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9175B1 - Vehicle accident detection and emergency call service system based on data and method for processing thereof - Google Patents

Vehicle accident detection and emergency call service system based on data and method for processing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9175B1
KR102149175B1 KR1020190166389A KR20190166389A KR102149175B1 KR 102149175 B1 KR102149175 B1 KR 102149175B1 KR 1020190166389 A KR1020190166389 A KR 1020190166389A KR 20190166389 A KR20190166389 A KR 20190166389A KR 102149175 B1 KR102149175 B1 KR 102149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event
vehicle
driver
accid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63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노희섭
김기홍
홍성권
임상일
박영기
구자덕
김병석
김경종
Original Assignee
제주특별자치도
주식회사 싸인텔레콤
에이케이티공간정보 주식회사
제이아이엔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특별자치도, 주식회사 싸인텔레콤, 에이케이티공간정보 주식회사, 제이아이엔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주특별자치도
Priority to KR1020190166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917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9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917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 G08G1/09670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the received information might be used to generate an automatic action on the vehicle control
    • G08G1/096716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the received information might be used to generate an automatic action on the vehicle control where the received information does not generate an automatic action on the vehicl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brak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52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with provision for determining speed or overspe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 G08G1/096733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a selection of the information might take place
    • G08G1/09675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a selection of the information might take place where a selection from the received information takes place i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72Driver physiolo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3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8Radar; Laser, e.g. lidar
    • B60W2420/42
    • B60W2420/5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based accident detection and emergency response service system and a processing method thereof. The accident detection and emergency response servic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and collects various information such as location information in accordance with vehicle operation, driver status information, and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in real time using a high-precision location-based IoT agent installed in the vehicle, analyzes and learns the same to predict the occurrence of events, and induces safe driving and prevents traffic accidents by alerting a driver to prepare for an accident when an even is predicted.

Description

데이터 기반의 사고 감지 및 긴급 대응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VEHICLE ACCIDENT DETECTION AND EMERGENCY CALL SERVICE SYSTEM BASED ON DATA AND METHOD FOR PROCESSING THEREOF}Data-based accident detection and emergency response service system and its handling method {VEHICLE ACCIDENT DETECTION AND EMERGENCY CALL SERVICE SYSTEM BASED ON DATA AND METHOD FOR PROCESSING THEREOF}

본 발명은 사고 감지 및 긴급 대응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고정밀의 위치 기반 플랫폼을 이용하여 차량 운행에 따른 운전자 상태와 차량 운행 상태 등 다양한 정보들을 센서 기반으로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수집 및 취합하고, 수집된 정보들을 분석 및 학습하여 차량 운행 중 이벤트 발생을 예측하고, 이벤트에 대응하여 긴급 대응 서비스를 사전에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데이터 기반의 사고 감지 및 긴급 대응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cident detection and emergency response service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by using a high-precision location-based platform, various information such as driver status and vehicle operation status according to vehicle operation are collected and collected in real time or periodically based on sensors. And, it relates to a data-based accident detection and emergency response service system that analyzes and learns the collected information to predict the occurrence of an event while driving a vehicle, and provides an emergency response service to a driver in advance in response to the event, and a processing method thereof. .

최근에는 급속히 늘어난 자동차로 인해, 교통 사고의 발생률이 급속히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교통 사고는 심각한 사회적 경제적 피해를 주고 있다. 특히 졸음 운전으로 인한 교통 사고의 발생률은 일반 교통 사고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사고 발생 시점에 운전자가 사고 발생을 인지하지 못한 상황이 대부분이므로, 대형 사고의 발생 확률이 더욱 높다.In recent years, due to the rapidly increasing number of automobiles, the incidence of traffic accidents is rapidly increasing. Traffic accidents are causing serious social and economic damage. In particular, the incidence of traffic accidents due to drowsy driving is higher than that of general traffic accidents, and since most of the situations in which the driver is not aware of the occurrence of the accident at the time of the accident, the probability of a large accident is higher.

일반적으로 차량 운행 중에 교통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 사고 차량 내에 탑승한 운전자 및 승객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사고 발생 이후에 신속한 사고 처리 및 구조 작업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In general, when a traffic accident occurs while a vehicle is operating, in order to minimize the damage to the driver and passengers in the vehicle in the accident, rapid accident handling and rescue work must be performed after the accident.

이에 ICT 기술의 발전에 따라 교통 사고 발생 시, 차량 긴급 구난 체계 서비스(emergency call service : e-Call service) 등과 같이 ICT 기술을 활용하여 신속하게 처리하기 위한 사고 긴급 대응 시스템의 구축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국토교통부 및 도로교통안전공단 등에서는 차량의 사고에 대한 골든타임 확보를 위해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이에 차량에 사고 감지를 위한 e-Call 단말기를 설치하고, 충격에 의한 임계치 값을 분석하여 물리적인 환경에서 교통 사고에 대한 긴급 대응 체계를 구축하는 등의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Accordingly, with the development of ICT technology, research on the establishment of an accident emergency response system to promptly deal with the use of ICT technology such as vehicle emergency call service (e-Call service) in case of a traffic accident is actively conducted. It is a situation in progress. For example,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nd the Road Traffic Safety Authority are seeking various measures to secure a golden time for vehicle accidents. Accordingly, technologies such as installing an e-Call terminal to detect an accident in a vehicle and analyzing a threshold value due to an impact to establish an emergency response system for a traffic accident in a physical environment are being developed.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77671호(공개일 2018년 07월 09일)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8-0077671 (published on July 09, 2018)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11027호(공고일 2017년 03월 13일)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711027 (announced on March 13, 2017)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93537호(공고일 2019년 06월 26일)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993537 (announced on June 26, 2019)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72077호(공개일 2019년 06월 25일)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9-0072077 (published on June 25, 2019)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에 설치된 센서들과 사물인터넷 에이전트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운전자 상태와 차량 운행 상태에 대한 정보를 감지 및 수집하고, 이를 분석 및 학습하여 졸음 운전, 교통 사고 등의 사고 발생을 감지 및 예측하고, 감지 또는 예측된 사고에 대한 긴급 대응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이터 기반의 사고 감지 및 긴급 대응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ct and collect information on driver status and vehicle operation status in real time using sensors installed in a vehicle and an IoT agent, and to analyze and learn this to detect accidents such as drowsy driving and traffic accidents. And a data-based accident detection and emergency response service system that predicts, provides an emergency response service for the detected or predicted accident, and a process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정밀의 GNSS 플랫폼을 이용하여 차량의 운행에 따른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 및 보정하고, 차량의 운행 중에 발생되는 이벤트가 예측되면, 해당 이벤트에 대해 운전자에게 사전에 안내하거나 경보를 발생시켜서 사고를 예방하는 데이터 기반의 사고 감지 및 긴급 대응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easure and correct the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in real time using a high-precision GNSS platform, and when an event occurring during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is predicted, the driver is notified or alerted about the event It is to provide a data-based accident detection and emergency response service system and a processing method that prevents accidents by generating them.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량 운행에 따른 다양한 정보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분석 및 학습하고 사고 예측 알고리즘과 공간 분석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감지 및 예측하여 감지 또는 예측된 이벤트에 대한 긴급 대응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이터 기반의 사고 감지 및 긴급 대응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ct various information according to vehicle operation, analyze and learn the detected information, and detect and predict the occurrence of an event using an accident prediction algorithm and spatial analysis to respond to a detected or predicted event in an emergency. It is to provide a data-based accident detection and emergency response service system that provides a service, and a method of processing the same.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기반의 사고 감지 및 긴급 대응 서비스 시스템은 실시간으로 차량 운행에 따른 다양한 정보들을 센서 기반으로 감지하여 사물인터넷 에이전트를 통해 수집 및 취합하고, 수집된 정보들을 분석 및 학습하여 차량 운행 중에 발생되는 다양한 이벤트에 대응하는 긴급 대응 서비스를 운전자에게 제공하도록 하는데 그 한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사고 감지 및 긴급 대응 서비스 시스템은 감지된 다양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고를 예측하고, 사고 예방 및 예측 학습을 통해 긴급 대응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차량 운행 중에 발생되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s, the data-based accident detection and emergency response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various information according to vehicle operation in real time based on a sensor, collects and aggregates through an IoT agent, and collects the collected information. One feature is to provide drivers with emergency response services corresponding to various events occurring during vehicle operation by analyzing and learning. The accident detection and emergency response servic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predicts an accident based on a variety of sensed data, and provides an emergency response service through accident prevention and predictive learning, thereby preventing an accident that occurs during vehicle operation.

이 특징에 따른 본 발명의 데이터 기반의 사고 감지 및 긴급 대응 서비스 시스템은, 운행 중인 차량의 운전자가 착용하고, 운전자의 심박수 정보와 움직임에 따른 가속도 정보를 감지하는 스마트 밴드; 상기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고, 제1 카메라 모듈을 구비하고 운전자의 홍채와 얼굴이 포함된 영상을 획득하여 운전자 상태 정보를 감지하는 운전자 상태 모니터링 장치; 상기 차량에 설치되고, 제2 카메라 모듈을 구비하여 차량 운행 중에 주변 영상을 획득하고, 레이더 모듈을 구비하여 상기 차량의 주변 상황에 대한 객체의 유무와 객체와의 거리를 감지하고, 상기 제2 카메라 모듈과 상기 레이더 모듈 및 상기 차량의 운행 기록 자기 진단 장치로부터 차량 운행에 따른 차량 운행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아서 운전자 지원 정보를 생성하는 첨단 운전자 지원 장치; 상기 차량에 설치되고 인공 위성을 통해 복수 개의 기지국들과 연결되어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고, 상기 스마트 밴드와 상기 운전자 상태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심박수 정보와 가속도 정보 및 운전자 상태 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첨단 운전자 지원 장치로부터 운전자 지원 정보를 전송받아서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와 운전자 상태 정보 및 차량 운행 정보를 전송하는 위성 항법 단말기; 및 복수 개의 차량들 각각에 구비되는 상기 위성 항법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와 운전자 상태 정보 및 차량 운행 정보를 수집 및 취합하고, 수집된 정보들을 분석 및 학습하여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거나 예측하고, 이벤트 발생이 감지 또는 예측되면, 운전자 단말기로 이벤트 발생에 따른 알림 정보를 전송하는 긴급 대응 서비스를 제공하는 긴급 대응 서비스 서버를 포함한다.The data-based accident detection and emergency response servic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is feature includes: a smart band worn by a driver of a vehicle in operation and detecting heart rate information of the driver and acceler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movement; A driver condition monitoring device installed inside the vehicle, having a first camera module, and detecting driver condition information by acquiring an image including the driver's iris and face; It is installed in the vehicle, a second camera module is provided to acquire surrounding images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and a radar module is provided to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bject in the surrounding situation of the vehicle and the distance to the object, and the second camera A state-of-the-art driver assistance device for generating driver assistance information by receiving vehicle driving information according to vehicle operation in real time from a module, the radar module, and the vehicle driving record self-diagnosis device; It is installed on the vehicle and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through an artificial satellite to obtai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in real time, and receive heart rate information, acceleration information, and driver status information from the smart band and the driver condition monitoring device, and the A satellite navigation terminal that receives driver assistance information from a state-of-the-art driver assistance device and transmits location information, driver status information, and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collecting and collecting the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driver state information, and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atellite navigation terminal provided in each of a plurality of vehicles, and analyzing and learning the collected information to detect or predict an event occurrence. And an emergency response service server that provides an emergency response service for transmitting not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the event to a driver terminal when an event occurrence is detected or predicted.

이 특징에 있어서, 상기 사고 감지 및 긴급 대응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운행 기록 자기 진단 장치가 상기 첨단 운전자 지원 장치로부터 이벤트 발생에 따른 알림 명령을 받아서 브레이크 엑츄에이터의 작동시키면 긴급 제동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첨단 운전자 지원 장치로 전송하는 자동 비상 제동 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첨단 운전자 지원 장치는 전송된 긴급 제공 정보를 운전자 지원 정보에 포함시켜서 상기 위성 항법 단말기로 전송한다.In this feature, the accident detection and emergency response service system generates emergency braking information when the driving record self-diagnosis device receives a notification command according to an event occurrence from the advanced driver assistance device and operates the brake actuator to generate emergency braking information. Further comprising an automatic emergency braking device for transmitting to the support device; The advanced driver assistance device includes the transmitted emergency provision information in driver assistance information and transmits it to the satellite navigation terminal.

이 특징에 있어서, 상기 긴급 대응 서비스 서버는, 상기 위성 항법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일정 범위의 지오펜스 영역을 설정하고, 설정된 지오펜스 영역들 각각에 대응하는 영역 설정값을 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은 지역 순으로 높은 값을 갖도록 설정한다.In this feature, the emergency response service server sets a certain range of geo-fence areas in response to the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atellite navigation terminal, and sets an area setting valu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set geo-fence areas to cause an accident. Set to have the highest value in the order of the highest region.

이 특징에 있어서, 상기 긴급 대응 서비스 서버는, 사고 예측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수집된 정보들을 통해 차량 운행 중에 발생 가능한 이벤트들에 대해 단계별로 우선 순위를 설정하고,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이벤트 발생 가능성을 단계별로 판별하여 이벤트를 감지 및 예측한다.In this feature, the emergency response service server sets priorities in stages for events that may occur during vehicle operation through the collected information using an accident prediction algorithm, and determines the possibility of event occurrence according to the set priority. It detects and predicts events by discriminating step by step.

이 특징에 있어서, 상기 긴급 대응 서비스 서버는, 상기 자동 비상 제동 장치에 의해 감지된 제1 이벤트, 상기 첨단 운전자 지원 장치에 의해 감지된 제2 이벤트, 상기 운전자 상태 모니터링 장치에 의해 감지된 제3 이벤트, 상기 스마트 밴드에 의해 감지된 제4 이벤트, 상기 위성 항법 단말기에 의해 감지된 제5 이벤트로 구분하고; 상기 우선 순위는 5 단계로 설정되고, 제1 우선 순위는 상기 제1 이벤트 내지 상기 제3 이벤트와 상기 제5 이벤트가 동시에 감지되는 경우이고, 제2 우선 순위는 상기 제1 이벤트와 상기 제2 이벤트와 상기 제4 이벤트 및 상기 제5 이벤트가 동시에 감지되는 경우이고, 제3 우선 순위는 상기 제2 이벤트와 상기 제3 이벤트와 상기 제4 이벤트 및 상기 제5 이벤트가 동시에 감지되는 경우이고, 제4 우선 순위는 상기 스마트 밴드가 미착용된 상태를 고려하여 상기 제2 이벤트와 상기 제3 이벤트 및 상기 제5 이벤트가 동시에 감지되는 경우이며, 그리고 제5 우선 순위는 주행 중 이유없이 멈춘 경우에 해당되는 상기 제5 이벤트가 감지되는 경우로 설정된다.In this feature, the emergency response service server comprises: a first event detected by the automatic emergency braking device, a second event detected by the advanced driver assistance device, and a third event detected by the driver condition monitoring device. , A fourth event sensed by the smart band and a fifth event sensed by the satellite navigation terminal; The priority is set to five levels, a first priority is when the first event to the third event and the fifth event are simultaneously detected, and a second priority is the first event and the second event And the fourth event and the fifth event are simultaneously detected, and a third priority is when the second event, the third event, the fourth event, and the fifth event are simultaneously detected, and a fourth The priority is when the second event, the third event, and the fifth event are detected at the same time in consideration of the state in which the smart band is not worn, and the fifth priority is the case where the smart band is stopped for no reason while driving. It is set as a case where the fifth event is detect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기반의 사고 감지 및 긴급 대응 서비스 시스템은 차량들 각각의 GNSS 기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다양한 센서들을 통해 실시간으로 운행 중인 차량의 운전자 상태와 차량 운행 상태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수집 및 취합하여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이를 분석 및 반복 학습하여 사고 발생을 감지 및 예측하여 운전자에게 사고 발생 이전 긴급 대응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ata-based accident detection and emergency response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quires GNSS-based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vehicle, and provides information on the driver status and vehicle operation status of the vehicle in real time through various sensors. It is possible to collect and collect various information to build big data, analyze and learn it repeatedly to detect and predict an accident, and provide emergency response services before an accident to the driver.

또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기반의 사고 감지 및 긴급 대응 서비스 시스템은 다양한 센서 정보들을 조합하여 단계별로 사고를 감지 및 예측하고, 공간 분석을 통해 영역 설정값을 적용하여 사고 감지 및 예측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data-based accident detection and emergency response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accuracy of accident detection and prediction by combining various sensor information to detect and predict an accident step by step, and apply a zone setting value through spatial analysis. have.

또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기반의 사고 감지 및 긴급 대응 서비스 시스템은 GNSS 플랫폼을 이용하여 짧은 주기의 주행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분석하여 교통 안전 및 사고 예방 활동에 적용하거나, 지도 안내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하도록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데이터 운영 플랫폼을 구축하여 경찰청, 도로교통공단 및 지방자치단체 등 관련 기관들 뿐만 아니라, 네비게이션 업체, 공공 데이터 포털 등의 민간에게도 제공하여 교통 사고를 줄일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토대를 마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ata-based accident detection and emergency response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quires short-period driving information using the GNSS platform and analyzes it to apply to traffic safety and accident prevention activities, or to various fields such as guidance and guidance services. By establishing a data operation platform that can provide relevant information so that it is possible, various organizations that can reduce traffic accidents are provided not only to related organizations such as the National Police Agency, Road Traffic Authority, and local governments, but also to the private sector such as navigation companies and public data portals. It can lay the foundation for providing services.

또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기반의 사고 감지 및 긴급 대응 서비스 시스템은 공공 데이터로 다양한 응용에 적용할 수 있도록 개방하여 데이터의 품질과 표준 확보, 다양한 데이터 양과 포맷 지원 및 다양한 형태 및 용도로 제공이 가능하며, 지속적인 관리가 가능하다.In addition, the data-based accident detection and emergency response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 to be applied to various applications as public data to secure data quality and standards, support various data volumes and formats, and provide them in various forms and uses. , Continuous management is possible.

또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기반의 사고 감지 및 긴급 대응 서비스 시스템은 도로교통공단 등과 같은 사건 지원 시스템에 긴급 대응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경찰에 접수된 교통 사망 사고 정보, 교통 약자 및 사고 특성별 사고 다발 지역 정보, 과거 발생한 교통 사고와 기상 및 돌발 등에 의한 사고에 대한 데이터와 융복합 분석하여 실시간으로 경찰청과 도로교통공단 등에서 교통 사고 분석 시스템과 공공 데이터 포털 등을 통해 교통 사망 사고 위치 정보, 교통 사고 정보, 사고 다발지 정보, 도로 위험도 지수 등의 정보를 개방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업계에서 교통 사고를 줄일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ata-based accident detection and emergency response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information related to emergency response services to an incident support system such as the Road Traffic Authority, etc., traffic fatal accident information, traffic weakness, and accident characteristics. Information on the location of traffic fatal accidents through traffic accident analysis systems and public data portals at the National Police Agency and Road Traffic Authority in real time by fusion analysis with data on accident-prone area information, past traffic accidents, weather, and accidents, etc. By opening information such as traffic accident information, accident location information, and road risk index, it is possible to provide various services that can reduce traffic accidents in various industries.

또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기반의 사고 감지 및 긴급 대응 서비스 시스템은 네비게이션 업체 등 민간 업계에 제공하는 경우, 보다 입체적인 지도 안내 서비스를 통해 도로 유형 및 운전자 차량 유형에 따른 차별화된 도로 위험도 지수를 제공하여 사고 안내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안내 내용의 다양성을 확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이 특정 시간대에 특정 지역을 통과할 때, 해당 지역은 00시 ~ 00시 사이에 사망사고가 집중되는 고위험 지역임을 알려주거나, 또한 사망사고 빈발 지역 통과 시, 운전자에게 자동 알림 서비스를 제공해 선제적인 사고 감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data-based accident detection and emergency response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private industries such as navigation companies, a differentiated road risk index according to the road type and driver vehicle type is provided through a more three-dimensional map guidance service. It can improve the accuracy of guidance and expand the diversity of guidance content. For example, when a vehicle passes a specific area at a specific time, the area is notified that it is a high-risk area where fatal accidents are concentrated between 00:00 and 00:00, or when passing through an area with frequent fatal accidents, an automatic notification service to the driver It can be expected to preemptively reduce accidents.

또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기반의 사고 감지 및 긴급 대응 서비스 시스템은 보험업계에서 이용하는 경우, 개방한 데이터를 활용한 다양한 특약 및 할증 옵션 상품을 통해 보험 계약자들의 만족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data-based accident detection and emergency response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the insurance industry,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insurance contractors through various special contracts and premium option products using open data.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기반의 사고 감지 및 긴급 대응 서비스 시스템은 연구기관들에서 교통 안전을 위한 연구 시, 기존에 제공 중인 교통 소통 정보에 교통 사고 정보를 활용하여 연구의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사고 분석 및 통계 자료의 정확도를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In addition, the data-based accident detection and emergency response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ecure diversity of research by utilizing traffic accident information in existing traffic communication information when researching for traffic safety in research institutes, It is expected to be able to improve the accuracy of accident analysis and statistical data.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기반의 사고 감지 및 긴급 대응 서비스 시스템은 지방자치단체에서 교통 사고 빈발 지역에 대한 도로 구조 개편 및 신호 체계 개선 등의 공익사업 활성화에 적용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교통 사망 사고 위치 정보 활용으로 교통 사고 발생율 감소에 따른 사회적 비용 절감의 효과와 데이터 산업 발전에 따른 일자리 창출 증대 효과를 통해 국민의 안정과 편의를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In addition, the data-based accident detection and emergency response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revitalization of public service projects such as road structure reorganization and signal system improvement in areas with frequent traffic accidents in local governments. The use of accident location information is expected to improve the stability and convenience of the public through the effect of reducing social costs by reducing the incidence of traffic accidents and increasing job creation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 data industr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기반의 사고 감지 및 긴급 대응 서비스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기반의 사고 감지 및 긴급 대응 서비스 시스템의 처리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 그리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사고 감지 및 예측 루틴의 처리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network configuration of a data-based accident detection and emergency response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artial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shown in FIG. 1;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erver shown in FIG. 1;
4 is a flow chart showing the processing procedure of the data-based accident detection and emergency response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5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dure of the accident detection and prediction routine shown in FIG. 4.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서술하는 실시예로 인해 한정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구성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진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is embodiment is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erefore, the shape of the constituent elements in the drawings is exaggerated in order to emphasize a more clear description.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기반의 사고 감지 및 긴급 대응 서비스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그리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network configuration of a data-based accident detection and emergency response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artial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shown in FIG. 1, and FIG. It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erver shown in 1.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사고 감지 및 긴급 대응 서비스 시스템(2)은 사물인터넷 에이전트(IoT Agent)를 이용하여 차량 운행에 따른 다양한 정보들을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들을 조합하여 데이터 기반의 긴급 사고를 대응하는 긴급 대응 서비스(e-Call service)를 제공하기 위하여, 차량 운행 중 차량의 위치와 운전자 상태 및 차량 운행 상태에 따른 다양한 정보를 감지하고, 이를 수집 및 취합하여 사전에 졸음 운전, 교통 사고 등의 이벤트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 및 예측하고, 수집된 정보들을 분석 및 학습하여 예측된 이벤트에 대한 긴급 대응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이벤트에는 예를 들어, 운전자의 졸음 운전, 급격한 심신 상태 변화, 과속, 급출발, 급정지, 급차선 변경, 앞차와의 추돌, 도로 위험도 상황 등이 포함된다.1 to 3, the accident detection and emergency response service system 2 of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various information according to vehicle operation using an IoT agent, and combines the collected information to provide data. In order to provide an e-Call service that responds to an emergency based on an emergency, it detects variou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vehicle, the driver's state, and the vehicle operation state while the vehicle is driving, collects and collects it, and sleeps in advance. It monitors and predicts the occurrence of events such as driving and traffic accidents, analyzes and learns collected information, and provides emergency response services to predicted events. Here, the events include, for example, a driver's drowsy driving, a sudden change in mental and physical condition, speeding, sudden start, sudden stop, sudden lane change, collision with a vehicle ahead, and a road hazard situation.

이러한 본 발명의 사고 감지 및 긴급 대응 서비스 시스템(2)은 차량에 설치된 고정밀 위치 기반의 사물인터넷 에이전트(IoT Agent)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차량 운행에 따른 위치 정보와 운전자 상태 정보 및 차량 운행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감지 및 수집하고, 이를 분석 및 학습하여 이벤트 발생을 예측하고, 이벤트가 예측되면 운전자에게 사고를 대비한 경고를 알람하여 안전 운행 및 교통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The accident detection and emergency response service system 2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high-precision location-based IoT agent installed in the vehicle in real time, such as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vehicle operation, driver status information, and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It detects and collects information, analyzes and learns it, and predicts the occurrence of an event, and when an event is predic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safety driving and traffic accidents by alarming a driver in preparation for an accident.

또 본 발명의 사고 감지 및 긴급 대응 서비스 시스템(2)은 GNSS 플랫폼을 이용하여 짧은 주기의 주행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분석하여 교통 안전 및 사고 예방 활동에 적용하거나, 지도 안내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하도록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데이터 운영 플랫폼을 구축하여 경찰청, 도로교통공단 등 관련 기관들 뿐만 아니라, 네비게이션 업체, 보험업체, 공공 데이터 포털 등의 민간에게도 제공하여 교통 사고를 줄일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토대를 마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ccident detection and emergency response service system 2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fields such as traffic safety and accident prevention activities by acquiring and analyzing driving information of a short cycle using a GNSS platform, or guidance and guidance services. By constructing a data operation platform that can provide relevant information, various services that can reduce traffic accidents are provided to the private sector, such as navigation companies, insurance companies, and public data portals, as well as related organizations such as the National Police Agency and Road Traffic Authority. You can lay the groundwork to provide.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사고 감지 및 긴급 대응 서비스 시스템(2)은 통신망(4)과, 운전자가 착용하는 스마트 밴드(110), 차량(100)에 설치되는 DSM 장치(120), ADAS 장치(130), AEBS 장치(140), GNSS 단말기(150), 운전자 단말기(300) 및 긴급 대응 서비스 서버(200)를 포함한다. 또 본 발명의 사고 감지 및 긴급 대응 서비스 시스템(2)은 사고 지원 시스템(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accident detection and emergency response service system 2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network 4, a smart band 110 worn by a driver, a DSM device 120 installed in the vehicle 100, and an ADAS device 130. , AEBS device 140, GNSS terminal 150, driver terminal 300, and an emergency response service server 200. In addition, the accident detection and emergency response service system 2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accident support system 400.

구체적으로, 통신망(4)은 예를 들어,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의 무선 통신망, LTE, 5G 등의 이동 통신망, 로라(LoRa)망 등의 전용 통신망 등을 포함하고, 이들 각각의 단일 통신망 또는 혼합된 복합 통신망으로 제공될 수 있다. 통신망(4)은 차량의 GNSS 단말기(150)와 긴급 대응 서비스 서버(200) 간에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연결된다. 또 통신망(4)은 운전자 단말기(300)와 사고 지원 시스템(300)들 각각과 긴급 대응 서비스 서버(200)들 간에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연결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mmunication network 4 includes, for example,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Wi-Fi and Bluetoot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LTE and 5G, and a dedicated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 LoRa network, and each of them is a single communication network or a mixed network. It can be provided as a complex network. The communication network 4 is connected to enable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GNSS terminal 150 of the vehicle and the emergency response service server 200.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network 4 may be connected to enable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driver terminal 300 and each of the accident support systems 300 and the emergency response service servers 200.

차량(100)은 센서 기반으로 차량 운행 중의 운전자 상태와 차량 운행 상태를 감지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센서, 카메라 및 레이더 등을 구비한다. 이 실시예에서 차량(100)은 운전자 상태를 감지하는 스마트 밴드(110)와 DSM 장치(120), 차량 운행 상태를 감지하는 ADAS 장치(130)와 AEBS 장치(140)를 구비한다. 또 차량(100)은 차량의 위치를 실시간 추적하고, 긴급 대응 서비스 서버(200)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GNSS 단말기(150)를 포함한다.The vehicle 100 includes a plurality of sensors, a camera, a radar, and the like in order to detect a driver's state and a vehicle's driving state during vehicle operation based on a sensor. In this embodiment, the vehicle 100 includes a smart band 110 and a DSM device 120 for detecting a driver's state, and an ADAS device 130 and an AEBS device 140 for detecting a vehicle driving state. In addition, the vehicle 100 includes a GNSS terminal 150 for real-time tracking of the vehicle location and data communication with the emergency response service server 200.

스마트 밴드(110)는 운전자의 손목 등에 착용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운전자 정보를 구비하고, 운전자의 건강 상태, 심신 상태 등을 감지하기 위하여 운전자의 심박수 정보와 움직임에 따른 가속도 정보를 감지한다. 스마트 밴드(110)는 감지된 심박수 정보와 가속도 정보를 GNSS 단말기(150)로 전달한다. 이를 위해 스마트 밴드(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박 센서(116), 가속도 센서(118), 통신 모듈(114) 및 컨트롤러(112)를 포함한다.The smart band 110 is a wearable device worn on a driver's wrist, etc., and includes driver information, and senses heart rate information of the driver and acceler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movement in order to detect the driver's health state, mental and physical state, and the like. The smart band 110 transmits the detected heart rate information and acceleration information to the GNSS terminal 150. To this end, the smart band 110 includes a heart rate sensor 116, an acceleration sensor 118, a communication module 114, and a controller 112, as shown in FIG. 2.

심박 센서(116)는 운전자의 심신 상태나 신체 상태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를 들어, 운전자의 심박수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초, 분 단위)으로 감지하고, 감지된 심박수 정보를 컨트롤러(112)로 전달한다. 가속도 센서(118)는 운전자의 졸음 운전을 판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운전자의 움직임에 따른 가속도 정보를 측정하여 컨트롤러(112)로 전달한다. 통신 모듈(114)은 예를 들어,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의 무선 통신망, LTE, 5G 등의 이동 통신망을 통해 GNSS 단말기(150)로 운전자 정보와 심박수 정보 및 가속도 정보를 전송한다. 그리고 컨트롤러(112)는 스마트 밴드(110)의 기능을 처리하도록 심박 센서(116), 가속도 센서(118) 및 통신 모듈(114)을 제어한다.The heart rate sensor 116 detects, for example, the driver's heart rate in real time or periodically (seconds, minutes), and detects the detected heart rate information in order to determine the driver's mental and physical state or physical state. To pass. The acceleration sensor 118 measures acceler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river's movement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ler 112 in order to determine the driver's drowsy driving. The communication module 114 transmits driver information, heart rate information, and acceleration information to the GNSS terminal 150 through, for example,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Wi-Fi and Bluetooth, or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LTE and 5G. Further, the controller 112 controls the heart rate sensor 116, the acceleration sensor 118,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114 to process the functions of the smart band 110.

운전자 상태 모니터링(Driver Status Monitoring : DSM) 장치(120)는 차량(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졸음 운전 여부, 전방 주시 상태 및 피로 운전 등을 판별하기 위한 운전자 상태 정보를 감지하고 감지된 운전자 상태 정보를 GNSS 단말기(150)로 전달한다. 이 실시예의 DSM 장치(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126), 통신 모듈(124) 및 컨트롤러(122)를 포함한다.Driver Status Monitoring (DSM) device 120 is installed inside the vehicle 100 to detect driver status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driver is drowsy driving, looking ahead, and driving fatigue. The stat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GNSS terminal 150. The DSM device 120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camera module 126, a communication module 124, and a controller 122, as shown in FIG. 2.

카메라 모듈(126)은 운전자의 홍채와 안면을 인식하여 운전자의 홍채와 얼굴이 포함되는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을 컨트롤러(122)로 전달한다. 통신 모듈(124)은 예를 들어, USB 포트, 직렬 포트 등의 유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GNSS 단말기(150)로 획득된 영상 즉, 운전자 상태 정보를 전송한다. 그리고 컨트롤러(122)는 DSM 장치(120)의 기능을 처리하도록 카메라 모듈(126)와 통신 모듈(124)을 제어한다.The camera module 126 acquires an image including the driver's iris and face by recognizing the driver's iris and face, and transmits the acquired image to the controller 122. The communication module 124 transmits the acquired image, that is, driver status information, to the GNSS terminal 150 through a wired interface such as, for example, a USB port or a serial port. In addition, the controller 122 controls the camera module 126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124 to process the functions of the DSM device 120.

이러한 DSM 장치(120)는 카메라 모듈(126)을 이용한 홍채 및 안면 인식 뿐만 아니라, 운전자의 생체 및 건강 상태를 감지하는 다양한 센서들 예를 들어, 차량의 시트, 스티어링 휠, 좌석 벨트, 기어 변속기 등에 심전도 센서, 맥파 센서, 뇌전도 센서 등을 구비하고, 이를 통해 운전자의 심선도, 맥파, 뇌전도 등의 생체 정보를 감지하여 운전자의 건강 상태, 심신 상태 등을 모니터링하고, 운전자의 졸음 운전 상태, 피로 상태, 주의력 저하 상태 등의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별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마트 밴드(110)와 DSM 장치(120)를 통해 운전자의 졸음 운전 상태, 심신 상태 등을 판별할 수 있도록 운전자 상태 정보를 감지한다.This DSM device 120 not only recognizes the iris and face using the camera module 126, but also various sensors that detect the driver's biological and health status, for example, a seat of a vehicle, a steering wheel, a seat belt, a gear transmission, etc. Equipped with an electrocardiogram sensor, a pulse wave sensor, an electroencephalogram sensor, etc., through this, it detects the driver's heart diagram, pulse wave, and biometric information such as electroencephalogram to monitor the driver's health and physical condition, and the driver's drowsy driving condition and fatigue condition , It is also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an event such as an attention-lowering state has occurred.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driver state information so that the driver's drowsy driving state, mental and physical state, etc. can be determined through the smart band 110 and the DSM device 120.

첨단 운전자 지원(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 : ADAS) 장치(130)는 차량(100)의 운행 기록 자기 진단(On-Board Diagnostics-Ⅱ : OBD2) 장치(142)와 CAN 통신, OBD2 포트 등을 통해 연결되고, OBD2 장치(142)로부터 차량 운행에 따른 다양한 차량 운행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아서 ADAS 정보를 생성한다. ADAS 장치(130)는 생성된 ADAS 정보를 GNSS 단말기(150)로 전달한다. 여기서 차량 운행 정보에는 예를 들어, 차량 정보와, 차량 속도, RPM, 방향 지시등 상태, 엑셀레이터 작동 상태, 브레이트 엑츄에이터 작동 여부, 디지털 운행 기록, 긴급 제동 정보 등의 차량 운행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들이 포함되고, ADAS 정보에는 차량 운행 정보를 통해 판별된 정보들 예를 들어, 차선 인식, 차로 이탈 여부, 전방 차량 인식, 보행자 인지, 전방 객체 검출 및 거리 측정, 차량 충돌 소요 시간(Time To Collision : TTC) 등에 따른 정보와, OBD2 장치(142)로부터 전송되는 긴급 제동 정보가 포함된다. 이 실시예의 ADAS 장치(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136), 레이더 모듈(138), 통신 모듈(134) 및 컨트롤러(132)를 포함한다.The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 (ADAS) device 130 is connected to the On-Board Diagnostics-II (OBD2) device 142 of the vehicle 100 through CAN communication, OBD2 port, etc. , ADAS information is generated by receiving various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vehicle operation from the OBD2 device 142 in real time. The ADAS device 130 transmits the generated ADAS information to the GNSS terminal 150. Here, the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includes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vehicle operation, such as vehicle information, vehicle speed, RPM, turn signal status, accelerator operation status, brake actuator operation status, digital driving record, emergency braking information, etc. ADAS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determined through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such as lane recognition, lane departure, front vehicle recognition, pedestrian recognition, front object detection and distance measurement, vehicle collision time (Time To Collision: TTC), etc. Information and emergency brak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OBD2 device 142 are included. The ADAS device 130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camera module 136, a radar module 138, a communication module 134, and a controller 132, as shown in FIG. 2.

카메라 모듈(136)은 차량 운행 중에 차량 주변의 영상을 획득하여 컨트롤러(132)로 전달한다. 레이더 모듈(138)은 차량(100)의 이동에 따른 전후 차량 유무 및 전후 차량과의 거리, 보행자 유무 등을 감지하여 컨트롤러(132)로 전달한다. 통신 모듈(134)은 예를 들어, USB 포트, 직렬 포트 등의 유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GNSS 단말기(150)로 ADAS 정보를 전송한다. 그리고 컨트롤러(132)는 ADAS 장치(130)의 기능을 처리하도록 카메라 모듈(136), 레이더 모듈(138) 및 통신 모듈(134)을 제어한다. 컨트롤러(132)는 카메라 모듈(136)로부터 전송된 영상을 영상 처리 및 분석하거나 레이더 모듈(138)로부터 감지된 객체를 판별하여 차선 인식, 차로 이탈 여부, 전방 차량 인식, 보행자 인지, 전방 객체 검출 및 거리 측정, 차량 충돌 소요 시간, 긴급 제동 정보 등에 따른 ADAS 정보를 생성한다. 컨트롤러(132)는 생성된 ADAS 정보를 통신 모듈(134)을 통해 GNSS 단말기(15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또 컨트롤러(132)는 ADAS 정보에 이벤트가 발생되면, 범용 비동기화 송수신기(UART)을 통해 차량(100)의 OBD2 장치(142)로 이벤트 발생에 따른 알림 명령을 전송한다.The camera module 136 acquires an image around the vehicle while driving the vehicle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ler 132. The radar module 138 detects the presence of a front and rear vehicl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vehicle 100, a distance between the front and rear vehicles, and the presence of a pedestrian, and transmits the detection to the controller 132. The communication module 134 transmits ADAS information to the GNSS terminal 150 through a wired interface such as, for example, a USB port or a serial port. And the controller 132 controls the camera module 136, the radar module 138,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134 to process the functions of the ADAS device 130. The controller 132 processes and analyzes the image transmitted from the camera module 136 or detects an object detected from the radar module 138 to recognize lanes, whether to leave the lane, recognize the vehicle ahead, recognize the pedestrian, detect the object in front, and ADAS information is generated according to distance measurement, vehicle collision time required, and emergency braking information. The controller 132 controls to transmit the generated ADAS information to the GNSS terminal 15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134. In addition, when an event occurs in ADAS information, the controller 132 transmits a notification command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the event to the OBD2 device 142 of the vehicle 100 through a universal asynchronous transceiver (UART).

이러한 ADAS 장치(130)는 운전자의 안전 운행을 보조하는 장치로서, 레이더모듈(138)과 카메라 모듈(136) 등을 이용하여 전방 충돌 회피, 차선 이탈 경고, 사각 지대 감시, 운전자 졸음 감지, 후방 감시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ADAS 장치(130)는 운전자에게 이벤트 발생 상태를 전달할 필요가 있는 경우, 예를 들어, 소리로 경고하거나, 후사경 등에 시각적으로 표시하거나, 시트나 스티어링 휠에 떨림을 주어 운전자가 촉각적으로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The ADAS device 130 is a device that assists the driver's safe driving, and uses a radar module 138 and a camera module 136 to avoid a front collision, a lane departure warning, a blind spot monitoring, a driver's drowsiness detection, and a rear monitoring. Etc. When it is necessary to transmit the event occurrence state to the driver, the ADAS device 130 may alert the driver with a sound, visually display a rearview mirror, or shake the seat or steering wheel so that the driver can perceive it tactilely. I can.

자동 비상 제동(Advanced Emergency Braking System : AEBS) 장치(140)는 OBD2 장치(142)와 브레이크 엑츄에이터(Break Actuator : B/A)(144)를 포함하고, ADAS 장치(130)로부터 이벤트 예컨대, 전방 충돌, 차선 이탈, 보행자 인식 등이 감지되어 OBD2 장치(142)로 알림 명령이 전송되면, OBD2 장치(142)가 브레이크 엑츄에이터(B/A)(144)를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OBD2 장치(142)는 AEBS 장치(140)와 관련된 긴급 제동 정보를 ADAS 장치(130)의 컨트롤러(132)로 전송한다.The automatic emergency braking system (AEBS) device 140 includes an OBD2 device 142 and a brake actuator (B/A) 144, and an event from the ADAS device 130, such as a frontal collision , Lane departure, pedestrian recognition, etc. are detected and the notification command is transmitted to the OBD2 device 142, the OBD2 device 142 controls the brake actuator (B/A) 144 to be automatically operated. Accordingly, the OBD2 device 142 transmits emergency brak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AEBS device 140 to the controller 132 of the ADAS device 130.

위성 항법(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 GNSS) 단말기(150)는 사물인터넷 에이전트(IoT Agent)로서, 차량(100)에 설치되고, 일반 GPS 보다 고정밀의 정보 수집을 위하여 복수 개의 기지국들과 연결되어 차량 운행에 따른 위치 정보를 실시간(예를 들어, 1초 단위 등)으로 획득한다. GNSS 단말기(150)는 차량 운행 중에 인접하는 기지국들 간의 위치 정보를 보정하도록 인접된 기지국들과의 채널 연결을 자동으로 전환한다. 예를 들어, GNSS 단말기(150)는 차량 운행 중에 해당 지역의 약 10Km 반경의 복수 개의 기지국들을 커버리지(coverage)하고, 이를 통해 실시간 양방향으로 위치 정보를 획득 및 보정한다. 또 GNSS 단말기(150)는 차량 운행 중에 고정밀 위치 기반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하여, 무선 통신망, 이동 통신망 등을 통해 스마트 밴드(110) 및 긴급 대응 서비스 서버(200)와 연결되고, 유선 인터페이스 등을 통해 DSM 장치(120)와 ADAS 장치(130)와 연결된다. 이를 위해 GNSS 단말기(1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GNSS 안테나(154), GNSS 모듈(156), 통신 모듈(158), 메모리(159) 및 컨트롤러(152)를 포함한다.The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terminal 150 is an Internet of Things (IoT) agent, installed on the vehicle 100, and connected to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for higher-precision information collection than general GPS to operate the vehicle. The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is acquired in real time (eg, in units of 1 second). The GNSS terminal 150 automatically switches channel connections with adjacent base stations to correct position information between adjacent base stations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For example, the GNSS terminal 150 covers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having a radius of about 10 km in a corresponding area while the vehicle is being operated, and acquires and corrects location information in real time in both directions through this. In addition, the GNSS terminal 150 is connected to the smart band 110 and the emergency response service server 200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etc., in order to collect data based on a high-precision location during vehicle operation, and through a wired interface. It is connected to the DSM device 120 and the ADAS device 130. To this end, the GNSS terminal 150 includes a GNSS antenna 154, a GNSS module 156, a communication module 158, a memory 159, and a controller 152, as shown in FIG. 2.

GNSS 안테나(154)는 인공 위성을 통해 복수 개의 기지국들과 연결된다. GNSS 모듈(156)은 GNSS 안테나(154)로부터 차량 운행 중 실시간 또는 주기적(예를 들어, 초 단위 등)으로 고정밀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위치 정보를 컨트롤러(152)로 전달한다. 여기서 컨트롤러(152)로 전달되는 위치 정보는 예컨대, 시간, 경위도 위치, 방위, 위성수, 속도, 방향 및 GNSS 품질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NMEA(National Marine Electronics Association) 데이터로 전송된다. 통신 모듈(158)은 무선 통신망, 이동 통신망, 유선 인터페이스 등을 통해 스마트 밴드(110), DSM 장치(120), ADAS 장치(130)들과 연결되고, 무선 통신망, 이동 통신망, 전용 통신망 등의 통신망(4)을 통해 긴급 대응 서비스 서버(200)와 연결된다. 메모리(159)는 컨트롤러(152)로부터 위치 정보 예컨대, NMEA 데이터를 받아서 임시로 저장하고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한다. 그리고 컨트롤러(152)는 GNSS 단말기(150)의 기능을 처리하도록 GNSS 모듈(156), 통신 모듈(158) 및 메모리(159)를 제어한다. 컨트롤러(152)는 스마트 밴드(110), DSM 장치(120), ADAS 장치(130) 및 AEBS 장치(140)들로부터 전송되는 시간 정보와 동기화되고, GNSS 모듈(156)을 통해 획득된 위치 정보와, 통신 모듈(158)을 통해 수집된 차량 정보, 운전자 정보, 운전자 상태 정보 및 차량 운행 정보, 영상 등을 통신망(4)을 통하여 긴급 대응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The GNSS antenna 154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through an artificial satellite. The GNSS module 156 acquires high-precision position information from the GNSS antenna 154 in real time or periodically (eg, in seconds) during vehicle operation, and transmits the obtained position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152. Here, the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52 is transmitted as NMEA (National Marine Electronics Association) data including information such as time, longitude and latitude location, azimuth, number of satellites, speed, direction, and GNSS quality. The communication module 158 is connected to the smart band 110, the DSM device 120, and the ADAS device 130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wired interface, etc., and a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dedicated communication network, etc. It is connected to the emergency response service server 200 through (4). The memory 159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such as NMEA data, from the controller 152, temporarily stores it, and updates it in real time. In addition, the controller 152 controls the GNSS module 156, the communication module 158, and the memory 159 to process functions of the GNSS terminal 150. The controller 152 is synchronized with tim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mart band 110, the DSM device 120, the ADAS device 130, and the AEBS device 140,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GNSS module 156 and , Control to transmit vehicle information, driver information, driver status information,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and images collec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158 to the emergency response service server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4.

이러한 GNSS 단말기(150)는 차량(100)의 이동에 따른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 및 보정하고, 차량(100)에 설치되고 운전자가 착용하는 각종 센서들로부터 실시간으로 감지된 운전자 상태 정보와 차량 운행 정보 등을 전송받아서, 교통 사고 등 긴급 사고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긴급 대응 서비스 서버(200)로 다양한 정보들을 실시간으로 전송한다.The GNSS terminal 150 acquires and corrects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vehicle 100 in real time, and driver status information and vehicle operation detected in real time from various sensors installed on the vehicle 100 and worn by the driver. By receiving information, etc., various information is transmitted in real time to the emergency response service server 200 so as to quickly respond to an emergency accident such as a traffic accident.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긴급 대응 서비스 서버(200)는 복수 개의 차량(100)들 각각으로부터 차량 운행에 따른 위치, 운전자 상태 및 차량 운행 상태에 따른 다양한 정보들을 수집 및 취합하여 실시간으로 차량 운행에 따른 이동형 IoT 기반의 주행 데이터를 생산하고, 이를 통해 운전자에게 졸음 운전 방지, 교통 사고 예방 등 이벤트 발생 예측에 따른 알림 및 경보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안전 운행과 관련된 표준화된 시스템을 구현한다. 즉, 긴급 대응 서비스 서버(200)는 복수 개의 GNSS 단말기(150)들 각각으로부터 전송되는 위치 정보와 차량 운행에 따른 운전자의 상태, 차량 운행 상태 등의 다양한 정보를 수집 및 취합하고, 이를 분석 및 학습하여 사고 발생 즉, 이벤트를 예측하고, 운전자의 졸음 운전을 탐지하거나, 차량 운행 중에 발생되는 이벤트들 중 어느 하나가 예측되면, 사전에 운전자에게 알려주거나 경고하여 신속하게 교통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긴급 대응 서비스를 제공한다.Referring back to FIG. 1, the emergency response service server 200 collects and collects variou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location, driver state, and vehicle operation state according to the vehicle operation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vehicles 100 to enable the vehicle operation in real time. A standardized system related to the safe operation of the vehicle 100 is implemented by producing mobile IoT-based driving data according to this, and providing notifications and alarms according to event occurrence predictions such as prevention of drowsy driving and traffic accidents to the driver through this. That is, the emergency response service server 200 collects and collects various information such as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GNSS terminals 150, the driver's state according to the vehicle operation, and the vehicle operation state, and analyzes and learns it. By predicting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that is, an event, detecting the driver's drowsy driving, or when any one of the events occurring while driving is predicted, an emergency response to promptly prevent a traffic accident by notifying or warning the driver in advance Provide service.

이러한 긴급 대응 서비스 서버(200)는 긴급 대응 서비스와 관련된 다양한 데이터들을 관련 기관 예를 들어, 경찰청, 도로관리공단 및 지방자치단체 등의 사고 지원 시스템(400)에 온라인으로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제공하거나, 보험업체, 네비게이션 업체 등의 민간기업에 오프라인 또는 온라인으로 제공하여, 다양한 용도로 활용하도록 할 수 있다.The emergency response service server 200 provides various data related to emergency response services to related organizations, for example, the Police Agency, the Road Management Authority, and the accident support system 400 of local governments online in real time or periodically, or It can be provided offline or online to private companies such as insurance companies and navigation companies, so that they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구체적으로, 긴급 대응 서비스 서버(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210)와 데이터베이스(250)를 포함한다. 서버(210)는 웹서버, 앱서버 등으로 구비되고, 예를 들어, IoT 플랫폼을 이용하여 인터넷 기반으로 위치 정보를 보정하여 표준 RTCM(Radio Technical Committee for Maritime Service) 신호를 전송하며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NTRIP 서버, 시간 동기화와 데이터 처리를 위한 인터페이스 서버, IoT 기기를 관리하기 위한 접속 서버 등을 포함하고, 데이터베이스(250)는 예를 들어, 차량 정보 DB, 센서 수집 DB, 사고 대응 DB 등을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emergency response service server 200 includes a server 210 and a database 250, as shown in FIG. 3. The server 210 is provided as a web server, an app server, etc., and transmits a standard RTCM (Radio Technical Committee for Maritime Service) signal by correcting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Internet using, for example, an IoT platform to authenticate users. NTRIP server for, an interface server for time synchronization and data processing, a connection server for managing IoT devices, and the like, and the database 250 includes, for example, vehicle information DB, sensor collection DB, accident response DB, etc. do.

이 실시예의 서버(210)는 제어부(212), 통신부(214), 위치 판별부(216), 정보 수집부(218), 분석부(220), 빅데이터 학습부(222), 공간 영역 설정부(224), 사고 예측부(226), 모니터링부(228) 및 알림부(230)를 포함한다.The server 210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control unit 212, a communication unit 214, a location determination unit 216, a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18, an analysis unit 220, a big data learning unit 222, and a spatial area setting unit. (224), an accident prediction unit 226, a monitoring unit 228 and a notification unit 230.

제어부(212)는 복수 개의 차량(100)들 각각의 GNSS 단말기(150)와 연동해서 긴급 대응 서비스 서버(200)의 제반 기능을 처리하도록 통신부(214), 위치 판별부(216), 정보 수집부(218), 분석부(220), 빅데이터 학습부(222), 공간 영역 설정부(224), 사고 예측부(226), 모니터링부(228), 알림부(230) 및 데이터베이스(250)들 각각의 기능이 상호 유기적으로 처리되도록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212 is a communication unit 214, a location determination unit 216, and a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o process all functions of the emergency response service server 200 in connection with the GNSS terminals 150 of each of the plurality of vehicles 100. 218, analysis unit 220, big data learning unit 222, spatial area setting unit 224, accident prediction unit 226, monitoring unit 228, notification unit 230, and databases 250 Each function is controlled to be processed organically.

통신부(214)는 통신망(4)에 연결되고, 차량(100)의 GNSS 단말기(150)로부터 위치 정보와 운전자 상태 정보, 차량 운행 정보 및 영상 등을 실시간으로 전송받는다. 통신부(214)는 이벤트 발생 예측 시, 통신망(4)을 통해 운전자 단말기(300)로 알림 정보를 전송한다. 또 통신부(214)는 통신망(4)을 통해 사고 지원 시스템(400) 등으로 긴급 대응 서비스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들을 제공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214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4 and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driver status information,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and images from the GNSS terminal 150 of the vehicle 100 in real time. The communication unit 214 transmits no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driver terminal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4 when an event is predicted.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214 may provide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emergency response services to the accident support system 400 or the like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4.

위치 판별부(216)는 GNSS 단말기(150)로부터 차량 운행 중에 실시간으로 전송된 위치 정보를 판별하여 차량(100)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한다. 위치 판별부(216)는 차량 운행 중에 인접하는 기지국들에 대응하여 차량의 위치 정보를 보정한다. 위치 판별부(216)는 차량의 현재 위치를 공간 영역 설정부(224)에 의해 설정된 영역으로 판별한다.The location determination unit 216 determines the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GNSS terminal 150 in real time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and monitors the location of the vehicle 100 in real time. The location determination unit 216 correct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in correspondence with adjacent base stations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The location determination unit 216 determines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as an area set by the spatial area setting unit 224.

정보 수집부(218)는 복수 개의 차량(100)들 각각의 GNSS 단말기(150)로부터 전송된 위치 정보, 운전자 상태 정보 및 차량 운행 정보, 영상 등을 수집 및 취합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하여 빅데이터를 구축한다. 정부 수집부(218)는 차량 운행 중 예를 들어, GNSS 정보, OBD2 정보, 스마트 밴드 정보, DSM 정보, ADAS 정보, 긴급 제동 정보, 운전자 정보, 차량 정보, 차량 위치 정보 및 차량 운행 정보 등을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반복 수집 및 취합한다. 정보 수집부(218)는 수집된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한다. 이 실시예에서 정보 수집부(218)는 GNSS 단말기(150)를 통해 차량 운행에 따른 다양한 정보들을 실시간(예를 들어, 초당 1회 등)으로 수집한다.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18 collects and collects location information, driver status information,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and images transmitted from the GNSS terminal 150 of each of the plurality of vehicles 100, and stores them in the database 250. To build big data. The government collection unit 218 collects, for example, GNSS information, OBD2 information, smart band information, DSM information, ADAS information, emergency braking information, driver information, vehicle information,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and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in real time during vehicle operation. Or, collect and collect repeatedly.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18 stores the collected information in the database 250. In this embodiment,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18 collects various pieces of information according to vehicle operation through the GNSS terminal 150 in real time (eg, once per second, etc.).

분석부(220)는 정보 수집부(218)에 의해 수집된 정보들을 통계 분석 및 패턴 분석 처리하여 운전자의 상태, 차량 운행 상태에 따른 이벤트 발생 여부를 분석한다. 분석부(220)는 예를 들어, 스마트 밴드(110)의 심박 센서(116)와 가속도 센서(118)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통해 운전자의 심신 상태, 건강 상태, 졸음 운전 상태를 분석하거나, DSM 장치(120)의 카메라 모듈(126)로부터 획득된 영상들을 분석 처리하여 졸음 운전 상태를 분석한다. 분석부(220)는 운전자 상태 및 차량 운행 상태에 따른 패턴을 분석하여 긴급 대응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대응 정보를 생성한다.The analysis unit 220 analyzes whether an event occurs according to a driver's state and a vehicle driving state by statistically analyzing and patterning th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218. The analysis unit 220, for example, analyzes the driver's mental and physical state, health state, and drowsy driving state through information detected from the heart rate sensor 116 and the acceleration sensor 118 of the smart band 110, or The images acquired from the camera module 126 of 120 are analyzed and processed to analyze the drowsy driving state. The analysis unit 220 generates response information for providing an emergency response service by analyzing a pattern according to a driver state and a vehicle operation state.

빅데이터 학습부(222)는 수집된 정보와 분석 처리 결과 및 대응 정보를 인공 지능(AI), 딥러닝 학습 등을 통해 운전자 상태, 차량 운행 상태, 사고 유형, 도로 환경 상황 등을 판별할 수 있도록 반복 학습하여 긴급 대응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빅데이터를 구축한다. 따라서 분석부(220)와 빅데이터 학습부(222)를 통해 분석 및 학습을 반복 처리하여 각각의 이벤트에 대응되는 긴급 대응 서비스를 구축한다. 긴급 대응 서비스는 예를 들어, 졸음 운전 상태인 이벤트 발생이 예측되는 경우, 대응 정보로 운전자에게 1 차로 이벤트 발생 가능성에 따른 위험 사항을 알려주거나 경고하고, 2 차로 긴급 제동에 대한 경고를 발생하여 AEBS 장치(140)를 작동시킨다. 이 후 긴급 대응 서비스는 사고가 발생되는 경우, 사고 지원 시스템(400)으로 이벤트 발생 상황을 전달하여 신속한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처리한다.The big data learning unit 222 uses the collected information, analysis processing results, and response information to determine driver status, vehicle driving status, accident type, road environment status, etc.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AI) and deep learning learning. Build big data to provide emergency response services through repeated learning. Therefore, analysis and learning are repeatedly processed through the analysis unit 220 and the big data learning unit 222 to establish an emergency response service corresponding to each event. For example, when an event that is in a drowsy driving state is predicted, the emergency response service informs or warns the driver of dangers due to the possibility of occurrence of the event as the response information, and generates a warning about emergency braking in the second order. The device 140 is activated. Thereafter, when an accident occurs, the emergency response service transfers the event occurrence situation to the accident support system 400 and processes to take rapid action.

공간 영역 설정부(224)는 현재 차량(100)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일정 범위의 지오펜스 영역(geofence area)을 설정하고, 설정된 지오펜스 영역들 각각에 대응하는 영역 설정값을 설정한다. 지오펜스 영역은 예를 들어, 학교 주변의 스쿨 존(school zone), 주택가 주변, 상가 주변, 사고 다발 지역 등 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은 지역에 따라 서로 다른 영역 설정값을 할당하고, 영역 설정값은 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은 지역 순으로 높은 값을 갖도록 설정된다.The spatial area setting unit 224 sets a geofence area of a certain range in response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urrent vehicle 100 and sets an area setting valu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set geofence areas. Geo-fence zones are assigned different zone settings according to areas with high probability of accidents, such as school zones around schools, around residential areas, around shopping malls, and areas with frequent accidents. It is set to have the highest value in the order of regions with the highest probability of occurrence.

사고 예측부(226)는 사고 예측 알고리즘을 구비하고 차량의 위치에 따른 지오펜스 영역을 판별한다. 사고 예측부(226)는 위치 정보와 운전자 상태 정보 및 차량 운행 정보를 조합하여 차량(100)의 위치 정보에 따라 판별된 지오펜스 영역에 대응하는 해당 영역 설정값을 적용하고, 사고 예측 알고리즘을 통해 이벤트 발생 가능성을 단계별로 판별하여 이벤트를 감지 및 예측한다.The accident prediction unit 226 is equipped with an accident prediction algorithm and determines a geo-fence area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vehicle. The accident prediction unit 226 combines location information, driver status information, and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to apply a corresponding area setting value corresponding to the geo-fence area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100, and use an accident prediction algorithm. It detects and predicts the event by determining the possibility of occurrence of the event step by step.

사고 예측부(226)는 사고 예측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발생 가능한 이벤트들에 대해 단계별로 우선 순위를 설정하고,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이벤트가 발생되는지를 판별하여 사고를 예측한다. 이 실시예에서 사고 예측부(226)는 GNSS 단말기(150)의 위치 정보를 최종 사고의 판단 기준으로 활용하여 이벤트를 예측한다. 사고 예측부(226)는 예를 들어, 이벤트 발생 가능성을 5 단계의 우선 순위로 설정된다. 즉, 이벤트는 AEBS 장치(140)에 의해 감지된 AEBS 이벤트, ADAS 장치(130)에 의해 감지된 ADAS 이벤트, DSM 장치(120)에 의해 감지된 DSM 이벤트, 스마트 밴드(110)에 의해 감지된 SB 이벤트, GNSS 단말기(150)에 의해 감지된 이동 정보(즉, 속도)에 따른 GNSS 이벤트로 구분한다. 또 제1 우선 순위의 이벤트는 AEBS 이벤트와 ADAS 이벤트와 DSM 이벤트 및 GNSS 이벤트가 동시에 감지되는 경우이고, 제2 우선 순위는 AEBS 이벤트와 DSM 이벤트와 SB 이벤트 및 GNSS 이벤트가 동시에 감지되는 경우이고, 제3 우선 순위는 ADAS 이벤트와 DSM 이벤트와 SB 이벤트 및 GNSS 이벤트가 동시에 감지되는 경우이고, 제4 우선 순위는 스마트 밴드(110)가 미착용된 상태를 고려하여 ADAS 이벤트와 DSM 이벤트 및 GNSS 이벤트가 동시에 감지되는 경우이며, 그리고 제5 우선 순위는 주행 중 이유없이 멈춘 경우에 해당되는 GNSS 이벤트가 감지되는 경우이다. 따라서 사고 예측부(226)는 차량(100)의 위치 정보를 통해 설정된 우선 순위와 공간 영역 설정부(224)에 의해 할당된 영역 설정값을 적용하여 수집된 정보에 따라 이벤트 발생 가능성을 단계별로 예측한다.The accident prediction unit 226 sets priorities for possible events in stages by using an accident prediction algorithm, and determines whether an event occurs according to the set priority to predict an accident. In this embodiment, the accident prediction unit 226 us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GNSS terminal 150 as a criterion for determining a final accident to predict an event. The accident prediction unit 226, for example, is set to prioritize the possibility of an event in five stages. That is, the event is an AEBS event detected by the AEBS device 140, an ADAS event detected by the ADAS device 130, a DSM event detected by the DSM device 120, and the SB detected by the smart band 110. Events are classified into GNSS events according to movement information (ie, speed) detected by the GNSS terminal 150. In addition, the first priority event is when an AEBS event, ADAS event, DSM event, and GNSS event are simultaneously detected, and the second priority is when an AEBS event, DSM event, SB event, and GNSS event are simultaneously detected. 3 Priority is when ADAS event, DSM event, SB event, and GNSS event are detected at the same time, and the fourth priority is ADAS event, DSM event, and GNSS event detection at the same time considering the state in which the smart band 110 is not worn. This is the case, and the fifth priority is the case that the GNSS event corresponding to the case of stopping for no reason while driving is detected. Therefore, the accident prediction unit 226 predicts the possibility of event occurrence step by step according to the collected information by applying the priority set throug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100 and the area setting value allocated by the spatial area setting unit 224 do.

모니터링부(228)는 운전자 상태 정보와 차량 운행 정보 및 영상을 표시하여 실시간으로 차량 운행 중에 이벤트가 발생되는지를 모니터링한다. 모니터링부(228)는 전자 지도 상에 지오펜스 영역을 표시하고, 운행 중인 차량(100)의 위치 및 이동 경로를 표시하고, 차량(100)의 운행에 따른 도로 상황이나, 차량(100)의 위치에 따른 도로 위험도 지수를 적용하여 도로 상황을 실시간으로 안내할 수도 있다.The monitoring unit 228 monitors whether an event occurs during vehicle operation in real time by displaying driver status information,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and images. The monitoring unit 228 displays a geo-fence area on the electronic map, displays the location and movement path of the vehicle 100 in operation, and displays the road situation or the location of the vehicle 10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100 Road conditions can also be guided in real time by applying the road risk index according to.

알림부(230)는 사고 예측부(226)로부터 차량의 운행 중에 졸음 운전 상태, 차량 운행 상태 및 도로 위험도 등에 따른 이벤트가 예측되면, 분석부(220)와 빅데이터 학습부(222)에 의해 해당 이벤트에 대한 긴급 대응 서비스를 알려주거나 경보하는 알림 정보를 생성하여 운전자 단말기(300)로 전송한다.The notification unit 230 predicts an event according to a drowsy driving state, vehicle driving state, and road risk during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from the accident predicting unit 226, by the analysis unit 220 and the big data learning unit 222. Notification information notifying or alarming an emergency response service for an event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driver terminal 300.

그리고 데이터베이스(250)는 제어부(212)의 제어를 받아서 긴급 대응 서비스 서버(200)의 제반 기능을 처리하는 과정에 따라 수집 및 생성되는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 및 관리한다. 이 실시예의 데이터베이스(250)는 운전자 정보(252), 차량 정보(254), 운전자 상태 정보(256), 차량 위치 정보(258), 차량 운행 정보(260), ADAS 정보(262), 긴급 제동 정보(264), 분석 정보(266), 대응 정보(268) 및 알림 정보(270)를 적어도 저장한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250)는 긴급 대응 서비스 서버(200)에 포함되어 있으나, 독립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database 250 stores and manages various pieces of information collected and generated according to a process of processing all functions of the emergency response service server 20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12. The database 250 of this embodiment includes driver information 252, vehicle information 254, driver status information 256,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258,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260, ADAS information 262, emergency braking information. 264, analysis information 266, correspondence information 268, and notification information 270 are at least stored. The database 250 is included in the emergency response service server 200, but may be provided independently.

상술한 긴급 대응 서비스 서버(200)는 차량(100)들 각각의 GNSS 기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실시간으로 운행 중인 차량의 운전자 상태와 차량 운행 상태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수집 및 취합하여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이를 분석 및 반복 학습하여 졸음 운전 방지, 교통 사고 예방 등의 긴급 대응 서비스를 사고 발생 이전에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emergency response service server 200 acquires GNSS-based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vehicles 100, and collects and collects various information on the driver status and vehicle operation status of the vehicle running in real time to build big data. And, by analyzing and repetitive learning, emergency response services such as preventing drowsy driving and preventing traffic accidents can be provided to the driver before an accident occurs.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운전자 단말기(300)는 예컨대, 스마트폰, 네비게이션 등으로 구비되고, 차량의 내부에 구비된다. 운전자 단말기(300)는 운전자 정보를 긴급 대응 서비스 서버(200)로 제공한다. 운전자 단말기(300)는 긴급 대응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알림 정보를 전송받아서 긴급 대응 서비스를 안내하거나 경보한다.Referring back to FIG. 1, the driver terminal 300 is provided with, for example, a smart phone or a navigation device, and is provided inside a vehicle. The driver terminal 300 provides driver information to the emergency response service server 200. The driver terminal 300 guides or alerts the emergency response service by receiving no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emergency response service server 200.

그리고 사고 지원 시스템(400)은 사고 발생 시, 사고 조치를 위해 긴급히 지원하는 관련 기관들 예를 들어, 경찰청, 소방청, 의료기관, 도로교통공단 및 지방자치단체 등에 구비되고, 통신망(4)을 통하여 긴급 대응 서비스 서버(200)와 연결된다. 사고 지원 시스템(400)은 긴급 대응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사고 관련 정보들을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제공받아서 교통 사망 사고 위치 정보, 교통 사고 정보, 사고 다발지 정보, 도로 위험도 지수 등의 정보를 일반인들에게 개방하고, 이를 통해 사고를 줄일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ccident support system 400 is provided with related organizations that urgently provide support for accident response in the event of an accident, for example, the National Police Agency, the fire department, medical institutions, the Road Traffic Authority and local governments, etc.,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4 It is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service server 200. The accident support system 400 receives accident-related information from the emergency response service server 200 in real time or periodically to provide information such as location information of a traffic fatal accident, traffic accident information, accident location information, and road risk index to the general public. It is open and can provide a variety of services that can reduce accidents.

따라서 본 발명의 데이터 기반의 사고 감지 및 긴급 대응 서비스 시스템(2)은 처리 과정에 의해 생성되는 데이터들을 다양한 응용에 적용할 수 있도록 개방하여 데이터의 품질과 표준 확보, 다양한 데이터 양과 포맷 지원 및 다양한 형태 및 용도로 가공 및 제공이 가능하다.Therefore, the data-based accident detection and emergency response service system 2 of the present invention opens the data generated by the processing process so that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applications to secure data quality and standards, support various data volumes and formats, and support various forms. And it can be processed and provided for use.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사고 감지 및 긴급 대응 서비스 시스템의 처리 수순을 상세히 설명한다.The following describes in detail the procedure of the accident detection and emergency response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기반의 사고 감지 및 긴급 대응 서비스 시스템의 처리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그리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사고 감지 및 예측 루틴의 처리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ing procedure of the data-based accident detection and emergency response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processing procedure of the accident detection and prediction routine shown in FIG. 4.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사고 감지 및 긴급 대응 서비스 시스템(2)은 단계 S500에서 차량(100)에 설치되거나 운전자에 창착한 각종 센서들 예컨대, 스마트 밴드(110)의 심박 센서(116)와 가속도 센서(118), DSM 장치(120)의 카메라 모듈(126), ADAS 장치(130)의 카메라 모듈(136)과 레이더 모듈(138) 등으로부터 차량 운행에 따른 운전자의 심박수, 가속도, DSM 정보 등의 운전자 상태 정보와, ADAS 정보, 긴급 제동 정보 등의 차량 운행 정보를 포함하는 각종 정보들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단계 S502에서 각종 감지된 정보들을 무선 통신망, 이동 통신망, 유선 인터페이스 등을 통해 GNSS 단말기(150)로 전송한다.4 and 5, the accident detection and emergency response service system 2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various sensors installed in the vehicle 100 or installed on the driver in step S500, such as the heart rate sensor of the smart band 110. The heart rate and acceleration of the driver according to vehicle operation from 116 and the acceleration sensor 118, the camera module 126 of the DSM device 120, the camera module 136 of the ADAS device 130, and the radar module 138, etc. , Driver status information such as DSM information, and various information including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such as ADAS information and emergency braking information are detected in real time, and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detected in step S502 are connected to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wired interface, etc. It is transmitted to the GNSS terminal 150 through.

단계 S504에서 GNSS 단말기(150)는 차량 운행 중에 실시간으로 차량(1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단계 S506에서 운전자 상태 정보와 차량 운행 정보를 포함하는 각종 정보들과 차량(100)의 위치 정보를 통신망(4)을 통하여 긴급 대응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한다.In step S504, the GNSS terminal 150 acquir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100 in real time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and in step S506, various information including driver status information and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100 are stored. It is transmitted to the emergency response service server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4.

단계 S508에서 긴급 대응 서비스 서버(200)는 복수 개의 차량(100)들 각각의 GNSS 단말기(150)로부터 전송된 위치 정보를 판별하고, 운행 중인 차량(100)들 각각의 위치 정보를 기지국들 간의 자동 채널을 전환하여 실시간으로 위치 정보를 보정한다.In step S508, the emergency response service server 200 determines the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GNSS terminal 150 of each of the plurality of vehicles 100, and automatically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vehicles 100 in operation between the base stations. The location information is corrected in real time by switching channels.

단계 S510에서 긴급 대응 서비스 서버(200)는 GNSS 단말기(150)들로부터 전송된 각종 정보들을 수집 및 취합하여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단계 S512에서 이벤트 발생 예측과 예측된 이벤트에 대한 대응 방안을 생성하도록 하기 위해 수집된 정보들을 통계 분석 및 패턴 분석 처리하고, 인공 지능(AI), 딥러닝 학습 등을 통해 운전자 상태, 차량 운행 상태, 사고 유형, 도로 환경 상황 등을 판별할 수 있도록 반복 학습한다. 긴급 대응 서비스 서버(200)는 분석 및 학습을 반복하여 운전자에게 이벤트들 각각에 대응되는 긴급 대응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대응 방안을 생성한다.In step S510, the emergency response service server 200 collects and collects various pieces of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GNSS terminals 150 to build big data, and in step S512, to generate an event occurrence prediction and a response plan for the predicted event. In order to perform statistical analysis and pattern analysis, the collected information is repeatedly learned so that driver status, vehicle driving status, accident type, and road environment status can be determined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AI) and deep learning learning. The emergency response service server 200 repeats analysis and learning to generate a response plan for providing an emergency response servic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events to the driver.

단계 S514에서 긴급 대응 서비스 서버(200)는 수집된 정보들로부터 이벤트가 발생되는지를 감지 및 예측한다. 이 때, 긴급 대응 서비스 서버(200)는 위치 정보와 운전자 상태 정보 및 차량 운행 정보를 조합하여 차량의 위치 정보에 따라 설정된 지오펜스 영역에 대응하여 해당 영역 설정값을 적용하고, 설정된 이벤트의 우선 순위에 따라 단계별로 이벤트를 감지 및 예측한다.In step S514, the emergency response service server 200 detects and predicts whether an event occurs from the collected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emergency response service server 200 combines the location information, driver status information, and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applies a corresponding area setting value in response to the geo-fence area set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prioritizes the set event. It detects and predicts an event step by step according to.

구체적으로, 이벤트 감지 및 예측 루틴(S514)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550에서 차량(100)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공간을 분석한다. 즉, 현재 차량의 위치가 설정된 지오펜스 영역에 있는지를 판별하고, 판별된 지오펜스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 설정값을 적용한다. 이 때, 영역 설정값은 이벤트 발생 가능성이 높은 지역 순으로 높게 설정된다.Specifically, the event detection and prediction routine S514 analyzes a space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100 in step S550, as shown in FIG. 5. That i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urrent vehicle location is in the set geo-fence area, and the area setting value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geo-fence area is applied. In this case, the region setting value is set higher in the order of regions with high probability of event occurrence.

또 이벤트 감지 및 예측 루틴(S514)은 이벤트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기 위하여 수집된 감지 정보를 통해 5 단계의 이벤트 예측을 위한 우선 순위를 설정한다. 즉, 이벤트는 AEBS 이벤트, ADAS 이벤트, DSM 이벤트, SB 이벤트, GNSS 이벤트로 구분하고, 제1 우선 순위의 이벤트는 AEBS 이벤트와 ADAS 이벤트와 DSM 이벤트 및 GNSS 이벤트가 동시에 감지되는 경우이고, 제2 우선 순위는 AEBS 이벤트와 DSM 이벤트와 SB 이벤트 및 GNSS 이벤트가 동시에 감지되는 경우이고, 제3 우선 순위는 ADAS 이벤트와 DSM 이벤트와 SB 이벤트 및 GNSS 이벤트가 동시에 감지되는 경우이고, 제4 우선 순위는 스마트 밴드(110)가 미착용된 상태를 고려하여 ADAS 이벤트와 DSM 이벤트 및 GNSS 이벤트가 동시에 감지되는 경우이며, 그리고 제5 우선 순위는 주행 중 이유없이 멈춘 경우에 해당되는 GNSS 이벤트가 감지되는 경우이다.In addition, the event detection and prediction routine (S514) sets priorities for event prediction in 5 steps through the collected detection information to predict the possibility of event occurrence. That is, events are classified into AEBS events, ADAS events, DSM events, SB events, and GNSS events, and the events of the first priority are cases where AEBS events, ADAS events, DSM events, and GNSS events are simultaneously detected, and the second priority. The priority is when AEBS events, DSM events, SB events, and GNSS events are detected at the same time, the third priority is when ADAS events, DSM events, SB events, and GNSS events are simultaneously detected, and the fourth priority is smart band. In consideration of the state in which (110) is not worn, the ADAS event, the DSM event, and the GNSS event are detected at the same time, and the fifth priority is the case where the GNSS event corresponding to the case of stopping for no reason while driving is detected.

따라서 단계 S552 내지 단계 S570에서 수집된 정보에 따라 이벤트 발생 가능성을 단계별로 판별하여 이벤트를 감지 및 예측한다. 즉, 발생 가능한 이벤트들에 대해 단계별로 우선 순위를 설정하고,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제1 내지 제5 순위 중 어느 하나의 이벤트가 발생되는지를 판별하며, 이어서 단계572에서 해당 이벤트 발생을 판단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collected in steps S552 to S570, the possibility of event occurrence is determined step by step to detect and predict the event. That is, priorities are set for possible events step by step, it is determined whether any one of the first to fifth priority events occurs according to the set priority, and then the occurrence of the corresponding event is determined in step 572.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S516에서 이벤트가 예측되면, 이 수순은 단계 S518으로 진행하여 예측된 이벤트에 대한 대응 방안을 제공하는 알림 정보를 생성하여 운전자 단말기(300)로 전송한다. 이어서 단계 S520에서 운전자 단말기(300)는 긴급 대응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알림 정보를 전송받아서 운전자에게 긴급 대응 서비스를 안내하거나 경보한다.Referring back to FIG. 4, when an event is predicted in step S516, the procedure proceeds to step S518 to generate notification information providing a response plan for the predicted event and transmit it to the driver terminal 300. Subsequently, in step S520, the driver terminal 300 receives no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emergency response service server 200 to guide or alert the driver of the emergency response service.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기반의 사고 감지 및 긴급 대응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한 설명과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In the above,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data-based accident detection and emergency response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illustrated in accordance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but this is only described by way of example, and the scope does not depart from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change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2 : 사고 감지 및 긴급 대응 서비스 시스템
4 : 통신망
100 : 차량
110 : 스마트 밴드
120 : DSM 장치
130 : ADAS 장치
140 : AEBS 장치
150 : GNSS 단말기
200 : 긴급 대응 서비스 서버
300 : 운전자 단말기
400 : 사고 지원 시스템
2: Accident detection and emergency response service system
4: communication network
100: vehicle
110: smart band
120: DSM device
130: ADAS device
140: AEBS device
150: GNSS terminal
200: emergency response service server
300: driver terminal
400: accident support system

Claims (5)

데이터 기반의 사고 감지 및 긴급 대응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운행 중인 차량의 운전자가 착용하고, 운전자의 심박수 정보와 움직임에 따른 가속도 정보를 감지하는 스마트 밴드;
상기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고, 제1 카메라 모듈을 구비하고 운전자의 홍채와 얼굴이 포함된 영상을 획득하여 운전자 상태 정보를 감지하는 운전자 상태 모니터링 장치;
상기 차량에 설치되고, 제2 카메라 모듈을 구비하여 차량 운행 중에 주변 영상을 획득하고, 레이더 모듈을 구비하여 상기 차량의 주변 상황에 대한 객체의 유무와 객체와의 거리를 감지하고, 상기 제2 카메라 모듈과 상기 레이더 모듈 및 상기 차량의 운행 기록 자기 진단 장치로부터 차량 운행에 따른 차량 운행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아서 운전자 지원 정보를 생성하는 첨단 운전자 지원 장치;
상기 운행 기록 자기 진단 장치가 상기 첨단 운전자 지원 장치로부터 이벤트 발생에 따른 알림 명령을 받아서 브레이크 엑츄에이터를 작동시키면 긴급 제동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첨단 운전자 지원 장치로 전송하는 자동 비상 제동 장치;
상기 차량에 설치되고 인공 위성을 통해 복수 개의 기지국들과 연결되어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고, 상기 스마트 밴드와 상기 운전자 상태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심박수 정보와 가속도 정보 및 운전자 상태 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첨단 운전자 지원 장치로부터 운전자 지원 정보를 전송받아서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와 운전자 상태 정보 및 차량 운행 정보를 전송하는 위성 항법 단말기; 및
복수 개의 차량들 각각에 구비되는 상기 위성 항법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와 운전자 상태 정보 및 차량 운행 정보를 수집 및 취합하고, 수집된 정보들을 분석 및 학습하여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거나 예측하고, 이벤트 발생이 감지 또는 예측되면, 운전자 단말기로 이벤트 발생에 따른 알림 정보를 전송하는 긴급 대응 서비스를 제공하는 긴급 대응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첨단 운전자 지원 장치는 전송된 긴급 제공 정보를 운전자 지원 정보에 포함시켜서 상기 위성 항법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긴급 대응 서비스 서버는,
상기 위성 항법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일정 범위의 지오펜스 영역을 설정하고, 설정된 지오펜스 영역들 각각에 대응하는 영역 설정값을 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은 지역 순으로 높은 값을 갖도록 설정하고;
사고 예측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수집된 정보들을 통해 차량 운행 중에 발생 가능한 이벤트들에 대해 단계별로 우선 순위를 설정하고,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이벤트 발생 가능성을 단계별로 판별하여 이벤트를 감지 및 예측하고;
상기 자동 비상 제동 장치에 의해 감지된 제1 이벤트, 상기 첨단 운전자 지원 장치에 의해 감지된 제2 이벤트, 상기 운전자 상태 모니터링 장치에 의해 감지된 제3 이벤트, 상기 스마트 밴드에 의해 감지된 제4 이벤트, 상기 위성 항법 단말기에 의해 감지된 제5 이벤트로 구분하되;
상기 우선 순위는 5 단계로 설정되고, 제1 우선 순위는 상기 제1 이벤트 내지 상기 제3 이벤트와 상기 제5 이벤트가 동시에 감지되는 경우이고, 제2 우선 순위는 상기 제1 이벤트와 상기 제2 이벤트와 상기 제4 이벤트 및 상기 제5 이벤트가 동시에 감지되는 경우이고, 제3 우선 순위는 상기 제2 이벤트와 상기 제3 이벤트와 상기 제4 이벤트 및 상기 제5 이벤트가 동시에 감지되는 경우이고, 제4 우선 순위는 상기 스마트 밴드가 미착용된 상태를 고려하여 상기 제2 이벤트와 상기 제3 이벤트 및 상기 제5 이벤트가 동시에 감지되는 경우이며, 그리고 제5 우선 순위는 주행 중 이유없이 멈춘 경우에 해당되는 상기 제5 이벤트가 감지되는 경우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반의 사고 감지 및 긴급 대응 서비스 시스템.
In a data-based incident detection and emergency response service system:
A smart band worn by a driver of a vehicle in operation and sensing heart rate information of the driver and acceler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movement;
A driver condition monitoring device installed inside the vehicle, having a first camera module, and detecting driver condition information by acquiring an image including a driver's iris and face;
It is installed in the vehicle, a second camera module is provided to acquire surrounding images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and a radar module is provided to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bject in the surrounding situation of the vehicle and the distance to the object, and the second camera A state-of-the-art driver assistance device for generating driver assistance information by receiving vehicle driving information according to vehicle operation in real time from a module, the radar module, and the vehicle driving record self-diagnosis device;
An automatic emergency braking device generating emergency braking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to the advanced driver assistance device when the driving record self-diagnosis device receives a notification command according to an event occurrence from the advanced driver assistance device and operates the brake actuator;
It is installed in the vehicle and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through an artificial satellite to obtai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in real time, and receive heart rate information, acceleration information, and driver status information from the smart band and the driver condition monitoring device, and receive the A satellite navigation terminal that receives driver assistance information from a state-of-the-art driver assistance device and transmits location information, driver status information, and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Collect and collect the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driver status information, and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atellite navigation terminal provided in each of a plurality of vehicles, analyze and learn the collected information to detect or predict the occurrence of an event, When the occurrence of an event is detected or predicted, an emergency response service server that provides an emergency response service for transmitting not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the event to the driver terminal; includes,
The advanced driver assistance device includes the transmitted emergency provision information in driver assistance information and transmits it to the satellite navigation terminal;
The emergency response service server,
Setting a geo-fence area of a certain range in response to the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atellite navigation terminal, and setting an area setting valu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set geo-fence areas to have a higher value in the order of areas with a high probability of an accident;
Detecting and predicting an event by step-by-step determining the likelihood of occurrence of an event according to the set priority, setting a priority for events that may occur during vehicle operation through the collected information using an accident prediction algorithm;
A first event detected by the automatic emergency braking device, a second event detected by the advanced driver assistance device, a third event detected by the driver condition monitoring device, a fourth event detected by the smart band, Classified into a fifth event detected by the satellite navigation terminal;
The priority is set to five levels, a first priority is when the first event to the third event and the fifth event are simultaneously detected, and a second priority is the first event and the second event And the fourth event and the fifth event are simultaneously detected, and a third priority is a case that the second event, the third event, the fourth event, and the fifth event are simultaneously detected, and a fourth The priority is a case where the second event, the third event, and the fifth event are detected at the same time in consideration of the state in which the smart band is not worn, and the fifth priority is the case of stopping without a reason while driving. Data-based accident detection and emergency response servic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set to a case in which the fifth event is detect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90166389A 2019-12-13 2019-12-13 Vehicle accident detection and emergency call service system based on data and method for processing thereof KR1021491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6389A KR102149175B1 (en) 2019-12-13 2019-12-13 Vehicle accident detection and emergency call service system based on data and method for process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6389A KR102149175B1 (en) 2019-12-13 2019-12-13 Vehicle accident detection and emergency call service system based on data and method for processing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9175B1 true KR102149175B1 (en) 2020-08-28

Family

ID=72291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6389A KR102149175B1 (en) 2019-12-13 2019-12-13 Vehicle accident detection and emergency call service system based on data and method for processing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9175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57677A (en) * 2022-07-22 2022-12-09 江铃汽车股份有限公司 Vehicle data acquisition method and system
KR20230082129A (en) 2021-12-01 2023-06-08 주식회사 오성전자 Method and system for notifying driver of cardiac arrest using heart rate sensor
KR20240059786A (en) 2022-10-27 2024-05-08 주식회사 스프링클라우드 Method and system for autonomously controlling autonomous driving vehicle based on judgment of emergency situation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7074A (en) * 2011-12-29 2013-07-0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Lane departure system based on 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50007536A (en) * 2013-07-11 2015-01-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Method for setting warning reference of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KR101711027B1 (en) 2012-04-25 2017-03-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ersonalized vehicle service
KR20180077671A (en) 2016-12-29 2018-07-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VEHICLE EVENT CONSIDERING IoT DEVICES
KR20180105055A (en) * 2017-03-14 2018-09-2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of safety support for vehicle
KR101984284B1 (en) * 2017-11-28 2019-05-30 주식회사 제네시스랩 Automated Driver-Managing System Using Machine Learning Model, and Method Thereof
KR20190072077A (en) 2017-12-15 2019-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ng vehicle accidents
KR101993537B1 (en) 2017-12-12 2019-06-2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drowsy state of vehicle driver
KR101995796B1 (en) * 2018-03-20 2019-07-03 나종열 Integrated accident management method for accident prevention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7074A (en) * 2011-12-29 2013-07-0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Lane departure system based on 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711027B1 (en) 2012-04-25 2017-03-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ersonalized vehicle service
KR20150007536A (en) * 2013-07-11 2015-01-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Method for setting warning reference of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KR20180077671A (en) 2016-12-29 2018-07-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VEHICLE EVENT CONSIDERING IoT DEVICES
KR20180105055A (en) * 2017-03-14 2018-09-2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of safety support for vehicle
KR101984284B1 (en) * 2017-11-28 2019-05-30 주식회사 제네시스랩 Automated Driver-Managing System Using Machine Learning Model, and Method Thereof
KR101993537B1 (en) 2017-12-12 2019-06-2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drowsy state of vehicle driver
KR20190072077A (en) 2017-12-15 2019-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ng vehicle accidents
KR101995796B1 (en) * 2018-03-20 2019-07-03 나종열 Integrated accident management method for accident preventio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2129A (en) 2021-12-01 2023-06-08 주식회사 오성전자 Method and system for notifying driver of cardiac arrest using heart rate sensor
CN115457677A (en) * 2022-07-22 2022-12-09 江铃汽车股份有限公司 Vehicle data acquisition method and system
CN115457677B (en) * 2022-07-22 2024-05-14 江铃汽车股份有限公司 Vehicle data acquisition method and system
KR20240059786A (en) 2022-10-27 2024-05-08 주식회사 스프링클라우드 Method and system for autonomously controlling autonomous driving vehicle based on judgment of emergency sit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5641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ra-vehicle pedestrian and infrastructure communication
CN107608388B (en) Autonomous police vehicle
US10332401B2 (en) Running vehicle alerting system and method
US10434943B2 (en) Motor vehicle artificial intelligence expert system dangerous driving warning and control system and method
KR102150034B1 (en) SAFE DRIVING SUPPORT SYSTEM BASED ON MOBILE IoT AGENT AND METHOD FOR PROCESSING THEREOF
KR102149175B1 (en) Vehicle accident detection and emergency call service system based on data and method for processing thereof
US9437111B2 (en) Boundary detection system
EP3016815B1 (en) Operator drowsiness detection in surface mines
CN116229751A (en)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geofence management
CN110060465B (en) Interaction method and interaction system for vehicle-pedestrian interaction system
Babu et al. IoT-Based Smart Accident Detection and Alert System
CN111186433A (en) Method for selecting and accelerating an implementation action response
Rakhonde et al. Vehicle collision detection and avoidance with pollution monitoring system using IoT
Gowda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System for Vehicle Accident Reporting and Tracking
JP7213265B2 (en) vehicle control system
Mohammadrezaei et al. IoT-based vehicular accident detection systems
KR2021002046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reporting traffic rule violation vehicles using black box images
KR10224585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tegrated control service using black box images
WO2020241292A1 (en) Signal processing device, signal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maging device
Devi et al. Accident detection and reporting system using IoT
WO2023053487A1 (en) Left-unattended notification device, left-unattended notification method, and left-unattended notification program
US20230316919A1 (en) Hazard notification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Padmavathi et al. Life saving android system at trivial times
Babu et al. Accident Detection using Vanet and IoT
Subedi et al. Drowsiness and Crash Detection Mobile Application for Vehicle’s Safe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