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0289B1 -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이를 지원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이를 지원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0289B1
KR102150289B1 KR1020120095950A KR20120095950A KR102150289B1 KR 102150289 B1 KR102150289 B1 KR 102150289B1 KR 1020120095950 A KR1020120095950 A KR 1020120095950A KR 20120095950 A KR20120095950 A KR 20120095950A KR 102150289 B1 KR102150289 B1 KR 102150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memo
user terminal
input
menu ic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5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8807A (ko
Inventor
배주윤
김성수
김화경
전진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5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0289B1/ko
Priority to US14/013,542 priority patent/US10877642B2/en
Priority to PCT/KR2013/007855 priority patent/WO2014035195A2/en
Priority to EP13833916.3A priority patent/EP2891040A4/en
Priority to RU2015111172A priority patent/RU2015111172A/ru
Priority to EP19164183.6A priority patent/EP3543831A1/en
Priority to CN201810949677.8A priority patent/CN109240586A/zh
Priority to JP2015529685A priority patent/JP2015530658A/ja
Priority to CN201380042913.3A priority patent/CN104583927B/zh
Priority to CN201810948693.5A priority patent/CN109254718A/zh
Publication of KR20140028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8807A/ko
Priority to US16/109,024 priority patent/US20180364895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0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0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에서 필기 및 음성을 함께 지원하는 하이브리드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이를 지원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화면에 표시된 메모 내용 중 일부 또는 전체 내용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시, 상기 선택된 내용을 처리할 메뉴 아이콘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메뉴 아이콘 중 하나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시, 상기 선택된 메뉴 아이콘에 대응한 기능에 의해 상기 선택된 내용을 처리한다.

Description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이를 지원하는 방법{USER INTERFACE APPRATUS IN A USER TERMINAL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이를 지원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 단말에서 필기 및 음성을 함께 지원하는 하이브리드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이를 지원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용 전자 기기가 늘어나면서 직관적인 입/출력이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UI: User Interface)의 요구가 증대하고 있다. 예컨대 키보드, 키 패드, 마우스 등의 별도 구성을 이용하여 정보를 입력하는 전통적인 UI 방식에서 손가락이나 터치용 전자 펜 등을 이용하여 화면을 직접 터치하거나 음성을 이용하여 정보를 입력하는 직관적 UI 방식으로 점차 진화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UI 기술은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할 뿐만 아니라 직관적이면서 인간 중심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 대표적인 UI 기술로 사용자가 음성으로 휴대용 전자 기기와 대화하고, 이를 통해 원하는 정보를 입력하거나 원하는 정보를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리고 대표적인 사용자의 휴대용 전자 기기인 스마트 폰에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상기 설치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새로운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스마트 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은 단독으로 구동하는 것이 일반적임에 따라,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연동하여 새로운 기능 또는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는 않았다.
예컨대 스케줄 관리를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직관적 UI를 지원하는 사용자 단말이라 하더라도, 해당 어플리케이션에서 지원하는 UI만을 이용하여 정보를 입력할 수 있었다.
또한 터치 패널을 이용하여 메모 기능을 지원하는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자가 손가락, 전자 펜 등의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정보를 메모하는 용도로만 주로 활용할 뿐 메모 내용을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연계하여 활용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지 않았다.
그 외에도 사용자 단말에서 다양한 직관적 UI를 지원하더라도,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원하는 직관적 UI를 손쉽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 있지 않았다.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에서 필기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와의 정보를 교환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에서 필기 기반의 메모 기능을 이용하여 소정의 명령을 실행시키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이를 지원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에서 필기 기반의 메모 기능을 이용하여 문답이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이를 지원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에서 필기와 음성을 혼용하여 사용자와의 문답 절차를 진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이를 지원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에서 화면 상에 표시된 메모 내용에서 선택된 전체 또는 일부 메모를 처리하기 위한 명령을 메모 기능을 이용하여 입력 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 펜을 이용한 메모 기능을 지원하는 사용자 단말에서 메모 모드와 명령 처리 모드의 전환을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에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고 있는 상황에서 메모 기능에 의해 상기 구동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는 것이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자의 메모 패턴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한 메모 패턴을 고려하여 메모 기능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를 판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직관적 UI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자에 의해 메모 내용이 선택될 시에 상기 선택된 메모 내용을 처리하기 위한 메뉴 아이콘을 화면에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메모 내용을 메모 기반의 UI와 음성 기반의 UI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은, 화면에 표시된 메모 내용 중 일부 또는 전체 내용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시, 상기 선택된 내용을 처리할 메뉴 아이콘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메뉴 아이콘 중 하나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시, 상기 선택된 메뉴 아이콘에 대응한 기능에 의해 상기 선택된 내용을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화면에 표시된 메모 내용 중 일부 또는 전체 내용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시, 상기 선택된 내용을 처리할 메뉴 아이콘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메뉴 아이콘 중 하나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시, 상기 선택된 메뉴 아이콘에 대응한 기능에 의해 상기 선택된 내용을 처리한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단말에서 전자 펜 등을 이용한 메모 기능과 음성 인식 기능의 사용을 활성화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사용자에게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거부감 없이 사용자 단말에서 지원되는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한다.
그 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필기 기반 NLI 기술을 지원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보이고 있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필기 기반 NLI 기술을 지원하기 위한 명령 처리부(120)의 구성 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필기 기반 NLI 기술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지원하기 위한 제어 흐름을 보이고 있는 도면;
도 4는 메모 기능을 사용하여 특정 어플리케이션 또는 특정 기능에 따른 동작을 요청하는 예들을 보이고 있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위한 실제 사용자의 메모 패턴의 일 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
도 6은 하나의 기호가 다양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는 일 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
도 7은 문자와 기호가 결합된 입력 정보를 상기 기호에 따라 다른 의미로 해석할 수 있는 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
도 8은 기호학에서 기호들이 활용되고 있는 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
도 9는 기계/전기/컴퓨터 분야 및 화학 분야에서 기호들이 활용되고 있는 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
도 10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에 의한 동작 시나리오들을 보이고 있는 도면;
도 18 내지 도 23은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된 후에 메모 기능에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상기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을 동작 시키는 시나리오의 예들을 보이고 있는 도면;
도 24와 도 25는 기호학과 관련한 시나리오의 예들을 보이고 있는 도면.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서 하이브리드 (hybrid) 기술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제어 흐름을 보이고 있는 도면;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서 지원하는 하이브리드 (hybrid) 기술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처리에 대한 일 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서 지원하는 하이브리드 (hybrid) 기술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처리에 대한 다른 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서 메모 기반의 명령 처리에 상응한 메뉴 아이콘이 선택될 시의 처리 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서 음성 기반의 명령 처리에 상응한 메뉴 아이콘이 선택될 시의 처리 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하이브리드 (hybrid) 기술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시나리오의 일 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정의하고 있는 개체들의 명칭들을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된 명칭들이 본 발명에 따른 권리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유사한 기술적 배경을 가지는 시스템에 대해 동일 또는 용이한 변경에 의해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 단말에 자연어 인터페이스 (NLI: Natural Language Interaction)로 필기 기반의 UI 기술 (이하 ‘필기 기반 NLI 기술’이라 칭함)을 적용하여, 상기 필기 기반 NLI 기술이 적용된 사용자 단말에서 메모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와의 문답 절차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NLI 기술은 이해와 생성 능력을 보통 포함하는데, 이런 기능은 입력한 것을 가 이해하고, 사람이 이해하기 쉽게 텍스트를 표시할 수 있게 해준다. 이와 같이 인간과 전자 기기 간에 자연어로 대화를 하게 해주는 의 한 응용이라 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에서 필기 기반 NLI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명령을 수행하거나 상기 입력된 명령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문답 절차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획득한다.
하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의 문답 절차는 반드시 메모 기능만을 기반으로 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서의 문답 절차는 사용자와 사용자 단말 간의 질의 및 응답이 메모 기능만을 기반으로 수행되는 것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에 의한 질의는 음성을 기반으로 이루어지고, 사용자에 의한 응답은 필기를 기반으로 이루질 수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에 의한 질의가 음성을 기반으로 이루어지고, 사용자 단말에 의한 응답이 필기를 기반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 단말은 필기를 기반으로 하는 질의와 음성을 기반으로 하는 질의를 사용자에게 함께 제공하고나 필기 기반 및 음성 기반으로 사용자의 질의에 대해 응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와 사용자 단말과의 정보 입/출력이 음성 및 필기를 혼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하이브리드 NLI’라 칭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와 사용자 단말 간의 문답 절차를 위한 직관적 UI의 사용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 및 변경될 수 있다. 후술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주로 필기 기반의 문답 절차에 한정하여 설명이 이루어질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바가 반드시 필기 기반의 문답 절차에만 한정되어 적용되는 것이 아님에 유념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필기 기반 NLI 기술을 사용자 단말에 적용하기 위해 바람직하기로는, 메모 모드와 명령 처리 모드 상호 간의 전환이 필기 기반 NLI 기술을 통해 유기적으로 수행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상기 메모 모드는 사용자 단말에서 구동중인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지원되는 화면 상에서 손가락, 전자 펜 등의 입력 수단을 이용한 메모를 지원하는 상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명령 처리 모드는 메모 모드를 통해 입력된 메모 내용을 현재 구동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에 따른 정보와 연동하여 처리하는 동작을 지원한다.
한편 상기 메모 모드와 명령 처리 모드 상호 간의 전환 방법의 일 예로 전자 펜에 구비된 버튼의 눌림, 즉 하드웨어적인 신호의 발생에 의한 모드 전환이 가능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는 전자 펜을 메모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대표적인 입력 수단으로써 설명할 것이다. 하지만 하기에서의 설명에 따른 본 발명이 입력 수단으로 전자 펜을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에만 적용 가능한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모든 실시 예들은 터치 패널 상에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어떠한 수단이라도 입력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필기 기반 NLI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와의 문답에 의해 원하는 정보를 입력 받고, 이를 처리한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상호 약속에 의한 정보를 공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동작 모드의 전환을 요청하기 위해 기호, 패턴, 문자,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것을 약속하거나 동작 인식 기능을 통해 하나의 동작을 사용할 것을 약속할 수 있다. 이때 요청될 대표적인 동작 모드의 전환은 메모 모드에서 명령 처리 모드 또는 명령 처리 모드에서 메모 모드로의 전환이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호, 패턴, 문자, 이들의 조합 등에 상응한 입력 정보를 약속할 시에 사용자의 메모 패턴 등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한 결과를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직관적으로 입력할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할 것이다.
후술될 본 발명에 따른 상세한 설명에서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된 상황에서 필기 기반 NLI 기술을 적용하여 메모 기능을 통해 상기 구동중인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고, 그 결과를 출력하는 시나리오들을 서로 다른 실시 예로써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예컨대 메모된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를 선택하여 소정의 명령에 의해 처리하는 시나리오, 구동 중인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에서 메모 기능을 이용하여 특정 정보를 입력하는 시나리오, 그 외에 필기 기반 NLI 기술을 사용한 문답 절차에 의해 특정 명령을 처리하는 시나리오 등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필기 기반 NLI 기술을 지원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보이고 있다. 이때 도 1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필기 기반 NLI 기술을 지원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에 구비되어야 하는 구성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그 외의 다른 기능을 위한 구성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도 1에서 보이고 있는 각 구성은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 외에도 소프트웨어에 의한 기능 블록에 의한 구현도 가능함을 물론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 수행부(110)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네트워크 또는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을 메모리 (별도로 도시하지 않음)와 연동하여 설치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수행부(110)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사전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를 구동시키고, 상기 구동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외부의 명령을 기반으로 제어한다. 이때 상기 외부의 명령은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구동함에 따라 자체적으로 발생하는 명령을 제외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대부분의 명령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외부 명령은 네트워크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에 의한 명령 외에 필기 기반 NLI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에 의한 명령을 포함한다. 하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필기 기반의 NLI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에 의한 명령에 한정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에 유념하여야 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수행부(11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거나 구동에 의한 결과를 필기 기반 NLI 기술을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예컨대 상기 어플리케이션 수행부(110)는 터치 패널부(130)의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또는 구동에 따른 결과를 출력한다.
상기 터치 패널부(130)는 필기 기반 NLI 기술의 적용에 따른 정보의 입/출력을 처리하는 구성으로써, 디스플레이 기능 및 입력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기능은 어떠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기능을 포괄적으로 의미하며, 상기 입력 기능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받아 들이기 위한 기능을 포괄적으로 의미한다.
그러나 사용자 단말이 디스플레이 기능과 입력 기능을 위해 별도의 구성을 구비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일 예로 입력 기능을 위해 동작 인식을 위한 카메라 등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 패널부(130)의 동작을 디스플레이 기능과 입력 기능을 구분하지 않고, 상기 터치 패널부(130)에 의해 처리되는 것을 전제로 하여 설명할 것이다.
상기 터치 패널부(13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소정의 정보 또는 명령을 인지하고, 상기 인지한 정보 또는 명령을 어플리케이션 수행부(110) 및/또는 명령 처리부(120)로 전달한다.
이때 상기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메모에 관한 정보 또는 필기 기반 NLI 기술로 인한 문답 절차 시의 답변에 관한 정보가 될 수 있다. 그 외에 상기 정보는 현재 화면 상에 표시된 메모 내용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선택하기 위한 정보가 될 수도 있다.
상기 명령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요청하는 명령 또는 이미 설치된 어플리케이션들 중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요청하는 명령이 될 수 있다. 그 외에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지원되는 특정 동작, 기능 등의 실행을 요청하는 명령이 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정보 또는 명령은 문자 외에도 선, 기호, 패턴 및 이들의 조합 등의 형태로 입력될 수 있으며, 이러한 선, 기호, 패턴 등은 사전에 약속 또는 훈련을 통해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터치 패널부(13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수행부(110)에 의한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구동 중인 어플리케이션에서의 특정 기능 수행에 따른 결과를 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터치 패널부(130)는 문답 절차에 따른 질문 또는 결과를 화면을 표시한다. 예컨대 사용자에 의해 특정 명령이 입력될 시, 상기 터치 패널부(130)는 상기 명령 처리부(120)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입력된 특정 명령의 처리 결과 또는 상기 특정 명령을 처리하기 위해 추가로 필요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질문을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표시한 질문에 대한 응답으로 사용자에 의해 추가 정보가 입력될 시, 상기 터치 패널부(130)는 상기 입력된 추가 정보를 상기 명령 처리부(120)로 전달한다.
그 후 상기 터치 패널부(130)는 상기 명령 처리부(120)의 요청에 의해 또 다른 정보를 얻기 위한 추가 질문을 표시하거나 상기 추가로 입력된 정보를 반영한 상기 특정 명령의 처리 결과를 표시한다.
상기 명령 처리부(12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문자, 기호, 도형, 패턴 등을 상기 터치 패널부(130)로부터 전달받으며, 상기 전달받은 문자, 기호, 도형, 패턴 등에 의해 사용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확인한다.
일 예로 상기 명령 처리부(120)는 전달된 문자, 기호, 도형, 패턴 등에 대한 자연어 처리를 통해 사용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자연어 처리를 위해 필기 기반의 NLI 기술이 적용된다. 상기 사용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구동 또는 현재 구동 중인 어플리케이션에서의 특정 기능 수행에 대한 명령어 또는 질의에 대한 답변 등을 포함한다.
상기 명령 처리부(120)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이 어떠한 동작을 지시하는 명령어라고 판단될 시, 상기 판단된 명령어를 처리한다. 즉 상기 명령 처리부(120)는 판단된 명령어에 의해 상기 어플리케이션 수행부(110)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킬 것을 지시하거나 현재 구동 중인 어플리케이션에서 특정 기능을 수행할 것을 지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명령 처리부(120)는 상기 지시에 따른 처리 결과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수행부(110)로부터 제공받으며, 이를 상기 터치 패널부(130)로 제공한다.
물론 상기 어플리케이션 수행부(110)는 상기 처리 결과를 상기 명령 처리부(120)가 아닌 상기 터치 패널부(130)로 직접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판단된 명령어를 처리하기에 위해 추가 정보가 필요한 경우, 상기 명령 처리부(120)는 추가 정보를 얻기 위한 질문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질문을 상기 터치 패널부(130)로 제공한다. 그 후 상기 명령 처리부(120)는 상기 제공한 질문에 대한 답을 상기 터치 패널부(130)로부터 제공받을 것이다.
상기 명령 처리부(120)는 상기 판단된 명령어를 처리하기 위해 충분한 정보를 획득할 때까지 상기 터치 패널부(130)를 통한 사용자와의 문답, 즉 대화를 지속할 것이다. 즉 명령 처리부(120)는 상기 터치 패널부(130)를 통한 문답 절차를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위해 상기 명령 처리부(120)는 상기 터치 패널부(130)와의 연동에 의해 필기 기반 NLI 기술을 채용한다. 즉 필기를 기반으로 하는 자연어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메모 기능에 의해 사용자와 전자 기기간의 문답, 즉 대화가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대화를 통해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의 명령을 처리하거나 그 처리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필기 기반 NLI 기술을 지원하기 위한 명령 처리부(120)의 구성 예를 보이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필기 기반 NLI 기술을 지원하는 명령 처리부(120)는 인지 엔진 (Recognition Engine)(210)과 NLI 엔진 (NLI Engine)(220)을 포함한다.
상기 인지 엔진(210)은 인지 관리 모듈 (Recognition Manager Module)(212), 원격 인지 의뢰 모듈 (Remote Recognition Client Module)(214), 지역 인지 모듈 (Local Recognition Module)(216)을 포함한다. 상기 지역 인지 모듈(216)은 필기 인지 블록 (Handwriting Recognition Block), 광 문자 인지 블록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Block), 동작 인지 블록 (Object Recognition Block)로 구성된다.
상기 NLI 엔진(220)은 대화 모듈 (Dialog Module)(222)과 지능 모듈 (Intelligence Module)(224)을 포함한다. 상기 대화 모듈(222)은 대화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대화 관리 블록 및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기 위한 자연어 이해 블록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능 모듈(224)은 사용자 선호도를 반영하기 위한 사용자 모델링 블록, 일반 상식을 반영하기 위한 상식 추론 블록 및 사용자 상황을 반영하기 위한 컨텐츠 관리 블록으로 구성된다.
상기 인지 엔진(210)은 전자 펜 등의 입력 수단에 상응한 그리기 엔진 (Drawing Engine)과 카메라 등의 지능 입력 플랫폼 (Intelligent Input Platform)에 의한 정보 또는 필기 (Handwriting) 이미지 (Image), 동작 (Object) 등에 의한 정보를 입력으로 한다. 상기 인지 엔진(210)로 입력되는 정보는 문자 외에도 선, 기호, 패턴 및 이들이 조합된 형태로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인지 엔진(210)은 정보로 입력된 문자, 선, 기호, 패턴, 도형, 이들의 조합 등으로부터 현재 표시된 메모 내용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역의 메모 내용을 인식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지시된 명령어를 인식한다. 상기 인지 엔진(210)은 상술한 바에 의해 얻은 인식 결과 (Recognized Result)를 출력한다.
이를 위해 상기 인지 엔진(210)는 입력 정보로부터 인식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전반적인 제어를 처리하는 인지 관리 모듈(212), 원격 인지 의뢰 모듈(214) 및 입력 정보를 인지하기 위한 지역 인지 모듈(216)을 포함한다. 상기 지역 인지 모듈(216)은 필기를 기반으로 입력되는 정보를 인지하는 필기 인지 블록과, 입력되는 광학식 신호로부터 정보를 인지하는 광 문자 인지 블록 및 입력되는 동작 등으로부터 정보를 인지하는 동작 인지 블록을 적어도 포함한다.
상기 필기 인지 블록, 광 문자 인지 블록 및 동작 인지 블록에 의해 인지된 인식 결과는 상기 NLI 엔진(220)으로 제공된다.
상기 NLI 엔진(220)은 상기 인지 엔진(210)으로부터 제공되는 인지 결과에 대한 분석 등의 처리를 통해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한다. 즉 상기 NLI 엔진(220)은 상기 인지 엔진(210)으로부터 제공되는 인지 결과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정보를 파악한다. 즉 상기 NLI 엔진(220)은 필기 기반 NLI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와의 문답에 의한 대화를 수행하여 충분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한다.
이를 위해 상기 NLI 엔진(220)을 구성하는 대화 모듈(222)은 사용자와의 대화를 위한 질문을 구성하고, 상기 구성한 질문을 사용자에게 전달하여 사용자로부터의 답변을 수신하기 위한 문답의 흐름을 제어한다. 상기 대화 모듈(222)은 문답을 통해 획득한 정보를 관리한다 (대화 관리 블록). 또한 상기 대화 모듈(222)은 상기 관리되고 있는 정보를 고려하여 최초 제공된 명령에 대한 자연어 처리를 통해 사용자의 의도를 이해한다 (자연어 이해 블록).
상기 NLI 엔진(220)을 구성하는 지능 모듈(224)은 자연어 처리를 통해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기 위해 참조될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대화 모듈(222)로 제공한다. 예컨대 상기 지능 모듈(224)은 메모 시에 사용자의 습관 등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선호도를 반영하는 정보를 모델링 (사용자 모델링 블록)하거나 일반적인 상식을 반영하기 위한 정보를 추론 (상식 추론 블록)하거나 현재 사용자의 상황을 고려하는 정보를 관리 (컨텍스트 관리 블록)한다.
따라서 상기 NLI 엔진(220)을 구성하는 대화 모듈(222)은 상기 지능 모듈(224)로부터 제공되는 정보의 도움을 받아 사용자와의 문답 절차에 따른 대화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필기 기반 NLI 기술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지원하기 위한 제어 흐름을 보이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은 310단계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상기 구동 중인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중 사용자에 의해 구동이 요청된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한다.
일 예로 사용자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 단말에 의해 제공되는 메모 기능을 이용하여 구동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메모 계층 (memo layer)를 화면에 띄운 후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와 실행 명령에 상응한 정보가 입력될 시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검색하여 구동한다. 이와 같은 방안은 사용자 단말에 많은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경우에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빠른 실행을 위해 유용하게 사용될 것이다.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의 대표적인 예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이름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실행 명령에 상응한 정보는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명령하기 위해 사전에 설정된 도형, 기호, 패턴, 문자 등이 될 수 있다.
도 4는 메모 기능을 사용하여 특정 어플리케이션 또는 특정 기능에 따른 동작을 요청하는 예들을 보이고 있다.
도 4에서는 메모 기능을 이용하여 작성된 메모 내용 중 일부 내용을 선, 폐곡선, 도형 등을 사용하여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일부 내용을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처리하는 예를 보이고 있다. 예컨대 선을 사용하여 ‘갤럭시노트 프리미엄스위트’라는 메모 내용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메모 내용을 문자 발송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전송할 것을 명령한 일 예를 보이고 있다.
만약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어플리케이션과 일치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 단말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검색을 통해 유사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후보 군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이는 후보 군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른 예로써 사용자는 메모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에서 지원하는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앞에서도 밝힌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메모 계층을 띄우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에 의해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검색을 실시한다.
예컨대 검색에 대한 일 예로써,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찾기 위한 키워드를 메모 기능에 따른 화면에 입력한다. 이로써 사용자 단말은 입력된 키워드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메모 기능을 이용하여 화면에 ‘자동차 게임’이라 입력하였다면, 사용자 단말은 내부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중 ‘자동차 게임’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검색한다. 그리고 그 검색 결과를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것이다.
다른 예로써, 사용자 단말에서 제공하는 메모 기능에 따른 화면에 사용자가 설치 시기 (일 예로 11년 2월)를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은 입력된 시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검색을 수행한다. 즉 사용자가 메모 기능을 이용하여 화면에 ‘11년 2월’이라 입력함으로써, 사용자 단말은 내부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중 ‘11년 2월’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검색한다. 그리고 그 검색 결과를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메모에 의해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거나 검색하는 것은, 사용자 단말에 많은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어플리케이션을 보다 효율적으로 검색하기 위해서는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색인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색인 작업에 의해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은 성격, 분야, 기능 등의 기준에 의해 분류될 수 있다.
그리고 구동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를 입력하거나 검색을 위한 색인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메모 계층은 사용자가 특정 키를 입력하거나 특정 모션을 입력함으로써 나타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의해 구동되거나 검색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은 메모 기능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스케줄 관리를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지도 서비스를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음악 서비스를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지하철 노선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한다.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은 312단계에서 필기 기반에서의 정보가 입력되는 지를 감시한다. 이때 입력되는 정보는 문자 외에도 선, 기호, 패턴 및 이들이 조합된 형태로 입력될 수 있다. 그 외에도 상기 사용자 단말은 312단계에서 현재 화면 상에서 메모로 인해 표시된 내용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선택하는 영역을 지정하는 정보의 입력을 감시할 수도 있다.
만약 상기 메모된 내용 중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되었다면, 상기 사용자 단말은 312단계에 계속 머물면서 상기 선택된 영역 내에 표시된 메모 내용을 처리하기 위한 명령에 상응한 정보가 추가로 입력되는지를 감시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에 의한 필기 기반의 정보 입력이 감지되면, 314단계에서 상기 감지한 입력 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예컨대 상기 일부 또는 전부 선택된 영역 내의 메모 내용에 대한 텍스트 정보를 인식하거나 문자 외에도 선, 기호, 패턴 및 이들이 조합된 형태로 입력된 정보를 인식한다. 상기 입력된 정보에 대한 인식은 도 2에 도시한 인지 엔진(210) 내에서 이루어진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감지한 입력 정보에 대한 인식을 이루어지면, 상기 인식한 텍스트 정보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상기 인식한 텍스트 정보에 대한 자연어 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인식한 텍스트 정보에 대한 자연어 처리는 NLI 엔진(220) 내에서 이루어진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입력 정보로 사용자가 문자와 기호를 혼용하여 입력하였다고 인식될 경우, 상기 인식한 정보에 대한 처리를 위해 자연어 처리와 함께 기호 처리도 수행한다.
상기 기호 처리를 위해서는 사용자의 실제 메모 패턴을 분석하고, 상기 메모 패턴의 분석을 통해 사용자가 많이 사용하는 대표 기호를 검출한다. 그리고 상기 검출한 대표 기호를 사용자가 어떠한 의도로 사용하는 지를 분석하고, 그 분석한 결과를 기반으로 해당 대표 기호의 의미를 정리한다.
상술한 바에 의해 정리된 대표 기호 별로 사용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는 데이터베이스화하여 향후 입력되는 기호에 대한 해석 시에 적용할 수 있다. 즉 기호 처리를 위해 미리 정리된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위한 실제 사용자의 메모 패턴의 일 예를 보이고 있다. 도 5에서 보이고 있는 메모 패턴에 따르면, 사용자는 →, (), _, -, +, ? 등의 기호를 많이 사용함을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기호 →은 부연 설명 또는 문단 구분 등의 의미로 사용되고, 기호 ()는 용어의 정의 또는 기재의 묶음 등의 의미로 사용됨을 분석할 수 있다.
한편 동일한 기호가 사용되는 경우에 따라 서로 다른 의미로 해석될 수도 있다. 예컨대 기호 →는 ‘시간 흐름’, ‘인과 관계’, ‘위치’, ‘속성들의 관계 설명’, ‘집중화 (clustering)를 위한 기준점’, ‘변경’ 등과 같이 다양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하나의 기호가 다양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는 일 예를 보이고 있다. 즉 도 6에서는 기호 →가 시간 흐름, 인관 관계, 위치 등을 뜻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이고 있다.
도 7은 문자와 기호가 결합된 입력 정보를 상기 기호에 따라 다른 의미로 해석할 수 있는 예를 보이고 있다. 즉 ‘서울 → 부산’이라는 사용자의 입력 정보는 ‘서울에서 부산까지’라는 의미 외에도 ‘서울을 부산으로 변경’하라는 의미로도 해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의미로 해석될 수 있는 기호의 경우에는 추가 정보 또는 앞과 뒤의 정보와의 관계 등을 고려하여 그 의미를 예측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예측은 사용자의 의도를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는 원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기호 인식/이해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 및 노력이 요구될 것이다. 이러한 노력의 예로는 인문학 분야의 기호학 (semiotics)에서 기호 인식 및 이해 관계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는 광고, 문학, 영화, 교통 신호 등에서 활용되고 있다. 여기서 기호학은 넓은 의미로 기호의 기능과 본석, 의미 작용과 표현, 의사 소통과 관련된 다양한 체계를 연구하는 학문 분야이다.
그 외에 기호는 공학적인 접근도 이루어지고 있다. 예컨대 기계/전기/컴퓨터 분야에서 순서도와 설계도의 기호 인식과 관련하여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는 Sketch (Hand-drawn Diagram) 인지 등에서 활용되고 있다. 또한 화학 분야에서는 복잡한 화학 구조 기호를 인식하기 위한 관련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는 Hand-drawn Chemical Diagram Recognition 등에서 활용되고 있다.
도 8은 기호학에서 기호들이 활용되고 있는 예를 보이고 있으며, 도 9는 기계/전기/컴퓨터 분야 및 화학 분야에서 기호들이 활용되고 있는 예를 보이고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인식 결과에 대한 자연어 처리에 의해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에 의한 내용을 이해한 후 318단계에서 인식한 내용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해당 정보를 입력한 의도를 파악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해당 정보를 입력한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면, 322단계에서 파악한 사용자의 의도에 상응한 동작을 수행하거나 상기 파악한 사용자의 의도에 대응한 응답을 출력한다. 그 외에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파악한 사용자의 의도에 상응한 동작을 수행한 후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도 있다.
하지만 상기 사용자 단말은 해당 정보를 입력한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할 수 없다면, 320단계에서 사용자와의 문답 절차를 통해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기 위한 추가 정보를 획득한다. 이를 위해 상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에게 묻기 위한 질문을 구성하고, 상기 구성한 질문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추가 정보가 입력될 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318단계로 진행하여 이전에 자연어 처리를 수행하여 이해한 내용에 새로이 입력 받은 정보를 추가로 고려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다시 파악한다.
하지만 도면에서는 보여지고 있지 않으나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새로이 입력 받은 정보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상기 314단계와 316단계를 추가로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의 의도를 정확하게 파악할 때까지 상기 320단계에서의 문답 절차, 즉 사용자와의 대화를 통해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기 위해 요구되는 대부분의 정보를 확보할 수 있다.
상술한 문답 절차를 거쳐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였다면, 상기 사용자 단말은 322단계에서 파악한 사용자의 의도에 상응한 동작 및/또는 응답 결과를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앞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구성 및 그 구성을 기반으로 필기 기반의 NLI 기술에 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안은 다양한 시나리오를 가정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 기능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하는 동작 시나리오들을 보이고 있다.
즉 도 10 내지 도 17은 메모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메모 내용을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처리하는 예들을 보이고 있다.
도 10은 사용자 단말에서 메모 기능을 이용하여 메모한 일부의 내용을 메일 발송하는 시나리오를 보이고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메모 기능을 활용하여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필기하고, 상기 필기한 내용 중 일부를 선, 기호, 폐곡선 등을 이용하여 선택한다. 일 예로 상기 일부 내용의 선택은 전체 필기된 내용 중 일부 영역을 폐곡선을 이용하여 선택함으로써, 상기 폐곡선 내에 존재하는 영역 내의 내용이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약속된 또는 직관적으로 인지 가능한 기호와 문자를 활용하여 상기 선택한 내용의 처리를 요청하는 명령을 입력한다. 예컨대 도면에서는 상기 선택한 영역을 지정하는 화살표와 임의의 사람 (김화경 책임)을 지정하는 문자를 필기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정보를 입력 받은 사용자 단말은 선택된 영역 내의 메모 내용을 문자에 의해 입력된 ‘김화경 책임’에게 전송하라는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한 사용자 단말은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중 선택된 메모 내용의 전송이 가능한 추천 어플리케이션을 추출한다. 그리고 상기 추출한 추천 어플리케이션을 화면 상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사용할 추천 어플리케이션의 선택 또는 구동을 명령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에 의해 추천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될 시,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고, 상기 호출된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앞서 선택한 메모 내용을 ‘김화경 책임’에게 전송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메모 내용을 전송함에 있어, 수신측에 관한 정보가 사전에 등록되어 있지 않다면, 사용자에게 수신측에 해당하는 ‘김화경 책임’의 메일 주소 등을 문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선택한 메모 내용은 사용자에 의한 메일 주소의 입력에 응답하여 전송될 것이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의 의도한 바를 처리한 후 그 결과를 화면 상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의도에 적절한 처리가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예로 메일 전송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내용의 문장과 함께 메일 발송 내역을 리스트에 저장할 것인지를 문의한다. 이에 응답하여 사용자가 리스트에 저장할 것이 요청될 시, 상기 사용자 단말은 메일 발송 내역을 리스트에 등록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시나리오는 사용자 단말 내에서 어플리케이션 간의 이동 없이 회의 등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진 필기 중 필요한 내용을 당사자에게 메일로 전송한 후 상호 작용을 통하여 그 근거를 ‘To do list’에 저장할 수 있어 생산성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1은 사용자 단말에서 메모 기능을 이용하여 메모한 전체 내용을 문자 발송하는 시나리오를 보이고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메모 기능을 활용하여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필기한다(Writing memo). 그 후 사용자는 상기 필기한 내용 중 전체를 선, 기호, 폐곡선 등을 이용하여 선택한다 (Triggering). 일 예로 폐곡선을 이용하여 메모가 이루어진 전체 영역을 선택함으로써, 상기 폐곡선 내에 존재하는 전체 내용이 선택된 것으로 인지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약속된 또는 직관적으로 인지 가능한 문자, 일 예로 ‘문자 보내기’라고 필기함으로써, 상기 선택한 내용에 대한 문자 발송을 명령한다 (Writing command).
상기한 바에 의해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NLI 엔진은 선택된 영역 내의 내용에 대한 문자 발송이 사용자의 의도임을 인지한다. 이를 인지한 상기 NLI 엔진은 문자 발송을 위한 정보가 부족하다고 판단하여 사용자와의 문답 절차를 통해 원하는 정보를 확인한다. 예컨대 상기 NLI 엔진은 문자를 보낼 대상이 누구인지를 문의하는 질문, 즉 ‘누구에게?’라는 질문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에 대한 응답으로 사용자가 메모 기능을 이용하여 문자를 전달할 대상에 관한 정보를 입력한다. 상기 정보는 대상자의 이름 또는 전화번호를 직접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면에서는 대상자의 이름으로 ‘김화경’, ‘배주윤’이 입력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NLI 엔진은 주소록에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이름, ‘김화경’, ‘배주윤’에 대응하여 등록된 전화번호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전화번호를 수신 대상으로 앞에서 선택한 내용을 본문으로 하는 문자를 발송한다. 이때 상기 선택한 내용이 이미지인 경우, 사용자 단말에서는 상기 선택한 내용을 텍스트화 하여 인지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는 절차를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의해 문자 전송을 완료할 시, 상기 NLI 엔진은 처리 결과를 알리는 내용, 일 예로 ‘문자 전송이 완료되었습니다.’라는 문장을 표시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자신의 의도에 따라 적절한 처리가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12는 사용자 단말에서 메모 기능을 이용하여 메모한 일부의 내용의 의미를 확인하는 시나리오를 보이고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메모 기능을 활용하여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필기한다 (Writing memo). 그 후 사용자는 상기 필기한 내용 중 일부를 선, 기호, 폐곡선 등을 이용하여 선택한다 (Triggering). 일 예로 폐곡선을 이용하여 메모가 이루어진 전체 영역 중 일부 영역에 기재된 하나의 단어가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약속된 또는 직관적으로 인지 가능한 기호, 일 예로 ‘?’라고 필기함으로써, 상기 선택한 단어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문의하는 명령을 내린다 (Writing command).
상기한 바에 의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NLI 엔진은 선택된 단어 내의 의미를 확인하기 위해 어떠한 검색 엔진을 사용할 것인지를 문의한다. 이를 위해 상기 NLI 엔진은 사용자와의 문답 절차를 이용한다. 예컨대 상기 NLI 엔진은 화면 상에 ‘Which search engine?’라고 표시하여 사용자가 검색 엔진을 선택하는 정보를 입력할 것을 유도한다.
이에 대한 응답으로 사용자가 메모 기능을 이용하여 ‘wikipedia’을 입력하였다. 따라서 상기 NLI 엔진은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검색할 엔진으로 ‘wikipedia’을 사용하라는 사용자의 의도를 인지한다. 상기 NLI 엔진은 ‘wikipedia’을 사용하여 앞에서 선택한 ‘MLS’의 의미를 확인한 후 그 결과를 표시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문의한 ‘MLS’의 의미를 화면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에 의해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13은 사용자 단말에서 메모 기능을 이용하여 메모한 내용의 일부를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정보를 등록하는 시나리오를 보이고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메모 기능을 활용하여 중국 여행을 위해 준비할 사항을 정리하는 내용을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필기한다 (Writing memo). 그 후 사용자는 상기 필기한 내용 중 일부를 선, 기호, 폐곡선 등을 이용하여 선택한다 (Triggering). 일 예로 폐곡선을 이용하여 메모가 이루어진 전체 영역 중 ‘항공권 잔금 결제’라는 내용이 메모된 일부 영역을 선택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약속된 또는 직관적으로 인지 가능한 문자, 즉 ‘할일에 등록’이라는 문자를 필기함으로써, 상기 선택한 내용의 일을 해야 할 일의 목록으로 등록할 것을 요청하는 명령을 내린다 (Writing command).
상기한 바에 의해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NLI 엔진은 선택된 영역 내용에 상응한 업무에 대한 일정 관리를 요청하는 것이 사용자의 의도임을 인지한다. 이를 인지한 상기 NLI 엔진은 일정 관리를 위한 정보가 부족하다고 판단하여 사용자와의 문답 절차를 통해 원하는 정보를 확인한다. 예컨대 상기 NLI 엔진은 해당 일정을 처리할 일정을 문의하는 질문, 일 예로 ‘완료일을 입력하세요’라는 질문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에 대한 응답으로 사용자가 메모 기능을 이용하여 해당 일정을 처리할 예정인 날짜로 ‘5월 2일’을 입력하였다. 상기 NLI 엔진은 앞에서 선택한 내용에 상응한 일을 5월 2일에 처리할 업무로 저장하여 스케줄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에 의해 사용자의 요청을 처리한 후 상기 NLI 엔진은 처리 결과를 알리는 내용, 일 예로 ‘저장되었습니다.’라는 문장을 표시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자신의 의도에 따라 적절한 처리가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14a는 사용자 단말에서 메모 기능을 이용하여 메모한 내용을 잠금 기능을 활용하여 저장하는 시나리오를 보이고 있고, 도 14b는 잠금 기능에 의해 저장된 메모 내용을 확인하는 시나리오를 보이고 있다.
도 14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메모 기능을 활용하여 오사카 여행 중에 경험을 사진과 메모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필기한다 (Writing memo). 그 후 사용자는 상기 필기한 내용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선, 기호, 폐곡선 등을 이용하여 선택한다 (Triggering). 일 예로 폐곡선을 이용하여 메모가 이루어진 전체 영역에 대한 선택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사용자는 잠금 기능에 의한 해당 메모의 저장을 요청하기 위해 약속된 또는 직관적으로 인지 가능한 문자, 즉 ‘잠금’이라는 문자를 필기함으로써, 상기 선택한 내용을 잠금 기능을 이용하여 등록할 것을 요청하는 명령을 내린다 (Writing command).
상기한 바에 의해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NLI 엔진은 메모된 내용을 잠금 기능을 활용하여 저장하는 것이 사용자의 의도임을 인지한다. 이를 인지한 상기 NLI 엔진은 잠금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추가 정보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사용자와의 문답 절차를 통해 원하는 정보를 확인한다. 예컨대 상기 NLI 엔진은 잠금 기능을 설정하기 위해 비밀번호를 문의하는 질문, 일 예로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라는 메시지를 화면에 출력한다.
이에 대한 응답으로 사용자가 메모 기능을 이용하여 잠금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비밀번호로 ‘3295’를 필기할 시, 상기 NLI 엔진은 앞에서 선택한 내용을 비밀번호 ‘3295’를 이용하여 저장한다.
상술한 바에 의해 해당 메모 내용을 잠금 기능을 이용하여 저장한 후 상기 NLI 엔진은 처리 결과를 알리는 내용, 일 예로 ‘저장되었습니다.’라는 문장을 표시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자신의 의도에 따라 적절한 처리가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14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잠금 기능에 의해 저장된 메모들 중 원하는 메모를 선택한다 (Selecting memo). 상기 사용자에 의해 특정 메모가 선택될 시, NLI 엔진은 상기 선택된 특정 메모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비밀번호가 필요함을 인지한 후 문답 절차를 진행하여 사용자에 의한 해당 비밀번호의 입력을 유도한다 (Writing Password). 예컨대 상기 NLI 엔진은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메모 창을 띄움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해당 메모를 확인하기 위한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NLI 엔진은 사용자에 의해 정확한 비밀번호가 입력될 시, 앞에서 선택된 메모를 불러와 화면 상에 표시한다.
도 15는 사용자 단말에서 메모 기능을 이용하여 메모한 일부의 내용에 의해 특정 기능을 이용하는 시나리오를 보이고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메모 기능을 활용하여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필기한다 (Writing memo). 그 후 사용자는 상기 필기한 내용 중 일부를 선, 기호, 폐곡선 등을 이용하여 선택한다 (Triggering). 일 예로 폐곡선을 이용하여 메모가 이루어진 전체 영역 중 전화번호, 즉 ‘010-9530-0163’이 메모된 일부 영역을 선택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약속된 또는 직관적으로 인지 가능한 기호 또는 문자, 일 예로 ‘통화’라고 필기함으로써, 상기 선택한 전화번호로 전화 통화를 시도할 것을 명령한다 (Writing command).
상기한 바에 의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NLI 엔진은 선택된 전화번호를 자연어로 번역하여 인지하고, 상기 인지한 전화번호인 ‘010-9530-0163’로의 전화 통화를 시도한다.
도 16은 사용자 단말에서 메모 기능을 이용하여 메모한 일부의 내용을 감추는 시나리오를 보이고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메모 기능을 활용하여 자신이 이용하는 웹 패이지 별로의 ID와 비밀번호를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필기한다 (Writing memo). 그 후 사용자는 상기 필기한 내용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선, 기호, 폐곡선 등을 이용하여 선택한다 (Triggering). 일 예로 폐곡선을 이용하여 메모가 이루어진 전체 영역에서 일부 메모, 즉 비밀번호에 상응한 메모 ‘wnse3281’에 대한 선택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사용자는 감춤 기능을 위해 약속된 또는 직관적으로 인지 가능한 문자, 즉 ‘hide’라는 문자를 필기함으로써, 상기 선택한 내용에 대한 감춤을 명령한다 (Writing command).
상기한 바에 의해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NLI 엔진은 선택한 메모 내용을 감추는 것이 사용자의 의도임을 인지한다. 이를 인지한 상기 NLI 엔진은 감춤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추가 정보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사용자와의 문답 절차를 통해 원하는 정보를 확인한다. 예컨대 상기 NLI 엔진은 감춤 기능을 설정하기 위해 비밀번호를 문의하는 질문, 일 예로 ‘Enter the passcode’라는 메시지를 화면에 출력한다.
이에 대한 응답으로 사용자가 메모 기능을 이용하여 감춤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비밀번호로 ‘3295’를 필기할 시, 상기 NLI 엔진은 필기된 ‘3295’를 자연어로 번역하여 인지한 후 이를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선택된 메모 내용을 감춤으로써, 화면 상에 표시되지 않도록 한다.
도 17은 사용자 단말에서 메모 기능을 이용하여 메모한 일부의 내용의 번역을 처리하는 시나리오를 보이고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메모 기능을 활용하여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필기한다 (Writing memo). 그 후 사용자는 상기 필기한 내용 중 일부를 선, 기호, 폐곡선 등을 이용하여 선택한다 (Triggering). 일 예로 밑줄을 이용하여 메모가 이루어진 전체 영역 중 일부 영역에 기재된 내용을 선택하였다. 즉 ‘내일 오전 11시까지 문의한 문서 받기’라는 메모 내용을 선택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약속된 또는 직관적으로 인지 가능한 기호 또는 문자, 일 예로 ‘번역’이라고 필기함으로써, 상기 선택한 문장에 대한 번역을 명령한다 (Writing command).
상기한 바에 의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NLI 엔진은 선택된 문장에 대한 번역 명령임을 인지한다. 그 후 상기 NLI 엔진은 사용자와의 문답 절차를 이용하여 번역할 언어를 지정할 것을 요청하는 질문을 화면에 표시한다. 예컨대 상기 NLI 엔진은 화면 상에 ‘Which Language?’라고 표시하여 사용자가 번역할 언어를 입력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에 대한 응답으로 사용자가 메모 기능을 이용하여 ‘이탈리아어’라고 메모할 시, 상기 NLI 엔진은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번역할 언어로 ‘이탈리아어’을 사용하라는 사용자의 의도를 인지한다. 상기 NLI 엔진은 앞에서 인지된 메모 내용, 즉 ‘내일 오전 11시까지 문의한 문서 받기’를 이탈리아어로 번역하여 출력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문의한 내용에 대한 이탈리아 번역문을 화면을 통해 제공받게 된다.
상술한 동작 시나리오에서는 사용자와 사용자 단말 간에 이루어지는 문답 절차를 필기 기반에 한정하여 설명하였다. 하지만 상술한 동작 시나리오가 반드시 메모 기반의 문답 절차에만 한정되지 않고, 음성과 필기에 의한 UI를 함께 지원하는 하이브리드 NLI가 이용될 수도 있다.
도 18 내지 도 23은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된 후에 메모 기능에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상기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을 동작 시키는 시나리오의 예들을 보이고 있다.
도 18은 사용자 단말의 초기 화면에서 메모 계층 (memo layer)을 실행시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하나의 시나리오를 보이고 있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의 초기 화면에서 메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화면 상에 메모 계층을 띄운 후 실행할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 (일 예로 어플리케이션 명칭) ‘챗온’을 기재함으로써,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예를 보이고 있다.
도 19는 사용자 단말에서 구동 중인 특정 어플리케이션에서 수행할 특정 동작을 메모 기능을 이용하여 제어하는 시나리오를 보이고 있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에서 음악을 청취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화면에서 메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화면 상에 메모 계층을 띄운 후 청취를 원하는 음악의 제목 ‘여수 밤바다’를 기재함으로써, 구동 중인 어플리케이션에서 ‘여수 밤바다’에 해당하는 음원을 재생하는 예를 보이고 있다.
도 20은 사용자 단말에서 메모 기능을 이용하여 구동 중인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시나리오 예들을 보이고 있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에서 동영상을 시청하는 중에 메모 계층을 띄워 이동할 시간, 즉 ‘40:22’라고 기재함으로써, 구동 중인 동영상을 재생 시점을 40분 22초 지점으로 바로 이동한다. 이러한 기능은 동영상 재생 시 외에도 음악을 청취하는 중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그 외에 eBook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중에 메모 계층을 띄워 이동할 페이지, 예컨대 ‘105’라고 메모함으로써, 해당 읽고 있던 책의 105 페이지로 바로 이동한다.
도 21은 사용자 단말에서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는 중에 메모 기능을 이용한 검색을 시도하는 시나리오를 보이고 있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에서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특정 웹 페이지를 이용하는 중에 화면에 표시된 내용 중 일부를 선택한 후 메모 계층을 띄워 ‘검색’이라는 단어를 메모함으로써, 상기 선택한 내용에 대한 검색을 명령한다. 이러한 사용자의 의도를 인지한 NLI 엔진은 선택한 내용을 자연어 처리를 통해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내용을 설정된 검색 엔진을 사용하여 검색한다. 상기한 바에 의한 검색된 결과를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검색 결과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에서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화면에서의 선택과 메모 기능에 의한 정보의 입력을 함께 고려하여 처리하는 시나리오의 구현도 가능할 것이다.
도 22는 지도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메모 기능을 이용하여 원하는 정보를 획득하는 시나리오를 보이고 있다. 예컨대 즉 지도 서비스를 위해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에서 메모 기능을 이용하여 폐곡선에 의해 특정 영역을 선택하고, 찾고자 하는 정보, 일 예로 ‘유명명소?’라고 메모함으로써, 상기 특정 영역 내에서의 유명한 명소를 찾아 줄 것을 명령한다.
이러한 사용자의 의도를 인지한 사용자 단말의 NLI 엔진은 자신이 보유한 데이터베이스 또는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유용한 정보를 찾고, 이렇게 찾은 정보를 현재의 화면에 표시된 지도 위에 추가로 표시한다.
도 23은 스케줄 관리를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된 상태에서 메모 기능을 이용하여 원하는 정보를 입력하는 시나리오를 보이고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스케줄을 관리하는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된 후 상기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중에 메모 기능을 실행하여 화면 상에서 오프라인에서 직관적으로 이루어지는 형태로의 필기를 수행한다. 일 예로 사용자가 스케줄 관리를 위한 화면에서 메모 기능에 의한 폐곡선 등을 이용하여 특정 날짜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날짜의 스케줄을 입력한다. 즉 2012년 3월 13일을 선택하고, 선택한 날짜에 TF 워크샵이 있음을 메모할 시,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NLI 엔진은 추가 정보로 시간을 입력할 것을 요청한다. 예컨대 화면에 ‘Time?’라는 질문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메모 기능을 활용하여 정확한 시간, 일 예로 ‘3:00 PM’을 메모하도록 유도한다.
도 24와 도 25는 기호학과 관련한 시나리오의 예들을 보이고 있다.
도 24는 메모 기능에 의해 진행되는 문답 절차의 흐름을 기반으로 메모된 기호의 의미를 해석하는 예를 보이고 있다. 예컨대 ‘이태리 출장’이라 메모와 ‘인천 -> 로마’라고 메모가 같이 존재하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메모된 기호인 화살표는 지역간의 이동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음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NLI 엔진은 사용자에게 일정을 문의하는 질문, 일 예로 ‘When?’이라는 질문을 출력한다.
더 나아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NLI 엔진은 사용자에 의해 메모된 날짜, 즉 4월 5일에 인천에서 로마로 이동하기 위해 이용할 수 있는 비행기편에 관한 정보를 검색하고,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25는 메모 기능에 의해 입력되는 기호의 의미를 구동 중인 어플리케이션과 연계하여 해석하는 예를 보이고 있다. 예컨대 지하철 노선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된 화면에서 기호, 즉 화살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출발지와 목적지를 직관적으로 표시함으로써, 현재 구동중인 어플리케이션이 두 기점 간을 이동하기 위한 열차의 도착 시간 및 소요되는 시간 등에 관한 정보를 안내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메모 기능을 지원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직관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시나리오들은 메모 계층을 화면 상에 띄워서 필기를 입력하면, 그것을 인식하여 동작을 수행한다는 것이 주요할 것이다. 한편 이를 위해 부가적으로 화면 상에 메모 계층을 띄우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입니다.
예컨대 메모 계층을 띄우는 방안으로는 메뉴 버튼, 특정 제스처 입력, 펜에 있는 버튼을 누른 상태 또는 손가락으로 화면의 위쪽 영역을 끌어내리거나, 아래쪽 영역을 끌어올리는 동작에 의해 현재 화면 상에 메모가 가능한 계층을 띄울 수 있다. 도 5a와 도 5b에서는 메모 계층을 띄우는 예시 중 하나로, 화면의 아래 영역을 끌어올리는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하지만 앞에서 정의되지 않은 다양한 방안이 마련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하이브리드 (hybrid) 기술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제어 흐름을 보이고 있다. 여기서 하이브리드 기술은 필기 기반의 명령과 음성 기반의 명령을 선택적으로 처리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상기 필기 기반의 명령은 사용자 단말에서 지원하는 메모 기능에 의해 입력되는 명령을 의미하고, 상기 음성 기반의 명령은 사용자에 의해 음성으로 입력되는 명령을 의미한다.
도 26에서 보이고 있는 제어 흐름은 도 1에서 도시한 사용자 단말의 구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도 1에 보이고 있는 구성 중 명령 처리부(120)는 필기 기반의 명령을 처리하기 위한 구성과, 음성 기반의 명령을 처리하기 위한 구성을 각각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6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은 화면에 메모 내용이 표시된 상황에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표시된 메모 내용 중 일부 또는 전체 내용이 선택되는 지를 감시한다 (2610 단계). 이때 상기 화면에 표시된 메모 내용은 사용자에 의해 실시간으로 입력되었거나 앞서 기록된 메모들 중 사용자에 의해 호출되어 메모 내용이 될 수도 있다.
도 27의 (A)와 도 28의 (A)에서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메모 내용이 표시된 예를 보이고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화면에 표시된 메모 내용 중 선택하고자 하는 내용에 밑줄을 그음으로써, 일부 또는 전체 내용을 선택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밑줄이 그어진 내용을 자연어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자연어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일부 또는 전체 내용을 인식한다.
도 27의 (B)와 도 28의 (B)에서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내용 중 “갤럭시노트 프리미엄스위트”에 밑줄을 그어 일부 내용을 선택한 예를 보이고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에 의해 화면에 표시된 메모 내용 중 일부 또는 전체 내용이 선택될 시, 상기 선택된 내용을 처리하기 위한 메뉴 아이콘을 화면에 표시한다 (2612 단계).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선택한 내용을 처리하기 위해 지원 가능한 기능에 상응한 메뉴 아이콘만을 화면에 표시하는 것이 사용자가 특정 메뉴 아이콘을 선택하는 것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메뉴 아이콘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앞서 선택된 내용에 근접하게 메뉴 아이콘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사용자가 밑줄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긋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밑줄의 마지막 지점 근처에서 메뉴 아이콘이 표시되도록 한다.
일 예로 도 27의 (C)에서는 메모를 기반으로 소정의 기능을 수행할 것을 지시하는 메뉴 아이콘 (도면의 위쪽 메뉴 아이콘)과, 음성으로 입력되는 명령어에 의해 소정의 기능을 수행할 것을 지시하는 메뉴 아이콘 (도면의 아래쪽 메뉴 아이콘)을 표시한 예를 보이고 있다.
다른 예로 도 29의 (C)에서는 메일 발송, 전화 걸기, 검색 각각에 대응한 기능을 수행할 것을 지시하는 메뉴 아이콘 (도면의 위쪽에서부터 순차적으로 표시된 메뉴 아이콘)과, 음성으로 입력되는 명령어에 의해 소정의 기능을 수행할 것을 지시하는 메뉴 아이콘 (도면의 가장 아래쪽 메뉴 아이콘)을 표시한 예를 보이고 있다. 상기 도 29의 (C)에는 도시되고 있지 않으나 특정 기능을 수행할 것을 지시하는 메뉴 아이콘은 메시지 발송 등과 같이 도시되지 않았더라도 그 적용이 확장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화면에 표시된 메뉴 아이콘 중에서 어떠한 메뉴 아이콘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지를 지속적으로 감시한다 (2614 단계). 예컨대 사용자는 화면에 표시된 메뉴 아이콘을 터치함으로써, 원하는 메뉴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에 의해 특정 메뉴 아이콘이 선택될 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선택된 특정 메뉴 아이콘에 상응한 명령을 수행하기 위해서 추가 정보가 필요한지를 판단한다 (2616 단계). 즉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선택된 특정 메뉴 아이콘에 상응한 명령에 의해 처리하기 위해 충분한 정보가 제공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추가 정보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은 필요한 추가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얻기 위한 문답 절차를 진행한다 (2618 단계). 즉 상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에게 추가 정보의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메시지에 응답하여 사용자로부터 추가 정보를 제공받는다.
예컨대 도 29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의 메뉴 아이콘 선택에 의해 인지한 명령에 의해 사용자의 의도가 “’갤럭시노트 프리미엄스위티”라는 내용을 ‘문자’로 보내고자 하는 것”임을 확인한다. 하지만 사용자 단말은 문자를 수신할 대상에 관한 정보가 없어 상기 확인한 사용자의 의도에 따른 기능 메뉴를 수행할 수 없음을 인지한다.
상술한 바에 의해 수신할 대상에 관한 추가 정보가 필요하다고 인지한 사용자 단말은 ‘누구에게 메시지를 전송하시겠습니까?’라는 메시지를 화면을 통해 출력한다. 이에 응답하여 사용자가 문자를 수신할 대상의 정보, 즉 수신자의 이름 (예컨대 ‘배주윤’) 또는 전화번호 등을 메모 기능을 이용하여 필기할 시, 사용자 단말은 이를 추가 정보로써 인지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에 의해 추가 정보가 입력되면, 그 외에 추가 정보가 더 필요한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에 의해 추가 정보가 더 필요하다면, 상기 사용자 단말은 더 많은 추가 정보를 얻기 위해 상술한 동작을 반복하여 수행한다.
하지만 추가 정보가 필요하지 않으면, 상기 선택된 메뉴 아이콘에 대응한 기능에 의해 앞에서 인지된 메모 내용을 처리한다 (2620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메뉴 아이콘에 대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메뉴 아이콘에 매칭되는 응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도 있다. 예컨대 사용자에 의해 메일 발송에 상응한 메뉴 아이콘이 선택될 시, 메일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에 의해 사전에 설정된 메일 계정을 기반으로 하여 앞에서 선택한 내용이 본문에 삽입된 메일 작성 화면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사용자에 의해 메시지 전송 기능에 대응한 메뉴 아이콘이 선택되었다면, 상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수신할 대상자를 요청하는 내용의 질문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한다 (도 29의 (A) 참조). 이를 확인한 사용자는 메시지를 수신할 대상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 (예컨대 대상자의 이름 등)를 화면 상에 메모한다 (도 29의 (B) 참조).
다른 예로 사용자에 의해 음성 기반의 명령을 처리하는 메뉴 아이콘이 선택되었다면, 상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에게 선택된 내용을 처리할 명령을 입력할 것을 요청하는 내용의 질문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 (도 30의 (A) 참조)하거나 음성을 출력한다. 이를 확인한 사용자는 상기 선택한 내용을 처리하기 위한 명령 (예컨대 ‘구글 검색’ 등)을 음성으로 입력한다 (도 30의 (B) 참조). 이 경우 사용자 단말은 구글 검색 엔진을 이용하여 “갤럭시노트 프리미엄스위트”를 검색하고, 그 결과를 화면에 출력할 것이다.
즉 사용자 단말은 메모 기반 또는 음성 기반으로 입력되는 정보에 의해 사용자의 의도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앞에서 선택된 내용을 처리한다.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하이브리드 (hybrid) 기술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시나리오의 일 예를 보이고 있다.
도 31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에서 지원하는 메모 기능을 이용하여 화면에 필기한 내용 중 ‘삼성역 근처 호텔’이라는 내용에 밑줄을 긋는 것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메뉴 아이콘들을 표시한다 (원 문자 1 참조).
만약 사용자가 화면에 표시된 메뉴 아이콘들 중 음성 인식에 상응한 메뉴 아이콘을 선택하였다면,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가 음성에 의해 정보를 입력할 것을 유도하기 위해 ‘말씀하세요’라는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한다 (원 문자 2 참조). 이때 사용자 단말은 ‘말씀하세요’라는 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것뿐만 아니라 음성과 문자로 동시에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응답하여 ‘네이버 검색’이라고 말을 하였다면, 사용자 단말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네이버 검색’이라는 음성을 자연어로 분석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한다 (원 문자 3 참조).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술한 바에 의해 사용자의 의도가 “‘삼성역 근처 호텔’을 ‘네이버’를 이용하여 ‘검색’할 것”임을 인지한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네이버’를 통해 ‘삼성역 근처 호텔’을 검색한 결과를 화면에 출력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출력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가 메모 기능을 이용하여 위해 메모 계층을 호출하여 ‘인터컨티넨탈호텔 견적뽑기’라고 필기하고, 상기 필기한 메모에 밑줄을 그어 처리할 내용으로 선택한다. 그리고 처리할 명령, 즉 ‘문자’라고 필기한 후 상기 필기된 ‘문자’를 수행할 명령으로 선택한다 (원 문자 5 참조).
하지만 문자를 보내기 위해서는 수신자에 대한 정보가 있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문자를 수신할 사람이 누구인지를 문의하는 메시지, 즉 ‘누구에게 메시지를 전송하시겠습니까?’을 표시한다 (원 문자 6 참조).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문의 메시지에 응답하여 사용자가 메모 기능을 이용하여 화면에 ‘배주윤’이라 기재할 시, “배주윤에게 ‘인터컨티넨탈호텔 견적뽑기’라는 내용의 메시지를 보내는 것”이 사용자의 의도임을 인지한다 (원 문자 7 참조).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은 ‘배주윤’이라는 정보에 대응하여 주소록에 등록된 전화 번호가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여야 한다. 만약 해당 전화 번호가 존재하지 않을 시에 상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에게 ‘배주윤’에 대응한 전화 번호의 입력을 요구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입력되는 전화 번호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는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사용자 단말은 메시지 발송이 완료될 시, 그 사실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화면에 출력한다. 이는 사용자에 의해 요청된 명령의 처리 결과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 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 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컨텐츠 제공장치 및 방법은 제어부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또는 휴대 단말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상기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임의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컴퓨터 등)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컨텐츠 제공장치 및 방법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프로그램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상기 그래픽 처리 장치가 기 설정된 컨텐츠 보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컨텐츠 보호 방법에 필요한 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그래픽 처리 장치와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그래픽 처리 장치의 요청 또는 자동으로 해당 프로그램을 상기 송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앞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인지 엔진에 의해 인식된 결과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의도를 분석하여 그에 다른 처리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모든 기능이 사용자 단말 내에서 처리되는 것을 가정하고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위해 필요한 기능은 사용자 단말이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 가능한 서버와의 연동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인지 엔진에서의 인식 결과를 네트워크를 통해 특정 서버로 제공하고, 상기 특정 서버에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공된 인식 결과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여 그 결과를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만약 제공된 인식 결과만으로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거나 파악한 사용자의 의도를 처리하기 위해 추가 정보가 필요한 경우, 사용자 단말과의 문답 절차를 수행하여 필요한 추가 정보를 제공받는 것도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의 설정을 조정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사용자 단말 내로 한정하거나 네트워크를 통한 서버와의 연동으로 확장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Claims (12)

  1. 사용자 단말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터치 스크린 상의 메모-기반 어플리케이션 내에 필기 콘텐트를 표시하는 과정;
    상기 메모-기반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상기 필기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에 연관되는 필기 입력을 수신하는 과정;
    상기 필기 입력을 기반으로 상기 필기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를 처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메뉴 아이콘을 상기 메모-기반 어플리케이션 내에 표시하는 과정;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뉴 아이콘 중 제1 메뉴 아이콘의 선택을 수신하면, 상기 제1 메뉴 아이콘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해 추가 정보가 필요한지 판단하는 과정;
    상기 추가 정보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자연어 인터페이스(NLI, Natural Language Interaction) 기술을 이용하여 획득된 상기 추가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질문 텍스트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하는 과정;
    상기 메시지에 응답하는 필기 입력 또는 음성 입력에 포함된 추가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 및
    상기 메시지에 응답하는 필기 입력 또는 음성 입력에 포함된 추가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메뉴 아이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뉴 아이콘은, 메모를 기반으로 소정의 기능을 수행할 것을 지시하는 메뉴 아이콘과, 상기 사용자에 의해 음성으로 입력되는 명령어에 의해 소정의 기능을 수행할 것을 지시하는 메뉴 아이콘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동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뉴 아이콘은, 메일 발송, 전화 걸기, 검색, 메시지 발송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것을 지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동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뉴 아이콘은, 상기 필기 입력이 감지된 상기 필기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의 주변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동작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에 응답하는 필기 입력 또는 음성 입력에 포함된 추가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은, 메모에 의한 자연어 인식 기능과 음성 인식 기능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메시지에 응답하는 필기 입력 또는 음성 입력에 포함된 추가 정보를 획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동작 방법.
  6.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동작시키는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터치 스크린; 및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메모-기반 어플리케이션 내에 필기 콘텐트를 표시하고,
    상기 메모-기반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상기 필기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에 연관되는 필기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필기 입력을 기반으로 상기 필기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를 처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메뉴 아이콘을 상기 메모-기반 어플리케이션 내에 표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뉴 아이콘 중 제1 메뉴 아이콘의 선택을 수신하면, 상기 제1 메뉴 아이콘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해 추가 정보가 필요한지 판단하고,
    상기 추가 정보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자연어 인터페이스(NLI, Natural Language Interaction) 기술을 이용하여 획득된 상기 추가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질문 텍스트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하고,
    상기 메시지에 응답하는 필기 입력 또는 음성 입력에 포함된 추가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메시지에 응답하는 필기 입력 또는 음성 입력에 포함된 추가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메뉴 아이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뉴 아이콘은, 메모를 기반으로 소정의 기능을 수행할 것을 지시하는 메뉴 아이콘과, 상기 사용자에 의해 음성으로 입력되는 명령어에 의해 소정의 기능을 수행할 것을 지시하는 메뉴 아이콘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뉴 아이콘은, 메일 발송, 전화 걸기, 검색, 메시지 발송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것을 지시하는 사용자 단말.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뉴 아이콘은, 상기 필기 입력이 감지된 상기 필기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의 주변에 표시되는 사용자 단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메모에 의한 자연어 인식 기능과 음성 인식 기능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메시지에 응답하는 필기 입력 또는 음성 입력에 포함된 추가 정보를 획득하도록 하는 사용자 단말.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 콘텐트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터치 펜을 이용하여 입력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동작 방법.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 콘텐트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터치 펜을 이용하여 입력되는 사용자 단말.
KR1020120095950A 2012-08-30 2012-08-30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이를 지원하는 방법 KR102150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950A KR102150289B1 (ko) 2012-08-30 2012-08-30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이를 지원하는 방법
US14/013,542 US10877642B2 (en) 2012-08-30 2013-08-29 User interface apparatus in a user terminal and method for supporting a memo function
EP13833916.3A EP2891040A4 (en) 2012-08-30 2013-08-30 USER INTERFACE APPENDIX TO A USER DEVICE AND METHOD FOR SUPPORTING THEREOF
RU2015111172A RU2015111172A (ru) 2012-08-30 2013-08-30 Устройство интерфейса пользователя в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ом терминале и способ его поддержки
PCT/KR2013/007855 WO2014035195A2 (en) 2012-08-30 2013-08-30 User interface apparatus in a user terminal and method for supporting the same
EP19164183.6A EP3543831A1 (en) 2012-08-30 2013-08-30 User interface apparatus in a user terminal and method for supporting the same
CN201810949677.8A CN109240586A (zh) 2012-08-30 2013-08-30 操作用户接口的终端及其方法和处理器可读介质
JP2015529685A JP2015530658A (ja) 2012-08-30 2013-08-30 ユーザー端末の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及びそれをサポートする方法
CN201380042913.3A CN104583927B (zh) 2012-08-30 2013-08-30 用户终端中的用户接口装置以及用于支持该用户接口装置的方法
CN201810948693.5A CN109254718A (zh) 2012-08-30 2013-08-30 提供导航信息的方法、电子设备和存储设备
US16/109,024 US20180364895A1 (en) 2012-08-30 2018-08-22 User interface apparatus in a user terminal and method for suppor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950A KR102150289B1 (ko) 2012-08-30 2012-08-30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이를 지원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8807A KR20140028807A (ko) 2014-03-10
KR102150289B1 true KR102150289B1 (ko) 2020-09-01

Family

ID=50184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5950A KR102150289B1 (ko) 2012-08-30 2012-08-30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이를 지원하는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0877642B2 (ko)
EP (2) EP3543831A1 (ko)
JP (1) JP2015530658A (ko)
KR (1) KR102150289B1 (ko)
CN (3) CN109240586A (ko)
RU (1) RU2015111172A (ko)
WO (1) WO201403519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7443B1 (ko) * 2013-07-26 2021-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60062565A (ko) * 2014-11-25 2016-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 및 디바이스의 필기 컨텐트 제공 방법
CN105653113A (zh) * 2014-12-05 2016-06-08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手势翻页方法及系统
CN105488112B (zh) * 2015-11-20 2019-09-17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信息推送方法及装置
KR102481881B1 (ko) 2016-09-07 2022-12-27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서버 및 그 방법
CN106789204A (zh) * 2016-12-09 2017-05-31 邯郸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一种智能配网的方法、装置及智能设备
US20180284844A1 (en) * 2017-04-04 2018-10-0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oldable display device with interactable user interface surface on the external shell
CN108305618B (zh) * 2018-01-17 2021-10-22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语音获取及搜索方法、智能笔、搜索终端及存储介质
CN109388570A (zh) * 2018-10-12 2019-02-26 东软集团股份有限公司 业务逻辑检测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200098034A (ko) * 2019-02-11 2020-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상 현실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110704585A (zh) * 2019-09-29 2020-01-17 出门问问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问答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介质
CN111638807A (zh) * 2020-04-29 2020-09-08 上海元趣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智能手写笔的学习辅助系统
US20230222281A1 (en) * 2022-01-07 2023-07-13 Google Llc Modifying the presentation of drawing objects based on associated content objects in an electronic document

Family Cites Families (15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63600A (en) * 1990-05-14 1991-11-05 Norwood Donald D Hybri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handwriting and text
US5550930A (en) * 1991-06-17 1996-08-27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training a handwriting recognizer at the time of misrecognition
JP2773614B2 (ja) * 1993-12-28 1998-07-09 日本電気株式会社 手書き図形入力装置
US20060129944A1 (en) * 1994-01-27 2006-06-15 Berquist David T Software notes
US5748974A (en) * 1994-12-13 1998-05-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modal natural language interface for cross-application tasks
JP3477329B2 (ja) 1996-10-22 2003-12-10 株式会社ザナヴィ・インフォマティクス ナビゲーション装置
GB9722766D0 (en) * 1997-10-28 1997-12-24 British Telecomm Portable computers
US6438523B1 (en) * 1998-05-20 2002-08-20 John A. Oberteuffer Processing handwritten and hand-drawn input and speech input
IL140805A0 (en) * 1998-10-02 2002-02-10 Ibm Structure skeletons for efficient voice navigation through generic hierarchical objects
US7720682B2 (en) * 1998-12-04 2010-05-18 Tegic Communic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utilizing voice input to resolve ambiguous manually entered text input
AUPQ363299A0 (en) 1999-10-25 1999-11-18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Paper based information inter face
US6622119B1 (en) * 1999-10-30 2003-09-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daptive command predictor and method for a natural language dialog system
US7392185B2 (en) * 1999-11-12 2008-06-24 Phoenix Solutions, Inc. Speech based learning/training system using semantic decoding
US6664991B1 (en) 2000-01-06 2003-12-16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xt menus on a pen-based device
WO2003050799A1 (en) * 2001-12-12 2003-06-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non-intrusive speaker verification using behavior models
US20010035880A1 (en) 2000-03-06 2001-11-01 Igor Musatov Interactive touch screen map device
US6424933B1 (en) 2000-03-17 2002-07-23 Vicinit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non-uniform scaled mapping
EP1282855B1 (en) 2000-03-17 2011-10-12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bstracting and visualizing a route map
DE10041800A1 (de) 2000-08-25 2002-03-21 Siemens Ag Verfahren zum Betrieb eines Navigationsgeräts und Anordnung zur Durchfürung des Verfahrens
US7224991B1 (en) * 2000-09-12 2007-05-29 At&T Corp. Method and system for handwritten electronic messaging
US7003308B1 (en) * 2000-09-12 2006-02-21 At&T Corp. Method and system for handwritten electronic messaging
WO2002033541A2 (en) * 2000-10-16 2002-04-25 Tangis Corporation Dynamically determining appropriate computer interfaces
JP2002133586A (ja) 2000-10-30 2002-05-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送受信システムおよび情報送受信方法
US20020146175A1 (en) 2001-02-12 2002-10-10 Josh Goldfoot Method of shape recognition using postulated lines
GB2372864B (en) * 2001-02-28 2005-09-07 Vox Generation Ltd Spoken language interface
US6658147B2 (en) 2001-04-16 2003-12-02 Parascript Llc Reshaping freehand drawn lines and shapes in an electronic document
JP5109212B2 (ja) 2001-05-01 2012-12-26 ソニー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装置、情報表示装置、オブジェクト生成方法、記憶媒体
US20030011638A1 (en) 2001-07-10 2003-01-16 Sun-Woo Chung Pop-up menu system
US6868383B1 (en) 2001-07-12 2005-03-15 At&T Corp. Systems and methods for extracting meaning from multimodal inputs using finite-state devices
US7039234B2 (en) * 2001-07-19 2006-05-02 Microsoft Corporation Electronic ink as a software object
US7505908B2 (en) 2001-08-17 2009-03-17 At&T Intellectual Property Ii, L.P. Systems and methods for classifying and representing gestural inputs
US20030093419A1 (en) 2001-08-17 2003-05-15 Srinivas Bangalore System and method for querying information using a flexible multi-modal interface
US7467089B2 (en) * 2001-09-05 2008-12-16 Roth Daniel L Combined speech and handwriting recognition
US7634403B2 (en) * 2001-09-05 2009-12-15 Voice Signal Technologies, Inc. Word recognition using word transformation commands
WO2004023455A2 (en) * 2002-09-06 2004-03-18 Voice Signal Technologies, Inc. Methods, systems, and programming for performing speech recognition
US8229753B2 (en) * 2001-10-21 2012-07-24 Microsoft Corporation Web server controls for web enabled recognition and/or audible prompting
US6886061B2 (en) * 2001-11-22 2005-04-26 Nec Corporation Electronic record system and control program device with display and tablet function for manipulating display area functions with pen stylus
US7797204B2 (en) 2001-12-08 2010-09-14 Balent Bruce F Distributed personal automation and shopping method, apparatus, and process
US7805302B2 (en) * 2002-05-20 2010-09-28 Microsoft Corporation Applying a structured language model to information extraction
US7546382B2 (en) * 2002-05-28 2009-06-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authoring of mixed-initiative multi-modal interactions and related browsing mechanisms
US7137076B2 (en) * 2002-07-30 2006-11-14 Microsoft Corporation Correcting recognition results associated with user input
US7424447B2 (en) 2002-08-26 2008-09-09 Aperture Investments, Llc List-based selection system and methods for using same
US20040119754A1 (en) 2002-12-19 2004-06-24 Srinivas Bangalore Context-sensitive interface widgets for multi-modal dialog systems
US20040148170A1 (en) * 2003-01-23 2004-07-29 Alejandro Acero Statistical classifiers for spoken language understanding and command/control scenarios
GB2400175B (en) 2003-02-26 2007-11-28 Tomtom Bv Navigation device and method for exchanging data between resident applications
US7216034B2 (en) 2003-02-27 2007-05-08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n intelligent multi-modal user interface for route drawing
US7448048B1 (en) * 2003-05-27 2008-11-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performing real-time analytics using a business rules engine on real-time heterogeneous materialized data views
US20040240739A1 (en) * 2003-05-30 2004-12-02 Lu Chang Pen gesture-based user interface
US8311835B2 (en) * 2003-08-29 2012-11-13 Microsoft Corporation Assisted multi-modal dialogue
US7349845B2 (en) * 2003-09-03 2008-03-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modification of command weights in a natural language understanding system
US7552221B2 (en) 2003-10-15 2009-06-23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Gmbh System for communicating with a server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20050096913A1 (en) 2003-11-05 2005-05-05 Coffman Daniel M. Automatic clarification of commands in a conversational natural language understanding system
US7506271B2 (en) * 2003-12-15 2009-03-17 Microsoft Corporation Multi-modal handwriting recognition correction
US7706616B2 (en) * 2004-02-27 2010-04-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recognizing word patterns in a very large vocabulary based on a virtual keyboard layout
US20060089794A1 (en) 2004-10-22 2006-04-27 Depasqua Louis Touch display fishing boat steering system and method
US8487879B2 (en) * 2004-10-29 2013-07-16 Microsoft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acting with a computer through handwriting to a screen
JP4297442B2 (ja) * 2004-11-30 2009-07-15 富士通株式会社 手書き情報入力装置
JP4927347B2 (ja) 2005-04-26 2012-05-09 クラリオン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装置
FR2886750B1 (fr) 2005-06-06 2007-09-07 Boozter Technologies Sarl Formant d'enregistrement de donnees et procedes l'utilisant.
KR20060133389A (ko) * 2005-06-20 2006-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US8670925B2 (en) 2005-06-21 2014-03-11 Calabrese Holdings L.L.C.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US8196055B2 (en) * 2006-01-30 2012-06-05 Microsoft Corporation Controlling application windows in an operating system
US7809360B2 (en) 2006-05-24 2010-10-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Optimization of calendar, itinerary, route plan, and PIM efficiencies according to assimilated wireless service availability conditions
US9318108B2 (en) * 2010-01-18 2016-04-19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EP1947562A3 (en) * 2007-01-19 2013-04-03 LG Electronics Inc. Inputting information through touch input device
KR101319390B1 (ko) 2007-04-25 2013-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대중 교통 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이용하는 방법 및 장치
US8219406B2 (en) * 2007-03-15 2012-07-10 Microsoft Corporation Speech-centric multimodal user interface design in mobile technology
US8243060B2 (en) 2007-08-06 2012-08-14 Decarta Inc. Generalization of features in a digital map using round number coordinates
US8983497B2 (en) 2007-10-04 2015-03-17 Zos Communications, Llc Method for managing a geo-targeted campaign
US8060298B2 (en) 2007-10-11 2011-11-15 Microsoft Corporation Multiple directions to a destination without providing a specific origin
US9330720B2 (en) 2008-01-03 2016-05-03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altering audio output signals
KR101476439B1 (ko) * 2008-01-04 2014-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컨텐츠 제공 방법
US8046226B2 (en) * 2008-01-18 2011-10-25 Cyberpulse, L.L.C. System and methods for reporting
US8498870B2 (en) * 2008-01-24 2013-07-30 Siemens Medical Solutions Usa, Inc. Medical ontology based data and voice command processing system
US8077975B2 (en) * 2008-02-26 2011-12-13 Microsoft Corporation Handwriting symbol recognition accuracy using speech input
JP4506855B2 (ja) 2008-03-05 2010-07-21 株式会社デンソー カー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US8996376B2 (en) 2008-04-05 2015-03-31 Apple Inc. Intelligent text-to-speech conversion
AU2008203110A1 (en) 2008-07-14 2010-01-28 Canon Kabushiki Kaisha A line stroking method and system
KR101509245B1 (ko) * 2008-07-31 2015-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패턴 인식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장치 및 방법
CN101648077A (zh) 2008-08-11 2010-02-17 巍世科技有限公司 语音指令游戏控制装置及其方法
US8510664B2 (en) 2008-09-06 2013-08-13 Steven L. Rueb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email thread information
US20100083162A1 (en) * 2008-09-30 2010-04-01 Selina Hernandez Hand-held portable electronic bible
KR20100037487A (ko) 2008-10-01 2010-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네비게이션 방법 및 그 장치
US8676904B2 (en) 2008-10-02 2014-03-18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voice command and contextual data processing capabilities
US8869070B2 (en) * 2008-12-30 2014-10-21 T-Mobile Usa, Inc. Handwriting manipulation for conducting a search over multiple databases
GB0823706D0 (en) * 2008-12-31 2009-02-04 Symbian Software Ltd Fast data entry
JP5531412B2 (ja) * 2009-01-14 2014-06-25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8401775B2 (en) 2009-01-30 2013-03-19 The Boeing Company Systems and method for managing airport ground traffic
US8447066B2 (en) * 2009-03-12 2013-05-21 Google Inc. Performing actions based on capturing information from rendered documents, such as documents under copyright
US8510665B2 (en) 2009-03-16 2013-08-13 Apple Inc.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editing on a multifunction device with a touch screen display
KR101559178B1 (ko) * 2009-04-08 2015-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명령어 입력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US9080872B2 (en) 2009-04-22 2015-07-14 Gps Tuner Kit GPS tuner
US20100281435A1 (en) * 2009-04-30 2010-11-0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method for multimodal interaction using robust gesture processing
CN101893444A (zh) * 2009-05-18 2010-11-24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车载导航系统及导航方法
JP5402322B2 (ja) 2009-07-02 2014-01-29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101077005B1 (ko) 2009-07-30 2011-10-2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전자펜을 이용한 필기 인식 시스템
US20110202864A1 (en) * 2010-02-15 2011-08-18 Hirsch Michael B Apparatus and methods of receiving and acting on user-entered information
US20110224896A1 (en) 2010-03-09 2011-09-15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ouch based routing services
US8984409B2 (en) * 2010-03-12 2015-03-17 Salesforce.Com, Inc. Service cloud console
JP2011191577A (ja) * 2010-03-16 2011-09-29 Aisin Aw Co Ltd 地図表示装置、地図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1197938A (ja) 2010-03-18 2011-10-06 Toshiba Tec Corp 地図情報処理装置、地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8631350B2 (en) * 2010-04-23 2014-01-14 Blackberry Limited Graphical context short menu
US8478516B2 (en) 2010-05-17 2013-07-02 Fujitsu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navigation assistance on a mobile device
KR20110127894A (ko) * 2010-05-20 2011-11-28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웹 이미지 다이렉트 삽입을 통한 문서 작성 방법 및 웹 이미지 다이렉트 삽입을 통한 문서 작성 장치, 그리고 웹 이미지 다이렉트 삽입을 통한 문서 작성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SA110310576B1 (ar) * 2010-07-06 2015-08-10 راكان خالد يوسف الخلف جهاز، نظام وطريقة لتسجيل وتوثيق التواقيع المخطوطة باليد
KR101718027B1 (ko) * 2010-09-09 2017-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메모 관리방법
US8594997B2 (en) 2010-09-27 2013-11-26 Sap Ag Context-aware conversational user interface
US20120083294A1 (en) 2010-09-30 2012-04-05 Apple Inc. Integrated image detection and contextual commands
US20120092266A1 (en) 2010-10-14 2012-04-19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Navigation Path on a Touch Display of a Portable Device
US8863256B1 (en) 2011-01-14 2014-10-14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secure transactions using flexible identity management in a vehicular environment
CN102087662A (zh) * 2011-01-24 2011-06-08 深圳市同洲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信息的搜索方法及搜索装置
US9201520B2 (en) * 2011-02-11 2015-12-0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otion and context sharing for pen-based computing inputs
EP2527968B1 (en) * 2011-05-24 2017-07-0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US9215096B2 (en) * 2011-08-26 2015-12-15 Salesforce.Com, Inc. Computer implemen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mmunication between network domains in a service cloud
US20130138521A1 (en) 2011-11-30 2013-05-30 Google Inc. Contactless Payment System Providing Supplemental Content Associated with the Transaction
CN103257994A (zh) 2012-02-16 2013-08-21 吉菲斯股份有限公司 用于通过网络提供定制信息的方法和系统
CN102622183A (zh) * 2012-04-20 2012-08-01 北京协进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在触控屏上操作电子地图的方法和装置
US9197513B2 (en) * 2012-05-03 2015-11-24 Salesforce.Com, Inc. Computer implemen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representing a portion of a user interface as a network address
US8635021B2 (en) 2012-05-04 2014-01-21 Google Inc. Indicators for off-screen content
US9311750B2 (en) 2012-06-05 2016-04-12 Apple Inc. Rotation operations in a mapping application
WO2013184528A2 (en) 2012-06-05 2013-12-12 Apple Inc. Interactive map
US20130321400A1 (en) 2012-06-05 2013-12-05 Apple Inc. 3D Map Views for 3D Maps
WO2013185109A2 (en) 2012-06-08 2013-12-12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cognizing textual identifiers within a plurality of words
US9635523B2 (en) 2012-06-24 2017-04-25 Lg Electronics Inc. Terminal for creating and transmitting a messag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9235335B2 (en) 2012-06-25 2016-01-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ouch interactions with a drawing application
US9553933B2 (en) 2012-06-29 2017-01-24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session-based initiation of networked terminals
JP5875685B2 (ja) 2012-07-17 2016-03-02 三菱電機株式会社 経路作成装置
US9569060B2 (en) * 2012-07-25 2017-02-14 Salesforce.Com, Inc. Computer implemen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composing and batch publishing feed items in a feed-based interaction context
US8589911B1 (en) * 2012-07-26 2013-11-19 Google Inc. Intent fulfillment
US20140032597A1 (en) * 2012-07-26 2014-01-30 Salesforce.Com, Inc. Computer implemen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communications in a service environment
US20140032713A1 (en) * 2012-07-26 2014-01-30 Salesforce.Com, Inc. Computer implemen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knowledge items related to a communication
KR102059800B1 (ko) * 2012-08-30 2019-12-27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이를 지원하는 방법
JP2014109897A (ja) * 2012-11-30 2014-06-12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検索方法
CN103968822B (zh) 2013-01-24 2018-04-13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导航方法、用于导航的设备和导航系统
US20140229101A1 (en) 2013-02-08 2014-08-14 Audi Ag System, components and methodologies for navigation route planning
US10684752B2 (en) * 2013-04-12 2020-06-16 Salesforce.Com, Inc. Computer implemen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responding to actionable text patterns in a feed item
US9398156B2 (en) * 2013-04-12 2016-07-19 Salesforce.Com, Inc. Computer implemen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managing agent workload in a customer service environment
US8938359B1 (en) 2013-07-01 2015-01-20 The Boeing Company Handle bar route extension
WO2015015644A1 (ja) * 2013-08-02 2015-02-05 株式会社 東芝 電子機器、方法及びプログラム
HUP1300490A2 (en) 2013-08-15 2015-03-02 Gps Tuner Kft Method for route-planning on a touch-screen apparatus
US20150052080A1 (en) 2013-08-15 2015-02-19 Creisoft,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real estate investments
KR102222336B1 (ko) 2013-08-19 2021-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맵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US9642027B2 (en) 2014-01-02 2017-05-02 Cellco Partnership Method and system for platform-based device field tests
WO2015102061A1 (ja) 2014-01-06 2015-07-0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緊急時の意思決定支援システム
US20170337261A1 (en) * 2014-04-06 2017-11-23 James Qingdong Wang Decision Making and Planning/Prediction System for Human Intention Resolution
US20150286943A1 (en) * 2014-04-06 2015-10-08 AI Laboratories, Inc. Decision Making and Planning/Prediction System for Human Intention Resolution
US20150331549A1 (en) 2014-05-14 2015-11-19 Pryv S.A. System, method, device, and computer program for at-glance visualization of events based on time-stamped heterogeneous data components
US9430463B2 (en) * 2014-05-30 2016-08-30 Apple Inc. Exemplar-based natural language processing
JP6639478B2 (ja) 2015-03-31 2020-02-0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経路計画システム、経路計画方法、物品手配計画システム、物品手配計画方法、意思決定支援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10409831B2 (en) 2015-04-28 2019-09-10 Impakt Athletics, Inc. Athletic intelligence system
US9799225B2 (en) 2015-05-08 2017-10-24 The Boeing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building a taxiing route
US9761220B2 (en) * 2015-05-13 2017-09-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Language modeling based on spoken and unspeakable corpuses
US9530318B1 (en) 2015-07-28 2016-12-27 Honeywell International Inc. Touchscreen-enabled electronic devices, methods, and program products providing pilot handwriting interface for flight deck systems
CN106610295A (zh) 2015-10-27 2017-05-03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路线导航方法、终端、服务器及系统
CN107102833B (zh) 2016-02-22 2020-01-10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线路信息互动方法及电子设备
DE102016003308B3 (de) 2016-03-17 2017-09-21 Audi Ag Verfahren zum Betrieb eines Fahrerassistenzsystems eines Kraftfahrzeugs und Kraftfahrzeug
JP6701064B2 (ja) 2016-12-14 2020-05-27 株式会社クボタ 走行経路生成装置
US20180202810A1 (en) 2017-01-17 2018-07-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Navigation using an image of a topological map
US10885396B2 (en) 2017-05-24 2021-01-05 Amazon Technologies, Inc. Generating composite images using audio/video recording and communication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91040A2 (en) 2015-07-08
JP2015530658A (ja) 2015-10-15
CN104583927B (zh) 2018-09-21
WO2014035195A2 (en) 2014-03-06
CN109240586A (zh) 2019-01-18
WO2014035195A3 (en) 2014-05-08
CN104583927A (zh) 2015-04-29
EP2891040A4 (en) 2016-03-30
US10877642B2 (en) 2020-12-29
US20140068517A1 (en) 2014-03-06
CN109254718A (zh) 2019-01-22
RU2015111172A (ru) 2016-10-20
EP3543831A1 (en) 2019-09-25
US20180364895A1 (en) 2018-12-20
KR20140028807A (ko) 2014-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0289B1 (ko)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이를 지원하는 방법
US20190025950A1 (en) User interface apparatus and method for user terminal
KR102059800B1 (ko)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이를 지원하는 방법
RU2650029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приложением посредством распознавания нарисованного от руки изображения
US20140015780A1 (en) User interface apparatus and method for user terminal
US9110587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memo layer and appl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20140117137A (ko) 터치용 펜을 이용한 휴대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Cutugno et al. Multimodal framework for mobile interaction
KR102630662B1 (ko)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20140351232A1 (en) Accessing enterprise data using a natural language-based search
KR101873538B1 (ko) 가상 키보드를 이용한 IoT 디바이스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968952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에 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서버 및 이에 의한 모바일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40092459A (ko) 메모 레이어와 어플리케이션 사이에 데이터를 주고 받는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전자장치
KR20180103635A (ko) IoT 디바이스 제어를 위한 이미지 가상 키보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어 방법
Sreekanth et al. Multimodal interface for effective man machine interaction
KR20180105301A (ko) IoT 디바이스 제어용 이미지 키보드 시스템
JP2023015233A (ja) 対話データ生成方法及び装置、機器及び媒体
Solorzano Mobile Multimodal Interaction: An Investigation and Implementation of Context-dependent Adap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