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9620B1 -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Logistics by Using Quick Response Code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Logistics by Using Quick Response Cod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9620B1
KR102139620B1 KR1020200057110A KR20200057110A KR102139620B1 KR 102139620 B1 KR102139620 B1 KR 102139620B1 KR 1020200057110 A KR1020200057110 A KR 1020200057110A KR 20200057110 A KR20200057110 A KR 20200057110A KR 102139620 B1 KR102139620 B1 KR 102139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logistics
product
sales
managemen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71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학선
김종원
모재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챌린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챌린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챌린지
Priority to KR1020200057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962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9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962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06Q50/2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logistics by using a QR cod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a QR code to collect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that a first QR code attached to a specific product is recognized from a consumer terminal and collect logistics location movement information that a second QR code attached to a specific product is recognized from a logistics base for gathering and matching the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and the logistics location movement information, and then generate optimal output information and optimal logistics distribution information to use the optimal output information and the optimal logistics distribution information supporting to make a decision for each specific product.

Description

QR 코드를 이용한 물류 관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Logistics by Using Quick Response Code}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Logistics by Using Quick Response Co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QR 코드를 이용한 물류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logistics using a QR code.

이하에 기술되는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와 관련되는 배경 정보만을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다.The contents described below merely provide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do not constitute a prior art.

제품의 정품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시리얼번호, 바코드 등을 제품에 부여하는 정품인증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복사기술, 제작기술 등의 발달로 인하여 제품에 부여된 시리얼번호 등과 같은 식별수단 자체를 복제하는 경우, 소비자가 제품의 정품여부를 쉽게 판단할 수 없다.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a product is genuine, a genuine product authentication method is used to give a serial number, barcode, etc. to the product. Due to the development of copying technology, manufacturing technology, etc., if the identification means such as the serial number assigned to the product are copied, the consumer cannot easily determine whether the product is genuine.

시리얼번호가 기재된 라벨 자체의 복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광 반사 필름을 이용하는 방법 등을 이용하여, 복제 가능성을 낮추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In order to prevent duplication of the serial number-labeled label itself, a technique for reducing the possibility of duplication has been developed using a method using a light reflective film or the like.

물품이 제조되고 출고 지시가 있으면 생산지에서 배송과정을 거쳐 출고지까지 배송되고, 물품 제조로부터 출고지까지 여러 가지 중간 단계를 거치기 때문에 물품이 중간단계에서 분실되거나 잘못된 곳으로 배송되는 배송 사고가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물류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생산지에서 출고지까지 배송되는 전 프로세스를 관리하는 물류 관리 시스템이 도입되어 사용되고 있다.When the goods are manufactured and there is an instruction for delivery, the goods are delivered from the place of production to the place of delivery, and there are several intermediate steps from the manufacture of goods to the place of delivery. easy. Therefore, in order to systematically manage logistics, a logistics management system that manages the entire process of delivery from production to delivery is introduced and used.

하지만, 종래의 물류 관리 시스템은 물품의 제조에서 출고지까지 전 프로세스를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관리가 필요한 일부 프로세스만 독립적으로 관리하기 때문에 물류 이외의 재고 관리나 복제 또는 불법 제조된 물품이 유통되는 것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관리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logistics management system does not manage the entire process from manufacturing of goods to the place of delivery, but only some processes that require management are managed independently, so inventory management other than logistics, or copying or illegally manufactured goods are distributed. There is a problem that cannot be managed by one system.

본 실시예는 소비자 단말기로부터 특정 상품에 부착된 제1 QR 코드를 인식한 제품 구매 정보를 수집하고, 물류기지로부터 특정 상품에 부착된 제2 QR 코드를 인식한 물류 위치이동 정보를 수집하여 매칭하는 형태로 취합한 후 최적 생산량 정보와 최적 물류 배분 정보를 생성하여 특정 상품별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데 이용하는 QR 코드를 이용한 물류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This embodiment collects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that recognizes a first QR code attached to a specific product from a consumer terminal, and collects and matches logistics location movement information that recognizes a second QR code attached to a specific product from a logistic base. The objective is to provide a logistics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using QR codes that are used to support decision-making by specific products by generating optimal production information and optimal distribution information after collecting them in a form.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소비자 단말기로부터 특정 상품에 부착된 제1 QR 코드(Quick Response Code)를 인식한 제품 구매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제품 구매 정보를 인증하는 제품 구매정보 관리부; 물류기지로부터 상기 특정 상품에 부착된 제2 QR 코드를 인식한 물류 위치이동 정보를 수집하여 인증하는 물류 정보 관리부; 상기 특정 상품에 대응하는 제품식별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제품 구매 정보와 상기 물류 위치이동 정보를 누적하여 매칭하는 형태로 취합한 로우 데이터를 생성하는 정보 취합부; 및 상기 로우 데이터를 기반으로 최적 생산량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최적 생산량 정보를 판매지로 분류하기 위한 최적 물류 배분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최적 생산량 정보와 상기 최적 물류 배분 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상품별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의사결정 지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관리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a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collecting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recognizing a first QR code (Quick Response Code) attached to a specific product from a consumer terminal and authenticating the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A logistics information management unit collecting and authenticating logistics location movement information recognizing a second QR code attached to the specific product from the logistics base; An information collecting unit for generating raw data collected in a form of accumulating and matching the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and the logistics location movement information based on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product; And generating optimum produc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raw data, generating optimal distribution information for classifying the optimum production information into a sales place, and making decisions for specific products based on the optimum production information and the optimal distribution information. It provides a logistics manage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ecision support unit to support.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소비자 단말기로부터 특정 상품에 부착된 제1 QR 코드를 인식한 제품 구매 정보를 수집하고, 물류기지로부터 특정 상품에 부착된 제2 QR 코드를 인식한 물류 위치이동 정보를 수집하여 매칭하는 형태로 취합한 후 최적 생산량 정보와 최적 물류 배분 정보를 생성하여 특정 상품별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sumer terminal collects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recognizing the first QR code attached to the specific product, and the logistics location recognizes the second QR code attached to the specific product from the logistics base. It has the effect of supporting decision-making by specific products by generating movement information and collecting it in a matching form, and then generating optimal production information and optimal distribution information.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를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물류 관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발행된 QR 코드 목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등록한 제품에 대한 인증현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등록한 제품에 대한 매출액비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등록한 개별 제품의 상세 인증 내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개별 제품의 국가별 인증 내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개별 제품의 날씨별 인증 내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개별 제품의 장치별 인증 내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인사이트 복합분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인사이트 복합분석시 선택 제품에 대한 세부 항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인사이트 복합분석시 기간 및 시간대 선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인사이트 복합분석시 날짜 선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인사이트 복합분석시 공간 선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인사이트 복합분석시 고객 선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실시예에 따른 판매율을 예측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학습모델의 생성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8은 본 실시예에 따른 학습시 제품군에 따라 스케일을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logistics management system using a QR cod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logistics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3 is a diagram showing a list of issued QR code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4 is a diagram showing the authentication status of the registered pro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5 is a view showing the proportion of sales for registered product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6 is a view showing the detailed certification details of the registered individual product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7 is a view showing a country-specific certification history of individual product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8 is a view showing a certification history of each individual pro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9 is a view showing a certification history of each device of each pro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10 is a view showing an insight composite analysi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11 is a view showing detailed items for a selected product in the insight composite analysi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12 is a view showing a period and time zone selection in the insight composite analysi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13 is a diagram showing date selection in an insight composite analysi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14 is a diagram showing spatial selection in the insight composite analysi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15 is a view showing customer selection in the insight composite analysi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16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predicting a sales rat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17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method of generat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mode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18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rmining a scale according to a product line during lear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이하, 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를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logistics management system using a QR cod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본 실시예에 따른 물류 관리 시스템은 B2B(Business to Business) 또는 B2C(Business to Customer)에 적용 가능하다.The logistics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applicable to B2B (Business to Business) or B2C (Business to Customer).

본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를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은 제품(110), 제1 QR 코드(122), 제2 QR 코드(124), 소비자 단말기(132), 전용 리더기(134), 물류 관리 장치(140)를 포함한다. 물류 관리 시스템에 포함된 구성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logistics management system using the QR cod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roduct 110, a first QR code 122, a second QR code 124, a consumer terminal 132, a dedicated reader 134, and a logistics management device ( 140). Components included in the logistics management system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제품(110)의 일측에 제1 QR 코드(122)가 부착되고, 타측에 제2 QR 코드(124)가 부착된다.The first QR code 122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product 110, and the second QR code 124 is attached to the other side.

제1 QR 코드(122)는 화장품뿐만 아니라 음식, 공산품 등의 일측에 부착 가능하다. 제1 QR 코드(122)는 해당 상품에 대응하는 제품식별정보를 포함한다. 제1 QR 코드(122)는 구매 위치 정보, 구매 일시 정보, 구매 날씨(습도, 온도) 정보를 필수적으로 수집하도록 요청하는 정보와 단말기 기종 정보, 가입자 성별 정보, 가입자 나이 정보, SNS 연결 유무 정보를 선택적으로 수집하도록 요청하는 정보를 포함한다.The first QR code 122 can be attached to one side of food, industrial products, etc. as well as cosmetics. The first QR code 122 includes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product. The first QR code 122 includes information requesting to collect purchase location information, purchase date information, and purchase weather (humidity, temperature) information, terminal model information, subscriber gender information, subscriber age information, and SNS connection information. It contains information that you are asked to collect selectively.

제2 QR 코드(124)는 위치 인식 전용 QR로서, 전용 리더기에서 인식 가능하다. 제2 QR 코드(124)는 해당 상품에 대응하는 제품식별정보를 포함한다. 제2 QR 코드(124)는 각 노드마다 화물 움직임 시점을 확인하여 각 노드에서 위치정보, 도착일시(년도/월/일/시간)를 수집하도록 요청하는 정보를 포함한다.The second QR code 124 is a location-only QR, and can be recognized by a dedicated reader. The second QR code 124 includes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product. The second QR code 124 includes information requesting to collect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arrival date and time (year/month/day/time) at each node by checking the time point of cargo movement for each node.

제2 QR 코드(124)는 제품의 타측에 부착 가능하다. 제2 QR 코드(124)는 위치 정보만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제1 QR 코드(122)보다 작은 사이즈로 구현 가능하다. 제2 QR 코드(124)가 부착된 제품이 출하된 상태에서 물류기지를 경유할 때, 물류기지에 구비된 전용 리더기(134)에서 제2 QR 코드(124)를 인식하여 노드마다 화물 움직임 시점을 체크한다. The second QR code 124 can be attached to the other side of the product. Since the second QR code 124 includes only location information, it can be implemented in a smaller size than the first QR code 122. When the product to which the second QR code 124 is attached is passed through the logistic base, the dedicated reader 134 provided at the logistic base recognizes the second QR code 124 to determine the point of movement of cargo for each node. Check.

제2 QR 코드(124)가 부착된 제품은 수출 상품 또는 수입 상품의 위치를 파악하는데 이용 가능하다. 제2 QR 코드(124)가 부착된 제품을 수입하는 경우, 물류 관리 장치(140)는 출발지에서 출하된 상품이 물류기지를 경유하여 세관에 도착하는 경로를 확인할 수 있다. 제2 QR 코드(124)가 부착된 제품을 수출하는 경우, 물류 관리 장치(140)는 출발지에서 출하된 상품이 물류기지를 경유하여 도착지에 도착하는 경로를 확인할 수 있다.The product to which the second QR code 124 is attached can be used to locate the export product or the import product. When importing a product to which the second QR code 124 is attached,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may check the route of goods shipped from the origin to the customs via the logistics base. When exporting a product to which the second QR code 124 is attached,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may check the route of the product shipped from the origin to the destination via the logistics base.

소비자 단말기(132)는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기기를 의미한다. 소비자 단말기(132)는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물류 관리 장치(140)와 통신하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프로토콜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한다. The consumer terminal 132 refers to an electronic device that performs voice or data communication via a network according to a user's key operation. The consumer terminal 132 includes a memory for storing a program or protocol for communicating with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via a network, a microprocessor for executing a corresponding program, and calculating and controlling the program.

소비자 단말기(132)는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휴대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무선 통신 단말기(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미디어 플레이어 등과 같은 전자 기기일 수 있다. The consumer terminal 132 includes a smart phone, a tablet, a laptop, a personal computer (PC),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 a media player, or the like.

소비자 단말기(132)는 제품(110)에 부착된 제1 QR 코드(122)를 촬영하면, 제1 QR 코드(122)에 대응하는 제품식별정보를 추출하여 물류 관리 장치(140)로 전송한다. 소비자 단말기(132)는 물류 관리 장치(140)로부터 제1 QR 코드(122)에 대응하는 제품식별정보가 정품인 것으로 인증받으면, 구매 위치, 구매 날씨(습도, 온도), 단말기 기종, 가입자 성별, 가입자 나이, SNS 연결 유무를 수집하여 물류 관리 장치(140)로 전송한다.When the consumer terminal 132 photographs the first QR code 122 attached to the product 110, the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QR code 122 is extracted and transmitted to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If the consumer terminal 132 is authenticated that the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QR code 122 from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is genuine, the purchase location, purchase weather (humidity, temperature), terminal model, subscriber gender, The subscriber's age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SNS connection are collected and transmitted to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전용 리더기(134)는 물류기지에 설치되어, 물류기지를 통과하는 제품(110)에 부착된 제2 QR 코드(124)를 인식한다. 전용 리더기(134)는 제2 QR 코드(124)에 대응하는 제품식별정보를 추출하여 물류 관리 장치(140)로 전송한다. 전용 리더기(134)는 물류 관리 장치(140)로부터 제2 QR 코드(124)에 대응하는 제품식별정보가 정품으로 인지되면, 위치정보, 도착일시(년도/월/일/시간)를 추출하여 물류 관리 장치(140)로 전송한다.The dedicated reader 134 is installed in the logistics base and recognizes the second QR code 124 attached to the product 110 passing through the logistics base. The dedicated reader 134 extracts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QR code 124 and transmits it to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The dedicated reader 134 extracts location information and arrival date (year/month/day/time) from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when the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QR code 124 is recognized as a genuine logistic. Transfer to the management device 140.

물류 관리 장치(140)는 하드웨어적으로 통상적인 웹서버(Web Server) 또는 네트워크 서버와 동일한 하드웨어 모듈을 포함한다. 물류 관리 장치(140)는 웹서버 또는 네트워크 서버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물류 관리 장치(140)는 일반적으로 인터넷과 같은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불특정 다수 클라이언트 또는 다른 서버와 통신한다.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includes the same hardware module as a typical web server or network server in hardware.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web server or a network server.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generally communicates with an unspecified number of clients or other servers via an open computer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물류 관리 장치(140)는 클라이언트 또는 다른 웹서버의 작업수행 요청에 대응하는 작업 결과를 도출하여 제공하는 컴퓨터 시스템, 컴퓨터 소프트웨어(웹서버 프로그램)를 의미한다. 물류 관리 장치(140)는 전술한 웹서버 프로그램 이외에, 웹서버상에서 동작하는 일련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장치 내부에 구축되어 있는 각종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refers to a computer system or computer software (web server program) that derives and provides a work result corresponding to a request to perform a work performed by a client or another web server.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should be understood as a broad concept including a series of application programs or various databases built in the device,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web server program.

예컨대, 고객이 소비자 단말기(132)를 이용하여 화장품을 구매한 후 화장품에 부착된 제1 QR 코드(122)를 촬영하면, 물류 관리 장치(140)는 제1 QR 코드에 대응하는 제품식별 정보에 대한 정품 인증을 수행하고, 소비자 단말기(132)로부터 해당 고객식별정보, 구매일시(년도/월/일/시간), 구매당시날씨(습도/온도)를 수집한다.For example, if a customer purchases cosmetics using the consumer terminal 132 and then photographs the first QR code 122 attached to the cosmetics,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uses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QR code. For the genuine product activation, the custom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purchase date (year/month/day/time), and weather at the time of purchase (humidity/temperature) are collected from the consumer terminal 132.

물류 관리 장치(140)는 구매 당시 정보(고객식별정보, 구매일시, 구매당시날씨)를 빅데이터 처리하여 가시화한 후 출력 가능하다. 물류 관리 장치(140)는 판매자 또는 관리자가 시스템에 접속하면, 판매제품정보, 판매개수, 판매위치(지도상에 표시)가 시각적으로 처리되도록 디스플레이한다. 물류 관리 장치(140)는 기업의 의사결정지원 시스템에 적용 가능하다.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can process and visualize the information at the time of purchase (custom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date and time of purchase, time of purchase), and then output it. When the seller or manager accesses the system,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displays the sales product information, the number of sales, and the sales location (displayed on the map) to be visually processed.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is applicable to a company's decision support system.

물류 관리 장치(140)는 제2 QR 코드(124)가 부착된 제품(110)이 출하되어 물류기지를 경유할 때마다, 각 노드에서 위치정보, 도착일시(년도/월/일/시간)를 확인한 후 경로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 가능하다.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each time the product 110 is attached to the second QR code 124 is shipped through the logistics base, location information, arrival date and time (year / month / day / time) at each node After checking, it is possible to generate and output route information.

물류 관리 장치(140)는 소비자 단말기(132)로부터 제1 QR 코드(122)를 인식한 정보를 판독하고, 물류기지에 구비된 전용 리더기(134)로부터 제2 QR 코드(124)을 인식한 정보를 판독한다. 물류 관리 장치(140)는 소비자 단말기(132)로부터 제1 QR 코드(122)를 인식한 정보인 고객식별정보, 구매일시, 구매당시날씨를 판독한다. 물류 관리 장치(140)는 물류기지에 구비된 전용 리더기(134)로부터 제2 QR 코드(124)를 인식한 정보인 위치정보, 도착일시(년도/월/일/시간)를 판독한다.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reads the information that recognizes the first QR code 122 from the consumer terminal 132, and the information that recognizes the second QR code 124 from the dedicated reader 134 provided in the logistics base. Reads.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reads the custom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date of purchase, and the time of purchase at the time of purchase, which is the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first QR code 122 from the consumer terminal 132.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reads the location information, which is the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second QR code 124, from the dedicated reader 134 provided at the logistics base, and the date and time of arrival (year/month/day/time).

물류 관리 장치(140)는 제1 QR 코드(122)와 제2 QR 코드(124)를 이용하여 수집한 데이터를 가공 처리한 후 기 설정된 알고리즘, AI를 이용하여 물류 배분 정보 및 생산량 정보를 산출한다. 물류 관리 장치(140)는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상품(예컨대, A 상품)이 많이 팔리는 지역을 선별하고, 해당 지역으로 특정 상품((예컨대, A 상품)을 빨리 공급하기 위한 물류 배분 정보를 산출한다. 물류 관리 장치(140)는 특정 지역별 판매에 대한 증가율과 감소율을 기반으로 경향성 정보를 산출한다. 물류 관리 장치(140)는 경향성 정보를 기반으로 생산할 제품 정보를 결정한다.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processes the collected data using the first QR code 122 and the second QR code 124, and then calculates logistics distribution information and production quantity information using a preset algorithm and AI. .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selects a region in which a specific product (for example, A product) is sold a lot based on the collected information, and provides distribution information for quickly supplying a specific product (for example, A product) to the corresponding region.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calculates trend information based on an increase rate and a decrease rate for sales by a specific region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determines product information to be produced based on trend information.

물류 관리 장치(140)는 특정 지역별 판매에 대한 증가율과 감소율을 학습하여 향후 판매율을 산출한다. 물류 관리 장치(140)는 학습모델을 이용하여 향후 판매율을 산출할 수 있다.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calculates the future sales rate by learning the increase rate and the decrease rate for sales by specific region.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may calculate a future sales rate using a learning model.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물류 관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logistics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본 실시예에 따른 물류 관리 장치(140)는 제품 구매정보 관리부(210), 물류 정보 관리부(220), 정보 취합부(230), 의사결정 지원부(240)를 포함한다. 물류 관리 장치(140)에 포함된 구성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10, a logistics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20, a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30, and a decision support unit 240. Components included in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물류 관리 장치(14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는 장치 내부의 소프트웨어적인 모듈 또는 하드웨어적인 모듈을 연결하는 통신 경로에 연결되어 상호 간에 유기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통신 버스 또는 신호선을 이용하여 통신한다.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may be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path connecting a software module or a hardware module inside the device to operate organically with each other. These components communicate using one or more communication buses or signal lines.

도 2에 도시된 물류 관리 장치(140)의 각 구성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소프트웨어적인 모듈, 하드웨어적인 모듈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Each component of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shown in FIG. 2 refers to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may be implemented by a software module, a hardware module, or a combination of software and hardware.

제품 구매정보 관리부(210)는 소비자 단말기(132)로부터 특정 상품에 부착된 제1 QR 코드(122)를 인식한 제품 구매 정보를 수집한다. 제품 구매정보 관리부(210)는 제품 구매 정보에 포함된 제품식별정보를 인증한다.The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10 collects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that recognizes the first QR code 122 attached to a specific product from the consumer terminal 132. The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10 authenticates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제품 구매정보 관리부(210)는 소비자 단말기(132)가 제1 QR 코드를 인식하면, 제1 QR 코드(122)에 대응하는 제품식별정보가 정품인지를 인증한다. 제품 구매정보 관리부(210)는 제품식별정보가 정품으로 인증되면, 소비자 단말기(132)로 하여금 구매 위치 정보, 구매 일시 정보, 구매 날씨(습도, 온도) 정보를 필수적으로 수집하도록 한다. 제품 구매정보 관리부(210)는 단말기 기종 정보, 가입자 성별 정보, 가입자 나이 정보, SNS 연결 유무 정보를 선택적으로 수집하도록 한다.When the consumer terminal 132 recognizes the first QR code, the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10 authenticates whether the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QR code 122 is genuine. The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10 essentially causes the consumer terminal 132 to collect purchase location information, purchase date information, and purchase weather (humidity, temperature) information when the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authenticated as a genuine product. The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10 selectively collects terminal model information, subscriber gender information, subscriber age information, and SNS connection information.

물류 정보 관리부(220)는 물류기지에 구비된 전용 리더기(134)로부터 특정 상품에 부착된 제2 QR 코드(124)를 인식한 물류 위치이동 정보를 수집한다. 물류 정보 관리부(220)는 물류 위치이동 정보에 포함된 제품식별정보를 인증한다.The logistics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20 collects logistics location movement information recognizing the second QR code 124 attached to the specific product from the dedicated reader 134 provided at the logistics base. The logistics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20 authenticates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logistics location movement information.

물류 정보 관리부(220)는 물류기지에 구비된 전용 리더기(134)가 제2 QR 코드를 인식하면, 제2 QR 코드(124)에 대응하는 제품식별정보가 정품인지를 인증한다. 물류 정보 관리부(220)는 제품식별정보가 정품으로 인증되면, 제2 QR 코드(124)가 부착된 제품이 수출 또는 수입 시 출하된 상태에서 물류기지를 경유할 때마다 물류기지에 구비된 전용 리더기(134)로부터 제2 QR 코드(124)를 인식하여 각 노드마다 화물 움직임 시점을 확인한다.When the dedicated reader 134 provided in the logistics base recognizes the second QR code, the logistics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20 authenticates whether the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QR code 124 is genuine. When the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authenticated as a genuine product, the logistics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20 is a dedicated reader provided at the logistics base whenever the product with the second QR code 124 is shipped at the time of export or import. The second QR code 124 is recognized from 134 to check the cargo movement time for each node.

물류 정보 관리부(220)는 각 노드에서 위치정보, 도착일시(년도/월/일/시간)를 확인한 경로 정보를 기반으로 출발지에서 출하된 상품이 물류기지를 경유하여 세관에 도착하는 수입경로 및 수출경로를 생성하여 출력한다.The logistics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20 imports and exports the goods shipped from the origin to the customs via the logistics base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at each node and route information confirming the arrival date (year/month/day/time) through the logistics base. Create a path and print it.

정보 취합부(230)는 특정 상품에 대응하는 제품식별정보를 기준으로 제품 구매 정보와 물류 위치이동 정보를 누적하여 매칭하는 형태로 취합한 로우 데이터를 생성한다. 정보 취합부(230)는 제품식별정보를 기준으로 구매 위치 정보, 구매 날씨(습도, 온도) 정보, 단말기 기종 정보, 가입자 성별 정보, 가입자 나이 정보, SNS 연결 유무 정보, 각 노드에서 위치정보, 도착일시(년도/월/일/시간)를 누적하는 형태로 매칭하여 로우 데이터를 생성한다.Th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230 generates raw data collected in a form of accumulating and matching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and logistics location movement information based on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specific product. The information aggregator 230, based on the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purchase location information, purchase weather (humidity, temperature) information, terminal model information, subscriber gender information, subscriber age information, SNS connection presence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at each node, arrival Match the date and time (year/month/day/time) in a cumulative form to generate raw data.

의사결정 지원부(240)는 로우 데이터를 기반으로 최적 생산량 정보를 생성한다. 의사결정 지원부(240)는 최적 생산량 정보를 판매지로 분류하기 위한 최적 물류 배분 정보를 생성한다. 의사결정 지원부(240)는 최적 생산량 정보와 최적 물류 배분 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상품별 의사결정을 지원한다.The decision support unit 240 generates optimal production amount information based on the raw data. The decision support unit 240 generates optimal logistics distribution information for classifying optimal production information into sales locations. The decision support unit 240 supports decision-making for a specific product based on optimal production information and optimal distribution information.

의사결정 지원부(240)는 로우 데이터에 포함된 구매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지역별 판매량 정보를 산출한다. 지역별 판매량 정보는 국가별 판매량 정보와 도시별 판매량 정보를 포함한다. 의사결정 지원부(240)는 국가별 판매량 정보 또는 도시별 판매량 정보를 포함하는 지역별 판매량 정보를 산출한다.The decision support unit 240 calculates sales amount information for each region based on the purchase lo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aw data. Sales information by region includes sales information by country and sales information by city. The decision support unit 240 calculates sales amount information for each region including sales amount information for each country or sales amount for each city.

의사결정 지원부(240)는 지역별 판매량 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상품(A)이 많이 팔리는 지역을 선별하고, 해당 지역으로 특정 상품(A)을 빠르게 공급하기 위한 최적 물류 배분 정보를 산출한다.The decision support unit 240 selects a region in which a specific product (A) is frequently sold, and calculates optimal logistics distribution information for rapidly supplying a specific product (A) to the corresponding region based on sales information for each region.

의사결정 지원부(240)는 지역별 판매량 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지역별로 판매되는 제품에 대한 증가율과 감소율을 산출한다. 의사결정 지원부(240)는 전체 기간 중 기 설정된 최근 기간에 대한 증가율과 감소율을 기반으로 경향성 정보를 산출한다. 의사결정 지원부(240)는 경향성 정보를 기반으로 최적 생산량 정보를 산출한다.The decision support unit 240 calculates an increase rate and a decrease rate for products sold in a specific region based on sales information for each region. The decision support unit 240 calculates trend information based on an increase rate and a decrease rate for a preset recent period of the entire period. The decision support unit 240 calculates optimal output information based on the trend information.

의사결정 지원부(240)는 학습부(252), 향후 판매율 산출부(254), 물류 추정부(256)를 포함한다. 의사결정 지원부(240)에 포함된 구성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decision support unit 240 includes a learning unit 252, a future sales rate calculation unit 254, and a logistics estimation unit 256. Components included in the decision support unit 240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학습부(252)는 특정 지역별로 판매되는 제품에 대한 증가율과 감소율을 학습 데이터로서 입력하여 향후 판매율을 예측하는 학습모델을 생성한다. 향후 판매율 산출부(254)는 학습모델을 이용하여 향후 판매율을 산출한다. The learning unit 252 generates learning models that predict future sales rates by inputting an increase rate and a decrease rate for products sold by specific regions as learning data. The future sales rate calculation unit 254 calculates the future sales rate using a learning model.

물류 추정부(256)는 향후 판매율을 기반으로 최적 생산량 정보를 산출한다. 물류 추정부(256)는 최적 생산량 정보를 각 지역별로 분배하는 최적 물류 배분 정보를 산출한다.The logistics estimator 256 calculates optimal produc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future sales rate. The logistics estimator 256 calculates optimal logistics distribution information for distributing optimum production information for each region.

물류 추정부(256)는 로우 데이터를 기반으로 선택된 특정 국가 내에서 정품판매가 인증된 제품식별정보만을 추출한다. 물류 추정부(256)는 특정 국가 내에서 정품판매가 인증된 제품식별정보에 대한 판매 도시, 인증 횟수, 누적 판매량, 매출액을 추출한다. 물류 추정부(256)는 판매 도시, 인증 횟수, 누적 판매량, 매출액을 기반으로 도시별 판매량 증감율 정보를 산출한다.The logistics estimator 256 extracts only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certified to be genuine sales within a specific country selected based on raw data. The logistics estimator 256 extracts the sales city, the number of authentications, the cumulative sales volume, and the sales for the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which genuine sales are certified in a specific country. Logistics estimator 256 calculates sales volume increase/decrease rate information for each city based on sales city, number of authentications, cumulative sales volume, and sales.

물류 추정부(256)는 도시별 판매량 증감율 정보를 기반으로 도시별 최적 생산량 정보를 각각 산출하고, 특정 국가 내의 도시별 최적 생산량 정보를 합산하여 특정 국가에 대한 총 생산량 정보를 생성한다. 물류 추정부(256)는 총 생산량 정보를 도시별 최적 생산량 정보에 따라 분배하는 도시별 최적 물류 배분 정보를 생성한다.The logistics estimator 256 calculates the optimum production information for each city based on the sales increase/decrease rate information for each city, and sums the optimum production information for each city in a specific country to generate total production information for a specific country. The logistics estimator 256 generates optimal logistics distribution information for each city that distributes total produc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ptimum production information for each city.

물류 추정부(256)는 구매 날씨 정보로부터 판매 도시에 대한 온도 정보, 습도 정보, 미세먼지농도 정보, 강수량 정보를 추출한다.The logistics estimator 256 extracts temperature information, humidity information, fine dust concentration information, and precipitation information about the city to be sold from the purchase weather information.

물류 추정부(256)는 구매 날씨 정보에 포함된 온도 정보가 온도 임계치 이상이고 습도 정보가 습도 임계치 미만인 경우에 판매된 제품식별정보에 대한 판매량을 확인한다. 물류 추정부(256)는 판매량이 하위권에서 상위권으로 상승한 제품식별정보를 온도 변화 제품군으로 분류한다. 물류 추정부(256)는 온도 변화 제품군의 매출액을 확인하여 높은 매출액을 갖는 제품이 높은 가중치를 갖도록 온도 가중치를 결정한다. 예컨대, 물류 추정부(256)는 햇빛이 강한날 온도가 높고, 습도가 낮을 때, 매출액이 급격이 증가하는 제품인 썬크림에 높은 가중치를 주도록 결정할 수 있다. 물류 추정부(256)는 도시별 최적 생산량 정보를 생성할 때, 온도 가중치를 적용한다.The logistics estimation unit 256 checks the sales amount of the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sold when the temperatur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urchase weather informati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emperature threshold and the humidity information is less than the humidity threshold. The logistics estimator 256 classifies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which the sales volume has risen from the lower region to the upper region as a temperature change product group. The logistics estimator 256 determines the temperature weight so that products with high sales have high weight by checking sales of the temperature change product line. For example, the logistic estimator 256 may determine that when the temperature is high on a sunny day and when the humidity is low, a high weight is applied to the sunscreen, which is a product whose sales increase rapidly. The logistics estimator 256 applies temperature weights when generating optimum production information for each city.

물류 추정부(256)는 구매 날씨 정보에 포함된 강수량 정보가 강수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 판매된 제품식별정보에 대한 판매량을 확인한다. 물류 추정부(256)는 판매량이 하위권에서 상위권으로 상승한 제품식별정보를 강수량 변화 제품군으로 분류한다. 물류 추정부(256)는 강수량 변화 제품군의 매출액을 확인하여 높은 매출액을 갖는 제품이 높은 가중치를 갖도록 강수 가중치를 결정한다. 예컨대, 물류 추정부(256)는 비오는 날에 매출액이 급격히 증가하는 제품인 우산에 높은 가중치를 주도록 결정할 수 있다. 물류 추정부(256)는 도시별 최적 생산량 정보를 생성할 때, 강수 가중치를 적용한다.The logistics estimation unit 256 checks the sales amount of the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sold when the precipit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urchase weather informati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recipitation threshold. The logistics estimator 256 classifies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which the sales volume has risen from the lower region to the upper region as a precipitation change product group. The logistics estimator 256 determines the precipitation weights so that the products with high sales have high weights by checking the sales of the precipitation change product line. For example, the logistics estimator 256 may determine to give a high weight to an umbrella, which is a product whose sales increase rapidly on a rainy day. The logistics estimator 256 applies precipitation weights when generating optimum production information for each city.

물류 추정부(256)는 구매 날씨 정보에 포함된 온도 정보가 한파 임계치 미만이 경우에 판매된 제품식별정보에 대한 판매량을 확인한다. 물류 추정부(256)는 판매량이 하위권에서 상위권으로 상승한 제품식별정보를 방한 제품군으로 분류한다. 물류 추정부(256)는 방한 제품군의 매출액을 확인하여 높은 매출액을 갖는 제품이 높은 가중치를 갖도록 한파 가중치를 결정한다. 예컨대, 물류 추정부(256)는 추운날에 매출액이 급격히 증가하는 제품인 방한 용품에 높은 가중치를 주도록 결정할 수 있다. 물류 추정부(256)는 도시별 최적 생산량 정보를 생성할 때, 한파 가중치를 적용한다.The logistics estimating unit 256 checks the sales amount of the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sold when the temperatur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urchase weather information is less than the cold limit. The logistics estimator 256 classifies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which the sales volume has risen from the lower right to the upper right as a cold protection product line. The logistics estimator 256 determines the cold wave weights so that products with high sales have high weights by checking sales of cold protection products. For example, the logistics estimator 256 may determine to give a high weight to a cold product, which is a product whose sales increase rapidly on a cold day. The logistics estimator 256 applies the cold wave weight when generating optimal production information for each city.

물류 추정부(256)는 구매 날씨 정보에 포함된 미세먼지농도정보가 농도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 판매된 제품식별정보에 대한 판매량을 확인한다. 물류 추정부(256)는 판매량이 하위권에서 상위권으로 상승한 제품식별정보를 공기 오염도 제품군으로 분류한다. 물류 추정부(256)는 공기 오염도 제품군의 매출액을 확인하여 높은 매출액을 갖는 제품이 높은 가중치를 갖도록 공기 오염도 가중치를 결정한다. 예컨대, 물류 추정부(256)는 미세먼지농도가 높을 날에 매출액이 급격히 증가하는 제품인 마스크에 높은 가중치를 주도록 결정할 수 있다. 물류 추정부(256)는 도시별 최적 생산량 정보를 생성할 때, 공기 오염도 가중치를 적용한다.The logistics estimation unit 256 checks the sales amount of the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sold when the fine dust concentr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urchase weather informati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concentration threshold. The logistics estimating unit 256 classifies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which the sales volume has risen from the lower rank to the upper rank as an air pollution product range. The logistics estimator 256 determines the air pollution degree weighting value by checking the sales of the air pollution degree product line so that the products having high sales have high weight. For example, the logistics estimator 256 may determine to give a high weight to a mask, which is a product whose sales increase rapidly on a day when the fine dust concentration is high. The logistics estimator 256 applies the weight of air pollution when generating optimum production information for each city.

물류 추정부(256)는 도시별 판매 현황(증감율)에 포함된 각 제품군에 온도 가중치, 강수 가중치, 한파 가중치, 공기 오염도 가중치를 적용하여 도시별 최적 생산량 정보를 생성한다. 물류 추정부(256)는 특정 국가에 포함된 도시별 최적 생산량 정보를 합산하여 총 생산량 정보를 생성한다. 물류 추정부(256)는 총 생산량 정보를 도시별 최적 생산량 정보에 따라 분배하는 도시별 최적 물류 배분 정보를 생성한다.The logistics estimator 256 generates information on optimum production for each city by applying temperature weights, precipitation weights, cold weights, and air pollution weights to each product group included in the sales status (increase/decrease) of each city. The logistics estimator 256 generates total production information by summing up optimal production information for each city included in a specific country. The logistics estimator 256 generates optimal logistics distribution information for each city that distributes total produc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ptimum production information for each city.

물류 추정부(256)는 총 생산량 정보를 포함하는 최적 생산량 정보와 도시별 최적 생산량 정보에 따라 분배하는 도시별 최적 물류 배분 정보에 대한 의사 결정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따라 의사 결정을 지원한다.The logistics estimator 256 checks whether or not a decision is made on optimal production information including total production information and optimal logistic distribution information by city, which is distributed according to optimal production information by city, and supports decision-making based on the verification result. .

물류 추정부(256)는 구매 일시 정보로부터 기념일 정보, 요일 정보, 시간대 정보를 추출한다.The logistics estimation unit 256 extracts anniversary information, day information, and time zone information from the purchase date and time information.

물류 추정부(256)는 구매 일시 정보에 포함된 기념일 정보에 해당하는 날 판매된 제품식별정보에 대한 판매량을 확인한다. 물류 추정부(256)는 판매량이 하위권에서 상위권으로 상승한 제품식별정보를 기념일 제품군으로 분류한다. 물류 추정부(256)는 기념일 제품군의 매출액을 확인하여 높은 매출액을 갖는 제품이 높은 가중치를 갖도록 기념일 가중치를 결정한다. 예컨대, 물류 추정부(256)는 년단위로 발렌타인 데이 등의 기념일에 매출액이 급격히 증가하는 제품인 초콜릿에 높은 가중치를 주도록 결정할 수 있다. 물류 추정부(256)는 총 생산량 정보를 생성할 때, 기념일 가중치를 적용한다.The logistics estimator 256 checks the sales amount of the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sold on the day corresponding to the anniversary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urchase date and time information. The logistics estimating unit 256 classifies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which the sales volume has risen from the lower rank to the upper rank as an anniversary product line. The logistics estimator 256 determines the anniversary weights so that the products with high sales have high weights by checking the sales of anniversary products. For example, the logistics estimator 256 may determine to give a high weight to chocolate, which is a product whose sales increase rapidly on an anniversary such as Valentine's Day on a yearly basis. The logistics estimator 256 applies anniversary weights when generating total production information.

물류 추정부(256)는 구매 일시 정보에 포함된 요일 정보마다 판매된 제품식별정보에 대한 판매량을 확인한다. 물류 추정부(256)는 요일 변화에 따라 특정 요일에 판매량이 하위권에서 상위권으로 상승한 제품식별정보를 요일별 제품군으로 분류한다. 물류 추정부(256)는 요일별 제품군의 매출액을 확인하여 높은 매출액을 갖는 제품이 높은 가중치를 갖도록 요일별 가중치를 결정한다. 예컨대, 물류 추정부(256)는 금요일에 매출액이 급격히 증가하는 제품인 주류에 높은 가중치를 주도록 결정할 수 있다. 물류 추정부(256)는 총 생산량 정보를 생성할 때, 요일별 가중치를 적용한다.The logistics estimator 256 checks the sales amount of the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sold for each day of the week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urchase date and time information. The logistics estimator 256 classifies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which the sales volume has risen from the lower right to the upper right on a particular day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day of the week. The logistics estimator 256 determines the weights for each day of the week so that the products with high sales have high weights by checking the sales of the product groups for each day of the week. For example, the logistics estimator 256 may determine to give a high weight to liquor, which is a product whose sales increase rapidly on Friday. The logistics estimator 256 applies weights for each day of the week when generating total production information.

물류 추정부(256)는 구매 일시 정보에 포함된 시간대 정보마다 판매된 제품식별정보에 대한 판매량을 확인한다. 물류 추정부(256)는 시간대 변화에 따라 특정 시간대에 판매량이 하위권에서 상위권으로 상승한 제품식별정보를 시간대별 제품군으로 분류한다. 물류 추정부(256)는 시간대별 제품군의 매출액을 확인하여 높은 매출액을 갖는 제품이 높은 가중치를 갖도록 시간대별 가중치를 결정한다. 예컨대, 물류 추정부(256)는 저녁 시간대에 매출액이 급격히 증가하는 제품인 주류에 높은 가중치를 주도록 결정할 수 있다. 물류 추정부(256)는 총 생산량 정보를 생성할 때, 시간대별 가중치를 적용한다.The logistics estimator 256 checks the sales amount of the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sold for each time zon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urchase date and time information. The logistics estimator 256 classifies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which the sales volume has risen from the lower right to the upper right in a specific time zon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time zone into a product group by time zone. The logistics estimator 256 determines the weights for each time slot so that the products with high sales have high weights by checking the sales of the product groups by time. For example, the logistics estimator 256 may determine to give high weight to alcoholic beverages, which are products whose sales increase rapidly in the evening hours. The logistics estimator 256 applies weights for each time zone when generating total production information.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발행된 QR 코드 목록을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diagram showing a list of issued QR code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물류 관리 장치(140)는 QR 코드 내역을 출력한다. 물류 관리 장치(140)는 발행된 QR 코드의 개별 인증 현황 정보를 표시한다. 물류 관리 장치(140)는 QR 코드 생성 이력을 제공하며, QR 코드 생성 이력에 대한 다운로드를 제공한다.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outputs the QR code details.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displays individual authentication status information of the issued QR code.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provides a history of QR code generation and a download of the history of QR code generation.

도 3의 ①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류 관리 장치(140)는 QR 코드 목록을 출력한다. 물류 관리 장치(140)는 발행된 QR 코드의 목록, 인증횟수를 표시하며, QR 코드명 선택되면, 우측 개별 QR 상세 영역에 내용을 표시한다.3,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outputs a QR code list.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displays the list of issued QR codes and the number of authentications, and when the QR code name is selected, displays the content in the individual QR detail area on the right.

도 3의 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류 관리 장치(140)는 개별 QR 상세 영역을 출력한다. 물류 관리 장치(140)는 해당 QR 코드 이미지, 인증일시, 국가, 도시를 표시한다.3,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outputs an individual QR detail area.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displays the corresponding QR code image, authentication date, country, and city.

도 3의 ③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류 관리 장치(140)는 전체 QR 코드의 생성 이력을 출력한다. 물류 관리 장치(140)는 다운로드에 대한 요청이 있는 경우, QR 코드의 이미지를 압축하여 제공한다.As shown in ③ of FIG. 3,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outputs a history of generating the entire QR code.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compresses and provides an image of the QR code when a request for downloading is made.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등록한 제품에 대한 인증현황을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diagram showing the authentication status of the registered pro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물류 관리 장치(140)는 QR 코드에 대한 인증현황 개요를 출력한다. 물류 관리 장치(140)는 로그인한 회원 계정으로 등록한 제품만을 대상으로 기 등록된 제품에 대한 주요 인증현황수치를 제공한다.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outputs an overview of the authentication status for the QR code.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provides the main authentication status values for the pre-registered products only for the products registered with the logged-in member account.

도 4의 ①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류 관리 장치(140)는 선택 기간에 대해 주요 수치를 써머리 형태로 표시한다. 도 4의 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류 관리 장치(140)는 선택 기간에 대한 선택 항목의 누적 수치를 그래프로 표시한다.As shown in ① in FIG. 4,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displays the main numerical values in a summary form for the selected period. As shown in ② in FIG. 4,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displays cumulative numbers of selection items for a selection period in a graph.

도 4의 ③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류 관리 장치(140)는 선택 기간별 총인증횟수가 많은 제품 순서로 표시(예컨대, 총 5개)한다. 물류 관리 장치(140)는 제품명이 선택되면 제품상세(인증현황-제품-제품상세) 페이지로 이동한다. 도 4의 ④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류 관리 장치(140)는 선택 기간별 총인증횟수가 많은 국가 순서로 표시(예컨대, 총 5개국)한다. 물류 관리 장치(140)는 국가명이 선택되면, 국가상세(인증현황-공간-국가상세) 페이지로 이동한다.As shown in (3) of FIG. 4,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displays (eg, a total of 5) in the order of products having a large total number of authentications per selection period. When the product name is selected,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moves to a product detail (authentication status-product-product detail) page. As shown in ④ of FIG. 4,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displays the total number of authentications per selection period in a country order (eg, 5 countries in total). When the country name is selected,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moves to the country detail (authentication status-space-country detail) page.

도 4의 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류 관리 장치(140)는 선택 기간별 총인증횟수가 많은 고객 순서로 표시(예컨대, 총 5명)한다. 물류 관리 장치(140)는 고객명을 고객의 이메일 주소명으로만 표시(예컨대, @이후 호스팅 주소는 미표시)한다.As shown in ⑤ of FIG. 4,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displays (eg, a total of 5 people) in the order of the number of total authentication times per selection period.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displays the customer name only as the customer's email address name (eg, the hosting address after @ is not displayed).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등록한 제품에 대한 매출액비중을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the proportion of sales for registered product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물류 관리 장치(140)는 인증현황 제품 중 등록 제품에 대한 인증 정보를 제공한다. 도 5의 ①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류 관리 장치(140)는 선택 기간 내에 인증한 제품의 매출액 표시(예컨대, 상위 5개)한다. 도 5의 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류 관리 장치(140)는 선택 기간 내에 선택한 제품의 인증 누적 수치를 표시한다. 도 5의 ③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류 관리 장치(140)는 선택 기간 내에 인증이 발생한 제품의 목록 및 관련 정보를 표시한다. 물류 관리 장치(140)는 제품명이 선택되면 제품상세(인증현황-제품-제품상세) 페이지로 이동한다.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provides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the registered product among the authentication status products. As shown in ① in FIG. 5,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displays the sales of certified products (eg, the top five) within a selected period. As shown in ② in FIG. 5,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displays the cumulative number of authentication of the selected product within the selected period. As shown in ③ of FIG. 5,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displays a list of related products and related information within a selected period. When the product name is selected,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moves to a product detail (authentication status-product-product detail) page.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등록한 개별 제품의 상세 인증 내역을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the detailed certification details of the registered individual product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물류 관리 장치(140)는 제품 상세 정보로서, 인증현황을 출력한다. 물류 관리 장치(140)는 개별 제품의 상세 인증 내역을 표시한다.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outputs authentication status as product detailed information.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displays detailed authentication details of individual products.

도 6의 ①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류 관리 장치(140)는 제품 주요 정보를 표시한다. 도 6의 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류 관리 장치(140)는 선택한 카테고리-제품의 상세 페이지로 이동한다. 물류 관리 장치(140)는 카테고리가 선택되면, 제품 선택을 활성화한다. 물류 관리 장치(140)는 인증이 발생한 제품 및 카테고리만을 표시한다. 도 6의 ③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류 관리 장치(140)는 해당 제품의 인증현황 정보를 표시한다.6,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displays product main information. 6,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moves to a detailed page of the selected category-product. When the category is selected,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activates product selection.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displays only products and categories in which authentication has occurred. 6,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displays authentication status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product.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개별 제품의 국가별 인증 내역을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 country-specific certification history of individual product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물류 관리 장치(140)는 제품 상세 정보로서, 국가별 정보를 출력한다. 물류 관리 장치(140)는 개별 제품의 국가별 인증 내역을 출력한다.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outputs country-specific information as product detailed information.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outputs the country-specific authentication details of individual products.

도 7의 ①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류 관리 장치(140)는 선택 기간 동안 총인증횟수 기준으로 상위 국가(예컨대, 10개국)를 마커로 표시한다. 도 7의 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류 관리 장치(140)는 선택 기간 동안 총 매출액 기준으로 상위 국가(예컨대, 5개국)를 표시한다. 도 7의 ③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류 관리 장치(140)는 선택 기간 동안 인증이 발생한 국가 목록 및 정보를 표시한다.As shown in ① in FIG. 7,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displays the top countries (eg, 10 countries) as markers based on the total number of authentications during the selection period. As shown in ② in FIG. 7,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displays the top countries (eg, 5 countries) based on total sales during the selection period. As shown in ③ of FIG. 7,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displays a list of countries and information on which authentication occurred during the selection period.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개별 제품의 날씨별 인증 내역을 나타낸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a certification history of each individual pro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물류 관리 장치(140)는 제품상세 정보로서, 날씨별 정보를 출력한다. 물류 관리 장치(140)는 개별 제품의 날씨별 인증 내역을 출력한다. 여기서, 날씨 항목은 API로 제공받는다.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outputs weather-specific information as product detailed information.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outputs the certification of each product by weather. Here, weather items are provided through the API.

도 8의 ①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류 관리 장치(140)는 선택 기간 동안 날씨별 인증 정보를 시각화하여 표시한다. 도 8의 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류 관리 장치(140)는 선택 기간 동안 날씨별 인증 정보를 표시한다.8,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visualizes and displays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each weather during a selection period. As shown in ② in FIG. 8,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displays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each weather during a selected period.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개별 제품의 장치별 인증 내역을 나타낸 도면이다.9 is a view showing a certification history of each device of each pro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물류 관리 장치(140)는 제품상세정보로서, 장치별 정보를 출력한다. 물류 관리 장치(140)는 개별 제품의 장치별 인증 내역을 표시한다. 물류 관리 장치(140)는 장치 항목은 3항목으로 제공한다.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is product detailed information and outputs device-specific information.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displays authentication details for each device of each product.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provides three device items.

도 9의 ①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류 관리 장치(140)는 선택 기간 동안 장치별 인증 정보를 시각화하여 표시한다. 도 9의 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류 관리 장치(140)는 선택 기간 동안 장치별 인증 정보를 표시한다.9,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visualizes and displays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each device during a selection period. 9,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displays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each device during a selection period.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인사이트 복합분석을 나타낸 도면이다.10 is a view showing an insight composite analysi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물류 관리 장치(140)는 인사이트 복합분석 결과를 출력한다. 물류 관리 장치(140)는 플랫폼에 등록된 전체 제품 대상으로 선택한 조건별 인증값을 다운로드 형태로 제공한다. 물류 관리 장치(140)는 유료 여부에 따라 접근권한을 정의한다.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outputs the results of the insight composite analysis.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provides authentication values according to conditions selected for all products registered on the platform in a download form.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defines access rights according to whether or not it is paid.

도 10의 ①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류 관리 장치(140)는 각 항목별 조건을 선택받는다. 물류 관리 장치(140)는 찾아보기가 선택되면 조건 선택 레이어를 표시한다. 도 10의 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류 관리 장치(140)는 선택받은 조건을 표시한다. 물류 관리 장치(140)는 X가 선택되면 해당 조건을 삭제한다. 도 10의 ③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류 관리 장치(140)는 결과를 다운로드 형태로 제공한다. 물류 관리 장치(140)는 선택받은 조건의 인증값 결과를 엑셀 파일을 다운로드 형태로 제공한다.As shown in ① of FIG. 10,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receives the condition for each item. When the browse is selected,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displays a condition selection layer. 10,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displays the selected condition. The logistic management device 140 deletes the corresponding condition when X is selected. As shown in ③ of FIG. 10,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provides a result in a download form.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provides an Excel file in the form of a download for the authentication value result of the selected condition.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인사이트 복합분석시 선택 제품에 대한 세부 항목을 나타낸 도면이다.11 is a diagram showing detailed items for a selected product in the insight composite analysi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물류 관리 장치(140)는 선택 제품을 X축으로 정렬하여 표시하고, 선택 조건을 Y축으로 정렬하여 표시한다. 물류 관리 장치(140)는 입력받은 값을 기반으로 도출하기를 원하는 값을 한정한다.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displays the selected products arranged in the X-axis, and displays the selection conditions in the Y-axis.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limits the value to be derived based on the received value.

도 11의 ①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류 관리 장치(140)는 X축으로 선택한 제품(필수 선택)을 정렬하여 나열한다. 도 11의 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류 관리 장치(140)는 Y축으로 선택한 조건의 세부 항목을 정렬하여 나열한다.As shown in ① of FIG. 11,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arranges and lists the products (mandatory selection) selected on the X axis. As shown in ② in FIG. 11,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sorts and arranges detailed items of the conditions selected on the Y-axis.

도 11의 ③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류 관리 장치(140)는 결과값을 출력한다. 물류 관리 장치(140)는 제품별로 선택한 조건의 세부 항목에 기록된 인증값 표시한다. 도 11의 ④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류 관리 장치(140)는 선택 조건별 결과를 각 시트(Sheet)별로 표시한다.11,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outputs the result value.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displays the authentication value recorded in the detailed item of the condition selected for each product. As shown in ④ of FIG. 11,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displays the results for each selection condition for each sheet.

도 1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인사이트 복합분석시 기간 및 시간대 선택을 나타낸 도면이다.12 is a view showing a period and time zone selection in the insight composite analysi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물류 관리 장치(140)는 기간 선택 레이어로서, 기간 선택을 필수로 입력받고, 시간대 선택을 선택적으로 입력받는다.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is a period selection layer, which receives a period selection as a mandatory and selectively selects a time zone.

도 12의 ①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류 관리 장치(140)는 기간 선택을 입력받는다. 도 12의 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류 관리 장치(140)는 시간대 선택을 입력받는다. 도 12의 ③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류 관리 장치(140)는 요일 선택으로서 복수의 요일을 선택받는다.12,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receives a period selection. 12,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receives a time zone selection. As shown in ③ of FIG. 12,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receives a plurality of days as a day of the week selection.

도 1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인사이트 복합분석시 날짜 선택을 나타낸 도면이다.13 is a diagram showing date selection in an insight composite analysi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물류 관리 장치(140)는 날씨 선택 레이어를 제공한다.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provides a weather selection layer.

도 13의 ①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류 관리 장치(140)는 날씨 선택 레이어로서, 복수 날씨를 선택적으로 입력받는다. 물류 관리 장치(140)는 날씨 항목으로 API를 제공받는다. 도 13의 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류 관리 장치(140)는 온도 선택으로 온도 정보를 직접 기입하는 방식으로 입력받는다. 도 13의 ③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류 관리 장치(140)는 습도 선택으로 습도 정보를 직접 기입하는 방식으로 입력받는다.13,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is a weather selection layer, and selectively receives a plurality of weathers.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is provided with an API as a weather item. As shown in ② in FIG. 13,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is input in a manner of directly writing temperature information through temperature selection. As shown in ③ of FIG. 13,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receives the humidity information by directly inputting the humidity information by selecting the humidity.

도 1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인사이트 복합분석시 공간 선택을 나타낸 도면이다.14 is a diagram showing spatial selection in the insight composite analysi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물류 관리 장치(140)는 공간 선택 레이어를 제공한다.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provides a space selection layer.

도 14의 ①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류 관리 장치(140)는 국가 선택에 대해 세부 국가를 ② 영역에 표시한다. 물류 관리 장치(140)는 해당 국가에 속하는 도시 선택을 활성화한다. 물류 관리 장치(140)는 국가 선택으로 복수 국가를 선택적으로 입력받는다. 물류 관리 장치(140)는 도시 선택으로 세부 도시를 ② 영역에 표시한다. 물류 관리 장치(140)는 해당 국가에 속하는 도시를 복수로 선택 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서, 도시 선택은 필수 정보가 아니다.As shown in ① of FIG. 14,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displays detailed countries in the area ② for country selection.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activates selection of cities belonging to the country.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selectively receives a plurality of countries by country selection.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displays the detailed city in the ② area by selecting a city.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enables a plurality of cities belonging to the corresponding country to be selected. Here, city selection is not essential information.

도 14의 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류 관리 장치(140)는 X에 대한 입력이 존재하면, 해당 국가 또는 도시를 삭제한다. 물류 관리 장치(140)는 상위 항목(예컨대, 국가)을 삭제하는 경우 하위항목(예컨대, 도시)까지 전부 삭제한다.As shown in ② in FIG. 14, the logistic management device 140 deletes the corresponding country or city when an input to X exists. When deleting the parent item (eg, country),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deletes all of the child item (eg, city).

도 1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인사이트 복합분석시 고객 선택을 나타낸 도면이다.15 is a view showing customer selection in the insight composite analysi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물류 관리 장치(140)는 고객 선택 레이어를 제공한다.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provides a customer selection layer.

도 15의 ①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류 관리 장치(140)는 고객 등급, 고객 연령대, 구매빈도를 입력받아 해당 조건에 해당하는 정보를 추출하여 출력한다. 물류 관리 장치(140)는 고객 등급, 고객 연령대, 구매빈도에 포함되는 세부 항복을 복수로 입력받을 수 있다. As shown in ① of FIG. 15,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receives customer ratings, customer age groups, and purchase frequency and extracts and output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ditions.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may receive a plurality of detailed yields included in the customer grade, customer age group, and purchase frequency.

도 16은 본 실시예에 따른 판매율을 예측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16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predicting a sales rat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16에서는 특정 지역별 판매에 대한 증가율과 감소율을 기반으로 판매율을 예측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16, a method for predicting a sales rate based on an increase rate and a decrease rate for sales in a specific region is disclosed.

도 16을 참조하면, 향후 판매율 산출부(254)는 판매율 예측하기 위한 범위를 기존의 판단 결과 및 판매율 추출 민감도(1640)를 기반으로 조정할 수 있다. 판단 결과는 판매지역 위치정보(1610), 판매 증가율 정보(1620), 판매 감소율 정보(16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6, the future sales rate calculating unit 254 may adjust the range for predicting the sales rate based on the existing judgment result and the sales rate extraction sensitivity 1640. The determination result may include sales area location information 1610, sales increase rate information 1620, and sales decrease rate information 1630.

본 실시예에 따르면, 향후 판매율 산출부(254)는 전체 판매 지역 상에서 판매 빈도가 낮은 지역에서 판매 증가율 또는 판매 감소율이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으로 크게 변동하는 경우, 예측 범위에 상대적으로 더 높게 반영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 the future, the sales rate calculating unit 254 may reflect relatively higher in the prediction range when the sales growth rate or the sales reduction rate fluctuates more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in a region where the sales frequency is low over the entire sales area. have.

반대로, 향후 판매율 산출부(254)는 전체 판매 지역 상에서 판매 빈도가 높은 지역에서 판매 증가율 또는 판매 감소율이 기 설정된 임계치 미만으로 변동하는 경우, 예측 범위에 상대적으로 작게 반영할 수 있다.Conversely, in the future, the sales rate calculating unit 254 may reflect a relatively small amount in the prediction range when the sales increase rate or the sales decrease rate fluctuates below a predetermined threshold in a region where the sales frequency is high in the entire sales area.

향후 판매율 산출부(254)는 특정 지역에서 변동하는 판매 증가율 또는 판매 감소율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클수록 예측 범위를 상대적으로 더 크게 조정할 수 있다. 반대로, 향후 판매율 산출부(254)는 특정 지역에서 변동하는 판매 증가율 또는 판매 감소율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을수록 예측 범위를 상대적으로 더 작게 조정할 수 있다.In the future, the sales rate calculating unit 254 may adjust the forecast range relatively larger as the size of the sales growth rate or sales reduction rate that fluctuates in a specific region is relatively large. Conversely, the future sales rate calculating unit 254 may adjust the forecast range relatively smaller as the size of the sales increase rate or the sales decrease rate that fluctuates in a specific region is relatively small.

향후 판매율 산출부(254)는 특정 지역에서 발생되는 증감율에 상대적으로 작은 영향을 미칠수록 예측 범위가 상대적으로 더 크게 조정될 수 있다. 반대로, 향후 판매율 산출부(254)는 증감율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칠수록 예측 범위가 상대적으로 더 작게 조정될 수 있다.In the future, as the sales rate calculator 254 has a relatively small effect on the increase/decrease rate generated in a specific region, the prediction range may be adjusted to be relatively large. Conversely, the future sales rate calculating unit 254 may have a relatively large influence on the increase/decrease rate, so that the prediction range may be adjusted to be smaller.

향후 판매율 산출부(254)는 전술한 방식으로 판단이 보다 필요한 지역, 제품을 고려한 예측 범위의 조정을 통해 향후 판매율 계산의 속도를 높이고 향후 판매율의 정확도를 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The future sales rate calculating unit 254 may speed up the future sales rate calculation and further increase the accuracy of the future sales rate through adjustment of the prediction range in consideration of regions and products that need more judgment in the above-described manner.

본 실시예에 따르면, 향후 판매율 산출부(254)는 증감율 추출 민감도(1640)가 상대적으로 높게 설정될수록 예측 범위는 상대적으로 작게 설정되고, 반대로 증감율 추출 민감도(1640)가 상대적으로 낮게 설정될수록 예측 범위는 상대적으로 크게 설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uture sales rate calculating unit 254 is set as the prediction range is set relatively small as the sensitivity increase/extract sensitivity 1640 is set relatively high, on the contrary, the prediction range is set as the sensitivity increase/extract sensitivity 1640 is set relatively low. Can be set relatively large.

이뿐만 아니라, 물류 관리 장치(140)는 증가율 또는 감소율에 대한 증감율 판단 신뢰도(1650)가 낮을수록 해당 부분에 대한 예측 범위는 상대적으로 작게 설정될 수도 있다. 인공 지능 모델에 대한 학습 결과, 증가율 또는 감소율별로 인공 지능 모델의 증감율 판단 신뢰도가 서로 상이할 수 있고, 증감율 판단 신뢰도가 상대적으로 낮을수록 보다 정확한 판단을 위해 예측 범위를 상대적으로 작게 설정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40 may be set to have a relatively small prediction range for a corresponding portion as the reliability of the increase/decrease rate determination 1650 for the increase or decrease rate is lower. As a result of learning about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he reliability of the increase/decrease rate judgment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as the reliability of the increase/decrease rate judgment is relatively low, the prediction range may be set relatively small for more accurate judgment.

위와 같은 전체 판매 지역에 대한 예측 범위의 조정은 전술한 바와 같이 판매지역 위치정보, 판매 증가율 정보, 판매 감소율 정보를 포함하는 판단 결과를 지속적으로 반영하여 수행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djustment of the prediction range for the entire sales area may be performed by continuously reflecting the determination result including the sales area location information, sales increase rate information, and sales decrease rate information.

도 1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학습모델의 생성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17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method of generat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mode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17에서는 학습부(252)는 분류를 기반으로 지역별 증감율에 대한 학습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도 17을 참조하면, 학습부(252)는 적어도 하나의 학습모델을 기반으로 한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In FIG. 17, the learning unit 252 discloses a method for performing learning on an increase/decrease rate for each region based on classification. Referring to FIG. 17, the learning unit 252 may perform learning based on at least one learning model.

제1 학습모델(1710)은 실제 학습 데이터인 특정 상품에 대한 제1~N 지역 판매 증가율과 제1~N 지역 판매 감소율을 기반으로 학습한 모델일 수 있다. 제2 학습모델(1720)은 실제 판매 대상 상품은 아니지만 판매 대상 상품과 유사한 상품에 대한 제1~N 지역 판매 증가율과 제1~N 지역 판매 감소율을 기반으로 학습한 모델일 수 있다.The first learning model 1710 may be a model learned based on the first to N regional sales growth rates and the first to N regional sales decrease rates for specific products that are actual learning data. The second learning model 1720 may not be an actual sale target product, but may be a model learned based on first to N regional sales growth rates and first to N regional sales decrease rates for products similar to the sales target products.

실제 학습 데이터인 특정 상품에 대한 판매 증가율, 특정 상품에 대한 판매 감소율은 제1 학습 데이터(1715)라는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 실제 관리자가 선택한 판매 상품은 아니나 선택된 판매 상품과 유사한 유사 상품에 대한 판매 증가율, 유사 상품에 대한 판매 감소율은 제2 학습 데이터(1725)라는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 The actual learning data, the sales increase rate for a specific product and the sales reduction rate for a specific product, may be expressed in terms of the first learning data 1715. The sales increase rate for similar products similar to the selected sales product and the decrease rate for sales for similar products may be expressed in terms of second learning data 1725, although the sales product is not actually selected by the manager.

제3 학습모델(730)은 제1 학습 데이터(1715) 및 제2 학습 데이터(1725)를 믹싱한 제3 학습 데이터(735)를 기반으로 학습을 수행한 모델일 수 있다. 제3 학습 데이터(1735)의 믹싱 비율은 판매 대상 상품과 제2 학습 데이터(1725)의 생성시 사용된 상품의 유사도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판매 대상 상품과 제2 학습 데이터(1725)의 생성시 사용된 상품의 유사도가 높을수록 제2 학습 데이터(1725)의 믹싱 비율을 상대적으로 높여서 제3 학습 데이터(1735)가 생성될 수 있다.The third learning model 730 may be a model that performs learning based on the third learning data 735 in which the first learning data 1715 and the second learning data 1725 are mixed. The mixing ratio of the third learning data 1735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similarity between the product to be sold and the product used when the second learning data 1725 is generated. As the similarity between the product to be sold and the product used when generating the second learning data 1725 is higher, the mixing ratio of the second learning data 1725 is relatively increased, so that the third learning data 1735 may be generated.

초기 상품 검사 단계에서는 제1 학습모델(1710), 제2 학습모델(1720) 및 제3 학습모델(1730)에 대한 판단 결과를 기반으로 지역별 증감율에 대한 판단이 수행될 수 있다. In the initial product inspection step, determination of the increase/decrease rate for each region may be performed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s for the first learning model 1710, the second learning model 1720, and the third learning model 1730.

이후, 제1 임계 기간 동안에 대한 증감율을 확인한 증감율 확인 단계에서 제1 학습모델(1710), 제2 학습모델(1720) 및 제3 학습모델(1730) 각각의 지역별 증감율 정확도가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지역별 증감율1에 대해 제1 학습모델(1710) 및 제3 학습모델(1730)이 임계값 이상의 정확도를 보일 수 있고, 가장 높은 정확도를 가지는 학습모델은 제3 학습모델(1730)일 수 있다. 지역별 증감율2에 대해 제1 학습모델(1710) 및 제2 학습모델(1720)이 임계값 이상의 정확도를 보일 수 있고, 가장 높은 정확도를 가지는 학습모델은 제2 학습모델(1720)일 수 있다.Thereafter, in the step of confirming the increase and decrease rate for the first critical period, the accuracy of the increase and decrease rate for each region of the first learning model 1710, the second learning model 1720, and the third learning model 1730 may be determined. For example, the first learning model 1710 and the third learning model 1730 may show an accuracy of a threshold value or higher for a region-specific increase/decrease rate 1, and the learning model having the highest accuracy may be the third learning model 1730. . The first learning model 1710 and the second learning model 1720 may show an accuracy greater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for a region-specific increase and decrease rate 2, and the learning model having the highest accuracy may be the second learning model 1720.

제1 임계 기간동안 대한 증감율을 확인한 초기 증감율 확인 단계에서 실제로 높은 정확도를 가지는 모델을 추출하고 해당 모델에 대해서만 추가적인 증감율 확인 결과에 대한 피드백을 입력하여 추가 학습을 진행할 수 있다. In the initial increase/decrease rate checking step in which the increase/decrease rate for the first critical period has been checked, a model having a high accuracy can be extracted, and additional learning can be performed by inputting feedback for additional increase/decrease rate check results only for the corresponding model.

이후, 제2 임계 기간동안에 대한 증감율을 확인한 증감률 확인 단계에서 가장 높은 정확도만을 가지는 학습모델만을 선택하여 지역별 증감율을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Thereafter, in the step of confirming the increase and decrease rate for the second critical period, only the learning model having the highest accuracy can be selected to more accurately determine the increase and decrease rate for each region.

도 18은 본 실시예에 따른 학습시 제품군에 따라 스케일을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18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rmining a scale according to a product line during lear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학습부(252)는 특정 지역별로 판매되는 제품에 대한 증가율과 감소율을 학습 데이터로서 입력하여 향후 판매율을 예측하는 학습모델을 생성할 때, 증가율과 감소율을 산출하기 위한 로우 데이터에 대한 타임 스케일(Time Scale)의 범위를 지정하여 학습할 수 있다. 학습부(252)는 제품 스케일 결정부(1810), 연속 스케일 학습부(1820), 불연속 스케일 학습부(1830)를 포함한다.The learning unit 252 inputs an increase rate and a decrease rate for products sold by specific regions as learning data, and generates a learning model that predicts a future sales rate. You can learn by specifying the range of Scale). The learning unit 252 includes a product scale determining unit 1810, a continuous scale learning unit 1820, and a discontinuous scale learning unit 1830.

정보 취합부(230)는 기본적으로 일단위, 주간 단위, 월간 단위 또는 년간 단위로 제품 구매 정보와 물류 위치이동 정보를 누적하여 매칭하는 형태로 취합한 로우 데이터를 생성하는데, 제품 스케일 결정부(1810)는 정보 취합부(230)에서 생성한 로우 데이터에 대한 전체 기간을 기반으로 제품별 소비 패턴 및 판매 성향을 산출한다.The information aggregator 230 basically generates raw data collected in a form of accumulating and matching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and logistic location movement information on a daily, weekly, monthly, or yearly basis. The product scale determination unit 1810 ) Calculates consumption patterns and sales tendencies for each product based on the entire period for the raw data generated by th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230.

제품 스케일 결정부(1810)는 로우 데이터에 대한 전체 기간을 기반으로 각 제품별로 소피 패턴 또는 판매 성향을 확인하여, 고가 제품(예컨대, TV), 자주 소비되는 제품, 소비 사이클이 긴 제품을 연속 스케일 제품군으로 분류하고, 계절성 제품(예컨대, 화장품, 선풍기), 급진적으로 많이 판매되는 제품, 소비 사이클이 짧은 제품을 불연속 스케일 제품군으로 분류한다.The product scale determination unit 1810 checks the Sophie pattern or sales propensity for each product based on the entire period for the raw data, and continuously scales expensive products (for example, TV), frequently consumed products, and products with long consumption cycles. It is classified as a product group, and seasonal products (eg, cosmetics, electric fans), products that are sold frequently, and products with short consumption cycles are classified as a discontinuous scale product group.

다시 말해, 제품 스케일 결정부(1810)는 로우 데이터를 기반으로 각 제품의 판매 성향을 산출하고, 판매 성향을 기반으로 각 제품의 타임 스케일을 적응적으로 결정한다.In other words, the product scale determination unit 1810 calculates the sales propensity of each product based on the raw data, and adaptively determines the time scale of each product based on the sales propensity.

제품 스케일 결정부(1810)는 특정 제품이 지속적인 판매(소비 사이클이 긴 제품)가 이루어지는 제품군인 경우 연속 스케일 제품군으로 분류한다. 제품 스케일 결정부(1810)는 제1 QR 코드를 기반으로 수집된 정품으로 인증된 제품식별정보에 대해 구매 일시 정보, 판매량 정보를 기반으로 지속적인 판매가 이루어지는 제품을 판별하여 연속 스케일 제품군으로 분류한다.The product scale determination unit 1810 classifies a continuous scale product when a specific product is a product that continuously sells (products having a long consumption cycle). The product scale determination unit 1810 classifies the product as a continuous scale product family by determining the product that continuously sells based on the purchase date information and the sales amount information, based on the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at is authenticated as the genuine product collected based on the first QR code.

제품 스케일 결정부(1810)는 비지속적으로 판매(소비 사이클이 짧 제품)가 이루어지는 제품군인 경우 불연속 스케일 제품군으로 분류한다. 제품 스케일 결정부(1810)는 제1 QR 코드를 기반으로 수집된 정품으로 인증된 제품식별정보에 대해 구매 일시 정보, 판매량 정보를 기반으로 비지속적인 판매가 이루어지는 제품(특정 기간에만 판매량이 발생하는 제품)을 판별하여 불연속 스케일 제품군으로 분류한다.The product scale determining unit 1810 is classified as a discontinuous scale family in the case of a product family in which sales (products with short consumption cycles) are discontinued. The product scale determining unit 1810 is a product in which non-continuous sales are made based on purchase date information and sales volume information for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uthenticated as a genuine product collected based on a first QR code (products in which sales volume occurs only in a specific period) And classify it as a discontinuous scale product line.

연속 스케일 학습부(1820)는 특정 제품이 연속 스케일 제품군으로 분류된 경우, 타임 스케일을 기 설정된 임계치(특정 기간)보다 길게 설정한 상태(넓은 타임 스케일을 갖는 상태)에서 제품에 대한 증가율과 감소율을 학습 데이터로서 입력하여 연속 스케일 향후 판매율을 예측한다. 연속 스케일 학습부(1820)는 연속 스케일 향후 판매율을 기반으로 연속 스케일 학습모델(1822)을 생성한다.The continuous scale learning unit 1820 determines an increase rate and a decrease rate for a product in a state in which a time scale is set long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a specific period) when a specific product is classified as a continuous scale family (with a wide time scale). Input as learning data to predict future sales rate on a continuous scale. The continuous scale learning unit 1820 generates a continuous scale learning model 1822 based on the future sales rate of the continuous scale.

불연속 스케일 학습부(1830)는 특정 제품이 불연속 스케일 제품군으로 분류된 경우, 타임 스케일을 기 설정된 임계치(특정 기간)보다 짧게 설정한 상태(좁은 타임 스케일을 갖는 상태)에서 제품에 대한 증가율과 감소율을 학습 데이터로서 입력하여 불연속 스케일 향후 판매율을 예측한다. 불연속 스케일 학습부(1830)는 불연속 스케일 향후 판매율을 기반으로 불연속 스케일 학습모델(1822)을 생성한다.The discontinuous scale learning unit 1830 determines the rate of increase and decrease for a product in a state in which the time scale is set shorter than a preset threshold (a specific period) (a state having a narrow time scale) when a specific product is classified as a discontinuous scale family. Input as learning data to predict the future sales rate of the discontinuous scale. The discontinuous scale learning unit 1830 generates a discontinuous scale learning model 1822 based on the future sales rate of the discontinuous scale.

향후 판매율 산출부(254)는 연속 스케일 학습모델(1822)과 불연속 스케일 학습모델(1822)을 이용하여 향후 판매율을 산출한다. 향후 판매율 산출부(254)는 연속 스케일 향후 판매율과 불연속 스케일 향후 판매율 각각에 기간별로 상이한 가중치를 반영하여 향후 판매율을 산출한다.The future sales rate calculating unit 254 calculates the future sales rate using the continuous scale learning model 1822 and the discontinuous scale learning model 1822. The future sales rate calculating unit 254 calculates the future sales rate by reflecting different weights for each period in each of the continuous scale future sales rate and the discontinuous scale future sales rate.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is embodiment belongs may be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refore, the present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embodiment,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embodiment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spirit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embodiment.

110: 제품
122: 제1 QR 코드 124: 제2 QR 코드
132: 소비자 단말기 134: 전용 리더기
140: 물류 관리 장치
210: 제품 구매정보 관리부 220: 물류 정보 관리부
230: 정보 취합부 240: 의사결정 지원부
110: product
122: first QR code 124: second QR code
132: consumer terminal 134: dedicated reader
140: logistics management device
210: product purchasing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20: logistics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30: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40: decision support unit

Claims (7)

소비자 단말기로부터 특정 상품에 부착된 제1 QR 코드(Quick Response Code)를 인식한 제품 구매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제품 구매 정보를 인증하는 제품 구매정보 관리부;
물류기지로부터 상기 특정 상품에 부착된 제2 QR 코드를 인식한 물류 위치이동 정보를 수집하여 인증하는 물류 정보 관리부;
상기 특정 상품에 대응하는 제품식별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제품 구매 정보와 상기 물류 위치이동 정보를 누적하여 매칭하는 형태로 취합한 로우 데이터를 생성하는 정보 취합부; 및
상기 로우 데이터를 기반으로 최적 생산량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최적 생산량 정보를 판매지로 분류하기 위한 최적 물류 배분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최적 생산량 정보와 상기 최적 물류 배분 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상품별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의사결정 지원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관리 장치.
A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that collects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recognizing a first QR code (Quick Response Code) attached to a specific product from a consumer terminal, and authenticates the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A logistics information management unit collecting and authenticating logistics location movement information recognizing the second QR code attached to the specific product from the logistics base;
An information collecting unit for generating raw data collected in a form of accumulating and matching the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and the logistics location movement information based on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product; And
Generate optimal produc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raw data, generate optimal logistics distribution information to classify the optimal production information into a sales place, and support decision-making for specific products based on the optimal production information and the optimal logistics distribution information Decision Support Department
Logistics management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구매정보 관리부는,
상기 소비자 단말기가 상기 제1 QR 코드를 인식하면, 상기 제1 QR 코드에 대응하는 상기 제품식별정보가 정품인지를 인증하고, 상기 제품식별정보가 정품으로 인증되면, 상기 소비자 단말기로 하여금 구매 위치 정보, 구매 일시 정보, 구매 날씨 정보를 필수적으로 수집하도록 하고, 단말기 기종 정보, 가입자 성별 정보, 가입자 나이 정보, SNS 연결 유무 정보를 선택적으로 수집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When the consumer terminal recognizes the first QR code, authenticates whether the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QR code is genuine, and when the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authenticated as genuine, causes the consumer terminal to purchase location information , Logistics manage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essential to collect the purchase date and time, purchase weather information, and selectively collect terminal model information, subscriber gender information, subscriber age information, and SNS connection informa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류 정보 관리부는,
상기 물류기지에 구비된 전용 리더기가 상기 제2 QR 코드를 인식하면, 상기 제2 QR 코드에 대응하는 상기 제품식별정보가 정품인지를 인증하고, 상기 제품식별정보가 정품으로 인증되면, 상기 제2 QR 코드가 부착된 제품이 수출 또는 수입 시 출하된 상태에서 물류기지를 경유할 때마다 상기 물류기지에 구비된 전용 리더기로부터 상기 제2 QR 코드를 인식하여 각 노드마다 화물 움직임 시점을 확인하여 각 노드에서 위치정보, 도착일시를 확인한 경로 정보를 기반으로 출발지에서 출하된 상품이 물류기지를 경유하여 세관에 도착하는 수입경로 및 수출경로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logistics information management unit,
When the dedicated reader provided at the logistics base recognizes the second QR code, the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QR code is authenticated, and when the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authenticated as genuine, the second Whenever a product with a QR code is shipped at the time of export or import, it passes through the logistic base and recognizes the second QR code from the dedicated reader provided at the logistic base to check the timing of cargo movement for each node and checks each nod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duct is shipped from the origin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route information confirming the arrival date and time to generate and output the import route and export route to the customs via the logistics bas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취합부는,
상기 제품식별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구매 위치 정보, 상기 구매 날씨 정보, 상기 단말기 기종 정보, 상기 가입자 성별 정보, 상기 가입자 나이 정보, 상기 SNS 연결 유무 정보, 상기 각 노드에서 위치정보, 상기 도착일시를 누적하는 형태로 매칭하여 상기 로우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Accumulate the purchase location information, the purchase weather information, the terminal model information, the subscriber gender information, the subscriber age information, the SNS connection presence informa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at each node, and the arrival date based on the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Logistics manage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match the form to generate the raw data.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의사결정 지원부는,
상기 로우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구매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지역별 판매량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지역별 판매량 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상품이 많이 팔리는 지역을 선별하고, 해당 지역으로 특정 상품을 빠르게 공급하기 위한 상기 최적 물류 배분 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decision support unit,
The optimal logistics for calculating sales volume information for each region based on the purchase lo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aw data, selecting a region in which a specific product is sold a lot based on the sales information for each region, and rapidly supplying a specific product to the corresponding region Logistics manage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calculating the distribution informa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의사결정 지원부는,
상기 지역별 판매량 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지역별로 판매되는 제품에 대한 증가율과 감소율을 산출하고, 전체 기간 중 기 설정된 최근 기간에 대한 증가율과 감소율을 기반으로 경향성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경향성 정보를 기반으로 최적 생산량 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decision support unit,
Based on the sales information for each region, an increase rate and a decrease rate for a product sold in a specific region are calculated, and trend information is calculated based on an increase rate and a decrease rate for a recent period set in the entire period, and the optimality is based on the trend information Logistics manage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calculating the output informa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의사결정 지원부는,
상기 특정 지역별로 판매되는 제품에 대한 증가율과 감소율을 학습 데이터로서 입력하여 향후 판매율을 예측하는 학습모델을 생성하는 학습부;
상기 학습모델을 이용하여 향후 판매율을 산출하는 향후 판매율 산출부; 및
상기 향후 판매율을 기반으로 상기 최적 생산량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최적 생산량 정보를 각 지역별로 분배하는 상기 최적 물류 배분 정보를 산출하는 물류 추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decision support unit,
A learning unit generating learning models for predicting future sales rates by inputting an increase rate and a decrease rate for products sold for each specific region as learning data;
A future sales rate calculating unit for calculating a future sales rate using the learning model; And
A logistics estimation unit that calculates the optimal produc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future sales rate and calculates the optimal logistics distribution information that distributes the optimal production information for each region.
Logistics management device comprising a.
KR1020200057110A 2020-05-13 2020-05-13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Logistics by Using Quick Response Code KR10213962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110A KR102139620B1 (en) 2020-05-13 2020-05-13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Logistics by Using Quick Response Co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110A KR102139620B1 (en) 2020-05-13 2020-05-13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Logistics by Using Quick Response Cod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9620B1 true KR102139620B1 (en) 2020-07-31

Family

ID=71834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7110A KR102139620B1 (en) 2020-05-13 2020-05-13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Logistics by Using Quick Response Cod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962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0494B1 (en) * 2021-03-10 2021-08-17 주식회사 코루제약 Method of preparing filler composition containing hyaluronic acid to exhibit effect suitable for maintaining volume and elasticity of ski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5346B1 (en) * 2019-07-17 2019-12-12 김보성 System for Integrated distribution managem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5346B1 (en) * 2019-07-17 2019-12-12 김보성 System for Integrated distribution manage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0494B1 (en) * 2021-03-10 2021-08-17 주식회사 코루제약 Method of preparing filler composition containing hyaluronic acid to exhibit effect suitable for maintaining volume and elasticity of ski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en et al. Demand forecasting in retail operations for fashionable products: methods, practices, and real case study
CA2938561C (en) System for individualized customer interaction
US869437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 control of marketing actions
US8407104B2 (en) Catalog based price search
KR10096399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senting personalized goods information based on emotion,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CN109767032A (en) A kind of business finance operation digital management optimization system based on data analysis
KR10244705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dicting Demand of product
Dadouchi et al. Lowering penalties related to stock-outs by shifting demand in product recommendation systems
Ziari et al. A review on competitive pricing in supply chain management problems: models, classification, and applications
Wang et al. A novel consumer purchase behavior recognition method using ensemble learning algorithm
KR102317543B1 (en) Inventory sharing method through tire inventory management
Huang et al. User experience evaluation of B2C E-commerce websites based on fuzzy information
KR10213962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Logistics by Using Quick Response Code
Fu et al. Interactive Marketing E-Commerce Recommendation System Driven by Big Data Technology
US20230419184A1 (en) Causal Inference Machine Learning with Statistical Background Subtraction
KR102297131B1 (en) Method for marketing using managing server
CN116777562A (en) Electronic commerce AI system based on big data
Wang A dynamic CGE model for consumer trust mechanism within an e-commerce market
KR100833293B1 (en) System for Supporting a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CN113935529A (e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medium for determining life cycle value of customer
KR100403276B1 (en) A system and method to extract buying intention for commercial goods and services
CN117333269B (en) Fresh flower order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KR102522673B1 (en) Method for operating reviews analyzing service, system and computer-readable medium recording the method
CN10942697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information
KR100754460B1 (en) System of promoting online product sale for individual marketing service and method using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