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3239B1 - Apparatus for prviding online course curating servic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prviding online course curating ser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3239B1
KR102143239B1 KR1020130094211A KR20130094211A KR102143239B1 KR 102143239 B1 KR102143239 B1 KR 102143239B1 KR 1020130094211 A KR1020130094211 A KR 1020130094211A KR 20130094211 A KR20130094211 A KR 20130094211A KR 102143239 B1 KR102143239 B1 KR 102143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nline course
information
curating
course
on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42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18676A (en
Inventor
조민형
정윤하
이석재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4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3239B1/en
Publication of KR20150018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867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3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32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5Content authoring for generating interactive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서비스 장치가 단말 장치에서 출력되는 지도 상에서 선택된 지역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지역 정보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온라인 코스를 설정하고, 설정된 온라인 코스에 상응하는 지도 이미지, 실제 환경에서 촬영한 실사 이미지 및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 정보를 이용하여 온라인 코스 환경을 구축하고, 온라인 코스의 환경 구축 정보를 단말 장치로 전송하고, 단말 장치에서 설정된 온라인 코스에 대한 큐레이팅이 실행되면,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코스 이동 조작 정보에 따라 파악된 사용자 이동 위치에 상응하는 지도 이미지, 실사 이미지 및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 정보를 포함한 온라인 코스 실행 정보를 단말 장치로 전송하여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를 진행함으로써, 사용자가 가상의 공간에서 실제 환경의 길을 현실감 있게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실제로 온라인 코스의 길을 가보지 않고도 미리 답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므로 실제 답사에 필요한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으며, 설정된 온라인 코스의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An online course curating service method and apparatus and system therefor, wherein when the service device receives selected area information on a map output from a terminal device, one or more online courses are set using the received area information, and the set online course Establish an online course environment by using map images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map images, real-life images taken in an actual environment, and online course curating information, transmit environment construction information of the online course to the terminal device, and curate the online course set in the terminal device. When this is executed, online course execution information including map images, live images, and online course cura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movement location identified according to the course movement oper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device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device to proceed with online course curation. , It can provide an opportunity for users to realistically experience the path of a real environment in a virtual space, and it can allow users to explore in advance without actually going on the path of an online course, thereby reducing the cost and time required for the actual survey. It can save money and provide accurate information of the set online course.

Description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 서비스를 위한 장치{APPARATUS FOR PRVIDING ONLINE COURSE CURATING SERVICE}Device for online course curating service {APPARATUS FOR PRVIDING ONLINE COURSE CURATING SERVICE}

본 발명은 모바일 환경에서의 온라인 길 안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온라인 상으로 길 안내를 제공 시 실제 환경의 지리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의 코스 환경을 구축하여 실제 환경에서 길을 걷는 것과 같이 현실감 있는 코스를 제공하기 위한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 서비스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nline route guidance in a mobile environment, and in particular, when providing an online route guidance, a virtual course environment is constructed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of an actual environment to provide a realistic course like walking a road in a real environment. It relates to an apparatus for an online course curating service to be provided.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The contents described in this section merely provide background information for this embodiment, and do not constitute a prior art.

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최근에는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특히,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가상 현실 공간에서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With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in recent years, various services can be provided using a terminal device.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provide various services in a virtual reality space using a terminal device.

일반적으로, 가상 현실(Virtual Reality)이란 컴퓨터의 기술을 응용하여 실제가 아닌 인공적인 환경을 구축하여 그 속에서 인간이 새로운 체험을 하는 기술을 말한다. 이러한 가상 현실 기술은 모바일 환경에서도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으며, 주로 게임이나, 가상 체험을 위한 기술에 적용되고 있다. In general, virtual reality refers to a technology in which humans experience new experiences by constructing an artificial environment that is not real by applying computer technology. Such virtual reality technology has been applied in various ways even in a mobile environment, and is mainly applied to games or technologies for virtual experience.

한편, 최근에는 올레길, 둘레길, 산책 코스 등 걷기 좋은 길을 걷는 여행 등이 많은 관심을 보이면서 단말 장치를 통해 길 안내를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a variety of services for guiding directions are provided through a terminal device, with a lot of interest in traveling on good walks such as Olle Trail, Dulle-gil, and Walking Course.

그러나 종래에는 단말 장치를 통해 걷기 좋은 길에 대한 안내 정보 및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들만을 제공받으므로 타인이 올린 사진이나 동영상 등을 통해 그 길을 경험할 뿐, 실제 그 길이 걷는 것 같은 체험을 할 수 없었다. However, conventionally, only information about a good walkable path and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Internet are provided through a terminal device, so you can only experience the path through photos or videos posted by others, and experience as if you are actually walking the path. Couldn't.

한국공개특허 제2001-0081134호, 2001년 8월 29일 공개(명칭: 인터넷 상에서 경주 게임 생성 및 실행방법)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1-0081134, published on August 29, 2001 (Name: How to create and run racing game on the Internet)

본 발명은 종래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서비스 장치가, 단말 장치에서 출력되는 지도 상에서 선택된 지역 정보를 이용하여 설정된 하나 이상의 온라인 코스에 상응하는 지도 이미지, 실제 환경에서 촬영한 실사 이미지 및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 정보를 이용하여 온라인 코스 환경을 구축하고,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이 실행됨에 따라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코스 이동 조작 정보를 이용하여 파악된 사용자 이동 위치에 상응하는 지도 이미지, 실사 이미지 및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 정보를 포함한 온라인 코스 실행 정보를 단말 장치로 전송하여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을 진행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conventional inconvenience, in which a service device is a map image corresponding to one or more online courses set using area information selected on a map output from a terminal device, and a real-life image taken in an actual environment. And an online course environment using the online course curating information, and as the online course curating is executed, a map image, a live image, and an online course corresponding to the user's movement location identified using the course movement oper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device. An object is to provide a device for performing online course curating by transmitting online course execution information including curating information to a terminal device.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는,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와 코스 큐레이팅을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통신부와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단말 장치에서 출력되는 지도 상에서 선택된 지역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지역 정보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온라인 코스를 설정하고, 설정된 온라인 코스에 상응하는 지도 이미지, 실제 환경에서 촬영한 실사 이미지 및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 정보를 이용하여 온라인 코스 환경을 구축하고, 온라인 코스 환경 구축 정보를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온라인 코스 환경 구축부; 및 통신부 및 온라인 코스 환경 구축부와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단말 장치에서 설정된 온라인 코스에 대한 큐레이팅이 실행되면,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코스 이동 조작 정보에 따라 파악된 사용자 이동 위치에 상응하는 지도 이미지, 실사 이미지 및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 정보를 포함한 온라인 코스 실행 정보를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부를 포함할 수 있다. A servic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for course curating with at least one terminal device; It is functionally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receives selected area information on a map output from a terminal device, sets one or more online courses using the received area information, map images corresponding to the set online course, and photographed in an actual environment. An online course environment construction unit for constructing an online course environment using the live-action image and online course curating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online course environment construction information to a terminal device; And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online course environment building unit are functionally connected, and when curating for the online course set in the terminal device is executed, a map image corresponding to the user's moving position identified according to the course movement oper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device, and a live image It may include an online course curating unit that transmits online course execution information including images and online course curating information to the terminal devic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온라인 코스 환경 구축부는, 온라인 코스를 시즌 별로 설정하고, 시즌 별로 설정된 온라인 코스에 시즌 별로 촬영된 실사 이미지, 시즌 별 수집된 환경 정보 및 시즌 별 설정된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In the service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nline course environment construction unit sets the online course for each season, and the live-action image taken for each season in the online course set for each season, environment information collected for each season, and set for each season. Online course curating information can be mapped and sav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 정보는, 온라인 코스에 대한 소개 정보, 지역 정보, 이벤트 정보, 맛집 정보, 관광 정보 및 맞춤형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e service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nline course curating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introduction information, region information, event information, restaurant information, tourism information, and customized information about the online cours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온라인 코스 환경 구축부는, 단말 장치로부터 지도 상에서 검색한 출발지 및 목적지 정보를 포함한 지역 정보를 수신하면, 출발지 및 목적지 정보를 확인하여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검색된 경로를 온라인 코스로 설정할 수 있다. In the servic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nline course environment building unit, upon receiving the area information including the source and destination information searched on the map from the terminal device, checks the source and destination information, and searches from the source to the destination. Routes can be set as online course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온라인 코스 환경 구축부는, 지도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선택 위치 정보를 포함한 지역 정보를 수신하면, 선택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지역의 추천 길을 검색하고, 검색된 하나 이상의 추천 길에 대한 정보를 단말 장치로 전송하고, 단말 장치에서 전송한 추천 길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면, 선택된 추천 길을 큐레이팅을 위한 온라인 코스로 설정할 수 있다. In the service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nline course environment building unit, upon receiving area information including selected location information selected by a user on a map, searches for a recommended route of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location information, When information on the searched one or more recommended routes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device and one or more of the recommended routes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device is selected, the selected recommended route may be set as an online course for curating.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온라인 코스 환경 구축부는, 단말 장치로부터 온라인 코스의 큐레이팅이 실행되면, 온라인 코스의 지도 이미지에 표시되는 온라인 코스의 경로 또는 인접 지역에서 선택된 지역 정보를 수신하고, 선택된 지역 정보를 이용하여 온라인 코스를 재설정할 수 있다. In the servic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nline course environment building unit, when curating of the online course is executed from the terminal device, stores the route of the online course displayed on the map image of the online course or area information selected from the adjacent area. Receive and use the selected area information to reset the online cours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부는, 단말 장치에서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이 실행되면, 설정된 온라인 코스에서 스크랩한 정보, 메모한 정보 및 촬영된 이미지 중 하나 이상에 따른 부가 정보를 생성하여 단말 장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 In the servic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nline course curating unit, when the online course curating is executed in the terminal device, additional information according to one or more of information scrapped from the set online course, memo information, and captured images. A servi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generate and provide the terminal devic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부는, 온라인 코스의 큐레이팅이 종료되면, 완주 거리 및 완주 예상 시간, 실행 시간, 스크랩 정보, 메모 정보 및 촬영 이미지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 결과 정보를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In the service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nline course curating unit includes at least one of a completion distance and an expected completion time, execution time, scrap information, memo information, and photographed image information when curating of the online course is finished. Online course curating result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device.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는, 서비스 장치로부터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을 제공 받기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통신부와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서비스 장치로부터 수신된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온라인 코스를 선택하기 위한 지도를 출력하고, 지도 상에서 선택된 지역 정보를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고, 지역 정보를 이용하여 설정된 온라인 코스에 대한 환경 구축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며, 설정된 온라인 코스에 대한 큐레이팅이 실행되면, 온라인 코스를 이동하는 사용자의 이동 위치에 상응하는 지도 이미지, 실사 이미지 및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 정보를 포함하는 온라인 코스 실행 정보를 서비스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와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에 대한 실행 화면을 출력하고, 실사 이미지, 지도 이미지 및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for receiving an online course curating from a service device; It is functionally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outputs a map for selecting an online course using map data received from the service device, transmits area information selected on the map to the service device, and provides information on the online course set using the area information. Receives and outputs environment building information, and when curating for a set online course is executed, online course execution information including map images, photorealistic images, and online course cura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oving location of the user who moves the online course is service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o receive and output from the device; And an output unit that is function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to output an execution screen for online course curating, and outputs a real image, a map image, and online course curating informa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에서 선택된 온라인 코스에 대한 시즌 정보가 선택되면, 선택된 시즌 정보에 따른 실사 이미지, 환경 정보 및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 정보를 포함한 온라인 코스 실행 정보를 서비스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In th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ason information for the online course selected from one or more terminal devices is selected,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live image according to the selected season inform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and online course curating information. Course execution information may be received and output from the service devic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온라인 코스 상에 출력되는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 정보가 선택되면, 선택된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 정보에 대한 관련 상세 정보를 서비스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In th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nline course curating information output on the online course is selected, the control unit may receive and output detailed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lected online course curating information from the service device. .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 서비스 시스템은, 단말 장치에서 출력되는 지도 상에서 선택된 지역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지역 정보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온라인 코스를 설정하고, 설정된 온라인 코스에 상응하는 지도 이미지, 실제 환경에서 촬영한 실사 이미지 및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 정보를 이용하여 온라인 코스 환경을 구축하고, 설정된 온라인 코스에 대한 큐레이팅이 실행되면,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코스 이동 조작 정보에 따라 파악된 사용자 이동 위치에 상응하는 지도 이미지, 실사 이미지 및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 정보를 포함한 온라인 코스 실행 정보를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서비스 장치; 및 서비스 장치로부터 설정된 온라인 코스에 대한 환경 구축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고, 설정된 온라인 코스에 대한 큐레이팅이 실행되면, 서비스 장치로부터 온라인 코스 실행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단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An online course curating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object receives area information selected on a map output from a terminal device, and uses the received area information to perform one or more online courses. After setting and establishing an online course environment using map images corresponding to the set online course, photorealistic images taken in the actual environment, and online course curating information, and curating the set online course, the course received from the terminal device A service device that transmits, to a terminal device, online course execution information including a map image, a live image, and online course cura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moving position determined according to the movement manipulation information; And a terminal device that receives and outputs environment construction information for the set online course from the service device, and receives and outputs the online course execution information from the service device when curating for the set online course is executed.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에서의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 서비스 방법은,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로부터 지도 상에서 선택된 지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지역 정보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온라인 코스를 설정하는 단계; 설정된 온라인 코스에 상응하는 지도 이미지, 실제 환경에서 촬영한 실사 이미지 및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 정보를 이용하여 온라인 코스 환경을 구축하는 단계; 온라인 코스의 환경 구축 정보를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단말 장치에서 설정된 온라인 코스에 대한 큐레이팅이 실행되면,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코스 이동 조작 정보에 따라 사용자 이동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 및 파악된 사용자 이동 위치에 상응하는 지도 이미지, 실사 이미지 및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 정보를 포함하는 온라인 코스 실행 정보를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n online course curating service method in a servic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receiving information on a region selected on a map from one or more terminal devices; Setting one or more online courses using the received area information; Establishing an online course environment using a map image corresponding to the set online course, a photorealistic image taken in an actual environment, and online course curating information; Transmitting environment construction information of the online course to the terminal device; Determining a location of a user's movement according to the course movement manipul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device when curating is performed on the online course set in the terminal device; And transmitting, to the terminal device, online course execution information including a map image, a live image, and online course cura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user movement loca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에서의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 서비스 방법은, 지도 상에서 선택된 지역 정보를 이용하여 실제 지역에서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 정보를 온라인 코스에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n online course curating service method in a servic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generating online course curating information using information collected in an actual area by using area information selected on a map; And mapping the generated online course curating information to the online course and storing i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에서의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 서비스 방법은, 온라인 코스를 시즌 별로 구분하여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online course curating service method in a servic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dividing and setting the online course by seas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에서의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 서비스 방법은, 온라인 코스의 큐레이팅 실행이 종료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온라인 코스의 큐레이팅 실행이 종료된 경우,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 결과 정보를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n online course curating service method in a servic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checking whether the execution of the online course curating has ended; And when the execution of the online course curating is terminated, transmitting the result information of the online course curating to the terminal device.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다. I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object, a program for executing the online course curating method is recorded.

본 발명은 지도 상에서 선택한 실제 길과 같이 온라인 코스를 설정하여 사용자의 이동 위치에 따라 실사 이미지 및 지도 이미지와 함께 온라인 코스를 설명하기 위한 큐레이팅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가상의 공간에서 실제 환경의 길을 현실감 있게 경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실제로 온라인 코스의 길을 가보지 않고도 미리 답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므로 실제 답사에 필요한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으며, 설정된 온라인 코스의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sets an online course like a real road selected on a map and provides curating information for explaining the online course along with a real image and a map image according to the user's moving location. It allows users to experience the online course in a realistic way, and allows users to explore in advance without actually going on the path of the online course, thus reducing the cost and time required for the actual survey, and providing accurate information of the set online course. It can have an effec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 서비스를 위한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 서비스를 위한 코스 선택 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 서비스를 위한 실행 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장치에서의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 서비스를 위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 장치에서의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 서비스를 위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online course curating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terminal device for an online course curat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ervice device for an online course curat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urse selection screen for an online course curat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execution screen for an online course curat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an online course curating service in a servi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an online course curating service in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attached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that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throughout the drawings are indica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described below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is appropriate as a concept of terms for explaining his or 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a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as such. Therefore,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embodiments and the drawing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 replace them at the time of this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 시스템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First, an online course cura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online course curating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 시스템은 통신망(10)을 통해 연결되는 단말 장치(100) 및 서비스 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online course curating system may include a terminal device 100 and a service device 200 connect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10.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통신망(10)을 경유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를 말하는 것이며,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TV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The terminal device 100 refers to a terminal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various data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10 according to a user's key operation, and a tablet PC, a laptop, and a personal computer (PC). ), a smart 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smart TV,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또한, 단말 장치(100)는 통신망(10)을 이용하여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이며, 통신망(10)을 경유하여 서비스 장치(200)와 통신하기 위한 브라우저, 프로그램 및 프로토콜을 저장하는 메모리,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하고 있는 단말기를 의미한다. 즉, 단말 장치(100)는 서비스 장치(200)와 서버-클라이언트 통신이 가능하고, 방송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다면 그 어떠한 단말기도 가능하며, 노트북 컴퓨터, 이동통신 단말기, PDA 등의 통신 컴퓨팅 장치를 모두 포함하는 넓은 개념이다. 한편, 단말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addition, the terminal device 100 is a terminal that performs voice or data communication using the communication network 10, and a memory storing a browser, a program, and a protocol for communicating with the service device 200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10 , Means a terminal equipped with a microprocessor, etc. for executing and controlling various programs. That is, the terminal device 100 can perform server-client communication with the service device 200, and any terminal can be used as long as it can execute a broadcast service, and all communication computing devices such as a notebook compute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PDA can be used. It is a broad concept to include. Meanwhile, the terminal device 100 is preferably manufactured in a form having a touch screen, but is not limited thereto.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는 통신망(10)을 통해 서비스 장치(200)와 연동하고,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지도 데이터를 수신하면,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출력되는 지도 상에서 선택된 지역 정보를 온라인 코스 설정 위해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100)는 지역 정보를 이용하여 설정된 온라인 코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고,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이 시작되면, 설정된 온라인 코스를 이동 중인 사용자의 이동 위치에 상응하는 실사 이미지, 지도 이미지 및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 정보를 포함한 온라인 코스 실행 정보를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terlocks with the service device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0, executes an application for online course curating, and receives map data from the service device 200. Then, the area information selected on the map output using the map data may be transmitted to the service device 200 to set an online course. In addition, the terminal device 100 receives and outputs information on the online course set by using the area information, and when the online course curating starts, the live image and map image corresponding to the moving location of the user moving the set online course And online course execution information including online course curating information may be received from the service device 200 and output.

서비스 장치(200)는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100)와 통신망을 통해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통신을 수행하고, 지도 데이터를 단말 장치(100)로 제공하고,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출력된 지도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지역 정보를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하면, 수신된 지역 정보를 이용하여 온라인 코스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장치(200)는 설정된 온라인 코스에 대한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장치(200)는 설정된 온라인 코스에 대한 정보(실사 이미지, 지도 이미지 포함), 환경 정보 및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 정보 등을 이용하여 설정된 온라인 코스에 대한온라인 코스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The service device 200 performs communication for providing an online course curating service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with one or more terminal devices 100, provides map data to the terminal device 100, and maps output using the map data. When the area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is received from the terminal device 100, an online course may be set using the received area information. In addition, the service device 200 may generate online course curating information for a set online course. In addition, the service device 200 may build an online course environment for the set online course by using information on the set online course (including photorealistic images and map images), environment information, and online course curating information.

또한, 서비스 장치(200)는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이 실행되면, 온라인 코스를 이동 중인 사용자의 이동 위치에 상응하는 실사 이미지, 지도 이미지 및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 정보를 포함한 온라인 코스 실행 정보를 단말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online course curating is executed, the service device 200 transmits the online course execu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live image, map image, and online course cura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oving location of the user who is moving the online course to the terminal device 100. Can provide.

이와 같은 단말 장치(100) 및 서비스 장치(200)는 통신망(10)을 통해 연동되며, 이러한 통신망(10)은 인터넷망, 인트라넷망, 이동통신망, 위성 통신망 등 다양한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인터넷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망을 말한다. 또한, 통신망(10)은 서비스 장치(200)와 결합되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등의 컴퓨팅 자원을 저장한다. 이러한, 통신망(10)은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등의 폐쇄형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과 같은 개방형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LTE(Long Term Evolution), EPC(Evolved Packet Core) 등의 네트워크와 향후 구현될 차세대 네트워크 및 컴퓨팅 네트워크를 통칭하는 개념이다. The terminal device 100 and the service device 200 are interlocked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0, and the communication network 10 uses various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such as an Internet network, an intranet network,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It refers to a network that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network 10 is coupled with the service device 200 to store computing resources such as hardware and software. The communication network 10 is not only a closed network such as a local area network (LAN), a wide area network (WAN), an open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but also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wideband code division (WCDMA). Multiple Access),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Long Term Evolution (LTE), Evolved Packet Core (EPC), and other networks and next-generation networks and computing networks to be implemented in the futur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 시스템에서의 단말 장치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device in the online course cura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 서비스를 위한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2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terminal device for an online course curating ser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는 제어부(110), 입력부(120), 통신부(130), 저장부(140), 출력부(150) 및 센싱부(16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2, a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unit 110, an input unit 120, a communication unit 130, a storage unit 140, an output unit 150, and a sensing unit 160. ) Can be included.

제어부(110)는 단말 장치(1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며, 특히 서비스 장치(200)에서 설정된 하나 이상의 온라인 코스를 사용자가 온라인 상에서 체험할 수 있도록 온라인 코스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10)는 서비스 실행 모듈(11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controller 110 performs overall control of the terminal device 100, and in particular, may execute an application for an online course so that a user can experience one or more online courses set by the service device 200 on-line. To this end, the control unit 11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ervice execution module 111.

서비스 실행 모듈(111)은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제공된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 서비스에 관련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을 위한 정보 즉, 온라인 코스에 대한 환경 구축 정보를 제공받아 실행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에 대한 환경 구축 정보는 온라인 코스 정보, 온라인 코스에 매핑된 지도 이미지, 실사 이미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service execution module 111 executes an application related to the online course curating service provided from the service device 200, and establishes information for online course curating, that is, an environment for the online course, from the service device 200 through the executed application. Information can be received and displayed on the execution screen. Here, the environment building information for the online course curating may include online course information, a map image mapped to the online course, and a live image.

구체적으로, 서비스 실행 모듈(111)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수신된 환경 구축 정보를 이용하여 실행 화면 중 메인 화면이 출력되고, 메인 화면에서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을 선택하면, 첨부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라인 코스 선택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비스 실행 모듈(111)은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지도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지도 데이터를 온라인 코스 선택 화면의 일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첨부된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색창에서 출발지 및 목적지를 입력하면, 서비스 실행 모듈(111)은 출발지 및 목적지 정보를 포함한 지역 정보를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실행 모듈(111)은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경로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첨부된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도 상에 온라인 코스로 설정할 경로를 표시할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the service execution module 111 executes the application, the main screen of the execution screens is output using the received environment building information, and when online course curating is selected on the main screen, as shown in FIG. Likewise, an online course selection screen may be displayed. To this end, the service execution module 111 may receive map data from the service device 200 and display the received map data on an area of the online course selection screen. Accordingly, as shown in FIG. 4(a) attached, when the user inputs a departure location and a destination in the search box, the service execution module 111 transfers the area information including the departure location and destination information to the service device 200. Can be transmitted. In addition, the service execution module 111 uses the information on the route from the source to the destination received from the service device 200 to set a route to be set as an online course on the map as shown in Fig. 4A. Can be displayed.

한편, 첨부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지도 상의 임의의 위치(지역)를 선택하면, 서비스 실행 모듈(111)은 온라인 코스 선택 화면의 일 영역에 선택된 위치 정보를 포함한 지역 정보를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비스 실행 모듈(111)은 첨부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선택된 위치 정보에 관련하여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추천 길을 포함한 실제 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실행 모듈(111)은 사용자에 의해 추천 길이 선택되면, 선택된 추천 길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하여 추천 길을 온라인 코스로 설정하도록 한다. Meanwhile, as shown in (b) of FIG. 4, when the user selects an arbitrary location (region) on the map, the service execution module 111 includes the selected location information in an area of the online course selection screen. Area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service device 200. Accordingly, the service execution module 111 receives information on the actual road including at least one recommended route preset in relation to the location information selected from the service device 200, as shown in FIG. 4B. Can be displayed. When the recommended length is selected by the user, the service execution module 111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selected recommended route to the service device 200 to set the recommended route as an online course.

또한, 서비스 실행 모듈(111)은 온라인 길에 대한 코스 선택 및 시즌 선택을 위한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실행 화면에서 코스 메뉴가 선택되면, 서비스 실행 모듈(111)은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온라인 코스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실행 모듈(111)은 온라인 코스 리스트에서 어느 하나의 코스를 선택하면,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선택된 온라인 코스에 대한 소개 정보를 수신하여 실행 화면에 선택된 온라인 코스에 대한 코스 설명, 소개 영상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온라인 코스 리스트는 목적지까지의 경로가 하나 이상일 경우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수신되어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실행 모듈(111)은 선택된 코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코스 선택 메시지를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하고,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선택된 코스에 대한 환경 구축 정보(코스 정보, 지도 이미지 및 실사 이미지 등 포함)를 수신하여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rvice execution module 111 may display a menu for selecting a course and selecting a season for an online route. Here, when a course menu is selected on the execution screen, the service execution module 111 may display an online course list received from the service device 200. In addition, when one course is selected from the online course list, the service execution module 111 receives introduction information about the selected online course from the service device 200, and provides a course description, introduction video, etc. for the selected online course on the execution screen. Can be printed. Here, the online course list may be received from the service device 200 and output when there is more than one route to the destination. At this time, the service execution module 111 transmits a course selection message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selected course to the service device 200, and environment construction information (course information, map image, and actual image) for the course selected from the service device 200 (Including images, etc.) can be receiv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또한, 서비스 실행 모듈(111)은 설정된 온라인 코스에 대한 실행(시작) 메뉴가 선택되면, 서비스 실행 모듈(111)은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을 실행하기 위한 화면으로 이동하여 첨부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코스 이동 조작에 따른 입력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조작 영역(60a), 온라인 코스에 대한 지도 이미지 표시 영역(60b), 온라인 코스에 대한 실사 이미지 표시 영역(60c)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조작 영역(60a)은 사용자의 움직임 또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영역이다. 그리고 실사 이미지 표시 영역(60c)은 실행되는 온라인 코스에 대한 실제 환경에서 촬영한 실사 이미지가 표시되는 영역으로서, 사용자의 코스 이동 조작 정보에 따라 해당 위치에 매핑된 실사 이미지를 표시하며, 실사 이미지에 사용자의 캐릭터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실행 모듈(111)은 예를 들어, 캐릭터를 통해 실제 환경의 길을 걷는 모션을 실사 이미지 표시 영역(60c)에 표시할 수 있으며, 실제 환경에서 볼 수 있는 환경 요소들이 표시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execution (start) menu for the set online course is selected, the service execution module 111 moves to the screen for executing the online course curation, as shown in FIG. , A manipulation area 60a for detecting input information according to a user's course movement manipulation, a map image display area 60b for an online course, and a live image display area 60c for an online course may be output. Here, the manipulation area 60a is an area for detecting a user's movement or a touch input. In addition, the real-life image display area 60c is an area in which a real-world image taken in an actual environment for an online course being executed is displayed, and displays a real-world image mapped to a corresponding location according to the user's course movement operation information, and The user's character may be displayed. At this time, the service execution module 111 may display, for example, a motion of walking a path in an actual environment through a character on the real image display area 60c, and environmental elements visible in the real environment may be displayed. .

그리고 서비스 실행 모듈(111)은 온라인 코스에 대한 실행 메뉴 선택 신호를 감지함에 따라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 실행 화면의 조작 영역(60a)에 "걷기를 시작해주세요"와 같은 알림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rvice execution module 111 may output a notification message such as "Please start walking" on the operation area 60a of the online course curating execution screen as the execution menu selection signal for the online course is detected.

또한,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이 실행되면, 서비스 실행 모듈(111)은 센싱부(160)에 포함된 다양한 센서(예를 들어, 속도 센서, 감압 센서, 자이로 센서 등)를 통해 사용자의 움직임 또는 멀티 터치 방식의 터치 입력(예를 들어, 두 손가락을 번갈아 터치)을 감지하고, 감지된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속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이동 속도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포함한 코스 이동 조작 정보를 실시간으로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비스 실행 모듈(111)은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이동 속도에 연동하여 사용자의 이동 위치가 표시되는 온라인 코스, 온라인 코스에 매핑된 실시 이미지 및 지도 이미지를 포함한 온라인 코스 실행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온라인 코스 실행 정보를 첨부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 실행 화면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online course curating is executed, the service execution module 111 is a user's movement or multi-touch method through various sensors (eg, speed sensor, pressure sensor, gyro sensor, etc.) included in the sensing unit 160. The service device detects a touch input (for example, touches two fingers alternately), calculates the movement speed using the detected sensing information, and provides the calculated movement speed information and the course movement oper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user information in real time. It can be transmitted to 200. Accordingly, the service execution module 111 receives online course execution information from the service device 200 including an online course in which the user's moving location is displayed, an execution image mapped to the online course, and a map image in association with the movement speed, The received online course execution information may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on the online course curating execution screen as illustrated in FIG. 5.

또한, 서비스 실행 모듈(111)은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 실행 화면에 표시된 온라인 코스 상에 이동 속도에 따라 사용자의 이동을 표시하면서,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이동 위치에 상응하는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rvice execution module 111 displays the user's movement according to the movement speed on the online course displayed on the online course curating execution screen, and receives and outputs the online course cura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location from the service device 200. can do.

아울러, 서비스 실행 모듈(111)은 실행되는 온라인 코스를 이동 중 사용자가 온라인 코스 상의 실사 이미지 또는 정보에 대한 특정 입력 신호(예를 들어 두 번 터치 등)가 감지되면, 스크랩 요청 메시지를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rvice execution module 111 sends a scrap request message to the service device when a user detects a specific input signal (for example, a double touch) for actual image or information on the online course while moving the running online course. 200).

또한, 서비스 실행 모듈(111)은 실행되는 온라인 코스를 이동중 사용자가 특정 위치에서 온라인 코스에 대한 메모를 입력하면, 입력된 메모 정보를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하고, 온라인 코스 상의 특정 위치에서 사진 촬영을 요청하면, 특정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사진 촬영 요청 메시지를 서비스 장치(200)ㄹ 전송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rvice execution module 111 transmits the input memo information to the service device 200 when the user inputs a memo on the online course at a specific location while moving the online course to be executed, and transmits the input memo information to the service device 200, and transmits a photo at a specific location on the online course When a photographing is requested, the service device 200 may transmit a photographing request message including information on a specific location.

또한, 서비스 실행 모듈(111)은 온라인 코스를 이동중 사용자가 출력되는 큐레이팅 정보 또는 실사 이미지에서 제공하는 방문할 관광지, 맛집 또는 숙박시설 등을 선택하면, 관련 상세 정보를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실행 모듈(111)은 온라인 코스 실행 중 지도 이미지에서 사용자가 온라인 코스의 경로 또는 인접 지역의 위치를 선택하면, 선택된 위치 정보들을 수집하여 온라인 코스를 재설정하도록 선택된 위치 정보를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rvice execution module 111 receives the relevant detailed information from the service device 200 when selecting a tourist destination, a restaurant, or a lodging facility to be visited provided from the curating information output or the live image provided by the user while moving the online course. Can be printed. In addition, the service execution module 111 collects the selected location information when the user selects the route of the online course or the location of the adjacent area from the map image while the online course is running, and stores the selected location information to reset the online course to the service device 200. Can be transferred to.

그리고 서비스 실행 모듈(111)은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이 종료되면, 온라인 코스에 대한 평가 정보 및 인기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을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실행한 온라인 코스에 대한 평가 정보 및 인기도 정보를 입력 받고, 입력된 평가 정보 및 인기도 정보를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아울러, 서비스 실행 모듈(111)은 설정된 온라인 코스를 소개 시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평가 정보 및 인기도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사용자의 요청이나 정보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며, 현재 상용화되어 있거나 향후 상용화가 가능한 다양한 입력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키보드, 마우스, 조이스틱,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등과 같은 일반적인 입력 장치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여 특정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제스처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온라인 코스의 이동을 위한 사용자 조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하고, 코스 및 시즌 선택 신호 및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 서비스에 관련된 다양한 입력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110)로 전달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online course curation is finished, the service execution module 111 outputs a screen for inputting evaluation information and popularity information for the online course, and receives evaluation information and popularity information for the online course executed by the user. , The input evaluation information and popularity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service device 200. In addition, the service execution module 111 may output evaluation information and popularity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ice device 200 when introducing a set online course. The input unit 120 may generate a user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a user's request or information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and may be implemented as various input means that are commercially available or can be commercialized in the future, for example, a keyboard, a mouse. , A joystick, a touch screen, a touch pad, and the like, as well as a gesture input means for generating a specific input signal by detecting a user's motion. The input unit 120 may generate an input signal according to a user manipulation for moving an online course, generate a course and season selection signal, and various input signals related to an online course curating service, and transmit the generated input signal to the control unit 110.

통신부(130)는 통신망(10)을 통해 서비스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하여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을 위한 메시지들을 송수신한다. 이러한 통신부(130)는 유선 방식 및 무선 방식뿐만 아니라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더하여, 통신부(130)는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통신부(130)는 각각 서로 다른 통신 방식에 따라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복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130)는 온라인 코스(시즌) 선택 및 실행 요청을 위한 메시지를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하고,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환경 구축 정보, 온라인 코스 실행 정보 및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 정보 등을 수신하여 수신된 정보들을 제어부(110)로 전달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30 communicates with the service device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0 to transmit and receive messages for online course curating. The communication unit 130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through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as well as a wired method and a wireless method.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130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using one or more communication methods, and to this end, the communication unit 1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module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ccording to different communication methods. In particular, the communication unit 130 transmits a message for an online course (season) selection and execution request to the service device 200, and receives environment construction information, online course execution information, and online course curating information from the service device 200. The received information may be received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10.

저장부(140)는 단말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들을 저장하며, 특히, 저장부(140)는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환경 구축 정보, 온라인 코스 실행 정보 및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제공된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 서비스에 관련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40)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한다. The storage unit 140 stores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and in particular, the storage unit 140 stores environment construction information, online course execution information, and online course curat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ice device 200. May be stored, and a program for an application related to the online course curating service provided from the service device 200 may be stored. The storage unit 140 is a magnetic medium such as a hard disk, a floppy disk, and a magnetic tape, an optical media such as a 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CD-ROM), and a digital video disk (DVD). , Magnetic-Optical Media, such as a floptical disk, and ROM, RAM (Random Access Memory), and flash memory.

출력부(150)는 단말 장치(100)의 동작 결과나 상태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예를 들면, 화면을 통해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표시부나, 가청음을 출력하는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력부(150)는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을 실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출력할 수 있으며, 특히, 온라인 코스 선택 및 시즌 선택, 온라인 코스 실행에 대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The output unit 150 is a means for providing a user to recognize the operation result or state of the terminal device 100, and includes, for example, a display unit visually outputting through a screen, a speaker outputting an audible sound, and the like. can do. In particular, the output unit 1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output an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for executing online course curating, and in particular, may display a screen for online course selection, season selection, and online course execution. have.

센싱부(160)는 다양한 센서들(예를 들어, 속도 센서, 감압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단말 장치(100)의 터치 입력 신호 또는 사용자의 움직임 등을 감지하여 감지된 입력 정보를 제어부(110)로 전송한다. The sensing unit 160 may include various sensors (for example, a speed sensor, a pressure sensor, a gyro sensor, etc.), and an input sensed by sensing a touch input signal of the terminal device 100 or a user's movement. Th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10.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장치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Next, a configuration of a service device in the online course cura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ervice device for an online course curating ser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서비스 장치(200)는 통신부(210), 온라인 코스 환경 구축부(220),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부(230) 및 저장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service device 20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210, an online course environment construction unit 220, an online course curating unit 230, and a storage unit 240.

통신부(210)는 통신망(10)을 통해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100)와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을 위한 메시지들을 송수신한다. 이러한 통신부(210)는 유선 방식 및 무선 방식뿐만 아니라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더하여, 통신부(210)는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통신부(210)는 각각 서로 다른 통신 방식에 따라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복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210 transmits and receives messages for online course curating with one or more terminal devices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0. The communication unit 210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through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as well as wired and wireless methods.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210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using one or more communication methods, and to this end, the communication unit 2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module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ccording to different communication methods.

온라인 코스 환경 구축부(220)는 온라인 코스를 위한 가상의 환경을 구축할 수 있으며, 특히, 온라인 코스에 대한 환경 구축 정보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온라인 코스에 대한 환경을 구축하고, 구축된 하나 이상의 온라인 코스에 대한 환경 구축 정보를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온라인 코스에 대한 환경 구축 정보는 온라인 코스에 대한 소개 정보 및 환경 정보와, 온라인 코스에 매핑된 지도 이미지 및 실사 이미지 등의 온라인 코스 실행에 관련된 정보 및 온라인 코스를 설명하기 위한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online course environment building unit 220 may build a virtual environment for an online course, and in particular, build an environment for one or more online courses using environment building information for the online course, and build one or more online courses. Environment building information for the at least one terminal device 100 may be provided. Here, the environment building information for the online course is introductory information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about the online course, information related to the online course execution, such as map images and photorealistic images mapped to the online course, and online course curating information for explaining the online course. It may include.

구체적으로, 온라인 코스 환경 구축부(220)는 지역별, 국가별로 기 설정된 지도 데이터를 단말 장치(100)로 전송하고, 단말 장치(100)에서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출력된 지도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지역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지역 정보를 이용하여 온라인 코스를 설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온라인 코스 환경 구축부(220)는 지역 정보를 이용하여 온라인 코스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라인 코스 환경 구축부(220)는 지역 정보에 포함된 출발지 정보 및 목적지 정보를 확인하여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검색하고, 검색된 하나 이상의 경로를 온라인 코스로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온라인 코스 환경 구축부(220)는 지역 정보에 포함된 지도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선택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선택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지역의 걷기 좋은 추천 길을 검색하고, 검색된 하나 이상의 추천 길에 대한 정보를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온라인 코스 환경 구축부(220)는 단말 장치(100)에서 추천 길을 선택하면, 선택된 추천 길의 경로를 온라인 코스로 설정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online course environment building unit 220 transmits map data preset for each region and country to the terminal device 100, and the region selected by the user on the map output using the map data from the terminal device 100 It is possible to receive information and set an online course using the received area information. To this end, the online course environment building unit 220 may set an online course by using local information. For example, the online course environment building unit 220 may search for a route from a departure point to a destination by checking the departure point information and destin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local information, and set one or more of the searched routes as an online course. As another example, the online course environment building unit 220 checks the selected location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on the map included in the area information, searches for a recommended route for walking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location information, and recommends at least one searched Information on the road may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ly, when the terminal device 100 selects a recommended route, the online course environment construction unit 220 may set a route of the selected recommended route as an online course.

또한, 온라인 코스 환경 구축부(220)는 출발지 및 목적지까지의 경로 또는 선택된 추천 길의 경로의 실제 환경에서 촬영한 실사 이미지 및 환경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실사 이미지 및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설정된 온라인 코스의 환경을 구축하고, 온라인 코스에 대한 환경 구축 정보를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nline course environment building unit 220 collects real-life images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photographed in the actual environment of the route to the origin and destination or the route of the selected recommended route, and is set online by using the collected real-image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A course environment may be established, and environment construction information for an online course may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device 100.

한편, 온라인 코스 환경 구축부(220)는 목적지까지의 경로가 하나 이상일 경우, 하나 이상의 온라인 코스를 설정하고, 설정된 온라인 코스 리스트를 생성하여 생성된 온라인 코스 리스트를 단말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온라인 코스 환경 구축부(220)는 단말 장치(100)로부터 온라인 코스 리스트에서 선택된 온라인 코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선택된 온라인 코스의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re is more than one route to the destination, the online course environment building unit 220 may set one or more online courses, generate a set online course list, and provide the generated online course list to the terminal device 100. have. Accordingly, when the online course environment construction unit 220 receives information on the online course selected from the online course list from the terminal device 100, the online course environment construction unit 220 may build the environment of the selected online course.

또한, 온라인 코스 환경 구축부(220)는 설정된 온라인 코스에 상응하는 지도 이미지, 설정된 온라인 코스에 대한 시즌 정보 및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 정보를 온라인 코스에 매핑하여 온라인 코스의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그리고 온라인 코스 환경 구축부(220)는 사용자가 기 설정한 관심 정보에 따라 맞춤형 정보를 구성하고, 구성된 맞춤형 정보를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 정보로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 정보는 온라인 코스에 대한 소개 정보, 지역 정보, 이벤트 정보, 맛집 정보, 관광 정보 및 맞춤형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온라인 코스 환경 구축부(220)는 온라인 코스 설정을 위한 실제 걷기 좋은 길 예를 들어, 올레길, 둘레길, 산택 코스 등 또는 사용자가 쉽게 경험하기 힘든 산, 바다, 계곡 등의 등산 코스 또는 트레킹 코스 등의 실제 환경의 길에 대한 정보(지리 정보 및 환경 정보 등)를 수집하여 해당 위치 정보와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온라인 코스 환경 구축부(220)는 실제 환경의 길에 대한 정보를 시즌별로 구분하여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온라인 코스 환경 구축부(230)는 각 지역의 관공서, 여행사, 기상청, 포털 사이트 등 다양한 정보 매체와 연계하여 정보를 수집하여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온라인 코스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nline course environment building unit 220 may establish an environment of the online course by mapping a map image corresponding to the set online course, season information for the set online course, and online course curating information to the online course. In addition, the online course environment building unit 220 may configure customized information according to interest information preset by the user, and provide the configured customized information as online course curating information. Here, the online course curating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introduction information, region information, event information, restaurant information, tourism information, and customized information about the online course. In addition, the online course environment construction unit 220 is an actual walking path for setting an online course, for example, an Olle trail, a dulle-gil, a santaek course, or a climbing course such as a mountain, sea, or valley tha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easily experience. It is possible to collect information (geographic information, environmental information, etc.) on the path of an actual environment such as a trekking course, map it with corresponding location information, and store it. Here, the online course environment building unit 220 may collect information on a road of an actual environment by dividing each season. In addition, the online course environment construction unit 230 may collect information in connection with various information media such as government offices, travel agencies, meteorological offices, and portal sites in each region, and build an online course environment using the collected information.

또한, 온라인 코스 환경 구축부(220)는 실제 환경의 길에 대한 지리 정보 및 환경 정보뿐만 아니라 실제 환경의 길에 관련한 다양한 정보(예를 들어, 관광 정보, 이벤트 정보, 전설, 사용자가 지정한 관심 정보, 타인이 블로그 등에 올린 정보 등)를 수집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nline course environment building unit 220 includes not only geographic information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on the path of the real environment, but also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path of the real environment (for example, tourist information, event information, legend, user-designated interest information. , Information posted by others on blogs, etc.) can be collected.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부(230)는 단말 장치(100)에서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을 실행되면, 단말 장치(100)로부터 온라인 코스의 이동에 따른 코스 이동 조작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코스 이동 조작 정보에 포함된 이동 속도에 연동하여 온라인 코스 상의 사용자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부(230)는 파악된 사용자 이동 위치에 상응하는 온라인 코스 상에 매핑된 지도 이미지 및 실사 이미지를 추출하여 추출된 지도 이미지 및 실사 이미지와, 사용자 이동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포함한 온라인 코스 실행 정보를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100)로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실사 이미지는 실제 환경 사진 및 동영상 등일 수 있으며, 이동 속도에 연동하여 재생될 수 있다. When the online course curating unit 230 executes the online course curating in the terminal device 100, the online course curating unit 230 receives course movement oper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online course from the terminal device 100, and is included in the received course movement operation information. The user's location on the online course can be identified by linking to the movement speed. In addition, the online course curating unit 230 extracts the map image and the real-life image mapped onto the online course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user's moving location, and includes the extracted map image and real-life image, and location information about the user's moving location. Course execution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one or more terminal devices 100 in real time. Here, the real image may be a picture of an actual environment, a video, and the like, and may be reproduced in conjunction with a moving speed.

그리고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부(230)는 파악된 사용자 이동 위치에 매핑된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 정보 및 온라인 코스 실행에 관련한 정보(실사 이미지 및 지도 이미지 포함)와 함께 온라인 코스 실행 정보에 포함하여 실시간으로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nline course curating unit 230 includes in the online course execution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online course curating information mapped to the identified user movement location 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online course execution (including photorealistic images and map images), and in real time, the terminal device ( 100).

또한,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부(230)는 온라인 코스를 실행하는 사용자가 코스를 완주 즉,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이 종료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이 종료되면,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 결과 정보를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 결과 정보는 온라인 코스의 완주 거리 및 완주 예상 시간(실제 사용자의 걸음에 따라 완주 거리까지 걸릴 수 있는 실제 시간을 산출한 시간), 실행 시간, 온라인 코스상에서 스크랩한 정보, 메모한 정보 및 촬영 이미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부(230)는 완주 시간을 산출하기 위해, GPS 등을 통해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까지 예를 들어, 10m 또는 100m를 이동하는 데 걸린 시간(실제 이동 시간)을 미리 확인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부(230)는 실제 이동 시간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완주 거리까지 소요된 시간 즉, 완주 예상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부(230)는 단말 장치(100)로부터 평상 시 사용자의 걷는 속도를 측정한 정보 즉, 걷기 속도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걷기 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완주 예상 시간을 산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 맞춤형 실제 완주 예상 시간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nline course curating unit 230 may check whether the user executing the online course has completed the course, that is, whether the online course curating has ended. When the online course curating is finished, the online course curating result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device 100 ). Here, the online course curation result information is the completion distance of the online course and the estimated completion time (time calculated by calculating the actual time that can take to the completion distance according to the actual user's steps), execution time, information scrapped from the online course, and memo information. And a photographed image. Here, the online course curating unit 230 identifies the user's location through GPS, etc., in order to calculate the completion time, and the time taken to move, for example, 10m or 100m from one point to another point (actual movement Time) can be checked in advance and saved. Accordingly, the online course curating unit 230 may calculate the time taken to the finish distance, that is, the expected finish time, using information on the actual travel time. In addition, as another example, the online course curating unit 230 receives information obtained by measuring the user's walking speed in normal times from the terminal device 100, that is, walking speed information, and calculates the estimated finish time using the received walking speed information. It can be done, an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user-customized actual estimated time to finish.

아울러,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부(230)는 실행되는 온라인 코스를 이동 중 사용자가 선택한 이미지 또는 정보를 스크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부(230)는 단말 장치(100)의 실행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 또는 정보에 대한 특정 입력 신호(예를 들어 두 번 터치 등)가 감지되어 스크랩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요청된 이미지 또는 정보를 스크랩하여 별도 저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nline course curating unit 230 may scrap the image or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while moving the executed online course. To this end, the online course curating unit 230 detects a specific input signal (for example, a double touch) for an image or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execution screen of the terminal device 100 and receives a scrap request message, the requested image Alternatively, information can be scraped and stored separately.

또한, 실행되는 온라인 코스를 이동 중 사용자가 특정 위치에서 온라인 코스에 대한 메모를 입력하면,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부(230)는 입력된 메모에 대한 정보를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하여 입력된 메모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부(230)는 특정 위치에서 사진 촬영을 요청하면, 특정 위치에 대한 실사 이미지를 이용하여 사진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사진 이미지를 단말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캐릭터가 촬영 위치에 위치한 경우, 캐릭터를 포함한 사진 이미지를 생성하여 단말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부(23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캐릭터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실제 모습이 해당 위치의 실사 이미지에 포함되도록 합성하여 사진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사진 이미지를 단말 장치(100)로 제공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when a user inputs a memo for the online course at a specific location while moving the executed online course, the online course curating unit 230 receives the input memo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device 100 and input memo information Can be saved. In addition, the online course curating unit 230 may generate a photo image by using a real image for a specific location, and provide the generated photo image to the terminal device 100 when a photo shoot is requested at a specific location. In this case, when the user's character is located at the photographing position, a photo image including the character may be generated and provided to the terminal device 100. In addition, the online course curating unit 230 generates a photo image by synthesizing not only the character but also the user's actual image to be included in the actual image of the corresponding location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and provides the generated photo image to the terminal device 100 You may.

또한,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부(230)는 실행되는 온라인 코스를 이동 중 사용자가 출력되는 큐레이팅 정보 또는 실사 이미지에서 제공하는 방문할 관광지, 맛집 또는 숙박시설 등을 선택하면, 관련 상세 정보를 단말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부(230)는 온라인 코스 실행 중 지도 이미지에서 사용자가 온라인 코스의 경로 또는 인접 지역에서 선택한 정보들을 이용하여 온라인 코스 환경 구축부(220)에서 재설정된 코스를 단말 장치(100)의 요청에 따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online course curating unit 230 selects a tourist destination, a restaurant, or a lodging facility to be visited provided by the user from the curating information output or the live image while moving the executed online course, the terminal device 100 ) Can be provided. In addition, the online course curating unit 230 uses the information selected from the route of the online course or the neighboring area from the map image during the execution of the online course, and selects the course reset by the online course environment construction unit 220 of the terminal device 100. Can be provided upon request.

그리고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부(230)는 단말 장치(100)로부터 온라인 코스에 대한 평가 정보 및 인기도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평가 정보 및 인기도 정보를 온라인 코스에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된 평가 정보 및 인기도 정보를 온라인 코스 소개 시 반영하여 단말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nline course curating unit 230 may receive evaluation information and popularity information about the online course from the terminal device 100, map the received evaluation information and popularity information to the online course, and store the stored evaluation information and popularity. Information may be reflected when introducing an online course and provided to the terminal device 100.

저장부(240)는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을 제공하기 위해 관련된 정보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240)는 지도 데이터, 수집된 정보,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의 환경 구축 정보, 온라인 코스 실행 정보 및 부가 정보(스크랩 정보, 메모, 촬영된 사진 이미지, 재설정 코스 정보, 평가 정보, 인기도 정보 등)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240)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한다. The storage unit 240 stores related information to provide online course curation. Specifically, the storage unit 240 includes map data, collected information, environment building information for online course curating, online course execution information and additional information (scrap information, memo, photographed photo images, reset course information, evaluation information, popularity). Information, etc.). The storage unit 240 includes a magnetic medium such as a hard disk, a floppy disk, and a magnetic tape, an optical media such as a 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CD-ROM), and a digital video disk (DVD). ,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a floptical disk, and ROM, RAM (Random Access Memory), and flash memory.

그러면, 이와 같이 구성된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 시스템에서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을 위한 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Then, a method for online course curating in the online course curating system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장치에서의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 서비스를 위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an online course curating service in a servi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1101단계에서 서비스 장치(200)는 지도 데이터를 단말 장치(100)로 전송한다. 1102단계에서 서비스 장치(200)는 지도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지역 정보(입력된 출발지 및 목적지 정보 또는 선택된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이후, 1103단계에서 서비스 장치(200)는 수신된 지역 정보를 이용하여 온라인 코스를 설정하고, 설정된 온라인 코스에 대한 환경을 구축한다. Referring to FIG. 6, in step 1101, the service device 200 transmits map data to the terminal device 100. In step 1102, the service device 200 receives area information (input source and destination information or selected location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on the map. Thereafter, in step 1103, the service device 200 sets an online course using the received area information, and establishes an environment for the set online course.

1104단계에서 서비스 장치(200)는 설정된 온라인 코스에 대한 환경 구축 정보를 단말 장치(100)로 제공한다. In step 1104, the service device 200 provides environment building information for the set online course to the terminal device 100.

이후, 1105단계에서 서비스 장치(200)는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 실행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단말 장치(100)에서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을 실행하면, 1106단계에서 서비스 장치(200)는 단말 장치(100)로부터 코스 이동 조작 정보를 수신하고, 1108단계에서 서비스 장치(200)는 수신된 코스 이동 조작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의 이동 속도에 따라 현재 온라인 코스 상에서의 사용자 위치를 파악한다. Thereafter, in step 1105, the service device 200 checks whether or not the online course curating is executed. As a result of checking, if the terminal device 100 executes the online course curating, the service device 200 receives the course movement operation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device 100 in step 1106, and the service device 200 receives the received course movement information in step 1108. The location of the user on the current online cours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movement speed of the user included in the course movement operation information.

이에 따라 1109단계에서 서비스 장치(200)는 파악된 사용자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실사 이미지, 지도 이미지 및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 정보를 포함하는 온라인 코스 실행 정보를 단말 장치(100)로 전송한다. 이때, 서비스 장치(200)는 단말 장치(100)로부터 스크랩 정보, 메모, 촬영 이미지 또는 기타 선택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부가 정보를 단말 장치(100)로 제공할 수도 있다. Accordingly, in step 1109, the service device 200 transmits, to the terminal device 100, online course execution information including a live image, a map image, and online course cura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user location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service device 200 may receive scrap information, a memo, a photographed image, or other selection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device 100, and may provide additional information according to this to the terminal device 100.

이후, 1110단계에서 서비스 장치(200)는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이 종료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이 종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1107단계로 진행하여 이후 단계를 수행한다. 반면,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이 종료된 경우, 1111단계에서 서비스 장치(200)는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 결과 정보를 단말 장치(100)로 전송한다. Thereafter, in step 1110, the service device 200 checks whether the online course curating has ended, and if the online course curating has not ended, proceeds to step 1107 to perform subsequent steps. On the other hand, when the online course curating is finished, the service device 200 transmits the result information of the online course curating to the terminal device 100 in step 1111.

이와 같이 서비스 장치(200)에서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을 제공함에 따라 단말 장치에서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As described above, as the service device 200 provides online course curation, a method for executing the online course curation in the terminal devic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장치에서의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executing an online course curating service in a servi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1201단계에서 단말 장치(100)는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제공받은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1202단계에서 단말 장치(100)는 서비스 장치(100)에서 수신된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온라인 코스 선택을 위한 지도를 출력한다. Referring to FIG. 7, in step 1201, the terminal device 100 executes an application for curating online courses provided from the service device 200, and in step 1202, the terminal device 100 A map for online course selection is output on the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using the map data.

이에 따라 1203단계에서 단말 장치(100)는 지도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온라인 코스 설정을 위한 지역 정보를 선택 받고, 선택된 지역 정보를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한다. 이때, 단말 장치(100)는 서비스 장치(200)에서 지역 정보를 이용하여 설정된 온라인 코스가 하나 이상인 경우 온라인 코스 리스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단말 장치(100)는 온라인 코스 리스트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온라인 코스 정보를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아울러, 단말 장치(100)는 설정된 온라인 코스 정보의 시즌 정보를 선택 받아 선택된 시즌 정보를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Accordingly, in step 1203, the terminal device 100 receives area information for online course setting by the user on the map, and transmits the selected area information to the service device 200. In this case, the terminal device 100 may receive an online course list when there is at least one online course set by the service device 200 using the area information. Then, the terminal device 100 may transmit the online course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from the online course list to the service device 200. In addition, the terminal device 100 may select season information of the set online course information and transmit the selected season information to the service device 200.

이후, 1204단계에서 단말 장치(100)는 설정된 온라인 코스에 대한 환경 구축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Thereafter, in step 1204, the terminal device 100 may receive and output environment establishment information for the set online course.

그런 다음 1205단계에서 단말 장치(100)는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 실행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이 실행되면, 1206단계에서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의 움직임 또는 멀티 터치 방식의 터치 입력 신호를 감지하여 감지된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이동 속도를 실시간으로 산출하고, 산출된 이동 속도 및 사용자 정보를 포함한 코스 이동 조작 정보를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첨부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조작 영역(60a)을 두 손가락으로 번갈아 터치하는 경우, 단말 장치(100)는 조작 영역(60a)에 연결된 압력 센서를 통해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속도 센서를 통해 터치 입력에 따른 속도를 감지하고, 이렇게 감지된 터치 속도를 사용자의 이동 속도로 산출할 수 있다. Then, in step 1205, the terminal device 100 checks whether or not the online course curating is executed. As a result of the confirmation, if the online course curating is executed, in step 1206, the terminal device 100 detects the user's movement or a multi-touch type touch input signal and calculates the user's movement speed in real time using the sensed sensing information, The course movement oper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calculated movement speed and user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service device 200. For example, when a user alternately touches the manipulation area 60a as shown in FIG. 5 with two fingers, the terminal device 100 senses the touch input through a pressure sensor connected to the manipulation area 60a. Then, the speed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may be sensed through the speed sensor, and the sensed touch speed may be calculated as the user's moving speed.

이에 따라 1207단계에서 단말 장치(100)는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전송한 코스 이동 조작 정보를 이용하여 확인된 사용자 이동 위치에 매핑된 지도 이미지 및 실사 이미지와,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 정보를 포함한 온라인 코스 실행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수신된 온라인 코스 실행 정보를 온라인 코스 실행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단말 장치(100)는 이동 속도에 연동하여 실사 이미지를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100)는 첨부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된 지도 이미지를 지도 이미지 영역(60b)에 표시하고, 지도 이미지 영역(60b)에 현재 주행중인 온라인 코스를 표시하고, 표시된 온라인 코스상에 사용자 이동 위치에 대한 정보에 따라 해당 온라인 코스에 사용자의 캐릭터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이동 위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거리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단말 장치(100)는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해당 온라인 코스에 매핑된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 정보를 시각적 및 청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 정보는 지도 이미지 영역(60b) 또는 실사 이미지 영역(60c)에 팝업창 또는 메모장 형태로 표시되거나 음성으로 출력될 수 있다. Accordingly, in step 1207, the terminal device 100 executes an online course including a map image and a photorealistic image mapped to the user's moving location identified using the course movement manipul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rvice device 200, and online course curating information. Information can be received in real time, and the received online course execution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on the online course execution screen. In this case, the terminal device 100 may reproduce the real image in connection with the movement speed. For example, the terminal device 100 displays the received map image in the map image area 60b, and displays the currently running online course in the map image area 60b, as shown in FIG. 5. , On the displayed online course, the user's character may be displayed on the corresponding online course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on the user's moving position, and the moving distance may be displayed using the information on the user's moving position. In this case, the terminal device 100 may visually and aurally output online course curating information mapped to the corresponding online course from the service device 200. The online course curating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in the form of a pop-up window or a notepad in the map image area 60b or the actual image area 60c, or may be output as a voice.

그런 다음 1208단계에서 단말 장치(100)는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이 종료되었는지를 확인하여 종료된 경우, 1209단계에서 단말 장치(100)는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 결과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 결과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Then, in step 1208, when the terminal device 100 checks whether the online course curating has ended and is terminated, in step 1209, the terminal device 100 receives the online course curating result information from the service device 200 and Course curating result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한편,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Meanwhile, the recorded program instructions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usable to those skilled in computer software. For example, the recording medium is a magnetic medium such as a hard disk, a floppy disk, and a magnetic tape, an optical medium such as a CD-ROM (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a digital video disk (DVD), and a floppy disk. Magnetic-Optical Media, such as a floptical disk, and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ndom Access Memory (RAM), Flash memory, etc. do.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may include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as well as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Such a hardwar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merely presented as specific examples to aid understanding,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at other modified example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본 발명은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 서비스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지도 상에서 선택한 실제 길과 같이 온라인 코스를 설정하여 사용자의 이동 위치에 따라 실사 이미지 및 지도 이미지와 함께 온라인 코스를 설명하기 위한 큐레이팅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가상의 공간에서 실제 환경의 길을 현실감 있게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실제로 온라인 코스의 길을 가보지 않고도 미리 답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므로 실제 답사에 필요한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으며, 설정된 온라인 코스의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nline course curating service method, an apparatus and a system for the sam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nline course curating service method, an apparatus and a system for the same. By providing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opportunity for users to realistically experience the path of the real environment in a virtual space, and it is possible to enable users to explore in advance without actually going on the path of an online course. It can save money and time, and has industrial applicability that can provide accurate information of set online courses.

10: 통신망 100: 단말 장치 110: 제어부
111: 서비스 실행부 120: 입력부 130: 통신부
140: 저장부 150: 출력부 160: 센싱부
200: 서비스 장치 210: 통신부 220: 온라인 코스 환경 구축부
230: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부 240: 저장부
10: communication network 100: terminal device 110: control unit
111: service execution unit 120: input unit 130: communication unit
140: storage unit 150: output unit 160: sensing unit
200: service device 210: communication unit 220: online course environment construction unit
230: online course curating unit 240: storage unit

Claims (17)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와 코스 큐레이팅을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와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단말 장치에서 출력되는 지도 상에서 선택된 지역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지역 정보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온라인 코스를 설정하고, 설정된 온라인 코스에 상응하는 지도 이미지, 실제 환경에서 촬영한 실사 이미지 및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 정보를 이용하여 온라인 코스 환경을 구축하고, 온라인 코스 환경 구축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온라인 코스 환경 구축부; 및
상기 통신부 및 상기 온라인 코스 환경 구축부와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단말 장치에서 상기 설정된 온라인 코스에 대한 큐레이팅이 실행되면,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코스 이동 조작 정보에 따라 파악된 사용자 이동 위치에 상응하는 지도 이미지, 실사 이미지 및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 정보를 포함한 온라인 코스 실행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부; 를 포함하고,
상기 온라인 코스 환경 구축부는,
상기 온라인 코스를 시즌 별로 설정하고, 상기 시즌 별로 설정된 온라인 코스에 시즌 별로 촬영된 실사 이미지, 시즌 별 수집된 환경 정보 및 시즌 별 설정된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for course curating with one or more terminal devices;
It is functionally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receives area information selected on a map output from the terminal device, sets one or more online courses using the received area information, map image corresponding to the set online course, in an actual environment An online course environment construction unit for constructing an online course environment using the photographed real-life image and online course curating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online course environment construction information to the terminal device; And
When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online course environment building unit are functionally connected, and when curating for the set online course is executed in the terminal device, the user movement position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ourse movement oper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device. An online course curating unit for transmitting online course execution information including a map image, a live image, and online course curating information to the terminal device; Including,
The online course environment building unit,
The online course is set for each season, and the live-action image photographed for each season, the environment information collected for each season, and the online course curating information set for each season are mapped and stored in the online course set for each seas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서비스 장치로부터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을 제공 받기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와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서비스 장치로부터 수신된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온라인 코스를 선택하기 위한 지도를 출력하고, 상기 지도 상에서 선택된 지역 정보를 상기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지역 정보를 이용하여 설정된 온라인 코스에 대한 환경 구축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며, 상기 설정된 온라인 코스에 대한 큐레이팅이 실행되면, 상기 온라인 코스를 이동하는 사용자의 이동 위치에 상응하는 지도 이미지, 실사 이미지 및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 정보를 포함하는 온라인 코스 실행 정보를 상기 서비스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에 대한 실행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실사 이미지, 상기 지도 이미지 및 상기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에서 상기 선택된 온라인 코스에 대한 시즌 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시즌 정보에 따른 실사 이미지, 환경 정보 및 온라인 코스 큐레이팅 정보를 포함한 온라인 코스 코스 실행 정보를 상기 서비스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for receiving online course curating from a service device;
It is functionally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outputs a map for selecting an online course using map data received from the service device, transmits area information selected on the map to the service device, and uses the area information Receives and outputs environment building information for a set online course, and when curating for the set online course is executed, a map image corresponding to the moving location of the user moving the online course, a photorealistic image, and online course curating information are include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receive and output online course execution information from the service device; And
An output unit that is function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to output an execution screen for the online course curating, and outputs the actual image, the map image, and the online course curating information; Including,
When the season information for the selected online course is selected in the at least one terminal device, receiving and outputting online course course execution information including live image, environment information, and online course cura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elected season information from the service device A termin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30094211A 2013-08-08 2013-08-08 Apparatus for prviding online course curating service KR1021432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4211A KR102143239B1 (en) 2013-08-08 2013-08-08 Apparatus for prviding online course curating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4211A KR102143239B1 (en) 2013-08-08 2013-08-08 Apparatus for prviding online course curating ser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8676A KR20150018676A (en) 2015-02-24
KR102143239B1 true KR102143239B1 (en) 2020-08-10

Family

ID=52578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4211A KR102143239B1 (en) 2013-08-08 2013-08-08 Apparatus for prviding online course curating ser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323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1827B1 (en) 2019-07-19 2020-01-30 주식회사 빛글 system of curating using light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WO2024071657A1 (en) * 2022-09-30 2024-04-04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1134A (en) 2001-08-03 2001-08-29 지송학 racing game of creation and action at internet
KR100934499B1 (en) * 2008-02-29 2009-12-30 (주)인사이드알에프 Guidance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and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8676A (en) 2015-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04490B2 (en) GAME SYSTEM AND GAME PROGRAM
TWI575224B (en) A navigation device, methods for providing navigation instructions on a device and related non-transitory machine readable mediums
US10318104B2 (en) Navigation application with adaptive instruction text
CN105191387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mapping application with steering navigation mode
AU2013272077B2 (en) Navigation application
US8880336B2 (en) 3D navigation
US9404766B2 (en) Navigation peek ahead and behind in a navigation application
US9319831B2 (en) Mapping application with automatic stepping capabilities
US9146125B2 (en) Navigation application with adaptive display of graphical directional indicators
CN102227611B (en) For providing the method and apparatus of the cursor of context data in instruction drawing application
CN107102833B (en) Line information interaction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CN106536320A (en) Modeling connectivity of transit systems
US20120303265A1 (en) Navigation system with assistance for making multiple turns in a short distance
US9459115B1 (en) Unobstructed map navigation using animation
JP2022550702A (en) Virtual prop allocation method and related device
CN107735648A (en) Traffic notifications during navigation
CN111325849A (en) Virtual content display method and device, terminal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102143239B1 (en) Apparatus for prviding online course curating service
KR101880168B1 (en) Real-time map data updating method
CN108763414B (en) Live-action display method and device, terminal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JP5527005B2 (en) POSITION ESTIMATION DEVICE, POSITION ESTIMATION METHOD, AND POSITION ESTIMATION PROGRAM
Mulloni et al. Enhancing handheld navigation systems with augmented reality
KR20180083298A (en) Real-time map data updating method
KR101198813B1 (en) Mobile device, method for road guide, recording medium
KR101340885B1 (en) Information content managing server,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cont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