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9465B1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9465B1
KR102149465B1 KR1020190032850A KR20190032850A KR102149465B1 KR 102149465 B1 KR102149465 B1 KR 102149465B1 KR 1020190032850 A KR1020190032850 A KR 1020190032850A KR 20190032850 A KR20190032850 A KR 20190032850A KR 102149465 B1 KR102149465 B1 KR 102149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
scroll
display unit
axis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28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루오타오
유해암
김주웅
리리치에
남경홍
정령
구오펜
Original Assignee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32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946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9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946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M1/7251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 mobile terminal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terminal comprises a display unit, a sensing unit, and a control unit. When the sensing unit senses a swipe input from a first point to a second point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axis direction in which a predetermined item is scrolled on the display unit, the control unit sets the scroll speed in accordance with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based on a second ax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axis, sets the scroll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direction from the first point to the second point based on the first axis, and scrolls items in accordance with the set scroll direction and the scroll speed to output the item on the display unit.

Description

이동단말 및 그 제어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동단말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이동단말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은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The functions of mobile terminals are diversifying. For example, there are functions of data and voice communication, taking pictures and videos through a camera, recording voice, playing music files through a speaker system, and outputting images or videos to the display. Some terminals add an electronic game play function or perform a multimedia player function.

특히 최근의 이동단말은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In particular, recent mobile terminals can receive multicast signals providing visual content such as broadcasting and video or television programs. As functions are diversified, such a terminal is in the form of a multimedia player with complex functions such as, for example, taking photos or videos, playing music or video files, and receiving games and broadcasts. It is being implemented.

이러한 이동단말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In order to support and increase the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it may be considered to improve the structural part and/or the software part of the terminal.

공개번호 KR10-2010-0090382 (2010.8.16 공개) 컨텐츠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터치 스크린 단말기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Publication number KR10-2010-0090382 (released on August 16, 2010) Method of displaying content information, touch screen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종래의 스크롤 방식에 따라 수번의 스크롤 입력을 위한 스와이프(Swipe)입력 또는 팬(Pan)입력을 하는 번거로움 없이, 기설정된 스크롤 입력을 감안하여 고속의 스크롤 및 저속의 스크롤을 오가며 아이템을 신속하게 조회할 수 있는 이동단말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According to a conventional scroll method, the present invention moves items at high speed and low speed in consideration of a preset scroll input without the hassle of swiping or pan input for multiple scroll inputs. It is intended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that can quickly search for and its control method.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 센싱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센싱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상에서 소정의 아이템을 스크롤하는 제1축 방향과 상이한 제2축 방향으로 제1지점에서 제2지점까지의 스와이프(swipe) 입력을 센싱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2지점간의 거리에 대응하여 스크롤 속도를 설정하고, 상기 센싱부가 상기 제2지점으로부터 제3지점까지의 스와이프 입력을 센싱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2지점에서 상기 제3지점으로의 방향에 따라 스크롤 방향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스크롤 방향과 상기 스크롤 속도에 따라 상기 아이템을 스크롤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이동단말이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splay unit; Sensing unit; And a control unit, wherein the sensing unit senses a swipe input from a first point to a second point in a second axis direction different from a first axis direction in which a predetermined item is scrolled on the display unit, When the controller sets a scroll speed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based on the second axis, and the sensing unit senses a swipe input from the second point to the third point, The controller sets a scroll direction according to a direction from the second point to the third point based on the first axis, scrolls the item according to the set scroll direction and the scroll speed, and outputs the scroll to the display unit, A mobile terminal can be provided.

또한,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n개(단, n는 자연수)의 스크롤 속도에 상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상에서 상기 제1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축방향으로 n개의 영역을 분할하고, 분할된 n개의 영역을 상기 기설정된 n개의 스크롤 속도에 대응시키고, 상기 제2지점이 속하는 영역에 따라 상기 스크롤 속도를 설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divides n regions on the display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axis from the first point in correspondence with a preset scroll speed of n (where n is a natural number), and divides the divided n regions. It may correspond to the preset n scroll speeds, and the scroll speed may be set according to an area to which the second point belongs.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n개 영역의 각 경계선 및 상기 제1지점을 기준으로 하는 제2축 중 하나 이상을 소정의 방법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may output at least one of the boundary lines of the n regions and a second axis based on the first point to the display unit in a predetermined manner.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된 스크롤 속도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터치지점 근처 또는 소정의 위치에 출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output information on the set scroll speed to a location near a touch point or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display unit.

또한, 상기 스크롤 방향에 따른 상기 아이템의 이동방향은 사용자의 기설정에 따를 수 있다. In additio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item according to the scroll direction may be according to a user's preset.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부; 센싱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센싱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상에서 소정의 아이템을 스크롤하는 제1축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제1지점에서 제2지점까지의 스와이프(swipe) 입력을 센싱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축과 수직인 제2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2지점간의 거리에 대응하여 스크롤 속도를 설정하고, 상기 제1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지점에서 상기 제2지점으로의 방향에 따라 스크롤 방향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스크롤 방향과 상기 스크롤 속도에 따라 상기 아이템을 스크롤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이동단말이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unit; Sensing unit; And a control unit, wherein when the sensing unit senses a swipe input from a first point to a second point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a direction of a first axis in which a predetermined item is scrolled on the display unit, the control unit A scroll speed is set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based on a second ax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axis, and a direction from the first point to the second point based on the first axis A mobile terminal may be provided that sets a scroll direction according to the set scroll direction and scrolls the item according to the set scroll direction and the scroll speed and outputs the item to the display unit.

또한,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n개(단, n는 자연수)의 스크롤 속도에 상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상에서 상기 제1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축방향으로 n개의 영역을 분할하고, 분할된 n개의 영역을 상기 기설정된 n개의 스크롤 속도에 대응시키고, 상기 제2지점이 속하는 영역에 따라 상기 스크롤 속도를 설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divides n regions on the display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axis from the first point in correspondence with a preset scroll speed of n (where n is a natural number), and divides the divided n regions. It may correspond to the preset n scroll speeds, and the scroll speed may be set according to an area to which the second point belongs.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n개 영역의 각 경계선 및 상기 제1지점을 기준으로 하는 제2축 중 하나 이상을 소정의 방법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may output at least one of the boundary lines of the n regions and a second axis based on the first point to the display unit in a predetermined manner.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부; 센싱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되,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unit; Sensing unit; And a control unit,

상기 센싱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상에서 제1지점에서 제2지점까지의 스와이프(swipe) 입력을 센싱하는 경우, 상기 센싱부가 상기 스와이프 입력을 센싱하는 과정에서 추가적으로 센싱되는 압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부는 스크롤 속도를 설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상에서 소정의 아이템을 스크롤하는 제1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지점에서 상기 제2 지점으로의 방향에 따라 스크롤 방향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스크롤 속도 및 상기 스크롤 방향에 따라 상기 아이템을 스크롤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이동단말이 제공될 수 있다. When the sensing unit senses a swipe input from the first point to the second point on the display unit, the control unit scrolls by using a pressure additionally sensed in the process of sensing the swipe input by the sensing unit. Set a speed, set a scroll direction according to a direction from the first point to the second point based on a first axis direction for scrolling a predetermined item on the display unit, and the set scroll speed and the scroll direction Accordingly, a mobile terminal may be provided that scrolls the item and outputs the item to the display unit.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지점에서 상기 제2지점으로까지 사용자의 터치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센싱부가 실시간 센싱하는 압력 또는 상기 센싱부가 상기 제2 지점에서 센싱하는 상기 사용자의 압력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스크롤 속도를 설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may detect one or more of a pressure sensed by the sensing unit in real time or a pressure of the user sensed at the second point by the sensing unit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user's touch from the first point to the second point. Can be used to set the scroll speed.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a) 이동단말의 디스플레이부상에서 아이템을 스크롤하는 제1축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제1지점에서 제2지점까지의 스와이프(swipe) 입력을 센싱하는 단계; (b) 상기 제1축과 수직인 제2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2지점간의 거리에 따라 스크롤 속도를 설정하는 단계; (c) 상기 제1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지점에서 상기 제2지점으로의 방향에 따라 스크롤 방향을 설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설정된 스크롤 방향과 상기 스크롤 속도에 따라 상기 아이템을 스크롤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단말의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nsing a swipe input from a first point to a second point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axis direction in which the item is scroll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mobile terminal; (b) setting a scroll speed according to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based on a second ax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axis; (c) setting a scroll direction according to a direction from the first point to the second point based on the first axis; And (d) scrolling the item according to the set scroll direction and the scroll speed and outputting the item to the display unit, a method of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b)단계는, (b1) 기설정된 n개(단, n는 자연수)의 스크롤 속도에 상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상에서 상기 제1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축방향으로 n개의 영역을 분할하는 단계; (b2) 분할된 n개의 영역을 상기 기설정된 n개의 스크롤 속도에 순차적으로 대응시키는 단계; 및 (b3) 상기 제2지점이 속하는 영역에 따라 상기 스크롤 속도를 설정하는 단계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ep (b) includes (b1) dividing n areas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axis from the first point on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a preset scroll speed of n (where n is a natural number). Step to do; (b2) sequentially matching the divided n areas to the preset n scroll speeds; And (b3) setting the scroll speed according to an area to which the second point belongs.

또한, 상기 (b1)단계는 분할된 n개의 영역의 각 경계선 및 상기 제1지점을 기준으로 하는 제2축 중 하나 이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상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ep (b1) may include outputting one or more of each boundary line of the n divided regions and a second axis based on the first point on the display unit.

또한, 상기 (b3) 단계는 설정된 스크롤 속도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상의 상기 제2지점 근처 또는 소정의 위치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step (b3) may include displaying information on a set scroll speed near the second point on the display unit or at a predetermined posi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a) 이동단말의 디스플레이부상에서 제1지점에서 제2지점까지의 스와이프(swipe) 입력을 센싱하는 단계; (b) 상기 스와이프 입력시 센싱된 압력에 따라 스크롤 속도를 설정하는 단계; (c) 상기 디스플레이부상에서 아이템을 스크롤하는 하는 제1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지점에서 상기 제2지점으로의 방향에 따라 스크롤 방향을 설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설정된 스크롤 방향과 상기 스크롤 속도에 따라 상기 아이템을 스크롤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단말의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includes the steps of: (a) sensing a swipe input from a first point to a second point on a display unit of a mobile terminal; (b) setting a scroll speed according to the pressure sensed during the swipe input; (c) setting a scroll direction according to a direction from the first point to the second point based on a first axis direction for scrolling an item on the display unit; And (d) scrolling the item according to the set scroll direction and the scroll speed and outputting the item to the display unit, a method of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a)단계는 상기 제1지점에서 상기 제2지점으로까지 사용자의 터치가 이동하는 과정에서의 압력을 실시간 센싱하거나 상기 제2지점에서의 압력을 센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step (a) may include real-time sensing a pressure in a process of moving a user's touch from the first point to the second point or sensing the pressure at the second point.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술한 이동단말의 제어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을 기록한 기록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can be provided a recording medium in which a program for performing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mobile terminal control methods is record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의 스크롤 방식에 따라 수번의 스크롤 입력을 위한 스와이프(Swipe)입력 또는 팬(Pan)입력을 하는 번거로움 없이, 기설정된 스크롤 입력을 감안하여 고속의 스크롤 및 저속의 스크롤을 오가며 아이템을 신속하게 조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igh-speed scrolling and low-speed scrolling in consideration of a preset scroll input without the hassle of swiping or pan input for several scroll inputs according to a conventional scrolling method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quickly search items while scrollin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의 내부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단말(100)이 센싱하는 스와이프 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이동단말이 스크롤 속도를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라 기설정된 n개의 스크롤 속도에 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상에서 분할된 n개의 영역의 예시.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이 제2지점이 속하는 영역에 따라 스크롤 속도를 설정하는 일 예.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단말이 선택된 아이템을 실행하기 위하여 실행하기 버튼을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예시.
도 12는 사용자의 최초 터치지점인 제1지점이, 도 5에 도시된 예시와는 달리 디스플레이부의 임의의 위치인 경우에, 이동단말이 제1지점으로부터 제2축방향으로 기설정된 스크롤속도에 따라 영역을 분할한 예시.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의 제어방법을 예시한 순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의 제어방법을 예시한 순서도.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5 are views for explaining a swipe input sens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etting a scroll speed by a mobile terminal.
7 is an example of n areas divided on a display unit according to n scroll speeds pre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to 10 are examples of setting a scroll speed according to an area to which a second point belongs to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xample in which a mobile terminal outputs an execution button to a display to execute a selected i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shows that when a first point, which is a user's first touch point, is an arbitrary position of the display unit unlike the example shown in FIG. An example of segmenting the area.
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n example for explaining a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n illustration for explaining a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onvers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numbers (eg, first, second, etc.)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merely identification symbols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one component is referred to as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on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speciall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s long as there is no opposing substrate, it may be connected or may be connected via another component in the middle.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certain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In addition, terms such as "unit" and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eans that it can be implemented as one or more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단말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Mobile terminals described herein include mobile phones, smart phones, laptop computers,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portable multimedia players (PMPs), navigation systems, and slate PCs. , Tablet PC (tablet PC), ultrabook (ultrabook), wearable device (wearable device, for example, smartwatch, glass-type terminal (smart glass), HMD (head mounted display)), etc. may be included. have.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단말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However,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also be applied to fixed terminals such as digital TVs, desktop computers, and digital signage, except when applicable only to mobile terminals. will b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terminal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동단말(100)은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단말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단말은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 input unit 120, a sensing unit 140, an output unit 150, an interface unit 160, a memory 170, a control unit 180, and a power supply unit 190. And the like.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 are not essential for implementing the mobile terminal, and thus 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have more or fewer components than the components listed abov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단말(100)과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단말(100)과 다른 이동단말(100) 사이, 또는 이동단말(100)과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단말(100)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mong the component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is provided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another mobile terminal 100, or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an external server. It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that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that connect the mobile terminal 100 to one or more networks.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broadcast reception module 111,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a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and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The input unit 120 includes a camera 121 or an image input unit for inputting an image signal, a microphone 122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or an audio input unit, and a user input unit 123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a user. I can. The voice data or image data collected by the input unit 120 may be analyzed and processed as a user's control command.

여기서, 사용자 입력부(123)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123)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이동단말(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23)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이동단말(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user input unit 123 is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a user, and when information is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23, 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to correspond to the input information. I can. Such, the user input unit 123 is a mechanical (mechanical) input means (or a mechanical key, for example, a button located on the front, rear or side surfaces of the mobile terminal 100, a dome switch, a jog wheel, Jog switch, etc.) and a touch-type input means. As an example, the touch-type input means comprises a virtual key, a soft key, or a visual key displayed on a touch screen through software processing, or a portion other than the touch screen It may be made of a touch key (touch key) disposed on. On the other hand, the virtual key or visual key can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while having various forms, for example, graphic, text, icon, video, or these It can be made of a combination of.

센싱부(140)는 이동단말 내 정보, 이동단말을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단말은,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one or more sensors for sens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in the mobile terminal,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surrounding the mobile terminal, and user information. For example, the sensing unit 140 includes a proximity sensor 141, an illumination sensor 142, a touch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magnetic sensor, and gravity. G-sensor, gyroscope sensor, motion sensor, RGB sensor, infrared sensor (IR sensor), fingerprint sensor (finger scan sensor), ultrasonic sensor (ultrasonic sensor) , Optical sensor (for example, camera (see 121)), microphone (microphone, see 122), battery gauge, environmental sensor (for example, barometer, hygrometer, thermometer, radiation detection sensor,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heat sensor, a gas sensor, etc.), and a chemical sensor (eg, an electronic nose, a healthcare sensor, a biometric sensor, etc.). Meanwhile, the mobile terminal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combine and utilize information sensed by at least two or more of these sensors.

센싱부(140)는 이동단말 내 정보, 이동단말을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고, 이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180)는 이러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이동단말(100)의 구동 또는 동작을 제어하거나, 이동단말(1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처리,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다. 센싱부(140)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센서 중 대표적인 센서들의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The sensing unit 140 senses at least one of information in the mobile terminal,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surrounding the mobile terminal, and user information, and generates a sensing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the driving or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or perform data processing, functions, or operations related to an application program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based on such a sensing signal. Representative sensors among various sensors that may be included in the sensing unit 14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이러한 근접 센서(141)는 위에서 살펴본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단말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First, the proximity sensor 141 refers to a sensor that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bject approaching a predetermined detection surface or an object existing in the vicinity using the force of an electromagnetic field or infrared rays without mechanical contact. In the proximity sensor 141, the proximity sensor 141 may be disposed in an inner area of the mobile terminal surrounded by the touch screen as described above or near the touch screen.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 근접 센서(141)는 전도성을 갖는 물체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물체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센서) 자체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 있다.Examples of the proximity sensor 141 include a transmiss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direct reflect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mirror reflect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high frequency oscillation type proximity sensor, a capacitive type proximity sensor, a magnetic type proximity sensor, an infrared proximity sensor, and the like. When the touch screen is a capacitive type, the proximity sensor 141 may be configured to detect the proximity of the object by a change in the electric field according to the proximity of the conductive object. In this case, the touch screen (or touch sensor) itself may be classified as a proximity sensor.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명명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명명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물체가 근접 터치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물체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위와 같이, 근접 센서(141)를 통해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데이터(또는 정보)를 처리하며, 나아가, 처리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각적인 정보를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 상의 동일한 지점에 대한 터치가, 근접 터치인지 또는 접촉 터치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 또는 데이터(또는 정보)가 처리되도록 이동단말(100)을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action of allowing an object to be recognized as being positioned on the touch screen by being approached without contacting an object on the touch screen is called "proximity touch", and the touch The act of actually touching an object on the screen is referred to as "contact touch". A position at which an object is touched in proximity on the touch screen means a position at which the object is vertically corresponding to the touch screen when the object is touched in proximity. The proximity sensor 141 may detect a proximity touch and a proximity touch pattern (for example, a proximity touch distance, a proximity touch direction, a proximity touch speed, a proximity touch time, a proximity touch position, a proximity touch movement state, etc.). have. Meanwhile, as above, the controller 180 processes data (o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roximity touch operation and the proximity touch pattern sensed through the proximity sensor 141, and further, provides visu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rocessed data. It can be output on the touch screen. Further,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the mobile terminal 100 so that different operations or data (or information) are processed according to whether a touch to the same point on the touch screen is a proximity touch or a touch touch. .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 가지 터치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또는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터치(또는 터치입력)을 감지한다.The touch sensor applies a touch (or touch input) to the touch screen (or display unit 151) using at least one of various touch methods such as a resistive film method, a capacitive method, an infrared method, an ultrasonic method, and a magnetic field method. To detect.

일 예로서,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를 가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면적, 터치 시의 압력, 터치 시의 정전 용량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a pressure applied to a specific portion of the touch screen or a change in capacitance generated at a specific portion into an electrical input signal. 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detect a location, an area, a pressure upon touch, a capacitance upon touch, and the like at which a touch object applying a touch on the touch screen is touched on the touch sensor. Here, the touch object is an object that applies a touch to the touch sensor, and may be, for example, a finger, a touch pen, a stylus pen, or a pointer.

이와 같이,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터치 제어기는, 제어부(180)와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 있고, 제어부(180) 자체일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re is a touch input to the touch sensor, the signal(s) corresponding thereto is transmitted to the touch controller. The touch controller processes the signal(s) and then transmits the corresponding data to the controller 180. As a result, the controller 180 can know whether an area of the display unit 151 is touched. Here, the touch controller may be a separate component from the controller 180 or may be the controller 180 itself.

한편,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스크린 이외에 구비된 터치키)을 터치하는,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거나,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지 또는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지는, 현재 이동단말(100)의 동작상태 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ler 180 may perform different controls or perform the same control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touch object by touching the touch screen (or a touch key provided in addition to the touch screen). Whether to perform different controls or the same control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touch object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an operation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100 or an application program being executed.

한편, 위에서 살펴본 터치 센서 및 근접 센서는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터치 스크린에 대한 숏(또는 탭) 터치(short touch), 롱 터치(long touch), 멀티 터치(multi touch), 드래그 터치(drag touch), 플리크 터치(flick touch), 핀치-인 터치(pinch-in touch), 핀치-아웃 터치(pinch-out 터치), 스와이프(swype) 터치, 호버링(hovering) 터치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Meanwhile, the touch sensor and the proximity sensor described above are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and a short (or tap) touch, a long touch, a multi touch, and a drag touch on the touch screen. ), flick touch, pinch-in touch, pinch-out touch, swipe touch, hovering touch, etc. You can sense the touch.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단말(100)과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단말(100)과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150 is for generating an output related to visual, auditory or tactile sense, and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display unit 151, the sound output unit 152, the hap tip module 153, and the light output unit 154 can do. The display unit 151 may implement a touch screen by forming a layer structure or integrally with the touch sensor. Such a touch screen may function as a user input unit 123 that provides an input interface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a user, and can provide an output interface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a user.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단말(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단말(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51 displays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151 may display execution screen information of an application program driven by the mobile terminal 100, or UI (User Interface) and GUI (Graphic User Interface) information according to such execution screen information. .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단말(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단말(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160 serves as a passage between various types of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The interface unit 160 connects a wired/wireless headset port, an external charger port, a wired/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port, and a device equipped with an identification modul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ort, an audio input/output (I/O) port, an input/output (video I/O) port, and an earphone port. The mobile terminal 100 may perform appropriate control related to the connected external device in response to the connection of the external device to the interface unit 160.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단말(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단말(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단말(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단말(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단말(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단말(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단말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mory 170 stores data supporting various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memory 170 may store a plurality of application programs (application programs or applications) driven by the mobile terminal 100, data for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instructions. At least some of these application programs may be downloaded from an external server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In addition, at least some of these application programs may exist on the mobile terminal 100 from the time of delivery for basic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100 (eg, incoming calls, outgoing functions, message reception, and outgoing functions). Meanwhile, the application program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70, installed o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driven by the controller 180 to perform an operation (or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operation related to the application program, the controller 18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controller 180 may provide or process appropriate information or functions to a user by processing signals, data, information, etc. input or output through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or by driving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단말(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 in order to drive the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Furthermore, in order to drive the application program, the controller 180 may operate by combining at least two or more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with each other.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단말(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90 receiv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and supplies power to each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The power supply unit 190 includes a battery, and the battery may be a built-in battery or a replaceable battery.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단말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단말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단말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may operate in cooperation with each other in order to implement an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addition, the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may be implemented on the mobile terminal by driving at least one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한편,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 a recording medium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or a similar device using, for example,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지금까지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의 일반적인 내부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이하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되는 구성요소를 위주로 설명하나, 상술한 도 1의 내부 구성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비추어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So far, a general internal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Hereinafter, in describing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 2, the components related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ainly described, but one or more of the internal configurations of FIG. 1 described above may be include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light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의 내부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은 디스플레이부(151), 센싱부(14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isplay unit 151, a sensing unit 140, and a control unit 180.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51), 센싱부(140) 및 제어부(180)가 이동단말(100)에서 실행할 수 있는 일반적인 기능에 대해서는 앞서 도 1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Here, since the general functions that the display unit 151, the sensing unit 140, and the controller 180 can execute in the mobile terminal 100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 duplicate descriptions are omitt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100)은, 센싱부(140)가 디스플레이부(151)상에서 소정의 아이템을 스크롤하는 제1축 방향과 상이한 제2축 방향으로 제1지점에서 제2지점까지의 스와이프(swipe) 입력을 센싱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제2축을 기준으로 제1지점과 제2지점간의 거리에 대응하여 스크롤 속도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140)가 제2지점으로부터 제3지점까지의 스와이프 입력을 센싱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제1축을 기준으로 제2지점에서 제3지점으로의 방향에 따라 스크롤 방향을 설정하고, 설정된 스크롤 방향과 스크롤 속도에 따라 아이템을 스크롤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 있다. In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point to a second point in a second axis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axis direction in which the sensing unit 140 scrolls a predetermined item on the display unit 151 When sensing a swipe input to, the controller 180 may set a scroll speed corresponding to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based on the second axis. In addition, when the sensing unit 140 senses the swipe input from the second point to the third point, the controller 180 adjusts the scroll direction according to the direction from the second point to the third point based on the first axis. After setting, the item may be scrolled according to the set scroll direction and scroll speed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이 점에 대해서는 이하 도 3 내지 도 12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This poi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3 to 12.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100)은 센싱부(140)가 디스플레이부(151)상에서 소정의 아이템을 스크롤하는 제1축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제4지점에서 제5지점까지의 스와이프(swipe) 입력을 센싱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제1축과 수직인 제2축을 기준으로 제4지점과 제5지점간의 거리에 대응하여 스크롤 속도를 설정하고, 제1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4지점에서 상기 제5지점으로의 방향에 따라 스크롤 방향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스크롤 방향과 상기 스크롤 속도에 따라 상기 아이템을 스크롤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ing unit 140 scrolls a predetermined item on the display unit 151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axis direction from the fourth point to the fifth point. When sensing a swipe input of the controller 180, the controller 180 sets the scroll spe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distance between the fourth point and the fifth point based on a second ax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axis, and sets the scroll speed based on the first axis. As a result, a scroll direction may be set according to a direction from the fourth point to the fifth point, and the item may be scrolled according to the set scroll direction and the scroll speed, and output to the display unit 151.

이 점에 대해서는 이하 도 13 및 도 14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This poi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13 and 14.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100)은 센싱부(140)가 디스플레이부(151)상에서 제6지점에서 제7지점까지의 스와이프(swipe) 입력을 센싱하는 경우, 센싱부(140)가 스와이프 입력을 센싱하는 과정에서 추가적으로 센싱되는 압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부(180)는 스크롤 속도를 설정하고, 디스플레이부(151)상에서 소정의 아이템을 스크롤하는 제1축 방향을 기준으로 제6지점에서 상기 제7지점으로의 방향에 따라 스크롤 방향을 설정하고, 설정된 스크롤 속도 및 스크롤 방향에 따라 아이템을 스크롤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 있다. Further, in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nsing unit 140 senses a swipe input from the sixth point to the seventh point on the display unit 151, sensing In the process of sensing the swipe input by the unit 140, the controller 180 sets a scroll speed by using the additionally sensed pressure, based on the first axis direction for scrolling a predetermined item on the display unit 151 As a result, a scroll direction may be set according to a direction from the sixth point to the seventh point, and items may be scrolled according to the set scroll speed and scroll direction, and output to the display unit 151.

이 점에 대해서는 이하 도 15 및 도 16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This poi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15 and 16.

앞서,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한 이동단말(100)의 내부 구성은 그 명칭에 상관없이, 어느 하나의 구성이 수개의 구성으로 분할되거나, 수개의 구성이 하나의 구성으로 통합되어 구현되는 등의 방법으로, 이동단말(100) 내부의 주요 구성은 다양하게 수정변경될 수 있는 바,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100)의 제어방법을 설명함에 있어서, 해당 각 단계의 수행주체는 이동단말(100)을 주체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100)의 제어방법 각 단계의 주체를 이동단말(100)로 예시하여 설명하나, 설명의 편의에 불과하며,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80) 등이 각 단계의 주체가 될 수 있음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비추어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Previously,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is that any one configuration is divided into several configurations, or several configurations are integrated into one configuration, regardless of its name. In the following method, the main configuration inside the mobile terminal 100 can be modified and changed in various ways. Hereinafter, in describing the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step is performed. The subject is described with the mobile terminal 100 as the subject. In addition, the subject of each step of the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emplifi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to be described below, but it is only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180 ), etc. may be the subject of each step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light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100)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단말(100)이 센싱하는 스와이프 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3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4 to 5 are a swipe input sens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for explanation.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의 제어 방법은 단계 S310에서 이동단말(100)의 디스플레이부(151)상에서 아이템을 스크롤하는 제1축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제1지점에서 제2지점까지의 스와이프 입력을 센싱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3. The method for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crolling from a first point to a second point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axis direction for scrolling items on the display unit 151 of the mobile terminal 100 in step S310. Wipe input can be sensed.

도 4를 참고하면, 이동단말(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어 스크롤 될 수 있는 아이템(402)이 예시되어 있다. 여기서 아이템은 예를 들어, 파일 탐색기 등의 앱(app)에서 조회되는 여러 종류의 파일이거나, 또는 음악 청취 프로그램에서 조회되는 음원 파일 등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적용되는 환경에 따라 다양할 파일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an item 402 tha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can be scrolled is illustrated. Here, the item may be, for example, several types of files that are searched by an app such as a file explorer, or a sound source file that is searched by a music listening program. It may be various files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4에는 이동단말(100)의 한정된 디스플레이부(151)상에 아이템이 ⓔⓕⓖⓗⓘ가 표시된 것으로 예시하였고, 그 중 아이템ⓖ가 선택되어 다른 아이템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크거나 진하게, 또는 다른 색상 등으로 표시될 수 있음을 예시하였다. In FIG. 4, the item ⓔⓕⓖⓗⓘ is displayed on the limited display unit 151 of the mobile terminal 100, among which the item ⓖ is selected and is relatively larger or darker than other items, or a different color. It has been illustrated that it can be displayed as such.

아이템(402)을 스크롤 하는 방향은 수평 방향이거나 수직방향일 수 있으나, 앱(app)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방향일 수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아이템(402)의 스크롤 방향이 수평방향인 것으로 예시하여 설명한다. The scrolling direction of the item 402 may be a horizontal direction or a vertical direction, but may be various direction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the app. In FIG. 4,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an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roll direction of the item 402 is illustrated as a horizontal direction.

이하, 본 명세서에서 아이템(402)의 스크롤 방향을 제1축(410)으로 칭하고, 스크롤 방향과 상이한 소정의 축 방향을 제2축(412)라 칭한다. 도 4를 참고하면 제1축(410)은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일 수 있으며, 제2축(412)은 제1축(410)에 수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제2축(412)은 제1축(410)에 수직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제2축(412)은 앱(app)의 특성에 따라 제1축(410)을 기준으로 다양한 각도로 지정될 수 있다.Hereinafter, in this specification, the scroll direction of the item 402 is referred to as a first axis 410, and a predetermined axis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scroll direction is referred to as a second axis 412. Referring to FIG. 4, the first axis 410 may be in a left direction or a right direction, and the second axis 412 may be perpendicular to the first axis 4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more detail,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an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axis 412 is described assuming that it 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axis 4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econd axis 412 i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app, various angles may be designated with respect to the first axis 410.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이동단말(100)은 디스플레이부(151)상에서 아이템을 스크롤하는 제1축(도 4의 410) 방향과 수직한 제2축(도 4의 412) 방향으로 제1지점(도 5의 501)에서 제2지점(도 5의 502)까지의 스와이프(swipe) 입력을 센싱할 수 있다3 to 5, the mobile terminal 100 moves in the direction of a second axis (412 in FIG. 4)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a first axis (410 in FIG. 4) for scrolling items on the display unit 151. Swipe input from point 1 (501 in FIG. 5) to point 2 (502 in FIG. 5) can be sensed.

이어서, 도 3의 단계 S312에서 이동단말(100)은 제1축(도 4의 410)과 수직인 제2축(도 4의 412)을 기준으로 제1지점(도 5의 501)과 제2지점(도 5의 502)간의 거리에 따라 스크롤 속도를 설정할 수 있다. Subsequently, in step S312 of FIG. 3, the mobile terminal 100 has a first point (501 in FIG. 5) and a second ax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axis (410 in FIG. 4). The scroll speed can be set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points (502 in FIG. 5).

이 점에 대해서는 이하 도 6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This poi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6 to 10.

도 6은 이동단말(100)이 스크롤 속도를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라 기설정된 n개(단, n는 자연수)의 스크롤 속도에 상응하여, 디스플레이부(151)상에서 상기 제1지점(501)으로부터 상기 제2축(도 4의 412)방향으로 분할된 n개의 영역의 예시이고,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100)이 제2지점(502)이 속하는 영역에 따라 스크롤 속도를 설정하는 일 예이다. 6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setting the scroll spe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and FIG. 7 is a flow chart corresponding to n preset scroll speeds (where n is a natural nu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ample of n areas divided from the first point 501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axis (412 in FIG. 4) on the display unit 151 are illustrated, and FIGS. 8 to 10 are mobile termin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is an example of setting the scroll speed according to the region to which the second point 502 belongs.

도 6을 참고하면, 단계 S610에서 이동단말(100)은 기설정된 n개(단, n는 자연수)의 스크롤 속도에 상응하여, 디스플레이부(151)상에서 상기 제1지점(501)으로부터 상기 제2축(도 4의 412)방향으로 n개의 영역을 분할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in step S610, the mobile terminal 100 corresponds to a preset scroll speed of n (where n is a natural number), and the second position from the first point 501 on the display unit 151 It is possible to divide n regions in the axial (412 in FIG. 4) direction.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스크롤 속도는 저속 스크롤(예를 들어, 0.5배), 등속 스크롤(예를 들어, 1배) 및 고속 스크롤(예를 들어, 2배)로 기설정된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in this embodiment, the scroll speed is preset to a low-speed scroll (for example, 0.5 times), a constant speed scroll (for example, 1 times), and a high-speed scroll (for example, 2 times)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Explain assuming.

여기서, 배속은 이동단말(100)의 디스플레이부(151)상에서 스와이프된 거리와 스크롤 되는 아이템의 이동거리간의 비율로서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으며, 이 점은 본 발명의 출원시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 the double speed can be variously defined as a ratio between the distance swiped on the display unit 151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moving distance of the scrolled item, and this point is a known technique at the time of fi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these are omitted.

여기서, 상술한 스크롤 속도의 개수 및 해당 스크롤 속도 등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위의 예시에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Here, the number of scroll speeds described above and the corresponding scroll speed may be variously set according to a user's inpu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도 7을 참고하면, 이동단말(100)이, 기설정된 스크롤 속도가 3개임을 고려하여, 제1지점(501)으로부터 스크롤 방향에 수직인 제2축(도 4의 412)방향으로 3개의 영역(이하, 순차적으로 제1 내지 제3 영역이라 칭함)을 분할할 수 있음을 예시하고 있다. Referring to FIG. 7, considering that the preset scroll speed is 3, the mobile terminal 100 has three areas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axis (412 in FIG. 4) perpendicular to the scroll direction from the first point 501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to third regions) is illustrated that it can be divided.

도 7에는, 최초 터치 지점인 제1지점(501)으로부터 제2축(도 4의 412)방향으로 스와이프가 입력된 것을 인식하기 위하여, 제1 영역(701)이 제1지점(501)으로부터 제2축(도 4의 412)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제1지점(501)부터 또는 제1지점(501)에 근접하여 위치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비추어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In FIG. 7, in order to recognize that a swipe is input from the first point 501 as the first touch point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axis (412 in FIG. 4 ), the first area 701 is from the first point 501. Although it is illustrated that it is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axis (412 in FIG. 4),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located from the first point 501 or close to the first point 501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 In light of the technical idea of,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도 6의 단계 S620에서 이동단말(100)은 분할된 3개의 영역을 기설정된 3개의 스크롤 속도에 순차적으로 대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단말(100)은 제1 영역(701)에 저속 스크롤(예를 들어, 0.5배)을, 제2 영역(702)에 등속 스크롤(예를 들어, 1배), 그리고 제3 영역(703)에 고속 스크롤(예를 들어, 2배)을 대응 시킬 수 있다. 6 and 7, in step S620 of FIG. 6, the mobile terminal 100 may sequentially correspond three divided areas to three preset scroll speeds. For example, the mobile terminal 100 provides a low-speed scroll (for example, 0.5 times) in the first area 701, a constant speed scroll (for example, 1 times) in the second area 702, and a third High-speed scrolling (for example, double) can be associated with the area 703.

이어서, 도 6의 단계 S630에서 이동단말(100)은 제1지점(501)으로부터 스와이프된 제2지점(502)이 속하는 속하는 영역에 따라 스크롤 속도를 설정할 수 있다. Subsequently, in step S630 of FIG. 6, the mobile terminal 100 may set the scroll speed according to the region to which the second point 502 swiped from the first point 501 belongs.

도 8 내지 도 10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라 이동단말(100)은 제2지점(502)에 속하는 영역에 따라 스크롤 속도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100)은 설정된 스크롤 속도에 대한 정보를(예를 들어, 저속, 등속 또는 고속이거나, X0.5, X1 및 X2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표시될 수 있음)을 현재의 터치지점인 제2지점(502)근처에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지정된 위치에 팝업(popup) 설명창으로 표시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S. 8 to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terminal 100 may set a scroll speed according to an area belonging to the second point 502. 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isplay information on a set scroll speed (eg, low speed, constant speed, or high speed, or in various ways such as X0.5, X1 and X2). ) May be displayed as a popup description window near the second point 502, which is the current touch point, or at a designated location of the display unit 151.

다시 도 3을 참고하면, 단계 S314에서 이동단말(100)은 아이템(402)을 스크롤할 수 있는 제1축(도 4의 410)을 기준으로 제2지점(502)으로부터 제3지점(예를 들어, 도 8의 803)까지의 스와이프(swipe) 입력을 센싱할 수 있고, 단계 S315에서 이동단말(100)은 제1축(도 4의 410)을 기준으로 제2지점(502)으로부터 제3지점(예를 들어, 도 8의 803)까지의 방향에 따라 스크롤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again, in step S314, the mobile terminal 100 moves from the second point 502 to the third point (for example, based on the first axis (410 in FIG. 4)) through which the item 402 can be scrolled. For example, a swipe input up to 803 of FIG. 8 can be sensed, and in step S315, the mobile terminal 100 is the second point 502 based on the first axis (410 of FIG. 4). The scroll direction can be set according to the direction up to three points (eg, 803 in FIG. 8 ).

예를 들어, 도 8내지 도 10에서 이동단말(100)은 제2지점(502)에서 제1축(도 4의 410)방향인 좌측 또는 우측으로 임의의 지점인 제3지점(예를 들어, 도 8의 803)으로의 스와이프 입력을 센싱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이동단말(100)은 제1축(도 4의 410)을 기준으로 제2지점(502)으로부터 제3지점(예를 들어, 도 8의 803)까지의 방향에 따라, 즉 좌측 또는 우측 방향 중 어느 하나를 스크롤 방향으로 설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Figs. 8 to 10, the mobile terminal 100 is a third point (for example, an arbitrary point to the left or right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axis (410 in Fig. 4) from the second point 502). The swipe input to 803 in FIG. 8 can be sensed, and accordingly, the mobile terminal 100 can be configured from the second point 502 to the third point (for example, based on the first axis (410 in FIG. 4)). , According to the direction up to 803) of FIG. 8, that is, either a left or right direction may be set as the scroll direction.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100)은 설정된 스크롤 속도에 대한 정보를 현재의 터치지점인 제3지점(예를 들어, 도 8의 803)근처에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지정된 위치에 팝업(popup) 설명창으로 표시할 수 있다.Here,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information on the set scroll speed near the third point (for example, 803 in FIG. 8) or the display unit 151, which is the current touch point. It can be displayed as a popup description window at the location.

이어서, 단계 S316에서 이동단말(100)은 설정된 스크롤 속도 및 스크롤 방향에 따라 아이템(402)을 스크롤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 있다. Subsequently, in step S316, the mobile terminal 100 may scroll the item 402 according to the set scroll speed and scroll direction, and output it to the display unit 151.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단말(100)의 디스플레이부(151)상에서 스크롤 방향에 따른 아이템(402)의 이동방향은 사용자의 기설정에 따를 수 있다.He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item 402 according to the scroll direction on the display unit 151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according to a user's preset.

예를 들어, 도 8에서 사용자가 제2지점(502)에서 좌측방향으로 제 3지점(803)까지스와이프 입력한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단말(100)은 제1축(도 4의 410)을 기준으로 제2지점(502)에서 제3지점(803)까지로의 방향인 좌측 방향을 스크롤 방향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이동단말(100)이 디스플레이부(151) 중앙에 선택된 아이템이 현재 ⓖ에서, ⓕⓔⓓⓒⓑⓐ순서로 순차적으로 중앙에 표시될 것인지, 아니면 ⓗⓘⓙⓚⓛ순서로 순차적으로 중앙에 표시할 것인지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기설정될 수 있다. For example, in FIG. 8, when the user swipes from the second point 502 to the third point 803 in the left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terminal 100 is the first axis (410 in FIG. 4). A left direction, which is a direction from the second point 502 to the third point 803 based on ), may be set as the scroll direction. At this time, whether the item selected in the center of the display unit 151 by the mobile terminal 100 will be displayed in the center in order of ⓕⓔⓓⓒⓑⓐ or ⓗⓘⓙⓚⓛ in the center sequentially Whether to display may be preset according to a user's input.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단말(100)이 선택된 아이템을 실행하기 위하여 실행하기 버튼(1102)을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하는 예시이다.11 is an example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100 outputs an execution button 1102 to the display unit 151 to execute a selected i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는 예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도 1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이동단말(100)이 아이템(402)을 스크롤 한 후, 소정의 아이템(즉, 도 11에서는 ⓙ)이 선택된 경우, 이동단말(100)은 디스플레이부(151)의 소정의 위치에 실행하기 버튼(1102)을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의 입력에 해당 아이템(즉, 도 11에서는 ⓙ)을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아이템은 여러 종류의 파일일 수 있으며, 이동단말(100)은 해당 파일별로 실행할 수 있는 앱(app)을 실행하기 버튼(1102)과 연계하여 구동하거나, 해당 파일을 실행할 수 있는 앱(app)이 복수개 인 경우 사용자가 복수개의 앱(app)에서 사용자가 선호하는 소정의 앱(app)을 선택할 수 있게 하는 UI(User Interface)등을 출력할 수 있으며, 이데 대한 기술은 본 발명의 출원시 공지된 기술이므로, 본 명세서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lthough not illustrated in FIG. 3, as illustrated in FIG. 11, after the mobile terminal 100 scrolls the item 402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a predetermined item (ie, ⓙ in FIG. 11) is selected, The mobile terminal 100 may display the execute button 1102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display unit 151 and execute a corresponding item (ie, ⓙ in FIG. 11) in response to a user's input. Here, the item may be various types of files, and the mobile terminal 100 is driven in connection with a button 1102 to execute an app that can be executed for each corresponding file, or an app that can execute the corresponding file. In the case of a plurality of ), it is possible to output a UI (User Interface) that allows the user to select a predetermined app that the user prefers from a plurality of apps, and the technology for this is at the time of fi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a known technology,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this specification.

또한, 도 3에는 예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이동단말(100)은 상이한 스크롤 속도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영역의 각 경계선(예를 들어, 도 10의 1010, 1020,1030) 및 제1지점(501)을 기준으로 하는 제2축(1040) 중 하나 이상을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하여, 사용자가 스크롤 하기 위한 스와이프(swipe) 입력시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개의 영역을 구분하기 위한 방법으로 경계선을 예시하였으나, 색상이나 소리, 진동 등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비추어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In addition, although not illustrated in FIG. 3, the mobile terminal 100 defines each boundary line (for example, 1010, 1020, 1030 in FIG. 10) and the first point 501 of a plurality of regions corresponding to different scroll speeds. At least one of the second axis 1040 as a reference may be output to the display unit 151 to facilitate convenience when a user inputs a swipe for scrolling. Here, although the boundary line is illustrated as a method for classifying a plurality of area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light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various methods such as color, sound, and vibration can be applied.

또한, 도 3에는 예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소정의 앱(app)에서 아이템을 스크롤 할 수 있는 방향인 제1축(도 4의 410) 방향과 수직인 제2축(도 4의 412) 방향에 대해서, 페이지 전환 등의 다른 기능이 해당 앱(app)에 미리 부여된 경우에는, 이동단말(100)에 구비된 다른 물리적인 키(예를 들어, 볼륨 업/다운 키) 또는 소프트 키(미도시)와 같이 제2 축(도 4의 412)방향으로 스와이프 입력을 하거나, 멀티 터치(예를 들어, 2점 이상의 터치로서)로서 스와이프 입력을 받을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비추어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In addition, although not illustrated in FIG. 3, the direction of the first axis (410 in FIG. 4) and the direction of the second axis (412 in FIG. 4), which is a direction in which items can be scrolled in a given app If other functions such as page switching are previously assigned to the app, other physical keys (eg, volume up/down keys) or soft keys (not shown)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In light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erform a swipe input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axis (412 in FIG. 4) or receive a swipe input as a multi-touch (for example, as a touch of two or more points). It will be self-evident.

도 12는 사용자의 최초 터치지점인 제1지점(501)이, 도 5에 도시된 예시와는 달리 디스플레이부(151)의 임의의 위치인 경우에, 이동단말(100)이 제1지점(501)으로부터 제2축(도 4의 412)방향으로 기설정된 스크롤속도에 따라 영역을 분할한 예시이다. FIG. 12 shows that when the first point 501, which is the user's first touch point, is an arbitrary position of the display unit 151 unlike the example shown in FIG. 5, the mobile terminal 100 is the first point 501 ) To the second axis (412 in FIG. 4) according to a preset scroll speed.

도 12를 참고하면, 사용자가 임의의 제1지점(501)으로부터 제2축(도 4의 412)방향으로 스와이프 입력을 하여도, 이동단말(100)은 제1지점(501)을 기준으로 제2축(도 4의 412)방향으로 기설정된 스크롤속도의 개수에 대응하여 영역을 분할하고, 분할된 영역을 스크롤 속도에 순차적으로 대응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even if a user swipes input from an arbitrary first point 501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axis (412 in FIG. 4), the mobile terminal 100 is based on the first point 501. A region may be divided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axis (412 in FIG. 4) according to the number of preset scroll speeds, and the divided regions may sequentially correspond to the scroll speed.

지금까지 도 3 내지 도 12를 참고하여, 사용자가 아이템을 스크롤할 수 있는 방향과 수직인 제2축(도 4의 412)방향으로 제1지점(501)에서 제2지점(502)까지 스와이프 입력하여 이동단말(100)이 스크롤 속도를 설정하고, 사용자가 제2지점(502)에서 아이템을 스크롤할 수 있는 제1축(도 4의 410) 방향으로 제3지점(예를 들어, 도 8의 803)까지 스와이프 입력하여 이동단말(100)이 스크롤 방향을 설정하고, 이동단말(100)이 설정된 스크롤 속도와 스크롤 방향으로 아이템들을 스크롤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하는 과정을 설명하였다. Until now, with reference to FIGS. 3 to 12, swipe from the first point 501 to the second point 502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axis (412 in FIG. 4)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user can scroll the item. After inputting, the mobile terminal 100 sets the scroll speed, and the user can scroll the item at the second point 502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axis (410 in FIG. 4). A process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100 sets the scroll direction by swiping up to 803 of FIG. 8 and outputs the items to the display unit 151 by scrolling items at a set scroll speed and scroll direction by the mobile terminal 100 have been described.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종래의 스크롤 방식에 따라 수번의 스크롤 입력을 위한 스와이프(Swipe)입력 또는 팬(Pan)입력을 하는 번거로움 없이, 기설정된 스크롤 입력을 감안하여 고속의 스크롤 및 저속의 스크롤을 오가며 아이템을 신속하게 조회하여 실행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can perform a high-speed in consideration of a preset scroll input without the hassle of swiping or pan input for several scroll inputs according to a conventional scrolling method.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quickly search and execute an item by scrolling and scrolling at a low speed.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100)의 제어방법을 예시한 순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100)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다. 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 is an illustration for explaining a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이하, 도 1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100)의 제어방법을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도 3 내지 도 12를 참고하여 설명한 부분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in describing a method of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 13, descriptions that are the same or similar to thos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12 are omitted, and the differences are mainly focused. Explain.

도 13 및 도 14를 참고하면, 단계 S1310에서 이동단말(100)은 디스플레이부(151)상에서 아이템(402)을 스크롤하는 제1축(1410)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제4지점(1401)에서 제5지점(1402)까지의 스와이프(swipe) 입력을 센싱할 수 있다. 13 and 14, in step S1310, the mobile terminal 100 moves at the fourth point 1401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direction of the first axis 1410 scrolling the item 402 on the display unit 151. It is possible to sense a swipe input up to the 5th point 1402.

앞서 도 3 내지 도 12에서는 이동단말(100)은 스크롤 속도를 설정하기 위하여 사용자로부터 제2축(도 4의 412)방향으로 제1지점(501)으로부터 제2지점(502)까지의 스와이프 입력을 받았으며, 스크롤 방향을 설정하기 위하여 사용자로부터 제1축(도 4의 410)방향으로 제2지점(502)으로부터 제3지점(예를 들어, 도 8의 803)까지로의 스와이프 입력을 받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Previously, in FIGS. 3 to 12, the mobile terminal 100 inputs a swipe from the first point 501 to the second point 502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axis (412 in FIG. 4) from the user to set the scroll speed. And a swipe input from the second point 502 to the third point (for example, 803 in FIG. 8)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axis (410 in FIG. 4) from the user to set the scroll direction. It was explained.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단말(100)은 제1축(1410) 및 제2축(1412)과 상이한 방향으로 제1지점(1401)에서 제2지점(1402)까지 스와이프 입력을 받고, 스크롤 속도 및 방향을 설정하여 아이템들을 스크롤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Howe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terminal 100 inputs a swipe input from the first point 1401 to the second point 1402 in a different direction from the first axis 1410 and the second axis 1412 Is received, the scroll speed and direction are set, and items may be scrolled and output to the display unit 151.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3을 참고하면, 단계 S1320에서 이동단말(100)은 제1축(도 14의 1410)과 수직인 제2축(도 14의 1412)을 기준으로 제4지점(1401)과 제5지점(1402)간의 거리에 따라 스크롤 속도를 설정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3, in step S1320, the mobile terminal 100 has a fourth point 1401 and a fifth point based on a second axis (1412 of FIG. 14) perpendicular to the first axis (1410 of FIG. 14). The scroll speed can be set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1402).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제2 축(도 14의 1412)이 제1축(도 14의 1410)에 수직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에 제2축(도 14의 1412)의 방향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환경에 따라, 앱(app)의 특성에 따라 제1축(도 14의 1410)에 대하여 다양한 각도를 지닐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비추어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Here, in describ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second axis (1412 in Fig. 14) 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axis (1410 in Fig. 14)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and explan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direction of the second axis (1412 in FIG. 14) is at various angles with respect to the first axis (1410 in FIG. 14)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pp.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light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동단말(100)이 제4지점(1401)에서 제5지점(1402)으로의 스와이프 입력에 따라 스크롤 속도를 설정하는 과정은, 제1축(1410) 및 제2축(1412)으로 구성된 가상의 평면상에서 제4지점(1401) 및 제5지점(1402)의 제2축 값만을 이용한다는 차이만 있을 뿐, 앞서 도 3 내지 도 12을 참고하여 설명한 과정과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process of setting the scroll spe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swipe input from the fourth point 1401 to the fifth point 1402 is a virtual process consisting of a first axis 1410 and a second axis 1412. There is only a difference in that only the second axis values of the fourth point 1401 and the fifth point 1402 are used on the plane of, and since the proces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3 to 12 is the same or extremely similar,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이어서, 단계 S1330에서 이동단말(100)은 제1축(1410)을 기준으로 제4지점(1401)으로부터 제5지점(1402)까지로의 방향에 따라 스크롤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이 또한, 단계 S1320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1축(1410) 및 제2축(1412)으로 구성된 가상의 평면상에서 제4지점(1401) 및 제5지점(1402)의 제1축(1410) 값만을 이용한다는 차이만 있을 뿐, 앞서 도 3 내지 도 12을 참고하여 설명한 과정과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Subsequently, in step S1330, the mobile terminal 100 may set the scroll direction according to the direction from the fourth point 1401 to the fifth point 1402 based on the first axis 1410. In addition, as mentioned in step S1320, the first axis 1410 of the fourth point 1401 and the fifth point 1402 on a virtual plane composed of a first axis 1410 and a second axis 1412 There is only a difference in using only the value, and since the proces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12 is the same or extremely similar,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어서, 단계 S1340에서 이동단말(100)은 설정된 스크롤 속도 및 스크롤 방향에 따라 아이템을 스크롤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 있다. Subsequently, in step S1340, the mobile terminal 100 may scroll an item according to a set scroll speed and scroll direction and output it to the display unit 151.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종래의 스크롤 방식에 따라 수번의 스크롤 입력을 위한 스와이프 입력 또는 팬입력을 입력하는 번거로움 없이, 기설정된 스크롤 입력을 감안하여 고속의 스크롤 및 저속의 스크롤을 오가며 아이템을 신속하게 조회하여 실행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can perform high-speed scrolling and low-speed scrolling in consideration of a preset scroll input without the hassle of inputting a swipe input or a fan input for multiple scroll inputs according to a conventional scrolling method.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quickly search and execute items while scrolling.

도 13에는 구체적으로 기재하지 아니하였으나, 도 1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분할된 영역의 각 경계선(예를 들어, 도 14의 1420, 1422, 1424) 및 제4지점(1401)을 기준으로 하는 제2축(1404) 중 하나 이상을 디스플레이부(151)상에 출력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비추어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Although not described in detail in FIG. 13, the second axis based on each boundary line (for example, 1420, 1422, 1424 in FIG. 14) and the fourth point 1401 as described in FIG. 10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light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one or more of 1404 may be output on the display unit 151.

도 14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100)의 제어방법을 예시한 순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100)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다. 14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n example.

이하, 도 14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100)의 제어방법을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도 3 내지 도 15를 참고하여 설명한 부분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in describing a method of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 14, descriptions that ar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os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15 are omitted, and the differences are omitted. Explain mainly.

도 14 및 도 15를 참고하면, 단계 S1510에서 이동단말(100)은 디스플레이부(151)상에서 제6지점(1601)에서 제7지점(1602)까지의 스와이프(swipe) 입력을 센싱할 수 있다. 여기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단말(100)은 제6지점(1601)에서 제7지점(1602)까지 사용자의 터치가 이동하는 과정에서의 압력을 실시간 센싱하거나, 제7지점(1602)에서의 압력을 센싱할 수 있다. 14 and 15, in step S1510, the mobile terminal 100 may sense a swipe input from the sixth point 1601 to the seventh point 1602 on the display unit 151. . Here, in more detail, the mobile terminal 100 senses the pressure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user's touch from the sixth point 1601 to the seventh point 1602 in real time, or the pressure at the seventh point 1602 Can be sensed.

이동단말(100)이 디스플레이부(151)상에서 압력을 센싱하는 기술은 본 발명의 출원시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A technology for sensing the pressure on the display unit 151 by the mobile terminal 100 is a known technology at the time of fil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어서, 단계 S1520에서 이동단말(100)은 센싱된 압력에 따라 스크롤 속도를 설정할 수 있다. Subsequently, in step S1520, the mobile terminal 100 may set the scroll speed according to the sensed pressure.

도 7에는 제7지점(1602)에서의 압력을 센싱하여 이동단말(100)이 2배속의 고속의 스크롤 속도를 설정하는 것으로 예시하였다. 그러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동단말(100)이 제6지점(1601)에서 제7지점(1602)까지 사용자의 터치가 이동하는 과정에서의 실시간 센싱되는 압력에 따라 스크롤 속도를 설정할 수도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출원시 공지된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In FIG. 7, it is illustrated that the mobile terminal 100 sets a high-speed scrolling speed of double speed by sensing the pressure at the seventh point 1602.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mobile terminal 100 may set the scroll speed according to the pressure sensed in real time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user's touch from the sixth point 1601 to the seventh point 1602. In addition, various methods known at the time of filing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여기서, 이동단말(100)이 압력에 따라 스크롤 속도를 설정하는 방법은 압력 및 스크롤 속도를 구간별로 나누어 서로 대응시키거나, 압력에 비례하여 스크롤 속도를 선형적으로 증가하도록 대응시키거나, 사용자가 선호하는 스크롤 속도를 입력받아 구간별로 나뉘어진 압력에 대응시키는 등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비추어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Here, the method of setting the scroll speed according to the pressure by the mobile terminal 100 is to correspond to each other by dividing the pressure and the scroll speed by section, or to respond to linearly increase the scroll speed in proportion to the pressure, or the user prefer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light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various methods, such as receiving a scroll speed to be input and corresponding to the pressure divided by sections, can be applied.

이어서, 단계 S1530에서 이동단말(100)은 디스플레이부(151)상의 아이템을 스크롤하는 제1축을 기준으로 제6지점(1601)에서 제7지점(1602)까지로의 센싱된 방향에 따라 스와이프 방향을 설정할 수 있고, 단계 S1540에서 이동단말(100)은 설정된 스크롤 속도 및 스크롤 방향에 따라 아이템을 스크롤하여 디스플레이부(151)상에 출력할 수 있다. 도 15의 단계 S1530 이하의 단계는 앞서 설명한 도 13의 1330단계 이하와 극히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Subsequently, in step S1530, the mobile terminal 100 swipes direction according to the sensed direction from the sixth point 1601 to the seventh point 1602 based on the first axis for scrolling the items on the display unit 151. May be set, and in step S1540, the mobile terminal 100 may scroll an item according to the set scroll speed and scroll direction and output it on the display unit 151. Since the steps below step S1530 of FIG. 15 are very similar to those of step 1330 of FIG. 13 described above,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스크롤방향으로 스와이프 입력을 하면서, 희망하는 스크롤 속도에 대응한 압력을 부가하여 고속의 스크롤 및 저속의 스크롤을 오가며 소정의 아이템을 신속하게 조회하여 실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swipes input in the scroll direction and applies a pressure corresponding to the desired scroll speed to quickly scroll through high-speed scrolling and low-speed scrolling to quickly move a predetermined item. It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searched and executed easily.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100)의 제어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The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readable code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all types of recording media in which data that can be decoded by a computer system are stored. For example, there may be read only memory (ROM), random access memory (RAM), magnetic tape, magnetic disk, flash memory,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be distributed to a computer system connected through a computer communication network, and stored and executed as code that can be read in a distributed manner.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relevant technical field variously modify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And it will be easily understood that it can be changed.

100 : 이동 단말 151 : 디스플레이부
180 : 제어부 140 : 센싱부
100: mobile terminal 151: display unit
180: control unit 140: sensing unit

Claims (16)

디스플레이부;
센싱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센싱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상에서 소정의 아이템을 스크롤하는 제1축 방향과 상이한 제2축 방향으로 제1지점에서 제2지점까지의 스와이프(swipe) 입력을 센싱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2지점간의 거리에 대응하여 스크롤 속도를 설정하고,
상기 센싱부가 상기 제2지점으로부터 제3지점까지의 스와이프 입력을 센싱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2지점에서 상기 제3지점으로의 방향에 따라 스크롤 방향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스크롤 방향과 상기 스크롤 속도에 따라 상기 아이템을 스크롤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이동단말.
A display unit;
Sensing unit; And
Including a control unit,
When the sensing unit senses a swipe input from a first point to a second point in a second axis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axis direction for scrolling a predetermined item on the display unit, the controller Set a scroll speed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based on an axis,
When the sensing unit senses a swipe input from the second point to the third point, the controller sets a scroll direction according to the direction from the second point to the third point based on the first axis, and the A mobile terminal that scrolls the item according to a set scroll direction and the scroll speed and outputs the item to the display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n개(단, n는 자연수)의 스크롤 속도에 상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상기 제1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축방향으로 n개의 영역을 분할하고, 분할된 n개의 영역을 상기 기설정된 n개의 스크롤 속도에 대응시키고, 상기 제2지점이 속하는 영역에 따라 상기 스크롤 속도를 설정하는, 이동단말.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divides n areas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axis from the first point on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a preset scroll speed of n (where n is a natural number), and divides the divided n areas into the A mobile terminal corresponding to n preset scroll speeds and setting the scroll speed according to an area to which the second point belong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n개 영역의 각 경계선 및 상기 제1지점을 기준으로 하는 제2축 중 하나 이상을 소정의 방법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이동단말.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 unit outputs at least one of a boundary line of the n regions and a second axis based on the first point to the display unit by a predetermined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된 스크롤 속도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터치지점 근처 또는 소정의 위치에 출력하는, 이동단말.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outputs information on the set scroll speed to a touch point or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display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 방향에 따른 상기 아이템의 이동방향은 사용자의 기설정에 따른, 이동단말
The method of claim 1,
The moving direction of the item according to the scroll direction is a moving terminal according to a preset setting of the user.
디스플레이부;
센싱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센싱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상에서 소정의 아이템을 스크롤하는 제1축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제1지점에서 제2지점까지의 스와이프(swipe) 입력을 센싱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축과 수직인 제2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2지점간의 거리에 대응하여 스크롤 속도를 설정하고, 상기 제1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지점에서 상기 제2지점으로의 방향에 따라 스크롤 방향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스크롤 방향과 상기 스크롤 속도에 따라 상기 아이템을 스크롤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이동단말
A display unit;
Sensing unit; And
Including a control unit,
When the sensing unit senses a swipe input from a first point to a second point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a direction of a first axis in which a predetermined item is scrolled on the display unit, the control unit 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axis. A scroll speed is set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based on the second axis, and the scroll direction is set according to the direction from the first point to the second point based on the first axis. And scrolling the item according to the set scroll direction and the scroll speed and outputting the item to the display uni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n개(단, n는 자연수)의 스크롤 속도에 상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상기 제1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축방향으로 n개의 영역을 분할하고, 분할된 n개의 영역을 상기 기설정된 n개의 스크롤 속도에 대응시키고, 상기 제2지점이 속하는 영역에 따라 상기 스크롤 속도를 설정하는, 이동단말.
The method of claim 6,
The control unit divides n areas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axis from the first point on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a preset scroll speed of n (where n is a natural number), and divides the divided n areas into the A mobile terminal corresponding to n preset scroll speeds and setting the scroll speed according to an area to which the second point belong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n개 영역의 각 경계선 및 상기 제1지점을 기준으로 하는 제2축 중 하나 이상을 소정의 방법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이동단말.
The method of claim 7,
The control unit outputs at least one of a boundary line of the n regions and a second axis based on the first point to the display unit by a predetermined method.
디스플레이부;
센싱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센싱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상에서 제1지점에서 제2지점까지의 스와이프(swipe) 입력을 센싱하는 경우,
상기 센싱부가 상기 스와이프 입력을 센싱하는 과정에서 추가적으로 센싱되는 압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부는 스크롤 속도를 설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상에서 소정의 아이템을 스크롤하는 제1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지점에서 상기 제2 지점으로의 방향에 따라 스크롤 방향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스크롤 속도 및 상기 스크롤 방향에 따라 상기 아이템을 스크롤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이동단말.
A display unit;
Sensing unit; And
Including a control unit,
When the sensing unit senses a swipe input from a first point to a second point on the display unit,
Using the pressure additionally sensed in the process of sensing the swipe input by the sensing unit, the controller sets a scroll speed, and at the first point based on a first axis direction scrolling a predetermined item on the display unit. A mobile terminal configured to set a scroll direction according to a direction to the second point, scroll the item according to the set scroll speed and the scroll direction, and output to the display uni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지점에서 상기 제2지점으로까지 사용자의 터치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센싱부가 실시간 센싱하는 압력 또는 상기 센싱부가 상기 제2 지점에서 센싱하는 상기 사용자의 압력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스크롤 속도를 설정하는, 이동단말.
The method of claim 9,
The control unit uses one or more of a pressure sensed by the sensing unit in real time or a pressure of the user sensed at the second point in the process of moving a user's touch from the first point to the second point. A mobile terminal that sets the scroll speed.
(a) 이동단말의 디스플레이부상에서 아이템을 스크롤하는 제1축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제1지점에서 제2지점까지의 스와이프(swipe) 입력을 센싱하는 단계;
(b) 상기 제1축과 수직인 제2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2지점간의 거리에 따라 스크롤 속도를 설정하는 단계;
(c) 상기 제1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지점에서 상기 제2지점으로의 방향에 따라 스크롤 방향을 설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설정된 스크롤 방향과 상기 스크롤 속도에 따라 상기 아이템을 스크롤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단말의 제어 방법.
(a) sensing a swipe input from a first point to a second point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axis direction in which the item is scroll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mobile terminal;
(b) setting a scroll speed according to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based on a second ax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axis;
(c) setting a scroll direction according to a direction from the first point to the second point based on the first axis; And
(d) scrolling the item according to the set scroll direction and the scroll speed and outputting the item to the display uni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b1) 기설정된 n개(단, n는 자연수)의 스크롤 속도에 상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상에서 상기 제1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축방향으로 n개의 영역을 분할하는 단계;
(b2) 분할된 n개의 영역을 상기 기설정된 n개의 스크롤 속도에 순차적으로 대응시키는 단계; 및
(b3) 상기 제2지점이 속하는 영역에 따라 상기 스크롤 속도를 설정하는 단계는 포함하는, 이동단말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The step (b),
(b1) dividing n regions on the display unit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axis from the first point in correspondence with a preset scroll speed of n (where n is a natural number);
(b2) sequentially matching the divided n areas to the preset n scroll speeds; And
(b3) setting the scroll speed according to an area to which the second point belongs.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b1)단계는 분할된 n개의 영역의 각 경계선 및 상기 제1지점을 기준으로 하는 제2축 중 하나 이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상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단말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The step (b1) includes outputting on the display unit at least one of each boundary line of n divided regions and a second axis based on the first point.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b3) 단계는 설정된 스크롤 속도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상의 상기 제2지점 근처 또는 소정의 위치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단말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The step (b3) includes displaying information on a set scroll speed near the second point on the display unit or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 이동단말의 디스플레이부상에서 제1지점에서 제2지점까지의 스와이프(swipe) 입력을 센싱하는 단계;
(b) 상기 스와이프 입력시 센싱된 압력에 따라 스크롤 속도를 설정하는 단계;
(c) 상기 디스플레이부상에서 아이템을 스크롤하는 하는 제1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지점에서 상기 제2지점으로의 방향에 따라 스크롤 방향을 설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설정된 스크롤 방향과 상기 스크롤 속도에 따라 상기 아이템을 스크롤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단말의 제어 방법.
(a) sensing a swipe input from a first point to a second point on a display unit of the mobile terminal;
(b) setting a scroll speed according to the pressure sensed during the swipe input;
(c) setting a scroll direction according to a direction from the first point to the second point based on a first axis direction for scrolling an item on the display unit; And
(d) scrolling the item according to the set scroll direction and the scroll speed and outputting the item to the display unit.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상기 제1지점에서 상기 제2지점으로까지 사용자의 터치가 이동하는 과정에서의 압력을 실시간 센싱하거나 상기 제2지점에서의 압력을 센싱하는 단계를 포함, 이동단말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5,
The step (a) includes real-time sensing a pressure in a process of moving a user's touch from the first point to the second point or sensing the pressure at the second point, a method for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
KR1020190032850A 2019-03-22 2019-03-22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1494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850A KR102149465B1 (en) 2019-03-22 2019-03-22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850A KR102149465B1 (en) 2019-03-22 2019-03-22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9465B1 true KR102149465B1 (en) 2020-08-31

Family

ID=72234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2850A KR102149465B1 (en) 2019-03-22 2019-03-22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9465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0382A (en) 2009-02-06 2010-08-1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touch screen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program for presenting contents information
KR20130031762A (en) * 2011-09-21 2013-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mobile terminal
KR20130115061A (en) * 2012-04-10 2013-10-21 안재석 Method for scrolling digital content in mobile terminal and apparatus therefor
KR20170055715A (en) * 2015-11-12 2017-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70071290A (en) * 2015-12-15 2017-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0382A (en) 2009-02-06 2010-08-1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touch screen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program for presenting contents information
KR20130031762A (en) * 2011-09-21 2013-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mobile terminal
KR20130115061A (en) * 2012-04-10 2013-10-21 안재석 Method for scrolling digital content in mobile terminal and apparatus therefor
KR20170055715A (en) * 2015-11-12 2017-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70071290A (en) * 2015-12-15 2017-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35876B2 (en)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oving a current focus using a touch-sensitive remote control
US10401964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haptic feedback
US10134358B2 (en)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10134321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data
US10204096B2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 predictive keyboard
EP2500797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CN106249985B (en) Portable device and method of changing screen of portable device
CN105190520A (en) Hover gestures for touch-enabled devices
KR20160069286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40282204A1 (en) Key input method and apparatus using random number in virtual keyboard
KR20170057823A (en)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for touch input via edge screen
EP2866159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screen
US20130012319A1 (en) Mechanism for facilitating hybrid control panels within gaming systems
EP2863619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bject display
CN111566604A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EP2965181B1 (en) Enhanced canvas environments
US20170269765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 pane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KR102255087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object
CN104035710B (en) Mobile device having pre-executed function on object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1104268A1 (en) Content sharing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15025396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tching images
KR102149465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149481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258313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659077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