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8060B1 - Appatar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the position of the battery cell module - Google Patents

Appatar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the position of the battery cell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8060B1
KR102148060B1 KR1020160104930A KR20160104930A KR102148060B1 KR 102148060 B1 KR102148060 B1 KR 102148060B1 KR 1020160104930 A KR1020160104930 A KR 1020160104930A KR 20160104930 A KR20160104930 A KR 20160104930A KR 102148060 B1 KR102148060 B1 KR 102148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ell
cell module
data
identification signal
voltag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49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20505A (en
Inventor
성창현
이상훈
박재동
황지원
최연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60104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8060B1/en
Publication of KR20180020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05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8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806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5Arrangements for measu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 G01R31/3865Arrangements for measu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related to manufacture, e.g. testing after manufac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33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19/16538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 G01R19/16542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for batte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7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comparing DC or AC voltage with one threshol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71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with remote indication, e.g. on external charg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01R31/3835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involving only voltage measur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2Determining battery ageing or deterioration, e.g. state of healt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6Acquisition or processing of data for testing or for monitoring individual cells or groups of cells within a batte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02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he signal transmitted is magnitude of current or voltage
    • H01M2/101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8Systems for data transfer from batteries, e.g. transfer of battery parameters to a controller, data transferred between battery controller and main controll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팩 내의 특정 배터리 셀 모듈에 미소전류를 통전시킴으로써, 배터리 팩을 제작함에 있어 상이한 미소전류차를 이용하여 다수의 배터리 셀 모듈 중 특정 배터리 셀 모듈이 조립된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배터리 셀 모듈 위치 식별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battery that allows a specific battery cell module in a battery pack to conduct a small current, so that a specific battery cell module is assembled from amo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 modules by using a different small current difference in manufacturing a battery pack. It relates to a cell module location identification device and method.

Description

배터리 셀 모듈 위치 식별장치 및 방법{APPATAR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THE POSITION OF THE BATTERY CELL MODULE}Battery cell module location identification device and method {APPATAR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THE POSITION OF THE BATTERY CELL MODULE}

본 발명은 배터리 셀 모듈 위치 식별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배터리 팩 내의 특정 배터리 셀 모듈에 미소전류를 통전시킴으로써, 배터리 팩을 제작함에 있어 상이한 미소전류차를 이용하여 다수의 배터리 셀 모듈 중 특정 배터리 셀 모듈이 조립된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배터리 셀 모듈 위치 식별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a location of a battery cell module, and more specifically, by passing a minute current to a specific battery cell module in a battery pack, in manufacturing a battery pack,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a location of a battery cell module that enables a location of a specific battery cell module to be identified among modules.

일반적으로, 배터리 팩 내에는 다수의 배터리 셀 모듈이 모듈화되어 내장되는데, 이때 각 배터리 셀 모듈의 전압 및 온도를 모니터링하여 상위 데이터 수집 장치에 전달하는 기술을 무선으로 구현할 경우, 각 배터리 셀 모듈이 배터리 팩 내에서 몇번째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물리적으로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In general, a number of battery cell modules are modularized and built in a battery pack. In this case, if a technology that monitors the voltage and temperature of each battery cell module and delivers it to an upper data collection device is wirelessly implemented, each battery cell modul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physically check the position in the pack.

특히, 배터리 팩 내의 특정 배터리 셀 모듈 고장으로 해당 배터리 셀 모듈을 교체해야 하는 경우, 무선으로 구현된 배터리 팩 특성 상 해당 배터리 셀 모듈의 위치를 식별하기 어렵기 때문에 배터리 팩 내의 전체 배터리 셀 모듈에 대하여 일일이 오류 검사를 수행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발생된다.In particular, if a specific battery cell module in the battery pack needs to be replaced due to a failure of a specific battery cell module in the battery pack, it is difficult to identify the location of the battery cell modul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wirelessly implemented battery pack. There is a hassle of having to perform error checking individually.

또한, 배터리 팩이 최초 조립되어 각 배터리 셀 모듈 별로 무선으로 전송되는 전압값 및 온도값을 수신할 수는 있지만, 해당 전압값 및 온도값이 몇번째 배터리 셀 모듈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In addition, although the battery pack is initially assembled, it is possible to receive the voltage value and temperature value transmitted wirelessly for each battery cell module, but it is difficult to identify which battery cell module the corresponding voltage value and temperature value is. Will have.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배터리 팩 내의 특정 배터리 셀 모듈에 미소전류를 통전시킴으로써, 배터리 팩을 제작함에 있어 상이한 미소전류차를 이용하여 다수의 배터리 셀 모듈 중 특정 배터리 셀 모듈이 조립된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배터리 셀 모듈 위치 식별장치 및 방법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Accordingly,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ors, by passing a small current to a specific battery cell module in the battery pack, by using a different small current difference in manufacturing the battery pack, a specific battery cell amo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 modules. It has come to develop a battery cell module location identification device and method that enables the location of the module to be identified.

한국등록특허 10-1572489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572489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배터리 팩 내의 특정 배터리 셀 모듈에 미소전류를 통전시킴으로써, 배터리 팩을 제작함에 있어 상이한 미소전류차를 이용하여 다수의 배터리 셀 모듈 중 특정 배터리 셀 모듈이 조립된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배터리 셀 모듈 위치 식별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riv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duct a small current to a specific battery cell module in the battery pack, and use different small current differences amo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 modules in manufacturing the battery pack.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a location of a battery cell module that enables a location in which a specific battery cell module is assembl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 모듈 위치 식별장치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 모듈과 각각 연결된 하나 이상의 데이터 통신부로부터 제1 전압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 모듈 중 특정 배터리 셀 모듈에 식별신호를 인가하여 제2 전압데이터가 출력되도록 하는 식별신호 인가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battery cell module location ident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ata receiving unit receiving first voltage data from one or more data communication units respectively connected to one or more battery cell modules, and a specific battery cell module among the one or more battery cell modules. It may include an identification signal applying unit for applying the identification signal to output the second voltage data.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데이터 수신부는 상기 출력되는 제2 전압데이터를 토대로 배터리 팩 내 상기 특정 배터리 셀 모듈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data receiver may identify the location of the specific battery cell module in the battery pack based on the output second voltage data.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전압데이터는 상기 제1 전압데이터를 초과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second voltage data may exceed the first voltage data.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식별신호 인가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 모듈 중 특정 배터리 셀 모듈을 기준으로 순차적으로 인접한 배터리 셀 모듈에 상기 식별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identification signal applying unit may apply the identification signal to battery cell modules adjacent to each other in sequence based on a specific battery cell module among the one or more battery cell modules.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데이터 수신부는 상기 데이터 통신부로부터 상기 배터리 셀 모듈 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 각각에 대한 제1 및 제2 전압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data receiver may receive first and second voltage data for each of one or more battery cells included in the battery cell module from the data communication uni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식별신호 인가부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 모듈의 일측 단과 각각 연결된 하나 이상의 스위치 모듈 및 직류 전원 또는 교류 전원을 공급하는 전류 공급원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identification signal applying unit may include one or more switch modules each connected to one end of one or more battery cell modules, and a current supply source for supplying DC power or AC power.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상기 하나 이상의 스위치 모듈 중 인접한 한 쌍의 스위치 모듈이 폐쇄(CLOSE)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한 쌍의 스위치 모듈과 각 단이 연결된 배터리 셀 모듈에 상기 식별신호가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air of adjacent switch modules among the one or more switch modules is changed to a closed state, the identifica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a battery cell module connected to the pair of switch modules and each end. It may be characterized by being appli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데이터 수신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데이터 통신부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 모듈 각각의 전압값 및 온도값을 수신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 모듈의 충방전 상태 및 수명 상태를 산출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data receiver may receive a voltage value and a temperature value of each of the one or more battery cell modules from the one or more data communication units, and calculate a charge/discharge state and a life state of the one or more battery cell modules. .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데이터 수신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데이터 통신부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전압데이터를 무선주파수(RF) 통신 방법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data receiving unit may receive the first and second voltage data from the one or more data communication units through a radio frequency (RF) communication metho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 모듈 위치 식별방법은 데이터 수신부에서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 모듈과 각각 연결된 하나 이상의 데이터 통신부로부터 제1 전압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식별신호 인가부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 모듈 중 특정 배터리 셀 모듈에 식별신호를 인가하여 제2 전압데이터가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 및 데이터 수신부에서 상기 출력되는 제2 전압데이터를 토대로 배터리 팩 내 상기 특정 배터리 셀 모듈의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of identifying the location of a battery cell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receiving first voltage data from at least one data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at least one battery cell module at a data receiving unit, and at least one battery cell at an identification signal applying unit. Applying an identification signal to a specific battery cell module among modules to output second voltage data, and identifying a location of the specific battery cell module in a battery pack based on the output second voltage data from a data receiving unit. can do.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전압데이터가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신호 인가부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 모듈 중 특정 배터리 셀 모듈을 기준으로 순차적으로 인접한 배터리 셀 모듈에 상기 식별신호를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allowing the second voltage data to be output is the steps of applying the identification signal to adjacent battery cell modules sequentially based on a specific battery cell module among the one or more battery cell modules by the identification signal application unit. It may includ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전압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수신부에서 상기 데이터 통신부로부터 상기 배터리 셀 모듈 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 각각에 대한 제1 및 제2 전압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eceiving of the first voltage data includes receiving first and second voltage data for each of one or more battery cells included in the battery cell module from the data communication unit at the data receiving unit. can do.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전압데이터가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 모듈 중 인접한 한 쌍의 스위치 모듈이 폐쇄(CLOSE)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한 쌍의 스위치 모듈과 각 단이 연결된 배터리 셀 모듈에 상기 식별신호가 인가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in the step of outputting the second voltage data, when a pair of adjacent switch modules among the one or more battery cell modules is changed to a closed state, the pair of switch modules and each end It may include applying the identification signal to the connected battery cell modul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전압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수신부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데이터 통신부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 모듈 각각의 전압값 및 온도값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 모듈의 충방전 상태 및 수명 상태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eceiving of the first voltage data includes receiving voltage values and temperature values of each of the one or more battery cell modules from the one or more data communication units in the data receiving unit, and the at least one battery cell module. It may include calculating a state of charge and discharge and a state of lif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전압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데이터 통신부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전압데이터를 무선주파수(RF) 통신 방법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receiving of the first voltage data may include receiving the first and second voltage data from the one or more data communication units through a radio frequency (RF) communication method.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미소전류차를 이용하여 배터리 팩 내에 포함된 각 배터리 셀 모듈 별 위치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무선으로 전송되는 전류값 및 온도값을 전송하는 배터리 셀 모듈이 배터리 팩 내에 몇번째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ocation of each battery cell module included in the battery pack can be identified using a small current difference, a battery cell module that transmits a current value and a temperature value transmitted wirelessly is in the battery pack.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identify which position it is located in.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배터리 팩의 조립직후뿐만 아니라, 배터리 팩 내의 임의의 배터리 셀 모듈이 교체되더라도 미소전류차를 이용하여 해당 교체된 배터리 셀 모듈의 위치를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immediately after assembly of the battery pack, but also when any battery cell module in the battery pack is replaced,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identify the location of the replaced battery cell module by using a small current difference. Hav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 모듈 위치 식별장치(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식별신호 인가부(12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 모듈 위치 식별장치(100)를 통해 배터리 팩 내의 특정 배터리 셀 모듈의 위치를 식별하는 일련의 과정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attery cell module location identific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dentification signal applying unit 120 shown in FIG. 1 in more detail.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quence of processes of identifying a location of a specific battery cell module in a battery pack through the battery cell module location identific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is presented to aid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re provided for easie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exampl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 모듈 위치 식별장치(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식별신호 인가부(12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attery cell module position identific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mor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identification signal applying unit 120 shown in FIG. It is a drawing shown as.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크게 데이터 수신부(110) 및 식별신호 인가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식별신호 인가부(120)는 하나 이상의 스위치 모듈(121) 및 전류 공급원(12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1 and 2,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largely configured to include a data receiving unit 110 and an identification signal applying unit 120, the identification signal applying unit 120 is one or more switch modules 121 and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urrent source 122.

먼저, 데이터 수신부(110)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 모듈(10a, 10b, 10c, 10d)과 각각 연결된 하나 이상의 데이터 통신부(20a, 20b, 20c, 20d)로부터 제1 전압데이터를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First, the data receiving unit 110 serves to receive first voltage data from one or more data communication units 20a, 20b, 20c, 20d respectively connected to one or more battery cell modules 10a, 10b, 10c, and 10d. I can.

여기에서,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 모듈(10a, 10b, 10c, 10d)는 배터리 팩(10) 내에서 직렬 연결된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들이 다수개로 그룹화 된 모듈을 의미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는 배터리 팩(10) 내에 4개의 배터리 셀 모듈이 직렬 연결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는 본 명세서의 도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님을 유의한다.Here, the one or more battery cell modules 10a, 10b, 10c, 10d may mean a module in which one or more battery cells connected in series in the battery pack 10 are grouped into a plurality, and in this specification, the battery pack 10 ), it is shown that the four battery cell modules are connected in series, but note that this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또한, 각 배터리 셀 모듈 별로 각각 하나 이상의 데이터 통신부(20a, 20b, 20c, 20d)가 연결됨으로써, 각 배터리 셀 모듈 별로 셀 전압 및 온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이렇게 측정된 셀 전압값 및 온도값은 무선주파수(RF) 통신방법을 토대로 데이터 수신부(110)에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by connecting one or more data communication units 20a, 20b, 20c, and 20d for each battery cell module,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cell voltage and temperature for each battery cell module, and the measured cell voltage and temperature values are wireless. It may be provided to the data receiving unit 110 based on a frequency (RF) communication method.

특히, 데이터 수신부(110)는 상기 제공된 셀 전압값 및 온도값을 이용하여 배터리 팩(10)의 충전 상태 혹은 수명 상태를 산출하여 상위 데이터 수신부(미도시)에 제공할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the data receiving unit 110 may calculate a charge state or a life state of the battery pack 10 using the provided cell voltage value and temperature value, and provide it to an upper data receiving unit (not shown).

한편, 본 명세서에서 제1 전압데이터라 함은 상술한 각 배터리 셀 모듈 별로 측정된 셀 전압값 및 온도값을 의미할 수 있으며, 각 배터리 셀 모듈 별로 연결된 각 데이터 통신부(20a, 20b), 20c, 20d) 별로 제1 전압데이터가 무선전송될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 수신부(110)에서는 현재 무선전송되는 제1 전압데이터가 어떠한 배터리 셀 모듈로부터 제공된 것인지 식별할 수 없는 상태에 해당하게 된다.Meanwhil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first voltage data may mean a cell voltage value and a temperature value measured for each battery cell module described above, and each data communication unit 20a, 20b, 20c, connected to each battery cell module 20d) Since the first voltage data can be wirelessly transmitted for each unit, the data receiving unit 110 corresponds to a state in which it is not possible to identify which battery cell module the first voltage data that is currently wirelessly transmitted is provided.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후술되는 식별신호 인가부(120)를 통해 에서는 현재 무선전송되는 제1 전압데이터가 어떠한 배터리 셀 모듈로부터 제공된 것인지 식별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identification signal applying unit 120 to be described later, it is possible to identify from which battery cell module the first voltage data that is currently wirelessly transmitted is provided.

다음으로, 식별신호 인가부(120)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 모듈(10a, 10b, 10c, 10d) 중 특정 배터리 셀 모듈에 식별신호를 인가하여 제2 전압데이터가 출력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Next, the identification signal applying unit 120 may serve to output the second voltage data by applying an identification signal to a specific battery cell module among one or more battery cell modules 10a, 10b, 10c, and 10d. .

여기에서, 특정 배터리 셀 모듈이라 함은,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 모듈(10a, 10b, 10c, 10d) 중에서 위치 식별이 필요한 배터리 셀 모듈을 의미할 수 있으며, 식별신호 인가부(120)는 최하위 배터리 셀 모듈(10a)에 식별신호를 인가하여 제2 전압데이터가 출력되도록 한다.Here, the specific battery cell module may mean a battery cell module that requires location identification among one or more battery cell modules 10a, 10b, 10c, and 10d, and the identification signal applying unit 120 is the lowest battery cell The second voltage data is output by applying an identification signal to the module 10a.

이때, 식별신호라 함은 미소전류를 의미할 수 있는데, '식별신호를 인가한다'는 의미는 타 배터리 셀 모듈에 비해 미소전류값이 추가적으로 출력되는 배터리 셀 모듈을 식별하기 위함이라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At this time, the identification signal may mean a small current, and the meaning of'applying an identification signal' can be interpreted as meaning to identify a battery cell module that additionally outputs a small current value compared to other battery cell modules. Note that you can.

즉, 식별신호 인가부(120)에서 첫번째 배터리 셀 모듈(10a)에 식별신호를 인가하여 미소전류가 제2 전압데이터로써 추가적으로 출력되는 경우, 첫번째 배터리 셀 모듈(10a)과 연결된 첫번째 데이터 통신부(20a)에서는 제2 전압데이터를 데이터 수신부(110)에 무선으로 제공하게 되고, 데이터 수신부(110)에서는 현재 제2 전압데이터를 무선으로 제공하는 배터리 셀 모듈이 배터리 팩(10) 내에 첫번째로 위치하고 있다고 판단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identification signal applying unit 120 applies the identification signal to the first battery cell module 10a and additionally outputs the minute current as second voltage data, the first data communication unit 20a connected to the first battery cell module 10a ), the second voltage data is wirelessly provided to the data receiving unit 110, and the data receiving unit 110 determines that the battery cell module that currently provides the second voltage data wirelessly is located in the battery pack 10 first. Is done.

이때, 식별신호 인가부(120)는 첫번째 배터리 셀 모듈(10a)의 양극(플러스극 및 마이너스극)과 각각 연결된 하나 이상의 스위치 모듈(121)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스위치 모듈(121)이 폐쇄(CLOSE)됨에 따라 식별신호 인가부(120) 및 첫번째 배터리 셀 모듈(10a)에 미소전류가 통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dentification signal applying unit 120 may include one or more switch modules 121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positive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of the first battery cell module 10a, and one or more switch modules 121 As closed (CLOSE), a minute current may be applied to the identification signal applying unit 120 and the first battery cell module 10a.

만약, 두번째 배터리 셀 모듈(10b)의 양극과 각각 연결된 하나 이상의 스위치 모듈(121)이 폐쇄(CLOSE)되는 경우 식별신호 인가부(120) 및 두번째 배터리 셀 모듈(10b)이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식별신호 인가부(120)에서는 두번째 배터리 셀 모듈(10b)에 식별신호를 인가하여 미소전류가 제2 전압데이터로써 추가적으로 출력되도록 한다. 따라서, 두번째 배터리 셀 모듈(10b)과 연결된 두번째 데이터 통신부(20b)에서는 제2 전압데이터를 데이터 수신부(110)에 무선으로 제공하게 되고, 데이터 수신부(110)에서는 현재 제2 전압데이터를 무선으로 제공하는 배터리 셀 모듈이 배터리 팩(10) 내에 두번째로 위치하고 있다고 판단하게 된다.If at least one switch module 121 connected to the positive electrode of the second battery cell module 10b is closed (CLOSE), the identification signal applying unit 120 and the second battery cell module 10b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identification The signal applying unit 120 applies an identification signal to the second battery cell module 10b so that the minute current is additionally output as second voltage data. Accordingly, the second data communication unit 20b connected to the second battery cell module 10b wirelessly provides the second voltage data to the data receiving unit 110, and the data receiving unit 110 currently provides the second voltage data wirelessly. It is determined that the second battery cell module is located in the battery pack 10.

만약, 세번째 배터리 셀 모듈(10c)의 양극과 각각 연결된 하나 이상의 스위치 모듈(121)이 폐쇄(CLOSE)되는 경우 식별신호 인가부(120) 및 세번째 배터리 셀 모듈(10c)이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식별신호 인가부(120)에서는 세번째 배터리 셀 모듈(10c)에 식별신호를 인가하여 미소전류가 제2 전압데이터로써 추가적으로 출력되도록 한다. 따라서, 세번째 배터리 셀 모듈(10c)과 연결된 세번째 데이터 통신부(20c)에서는 제2 전압데이터를 데이터 수신부(110)에 무선으로 제공하게 되고, 데이터 수신부(110)에서는 현재 제2 전압데이터를 무선으로 제공하는 배터리 셀 모듈이 배터리 팩(10) 내에 세번째로 위치하고 있다고 판단하게 된다.If at least one switch module 121 connected to the positive electrode of the third battery cell module 10c is closed (CLOSE), the identification signal applying unit 120 and the third battery cell module 10c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identification The signal applying unit 120 applies an identification signal to the third battery cell module 10c to additionally output a minute current as second voltage data. Therefore, the third data communication unit 20c connected to the third battery cell module 10c wirelessly provides the second voltage data to the data receiving unit 110, and the data receiving unit 110 currently provides the second voltage data wirelessly. It is determined that the battery cell module is positioned third in the battery pack 10.

만약, 네번째 배터리 셀 모듈(10d)의 양극과 각각 연결된 하나 이상의 스위치 모듈(121)이 폐쇄(CLOSE)되는 경우 식별신호 인가부(120) 및 네번째 배터리 셀 모듈(10d)이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식별신호 인가부(120)에서는 네번째 배터리 셀 모듈(10d)에 식별신호를 인가하여 미소전류가 제2 전압데이터로써 추가적으로 출력되도록 한다. 따라서, 네번째 배터리 셀 모듈(10d)과 연결된 네번째 데이터 통신부(20d)에서는 제2 전압데이터를 데이터 수신부(110)에 무선으로 제공하게 되고, 데이터 수신부(110)에서는 현재 제2 전압데이터를 무선으로 제공하는 배터리 셀 모듈이 배터리 팩(10) 내에 네번째로 위치하고 있다고 판단하게 된다.If at least one switch module 121 connected to the positive electrode of the fourth battery cell module 10d is closed (CLOSE), the identification signal applying unit 120 and the fourth battery cell module 10d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identification The signal applying unit 120 applies an identification signal to the fourth battery cell module 10d so that the minute current is additionally output as second voltage data. Therefore, the fourth data communication unit 20d connected to the fourth battery cell module 10d wirelessly provides the second voltage data to the data receiving unit 110, and the data receiving unit 110 currently provides the second voltage data wirelessly. It is determined that the battery cell module is positioned fourth in the battery pack 10.

즉, 결과적으로,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 모듈(10a, 10b, 10c, 10d)과 연결된 하나 이상의 스위치 모듈(121) 중 어떠한 스위치 모듈이 폐쇄되는지에 따라 해당 폐쇄된 스위치 모듈과 연결된 특정 배터리 셀 모듈에 식별신호가 인가되게 되며, 데?터 수신부(110)는 해당 식별신호가 인가된 배터리 셀 모듈로부터 제공되는 제2 전압데이터를 토대로 해당 배터리 셀 모듈의 배터리 팩 내 위치를 식별할 수 있게 된다.That is, as a result, according to which of the one or more switch modules 121 connected to the one or more battery cell modules 10a, 10b, 10c, 10d is closed, the specific battery cell module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closed switch module is identified. The signal is applied, and the data receiving unit 110 can identify the location of the corresponding battery cell module in the battery pack based on the second voltage data provided from the battery cell module to which the corresponding identification signal is applied.

또한, 상술한 하나 이상의 스위치 모듈(121)은 직류 전원 또는 교류 전원을 공급하는 전류 공급원(122)과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ne or more switch modules 121 described above may be connected to a current supply source 122 that supplies DC power or AC power.

한편, 제2 전압데이터는 특정 배터리 셀 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제1 전압데이터에 비해 미소전류값이 추가된 상태에 해당하기 때문에, 제2 전압데이터의 전류값은 제1 전압데이터의 전류값을 초과할 수 있다.Meanwhile, since the second voltage data corresponds to a state in which a minute current value is added compared to the first voltage data output from a specific battery cell module, the current value of the second voltage data may exceed the current value of the first voltage data. I can.

다음으로는, 도 3을 통해 실제로 배터리 팩(10) 내 배터리 셀 모듈의 위치를 식별하는 과정을 순서대로 살펴보기로 한다.Next, the process of actually identifying the location of the battery cell module in the battery pack 10 will be described in order through FIG. 3.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 모듈 위치 식별장치(100)를 통해 배터리 팩 내의 특정 배터리 셀 모듈의 위치를 식별하는 일련의 과정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quence of processes of identifying a location of a specific battery cell module in a battery pack through the battery cell module location identific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살펴보면, 먼저 데이터 수신부(110)에서 하나 이상의 데이터 통신부(20a, 20b, 20c, 20d)로부터 각 배터리 셀 모듈 별 제1 전압데이터를 수신한다(S301).Referring to FIG. 3, first, the data receiving unit 110 receives first voltage data for each battery cell module from one or more data communication units 20a, 20b, 20c, and 20d (S301).

그 다음, 식별번호 인가부(120)에서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 모듈(10a, 10b, 10c, 10d) 중 첫번째 배터리 셀 모듈(10a)에 식별신호를 인가하여, 첫번째 배터리 셀 모듈(10a)과 연결된 데이터 통신부(20a)로부터 제2 전압데이터가 출력되어 데이터 수신부(110)에 제공된다(S302). 이러한 경우, 데이터 수신부(110)는 현재 제2 전압데이터를 출력한 배터리 셀 모듈이 배터리 팩(10) 내에 첫번째에 위치하고 있다는 것을 식별하게 된다(S303).Then, the identification number application unit 120 applies an identification signal to the first battery cell module 10a among one or more battery cell modules 10a, 10b, 10c, 10d, and data connected to the first battery cell module 10a The second voltage data is output from the communication unit 20a and provided to the data receiving unit 110 (S302). In this case, the data receiving unit 110 identifies that the battery cell module currently outputting the second voltage data is located first in the battery pack 10 (S303).

그 다음, 식별번호 인가부(120)에서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 모듈(10a, 10b, 10c, 10d) 중 두번째 배터리 셀 모듈(10b)에 식별신호를 인가하여, 두번째 배터리 셀 모듈(10b)과 연결된 데이터 통신부(20b)로부터 제2 전압데이터가 출력되어 데이터 수신부(110)에 제공된다(S304). 이러한 경우, 데이터 수신부(110)는 현재 제2 전압데이터를 출력한 배터리 셀 모듈이 배터리 팩(10) 내에 두번째에 위치하고 있다는 것을 식별하게 된다(S305).Then, the identification number application unit 120 applies an identification signal to the second battery cell module 10b among one or more battery cell modules 10a, 10b, 10c, 10d, and data connected to the second battery cell module 10b The second voltage data is output from the communication unit 20b and provided to the data receiving unit 110 (S304). In this case, the data receiving unit 110 identifies that the battery cell module currently outputting the second voltage data is located second in the battery pack 10 (S305).

그 다음, 식별번호 인가부(120)에서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 모듈(10a, 10b, 10c, 10d) 중 세번째 배터리 셀 모듈(10c)에 식별신호를 인가하여, 세번째 배터리 셀 모듈(10c)과 연결된 데이터 통신부(20c)로부터 제2 전압데이터가 출력되어 데이터 수신부(110)에 제공된다(S306). 이러한 경우, 데이터 수신부(110)는 현재 제2 전압데이터를 출력한 배터리 셀 모듈이 배터리 팩(10) 내에 세번째에 위치하고 있다는 것을 식별하게 된다(S307).Then, the identification number application unit 120 applies an identification signal to the third battery cell module 10c of one or more battery cell modules 10a, 10b, 10c, 10d, and data connected to the third battery cell module 10c The second voltage data is output from the communication unit 20c and provided to the data receiving unit 110 (S306). In this case, the data receiving unit 110 identifies that the battery cell module that currently outputs the second voltage data is positioned third in the battery pack 10 (S307).

그 다음, 식별번호 인가부(120)에서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 모듈(10a, 10b, 10c, 10d) 중 네번째 배터리 셀 모듈(10d)에 식별신호를 인가하여, 네번째 배터리 셀 모듈(10d)과 연결된 데이터 통신부(20d)로부터 제2 전압데이터가 출력되어 데이터 수신부(110)에 제공된다(S308). 이러한 경우, 데이터 수신부(110)는 현재 제2 전압데이터를 출력한 배터리 셀 모듈이 배터리 팩(10) 내에 네번째에 위치하고 있다는 것을 식별하게 된다(S309).Then, the identification number application unit 120 applies an identification signal to the fourth battery cell module 10d among one or more battery cell modules 10a, 10b, 10c, 10d, and data connected to the fourth battery cell module 10d. The second voltage data is output from the communication unit 20d and provided to the data receiving unit 110 (S308). In this case, the data receiving unit 110 identifies that the battery cell module currently outputting the second voltage data is positioned fourth in the battery pack 10 (S309).

상기와 같은 순서를 통해, 조립된 배터리 팩(10) 내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 모듈(10a, 10b, 10c, 10d) 각각의 현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Through the above sequenc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current position of each of the one or more battery cell modules 10a, 10b, 10c, and 10d located in the assembled battery pack 10.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You will understand that you can do it.

10: 배터리 팩
10a, 10b, 10c, 10d: 배터리 셀 모듈
20a, 20b, 20c, 20d: 데이터 통신부
100: 배터리 셀 모듈 위치 식별장치
110: 데이터 수신부
120: 식별신호 인가부
130: 상위 데이터 수신부
10: battery pack
10a, 10b, 10c, 10d: battery cell module
20a, 20b, 20c, 20d: data communication unit
100: battery cell module location identification device
110: data receiving unit
120: identification signal applying unit
130: upper data receiving unit

Claims (16)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 모듈과 각각 연결된 하나 이상의 데이터 통신부로부터 제1 전압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 모듈 중 특정 배터리 셀 모듈에 식별신호를 인가하여 제2 전압데이터가 출력되도록 하는 식별신호 인가부;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수신부는 상기 출력되는 제2 전압데이터를 토대로 배터리 팩 내 상기 특정 배터리 셀 모듈의 위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신호 인가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 모듈 중 특정 배터리 셀 모듈을 기준으로 순차적으로 인접한 배터리 셀 모듈에 상기 식별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식별신호 인가부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 모듈의 일측 단과 각각 연결된 하나 이상의 스위치 모듈; 및
직류 전원 또는 교류 전원을 공급하는 전류 공급원;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 모듈과 각각 인접한, 한 쌍의 스위치 모듈이 폐쇄(CLOSE)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한 쌍의 스위치 모듈과 각 단이 연결된 배터리 셀 모듈에 상기 식별신호가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식별신호는,
미소전류이며,
상기 식별신호 인가부는,
상기 배터리 셀 모듈보다 작은 상기 미소전류 값을 추가적으로 출력하여 상기 배터리 셀 모듈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 모듈 위치 식별장치.
A data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first voltage data from one or more data communication units respectively connected to one or more battery cell modules; And
And an identification signal applying unit configured to output second voltage data by applying an identification signal to a specific battery cell module among the one or more battery cell modules, and
The data receiver identifies the location of the specific battery cell module in the battery pack based on the output second voltage data,
The identification signal applying unit,
Applying the identification signal to the adjacent battery cell modules sequentially based on a specific battery cell module among the one or more battery cell modules,
The identification signal applying unit,
One or more switch modules each connected to one end of one or more battery cell modules; And
Includes; a current supply source for supplying DC power or AC power,
When a pair of switch modules adjacent to each of the one or more battery cell modules is changed to a closed state, the identification signal is applied to a battery cell module connected to the pair of switch modules and each end. and,
The identification signal,
It is a micro current,
The identification signal apply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to identify the battery cell module by additionally outputting the minute current value smaller than the battery cell module,
Battery cell module location identifica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압데이터는,
상기 제1 전압데이터를 초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 모듈 위치 식별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voltage data,
Characterized in that exceeding the first voltage data,
Battery cell module location identification devic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신부는,
상기 데이터 통신부로부터 상기 배터리 셀 모듈 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 각각에 대한 제1 및 제2 전압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 모듈 위치 식별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ata receiving unit,
Receiving first and second voltage data for each of one or more battery cells included in the battery cell module from the data communication unit,
Battery cell module location identification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신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데이터 통신부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 모듈 각각의 전압값 및 온도값을 수신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 모듈의 충방전 상태 및 수명 상태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 모듈 위치 식별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ata receiving unit,
Receiving voltage values and temperature values of each of the one or more battery cell modules from the one or more data communication units, and calculating a charge/discharge state and a life state of the one or more battery cell modules,
Battery cell module location identifica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신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데이터 통신부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전압데이터를 무선주파수(RF) 통신 방법을 통해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 모듈 위치 식별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ata receiv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receiving the first and second voltage data from the at least one data communication unit through a radio frequency (RF) communication method,
Battery cell module location identification device.
데이터 수신부에서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 모듈과 각각 연결된 하나 이상의 데이터 통신부로부터 제1 전압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식별신호 인가부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 모듈 중 특정 배터리 셀 모듈에 식별신호를 인가하여 제2 전압데이터가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 및
데이터 수신부에서 상기 출력되는 제2 전압데이터를 토대로 배터리 팩 내 상기 특정 배터리 셀 모듈의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압데이터가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신호 인가부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 모듈 중 특정 배터리 셀 모듈을 기준으로 순차적으로 인접한 배터리 셀 모듈에 상기 식별신호를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신호 인가부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 모듈의 일측 단과 각각 연결된 하나 이상의 스위치 모듈; 및
직류 전원 또는 교류 전원을 공급하는 전류 공급원;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전압데이터가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 모듈과 각각 인접한, 한 쌍의 스위치 모듈이 폐쇄(CLOSE)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한 쌍의 스위치 모듈과 각 단이 연결된 배터리 셀 모듈에 상기 식별신호가 인가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식별신호는,
미소전류이며,
상기 식별신호를 인가하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 셀 모듈보다 작은 상기 미소전류 값을 추가적으로 출력하여 상기 배터리 셀 모듈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배터리 셀 모듈 위치 식별방법.
Receiving first voltage data from at least one data communication unit each connected to at least one battery cell module by a data receiving unit;
Applying an identification signal to a specific battery cell module among the one or more battery cell modules by an identification signal application unit to output second voltage data; And
Identifying the location of the specific battery cell module in the battery pack based on the second voltage data output from the data receiving unit; Including,
The step of outputting the second voltage data,
Including, by the identification signal applying unit, applying the identification signal to the adjacent battery cell modules sequentially based on a specific battery cell module among the one or more battery cell modules; and
The identification signal applying unit,
One or more switch modules each connected to one end of one or more battery cell modules; And
Includes; a current supply source for supplying DC power or AC power,
The step of outputting the second voltage data,
When a pair of switch modules adjacent to each of the one or more battery cell modules is changed to a closed state, applying the identification signal to a battery cell module connected to the pair of switch modules and each e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identification signal,
It is a micro current,
The step of applying the identification signal,
Including, further outputting the minute current value smaller than the battery cell module to identify the battery cell module;
How to identify battery cell module loca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압데이터는,
상기 제1 전압데이터를 초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 모듈 위치 식별방법.
The method of claim 9,
The second voltage data,
Characterized in that exceeding the first voltage data,
How to identify battery cell module location.
삭제delet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압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수신부에서 상기 데이터 통신부로부터 상기 배터리 셀 모듈 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 각각에 대한 제1 및 제2 전압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 모듈 위치 식별방법.
The method of claim 9,
Receiving the first voltage data,
And receiving, by the data receiving unit, first and second voltage data for each of one or more battery cells included in the battery cell module from the data communication unit.
How to identify battery cell module loca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압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수신부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데이터 통신부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 모듈 각각의 전압값 및 온도값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 모듈의 충방전 상태 및 수명 상태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 모듈 위치 식별방법.
The method of claim 9,
Receiving the first voltage data,
Receiving a voltage value and a temperature value of each of the at least one battery cell module from the at least one data communication unit by the data receiving unit; And
Comprising the charge/discharge state and the life state of the at least one battery cell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How to identify battery cell module loca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압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데이터 통신부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전압데이터를 무선주파수(RF) 통신 방법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 모듈 위치 식별방법.
The method of claim 9,
Receiving the first voltage data,
Receiving the first and second voltage data from the at least one data communication unit through a radio frequency (RF) communic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How to identify battery cell module location.
KR1020160104930A 2016-08-18 2016-08-18 Appatar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the position of the battery cell module KR1021480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930A KR102148060B1 (en) 2016-08-18 2016-08-18 Appatar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the position of the battery cell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930A KR102148060B1 (en) 2016-08-18 2016-08-18 Appatar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the position of the battery cell modu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0505A KR20180020505A (en) 2018-02-28
KR102148060B1 true KR102148060B1 (en) 2020-08-25

Family

ID=61401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4930A KR102148060B1 (en) 2016-08-18 2016-08-18 Appatar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the position of the battery cell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806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96514B2 (en) 2018-12-07 2022-04-05 Lg Energy Solution,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batter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78225A (en) * 2005-12-27 2007-07-12 Panasonic Ev Energy Co Ltd Battery inspection device, voltage measuring instrument, and fixation tool
JP2014169966A (en) * 2013-03-05 2014-09-18 Ntt Facilities Inc Assembled battery monitoring system and assembled battery system
JP2015197393A (en) 2014-04-02 2015-11-09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Battery monitoring device and battery monitor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2489B1 (en) 2013-01-31 2015-12-02 (주)아이비티 Lithium Battery Remote Management System for a golf cart
KR101632350B1 (en) * 2013-09-09 2016-06-21 주식회사 엘지화학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identifier allowcation of multi-bms
KR101610507B1 (en) * 2014-09-18 2016-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ing degradation of high voltage battery of vehic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78225A (en) * 2005-12-27 2007-07-12 Panasonic Ev Energy Co Ltd Battery inspection device, voltage measuring instrument, and fixation tool
JP2014169966A (en) * 2013-03-05 2014-09-18 Ntt Facilities Inc Assembled battery monitoring system and assembled battery system
JP2015197393A (en) 2014-04-02 2015-11-09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Battery monitoring device and battery monitor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0505A (en) 2018-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37804B2 (en) Battery pack protection device and battery pack device
US8793087B2 (en) Modular device for protecting and monitoring a battery
US11067635B2 (en) Battery cell evaluation system
US20190242933A1 (en)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insulation resistance of battery pack by using negative electrode relay
EP2546919A2 (en) Battery management systems with enumerating circuits
JP2012085491A (en) Battery system
US10916814B2 (en) Battery pack diagnostic apparatus for analyzing a state of a battery pack according to various measurement values
KR101979542B1 (en) System and method of intermediating influencer and advertiser
KR101488828B1 (en) Apparatus for measuring a life time of secondary battery, electronic equipment comprising it and method for measuring a life time of secondary battery
JP7387584B2 (en) Secondary battery test equipment and method
US20150042291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on with a Battery Charger
CN103825335A (en) Charging device and charging method thereof
EP3002599A1 (en) Method for correcting voltage sensor included in battery rack
CN104898062A (en) Battery tes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8421412B2 (en) Cell balancing circuit and secondary battery with cell balancing circuit
JP5583057B2 (en) Battery module, battery pack system, battery adjustment method and program
KR102148060B1 (en) Appatar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the position of the battery cell module
KR101909104B1 (en) Energy storage apparatus balancing conditon of battery pack
EP3208625A1 (en) Identification code allocating device for battery management categories, sequencing device for battery management categories, and battery management method using same
CN108196195B (en) Battery assembling method, device and equipment
KR20210048318A (en)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id assigning method thereof
WO2020091705A2 (en) Automatic multi-channel electronic test and measurement device
US20210082480A1 (en) Cell module equalization and precharge device and method
CN117413192A (en) Battery test equipment and battery test system
KR20160063730A (en) BMS Simulation System using Wireless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