폭해주고 중량물의 하중을 대신 지지해주는 증강장치로 이용될 수도 있다.The walking aid robot is used as an auxiliary device that assists with decreased muscle strength and weight depending on the field in which it is used, or enhances the user's muscle strength and supports the load of heavy objects for work, etc. It can also be used as a device.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보행보조로봇에 의하면, 복수의 링크로 이루어진 홀더를 통해 신체와의 접촉면에서 균일한 힘을 전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holder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and the walking aid robot including the same, a uniform force can be transmitted on a contact surface with a body through a holder made of a plurality of links.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는,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될 수 있는 홀더에 있어서, 사용자의 신체를 감쌀 수 있도록 복수의 링크가 연결되어 구비되는 링크 어셈블리; 상기 링크 어셈블리에 장착되고, 가변되는 텐션에 의해 상기 링크 어셈블리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링크와 인접하는 다른 하나의 링크가 이루는 각도가 가변되도록 하는 케이블; 및 상기 케이블의 일측이 장착되는 홀더 본체;를 포함한다.The holder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is a holder that can be mounted on a user's body, comprising: a link assembly having a plurality of links connected to surround the user's body; A cable mounted on the link assembly and configured to change an angle formed by one link included in the link assembly and another link adjacent to the other link by a variable tension; And a holder body on which one side of the cable is mounted.

상기 홀더 본체는, 상기 케이블을 연장 또는 단축시킴으로써 상기 케이블에 가해지는 텐션을 가변시킬 수 있는 조작부를 포함한다.The holder body includes an operation unit capable of varying the tension applied to the cable by extending or shortening the cable.

상기 조작부가 조작되어 상기 케이블이 단축되면 상기 케이블의 텐션이 증가하고, 인접하는 링크 간의 각도가 작아진다.When the cable is shortened by the manipulation of the operation unit, the tension of the cable increases and the angle between adjacent links decreases.

상기 조작부가 조작되어 상기 케이블의 길이가 연장되면 인접하는 링크 간의 각도가 커진다.When the control unit is operated to extend the length of the cable, the angle between adjacent links increases.

상기 케이블의 일측은 상기 홀더 본체에 구비된 샤프트에 고정되고, 상기 샤프트에는 기어부가 연결된다.One side of the cable is fixed to a shaft provided in the holder body, and a gear part is connected to the shaft.

상기 기어부는 상기 조작부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상기 케이블이 상기 샤프트에 감기거나 풀리도록 하여 상기 케이블을 단축 또는 연장시킨다.The gear unit rotates by receiving a driving force from the operation unit so that the cable is wound or unwound on the shaft, thereby shortening or extending the cable.

상기 홀더 본체에는, 상기 샤프트와 연결된 기어부의 동작을 간섭하는 록킹부가 더 마련된다,The holder body is further provided with a locking part that interferes with the operation of the gear part connected to the shaft,

상기 록킹부는, 상기 기어부와 선택적으로 치합될 수 있는 록킹 기어를 포함한다.The locking part includes a locking gear that can be selectively engaged with the gear part.

상기 록킹 기어가 상기 기어부와 치합되면, 상기 기어부의 특정 방향으로의 회전이 간섭된다.When the locking gear meshes with the gear portion, rotation of the gear portion in a specific direction is interfered.

상기 록킹 기어가 상기 기어부와 치합되면, 상기 기어부는 상기 케이블이 상기 샤프트로부터 풀리는 방향으로의 회전이 간섭된다.When the locking gear is engaged with the gear part, the gear part interferes with rotation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able is released from the shaft.

상기 록킹 기어가 상기 기어부와 치합된 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기어부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케이블이 상기 샤프트에 감기거나 풀릴 수 있다.When the state in which the locking gear is engaged with the gear portion is released, the gear portion rotates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so that the cable may be wound or released on the shaft.

상기 복수의 링크는 핀에 의해 피봇가능하게 연결된다.The plurality of links are pivotally connected by pins.

상기 링크 어셈블리를 통과하고, 상기 링크 어셈블리의 형태를 유지시키는 와이어를 포함한다.And a wire passing through the link assembly and maintaining the shape of the link assembly.

상기 핀이 연장된 방향으로 연장된 직선과 상기 케이블 간의 거리는, 상기 조작부 측으로부터 상기 링크 어셈블리의 단부 측으로 갈수록 가까워지도록 마련된다.The distance between the straight line extendin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in is extended and the cable is provided so as to become closer from the side of the manipulation unit toward the end side of the link assembly.

상기 복수의 링크는 탄성이 있는 패널에 의해 연결된다.The plurality of links are connected by an elastic panel.

상기 패널과 상기 케이블 간의 거리는, 상기 조작부 측으로부터 상기 링크 어셈블리의 단부 측으로 갈수록 가까워지도록 마련된다.The distance between the panel and the cable is provided so as to become closer from the side of the operation unit toward the end side of the link assembly.

상기 링크 어셈블리는 상기 조작부의 좌우 양쪽에 각각 연결된다.The link assembly is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operation unit, respectively.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로봇은,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보행을 보조하는 보행보조로봇으로서, 상기 보행보조로봇은, 복수의 링크가 연결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밀착되도록 구비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을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시키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홀더 본체; 복수의 링크가 연결되어 상기 홀더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링크 어셈블리; 및 상기 링크 어셈블리에 장착되어 연장 또는 단축됨으로써 상기 링크 어셈블리의 곡률을 가변시킬 수 있는 케이블;을 포함한다.A walking assistance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is a walking assistance robot that is mounted on a user's body to assist the user's walking, wherein the walking assistance robot includes: a frame having a plurality of links connect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body; And a holder for mounting the frame on the user's body, wherein the holder includes: a holder body mounted on the frame; A link assembly to which a plurality of links are connected and extending from the holder body; And a cable that is mounted on the link assembly and is extended or shortened to change the curvature of the link assembly.

상기 케이블의 일측은 상기 홀더 본체에 구비된 샤프트에 고정되고, 상기 홀더 본체에는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킬 수 있는 조작부가 구비된다.One side of the cable is fixed to a shaft provided in the holder body, and an operation unit capable of rotating the shaft is provided in the holder body.

상기 샤프트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케이블이 상기 샤프트에 감겨 상기 케이블의 길이가 단축되고, 상기 샤프트가 타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케이블이 상기 샤프트로부터 풀려 상기 케이블의 길이가 연장된다.When the shaft is rotated in one direction, the cable is wound around the shaft to shorten the length of the cable, and when the shaft is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the cable is released from the shaft and the length of the cable is extended.

상기 홀더 본체에는, 상기 샤프트가 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간섭하는 록킹부가 구비된다.The holder body is provided with a locking portion that interferes with rotation of the shaft in another direction.

상기 록킹부는 록킹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 스위치를 조작하여 상기 록킹부가 상기 샤프트를 간섭하고 있는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The locking unit may include a locking switch, and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unit is interfering with the shaft may be released by operating the locking switch.

상기 링크 어셈블리의 단부에 위치한 링크에는 고정핀이 장착되고, 상기 고정핀에 의해 상기 링크에서의 케이블의 위치가 고정된다.A fixing pin is mounted on the link located at the end of the link assembly, and the position of the cable in the link is fixed by the fixing pin.

상기 복수의 링크는 핀에 의해 피봇가능하게 연결되고, 탄성을 가진 와이어가 상기 복수의 링크에 장착된다.The plurality of links are pivotally connected by pins, and a wire having elasticity is mounted on the plurality of links.

상기 복수의 링크는 탄성을 가진 패널에 의해 연결된다.The plurality of links are connected by elastic panels.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는, 보행보조로봇에 장착되는 홀더에 있어서, 복수의 링크가 연결되어 사용자의 신체를 감쌀 수 있는 링크 어셈블리; 상기 링크 어셈블리를 상기 보행보조로봇에 장착시키는 홀더 본체; 상기 링크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복수의 링크를 연결하고, 가변되는 텐션에 의해 상기 링크 어셈블리가 구부러지도록 할 수 있는 케이블; 상기 홀더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케이블을 연장 또는 단축시킴으로써 상기 케이블에 가해지는 텐션을 가변시킬 수 있는 조작부; 및 상기 케이블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상기 조작부가 동작되는 것을 간섭하는 록킹부;를 포함한다.The holder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is a holder mounted on a walking aid robot, comprising: a link assembly to which a plurality of links are connected to wrap a user's body; A holder body for mounting the link assembly to the walking aid robot; A cable that connects a plurality of links constituting the link assembly and allows the link assembly to be bent by a variable tension; An operation unit mounted on the holder body and capable of varying the tension applied to the cable by extending or shortening the cable; And a locking unit that interferes with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able extends.

상기 링크 어셈블리에 있어서, 각각의 링크의 내측면과 상기 케이블 간의 최소 거리는 동일하다.In the link assembly, the minimum distance between the cable and the inner side of each link is the same.

상기 복수의 링크는, 인접하는 두 개의 링크를 관통하는 핀에 의해 피봇가능하게 연결된다.The plurality of links are pivotally connected by pins passing through two adjacent links.

상기 핀과 상기 케이블 간의 최소 거리는 상기 홀더 본체로부터 상기 링크 어셈블리의 단부 측으로 갈수록 가까워진다.The minimum distance between the pin and the cable becomes closer from the holder body toward the end of the link assembly.

상기 링크 어셈블리에는, 상기 복수의 링크를 연결하는 탄성이 있는 물체가 장착된다.The link assembly is equipped with an elastic object connecting the plurality of links.

개시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케이블에 텐션을 가해 홀더가 용이하게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될 수 있다.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되는 홀더의 내측면 전체에서 사용자가 홀더와의 접촉면에서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the holder can be easily mounted on the user's body by applying tension to the cabl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er from feeling uncomfortable on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holder over the entire inner surface of the holder in contact with the user's body.

도 1은 개시된 발명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홀더가 가하는 힘이 신체에 분산되어 전달되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로봇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3에 개시된 보행보조로봇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로봇에 포함된 홀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로봇에 배치된 와이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를 구성하는 링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의 동작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 본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기어부가 록킹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기어부가 록킹 해제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개시된 발명의 다른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링크와 케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더의 동작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cept of the disclosed invention.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cept in which the force applied by the holder is distributed and transmitted to the body.
3 is a view showing a walking aid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4 and 5 are views showing a part of the walking aid robot disclosed in FIG. 3.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older included in the walking aid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7 is a view showing a wire disposed in the walking aid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8 is a view showing a link constituting a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9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holder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older body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econd gear part is locked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econd gear portion is unlocked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13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nother concept of the disclosed invention.
14 is a view showing a hol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5 is a view showing a link and a cab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6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of a hol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이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보행보조로봇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a walking aid robot includ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개시된 발명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cept of the disclosed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개시된 발명은 신체의 특정 부위에 장착될 수 있는 홀더(5)에 관한 것이다. 홀더(5)는 복수의 링크가 피봇가능하게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링크는 핀(6)에 의해 피봇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disclosed invention relates to a holder 5 that can be mounted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The holder 5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inks pivotally connected. A plurality of links can be pivotally connected by pins 6.

홀더(5)는 케이블(7)에 가해지는 텐션에 의해 복수의 링크가 신체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케이블(7)은 복수의 링크를 통과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케이블(7)의 일측 단부는 홀더(5)의 단부에 구비된 링크에 고정될 수 있다. 케이블(7)의 타측 단부를 통해 케이블(7)에 텐션을 가할 수 있다. 케이블(7)에 텐션이 가해지면 복수의 링크는 케이블(7)에 의해 신체를 감싸도록 당겨질 수 있다. 케이블(7)에 텐션이 가해지기 전에 인접하는 링크의 내측면이 이루는 각도(θ1)는, 케이블(7)에 텐션이 가해진 후에 인접하는 링크의 내측면이 이루는 각도(θ2)보다 클 수 있다.The holder 5 may be provided so that a plurality of links surround the body by a tension applied to the cable 7. The cable 7 may be provided to pass through a plurality of links. One end of the cable 7 may be fixed to a link provided at the end of the holder 5. Tension can be applied to the cable 7 through the other end of the cable 7. When tension is applied to the cable 7, the plurality of links can be pulled to surround the body by the cable 7. The angle θ1 form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adjacent link before the tension is applied to the cable 7 may be greater than the angle θ2 form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adjacent link after the tension is applied to the cable 7.

일례로 홀더(5)를 구성하는 복수의 링크는 제1링크(5a) 및 제2링크(5b)를 포함한다. 제1링크(5a)와 제2링크(5b)는 핀(6)에 의해 피봇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케이블(7)은 제1링크(5a) 및 제2링크(5b)를 포함한 복수의 링크를 통과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케이블(7)과 링크의 내측면(S1) 간의 최소 거리는 복수의 링크에 있어서 모두 동일하다. 케이블(7)에 텐션을 제공하는 구동원으로부터 멀리 위치한 링크를 인접한 링크와 연결하는 핀(6)과 케이블(7) 간의 최소 거리(W1)는, 구동원으로부터 가깝게 위치한 링크를 인접한 링크와 연결하는 핀(6)과 케이블(7) 간의 최소거리(W2)보다 가까울 수 있다. 이때 링크의 핀(6)은 링크의 외측면(S2) 측에 위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plurality of links constituting the holder 5 includes a first link 5a and a second link 5b. The first link 5a and the second link 5b may be pivotably connected by a pin 6. The cable 7 may be provided to pass through a plurality of links including the first link 5a and the second link 5b. At this time, the minimum distance between the cable 7 and the inner surface S1 of the link is the same for all of the plurality of links. The minimum distance (W1) between the pin 6 and the cable 7 connecting a link located farther from the driving source providing tension to the cable 7 with an adjacent link is a pin connecting a link located close from the driving source with an adjacent link ( It may be closer than the minimum distance (W2) between 6) and the cable (7). At this time, the pin 6 of the link may be located on the outer surface S2 side of the link.

케이블(7)의 일측은 홀더(5)의 단부에 구비된 링크에 고정될 수 있다.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케이블(7)의 타측이 당겨지면 복수의 링크는 사용자의 신체를 감싸도록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One side of the cable 7 may be fixed to a link provided at the end of the holder 5. When the other side of the cable 7 is pulled by the user's manipulation, the plurality of links may receive driving force to surround the user's body.

복수의 링크가 케이블(7)에 의해 당겨져 사용자의 신체를 감싸게 되면, 각각의 링크의 내측면은 사용자의 신체를 압박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링크의 내측면이 사용자의 신체에 가하는 힘은 분산되어 전달될 수 있다. 이때 링크의 내측면은 사용자의 신체에 균일한 압력(P)을 전달할 수 있다. 이로써 홀더(5)가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되더라도 힘을 전달할 때 압력집중에 따른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다.When a plurality of links are pulled by the cable 7 to surround the user's body, the inner surface of each link may press the user's body. At this time, the force applied by the inner side of each link to the user's body may be distributed and transmitted. At this time, the inner side of the link may transmit a uniform pressure P to the user's body. As a result, even if the holder 5 is mounted on the user's body, discomfort due to the concentration of pressure when transmitting force may be eliminated.

케이블(7)의 타측에서 일측으로 갈수록 링크에 장착되는 핀(6)과 케이블(7)과의 최소 거리(W1)가 가까워지도록 하여, 각 링크의 내측면이 사용자의 신체에 가하는 힘에 의한 핀(6)에서의 모멘트와 케이블(7)에 가해지는 텐션에 의한 핀(6)에서의 모멘트가 평형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The pin 6 mounted on the link and the minimum distance W1 between the cable 7 and the pin 6 mounted on the link become closer as they go from the other side of the cable 7 to the pin by the force exerted on the user's body. The moment at (6) and the moment at the pin 6 due to the tension applied to the cable 7 can be balanced.

도 2는 홀더가 가하는 힘이 신체에 분산되어 전달되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cept in which the force applied by the holder is distributed and transmitted to the body.

도 2를 참조하면, 홀더(5)의 적어도 일부는 사용자의 신체에 힘 F를 전달한다. F는 홀더(5)가 장착되는 사용자의 신체의 내부에 위치한 중심점 O를 향한다. 2, at least a portion of the holder 5 transmits a force F to the user's body. F is toward the center point O located inside the body of the user where the holder 5 is mounted.

폭이 2w인 홀더(5)의 일부에서, 홀더(5)의 내측면(S1)으로부터 중심점 O까지의 거리는 r이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5)가 사용자의 허벅지에 장착되는 경우, r은 사용자의 허벅지의 반경일 수 있다. 홀더(5)가 중심점 O를 중심으로 형성하는 부채꼴의 각도는 θ이다. In a part of the holder 5 having a width of 2w, the distance from the inner surface S1 of the holder 5 to the center point O may be referred to as r. For example, when the holder 5 is mounted on the user's thigh, r may be the radius of the user's thigh. The angle of the sector formed by the holder 5 around the center point O is θ.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하는 홀더(5)의 내측면(S1)으로부터 케이블(7)까지의 최소 거리는 Thick라 하고, 케이블(7)로부터 핀(6)까지의 최소 거리는 c라 할 수 있다. The minimum distance from the inner surface (S1) of the holder 5 in contact with the user's body to the cable 7 is called thick, and the minimum distance from the cable 7 to the pin 6 can be called c.

홀더(5) 전체에 걸쳐 사용자의 신체에 F를 전달할 때, 홀더(5)가 사용자의 신체에 전달하는 압력은 σ라 하고, 홀더(5)에 장착된 케이블(7)의 텐션은 T 라 할 수 있다. When F is transmitted to the user's body throughout the holder (5), the pressure transmitted by the holder (5) to the user's body is σ, and the tension of the cable (7) mounted on the holder (5) is called T. I can.

홀더(5)가 사용자의 신체에 가하는 힘(F)은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The force (F) applied by the holder 5 to the user's body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gure 112014007816607-pat00001
Figure 112014007816607-pat00001

핀(6)에서, 케이블(7)의 텐션(T)에 의한 모멘트는 홀더(5)가 사용자의 신체에 가하는 힘(F)에 의한 모멘트와 평형을 이루므로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In the pin 6, the moment caused by the tension T of the cable 7 is in equilibrium with the moment caused by the force F applied by the holder 5 to the user's body, and thus can be arranged as follows.

Figure 112014007816607-pat00002
Figure 112014007816607-pat00002

②에 F에 관한 식 ① 을 대입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Substituting Equation ① for F into ②, it is as follows.

Figure 112014007816607-pat00003
Figure 112014007816607-pat00003

이를 c 에 대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This is summarized for c as follows.

Figure 112014007816607-pat00004
Figure 112014007816607-pat00004

홀더(5)의 내측면이 사용자의 신체에 힘 F를 전달할 수 있도록, 케이블(7)로부터 핀(6)까지의 최소 거리가 이와 같은 c에 관한 식을 만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케이블(7)로부터 핀(6)까지의 최소 거리는 케이블(7)에 텐션을 전달하는 구동원과 멀수록 가까워질 수 있다.The minimum distance from the cable 7 to the pin 6 may be provided so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holder 5 can transmit the force F to the user's body, satisfying the equation for c. The minimum distance from the cable 7 to the pin 6 may be closer to the drive source that transmits the tension to the cable 7.

케이블(7)로부터 핀(6)까지의 최소 거리가 ③식과 같이 구비됨으로써 케이블(7)의 텐션에 의해 홀더(5)가 사용자의 신체에 가하는 힘 F는 홀더(5)의 내측면 전체를 통해 분산되어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홀더(5)에 의한 불균등한 압력에 의해 사용자가 느끼는 불편함을 없앨 수 있다. The minimum distance from the cable (7) to the pin (6) is provided as shown in ③, so that the force F exerted by the holder (5) on the user's body by the tension of the cable (7) passes through the entire inner surface of the holder (5). It can be distributed and deliver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liminate discomfort felt by the user due to uneven pressure by the holder 5.

도 3은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로봇을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 walking aid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도 3을 참조하면,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로봇(1)은 사용자의 다리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사용자의 하중을 지지하는 프레임(10,2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0,20)은 사용자의 대퇴부를 지지하는 제1프레임(10) 및 사용자의 종아리를 지지하는 제2프레임(2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the walking aid robot 1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may include frames 10 and 20 extending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user's leg to support the user's load. The frames 10 and 20 include a first frame 10 supporting the user's thigh and a second frame 20 supporting the user's calf.

제1프레임(10) 또는 제2프레임(20)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의 링크가 연결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프레임(10)은 장착되는 대퇴부의 굴곡에 따라 유연하게 구부러질 수 있다. 제2프레임(20)은 장착되는 종아리의 굴곡에 따라 유연하게 구부러질 수 있다. 제1프레임(10) 또는 제2프레임(20)은 유연하게 구부러질 수 있으면서도 사용자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first frame 10 or the second frame 20 may be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links. The first frame 10 may be flexibly bent according to the bending of the femur to be mounted. The second frame 20 may be flexibly bent according to the bending of the calf to be mounted. The first frame 10 or the second frame 20 may be flexibly bent and stably support a user's load.

제1프레임(10)에는 사용자의 허리에 고정되는 허리 고정장치(30)가 연결될 수 있다. 제1프레임(10)은 둔부 관절(40)에 의해 허리 고정장치(30)에 피봇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프레임(10)과 제2프레임(20)은 무릎 관절(50)에 의해 피봇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프레임(20)에는 사용자의 발에 고정되는 발 구조물(70)이 연결될 수 있다. 제2프레임(20)과 발 구조물(70)은 발목 관절(60)에 의해 피봇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A waist fixing device 30 fixed to the user's waist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frame 10. The first frame 10 may be pivotally connected to the waist fixing device 30 by a hip joint 40. The first frame 10 and the second frame 20 may be pivotally connected by a knee joint 50. A foot structure 70 fixed to a user's foot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frame 20. The second frame 20 and the foot structure 70 may be pivotally connected by an ankle joint 60.

보행보조로봇(1)은 둔부 관절(40) 및 무릎 관절(5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원 및 보행보조로봇(1)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 구조물(70)에는 센서가 구비되고, 센서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동작 정보는 제어부로 전송되고, 제어부는 전송된 정보를 이용하여 둔부 관절(40) 또는 무릎 관절(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walking assist robot 1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source providing driving force to the hip joint 40 and the knee joint 50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walking assist robot 1. The foot structure 70 is equipped with a sensor, and the user's mo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nsor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motion of the hip joint 40 or the knee joint 50 using the transmitted information. I can.

제1프레임(10)은 3 자유도를 갖고 피봇될 수 있다. 제1프레임(10)은 와이어(31)의 단축 또는 연장에 의해 피봇될 수 있다. 구동원과 연결된 풀리(33)에는 와이어(31)가 감기고, 와이어(31)는 둔부 관절(40)을 통해 제1프레임(10)과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구동원이 풀리(33)를 회전시켜 와이어(31)가 풀리(33)에 감기도록 하면, 제1프레임(10)은 y축을 중심으로 피봇될 수 있다. 구동원이 풀리(33)를 회전시켜 와이어(31)가 풀리(33)로부터 풀리도록 하면, 제1프레임(10)은 앞선 경우와 반대 방향으로 y 축을 중심으로 피봇될 수 있다. The first frame 10 can be pivoted with 3 degrees of freedom. The first frame 10 may be pivoted by shortening or extending the wire 31. A wire 31 is wound around the pulley 33 connected to the driving source, and the wire 31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frame 10 through the hip joint 40. For example, when the driving source rotates the pulley 33 so that the wire 31 is wound around the pulley 33, the first frame 10 may be pivoted about the y-axis. When the driving source rotates the pulley 33 so that the wire 31 is released from the pulley 33, the first frame 10 can be pivoted about the y-axi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previous case.

둔부 관절(40)은 힌지 장치(35)에 의해 x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둔부 관절(40)이 힌지 장치(35)에 의해 회전하면, 둔부 관절(40)과 연결된 제1프레임(10)이 x축을 중심으로 피봇될 수 있다.The gluteal joint 40 may be rotated about the x axis by the hinge device 35. When the hip joint 40 is rotated by the hinge device 35, the first frame 10 connected to the hip joint 40 may be pivoted about the x-axis.

힌지 장치(35)의 배면에는 슬라이딩부(36)가 구비되고, 허리 고정장치(30)에는 레일부(37)가 구비될 수 있다. 레일부(37)는 사용자의 허리 둘레 방향인 x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슬라이딩부(36)는 레일부(37)를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다. 슬라이딩부(36)가 레일부(37)를 따라 슬라이딩함으로써 힌지 장치(35)와 연결된 둔부 관절(40) 및 제1프레임(10)은 z축을 중심으로 피봇될 수 있다.A sliding part 36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hinge device 35, and a rail part 37 may be provided in the waist fixing device 30. The rail part 37 may extend in the x-axis direction, which is the user's waist circumferenti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user's motion, the sliding part 36 may slide along the rail part 37. As the sliding part 36 slides along the rail part 37, the hip joint 40 and the first frame 10 connected to the hinge device 35 may be pivoted about the z-axis.

이와 같이 제1프레임(10)은 둔부 관절(40), 힌지 장치(35) 및 레일부(37)에 의해 3자유도를 갖고 피봇될 수 있다. 와이어(31)를 이용하여 둔부 관절(40)을 중심으로 피봇되는 1자유도의 동작은 동력을 전달받아 이루어지지만, 나머지 2 자유도의 동작은 무동력으로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As such, the first frame 10 may be pivoted with three degrees of freedom by the hip joint 40, the hinge device 35 and the rail part 37. The movement of one degree of freedom, which is pivoted around the hip joint 40 using the wire 31, is performed by receiving power, but the remaining two degrees of freedom may be performed without power and according to the user's movement.

제2프레임(20)은 제1프레임(10)에 대해 적어도 1자유도를 갖고 피봇될 수 있다. 무릎 관절(50)에 의해 제1프레임(10)과 피봇가능하게 연결된 제2프레임(20)은 와이어(32)의 단축 또는 신장에 의해 피봇될 수 있다. 구동원과 연결된 풀리(34)에는 와이어(32)가 감기고, 와이어(32)는 무릎 관절(50)를 통해 제2프레임(20)과 연결될 수 있다. The second frame 20 may be pivoted with at least one degree of freedom with respect to the first frame 10. The second frame 20 pivotably connected to the first frame 10 by the knee joint 50 may be pivoted by shortening or extending the wire 32. A wire 32 is wound around the pulley 34 connected to the driving source, and the wire 32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frame 20 through the knee joint 50.

일례로 구동원이 풀리(34)를 회전시켜 와이어(32)가 풀리(34)에 감기도록 하면, 제2프레임(20)은 y축을 중심으로 피봇될 수 있다. 구동원이 풀리(34)를 회전시켜 와이어(32)가 풀리(34)로부터 풀리면, 제2프레임(20)은 앞선 경우와 반대 방향으로 y축을 중심으로 피봇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driving source rotates the pulley 34 so that the wire 32 is wound around the pulley 34, the second frame 20 may be pivoted about the y-axis. When the driving source rotates the pulley 34 and the wire 32 is released from the pulley 34, the second frame 20 may be pivoted about the y-axi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previous case.

발 구조물(70)은 제2프레임(20)에 대해 3자유도를 갖고 피봇될 수 있다. 발 구조물(70)과 제2프레임(20)은 발목 관절(60)에 의해 피봇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발 구조물(70) 또는 제2프레임(20)은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무동력으로 발목 관절(60)을 중심으로 피봇될 수 있다.The foot structure 70 may be pivoted with 3 degrees of freedom relative to the second frame 20. The foot structure 70 and the second frame 20 may be pivotally connected by an ankle joint 60. The foot structure 70 or the second frame 20 may be pivoted around the ankle joint 60 with no power according to the user's movement.

제1프레임(10)에는 제1홀더(80)가 연결될 수 있다. 제1홀더(80)는 사용자의 대퇴부를 감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홀더(80)는 제1프레임(10)을 사용자의 대퇴부에 장착시킬 수 있다. 제1홀더(80)는 복수의 링크(82)가 연결되어 마련될 수 있다.A first holder 8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frame 10. The first holder 80 may be provided to surround the user's thigh. The first holder 80 may mount the first frame 10 on the user's thigh. The first holder 80 may be provid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links 82.

제2프레임(20)에는 제2홀더(90)가 연결될 수 있다. 제2홀더(90)는 사용자의 종아리를 감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홀더(90)는 제2프레임(20)을 사용자의 종아리에 장착시킬 수 있다. 제2홀더(90)는 복수의 링크(92)가 연결되어 마련될 수 있다.A second holder 9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frame 20. The second holder 90 may be provided to surround the user's calf. The second holder 90 may mount the second frame 20 on the user's calf. The second holder 90 may be provid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links 92.

제1프레임(10) 또는 제2프레임(20)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의 링크가 피봇가능하게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제1프레임(10) 또는 제2프레임(20)이 사용자의 신체에 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프레임(10)이 복수의 링크가 피봇가능하게 연결되어 구비된 경우, 제1프레임(10)이 접촉되는 대퇴부의 굴곡에 따라 복수의 링크가 적절한 각도로 피봇되어 대퇴부에 밀착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first frame 10 or the second frame 20 may be provided by pivotally connecting a plurality of links. Accordingly, the first frame 10 or the second frame 2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body. For example, when the first frame 1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inks pivotably connected, the plurality of links are pivoted at an appropriate angle according to the bending of the thigh to which the first frame 10 is in contact with the thigh. Can be.

제1프레임(10) 또는 제2프레임(20)을 구성하는 복수의 링크는 각각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를 포함한다. 제1결합부는 링크의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결합부는 제1결합부가 형성된 일측과 대향되는 타측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링크 중 어느 하나의 제1결합부는 다른 하나의 제2결합부와 두 개의 핀에 의해 피봇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links constituting the first frame 10 or the second frame 20 each include a first coupling portion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The first coupling portion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link. The second coupling portion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ther side opposite to the one side where the first coupling portion is formed. The first coupling part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links may be pivotally connected to the other second coupling part by two pins.

제1결합부에는 두 개의 핀이 삽입되어 안내되는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는 제1가이드부 및 제2가이드부를 포함한다. 제1가이드부는 최저점 또는 최고점을 가진 곡선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제2가이드는 상하 방향의 직선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두 개의 핀은, 제1가이드부 또는 제2가이드부에 각각 삽입되어 안내되고, 제1가이드부의 내측벽 또는 제2가이드부의 내측벽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복수의 링크는 두 개의 핀이 가이드부에 의해 안내되어 회전운동과 상하 방향의 선형 운동을 동시에 할 수 있다. A guide portion through which two pins are inserted and guided may be formed in the first coupling portion. The guide portion includes a first guide portion and a second guide portion. The first guide portion may be provided in a curved shape having a lowest point or a highest point. The second guide may be provided in a straight lin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two pins are guid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first guide portion or the second guide portion, respectively, and may be supported by an inner wall of the first guide portion or an inner wall of the second guide portion. In the plurality of links, two pins are guided by a guide portion, so that rotational motion and linear mo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can be simultaneously performed.

상기와 같은 구조를 통해, 제1가이드의 곡선의 형태를 적절히 설정하여 복수의 링크가 피봇되더라도 복수의 링크가 구성하는 제1프레임(10) 또는 제2프레임(20)의 전체 높이가 가변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링크를 연결하는 핀이 가이드부의 내측벽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복수의 링크가 피봇되더라도 좌굴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Through the above structure, the shape of the curve of the first guide is appropriately set so that the overall height of the first frame 10 or the second frame 20 constituting the plurality of links is not changed even if the plurality of links are pivoted. can do. In addition, since the pins connecting the links are supported by the inner wall of the guide part, buckling can be prevented even if a plurality of links are pivoted.

도 4 및 도 5는 도 3에 개시된 보행보조로봇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4 and 5 are views showing a part of the walking aid robot disclosed in FIG. 3.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로봇(1)의 홀더(80,90)는 프레임(10,20)에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프레임(10)에 연결되는 제1홀더(80)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2프레임(20)에 연결되는 제2홀더(90)는 제1홀더(80)와 유사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1홀더(80)는 홀더 본체(81) 및 홀더 본체(81)에 연결된 복수의 링크(82)를 포함한다. 홀더 본체(81)는 제1홀더(80)가 연결되는 프레임(10)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4 and 5, the holders 80 and 90 of the walking aid robot 1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may be connected to the frames 10 and 20.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first holder 80 connected to the first frame 10 will be described. The second holder 90 connected to the second frame 20 may be provided similarly to the first holder 80. The first holder 80 includes a holder body 81 and a plurality of links 82 connected to the holder body 81. The holder body 81 may form a part of the frame 10 to which the first holder 80 is connected.

복수의 링크(82)는 프레임(10)에 직교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프레임(10)이 사용자의 다리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면, 복수의 링크(82)는 사용자의 다리를 감쌀 수 있도록 프레임(10)에 직교하여 연결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links 82 may be connected to be orthogonal to the frame 10. When the frame 10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user's leg, the plurality of links 82 may be connected orthogonally to the frame 10 so as to wrap the user's leg.

예를 들어, 홀더 본체(81)는 제1프레임(1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프레임(10)은 제1프레임 링크(11) 및 제2프레임 링크(12)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 본체(81)는 제1프레임 링크(11)와 제2프레임 링크(12) 사이에 배치되어 제1프레임(10)의 일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링크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홀더 본체(81)는 제1프레임(10)과 피봇가능하게 연결되어, 제1프레임(10)이 접촉되는 대퇴부의 굴곡에 따라 적절한 각도로 피봇되어 제1프레임(10)이 대퇴부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For example, the holder body 81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frame 10. The first frame 10 may include a first frame link 11 and a second frame link 12. The holder body 81 may be one of a plurality of links that are disposed between the first frame link 11 and the second frame link 12 to form a part of the first frame 10. The holder body 81 is pivotably connected to the first frame 10, and is pivoted at an appropriate angle according to the bending of the thigh to which the first frame 10 comes into contact, so that the first frame 10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thigh. To be.

홀더 본체(81)는 제1결합부(810) 및 제1결합부(810)와 대향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2결합부(811)를 포함한다. 제1결합부(810)는 홀더 본체(81)의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결합부(811)는 홀더 본체(81)의 타측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유사하게 제1프레임 링크(11)의 일측에는 제1결합부(110)가 돌출되고, 타측에는 제2결합부(111)가 돌출될 수 있다. 제2프레임 링크(12)의 일측에는 제1결합부(120)가, 타측에는 제2결합부(121)가 돌출될 수 있다.The holder body 81 includes a first coupling portion 810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811 provid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810. The first coupling part 810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holder body 81. The second coupling portion 811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ther side of the holder body 81. Similarly, a first coupling portion 110 may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first frame link 11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111 may protrude from the other side. A first coupling portion 120 may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second frame link 12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121 may protrude from the other side.

홀더 본체(81)의 일측에 돌출된 제1결합부(810)는 제1프레임 링크(11)의 제2결합부(111)와 핀(112,113)에 의해 피봇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홀더 본체(81)이 타측에 돌출된 제2결합부(811)는 제2프레임 링크(12)의 제1결합부(120)와 핀(124,125)에 의해 피봇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The first coupling portion 810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holder body 81 may be pivotably connected by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11 of the first frame link 11 and the pins 112 and 113. The second coupling portion 811 protru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holder body 81 may be pivotably connecte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120 of the second frame link 12 and the pins 124 and 125.

홀더 본체(81)는 제1프레임 링크(11)에 대해 회전운동 및 상하 방향으로의 선형 운동을 할 수 있다. 이때 홀더 본체(81)와 제1프레임 링크(11)를 관통하는 핀(112,113)은 홀더 본체(81)의 제1결합부(810)에 형성된 가이드부(810a, 810b)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가이드부(810a, 810b)는, 최저점 또는 최고점을 포함하는 곡선 형태의 제1가이드부(810a) 및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직선 형태의 제2가이드부(810b)를 포함할 수 있다. 핀(112,113)은 제1가이드부(810a) 및 제2가이드부(810b)에 각각 삽입되어 안내될 수 있다.The holder body 81 may perform rotational motion and linear mo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frame link 11. At this time, the pins 112 and 113 penetrating the holder body 81 and the first frame link 11 may be guided by the guide portions 810a and 810b formed on the first coupling portion 810 of the holder body 81. . The guide portions 810a and 810b may include a first guide portion 810a having a curved shape including a lowest point or a highest point, and a second guide portion 810b having a straight lin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pins 112 and 113 may be guid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first guide part 810a and the second guide part 810b, respectively.

유사하게 홀더 본체(81)는 제2프레임 링크(12)에 대해 회전운동 및 상하 방향으로의 선형 운동을 할 수 있다. 이때 홀더 본체(81)와 제2프레임 링크(12)를 관통하는 핀(124,125)은 제2프레임 링크(12)의 제1결합부(120)에 형성된 가이드부(120a, 120b)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가이드부(102a,120b)는, 최저점 또는 최고점을 포함하는 곡선 형태의 제1가이드부(120a) 및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직선 형태의 제2가이드부(120b)를 포함할 수 있다. 핀(124,125)은 제1가이드부(120a) 및 제2가이드(120b)부에 각각 삽입되어 안내될 수 있다.Similarly, the holder body 81 may perform a rotational motion and a linear mo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frame link 12. At this time, the pins 124 and 125 penetrating the holder body 81 and the second frame link 12 are guided by the guide portions 120a and 120b formed on the first coupling portion 120 of the second frame link 12. I can. The guide portions 102a and 120b may include a first guide portion 120a having a curved shape including a lowest point or a highest point, and a second guide portion 120b having a straight lin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pins 124 and 125 may be guid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first guide portion 120a and the second guide portion 120b, respectively.

제1프레임 링크(11)의 제1결합부(110a)에는 최저점 또는 최고점을 가진 곡선 형태의 제1가이드부(110a) 및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직선 형태의 제2가이드부(110b)가 형성될 수 있다. 제1프레임 링크(11)에 인접하여 상부에 위치한 다른 프레임 링크의 제2결합부와 제1가이드부(110a) 또는 제2가이드부(110b)를 관통하는 핀들에 의해, 제1프레임 링크(11)는, 제1프레임 링크(11)의 상부에 인접하는 다른 링크에 대해 회전운동 및 상하 방향으로의 선형운동을 할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In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0a of the first frame link 11, a curved first guide portion 110a having a lowest point or a highest point and a second guide portion 110b having a straight lin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formed. I can. The first frame link 11 is formed by pins penetrating the second coupling portion of the other frame link and the first guide portion 110a or the second guide portion 110b located on the upper side adjacent to the first frame link 11. ) May be provided to perform rotational motion and linear mo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another link adjacent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frame link 11.

제2프레임 링크(12)의 경우도, 제1프레임 링크(12)의 경우와 유사하게, 제2프레임 링크(12)의 제2결합부(121)와 제2프레임 링크(12)에 인접하여 하부에 위치하는 다른 프레임 링크의 제1결합부에 형성된 최고점 및 최저점을 가지는 곡선 형태의 제1가이드부 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직선 형태의 제2가이드부를 관통하는 핀들에 의해 회전운동 및 상하 방향의 선형 운동을 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second frame link 12, similar to the case of the first frame link 12, adjacent to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1 and the second frame link 12 of the second frame link 12 The rotational movement and the vertical movement by pins passing through the curved first guide portion having the highest point and the lowest point formed in the first coupling portion of the other frame link located at the bottom or the second guide portion of a straight lin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You can do linear motion.

도 6은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로봇에 포함된 홀더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로봇에 배치된 와이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를 구성하는 링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older included in the walking aid robot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FIG. 7 is a view showing a wire disposed in the walking aid robot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and FIG. 8 is a disclosed embodiment It is a view showing the link constituting the holder according to, Figure 9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holder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로봇(1)은 보행보조로봇(1)을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시키는 제1홀더(80)를 포함한다. 제1홀더(80)는 홀더 본체(81) 및 홀더 본체(81)에 연결된 복수의 링크(82)를 포함한다. 복수의 링크(82)는 피봇가능하게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를 감쌀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6 to 9, the walking assist robot 1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includes a first holder 80 for mounting the walking assist robot 1 on a user's body. The first holder 80 includes a holder body 81 and a plurality of links 82 connected to the holder body 81. The plurality of links 82 may be pivotally connected and may be provided to wrap the user's body by manipulation of the user.

복수의 링크(82)가 연결된 것을 링크 어셈블리라 이름할 수 있다. 링크 어셈블리는 홀더 본체(81)를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 마련될 수 있다. 링크 어셈블리에는 후술할 케이블(85)이 장착되고, 케이블(85)에 가해지는 텐션에 의해 링크 어셈블리의 곡률이 가변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케이블(85)에 가해지는 텐션에 의해 링크 어셈블리는 구부러질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케이블(85)에 텐션이 가해지기 전, 인접하는 링크의 내측면이 이루는 각도(θ3)는 케이블(85)에 텐션이 가해진 후 인접하는 링크의 내측면이 이루는 각도(θ4)보다 클 수 있다.A connection to which the plurality of links 82 are connected may be referred to as a link assembly. The link assembly may be provid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around the holder body 81. A cable 85,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mounted on the link assembly, and the curvature of the link assembly may be varied by a tension applied to the cable 85. To further explain, the link assembly may be provided to be bent by the tension applied to the cable 85. For example, before tension is applied to the cable 85, the angle θ3 form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adjacent link may be greater than the angle θ4 form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adjacent link after the tension is applied to the cable 85. have.

링크 어셈블리는 구부러져 내측면이 사용자의 신체에 밀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케이블(85)에 가해지는 텐션을 가변시켜 링크 어셈블리의 내측면이 사용자의 신체에 가하는 압력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케이블(85)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하는 링크 어셈블리의 내측면에는 실리콘, 고무 소재 등으로 제조된 패드가 부착되어 링크 어셈블리의 내측면이 사용자의 신체 간의 마찰력에 의해 발생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The link assembly is bent so that the inner surface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body. The user may appropriately adjust the pressure applied by the inner side of the link assembly to the user's body by varying the tension applied to the cable 85. A pad made of silicone or rubber is attached to the inner side of the link assembly that is in contact with the user's body by the cable 85, so that the inner side of the link assembly can eliminate the inconvenience caused by friction between the user's body. I can.

제1홀더(80)가 사용자의 신체를 감싸도록 장착되면, 링크 어셈블리의 내측면은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되는 링크 어셈블리의 내측면 전체에 걸쳐 케이블(85)에 의한 텐션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에 가해지는 힘이 분산되어 전달될 수 있다. 케이블(85)에 의한 텐션이 분산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에 균일한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링크 어셈블리에 포함된 핀(87)과 케이블(85)까지의 최소거리(W2,W3)는 홀더 본체(81) 측에서 링크 어셈블리의 단부로 갈수록 가까워지도록 구비되어, 링크 어셈블리의 내측면이 사용자의 신체에 가하는 힘이 분산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전달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에 균일한 압력을 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When the first holder 80 is mounted to surround the user's body, the inner side of the link assembly is applied to the user's body by tension by the cable 85 over the entire inner side of the link assembly in contact with the user's body. The losing force can be distributed and transmitted. By dispersing the tension by the cable 85 and transmitting it to the user's body, a uniform pressure can be applied to the user's body. For example, the minimum distance (W2, W3) between the pin 87 and the cable 85 included in the link assembly is provided so as to get closer from the holder body 81 side to the end of the link assembly, The side may be configured to apply uniform pressure to the user's body by dispersing the force applied to the user's body and transmitting it to the user's body.

상세히 홀더 본체(81) 측에 위치한 링크와 인접한 링크를 연결하는 핀(87)과 케이블(85) 간의 최단 거리(W2)는 링크 어셈블리의 단부 측에 위치한 링크와 인접한 링크를 연결하는 핀(87)과 케이블(85) 간의 최단 거리(W3)보다 멀게 위치될 수 있다. 케이블(85)과 링크 어셈블리의 내측면과의 최단 거리는 링크 어셈블리 전체에 걸쳐 일정하게 구비될 수 있다. In detail, the shortest distance (W2) between the cable 85 and the pin 87 connecting the link located on the side of the holder body 81 and the adjacent link is the pin 87 connecting the link located at the end side of the link assembly and the adjacent link. It may be located farther than the shortest distance (W3) between the and the cable (85).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he cable 85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link assembly may be uniformly provided throughout the link assembly.

제1홀더(80)는 케이블(8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85)은 링크 어셈블리를 관통할 수 있다. 케이블(85)은, 홀더 본체(81)를 중심으로 좌측에 마련된 링크 어셈블리를 관통하는 제1케이블(85a) 및 홀더 본체(81)의 우측에 마련된 링크 어셈블리를 관통하는 제2케이블(85b)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holder 80 may further include a cable 85. The cable 85 can pass through the link assembly. The cable 85 includes a first cable 85a passing through the link assembly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holder body 81 and a second cable 85b passing through the link assembly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holder body 81. Can include.

케이블(85)은 링크 어셈블리의 단부에 위치한 링크(82c)로부터 홀더 본체(81)까지 연장되어 복수의 링크(82)를 통과할 수 있다. 링크 어셈블리가 홀더 본체(81)를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 마련된 경우, 케이블(85)은 홀더 본체(81)의 좌측에 마련된 링크 어셈블리 및 홀더 본체(81)의 우측에 마련된 링크 어셈블리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케이블(85)은 링크 어셈블리에 포함된 각 링크(82)들의 측면의 중심부를 통과할 수 있다.The cable 85 may extend from the link 82c located at the end of the link assembly to the holder body 81 and pass through the plurality of links 82. When the link assembly is provid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older body 81, the cables 85 may be provided in the link assembly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holder body 81 and the link assembly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holder body 81, respectively. have. The cable 85 may pass through the center of the side of each of the links 82 included in the link assembly.

일 실시예에 의하면, 케이블(85)의 일측은 링크 어셈블리의 단부에 위치한 링크(82c)에 고정되고, 케이블(85)의 타측은 홀더 본체(81) 측에 고정될 수 있다. 상세히 케이블(85)의 타측은 홀더 본체(81)에 마련된 조작부(83) 측에 연결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ne side of the cable 85 may be fixed to the link 82c located at the end of the link assembly, and the other side of the cable 85 may be fixed to the holder body 81 side. In detail, the other side of the cable 85 may be connected to the operation unit 83 provided on the holder body 81.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케이블(85)의 일측은 홀더 본체(81)의 일측에 고정되고, 링크 어셈블리를 통과하여 링크 어셈블리의 단부에 위치한 링크(82c)에 구비된 고정 핀(88)를 감고, 다시 링크 어셈블리를 통과하고 홀더 본체(81)까지 연장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케이블(85)이 링크 어셈블리를 왕복하여 두 번 통과할 수 있다. 케이블(85)의 타측은 홀더 본체(81)에 마련된 조작부(83) 측에 연결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ne side of the cable 85 is fixed to one side of the holder body 81, passes through the link assembly and winds the fixing pin 88 provided on the link 82c located at the end of the link assembly, It passes through the link assembly again and may extend to the holder body 81. That is, one cable 85 may reciprocate and pass through the link assembly twice. The other side of the cable 85 may be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manipulation unit 83 provided in the holder body 81.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 개의 케이블(85)이 링크 어셈블리를 통과하고, 각각의 케이블의 일측은 링크 어셈블리의 단부에 위치한 링크(82c)에 고정되고, 타측은 홀더 본체(81)에 구비된 조작부(83) 측과 연결될 수 있다. 케이블(85)이 링크 어셈블리를 복수 회 통과하는 경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링크 어셈블리가 안정적으로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 또는 분리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 plurality of cables 85 pass through the link assembly, one side of each cable is fixed to the link 82c located at the end of the link assembly, and the other side is an operation unit provided in the holder body 81 It can be connected with the 83 side. When the cable 85 passes through the link assembly multiple times, the link assembly may be stably mounted or detached from the user's body by the user's manipulation.

홀더 본체(81)에는 케이블(85)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는 조작부(83)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조작부(83)를 조작하여 조작부(83) 측과 연결된 케이블(85)의 길이를 가변시킴으로써 복수의 링크(82)가 사용자의 신체를 감싸도록 하거나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의 길이를 가변시켜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되는 링크 어셈블리의 접촉력을 조절할 수 있다.The holder body 81 may be provided with an operation unit 83 capable of varying the length of the cable 85. The user manipulates the manipulation unit 83 to vary the length of the cable 85 connected to the manipulation unit 83 so that the plurality of links 82 surround the user's body or separate from the user's body. In addition, by varying the length of the cable, the contact force of the link assembly in contact with the user's body can be adjusted.

제1홀더(80)는 와이어(8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86)는 탄성을 가진 스프링 와이어일 수 있다. 와이어(86)는 링크 어셈블리를 통과할 수 있다. 와이어(86)는 홀더 본체(81)의 좌우측에 마련된 링크 어셈블리를 모두 통과할 수 있다. 와이어(86)에 의해 링크 어셈블리에 포함된 복수의 링크(82)가 어느 특정 링크에서 급격하게 구부러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상세히 링크 어셈블리가 사용자의 신체를 구속하도록 케이블(85)에 텐션이 가해지더라도, 와이어(86)에 의해 특정 링크(82)가 과도하게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될 수 있다.The first holder 80 may further include a wire 86. The wire 86 may be a spring wire having elasticity. Wire 86 can pass through the link assembly. The wire 86 may pass through all link assemblies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older body 81.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lurality of links 82 included in the link assembly from being rapidly bent at any specific link by the wire 86. In detail, even if tension is applied to the cable 85 so that the link assembly rests the user's body, the specific link 82 may be prevented from being excessively bent by the wire 86.

일례로 와이어(86)는, 링크 어셈블리를 통과하는 케이블(85)을 중심으로 케이블(85)의 상부 또는 하부를 통과할 수 있다. 링크 어셈블리의 케이블(85)의 상부를 통과하는 와이어를 제1와이어(86a)라 하고, 케이블(85)의 하부를 통과하는 와이어를 제2와이어(86b)라 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wire 86 may pass through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cable 85 around the cable 85 passing through the link assembly. A wire passing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cable 85 of the link assembly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wire 86a, and a wire passing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cable 85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wire 86b.

복수의 링크(82)는 핀(87)에 의해 피봇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링크(82)는 제1링크(82a) 및 제2링크(8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링크(82a) 및 제2링크(82b)는 각각,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된 연결부(820) 및 타측에 형성된 수용부(8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링크(82b)에 형성된 연결부(820)는 인접하는 제1링크(82a)에 형성된 수용부(822)에 삽입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links 82 may be pivotally connected by pins 87. The plurality of links 82 may include a first link 82a and a second link 82b. Each of the first link 82a and the second link 82b may include a connecting portion 820 protruding from one side and a receiving portion 822 formed on the other side. The connection part 820 formed in the second link 82b may b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art 822 formed in the adjacent first link 82a.

연결부(820)에는 핀(87)이 삽입될 수 있는 핀 삽입홀(821)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822) 상부 또는 하부에는 핀(87)이 삽입될 수 있는 핀 삽입홀(823)이 수용부(822)까지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820)에 형성된 핀 삽입홀(821)은 수용부(822)에 형성된 핀 삽입홀(823)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링크(82a)에 형성된 수용부(822) 측에 형성된 핀 삽입홀(823)을 통과하는 핀(87)은 수용부(822)에 수용된 제2링크(82b)의 연결부(820)에 형성된 핀 삽입홀(821)에 삽입될 수 있다. 핀(87)이 제1링크(82a)의 수용부(822) 측에 형성된 핀 삽입홀(823)과 제2링크(82b)의 연결부(820) 측에 형성된 핀 삽입홀(821)을 통과함으로써, 제1링크(82a)와 제2링크(82b)가 핀(87)을 중심으로 피봇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A pin insertion hole 821 into which the pin 87 can be inserted may be formed in the connection part 820. A pin insertion hole 823 into which the pin 87 can be inserted may be formed above or below the receiving portion 822 to penetrate to the receiving portion 822. The pin insertion hole 821 formed in the connection portion 820 may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pin insertion hole 823 formed in the receiving portion 822. The pin 87 passing through the pin insertion hole 823 formed on the side of the receiving portion 822 formed in the first link 82a is formed in the connecting portion 820 of the second link 82b received in the receiving portion 822 It may be inserted into the pin insertion hole 821. The pin 87 passes through the pin insertion hole 823 formed on the receiving portion 822 side of the first link 82a and the pin insertion hole 821 formed on the connecting portion 820 side of the second link 82b. , The first link 82a and the second link 82b may be pivotably connected around the pin 87.

링크 어셈블리에는 케이블(85)이 삽입될 수 있는 케이블 삽입홀(825)이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 삽입홀(825)은 링크(82)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케이블 삽입홀(825)은 링크(82)의 대향되는 양쪽 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링크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어느 하나의 링크에 형성된 케이블 삽입홀(825)은 인접하는 다른 하나의 링크에 형성된 케이블 삽입홀(825)과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링크(82a)에 형성되는 케이블 삽입홀(825)은 제1링크(82a)에 인접하는 제2링크(82b)에 형성된 케이블 삽입홀(825)과 연통될 수 있다.A cable insertion hole 825 into which the cable 85 can be inserted may be formed in the link assembly. The cable insertion hole 825 may be formed on the side of the link 82. In detail, the cable insertion hole 825 may be formed to penetrate both opposite sides of the link 82. The cable insertion hole 825 formed in any one link constituting the link assembly may be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cable insertion hole 825 formed in the other adjacent link. For example, the cable insertion hole 825 formed in the first link 82a may communicate with the cable insertion hole 825 formed in the second link 82b adjacent to the first link 82a.

케이블(85)이 왕복하여 두 번 이상 링크 어셈블리를 통과하거나 복수의 케이블(85)이 링크 어셈블리를 통과하는 경우, 케이블 삽입홀(825)은 링크 어셈블리를 통과하는 케이블(85)의 통과 횟수에 대응되는 개수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블(85)이 링크 어셈블리를 왕복하여 두 번 통과하는 경우, 링크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각 링크(82)는 제1케이블 삽입홀(825a) 및 제2케이블 삽입홀(825b)이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85)은 각 링크(82)에 형성된 제1케이블 삽입홀(825a)을 통과하고, 제2케이블 삽입홀(825b)을 통과해 되돌아올 수 있다.When the cable 85 reciprocates and passes through the link assembly more than once, or when a plurality of cables 85 pass through the link assembly, the cable insertion hole 825 corresponds to the number of passes of the cable 85 through the link assembly. The number of can be formed. For example, when the cable 85 reciprocates and passes through the link assembly twice, each link 82 constituting the link assembly has a first cable insertion hole 825a and a second cable insertion hole 825b. Can be. The cable 85 may pass through the first cable insertion hole 825a formed in each link 82 and return through the second cable insertion hole 825b.

링크 어셈블리의 단부에 위치한 링크(82c)에는 케이블(85)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핀(88)이 구비될 수 있다. 링크 어셈블리의 단부에 위치한 링크(82c)에는 일측면에만 케이블 삽입홀(825)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링크(82)에 형성된 제1케이블 삽입홀(825a)을 통과한 케이블(85)은 고정핀(88)에 감겨 제2케이블 삽입홀(825b)을 향할 수 있도록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고정핀(88)에 의해 케이블(85)에 가해지는 텐션이 링크 어셈블리의 단부에 위치한 링크(82c)까지 전달될 수 있다. 케이블(85)이 연장 또는 단축가능하게 홀더 본체(81)에 고정되는 내용에 관해서는 후술한다.A fixing pin 88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cable 85 may be provided on the link 82c located at the end of the link assembly. A cable insertion hole 825 may be formed only on one side of the link 82c located at the end of the link assembly. The cable 85 passing through the first cable insertion hole 825a formed in the plurality of links 82 may be wound around a fixing pin 88 and may be changed in direction so that it may face the second cable insertion hole 825b. Tension applied to the cable 85 by the fixing pin 88 may be transmitted to the link 82c located at the end of the link assembly. Contents in which the cable 85 is fixed to the holder body 81 so that it can be extended or shortened will be described later.

링크 어셈블리에는 와이어(86)가 삽입될 수 있는 와이어 삽입홀(824,826)이 마련될 수 있다. 와이어 삽입홀(824,826)은 링크 어셈블리에 포함된 복수의 링크(82)에 형성될 수 있다. 링크(82)에 형성된 와이어 삽입홀(824,826)은 인접하는 링크에 형성된 와이어 삽입홀(824, 826)과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Wire insertion holes 824 and 826 into which the wire 86 may be inserted may be provided in the link assembly. The wire insertion holes 824 and 826 may be formed in the plurality of links 82 included in the link assembly. The wire insertion holes 824 and 826 formed in the link 82 may be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wire insertion holes 824 and 826 formed in the adjacent link.

와이어 삽입홀(824)은 각 링크(82)에 마련된 수용부(822)의 내측벽을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와이어 삽입홀(824)은 두 개가 형성될 수 있고, 두 개의 와이어 삽입홀(824)은 수용부(822)의 내측벽에 상하 방향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The wire insertion hole 824 may be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inner wall of the receiving portion 822 provided in each link 82. Two wire insertion holes 824 may be formed, and the two wire insertion holes 824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wall of the receiving portion 822 in the vertical direction, respectively.

링크 어셈블리의 단부에 구비된 링크(82c)에 구비된 와이어 삽입홀(826)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복수의 링크(82)가 연결되어 링크 어셈블리가 구비되면, 링크 어셈블리의 단부에 구비된 링크(82c)에 형성된 와이어 삽입홀(826)을 통해 와이어를 삽입할 수 있다. 와이어 삽입홀(826)을 통해 삽입된 와이어(86)는 링크 어셈블리의 각 링크(82)에 형성된 와이어 삽입홀(824)을 통과할 수 있다. 이로써 와이어(86)가 링크 어셈블리에 장착될 수 있다.The wire insertion hole 826 provided in the link 82c provided at the end of the link assembly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When a plurality of links 82 are connected and a link assembly is provided, a wire may be inserted through the wire insertion hole 826 formed in the link 82c provided at the end of the link assembly. The wire 86 inserted through the wire insertion hole 826 may pass through the wire insertion hole 824 formed in each link 82 of the link assembly. This allows the wire 86 to be mounted on the link assembly.

도 10은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 본체의 분해 사시도이다.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older body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도 10을 참조하면,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 본체(81)에는 조작부(83) 및 록킹 스위치(84)가 구비될 수 있다. 조작부(83)와 록킹 스위치(84)는 사용자가 조작가능하도록 홀더 본체(81)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the holder body 81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may be provided with an operation unit 83 and a locking switch 84. The operation unit 83 and the locking switch 84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lder body 81 so that the user can manipulate it.

홀더 본체(81)의 양쪽 측면에는 링크(82)가 연결될 수 있도록 수용부(817) 또는 연결부가 마련될 수 있다. 홀더 본체(81)에 수용부(817)가 형성된 경우, 홀더 본체(81)에 인접하는 링크(82)의 연결부가 수용부(817)에 수용될 수 있다. 링크(82)와 홀더 본체(81)는, 수용부(817)의 상측에 형성된 핀 삽입홀(814)과 링크(82)의 연결부에 형성된 핀 삽입홀을 관통하는 핀에 의해 피봇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Both sides of the holder body 81 may be provided with a receiving portion 817 or a connection portion so that the link 82 can be connected. When the accommodating portion 817 is formed in the holder body 81,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link 82 adjacent to the holder body 81 may b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817. The link 82 and the holder body 81 may be pivotably connected by a pin insertion hole 814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ceiving portion 817 and a pin passing through the pin insertion hole formed at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link 82. have.

홀더 본체(81)의 양쪽 측면에는 케이블(85)이 통과할 수 있는 케이블 삽입홀(816)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 삽입홀(816)을 통과한 케이블(85)의 일단은 후술할 제2기어부(833) 측에 장착될 수 있다.Cable insertion holes 816 through which the cable 85 can pass may be further formed on both sides of the holder body 81. One end of the cable 85 passing through the cable insertion hole 816 may be mounted on the side of the second gear portion 833 to be described later.

홀더 본체(81)의 내측에는 조작부(83)가 연결되는 제1기어부(832)가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가 조작부(83)를 조작하면 제1기어부(832)는 조작부(83)와 함께 움직이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조작부(83)에는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부(830)가 구비될 수 있다. 제1기어부(832)에는 홀을 형성하는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보스(831)가 장착될 수 있다. 체결부(830)는 홀더 본체(81)에 형성된 제1홀(812)을 통과하여 홀더 본체(81)의 내측에 구비된 체결보스(831)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이로써 조작부(83)와 제1기어부(832)가 함께 움직일 수 있도록 연결될 수 있다.A first gear part 832 to which the manipulation part 83 is connected may be provided inside the holder body 81. When the user manipulates the manipulation unit 83, the first gear unit 832 may be provided to move together with the manipulation unit 83. For example, the operation part 83 may be provided with a fastening part 830 having a thread formed on an outer surface thereof. A fastening boss 831 having a thread formed on an inner surface forming a hole may be mounted on the first gear part 832. The fastening part 830 may pass through the first hole 812 formed in the holder body 81 and b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boss 831 provided inside the holder body 81 to be fastened. Accordingly, the operation unit 83 and the first gear unit 832 may be connected to move together.

홀더 본체(81)의 내측에는 제1기어부(832)와 치합되는 제2기어부(833)가 마련될 수 있다. 제1기어부(832)가 회전하면 제2기어부(833)는 제1기어부(832)의 회전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기어부(832)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기어부(833)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2기어부(833)에는 케이블(85)의 적어도 일단이 고정되는 샤프트(834)가 연결될 수 있다. 샤프트(834)는 제2기어부(833)에 장착되어 제2기어부(833)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A second gear portion 833 meshed with the first gear portion 832 may be provided inside the holder body 81. When the first gear part 832 rotates, the second gear part 833 may rotat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first gear part 832. For example, when the first gear portion 832 rotates in a clockwise direction, the second gear portion 833 may rotate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A shaft 834 to which at least one end of the cable 85 is fixed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gear portion 833. The shaft 834 is mounted on the second gear portion 833 and may rotate together with the second gear portion 833.

링크 어셈블리를 통과하는 케이블(85)의 일단은 제2기어부(833) 측에 고정될 수 있다. 케이블(85)의 일단은 제2기어부(833)에 연결된 샤프트(834)에 고정될 수 있다. 제2기어부(833)가 특정 방향으로 회전하면, 샤프트(834)는 제2기어부(833)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샤프트(834)가 특정 방향으로 회전하면 샤프트(834)에 고정된 케이블(85)은 샤프트(834)에 감기거나 감겨있는 케이블(85)이 샤프트(834)로부터 풀릴 수 있다.One end of the cable 85 passing through the link assembly may be fixed to the second gear portion 833 side. One end of the cable 85 may be fixed to the shaft 834 connected to the second gear portion 833. When the second gear portion 833 rotates in a specific direction, the shaft 834 may rotate together with the second gear portion 833. When the shaft 834 is rotated in a specific direction, the cable 85 fixed to the shaft 834 may be wound around the shaft 834 or the cable 85 wound around the shaft 834 may be released from the shaft 834.

하나의 케이블(85)이 링크 어셈블리를 왕복하도록 구비된 경우, 케이블(85)의 일단은 샤프트(834)에 고정될 수 있고, 케이블(85)의 타단은 홀더 본체(81)의 일측 또는 홀더 본체(81)에 인접한 링크(82)의 일측에 고정될 수 있다.When one cable 85 is provided to reciprocate the link assembly, one end of the cable 85 may be fixed to the shaft 834, and the other end of the cable 85 is one side of the holder body 81 or the holder body It may be fixed to one side of the link 82 adjacent to (81).

일례로 사용자가 조작부(83)를 반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제1기어부(832)는 조작부(83)와 함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1기어부(83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기어부(832)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2기어부(832)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케이블(85)이 샤프트(834)에 감길 수 있다. 케이블(85)이 샤프트(834)에 감기면, 링크 어셈블리는 구부러져 사용자의 신체 측으로 접근하여 사용자의 신체를 구속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에 의해 조작부(83)가 조작된 후, 링크 어셈블리에 포함된 복수의 링크(82)는 인접하는 링크 간의 각도가 작아질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rotates the operation unit 83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first gear unit 832 rotates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together with the operation unit 83. When the first gear portion 832 rotates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second gear portion 832 may rotate in a clockwise direction. When the second gear part 832 rotates in a clockwise direction, the cable 85 may be wound around the shaft 834. When the cable 85 is wound around the shaft 834, the link assembly is bent to approach the user's body side and restrain the user's body. In this case, after the operation unit 83 is manipulated by the user, the plurality of links 82 included in the link assembly may have a smaller angle between adjacent links.

사용자가 조작부(83)를 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제2기어부(832)는 조작부(83)와 함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1기어부(832)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기어부(832)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2기어부(83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케이블(85)이 샤프트로(834)로부터 풀릴 수 있다. 케이블(85)이 샤프트로부터 풀리면 느슨해진 케이블(85)에 의해 링크 어셈블리는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멀어져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에 의해 조작부(83)가 조작되면, 링크 어셈블리에 포함된 복수의 링크(82)는 인접하는 링크 간의 각도가 커질 수 있다.When the user turns the operation unit 83 clockwise, the second gear unit 832 rotat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together with the operation unit 83. When the first gear part 832 rotates in a clockwise direction, the second gear part 832 may rotate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When the second gear portion 832 rotates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cable 85 may be released from the shaft furnace 834. When the cable 85 is released from the shaft, the link assembly may be separated from the user's body by moving away from the user's body by the loosened cable 85. At this time, when the operation unit 83 is manipulated by the user, the plurality of links 82 included in the link assembly may increase an angle between adjacent links.

홀더 본체(81)는 록킹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록킹부는 록킹 스위치(84) 및 록킹 스위치(84)와 연결되는 록킹 바(840)를 포함할 수 있다. 록킹 바(840)의 일측에는 제2기어부(833)와 선택적으로 치합될 수 있는 록킹 기어(841)가 형성될 수 있다.The holder body 81 may further include a locking part. The locking unit may include a locking switch 84 and a locking bar 840 connected to the locking switch 84. A locking gear 841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locking bar 840 to selectively engage with the second gear portion 833.

록킹 바(840)는 홀더 본체(81)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록킹 스위치(84)는 사용자가 조작가능하도록 홀더 본체(81)의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록킹 스위치(84)와 록킹 바(840)는 일체로 움직일 수 있도록 결합될 수 있다. 홀더 본체(810)에는 제2홀(813)이 형성되고, 제2홀(813)을 통해 록킹 스위치(84)와 록킹 바(840)가 결합될 수 있다. 제2홀(813)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스위치(84)가 제2홀(813)의 연장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다.The locking bar 840 may be provided inside the holder body 81. The locking switch 84 may be provided outside the holder body 81 so that the user can manipulate it. The locking switch 84 and the locking bar 840 may be combined to be movable integrally. A second hole 813 is formed in the holder body 810, and the locking switch 84 and the locking bar 840 may be coupled through the second hole 813. The second hole 813 is formed to be elong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switch 84 can slide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econd hole 813.

록킹 바(840)의 하부에는 록킹 바(840)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842)가 구비될 수 있다. 탄성부재(842)가 록킹 바(840)에 가하는 탄성력은 상부를 향할 수 있다.An elastic member 842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the locking bar 840 may be provided under the locking bar 840. An elastic force applied by the elastic member 842 to the locking bar 840 may be directed upward.

록킹 바(840)에는 제2기어부(833)와 선택적으로 치합되는 록킹 기어(841)가 구비될 수 있다. 록킹 기어(841)는 록킹 바(840)의 하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The locking bar 840 may be provided with a locking gear 841 selectively engaged with the second gear portion 833. The locking gear 841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locking bar 840.

이하, 록킹부에 의해 조작부(83)의 동작이 구속 또는 해제되는 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structure in which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83 is restricted or released by the locking unit will be described.

도 11은은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기어부가 록킹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은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기어부가 록킹 해제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1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gear unit is locked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and FIG. 12 is a view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second gear unit is unlocked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록킹 바(840)에는 제2기어부(833)와 선택적으로 치합되는 록킹 기어(841)가 구비될 수 있다. 외력이 없는 상태에서, 록킹 바(840)는 탄성부재(842)에 의해 상부로 밀려 록킹 기어(841)와 제2기어부(833)가 치합된다. 11 and 12, a locking gear 841 selectively engaged with the second gear portion 833 may be provided in the locking bar 840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In the absence of external force, the locking bar 840 is pushed upward by the elastic member 842 so that the locking gear 841 and the second gear portion 833 are engaged.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기어부(833)가 록킹 기어(841)와 치합된 상태에서, 제2기어부(833)는 시계 방향(c1)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2기어부(833)가 시계 방향(c1)으로 회전하면 제2기어부(833)는 록킹 기어(841)를 차례로 통과하게 된다. 제2기어부(833)에 구비된 톱니가 록킹 기어(841)에 구비된 톱니를 차례로 통과하면서 록킹 바(840)를 하방으로 밀수 있다. 제2기어부(833)에 구비된 톱니가 록킹 기어(841)에 구비된 톱니를 통과하고 나면, 록킹 바(840)는 하부에 구비된 탄성부재(842)에 의해 다시 상부로 되돌아올 수 있다. 제2기어부(833)가 회전하면서 록킹 바(840)를 하방으로 밀고, 록킹 바(840)는 탄성부재(842)에 의해 상부로 되돌아오는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11,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gear portion 833 is engaged with the locking gear 841, the second gear portion 833 may rotate in a clockwise direction c1. When the second gear portion 833 rotates clockwise (c1), the second gear portion 833 passes through the locking gear 841 in order. The teeth provided in the second gear portion 833 may push the locking bar 840 downward while passing through the teeth provided in the locking gear 841 in order. After the teeth provided in the second gear part 833 pass through the teeth provided in the locking gear 841, the locking bar 840 can be returned to the top again by the elastic member 842 provided at the lower part. . As the second gear portion 833 rotates, the locking bar 840 is pushed downward, and the locking bar 840 may repeat an operation of returning to the top by the elastic member 842.

이와 같이, 제2기어부(833)는 시계 방향(c1)으로 회전가능한 상태이므로, 사용자는 조작부(83)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케이블(85)이 샤프트(834)에 감기도록 하여 링크 어셈블리가 사용자의 신체를 감싸 구속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제1홀더(80)가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될 수 있다.In this way, since the second gear portion 833 is in a state of being rotatable in the clockwise direction c1, the user rotates the operation portion 83 counterclockwise so that the cable 85 is wound around the shaft 834 May wrap around the user's body and restrict it. Accordingly, the first holder 80 may be mounted on the user's body.

제2기어부(833)가 록킹 기어(841)와 치합된 상태에서, 제2기어부(833)는 반시계 방향(c2)로 회전할 수 없다. 외력이 없는 상태에서, 록킹 바(840)의 상부면 및 측면은 홀더 본체(81)의 내측벽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록킹 바(840)가 상부 또는 측방으로 이동할 공간이 마련되지 않도록 구비된다.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gear portion 833 is engaged with the locking gear 841, the second gear portion 833 cannot rotate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c2. In a state in which there is no external force, the upper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locking bar 840 are disposed adjacent to the inner wall of the holder body 81 so that a space for the locking bar 840 to move upward or laterally is not provided.

제2기어부(833)가 반시계 방향(c2)으로 회전하려 하더라도, 록킹 바(840)가 상부 또는 측방으로 이동할 공간이 없으므로 제2기어부(833)에 구비된 톱니가 록킹 기어(841)에 구비된 톱니를 통과하지 못하므로 제2기어부(833)가 록킹 기어(841)에 의해 간섭되어 회전하지 못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조작부(83)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더라도 제2기어부(833)는 반시계 방향(c2)으로 회전할 수 없으므로, 샤프트(834)에 감긴 케이블(85)이 풀릴 수 없는 록킹 상태에 놓인다. Even if the second gear part 833 tries to rotate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c2), since there is no space for the locking bar 840 to move upward or laterally, the teeth provided in the second gear part 833 are the locking gear 841 Since it does not pass through the teeth provided in the second gear portion 833 is interfered by the locking gear 841, it cannot rotate. Therefore, even if the user rotates the control unit 83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e second gear unit 833 cannot rotate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c2), so that the cable 85 wound around the shaft 834 cannot be released. Placed on

따라서 사용자가 링크 어셈블리가 신체에 적정한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홀더(80)를 장착하고 나면, 록킹부의 조작이 없는 한, 케이블(85)이 샤프트(834)로부터 풀리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이로써 제1홀더(80)가 안정적으로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보행시, 제1홀더(80)에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제1홀더(80)가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느슨해지거나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Accordingly, after the user mounts the holder 80 so that the link assembly can apply an appropriate pressure to the body, the cable 85 may be fixed so that it is not released from the shaft 834 unless the locking portion is operated. As a result, the first holder 80 is stably mounted on the user's body, so that the first holder 80 may not be loose or separated from the user's body even when pressure is applied to the first holder 80 when the user is walking. have.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탄성부재(842)의 탄성력보다 더 큰 힘을 가해 록킹 스위치(84)를 하부로 내리면, 록킹 바(840)는 하부로 내려가고 제2기어부(833)와 록킹 기어(841)가 이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2, when the user applies a force greater than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842 to lower the locking switch 84, the locking bar 840 goes down and the second gear portion 833 And the locking gear 841 may be spaced apart.

제2기어부(833)는 록킹 기어(841)에 의해 간섭받지 않으므로 시계 방향(c1) 및 반시계 방향(c2)으로 회전가능하다. 사용자는 록킹 스위치(84)를 하부로 내린 상태에서, 조작부(83)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조작부(83)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기어부(833)는 반시계 방향(c2)으로 회전하여 샤프트(834)에 감긴 케이블(85)이 샤프트(834)로부터 풀릴 수 있다. 케이블(85)이 샤프트(834)로부터 풀리면 케이블(85)의 길이가 길어져 링크 어셈블리가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로써 제1홀더(80)가 신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Since the second gear portion 833 is not interfered with by the locking gear 841, it can be rotated clockwise (c1) and counterclockwise (c2). The user can rotate the operation unit 83 clockwise while the locking switch 84 is lowered. When the operation unit 83 rotat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e second gear unit 833 rotate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c2 so that the cable 85 wound around the shaft 834 may be released from the shaft 834. When the cable 85 is released from the shaft 834, the length of the cable 85 is lengthened, so that the link assembly may be separated from the user's body. Accordingly, the first holder 80 can be separated from the body.

록킹 스위치(84)에 가해진 힘이 제거되면, 탄성부재(842)의 탄성력에 의해 록킹 바(840)가 상부로 밀어올려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 기어(841)와 제2기어부(833)가 다시 치합될 수 있다.When the force applied to the locking switch 84 is removed, the locking bar 840 is pushed upwar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842, as shown in FIG. 10, the locking gear 841 and the second gear The portion 833 may be re-engaged.

도 13은 개시된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1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closed invention.

도 13을 참조하면, 개시된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발명은 신체의 특정 부위에 장착될 수 있는 홀더(5')에 관한 것이다. 홀더(5')는 복수의 링크가 탄성이 있는 패널(6')에 의해 연결되어 구비된다. 복수의 링크가 패널(6')에 의해 연결된 것을 링크 어셈블리라 할 수 있다.13, the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closed invention relates to a holder 5'that can be mounted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The holder 5'is provid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links by an elastic panel 6'. A plurality of links connected by the panel 6'may be referred to as a link assembly.

홀더(5')는 케이블(7')을 포함한다. 케이블(7')은 복수의 링크를 통과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홀더(5')는 케이블(7')에 가해지는 텐션에 의해 복수의 링크가 신체를 감쌀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케이블(7')의 일측 단부는 홀더(5')의 단부에 구비된 링크에 고정될 수 있다. 케이블(7')의 타측 단부를 통해 케이블(7')에 텐션을 가할 수 있다. 케이블(7')에 텐션이 가해지면 복수의 링크는 케이블(7')에 의해 신체를 감싸도록 당겨질 수 있다. 케이블(7')에 텐션이 가해지기 전, 인접하는 링크의 내측면이 이루는 각도(θ5)는 케이블(7')에 텐션이 가해진 후 인접하는 링크의 내측면이 이루는 각도(θ6)보다 클 수 있다.The holder 5'comprises a cable 7'. The cable 7'may be provided to pass through a plurality of links. The holder 5 ′ may be provided so that a plurality of links may wrap around the body by a tension applied to the cable 7 ′. One end of the cable 7'may be fixed to a link provided at the end of the holder 5'. Tension can be applied to the cable 7'through the other end of the cable 7'. When tension is applied to the cable 7 ′, the plurality of links may be pulled to surround the body by the cable 7 ′. Before tension is applied to the cable (7'), the angle (θ5) form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adjacent link may be greater than the angle (θ6) form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adjacent link after the tension is applied to the cable (7'). have.

일례로 홀더(5')를 구성하는 복수의 링크는 제1링크(5a') 및 제2링크(5b')를 포함한다. 제1링크(5a')와 제1링크(5a')에 인접한 제2링크(5b')는 탄성이 있는 패널(6')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케이블(7')는 제1링크(5a')와 제2링크(5b')를 통과할 수 있다. 케이블(7')의 일단부는 링크 어셈블리의 일측에 고정될 수 있다. 케이블(7')의 타단부를 잡아당기면 케이블(7')에는 텐션(T)가 가해진다. 케이블(7')에 가해진 텐션(T)에 의해 제1링크(5a') 및 제2링크(5b')를 포함한 링크 어셈블리는 사용자의 신체를 감싸도록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For example, the plurality of links constituting the holder 5'includes a first link 5a' and a second link 5b'. The first link 5a' and the second link 5b' adjacent to the first link 5a' may be connected by an elastic panel 6'. The cable 7'may pass through the first link 5a' and the second link 5b'. One end of the cable 7'may be fixed to one side of the link assembly. When the other end of the cable 7'is pulled, a tension T is applied to the cable 7'. The link assembly including the first link 5a' and the second link 5b' may receive a driving force to surround the user's body by the tension T applied to the cable 7'.

링크 어셈블리가 케이블(7')에 의해 당겨져 사용자의 신체를 감싸게 되면 각각의 링크의 내측면은 사용자의 신체를 압박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링크의 내측면이 사용자의 신체에 가하는 힘은 분산될 수 있다. 각각의 링크의 내측면은 사용자의 신체에 균일한 압력(P)을 전달할 수 있다. 이로써 홀더(5')가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되더라도 불균일한 압력 전달에 의한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다.When the link assembly is pulled by the cable 7'and wraps around the user's body, the inner surface of each link may press the user's body. In this case, the force applied by the inner side of each link to the user's body may be distributed. The inner side of each link may transmit a uniform pressure P to the user's body. Accordingly, even if the holder 5'is mounted on the user's body, discomfort due to uneven pressure transmission may be eliminated.

케이블(7)의 타측에서 일측으로 갈수록 링크에 장착되는 패널(6')과 케이블(7')과의 최소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케이블(7')의 타측에 위치한 링크(5a')에 연결된 패널(6')과 케이블(7') 간의 최소 거리(W5)는 케이블(7')의 일측에 위치한 링크(5b')에 연결된 패널(6')과 케이블(7') 간의 최소 거리(W6)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각 링크의 내측면이 사용자의 신체에 가하는 힘에 의한 패널(6')에서의 모멘트와 케이블(7')에 의한 텐션에 의한 패널(6')에서의 모멘트가 평형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It may be provided so that the minimum distance between the panel 6 ′ and the cable 7 ′ mounted on the link becomes closer as the cable 7 goes from the other side to the one side. In other words, the minimum distance W5 between the panel 6'and the cable 7'connected to the link 5a'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cable 7'is the link 5b' located on one side of the cable 7' It may be provided larger than the minimum distance (W6) between the panel (6') and the cable (7') connected to. As a result, the moment in the panel 6'due to the force applied to the user's body on the inner side of each link and the moment in the panel 6'due to tension by the cable 7'can be balanced.

도 14는개시된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더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는 개시된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더의 링크와 케이블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6은 개시된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더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14 is a view showing a hol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closed invention, FIG. 15 is a view showing a link and a cable of a hol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closed invention, and FIG. 16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closed invention. It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holder according to.

도 14 내지 도 16에 개시된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더(100)는 홀더 본체(101) 및 복수의 링크(102)를 포함한다. 복수의 링크(102)가 탄성이 있는 패널(103)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The holder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disclosed in FIGS. 14 to 16 includes a holder body 101 and a plurality of links 102. A plurality of links 102 may be connected by an elastic panel 103.

패널(10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80)에서 링크(82)를 연결하는 핀(87)과 와이어(86)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패널(103)은 복수의 링크(102)를 연결하고, 복수의 링크(102)가 후술할 케이블(106)에 텐션이 가해지더라도 링크 어셈블리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panel 103 may serve as a pin 87 and a wire 86 connecting the link 82 in the holder 8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at is, the panel 103 connects a plurality of links 102 and allows the plurality of links 102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link assembly even when tension is applied to the cable 106 to be described later.

복수의 링크(102)과 패널(103)의 결합체를 링크 어셈블리라 할 수 있다. 링크 어셈블리는 홀더 본체(101)에 연결될 수 있다. 링크 어셈블리는 홀더 본체(101)를 중심으로 좌우 양쪽에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되는 링크 어셈블리의 내측면에는 실리콘, 고무 소재 등으로 구비된 패드가 장착되어 사용자가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A combination of the plurality of links 102 and the panel 103 may be referred to as a link assembly. The link assembly may be connected to the holder body 101. The link assembly may be connected to both left and right around the holder body 101. A pad made of silicone or rubber is mounted on the inner side of the link assembly that is in contact with the user's body, so that the user can improve the fit.

링크 어셈블리는 복수의 링크(102)를 통과하는 케이블(106)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106)은 복수의 링크(102)를 관통한다. 케이블(106)은 복수의 링크(102)를 복수 회 통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케이블(106)은 링크 어셈블리를 왕복하여 두 번 통과할 수 있다. The link assembly may include cables 106 passing through a plurality of links 102. Cable 106 passes through a plurality of links 102. The cable 106 may pass through the plurality of links 102 multiple times. For example, one cable 106 can pass twice, reciprocating the link assembly.

케이블(106)에 가해지는 텐션에 의해 링크 어셈블리의 곡률이 가변될 수 있다. 케이블(106)에 텐션이 가해지기 전 인접한 링크의 내측면이 이루는 각도(θ7)는 케이블(106)에 텐션이 가해진 후 인접한 링크의 내측면이 이루는 각도(θ8)보다 클 수 있다.The curvature of the link assembly may be varied by the tension applied to the cable 106. The angle θ7 form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adjacent link before the tension is applied to the cable 106 may be greater than the angle θ8 form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adjacent link after the tension is applied to the cable 106.

케이블(106)과 링크의 내측면과의 최소 거리는 링크 어셈블리 전체에서 동일할 수 있다. 케이블(106)에 텐션이 가해져 홀더(100)가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되었을 때,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되는 링크 어셈블리가 사용자의 신체에 가하는 힘은 분산되어 접촉되는 면적 전체에 걸쳐 사용자의 신체에 균일한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minimum distance between the cable 106 and the inner side of the link may be the same throughout the link assembly. When tension is applied to the cable 106 and the holder 100 is mounted on the user's body, the force exerted on the user's body by the link assembly in contact with the user's body is distributed and uniformly applied to the user's body over the entire contact area. It can be arranged to apply pressure.

예를 들어, 홀더 본체(101) 측에 위치한 패널(103)으로부터 케이블(106)까지의 최소 거리(W7)는 링크 어셈블리의 단부 측에 위치한 패널(103)로부터 케이블(106)까지의 최소 거리(W8)보다 멀게 구비될 수 있다. 이와같이 사용자의 신체를 감싸는 복수의 링크 각각의 일면이 사용자의 신체에 균일한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케이블(106)의 텐션에 의한 힘이 분산되어 전달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minimum distance W7 from the panel 103 located on the holder body 101 side to the cable 106 is the minimum distance W7 from the panel 103 located on the end side of the link assembly to the cable 106 ( It can be provided farther than W8). In this way, the force due to the tension of the cable 106 may be distributed and transmitted so that one surfac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links surrounding the user's body may apply a uniform pressure to the user's body.

링크 어셈블리의 단부에 위치한 링크(102b)에는 고정핀(108)이 구비된다. 홀더 본체(101)로부터 연장된 케이블(106)은 링크 어셈블리를 통과하고 고정핀(108)을 돌아 다시 링크 어셈블리를 통과하여 홀더 본체(101) 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A fixing pin 108 is provided on the link 102b located at the end of the link assembly. The cable 106 extending from the holder body 101 may pass through the link assembly, rotate the fixing pin 108, and pass through the link assembly again to extend toward the holder body 101.

케이블(106)의 일측은 홀더 본체(101) 또는 홀더 본체(101)에 인접한 링크(102a)에 고정될 수 있다. 케이블(106)의 타측은 홀더 본체(101)에 구비된 샤프트에 고정될 수 있다. One side of the cable 106 may be fixed to the holder body 101 or a link 102a adjacent to the holder body 101. The other side of the cable 106 may be fixed to a shaft provided in the holder body 101.

홀더 본체(101)는 사용자가 케이블(106)의 길이를 단축 또는 연장시킬 수 있도록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104)를 포함한다. 홀더 본체(101)는 케이블(106)을 선택적으로 연장시킬 수 있도록 케이블(106)이 감긴 샤프트 측을 록킹하는 록킹부를 포함한다. 홀더 본체(101)에는 록킹부를 조작할 수 있는 록킹 스위치(105)가 구비될 수 있다.The holder body 101 includes an operation unit 104 that can be operated by a user to shorten or extend the length of the cable 106. The holder body 101 includes a locking portion for locking the shaft side around which the cable 106 is wound so that the cable 106 can be selectively extended. The holder body 101 may be provided with a locking switch 105 capable of operating a locking portion.

조작부(104)에 의한 케이블(106)의 연장 또는 단축 및 록킹부의 구성, 기능과 관련한 홀더 본체(101)의 구성 및 동작에 관해서는 일 실시예의 경우가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As fo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holder body 101 in relation to the extension or shortening of the cable 106 and the locking unit by the operation unit 104, th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since the case of the embodiment may be similarly applied.

이와 같이 복수의 링크가 피봇가능하게 연결되고, 케이블의 단축 또는 연장에 의해 홀더가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 또는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케이블의 연장 또는 단축시킴으로써 링크 어셈블리가 사용자의 신체의 사이즈에 맞게 압박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홀더가 장착되는 신체의 사이즈가 상이함에 따른 착용상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링크 어셈블리의 케이블과 피봇부와의 거리를 가변시켜 케이블의 텐션에 의해 복수의 링크가 사용자의 신체에 가하는 힘을 분산시켜 전달할 수 있다. 복수의 링크가 사용자의 신체에 가하는 힘을 분산시켜 전달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되는 링크 어셈블리의 내측면이 사용자의 신체에 가하는 압력의 크기를 균일하게 함으로써 홀더 장착시 불균일한 압력에 의한 사용자의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도록 한다.In this way, a plurality of links may be pivotally connected, and the holder may be mounted on the user's body or detached from the user's body by shortening or extending the cable. By extending or shortening the cable, the degree to which the link assembly is press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user's body can be adjusted, so that inconvenience in wearing due to different sizes of the body on which the holder is mounted can be eliminated. In addition, by varying the distance between the cable of the link assembly and the pivot unit, the force exerted on the user's body by the plurality of links can be distributed and transmitted by the tension of the cable. User discomfort due to uneven pressure when mounting the holder by distributing and transmitting the force exerted by a plurality of links on the user's body to make the inner side of the link assembly in contact with the user's body uniform the amount of pressure exerted on the user's body Let the ship be resolved.

1: 보행보조로봇 80: 홀더
81: 홀더 본체 82: 링크
83: 조작부 84: 록킹 스위치
85: 케이블 86: 와이어
87: 핀 832: 제1기어부
833: 제2기어부 834: 샤프트
840: 록킹 바 841: 록킹 기어
100: 홀더 101: 홀더 본체
102: 링크 103: 패널
104: 조작부 105: 록킹 스위치
106: 케이블
1: walking assist robot 80: holder
81: holder body 82: link
83: control panel 84: locking switch
85: cable 86: wire
87: pin 832: first gear part
833: second gear part 834: shaft
840: locking bar 841: locking gear
100: holder 101: holder body
102: link 103: panel
104: control panel 105: locking switch
106: cable

Claims (30)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될 수 있는 홀더에 있어서,
사용자의 신체를 감쌀 수 있도록 복수의 링크가 연결되어 구비되는 링크 어셈블리;
상기 링크 어셈블리에 장착되고, 가변되는 텐션에 의해 상기 링크 어셈블리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링크와 인접하는 다른 하나의 링크가 이루는 각도가 가변되도록 하는 케이블; 및
상기 케이블의 일측이 장착되는 홀더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 본체 측에 위치한 링크의 외측면과 케이블 간의 최소 거리는 상기 링크 어셈블리의 단부 측에 위치한 링크의 외측면과 케이블 간의 최소 거리보다 크게 마련되는 홀더.
In the holder that can be mounted on the user's body,
A link assembly having a plurality of links connected to each other to surround the user's body;
A cable mounted on the link assembly and configured to change an angle formed by one link included in the link assembly and another link adjacent to the other link by a variable tension; And
Includes; a holder body on which one side of the cable is mounted,
A holder provided in which a minimum distance between an outer surface of the link located on the holder body side and a cable is greater than a minimum distance between an outer surface of the link located at the end side of the link assembly and a cab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본체는, 상기 케이블을 연장 또는 단축시킴으로써 상기 케이블에 가해지는 텐션을 가변시킬 수 있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홀더.
The method of claim 1,
The holder body includes an operation unit capable of varying a tension applied to the cable by extending or shortening the cabl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가 조작되어 상기 케이블이 단축되면 상기 케이블의 텐션이 증가하고, 인접하는 링크 간의 각도가 작아지는 홀더.
The method of claim 2,
When the control unit is operated to shorten the cable, the tension of the cable increases and the angle between adjacent links decreases.
삭제dele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일측은 상기 홀더 본체에 구비된 샤프트에 고정되고, 상기 샤프트에는 기어부가 연결되는 홀더.
The method of claim 2,
One side of the cable is fixed to a shaft provided in the holder body, a holder to which a gear unit is connected to the shaf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는 상기 조작부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상기 케이블이 상기 샤프트에 감기거나 풀리도록 하여 상기 케이블을 단축 또는 연장시키는 홀더.
The method of claim 5,
A holder for shortening or extending the cable by rotating the gear part by receiving a driving force from the operation part so that the cable is wound or unwound on the shaf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본체에는 상기 샤프트와 연결된 기어부의 동작을 간섭하는 록킹부가 더 마련되는 홀더.
The method of claim 6,
The holder body further provided with a locking part interfering with the operation of the gear connected to the shaf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는 상기 기어부와 선택적으로 치합될 수 있는 록킹 기어를 포함하는 홀더.
The method of claim 7,
The locking portion holder including a locking gear that can be selectively engaged with the gear por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기어가 상기 기어부와 치합되면, 상기 기어부의 특정 방향으로의 회전이 간섭되는 홀더.
The method of claim 8,
When the locking gear meshes with the gear part, the rotation of the gear part in a specific direction is interfered with.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기어가 상기 기어부와 치합되면, 상기 기어부는 상기 케이블이 상기 샤프트로부터 풀리는 방향으로의 회전이 간섭되는 홀더.
The method of claim 9,
When the locking gear is engaged with the gear part, the gear part is a holder that interferes with rotation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able is released from the shaf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기어가 상기 기어부와 치합된 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기어부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케이블이 상기 샤프트에 감기거나 풀릴 수 있는 홀더.
The method of claim 8,
When the locking gear engages with the gear part is released, the gear part rotates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so that the cable can be wound or unwound on the shaf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링크는 핀에 의해 피봇가능하게 연결되는 홀더.
The method of claim 1,
The plurality of links is a holder pivotally connected by a pin.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어셈블리를 통과하고, 상기 링크 어셈블리의 형태를 유지시키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홀더.
The method of claim 12,
A holder including a wire passing through the link assembly and maintaining the shape of the link assembly.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핀과 상기 케이블 간의 최소 거리는, 상기 홀더 본체 측으로부터 상기 링크 어셈블리의 단부 측으로 갈수록 가까워지도록 마련되는 홀더.
The method of claim 12,
A holder provided such that the minimum distance between the pin and the cable becomes closer from the holder body side toward the end side of the link assemb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링크는 탄성이 있는 패널에 의해 연결되는 홀더.
The method of claim 1,
The plurality of links is a holder connected by an elastic pan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링크에 있어서, 각각의 링크의 내측면과 상기 케이블 간의 최소 거리는 동일한 홀더.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plurality of links, the minimum distance between the cable and the inner side of each link is the same hold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어셈블리는 상기 조작부의 좌우 양쪽에 각각 연결되는 홀더.
The method of claim 2,
The link assembly is a holder connected to each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operation unit.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보행을 보조하는 보행보조로봇으로서,
상기 보행보조로봇은, 복수의 링크가 연결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밀착되도록 구비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을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시키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홀더 본체;
복수의 링크가 연결되어 상기 홀더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링크 어셈블리; 및
상기 링크 어셈블리에 장착되어 연장 또는 단축됨으로써 상기 링크 어셈블리의 곡률을 가변시킬 수 있는 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홀더 본체 측에 위치한 링크의 외측면과 케이블 간의 최소 거리는 상기 링크 어셈블리의 단부 측에 위치한 링크의 외측면과 케이블 간의 최소 거리보다 크게 마련되는 보행보조로봇.
As a walking aid robot that is installed on the user's body to assist the user's walking,
The walking assist robot may include a frame provid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a user's body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links; And
Including; a holder for mounting the frame to the body of the user,
The holder may include a holder body mounted on the frame;
A link assembly to which a plurality of links are connected and extending from the holder body; And
Includes; a cable that is mounted on the link assembly and is extended or shortened to change the curvature of the link assembly,
A walking aid robot in which the minimum distance between the cabl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link located at the side of the holder body is greater than the minimum distance between the cabl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link located at the end side of the link assembly.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일측은 상기 홀더 본체에 구비된 샤프트에 고정되고, 상기 홀더 본체에는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킬 수 있는 조작부가 구비되는 보행보조로봇.
The method of claim 18,
One side of the cable is fixed to a shaft provided in the holder body, the walking aid robot having a manipulation unit capable of rotating the shaft in the holder body.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케이블이 상기 샤프트에 감겨 상기 케이블의 길이가 단축되고, 상기 샤프트가 타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케이블이 상기 샤프트로부터 풀려 상기 케이블의 길이가 연장되는 보행보조로봇.
The method of claim 19,
When the shaft rotates in one direction, the cable is wound around the shaft to shorten the length of the cable, and when the shaft rotates in the other direction, the cable is released from the shaft and the length of the cable is extended.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본체에는, 상기 샤프트가 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간섭하는 록킹부가 구비되는 보행보조로봇.
The method of claim 20,
In the holder body, the walking aid robot is provided with a locking part that interferes with the rotation of the shaft in another direction.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는 록킹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 스위치를 조작하여 상기 록킹부가 상기 샤프트를 간섭하고 있는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보행보조로봇.
The method of claim 21,
The locking unit includes a locking switch, and a walking aid robot capable of releasing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unit is interfering with the shaft by operating the locking switch.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어셈블리의 단부에 위치한 링크에는 고정핀이 장착되고, 상기 고정핀에 의해 상기 링크에서의 케이블의 위치가 고정되는 보행보조로봇.
The method of claim 18,
A fixing pin is mounted on the link located at the end of the link assembly, and the position of the cable in the link is fixed by the fixing pin.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링크는 핀에 의해 피봇가능하게 연결되고, 탄성을 가진 와이어가 상기 복수의 링크에 장착되는 보행보조로봇.
The method of claim 18,
The plurality of links are pivotably connected by pins, and a walking aid robot in which a wire having elasticity is mounted on the plurality of links.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링크는 탄성을 가진 패널에 의해 연결되는 보행보조로봇.
The method of claim 18,
The plurality of links is a walking aid robot connected by a panel having elasticity.
보행보조로봇에 장착되는 홀더에 있어서,
복수의 링크가 연결되어 사용자의 신체를 감쌀 수 있는 링크 어셈블리;
상기 링크 어셈블리를 상기 보행보조로봇에 장착시키는 홀더 본체;
상기 링크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복수의 링크를 연결하고, 가변되는 텐션에 의해 상기 링크 어셈블리가 구부러지도록 할 수 있는 케이블;
상기 케이블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조작부가 동작되는 것을 간섭하는 록킹부;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 본체 측에 위치한 링크의 외측면과 케이블 간의 최소 거리는 상기 링크 어셈블리의 단부 측에 위치한 링크의 외측면과 케이블 간의 최소 거리보다 크게 마련되는 홀더.
In the holder mounted on the walking aid robot,
A link assembly to which a plurality of links are connected to surround a user's body;
A holder body for mounting the link assembly to the walking aid robot;
A cable that connects a plurality of links constituting the link assembly and allows the link assembly to be bent by a variable tension;
Includes; a locking unit that interferes with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able extends,
A holder provided in which a minimum distance between an outer surface of the link located on the holder body side and a cable is greater than a minimum distance between an outer surface of the link located at the end side of the link assembly and a cable.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어셈블리에 있어서, 각각의 링크의 내측면과 상기 케이블 간의 최소 거리는 동일한 홀더.
The method of claim 26,
In the link assembly, the minimum distance between the cable and the inner side of each link is the same holder.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링크는, 인접하는 두 개의 링크를 관통하는 핀에 의해 피봇가능하게 연결되는 홀더.
The method of claim 26,
The plurality of links are pivotally connected by pins penetrating two adjacent links.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핀과 상기 케이블 간의 최소 거리는 상기 홀더 본체로부터 상기 링크 어셈블리의 단부 측으로 갈수록 가까워지는 홀더.
The method of claim 28,
The minimum distance between the pin and the cable is a holder closer toward the end side of the link assembly from the holder body.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어셈블리에는, 상기 복수의 링크를 연결하는 탄성이 있는 물체가 장착되는 홀더.
The method of claim 26,
A holder in which an elastic object connecting the plurality of links is mounted on the link assembly.
KR1020140009064A 2014-01-24 2014-01-24 Holder and walking aid robot having the same KR1021526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9064A KR102152640B1 (en) 2014-01-24 2014-01-24 Holder and walking aid robot having the same
JP2014245044A JP6387292B2 (en) 2014-01-24 2014-12-03 Holder for attaching the walking assist robot to the body
US14/598,785 US10085908B2 (en) 2014-01-24 2015-01-16 Holder and walking assistant robot having the same
EP15152169.7A EP2898861B1 (en) 2014-01-24 2015-01-22 Holder and walking assistant robot having the same
CN201510035905.7A CN104800052B (en) 2014-01-24 2015-01-23 Retainer and walking auxiliary robot with the ret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9064A KR102152640B1 (en) 2014-01-24 2014-01-24 Holder and walking aid robot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8573A KR20150088573A (en) 2015-08-03
KR102152640B1 true KR102152640B1 (en) 2020-09-09

Family

ID=52394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9064A KR102152640B1 (en) 2014-01-24 2014-01-24 Holder and walking aid robot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085908B2 (en)
EP (1) EP2898861B1 (en)
JP (1) JP6387292B2 (en)
KR (1) KR102152640B1 (en)
CN (1) CN104800052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8808B1 (en) * 2014-03-28 2021-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Link assembly, frame and walking aid robot having the same
KR102250235B1 (en) * 2014-07-17 2021-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A fixing module and a motion assist apparatus comprising thereof
DE102015101329A1 (en) * 2015-01-29 2016-08-04 Airbus Operations Gmbh Support device for stabilizing a body part of a person
FR3034660B1 (en) * 2015-04-07 2022-06-10 Wandercraft EXOSKELETON COMPRISING A MECHANICAL ANKLE LINKAGE WITH TWO PIVOTING AXES
KR102423702B1 (en) * 2015-09-04 2022-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Motion assist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JP6568940B2 (en) * 2016-03-10 2019-08-28 マサチューセッツ インスティテュート オブ テクノロジー Robot system to support users
WO2017203736A1 (en) * 2016-05-25 2017-11-30 ボッシュ株式会社 Motion assist device
DE102017122741A1 (en) * 2016-10-03 2018-04-26 Jtekt Corporation assistance device
JP6553577B2 (en) * 2016-11-04 2019-07-3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Operation assist device and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US11000945B2 (en) 2017-06-27 2021-05-11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Wearable robotic systems for supporting a load
KR101991667B1 (en) * 2017-07-14 2019-06-21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Cuff for rehabilitation robots and rehabilitation apparatus
CN107351067B (en) * 2017-08-24 2023-12-26 苏州致康医疗机器人科技有限公司 Doctor posture keeping power assisting system for operation application
CN110179635A (en) * 2018-02-22 2019-08-30 Lg电子株式会社 Effectively the leg band of supporting leg and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with the leg band
EP3536297A1 (en) 2018-02-23 2019-09-11 LG Electronics Inc. Wearable assistive device that efficiently delivers assistive force
US10603786B2 (en) * 2018-03-16 2020-03-31 Lg Electronics Inc. Belt for effective wearing and wearable assistive device having the same
CN109669545A (en) * 2019-01-21 2019-04-23 北京理工大学 Force feedback station
CN111745620B (en) * 2019-03-27 2021-08-27 深圳市肯綮科技有限公司 Hip mechanism and portable power assisting device
KR102142570B1 (en) * 2019-04-04 2020-08-10 현대자동차(주) Upper arm module of wearable muscular strength assisting apparatus and wearable muscular strength assis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1793703B2 (en) * 2020-03-30 2023-10-24 Virginia Tech Intellectual Properties, Inc. Lift-assistance exoskeleton
CN111643315B (en) * 2020-04-27 2021-09-03 东南大学 Flexible hand function rehabilitation device based on rope drive
KR102416734B1 (en) * 2020-09-29 2022-07-05 주식회사 엔젤로보틱스 Wearable assisting device
DE102020006331A1 (en) * 2020-10-15 2022-04-21 Spanset Inter Ag support device
CN112276909B (en) * 2020-10-23 2021-11-30 燕山大学 Self-adaptive knee joint power assisting device
KR102635233B1 (en) * 2021-03-17 2024-02-13 조대기 elbow rehabilitation aiding device
CN114227650B (en) * 2022-01-06 2023-10-13 华中科技大学鄂州工业技术研究院 Hip joint assistance exoskeleton
CN116458322B (en) * 2023-05-10 2023-09-01 诸暨市海道机械股份有限公司 Mow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13379A (en) * 1997-08-22 2001-09-04 ギャリー・アール・ハンマースラッグ Footwear lacing system
US20090054819A1 (en) * 2007-08-23 2009-02-26 Palmi Einarsson Orthopedic or Prosthetic Support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578A (en) * 1863-08-18 1863-08-18 Improvement in artificial limbs
US984179A (en) * 1910-09-26 1911-02-14 Leonard Aydt Artificial hand.
US3625200A (en) * 1969-08-26 1971-12-07 Us Catheter & Instr Corp Controlled curvable tip member
DE2655772C3 (en) 1976-12-09 1980-07-31 Messerschmitt-Boelkow-Blohm Gmbh, 8000 Muenchen Tension band with movable tensioning blocks
US4144881A (en) * 1977-06-06 1979-03-20 Chappell Cluff E Apparel worn for the aid and protection of the body and for the support and assistance of impaired joint function
FR2557450B1 (en) * 1983-10-05 1986-05-02 Monestier Jacques IMPROVEMENTS ON TOTAL HAND PROSTHESES
US4573455A (en) * 1983-12-22 1986-03-04 Hoy David J Knee orthotic hinge joint
US4649906A (en) 1984-06-15 1987-03-17 Spademan Richard George Cuff device
US5197767A (en) * 1985-04-09 1993-03-30 Tsubakimoto Chain Co. Flexible supporting sheath for cables and the like
FR2612747B1 (en) * 1987-03-23 1989-06-09 Rado Montres Sa BRACELET WITH A FLEXIBLE SOUL
US5005558A (en) * 1988-05-16 1991-04-09 Kabushiki Kaisha Toshiba Endoscope
CH677586A5 (en) * 1988-11-09 1991-06-14 Lange Int Sa
US5178137A (en) * 1990-03-16 1993-01-12 Motus, Inc. Segmented dynamic splint
US5297443A (en) * 1992-07-07 1994-03-29 Wentz John D Flexible positioning appendage
DE4305376C1 (en) * 1993-02-22 1994-09-29 Wolf Gmbh Richard Medical instrument shaft
US5791338A (en) * 1994-01-26 1998-08-11 William T. Merchant Endotracheal intubation apparatus
US7591050B2 (en) 1997-08-22 2009-09-22 Boa Technology, Inc. Footwear lacing system
JP3071190B2 (en) * 1998-08-26 2000-07-31 昌純 高田 Self-propelled colonoscope and cleaning method thereof
JP2001169808A (en) 1999-12-20 2001-06-26 Seiko Instruments Inc Arm holder of arm portable information equipment
JP2001213379A (en) 2000-02-07 2001-08-07 Honda Motor Co Ltd Rear cushion structure for motorcycle
US6418706B1 (en) * 2001-11-27 2002-07-16 Fossil, Inc. Watchband link assembly
US20060058582A1 (en) * 2002-06-13 2006-03-16 Usgi Medical Inc. Disposable shapelocking system
IL161687A (en) * 2004-04-29 2010-06-16 Igal Firsov Orthotic bracing device
US7618386B2 (en) * 2004-07-22 2009-11-17 Nordt Development Co., Llc Two-component compression collar clamp for arm or leg
DE102005004838A1 (en) * 2005-02-03 2006-08-10 Beiersdorf Ag Adjustable rail
US20110098618A1 (en) 2007-05-03 2011-04-28 Darren Fleming Cable Knee Brace System
JP5507911B2 (en) 2009-07-15 2014-05-28 テルモ株式会社 Electronic blood pressure monitor
US8603016B2 (en) 2010-01-11 2013-12-10 Honda Motor Co., Ltd. Walking assistance device
KR101142240B1 (en) 2010-05-12 2012-05-0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Wearable robot to assist muscular strength
PL2399472T3 (en) 2010-06-28 2013-08-30 Lazer Sport Nv A self-adjusting retention system for a helmet
JP5921225B2 (en) 2011-07-20 2016-05-24 株式会社岩田鉄工所 Multi-finger hand device
CN104203165B (en) 2011-10-31 2016-12-28 奥索有限责任公司 For dynamically treating the orthotic device of knee
WO2014005071A1 (en) 2012-06-28 2014-01-03 Ossur Hf Adjustable prosthetic limb system
US9610185B2 (en) * 2013-03-05 2017-04-04 Boa Technology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automatic closure of medical devices
US9204985B1 (en) * 2014-11-18 2015-12-08 M. J. Fullerton Compression leg suppor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13379A (en) * 1997-08-22 2001-09-04 ギャリー・アール・ハンマースラッグ Footwear lacing system
US20090054819A1 (en) * 2007-08-23 2009-02-26 Palmi Einarsson Orthopedic or Prosthetic Suppor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800052A (en) 2015-07-29
CN104800052B (en) 2019-02-01
KR20150088573A (en) 2015-08-03
EP2898861B1 (en) 2019-05-15
US20150209215A1 (en) 2015-07-30
JP2015136623A (en) 2015-07-30
EP2898861A1 (en) 2015-07-29
JP6387292B2 (en) 2018-09-05
US10085908B2 (en) 2018-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2640B1 (en) Holder and walking aid robot having the same
KR102241853B1 (en) Joint assembly and walking aid robot having the same
KR102158131B1 (en) Walking assist apparatus
JP6373768B2 (en) Link assembly
JP6781091B2 (en) Limb movement support device
US10154936B2 (en) Connecting module and motion assistance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1779504B2 (en) Wearable apparatus for increasing muscular force
CN114081798A (en) Exercise assisting device
JP6499776B2 (en) Body-worn upper limb exercise device
KR102340447B1 (en) A supporting module and a motion assist apparatus comprising thereof
KR20040083507A (en) Massager and massaging method
KR102250235B1 (en) A fixing module and a motion assist apparatus comprising thereof
KR20180111803A (en) Foot module for exoskeleton structures
US20110009788A1 (en) Orthotic Device with Removably Attachable Actuator
US20150196450A1 (en) Joint assembly and walking assistant robot having the same
US11426299B2 (en) Joint support unit and walking support apparatus
KR20190108386A (en) Power assisting apparatus comprising shoes holding unit improving control convenience
JP2019000963A (en) Movement assist device
KR101677920B1 (en) Wearable Type Exercise Equipment for Upper Limb
KR20200054244A (en) Joint device
KR102448693B1 (en) A force transmitting frame and a motion assist apparatus comprising thereof
KR20130018422A (en) Skeletal structure of human power amplification device
KR20130096205A (en) Wearing device and human power amplification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2481597B1 (en) Power assisting robot comprising shoes holding unit consisting of several materials
KR102667458B1 (en) Muscular strength assistanc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