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0793B1 - Terminal displaying user interface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 Google Patents

Terminal displaying user interface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0793B1
KR102150793B1 KR1020190044743A KR20190044743A KR102150793B1 KR 102150793 B1 KR102150793 B1 KR 102150793B1 KR 1020190044743 A KR1020190044743 A KR 1020190044743A KR 20190044743 A KR20190044743 A KR 20190044743A KR 102150793 B1 KR102150793 B1 KR 102150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terminal
thumbnail
area
captur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47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연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90044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079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0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07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2320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achieving an enlarged field of view, e.g. panoramic image capture
    • H04N5/23216
    • H04N5/23238
    • H04N5/2324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termina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displays a user interface including a plurality of areas on a user interface,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n imaging device based on a user input for the user interface, and transmits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to a serv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the user interface making it easier to a user to remotely control an IoT device.

Description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말 및 이의 동작 방법{TERMINAL DISPLAYING USER INTERFACE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Terminal displaying the user interface and its operation method {TERMINAL DISPLAYING USER INTERFACE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아래 실시예들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말에 관한 것이다.The following embodiments relate to a terminal displaying a user interface.

최근에, 사용자는 IoT(Internet of Things) 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Recently, users can remotely control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s.

관련 선행기술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77817호(발명의 명칭: 홈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출원인: 삼성전자 주식회사)가 있다. 해당 공개특허공보에 개시된 홈 게이트웨이는 이동 단말로부터 홈 모니터링의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미리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홈 디바이스에 포함된 카메라 모듈 및/또는 모니터링하고자 하는 위치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에게 제공하는 과정, 상기 카메라 정보에 근거하여 선택된 제1 카메라 모듈을 나타내는 선택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 정보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카메라 모듈로부터 촬영되고 수집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제어 명령을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이 구비된 제1 홈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수행한다.As a related prior art, there is 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77817 (title of the invention: home monitoring method and apparatus, applicant: Samsung Electronics Co., Ltd.). The home gateway disclosed in this patent publication provides a process of receiving a home monitoring request message from a mobile terminal, a camera module included in at least one home device registered in advance in response to the request message, and/or a location to be monitored. A process of providing monitoring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a process of receiving selection information representing a first camera module selected based on the camera informa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a process of receiving the selection information from the first camera module Transmitting photographed and collected image data to the mobile terminal, receiving a control command for the first camera module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control command to a first home device equipped with the first camera module The process of sending to

일 측에 따른 단말의 동작 방법은 복수의 영역들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영상 촬영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of operating a terminal according to one side includes displaying a user interface including a plurality of areas on a display;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n imaging device based on a user input to the user interface;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to the server.

상기 복수의 영역들은 상기 영상 촬영 기기의 사생활 보호 모드를 온(on) 또는 오프(off)하기 위한 토글 버튼이 표시되는 기기 정보 영역, 상기 영상 촬영 기기의 실시간 영상이 재생되는 영상 재생 영역, 및 상기 영상 촬영 기기의 촬영 영상의 썸네일이 표시되는 지난 영상 표시 영역을 포함한다.The plurality of areas include a device information area in which a toggle button for turning on or off the privacy protection mode of the video capture device is displayed, a video playback area in which a real-time video of the video capture device is played, and the It includes a past image display area in which a thumbnail of a captured image of an image capturing device is displayed.

상기 지난 영상 표시 영역에는 상기 영상 촬영 기기에 의해 촬영된 파노라마 이미지의 썸네일이 더 표시될 수 있다.A thumbnail of the panorama image captured by the imaging device may be further displayed in the past image display area.

상기 촬영 영상은 상기 영상 촬영 기기에 의해 이벤트가 감지되었을 때 상기 영상 촬영 기기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 해당할 수 있다.The captured image may correspond to an image captured by the imaging device when an event is detected by the imaging device.

상기 썸네일 위에 상기 촬영 영상의 시간 정보 및 상기 감지된 이벤트에 대응되는 객체 중 적어도 하나가 노출될 수 있다.At least one of time information of the captured image and a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sensed event may be exposed on the thumbnail.

상기 단말의 동작 방법은 상기 지난 영상 표시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영상 촬영 기기의 촬영 영상들에 대응되는 썸네일들을 포함하는 리스트를 노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of operating th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exposing a list including thumbnails corresponding to images captured by the image capturing device when there is a user input for the last image display area.

상기 리스트에서 상기 썸네일들은 날짜를 기초로 그룹화될 수 있다.The thumbnails in the list may be grouped based on date.

상기 썸네일들 각각 위에는 각 썸네일에 대응되는 촬영 영상의 시간 정보 및 상기 각 썸네일에 대응되는 촬영 영상과 관련된 이벤트에 대응되는 객체가 노출될 수 있다.On each of the thumbnails, time information of a captured image corresponding to each thumbnail and an object corresponding to an event related to the captured image corresponding to each thumbnail may be exposed.

상기 단말의 동작 방법은 상기 토글 버튼에 상기 사생활 보호 모드를 온 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영상 재생 영역을 비활성화시키고 상기 사생활 보호 모드가 설정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노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operating method of th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deactivating the video playback area and exposing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privacy protection mode has been set when there is a user input for turning on the privacy protection mode in the toggle button. .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토글 버튼에 상기 사생활 보호 모드를 온 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사생활 보호 모드를 온 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에 해당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generating may include generating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a user input for turning on the privacy protection mode when there is a user input for turning on the privacy protection mode in the toggle button.

상기 복수의 영역들은 상기 영상 촬영 기기에 의해 이벤트가 감지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이 표시되는 알림 영역 및 기능 실행을 위한 버튼이 표시되는 영상 제어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areas may further include a notification area displaying a notification indicating that an event is detected by the imaging device, and an image control area displaying a button for executing a function.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상술한 동작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저장할 수 있다.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store software for executing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method.

일 측에 따른 단말은 디스플레이; 복수의 영역들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영상 촬영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를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The terminal according to one side is a display; A controller configured to display a user interface including a plurality of regions on the display and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n image capturing device based on a user input to the user interface;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to the server.

상기 복수의 영역들은 상기 영상 촬영 기기의 사생활 보호 모드를 온(on) 또는 오프(off)하기 위한 토글 버튼이 표시되는 기기 정보 영역, 상기 영상 촬영 기기의 실시간 영상이 재생되는 영상 재생 영역, 및 상기 영상 촬영 기기의 촬영 영상의 썸네일이 표시되는 지난 영상 표시 영역을 포함한다.The plurality of areas include a device information area in which a toggle button for turning on or off the privacy protection mode of the imaging device is displayed, an image playback area in which a real-time image of the imaging device is played back, and the It includes a past image display area in which a thumbnail of a captured image of an image capturing device is displayed.

상기 지난 영상 표시 영역에는 상기 영상 촬영 기기에 의해 촬영된 파노라마 이미지의 썸네일이 더 표시될 수 있다.A thumbnail of the panorama image captured by the imaging device may be further displayed in the past image display area.

상기 촬영 영상은 상기 영상 촬영 기기에 의해 이벤트가 감지되었을 때 상기 영상 촬영 기기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 해당할 수 있다.The captured image may correspond to an image captured by the imaging device when an event is detected by the imaging device.

상기 썸네일 위에 상기 촬영 영상의 시간 정보 및 상기 감지된 이벤트에 대응되는 객체 중 적어도 하나가 노출될 수 있다.At least one of time information of the captured image and a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sensed event may be exposed on the thumbnail.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지난 영상 표시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영상 촬영 기기의 촬영 영상들에 대응되는 썸네일들을 포함하는 리스트를 노출할 수 있다.When there is a user input for the last image display area, the controller may expose a list including thumbnails corresponding to images captured by the image capturing device.

상기 리스트에서 상기 썸네일들은 날짜를 기초로 그룹화될 수 있다.The thumbnails in the list may be grouped based on date.

상기 썸네일들 각각 위에는 각 썸네일에 대응되는 촬영 영상의 시간 정보 및 상기 각 썸네일에 대응되는 촬영 영상과 관련된 이벤트에 대응되는 객체가 노출될 수 있다.On each of the thumbnails, time information of a captured image corresponding to each thumbnail and an object corresponding to an event related to the captured image corresponding to each thumbnail may be exposed.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토글 버튼에 상기 사생활 보호 모드를 온 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영상 재생 영역을 비활성화시키고 상기 사생활 보호 모드가 설정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노출할 수 있다.When there is a user input for turning on the privacy protection mode to the toggle button, the controller may deactivate the video playback area and expose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privacy protection mode is set.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토글 버튼에 상기 사생활 보호 모드를 온 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사생활 보호 모드를 온 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에 해당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When there is a user input for turning on the privacy protection mode to the toggle button, the controller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a user input for turning on the privacy protection mode.

상기 복수의 영역들은 상기 영상 촬영 기기에 의해 이벤트가 감지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이 표시되는 알림 영역 및 기능 실행을 위한 버튼이 표시되는 영상 제어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areas may further include a notification area displaying a notification indicating that an event is detected by the imaging device, and an image control area displaying a button for executing a function.

실시예들은 사용자가 IoT 기기를 보다 쉽게 원격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Embodiments may provide a user interface that allows a user to more easily remotely control an IoT device.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영역들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o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to 5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user interface including a plurality of area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6 to 9 are diagrams for describing an image capt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1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since various change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s,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at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ll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to the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rights.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examples are used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limiting.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embodiment belongs. Terms a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es not.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embodiments,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o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시스템(100)은 단말(110), 서버(120), 허브(130), 및 IoT 기기(1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n IoT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terminal 110, a server 120, a hub 130, and an IoT device 140.

허브(130)는 IoT 기기(14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링크는, 예를 들어, 와이파이, 블루투스, 지그비 또는 z-wave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hub 130 may form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link with the IoT device 140. The wireless communication link may be, for example, Wi-Fi, Bluetooth, ZigBee, or z-wave, but is not limited thereto.

허브(130)는 실시예에 따라 이동형 또는 고정형일 수 있다.The hub 130 may be a movable type or a fixed ty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허브(130)는 액세스 포인트 또는 스마트 기기(예를 들어, 냉장고, 스피커, TV 등)에 포함될 수 있다. The hub 130 may be included in an access point or a smart device (eg, refrigerator, speaker, TV, etc.).

허브(130)는 사용자의 입력(예를 들어, 텍스트 입력 또는 음성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해당 입력을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120)는 해당 입력에 기반한 동작 명령을 허브(130)를 통해 IoT 기기(140)로 전송할 수 있고, IoT 기기(140)는 해당 동작 명령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The hub 130 may receive a user's input (eg, text input or voice input) and transmit the corresponding input to the server 120. The server 120 may transmit an operation command based on a corresponding input to the IoT device 140 through the hub 130, and the IoT device 140 may operate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operation command.

실시예에 있어서, 허브(130)와 IoT 기기(140)는 홈 네트워크에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In an embodiment, the hub 130 and the IoT device 140 may be included in the home network,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도 1에는 하나의 IoT 기기(140)가 허브(130)에 연결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사항일 뿐, 허브(130)에는 다수의 IoT 기기들이 연결될 수 있다.In FIG. 1, one IoT device 140 is connected to the hub 130,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a plurality of IoT devices may be connected to the hub 130.

단말(110)은 복수의 영역들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해선 도 2 내지 도 5를 통해 설명한다.The terminal 110 may display a user interface including a plurality of regions on the display. The user interfa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

단말(11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IoT 기기(14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해당 제어 신호를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120)는 허브(130)를 통해 제어 신호를 IoT 기기(140)로 전송할 수 있고, IoT 기기(140)는 해당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The terminal 110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IoT device 140 based on a user input to the user interface, and transmit the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to the server 120. The server 120 may transmit a control signal to the IoT device 140 through the hub 130, and the IoT device 140 may operate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IoT 기기(140)는 영상 촬영 기기(예를 들어, 홈 CCTV)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영상 촬영 기기는 영상 감시 기기로 달리 표현될 수 있다. 영상 촬영 기기의 일례에 대해선 도 6 내지 도 9를 통해 설명한다.The IoT device 140 may be an image photographing device (eg, a home CCTV),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video capture device may be expressed differently as a video surveillance device. An example of an image capturing devi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to 9.

도 2 내지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영역들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to 5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user interface including a plurality of area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기기 정보 영역(210), 영상 재생 영역(220), 영상 제어 영역(230), 알림 영역(240), 및 지난 영상 표시 영역(25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user interface includes a device information area 210, an image reproduction area 220, an image control area 230, a notification area 240, and a past image display area 250.

<영상 재생 영역(220)><Video playback area 220>

영상 재생 영역(220)에서 영상 촬영 기기의 실시간 영상이 재생된다. A real-time image of the image capturing device is reproduced in the image reproducing area 220.

사용자는 영상 재생 영역(220)에 제스처(예를 들어, 제스처 "tap") 입력을 인가하면, 단말(110)은 복수의 객체들(221, 222, 223, 224, 225-1, 225-2, 226-1, 및 226-2)을 영상 재생 영역(220)에 노출할 수 있다. 구현에 따라, 복수의 객체들(221, 222, 223, 224, 225-1, 225-2, 226-1, 및 226-2) 중 하나 이상은 영상 재생 영역(220)에서 생략될 수 있다.When the user applies a gesture (eg, gesture "tap") input to the image playback area 220, the terminal 110 receives a plurality of objects 221, 222, 223, 224, 225-1, 225-2. , 226-1, and 226-2 may be exposed to the image reproduction area 220.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one or more of the plurality of objects 221, 222, 223, 224, 225-1, 225-2, 226-1, and 226-2 may be omitted from the image reproduction area 220.

객체(221)는 실시간 녹화 중인지 여부를 표시한다. 실시간 녹화 중이면 객체(221)는 점멸될 수 있다.The object 221 indicates whether real-time recording is in progress. During real-time recording, the object 221 may blink.

객체(222)는 경고음(또는 알림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버튼을 나타낸다. 사용자가 객체(222)를 선택하면, 객체(222)는 점멸할 수 있고 영상 촬영 기기에서 경고음이 발생 또는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점멸되는 객체(222)를 선택하면 해당 점멸은 중단될 수 있고 영상 촬영 기기에서 경고음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The object 222 represents a button for generating a warning sound (or notification sound). When the user selects the object 222, the object 222 may blink and a warning sound may be generated or output from the image capturing device. When the user selects the blinking object 222, the blinking may be stopped, and a warning sound may not be generated from the image capturing device.

객체(223)는 영상 촬영 기기를 panning시키는 버튼을 나타낸다. 사용자가 객체(223)를 선택하면, 영상 촬영 기기의 헤드는 360도 panning할 수 있고, 헤드가 원위치로 돌아오면 panning하지 않는다. The object 223 represents a button for panning an image capturing device. When the user selects the object 223, the head of the image capturing device can pan 360 degrees, and when the head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panning is not performed.

객체(224)는 전체화면 보기 버튼을 나타낸다. 사용자가 객체(224)를 선택하면 영상 재생 영역(220)이 전체 화면으로 확대될 수 있다.The object 224 represents a full screen view button. When the user selects the object 224, the image reproduction area 220 may be enlarged to the full screen.

객체들(225-1 및 225-2)은 틸트 버튼을 나타내고 객체들(226-1 및 226-2)은 pan 버튼을 나타낸다. 사용자가 객체(225-1)를 선택하면, 영상 촬영 기기의 카메라 모듈은 위쪽 틸트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사용자가 객체(225-2)를 선택하면, 영상 촬영 기기의 카메라 모듈은 아래쪽 틸트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사용자가 객체(226-1)를 선택하면, 영상 촬영 기기의 헤드는 왼쪽 pan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사용자가 객체(226-2)를 선택하면, 영상 촬영 기기의 헤드는 오른쪽 pan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Objects 225-1 and 225-2 represent a tilt button and objects 226-1 and 226-2 represent a pan button. When the user selects the object 225-1, the camera module of the image capturing device can rotate in the upward tilt direction, and when the user selects the object 225-2, the camera module of the image capturing device moves in the downward tilt direction. Can be rotated. When the user selects the object 226-1, the head of the imaging device can rotate in the left pan direction, and when the user selects the object 226-2, the head of the imaging device rotates in the right pan direction. can do.

<기기 정보 영역(210)><Device information area 210>

기기 정보 영역(210)에는 토글 버튼(210-1), 화면 동시 보기 버튼(210-2), 및 설정 버튼(210-3)이 노출될 수 있다. 구현에 따라, 버튼들(210-1 내지 210-3) 중 하나 이상은 기기 정보 영역(210)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A toggle button 210-1, a screen simultaneous view button 210-2, and a setting button 210-3 may be exposed in the device information area 210. Depending on implementation, one or more of the buttons 210-1 to 210-3 may not be exposed to the device information area 210.

토글 버튼(210-1)은 영상 촬영 기기의 사생활 보호 모드를 on 또는 off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사용자는 토글 버튼(210-1)을 통해 영상 촬영 기기의 사생활 보호 모드를 on 또는 off할 수 있다. 일례로,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토글 버튼(210-1)이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끔 제스처 입력(예를 들어, 제스처 "tap")을 하게 되면, 단말(110)은 서버(120)에게 "영상 촬영 기기의 사생활 보호 보드를 on으로 하라"에 대한 동작 명령을 전송할 수 있고, 서버(120)는 해당 동작 명령을 허브(130)를 통해 영상 촬영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영상 촬영 기기는 사생활 보호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The toggle button 210-1 may be a button for turning on or off the privacy protection mode of the image capturing device. The user can turn on or off the privacy protection mode of the video recording device through the toggle button 210-1. As an example, referring to FIG. 3, when a user makes a gesture input (eg, gesture “tap”) to move the toggle button 210-1 to the right, the terminal 110 sends the server 120 An operation command for "Turn on the privacy protection board of the image capturing device" may be transmitted, and the server 120 may transmit the corresponding operation command to the image capturing device through the hub 130. The video recording device can operate in a privacy mode.

영상 촬영 기기의 사생활 보호 모드가 on되면, 단말(110)은 사생활 보호 설정에 대한 메시지를 출력 또는 노출할 수 있다. 일례로, 도 3에 도시된 예와 같이, 단말(110)은 영상 촬영 기기의 사생활 보호 모드 설정에 대한 메시지(310)를 영상 재생 영역(220)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단말(110)은 영상 재생 영역(220) 및 영상 제어 영역(230)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영상 재생 영역(220)이 비활성화된 경우, 사용자가 영상 재생 영역(220)에 제스처 입력을 인가하여도 객체들(221, 222, 223, 224, 225-1, 225-2, 226-1, 및 226-2)이 노출되지 않을 수 있고, 영상 촬영 기기의 실시간 촬영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다.When the privacy protection mode of the video recording device is turned on, the terminal 110 may output or expose a message for privacy protection setting.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3, the terminal 110 may output a message 310 for setting the privacy protection mode of the video recording device to the video playback area 220. Also, the terminal 110 may deactivate the image reproduction region 220 and the image control region 230. When the image playback area 220 is deactivated, objects 221, 222, 223, 224, 225-1, 225-2, 226-1, and even if a user applies a gesture input to the image playback area 220 226-2) may not be exposed, and a real-time photographed image of the imaging device is not displayed.

사용자가 토글 버튼(210-1)을 누름으로써 영상 촬영 기기의 사생활 보호 모드가 해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토글 버튼(210-1)이 오른쪽에 있는 상황에서 사용자가 토글 버튼(210-1)이 왼쪽으로 이동하게끔 제스처 입력을 하게 되면, 단말(110)은 서버(120)에게 "영상 촬영 기기의 사생활 보호 보드를 off 하라"에 대한 동작 명령을 전송할 수 있고, 서버(120)는 해당 동작 명령을 허브(130)를 통해 영상 촬영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영상 촬영 기기는 사생활 보호 모드를 off할 수 있다. When the user presses the toggle button 210-1, the privacy protection mode of the video recording device may be released. More specifically, when the user makes a gesture input so that the toggle button 210-1 moves to the left while the toggle button 210-1 is on the right, the terminal 110 tells the server 120 to An operation command for "turn off the privacy protection board of the device" may be transmitted, and the server 120 may transmit the corresponding operation command to the video recording device through the hub 130. The video recording device may turn off the privacy protection mode.

또한, 영상 촬영 기기의 사생활 보호 모드가 off되면, 단말(110)은 영상 재생 영역(220) 및 영상 제어 영역을 활성화시킬 수 있고 사생활 보호 해제에 대한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privacy protection mode of the video capturing device is off, the terminal 110 may activate the video playback area 220 and the video control area, and may output a message for canceling privacy protection.

도 2로 돌아와서, 화면 동시 보기 버튼(210-2)은 사용자가 복수의 영상 촬영 기기들을 등록한 경우에 노출될 수 있다. 사용자가 화면 동시 보기 버튼(210-2)을 누르면 단말(110)은 영상 촬영 기기의 실시간 촬영 영상 뿐 아니라 등록된 다른 영상 촬영 기기의 실시간 촬영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Returning to FIG. 2, the screen simultaneous view button 210-2 may be exposed when a user registers a plurality of image capturing devices. When the user presses the screen simultaneous view button 210-2, the terminal 110 may display not only a real-time image of the image capturing device but also a real-time image of another registered image capturing device.

사용자가 설정 버튼(210-3)을 누르면, 단말(110)은 설정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When the user presses the setting button 210-3, the terminal 110 may display a setting screen.

<영상 제어 영역(230)><Image control area 230>

영상 제어 영역(230)에는 기능 실행을 위한 버튼이 노출 또는 표시될 수 있다. A button for executing a function may be exposed or displayed in the image control area 230.

화면 저장 버튼은 영상 재생 영역(220)에 표시된 화면을 캡쳐하여 저장하기 위한 버튼에 해당한다. 사용자가 화면 저장 버튼을 선택하면, 단말(110)은 영상 재생 영역(220)에 보이는 화면을 캡쳐하여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The screen save button corresponds to a button for capturing and storing a screen displayed on the image reproduction area 220. When the user selects the screen save button, the terminal 110 may capture a screen displayed in the image reproduction area 220 and store it in the memory.

5분 녹화 버튼은 영상 재생 영역(220)에서 재생되는 영상을 5분 동안 저장하기 위한 버튼에 해당한다. 사용자가 5분 녹화 버튼을 선택하면, 단말(110)은 선택 시점부터 5분 동안 영상 재생 영역(220)에서의 재생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5분이 경과하면, 녹화는 정지된다. 또한, 5분이 경과하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5분 녹화 버튼을 선택하면, 녹화는 정지된다.The 5 minute recording button corresponds to a button for storing an image played in the image reproduction area 220 for 5 minutes. When the user selects the 5 minute recording button, the terminal 110 may store the reproduced image in the image reproduction area 220 for 5 minutes from the selection point. After 5 minutes, recording stops. Also, even if 5 minutes have not elapsed, if the user selects the 5 minute recording button, recording is stopped.

SOS 긴급 통화 버튼은 긴급 통화 연락처 리스트를 노출하기 위한 버튼에 해당한다. 사용자가 SOS 긴급 통화 버튼을 선택하면, 단말(110)은 긴급 통화 연락처 리스트(예를 들어, 경찰서(112), 화재 구조(119),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연락처 등)를 노출할 수 있다. 사용자가 해당 리스트에서 특정 연락처를 선택하면, 단말(110)은 해당 연락처로 통화를 시도할 수 있다.The SOS emergency call button corresponds to a button for exposing the emergency call contact list. When the user selects the SOS emergency call button, the terminal 110 may expose an emergency call contact list (eg, police station 112, fire rescue 119, contact information registered by the user, etc.). When the user selects a specific contact from the list, the terminal 110 may attempt to call the corresponding contact.

소리 듣기 버튼은 사용자가 영상 촬영 기기 주변의 소리를 듣기 위한 버튼에 해당한다. The sound listening button corresponds to a button for the user to hear the sound around the video recording device.

대화하기 버튼은 사용자가 영상 재생 영역(220)에서 재생되는 영상 속의 객체와 대화하기 위한 버튼에 해당할 수 있다.The chat button may correspond to a button for a user to chat with an object in an image played in the image reproduction area 220.

<알림 영역(240)><Notification area 240>

알림 영역(240)에는 영상 촬영 기기에 의해 이벤트가 감지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가 노출 또는 표시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예와 같이, 알림 영역(240)에는 영상 촬영 기기가 가장 최근에 감지한 이벤트가 무엇인지 및 감지 시간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노출 또는 표시될 수 있다.A message indicating that an event has been detected by the image capturing device may be exposed or displayed in the notification area 240. As in the example illustrated in FIG. 2, in the notification area 240, a message including the most recently detected event and the detection time may be exposed or displayed.

사용자가 알림 영역(240)을 선택하면, 단말(110)은 후술할 지난 영상/사진보기 목록을 디스플레이에 노출할 수 있다.When the user selects the notification area 240, the terminal 110 may expose a list of past image/photo views to be described later on the display.

<지난 영상 표시 영역(250)(또는 지난 영상/사진보기 영역)><Past video display area 250 (or past video/photo viewing area)>

지난 영상 표시 영역(250)은 지난 영상/사진보기 버튼(250-1) 및 썸네일 영역(250-2)를 포함한다.The past image display area 250 includes a past image/photo view button 250-1 and a thumbnail area 250-2.

사용자가 지난 영상/사진보기 버튼(250-1)을 선택한 경우, 단말(110)은 지난 영상/사진보기 목록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선 도 4를 통해 후술한다.When the user selects the past video/photo view button 250-1, the terminal 110 may display a list of past video/photo views on the display.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4.

도 2에 도시된 예에서, 썸네일 영역(250-2)에는 image 1 내지 3이 표시된다. image 1 및 2 각각은 영상 촬영 기기의 감지 영상의 썸네일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서, 감지 영상은 영상 촬영 기기가 움직임, 객체(예를 들어, 사람), 또는 소리를 감지함으로써 촬영한 영상에 해당할 수 있다. image 3은 영상 촬영 기기의 파노라마 이미지의 썸네일에 해당할 수 있다. image 3은 image 1 및 2 각각과 시각적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일례로, 파노라마 이미지의 썸네일의 외형은 사각형이 아닐 수 있지만 감지 영상의 썸네일의 외형은 사각형일 수 있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2, images 1 to 3 are displayed in the thumbnail area 250-2. Each of images 1 and 2 may correspond to a thumbnail of an image detected by the image capturing device. Here, the detected image may correspond to an image captured by the image capturing device by detecting a motion, an object (eg, a person), or a sound. Image 3 may correspond to a thumbnail of a panoramic image of the video recording device. Image 3 can be visually distinguished from images 1 and 2, respectively. For example, although the thumbnail of the panorama image may not have a rectangular shape, the thumbnail of the detected image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실시예에 있어서, image 1 내지 3 각각 위에는 정보(예를 들어, 촬영 시간, 감지 유형 등)가 표시될 수 있다. 일례로, image 1은 영상 촬영 기기가 오늘 오전 10시 10분에 소리를 감지함으로써 촬영한 영상의 썸네일에 해당한다면, image 1 위에는 "소리"에 대응되는 아이콘 및 "오전 10시 10분"의 시간 정보가 노출될 수 있다. image 2는 영상 촬영 기기가 오늘 오전 10시 50분에 움직임을 감지함으로써 촬영한 영상의 썸네일에 해당한다면, image 2 위에는 "움직임"에 대응되는 이이콘 및 "오전 10시 50분"의 시간 정보가 노출될 수 있다. image 3은 영상 촬영 기기가 어제 촬영한 파노라마 이미지의 썸네일에 해당한다면, image 3 위에는 단어 "어제"가 노출될 수 있다. 즉, 감지 영상의 경우, 해당 감지 영상의 감지 유형에 해당하는 아이콘이 해당 감지 영상의 썸네일에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썸네일 영역(250-2)에 표시된 썸네일을 통해 무엇이 감지되었는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information (eg, shooting time, detection type, etc.) may be displayed on each of images 1 to 3. For example, if image 1 corresponds to a thumbnail of the video captured by the video recording device detecting sound at 10:10 am today, the icon corresponding to “sound” and the time of “10:10 am” on the image 1 Information may be exposed. If image 2 corresponds to the thumbnail of the video captured by the video recording device detecting the motion at 10:50 a.m. today, the icon corresponding to "motion" and the time information of "10:50 a.m." It can be exposed. If image 3 corresponds to a thumbnail of the panorama image captured by the imaging device yesterday, the word "Yesterday" may be exposed on the image 3. That is, in the case of the detected image, an icon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type of the corresponding detected image may be displayed on the thumbnail of the corresponding detected image.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check what is detected through the thumbnail displayed in the thumbnail area 250-2.

사용자가 지난 영상/사진보기 버튼(250-1)을 선택한 경우, 단말(110)은 지난 영상/사진보기 목록 등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When the user selects the past video/photo view button 250-1, the terminal 110 may display a past video/photo view list on the display.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지난 영상/사진보기 버튼(250-1)을 선택한 경우, 단말(110)은 디스플레이에 이전 버튼(410), 달력 버튼(420), 지난 영상/사진 목록(430), 및 삭제 버튼(440)을 노출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when a user selects a past video/photo view button 250-1, the terminal 110 displays a previous button 410, a calendar button 420, and a past video/photo list 430 on the display. , And the delete button 440 may be exposed.

사용자는 이전 버튼(410)을 선택하면, 단말(110)의 화면은 도 2를 통해 설명한 화면으로 넘어간다.When the user selects the previous button 410, the screen of the terminal 110 goes to the scr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사용자는 달력 버튼(420)을 선택하면, 현재 날짜가 속한 달(month)의 달력이 노출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예에서, 현재 날짜가 8월 15일이므로 8월달의 달력이 노출될 수 있다. 8월달의 달력에서 8월 15일 이후의 날짜들은 비활성화될 수 있고 8월 15일 이전의 날짜들은 활성화될 수 있다. 구현에 따라, 8월 15일 이전의 날짜들 중 영상/사진이 없는 날짜는 비활성화되어 있을 수 있다. 일례로, 8월 5일에 영상 촬영 기기에 의해 촬영된 영상 및 사진이 없는 경우, 8월 달력에서 8월 5일은 비활성화될 수 있다. When the user selects the calendar button 420, a calendar of a month in which the current date belongs may be exposed. In the example shown in FIG. 4, since the current date is August 15, the calendar of August may be exposed. In the August calendar, dates after August 15th can be deactivated, and days before August 15th can be activated.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among the dates before August 15th, a date without an image/photo may be deactivated. For example, if there are no images and photos captured by the image capturing device on August 5, August 5 may be deactivated in the August calendar.

사용자가 달력에서 특정 날짜를 선택하면, 단말(110)은 지난 영상/사진 목록(430)을 사용자가 선택한 날짜로 이동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가 8월달 달력에서 8월 1일을 선택하면, 단말(110)은 지난 영상/사진 목록(430)을 8월 1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8월 1일에 영상 촬영 기기가 촬영한 영상의 썸네일 및/또는 파노라마 이미지가 지난 영상/사진 목록(430)에 표시될 수 있다.When the user selects a specific date on the calendar, the terminal 110 may move the past image/photo list 430 to the date selected by the user. For example, when the user selects August 1st from the August calendar, the terminal 110 may move the last video/photo list 430 to August 1st. Accordingly, a thumbnail and/or a panoramic image of an image captured by the image capturing device on August 1 may be displayed on the past image/photo list 430.

지난 영상/사진 목록(430)에는 영상 촬영 기기의 최근 감지 영상의 썸네일 및 최근 파노라마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될 수 있다. 감지 영상의 썸네일에는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감지 유형에 대응되는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지난 영상/사진 목록(430) 상에서 감지 영상의 썸네일과 파노라마 이미지는 시각적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예에서, 파노라마 이미지(431 및 432)를 제외한 나머지가 감지 영상의 썸네일이라 할 때, 감지 영상의 썸네일의 모양은 사각형에 해당할 수 있고 파노라마 이미지(431 및 432)의 모양은 사각형에 해당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지난 영상/사진 목록(430)에서 감지 영상의 썸네일과 파노라마 이미지를 용이하게 구분 또는 식별할 수 있다. In the past image/photo list 430, at least one of a thumbnail of a recently detected image of the imaging device and a recent panorama image may be displayed. As described above, an icon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type may be displayed on the thumbnail of the detection image. In one embodiment, a thumbnail of a detected image and a panoramic image on the past image/photo list 430 may be visually distinguished. In the example shown in FIG. 4, when the rest of the images except the panorama images 431 and 432 are thumbnails of the detected image, the shape of the thumbnail of the detected image may correspond to a rectangle, and the shape of the panorama images 431 and 432 may be May not correspond to the square.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distinguish or identify the thumbnail of the detected image and the panorama image in the past image/photo list 430.

또한, 지난 영상/사진 목록(430)에는 날짜 별 영상/사진의 개수가 표시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예에서, 오늘 날짜의 영상/사진의 총 개수 8개가 표시될 수 있고 8월 6일 영상/사진의 총 개수 5개가 표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number of images/photos by date may be displayed in the past image/photo list 430. In the example shown in FIG. 4, a total number of 8 images/photos of today's date may be displayed, and a total of 5 images/photos of August 6 may be displayed.

사용자는 삭제 버튼(440)을 선택하면, 단말(110)은 지난 영상/사진을 삭제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노출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예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삭제 버튼(440)을 선택한 경우, 단말(110)은 체크 박스들을 디스플레이에 노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110)은 전체 삭제를 위한 체크 박스, 일자 별 삭제를 위한 체크 박스, 시간대별 삭제를 위한 체크 박스, 및 개별 영상 또는 사진 삭제를 위한 체크 박스를 노출할 수 있다. 이러한 체크 박스들은 사용자의 선택이 있기 전까지는 비활성화되어 있다.When the user selects the delete button 440, the terminal 110 may expose a user interface for deleting past images/photos. Referring to the example shown in FIG. 5, when the user selects the delete button 440, the terminal 110 may expose check boxes on the display. More specifically, the terminal 110 may expose a check box for deleting all, a check box for deleting by date, a check box for deleting by time, and a check box for deleting individual images or photos. These check boxes are deactivated until the user selects it.

도 5에 도시된 예에서, 사용자가 전체 선택의 체크 박스를 누른 후 화면 하단의 삭제 버튼을 누르면, 클라우드 공간 또는 서버(120)에 저장된 감지 영상 및 사진이 삭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썸네일들(510 및 511)과 파노라마 이미지(512) 위에 노출된 체크 박스를 선택한 후 삭제 버튼을 누르면, 썸네일들(510 및 511) 각각에 해당하는 감지 영상과 파노라마 이미지(512)가 클라우드 공간 또는 서버(120)에서 삭제될 수 있다. 사용자가 8월 6일 주변에 노출된 체크 박스를 선택한 후 화면 하단의 삭제 버튼을 누르면, 8월 6일의 파노라마 이미지들과 감지 영상들이 클라우드 공간 또는 서버(120)에서 삭제될 수 있다. 사용자가 "8월 6일 오후 6시 5분"의 정보 주변에 노출된 체크 박스를 선택한 후 삭제 버튼을 누르면, "8월 6일 오후 6시 5분"의 감지 영상들이 클라우드 공간 또는 서버(120)에서 삭제될 수 있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5, when the user presses the delete button at the bottom of the screen after pressing the check box of select all, the detected image and photo stored in the cloud space or the server 120 may be deleted. When the user selects the check box exposed on the thumbnails 510 and 511 and the panorama image 512 and then presses the delete button, the detected image and the panorama image 512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thumbnails 510 and 511 are displayed in the cloud space. Alternatively, it may be deleted from the server 120. When the user selects the check box exposed around August 6 and presses the delete button at the bottom of the screen, the panoramic images and detected images of August 6 may be deleted from the cloud space or the server 120. When the user selects the check box exposed around the information of "August 6, 6:05 p.m." and presses the delete button, the detected images of "August 6, 6:05 p.m." are transferred to the cloud space or server 120 ) Can be deleted.

도 6 내지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6 to 9 are diagrams for describing an image capt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6에 영상 촬영 기기(600)의 일례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7에 영상 촬영 기기(600)의 정면도가 도시된다.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the imaging device 600 is shown, and in FIG. 7 is a front view of the imaging device 600 is shown.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영상 촬영 기기(600)는 헤드(head)(610) 및 받침대(620)를 포함한다. 헤드(610)는 카메라 모듈(610-1) 및 커버 모듈(610-2)을 포함한다.6 and 7, the imaging device 600 includes a head 610 and a pedestal 620. The head 610 includes a camera module 610-1 and a cover module 610-2.

헤드(610)는 회전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헤드(610)는 단말(110)의 원격 제어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일례로, 단말(110)은 사용자로부터 오른쪽 방향의 pan 입력을 수신하면, 오른쪽 방향으로의 pan 회전에 대한 동작 명령을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고, 서버(120)는 허브(130)를 통해 해당 동작 명령을 영상 촬영 기기(600)로 전송할 수 있다. 영상 촬영 기기(600)의 컨트롤러는 해당 동작 명령에 따라 헤드(610)를 오른쪽 방향으로 pan 회전시킬 수 있다. 구현에 따라, 헤드(610) 내의 카메라 모듈(610-1)만이 pan 회전할 수 있다.The head 610 is rotatable. In one embodiment, the head 610 may rotate according to the remote control of the terminal 110. For example, when the terminal 110 receives a pan input in the right direction from the user, the terminal 110 may transmit an operation command for pan rotation in the right direction to the server 120, and the server 120 through the hub 130 The corresponding operation command may be transmitted to the image capturing device 600. The controller of the imaging device 600 may pan-rotate the head 610 in the right direction according to a corresponding operation command.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only the camera module 610-1 in the head 610 may pan rotate.

카메라 모듈(610-1)은 헤드(610) 내에서 회전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카메라 모듈(610-1)은 단말(110)의 원격 제어에 따라 회전할 수다. 일례로, 단말(110)은 사용자로부터 위쪽 방향의 틸트 입력을 수신하면, 위쪽 방향으로의 틸트 회전에 대한 동작 명령을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고, 서버(120)는 허브(130)를 통해 해당 동작 명령을 영상 촬영 기기(600)로 전송할 수 있다. 영상 촬영 기기(600)의 컨트롤러는 해당 동작 명령에 따라 카메라 모듈(610-1)을 위쪽 방향으로 틸트 회전시킬 수 있다. 카메라 모듈(610-1)은 렌즈(610-1-1)가 커버 모듈(610-2)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범위까지 틸트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The camera module 610-1 is rotatable within the head 610. In one embodiment, the camera module 610-1 may rotate according to the remote control of the terminal 110. For example, when the terminal 110 receives an upward tilt input from a user, the terminal 110 may transmit an operation command for tilt rotation in the upward direction to the server 120, and the server 120 may The corresponding operation command may be transmitted to the image capturing device 600. The controller of the image capturing device 600 may tilt and rotate the camera module 610-1 in an upward direction according to a corresponding operation command. The camera module 610-1 may rotate in the tilt direction to a range in which the lens 610-1-1 is not covered by the cover module 610-2.

커버 모듈(610-2)은 카메라 모듈(610-1)의 일부를 감싼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예에서, 커버 모듈(610-2)이 카메라 모듈(610-1)을 감싸지 않는 부분에 렌즈(610-1-1)가 드러난다. 사생활 보호 모드가 off일 때에는 커버 모듈(610-2)이 카메라 모듈(610-1)을 감싸지 않는 부분에 카메라 모듈(610-1)의 렌즈(610-1-1)가 드러난다. 이에 따라, 카메라 모듈(610-1)은 주변을 촬영할 수 있다. 사생활 보호 모드가 on일 때에는 카메라 모듈(610-1)이 위쪽 방향으로 틸트 회전(예를 들어, 180도 만큼 틸트 회전)하여 렌즈(610-1-1)가 커버 모듈(610-2)에 의해 가려질 수 있고, 특정 모양의 아이콘이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예와 같이 드러날 수 있다.The cover module 610-2 surrounds a part of the camera module 610-1. In the examples shown in FIGS. 6 and 7, the lens 610-1-1 is exposed at a portion where the cover module 610-2 does not surround the camera module 610-1. When the privacy protection mode is off, the lens 610-1-1 of the camera module 610-1 is exposed in a portion where the cover module 610-2 does not surround the camera module 610-1. Accordingly, the camera module 610-1 may photograph the surroundings. When the privacy protection mode is on, the camera module 610-1 tilts upward (for example, tilts by 180 degrees) so that the lens 610-1-1 is moved by the cover module 610-2. It may be hidden, and an icon of a specific shape may be revealed as in the examples shown in FIGS. 8 and 9.

받침대(620)는 헤드(610)와 연결된다. 또한, 받침대(620)는 버튼(620-1)을 포함한다. 사용자가 버튼(620-1)을 누르면 영상 촬영 기기는 사생활 보호 모드에서 동작한다. 이 경우, 단말(110)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서의 영상 재생 영역(220)은 도 3을 통해 설명한 것과 같이 비활성화될 수 있고, 사생활 보호 설정에 관한 메시지가 노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사생활 보호 모드에서 동작하는 영상 촬영 기기의 버튼(620-1)을 누르면, 영상 촬영 기기는 사생활 보호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이 경우, 렌즈(610-1-1)가 다시 드러날 수 있다.The pedestal 620 is connected to the head 610. In addition, the pedestal 620 includes a button 620-1. When the user presses the button 620-1, the video recording device operates in the privacy protection mode. In this case, the image playback area 220 on the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of the terminal 110 may be deactivated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and a message regarding privacy protection setting may be exposed. When the user presses the button 620-1 of the image capturing device operating in the privacy protection mode, the image capturing device may cancel the privacy protection mode. In this case, the lenses 610-1-1 may be exposed again.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0을 참조하면, 단말(110)은 복수의 영역들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1010). 복수의 영역들은 영상 촬영 기기(600)의 사생활 보호 모드를 온(on) 또는 오프(off)하기 위한 토글 버튼(210-1)이 표시되는 기기 정보 영역(210), 영상 촬영 기기(600)의 실시간 영상이 재생되는 영상 재생 영역(220), 및 영상 촬영 기기(600)의 촬영 영상의 썸네일이 표시되는 지난 영상 표시 영역(250)을 포함한다. 또한, 복수의 영역들은 영상 제어 영역(230) 및 알림 영역(24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the terminal 110 displays a user interface including a plurality of regions on a display (1010 ). The plurality of areas include a device information area 210 in which a toggle button 210-1 for turning on or off the privacy protection mode of the image capturing device 600 is displayed, and the image capturing device 600 And an image reproducing area 220 in which a real-time image is reproduced, and a past image display area 250 in which a thumbnail of an image captured by the image capturing device 600 is displayed.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regions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the image control region 230 and the notification region 240.

단말(11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영상 촬영 기기(6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1020).The terminal 110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image capturing device 600 based on a user input to the user interface (1020).

단말(110)은 생성된 제어 신호를 서버로 전송한다(1030). The terminal 110 transmits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to the server (1030).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110)은 지난 영상 표시 영역(25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있는 경우, 영상 촬영 기기(600)의 촬영 영상들에 대응되는 썸네일들을 포함하는 리스트를 노출할 수 있다. 이 때, 해당 리스트에서 썸네일들은 날짜를 기초로 그룹화되될 수 있다. 또한, 각 썸네일 위에는 각 썸네일에 대응되는 촬영 영상의 시간 정보 및 각 썸네일에 대응되는 촬영 영상과 관련된 이벤트에 대응되는 객체가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선 도 4를 통해 설명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n embodiment, when there is a user input for the last image display area 250, the terminal 110 may expose a list including thumbnails corresponding to images captured by the image capturing device 600. In this case, the thumbnails in the list may be grouped based on the date. Also, on each thumbnail, time information of a captured image corresponding to each thumbnail and an object corresponding to an event related to the captured image corresponding to each thumbnail may be exposed. Since this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detailed descriptions are omitted.

도 1 내지 도 9를 통해 기술된 사항들은 도 10을 통해 기술된 사항들에 적용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details described through FIGS. 1 to 9 may be applied to the items described through FIG. 10,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1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110)은 디스플레이(1110), 컨트롤러(1120), 및 통신부(11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1, the terminal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display 1110, a controller 1120, and a communication unit 1130.

컨트롤러(1120)는 복수의 영역들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1110)에 표시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영상 촬영 기기(6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The controller 1120 displays a user interface including a plurality of regions on the display 1110 and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imaging device 600 based on a user input for the user interface.

통신부(1130)는 생성된 제어 신호를 서버(120)로 전송한다. 통신부(1130)는, 예를 들어, 이동 통신 모듈(일례로, 3G, 4G, 또는 5G 등) 및/또는 와이파이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communication unit 1130 transmits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to the server 120. The communication unit 1130 may include, for example,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eg, 3G, 4G, or 5G) and/or a Wi-Fi modu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1 내지 도 10을 통해 기술된 사항들은 도 11을 통해 기술된 사항들에 적용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The details described through FIGS. 1 to 10 may be applied to the items described through FIG. 11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The apparatu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hardware component, a software component, and/or a combination of a hardware component and a software component. For example, the devices and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are, for example, a processor, a controller, an arithmetic logic unit (ALU), a digital signal processor, a microcomputer,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 A programmable logic unit (PLU), a microprocessor, or any other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nd responding to instructions, such as one or more general purpose computers or special purpose computers. The processing device may execute an operating system (OS) and one or more software applications executed on the operating system. In addition, the processing device may access, store, manipulate, process, and generate data in response to the execution of software. For the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lthough it is sometimes described that one processing device is used,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e processing device is a plurality of processing elements and/or a plurality of types of processing elements. It can be seen that it may include. For example, the processing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cessors or one processor and one controller. In addition, other processing configurations are possible, such as a parallel processor.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The software may include a computer program, code, instructions,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se, configuring the processing unit to behave as desired or processed independently or collectively. You can command the device. Software and/or data may be interpreted by a processing device or to provide instructions or data to a processing device, of any type of machine, component, physical device, virtual equipment, computer storage medium or device. , Or may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embodyed in a transmitted signal wave. The software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ed computer systems and stored or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Software and data may be stored on one or mor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 or may be known and usable to those skilled in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A hardware device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magneto-optical media, and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 of the embodiment,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y the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from the above description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ar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from the described method, and/or components such as a system, structure, device, circuit, etc. described are combined or combined in a form different from the described method, or other components Alternatively, even if substituted or substituted by an equivalent, an appropriate result can be achieved.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Claims (19)

단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영역들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영상 촬영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영역들은,
상기 영상 촬영 기기의 사생활 보호 모드를 온(on) 또는 오프(off)하기 위한 토글 버튼이 표시되는 기기 정보 영역,
상기 영상 촬영 기기의 실시간 영상이 재생되는 영상 재생 영역, 및
상기 영상 촬영 기기의 촬영 영상의 썸네일이 표시되는 지난 영상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촬영 영상이 상기 영상 촬영 기기가 대상을 감지함으로써 생성된 경우, 상기 촬영 영상의 썸네일 상에 감지 유형에 해당하는 아이콘이 표시되는,
단말의 동작 방법.
In the operating method of the terminal,
Displaying a user interface including a plurality of areas on a display;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n imaging device based on a user input to the user interface;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to a server
Including,
The plurality of areas,
A device information area in which a toggle button for turning on or off the privacy protection mode of the video recording device is displayed,
An image reproduction area in which a real-time image of the image capturing device is reproduced, and
A past image display area in which a thumbnail of the captured image of the image capturing device is displayed,
When the captured image is generated by detecting a target by the imaging device, an icon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type is displayed on the thumbnail of the captured image,
Terminal operation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난 영상 표시 영역에는 상기 영상 촬영 기기에 의해 촬영된 파노라마 이미지의 썸네일이 더 표시되는,
단말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last image display area, a thumbnail of the panorama image captured by the image capturing device is further displayed,
Terminal operation metho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썸네일 위에 상기 촬영 영상의 시간 정보가 노출되는,
단말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ime information of the captured image is exposed on the thumbnail,
Terminal operation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난 영상 표시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영상 촬영 기기의 촬영 영상들에 대응되는 썸네일들을 포함하는 리스트를 노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re is a user input for the last image display area, exposing a list including thumbnails corresponding to images captured by the image captur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Terminal operation metho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에서 상기 썸네일들은 날짜를 기초로 그룹화되고,
상기 썸네일들 각각 위에는 각 썸네일에 대응되는 촬영 영상의 시간 정보 및 상기 각 썸네일에 대응되는 촬영 영상과 관련된 이벤트에 대응되는 객체가 노출되는,
단말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The thumbnails in the list are grouped based on date,
On each of the thumbnails, time information of a captured image corresponding to each thumbnail and an object corresponding to an event related to the captured imag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thumbnails are exposed,
Terminal operation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글 버튼에 상기 사생활 보호 모드를 온 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영상 재생 영역을 비활성화시키고 상기 사생활 보호 모드가 설정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노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re is a user input for turning on the privacy protection mode in the toggle button, deactivating the video playback area and exposing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privacy protection mode is set
Further comprising,
Terminal operation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토글 버튼에 상기 사생활 보호 모드를 온 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사생활 보호 모드를 온 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에 해당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generating step,
When there is a user input for turning on the privacy protection mode in the toggle button, generating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a user input for turning on the privacy protection mode
Containing,
Terminal operation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역들은,
상기 영상 촬영 기기에 의해 이벤트가 감지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이 표시되는 알림 영역 및 기능 실행을 위한 버튼이 표시되는 영상 제어 영역을 더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plurality of areas,
Further comprising a notification area displaying a notification indicating that an event has been detected by the image capturing device and an image control area displaying a button for executing a function,
Terminal operation method.
제1항 내지 제2항 및 제4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동작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software for executing the operation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to 2 and 4 to 9.
단말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복수의 영역들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영상 촬영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를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영역들은,
상기 영상 촬영 기기의 사생활 보호 모드를 온(on) 또는 오프(off)하기 위한 토글 버튼이 표시되는 기기 정보 영역,
상기 영상 촬영 기기의 실시간 영상이 재생되는 영상 재생 영역, 및
상기 영상 촬영 기기의 촬영 영상의 썸네일이 표시되는 지난 영상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촬영 영상이 상기 영상 촬영 기기가 대상을 감지함으로써 생성된 경우, 상기 촬영 영상의 썸네일 상에 감지 유형에 해당하는 아이콘이 표시되는,
단말.
In the terminal,
display;
A controller configured to display a user interface including a plurality of regions on the display and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n image capturing device based on a user input to the user interface; And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to the server
Including,
The plurality of areas,
A device information area in which a toggle button for turning on or off the privacy protection mode of the video recording device is displayed,
An image reproduction area in which a real-time image of the image capturing device is reproduced, and
A past image display area in which a thumbnail of the captured image of the image capturing device is displayed,
When the captured image is generated by detecting a target by the imaging device, an icon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type is displayed on the thumbnail of the captured image,
Terminal.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난 영상 표시 영역에는 상기 영상 촬영 기기에 의해 촬영된 파노라마 이미지의 썸네일이 더 표시되는,
단말.
The method of claim 11,
In the last image display area, a thumbnail of the panorama image captured by the image capturing device is further displayed,
Terminal.
삭제delet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썸네일 위에 상기 촬영 영상의 시간 정보가 노출되는,
단말.
The method of claim 11,
Time information of the captured image is exposed on the thumbnail,
Terminal.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지난 영상 표시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영상 촬영 기기의 촬영 영상들에 대응되는 썸네일들을 포함하는 리스트를 노출하는,
단말.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ntroller exposing a list including thumbnails corresponding to captured images of the image capturing device when there is a user input for the last image display area,
Terminal.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에서 상기 썸네일들은 날짜를 기초로 그룹화되고,
상기 썸네일들 각각 위에는 각 썸네일에 대응되는 촬영 영상의 시간 정보 및 상기 각 썸네일에 대응되는 촬영 영상과 관련된 이벤트에 대응되는 객체가 노출되는,
단말.
The method of claim 15,
The thumbnails in the list are grouped based on date,
On each of the thumbnails, time information of a captured image corresponding to each thumbnail and an object corresponding to an event related to the captured imag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thumbnails are exposed,
Terminal.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토글 버튼에 상기 사생활 보호 모드를 온 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영상 재생 영역을 비활성화시키고 상기 사생활 보호 모드가 설정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노출하는,
단말.
The method of claim 11,
When there is a user input for turning on the privacy protection mode to the toggle button, the controller deactivates the video playback area and exposes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privacy protection mode is set,
Terminal.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토글 버튼에 상기 사생활 보호 모드를 온 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사생활 보호 모드를 온 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에 해당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말.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ntroller generates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a user input for turning on the privacy protection mode when there is a user input for turning on the privacy protection mode in the toggle button,
Terminal.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역들은,
상기 영상 촬영 기기에 의해 이벤트가 감지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이 표시되는 알림 영역 및 기능 실행을 위한 버튼이 표시되는 영상 제어 영역을 더 포함하는,
단말.
The method of claim 11,
The plurality of areas,
Further comprising a notification area displaying a notification indicating that an event has been detected by the image capturing device and an image control area displaying a button for executing a function,
Terminal.
KR1020190044743A 2019-04-17 2019-04-17 Terminal displaying user interface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KR1021507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743A KR102150793B1 (en) 2019-04-17 2019-04-17 Terminal displaying user interface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743A KR102150793B1 (en) 2019-04-17 2019-04-17 Terminal displaying user interface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0793B1 true KR102150793B1 (en) 2020-09-01

Family

ID=72450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4743A KR102150793B1 (en) 2019-04-17 2019-04-17 Terminal displaying user interface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0793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4542A (en) * 1999-01-29 2000-08-11 Hitachi Ltd Image storage device, monitor system and storage medium
JP2015053573A (en) * 2013-09-06 2015-03-19 キヤノン株式会社 Image recording apparatus and imaging apparatus
KR20170112763A (en) * 2016-04-01 2017-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80051191A (en) * 2016-11-08 2018-05-16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Aapparatus of processing image and method of providing image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4542A (en) * 1999-01-29 2000-08-11 Hitachi Ltd Image storage device, monitor system and storage medium
JP2015053573A (en) * 2013-09-06 2015-03-19 キヤノン株式会社 Image recording apparatus and imaging apparatus
KR20170112763A (en) * 2016-04-01 2017-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80051191A (en) * 2016-11-08 2018-05-16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Aapparatus of processing image and method of providing image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67473B2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system
JP6488370B2 (en) Image output method and apparatus
JP5991514B2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system
JP2013013063A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system
KR20170104408A (en) Method for Providing Message Service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and Apparatus Therefor
JP2017168882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220070412A1 (en) Communication terminal, image communication system, method of displaying image, and recording medium
KR2011009304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an object
US1177060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 image capture with automatic subject selection
KR20180001794A (en) The Apparatus For Mornitoring
JP2019220783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2154432B1 (en) Apparatus for capturing an image and operating method of thereof
JP2004357126A (en) Imag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KR102154434B1 (en) Apparatus for capturing an imag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150793B1 (en) Terminal displaying user interface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US9525816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camera system
KR10213883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exposure protecting image
KR10210824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video in potable device
GB2581016A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program,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JP6324079B2 (en) Imaging device,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ntrol program
JP6426969B2 (en) Imaging device, control method therefor, system, and program
KR102085051B1 (en) Controlling system using drone
JP5712599B2 (en) Imaging apparatus and program
JP5939902B2 (en)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control device
KR2022000377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ulti-channel image back-up based on event, and network surveillance camera system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