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9746B1 -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9746B1
KR102139746B1 KR1020150102949A KR20150102949A KR102139746B1 KR 102139746 B1 KR102139746 B1 KR 102139746B1 KR 1020150102949 A KR1020150102949 A KR 1020150102949A KR 20150102949 A KR20150102949 A KR 20150102949A KR 102139746 B1 KR102139746 B1 KR 102139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light
transparent display
uni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29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11048A (en
Inventor
차경훈
강기형
김종현
염지운
이병호
이창건
홍종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2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9746B1/en
Publication of KR20170011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10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9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974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34Stereoscopes providing a stereoscopic pair of separated images corresponding to parallactically displaced views of the same object, e.g. 3D slide viewers
    • G02B30/35Stereoscopes providing a stereoscopic pair of separated images corresponding to parallactically displaced views of the same object, e.g. 3D slide viewers using reflective optical elements in the optical path between the images and the observ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2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between the light guide and the light source, or around the light source
    • G02B6/0031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픽셀을 포함하며, 서로 다른 시점의 영상이 기설정된 배치 패턴으로 배치된 영상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 및 이미지 패널부의 후면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광의 적어도 일부는 투과시키고 적어도 일부는 반사시키는 투명 광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투명 광 가이드부는, 반사되는 광이 기설정된 방향으로 굴절되어 서로 다른 시점의 영상이 서로 다른 시청 영역에서 제공되도록 동작한다.A transparent display device is disclosed.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pixels, and is disposed on a rear surface of a transparent display panel unit and an image panel unit that displays an image frame in which images of different viewpoints are arranged in a predetermined arrangement pattern, and at least of light provided from the outside. A transparent light guide unit that partially transmits and at least partially reflects, and the transparent light guide unit operates such that reflected light is refract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so that images of different viewpoints are provided in different viewing areas.

Description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THEREOF}Transparent display device and its display method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3D 영상을 제공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and a display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and a display method for providing a 3D image.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유형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은 차세대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연구 논의가 가속화되고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technology, various types of display devices are used in various fields. In particular, research discussions on next-generation display devices, such as transparent display devices, have recently been accelerated.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란 투명한 성질을 가져서 장치 뒤쪽 배경이 그대로 미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의미한다. 종래에는 실리콘(Si), 갈륨비소(GaAs) 등과 같은 불투명 반도체 화합물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작하였으나, 기존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여서는 구현할 수 없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생기면서, 이러한 요구에 부합하는 새로운 형태의 전자 소자에 대한 개발 노력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노력 하에 개발된 것 중 하나가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이다.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means a display device having a transparent property and the background behind the device is intact. Conventionally, a display panel was manufactured using an opaque semiconductor compound such as silicon (Si), gallium arsenide (GaAs), etc. However, there is a need for various display services that cannot be realized using an existing display panel, and thus meets these demands. Efforts have been made to develop new types of electronic devices. One of the things developed under these efforts is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는 투명한 산화물 반도체 막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되어, 투명한 성질을 가지게 된다.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할 경우 사용자는 장치 뒤쪽에 위치하는 후면 배경을 보면서, 필요한 정보를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화면을 통해 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기존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가지고 있는 공간적, 시간적 제약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is implemented in a form including a transparent oxide semiconductor film, and has transparent properties. In the case of using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a user can view necessary background information through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screen while looking at a rear background located behind the device. Therefore, the spatial and temporal constraints of the existing display devices can be eliminated.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는 투명한 성질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통해서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때문에, 후면에 비치는 실제 사물의 모습과 디스플레이된 정보가 조화를 이루게 된다.Since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display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through a display unit having a transparent property, the appearance of the real object reflected on the back and the displayed information are in harmony.

한편, 이러한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3D 영상을 제공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투사 광학계를 이용하였으나, 시스템의 부피가 크고 물체 및 영상의 투과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Meanwhile, in order to provide a 3D image in such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a projection optical system has been conventionally used,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ystem is bulky and the transmittance of objects and images is low.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반사 선택적 집적 영상 소자를 이용하여 3D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 accordance with the above-mentioned need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and a display method capable of providing a 3D image using a reflective selective integrated image device.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픽셀을 포함하며, 서로 다른 시점의 영상이 기설정된 배치 패턴으로 배치된 영상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 및 상기 이미지 패널부의 후면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광의 적어도 일부는 투과시키고 적어도 일부는 반사시키는 투명 광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투명 광 가이드부는, 상기 반사되는 광이 기설정된 방향으로 굴절되어 상기 서로 다른 시점의 영상이 서로 다른 시청 영역에서 제공되도록 동작한다.A transpar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plurality of pixels, and a transparent display panel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frame in which images of different viewpoints are arranged in a predetermined arrangement pattern And a transparent light guide unit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image panel unit to transmit at least a portion of light provided from the outside and at least partially reflect the transparent light guide unit, wherein the reflected light is refract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It operates so that images of different viewpoints are provided in different viewing areas.

이 경우, 상기 투명 광 가이드부는, 복수의 오목 반거울 또는 복수의 볼록 반거울이 2차원 형태로 배열되어 있는 반거울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transparent light guide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cave half mirrors or a plurality of convex half mirrors arranged in a two-dimensional shape.

이 경우, 상기 투명 광 가이드부는, 상기 반거울 어레이가 빛을 투과시키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판에 삽입되어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반사선택적 집적 영상 소자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transparent light guide unit may be a reflective selective integrated image device in a form in which the semi-mirror array is inserted in a plat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hat transmits light.

또한, 상기 반거울 어레이에 포함되는 복수의 오목 반거울 또는 복수의 볼록 반거울은, 각각 서로 다른 구경 및 초점 거리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concave half mirrors or the plurality of convex half mirrors included in the half mirror array may have different apertures and focal lengths, respectively.

또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 및 상기 광 가이드부 사이에 위치하여 특정 편광 방향의 광을 투과시키는 편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polarization part positioned between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part and the light guide part to transmit light in a specific polarization direction may be further included.

또한, 상기 반거울 어레이는, 일 측면에 금속 박막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금속 박막의 두께에 따라 빛의 투과율 및 반사율이 달라질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emi-mirror array, a metal thin film is formed on one side, and light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may vary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metal thin film.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광을 제공하는 광원 장치 및 복수의 픽셀을 포함하며, 서로 다른 시점의 영상이 기설정된 배치 패턴으로 배치된 영상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 및 상기 이미지 패널부의 후면에 배치되어, 상기 광원 장치로 제공되는 광의 적어도 일부는 투과시키고 적어도 일부는 반사시키는 투명 광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투명 광 가이드부는, 상기 반사되는 광이 기설정된 방향으로 굴절되어 상기 서로 다른 시점의 영상이 서로 다른 시청 영역에서 제공되도록 동작한다.On the other hand, the 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ght source device for providing light and a plurality of pixels, and a transparent display panel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frame in which images of different viewpoints are arranged in a predetermined arrangement pattern. And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disposed on a rear surface of the image panel unit to transmit at least a portion of light provided to the light source device and reflect at least a portion of the light, wherein the transparent light guide unit includes the reflected light. The image is refracted in the predetermined direction to operate so that images from different viewpoints are provided in different viewing areas.

이 경우, 상기 투명 광 가이드부는, 복수의 오목 반거울 또는 복수의 볼록 반거울이 2차원 형태로 배열되어 있는 반거울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transparent light guide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cave half mirrors or a plurality of convex half mirrors arranged in a two-dimensional shape.

이 경우, 상기 투명 광 가이드부는, 상기 반거울 어레이가 빛을 투과시키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판에 삽입되어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반사선택적 집적 영상 소자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transparent light guide unit may be a reflective selective integrated image device in a form in which the semi-mirror array is inserted in a plat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hat transmits light.

또한, 상기 반거울 어레이에 포함되는 복수의 오목 반거울 또는 복수의 볼록 반거울은, 각각 서로 다른 구경 및 초점 거리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concave half mirrors or the plurality of convex half mirrors included in the half mirror array may have different apertures and focal lengths, respectively.

또한, 상기 반거울 어레이는, 일 측면에 금속 박막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금속 박막의 두께에 따라 빛의 투과율 및 반사율이 달라질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emi-mirror array, a metal thin film is formed on one side, and light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may vary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metal thin film.

또한, 상기 광원 장치는, 상기 광을 제공하는 광원부 및 상기 광원부의 전면에 위치하여 제1 편광 방향의 광을 투과시키는 제1 편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 및 상기 광 가이드부 사이에 위치하여 제1 편광 방향과 다른 제2 편광 방향의 광을 투과시키는 제2 편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ght source device includes a light source unit providing the light and a first polarization unit position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light source unit to transmit light in a first polarization direction, and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includes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unit and the A second polarization unit positioned between the light guide units and transmitting light in a second polarization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polarization direction may be further included.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는, 반사 선택적 집적 영상 소자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물체 투과도 및 영상 투과도를 갖는 3D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may provide a 3D image having object transmittance and image transmittance desired by a user by using a reflective selective integrated image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 및 3b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역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 가이드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편광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의 물체 투과도 및 영상 재생 효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사 선택적 집적 영상 소자의 반사도에 따른 물체 투과도 및 영상 재생 효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for forming a viewing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are views showing the structure of a light guid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and 5B are diagrams for describing an operation of a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diagrams for explaining object transmission and image reproduction efficiency of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object transmittance and image reproduction efficiency according to reflectivity of a reflective selective integrated im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의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TV, 모니터, 휴대폰, PDA, PC, 셋탑 PC, 태블릿 PC, 전자 액자, 키오스크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 of FIG. 1 may be implemented as various types of display devices such as TVs, monitors, mobile phones, PDAs, PCs, set-top PCs, tablet PCs, electronic picture frames, kiosks, and the like.

도 1에 따르면,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110) 및 투명 광 가이드 부(120)를 포함한다.According to FIG. 1,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 includes a transparent display panel unit 110 and a transparent light guide unit 120.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110)는 인가 전압에 따른 액정 투과도의 변화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전기적인 정보를 시각정보로 변화시켜 전달하는 구성으로, 투명 박막(TFT) 트랜지스터와 화소 전극이 배열된 하판과 색상을 나타내기 위한 컬러 필터 및 투명 공통 전극으로 구성된 상판, 그리고 이 두 유리기판 사이에 채워져 있는 액정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두 유리기판의 양쪽 면에는 가시광선(자연광)을 선편광하여 주는 편광판이 각각 부착되어 있다. 상하판 전극 사이에 있는 액정으로 인해 축전기(capacitor) 및 보조 축전기가 형성되어 영상 정보를 표현한다.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110 is configured to change and transmit various electrical information as visual information by using a change in liquid crystal transmittance according to an applied voltage, and a color and a lower panel in which a transparent thin film (TFT) transistor and a pixel electrode are arranged. It can be composed of a liquid crystal filled between the two glass substrates, and a top plate composed of a color filter and a transparent common electrode for indicating. In addition, polarizing plates for linearly polarizing visible light (natural light) are attached to both surfaces of the two glass substrates. A capacitor and an auxiliary capacitor are formed due to the liquid crystal between the upper and lower electrodes to express image information.

투명 박막 트랜지스터(미도시)는 기존 박막 트랜지스터의 불투명한 실리콘을 투명한 아연산화물, 산화 티타늄 등과 같은 투명 물질로 대체하여 제작한 트랜지스터를 말하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110)의 레이어를 형성한다. 투명 박막 트랜지스터층(미도시) 내에는 소스, 게이트, 드레인이 마련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표면의 전체 영역에 고르게 분포된 복수 개의 투명 트랜지스터가 마련된다.The transparent thin film transistor (not shown) refers to a transistor manufactured by replacing the opaque silicon of the existing thin film transistor with a transparent material such as transparent zinc oxide or titanium oxide, and forms a layer of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110. Sources, gates, and drains may be provided in the transparent thin film transistor layer (not shown), and a plurality of transparent transistors evenly distributed over the entire area of the display surface may be provided.

투명 전극(미도시)은 각각 복수 개의 라인 전극을 포함하며, 라인 전극의 정렬 방향은 서로 수직하게 형성된다. 가령, 제1 투명 전극의 라인 전극들이 가로 방향으로 배열되었다면, 제2 투명 전극의 라인 전극들은 세로 방향으로 배열된다. 이에 따라, 제1 투명 전극 및 제2 투명 전극 간에는 복수의 교차 영역이 형성된다. 각 교차 영역에는 투명 박막 트랜지스터가 연결된다.Each of the transparent electrodes (not shown) includes a plurality of line electrodes, and alignment directions of the line electrodes are formed perpendicular to each other. For example, if the line electrodes of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are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line electrodes of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ar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ly, a plurality of crossing regions are formed between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A transparent thin film transistor is connected to each crossing region.

투명 전극으로는 ITO(indium tin oxide)가 사용될 수 있다. 또는, 그래핀과 같은 신소재가 사용될 수도 있다. 그래핀이란 탄소원자가 서로 연결돼 벌집 모양의 평면 구조를 이루며 투명한 성질을 가지는 물질을 의미한다.Indium tin oxide (ITO) may be used as the transparent electrode. Alternatively, new materials such as graphene may be used. Graphene refers to a material having transparent properties with a carbon atom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honeycomb plane.

화소를 이루고 있는 투명 TFT의 게이트에 전압을 인가하여 트랜지스터를 turn-on 상태로 만들면 액정에 영상전압이 입력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영상전압을 인가하여 액정에 영상정보를 저장한 뒤 트랜지스터를 turn-off 하면 액정 충전기 및 보조 충전기에 저장된 전하가 일정한 시간 동안 영상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한다. 액정에 전압을 인가하면 액정의 배열이 변화하는데 이 상태의 액정에 빛이 지나가면 회절이 일어나고, 이 빛을 편광판에 투과시켜 원하는 영상을 얻는다.When a voltage is applied to the gate of the transparent TFT constituting the pixel to turn the transistor into a turn-on state, an image voltage is input to the liquid crystal. And when the image voltage is applied to store the image information in the liquid crystal and the transistor is turned off, the charge stored in the liquid crystal charger and the auxiliary charger displays the image imag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When a voltage is applied to the liquid crystal, the arrangement of the liquid crystal changes. When light passes through the liquid crystal in this state, diffraction occurs, and the light is transmitted through the polarizing plate to obtain a desired image.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110)는 복수의 서브 픽셀로 구성된 복수의 픽셀을 포함한다. 여기서, 서브 픽셀은 R(Red), G(Green), B(Blue)로 구성될 수 있다. 즉, R, G, B의 서브 픽셀로 구성된 픽셀이 복수의 행 및 열 방향으로 배열되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110)를 구성할 수 있다.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unit 110 includes a plurality of pixel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ub-pixels. Here, the sub-pixel may be composed of R (Red), G (Green), and B (Blue). That is, pixels composed of R, G, and B sub-pixels may be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 and column directions to form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110.

그리고,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110)는 영상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한다. 구체적으로, 이미지 패널부(111)는 다시점 영상이 기설정된 배치 패턴으로 배치된 영상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한다. Then,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unit 110 displays an image frame. Specifically, the image panel unit 111 displays an image frame in which a multi-view image is arranged in a predetermined arrangement pattern.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110)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광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110)의 각 픽셀로 입사되면, 영상 신호에 따라 각 픽셀로 입사된 광에 대한 투과율을 조절하여 영상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한다. 구체적으로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110)는 액정층 및 그 액정층의 양 표면에 형성된 두 개의 전극을 포함한다. 두 전극에 전압이 인가되면, 전기장이 생성되어 두 전극 사이의 액정 층의 분자를 움직여서 광의 투과율이 조정된다. When the light provided from the outside is incident on each pixel of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110,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110 controls the transmittance of light incident on each pixel according to an image signal to display an image frame. Specifically,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unit 110 includes a liquid crystal layer and two electrodes formed on both surfaces of the liquid crystal layer. When a voltage is applied to both electrodes, an electric field is generated, and the light transmittance is adjusted by moving molecules in the liquid crystal layer between the two electrodes.

또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110)는 자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OLED 패널로 구현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이미지 패널부(110)에는 복수의 화소가 배열되고, 각 화소는 전류의 흐름에 대응하여 빛을 발광하는 자발광 소자, 자발광 소자에 전류를 공급하는 ELVDD 및 자발광 소자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구동 트랜지스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자발광 소자는 유기발광다이오드가 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화소 각각은 RGB 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RGB 화소 각각은 동시 발광하거나, 순차적으로 발광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unit 110 may be embodied as an OLED panel including a self-luminous element. Specifically, a plurality of pixels are arranged in the image panel unit 110, and each pixel is supplied to a self-emitting device that emits light in response to a current flow, ELVDD that supplies current to the self-emitting device, and a self-emitting device. And a driving transistor for controlling the current. Here, the self-luminous element may be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Meanwhile, each of the plurality of pixels may include RGB pixels, and each of the RGB pixels may emit light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투명 광 가이드부(120)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110)의 후면에 배치된다. 이 경우, 투명 광 가이드부(120)는 반사선택적 집적 영상 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반사 선택적 집적 영상 소자는 전체적으로 투명한 매질로 이루어진 판의 형태를 가지며, 복수의 반거울이 2차원 어레이의 형태로 삽입되어 있다. 반거울들은 X축 및 Y축으로 복수개 배열되는 2차원 어레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반거울들은 오목 거울로 이루어지거나 볼록 거울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각의 오목 거울 또는 볼록 거울은 일반적으로 동일한 구경 및 초점 거리를 갖는다. 다만, 좀 더 좋은 성능을 확보하기 위하여 측면으로 입사된 광을 보정하기 위하여 각각의 오목 거울 또는 볼록 거울은 서로 다른 구경 및 초점 거리를 가질 수 있다.The transparent light guide unit 120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unit 110. In this case, the transparent light guide unit 120 may be implemented as a reflective selective integrated image device. The reflective selective integrated image device has a plate shape made of a transparent medium as a whole, and a plurality of half mirrors are inserted in the form of a two-dimensional array. The semi-mirrors may be formed in a two-dimensional array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X- and Y-axes are arranged. In this case, the semi-mirrors may be made of concave mirrors or convex mirrors, and each concave mirror or convex mirror generally has the same aperture and focal length. However, each concave mirror or convex mirror may have a different aperture and focal length in order to correct light incident on the side in order to secure better performance.

투명 광 가이드부(120)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광의 적어도 일부는 투과시키고 적어도 일부는 반사시킬 수 있다. 투명 광 가이드부(120)의 투과율 및 반사율은 금속 박막의 두께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투명 광 가이드부(120)의 투과율 및 반사율에 대한 내용은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The transparent light guide unit 120 may transmit at least a portion of light provided from the outside and reflect at least a portion. The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of the transparent light guide unit 120 may be determined by the thickness of the metal thin film, and details of the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of the specific transparent light guide unit 120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4.

또한, 투명 광 가이드부(120)는 반사되는 광이 기설정된 방향으로 굴절되어 서로 다른 시점의 영상이 서로 다른 시청영역에서 제공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투명 광 가이드부(120)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11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서로 다른 시점의 영상을 서로 다른 각도로 굴절시키고, 소위 시청 거리라 하는 일정한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가령, 약 3m)에 포커스된 영상을 제공한다. 이러한 영상이 형성되는 위치를 시청 영역(또는 광학 뷰)이라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한쪽 눈이 하나의 제1 시청 영역에 위치하고, 다른 쪽 눈이 제2 시청 영역에 위치하면 입체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transparent light guide unit 120 may operate such that reflected light is refract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so that images of different viewpoints are provided in different viewing areas. Specifically, the transparent light guide unit 120 refracts images of different viewpoints displayed on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unit 110 at different angles, and is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such as a viewing distance (for example, about 3m). Provides a focused image. The position where the image is formed is called a viewing area (or optical view). Accordingly, when one eye of the user is located in one first viewing area and the other eye is located in the second viewing area, a three-dimensional effect can be felt.

한편, 도 1에서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110) 및 투명 광 가이드부(120)만을 도시하였으나,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타 구성 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가령, 외부의 저장 매체, 방송국, 웹 서버 등과 같은 각종 외부 장치로부터 영상과 영상의 뎁스(Depth) 정보를 수신하는 영상 수신부, 수신된 영상과 영상의 깊이 정보에 기초하여 다시점 영상을 렌더링하는 렌더링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although only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110 and the transparent light guide 120 are illustrated in FIG. 1, other components for performing a display function in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 may be further included. For example, an image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image and image depth information from various external devices such as an external storage medium, a broadcasting station, a web server, and a rendering that renders a multiview image based on the received image and image depth informa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wealth.

구체적으로, 영상 수신부(미도시)는 외부의 저장 매체, 방송국, 웹 서버 등과 같은 각종 외부 장치로부터 영상을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입력되는 영상은 단일 시점 영상, 스테레오(Stero) 영상, 다시점 영상 중 어느 하나의 영상이다. 단일 시점 영상은 일반적인 촬영 장치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며, 스테레오 영상(Stereoscopic image)은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만으로 표현된 3차원 비디오 영상으로, 스테레오 촬영 장치에 의해 촬영된 입체 영상이다. 일반적으로 스테레오 촬영 장치는 2개의 렌즈를 구비한 촬영 장치로 입체 영상을 촬영하는데 사용된다. 그리고, 다시점 영상(Multiview image)은 한대 이상의 촬영 장치를 통해 촬영된 영상들을 기하학적으로 교정하고 공간적인 합성 등을 통하여 여러 방향의 다양한 시점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3차원 비디오 영상을 의미한다. Specifically, the image receiving unit (not shown) may receive images from various external devices such as an external storage medium, a broadcasting station, and a web server. Here, the input image is one of a single view image, a stereo image, and a multi-view image. The single-view image is an image captured by a general imaging device, and a stereoscopic image is a 3D video image expressed only by a left-eye image and a right-eye image, and is a stereoscopic image captured by a stereo imaging apparatus. In general, a stereo imaging apparatus is a photographing apparatus having two lenses and is used to photograph a stereoscopic image. In addition, a multiview image refers to a 3D video image that geometrically corrects images photographed through one or more photographing devices and provides various viewpoints in various directions to a user through spatial synthesis.

또한, 영상 수신부(미도시)는 영상의 뎁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영상의 뎁스(Depth)는 영상의 각각 픽셀별로 부여된 깊이 값으로, 일 예로, 8bit의 뎁스는 0~255까지의 그레이 스케일(grayscale) 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흑/백을 기준으로 나타낼 때, 검은색(낮은 값)이 시청자로부터 먼 곳을 나타내며, 흰색(높은 값)이 시청자로부터 가까운 곳을 나타낼 수 있다. Also, the image receiving unit (not shown) may receive depth information of the image. In general, the depth of an image is a depth value assigned to each pixel of the image. For example, an 8-bit depth may have a grayscale value of 0 to 255. For example, when representing black/white as a reference, black (low value) may indicate a distance from the viewer, and white (high value) may indicate a location near the viewer.

렌더링부(미도시)는 2D 영상이 입력된 경우, 2D/3D 변환에 의해 추출된 뎁스 정보를 기초로 다시점 영상을 렌더링할 수 있다. 또는 렌더링부(미도시)는 멀티 뷰 즉, N 개의 뷰 및 대응되는 N 개의 뎁스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입력된 N 개의 뷰 및 뎁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뷰 및 뎁스 정보에 기초하여 다시점 영상을 렌더링할 수 있다. 또는 렌더링부(미도시)는 N 개의 뷰 만 입력되는 경우, N 개의 뷰로부터 뎁스 정보 추출 후, 추출된 뎁스 정보에 기초하여 다시점 영상을 렌더링할 수 있다.When a 2D image is input, the rendering unit (not shown) may render a multi-view image based on depth information extracted by 2D/3D conversion. Alternatively, the rendering unit (not shown) renders a multi-view image based on at least one view and depth information of the multi-view, that is, the N views and the depth information when N views and corresponding N depth information are input. can do. Alternatively, when only N views are input, the rendering unit (not shown) may extract depth information from the N views and render a multi-view image based on the extracted depth information.

일 예로, 렌더링부(미도시)는 3D 영상, 즉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 중 하나를 기준 뷰(또는 센터 뷰)로 선택하여 다시점 영상의 기초가 되는 최좌측 뷰 및 최우측 뷰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렌더링부(미도시)는 기준 뷰로 선택된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 중 하나에 대응되는 보정된 뎁스 정보를 기초로 최좌측 뷰 및 최우측 뷰를 생성할 수 있다. 렌더링부(미도시)는 최좌측 뷰 및 최우측 뷰가 생성되면, 센터 뷰와 최좌측 뷰 사이에서 복수 개의 보간 뷰를 생성하고, 센터 뷰와 최우측 뷰 사이에서 복수 개의 보간 뷰를 생성함으로써 다시점 영상을 렌더링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외 기법에 의해 생성되는 보외 뷰(Extrapolation View)를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2D 영상 및 뎁스 정보를 기초로 다시점 영상을 렌더링하는 경우 2D 영상을 센터 뷰로 선택할 수 있음을 물론이다.For example, the rendering unit (not shown) may select one of a 3D image, that is, a left-eye image and a right-eye image as a reference view (or a center view) to generate a leftmost view and a rightmost view, which are the basis of a multiview image. have. In this case, the rendering unit (not shown) may generate the leftmost view and the rightmost view based on the corrected depth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one of the left-eye image and the right-eye image selected as the reference view. The rendering unit (not shown) generates a plurality of interpolation views between the center view and the leftmost view when the left and right views are generated, and generates a plurality of interpolation views between the center view and the rightmost view. You can render a point image.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it is also possible to generate an extrapolation view generated by the extrapolation technique. On the other hand, when rendering a multi-view image based on the 2D image and depth information,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2D image can be selected as the center view.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외부(또는 광원부(130))로부터 투명 광 가이드부(120)에 광이 제공되면, 투명 광 가이드부(120)는 광의 적어도 일부는 투과시키고 적어도 일부는 반사시키며, 반사된 광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110)를 투과하여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한다. 여기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110)는 복수의 픽셀을 포함하며, 서로 다른 시점의 영상이 기설정된 배치 패턴으로 배치된 영상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When light is provided from the outside (or the light source unit 130) to the transparent light guide unit 120, the transparent light guide unit 120 transmits at least a portion of light and reflects at least a portion of the light, and the reflected light is a transparent display panel unit It transmits through (110) to provide an image to the user. Here,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unit 1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pixels, and display an image frame in which images of different viewpoints are arranged in a predetermined arrangement pattern.

투명 광 가이드부(120)는 반사되는 광을 기설정된 방향으로 굴절시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110)의 영상 프레임에 디스플레이되는 서로 다른 시점의 영상을 서로 다른 시청 영역에서 제공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무안경 3D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다시점 영상이 서로 다른 시청 영역에 제공되어 무안경 3D 영상이 제공되는 구체적인 동작은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The transparent light guide unit 120 refracts the reflected light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so that images of different viewpoints displayed on the image frames of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unit 110 are provided in different viewing areas, so that the user does not wear glasses. 3D images can be provided. The specific operation in which the multi-view image is provided in different viewing areas to provide the autostereoscopic 3D imag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below.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역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A and 3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for forming a viewing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를 참조하면, 광원부(130)로부터 제공된 광은 투명 광 가이드부(120)에서 반사되고 기설정된 방향으로 굴절되어 특정 영역에 투사되게 된다. 이 경우, 광의 굴절 방향을 조절하여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110)의 영상 프레임에 디스플레이되는 서로 다른 시점의 영상을 서로 다른 시청 영역에서 제공되도록 하여 무안경 3D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A, light provid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130 is reflected by the transparent light guide unit 120 and refract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o be projected to a specific area. In this case, by adjusting the refraction direction of light, images of different viewpoints displayed on the image frame of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110 may be provided in different viewing areas to provide autostereoscopic 3D images.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체적인 시역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110)의 특정 픽셀 열(column)을 투과하는 일부의 광만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110)는 복수의 열(column)로 구분되는 복수의 픽셀을 포함한다. 열별로 상이한 시점의 이미지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서와 같이, 서로 다른 시점의 복수의 이미지 1, 2, 3, 4, 5, 6, 7이 순차적으로 반복 배치되는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즉, 각 픽셀 열은 1, 2, 3, 4, 5, 6, 7로 넘버링된 그룹으로 배열될 수 있다. 패널로 인가되는 그래픽 신호는 픽셀열 1이 첫 번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픽셀열 2가 두 번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FIG. 3B is a view illustrating only a part of light passing through a specific pixel column of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unit 110 in order to describe a specific viewing area form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B,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unit 110 includes a plurality of pixel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columns. Images of different viewpoints may be arranged for each column.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3, a plurality of images 1, 2, 3, 4, 5, 6, 7 of different viewpoints may be repeatedly arranged in sequence. That is, each pixel column may be arranged in groups numbered 1, 2, 3, 4, 5, 6, 7. The graphic signal applied to the panel may be arranged such that pixel column 1 displays the first image and pixel column 2 displays the second image.

투명 광 가이드부(120)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110)로 광을 제공한다. 이 경우, 투명 광 가이드부(120)는 기설정된 방향으로 광을 굴절시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110)에 형성되는 각 이미지 1, 2, 3, 4, 5, 6, 7을 시청 거리에서 평균 양안 중심 거리인 65mm의 거리를 갖도록 제1 광학뷰 내지 제7 광학뷰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광학뷰 내지 제7 광학뷰가 형성되고 사용자의 좌안 및 우안이 각각 인접한 광학뷰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 3D 영상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The transparent light guide unit 120 provides light to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unit 110. In this case, the transparent light guide unit 120 refracts light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o average each binocular image 1, 2, 3, 4, 5, 6, 7 formed on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unit 110 at a viewing distance. The first optical view to the seventh optical view may be provided to have a distance of 65 mm, which is a central distance. That is, as illustrated in FIG. 3, when the first to seventh optical views are formed and the user's left and right eyes are positioned in adjacent optical views, the 3D image can be viewed.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 가이드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4A and 4B are views showing the structure of a light guid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를 참조하면, 투명 광 가이드부(120)는 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즉, 물체로부터 반사된 광은 투명 광 가이드부(120)를 그대로 투과하여, 물체의 맞은편에 도달할 수 있다. 따라서, 투명 광 가이드부(120)의 전면에 위치한 사용자는 투명 광 가이드부(120)의 후면에 위치한 물체를 볼 수 있게 된다.4A, the transparent light guide unit 120 may transmit light. That is,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object may pass through the transparent light guide unit 120 as it is and reach the opposite side of the object. Accordingly, a user located at the front of the transparent light guide unit 120 can see an object located at the rear of the transparent light guide unit 120.

또한, 투명 광 가이드부(120)는 광을 반사시킬 수 있다. 즉, 외부로부터의 광이 투명 광 가이드부(120)에 반사되어 사용자에게 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젝터 또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무안경 3D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로부터의 광이 투명 광 가이드부(120)에서 반사되고 기설정된 방향으로 굴절되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110)에 디스플레이되는 서로 다른 시점의 영상이 서로 다른 시청 영역에서 제공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무안경 3D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즉, 투명 광 가이드부(120)는 광을 투과시키는 성질 및 광을 반사시키는 성질을 동시에 가지고 있으므로, 사용자는 반대편의 물체와 영상을 동시에 시청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nsparent light guide unit 120 may reflect light. That is, light from the outside is reflected on the transparent light guide unit 120 to reach the user. In this case, an autostereoscopic 3D image may be provided to a user using a projector or a transparent display panel. Specifical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ight from the outside is reflected by the transparent light guide unit 120 and refract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so images of different viewpoints displayed on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unit 110 are displayed.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autostereo 3D image to the user by being provided in different viewing areas. That is, since the transparent light guide unit 120 has a property of transmitting light and a property of reflecting light at the same time, a user can simultaneously view objects and images on opposite sides.

도 4b를 참조하면, 투명 광 가이드부(120)는 반사 선택적 집적 영상 소자일 수 있다. 반사 선택적 집적 영상 소자는 전체적으로 투명한 매질로 이루어진 판의 형태를 가지며, 복수의 반거울이 2차원 어레이의 형태로 삽입되어 있다. 즉, 복수의 반거울들이 X축 및 Y축으로 복수개 배열되는 2차원 어레이 형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반거울은 볼록 거울 또는 오목 거울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각의 볼록 거울 또는 오목 거울은 일반적으로 동일한 구경 및 초점 거리를 갖는다. 다만, 좀 더 좋은 성능을 확보하기 위하여 측면으로 입사된 광을 보정하기 위하여 각각의 볼록 거울 또는 오목 거울은 서로 다른 구경 및 초점 거리를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오목 거울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볼록 거울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반거울 어레이가 반거울들이 2차원 어레이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예로 들었으나, 어레이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4B, the transparent light guide unit 120 may be a reflective selective integrated image device. The reflective selective integrated image device has a plate shape made of a transparent medium as a whole, and a plurality of half mirrors are inserted in the form of a two-dimensional array. That is, a plurality of semi-mirrors are formed in the form of a two-dimensional array in which a plurality of half mirrors are arranged on the X and Y axes. Here, the semi-mirror may consist of a convex mirror or a concave mirror, and each convex mirror or concave mirror generally has the same aperture and focal length. However, each convex mirror or concave mirror may have a different aperture and focal length in order to correct light incident on the side in order to secure better performance.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 concave mirror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but may be implemented as a convex mirror. In addition, although the half mirror array is exemplified that the half mirrors are formed in a two-dimensional array form, the array form is not limited thereto.

투명 광 가이드부(120)는 입사되는 광의 적어도 일부는 투과시키고 적어도 일부는 반사시킨다. 즉, 투명 광 가이드부(12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반거울 어레이의 반거울 특성으로 인하여 입사되는 광의 적어도 일부는 투과되고 적어도 일부는 반사되게 된다. 반거울 어레이를 구성하는 반거울들의 두께가 기설정된 값 이하로 매우 얇을 때 터널링 효과에 의하여 빛이 투과될 수 있으며, 빛의 굴절률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투과되는 빛에 대해서는 밝기 감소 외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The transparent light guide unit 120 transmits at least a portion of the incident light and reflects at least a portion. That is, at least a part of the incident light is transmitted and at least a part is reflected due to the semi-mirror property of the half mirror array inserted in the transparent light guide unit 120. When the thickness of the half mirrors constituting the half mirror array is very thin below a predetermined value, light can be transmitted by the tunneling effect, and does not affect the refractive index characteristics of light, so the transmitted light has no effect except the decrease in brightness. It does not.

한편, 반사선택적 집적 영상 소자는 복수의 볼록 반거울 또는 복수의 오목 반거울이 2차원 형태로 배열되어 있는 반거울 어레이 위에 금속 박막을 형성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광은 금속을 투과하지 못하지만 금속이 매우 얇은 경우(수 nm 이하)에는 양자역학에서의 터널링 효과에 의해 광이 투과할 수 있다. 즉, 반거울 어레이 위에 형성되는 금속 박막의 두께를 조절하여, 광의 적어도 일부는 투과시키고 광의 적어도 일부는 반사시키는 반사선택적 집적 영상 소자를 제조할 수 있다.Meanwhile, the reflective selective integrated image device may be manufactured by forming a metal thin film on a half mirror array in which a plurality of convex half mirrors or a plurality of concave half mirrors are arranged in a two-dimensional shape. In general, light does not transmit metal, but when the metal is very thin (several nm or less), light can be transmitted by the tunneling effect in quantum mechanics. That is, by adjusting the thickness of the metal thin film formed on the semi-mirror array,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reflective selective integrated image device that transmits at least a portion of light and reflects at least a portion of light.

이때 금속 박막의 두께는 반사 선택적 집적 영상 소자의 투과율 및 반사율을 결정하게 되며, 금속 박막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반사 선택적 집적 영상 소자의 반사율이 증가하고 투과율은 감소하게 된다. 반대로, 금속 박막의 두께가 얇을수록 반사 선택적 집적 영상 소자의 반사율이 감소하고 투과율이 증가하게 된다. 예를 들어, 반거울 어레이로 입사된 광이 금속 박막에 의하여 반사되는데, 금속 박막의 두께에 따라 투과율이 달라지게 된다.At this time, the thickness of the metal thin film determines the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of the reflective selective integrated image device. As the thickness of the metal thin film increases, the reflectivity of the reflective selective integrated image device increases and the transmittance decreases. Conversely, as the thickness of the metal thin film decreases, the reflectivity of the reflective selective integrated image device decreases and the transmittance increases. For example, light incident on the semi-mirror array is reflected by the metal thin film, and the transmittance varies depending on the thickness of the metal thin film.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편광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A and 5B are diagrams for describing an operation of a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를 참조하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110) 및 투명 광 가이드부(120) 사이에 특정 편광 방향의 광을 투과시키는 편광부(150)가 위치할 수 있다. 편광부(150)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110)에 의하여 굴절된 광 중 특정한 방향의 광을 선택적으로 통과시켜 사용자에게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한다.Referring to FIG. 5A, a polarization unit 150 that transmits light in a specific polarization direction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unit 110 and the transparent light guide unit 120. The polarization unit 150 selectively passes light in a specific direction among light refracted by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110 to display an image to the user.

도 5b를 참조하면, 광원 장치(200)에서 광원부(130)의 전면에 제1 편광 방향의 광을 투과시키는 제1 편광부(140)가 위치하고,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110) 및 광 가이드부(120) 사이에 제1 편광 방향과 다른 제2 편광 방향의 광을 투과시키는 제2 편광부(150)가 위치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B, in the light source device 200, a first polarization unit 140 that transmits light in a first polarization direction is loca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light source unit 130, and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unit ( 110) and a second polarization unit 150 that transmits light in a second polarization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polarization direction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light guide unit 120.

구체적으로, 제1 편광부(140)에 의해 제1 편광 방향을 갖는 광을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제공하고, 제2 편광부(150)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110)를 통과하면서 굴절된 광 중 제2 편광 방향을 갖는 광만을 선택적으로 통과시켜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편광 방향 및 제2 편광 방향은 상이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light having the first polarization direction is provided to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 by the first polarization unit 140, and the second polarization unit 150 is refrac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unit 110. Only light having a second polarization direction among light can be selectively passed to provide an image to the user. Here, the first polarization direction and the second polarization direction may be different.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광원 장치(2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6, the display system 1000 includes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 and a light source device 200.

광원 장치(200)의 광원부(130)에서 제공된 광은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투명 광 가이드부(120)에서 반사되고 기설정된 방향으로 굴절되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110)의 서로 다른 시점의 영상을 서로 다른 시청 영역에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시청 거리에 위치하여 무안경 3D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The light provid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130 of the light source device 200 is reflected by the transparent light guide unit 120 of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 and refract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so images of different views of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unit 110 To provide different viewing areas. Accordingly, the user is positioned at the viewing distance of the display system 1000 to watch the autostereoscopic 3D image.

또한,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후면에 있는 물체를 투과시켜 사용자가 3D 영상과 함께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후면에 있는 물체를 동시에 볼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투명 광 가이드부(120)의 투과율 및 반사율을 조절하여, 물체의 투과도 및 영상 재생 효율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명 광 가이드부(120)의 투과율을 높이고 반사율을 낮추면 사용자는 물체가 좀 더 선명하게 보이고 영상은 흐리게 보일 수 있으며, 투명 광 가이드부(120)의 투과율을 낮추고 반사율을 높이면 사용자는 영상이 좀 더 선명하게 보이고 물체는 흐리게 보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가 이용되는 상황에 맞게 물체의 투과도 및 영상 재생 효율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 transmits an object on the back of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 so that the user can simultaneously view the object on the back of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 along with the 3D image. In this case, the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of the transparent light guide unit 120 may be adjusted to determine an object's transmittance and image reproduction efficiency. For example, if the transmittance of the transparent light guide unit 120 is increased and the reflectivity is lowered, the user may see objects more clearly and the image may be blurred. The image can be seen more clearly, and the object can appear blurry. That 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transmittance of an object and the image reproduction efficiency according to a situation in which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is used.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의 물체 투과도 및 영상 재생효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7 and 8 are diagrams for explaining object transmission and image reproduction efficiency of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예를 들어, 투명 광 가이드부(120)가 70%의 투과도(또는 30%의 반사도)를 갖도록 구현하는 경우, 도 7과 같은 구조의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물체에서 반사된 광은 투명 광 가이드부(120)를 70%의 투과도로 통과하게 된다. For example, when the transparent light guide unit 120 is implemented to have 70% transmittance (or 30% reflectivity),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object in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 having the structure as shown in FIG. 7 is transparent light The guide portion 120 passes through at a transmittance of 70%.

일반적으로 편광부(150)는 50%의 투과도를 가지므로, 투명 광 가이드부(120) 및 편광부(150)를 연속적으로 통과하게 되면 물체에서 반사된 전체 광 중 35%의 광이 편광부(150)를 통과하게 된다. In general, since the polarization unit 150 has a transmittance of 50%, when the transparent light guide unit 120 and the polarization unit 150 are continuously passed, 35% of the total light reflected from the object is polarized light ( 150).

또한, 일반적으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110)는 20%의 투과도를 가지므로, 투명 광 가이드부(120), 편광부(150) 및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110)를 연속적으로 통과하게 되면, 결국 물체에서 반사된 전체 광 중 7%의 광이 사용자에게 도달하게 된다.In addition, in general, since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unit 110 has a transmittance of 20%, when the transparent light guide unit 120, the polarization unit 150, and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unit 110 are successively passed, the object is eventually 7% of the total light reflected from the light reaches the user.

또한, 투명 광 가이드부(120)가 70%의 투과도(또는 30%의 반사도)를 갖도록 구현하는 경우, 도 8과 같이, 광원 장치(200)의 광원부(130)에서 제공되는 광은 광원부(140)의 전면에 위치한 제1 편광부(130)를 50%의 투과도로 통과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transparent light guide unit 120 is implemented to have 70% transmittance (or 30% reflectivity), as shown in FIG. 8, the light provid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130 of the light source device 200 is a light source unit 140 ) Is passed through the first polarization unit 130 located on the front surface with a transmittance of 50%.

일반적으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110)는 20%의 투과도를 가지므로, 제1 편광부(140) 및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110)를 연속적으로 통과하게 되면 광원부(130)에서 제공되는 전체 광 중 10%의 광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110)를 통과하게 된다.In general, since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unit 110 has a transmittance of 20%, when the first polarization unit 140 and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unit 110 are continuously passed, 10 of the total light provid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130 % Light passes through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110.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2 편광부(150)는 광원 장치(200)의 제1 편광부(140)와 상이한 편광 방향을 가지므로, 제1 편광부(140) 및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110)를 통과한 광 중 50%의 광이 제2 편광부(150)를 통과하게 된다. 즉, 광원부(130)에서 제공된 전체 광 중 5%의 광이 제2 편광부(150)를 통과한다.Since the second polarization unit 150 of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 has a different polarization direction from the first polarization unit 140 of the light source device 200, the first polarization unit 140 and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unit 110 ), 50% of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second polarization unit 150. That is, 5% of the total light provid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130 passes through the second polarization unit 150.

투명 광 가이드부(120)는 70%의 투과도를 가지므로, 투명 광 가이드부(120)에 제공된 광의 30%를 반사하게 된다. 따라서, 광원부(130)에서 제공된 광이 제1 편광부(140),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110) 및 제2 편광부(150)를 연속적으로 통과하고 투명 광 가이드부(120)에서 반사되는 광은, 광원부(130)에서 제공된 전체 광의 1.5%가 된다.Since the transparent light guide unit 120 has a transmittance of 70%, 30% of light provided to the transparent light guide unit 120 is reflected. Accordingly, light provid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130 passes through the first polarization unit 140,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unit 110, and the second polarization unit 150 continuously and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transparent light guide unit 120 is , 1.5% of the total light provided by the light source unit 130.

투명 광 가이드부(120)에서 반사되는 광은 제2 편광 방향의 광이므로, 다시 제2 편광부(150)를 통과할 때는 100%의 광이 통과하게 된다.Since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transparent light guide unit 120 is light in the second polarization direction, 100% of light passes through the second polarization unit 150 again.

제2 편광부(150)를 통과한 광은 다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110)를 20%의 투과도로 통과하게 되므로, 광원부에서 제공된 전체 광의 0.3%만이 사용자에게 도달하게 된다.Since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second polarization unit 150 passes through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110 again with a transmittance of 20%, only 0.3% of the total light provid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reaches the user.

즉, 투명 광 가이드부(120)가 70%의 투과도(또는 30%의 반사도)를 갖도록 구현하는 경우 물체의 투과도는 7%가 되고, 영상 재생 효율은 0.3%가 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transparent light guide unit 120 is implemented to have a transmittance of 70% (or a reflectivity of 30%), the transmittance of the object may be 7% and the image reproduction efficiency may be 0.3%.

일반적으로, 투명 3D 영상을 시청하는 사용자는 물체의 투과도가 7%, 영상 재생 효율이 0.3%일 때, 가장 물체와 영상을 자연스럽게 감상할 수 있는바, 투명 광 가이드부(120)의 투과도를 조절하여 자연스러운 3D 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구현할 수 있다.In general, a user watching a transparent 3D image can naturally enjoy the most object and image when the transmittance of the object is 7% and the image reproduction efficiency is 0.3%, and the transmittance of the transparent light guide unit 120 is adjusted.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 capable of viewing natural 3D images.

또 다른 실시 예로, 투명 광 가이드부(120)가 30%의 투과도를 갖도록 구현하는 경우 물체의 투과도는 3%가 되고, 영상 재생 효율은 0.7%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물체의 투과도가 7%, 영상 재생 효율이 0.3%일 때보다 영상을 더 선명하게 시청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transparent light guide unit 120 is implemented to have a transmittance of 30%, the transmittance of the object may be 3% and the image reproduction efficiency may be 0.7%. In this case, the image can be viewed more clearly than when the object transmittance is 7% and the image reproduction efficiency is 0.3%.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는, 투명 광 가이드부(120)의 투과도(또는 반사도)를 조절하여, 물체 투과도 및 영상 재생 효율을 조절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심미적인 안정감을 주는 투명 3D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may adjust the transmittance (or reflectivity) of the transparent light guide unit 120 to control object transmittance and image reproduction efficiency, and provide aesthetic stability to the user. It can create a transparent 3D image giving.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사 선택적 집적 영상 소자의 반사도에 따른 물체 투과도 및 영상 재생 효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9 is a view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object transmittance and image reproduction efficiency according to reflectivity of a reflective selective integrated im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패러랙스 배리어의 경우, 물체의 투과도 및 영상의 재생효율이 일정한 반면, 반사 선택적 집적 영상 소자의 경우, 물체 투과도가 낮아질수록 영상 재생효율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반대로, 물체 투과도가 높아지면 영상 재생효율이 낮아진다.Referring to FIG. 9, it can be seen that, in the case of a parallax barrier, the transmittance of an object and the reproduction efficiency of an image are constant, whereas in the case of a reflective selective integrated image device, the lower the object transmission, the higher the image reproduction efficiency. Conversely, when the object transmittance increases, the image reproduction efficiency decreases.

즉, 패러랙스 배리어와 달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투명 광 가이드부(120)의 투과율 및 반사율을 조절하여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물체 투과도 및 영상 재생 효율을 결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이용되는 상황에 맞게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물체의 투과도 및 영상 재생 효율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That is, unlike the parallax barrier,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djusts the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of the transparent light guide unit 120 to control the object transmittance and image reproduction efficiency of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 Can decide. That 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transmittance and image reproduction efficiency of an object of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 situation in which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100 is used.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In the above,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embodiment, and is generally limited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It is of course possible to perform various modifications by a person having knowledge of,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idea or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110: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
120: 투명 광 가이드부 130: 광원부
140: 제1 편광부 150: 제2 편광부
1000: 디스플레이 시스템
100: transparent display device 110: transparent display panel unit
120: transparent light guide unit 130: light source unit
140: first polarization unit 150: second polarization unit
1000: display system

Claims (12)

복수의 픽셀을 포함하며, 서로 다른 시점의 영상이 기설정된 배치 패턴으로 배치된 영상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 및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의 후면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광의 적어도 일부는 투과시키고 적어도 일부는 반사시키는 투명 광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투명 광 가이드부는,
복수의 반거울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반거울에 의해 반사되는 광이 기설정된 방향으로 굴절되어 상기 서로 다른 시점의 영상이 서로 다른 시청 영역에서 제공되도록 동작하고,
상기 복수의 반거울 중에서 하나의 반거울은, 다른 반거울과 구경 및 초점 거리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A transparent display panel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pixels and displaying image frames in which images of different viewpoints are arranged in a predetermined arrangement pattern; And
It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por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light provided from the outside transmits at least a portion of the transparent light guide portion to reflect; includes,
The transparent light guide unit,
It includes a plurality of half mirrors, and the light reflected by the plurality of half mirrors is refract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o operate such that images of different viewpoints are provided in different viewing areas,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wherein one of the plurality of half mirrors has a different aperture and focal length from the other half mirr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반거울 각각은,
오목 반거울 및 볼록 반거울 중 하나이며,
상기 복수의 반거울은, 2차원 형태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Each of the plurality of half mirrors,
One of concave half mirror and convex half mirror,
The plurality of half mirrors,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in a two-dimensional for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광 가이드부는,
상기 복수의 반거울이 빛을 투과시키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판에 삽입되어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반사선택적 집적 영상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transparent light guide unit,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semi-mirrors are reflective selective integrated image elements formed in a form inserted in a plat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hat transmits ligh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반거울 각각은, 서로 다른 구경 및 초점 거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2,
Each of the plurality of half mirrors,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having a different aperture and focal leng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 및 상기 투명 광 가이드부 사이에 위치하여 특정 편광 방향의 광을 투과시키는 편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ing a polarization unit positioned between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unit and the transparent light guide unit to transmit light in a specific polarization direc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반거울 각각은, 일 측면에 금속 박막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금속 박막의 두께에 따라 빛의 투과율 및 반사율이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2,
Each of the plurality of half mirrors, a metal thin film is formed on one side,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of light varies depending on the thickness of the metal thin film.
광을 제공하는 광원 장치; 및
복수의 픽셀을 포함하며, 서로 다른 시점의 영상이 기설정된 배치 패턴으로 배치된 영상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 및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의 후면에 배치되어, 상기 광원 장치로 제공되는 광의 적어도 일부는 투과시키고 적어도 일부는 반사시키는 투명 광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투명 광 가이드부는,
복수의 반거울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반거울에 의해 반사되는 광이 기설정된 방향으로 굴절되어 상기 서로 다른 시점의 영상이 서로 다른 시청 영역에서 제공되도록 동작하고,
상기 복수의 반거울 중에서 하나의 반거울은, 다른 반거울과 구경 및 초점 거리가 상이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A light source device that provides light; And
A transparent display panel unit that includes a plurality of pixels and displays an image frame in which images of different viewpoints are arranged in a predetermined arrangement pattern, and at least a part of light provided to the light source device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unit. It includes;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including a transparent light guide portion that transmits and at least partially reflects,
The transparent light guide unit,
It includes a plurality of half mirrors, and the light reflected by the plurality of half mirrors is refract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o operate such that images of different viewpoints are provided in different viewing areas,
One of the plurality of half mirrors, a displa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aperture and focal length are different from the other half mirror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반거울 각각은,
오목 반거울 및 볼록 반거울 중 하나이며,
상기 복수의 반거울은, 2차원 형태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Each of the plurality of half mirrors,
One of concave half mirror and convex half mirror,
The plurality of half mirrors, the displa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in a two-dimensional form.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광 가이드부는,
상기 복수의 반거울이 빛을 투과시키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판에 삽입되어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반사선택적 집적 영상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8,
The transparent light guide unit,
A displa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semi-mirrors are reflective selective integrated image elements formed in a form inserted in a plat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hat transmits ligh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반거울 각각은, 서로 다른 구경 및 초점 거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8,
Each of the plurality of half mirrors, the displa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having a different aperture and focal length.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반거울 각각은, 일 측면에 금속 박막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금속 박막의 두께에 따라 빛의 투과율 및 반사율이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8,
Each of the plurality of half mirrors, a metal thin film is formed on one side, the displa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of light varies depending on the thickness of the metal thin film.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장치는,
상기 광을 제공하는 광원부 및 상기 광원부의 전면에 위치하여 제1 편광 방향의 광을 투과시키는 제1 편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부 및 상기 투명 광 가이드부 사이에 위치하여 제1 편광 방향과 다른 제2 편광 방향의 광을 투과시키는 제2 편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The light source device,
It includes; a light source unit providing the light and a first polarization unit position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light source unit to transmit light in a first polarization direction;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es a second polarization unit positioned between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unit and the transparent light guide unit to transmit light in a second polarization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polarization direction; system.
KR1020150102949A 2015-07-21 2015-07-21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213974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2949A KR102139746B1 (en) 2015-07-21 2015-07-21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2949A KR102139746B1 (en) 2015-07-21 2015-07-21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1048A KR20170011048A (en) 2017-02-02
KR102139746B1 true KR102139746B1 (en) 2020-07-31

Family

ID=58154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2949A KR102139746B1 (en) 2015-07-21 2015-07-21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974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69684B (en) * 2018-05-22 2024-04-30 成都工业学院 Transparent display and display system
CN112397560B (en) * 2020-11-10 2022-09-27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Naked eye 3D display pane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0806B2 (en) * 1985-09-06 1997-03-12 日本電気株式会社 Flat panel liquid crystal display
JP2006058704A (en) * 2004-08-20 2006-03-02 Optrex Corp Liquid crystal display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1012B1 (en) * 1998-02-04 2005-03-07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Liquid crystal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0806B2 (en) * 1985-09-06 1997-03-12 日本電気株式会社 Flat panel liquid crystal display
JP2006058704A (en) * 2004-08-20 2006-03-02 Optrex Corp Liquid crystal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1048A (en) 2017-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0956B1 (en) 2D/3D Convertible Display
TWI414846B (en) 2d and 3d switchable display device and liquid crystal lenticular lens thereof
KR101174841B1 (en) Three dimensional display
KR20120069432A (en) 3d image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2014512560A (en) Multi-point video display device
KR101649235B1 (en) Stereoscopy Display Device
US20170208322A1 (en) Display device in which multiple images are displayed using four neighboring pixels, display panel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same
KR20160010169A (en) Curved multiview image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60268196A1 (en) Liquid crystal panel, display device having liquid crystal panel,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143473B1 (en) Multi view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ulti view image display method thereof
KR20030017972A (en) Auto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with user control
KR20160018022A (en) multi view image display apparatus and contorl method thereof
CN107257937B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Zhang et al. Multi-view autostereoscopic 3D display
US10025020B2 (en) Backlight apparatus and 3D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0715792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40111553A (en) 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thereof
KR20150037012A (en) Autostereoscopic 3D image display apparatus using micro lens array
KR102139746B1 (en)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20120031400A (en) Stereoscopic 3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2233116B1 (en) Stereopsis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CN102789084B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US20130100375A1 (en) Display device, spacer,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1980275B1 (en) Multi view image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thereof
CN108732772B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