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8809B1 - 단축 아이콘 윈도우 표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단축 아이콘 윈도우 표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8809B1
KR102148809B1 KR1020130044192A KR20130044192A KR102148809B1 KR 102148809 B1 KR102148809 B1 KR 102148809B1 KR 1020130044192 A KR1020130044192 A KR 1020130044192A KR 20130044192 A KR20130044192 A KR 20130044192A KR 102148809 B1 KR102148809 B1 KR 102148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bject window
window
screen
application
touch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4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6093A (ko
Inventor
최성훈
신성일
임중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4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8809B1/ko
Priority to US14/258,437 priority patent/US10254915B2/en
Publication of KR20140126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60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8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8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객체 윈도우를 표시하는 장치는, 제1 계층 및 상기 제1 계층 상에 위치하며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가진 객체 윈도우를 포함하는 제2 계층을 표시하는 터치스크린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객체 윈도우 상에 제1 사용자 제스쳐가 입력되면, 상기 제1 사용자 제스쳐의 최종 터치가 종료된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상기 객체 윈도우가 이동될 측면을 결정하고, 상기 터치스크린의 상기 결정된 측면에 표시하기 위해 상기 객체 윈도우의 형상을 변경하고, 상기 터치스크린의 상기 결정된 측면에 상기 변경된 객체 윈도우를 표시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단축 아이콘 윈도우 표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DISPLAYING SHORTCUT WINDOW}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단축 아이콘 윈도우의 운영에 관한 것으로, 예컨대, 단축 아이콘 윈도우 표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인터넷의 광범위한 보급은 이제 유선을 넘어 우선 이동통신 기술로의 급 발전을 가져오게 되었고, 실생활에 있어서도 스마트 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핸드헬드(Hand-Held) 컴퓨터 등의 휴대 단말을 통한 인터넷상에서의 정보 검색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가능하게 되었다.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각종 휴대 단말에는 인터넷 접속을 통한 각종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프로그램이 설치된다. 한편, 각 휴대 단말 내에는 적어도 수 개에서 수백 개의 애플리케이션들이 저장 될 수 있다. 그리고 애플리케이션들을 각각 실행하기 위한 단축 아이콘들이 휴대 단말의 표시부 상에 표시된다. 예컨대, 휴대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단축 아이콘들이 표시부 상에 표시되고, 사용자는 단축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휴대 단말에서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의 표시부 상에는 상기 단축 아이콘들 이외에도 위젯, 사진 및 문서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비주얼 객체들이 표시되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애플리케이션이 추가 설치될 때마다 휴대 단말의 표시부 상에 상기 추가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단축 아이콘이 추가되며 표시 된다. 예컨대, 복수 개의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된 휴대 단말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휴대 단말의 표시부 상에서 상기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단축 아이콘을 찾아야 한다.
또한, 휴대 단말의 표시부의 특성상 한정된 크기를 갖는 한 화면에 표시될 수 있는 단축 아이콘의 개수는 제한되어 있다. 이는 단축 아이콘의 크기가 사용자의 가독성을 고려하여 소정의 크기를 가져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휴대 단말에 추가로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이 많아질수록 사용자가 실행을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대응하는 단축 아이콘을 찾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사용자가 휴대 단말에서 간편한 동작으로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에서 간편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할 수 있는 단축 아이콘 윈도우 표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객체 윈도우를 표시하는 장치에 있어서, 제1 계층 및 상기 제1 계층 상에 위치하며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가진 객체 윈도우를 포함하는 제2 계층을 표시하는 터치스크린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객체 윈도우 상에 제1 사용자 제스쳐가 입력되면, 상기 제1 사용자 제스쳐의 최종 터치가 종료된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상기 객체 윈도우가 이동될 측면을 결정하고, 상기 터치스크린의 상기 결정된 측면에 표시하기 위해 상기 객체 윈도우의 형상을 변경하고, 상기 터치스크린의 상기 결정된 측면에 상기 변경된 객체 윈도우를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경된 객체 윈도우 상에 제2 사용자 제스쳐가 입력되면, 변경 전의 상기 객체 윈도우를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계층 상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상에 상기 변경된 객체 윈도우를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변경된 객체 윈도우는 변경 전의 상기 객체 윈도우 보다 크기가 작은 것일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은 사용자 제스쳐가 수신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치에 입력되는 제3 사용자 제스쳐에 대응하여, 상기 객체 윈도우가 복수의 서브 객체 윈도우들로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사용자 제스쳐에 의해 상기 객체 윈도우 내의 복수의 지점들이 선택되면, 상기 복수의 지점들에 기반하여 상기 객체 윈도우를 상기 복수의 서브 객체 윈도우들로 분할하도록 설정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복수의 객체 윈도우들을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객체 윈도우들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치에 입력되는 제4 사용자 제스쳐에 의해 상기 객체 윈도우 내의 적어도 2개 지점들이 선택된 후, 상기 제4 사용자 제스쳐에 의해 상기 선택된 적어도 2개의 지점들 간의 거리가 멀어지는 경우, 상기 객체 윈도우를 서브 객체 윈도우들로 분할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되어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서브 객체 윈도우들의 개수는 상기 제4 사용자 제스쳐에 의해 상기 객체 윈도우 내에 선택된 지점들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복수의 객체 윈도우들을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객체 윈도우들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포함하며, 상기 장치에 입력되는 제5 사용자 제스쳐에 의해 상기 복수의 객체 윈도우들이 하나로 병합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객체 윈도우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계층 및 상기 제1 계층 상에 위치하며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가진 객체 윈도우를 포함하는 제2 계층을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객체 윈도우 상에 제1 사용자 제스쳐가 입력되면, 상기 제1 사용자 제스쳐의 최종 터치가 종료된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상기 객체 윈도우가 이동될 측면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스크린의 상기 결정된 측면에 표시하기 위해 상기 객체 윈도우의 형상을 변경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스크린의 상기 결정된 측면에 상기 변경된 객체 윈도우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경된 객체 윈도우 상에 제2 사용자 제스쳐가 입력되면, 변경 전의 상기 객체 윈도우를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계층 상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상에 상기 변경된 객체 윈도우를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경된 객체 윈도우는 변경 전의 상기 객체 윈도우 보다 크기가 작은 것일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은 사용자 제스쳐가 수신될 수 있다.
입력 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제3 사용자 제스쳐에 대응하여, 상기 객체 윈도우를 복수의 서브 객체 윈도우들로 분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사용자 제스쳐에 의해 상기 객체 윈도우 내의 복수의 지점들이 선택되면, 상기 복수의 지점들에 기반하여 상기 객체 윈도우를 상기 복수의 서브 객체 윈도우들로 분할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복수의 객체 윈도우들을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객체 윈도우들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복수의 객체 윈도우들을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객체 윈도우들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포함하며, 입력 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제5 사용자 제스쳐에 의해 상기 복수의 객체 윈도우들이 하나로 병합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 객체 윈도우들의 개수는 상기 제4 사용자 제스쳐에 의해 상기 객체 윈도우 내에 선택된 지점들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복수의 객체 윈도우들을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객체 윈도우들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포함하며, 입력 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제5 사용자 제스쳐에 의해 상기 복수의 객체 윈도우들이 하나로 병합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객체 윈도우를 표시하는 방법을 컴퓨터상에서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도록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그 예로는, 롬(Read Only Memory), 램(Random Access Memory), CD(Compact Disk), DVD(Digital Video Disk)-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임베디드 멀티미디어 카드(eMMC) 등이 있으며, 또한, 이러한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현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 중이라도, 간편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실행을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단축 아이콘을 찾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로서 휴대 단말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후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화면에 대한 계층 구조를 설명하는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축 아이콘 윈도우 표시 방법이 적용되는 휴대 단말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축 아이콘 윈도우 표시 방법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일 단축 아이콘 윈도우의 경계선 내부에서 멀티 터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 개의 단축 아이콘 윈도우의 경계선 내부에서 멀티 터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축 아이콘 윈도우의 드래그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형된 단축 아이콘 윈도우 표시 방법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축 아이콘 윈도우의 단축 아이콘들의 편집 및 데이터 공유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에 따른 단축 아이콘 윈도우가 실행된 화면의 다양한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단축 아이콘 윈도우가 휴대 단말의 터치스크린 내에서 드래그로 위치 이동되는 예시도.
도 14a, 14b 및 14c는 본 발명에 따른 단축 아이콘 윈도우가 터치스크린의 경계선 방향으로 플릭되고, 화면 경계선에 변형된 단축 아이콘 윈도우로 표시되는 예시도.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이 수신한 플릭 제스쳐 방향이 터치스크린의 경계선 방향일 경우, 단축 아이콘 윈도우의 형상을 변경하여 변형된 단축 아이콘 윈도우로 표시하는 예시도.
도 16a 및 도 16b는 본 발명에 따른 단축 아이콘 윈도우의 형상이 변경되는 다양한 방법에 관한 예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지는 변형된 단축 아이콘 윈도우들이 함께 터치스크린 상의 제 2 계층에 표시되는 예시도.
도 18a 및 도 18b는 본 발명에 따른 변형된 단축 아이콘 윈도우에 호버링 이벤트 발생 시, 변형 전 단축 아이콘 윈도우를 함께 표시하는 과정이 표시되는 예시도.
도 19a, 도 19b 및 도 19c는 본 발명에 따른 단축 아이콘 윈도우에 속한 단축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과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 간의 데이터를 서로 공유하는 과정에 관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예시적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하기에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축 아이콘 윈도우 표시 장치는 별도로 구성된 전자 장치일 수 있으며, 특정 전자 장치 내에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로 포함 된 부분일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 내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과 연동된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거나, 상기 애플리케이션 내에 포함된 기능으로서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콘텐츠 전송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예컨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임의의 장치일 수 있으며, 휴대 단말, 이동 단말, 통신 단말, 휴대용 통신 단말, 휴대용 이동 단말 등에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는 스마트 폰, 휴대폰, 게임기, 텔레비전(TV), 디스플레이 장치, 차량용 헤드 유닛, 노트북 컴퓨터, 랩탑 컴퓨터, 태블릿(Tablet) 컴퓨터, PMP(Personal 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내비게이션 장치, 은행의 ATM, 상점의 POS 장치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장치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축 아이콘 윈도우 표시 장치의 일 예로서 휴대 단말은 휴대 가능하고 데이터 송수신과 음성 및 영상 통화가 가능한 이동 가능한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표시부(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를 구비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은 특정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고안된 일련의 컴퓨터 프로그램 집합을 말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되는 애플리케이션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일 애플리케이션, 카메라 애플리케이션, 카메라 애플리케이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축 아이콘은 각각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휴대 단말에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통화, 연락처, 메뉴 등의 빠른 실행을 위해 휴대 단말의 표시부 상에 제 1 계층에 표시되는 것으로서, 이를 실행하기 위한 명령 또는 입력되면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단축 아이콘 윈도우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단축 아이콘을 갖고, 휴대 단말의 표시부의 제 2 계층(상기 제 1 계층보다 상위 계층)에 표시될 수 있으며, 이를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입력되면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단축 아이콘과 단축 아이콘 윈도우는 그림, 도형 및 기호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휴대 단말의 표시부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은 휴대 단말의 명령 또는 입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제스쳐, 음성, 눈동자 움직임, 생체신호를 포함한다.
사용자 입력 유닛은 사용자 입력을 위한 유닛으로 휴대 단말의 표시부 상에 접촉 또는 호버링과 같은 비접속 상태에서도 휴대 단말의 명령 또는 입력을 제공할 수 있는 핑거, 전자펜, 및 스타일러스 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객체는 휴대 단말의 표시부 상에 표시되거나, 표시될 수 있는 것으로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단축 아이콘, 문서, 위젯, 사진, 지도, 동영상, 이메일, SMS 메시지 및 MMS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사용자 입력에 의해 실행, 삭제, 취소, 저장 및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객체는 단축 아이콘, 썸네일 이미지 및 모바일 장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저장하고 있는 단축 아이콘 윈도우 및 폴더를 포괄하는 의미로도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제스쳐(gesture)는 휴대 단말의 표시부 상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제어하는 입력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싱글 터치 제스쳐(single touch gesture), 멀티 터치 제스쳐(multi touch gesture) 및 플릭 제스쳐(Flick gesture)등을 포함한다.
싱글 터치 제스쳐는 사용자 제스쳐 입력에 의해 전자 장치 표시부 상에 표시된 객체가 선택되고, 전자 장치가 선택된 객체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도록 입력되는 제스쳐이다.
예를 들어 전자 사용자 입력 유닛을 전자 장치의 표시부 상에 소정의 시간 안에 터치하면, 터치 된 위치의 객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이때 객체는 터치가 유지된 상태로 사용자 입력 유닛을 일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움직이면, 그 움직이는 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최종 터치가 종료된 위치로 객체의 위치가 이동될 수 있다.
멀티 터치 제스쳐는 사용자 제스쳐 입력에 의해 전자 장치 표시부 상에 적어도 2개 지점들이 선택되고, 전자 장치가 선택된 지점들에 터치가 유지된 상태에서 선택된 지점들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처리과정이 수행할 수 있도록 입력되는 제스쳐이다. 예컨대, 멀티 터치 제스쳐에 의해 복수 개의 객체들의 각각의 크기 내에서 선택되는 경우와 객체의 크기 내에서 멀티 터치 제스쳐에 의해 객체에 속한 서브 객체들 중 적어도 2개 서브 객체들이 선택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 터치 제스쳐에 의해 복수 개의 객체들의 각각의 크기 내에서 선택되는 경우, 이때 상기 복수 개의 객체들의 터치들이 유지된 상태로 멀티 터치 제스쳐의 각각 일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움직이면, 그 움직이는 방향을 따라 각각 선택된 객체들이 이동하며 현재 터치 좌표로 객체들의 위치들이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멀티 터치 제스쳐에 의해 복수 개의 객체들의 각각의 크기 내에서 선택되어 상기 복수 개의 객체들이 이동 중에 겹치는 경우 하나로 병합되어, 상기 멀티 터치 제스쳐에 의해 선택된 좌표들의 중심 좌표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멀티 터치 제스쳐에 의해 객체의 크기 내에 적어도 2개 지점들이 선택되고, 상기 선택된 2개 지점들 간의 거리가 멀어지는 경우, 상기 객체는 상기 서브 객체들로 분할되어 전자 장치의 표시부 상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할은 상기 객체에 속한 서브 객체들의 경계선을 중심축으로 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할은 상기 멀티 터치 제스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2개 지점들 간의 중심 좌표를 중심점으로 분할할 수 있다.
상기 멀티 터치 제스쳐에 의해 객체의 크기 내에 적어도 2개 지점들이 선택되고, 상기 선택된 2개 지점들 간의 거리가 좁아지는 경우, 상기 객체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의 형상을 가지는 객체로 표시될 수 있다.
플릭 제스쳐는 사용자 제스쳐 입력에 의해 전자 장치 표시부 상에 표시된 객체가 선택되고, 선택된 객체는 터치가 유지된 상태로 사용자 입력 유닛을 일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움직이면, 그 움직이는 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최종 터치가 종료된 위치로 객체의 위치가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플릭 제스쳐는 상기 싱글 터치 제스쳐에 의한 드래그와 다르게 상기 움직임의 속도가 더 빠르며, 각 속도를 가질 수 있다. 이는 현재 터치 좌표와 바로 직전에 인식된 터치 좌표 간의 거리, 각 속도 등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터치 좌표와 바로 직전에 인식된 터치 좌표값의 차이를 소정의 기준 값과 비교하여 드래그와 플릭 제스쳐를 판단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로서 휴대 단말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100)은 서브통신 모듈(130), 커넥터(165), 및 이어폰 연결잭(167)과 같은 외부 장치 연결부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와 연결될 수 있다. "외부 장치"는 상기 휴대 단말(100)에 탈착되어 유선으로 연결 가능한 이어폰(Earphone), 외부 스피커(External speaker),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 충전기, 크래들/도크(Cradle/Dock), DMB 안테나, 모바일 결제 관련 장치, 건강 관리 장치(혈당계 등), 게임기, 자동차 내비게이션 장치 등 다양한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장치"는 근거리 통신에 의하여 무선으로 상기 휴대 단말(100)에 연결될 수 있는 블루투스 통신 장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장치와 같은 근거리 통신 장치, 및 WiFi Direct 통신 장치,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장치는 다른 장치,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데스크탑 PC, 및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은 표시부(190) 및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95)를 포함한다. 또한, 휴대 단말(100)은 제어부(110),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모듈(155),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저장부(175) 및 전원공급부(180)를 포함한다.
서브통신 모듈(130)은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 오디오재생 모듈(142) 및 동영상재생 모듈(14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메라 모듈(150)은 제1 카메라(151) 및 제2 카메라(1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입/출력 모듈(160)은 버튼(161), 마이크(162), 스피커(163), 진동모터(164), 커넥터(165), 및 키패드(16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표시부(190) 및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95)가 각각 터치스크린 및 터치스크린 컨트롤러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어부(110)는 CPU(111), 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112) 및 휴대 단말(100)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기억하거나, 휴대 단말(100)에서 수행되는 작업을 위한 기억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 113)을 포함할 수 있다. CPU(111)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또는 쿼드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CPU(111), 롬(112) 및 램(113)은 내부버스(bus)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 모듈(155),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저장부(175), 전원공급부(180), 터치스크린(190), 및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를 제어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20)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하나 또는 복수-의 안테나(도시되지 아니함)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을 통해 휴대 단말(100)이 외부 장치와 연결되도록 한다. 이동통신 모듈(120)은 휴대 단말(100)에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가지는 휴대폰(도시되지 아니함), 스마트 폰(도시되지 아니함), 태블릿PC 또는 다른 장치(도시되지 아니함)와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문자메시지(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를 위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서브통신 모듈(130)은 무선랜 모듈(131)과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랜 모듈(131)만 포함하거나, 근거리통신 모듈(132)만 포함하거나 또는 무선랜 모듈(131)과 근거리통신 모듈(132)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무선랜 모듈(131)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도시되지 아니함)가 설치된 장소에서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무선랜 모듈(131)은 미국전기전자학회(IEEE)의 무선랜 규격(IEEE 802.11x)을 지원한다. 근거리통신 모듈(132)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장치(100)와 화상형성장치(도시되지 아니함) 사이에 무선으로 근거리 통신을 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방식은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Direct)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은 성능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100)은 성능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통신 모듈(132)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 오디오재생 모듈(142) 또는 동영상재생 모듈(143)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통신 모듈(141)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방송통신 안테나(도시되지 아니함)를 통해 방송국에서부터 송출되는 방송 신호(예, TV방송 신호, 라디오방송 신호 또는 데이터방송 신호) 및 방송부가 정보(예, EPS(Electric Program Guide) 또는 ESG(Electric Service Guide))를 수신할 수 있다. 오디오재생 모듈(142)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저장되거나 또는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예, 파일 확장자가 mp3, wma, ogg 또는 wav인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저장되거나 또는 수신되는 디지털 동영상 파일(예, 파일 확장자가 mpeg, mpg, mp4, avi, mov, 또는 mkv인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을 제외하고 오디오재생 모듈(142)과 동영상재생 모듈(14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모듈(140)의 오디오재생 모듈(142) 또는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제어부(110)에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50)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정지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151) 및 제2 카메라(1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카메라(151) 또는 제2 카메라(152)는 촬영에 필요한 광량을 제공하는 보조 광원(예, 플래시(도시되지 아니함))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51)는 상기 휴대 단말(100)의 전면에 배치되고, 제2 카메라(152)는 상기 휴대 단말(10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달리 취한 방식으로, 제1 카메라(151)와 제2 카메라(152)는 인접(예, 제1 카메라(151)와 제2 카메라(152)의 간격이 1cm 보다 크고, 8cm 보다는 작은) 하게 배치되어 3차원 정지이미지 또는 3차원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GPS 모듈(155)은 지구 궤도상에 있는 복수의 GPS위성(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전파를 수신하고, GPS위성(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휴대 단말(100)까지 전파도달시간(Time of Arrival)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100)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입/출력 모듈(160)은 복수의 버튼(161), 마이크(162), 스피커(163), 진동모터(164), 커넥터(165), 및 키패드(16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161)은 상기 휴대 단말(100)의 하우징의 전면, 측면 또는 후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전원/잠금 버튼(도시되지 아니함), 볼륨 버튼(도시되지 아니함), 메뉴 버튼, 홈 버튼, 돌아가기 버튼(back button) 및 검색 버튼(161)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162)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음성(voice) 또는 사운드(sound)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한다.
스피커(163)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또는 카메라 모듈(150)의 다양한 신호(예, 무선신호, 방송신호, 디지털 오디오 파일, 디지털 동영상 파일 또는 사진 촬영 등)에 대응 되는 사운드를 휴대 단말(100)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63)는 휴대 단말(100)이 수행하는 기능에 대응되는 사운드(예, 전화 통화에 대응되는 버튼 조작음, 또는 통화 연결음)를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63)는 휴대 단말(100)의 하우징의 적절한 위치 또는 위치들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모터(164)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드에 있는 휴대 단말(100)은 다른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로부터 음성통화가 수신되는 경우, 진동모터(164)가 동작한다. 상기 휴대 단말(100)의 하우징 내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모터(164)는 터치스크린(190) 상을 터치하는 사용자의 터치 동작 및 터치스크린(190) 상에서의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응답하여 동작할 수 있다.
커넥터(165)는 상기 장치(100)와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100)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커넥터(165)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휴대 단말(100)의 저장부(175)에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로 전송하거나 또는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100)은 커넥터(165)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로부터 전원을 입력받거나, 상기 전원소스를 이용하여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를 충전할 수 있다.
키패드(166)는 휴대 단말(100)의 제어를 위해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키패드(166)는 휴대 단말(10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터치스크린(190)에 표시되는 가상의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한다. 휴대 단말(10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는 휴대 단말(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제외될 수 있다.
이어폰 연결잭(Earphone Connecting Jack, 167)에는 이어폰(도시되지 아니함)이 삽입되어 상기 휴대 단말(100)에 연결될 수 있다.
센서 모듈(170)은 휴대 단말(100)의 상태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센서모듈(170)은 사용자의 휴대 단말(100)에 대한 접근 여부를 검출하는 근접센서, 휴대 단말(100) 주변의 빛의 양을 검출하는 조도센서(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휴대 단말(100)의 동작(예, 휴대 단말(100)의 회전, 휴대 단말(100)에 가해지는 가속도 또는 진동)을 검출하는 모션센서(도시되지 아니함), 지구 자기장을 이용해 방위(point of the compass)를 검출하는 지자기 센서(Geo-magnetic Sensor, 도시되지 아니함), 중력의 작용 방향을 검출하는 중력 센서(Gravity Sensor), 대기의 압력을 측정하여 고도를 검출하는 고도계(Altimeter)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상태를 검출하고, 검출에 대응되는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 센서모듈(170)의 센서는 휴대 단말(100)의 성능에 따라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저장부(175)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모듈(155),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터치스크린(190)의 동작에 대응되게 입/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75)는 휴대 단말(100) 또는 제어부(11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애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라는 용어는 저장부(175), 제어부(110) 내 롬(112), 램(113) 또는 휴대 단말(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도시되지 아니함)(예,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한다. 저장부(175)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8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휴대 단말(100)의 하우징에 배치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는 휴대 단말(100)에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전원공급부(180)는 커넥터(165)와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외부의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휴대 단말(10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80)는 무선 충전 기술을 통해 외부의 전원소스로부터 무선으로 입력되는 전원을 휴대 단말(100)로 공급할 수도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예, 통화, 데이터 전송, 방송, 사진촬영)에 대응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유저 인터페이스에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로 전송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사용자의 신체(예, 엄지를 포함하는 손가락)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예, 전자펜, 스타일러스 펜)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터치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190)은 적어도 하나의 터치 중에서, 하나의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을 입력받을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입력되는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로 전송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 터치는 터치스크린(190)과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과의 접촉에 한정되지 않고, 비접촉(예, 터치스크린(190)과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과 검출 가능한 간격이 1mm 이하)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에서 검출 가능한 간격은 휴대 단말(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특히 터치스크린(190)은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과의 접촉에 의한 터치 이벤트와, 비접촉 상태로의 입력(예컨대, 호버링(Hovering)) 이벤트를 구분하여 검출 가능하도록, 상기 터치 이벤트와 호버링 이벤트에 의해 검출되는 값(예컨대, 전류값 등)이 다르게 출력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더 나아가, 터치스크린(190)은 호버링 이벤트가 발생되는 공간과 터치스크린(190) 사이의 거리에 따라, 검출되는 값(예컨대, 전류값 등)을 다르게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터치스크린(190)은 예를 들어, 저항막(resistive) 방식, 정전용량(capacitive) 방식, 적외선(infrared) 방식 또는 초음파(acoustic wave)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는 터치스크린(190)에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예, X와 Y좌표)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한다. 제어부(110)는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19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터치 이벤트 또는 호버링 이벤트에 응답하여 터치스크린(190)에 표시된 단축 아이콘(도시되지 아니함)이 선택되게 하거나 또는 단축 아이콘(도시되지 아니함)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는 제어부(11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는 터치스크린(190)을 통해 출력되는 값(예컨대, 전류값 등)을 검출하여 호버링 이벤트가 발생되는 공간과 터치스크린(190) 사이의 거리를 확인할 수 있고, 확인된 거리 값을 디지털 신호(예컨대, Z좌표)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190)은 사용자의 신체 및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에 의한 입력을 동시에 입력받을 수 있도록, 사용자의 신체 및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의 터치나 근접을 각각 감지할 수 있는 적어도 두 개의 터치스크린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터치스크린 패널은 서로 다른 출력값을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에 제공하고,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터치스크린 패널에서 입력되는 값을 서로 다르게 인식하여, 터치스크린으로부터의 입력이 사용자의 신체에 의한 입력인지,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에 의한 입력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상기 터치 스크린(190)뿐만 아니라 카메라 모듈(150), 입/출력 모듈(160), 및 센서모듈(170) 등을 통해 수신되는 다양한 사용자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터치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제스쳐, 음성, 눈동자(홍채) 움직임, 생체신호 등 상기 휴대 단말(100) 내로 입력되는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상기 검출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미리 정해진 동작 또는 기능이 휴대 단말(100) 내에서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100)의 전면(100a) 중앙에는 터치스크린(190)이 배치된다. 상기 터치스크린(190)은 휴대 단말(100)의 전면(100a)의 대부분을 차지하도록 크게 형성된다.
도 2에서는, 상기 터치스크린(190)에 메인 홈 화면이 표시된 예를 나타낸다. 메인 홈 화면은 휴대 단말(100)의 전원을 켰을 때 상기 터치스크린(190) 상에 표시되는 첫 화면이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100)이 여러 페이지의 서로 다른 홈 화면들을 갖고 있을 경우, 메인 홈 화면은 상기 여러 페이지의 홈 화면들 중 첫 번째 홈 화면일 수 있다. 홈 화면에는 자주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축 아이콘들(191-1, 191-2, 191-3), 메인 메뉴 전환키(191-4), 시간, 날씨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메뉴 전환키(191-4)는 상기 터치스크린(190) 상에 메뉴 화면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터치스크린(190)의 상단에는 배터리 충전상태, 수신신호의 세기, 현재 시각과 같은 휴대 단말(100)의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바(Status Bar, 192)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190)의 하부에는 홈 버튼(161a), 메뉴 버튼(161b), 및 뒤로 가기 버튼(161c)이 형성될 수 있다.
홈 버튼(161a)은 터치스크린(190)에 메인 홈 화면(main Home screen)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190)에 상기 메인 홈 화면과 다른 홈 화면(any Home screen) 또는 메뉴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홈 키(161a)가 터치 되면, 터치스크린(190)에 메인 홈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190) 상에서 애플리케이션들이 실행되는 도중 홈 버튼(191a)이 터치 되면, 상기 터치스크린(190)상에는 도 2에 도시된 메인 홈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홈 버튼(161a)은 상기 터치스크린(190) 상에 최근에(recently) 사용된 애플리케이션들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하거나, 태스크 매니저(Task Manager)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메뉴 버튼(161b)은 터치스크린(190) 상에서 사용될 수 있는 연결 메뉴를 제공한다. 상기 연결 메뉴에는 위젯 추가 메뉴, 배경화면 변경 메뉴, 검색 메뉴, 편집 메뉴, 환경 설정 메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뒤로 가기 버튼(161c)은 현재 실행되고 있는 화면의 바로 이전에 실행되었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거나, 가장 최근에 사용된 애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킬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의 전면(100a) 가장자리에는 제1 카메라(151)와 조도 센서(170a) 및 근접 센서(170b)가 배치될 수 있다. 장치(100)의 후면(100c)에는 제2 카메라(152), 플래시(flash, 153), 스피커(163)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100)의 측면(100b)에는 예를 들어 전원/리셋 버튼(160a), 음량 버튼(161b), 방송 수신을 위한 지상파 DMB 안테나(141a), 하나 또는 복수의 마이크들(162)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DMB 안테나(141a)는 장치(100)에 고정되거나, 착탈 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휴대 단말(100)의 하단 측면에는 커넥터(165)가 형성된다. 커넥터(165)에는 다수의 전극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 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장치(100)의 상단 측면에는 이어폰 연결잭(167)이 형성될 수 있다. 이어폰 연결잭(167)에는 이어폰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100)의 하단 측면에는 스타일러스 펜(168)이 형성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168)은 휴대 단말(100) 내부에 삽입되어 보관될 수 있으며, 사용 시에는 상기 휴대 단말(100)로부터 인출 및 탈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스타일러스 펜(168)이 삽입되는 휴대 단말(100) 내부의 일 영역에는 상기 스타일러스 펜(168)의 장착 및 탈착에 대응하는 동작하는 펜 탈착 스위치(미도시)가 구비되어, 제어부(110)로 상기 스타일러스 펜(168)의 장착 및 탈착에 대응하는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화면에 대한 계층 구조를 설명하는 구조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 따른 휴대 단말의 표시부의 화면(400)은 제 1 계층(410)과 제 2 계층(420)을 포함한다.
제 1 계층(410)은 배경 화면, 아이콘 및 단축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는 계층이다. 배경 화면은 비주얼 테마를 구성하는 비주얼 조건에 데이터의 저장 정보를 반영하여 표시될 수 있는 화면이다. 아이콘은 모바일 장치의 현재 동작 상태 즉, 통화 상태임을 표시하는 전화기, 소리 설정 항목을 표시하는 스피커, 배터리 상태를 나타내는 배터리 등의 다양한 모양(기호 또는 그림)으로 표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모바일 장치에 저장된 각 애플리케이션 데이터의 저장 개수에 따른 단축 아이콘들은 다양한 형상 (기호 또는 그림)을 가질 수 있다.
제 2 계층(4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축 아이콘 윈도우 제어 방법에서 제공되는 단축 아이콘 윈도우가 표시될 수 있는 계층이다.
또한, 제 2 계층(420)은 상기 제 1 계층(410)보다 상위 계층에 위치한다. 따라서, 제 1 계층에서 현재 애플리케이션 실행 중에도 제2 계층에 단축 아이콘 윈도우가 표시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축 아이콘 윈도우 표시 방법이 적용되는 휴대 단말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 구비된 제어부(110)는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단축 아이콘 윈도우 표시 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구비되는 제어부(110)는 도 5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수집하여 단축 아이콘 윈도우를 제어하기 위한 동작을 처리하는 단축 아이콘 윈도우 운용부(114)와 호버링 이벤트 운용부(115)를 구비한다.
단축 아이콘 윈도우 운용부(114)는 사용자 입력 신호들을 전달받고, 전달받은 사용자 입력 신호들을 클릭 이벤트, 드래그 이벤트로 구분하고, 각 이벤트에 대응하는 단축 아이콘 윈도우의 동작들을 제어할 수 있다.
클릭 이벤트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단축 아이콘 윈도우의 단축 아이콘이 터치 되는 이벤트이고, 터치 된 단축 아이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
드래그 이벤트는 일반 드래그 이벤트와 플릭(Flick) 이벤트로 분류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축 아이콘 윈도우를 제어하는 방법에서 일반 드래그 데이터와 플릭(Flick) 이벤트가 처리되는 과정에 대해서는 하기 도 9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호버링 이벤트 운용부(115)는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에서 제공되는 위치 정보(예, X, Y, Z 좌표)를 사용하여 터치스크린 상에 호버링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확인하고, X, Y 좌표를 기반으로 하여 호버링 이벤트가 발생된 영역을 검출하고, 또한, Z 좌표를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예컨대, 스타일러스 펜(168))과 터치스크린(190) 사이의 거리를 검출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호버링 이벤트 운용부(530)는 호버링 이벤트가 발생된 영역에서 호버링 이벤트가 지속되는 시간을 카운트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축 아이콘 윈도우를 제어하는 방법에서 호버링 이벤트 운용부(530)에서 생성된 데이터들이 처리되는 과정에 대해서는 하기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더 나아가, 전술한 제어부(110)는 후술 되는 단축 아이콘 윈도우 제어 방법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구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바, 제어부(110)는 전술한 실시 예의 구성 및 동작뿐 아니라, 후술 되는 단축 아이콘 윈도우 제어 방법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하기에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예시되는 단축 아이콘 윈도우 표시 방법의 동작은 제어부(110)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축 아이콘 윈도우 표시 방법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단축 아이콘 윈도우 표시 방법은 표시부(터치스크린) 상에 단축 아이콘 윈도우가 표시되고(S610),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그 동작이 개시될 수 있다. 예컨대, 터치스크린 컨트롤러로(195)부터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그 동작이 개시될 수 있다. 즉, 제어부(110)가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로부터 사용자 입력 유닛의 근접에 대응하여 발생되는 데이터(예컨대, 사용자 입력 데이터의 X, Y, Z 좌표에 대한 디지털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동작을 개시한다(S620). 여기서 단축 아이콘 윈도우는 하나 이상의 단축 아이콘을 포함하며 모바일 장치에 구비된 터치스크린(160)의 제 2 계층에 표시된 상태이다.
다음으로, S630 과정에서는, S620 과정에서 수신된 사용자 입력이 싱글 터치 제스쳐인지 멀티 터치 제스쳐인지 판단한다. 여기서 싱글 터치 제스쳐와 멀티 터치 제스쳐의 상세한 설명은 상기 용어 설명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다음으로, S640 과정에서는, S630 과정에서 판단된 멀티 터치 제스쳐의 데이터를 수신받고, 멀티 터치 좌표들이 단일의 단축 아이콘의 형상 내부에 위치하는지, 또는 상기 멀티 터치 좌표들이 각각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복수 개의 단축 아이콘 윈도우들의 형상 내부에 위치하는지 판단한다. 예컨대, 단축 아이콘 윈도우의 모서리 점들의 좌표들을 기반으로 단축 아이콘 윈도우의 위치를 판단하고, 멀티 터치 좌표들의 위치가 단축 아이콘 윈도우의 형상 내부에 위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S650 과정에서는, S640 과정에서 멀티 터치 좌표들이 모두 단일 단축 아이콘 윈도우의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 도 7을 참조하여 하기 자세히 설명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일 아이콘 윈도우의 내부에서 멀티 터치의 동작에 따라 해당 데이터 처리를 수행한 뒤 다시 S620 과정으로 이동하여 다음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해 대기한다.
다음으로, S660 과정에서는, S640 과정에서 멀티 터치 좌표들이 각각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복수 개의 단축 아이콘 윈도우들의 형상 내부에 각각 위치하는 경우, 도 8을 참조하여 하기 자세히 설명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 개의 단축 아이콘 윈도우의 내부에서 멀티 터치의 동작에 따라 해당 데이터 처리를 수행한 뒤 다시 S620 과정으로 이동하여 다음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해 대기한다.
한편, S670 과정에서는, S630 과정에서 판단된 싱글 터치 제스쳐의 데이터를 수신받고, 수신받은 싱글 터치 제스쳐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 입력이 클릭 제스쳐 인지 드래그 제스쳐인지를 판단한다. 예컨대 수신된 터치 데이터의 좌표의 이동변화(궤적)를 바탕으로 클릭 제스쳐와 드래그 제스쳐를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S680 과정에서는, S670 과정에서 판단한 결과 클릭 제스쳐인 경우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축 아이콘 윈도우 내부에서 존재하는 복수 개의 단축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의 단축 아이콘이 클릭 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 클릭 된 좌표에 위치한 단축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다. 그 후 다시 S620 과정으로 이동하여 다음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해 대기한다. 즉,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에도 단축 아이콘 윈도우가 터치스크린의 제 2 계층에 표시되므로, 다시 S620 과정으로 이동하여 다음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해 대기한다.
다음으로, S690 과정에서는, S670 과정에서 판단한 결과 드래그 제스쳐인 경우는 단축 아이콘 윈도우 내에서 드래그 제스쳐가 입력된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 도 9를 참조하여 하기 자세히 설명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축 아이콘 윈도우의 드래그에 따라 해당 데이터 처리를 수행한 뒤 다시 S620 과정으로 이동하여 다음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해 대기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일 단축 아이콘 윈도우의 경계선 내부에서 멀티 터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우선, 상기 도 6의 S640 과정에서 멀티 터치 좌표들이 단일 단축 아이콘 윈도우의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 동작이 개시된다.
S651 과정에서는, 제어부(110)는 단일 단축 아이콘 윈도우의 내부에 위치하는 멀티 터치 좌표들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지를 판단한다. 예컨대, 멀티 터치 좌표들의 현재 터치 좌표들에서 직전 터치 좌표들로 이동되는 좌표변화(궤적)를 바탕으로 멀티 터치의 이동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S652 과정에서는, S651 과정에서 사용자의 멀티 터치의 이동 방향이 단일 단축 아이콘 윈도우의 경계선 내에서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인 경우 즉, 줌 인(Zoom In)이라면 멀티 좌표들이 터치가 종료되는 좌표들의 중심 좌표를 이동 좌표로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S653 과정에서는, S652 과정에서 단축 아이콘 윈도우의 형상을 변경시킨다. 예컨대, 단축 아이콘 윈도우의 형상의 크기를 축소시켜 변형된 단축 아이콘 윈도우로 변경 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변형된 단축 아이콘 윈도우는 단축 아이콘 윈도우에 속한 복수 개의 단축 아이콘들 중 대표적인 단축 아이콘의 그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단축 아이콘 윈도우에 속한 복수 개의 단축 아이콘들의 공통된 특징을 표현할 수 있는 텍스트, 사용자 설정에 의한 도형, 캐릭터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음으로, S654 과정에서는, S653 과정에서 변형된 단축 아이콘 윈도우를 S652 과정에서 연산 된 좌표로 이동시키고, 터치스크린 상에 제 2 계층에 표시하며 다시 도 6의 S620 과정으로 이동하여 다음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해 대기한다.
한편, S656 과정에서는, S651 과정에서 사용자의 멀티 터치의 이동 방향이 단일 단축 아이콘 윈도우의 경계선을 벗어나는 외부방향인 경우 즉, 줌 아웃(Zoom out)인 경우 해당 단축 아이콘 윈도우를 복수 개 단축 아이콘 윈도우들로 분할할 수 있다. 여기서 분할되는 방향과 분할 시 기준에 대한 설명은 상기 용어 설명 중 멀티 터치 설명에서 자세히 기술되었으므로 생략한다.
다음으로, S657 과정에서는, S656 과정에서 분할된 복수 개의 단축 아이콘 윈도우들을 멀티 터치가 종료된 최종 좌표들에 각각 이동시킬 수 있다. 예컨대, 분할 된 복수 개의 단축 아이콘 윈도우들은 멀티 터치 좌표들의 각각의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되다가 멀티 터치가 종료된 최종 좌표에 도달하면 이동을 종료할 수 있다.
다음으로, S658 과정에서는, S657 과정에서 이동이 완료된 단축 아이콘들을 터치스크린 상에 제 2 계층에 표시하며 다시 도 6의 S620 과정으로 이동하여 다음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해 대기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 개의 단축 아이콘 윈도우의 경계선 내부에서 멀티 터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우선, 상기 도 6의 S640 과정에서 멀티 터치 좌표들이 복수 개의 단축 아이콘 윈도우들(서로 다른 위치에서 표시되는 단축 아이콘 윈도우들)의 각각의 경계선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 동작이 개시된다.
S661 과정에서는, 서로 다른 위치에 있던 복수 개의 단축 아이콘 윈도우들이 멀티 터치 되어 각각 멀티 터치의 좌표변화(궤적)를 따라 이동 중에 서로 겹치는 단축 아이콘 윈도우들이 있는지 판단한다.
다음으로, S662 과정에서는, S661 과정에서 멀티 터치 되어 이동 중인 복수 개의 단축 아이콘 윈도우들 중 서로 겹치는(면적이 중첩되는) 단축 아이콘 윈도우들이 발생하는 경우, 서로 겹쳐진 복수 개의 단축 아이콘 윈도우들을 하나의 단축 아이콘 윈도우로 병합할 수 있다.
다음으로, S663 과정에서는, S662 과정에서 병합된 단축 아이콘 윈도우를 상기 겹치는 최초 좌표를 중심으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S662 과정에서 하나의 단축 아이콘 윈도우로 병합된 후 추가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이동 가능한 상태(focus 상태 또는 활성화 상태)가 된 후 다시 추가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터치 되는 영역의 좌표로 상기 단축 아이콘 윈도우가 이동할 수 있다.
다음으로, S664 과정에서는, S663 과정에서 이동 완료된 단축 아이콘 윈도우를 터치스크린 상에 제 2 계층에 표시하며 다시 도 6의 S620 과정으로 이동하여 다음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해 대기한다.
한편, S666 과정에서는, S661 과정에서 이동 중에 서로 겹치는 단축 아이콘 윈도우들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복수 개의 단축 아이콘 윈도우들을 멀티 터치가 종료되는 각 좌표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S664 과정에서는, S666 과정에서 이동 완료된 복수 개의 단축 아이콘 윈도우들을 터치스크린 상에 제 2 계층에 표시하며 다시 도 6의 S620 과정으로 이동하여 다음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해 대기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축 아이콘 윈도우의 드래그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우선, 상기 도 6의 S670 과정에서 싱글 터치 제스쳐가 드래그 제스쳐인 경우 동작이 개시된다.
S691 과정에서는, 상기 도 6의 S670 과정에서 수신된 드래그 제스쳐가 일반 드래그 제스쳐인지 플릭 제스쳐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드래그 제스쳐의 연속된 좌표 데이터 중 직전 터치 좌표 값(X1, Y1)에서 현재 터치 좌표 값(X2, Y2)까지 이동한 거리(예를 들어 선택된 픽셀 개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이상을 갖는지 판단하여 일반 드래그 제스쳐와 플릭 제스쳐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플릭 제스쳐는 상기 직전 터치 좌표 값(X1, Y1)에서 현재 터치 좌표 값(X2, Y2)까지 이동한 거리, 이동하는데 소요된 시간(T) 및 직전 터치 좌표 중 X값을 통과하는 수평선(H)과 드래그 이동 방향이 이루는 각도(θ) 등을 연산하여 플릭 제스쳐 판단 시 바탕 데이터로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S692 과정에서는, S691 과정에서 플릭 제스쳐의 데이터로 판단된 경우로서 해당 단축 아이콘 윈도우가 이동될 좌표를 계산한다. 여기서 이동 좌표는 드래그 좌표 데이터 중 상기 직전 터치 좌표 값(X1, Y1)에서 현재 터치 좌표 값(X2, Y2)을 통과하는 가상의 연장선을 터치스크린의 경계선까지 생성하여 상기 연장선과 터치스크린의 경계선이 만나는 접점의 좌표를 연산하여 이동 좌표를 획들 할 수 있다.
다음으로, S693 과정에서는, S692 과정에서 단축 아이콘 윈도우를 연산 된 이동 좌표로 이동시키기 전에 단축 아이콘 윈도우의 형상을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변형된 단축 아이콘 윈도우의 형상의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상기 용어 설명 중 변경된 단축 아이콘 윈도우의 설명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다음으로, S694 과정에서는, S692 과정에서 이동 좌표로 S693 과정에서 형상이 변경된 단축 아이콘 윈도우를 이동시킨다. 이동 완료된 변형된 단축 아이콘 윈도우를 터치스크린 상에 제2 계층에 표시하며 다시 도 10의 S711 과정으로 이동하여 다음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해 대기한다.
한편, S696 과정에서는, S691 과정에서 S691 과정에서 일반 드래그 제스쳐로 판단된 경우로서 드래그 제스쳐가 종료된 최종 좌표로 해당 단축 아이콘 윈도우를 이동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S697 과정에서는, S696 과정에서 단축 아이콘 윈도우를 이동 중에 단축 아이콘 윈도우의 면적이 터치스크린의 경계선을 기준 면적 이상 벗어나는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기준 면적 이상 벗어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단축 아이콘 윈도우의 이동을 완료한 뒤 다시 S691 과정으로 이동하여 다음 수신되는 일반 드래그 제스쳐와 플릭 제스쳐를 판단하기 위해 대기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면적으로는 상기 이동 중인 단축 아이콘 윈도우의 전체 면적 중 4분의 3을 기준 면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S698과정에서는, S697 과정에서 단축 아이콘 윈도우가 이동 중에 기준 면적 이상 터치스크린의 경계선을 벗어난 경우에 해당 단축 아이콘 윈도우의 이동 좌표를 연산한다. 여기서 이동 좌표는 해당 단축 아이콘 윈도우가 최초 접하는 터치스크린의 경계선의 중심점의 좌표를 이동 좌표로 획득할 수 있다. 그 후, S693과정과 S694과정을 상기 설명된 과정과 동일하게 진행할 수 있다. 여기서, 단축 아이콘 윈도우의 면적은 단축 아이콘 윈도우의 각 모서리의 좌표값들을 바탕으로 연산 될 수 있고, 단축 아이콘 윈도우의 전체 면적에서 터치스크린의 경계선을 넘어가는 단축 아이콘 윈도우 면적의 계산은 각 모서리 좌표 중 어느 하나의 현재 좌표와 단축 아이콘 윈도우의 전체 면적을 바탕으로 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측 최상단에 위치한 모서리의 좌표를 기준으로 단축 아이콘 윈도우의 일부 면적이 얼마만큼 터치스크린의 경계선을 넘어갔는지 판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형된 단축 아이콘 윈도우 표시 방법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변형된 단축 아이콘 윈도우 제어 방법은 터치스크린 상에 변형된 단축 아이콘 윈도우가 표시되고(S710),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그 동작이 개시될 수 있다. 예컨대, 터치스크린 컨트롤러로(195)부터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그 동작이 개시 될 수 있다. 즉, 제어부(110)가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로부터 사용자 입력 유닛의 근접에 대응하여 발생되는 데이터(예컨대, 사용자 입력 데이터의 X, Y, Z 좌표에 대한 디지털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동작을 개시한다(S711). 여기서 변형된 단축 아이콘 윈도우는 하나 이상의 단축 아이콘을 포함한 단축 아이콘 윈도우가 형상이 변경되어 모바일 장치에 구비된 터치스크린(160)의 제 2 계층에 표시된 상태이다.
다음으로, S712 과정에서는, S711 과정에서 수신된 사용자 입력이 터치 제스쳐인지 호버링 제스쳐인지 판단한다. 예컨대, 터치 제스쳐는 X, Y 좌표에 대한 디지털 신호이며, 호버링 제스쳐는 X, Y, Z좌표에 대한 디지털 신호이므로 터치 제스쳐와 호버링 제스쳐를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S713 과정에서는, S712 과정에서 터치 제스쳐를 수신받고, 다시 클릭 제스쳐 인지 드래그 제스쳐 인지를 판단한다. 예컨대 수신된 터치 제스쳐 데이터의 좌표들의 이동변화(궤적)를 바탕으로 클릭 제스쳐와 드래그 제스쳐를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S714 과정에서는, S713 과정에서 클릭 제스쳐로 판단된 경우, 변형 된 단축 아이콘 윈도우를 형상 변경 전의 위치의 좌표값을 이동 좌표로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S715 과정에서는, S714 과정에서 변형된 단축 아이콘 윈도우를 형상 변경전의 형상으로 다시 복원할 수 있다.
다음으로, S716 과정에서는, S715 과정에서 복원된 단축 아이콘 윈도우를 S714 과정에서 획득한 이동 좌표로 이동시키고, 단축 아이콘 윈도우를 터치스크린 상에 제2 계층에 표시하며 S620 과정으로 이동하여 과정으로 이동하여 다음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해 대기한다.
한편, S718 과정에서는, S713 과정에서 드래그 제스쳐로 판단된 경우, 변형된 단축 아이콘 윈도우를 유지하며, 드래그의 이동 방향을 따라 해당 변형된 단축 아이콘 윈도우를 이동을 완료하고, 다시 S710 과정으로 이동하여 변형된 단축 아이콘 윈도우를 터치스크린 상에 제2 계층에 표시한다.
또한, 변형된 단축 아이콘 윈도우는 드래그 이동 중에 드래그 되는 터치스크린의 영역에 따라 변형된 단축 아이콘 윈도우의 형상이 추가로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터치스크린의 경계선에 접하여 이동되는 경우 변형된 단축 아이콘 윈도우에 속한 복수 개의 아이콘들의 공통점을 표시할 수 있는 텍스트를 포함하는 바(bar) 형상으로 형상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홈 화면으로 이동되는 경우 단축 아이콘들(191-1, 191-2, 191-3)과 같은 위치에 변형된 단축 아이콘 윈도우 형상을 유지하여 표시될 수 있다. 이때 변형된 단축 아이콘 윈도우는 터치스크린의 제 2 계층에 표시되므로 홈 화면이 다른 화면으로 전환되어도 그 위치를 유지하며 표시될 수 있다.
한편, S720 과정에서는, S712 과정에서 호버링 제스쳐의 데이터를 수신받을 수 있다. 예컨대, 변형된 단축 아이콘 윈도우의 면적에 호버링을 지원하는 스타일러스 펜(168)이 기준거리 이내로 접근하여 호버링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다. 호버링 이벤트 발생시 제어부는 터치 스크린 상의 변형된 단축 아이콘 윈도우의 표시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변형 전의 단축 아이콘 윈도우를 팝업 형태로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S721 과정에서는, S720 과정에서 터치스크린 상에 제 2 계층에 표시 중인 단축 아이콘 윈도우에 속한 단축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가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지 않으면 S720으로 이동하여 다음 호버링 이벤트를 수신받기 위해 대기할 수 있다.
다음으로, S722 과정에서는, S721 과정에서 단축 아이콘 윈도우에 속한 단축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가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경우, 해당 단축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할 수 있다. 이때 단축 아이콘 윈도우의 표시는 종료하고, 다시 S710 과정으로 이동하여 변형된 단축 아이콘 윈도우를 터치스크린 상에 제2 계층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축 아이콘 윈도우의 단축 아이콘들의 편집 및 데이터 공유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단축 아이콘 윈도우의 단축 아이콘들의 편집 및 데이터 공유 방법은 터치스크린 상에 단축 아이콘 윈도우가 표시되고(S810),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그 동작이 개시될 수 있다. 다음으로, S811 과정에서는, S810 과정에서 수신된 사용자 입력이 단축 아이콘 윈도우의 경계선 내부를 선택한 드래그 제스쳐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드래그 제스쳐가 아니라면 S810 과정으로 이동하여 다음 단축 아이콘 윈도우 내부가 선택된 드래그 제스쳐의 수신을 대기할 수 있다.
다음으로, S812 과정에서는, S811 과정에서 드래그 제스쳐인 경우 드래그가 종료되는 최종 위치가 단축 아이콘 윈도우의 경계선의 내부 인지 외부인지 판단할 수 있다. 드래그가 종료되는 최종 위치가 단축 아이콘 윈도우의 경계선의 내부인 경우에는 S819 과정으로 이동하고, 드래그 최종 위치가 단축 아이콘 윈도우의 외부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S813 과정으로 이동한다.
다음으로, S813 과정에서는, S812 과정에서 드래그가 종료된 최종 위치가 단축 아이콘 윈도우의 경계선의 외부인 경우 제 1 계층에 현재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현재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이라면 S814과정으로 이동한다. 실행 중이 아니라면 S820 과정으로 이동한다.
다음으로, S814 과정에서는, S813 과정에서 단축 아이콘 윈도우에 속한 단축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가 드래그 제스쳐에 의해 단축 아이콘 윈도우의 경계선의 외부로 이동되어 현재 제 1 계층에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화면 위로 드래그 앤 드롭 된 상태이다. 이때 제어부는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공유 데이터들로부터 상기 드래그 앤 드롭 된 단축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과 공유할 수 있는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저장 공간에 타 애플리케이션들과 서로 공유될 수 있는 공유 데이터를 약속된 형태로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전화번호부관련 애플리케이션의 경우에는 타 애플리케이션과 공유할 수 있는 공유 데이터들로서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홈페이지 주소, 생일 정보 데이터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앨범관련 애플리케이션의 경우에는 타 애플리케이션과 공유할 수 있는 데이터들로서 사진 파일이 위치하는 경로 정보가 될 수 있다.
또한, 메모관련 애플리케이션의 경우에는 메모의 내용이 될 수 있다.
다음으로, S815 과정에서는, S814 과정에서 공유할 수 있는 데이터가 복수 개인 경우 공유 가능한 데이터들의 목록을 팝업, 리스트 등의 형태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S816 과정에서는, S815 과정에서 표시된 공유할 수 있는 데이터들 중 실제 공유할 데이터를 사용자 입력을 수신받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공유할 수 있는 데이터가 하나만 존재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받지 않고, 공유할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S817 과정에서는, S816 과정에서 공유할 데이터를 반영하여 드래그 앤 드롭 된 단축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S810 과정으로 이동하여 단축 아이콘 윈도우를 터치스크린의 제 2 계층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S820 과정에서는, S813 과정에서 현재 제 1 계층에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되지 않고, 단축 아이콘 윈도우에서 드래그 된 단축 아이콘이 단축 아이콘 윈도우의 경계선의 외부로 드래그 중인 상태이다. 여기서 드래그가 종료되는 최종 위치의 좌표가 다른 단축 아이콘 윈도우의 내부에 위치하는지 외부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S821 과정에서는, S820 과정에서 드래그가 종료된 최종 위치가 다른 단축 아이콘 윈도우의 경계선의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단축 아이콘을 드래그가 종료된 위치의 단축 아이콘 윈도우에 병합하고, S810 과정으로 이동하여 단축 아이콘 윈도우를 터치스크린의 제 2 계층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S822 과정에서는, S820 과정에서 드래그가 종료된 최종 위치가 다른 단축 아이콘 윈도우의 경계선의 외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아이콘을 드래그 전에 속해 있던 단축 아이콘 윈도우에서 제거하고, S810 과정으로 이동하여 단축 아이콘 윈도우를 터치스크린의 제 2 계층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S819 과정에서는, S812 과정에서 드래그가 종료된 최종 위치가 동일한 단축 아이콘 윈도우의 경계선 내부인 경우, 드래그가 종료된 위치의 단축 아이콘과 드래그 된 단축 아이콘의 위치를 서로 바꾸고, S810 과정으로 이동하여 단축 아이콘 윈도우를 터치스크린의 제 2 계층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에 따른 단축 아이콘 윈도우가 실행된 화면의 다양한 예시도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의 터치스크린에 단축 아이콘 윈도우와 변형된 단축 아이콘 윈도우를 함께 표시한 예시도 이고, 도 12b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의 제 1 계층에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에 복수 개의 단축 아이콘 윈도우를 제2 계층에 표시한 예시도이다.
모바일 장치(100)는 현재 애플리케이션이 터치스크린 상의 제 1 계층에 표시(1260) 중이라도 단축 아이콘 윈도우(1210)을 제 2 계층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애플리케이션 실행 중에도 단축 아이콘 윈도우(1210)에 속한 단축 아이콘을 선택하여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받아 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단축 아이콘 윈도우(1210)의 형상을 변경하여 제 2 계층에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줌인 제스쳐에 의해 본래 형상보다 축소된 형상을 가지는 변형된 단축 아이콘 윈도우(1220)를 제 2 계층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장치(100)는 복수 개의 단축 아이콘 윈도우(1210)들과 복수 개의 변형된 단축 아이콘 윈도우(1220)들을 동시에 제 2 계층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단축 아이콘 윈도우가 모바일 장치의 터치스크린 내에서 드래그로 위치 이동되는 예시도 이며, 도 14a, 14b 및 14c는 본 발명에 따른 단축 아이콘 윈도우가 터치스크린의 경계선 방향으로 플릭되고, 화면 경계선에 변형된 단축 아이콘 윈도우로 표시되는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가 드래그 제스쳐를 수신하여 단축 아이콘 윈도우를 이동시키는 것을 표시한 예시도 이고, 도 14a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가 수신한 드래그의 방향이 터치스크린의 경계선 방향인 경우 단축 아이콘 윈도우가 위치 이동하는 것을 표시한 예시도 이고, 도 14b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가 터치스크린의 경계선에서 단축 아이콘 윈도우의 형상을 변경하기 위해 경계선을 벗어난 면적을 기준 면적과 비교하여 형상 변경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표시한 예시도 이고, 도 14c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의 터치스크린의 경계선에서 드래그 제스쳐를 수신하여 위치 이동하는 단축 아이콘 윈도우의 형상이 변경되는 과정을 표시한 예시도이다.
모바일 장치(100)는 터치스크린(190)의 제 2 계층에 표시된 단축 아이콘 윈도우(1210)에 드래그 제스쳐가 수신되면, 드래그가 종료되는 최종 좌표로 단축 아이콘 윈도우(1210)를 위치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단축 아이콘 윈도우(1210)을 이동 중에 터치스크린(190)의 경계선을 벗어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모바일 장치(100)는 단축 아이콘 윈도우(1210)의 전체 면적 중 터치스크린의 경계선을 벗어난 면적(1211)과 미리 설정된 기준 면적(예를 들어 단축 아이콘 창의 전체 면적 대비 4분의 3의 면적)을 비교하여 단축 아이콘 윈도우(1210)의 형상을 변경할지를 판단할 수 있다.
경계선을 벗어난 면적(1211)이 기준 면적 이상인 경우, 모바일 장치(100)는 단축 아이콘 윈도우(1210)의 형상을 변경하고, 변형된 단축 아이콘 윈도우(1220b)를 터치스크린(190)의 경계선과의 접점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이동시켜, 터치스크린(190)의 제2 계층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장치가 수신한 플릭 제스쳐 방향이 터치스크린의 경계선 방향일 경우, 단축 아이콘 윈도우의 형상을 변경하여 변형된 단축 아이콘 윈도우로 표시하는 예시도이다.
모바일 장치(100)가 수신한 플릭 제스쳐의 위치가 터치스크린(190) 상에 표시 되는 단축 아이콘 윈도우(1210)인 경우, 단축 아이콘 윈도우(1210)의 형상을 변경하고, 변형된 단축 아이콘 윈도우(1220b)를 플릭 제스쳐의 방향과 터치스크린(190)의 경계선과의 접점을 중심 좌표로 설정하여 위치 이동할 수 있다.
도 16a 및 도 16b는 본 발명에 따른 단축 아이콘 윈도우의 형상이 변경되는 다양한 방법에 관한 예시도이다.
도 16a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가 멀티 터치 제스쳐를 수신하여 단축 아이콘 윈도우의 형상을 변경하는 과정을 표시한 예시도 이고, 도 16b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가 변형된 단축 아이콘 윈도우를 이동시키는 좌표를 결정하는 과정을 표시한 예시도이다.
모바일 장치(100)는 수신된 멀티 터치 제스쳐가 터치스크린(190) 상에 표시된 단축 아이콘 윈도우(1210)의 경계선 내부에 위치하며 멀티 터치 된 지점간의 거리를 좁히는 경우에 해당 단축 아이콘 윈도우(1210)의 형상을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변경된 단축 아이콘 윈도우(1220a)는 형상 변경 전의 단축 아이콘 윈도우(1210)의 중심 좌표의 중심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지는 변형된 단축 아이콘 윈도우들이 함께 터치스크린 상의 제 2 계층에 표시되는 예시도이다.
모바일 장치(100)는 터치스크린(190) 상의 제 2 계층에 복수 개의 변형된 단축 아이콘 윈도우(1220)들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 개의 변형된 단축 아이콘 윈도우(1220)들은 터치스크린(190)의 경계선과 접하는 영역과 터치스크린(190)의 내부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변형된 단축 아이콘 윈도우(1220a, 1220b)는 터치스크린(190)의 상태바(192) 및 홈 화면 단축아이콘들(191)의 표시 영역에도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변형된 단축 아이콘 윈도우(1220)은 그림, 텍스트, 캐릭터, 도형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190)의 경계선과 접하는 영역에 위치하는 변형된 단축 아이콘 윈도우(1220b)는 상기 설명된 형상 이외에 변환 전 단축 아이콘 윈도우에 속한 복수 개의 단축 아이콘의 카테고리를 표현할 수 있는 텍스트를 포함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8a 및 도 18b는 본 발명에 따른 변형된 단축 아이콘 윈도우에 호버링 이벤트 발생 시, 변형 전 단축 아이콘 윈도우를 함께 표시하는 과정이 표시되는 예시도이다.
모바일 장치(100)는 터치스크린(190)에서 표시된 변형된 단축 아이콘 윈도우(1220b)가 위치한 영역에서 호버링 이벤트(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펜(168)을 통해 호버링 이벤트)가 발생하면, 변형 전 단축 아이콘 윈도우(1210)를 터치스크린(190) 상에 팝업, 리스트 등의 형태로 표시한 후 다음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해 대기 한다.
상기 단축 아이콘 윈도우(1210)에 속한 단축 아이콘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단축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도 19a, 도 19b 및 도 19c는 본 발명에 따른 단축 아이콘 윈도우에 속한 단축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과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 간의 데이터를 서로 공유하는 과정에 관한 예시도이다.
도 19a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에서 애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터치스크린 제 2 계층에 표시되는 단축 아이콘 윈도우에 속한 단축 아이콘들 중 하나를 단축 아이콘 윈도우의 경계선 외부로 드래그 앤 드롭하는 과정을 표시한 예시도 이고, 도 19b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저장 공간에 애플리케이션 간 공유 가능한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과정을 표현한 예시도 이고, 도 19c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에서 애플리케이션 간에 공유 가능한 데이터들의 형식을 표현한 예시도이다.
모바일 장치(100)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단축 아이콘 윈도우(1210)에 속한 어느 하나의 단축 아이콘(1211)이 해당 단축 아이콘 윈도우(1210)의 경계선 밖으로 드래그 앤 드롭 되면,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표시(1260)를 종료하고, 드래그 앤 드롭 된 단축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이 경우, 모바일 장치(100)는 종전에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에서 다른 애플리케이션과 공유 가능한 데이터들을 미리 저장 공간에 저장해놓고, 저장된 공유 데이터들 중 상기 단축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 가능한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단축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 반영할 수 있다. 예컨대, 모바일 장치(100)가 전화번호부 관련 애플리케이션 실행 중인 경우에는 전화번호, 메일 주소, 홈페이지 주소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공유 데이터를 저장 공간에 미리 저장할 수 있다. 그 후, 단축 아이콘 윈도우(1210)에 속한 단축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의 단축 아이콘(1211)이 해당 단축 아이콘 윈도우(1210)의 경계선 외부로 드래그 앤 드롭되면 해당 단축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미리 저장된 공유 데이터 중 사용 가능한 데이터를 반영하여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반영되는 공유 데이터는 도 1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각각 다르다. 모바일 장치(100)가 전화번호부 관련 애플리케이션 실행 중이라면 전화번호, 메일 주소, 홈페이지 주소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공유 데이터가 저장 공간에 저장하고, 단축 아이콘 윈도우로부터 문자 메시지(MMS) 관련 단축 아이콘이 드래그 앤 드롭 되어 실행되면 전화번호, 메일 주소, 홈페이지 주소가 방영되어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보다 편하게 단축 아이콘을 선택하여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복수 개의 단축 아이콘을 포함하는 단축 아이콘 윈도우를 모바일 장치의 터치스크린의 제 2 계층에 표시함으로써, 더욱 간결하고, 간편하게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실행 중에도 단축 아이콘 윈도우를 표시하여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단축 아이콘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간편하게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110: 제어부 120: 이동통신 모듈
130: 서브 통신 모듈 140: 멀티미디어 모듈
150: 카메라 모듈 160: 입/출력 모듈
168: 입력 수단 170: 센서 모듈
180: 전원 공급부 190: 터치 스크린

Claims (23)

  1. 객체 윈도우를 표시하는 장치에 있어서,
    터치스크린;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제1 계층에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제1 계층의 상층에 위치하는 제2 계층에 객체 윈도우를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의 일부분에 중첩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고,
    상기 객체 윈도우 상에 제1 사용자 제스쳐가 입력되면, 상기 제1 사용자 제스쳐가 종료된 터치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객체 윈도우가 이동될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의 가장자리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가장자리에 표시하기 위해 상기 객체 윈도우보다 크기가 작도록 상기 객체 윈도우의 형상을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객체 윈도우를 상기 결정된 가장자리에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고,
    상기 객체 윈도우 상에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과는 별개의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객체가 표시되고,
    상기 변경된 객체 윈도우 상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객체를 표시하지 않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정보를 텍스트 또는 이미지로 표시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경된 객체 윈도우 상에 제2 사용자 제스쳐가 입력되면, 변경 전의 상기 객체 윈도우를 표시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객체 윈도우를 표시하는 장치에 있어서,
    터치스크린;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하는 제1 계층 및 상기 제1 계층의 상층에 위치하는 제2 계층에 객체 윈도우를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의 일부분에 중첩하여 표시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고,
    상기 객체 윈도우 상에 제1 사용자 제스쳐가 입력되면, 상기 제1 사용자 제스쳐가 종료된 터치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객체 윈도우가 이동될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의 가장자리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가장자리에 표시하기 위해 상기 객체 윈도우보다 크기가 작도록 상기 객체 윈도우의 형상을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객체 윈도우를 상기 결정된 가장자리에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계층 상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제1 계층에 표시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상층인 상기 제2 계층에 상기 변경된 객체 윈도우를 표시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사용자 제스쳐가 수신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객체 윈도우를 표시하는 장치에 있어서,
    터치스크린;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하는 제1 계층 및 상기 제1 계층의 상층에 위치하는 제2 계층에 객체 윈도우를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의 일부분에 중첩하여 표시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고,
    상기 객체 윈도우 상에 제1 사용자 제스쳐가 입력되면, 상기 제1 사용자 제스쳐가 종료된 터치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객체 윈도우가 이동될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의 가장자리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가장자리에 표시하기 위해 상기 객체 윈도우보다 크기가 작도록 상기 객체 윈도우의 형상을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객체 윈도우를 상기 결정된 가장자리에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치에 입력되는 제3 사용자 제스쳐에 대응하여, 상기 객체 윈도우를 복수의 서브 객체 윈도우들로 표시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사용자 제스쳐에 의해 상기 객체 윈도우 내의 복수의 지점들이 선택되면, 상기 복수의 지점들에 기반하여 상기 객체 윈도우를 상기 복수의 서브 객체 윈도우들로 분할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복수의 객체 윈도우들을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객체 윈도우들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객체 윈도우를 표시하는 장치에 있어서,
    터치스크린;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하는 제1 계층 및 상기 제1 계층의 상층에 위치하는 제2 계층에 객체 윈도우를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의 일부분에 중첩하여 표시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고,
    상기 객체 윈도우 상에 제1 사용자 제스쳐가 입력되면, 상기 제1 사용자 제스쳐가 종료된 터치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객체 윈도우가 이동될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의 가장자리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가장자리에 표시하기 위해 상기 객체 윈도우보다 크기가 작도록 상기 객체 윈도우의 형상을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객체 윈도우를 상기 결정된 가장자리에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치에 입력되는 제4 사용자 제스쳐에 의해 상기 객체 윈도우 내의 적어도 2개 지점들이 선택된 후, 상기 제4 사용자 제스쳐에 의해 상기 선택된 적어도 2개의 지점들 간의 거리가 멀어지는 경우,
    상기 객체 윈도우를 서브 객체 윈도우들로 분할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되어 표시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객체 윈도우들의 개수는 상기 제4 사용자 제스쳐에 의해 상기 객체 윈도우 내에 선택된 지점들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객체 윈도우를 표시하는 장치에 있어서,
    터치스크린;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하는 제1 계층 및 상기 제1 계층의 상층에 위치하는 제2 계층에 객체 윈도우를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의 일부분에 중첩하여 표시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고,
    상기 객체 윈도우 상에 제1 사용자 제스쳐가 입력되면, 상기 제1 사용자 제스쳐가 종료된 터치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객체 윈도우가 이동될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의 가장자리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가장자리에 표시하기 위해 상기 객체 윈도우보다 크기가 작도록 상기 객체 윈도우의 형상을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객체 윈도우를 상기 결정된 가장자리에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복수의 객체 윈도우들을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객체 윈도우들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포함하며,
    상기 장치에 입력되는 제5 사용자 제스쳐에 의해 상기 복수의 객체 윈도우들이 하나로 병합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객체 윈도우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계층에 제1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제1 계층의 상층에 위치하는 제2 계층에 객체 윈도우를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의 일부분에 중첩하여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객체 윈도우 상에 제1 사용자 제스쳐가 입력되면, 상기 제1 사용자 제스쳐가 종료된 터치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객체 윈도우가 이동될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의 가장자리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가장자리에 표시하기 위해 상기 객체 윈도우보다 크기가 작도록 상기 객체 윈도우의 형상을 변경하는 과정과,
    상기 변경된 객체 윈도우를 상기 결정된 가장자리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객체 윈도우 상에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과는 별개의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객체가 표시되고,
    상기 변경된 객체 윈도우 상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객체가 표시되지 않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정보가 텍스트 또는 이미지로 표시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된 객체 윈도우 상에 제2 사용자 제스쳐가 입력되면, 변경 전의 상기 객체 윈도우를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객체 윈도우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표시하는 제1 계층 및 상기 제1 계층의 상층에 위치하는 제2 계층에 객체 윈도우를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의 일부분에 중첩하여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객체 윈도우 상에 제1 사용자 제스쳐가 입력되면, 상기 제1 사용자 제스쳐가 종료된 터치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객체 윈도우가 이동될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의 가장자리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가장자리에 표시하기 위해 상기 객체 윈도우보다 크기가 작도록 상기 객체 윈도우의 형상을 변경하는 과정과,
    상기 변경된 객체 윈도우를 상기 결정된 가장자리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제1 계층 상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제1 계층에 표시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상층인 상기 제2 계층에 상기 변경된 객체 윈도우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15. 삭제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사용자 제스쳐가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객체 윈도우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표시하는 제1 계층 및 상기 제1 계층의 상층에 위치하는 제2 계층에 객체 윈도우를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의 일부분에 중첩하여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객체 윈도우 상에 제1 사용자 제스쳐가 입력되면, 상기 제1 사용자 제스쳐가 종료된 터치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객체 윈도우가 이동될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의 가장자리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가장자리에 표시하기 위해 상기 객체 윈도우보다 크기가 작도록 상기 객체 윈도우의 형상을 변경하는 과정과,
    상기 변경된 객체 윈도우를 상기 결정된 가장자리에 표시하는 과정과,
    입력 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제3 사용자 제스쳐에 대응하여, 상기 객체 윈도우를 복수의 서브 객체 윈도우들로 분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사용자 제스쳐에 의해 상기 객체 윈도우 내의 복수의 지점들이 선택되면, 상기 복수의 지점들에 기반하여 상기 객체 윈도우를 상기 복수의 서브 객체 윈도우들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복수의 객체 윈도우들을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객체 윈도우들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객체 윈도우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표시하는 제1 계층 및 상기 제1 계층의 상층에 위치하는 제2 계층에 객체 윈도우를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의 일부분에 중첩하여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객체 윈도우 상에 제1 사용자 제스쳐가 입력되면, 상기 제1 사용자 제스쳐가 종료된 터치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객체 윈도우가 이동될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의 가장자리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가장자리에 표시하기 위해 상기 객체 윈도우보다 크기가 작도록 상기 객체 윈도우의 형상을 변경하는 과정과,
    상기 변경된 객체 윈도우를 상기 결정된 가장자리에 표시하는 과정과,
    입력 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제4 사용자 제스쳐에 의해 상기 객체 윈도우 내의 적어도 2개 지점들이 선택된 후, 상기 제4 사용자 제스쳐에 의해 상기 선택된 적어도 2개의 지점들 간의 거리가 멀어지는 경우, 상기 객체 윈도우를 서브 객체 윈도우들로 분할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되어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객체 윈도우들의 개수는 상기 제4 사용자 제스쳐에 의해 상기 객체 윈도우 내에 선택된 지점들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객체 윈도우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표시하는 제1 계층 및 상기 제1 계층의 상층에 위치하는 제2 계층에 객체 윈도우를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의 일부분에 중첩하여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객체 윈도우 상에 제1 사용자 제스쳐가 입력되면, 상기 제1 사용자 제스쳐가 종료된 터치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객체 윈도우가 이동될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의 가장자리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가장자리에 표시하기 위해 상기 객체 윈도우보다 크기가 작도록 상기 객체 윈도우의 형상을 변경하는 과정과,
    상기 변경된 객체 윈도우를 상기 결정된 가장자리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객체 윈도우들을 표시하는 과정과,
    입력 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제5 사용자 제스쳐에 의해 상기 복수의 객체 윈도우들을 하나로 병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23. 청구항 제12항 내지 청구항 제14항 및 청구항 16항 내지 청구항 2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컴퓨터상에서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30044192A 2013-04-22 2013-04-22 단축 아이콘 윈도우 표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148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4192A KR102148809B1 (ko) 2013-04-22 2013-04-22 단축 아이콘 윈도우 표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14/258,437 US10254915B2 (en) 2013-04-22 2014-04-22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displaying shortcut icon window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4192A KR102148809B1 (ko) 2013-04-22 2013-04-22 단축 아이콘 윈도우 표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6093A KR20140126093A (ko) 2014-10-30
KR102148809B1 true KR102148809B1 (ko) 2020-08-27

Family

ID=51730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4192A KR102148809B1 (ko) 2013-04-22 2013-04-22 단축 아이콘 윈도우 표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254915B2 (ko)
KR (1) KR1021488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09588B2 (en) 2005-12-30 2009-03-24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interface reconfiguration mode
US10313505B2 (en) 2006-09-06 2019-06-04 Apple Inc.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onfiguring and displaying widgets
US8519964B2 (en) 2007-01-07 2013-08-27 Apple Inc.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supporting user navigations of graphical objects on a touch screen display
US8619038B2 (en) 2007-09-04 2013-12-31 Apple Inc. Editing interface
USD653671S1 (en) 2010-02-03 2012-02-07 Facebook, Inc. Display panel of a programmed computer system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8423911B2 (en) 2010-04-07 2013-04-16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folders
US10788976B2 (en) 2010-04-07 2020-09-29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folders with multiple pages
AU350158S (en) * 2013-01-04 2013-08-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for an electronic device
US10684771B2 (en) * 2013-08-26 2020-06-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device and method for creating handwriting content
AU2013404001B2 (en) 2013-10-30 2017-11-30 Apple Inc. Displaying relevant user interface objects
JP6013395B2 (ja) * 2014-04-23 2016-10-2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1617216B1 (ko) * 2014-05-07 2016-05-02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영상의 오브젝트 하이라이트를 표시하는 방법
US10416760B2 (en) 2014-07-25 2019-09-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Gaze-based object placement within a virtual reality environment
US9858720B2 (en) 2014-07-25 2018-01-0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hree-dimensional mixed-reality viewport
US9766460B2 (en) 2014-07-25 2017-09-1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Ground plane adjustment in a virtual reality environment
US10451875B2 (en) 2014-07-25 2019-10-2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mart transparency for virtual objects
US10311638B2 (en) 2014-07-25 2019-06-0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nti-trip when immersed in a virtual reality environment
US9904055B2 (en) * 2014-07-25 2018-02-2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mart placement of virtual objects to stay in the field of view of a head mounted display
USD768150S1 (en) * 2014-10-07 2016-10-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icon
WO2016108298A1 (ko) * 2014-12-29 2016-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브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제어하는 벤디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D764541S1 (en) * 2014-12-30 2016-08-23 Asustek Computer Inc. Portion of a display screen with transitional icon
WO2016126733A1 (en) 2015-02-02 2016-08-11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establishing a relationship and connection between two devices
JP6425573B2 (ja) * 2015-02-04 2018-11-21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とその制御方法
US10088993B2 (en) * 2015-04-01 2018-10-02 Ebay Inc.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data navigation
CN106293412A (zh) * 2015-05-19 2017-01-04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图标调整方法、图标调整系统与电子装置
WO2017124496A1 (zh) * 2016-01-24 2017-07-27 王志强 根据时间切换电脑桌面快捷方式的方法以及操作系统
WO2017168850A1 (ja) * 2016-03-30 2017-10-0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
DK201670595A1 (en) 2016-06-11 2018-01-22 Apple Inc Configuring context-specific user interfaces
US11816325B2 (en) 2016-06-12 2023-11-14 Apple Inc. Application shortcuts for carplay
KR20180019392A (ko) * 2016-08-16 2018-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6484224B (zh) * 2016-09-22 2019-11-08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操作方法及终端
CA182554S (en) 2016-10-07 2018-09-04 Siemens Ag Transformer
US11442600B2 (en) * 2016-10-14 2022-09-13 Huawei Technologies Co., Ltd. Screen display method and terminal
JP7030527B2 (ja) 2018-01-11 2022-03-07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US20190243536A1 (en) * 2018-02-05 2019-08-08 Alkymia Method for interacting with one or more software applications using a touch sensitive display
US11675476B2 (en) 2019-05-05 2023-06-13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widgets
US11863700B2 (en) 2019-05-06 2024-01-02 Apple Inc. Providing user interfaces based on use contexts and managing playback of media
CN110719513A (zh) * 2019-10-09 2020-01-21 中移互联网有限公司 一种智能电视遥控方法、装置和移动终端
EP3842908A1 (en) * 2019-12-25 2021-06-30 Shanghai Transsion Co., Ltd. Interacting method for sidebar menu,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N113467695B (zh) * 2021-09-03 2021-12-07 统信软件技术有限公司 一种任务执行方法、装置、计算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1783A (en) * 1988-07-26 1990-06-05 Apple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able menu window
US6232972B1 (en) * 1998-06-17 2001-05-15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for dynamically displaying controls in a toolbar display based on control usage
US7246329B1 (en) * 2001-05-18 2007-07-17 Autodesk, Inc. Multiple menus for use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7185290B2 (en) * 2001-06-08 2007-02-27 Microsoft Corporation User interface for a system and process for providing dynamic communication access and information awareness in an interactive peripheral display
US20040160463A1 (en) * 2003-02-18 2004-08-19 Battles Amy E.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menu information in an electronic display
WO2004109557A1 (en) * 2003-06-03 2004-12-16 Forbes Holten Norris, Iii Flexible, dynamic menu-based web-page architecture
US7877703B1 (en) * 2005-03-14 2011-01-25 Seven Networks, Inc. Intelligent rendering of information in a limited display environment
KR100722473B1 (ko) 2005-12-06 2007-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바로가기 메뉴 자동등록 및 자동삭제 방법 및 그 장치
KR100811598B1 (ko) 2006-05-03 2008-03-11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대기화면에 바로가기 아이콘을 제공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및 방법
KR101416992B1 (ko) * 2007-05-03 2014-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입력 장치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아이템 표시 방법
US8352881B2 (en) * 2007-03-08 2013-01-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storage device for providing customizable, immediate and radiating menus for accessing applications and actions
TWI357012B (en) * 2007-05-15 2012-01-21 Htc Corp Method for operating user interface and recording
US20090228831A1 (en) * 2008-03-04 2009-09-10 Andreas Wendker Customization of user interface elements
US8711176B2 (en) * 2008-05-22 2014-04-29 Yahoo! Inc. Virtual billboards
US8504935B2 (en) * 2008-12-22 2013-08-06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Quick-access menu for mobile device
US9400559B2 (en) 2009-05-29 2016-07-2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Gesture shortcuts
US8549432B2 (en) * 2009-05-29 2013-10-01 Apple Inc. Radial menus
KR101688150B1 (ko) * 2010-07-12 201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의 멀티터치를 이용한 객체 표시 제어 방법
KR101688942B1 (ko) * 2010-09-03 2016-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디스플레이에 기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KR101708696B1 (ko) * 2010-09-15 2017-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US20120098639A1 (en) * 2010-10-26 2012-04-26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device unlock mechanism
JP5664249B2 (ja) * 2011-01-06 2015-02-0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5813991B2 (ja) * 2011-05-02 2015-11-17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入力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108643B2 (en) * 2011-06-08 2018-10-23 Sony Corporation Graphical interface device, graphical interface method and medium
US9086794B2 (en) * 2011-07-14 2015-07-2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etermining gestures on context based menus
JP2013033330A (ja) * 2011-08-01 2013-02-14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849502B2 (ja) * 2011-08-01 2016-01-27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3051047A1 (ja) * 2011-10-03 2013-04-11 古野電気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プログラム、及び表示方法
EP2787500A4 (en) * 2011-11-29 2015-05-06 Panasonic Ip Man Co Ltd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CONTROL PROGRAM
JP5238872B2 (ja) * 2011-12-02 2013-07-17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850736B2 (ja) * 2011-12-21 2016-02-03 京セラ株式会社 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40039871A1 (en) * 2012-08-02 2014-02-06 Richard Henry Dana Crawford Synchronous Texts
US20140082495A1 (en) * 2012-09-18 2014-03-20 VS Media, Inc. Media systems and processes for providing or accessing multiple live performances simultaneously
KR20140038830A (ko) * 2012-09-21 2014-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의 줌 레벨 조절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US9582033B2 (en) * 2012-11-28 2017-02-28 Mckesson Corporation Apparatus for providing a tablet case for touch-sensitive devices
JPWO2014104173A1 (ja) * 2012-12-27 2017-01-12 京セラ株式会社 無線端末装置
US10049089B2 (en) * 2013-03-13 2018-08-14 Usablenet Inc. Methods for compressing web page menus and devices thereof
JP6058790B2 (ja) * 2013-04-26 2017-01-11 京セラ株式会社 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098435B2 (ja) * 2013-08-22 2017-03-22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記憶媒体、および制御方法
US20150363049A1 (en) * 2014-06-14 2015-12-17 Siemens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Software Inc. System and method for reduced-size menu ribbon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Youtube, "Moving Vertical Panel and Toolbar", [online], 2010년 12월 17일, [2019년 11월 22일 검색], 인터넷 URL: https://www.youtube.com/watch?v=buuZ--9LN4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6093A (ko) 2014-10-30
US10254915B2 (en) 2019-04-09
US20140317555A1 (en) 2014-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8809B1 (ko) 단축 아이콘 윈도우 표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139526B1 (ko) 전자 장치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복수의 객체들을 실행하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9261995B2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selecting object by using multi-touch with related reference point
US10635295B2 (en) Device including plurality of touch screens and screen change method for the device
EP2775479B1 (en) Mobile apparatus providing preview by detecting rubbing gestur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144553B1 (ko) 다중 디스플레이 방법, 저장 매체 및 전자 장치
KR10201697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1666013B (zh)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KR102129374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및 휴대 단말
KR102146244B1 (ko) 휴대 단말에 대한 동작 관련 입력에 따라 복수개의 객체들의 표시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 단말
KR102052424B1 (ko)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 실행 윈도우 표시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US9658762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object on touch screen
US20130305184A1 (en) Multiple window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US10564843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screen on said display device
US2018032959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display box management
US2014005539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crolling
US20140337720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executing function related to user input on screen
KR102118091B1 (ko) 오브젝트에 대한 사전 실행 기능을 가지는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50002420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KR102022050B1 (ko) 패럴랙스 스크롤 기능을 가지는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29319B1 (ko) 터치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 저장 매체 및 전자 장치
KR102055133B1 (ko) 다중 어플리케이션 환경 하에서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231888B1 (ko) 컨텐츠의 스크롤 시 대표 정보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12544A (ko) 전자 장치의 방향 기능 입력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50025655A (ko) 객체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