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9203B1 - Apparatus for automatic transmission of maritime distress location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automatic transmission of maritime distress loc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9203B1
KR102149203B1 KR1020200041977A KR20200041977A KR102149203B1 KR 102149203 B1 KR102149203 B1 KR 102149203B1 KR 1020200041977 A KR1020200041977 A KR 1020200041977A KR 20200041977 A KR20200041977 A KR 20200041977A KR 102149203 B1 KR102149203 B1 KR 102149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ess
transmitter
location
receiver
vh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19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주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아이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아이씨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아이씨티
Priority to KR1020200041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920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9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9203B1/en
Priority to PCT/KR2021/004279 priority patent/WO2021206417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automatic transmission of a maritime distress location comprising: a personal portable transmitter which transmits a distress signal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person in distress at sea; and a receiver which receives the distress signal from the transmitter and displays the distress location information on an electronic chart to recognize a location of the person in distress, and transmits the distress signal to the outside through very high frequency-digital selective calling (VHF-DSC) or LTE-M.

Description

해상 조난위치 자동 발신 장치{APPARATUS FOR AUTOMATIC TRANSMISSION OF MARITIME DISTRESS LOCATION}Marine distress location automatic transmitter {APPARATUS FOR AUTOMATIC TRANSMISSION OF MARITIME DISTRESS LOCATION}

본 발명은 해상 조난위치 자동 발신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해상에서 조난시 선박에 탑재된 무선 통신장비와 연동하여 조난신호와 함께 조난 위치를 선박 및 지상에 자동으로 발신함으로써 신속 정확한 조난 대응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해상 조난위치 자동 발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automatically transmitting a distress position at sea, and more particularly, in connection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mounted on a ship during a distress at sea, and automatically transmits the distress location to the ship and the ground together with a distress signal to respond quickly and accurately It relates to a device for automatically transmitting a maritime distress location that enables it to be performed.

해상 VHF(Very High Frequency) 통신 기술은 해상을 전달로로 하여 해상을 이동하는 선박들 간에 조난 신호나 해상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특정 VHF 대역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Marine VHF (Very High Frequency) communication technology can communicate using a specific VHF band so that distress signals or maritime information can be shared among ships moving over the sea using the sea as a transmission path.

일반적으로 선박의 조난 통신 기술은 선박에 탑승한 사람의 수동 조작으로 DSC(Digital Selective Calling) 발신을 전송하는 것과 자동 선박위치 발신장치(V-Pass)을 통한 조난 발신을 통해 해상교통관제(Vessel Traffic Service; VTS) 센터에 조난 신호를 전송하여 위기 상황을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예상치 못한 사고로 인해 선박에 탑승한 사람이 선내 버튼식으로 비치된 VHF 통신장치 및 자동 선박위치 발신장치를 즉시 조작할 수 없는 상황에서 대응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general, ship's distress communication technology transmits DSC (Digital Selective Calling) transmission by manual operation of a person on board, and ships traffic control (Vessel Traffic Control) through distress transmission through automatic ship location transmission device (V-Pass). Service (VTS) can communicate a crisis situation by sending a distress signal to the center. Such a conventional technology ha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respond to situations in which a person on board a ship cannot immediately operate a VHF communication device and an automatic ship location transmitter provided with a button type on board due to an unexpected accident.

연안을 항해하는 선박에서 선외추락 등의 익수자 발생 시에 본선 및 타선에 선외 추락임을 알리는 방법으로는 VHF 무선설비의 디지털 선택 호출(Digital Selective Calling; DSC)장치를 이용한 경보신호 송신 및 선박 패스(V-Pass)장치에 의한 조난신호 송신의 두 가지 수단이 운용 중이다. 이들 시스템은 본선에 탑재된 단말기를 이용하여 선박이나 근처 해양국에 조난 경보를 알리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선의 선교에 설치된 무선설비를 직접 조작하거나 이동체를 거치대에서 분리했을 경우 등에 의해 작동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급작스러운 선외추락 등의 상황에서는 익수자가 스스로 이를 본선이나 타 무선국에 알릴 수 없다.In the case of a drowning person such as an outboard crash in a ship sailing along the coast, the method of notifying the main ship and other ships that it is an outboard crash is to transmit an alarm signal using a Digital Selective Calling (DSC) device of the VHF wireless facility and pass the ship ( Two means of distress signal transmission by V-Pass) are in operation. These systems aim to notify a ship or a nearby maritime station of a distress alert using a terminal mounted on the ship. In addition, since the radio equipment installed on the main ship's bridge is directly operated or the moving object is separated from the cradle, the operation method is adopted, so in the event of a sudden outboard crash, the drowned person cannot inform the main ship or other radio stations on their own.

이에 선박에서 선외 추락시 익수자가 휴대하고 있는 송신기를 통해 조난 상황을 선박에 알려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조난 대응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여기에서, 송신기는 구명조끼 포켓에 삽입하거나 목걸이와 고리 형태로 장착 후 사용할 수 있으며 송신기내 물 감지센서 자동 동작에 따른 자동모드와 조난자가 SOS 버튼을 눌러 동작하는 수동모드가 있다.Accordingly, a distress response technology is being developed that informs the ship of the distress situation through a transmitter carried by the drowning person in case of an outboard fall from a ship so that they can respond quickly. Here, the transmitter can be inserted into a life jacket pocket or installed in the form of a necklace and a ring, and there are an automatic mode according to the automatic operation of the water detection sensor in the transmitter and a manual mode in which the victim presses the SOS button.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32848(2018.04.02)호는 V-PASS 기반 개인휴대 위치발신장치를 활용한 해양수색구조 시스템 및 그 탐색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해상에서 사용자가 휴대한 개인휴대 위치발신장치(Personal Location Transponder; “PLT”)와, 상기 개인휴대 위치발신장치로부터 발신되는 신호를 제공받아 송신하는 어선에 설치된 어선 입출항관리시스템(V-PASS)와, 상기 어선 입출항관리시스템(V-PASS)으로부터 증폭되어 발신된 신호를 수신하여 중계하기 위한 송수신 안테나를 구비한 기지국, 및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신호정보를 송수신하는 조난정보센터를 순차적으로 구비하되, 상기 개인휴대 위치발신장치로부터 발신된 신호를 단계적으로 증폭하여 육상에 설치된 상기 조난정보센터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발신되는 긴급구조신호(SOS)를 신속하게 확인하고 구조활동을 실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8-0032848 (2018.04.02) relates to a marine search and rescue system using a V-PASS-based personal portable location transmitter and a search control method thereof, and a personal portable location carried by a user at sea. A transmission device (Personal Location Transponder; “PLT”), a fishing vessel entry and departure management system (V-PASS) installed on a fishing vessel that receives and transmit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ersonal portable location transmitter, and the fishing vessel entry and departure management system (V- PASS) is provided with a base station having a transmission/reception antenna for receiving and relaying a signal amplified and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and a distress information cent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information from the base station in sequence, wherein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ersonal portable location transmitting device i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mplified in stages and provided to the distress information center installed on land, so that the emergency rescue signal (SOS) transmitted by the user can be quickly checked and rescue activities can be executed.

한국등록특허 제10-1836831(2018.03.05)호는 웨어러블 기기 기반의 해상용 조난 대응 장치에 관한 것으로, 모션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모션을 센싱할 수 있고 상기 모션이 센싱되면 해당 모션에 대응되는 상황 신호를 제공하는 웨어러블 센서부, 상기 상황 신호를 수신하는 메인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상황 신호를 기초로 사용자 상황을 분석하고 상기 사용자 상황의 긴급성을 산출하여 조난 대응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836831 (2018.03.05) relates to a wearable device-based maritime distress response device, a situation in which a user's motion can be sensed through a motion sensor, and when the motion is sensed, the corresponding motion is responded. A wearable sensor unit that provides a signal, a main communication unit that receives the situation signal, and a control unit that analyzes a user situation based on the received situation signal and calculates the urgency of the user situation to determine whether to respond to distress. .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32848(2018.04.02)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32848 (2018.04.02) 한국등록특허 제10-1836831(2018.03.05)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836831 (2018.03.05)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해상에서 조난시 선박에 탑재된 무선 통신장비와 연동하여 조난신호와 함께 조난 위치를 선박 및 지상에 자동으로 발신함으로써 신속 정확한 조난 대응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해상 조난위치 자동 발신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transmits a distress location at sea to enable quick and accurate distress response by interlocking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mounted on a ship to automatically transmit a distress location along with a distress signal to the ship and the ground. I want to provide a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e-내비게이션 기반의 차세대 해상 무선통신(LTE-M) 중계기와 연동하여 수신된 조난위치가 포함된 조난 신호를 해상 무선통신망을 통해 외부로 전달하여 해상에서의 조난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해상 조난위치 자동 발신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a distress signal including a distress location received by interworking with an e-navigation-based next-generation maritime wireless communication (LTE-M) repeater to the outside through a maritim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respond to a distress situation at sea. It is intended to provide a device for automatically transmitting a sea distress location that can cope with 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내 알람 표시기와 전자해도 표시기와 연동하여 알람 발생으로 조난상황을 인지하고 전자해도 상에 위치 표시로 조난자의 위치를 신속하게 확인하고 구조 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해상 조난위치 자동 발신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nterlocking with an onboard alarm indicator and an electronic chart indicator through a communication interface, it is possible to recognize a distress situation by generating an alarm, and to quickly check the location of a victim by displaying the location on the electronic chart and perform rescue activities. It is intended to provide a device for automatically transmitting distress locations at sea.

실시예들 중에서, 해상 조난위치 자동 발신 장치는 해상 조난시에 조난자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조난신호를 발신하는 개인 휴대 송신기, 및 상기 송신기로부터 조난신호를 수신하고 전자해도에 조난 위치정보를 표시하여 조난자의 위치를 인지시키고, 조난신호를 VHF-DSC 또는 LTE-M을 통해 외부 전달하는 수신기를 포함한다.Among embodiments, the apparatus for automatically transmitting a distress location at sea includes a personal portable transmitter that transmits a distress signal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erson in distress during a sea distress, and receives a distress signal from the transmitter and displays the distress location information on an electronic chart. It includes a receiver that recognizes the location of the victim and transmits the distress signal to the outside through VHF-DSC or LTE-M.

실시예들 중에서, 해상 조난위치 자동 발신 장치는 상기 송신기와 상기 수신기 사이에 상기 조난신호를 중계하는 중계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계기는 상기 송신기 및 상기 수신기와 동일 주파수를 사용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박에 설치되어 주변 중계기와 해상에서의 애드혹(Ad-Hoc)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상기 조난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선내 알람 표시로 조난 발생을 알리고 선내에 VHF-DSC 기기가 탑재된 경우에 상기 VHF-DSC 기기와 연동하여 DCS 발신을 전송하고 선내에 LTE-M 기기가 탑재된 경우에 상기 LTE-M 기기와 연동하여 LTE-M을 통해 조난 발신을 전송하여 조난 발신 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Among the embodiments, the apparatus for automatically transmitting a distress position at sea further comprises a repeater for relaying the distress signal between the transmitter and the receiver, the repeater using the same frequency as the transmitter and the receiver, and at least one ship The VHF-DSC device is installed to form an ad-hoc network at sea with nearby repeaters, and when the distress signal is received, it notifies the occurrence of distress through an onboard alarm display, and when a VHF-DSC device is installed on board, the VHF-DSC device In connection with the DCS transmission, when an LTE-M device is mounted on board, the distress transmission range can be expanded by transmitting a distress transmission through LTE-M in connection with the LTE-M device.

상기 송신기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안테나를 통해 GPS 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GPS 수신부, 물 접촉을 통해 자동으로 해상 조난상황을 센싱하는 물 감지센서, 조난자의 조작을 통해 수동으로 구조 요청 신호(SOS)를 입력하는 SOS 버튼, 상기 해상 조난상황 자동 센싱시 혹은 상기 SOS 수동 입력시 상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조난 신호를 생성하여 발신하는 발신부, 및 배터리 잔량 및 동작 상태를 LED 점멸 또는 발광 색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transmitter includes a GPS receiver that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from GPS satellites through a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antenna, a water detection sensor that automatically senses a maritime distress situation through water contact, and a rescue request signal manually through manipulation of the victim ( SOS button for inputting SOS), a transmitter that generates and transmits a distress signal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when automatically sensing the maritime distress situation or when the SOS is manually input, and the remaining battery capacity and operation status by LED blinking or luminous color. It may include a display unit to display.

상기 수신기는 선내 알람 표시기 및 전자해도 표시기와 각각 RS485 통신을 이용한 직렬 인터페이스(serial interface)로 연결하고 상기 조난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알람 표시기 및 상기 전자해도 표시기를 연동하여 선내 경보 알람을 발생하여 조난 상황을 인지시키고 전자해도 화면에 조난자 위치정보를 표시하여 조난자 위치를 알릴 수 있다. The receiver is connected to the onboard alarm indicator and the electronic chart indicator through a serial interface using RS485 communication, respectively, and when the distress signal is received, the onboard alarm is generated by interlocking the alarm indicator and the electronic chart indicator to generate a distress situation. Recognize and display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ictim on the electronic chart screen to inform the location of the victim.

상기 수신기는 선박에 탑재된 VHF-DSC(Very High Frequency-Digital Selective Calling) 기기와 RS232 통신을 이용한 직렬 인터페이스로 연결하고 상기 조난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VHF-DSC 기기의 NMEA 입력으로 사용하여 상기 VHF-DSC 기기를 연동하여 상기 조난신호를 VHF를 통해 DSC 메시지로 외부 전달할 수 있다.The receiver is connected to a VHF-DSC (Very High Frequency-Digital Selective Calling) device mounted on a ship through a serial interface using RS232 communication, and when the distress signal is received, it is used as an NMEA input of the VHF-DSC device to the VHF- By interlocking the DSC device, the distress signal can be externally transmitted as a DSC message through the VHF.

상기 수신기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안테나를 통해 GPS 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GPS 수신부, 상기 조난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선내 전자해도 표시기에 상기 조난신호에 포함되는 조난자의 위치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전자해도 표시기와 통신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선박에 탑재된 VHF-DSC 기기와 연동하여 상기 수신된 조난신호를 VHF를 통해 DSC 메시지로 외부 전달하는 VHF-DSC 연동부, 및 선박에 탑재된 LTE-M 기기와 연동하여 상기 수신된 조난신호를 LTE를 통해 전송하는 LTE-M 연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ceiver includes a GPS receiver for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from a GPS satellite through a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antenna, a receiver for receiving the distress signal, and an electronic chart indicator on board to display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ictim included in the distress signal. A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that performs a communication interface with the electronic chart indicator, a VHF-DSC linkage unit that interlocks with the VHF-DSC device mounted on the ship to externally transmit the received distress signal as a DSC message through VHF, and It may include an LTE-M interworking unit for interworking with the LTE-M device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distress signal through LTE.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The disclosed technology can have the following effects. However, since it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 following effects or only the following effects,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disclosed technology is limited thereb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 조난위치 자동 발신 장치는 해상에서 조난시 선박에 탑재된 무선 통신장비와 연동하여 조난신호와 함께 조난 위치를 선박 및 지상에 자동으로 발신함으로써 신속 정확한 조난 대응을 할 수 있도록 한다.The apparatus for automatically transmitting a distress location at s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quick and accurate response to distress by automatically transmitting the distress location to the ship and the ground together with a distress signal in connection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mounted on a ship during a distress at sea. Make it possib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 조난위치 자동 발신 장치는 e-내비게이션 기반의 차세대 해상 무선통신(LTE-M) 중계기와 연동하여 수신된 조난위치가 포함된 조난 신호를 해상 무선통신망을 통해 외부로 전달하여 해상에서의 조난 상황에 대처할 수 있다.The apparatus for automatically transmitting a maritime distress lo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a distress signal including a distress location received by interlocking with an e-navigation-based next generation maritime wireless communication (LTE-M) repeater to the outside through a maritim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t can be delivered to cope with the distress situation at se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 조난위치 자동 발신 장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내 알람 표시기와 전자해도 표시기와 연동하여 알람 발생으로 조난상황을 인지하고 전자해도 상에 위치 표시로 조난자의 위치를 신속하게 확인하고 구조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for automatically transmitting a distress location at sea is linked with an onboard alarm indicator and an electronic chart indicator through a communication interface to recognize the distress situation by generating an alarm, and quickly locate the victim by displaying the location on the electronic chart. Check and carry out rescue activiti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 조난위치 자동 발신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해상 조난위치 자동 발신 장치의 조난신호 발신 경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송신기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송신기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수신기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1에 있는 해상 조난위치 자동 발신 장치에서 수행되는 해상 조난위치 자동 발신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transmitting a maritime distress lo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distress signal transmission path of the automatic maritime distress location transmission apparatus shown in FIG. 1.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ransmitter in FIG. 1.
4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transmitter of FIG. 1.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eceiver of FIG. 1.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automatically transmitting a sea distress location performed by the apparatus for automatically transmitting a sea distress location in FIG. 1.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since the embodiments can be variously changed and have various form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since the object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m or only those effect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understood as being limited thereto.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Meanwhile, the meaning of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scope of rights is not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lthough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another component may exist in the middl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the middle.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stituent elements, that is, "between" and "just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neighboring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gular expressions are to be understood as including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refer to implemented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is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combination exists and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In each step, the identification code (for example, a, b, c, etc.) is us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identification code does not describe the order of each step, and each step has a specific sequence clearly in context. Unless otherwise stated, it may occur differently from the stated order. That is, each of the steps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specifi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as computer-readable codes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storing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and optical data storage devices. Further,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s distributed over a computer system connected by a network, so that the computer-readable code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meanings in the context of related technologies, and cannot be construed as having an ideal or excessive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 조난위치 자동 발신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있는 해상 조난위치 자동 발신 장치의 조난신호 발신 경로를 설명하는 도면다.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transmitting a maritime distress lo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oute for transmitting a distress signal by the apparatus for automatically transmitting a maritime distress location in FIG. 1.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해상 조난위치 자동 발신 장치(100)는 송신기(110), 중계기(120), 수신기(130), 알람 표시기(140), VHF-DSC 기기(150), LTE-M 기기(160) 및 전자해도 표시기(170)를 포함할 수 있다.1 and 2, the automatic sea distress location transmitter 100 includes a transmitter 110, a repeater 120, a receiver 130, an alarm indicator 140, a VHF-DSC device 150, an LTE- It may include an M device 160 and an electronic chart indicator 170.

송신기(11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내장하여 조난신호와 함께 조난 위치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송신기(110)는 개인 휴대 가능한 소형의 단말기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송신기(110)는 소출력 무선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송신기(110)는 924㎒ 주파수의 2W 출력의 발신 전용 기기에 해당할 수 있다.The transmitter 110 may include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and transmit distress location information together with a distress signal. In one embodiment, the transmitter 11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mall personally portable terminal. Here, the transmitter 110 may include a small power wireless device. For example, the transmitter 110 may correspond to a transmission-only device with a 2W output of a frequency of 924 MHz.

중계기(120)는 송신기(110)와 무선으로 연결되며 조난 위치정보가 포함되는 조난신호를 주변 선박에 중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중계기(120)는 선박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정들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중계기(120)는 송신기(110)와 동일 주파수를 사용하여 조난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송신기(110) 보다 고출력 무선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중계기(120)는 924㎒ 주파수의 5W 출력의 송수신 중계 기기에 해당할 수 있다. 중계기(1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정(선박)들에 설치되어 해상에서의 애드혹(Ad-Hoc)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The repeater 120 is wirelessly connected to the transmitter 110 and may relay a distress signal including distress location information to nearby vessels. In one embodiment, the repeater 120 may be installed on a ship, and may be installed on at least one or more boats. Here, the repeater 120 may transmit and receive a distress signal using the same frequency as the transmitter 110 and may include a higher power wireless device than the transmitter 110. For example, the repeater 120 may correspond to a transmission/reception repeater having a 5W output of a frequency of 924 MHz. The repeater 120 may be installed on at least one or more boats (ships) to form an ad-hoc network at sea.

애드혹(Ad-Hoc) 네트워크는 고정된 유선망을 가지지 않고 이동 호스트로만 이루어져 통신되는 망이다. 따라서 유선망을 구성하기 어렵거나 망을 구성한 후 단기간 사용되는 경우에 적합하며 애드혹(Ad-Hoc) 네트워크에서는 호스트의 이동에 제약이 없고 유선망과 기지국이 필요 없으므로 빠른 망 구성과 저렴한 비용의 장점이 있다.An ad-hoc network is a network that communicates with only mobile hosts without having a fixed wired network. Therefore, it is suitable when it is difficult to configure a wired network or if it is used for a short period of time after configuring the network. Ad-hoc networks have advantages of fast network configuration and low cost since there is no restriction on the movement of hosts and no wired network and base station are required.

일 실시예에서, 중계기(120)는 수신기(130)와 구조적으로 동일하고 여기에 발신기능을 더 포함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중계기(120)는 주변 중계기와 애드혹(Ad-Hoc)을 구성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epeater 120 is structurally the same as the receiver 130 and may be configured in a form that further includes a transmission function. The repeater 120 may configure an ad-hoc with a peripheral repeater.

수신기(130)는 송신기(110) 또는 중계기(120)와 무선으로 연결되며 조난 위치정보가 포함되는 조난신호를 수신하여 조난 상황을 인지하고 선내 알람 표시기(140)와 연동하여 경보 알람을 발생할 수 있다. 수신기(130)는 알람 구성을 포함할 수 있고 자체 알람 발생으로 조난상황을 알릴 수 있다. 예컨대, 수신기(130)는 자체 알람과 선내 알람 표시기(140)와 연동한 알람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알람 발생할 수 있어 고장 등에 의해 선내 조난상황 발생을 알리지 못하는 상황에 대비할 수 있다.The receiver 130 is wirelessly connected to the transmitter 110 or the repeater 120 and receives a distress signal including distress location information, recognizes a distress situation, and generates an alarm alarm by interlocking with the onboard alarm indicator 140 . The receiver 130 may include an alarm configuration and may notify a distress situation by generating its own alarm. For example, the receiver 130 may generate an alarm through at least one of a self-alarm and an alarm interlocked with the on-board alarm indicator 140 to prepare for a situation in which it is not possible to notify the occurrence of an onboard distress situation due to a failure or the like.

알람 표시기(140)는 알람음을 울리는 것과 함께 경고램프를 점등하여 자선에 알람 발생할 수 있다. 알람 표시기(140)는 스피커 및 LED 등으로 구성되어 알람신호를 알릴 수 있다.The alarm indicator 140 may sound an alarm and light a warning lamp to generate an alarm on the own ship. The alarm indicator 140 may include a speaker and an LED to notify an alarm signal.

일 실시예에서, 수신기(130)는 송신기(110) 또는 중계기(120)와의 접속 상태를 계속 확인할 수 있으며 “클로즈 루프(Close-Loop)”로 동작하여 접속이 끊어지는 경우에도 자선 알람을 발생할 수 있다. 여기에서, 수신기(130)는 선박에 설치될 수 있으며, 함선에 설치되어 단정에 설치되는 중계기(120)를 통해 송신기(110)에서 발신되는 조난신호를 중계받을 수 있다. 수신기(130)는 송신기(110) 및 중계기(120)와 동일 주파수를 사용하여 조난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수신기(130)는 924㎒ 주파수의 5W 출력의 수신 전용 기기에 해당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eceiver 130 can continuously check the connection status with the transmitter 110 or the repeater 120, and operates as a "close-loop" to generate an own ship alarm even when the connection is disconnected. have. Here, the receiver 130 may be installed on a ship, and the distress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110 may be relayed through a repeater 120 installed on the ship and installed on the ship. The receiver 130 may receive a distress signal using the same frequency as the transmitter 110 and the repeater 120. For example, the receiver 130 may correspond to a receiving-only device with a 5W output of a frequency of 924 MHz.

도 2의 (가)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송신기(110)는 15㎞까지 조난신호를 발신할 수 있으며 송신기(110)의 발신 범위 내에 있는 선박에 설치되는 중계기(120)에 의해 조난신호 발신 범위를 30㎞까지 확대하여 송신기(110)로부터 최대 45㎞까지 떨어져 있는 선박에 설치되는 수신기(130)에 조난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As shown in (a) of FIG. 2, the transmitter 110 can transmit a distress signal up to 15 km, and the distress signal transmission range is determined by the repeater 120 installed on the ship within the transmission range of the transmitter 110. The distress signal can be transmitted to the receiver 130 installed on a ship that is up to 45 km away from the transmitter 110 by expanding it to 30 km.

복수의 중계기들(120)에 의해 애드혹(Ad-Hoc) 네트워크가 형성된 경우에는, 도 2의 (나)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송신기(110)로부터 수신기(130)까지 조난신호 발신 범위를 보다 확대시킬 수 있어 조난 구조 범위를 넓힐 수 있다.When an ad-hoc network is formed by a plurality of repeaters 120, as shown in (b) of FIG. 2, the distress signal transmission range from the transmitter 110 to the receiver 130 is further expanded. Can broaden the scope of the distress rescue.

일 실시예에서, 수신기(130)는 선내 탑재된 무선통신장비와 연동하여 조난 상황을 다양한 통신방식으로 외부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에서, 수신기(130)는 VHS-DSC 기기(150) 및 LTE-M 기기(160)와 연동하여 수신된 조난신호를 원거리에 있는 다른 선박이나 관제 서버 등의 외부로 전달하는 “오픈 루프(Open Loop)”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eceiver 130 may transmit a distress situation to the outside through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in connection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mounted on board. Here, the receiver 130 interlocks with the VHS-DSC device 150 and the LTE-M device 160 and transmits the received distress signal to the outside of another ship or a control server at a distance. Loop)” method.

VHF-DSC 기기(150)는 선박에 설치된 무선통신장치로, VHF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여 긴급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VHF-DSC 기기(150)는 수신기(130)의 “오픈 루프(Open Loop)” 동작에 대해서 DSC(Digital Selective Call)를 이용하여 조난 경보로서 긴급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The VHF-DSC device 150 is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nstalled on a ship, and may transmit an emergency message using a frequency in the VHF band. In an embodiment, the VHF-DSC device 150 may transmit an emergency message as a distress alert for an “open loop” operation of the receiver 130 using a Digital Selective Call (DSC).

LTE-M 기기(160)는 LTE 기반의 초고속 해상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LTE-M은 최대 100㎞ 해상까지 초고속으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통신망으로, 항해 중인 선박에 e-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e-내비게이션은 항만정보, 기상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활용해 선박 안전 운항 등을 돕는다. 일 실시예에서, LTE-M 기기(160)는 수신기의 “오픈 루프(Open Loop)” 동작에 대해서 LTE-M망을 이용하여 해상에서의 조난 위치를 포함한 조난 상황을 LTE, WiFi 등의 무선통신 기능을 가지는 해양 안전 장비에 송신할 수 있고 조난자 위치 추적 및 전자해도 스트리밍을 제공할 수 있다.The LTE-M device 160 may provide various services using an LTE-based ultra-high-speed maritim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LTE-M is a communication network capable of high-speed data communication up to 100㎞ offshore, and it plays a role of providing e-navigation services to vessels sailing. The e-navigation helps ship safe operation by using port information and weather information in real time. In one embodiment, the LTE-M device 160 uses the LTE-M network for the “open loop” operation of the receiver to communicate a distress situation including a distress location at sea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LTE and WiFi. It can be transmitted to marine safety equipment with functions, and can provide evacuee location tracking and electronic chart streaming.

일 실시예에서, 수신기(130)는 선내 전자해도 표시기(170)와 연동하여 수신된 조난신호에 포함되는 조난 위치정보를 전자해도 상에 실시간으로 표시하여 조난자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추적할 수 있게 한다.In one embodiment, the receiver 130 displays the distress lo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distress signal on the electronic chart in real time by interlocking with the onboard electronic chart indicator 170 so that the location of the victim can be continuously tracked. .

일 실시예에서, 알람 표시기(140), VHS-DSC 기기(150), LTE-M 기기(160) 및 전자해도 표시기(170)는 중계기(120)가 설치된 선박에 탑재된 경우, 중계기(120)에도 연동되어 조난신호 중계 상황에서 자선에 알람 발생 및 전자해도 상에 조난 위치 표시를 할 수 있다. 중계기(120)는 선내 탑재된 VHS-DSC 기기(150) 및 LTE-M 기기(160)와도 연동하여 조난신호 중계 상황에서 DSC 및 LTE-M을 이용하여 외부에 조난 경보로서 긴급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예컨대, 중계기(120)가 선내 VHS-DSC 기기(150)와 연동할 경우, 도 2의 (가)에 나타낸 바와 같이, DSC를 이용하여 조난 경보로서 긴급 메시지를 60㎞까지 발신 범위를 확대시켜 송신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when the alarm indicator 140, the VHS-DSC device 150, the LTE-M device 160, and the electronic chart indicator 170 are mounted on a ship in which the repeater 120 is installed, the repeater 120 It is also linked to a distress signal relay, and an alarm can be generated on the own ship and the distress location can be displayed on the electronic chart. The repeater 120 can also interwork with the VHS-DSC device 150 and LTE-M device 160 mounted on board the ship to transmit an emergency message as a distress alert to the outside using DSC and LTE-M in a distress signal relay situation. have. For example, when the repeater 120 is interlocked with the VHS-DSC device 150 on board, as shown in Fig. 2(a), an emergency message is transmitted as a distress alert by expanding the transmission range up to 60 km using DSC. can do.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 조난위치 자동 발신 장치(100)는 사용자가 휴대하여 조난신호를 보낼 수 있는 송신기(110)와 선박에 설치되는 중계기(120) 및 수신기(130)로 구성되는 무선기기를 이용하여 선내 알람 발생을 인지하고 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 선박에서 별다른 조치가 없거나 필요시 VHS-DSC 기기(150) 및 LTE-M 기기(160)를 이용하여 보다 넓은 범위에 있는 다른 선박이나 육상의 관제 서버 측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조난신호를 송신하여 조치를 취할 수 있다.The apparatus 100 for automatically transmitting a distress position at s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uses a wireless device consisting of a transmitter 110 capable of transmitting a distress signal carried by a user, a repeater 120 installed on a ship, and a receiver 130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occurrence of an alarm in the ship and take action, and if there is no special action on the ship or if necessary, control of other ships or land in a wider range using the VHS-DSC device 150 and the LTE-M device 160 You can take action by sending a distress signal quickly and accurately to the server side.

도 3은 도 1에 있는 송신기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1에 있는 송신기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ransmitter of FIG. 1, and FIG. 4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the transmitter of FIG. 1.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송신기(110)는 GPS 수신부(210), 물 감지센서(220), SOS 버튼(230), 발신부(240), 표시부(250), 전원부(260) 및 제어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3 and 4, the transmitter 110 includes a GPS receiver 210, a water detection sensor 220, an SOS button 230, a transmitter 240, a display unit 250, a power supply unit 260, and a control unit. (270) may be included.

GPS 수신부(210)는 GPS 위성으로부터 송신기(110)의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 등이 포함된 GPS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GPS 수신부(210)는 GPS 안테나를 내장할 수 있고 안테나를 통해 GPS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270)로 입력할 수 있다.The GPS receiver 210 may receive a GPS signal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and time information of the transmitter 110 from a GPS satellite. In one embodiment, the GPS receiver 210 may have a built-in GPS antenna and may receive a GPS signal through the antenna and input it to the controller 270.

물 감지센서(220)는 물과의 접촉을 감지하여 물에 빠진 해상 조난 상황을 센싱할 수 있는 센서이다. 물 감지센서(220)는 물 접촉을 감지할 수 있고, 전체 면적 대비 물 접촉 면적을 분석하여 사용자가 현재 수중에 있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물 감지센서(220)는 물에 전류가 흐르는 원리를 이용하여 양극이 물에 닿으면 전류가 통전되는 방식으로 물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물 감지센서(220)는 물 접촉을 통해 자동으로 해상 조난상황을 센싱할 수 있다.The water detection sensor 220 is a sensor capable of sensing a sea distress situation drowned in water by sensing contact with water. The water detection sensor 220 may detect water contact, and may detect information on whether the user is currently underwater by analyzing the water contact area relative to the total area. The water detection sensor 220 may detect water in a manner in which an electric current is energized when an anode touches water by using a principle that an electric current flows through water. In one embodiment, the water detection sensor 220 may automatically sense a maritime distress situation through water contact.

SOS 버튼(230)은 조난자의 조작을 통해 수동으로 구조 요청 신호(SOS)를 입력하여 자신의 조난상황을 인위적으로 알릴 수 있다.The SOS button 230 may artificially notify its own distress situation by manually inputting a rescue request signal (SOS) through manipulation of the victim.

발신부(240)는 물 감지센서(220)에 의해 해상 조난상황 자동 센싱시 또는 SOS 버튼(230)에 의해 SOS 수동 입력시 조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조난신호를 무선 주파수를 통해 중계기(120) 또는 수신기(13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발신부(240)는 발신 전용 안테나 및 RF 송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발신부(240)는 924㎒ 주파수로 지정되어 있으나 블루투스, 로라(LoRa), 지그비(Zigbee), 전파식별(RFID) 등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 주파수를 포함할 수 있다.The transmitter 240 transmits a distress signal including distress location information when automatically sensing a maritime distress situation by the water detection sensor 220 or manually inputting the SOS by the SOS button 230 through the repeater 120 or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receiver 130. In one embodiment, the transmitter 240 may include a transmission-only antenna and an RF transmission module. Here, the transmitter 240 is designated as a 924 MHz frequency, but may include a communication frequency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such as Bluetooth, LoRa, Zigbee, and radio wave identification (RFID).

표시부(250)는 송신기(110)의 동작 상태를 LED 점멸 또는 발광 색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부(250)는 전원부(260)의 배터리 잔량을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250 may display the operating state of the transmitter 110 by flashing an LED or emitting color. In one embodiment, the display unit 250 may visually express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of the power supply unit 260.

전원부(260)는 송신기(110)의 각 구성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 무선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 구현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260 may supply power required for each component operation of the transmitter 110 and may be implemented as a battery capable of wireless charging.

제어부(270)는 송신기(110)의 각 구성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Micro Controller Nuit; MCU)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270)는 물 감지센서(220)에서 송신기(110)를 착용한 사용자가 물에 빠졌는 지의 여부를 자동 감지하도록 제어하고 SOS 버튼(230) 조작이 이루어지면 물에 빠진 사용자가 자신의 조난 상황을 직접 입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어부(270)는 사용자의 조난 상황이 자동 감지되거나 수동 입력되면 GPS 수신부(210)에서 수신한 GPS 신호로부터 위치 데이터를 획득하여 위치 프로토콜에 따라 위치와 경도를 포함한 위치정보가 조난신호에 포함되어 발신부(240)를 통해 중계기(120) 또는 수신기(130)로 송신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70 may be implemented as a micro control unit (Micro Controller Nuit; MCU) capable of overall controlling each component operation of the transmitter 110.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270 controls the water detection sensor 220 to automatically detect whether the user wearing the transmitter 110 has fallen into water, and when the SOS button 230 is operated, the user who has fallen into the water You can control to directly enter your own distress situation. Here, when the user's distress situation is automatically detected or manually input, the control unit 270 acquires location data from the GPS signal received from the GPS receiver 210,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location and longitude is converted into the distress signal according to the location protocol. It is included and can be controlled to be transmitted to the repeater 120 or the receiver 130 through the transmitter 240.

일 실시예에서, 송신기(110)는 개인 휴대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송신기(110)는 개인 휴대가 용이하도록 소형의 핸드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송신기(110)는 해상 환경에 적합하도록 소정 이상의 수심, 예컨대 수심 10m 방수 가능하게 구현될 수 있다. 송신기(110)는 거치대에 기립된 상태로 충전 가능하게 거치 보관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ransmitter 110 may be implemented to be personally portable. Referring to FIG. 4, the transmitter 110 may be implemented in a small hand type to facilitate personal portability. The transmitter 110 may be implemented to be waterproof at a depth of at least a predetermined depth, for example, 10m to be suitable for a marine environment. The transmitter 110 may be mounted and stored to be rechargeable while standing on the cradle.

도 5는 도 1에 있는 수신기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eceiver of FIG. 1.

도 5를 참조하면, 수신기(130)는 선박에 배치되고 GPS 수신부(310), 수신부(320), 통신 인터페이스부(330), VHF-DSC 연동부(340), LTE-M 연동부(350) 및 제어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5, the receiver 130 is disposed on the ship and the GPS receiver 310, the receiver 320,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330, the VHF-DSC linking unit 340, the LTE-M linking unit 350 And a control unit 360.

GPS 수신부(310)는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기(110)의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 등이 포함된 GPS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GPS 수신부(310)는 GPS 안테나를 내장할 수 있고 안테나를 통해 GPS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350)로 입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GPS 신호는 수신기(130)가 탑재된 선박의 조난 시 위치 추적에 사용될 수 있다.The GPS receiver 310 may receive a GPS signal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and time information of the receiver 110 from a GPS satellite. In an embodiment, the GPS receiver 310 may have a built-in GPS antenna and may receive a GPS signal through the antenna and input it to the controller 350. Here, the GPS signal may be used to track the location of the ship in which the receiver 130 is mounted during distress.

수신부(320)는 송신기(110) 또는 중계기(120)와 통신을 통해 조난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신부(320)는 수신 전용 안테나 및 RF 수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송신기(110) 또는 중계기(120)로부터 조난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350)에 제공할 수 있다. The receiver 320 may receive a distress signal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transmitter 110 or the repeater 120. In one embodiment, the receiving unit 320 may include a reception-only antenna and an RF receiving module, and may receive a distress signal from the transmitter 110 or the repeater 120 and provide it to the control unit 350.

통신 인터페이스부(330)는 선내 알람 표시기(140)와 연동하여 선내에 경보 알람을 발생시켜 조난 상황을 선내에 알릴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330)는 전자해도 표시기(170)와 연동하여 전자해도 표시기(170) 상에 조난 위치정보를 표시하여 조난자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부(330)는 알람 표시기(140) 및 전자해도 표시기(170)와 각각 RS485 통신을 이용한 직렬 인터페이스(Serial Interface)로 연결되어 조난신호 수신시 알람 표시기(140)를 통해 경보 알람을 발생시키고 전자해도 표시기(170)를 통해 전자해도 상에 조난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알람 표시기(140)는 알람음을 울리는 것과 함께 경고램프를 점등하여 자선에 알람 발생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자해도 표시기(170)는 전자해도(Electronic Navigational Chart; ENC)에 조난자 위치를 표시하여 조난자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전자해도 표시기(170)는 GPS, 레이다, 속력계, 자이로컴퍼스 등의 항해장비와 연결되어 화면상에서 선박의 위치, 속력, 방향, 주위의 다른 선박 등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해도 표시기(170)는 화면상에 자선의 위치와 조난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조난자의 위치를 찾아갈 수 있는 항로 안내가 표시되어 조난자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게 한다.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330 may generate an alarm alarm in the ship by interlocking with the onboard alarm indicator 140 to notify the distress situation on board.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330 interlocks with the electronic chart indicator 170 to display distress location information on the electronic chart indicator 170 so that the location of the victim can be tracked. In one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330 is connected to the alarm indicator 140 and the electronic chart indicator 170 through a serial interface using RS485 communication, respectively, through the alarm indicator 140 when receiving a distress signal. An alarm alarm may be generated and the distress location may be displayed on the electronic chart through the electronic chart indicator 170. Here, the alarm indicator 140 may sound an alarm sound and light an alarm lamp to generate an alarm on the own ship. Here, the electronic chart indicator 170 may track the location of the victim by displaying the location of the victim on an electronic navigational chart (ENC). The electronic chart indicator 170 may be connected to navigation equipment such as GPS, radar, speedometer, gyro, and the like to display the ship's position, speed, direction, and other ships around it at a glance. In one embodiment, the electronic chart indicator 170 displays a route guide for finding the victim's location on the screen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own ship and the victim's location, so that the location of the victim can be tracked.

VHF-DSC 연동부(340)는 기존 선박에 설치된 VHF-DSC 기기(150)와 연동하여 수신된 조난신호를 DSC(Digital Selective Calling) 메시지 형태로 외부에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VHF-DSC 연동부(34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30)를 통해 VHF-DSC 기기(150)와 RS232 통신을 이용한 직렬 인터페이스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에서, VHF-DSC 연동부(340)는 조난 신호를 직렬 인터페이스 단자를 통해 외부에서 NMEA 입력으로 사용하여 기존 VHF-DSC 기기(150)의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다. The VHF-DSC linking unit 340 may transmit the received distress signal to the outside in the form of a Digital Selective Calling (DSC) message in conjunction with the VHF-DSC device 150 installed on the existing ship. In one embodiment, the VHF-DSC interworking unit 340 may be connected to the VHF-DSC device 150 through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330 through a serial interface using RS232 communication. Here, the VHF-DSC interlocking unit 340 may generate an alarm of the existing VHF-DSC device 150 by using the distress signal as an NMEA input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serial interface terminal.

LTE-M 연동부(350)는 선박에 설치되는 LTE-M 기기(160)와 연동하여 수신된 조난신호를 해상에서 100㎞ 떨어진 연안까지 대용량 데이터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LTE-M 연동부(350)는 LTE-M 기기(160)와의 연동을 통해 e-내비게이션을 구현하여 육상국에서 조난상황에 대해 중앙 제어 및 모니터링을 할 수 있다.The LTE-M interworking unit 350 may transmit the received distress signal in conjunction with the LTE-M device 160 installed on the ship as large-capacity data to a coast 100 km away from the sea. In one embodiment, the LTE-M interworking unit 350 may implement e-navigation through interworking with the LTE-M device 160 to centrally control and monitor a distress situation in a land station.

제어부(360)는 수신기(13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GPS 수신부(310), 수신부(320), 통신 인터페이스부(330), VHF-DSC 연동부(340) 및 LTE-M 연동부(350) 간의 제어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관리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36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receiver 130, and the GPS receiver 310, the receiver 320,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330, the VHF-DSC linking unit 340, and the LTE-M linking unit 350 ) To manage the control flow or data flow.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360)는 수신된 조난신호를 기초로 조난상황을 인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360)는 수신부(320)를 통해 반경 15㎞ 범위 내에 있는 송신기(110) 또는 반경 30㎞ 범위 내에 있는 중계기(120)로부터 발신되는 조난 신호가 수신되면 해상 조난자 발생으로 인지하여 조난 대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어부(36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30)를 통해 선내 알람 표시기(140)와 연동하여 조난 상황에 대응되는 특정 경고음을 출력하고 경고램프를 점등하여 선내 다른 사용자에게 조난 상황을 알릴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controller 360 may recognize a distress situation based on the received distress signal. In one embodiment, when a distress signal transmitted from a transmitter 110 within a radius of 15 km or a repeater 120 within a radius of 30 km is received through the receiver 320, the control unit 360 recognizes the occurrence of a marine distress. So you can carry out a distress response. Here, the control unit 360 may output a specific warning sound corresponding to the distress situation by interlocking with the onboard alarm indicator 140 through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330 and light the warning lamp to inform other users of the distress situation on the ship. .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360)는 조난신호가 수신된 경우 다음의 수학식을 통해 산출되는 주기 T마다 알람 표시기(140)와 연동하여 경보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a distress signal is received, the controller 360 may generate an alarm alarm in connection with the alarm indicator 140 at every period T calculated through the following equation.

[수학식][Equation]

Figure 112020035902915-pat00001
Figure 112020035902915-pat00001

여기에서, T는 주기를, T0는 기본 주기를, k는 비례 상수를, C는 알람 횟수를, N을 선박 탑승 인원수를, W는 선박 용량을, A는 조난신호 수신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360)는 선박 탑승 인원수와 선박 크기에 비례하여 주기를 감소시킬 수 있고, 조난신호 수신거리가 길수록 주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Here, T is the period, T 0 is the basic period, k is the proportional constant, C is the number of alarms, N is the number of people on board the ship, W is the vessel capacity, and A is the distress signal reception distance. have. The control unit 360 may reduce the period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people on board the ship and the size of the ship, and may increase the period as the distress signal reception distance increases.

제어부(360)는 VHF 및 LTE-M을 통해 조난상황에 대응되는 긴급 메시지를 관제 서버 및 주변 선박들에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36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30)를 통해 선내 전자해도 표시기(170)와 연동하여 조난자의 위치를 전자해도 상에 표시하여 조난자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The controller 360 may transmit an emergency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distress situation to the control server and surrounding ships through VHF and LTE-M. The controller 360 may track the location of the victim by displaying the location of the victim on the electronic chart by interlocking with the onboard electronic chart indicator 170 through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330.

도 6은 도 1에 있는 해상 조난위치 자동 발신 장치에서 수행되는 해상 조난위치 자동 발신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automatically transmitting a sea distress location performed by the apparatus for automatically transmitting a sea distress location in FIG. 1.

도 6을 참조하면, 해상 조난위치 자동 발신 장치(100)는 송신기(110)를 통해 해상 조난자 발생을 감지하여 GPS에 기반한 조난자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조난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단계 S410). 해상 조난위치 자동 발신 장치(100)는 중계기(120)를 통해 송신기(110)에서 송신되는 조난신호를 주변 선박에 해상 중계할 수 있다(단계 S420). 해상 조난위치 자동 발신 장치(100)는 중계기(120) 및 수신기(130)를 통해 조난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단계 S430). 해상 조난위치 자동 발신 장치(100)는 조난신호가 수신되면 통신 인터페이스부(330)를 통해 선내 알람 표시기(140) 및 전자해도 표시기(170)와 연동하여 경보 알람 발생 및 전자해도 상에 조난자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단계 S440). 해상 조난위치 자동 발신 장치(100)는 선내 VHF-DSC 및 LTE-M과 연동하여 조난 경보를 DSC 긴급 메시지로 전달하고 e-내비게이션을 구현할 수 있다(단계 S450).Referring to FIG. 6, the apparatus 100 for automatically transmitting a sea distress location may detect the occurrence of a sea distress through the transmitter 110 and transmit a distress signal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istress based on GPS (step S410). The apparatus 100 for automatically transmitting a maritime distress location may relay a distress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110 through the repeater 120 to a nearby vessel (step S420). The maritime distress location automatic transmission device 100 may receive a distress signal through the repeater 120 and the receiver 130 (step S430). When a distress signal is received, the apparatus 100 for automatically transmitting a distress position at sea generates an alarm alarm and locates the victim on the electronic chart by interlocking with the onboard alarm indicator 140 and the electronic chart indicator 170 through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330. Can be displayed (step S440). The apparatus 100 for automatically transmitting a maritime distress location may transmit a distress alert as a DSC emergency message by interworking with VHF-DSC and LTE-M on board, and implement e-navigation (step S450).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You will understand that you can do it.

100: 해상 조난 위치 자동 발신 장치
110: 송신기 120: 중계기
130: 수신기 140: 알람 표시기
150: VHF-DSC 기기 160: LTE-M 기기
170: 전자해도 표시기
210: GPS 수신부 220: 물 감지센서
230: SOS 버튼 240: 발신부
250: 표시부 260: 전원부
270: 제어부
310: GPS 수신부 320: 수신부
330: 통신 인터페이스부 340: VHF-DSC 연동부
350: LTE-M 연동부 360: 제어부
100: sea distress location automatic transmitter
110: transmitter 120: repeater
130: receiver 140: alarm indicator
150: VHF-DSC device 160: LTE-M device
170: electronic chart indicator
210: GPS receiver 220: water detection sensor
230: SOS button 240: transmitter
250: display unit 260: power supply unit
270: control unit
310: GPS receiver 320: receiver
330: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340: VHF-DSC interlocking unit
350: LTE-M linkage unit 360: control unit

Claims (6)

해상 조난시에 조난자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조난신호를 발신하는 개인 휴대 송신기;
상기 송신기로부터 조난신호를 수신하고 전자해도에 조난 위치정보를 표시하여 조난자의 위치를 인지시키고, 조난신호를 VHF-DSC 및 LTE-M을 통해 외부 전달하는 수신기; 및
상기 송신기와 상기 수신기 사이에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조난신호를 중계하는 중계기를 포함하되,
상기 중계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박에 설치되어 주변 중계기와 해상에서의 애드혹(Ad-Hoc)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상기 조난 발신 범위를 확대하고,
상기 수신기는
선내 알람 표시기 및 전자해도 표시기와 각각 RS485 통신을 이용한 직렬 인터페이스(serial interface)로 연결하고, 상기 송신기로부터 또는 상기 중계기를 통해 조난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송신기와의 접속이 끊어지는 경우에도 상기 알람 표시기를 연동하여 선내 경보 알람을 발생하여 조난 상황을 인지시키는 클로즈루프(Close-Loop)로 동작하고, 상기 전자해도 표시기를 연동하여 전자해도 화면에 조난자 위치정보를 표시하여 조난자 위치를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조난위치 자동 발신 장치.
A personal portable transmitter that transmits a distress signal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person in distress at sea;
A receiver for receiving a distress signal from the transmitter and displaying distress location information on an electronic chart to recognize the location of a person in distress and transmitting the distress signal to the outside through VHF-DSC and LTE-M; And
Including a repeater wirelessly connected between the transmitter and the receiver to relay the distress signal,
The repeater is
It is installed on at least one ship to form an ad-hoc network at sea with a neighboring repeater to expand the range of the distress transmission,
The receiver
The alarm indicator is connected to the onboard alarm indicator and the electronic chart indicator through a serial interface using RS485 communication, respectively, and when a distress signal is received from the transmitter or through the repeater, the alarm indicator is displayed even when the connection with the transmitter is disconnected. Maritime characterized in that it operates as a Close-Loop to recognize the distress situation by interlocking with the ship's alarm alarm, and display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ictim on the electronic chart screen by interlocking the electronic chart indicator to inform the location of the victim. Automatic distress location transmit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는
상기 송신기 및 상기 수신기와 동일 주파수를 사용하여 상기 조난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조난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선내 알람 표시로 조난 발생을 알리고 선내에 VHF-DSC 기기가 탑재된 경우에 상기 VHF-DSC 기기와 연동하여 DCS 발신을 전송하고 선내에 LTE-M 기기가 탑재된 경우에 상기 LTE-M 기기와 연동하여 LTE-M을 통해 조난 발신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조난위치 자동 발신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peate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distress signal using the same frequency as the transmitter and the receiver, and when the distress signal is received, an onboard alarm display notifies the occurrence of distress and interlocks with the VHF-DSC device when a VHF-DSC device is mounted on board By transmitting the DCS transmission and, when the LTE-M device is mounted on board the ship, the automatic distress location transmiss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he distress transmission through the LTE-M in conjunction with the LTE-M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안테나를 통해 GPS 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GPS 수신부;
물 접촉을 통해 자동으로 해상 조난상황을 센싱하는 물 감지센서;
조난자의 조작을 통해 수동으로 구조 요청 신호(SOS)를 입력하는 SOS 버튼;
상기 해상 조난상황 자동 센싱시 혹은 상기 SOS 수동 입력시 상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조난 신호를 생성하여 발신하는 발신부; 및
배터리 잔량 및 동작 상태를 LED 점멸 또는 발광 색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조난위치 자동 발신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ransmitter
A GPS receiver for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from a GPS satellite through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antenna;
A water detection sensor that automatically senses a maritime distress situation through water contact;
SOS button for manually inputting a rescue request signal (SOS) through manipulation of a victim;
A transmitter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distress signal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when automatically sensing the maritime distress situation or when the SOS is manually input; And
An automatic maritime distress location transmitter compris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remaining battery capacity and operation status in LED blinking or luminous color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선박에 탑재된 VHF-DSC(Very High Frequency-Digital Selective Calling) 기기와 RS232 통신을 이용한 직렬 인터페이스로 연결하고 상기 조난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VHF-DSC 기기의 NMEA 입력으로 사용하여 상기 VHF-DSC 기기를 연동하여 상기 조난신호를 VHF를 통해 DSC 메시지로 외부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조난위치 자동 발신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ceiver
The VHF-DSC (Very High Frequency-Digital Selective Calling) device mounted on the ship is connected to a serial interface using RS232 communication, and when the distress signal is received, the VHF-DSC device is used as the NMEA input of the VHF-DSC device. An automatic maritime distress location transmitter, characterized in that interlocking and externally transmitting the distress signal as a DSC message through VH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안테나를 통해 GPS 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GPS 수신부;
상기 조난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선내 전자해도 표시기에 상기 조난신호에 포함되는 조난자의 위치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전자해도 표시기와 통신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선박에 탑재된 VHF-DSC 기기와 연동하여 상기 수신된 조난신호를 VHF를 통해 DSC 메시지로 외부 전달하는 VHF-DSC 연동부; 및
선박에 탑재된 LTE-M 기기와 연동하여 상기 수신된 조난신호를 LTE를 통해 전송하는 LTE-M 연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조난위치 자동 발신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ceiver
A GPS receiver for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from a GPS satellite through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antenna;
A receiver for receiving the distress signal;
A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for performing a communication interface with the electronic chart indicator to display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ictim included in the distress signal on the onboard electronic chart indicator;
A VHF-DSC interlocking unit interlocking with a VHF-DSC device mounted on a ship to externally transmit the received distress signal as a DSC message through VHF; And
An automatic maritime distress location transmitter comprising an LTE-M link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received distress signal through LTE in connection with an LTE-M device mounted on a ship.
KR1020200041977A 2020-04-07 2020-04-07 Apparatus for automatic transmission of maritime distress location KR1021492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1977A KR102149203B1 (en) 2020-04-07 2020-04-07 Apparatus for automatic transmission of maritime distress location
PCT/KR2021/004279 WO2021206417A1 (en) 2020-04-07 2021-04-06 Apparatus for automatic transmission of maritime distress lo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1977A KR102149203B1 (en) 2020-04-07 2020-04-07 Apparatus for automatic transmission of maritime distress loc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9203B1 true KR102149203B1 (en) 2020-08-31

Family

ID=72234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1977A KR102149203B1 (en) 2020-04-07 2020-04-07 Apparatus for automatic transmission of maritime distress location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49203B1 (en)
WO (1) WO2021206417A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8798B1 (en) * 2021-11-01 2022-10-26 주식회사 비아이씨티 Drowning person search and rescue system using automatic maritime radio device
WO2024038952A1 (en) * 2022-08-17 2024-02-22 주식회사 비아이씨티 Person overboard search and rescue system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403B1 (en) * 2007-03-22 2008-11-03 주식회사 알에프테크윈 Wireless Vessel Passing System
KR101356022B1 (en) * 2012-07-19 2014-01-29 에이피위성통신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distress position using satellite communication
KR101388608B1 (en) * 2013-08-12 2014-04-23 대한민국 Automatic voice alarm system for improving cognition at receiving message about sea emergency signal
KR101728500B1 (en) * 2016-07-29 2017-04-20 세영정보통신(주) Ship distress and safety system using radio transceiver and gateway
KR101836831B1 (en) 2017-08-28 2018-03-09 (주)에스알씨 Distress response apparatus for ship based on wearable devices
KR20180032848A (en) 2016-09-23 2018-04-02 (주)지엠티 Marine Search And Rescue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Using Personal Location Transponder Which is Based On V-PAS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1680A (en) * 2017-12-29 2019-07-09 (주)에어포인트 For marine rescue real time control escalation and single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403B1 (en) * 2007-03-22 2008-11-03 주식회사 알에프테크윈 Wireless Vessel Passing System
KR101356022B1 (en) * 2012-07-19 2014-01-29 에이피위성통신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distress position using satellite communication
KR101388608B1 (en) * 2013-08-12 2014-04-23 대한민국 Automatic voice alarm system for improving cognition at receiving message about sea emergency signal
KR101728500B1 (en) * 2016-07-29 2017-04-20 세영정보통신(주) Ship distress and safety system using radio transceiver and gateway
KR20180032848A (en) 2016-09-23 2018-04-02 (주)지엠티 Marine Search And Rescue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Using Personal Location Transponder Which is Based On V-PASS
KR101836831B1 (en) 2017-08-28 2018-03-09 (주)에스알씨 Distress response apparatus for ship based on wearable device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8798B1 (en) * 2021-11-01 2022-10-26 주식회사 비아이씨티 Drowning person search and rescue system using automatic maritime radio device
WO2024038952A1 (en) * 2022-08-17 2024-02-22 주식회사 비아이씨티 Person overboard search and rescue system
KR20240024557A (en) 2022-08-17 2024-02-26 주식회사 비아이씨티 Drowning search and rescu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06417A1 (en) 2021-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33795B1 (en) Location based communications system
US10154401B2 (en) Safety device utilizing a beacon
US7176832B2 (en) Safety system at sea for accurately locating a shipwrecked navigator
KR101430357B1 (en) Search and rescue transmitter device using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channels
KR100866403B1 (en) Wireless Vessel Passing System
US11830337B2 (en) Signal device for maritime distress rescue and surveilance device for maritime distress rescue
JP2008531984A (en) Signal transmission / position detection device for individuals in the sea and method of use thereof
KR102149203B1 (en) Apparatus for automatic transmission of maritime distress location
CN102109595A (en) Search and rescue system and search and rescue method using personal positioning terminal
KR102098778B1 (en) Lafesaving system on sea using geofenc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ethod for processing thereof
KR20200106278A (en) Apparatus for transmitting the position of the victim over the sea and search drone operating system
KR100404428B1 (en) Artificial Intelligence Type Warning System at Sea Disaster
KR101836831B1 (en) Distress response apparatus for ship based on wearable devices
JP5559488B2 (en) Water drop detection device
KR101389452B1 (en) Floting position pursuit apparatus of live jacket
JP2010092245A (en) Safety navigation network system for vessel
KR101995259B1 (en) Man overboard alert apparatus using wireless device
KR101728500B1 (en) Ship distress and safety system using radio transceiver and gateway
CN111386713B (en) Portable marine sign indicating system
KR102458798B1 (en) Drowning person search and rescue system using automatic maritime radio device
KR102192784B1 (en) Maritime life saving system with a geofenc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function
KR20190081680A (en) For marine rescue real time control escalation and single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2507801B1 (en) Fishing net loc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automatic maritime radio device
KR20240024557A (en) Drowning search and rescue system
CN216871360U (en) Emergent SOS device of thing networking satelli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