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6014B1 - Mat for exercise - Google Patents

Mat for exerci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6014B1
KR102146014B1 KR1020200004305A KR20200004305A KR102146014B1 KR 102146014 B1 KR102146014 B1 KR 102146014B1 KR 1020200004305 A KR1020200004305 A KR 1020200004305A KR 20200004305 A KR20200004305 A KR 20200004305A KR 102146014 B1 KR102146014 B1 KR 102146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line
exercise
mat
guid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43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승원
Original Assignee
이승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원 filed Critical 이승원
Priority to KR1020200004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601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6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6014B1/en
Priority to PCT/KR2021/000090 priority patent/WO2021145600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7Exercise mats for personal use, with or without hand-grips or foot-grips, e.g. for Yoga or supine floor exerci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2071/0694Visual indication, e.g. Indici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ercise mat.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ercise mat, and particularly includes a mat body formed in a plate shape so that stepwise exercise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while maintaining a hand or foot at a certain interval or angle during exercise, thereby increasing an exercise effect. The mat body is formed with a first guide line forming a square grid shape on at least one surface, and a second guide line formed to be inclined while intersecting with the first guide line, so that the foot or hand is put along the first guide line and the second guide line to work out.

Description

운동용 매트{Mat for exercise}Mat for exercise

본 발명은 운동용 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운동시 손이나 발을 일정한 간격이나 각도로 유지하면서 단계적인 운동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운동용 매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ercise mat, and in particular, to an exercise mat capable of effectively performing a step-by-step exercise while maintaining a hand or foot at a certain interval or angle during exercise.

근래 건강관리에 관한 사람들의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요가, 체조, 스쿼트, 팔굽혀펴기, 스트레칭 등과 같은 운동들이 확산되고 있으며, 이러한 운동을 위한 보조기구들이 시중에 많이 보급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as people's interest in health care increases, exercises such as yoga, gymnastics, squats, push-ups, and stretching are spreading, and assistive devices for these exercises are widely distributed in the market.

상기 보조기구 중 하나로 운동용 매트가 있으며, 운동용 매트는 운동시 인체의 특정 부위가 바닥면과 접촉하며 인체의 하중에 의해 특정 부위가 받는 압력을 경감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운동용 매트는 통상 천연고무 또는 합성발포제 등으로 이루어진 쿠션재와, 천연섬유 또는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외피를 포함하여 외피가 쿠션재를 감싸도록 구성된다. As one of the auxiliary devices, there is an exercise mat, and the exercise mat is used to reduce the pressure applied to the specific part by the load of the human body when a specific part of the human body contacts the floor during exercise. Such an exercise mat is generally configured to surround the cushioning material, including a cushioning material made of natural rubber or synthetic foam, and a skin made of natural fiber or synthetic resin.

상기 쿠션재를 감싸는 외피에는 아무런 무늬가 없거나, 미감을 가질 수 있도록 디자인되어 있을 뿐이며, 손이나 발이 놓여지는 특정 위치를 지속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지 않은바, 사용자는 매 운동시마다 손이나 발의 일정한 간격이나 각도를 유지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발생된다.The outer skin surrounding the cushioning material has no pattern or is only designed to have a sense of beauty, and is not configured to continuously grasp a specific position where the hand or foot is plac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angle or angle.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32993호 '스트레칭 운동매트'1.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632993'Stretching exercise mat'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116362호 '운동용 매트'2.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6-0116362'Exercise Ma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운동시 손이나 발을 일정한 간격이나 각도로 유지하면서 단계적인 운동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운동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운동용 매트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o provide an exercise mat capable of increasing exercise effects by effectively performing step-by-step exercise while maintaining a hand or foot at a certain interval or angle during exercise. .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운동용 매트는 판 형태로 형성된 매트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매트본체는 적어도 일면에 사각 격자 형태를 이루는 제1 가이드선과, 상기 제1 가이드선과 엇갈리면서 경사지게 제2 가이드선이 형성된다.The exercise m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mat body formed in a plate shape, wherein the mat body includes a first guide line forming a square grid shape on at least one surface, and a second inclined while intersecting with the first guide line. Guide lines are formed.

또한, 상기 제1 가이드선은 매트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형성된 횡가이드선과, 매트본체의 폭방향을 따라 수직하게 형성된 종가이드선을 포함하되, 상기 횡가이드선과 종가이드선은 각각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guide line includes a horizontal guide line formed horizontally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mat body, and a vertical guide line formed vertically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mat body, wherein the horizontal guide line and the vertical guide line are each at regular intervals. A number of dogs can be formed.

또한, 상기 종가이드선은 매트본체의 길이방향 중앙의 상단과 하단을 연결하는 중앙선을 포함하되, 상기 제2 가이드선은 다수 개가 중앙선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vertical guide line includes a center line connecting an upper end and a lower end of the center of the mat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the second guide lines may be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또한, 상기 제2 가이드선은 일 종가이드선의 상단과, 일 종가이드선에 인접한 타 종가이드선의 하단을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guide line may be formed to connect an upper end of one type guide line and a lower end of another type guide line adjacent to the one type guide line.

또한, 상기 다수 개의 제2 가이드선은 각각 식별기호가 표기될 수 있다. In addi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guide lines may be marked with an identification symbol.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제1 가이드선 및 제2 가이드선을 따라 발이나 손을 놓고 일정한 간격이나 각도를 유지하면서 운동을 할 수 있으며, 자신이 발이나 손을 놓았던 위치를 기억하고 다음 번 운동시 해당 위치에 그대로 발이나 손을 놓거나 해당 위치보다 발이나 손의 간격이나 각도가 더 벌어지거나 좁아지게끔 놓고 운동을 할 수 있으므로 단계적인 운동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운동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can exercise while maintaining a certain interval or angle by placing a foot or hand along the first guide line and the second guide line, and remembering the position where the foot or hand was released, and exercising the next time. When you place your foot or han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you can exercise by placing the foot or hand in a wider or narrower space or angle than the corresponding position, so you can effectively perform step-by-step exercise, thereby increasing the exercise effect.

또한, 사용자는 본 발명을 통해 운동시 정확한 중심을 바르게 잡고 운동 목적에 따라 발이나 손의 위치와 간격을 알맞게 조절하여 몸의 균형을 바르게 잡은 상태에서 운동을 실시할 수 있는바, 운동 중에 발생될 수 있는 크고 작은 부상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지속적인 잘못된 운동 자세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신체의 불균형을 바르게 잡을 수 있으므로 신체교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 can perform the exercise in a state in which the body is properly balanced by properly holding the correct center during exercise and adjusting the position and spacing of the foot or han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exercise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sible large and small injuries can be prevented in advance, and since the imbalance of the body that may be caused by continuous wrong exercise posture can be corrected, a body correction effect can be obtained.

특히, 본 발명은 신체의 중심부인 척추, 골반, 복부를 지탱하는 근육인 코어근육을 머리와 척추를 중심으로 좌우 균형있게 발달시킴에 효과적이다.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s effective in developing the core muscles, which are muscles supporting the spine, the pelvis, and the abdomen, which are the centers of the body, in a balanced balance between the head and the spin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운동용 매트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운동용 매트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운동용 매트를 스쿼트 운동을 하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운동용 매트를 팔굽혀펴기 운동을 하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운동용 매트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n exercise m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showing a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n exercise m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user performing a squat exercise uses an exercise m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user performing a push-up exercise uses an exercise m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showing a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exercise m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는 운동시 손이나 발을 일정한 간격이나 각도로 유지하면서 단계적인 운동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운동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판 형태로 형성된 매트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매트본체는 적어도 일면에 사각 격자 형태를 이루는 제1 가이드선과, 상기 제1 가이드선과 엇갈리면서 경사지게 제2 가이드선이 형성되어, 상기 제1 가이드선 및 제2 가이드선을 따라 발이나 손을 놓인 후 운동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용 매트를 제안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mat body formed in a plate shape is included so that stepwise exercise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while maintaining a hand or foot at a certain interval or angle during exercise, thereby increasing an exercise effect, wherein the mat body is at least on one side. A first guide line forming a square grid and a second guide line is formed to be inclined while intersecting with the first guide line, so that the movement can be performed after placing a foot or hand along the first guide line and the second guide line. We propose an exercise mat characterized by a feature.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인 운동용 매트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ors exercise ma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attached.

본 발명인 운동용 매트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태로 형성된 매트본체(A)를 포함한다. 매트본체(A)는 다각형은 물론 원형의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판 형태로 형성된 것을 전제로 설명한다. 또한, 매트본체(A)의 소재는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or exercise mat includes a mat body (A) formed in a plate shape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mat body A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circular plate as well as a polygon.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on the assumption that it is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as shown in the drawings. In addition, the material of the mat body (A) may be made in various ways.

매트본체(A)는 제1 가이드선(100)과 제2 가이드선(200)이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다. 즉, 매트본체(A)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어느 일면에 제1 가이드선(100)과 제2 가이드선(200)이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매트본체(A)의 상면과 하면 모두에 제1 가이드선(100)과 제2 가이드선(200)이 형성되어, 앞뒤 구분없이 매트본체(A)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the mat body A, the first guide line 100 and the second guide line 200 are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That is, not only the first guide line 100 and the second guide line 200 may be formed on either the upp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of the mat body A, but als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mat body A. The 1 guide line 100 and the second guide line 200 are formed, so that the mat body A can be used without distinction between the front and rear lines.

제1 가이드선(100)은 사각 격자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며, 제2 가이드선(200)은 제1 가이드선(100)과 엇갈리면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가이드선(100)은 일 예로 매트본체(A)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형성된 횡가이드선(110)과, 매트본체(A)의 폭방향을 따라 수직하게 형성된 종가이드선(1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횡가이드선(110)과 종가이드선(120)은 다수 개가 형성되어 매트본체(A)에 사각 격자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The first guide line 100 is formed to form a square grid, and the second guide line 200 is formed to be inclined while intersecting with the first guide line 100. Specifically, the first guide line 100 is, for example, a horizontal guide line 110 formed horizontally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mat body A, and a vertical guide line formed vertically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mat body A. 120 may be included,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guide lines 110 and vertical guide lines 120 may be formed to form a square grid shape on the mat body A.

이때, 횡가이드선(110) 간의 간격과, 종가이드선(120) 간의 간격은 각각 일정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다만, 단계적인 운동효과를 보다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도록 횡가이드선(110)과 종가이드선(120)은 각각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횡가이드선(110) 간의 간격과, 종가이드선(120) 간의 간격을 비교하였을 때, 양 간격은 동일할 수 있음은 물론, 상이할 수도 있다. 통상 손과 발이 그 폭보다 길이가 긴 것을 고려하였을 때, 횡가이드선(110) 간의 간격은 종 가이드선(120) 간의 간격보다 길게 형성됨이 보다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the distance between the horizontal guide lines 110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vertical guide lines 120 may be constant or different, respectively.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horizontal guide lines 110 and vertical guide lines 120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order to more effectively obtain a step-by-step exercise effect. Here,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horizontal guide lines 110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vertical guide lines 120 are compared, the distances may be the same as well as different. Considering that the hands and feet are usually longer than their width, the distance between the horizontal guide lines 110 is more preferably formed lon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vertical guide lines 120.

또한, 매트본체(A)에 놓이는 한쪽 손이나 한쪽 발이 횡가이드선(110)과 종가이드선(120)에 의해 형성되는 다수 개의 사각 격자 중 어느 하나 내에 들어갈 수 있도록 횡가이드선(110)과 종가이드선(120)이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며, 다수 개의 사각 격자 중 두 개 이상에 놓여지도록 횡가이드선(110)과 종가이드선(120)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one hand or one foot placed on the mat body (A) can fit into any one of a plurality of square grids formed by the horizontal guide line 110 and the vertical guide line 120. The guide line 120 may be formed, but this is not necessarily the case, and the horizontal guide line 110 and the vertical guide line 120 may be formed to be placed on two or more of a plurality of square grids.

한편, 다수 개의 종가이드선(120) 중 어느 하나는 매트본체(A)의 길이방향 중앙의 상단과 하단을 연결하는 중앙선(120a)이다. 즉, 종가이드선(120)은 중앙선(120a)을 포함하며, 제2 가이드선(200)은 다수 개가 중앙선(120a)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이때, 다수 개의 제2 가이드선(200)은 모두 동일한 각도로 중앙선(120a)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이한 각도로 중앙선(120a)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종가이드선(120)을 따라 손이나 발을 매트본체(A)에 놓고 운동을 할 수 있음은 물론, 제2 가이드선(200)을 따라 손이나 발을 매트본체(A)에 놓고 운동을 할 수 있으며, 각기 다른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one of the plurality of vertical guide lines 120 is a center line 120a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center of the mat body (A)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t is, the vertical guide line 120 includes the center line 120a, and a plurality of the second guide lines 200 are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120a.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second guide lines 200 may not only be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120a at the same angle, but may also be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120a at different angles. Accordingly, the user can exercise by placing his or her hands or feet on the mat body A along the longitudinal guide line 120, as well as placing his or her hands or feet along the second guide line 200 on the mat body A. You can do exercise, and you can get different exercise effects.

일 예로, 제2 가이드선(200)은 일 종가이드선(120)의 상단과, 일 종가이드선(120)에 인접한 타 종가이드선(120)의 하단을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다수 개의 제2 가이드선(200)은 모두 동일한 각도로 중앙선(120a)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econd guide line 200 is formed to connect the upper end of the one longitudinal guide line 120 and the lower end of the other longitudinal guide line 120 adjacent to the longitudinal guide line 120, All of the guide lines 200 may be formed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120a at the same angle.

이러한 다수 개의 제2 가이드선(20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식별기호(10)가 표기될 수 있다. 여기서의 식별기호(10)는 문자, 숫자, 도형 등을 포함하며 사용자 자신이 운동할 때 발이나 손을 놓았던 위치를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guide lines 200 may be marked with an identification symbol 10 as shown in FIGS. 1 to 4. Here, the identification symbol 10 includes letters, numbers, figures, and the like, and serves to accurately recognize the position where the user himself placed his or her feet or hands when exercising.

일 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쿼트 운동을 하기 위해 매트본체(A)에 발을 놓이는 경우,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선(120a)을 기준으로 양측 방향으로 한 칸 반 떨어진 사각 격자 내에 형성된 2번 제2 가이드선(200)을 따라 두 발을 놓인 후 스쿼트 운동을 할 수 있다. 이후,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선(120a)을 기준으로 양측 방향으로 반 칸 떨어진 사각 격자 내에 형성된 1번 제2 가이드선(200)을 따라 두 발을 놓인 후 스쿼트 운동을 할 수 있으며, 이때 도 3a에 비해 좁은 발간격을 이룬 상태에서 운동을 하게 된다. 또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발 간격보다 더 좁은 발간격을 이루어 운동을 하고자 할 때는 1번 제2 가이드선(200)을 따라 두 발을 매트본체(A)의 하단을 향해 이동시켜 운동을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1번 제2 가이드선(200)과 2번 제2 가이드선(200) 사이에 형성된 종가이드선(120)을 따라 두 발을 놓인 후 스쿼트 운동을 할 수 있으며, 이때 두 발은 나란한 상태를 이루는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발이 소정의 각도를 이룬 상태에서 운동하는 것과는 다른 운동 효과를 얻을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when the feet are placed on the mat body (A) to perform the squat exercise, as shown in Fig. 3A, within a square grid spaced one and a half in both directions based on the center line (120a). After placing both feet along the formed second guide line 200, a squat exercise may be performed. Thereafter, as shown in FIG. 3B, after placing both feet along the second guide line 200 formed in a square grid half space apart from the center line 120a in both directions, the squat can be performed. Compared to FIG. 3A, exercise is performed in a state where the foot gap is narrower. In addition, when exercising with a foot spacing narrower than the foot spacing as shown in FIG. 3B, exercise by moving both feet toward the bottom of the mat body (A) along the first second guide line (200). You may. And, as shown in FIG. 3C, after placing two feet along the longitudinal guide line 120 formed between the No. 1 second guide line 200 and the No. 2 second guide line 200, you can perform a squat exercise, At this time, the two feet form a side-by-side state, and as shown in FIGS. 3A and 3B, an exercise effect different from that of exercising in a state in which the two feet are at a predetermined angle can be obtained.

따라서, 본 발명을 통해 사용자가 스쿼트 운동을 할 시, 발간격을 좁게 할 경우 대퇴사두근 중 허벅지 바깥쪽 근육인 외측광근과 허벅지 중간 근육인 대퇴직근에 많은 근육발달을 유도할 수 있으며, 발간격을 넓게 할 경우 대퇴사두근 중 허벅지 안쪽 근육인 내측광근과 봉공근, 허벅지 중간 근육인 대퇴직근에 많은 근육발달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발간격을 넓게하면서 발끝을 바깥쪽을 향하도록 할 경우 더욱 깊게 앉았을 있으므로 대퇴사두근의 발달과 함께 허벅지 뒤쪽 근육인 대퇴이두근, 대내전근, 슬굴곡근, 반건양근과, 엉덩이 근육인 대둔근, 중둔근에 많은 근육발달을 유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스쿼트 운동시 제1 가이드선(100)과 제2 가이드선(200)을 이용하여 발 간격을 넓게 또는 좁게 할 수 있으며, 운동목적에 따라 발 간의 각도도 정확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Therefore,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performs a squat exercise, if the foot interval is narrowed, it is possible to induce a lot of muscle development in the quadriceps lateral muscle of the quadriceps muscle and the rectus femoris muscle that is the middle thigh muscle. If you widen the quadriceps muscle, you can induce a lot of muscle development in the medial gluteus maximus and bonggeun muscle, which is the inner thigh muscle, and the rectus femoris muscle, which is the middle muscle of the thigh. In addition, if you set your toes toward the outside with a wider interval between your feet, you will have to sit more deeply.Therefore, with the development of the quadriceps muscle, there are many in the biceps femoris, adductor muscle, knee flexor, semitendox muscle, and the gluteus maximus and gluteus maximus muscles, which are hip muscles. It can induce muscle development.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can widen or narrow the foot spacing by using the first guide line 100 and the second guide line 200 during the squat exercise, and can be implemented by accurately changing the angle between the feet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exercise. have.

다른 일 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굽혀펴기 운동을 하기 위해 매트본체(A)에 손을 놓이는 경우,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선(120a)을 기준으로 양측 방향으로 한 칸 반 떨어진 사각 격자 내에 형성된 2번 제2 가이드선(200)을 따라 두 손을 놓인 후 팔굽혀펴기 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손 간격보다 더 넓은 손간격을 이루어 운동을 하고자 할 때, 2번 제2 가이드선(200)을 따라 두 손을 매트본체(A)의 상단을 향해 이동시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놓인 상태에서 운동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번 제2 가이드선(200)과 인접한 외측에 형성된 종가이드선(120)을 따라 두 손을 놓인 후 팔굽혀펴기 운동을 할 수 있으며, 이때 두 손은 나란한 상태를 이루는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손이 소정의 각도를 이룬 상태에서 운동하는 것과는 다른 운동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 4, when a hand is placed on the mat body (A) to perform a push-up exercise, as shown in FIG. 4A, one and a half spaces apart in both directions based on the center line (120a) After placing both hands along the second guide line 200 formed in the square grid, a push-up exercise may be performed. In addition, when exercising with a hand gap wider than the hand gap as shown in FIG. 4A, two hands may be moved toward the upper end of the mat body A along the second guide line 200. As shown in 4b, you can exercise while lying down. And, as shown in Fig. 4c, after placing both hands along the longitudinal guide line 120 formed on the outer side adjacent to the second guide line 200, the two hands can perform a push-up exercise. As shown in FIGS. 4A and 4B, an exercise effect different from that of exercising in a state where both hands achieve a predetermined angle can be obtained.

한편, 제2 가이드선(200)의 식별기호(10)와 마찬가지로 제1 가이드선(100)에도 식별기호(20)가 표기될 수 있으며, 식별기호(20)는 문자, 숫자, 도형 등을 포함한다.일 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가이드선(120) 각각에는 중앙선(120a)을 기준으로 외측 방향으로 'ㄱ,ㄴ,ㄷ,ㄹ,ㅁ'와 같이 한글 자음으로 된 식별기호(20)가 표기될 수 있으며, 횡가이드선(110) 각각에는 상측에 형성된 것부터 하측 방향으로 'ㅏ,ㅓ,ㅗ,ㅜ,ㅣ'와 같이 한글 모음으로 된 식별기호(20)가 표기될 수 있다. 이때 제1 가이드선(100)의 식별기호(10)는 중앙선(120a)을 기준으로 외측 방향으로 'ㅇ,ㅈ,ㅊ,ㅋ,ㅌ'과 같이 한글 자음으로 구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like the identification symbol 10 of the second guide line 200, the identification symbol 20 may be marked on the first guide line 100, and the identification symbol 20 includes letters, numbers, figures, etc. As an example, as shown in FIG. 5, each of the vertical guide lines 120 has an identification symbol in Korean consonants such as'ㄱ,ㄴ,ㄷ, ㄹ,ㅁ' in the outer direction based on the center line 120a ( 20) may be marked, and an identification symbol 20 in Korean vowels may be marked on each of the horizontal guide lines 110 from the one formed on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such as'ㅏ,ㅓ,ㅗ, ㅜ,ㅣ' . At this time, the identification symbol 10 of the first guide line 100 may be composed of Hangul consonants such as'ㅇ, ㅈ, ㅊ, ㅋ, ㅌ'in the outer direction based on the center line 120a.

따라서, 사용자가 손이나 발을 제1 지점(a1)에 놓고 운동을 하는 경우, 종가이드선(120)의 식별번호(20)인 'ㄷ'과 횡가이드선(110)의 식별번호(20)인 'ㅓ'를 합하여 자신이 '더' 위치에 손이나 발을 놓고 운동하였음을 손쉽게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손이나 발을 제2 지점(a2)에 놓고 운동을 하는 경우, 제2 가이드선(200)의 식별번호(10)인 'ㅈ'과 횡가이드선(110)의 식별번호인 'ㅓ'를 합하여 자신이 '저' 위치에 손이나 발을 놓고 운동하였음을 손쉽게 인지할 수 있다. Therefore, when a user puts his or her hands or feet at the first point (a1) and performs an exercise, the identification number'c' of the vertical guide line 120 and the identification number 20 of the horizontal guide line 110 By combining'ㅓ', you can easily recognize that you exercised with your hand or foot in the'more' position. In addition, when the user puts his or her hands or feet at the second point (a2) and performs an exercise,'ㅈ' which is the identification number 10 of the second guide line 200 and the'ㅈ' which is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horizontal guide line 110 By combining'ㅓ', you can easily recognize that you exercised with your hand or foot in the'low' position.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제1 가이드선(100) 및 제2 가이드선(200)을 따라 발이나 손을 놓고 일정한 간격이나 각도를 유지하면서 운동을 할 수 있으며, 자신이 발이나 손을 놓았던 위치를 기억하고 다음 번 운동시 해당 위치에 그대로 발이나 손을 놓거나 해당 위치보다 발이나 손의 간격이나 각도가 더 벌어지거나 좁아지게끔 놓고 운동을 할 수 있으므로 단계적인 운동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운동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llows the user to place his or her feet or hands along the first guide line 100 and the second guide line 200 and perform an exercise while maintaining a certain distance or angle. You can remember the position you placed and place your foot or hand at that position for the next exercise, or place your foot or hand so that the gap or angle of the foot or hand is wider or narrower than the corresponding position, so you can perform step-by-step exercise effectively. You can increase the exercise effect.

또한, 사용자는 본 발명을 통해 운동시 정확한 중심을 바르게 잡고 운동 목적에 따라 발이나 손의 위치와 간격을 알맞게 조절하여 몸의 균형을 바르게 잡은 상태에서 운동을 실시할 수 있는바, 운동 중에 발생될 수 있는 크고 작은 부상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지속적인 잘못된 운동 자세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신체의 불균형을 바르게 잡을 수 있으므로 신체교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 can perform the exercise in a state in which the body is properly balanced by properly holding the correct center during exercise and adjusting the position and spacing of the foot or han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exercise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sible large and small injuries can be prevented in advance, and since the imbalance of the body that may be caused by continuous wrong exercise posture can be corrected, a body correction effect can be obtained.

특히, 본 발명은 신체의 중심부인 척추, 골반, 복부를 지탱하는 근육인 코어근육을 머리와 척추를 중심으로 좌우 균형있게 발달시킴에 효과적이다.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s effective in developing the core muscles, which are muscles supporting the spine, the pelvis, and the abdomen, which are the centers of the body, in a balanced balance between the head and the spine.

A : 매트본체
10 : 식별기호 20 : 식별기호
100 : 제1 가이드선 110 : 횡가이드선
120 : 종가이드선 120a : 중앙선
200 : 제2 가이드선
A: Mat body
10: identification code 20: identification code
100: first guide line 110: horizontal guide line
120: vertical guide line 120a: center line
200: second guide line

Claims (5)

판 형태로 형성된 매트본체(A)를 포함하며,
상기 매트본체(A)의 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형성된 횡가이드선(110)과, 폭방향을 따라 수직하게 형성된 종가이드선(120)이 각각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되어 사각 격자 형태를 이루는 제1 가이드선(100); 및 제1 가이드선(100)과 엇갈리면서 경사진 제2 가이드선(200);이 형성되어, 상기 제1 가이드선(100) 및 제2 가이드선(200)을 따라 발이나 손을 놓인 후 운동을 할 수 있되,
상기 종가이드선(120)은 매트본체(A)의 길이방향 중앙의 상단과 하단을 연결하는 중앙선(120a)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가이드선(200)은 일 종가이드선(120)의 상단과, 일 종가이드선(120)에 인접한 타 종가이드선(120)의 하단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면서, 다수 개가 중앙선(120a)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용 매트.
It includes a mat body (A) formed in a plate shape,
On one side of the mat body (A), a plurality of horizontal guide lines 110 formed horizontally along the length direction and vertical guide lines 120 formed vertically along the width direction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to form a square grid. A first guide line 100 forming; And a second guide line 200 that is inclined while intersecting with the first guide line 100; is formed, and exercise after placing a foot or hand along the first guide line 100 and the second guide line 200 I can do it,
The vertical guide line 120 includes a center line 120a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center of the mat body A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econd guide line 200 is formed to connect the upper end of the one longitudinal guide line 120 and the lower end of the other longitudinal guide line 120 adjacent to the one longitudinal guide line 120, and a plurality of the second guide lines 120a Exercise mat,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symmetrically based 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제2 가이드선(200)은 각각 식별기호(10)가 표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용 매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plurality of second guide lines 200 are exercise mats, characterized in that the identification symbol (10) is marked, respectively.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00004305A 2020-01-13 2020-01-13 Mat for exercise KR102146014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4305A KR102146014B1 (en) 2020-01-13 2020-01-13 Mat for exercise
PCT/KR2021/000090 WO2021145600A1 (en) 2020-01-13 2021-01-05 Exercise ma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4305A KR102146014B1 (en) 2020-01-13 2020-01-13 Mat for exerci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6014B1 true KR102146014B1 (en) 2020-08-19

Family

ID=72265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4305A KR102146014B1 (en) 2020-01-13 2020-01-13 Mat for exercis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46014B1 (en)
WO (1) WO2021145600A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45600A1 (en) * 2020-01-13 2021-07-22 이승원 Exercise mat
KR20220165097A (en) 2021-06-07 2022-12-14 김정서 Mat for exercise
KR20230137597A (en) 2022-03-22 2023-10-05 이동형 Squat Ramp By Elevating Heels To Appropriate Height
KR20240048948A (en) 2022-10-07 2024-04-16 한혜선 Multipurpose Exercise Ma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87013B1 (en) * 2000-03-03 2002-05-14 Jean Pierre Marquez Exercise alignment mat system
KR100632993B1 (en) 2005-09-02 2006-10-11 예광해 Mat for assisting stretch exercise
US20140007345A1 (en) * 2012-07-06 2014-01-09 Ali Hasta Poster-assisted yoga mats and towel
KR200474026Y1 (en) * 2013-02-20 2014-08-18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Yoga mat
US20140237718A1 (en) * 2013-02-26 2014-08-28 Linda L. Burch Exercise Mat
KR20160116362A (en) 2015-03-29 2016-10-10 박금숙 Mat for exercis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7055792U (en) * 2017-08-10 2018-03-02 金亿源(江苏)新材料有限公司 A kind of combined multi-functional Yoga mat
KR102146014B1 (en) * 2020-01-13 2020-08-19 이승원 Mat for exercis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87013B1 (en) * 2000-03-03 2002-05-14 Jean Pierre Marquez Exercise alignment mat system
KR100632993B1 (en) 2005-09-02 2006-10-11 예광해 Mat for assisting stretch exercise
US20140007345A1 (en) * 2012-07-06 2014-01-09 Ali Hasta Poster-assisted yoga mats and towel
KR200474026Y1 (en) * 2013-02-20 2014-08-18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Yoga mat
US20140237718A1 (en) * 2013-02-26 2014-08-28 Linda L. Burch Exercise Mat
KR20160116362A (en) 2015-03-29 2016-10-10 박금숙 Mat for exercis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45600A1 (en) * 2020-01-13 2021-07-22 이승원 Exercise mat
KR20220165097A (en) 2021-06-07 2022-12-14 김정서 Mat for exercise
KR20230137597A (en) 2022-03-22 2023-10-05 이동형 Squat Ramp By Elevating Heels To Appropriate Height
KR20240048948A (en) 2022-10-07 2024-04-16 한혜선 Multipurpose Exercise M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45600A1 (en) 2021-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6014B1 (en) Mat for exercise
US9211437B2 (en) Yoga and exercise mat with attachable markers
US20040214692A1 (en) Grid on an exercise product and exercise system therewith
US10315065B1 (en) Yoga and exercise mat with attachable markers
Fredericson et al. Muscular balance, core stability, and injury prevention for middle-and long-distance runners
US8499383B1 (en) Exercise mat with visual markers for alignment
Lee et al. Comparison of three different surface plank exercises on core muscle activity
US20130324382A1 (en) Multi-function exercise mat with detachable implements and method
US4492376A (en) Lower extremity exerciser
US20160074693A1 (en) Diamond Cutter Push-up Bar and Accompanying Workout Methods
US5284465A (en) Apparatus for use in doing squat exercises
US20140038793A1 (en) Exercise Device
US20090229048A1 (en) Shaped exercise cushion
WO2001052953A1 (en) Yoga mat with body contact placement indicia
US20150005145A1 (en) Mat with handprints to do pushups
US7094189B2 (en) Apparatus for fitness stretching
US20170050101A1 (en) Plyometric box
US20030195096A1 (en) Torsion exercise apparatus
US20190329094A1 (en) Training device for performing balance, meditation and/or yoga exercises
US20020098953A1 (en) Exercise apparatus for performing squats
US20140011648A1 (en) Apparatus for providing support when performing plank training exercis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using same
GB2485768A (en) An exercise platform with a plurality of detachable exercise devices
KR20170001582U (en) Exercise apparatus for Core muscle's strength and stretching
US20090170673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exercising
KR101302997B1 (en) Sit-up exercis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