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4336B1 - Broadcasting system for integrating graphic with video based on cloud computing network - Google Patents

Broadcasting system for integrating graphic with video based on cloud computing net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4336B1
KR102144336B1 KR1020180152649A KR20180152649A KR102144336B1 KR 102144336 B1 KR102144336 B1 KR 102144336B1 KR 1020180152649 A KR1020180152649 A KR 1020180152649A KR 20180152649 A KR20180152649 A KR 20180152649A KR 102144336 B1 KR102144336 B1 KR 102144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graphic
editing
broadcast
design tem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26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65811A (en
Inventor
전상규
Original Assignee
전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상규 filed Critical 전상규
Priority to KR1020180152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4336B1/en
Publication of KR20200065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58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4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43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5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e.g. interacting with MPEG-4 objects, editing local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22Secondary servers, e.g. proxy server, cable television Head-end
    • H04N21/2223Secondary servers, e.g. proxy server, cable television Head-end being a public access point, e.g. for downloading to or uploading from cli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6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4662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characterized by learning algorith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방송영상에 자막, 텍스트, 도형, 이미지 등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래픽을 추가하여 원본 방송영상에 대한 정보전달의 효율을 높이고자 상기 원본 방송영상을 편집하고자 할 때, 상기 그래픽에 대한 디자인 템플릿과 해당 방송영상에 대한 썸네일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공한 디자인 템플릿을 이용하여 상기 썸네일 영상을 편집한 후 편집정보를 전송하면, 상기 편집정보를 이용하여 실질적인 방송영상에 대한 편집은 클라우드 상의 통합 방송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상기 편집을 위한 별도의 전문 장비가 없어도 네트워크 트래픽을 극복함과 동시에 상기 그래픽을 상기 방송영상에 간편하게 통합하여 시청자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and the original broadcasting image is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information transmission for the original broadcasting image by adding at least one graphic including subtitles, text, figures, images, etc. When editing a broadcast image, a design template for the graphic and a thumbnail image for the broadcast image are provided to the user, and the user edits the thumbnail image using the provided design template and then transmits editing information. Then, by using the editing information, the editing of the actual broadcast image can be automatically performed in th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on the cloud, so that the graphic is displayed while overcoming network traffic even without a separate specialized equipment for the editing. It relates to a cloud-based graphic video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that can be easily integrated into a broadcast video and delivered to viewers.

Description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BROADCASTING SYSTEM FOR INTEGRATING GRAPHIC WITH VIDEO BASED ON CLOUD COMPUTING NETWORK}Cloud-based graphic video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BROADCASTING SYSTEM FOR INTEGRATING GRAPHIC WITH VIDEO BASED ON CLOUD COMPUTING NETWORK}

본 발명은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송영상에 자막, 텍스트, 도형, 이미지 등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래픽을 추가하여 원본 방송영상에 대한 정보전달의 효율을 높이고자 상기 원본 방송영상을 편집하고자 할 때, 상기 그래픽에 대한 디자인 템플릿과 해당 방송영상에 대한 썸네일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공한 디자인 템플릿을 이용하여 상기 썸네일 영상을 편집한 후 편집정보를 전송하면, 상기 편집정보를 이용하여 실질적인 방송영상에 대한 편집은 클라우드 상의 통합 방송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상기 편집을 위한 별도의 전문 장비가 없어도 네트워크 트래픽을 극복함과 동시에 상기 그래픽을 상기 방송영상에 간편하게 통합하여 시청자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by adding at least one graphic including subtitles, texts, figures, images, etc. to the broadcast image, the efficiency of information transmission for the original broadcast image is improved. When editing the original broadcast image for enhancement, a design template for the graphic and a thumbnail image for the broadcast image are provided to the user, and the user edits the thumbnail image using the provided design template. When the editing information is transmitted, the editing of the actual broadcasting image using the editing information can be automatically performed in th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on the cloud, thereby overcoming network traffic even without a separate specialized equipment for the edit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that allows the graphic to be easily integrated into the broadcast image and transmitted to a viewer.

최근 산업발전과 영상 및 방송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인해 인터넷을 통해 다양한 방송영상을 스트리밍하여 복수의 시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 방송플랫폼에 대한 기술이 급격하게 발전하고 있다.Due to the recent industrial development and the rapid development of video and broadcasting technology, the technology for an internet broadcasting platform that enables streaming of various broadcasting images through the Internet and providing it to a plurality of viewers is rapidly developing.

특히, 기업에서는 사용자(즉, 방송을 수행하는 개인이나 방송사)와 시청자 간의 간단한 인터랙션 기능(예 채팅 기능)포함한 인터넷 방송플랫폼을 자체적으로 개발하여 개인이나 방송사에게 제공함으로서, 기업의 이윤을 창출하고 있다.In particular, companies are creating corporate profits by developing their own internet broadcasting platform that includes simple interaction functions (e.g. chat function) between users (i.e. individuals or broadcasters performing broadcasting) and viewers and providing them to individuals or broadcasters. .

이에 사용자들은 상기 인터넷 방송플랫폼을 이용하여 스트리밍 방송을 수행하여, 자신이 제작한 다양한 방송영상을 전 세계의 시청자들에게 제공하고 있다.Accordingly, users perform streaming broadcasting using the Internet broadcasting platform, and provide various broadcasting images they have produced to viewers around the world.

특히, 상기 인터넷 방송플랫폼을 통해 방송영상을 송출할 때, 해당 방송영상에 대한 자막, 텍스트, 도형, 이미지 등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래픽을 상기 방송영상에 오버레이하여 제공한다면, 시청자들은 상기 방송영상에 대한 정보를 쉽게 이해할 수 있고 보다 유익하게 상기 방송영상을 시청할 수 있을 것이다.In particular, when transmitting a broadcast image through the Internet broadcasting platform, if at least one graphic including a caption, text, figure, image, etc. for the broadcast image is provided by overlaying the broadcast image, viewers may It is possible to easily understand the information about and more informatively watch the broadcast video.

그러나 종래의 인터넷 방송플랫폼은 단순히 사용자의 방송영상을 해당 방송플랫폼에 접속한 시청자들에게 송출하는 기능만 제공하고 있을 뿐, 상기 방송영상에 특정 그래픽을 오버레이하는 것은 전적으로 사용자 영역에 맡기고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internet broadcasting platform merely provides a function of transmitting a user's broadcasting image to viewers who have connected to the broadcasting platform, and overlaying a specific graphic on the broadcasting image is left entirely to the user area.

즉, 사용자는 그래픽을 위한 별도의 디자인 템플릿을 제작하고, 상기 제작한 디자인 템플릿을 통해 상기 그래픽을 자신의 방송영상에 오버레이하여 상기 인터넷 방송플랫폼을 통해 스트리밍 방송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a user creates a separate design template for a graphic, overlays the graphic on his or her broadcast image through the created design template, and performs streaming broadcasting through the Internet broadcasting platform.

이는, 고해상도의 방송영상(예: UHD급 방송영상)을 직접적으로 편집해야 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자체적으로 고성능의 그래픽 장비를 별도로 구비해야 되며, 상기 디자인 템플릿을 제작하기 위한 전문성 또한 요구되거나, 상기 디자인 템플릿을 제작하기 위한 별도의 전문 인력을 필요로 하게 된다.This is because high-resolution broadcast images (e.g., UHD broadcast images) must be directly edited, so the user must have a separate high-performance graphic equipment, and expertise to produce the design template is also required, or the design template It requires a separate professional manpower to produce.

만약 사용자의 니즈에 적합한 디자인 템플릿을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디자인 템플릿을 이용하여 상기 방송영상을 편집한 편집정보를 전달받아, 클라우드 상에서 상기 전달받은 편집정보를 토대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래픽을 방송영상에 오버레이한다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래픽을 포함한 고화질의 방송영상의 송수신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와 방송플랫폼 사이의 네트워크 트래픽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이와 동시에 별도의 장비나 전문 인력을 구비하지 않고서도 시청자에게 유익한 방송영상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If a design template suitable for the user's needs is provided, and the user receives the editing information for editing the broadcast video using the design template, the at least one graphic is transferred to the broadcast video based on the received edit information on the cloud. If it is overlaid, it is possible to reduce network traffic between the user device and the broadcasting platform due to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high-definition broadcasting images including at least one graphic, and at the same time, broadcasting images that are beneficial to viewers without additional equipment or professional manpower. Will be able to provide.

이에 본 발명은 딥러닝을 포함하는 기계학습 방법을 통해 사용자의 니즈에 적합한 디자인 템플릿과 사용자의 방송영상에 대한 썸네일 영상을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썸네일을 편집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그래픽을 오버레이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편집한 편집정보만을 전달받아 상기 전달받은 편집정보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상에서 상기 방송영상의 원본에 대한 실질적인 편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고화질의 방송영상에 대한 네트워크 트래픽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별도의 장비나 인력을 구비하지 않고서도 상기 그래픽과 상기 방송영상을 통합한 스트리밍 방송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sign template suitable for the user's needs and a thumbnail image of the user's broadcast image through a machine learning method including deep learning, and allows the user to edit the thumbnail to overlay the user's desired graphic. And, by receiving only the edited edit information from the user and using the received edit information to perform actual editing of the original broadcast video on the cloud, network traffic for high-quality broadcast vide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oud-based graphic video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that minimizes and enables efficient streaming broadcasting in which the graphic and the broadcast image are integrated without additional equipment or manpower.

다음으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존재하는 선행기술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고, 이어서 본 발명이 상기 선행기술에 비해서 차별적으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사항에 대해서 기술하고자 한다.Next, the prior art existing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and then the technical matters that the present invention intends to achieve differentiated from the prior art will be described.

먼저 한국등록특허 제1537547호(2015.07.13.)는 오버레이 스트리밍을 이용한 온라인 생방송 광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방송 스트리밍 서버와 광고 서버를 구비하고 있으면서, 상기 방송 스트리밍 서버를 통해 온라인 방송 콘텐츠를 송출하고 있는 도중에, 상기 광고 서버에서 광고주로부터 실시간으로 온라인 광고를 수신한 경우, 상기 수신한 온라인 광고를 상기 송출하고 있는 온라인 방송 콘텐츠에 오버레이함으로서, 상기 온라인 광고를 시청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오버레이 스트리밍을 이용한 온라인 생방송 광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First,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537547 (2015.07.13) relates to an online live broadcasting advertis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overlay streaming. While having a broadcasting streaming server and an advertisement server, online broadcasting contents are transmitted through the broadcasting streaming server. In the meantime, when an online advertisement is received from an advertiser in real time in the advertisement server, the received online advertisement is overlaid on the transmitted online broadcasting content, and the online advertisement is provided to viewers in real time. It relates to a live online advertising system and method.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단순히 온라인 광고를 현재 방송되고 있는 온라인 방송 콘텐츠에 오버레이하여 제공한다는 정도만 기재하고 있으며, 사용자의 방송영상에 사용자가 원하는 그래픽을 오버레이하는 기술적 구성은 전혀 기재하고 있지 않다. However, the prior art merely describes the extent to which an online advertisement is provided by overlaying it on currently broadcast online broadcasting content, and does not describe a technical configuration of overlaying a user's desired graphic on the user's broadcast image.

반면에 본 발명은, 사용자가 특정 방송영상을 편집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방송영상에 대한 썸네일 영상과 사용자의 성향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니즈에 적합한 디자인 템플릿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공한 디자인 템플릿을 토대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래픽을 오버레이함으로써, 상기 썸네일 영상을 편집한 경우, 이에 대한 편집정보만을 상기 사용자로부터 전달받아, 상기 전달받은 편집정보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상에서 상기 특정 방송영상을 실질적으로 자동 편집함으로서, 별도의 장비나 인력을 구비하지 않고서도 상기 그래픽을 상기 방송영상에 간편하게 오버레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선행기술은 본 발명의 이러한 기술적 특징을 기재하거나 시사하고 있지 않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user with a design template suitable for the user's needs by analyzing a thumbnail image of the broadcast image and the user's propensity when a user wants to edit a specific broadcast image, and the user provides the When the thumbnail image is edited by overlaying at least one graphic based on a design template, only the editing information for this is transmitted from the user, and the specific broadcast image is substantially automatically edited on the cloud using the transmitted editing information As a result, the graphic can be easily overlaid on the broadcast image without additional equipment or manpower, and the prior art does not describe or suggest such a technical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2018-0092873호(2018.08.20.)는 라이브 스트리밍 영상 생성 방법 및 장치, 라이브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및 라이브 스트리밍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카메라를 통해 피사체를 촬영한 제1 스트리밍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제1 스트리밍 영상에 상기 제1 스트리밍 영상을 가리기 위한 특정 스티커(sticker) 및 이펙트(effect)를 포함시킨 제2 스트리밍 영상을 생성하여, 상기 생성한 제2 스트리밍 영상을 라이브 방송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단말로 제공하는 라이브 스트리밍 영상 생성 방법 및 장치, 라이브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및 라이브 스트리밍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8-0092873 (2018.08.20.)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live streaming image,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live service, and a live streaming system. A first streaming image photographed by a camera is recorded. Generates and generates a second streaming image including a specific sticker and effect for covering the first streaming image on the generated first streaming image, and broadcasts the generated second streaming image live It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live streaming image,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live service, and a live streaming system provided to a terminal of a viewer watching TV.

상기 선행기술은 방송을 수행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디바이스에서 상기 스티커 및 이펙트를 포함시킨 제2 스트리밍 영상을 생성하여, 상기 라이브 스트리밍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기술적 구성을 기재하고 있다.The prior art describes a technical configuration in which a second streaming image including the sticker and effect is generated in a user's device to be broadcast and transmitted to the live streaming system.

반면에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방송영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래픽을 오버레이하기 위한 편집정보만을 전송받아, 상기 전송받은 편집정보를 토대로 상기 방송영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래픽을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에서 오버레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선행기술은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기재, 시사 혹은 암시도 없음이 분명하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only editing information for overlaying at least one graphic on a broadcast image from a user terminal, and provides at least one graphic to the broadcast image based on the transmitted edit information in a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It is clear that the prior art has no description, suggestion or suggestion of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being able to be overlaid.

이상에서 선행기술들을 검토한 결과 대부분의 선행기술들은 실시간으로 스트리밍되는 방송영상에 광고나, 스티커 또는 이펙트를 삽입하는 기본적인 개념만 기재하고 있을 뿐, 자막, 텍스트, 이미지, 도형 등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래픽에 대한 디자인 템플릿을 이용하여 해당 방송영상에 대한 썸네일을 기반으로 편집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대한 편집정보만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실질적인 방송영상에 대한 편집은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에서 실시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상기 사용자가 디자인 템플릿이나 편집을 위한 별도의 장비나 전문 인력을 구비하지 않고서도 그래픽과 영상을 통합한 실시간 스트리밍 방송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기재나 아무런 시사 또는 암시가 없기 때문에 본 발명과 상기 선행기술들의 기술적 차이점은 분명하다.As a result of reviewing the prior arts above, most of the prior arts describe only the basic concept of inserting advertisements, stickers, or effects into broadcast images streamed in real time, and at least one including subtitles, texts, images, figures, etc. By using the design template for the graphic above, it is possible to edit based on the thumbnail for the broadcast image, and only the editing information for this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so that the editing of the actual broadcast image is performed by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Regarding the configuration that enables the system to automatically perform real-time streaming, the user can conveniently perform real-time streaming broadcasting incorporating graphics and images without having separate equipment or specialized personnel for design templates or editing. The technical difference betwee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ior art is obvious because there is no specific description or any suggestion or sugges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특정 방송영상에 자막, 이미지, 텍스트, 도형, 그래프를 포함하는 그래픽을 오버레이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그래픽에 대한 디자인 템플릿과 해당 방송영상에 대한 썸네일 영상을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여, 상기 디자인 템플릿을 이용하여 상기 썸네일 영상을 기반으로 상기 특정 방송영상에 상기 그래픽을 간편하게 오버레이하여, 상기 특정 방송영상에 상기 그래픽을 통합하여 복수의 시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when a graphic including subtitles, images, texts, figures, and graphs is to be overlaid on a specific broadcast image, a design template for the graphic and the corresponding broadcast image By providing a thumbnail image to a user terminal, the graphic can be easily overlaid on the specific broadcast image based on the thumbnail image using the design template, and the graphic can be integrated on the specific broadcast image and provided to a plurality of viewers. Its purpose is to provide a cloud-based integrated graphic video broadcasting system.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사용자가 썸네일 영상을 기반으로 상기 방송영상에 대한 그래픽을 오버레이하기 위한 편집을 수행하는 경우, 해당 편집에 대한 편집정보만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제공받은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에서 상기 방송영상에 대한 편집을 실질적으로 수행함으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 간의 네트워크 트래픽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performs editing for overlaying a graphic on the broadcast image based on a thumbnail image, only the editing information for the edit is provid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the provided cloud-based Provides a cloud-based graphic video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that can minimize network traffic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cloud-based graphic video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by substantially editing the broadcast image in the integrated graphic video broadcasting system It has another purpose.

또한 본 발명은, 딥러닝을 포함한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그래픽별 선호하는 취향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한 상기 사용자의 취향을 토대로 사용자의 니즈에 적합한 새로운 디자인 템플릿을 자동으로 추천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다양한 디자인 템플릿을 이용하여 스트리밍 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nalyzes the user's preference for each graphic through a machine learning algorithm including deep learning, and automatically recommends a new design template suitable for the user's needs based on the analyzed user's taste.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that enables streaming broadcasting using more diverse design templat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은,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에서, 특정 방송영상에 자막, 텍스트, 도형, 그래프를 포함하는 그래픽을 오버레이하기 위한 편집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방송영상에 대한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여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 제공하는 썸네일 영상 제공부, 상기 그래픽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자인 템플릿을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디자인 템플릿 제공부,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편집을 수행한 편집정보를 수신하는 편집정보 수신부 및 상기 수신한 편집정보를 토대로 상기 방송영상을 실시간으로 편집하는 그래픽 오버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cloud-based integrated graphic image broadcas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device for editing a broadcast image intends to perform editing to overlay a graphic including a caption, text, figure, and graph on a specific broadcast image , A thumbnail image providing unit that generates a thumbnail image for a corresponding broadcast image and provides the broadcast image editing device, a design template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at least one design template for the graphic to the broadcast image editing device, the broadcast And an editing information receiving unit configured to receive the edited information performed by the video editing device and a graphic overlay unit configured to edit the broadcast image in real time based on the received editing information.

또한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에서 수행되는 편집은, 상기 제공한 디자인 템플릿을 이용하여 썸네일 영상을 기반으로 수행되는 것이며, 상기 그래픽 오버레이부에서 수행되는 편집은, 상기 특정 방송영상에 대한 원본을 기반으로 수행되는 것으로, 상기 수신되는 편집정보를 토대로 상기 특정 방송영상에 상기 그래픽을 오버레이함으로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diting performed by the broadcast image editing device is performed based on the thumbnail image using the provided design template, and the editing performed by the graphic overlay unit is performed based on the original for the specific broadcasting image. It is performed, and is performed by overlaying the graphic on the specific broadcast image based on the received editing information.

또한 상기 편집정보는, 상기 디자인 템플릿을 이용하여 상기 썸네일 영상에 오버레이한 그래픽, 해당 그래픽이 오버레이되는 위치, 크기, 색깔(RGB), 투명도(alpha, A), 폰트, 지속시간, 이펙트 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diting information includes a graphic overlaid on the thumbnail image using the design template, a position, size, color (RGB), transparency (alpha, A), font, duration, effect information, or thes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mbination of.

또한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은,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수집되는 방송영상 타입, 그래픽별 선호하는 디자인 스타일 및 이펙트 효과를 포함하는 취향정보와 상기 각 사용자가 사용한 디자인 템플릿 간의 매핑관계를 각각 학습하여, 특정 사용자에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자인 템플릿을 추천하기 위해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을 상기 그래픽별로 각각 생성하는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 생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은, 상기 사용자 취향정보에 따라 가장 많은 유저가 선택한 디자인 템플릿이나, 시청수가 미리 설정한 값 이상인 방송영상에서 사용된 디자인 템플릿을 출력하도록 학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learns the mapping relationship between the broadcast image types collected from a plurality of users, preference information including the preferred design style and effect effect for each graphic, and the design template used by each user. Thus, further comprising a design template recommendation learning model generation unit for each graphic to generate a design template recommendation learning model for each graphic in order to recommend at least one design template to a specific user, the learning models for each design template recommenda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learning is performed to output a design template selected by the most users according to the user preference information or a design template used in a broadcast image having a number of viewer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value.

또한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은, 상기 그래픽 오버레이부를 통해 편집한 방송영상을 사용자가 설정한 방송채널로 송출함으로서, 상기 그래픽과 상기 특정 방송영상을 통합한 스트리밍 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송영상 출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자인 템플릿 제공부는, 상기 특정 사용자에 대한 그래픽별 취향정보를 상기 생성한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에 각각 적용하여, 상기 각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에서 출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자인 템플릿 중 미리 설정한 임계값 이상의 확률값을 가지는 디자인 템플릿을 선택하여 상기 사용자의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로 추천하고, 상기 사용자가 기존에 사용한 디자인 템플릿을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transmits the broadcast image edited through the graphic overlay unit to a broadcast channel set by the user, thereby performing a streaming broadcast in which the graphic and the specific broadcast image are integrated. Further comprising an image output unit, wherein the design template providing unit, by applying each graphic taste information for the specific user to the generated design template recommendation learning model, at least one output from the learning model for each design template recommendation Among the above design templates, a design template having a probability value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is selected and recommended as a device for editing a broadcast image of the user, and a design template previously used by the user is provided to the device for editing a broadcast image. To do.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을 통해 특정 방송영상을 편집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으로부터 해당 방송영상에 대한 썸네일 영상을 수신하는 썸네일 영상 수신부, 상기 썸네일 영상에 자막, 텍스트, 도형 또는 그래프를 포함하는 그래픽을 오버레이하기 위한 디자인 템플릿을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자인 템플릿을 수신하는 디자인 템플릿 수신부 및 상기 수신한 디자인 템플릿을 이용하여 상기 썸네일 영상을 편집하는 썸네일 영상 편집부 및 상기 썸네일 영상을 편집한 편집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으로 제공하는 편집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썸네일 영상을 편집한 편집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으로 제공함으로서, 실질적인 상기 방송영상에 대한 편집은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roadcast image edi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wants to edit a specific broadcast image through a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using the broadcast image editing device, the cloud-based A thumbnail image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thumbnail image for a corresponding broadcast image from a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and a design template for overlaying a graphic including a caption, text, figure, or graph on the thumbnail image, and the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A design template receiving unit receiving at least one design template from the system, a thumbnail image editing unit editing the thumbnail image using the received design template, and editing information obtained by editing the thumbnail image into the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It includes an edit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provided as, by providing the editing information edited the thumbnail image to the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the actual editing of the broadcast image is performed in the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performed automatically.

또한 상기 썸네일 영상 편집부는, 상기 수신한 디자인 템플릿을 이용하여 상기 썸네일 영상에 상기 그래픽을 편집할 때, 상기 썸네일 영상에서에의 상기 그래픽에 대한 위치, 크기, 색깔, 투명도, 텍스트, 효과시간, 인아웃을 포함하는 편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humbnail image editing unit, when editing the graphic in the thumbnail image using the received design template, the position, size, color, transparency, text, effect time, in-out of the graphic in the thumbnail imag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enables to perform editing including a.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을 통한 방송영상 편집 방법은,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에서, 특정 방송영상에 자막, 텍스트, 도형, 이미지를 포함하는 그래픽을 오버레이하기 위한 편집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클라우드 기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에서 해당 방송영상에 대한 썸네일 영상을 제공하는 썸네일 영상 제공 단계, 상기 클라우드 기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에서, 상기 그래픽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자인 템플릿을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디자인 템플릿 제공 단계,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에서, 상기 제공받은 디자인 템플릿을 이용하여 상기 썸네일 영상을 편집한 후, 해당 편집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기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우드 기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에서, 상기 수신한 편집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방송영상에 상기 그래픽을 실시간으로 오버레이하는 그래픽 오버레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broadcast image editing method through a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overlaying graphics including captions, texts, figures, and images on a specific broadcast image in a broadcast image editing device. When editing is to be performed, a thumbnail image providing step of providing a thumbnail image for a corresponding broadcast image in a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and at least one design template for the graphic in the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Providing a design template provided to the broadcast image editing device, in the broadcast image editing device, after editing the thumbnail image using the provided design template, the editing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And a graphic overlay step of overlaying the graphic on the specific broadcast image in real time using the received edit information in the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또한 상기 편집 방법은,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수집되는 방송영상 타입, 그래픽별 선호하는 디자인 스타일 및 이펙트 효과를 포함하는 취향정보와 상기 각 사용자가 사용한 디자인 템플릿 간의 매핑관계를 각각 학습하여, 특정 사용자에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자인 템플릿을 추천하기 위해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을 상기 그래픽별로 각각 생성하는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 생성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은, 상기 사용자 취향정보에 따라 가장 많은 유저가 선택한 디자인 템플릿이나, 시청수가 미리 설정한 값 이상인 방송영상에서 사용된 디자인 템플릿을 출력하도록 학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diting method includes learning the mapping relationship between the taste information including the type of broadcast video collected from a plurality of users, the preferred design style and effect effect for each graphic, and the design template used by each user,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creating a design template recommendation learning model for each of the graphics to recommend one or more design templates, wherein each of the design template recommendation learning models is included in the user preference information. Accordingl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learning is performed to output a design template selected by the most users or a design template used in a broadcast image having a number of viewer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value.

또한 방송영상 편집 방법은, 상기 그래픽 오버레이 단계를 통해 편집한 방송영상을 사용자가 설정한 방송채널로 송출함으로서, 상기 그래픽과 상기 특정 방송영상을 통합한 스트리밍 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송영상 출력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자인 템플릿 제공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기존에 사용한 디자인 템플릿과 상기 생성한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에 상기 사용자에 대한 취향정보를 적용하여 추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자인 템플릿 중 미리 설정한 임계값 이상의 확률값을 가지는 디자인 템플릿을 선택하여 상기 사용자의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로 추천함으로써,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자인 템플릿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roadcast image editing method includes a broadcast image output step of transmitting a broadcast image edited through the graphic overlay step to a broadcast channel set by a user, thereby performing a streaming broadcast in which the graphic and the specific broadcast image are integrated. It further includes, wherein the providing of the design template comprises presetting a design template previously used by the user and at least one design template extracted by applying taste information for the user to the generated design template recommendation learning model. At least one design template is provided by selecting a design template having a probability value of at least one threshold value and recommending it to the user's broadcast image editing devic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은, 방송영상에 오버레이하기 위한 자막, 텍스트, 이미지, 도형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그래픽에 대한 디자인 템플릿 및 상기 방송영상에 대한 썸네일을 제공하여, 상기 제공한 썸네일 및 디자인 템플릿을 기반으로 상기 방송영상에 대한 그래픽을 간편하게 오버레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디자인에 대한 전문성이나, 별도의 장비 또는 인력을 갖추고 있지 않고서도 간편하게 상기 그래픽을 상기 방송영상에 오버레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sign template for a graphic including a caption, text, image, figure, or a combination thereof for overlaying a broadcast image and a thumbnail for the broadcast image. By providing the provided thumbnail and the design template, the graphic for the broadcast image can be easily overlaid, so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display the graphic without having expertise in design or having additional equipment or manpower. There is an effect of being able to overlay the broadcast imag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썸네일 및 디자인 템플릿을 기반으로 상기 방송영상에 대한 그래픽을 오버레이하기 위한 편집을 수행한 경우, 해당 편집에 대한 편집정보만을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실질적인 오버레인 작업은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에서 자동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간의 네트워크 트래픽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performs editing for overlaying a graphic on the broadcast image based on the thumbnail and the design template, only the editing information for the edit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the actual overlane operation is By allowing the cloud-based integrated graphic video broadcasting system to automatically perform it, there is an effect of minimizing network traffic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cloud-based integrated graphic video broadcasting system.

또한 본 발명은, 딥러닝을 포함한 기계학습 방법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성향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니즈에 적합한 디자인 템플릿을 제공함으로서, 보다 다양하고 유익한 방송영상을 제작하여 시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sign template suitable for the user's needs by analyzing the user's propensity through a machine learning method including deep learning, so that more diverse and beneficial broadcast images can be produced and provided to viewers. There i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리밍 방송을 위한 방송영상을 편집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게 디자인 템플릿을 추천하기 위한 학습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자인 템플릿을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으로 그래픽과 방송영상을 통합하여 스트리밍 방송을 수행하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에서 수행되는 썸네일 영상을 편집하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loud-based integrated graphic video broadcas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editing a broadcast image for streaming broadcas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roadcast video edi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loud-based integrated graphic video broadcas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earning process for recommending a design template to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recommending at least one design template to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performing streaming broadcasting by integrating graphics and broadcast images based on a clou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editing a thumbnail image performed in the device for editing a broadcast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each drawing indicate the same member. In addition, 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ified on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of the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The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a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is specification. It is desirable not t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loud-based integrated graphic video broadcas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구비한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로부터 사용자의 방송영상을 수신하여 복수의 시청자 단말로 송출함으로서, 스트리밍 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지원한다. As shown in FIG. 1, the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user's broadcast image from a broadcast image editing device 200 provided by the user and By transmitting to the viewer's terminal, it supports a function that enables streaming broadcasting.

즉,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영상을 스트리밍하여 복수의 시청자에게 제공함으로서, 스트리밍 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클라우드 기반으로 구축되며, 클라우드 컴퓨팅을 통해 상기 방송영상을 효율적으로 편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스트리밍 방송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That is, the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100 is to enable streaming broadcasting by streaming a broadcasting image received from a user and providing it to a plurality of viewers, and is built on a cloud basis, and Through this, the broadcast image can be efficiently edited, so that the streaming broadcast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는, 데스크톱 PC, 스마트 폰, 노트북 PC 등과 같은 사용자가 구비한 다양한 스마트 단말에 통합 방송용 응용프로그램과 같은 형태로 설치되며, 상기 통합 방송용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스마트 단말이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을 통해 특정 방송영상을 편집하고, 상기 편집한 특정 방송영상에 대한 스트리밍 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가 된다.The broadcast image editing device 200 is installed in various smart terminals equipped by users such as desktop PCs, smart phones, notebook PCs, etc. in the form of an integrated broadcasting application program, and by executing the integrated broadcasting application program, the smart It becomes a broadcasting image editing device 200 that enables a terminal to edit a specific broadcasting image through the cloud-based integrated graphic image broadcasting system 100 and perform streaming broadcasting on the edited specific broadcasting image.

사용자는 자신이 구비한 다양한 스마트 단말에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로부터 제공되는 통합 방송용 응용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함으로서, 상기 스마트 단말을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로 이용할 수 있다.The user can use the smart terminal as the device 200 for editing broadcast images by downloading and installing an integrated broadcasting application program provided from the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100 on various smart terminals equipped with the user. have.

즉, 사용자는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에 설치된 통합 방송용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을 통해 특정 방송영상을 이용한 스트리밍 방송을 수행할 수 있다.That is, the user can perform streaming broadcasting using a specific broadcast image through the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100 by executing an integrated broadcasting application program installed in the broadcasting image editing device 200.

사용자가 상기 방송을 수행하기 위해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에 설치된 통합 방송용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경우,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의 사용자 클라우드 계정에 자동으로 로그인되어 방송을 위한 준비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When a user runs an integrated broadcasting application program installed in the broadcasting image editing device 200 to perform the broadcasting, the user is automatically logged in to the user cloud account of the cloud-based integrated graphic image broadcasting system 100 to start broadcasting. To be able to carry out the preparation for it.

한편 상기 사용자 클라우드 계정은, 상기 사용자가 자신의 방송영상에 대한 편집 및 방송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에 사용자 ID 및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사용자 계정정보를 제공함으로서, 수행되는 회원가입을 통해 생성된다.Meanwhile, the user cloud account provides user account information including a user ID and password to the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100 in order for the user to edit and broadcast his or her broadcast image. , Is created through membership registration performed.

이때,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상기 생성한 사용자 클라우드 계정별로 상기 제공받은 사용자 계정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한다.In this case, the cloud-based integrated graphic video broadcasting system 100 stores and manages the provided user account information for each of the created user cloud accounts.

또한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사용자 디바이스(200)로부터 방송을 위한 방송영상을 제공받아 상기 생성한 사용자 클라우드 계정별로 저장하여 관리한다.In addition, the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100 receives a broadcast image for broadcasting from the user device 200 and stores and manages the generated user cloud account.

또한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상기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송영상을 선택하여, 상기 선택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송영상을 통해 스트리밍 방송을 수행하고자 할 때, 상기 선택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송영상을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로 스트리밍하여 제공함으로써, 상기 스트리밍 방송되는 방송영상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the user selects at least one broadcast image and wants to perform streaming broadcast through the selected at least one or more broadcast images, the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100 By streaming and providing the broadcast video editing device 200, the streaming broadcasted broadcast video can be monitored.

즉,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송영상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미도시)에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로부터 스트리밍되어 로딩되는 것이다.That is, at least one broadcast image selected by the user is streamed and loaded from the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100 on a display (not shown) of the user device 200.

한편 상기 각각의 방송영상에는, HDR, HD, Full-HD 등과 같은 주요 영상정보가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상기 각각의 방송영상의 메타 데이터(meta data)를 분석하여 상기 주요 영상정보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에 표출할 수 있도록 한다.Meanwhile, main image information such as HDR, HD, Full-HD, etc. may be displayed on each of the broadcast images, and the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100 includes meta data of each of the broadcast images. ) Is analyzed to allow the main imag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on the user device 200.

또한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상기 방송영상에 대한 정보전달의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자막, 이미지, 도형, 텍스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그래픽을 상기 방송영상에 오버레이하기 위한 편집 기능을 지원한다.In addition, the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100 is an editing for overlaying a graphic including a caption, an image, a figure, a text, or a combination thereof on the broadcast image so as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information transmission for the broadcast image. Support function.

또한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상기 자막, 이미지, 도형, 텍스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그래픽을 상기 방송영상에 오버레이하기 위한 디자인 템플릿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상기 그래픽에 대한 전문성이나, 상기 그래픽 처리를 위한 별도의 장비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간편하게 상기 방송영상을 편집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100 provides a design template for overlaying the graphic including the caption, image, figure, text, or a combination thereof on the broadcast image, so that the user It is possible to edit the broadcast image simply without having a specialty for or a separate equipment for processing the graphic.

이때,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상기 방송영상을 매우 작은 사이즈로 축소한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상기 썸네일 영상을 기반으로 상기 디자인 템플릿을 이용하여 상기 방송영상을 편집할 수 있도록 한다.In this case, the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100 generates a thumbnail image reduced to a very small size of the broadcasting image and provides it to the user, and the broadcasting using the design template based on the thumbnail image Make the video editable.

즉,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에서 수행되는 편집은 상기 썸네일 영상을 토대로 수행되며, 이에 대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That is, the editing performed by the broadcast image editing device 200 is performed based on the thumbnail image,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또한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상기 사용자가 기존에 사용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자인 템플릿을 제공하고, 이와 동시에 해당 사용자의 취향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니즈에 맞는 새로운 디자인 템플릿을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추천함으로써, 상기 디자인 템플릿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loud-based integrated graphic video broadcasting system 100 provides at least one design template previously used by the user, analyzes the user's taste at the same time, and creates a new design template that meets the user's needs. By recommending at least one or more, the design template can be provided.

또한 상기 디자인 템플릿은, 디자인 템플릿을 제작하는 제작자에 의해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에 등록될 수 있으며, 유료 또는 무료로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sign template may be registered in the cloud-based integrated graphic video broadcasting system 100 by a maker who produces a design template, and may be provided to the user for a fee or for free.

또한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유료로 제공되는 디자인 템플릿을 선택한 경우,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로 결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상기 디자인 템플릿에 사전에 적용된 비용을 결제함으로서, 해당 디자인 템플릿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the cloud-based integrated graphic video broadcasting system 100 selects a design template provided for a fee, the user device 200 provides a payment interface to pay the cost applied in advance to the design template, Make the template available.

한편 상기 비용을 결제한 디자인 템플릿은,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클라우드 계정에 자동으로 복제 등록되어 관리되며, 이후 사용자가 해당 디자인 템플릿을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Meanwhile, the design template for which the cost is paid is automatically duplicated and registered in the user's user cloud account, and then the user can use the design template repeatedly.

또한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디자인 템플릿을 선택하여, 상기 썸네일 영상을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래픽에 대한 편집을 수행한 경우, 이에 대한 편집정보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한다.In addition, when the user selects the design template and edits at least one graphic based on the thumbnail image, the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100 provides the user with the editing information. It is received from the device 200 in real time.

한편 상기 편집정보는, 상기 디자인 템플릿을 이용하여 상기 썸네일 영상에 오버레이한 그래픽, 해당 그래픽이 상기 썸네일 영상에 오버레이되는 위치, 크기, 색깔(RGB), 투명도(alpha, A), 폰트, 효과시간, 이펙트 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며,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에서 메타 데이터(meta data)형식으로 변환되어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으로 전송된다. On the other hand, the editing information includes a graphic overlaid on the thumbnail image using the design template, a position at which the graphic is overlaid on the thumbnail image, size, color (RGB), transparency (alpha, A), font, effect time, It includes effect information or a combination thereof, and is converted into a metadata format in the broadcast image editing device 200 and transmitted to the cloud-based integrated graphic image broadcasting system 100.

이후,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상기 수신한 편집정보를 토대로 해당 방송영상의 원본에 상기 사용자가 편집을 수행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래픽을 해당 위치에 오버레이함으로서, 상기 그래픽이 오버레이된 방송영상을 생성하게 된다.Thereafter, the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100 overlays at least one graphic edited by the user on the original of the broadcast image based on the received edit information on a corresponding position, so that the graphic is Overlaid broadcast video is generated.

한편 상기 오버레이는, 상기 편집정보에 포함되는 투명도를 통해 방송영상의 원본에 상기 그래픽을 블렌딩(blending)함으로써, 수행된다.Meanwhile, the overlay is performed by blending the graphic to the original of the broadcast image through transparency included in the editing information.

즉, 본 발명에서의 오버레이는, 특정 영상에 특정 그래픽을 단순히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블렌딩을 통해 상기 방송영상에 상기 그래픽을 통합하는 것을 의미한다.That is, the overlay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not simply displaying a specific graphic on a specific image, but integrating the graphic into the broadcast image through the blending.

또한 상기 블렌딩은,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에서 상기 방송영상 및 상기 그래픽을 배경 및 전경으로 각각 설정하고, 상기 투명도에 따라 상기 그래픽이 오버레이되는 위치의 방송영상에 대한 픽셀값과 해당 그래픽에 대한 픽셀값에 대한 비율을 조정하고, 상기 비율을 조정한 픽셀값을 상기 방송영상의 픽셀값으로 적용함으로써, 수행된다.In addition, in the blending, the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100 sets the broadcast image and the graphic as a background and a foreground, respectively, and a pixel value for a broadcast image at a location where the graphic is overlaid according to the transparency. And the ratio of the pixel value for the graphic to be adjusted, and applying the adjusted pixel value as the pixel value of the broadcast image.

예를 들어, 상기 투명도가 50%인 경우, 상기 방송영상에 대한 픽셀값과 상기 그래픽에 대한 픽셀값에 대한 중간값을 각각 계산하여, 상기 계산한 결과를 상기 방송영상에 대한 픽셀값으로 적용함으로서, 상기 블렌딩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For example, when the transparency is 50%, a pixel value for the broadcast image and an intermediate value for the graphic pixel value are respectively calculated, and the calculated result is applied as a pixel value for the broadcast image. , To perform the blending.

또한 방송영상에 대한 편집은 실질적으로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에서 자동 수행되며,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는 단순히 편집정보만을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로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그래픽 편집을 위한 별도의 그래픽 장치나 스위쳐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상기 방송영상에 대한 편집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editing of a broadcast image is substantially automatically performed by the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100, and the broadcast image editing device 200 simply uses only editing information to the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 100). Through this, the user can conveniently edit the broadcast image without having a separate graphic device or switcher for graphic editing.

또한 상기 사용자는,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을 통해 미리 저장된 방송영상에 대해 상기 편집을 수행한 후, 상기 편집이 완료된 방송영상을 이용하여 스트리밍 방송을 수행하거나, 또는 현재 스트리밍 방송을 수행하고 있는 도중 상기 편집을 실시간으로 수행함으로써, 보다 유익한 방송영상을 시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performs the editing on the broadcast image stored in advance through the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100, and then performs streaming broadcasting using the edited broadcast image, or By performing the editing in real time while broadcasting is being performed, more useful broadcasting images can be provided to viewers.

즉, 본 발명의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상기 편집을 통해 실제 방송영상과 그래픽을 통합하여 새로운 방송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방송영상을 대한 스트리밍 방송을 자체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the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new broadcast image by integrating a real broadcast image and a graphic through the editing, and performs streaming broadcast on the generated broadcast image by itself. Make it possible.

한편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 인터넷 방송플랫폼과 연동하여, 상기 방송영상을 상기 각 인터넷 방송플랫폼에 대한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계정(즉, 방송채널)으로 스트리밍하여 송출함으로써, 상기 인터넷 방송플랫폼을 통해 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방송채널은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정된다.Meanwhile, the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100, in conjunction with at least one or more other Internet broadcasting platforms, streams the broadcasting image to the user account (ie, broadcasting channel) of the corresponding user for each Internet broadcasting platform. By transmitting, it can be implemented to perform broadcasting through the Internet broadcasting platform. At this time, the broadcast channel is directly set by the user.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방송영상의 썸네일 영상과 해당 방송영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래픽을 오버레이하기 위한 디자인 템플릿을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로 제공하여,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에서 상기 썸네일을 편집한 편집정보만을 제공받아, 상기 제공받은 편집정보를 토대로 상기 방송영상의 원본에 대한 실질적인 편집을 클라우드 상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자가 별도의 장비나 그래픽에 대한 전문 인력을 구비하지 않고서도 상기 편집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시청자에게 더욱 유익한 방송영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humbnail image of a broadcast image and a design template for overlaying at least one graphic on the broadcast image. ) By providing only the editing information for editing the thumbnail in the broadcasting image editing device 200, and performing actual editing on the original of the broadcasting image on the cloud based on the provided editing information. ,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ore beneficial broadcast image to viewers by allowing the user to conveniently perform the above editing without having to have a separate equipment or professional manpower for graphics.

한편,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는 상기 썸네일 영상을 편집한 경우, 해당 편집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편집을 완료한 썸네일 영상을 상기 클라우드 기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으로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thumbnail image is edited, the broadcast image editing device 200 does not provide corresponding editing information, but provides the edited thumbnail image to the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100. I can.

이때, 사익 클라우드 기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상기 제공받은 썸네일 영상으로부터 상기 편집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편집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영상을 편집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도 있다. In this case, the private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100 may be implemented to extract the edit information from the provided thumbnail image and edit the broadcast image using the extracted edit information.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방송영상을 편집하는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editing the broadcast imag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리밍 방송을 위한 방송영상을 편집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editing a broadcast image for streaming broadcas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리밍 방송을 위한 방송영상을 편집하는 과정은, 우선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에서 특정 방송영상을 이용하여 스트리밍 방송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로부터 방송용 응용프로그램을 설치 및 실행한다(①).As shown in FIG. 2, the process of editing a broadcast image for streaming broadcas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irst, in order to perform streaming broadcasting using a specific broadcast image in the broadcast image editing device 200. Install and execute a broadcasting application program from the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100 (①).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는 사용자가 구비한 다양한 유무선 통신단말을 의미하며, 상기 유무선 통신단말에 상기 통합 방송용 응용프로그램을 설치 및 실행함으로써, 상기 유무선 통신단말이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가 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The broadcast image editing device 200 refers to various wired/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provided by a user, and by installing and executing the integrated broadcasting application program on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s a broadcast image editing device 200 ) Is as described above.

또한 상기 사용자는 상기 통합 방송용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에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클라우드 계정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송영상을 선택하거나,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에 구비되는 카메라(미도시)로부터 촬영되는 방송영상을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로 제공함으로서, 스트리밍 방송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executes the integrated broadcasting application program and selects at least one or more broadcasting images stored in the user's user cloud account in the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100, or the broadcasting image editing device ( By providing a broadcast image captured from a camera (not shown) provided in 200) to the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 system 100, streaming broadcast can be performed.

이때, 상기 사용자가 상기 선택한 방송영상을 편집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해당 방송영상에 대한 썸네일 영상과 해당 방송영상에 자막, 텍스트, 도형, 이미지 등과 같은 그래픽을 오버레이하기 위한 디자인 템플릿을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제공한다.In this case, when the user wants to edit the selected broadcast image, the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 system 100 provides a thumbnail image for the broadcast image and graphics such as captions, texts, figures, and images on the broadcast image. Provides at least one design template for overlaying.

한편 상기 방송영상은 UHD 급의 고화질 영상을 의미하며, 상기 썸네일 영상은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에서 생성되는 것으로, 상기 UHD 급의 방송영상을 미리 설정한 크기로 리사이징되어(즉, 축소)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로 전송된다.Meanwhile, the broadcast image means a high-definition image of UHD level, and the thumbnail image is generated by the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100, and the UHD-class broadcast image is resized to a preset size ( That is, reduced) transmitted to the broadcast video editing device 200.

또한 상기 썸네일 영상은,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송영상별로 각각 생성되어 제공된다.In addition, the thumbnail images are generated and provided for each of at least one or more broadcast images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이때,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로부터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썸네일 영상과 상기 디자인 템플릿을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썸네일 영상 및 디자인 템플릿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In this case, the broadcast image editing device 200 performs a function of displaying at least one thumbnail image and the design template provided from the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100 through a user interface, and the user Allows the thumbnail image and design template to be visually recognized.

또한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상기 사용자가 이전에 사용함으로써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클라우드 계정에 저장된 디자인 템플릿과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통해 해당 사용자가 선호하는 그래픽별(즉, 자막, 텍스트, 이미지, 도형, 그래프 등) 디자인 템플릿을 추출하여, 상기 추출한 디자인 템플릿을 추천함으로서,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자인 템플릿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loud-based integrated graphic video broadcasting system 100 uses a design template and a machine learning algorithm stored in the user's user cloud account as the user previously used. , Images, figures, graphs, etc.) by extracting a design template and recommending the extracted design template, the at least one design template may be provided to the broadcast video editing device 200.

한편 상기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통해 사용자의 니즈에 적합한 디자인 템플릿을 추천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Meanwhile, a process of recommending a design template suitable for a user's needs through the machine learning algorithm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6.

다음으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방송영상에 그래픽을 오버레이하기 위한 토대가 되는 상기 썸네일 영상을 편집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는 해당 썸네일 영상을 편집부(편집창)로 일정 크기로 확대하여 표시한다.Next, when the user wants to edit the thumbnail image, which is the basis for overlaying a graphic on the broadcast image, the broadcast image editing device 200 converts the thumbnail image to a predetermined size with an editing unit (editing window). Display enlarged.

이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자인 템플릿을 이용하여, 상기 썸네일 영상에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래픽을 오버레이함으로서, 해당 방송영상에 대한 썸네일 영상을 편집을 수행하는 경우(③),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는 상기 수행한 편집에 대한 편집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로 제공한다(④).Thereafter, when the user performs editing of the thumbnail image for the broadcast image by overlaying the at least one graphic on the thumbnail image using the provided at least one design template (③), the broadcast image editing The device 200 provides editing information on the edited to the cloud-based integrated graphic video broadcasting system 100 (④).

이때, 상기 디자인 템플릿은, 그래픽별로 디자인 스타일(예: 말풍선) 및 디자인 속성(예: 3D)을 가지며, 상기 사용자는 상기 디자인 템플릿을 이용하여 다양한 그래픽을 상기 썸네일 영상에 편집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esign template has a design style (eg, a speech balloon) and a design property (eg, 3D) for each graphic, and the user can edit various graphics on the thumbnail image by using the design template.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가 특정 텍스트를 특정 디자인 템플릿을 이용하여 오버레이하고자 할 때, 해당 디자인 템플릿의 디자인 스타일이 말풍선이고, 디자인 속성이 3D인 경우, 상기 말풍선에 상기 특정 텍스트를 타이핑하는 경우, 해당 텍스트는 3D 형식으로 표현된다.For example, when the user wants to overlay a specific text using a specific design template, when the design style of the corresponding design template is a speech balloon and the design property is 3D, when typing the specific text in the speech balloon, corresponding Text is represented in 3D format.

한편 상기 디자인 스타일은, 상기 오버레이되는 그래픽의 형상(형태)을 의미하는 것으로, 도형, 말풍선, 입자(particle), 렌즈-플레어(lens-flare), 빛분산(god ray), 레벨 미터(level meter), 텍스트 박스(text box), 그래프(graphic)등에 대한 스타일 포함하며, 상기 디자인 속성은, 상기 그래픽을 오버레이할 때 적용되는 이펙트(효과)를 의미하는 것으로, 그림자(shadow), 2D, 3D, 스크롤(scroll), 와이프(wipe), 애니메이션(animation) 등을 포함한다.Meanwhile, the design style refers to the shape (shape) of the overlaid graphic, and includes figures, speech balloons, particles, lens-flare, god ray, and level meters. ), text box, graph, etc., and the design attribute refers to an effect (effect) applied when overlaying the graphic, and includes shadow, 2D, 3D, Includes scroll, wipe, animation, etc.

상기 디자인 스타일 및 디자인 속성은, 상기 디자인 템플릿 제작자나,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의 관리자에 의해 추가적으로 설정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It is natural that the design style and design attributes may be additionally set by the design template creator or the administrator of the cloud-based graphic video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100.

이때, 상기 편집정보는, 상기 썸네일 영상에 오버레이되는 대상 그래픽(즉, 자막, 텍스트, 이미지, 그래프, 도형 등), 해당 그래픽이 해당 썸네일 영상에 오버레이되는 위치, 크기, 색깔(RGB), 투명도(alpha, A), 폰트, 지속시간, 이펙트 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In this case, the editing information includes a target graphic (i.e., subtitle, text, image, graph, figure, etc.) overlaid on the thumbnail image, a position, size, color (RGB), and transparency ( Includes alpha, A), font, duration, effect information, or combinations thereof.

다음으로,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상기 수신한 편집정보를 토대로 해당 방송영상에 대한 원본영상을 실시간으로 편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⑤).Next, the cloud-based integrated graphic video broadcasting system 100 performs a function of editing the original video for the broadcast video in real time based on the received edit information (⑤).

이때,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원래의 방송영상을 토대로 미리 설정한 크기로 축소한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여 제공하므로, 상기 축소한 비율을 토대로 해당 썸네일 영상에 오버레이되는 그래픽의 위치 및 크기를 쉽게 알 수 있다.At this time, the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100 generates and provides a thumbnail image reduced to a preset size based on the original broadcast image, so that the graphic overlayed on the corresponding thumbnail image based on the reduced ratio You can easily see the location and size.

따라서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상기 편집정보를 반영하여 해당 편집정보에 포함된 그래픽을 실제 방송영상에 실시간으로 오버레이함으로써, 상기 그래픽을 통합한 방송영상을 송출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⑥).Therefore, the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100 provides a function of transmitting a broadcast image incorporating the graphic by overlaying the graphic included in the edit information on an actual broadcast image in real time by reflecting the edit information. Will be performed (⑥).

이를 통해 사용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래픽을 간편하게 상기 방송영상에 통합할 수 있으며, 보다 유익한 방송영상을 시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rough this, a user can easily integrate at least one or more graphics into the broadcast image and provide a more informative broadcast image to the viewer.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roadcast video edi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송영상을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으로 제공하는 방송영상 제공부(220),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로부터 상기 방송영상에 대한 썸네일 영상을 수신하는 썸네일 영상 수신부(230),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자인 템플릿을 수신하는 디자인 템플릿 수신부(240), 상기 썸네일 영상을 편집하는 썸네일 영상 편집부(250), 상기 썸네일 영상을 편집한 편집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으로 제공하는 편집정보 제공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3, the device 200 for editing a broadcast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interface unit 210 and a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 system 100 A broadcast image providing unit 220 provided as a service, a thumbnail image receiving unit 230 receiving a thumbnail image for the broadcast image from the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100, and the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A design template receiving unit 240 for receiving at least one design template from 100, a thumbnail image editing unit 250 for editing the thumbnail image, and editing information for editing the thumbnail image in the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edit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260 provided to (100).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는, 상기 썸네일 영상의 편집, 상기 썸네일 영상의 표시, 디자인 템플릿의 표시 등과 같이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를 조작하여 방송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도록 구현된다. The user interface unit 210 is implemented to provide various functions for performing broadcasting by manipulating the broadcasting image editing device 200, such as editing the thumbnail image, displaying the thumbnail image, and displaying a design template. do.

또한 방송영상 제공부(220)는, 방송영상을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으로 제공하여, 이를 저장하거나 스트리밍 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broadcast image providing unit 220 provides a broadcast image to the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 system 100 to store the broadcast image or perform streaming broadcast.

상기 방송영상은 미리 제작되거나, 카메라(미도시)와 같은 촬영기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촬영되어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으로 제공될 수 있다.The broadcast image may be produced in advance, or may be photographed in real time through a photographing device such as a camera (not shown) and provided to the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100.

즉,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송영상을 사용자 클라우드 계정별로 저장하고 있으면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해당 방송영상에 대한 스트리밍 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사용자로부터 실시간으로 방송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스트리밍 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the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100 stores at least one or more broadcasting images for each user cloud account, and enables streaming broadcasting of the corresponding broadcasting image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or the user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streaming broadcast by receiving a broadcast image from the device in real time.

또한 썸네일 영상 수신부(230)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저장된 방송영상 또는 실시간으로 방송되고 있는 방송영상 자막, 텍스트, 도형, 그래프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래픽을 편집(즉, 오버레이)하고자 할 때,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으로부터 해당 방송영상에 대한 썸네일 영상을 수신한다.In addition, when the user wants to edit (i.e., overlay) at least one graphic such as a caption, text, figure, graph, etc. of the stored broadcast video or broadcast video broadcast in real time, the thumbnail image receiving unit 230 A thumbnail image for a corresponding broadcast image is received from the 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100.

또한 썸네일 영상 수신부(230)는 상기 수신한 썸네일 영상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해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thumbnail image receiving unit 230 performs a function of displaying the received thumbnail image on the display of the broadcast image editing device 200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210.

상기 썸네일 영상은, 상기 방송영상을 미리 설정한 크기에 따라 매우 작은 사이즈로 리사이징되어 상기 썸네일 영상 수신부(230)로 전송된다.The thumbnail image is resized to a very small size according to a preset size of the broadcast image and transmitted to the thumbnail image receiving unit 230.

한편 상기 썸네일 영상은, 상기 방송영상에 상기 그래픽을 오버레이하기 위한 토대가 된다.Meanwhile, the thumbnail image becomes a basis for overlaying the graphic on the broadcast image.

또한 디자인 템플릿 수신부(240)는,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로부터 상기 편집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자인 템플릿을 수신하여,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design template receiving unit 240 receives at least one design template for editing from the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100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of the broadcasting image editing device 200 Perform.

상기 디자인 템플릿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그래픽별(즉, 자막, 텍스트, 도형, 그래프 등)로 제공될 수 있다.The design template may be provided for each graphic (ie, caption, text, figure, graph, etc.)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이때, 상기 디자인 템플릿 수신부(24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그래픽에 따른 디자인 템플릿만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esign template receiving unit 240 may display only a design template according to the graphic on the display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자막에 대한 디자인 템플릿만을 표시하도록 설정한 경우에는, 상기 디자인 템플릿 수신부(240)는 상기 자막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자인 템플릿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 user sets to display only the design template for the subtitle, the design template receiving unit 240 displays at least one design template for the subtitle on the display.

또한 상기 사용자가 자막에 대한 디자인 템플릿만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로부터 제공받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자막에 대한 디자인 템플릿만을 수신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desires to receive only the design template for the caption from the cloud-based integrated graphic video broadcasting system 100, it may be set to receive only the design template for the caption.

상기 썸네일 영상 편집부(250)는, 상기 수신한 썸네일 영상을 토대로 상기 디자인 템플릿을 이용하여 상기 그래픽을 상기 썸네일 영상에 오버레이하기 위한 편집기능을 제공한다. The thumbnail image editing unit 250 provides an editing function for overlaying the graphic onto the thumbnail image using the design template based on the received thumbnail image.

즉, 상기 썸네일 영상 편집부(250)는, 방송영상의 원본이 아니라 상기 썸네일 영상에 상기 그래픽을 오버레이할 수 있도록 하는 편집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That is, the thumbnail image editing unit 250 provides an editing function that allows the graphic to be overlaid on the thumbnail image rather than the original broadcast image.

이때, 상기 썸네일 영상 편집부(250)는, 사용자가 편집하고자 하는 썸네일 영상을 선택하는 경우, 해당 썸네일 영상을 편집하기 위한 편집창을 생성하여 상기 썸네일 영상을 미리 설정한 크기로 확대하여 표시한다.In this case, when the user selects a thumbnail image to be edited, the thumbnail image editing unit 250 generates an editing window for editing the thumbnail image, and enlarges the thumbnail image to a preset size and displays it.

이후, 상기 편집부(250)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한 디자인 템플릿을 선택하여 상기 편집창으로 로드하는 경우,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에서 실시간으로 디코딩된 해당 디자인 템플릿을 수신하여, 상기 수신한 디자인 템플릿을 상기 편집창에 표시한다.Thereafter, when the user selects the displayed design template and loads it into the editing window, the editing unit 250 receives the corresponding design template decoded in real time by the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100 Thus, the received design template is displayed in the editing window.

또한 사용자는 상기 편집창에 표시된 디자인 템플릿을 이용하여 상기 확대되어 표시한 썸네일 영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래픽을 임의의 위치에 오버레이하기 위한 편집을 수행하게 된다.In addition, the user performs editing for overlaying at least one graphic on the enlarged and displayed thumbnail image at an arbitrary position using the design template displayed on the editing window.

또한 상기 편집정보 제공부(260)는, 사용자가 상기 썸네일 영상을 편집한 경우, 이에 대한 편집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편집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로 전송함으로서,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에서 상기 편집정보를 토대로 실제 방송영상에 상기 그래픽을 오버레이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the user edits the thumbnail image, the edit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260 generates editing information for the thumbnail image and transmits the generated editing information to the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100. , In the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100, the graphic may be overlaid on an actual broadcast image based on the edit information.

즉, 사용자는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를 통해 상기 방송영상에 대한 썸네일 영상을 편집하며, 실질적으로 실제 방송영상에 대한 편집은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에서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user edits the thumbnail image of the broadcast image through the broadcast image editing device 200, and the editing of the actual broadcast image is performed by the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100. will be.

이를 통해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와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 간의 네트워크 트래픽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는 별도의 편집 장비나, 디자인 템플릿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없어도 상기 편집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Through this, network traffic between the broadcasting image editing device 200 and the cloud-based integrated graphic image broadcasting system 100 can be minimized, and the user does not need additional editing equipment or specialized knowledge about design templates. The above editing can be performed easily.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loud-based integrated graphic video broadcas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로부터 각 사용자별 방송영상을 수신하는 방송영상 수신부(110), 사용자가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송영상을 편집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방송영상에 대한 썸네일 영상을 해당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로 제공하는 썸네일 영상 제공부,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편집을 위한 디자인 템플릿을 추천하기 위한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을 각 그래픽별로 생성하는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 생성부(130), 상기 편집을 위한 디자인 템플릿을 제공하는 디자인 템플릿 제공부(140),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로부터 편집정보를 수신하는 편집정보 수신부(150), 상기 수신한 편집정보를 토대로 실제 방송영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래픽을 실시간으로 오버레이하는 그래픽 오버레이부(160), 상기 오버레이한 방송영상을 송출하는 방송영상 송출부(170) 및 사용자별 클라우드 계정을 관리하는 사용자 클라우드 계정 관리부(18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4, the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roadcast for receiving broadcast images for each user from at least one or more broadcast image editing devices 200. The image receiving unit 110, when the user wants to edit at least one broadcast image through the broadcast image editing device 200, provides a thumbnail image of the broadcast image to the broadcast image editing device 200 A thumbnail image providing unit, a design template recommendation learning model generation unit 130 that generates a design template recommendation learning model for each graphic to recommend the design template for editing to the user, and provides a design template for the editing A design template providing unit 140 to perform, an editing information receiving unit 150 receiving editing information from the broadcast image editing device 200, overlaying at least one graphic on an actual broadcast image in real time based on the received edit information And a graphic overlay unit 160 for transmitting the overlayed broadcast image, a broadcast image transmitting unit 170 for transmitting the overlaid broadcast image, and a user cloud account management unit 180 for managing cloud accounts for each user.

방송영상 수신부(110)는,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미리 제작된 방송영상을 수신하여, 사용자의 클라우드 계정별로 저장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각 사용자로부터 방송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상기 방송영상 송출부(170)를 통해 스트리밍 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The broadcast image receiving unit 110 may receive pre-produced broadcast images from a plurality of users and store them for each user's cloud account, or receive broadcast images from each of the users in real time, and the broadcast image transmission unit 170 ) To perform streaming broadcasting.

또한 사용자가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를 통해 상기 저장된 특정 방송영상 또는 현재 스트리밍 방송을 수행하고 있는 특정 방송영상을 선택하여 해당 방송영상에 대한 편집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썸네일 영상 제공부(120)는 상기 선택한 특정 방송영상에 대한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썸네일 영상을 상기 해당 사용자의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when the user selects the stored specific broadcasting image or the specific broadcasting image currently performing streaming broadcasting through the broadcasting image editing device 200 and wants to edit the corresponding broadcasting image, the thumbnail image providing unit ( 120) generates a thumbnail image for the selected specific broadcast image, and provides the generated thumbnail image to the broadcast image editing device 200 of the corresponding user.

상기 썸네일 영상은 상기 고화질의 방송영상을 미리 설정한 크기로 축소한 것으로,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를 통해 상기 방송영상을 편집하기 위한 기반이 된다.The thumbnail image is a reduction of the high-definition broadcast image to a preset size, and serves as a basis for editing the broadcast image through the broadcast image editing device 200.

또한 상기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 생성부(130)는, 미리 저장된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그래픽별 취향정보와 상기 각 사용자가 사용한 디자인 템플릿 간의 매핑 관계를 학습하여, 사용자의 니즈에 적합한 디자인 템플릿을 추천하기 위한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을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한다.In addition, the design template recommendation learning model generation unit 130 learns the mapping relationship between graphic preference information for a plurality of users stored in advance and the design template used by each user, and recommends a design template suitable for the user's needs. A learning model for recommending a design template is generated and stored in the database 400.

한편, 상기 그래픽별 취향정보는,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을 통해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수집되는 것으로, 방송영상 타입, 상기 각 사용자가 선호하는 그래픽별 디자인 스타일 및 디자인 이펙트 효과를 포함하며,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상기 수집한 그래픽별 취향정보와 상기 각 사용자가 사용한 디자인 템플릿을 매핑함으로서, 상기 취향정보와 상기 디자인 템플릿을 매핑한 매핑테이블을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한다.On the other hand, the taste information for each graphic is collected from a plurality of users through the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100, and the broadcast image type, the graphic design style and design effect effect that each user prefers are determined. The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100 maps the collected taste information for each graphic and the design template used by each user, thereby generating a mapping table in which the taste information and the design template are mapped. It is stored in the database 400.

이때, 상기 그래픽별 취향정보에 상기 각 사용자가 사용한 디자인 템플릿을 매핑하는 것은,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클라우드 계정에 저장된 디자인 템플릿을 참조함으로써, 수행된다. At this time, mapping of the design template used by each user to the preference information for each graphic is performed by referring to the design template stored in the user's user cloud account.

즉, 상기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 생성부(150)는, 상기 저장한 매핑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그래픽별 취향정보와 상기 각 사용자가 사용한 디자인 템플릿 간의 매핑관계를 학습함으로써, 상기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을 상기 각 그래픽별(즉, 자막, 텍스트, 도형, 그래프)로 생성한다.That is, the design template recommendation learning model generation unit 150 refers to the stored mapping table and learns a mapping relationship between graphic preference information for the plurality of users and design templates used by each user, The learning model for recommending the design template is generated for each graphic (ie, subtitle, text, figure, graph).

또한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상기 학습을 위해 디자인 스타일 및 이펙트 효과에 따라 상기 복수의 디자인 템플릿을 분류하여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생성한 그래픽별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은, 상기 매핑관계를 학습하여, 상기 분류한 복수의 디자인 템플릿을 토대로 가장 많은 사용자에게 선택된 디자인 템플릿이나, 상기 시청수(즉, view 수)가 높은 방송영상에서 사용된 디자인 템플릿을 추천하도록 학습된다.In addition, the cloud-based graphic video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100 classifies and stores the plurality of design templates according to design style and effect effect for the learning, and the generated learning model for recommending design templates for each graphic, By learning the mapping relationship, it is learned to recommend a design template selected to the most users based on the classified plurality of design templates or a design template used in a broadcast image having a high number of viewers (ie, the number of views).

또한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은, 디자인 템플릿 추천 학습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특정 사용자의 니즈에 적합한 디자인 템플릿을 그래픽별로 추천할 수 있도록 학습된다.In addition, the learning model for design template recommendation is learned to recommend a design template suitable for the specific user's needs for each graphic through a design template recommendation learning network.

한편 상기 디자인 템플릿 추천 학습네트워크의 구조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Meanwhile, the structure of the design template recommendation learning network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또한 디자인 템플릿 제공부(140)는, 사용자가 이전에 사용한 디자인 템플릿과 상기 생성한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을 이용하여 그래픽별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자인 템플릿을 추천함으로써,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자인 템플릿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design template providing unit 140 recommends at least one design template for each graphic using a design template previously used by the user and the generated design template recommendation learning model, thereby providing at least one design template to the user. Performs the functions provided.

상기 디자인 템플릿 제공부(140)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자인 템플릿을 특정 사용자에게 추천하고자 할 때, 상기 그래픽별로 생성한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을 데이터베이스(400)로부터 로딩하고, 특정 사용자로부터 입력되거나, 미리 저장된 상기 특정 사용자의 그래픽별 취향정보를 상기 로딩한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에 각각 적용하여, 상기 각각의 그래픽에 대한 디자인 템플릿을 출력한다.The design template providing unit 140, when recommending the at least one design template to a specific user, loads the learning model for design template recommendation generated for each graphic from the database 400, and is input from a specific user , The preference information for each graphic of the specific user stored in advance is applied to the loaded learning model for recommending a design template, and a design template for each graphic is output.

이후, 상기 디자인 템플릿 제공부(140)는, 상기 출력한 디자인 템플릿 중에서 미리 설정한 임계값 이상의 확률값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자인 템플릿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디자인 템플릿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상기 추천을 수행하게 된다. Thereafter, the design template providing unit 140 performs the recommendation by selecting at least one design template having a probability value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from among the output design templates, and providing the selected design template to the user. Is done.

한편, 상기 사용자가 자막에 대한 디자인 템플릿을 추천받고자 하는 경우, 상기 디자인 템플릿 제공부(140)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방송영상 타입, 상기 자막에 대해 선호하는 디자인 스타일과 이펙트 효과를 포함하는 사용자 취향정보를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상기 입력받은 취향정보를 상기 생성한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즉, 자막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에 적용함으로서, 해당 사용자에게 자막에 대한 디자인 템플릿만을 추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desires to receive a design template for a subtitle, the design template providing unit 140 provides user preference information including a broadcast image type, a preferred design style and effect effect for the subtitle from the user. It is possible to recommend only a design template for subtitles to a corresponding user by applying the taste information inputted from the user and applied to the generated design template recommendation learning model (ie, a subtitle design template recommendation learning model).

한편 상기 디자인 템플릿을 추천하는 것은, 상기 사용자가 특정 방송영상을 편집하고자 할 때 수행되는 것으로, 상기 그래픽별로 자동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특정 그래픽에 대한 디자인 템플릿을 추천받고자 하는 경우, 상기 디자인 템플릿 제공부(140)는, 해당 그래픽에 대한 디자인 템플릿만을 상기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recommending the design template is performed when the user wants to edit a specific broadcast video, and is preferably provided automatically for each graphic, but when the user wants to recommend a design template for a specific graphic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 The design template providing unit 140 may recommend only a design template for a corresponding graphic to the user.

이에 따라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사용자로 하여금 별도의 그래픽을 따로 제작하거나, 생성하지 않고 상기 추천한 디자인 템플릿을 이용하여 다양한 그래픽을 상기 방송영상에 오버레이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ly, the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100 allows a user to separately produce or not create a separate graphic and overlay various graphics on the broadcast image using the recommended design template. .

또한 상기 편집정보 수신부(150)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를 통해 상기 썸네일 영상과 상기 제공한 디자인 템플릿을 이용하여, 상기 선택한 방송영상에 특정 그래픽을 오버레이하기 위한 편집을 수행한 경우,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로부터 해당 편집에 대한 편집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상기 그래픽 오버레이부(160)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editing information receiving unit 150 performs editing for overlaying a specific graphic on the selected broadcasting image by the user using the thumbnail image and the provided design template through the broadcasting image editing device 200. In the case of execution, a function of receiving editing information for a corresponding edit from the broadcast image editing device 200 in real time and providing it to the graphic overlay unit 160 is performed.

즉, 상기 사용자가 상기 선택한 방송영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래픽을 오버레이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는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를 통해 해당 방송영상에 대한 썸네일 영상을 기반으로 상기 편집을 수행하게 되며, 실제 방송영상에 그래픽을 오버레이하는 실질적인 편집은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에서 수행하게 된다.That is, in order to overlay at least one graphic on the broadcast image selected by the user, the user performs the editing based on the thumbnail image for the broadcast image through the broadcast image editing device 200. Substantial editing in which the graphic is overlaid on the broadcast image is performed by the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100.

이에 따라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고성능 그래픽 장치 등과 같은 별도의 장비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상기 방송영상에 상기 그래픽을 오버레이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지원하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cloud-based integrated graphic image broadcasting system 100 supports a function of allowing a user to overlay the graphic on the broadcast image without having additional equipment such as a high-performance graphic device.

또한 그래픽 오버레이부(160)는, 상기 수신한 편집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오버레이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래픽을 실제 방송영상에 오버레이함으로서, 상기 방송영상에 상기 그래픽을 통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graphic overlay unit 160 performs a function of integrating the graphic into the broadcast image by overlaying at least one graphic to be overlaid by the user on an actual broadcast image using the received edit information.

상기 편집정보는, 해당 방송영상에 대한 썸네일 영상에 오버레이되는 대상 그래픽, 해당 그래픽이 상기 썸네일 영상에 오버레이되는 위치, 크기, 색깔, 투명도, 폰트, 지속시간, 이펙트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그래픽 오버레이부(160)는 상기 편집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대상 그래픽을 실제 방송영상에 오버레이한다.The editing information includes a target graphic overlaid on a thumbnail image for a corresponding broadcast image, a position, size, color, transparency, font, duration, and effect information at which the graphic is overlaid on the thumbnail image, and the graphic overlay The unit 160 overlays the target graphic on an actual broadcast image by reflecting the editing information.

이때, 상기 썸네일 영상은 상기 실제 방송영상을 미리 설정한 크기로 축소한 것이기 때문에, 상기 그래픽 오버레이부(160)는, 상기 축소한 비율을 토대로 상기 썸네일 영상에 오버레이되는 그래픽의 위치 및 크기에 따라 상기 실제 방송영상에 상기 그래픽을 어디에 위치시키고 어떠한 크기로 오버레이할지 쉽게 알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thumbnail image is a reduction of the actual broadcast image to a preset size, the graphic overlay unit 160, based on the reduced ratio, the graphic overlay unit 160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graphic overlaid on the thumbnail image. It is easy to know where to place the graphic on the actual broadcast image and what size to overlay.

또한 방송영상 송출부(170)는, 상기 그래픽을 오버레이한 방송영상을 사용자가 설정한 방송채널로 라우팅하여 송출함으로써, 상기 그래픽과 방송영상을 통합한 스트리밍 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거나, 자체적으로 상기 스트리밍 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broadcast image transmission unit 170 routes and transmits the broadcast image overlaid on the graphic to a broadcast channel set by the user, so that the streaming broadcast in which the graphic and the broadcast image are integrated can be performed, or Enables streaming broadcasting.

한편 상기 방송채널은 인터넷 방송플랫폼에 대한 사용자 계정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당 사용자 계정으로 상기 방송영상을 라우팅함으로서, 해당 사용자 계정에 접속한 시청자들이 상기 방송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Meanwhile, the broadcast channel refers to a user account for an Internet broadcasting platform, and by routing the broadcast video to a corresponding user account, viewers who access the corresponding user account can view the broadcast video.

또한 상기 방송영상 송출부(170)는 해당 사용자의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로 상기 송출되는 방송영상을 실시간으로 스트리밍하여 제공함으로서, 해당 방송영상을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broadcast image transmission unit 170 streams and provides the transmitted broadcast image to the user's broadcast image editing device 200 in real time, so that the user can monitor the broadcast image in real time.

이때, 상기 방송채널로 송출되는 방송영상이 두 개 이상인 경우,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상기 각 방송영상에 대한 멀티뷰를 각각 생성하여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송출되는 두 개 이상의 영상을 동시에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re are two or more broadcast images transmitted through the broadcast channel, the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 system 100 generates a multiview for each broadcast image, and the broadcast image editing device 200 By providing as, it can be implemented to monitor the two or more transmitted images at the same time.

또한 상기 사용자 클라우드 계장 관리부(180)는,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을 이용하기 위해 사용자가 가입한 클라우드 계정을 사용자별로 관리한다.In addition, the user cloud instrumentation management unit 180 manages a cloud account subscribed by a user to each user in order to use the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100.

이때, 상기 사용자별 클라우드 계정에는, 각 사용자별 방송영상과 각 사용자가 사용한 디자인 템플릿이 저장된다.In this case, in the cloud account for each user, a broadcast image for each user and a design template used by each user are stor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게 디자인 템플릿을 추천하기 위한 학습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earning process for recommending a design template to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 생성부(130)는,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수집된 방송영상 타입, 그래픽 별로 선호하는 디자인 스타일과 이펙트 효과 및 상기 각 사용자에 의해 사용된 디자인 템플릿 간의 매핑관계를 디자인 템플릿 추천 학습네트워크를 통해 학습하여, 자막, 텍스트, 도형, 그래프 등을 포함하는 그래픽에 대한 디자인 템플릿을 추천하기 위한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을 상기 각 그래픽별로 생성한다.As shown in FIG. 5, the learning model generation unit 130 for recommending a design tem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roadcast image type collected from a plurality of users, a preferred design style and effect effect for each graphic, and the Recalling a learning model for recommending design templates to recommend design templates for graphics including subtitles, texts, figures, graphs, etc. by learning the mapping relationship between design templates used by each user through a design template recommendation learning network It is created for each graphic.

한편, 상기 매핑관계를 학습하기 위한 디자인 템플릿 추천 학습네트워크는 상기 방송영상 타입, 상기 그래픽 유형별로 선호하는 디자인 스타일 및 이펙트 효과가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 노드를 포함하는 입력 레이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히든 노드를 포함하는 히든 레이어 및 디자인 템플릿을 출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력 노드를 포함하는 출력 레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design template recommendation learning network for learning the mapping relationship includes an input layer including at least one input node into which the broadcast image type, a preferred design style and effect effect for each graphic type are input, and at least one hidden node.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output layer including at least one or more output nodes for outputting a hidden layer including and a design template.

즉, 상기 입력 레이어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취향정보를 각각 입력 받으며, 상기 히든 레이어는 특정 가중치를 가지는 링크를 통해 상기 입력 레이어 및 출력 레이어와 각각 연결된다.That is, the input layer receives taste information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users, and the hidden layer is connected to the input layer and the output layer through a link having a specific weight.

한편 상기 디자인 템플릿 추천 학습네트워크는, 상기 링크의 가중치를 조정해가면서, 주어진 입력에 대해 가장 많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디자인 템플릿이나, 시청수가 높은 방송영상에서 사용된 디자인 템플릿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학습된다.Meanwhile, the design template recommendation learning network is trained to output a design template selected by the most users for a given input or a design template used in a broadcast video with a high number of viewers while adjusting the weight of the link.

또한 상기 수집되는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취향정보는 주기적으로 수집될 수 있으며, 상기 취향정보를 누적하여 업데이트함으로서, 상기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의 성능을 고도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aste information on the collected plurality of users may be periodically collected, and by accumulating and updating the taste information, the performance of the learning model for recommending the design template may be enhanced.

또한 상기 출력 레이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자인 템플릿을 출력하며, 상기 출력되는 디자인 템플릿은 0 ~ 1 사이의 확률값을 가지며, 이 때, 상기 각각의 디자인 템플릿에 대한 확률값을 모두 더하면 1이 된다.In addition, the output layer outputs at least one design template, and the output design template has a probability value between 0 and 1, and in this case, when the probability values for each of the design templates are added together, it becomes 1.

즉, 상기 디자인 템플릿 추천 학습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각 그래픽별로 생성되는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에 대한 입력은 특정 사용자에 대한 그래픽별 취향정보가 되며, 출력은 상기 확률값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자인 템플릿이 된다.That is, the input to the learning model for design template recommendation generated for each graphic through the design template recommendation learning network becomes preference information for each graphic for a specific user, and the output becomes at least one design template having the probability value. .

이후, 상기 디자인 템플릿 제공부(140)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사전에 제공된 해당 사용자의 취향정보를 상기 생성한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에 적용하여 해당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로부터 추출되는 복수의 디자인 템플릿 중 미리 설정한 임계값 이상의 확률값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자인 템플릿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디자인 템플릿을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로 제공함으로서, 사용자의 니즈에 적합한 새로운 디자인 템플릿을 추천할 수 있다.Thereafter, the design template providing unit 140 applies the user's taste information provided in advance from the user to the generated design template recommendation learning model, and a plurality of design templates extracted from the corresponding design template recommendation learning model By selecting at least one design template having a probability value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and providing the selected design template to the broadcast video editing device 200, a new design template suitable for the user's needs can be recommended. .

이때, 상기 사용자는 상기 제공받은 디자인 템플릿을 이용하여 다양한 그래픽을 썸네일 영상을 기반으로 해당 방송영상에 대한 편집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In this case, the user can conveniently edit various graphics on a corresponding broadcast image based on a thumbnail image using the provided design template.

한편 상기 디자인 템플릿 추천 학습네트워크는, ANN(artificial neural network),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등과 같은 다양한 기계학습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the design template recommendation learning network may be implemented using various machine learning networks such as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and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자인 템플릿을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recommending at least one design template to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자인 템플릿을 사용자에게 추천하기 위해 상기 클라우드 기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우선적으로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수집된 그래픽 취향정보와 상기 각 사용자에 의해 사용된 디자인 템플릿 간의 매핑관계를 학습(S110)하여, 상기 학습을 통해 디자인 템플릿을 추천하기 위한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을 생성한다(S120).As shown in FIG. 6, in order to recommend at least one design tem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user, the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100 preferentially includes a graphic taste collected from a plurality of users. A mapping relationship between the information and the design template used by each user is learned (S110), and a learning model for recommending a design template for recommending a design template through the learning is generated (S120).

상기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은, 상기 각 그래픽별로 생성된다. 즉, 상기 클라우드 기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그래픽별 취향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집하고, 상기 각 사용자에 의해 사용된 디자인 템플릿과 상기 수집한 그래픽별 취향정보를 각각 매핑하여 매핑테이블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매핑테이블을 저장한다.The learning model for recommending the design template is generated for each graphic. That is, the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100 periodically collects taste information for each graphic from a plurality of users, and maps the design template used by each user and the collected taste information for each graphic. A table is created and the created mapping table is stored.

이후, 상기 클라우드 기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상기 저장한 매핑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취향정보와 각 사용자가 사용한 디자인 템플릿 간의 매핑관계를 학습함으로서, 디자인 템플릿을 추천하기 위한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을 상기 각 그래픽별로 생성하게 된다.Thereafter, the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100 recommends a design template by learning a mapping relationship between taste information for the plurality of users and a design template used by each user by referring to the stored mapping table. A learning model for recommending a design template for each graphic is generated.

한편, 상기 취향정보는 방송영상 타입, 그래픽별 디자인 스타일 및 이펙트 효과를 포함함은 상술한 바와 같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taste information includes broadcast image types, graphic design styles, and effect effects.

다음으로 상기 클라우드 기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특정 사용자가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를 이용하여 특정 방송영상을 편집하고자 하는 경우(S130), 상기 생성한 그래픽별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을 각각 로딩한다(S140).Next, the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100, when a specific user wants to edit a specific broadcast image using the broadcast image editing device 200 (S130), for recommending the created graphic-specific design template Each learning model is loaded (S140).

이후 상기 클라우드 기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기 저장된 특정 사용자의 그래픽별 취향정보 또는 해당 사용자로부터 그래픽별 취향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로딩한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에 각각 적용(S150)하여, 각 그래픽별 디자인 템플릿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Thereafter, the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100 receives pre-stored preference information for each graphic of a specific user or preference information for each graphic from the user, and applies each of the loaded design template recommendation learning models (S150). Thus, design templates for each graphic can be output.

즉, 상기 클라우드 기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상기 생성한 자막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 도형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 그래프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 텍스트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 자막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 등을 각각 데이터베이스(400)로부터 로딩하고, 상기 사용자의 각 그래픽별 취향정보에 대한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에 각각 입력함으로서, 상기 각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자인 템플릿을 각각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the cloud-based graphic video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100 includes the generated subtitle design template recommendation learning model, graphic design template recommendation learning model, graph design template recommendation learning model, text design template recommendation learning model, By loading the subtitle design template recommendation learning model, etc., from the database 400, respectively, and inputting each of the user's preference information for each graphic into a learning model for recommending a design template, at least one from the learning model for recommending each design template. Each of the above design templates can be output.

다음으로 상기 클라우드 기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상기 각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로부터 출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자인 템플릿 중 미리 설정한 임계값 이상의 확률값을 가지는 디자인 템플릿을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선택(S160)하여, 상기 선택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자인 템플릿을 해당 사용자의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로 추천한다(S170).Next, the cloud-based graphic video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100 selects at least one design template having a probability value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among at least one design template output from the learning model for each design template recommendation ( In S160), the selected at least one design template is recommended as the broadcast image editing device 200 of the corresponding user (S170).

한편 상기 추천은, 상기 사용자가 특정 방송영상에 대해 편집을 수행하는 경우 자동으로 수행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래픽에 대한 디자인 템플릿을 각각 추천할 수 있다.Meanwhile, the recommendation is automatically performed when the user edits a specific broadcast image, and design templates for at least one graphic may be respectively recommend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즉, 상기 사용자는 특정 그래픽에 대한 디자인 템플릿을 추천받고자 할 때,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를 통해 상기 특정 그래픽에 대한 디자인 템플릿만을 추천받을 수 있도록 설정(선택)하여, 해당 그래픽에 대한 디자인 템플릿을 상기 클라우드 기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으로부터 추천받을 수 있다.That is, when the user wants to recommend a design template for a specific graphic, the broadcast video editing device 200 sets (selects) only the design template for the specific graphic to be recommended, and A design template may be recommended from the cloud-based integrated graphic video broadcasting system 100.

물론, 상기 추천 기능을 오프하여 자신이 과거에 사용한 디자인 템플릿만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Of course, it is natural that the recommendation function can be turned off so that only design templates used in the past can be provided.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으로 그래픽과 방송영상을 통합하여 스트리밍 방송을 수행하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performing streaming broadcasting by integrating graphics and broadcast images based on a clou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으로 그래픽과 방송영상을 통합하여 스트리밍 방송을 수행하는 절차는 우선, 사용자가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를 통해 편집을 위한 방송영상을 선택한다(S210).As shown in FIG. 7, the procedure for performing streaming broadcasting by integrating graphics and broadcast images based on a clou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rst, for editing by a user through the broadcast image editing device 200. The broadcast video is selected (S210).

이때, 상기 선택되는 방송영상은,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에 미리 저장된 방송영상이거나, 현재 방송채널로 송출되고 있는 방송영상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lected broadcast image may be a broadcast image previously stored in the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 system 100 or may be a broadcast image currently being transmitted through a broadcast channel.

다음으로,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상기 선택한 방송영상에 대한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여 해당 사용자의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로 제공하며(S220), 이와 동시에 상기 그래픽에 대한 디자인 템플릿을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로 제공한다(S230).Next, the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100 generates a thumbnail image for the selected broadcast image and provides it to the user's broadcast image editing device 200 (S220), and at the same time, the graphic image A design template for is provided to the broadcast video editing device (S230).

상기 썸네일 영상은 해당 방송영상에 대해 미리 설정한 크기로 축소한 것이며, 상기 제공되는 디자인 템플릿은 사용자가 기존에 사용한 디자인 템플릿과 디자인 추천용 학습모델을 통해 추천되는 디자인 템플릿을 포함한다.The thumbnail image is reduced to a size previously set for the broadcast image, and the provided design template includes a design template previously used by the user and a design template recommended through a design recommendation learning model.

이후, 상기 사용자가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를 통해 상기 제공한 디자인 템플릿을 이용하여 상기 썸네일 영상에 상기 그래픽을 오버레이한 편집정보를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한 경우(S240),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상기 수신한 편집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실제 방송영상에 상기 그래픽을 오버레이함으로서, 상기 방송영상을 실시간으로 편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S250).Thereafter, when the user receives the editing information in which the graphic is overlaid on the thumbnail image using the provided design template through the broadcast image editing device 200 from the broadcast image editing device 200 (S240) ), the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100 performs a function of editing the broadcast image in real time by overlaying the graphic on the actual broadcast image selected by the user based on the received edit information (S250 ).

즉, 방송영상에 대한 편집은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에서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막강한 컴퓨팅 파워를 가지는 클라우드 상에서 실질적으로 수행되는 것이다.That is, the editing of the broadcast image is not performed by the broadcast image editing device 200, but is actually performed on a cloud having a great computing power.

다음으로,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상기 그래픽을 오버레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채널로 송출함으로서, 해당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에서 자체적으로 스트리밍 방송을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방송채널에 해당하는 인터넷 방송플랫폼을 통해 상기 스트리밍 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S260).Next, the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100 overlays the graphic and transmits it to a broadcasting channel selected by the user, so that the cloud-based integrated graphic image broadcasting system 100 performs streaming broadcasting by itself. Alternatively, the streaming broadcasting can be performed through an Internet broadcasting platform corresponding to the broadcasting channel (S260).

또한 스트리밍 방송을 수행하고 있는 방송채널에 있어서, 현재 송출되고 있는 방송영상을 해당 방송영상과 관련된 방송영상 또는 새로운 방송영상을 포함하는 다른 방송영상으로 스위칭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는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를 조작하여 상기 다른 방송영상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다른 방송영상에 대한 스위칭 명령을 수행하면,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현재 스트리밍되고 있는 방송영상을 상기 다른 방송영상으로 스위칭한다.In addition, in a broadcasting channel performing streaming broadcasting, when switching the broadcasting image currently being transmitted to a broadcasting image related to the broadcasting image or another broadcasting image including a new broadcasting image, the user When the other broadcasting image is selected by operating 200 and a switching command for the selected other broadcasting image is executed, the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100 transmits the currently streamed broadcasting image to the other broadcasting image. Switch to

이때, 상기 클라우드 기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상기 스위칭될 때, 미리 설정한 전환효과(transition effect)를 적용할 수 있다. 즉, 상기 클라우드 기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상기 스위칭할 다른 방송영상을 실시간으로 텍스쳐로 변환하고 2D 또는 3D 이펙트를 적용함으로써, 현재 스트리밍되고 있는 방송영상을 상기 다른 방송영상으로 자연스럽게 스위칭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cloud-based integrated graphic video broadcasting system 100 may apply a preset transition effect when the switching is performed. That is, the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100 converts the other broadcasting image to be switched into a texture in real time and applies a 2D or 3D effect to naturally switch the currently streamed broadcasting image to the other broadcasting image. Make it possible.

이하에서는,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에서 수행되는 썸네일 영상을 편집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editing a thumbnail image performed by the broadcast image editing device 200 will be described.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에서 수행되는 썸네일 영상을 편집하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editing a thumbnail image performed in the device for editing a broadcast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에서 수행되는 썸네일 영상을 편집하는 절차는 우선, 사용자가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기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상에 있는 특정 방송영상을 편집하기 위해 선택한 경우,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는, 상기 클라우드 기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으로부터 해당 방송영상에 대한 썸네일 영상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자인 템플릿을 제공받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As shown in FIG. 8, the procedure for editing a thumbnail image performed in the device for editing a broadcast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rst, a cloud-based graphic image by a user using the device 200 for editing a broadcast image. When selecting to edit a specific broadcast image on th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100, the broadcast image editing device 200 includes a thumbnail image for the broadcast image from the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100 and At least one design template is provide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broadcast image editing device 200 through a user interface.

이후, 상기 사용자가 편집을 위해 상기 썸네일 영상을 선택(터치 혹은 클릭)하는 경우,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는 편집창을 생성하여 상기 생성한 편집창에 상기 선택한 썸네일 영상을 로딩한다(S310).Thereafter, when the user selects (touches or clicks) the thumbnail image for editing, the broadcast image editing device 200 creates an editing window and loads the selected thumbnail image into the created editing window ( S310).

상기 썸네일 영상은 상기 사용자가 편집하고자 선택한 특정 방송영상을 간략화한 것으로, 상기 특정 방송영상을 미리 설정한 사이즈로 축소한 영상을 의미한다.The thumbnail image is a simplified specific broadcast image selected by the user to be edited, and refers to an image in which the specific broadcast image is reduced to a preset size.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를 조작하여 상기 썸네일 영상을 편집할 디자인 템플릿을 선택한다(S310).Next, the user manipulates the broadcast image editing device 200 to select a design template to edit the thumbnail image (S310).

이때,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는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디자인 템플릿을 미리 설정한 크기로 확대하여, 사용자가 해당 디자인 템플릿을 재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마음에 드는 디자인 템플릿을 최종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broadcast video editing device 200 enlarges the design template selected by the user to a preset size, so that the user can reconfirm the design template, so that a design template that he likes can be finally selected. do.

이때 상기 선택한 디자인 템플릿이 유료인 경우, 상기 클라우드 기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해당 디자인 템플릿에 대한 결제 인터페이스를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해당 디자인 템플릿에 대한 비용을 곧 바로 결제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when the selected design template is paid, the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100 provides a payment interface for the design template to the user through the broadcast image editing device 200 in real time to provide the corresponding design template. So that you can pay for it right away.

상기 결제가 완료된 경우, 상기 클라우드 기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은 해당 디자인 템플릿을 복제하여 사용자의 클라우드 계정에 저장함으로써, 이후 상기 디자인 템플릿을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payment is completed, the cloud-based graphic video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100 duplicates the design template and stores it in the user's cloud account, so that the design template can be repeatedly used.

다음으로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는, 상기 최종적으로 선택한 디자인 템플릿을 상기 편집창으로 로딩(S330)함으로써, 상기 썸네일 영상에 자막, 텍스트, 도형, 그래프 등을 포함하는 그래픽을 편집할 수 있도록 한다.Next, the broadcast image editing device 200 may edit graphics including subtitles, texts, figures, graphs, etc. in the thumbnail image by loading the finally selected design template into the editing window (S330). To be.

다음으로,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는, 상기 로딩한 디자인 템플릿을 이용하여 그래픽을 상기 썸네일 영상에 오버레이하고, 상기 오버레이한 그래픽에 대한 속성을 편집할 수 있도록 한다(S340).Next, the broadcast image editing device 200 overlays a graphic on the thumbnail image using the loaded design template, and allows the property of the overlaid graphic to be edited (S340).

여기서, 상기 그래픽에 대한 속성은, 상기 썸네일 영상에 오버레이되는 상기 그래픽의 위치, 크기, 색깔, 투명도, 텍스트, 지속시간, 인아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는 상기 그래픽에 대한 속성편집을 기능을 제공하여, 상기 그래픽을 상기 썸네일 영상의 다양한 위치에 원하는 크기 및 색깔, 투명도 등을 편집할 수 있도록 한다.Here, the property of the graphic means the position, size, color, transparency, text, duration, in-out, etc. of the graphic overlaid on the thumbnail image, and the broadcast image editing device 200 By providing a function to edit the properties of the graphic, it is possible to edit the desired size, color, and transparency of the graphic at various locations of the thumbnail image.

다음으로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는, 상기 편집이 완료된 경우(S350), 이에 대한 편집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기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으로 전송(S360)함으로서, 상기 클라우드 기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을 통해 실제 방송영상에 대한 그래픽 오버레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Next, when the editing is completed (S350), the broadcast image editing device 200 transmits the editing information thereto to the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100 (S360), and the cloud-based graphic image It is possible to perform graphic overlay on an actual broadcast image through the integrated broadcast system 100.

한편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200)는, 상기 편집정보 대신에 상기 편집이 완료된 썸네일 영상을 상기 클라우드 기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클라우드 기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100)에서, 상기 썸네일 영상으로부터 편집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그래픽 오버레이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Meanwhile, the broadcast image editing device 200 may transmit the edited thumbnail image to the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100 instead of the editing information, and the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100 ), it may be implemented to perform the graphic overlay by extracting editing information from the thumbnail image as described abov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은, 특정 방송영상에 대한 썸네일 영상과 자막, 이미지, 텍스트, 도형, 그래픽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그래픽에 대한 디자인 템플릿을 제공하고, 상기 디자인 템플릿을 이용하여 상기 썸네일 영상을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에서 편집할 수 있도록 하고, 해당 편집에 대한 편집정보를 토대로 실질적인 방송영상에 대한 편집은 클라우드 상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와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 간의 네트워크 트래픽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별도의 그래픽 장치나 전문 인력을 구비하지 않고서도 상기 편집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cloud-based integrated graphic image broadcas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graphic image including a thumbnail image and a caption, image, text, figure, graphic, or a combination of a specific broadcast image By providing a design template, allowing the thumbnail image to be edited on a broadcast image editing device by using the design template, and editing the actual broadcast image on the cloud based on the editing information for the edit. , There is an effect of minimizing network traffic between a device for editing a broadcast image and a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and allowing a user to conveniently perform the editing without having a separate graphic device or professional manpower.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위주로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각 구성요소는 동일한 목적 및 효과의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될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bu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each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nged or modified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same object and effect. Can be.

아울러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possibl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
110: 방송영상 수신부 120: 썸네일 영상 제공부
130: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 생성부 140: 디자인 템플릿 제공부
150: 편집정보 수신부 160: 그래픽 오버레이부
170: 방송영상 송출부 180: 사용자 클라우드 계정 관리부
200: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 2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220: 방송영상 제공부 230: 썸네일 영상 수신부
240: 디자인 템플릿 수신부 250: 썸네일 영상 편집부
260: 편집정보 제공부 300: 시청자 단말
400: 데이터베이스 500: 인터넷 방송플랫폼
100: Cloud-based graphic video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110: broadcast image receiving unit 120: thumbnail image providing unit
130: learning model generation unit for design template recommendation 140: design template providing unit
150: editing information receiving unit 160: graphic overlay unit
170: broadcast video transmission unit 180: user cloud account management unit
200: broadcast image editing device 210: user interface unit
220: broadcast image providing unit 230: thumbnail image receiving unit
240: design template receiving unit 250: thumbnail image editing unit
260: edit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300: viewer terminal
400: Database 500: Internet Broadcasting Platform

Claims (10)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에 있어서,
특정 방송영상에 자막, 텍스트, 도형, 이미지, 그래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그래픽을 오버레이하기 위한 편집을 수행하고자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에서 해당 방송영상에 대한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여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썸네일 영상 제공부;
상기 그래픽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자인 템플릿을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디자인 템플릿 제공부;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디자인 템플릿을 상기 방송영상에 대한 썸네일 영상에 적용하여 상기 편집을 수행한 편집정보를 수신하는 편집정보 수신부; 및
상기 수신한 편집정보를 토대로 상기 방송영상을 편집하는 그래픽 오버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에서 수행되는 편집은, 상기 디자인 템플릿을 이용하여 상기 특정 방송영상의 썸네일 영상을 기반으로 수행되는 것이고,
상기 그래픽 오버레이부에서 수행되는 상기 특정 방송영상에 대한 편집은, 상기 특정 방송영상에 대한 원본을 기반으로 수행되는 것으로, 상기 수신한 편집정보를 토대로 상기 특정 방송영상에 상기 그래픽을 오버레이하여 수행되는 것이며,
상기 편집정보는, 상기 디자인 템플릿을 이용하여 원래의 상기 방송영상을 미리 설정한 크기로 축소한 상기 썸네일 영상에 축소한 비율로 오버레이한 그래픽, 해당 그래픽이 오버레이되는 위치, 크기, 색깔(RGB), 투명도(alpha, A), 폰트, 지속시간, 이펙트 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며,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에서 상기 디자인 템플릿을 상기 방송영상에 대한 썸네일 영상에 적용하여 상기 편집을 수행한 편집정보를 상기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에 전송하면, 상기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에서 상기 수신한 편집정보를 토대로 상기 방송영상을 실시간으로 편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
In the cloud-based graphic video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To perform editing for overlaying graphics including subtitles, texts, figures, images, graphs, or a combination thereof on a specific broadcast video, the cloud-based graphic video integrated broadcast system generates a thumbnail image for the broadcast video A thumbnail image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a device for editing broadcast images;
A design template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at least one design template for the graphic to the broadcast video editing device;
An editing information receiving unit configured to receive the edited editing information by applying the design template to the thumbnail image of the broadcast image from the broadcast image editing device; And
Includes; a graphic overlay unit for editing the broadcast image based on the received edit information,
Editing performed in the broadcast image editing device is performed based on the thumbnail image of the specific broadcast image using the design template,
The editing of the specific broadcasting image performed by the graphic overlay unit is performed based on the original for the specific broadcasting image, and is performed by overlaying the graphic on the specific broadcasting image based on the received editing information. ,
The editing information includes a graphic overlaying the original broadcast image at a reduced ratio on the thumbnail image reduced to a preset size using the design template, a position, a size, and color (RGB) at which the graphic is overlaid, Transparency (alpha, A), font, duration, effect information, or a combination thereof,
When the broadcast image editing device applies the design template to the thumbnail image for the broadcast image and transmits the edited editing information to the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the received editing by the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A cloud-based graphic video integrated broadcas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broadcast video is edited in real time based on informa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은,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수집되는 방송영상 타입, 그래픽별 선호하는 디자인 스타일, 및 이펙트 효과를 포함하는 취향정보와 상기 각 사용자가 사용한 디자인 템플릿 간의 매핑관계를 각각 학습하여, 특정 사용자에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자인 템플릿을 추천하기 위해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을 상기 그래픽별로 각각 생성하는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 생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은, 사용자 취향정보에 따라 가장 많은 유저가 선택한 디자인 템플릿이나, 시청수가 미리 설정한 값 이상인 방송영상에서 사용된 디자인 템플릿을 출력하도록 학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At least one design template is provided to a specific user by learning the mapping relationship between taste information including the type of broadcast video collected from a plurality of users, a preferred design style for each graphic, and effect effect, and the design template used by each user. Further comprising; a design template recommendation learning model generation unit that generates a design template recommendation learning model for each graphic for recommendation,
The learning model for recommending a design template is a cloud-based learning model, characterized in that it is learned to output a design template selected by the most users according to user preference information or a design template used in a broadcast image with a number of viewer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value Graphic video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청구항 4에 있어서,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은,
상기 편집한 방송영상을 미리 설정한 방송채널로 스트리밍하여 송출하는 방송영상 출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자인 템플릿 제공부는,
특정 사용자에 대한 그래픽별 취향정보를 상기 생성한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에 각각 적용하여, 상기 각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에서 출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자인 템플릿 중 미리 설정한 임계값 이상의 확률값을 가지는 디자인 템플릿을 선택하여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로 추천하여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The cloud-based graphic video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A broadcast video output unit for streaming and transmitting the edited broadcast video through a preset broadcast channel; and
The design template providing unit,
A design having a probability value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among at least one design template output from the learning model for recommending each design template by applying taste information for each graphic for a specific user to the generated design template recommendation learning model A cloud-based integrated graphic video broadcasting system comprising: selecting a template and recommending it to the device for editing broadcast video.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을 통해 특정 방송영상을 편집하는 클라우드 기반의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으로부터 해당 방송영상에 대한 썸네일 영상을 수신하는 썸네일 영상 수신부;
상기 썸네일 영상에 자막, 텍스트, 도형, 이미지, 그래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그래픽을 오버레이하기 위한 디자인 템플릿을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 수신하는 디자인 템플릿 수신부; 및
상기 수신한 디자인 템플릿을 이용하여 상기 썸네일 영상을 편집하는 썸네일 영상 편집부; 및
상기 썸네일 영상을 편집한 편집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으로 제공하는 편집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에서 수행되는 편집은, 상기 디자인 템플릿을 이용하여 상기 특정 방송영상의 썸네일 영상을 기반으로 수행되는 것이고,
상기 특정 방송영상에 대한 편집은, 상기 특정 방송영상에 대한 원본을 기반으로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상기 편집정보를 토대로 상기 특정 방송영상에 상기 그래픽을 오버레이하여 수행되는 것이며,
상기 썸네일 영상을 편집한 편집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으로 제공함으로서, 실질적인 해당 방송영상에 대한 편집은 상기 클라우드 기반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
In a cloud-based broadcasting image editing device for editing a specific broadcasting image through a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A thumbnail image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a thumbnail image for a corresponding broadcast image from the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A design template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t least one design template for overlaying a graphic including a subtitle, text, figure, image, graph, or a combination thereof on the thumbnail image from the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And
A thumbnail image editing unit that edits the thumbnail image using the received design template; And
Including; an edit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the editing information by editing the thumbnail image to the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Editing performed in the broadcast image editing device is performed based on the thumbnail image of the specific broadcast image using the design template,
The editing of the specific broadcast image is performed in the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based on the original for the specific broadcast image, and is performed by overlaying the graphic on the specific broadcast image based on the editing information. Will,
Broadcasting, characterized in that by providing the editing information obtained by editing the thumbnail image to the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the actual editing of the corresponding broadcasting image is automatically performed by the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Device for video editing.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썸네일 영상 편집부는,
상기 수신한 디자인 템플릿을 이용하여 원래의 상기 방송영상을 미리 설정한 크기로 축소한 상기 썸네일 영상에 상기 축소한 비율로 오버레이한 그래픽을 편집할 때, 상기 썸네일 영상에서의 상기 축소한 비율로 오버레이한 그래픽에 대한 위치, 크기, 색깔, 투명도, 텍스트, 효과시간, 인아웃을 포함하는 편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6,
The thumbnail image editing unit,
When editing the graphic overlaid at the reduced ratio on the thumbnail image reduced to a preset size by using the received design template, overlaying the graphic at the reduced ratio in the thumbnail image A device for editing broadcast video, characterized in that it enables editing including position, size, color, transparency, text, effect time, and in-out for a graphic.
특정 방송영상에 자막, 텍스트, 도형, 이미지, 그래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그래픽을 오버레이하기 위한 편집을 수행하고자 클라우드 기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에서, 해당 방송영상에 대한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여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썸네일 영상 제공 단계;
상기 클라우드 기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에서, 상기 그래픽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자인 템플릿을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디자인 템플릿 제공 단계;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에서, 상기 제공받은 디자인 템플릿을 이용하여 상기 썸네일 영상을 편집한 후, 해당 편집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기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우드 기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에서, 상기 수신한 편집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방송영상에 상기 그래픽을 오버레이하는 그래픽 오버레이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에서 수행되는 편집은, 상기 디자인 템플릿을 이용하여 상기 특정 방송영상의 썸네일 영상을 기반으로 수행되는 것이고,
그래픽 오버레이부에서 수행되는 상기 특정 방송영상에 대한 편집은, 상기 특정 방송영상에 대한 원본을 기반으로 수행되는 것으로, 상기 수신한 편집정보를 토대로 상기 특정 방송영상에 상기 그래픽을 오버레이하여 수행되는 것이며,
상기 편집정보는, 상기 디자인 템플릿을 이용하여 원래의 상기 방송영상을 미리 설정한 크기로 축소한 상기 썸네일 영상에 축소한 비율로 오버레이한 그래픽, 해당 그래픽이 오버레이되는 위치, 크기, 색깔(RGB), 투명도(alpha, A), 폰트, 지속시간, 이펙트 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며,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에서 상기 디자인 템플릿을 상기 방송영상에 대한 썸네일 영상에 적용하여 상기 편집을 수행한 편집정보를 상기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에 전송하면, 상기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에서 상기 수신한 편집정보를 토대로 상기 방송영상을 실시간으로 편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기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을 통한 방송영상 편집 방법.
To perform editing for overlaying graphics including subtitles, texts, figures, images, graphs, or combinations thereof on a specific broadcast video, in the cloud-based graphic video integrated broadcast system, a thumbnail image for the broadcast video is generated and broadcast video Providing a thumbnail image provided to an editing device;
A design template providing step of providing at least one design template for the graphic to the broadcast image editing device in the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Editing the thumbnail image using the provided design template by the broadcast image editing device, and then transmitting the editing information to the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And
In the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a graphic overlay step of overlaying the graphic on the specific broadcast image using the received edit information; includes,
Editing performed in the broadcast image editing device is performed based on the thumbnail image of the specific broadcast image using the design template,
The editing of the specific broadcasting image performed by the graphic overlay unit is performed based on the original for the specific broadcasting image, and is performed by overlaying the graphic on the specific broadcasting image based on the received editing information,
The editing information includes a graphic overlaying the original broadcast image at a reduced ratio on the thumbnail image reduced to a preset size using the design template, a position, a size, and color (RGB) at which the graphic is overlaid, Transparency (alpha, A), font, duration, effect information, or a combination thereof,
When the broadcast image editing device applies the design template to the thumbnail image of the broadcast image and transmits the edited editing information to the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the received editing by the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Broadcast image editing method through a cloud-based graphic image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broadcasting image is edited in real time based on information.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방송영상 편집 방법은,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수집되는 방송영상 타입, 그래픽별 선호하는 디자인 스타일 및 이펙트 효과를 포함하는 취향정보와 상기 각 사용자가 사용한 디자인 템플릿 간의 매핑관계를 각각 학습하여, 특정 사용자에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자인 템플릿을 추천하기 위해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을 상기 그래픽별로 각각 생성하는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 생성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은, 사용자 취향정보에 따라 가장 많은 유저가 선택한 디자인 템플릿이나, 시청수가 미리 설정한 값 이상인 방송영상에서 사용된 디자인 템플릿을 출력하도록 학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기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을 통한 방송영상 편집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The broadcast video editing method,
At least one design template is recommended to a specific user by learning the mapping relationship between the broadcasting image types collected from a plurality of users, preference information including the preferred design style and effect effect for each graphic, and the design template used by each user. Further comprising; a design template recommendation learning model generation step of each generating a learning model for design template recommendation for each graphic in order to do so,
The learning model for recommending a design template is a cloud-based graphic, characterized in that it is learned to output a design template selected by the most users according to user preference information or a design template used in a broadcast image with a number of viewer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value. Broadcast video editing method through video integrated broadcasting system.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방송영상 편집 방법은,
상기 편집한 방송영상을 미리 설정한 방송채널로 스트리밍하여 송출하는 방송영상 출력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자인 템플릿 제공 단계는,
특정 사용자에 대한 그래픽별 취향정보를 상기 생성한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에 각각 적용하여, 상기 각 디자인 템플릿 추천용 학습모델에서 출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자인 템플릿 중 미리 설정한 임계값 이상의 확률값을 가지는 디자인 템플릿을 선택하여 상기 방송영상 편집용 디바이스로 추천하여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기반 그래픽 영상 통합 방송 시스템을 통한 방송영상 편집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The broadcast video editing method,
A broadcast video output step of streaming and transmitting the edited broadcast video to a preset broadcast channel;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roviding the design template,
A design having a probability value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among at least one design template output from the learning model for recommending each design template by applying taste information for each graphic for a specific user to the generated design template recommendation learning model A method for editing a broadcast video through a cloud-based graphic video integrated broadcast system, comprising: selecting a template and recommending it to the broadcast video editing device.
KR1020180152649A 2018-11-30 2018-11-30 Broadcasting system for integrating graphic with video based on cloud computing network KR1021443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649A KR102144336B1 (en) 2018-11-30 2018-11-30 Broadcasting system for integrating graphic with video based on cloud computing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649A KR102144336B1 (en) 2018-11-30 2018-11-30 Broadcasting system for integrating graphic with video based on cloud computing networ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5811A KR20200065811A (en) 2020-06-09
KR102144336B1 true KR102144336B1 (en) 2020-08-13

Family

ID=71082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2649A KR102144336B1 (en) 2018-11-30 2018-11-30 Broadcasting system for integrating graphic with video based on cloud computing netwo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433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1890B1 (en) 2021-12-02 2022-08-12 주식회사 미리디 Method of providing a three dimensional sample view based on modeling data of differential quality rendered on a server, and apparatus theref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2297B1 (en) * 2020-12-30 2022-11-03 주식회사 지로드코리아 A system providing cloud-based one-stop personal media creator studio platform for personal media broadcasting
KR102354593B1 (en) * 2021-05-28 2022-01-24 주식회사 잘라컴퍼니 Method, server and computer program for classifying video editing types and advancing edit point recommendation algorithm through user database construction and machine learni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81710A1 (en) * 2014-03-31 2015-10-01 Gopro, Inc. Distributed video processing in a cloud environmen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6153A (en) * 2016-09-30 2018-04-09 주식회사 요쿠스 Video editing system and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81710A1 (en) * 2014-03-31 2015-10-01 Gopro, Inc. Distributed video processing in a cloud environmen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1890B1 (en) 2021-12-02 2022-08-12 주식회사 미리디 Method of providing a three dimensional sample view based on modeling data of differential quality rendered on a server, and apparatus therefor
KR20230083198A (en) 2021-12-02 2023-06-09 주식회사 미리디 Method of providing a three dimensional sample view based on modeling data of differential quality rendered on a server, and apparatus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5811A (en) 2020-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1090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dding content to video/multimedia based on metadata
US11166074B1 (en) Creating customized programming content
JP6306008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creasing clarity and expressiveness in network communications
US8819738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al-time composite broadcast with moderation mechanism for multiple media feeds
KR102144336B1 (en) Broadcasting system for integrating graphic with video based on cloud computing network
US20140215508A1 (en) Distributing Graphic Content Over a Public Network for Inclusion in a Linear Television Broadcast
CN109964275A (en) For providing the system and method for slow motion video stream simultaneously with normal speed video flowing when detecting event
US9224156B2 (en) Personalizing video content for Internet video streaming
KR102606156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xecuting a supplemental function for a natural language query
CN113660514B (en) Method and system for modifying user interface color in connection with video presentation
US10419826B2 (en) Using a webpage to insert graphical elements into a video program stream
US20120179968A1 (en) Digital signage system and method
US9398343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objects that describe media assets
KR101915792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serting an Advertisement Using Face Recognition
US2019017417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nified presentation of stadium mode using on-demand, live, social or market content
US11956515B1 (en) Creating customized programming content
Hayashi et al. Text Generated TV: A New Television System Delivering Visual Content Created Directly by Text
US2019017416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nified presentation of a smart bar on interfaces including on-demand, live, social or market content
JP4565048B1 (en) Video editing apparatus and video editing method
CN109496433A (en)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that the supplemental content shown near user equipment during media asset is presented on a user device
US1077183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senting background graphics for media asset identifiers identified in a user defined data structure
KR20140083451A (en) Server and method for generating widget data and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the widget 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