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9110B1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using grip sensing in the electronic device - Google Patents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using grip sensing in the electronic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9110B1
KR102139110B1 KR1020130128151A KR20130128151A KR102139110B1 KR 102139110 B1 KR102139110 B1 KR 102139110B1 KR 1020130128151 A KR1020130128151 A KR 1020130128151A KR 20130128151 A KR20130128151 A KR 20130128151A KR 102139110 B1 KR102139110 B1 KR 102139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grip pattern
touch
grip
contro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81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47647A (en
Inventor
김명식
김준우
박주완
김선아
오윤제
정선태
홍현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14172405.4A priority Critical patent/EP2816442B1/en
Priority to US14/310,860 priority patent/US9626029B2/en
Publication of KR20140147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7647A/en
Priority to US15/489,123 priority patent/US9778775B2/en
Priority to US15/710,386 priority patent/US1004879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9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91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 상기 터치 센서 및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그립 패턴을 감지하고, 그립 패턴에 따라 미리 정해진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lectronic device includes: a touch sensor sensing at least one touch; A pressure sensor that senses at least one pressure; The touch sensor and the pressure sensor may include a control unit that senses a grip pattern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s a predetermined function according to the grip pattern, and various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Description

전자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에서 그립 센싱을 이용한 제어 방법{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USING GRIP SENSING IN THE ELECTRONIC DEVICE}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USING GRIP SENSING IN THE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전자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 디바이스에서 그립 센싱을 이용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rol method using grip sensing in an electronic device.

최근 전자 디바이스들이 늘어나면서 직관적인 입/출력이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UI: User Interface)의 요구가 증대하고 있다. Recently, as electronic devices increase, the demand for a user interface (UI) capable of intuitive input/output is increasing.

예컨대 전자 디바이스들은 키보드, 키 패드, 마우스 등의 별도 구성을 이용하여 정보를 입력 받는 전통적인 UI 방식에서 손가락이나 터치용 전자 펜 등을 이용하여 화면을 직접 터치하거나 음성을 이용하여 정보를 입력 받는 직관적 UI 방식으로 점차 진화하고 있다. 이러한 UI 기술은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를 보다 편리하고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중요하다.For example, in the traditional UI method in which electronic devices input information using a separate configuration such as a keyboard, a keypad, and a mouse, an intuitive UI that directly touches the screen using a finger or an electronic pen for touch or inputs information using voice. It is gradually evolving. This UI technology is important because the user can use the electronic device more conveniently and easily.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목적은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할 뿐만 아니라 직관적이면서 인간 중심적인 UI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에서 그립 센싱을 이용한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an object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rol method using a grip sensing in an electronic device and an electronic device that not only considers user convenience but also provides an intuitive and human-centered UI.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목적은 사용자의 전자 디바이스 그립 상태 변화, 그립 패턴, 그립 시간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의 미리 정해진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에서 그립 센싱을 이용한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lso, an object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use a grip sensing in an electronic device and a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a predetermined func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a user's electronic device grip state change, grip pattern, and grip time. It is to provide a control method.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목적은 사용자의 전자 디바이스 회전 시 그립 상태 변화에 따라 화면 회전을 제어할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에서 그립 센싱을 이용한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an object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rol method using a grip sensing in an electronic device and a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screen rotation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grip state when the user rotates the electronic device.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목적은 전자 디바이스가 잠금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한 그립 패턴 및 그립 시간에 따라 잠금 해제를 제어할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에서 그립 센싱을 이용한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an object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rol method using a grip sensing in an electronic device and a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unlocking according to a grip pattern and a grip time by a user while the electronic device is locked. .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목적은 전자 디바이스의 그립 감지 면에 터치 감지에 따라 볼륨 또는 줌 조절을 제어할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에서 그립 센싱을 이용한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lso, an object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volume or zoom adjustment according to touch sensing on a grip sensing surface of an electronic device and a control method using grip sensing in the electronic device.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목적은 전자 디바이스의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 발생 시 그립된 상태인지에 따라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를 무시하거나,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 입력에 다른 해당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에서 그립 센싱을 이용한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an object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trol to ignore the touch on the touch screen or perform other corresponding functions on the touch input on the touch screen, depending on whether or not it is in a gripped state when a touch occurs on the touch screen of the electronic device. It is to provide a control method using grip sensing in an electronic device and an electronic device that can be used.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들 중 적어도 하나는 하기의 구성요소들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achieved by the following components.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 상기 터치 센서 및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그립 패턴을 감지하고, 그립 패턴에 따라 미리 정해진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touch sensor that senses at least one touch; A pressure sensor that senses at least one pressure; The touch sensor and the pressure sensor may include a control unit that senses a grip pattern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s a predetermined function according to the grip pattern.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에서 그립 센싱을 이용한 제어 방법 있어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그립 패턴을 감지하는 동작과, 상기 그립 패턴에 따라 미리 정해진 기능을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control method using a grip sensing in an electronic device, it may include an operation of sensing a grip pattern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ling a predetermined function according to the grip pattern.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를 회전하면 무조건 화면을 회전하는 것이 아니라, 전자 디바이스가 회전된 상태에서 그립 패턴이 변했을 때 화면을 회전하므로 의도치 않은 화면 회전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rotates the electronic device, the screen is rotated when the grip pattern is changed while the electronic device is rotated. .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를 회전함에 따라 제1 화면이 회전된 제2 화면으로 변했을 때, 다시 회전 전인 제1 화면을 보고 싶을 경우 압력을 가하는 쉽고 간단한 조작에 의해 원하는 제1 화면을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screen is changed to the rotated second screen as the user rotates the electronic device, when the user wants to see the first screen before rotation again, the desired first by simple and simple operation of applying pressure. You can make the screen visibl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전자 디바이스 그립 동작을 이용하여 기능을 바로 실행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쉽고 간단하게 원하는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function can be immediately executed using a user's electronic device grip operation, a desired function can be executed more easily and simply.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기능을 수행할 때 어떤 그립 패턴으로 전자 디바이스를 쥐었는지를 이용하여 그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그립 명령을 생성함으로써, 보다 쉽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performs a function, a grip command for executing the function is generated by using a grip pattern in which an electronic device is held, so that the function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를 쥐는 그립 동작만으로 잠금 상태를 해제하거나, 전원 온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므로 별도의 잠금 해제를 위한 조작이나 전원 온을 위한 조작을 수행할 필요가 없어서 편리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release the lock state by simply gripping the electronic device or perform power-on, so there is no need to perform a separate lock-out operation or a power-on operation. It can be convenient.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를 쥔 상태에서 그립 영역을 문지르는 동작만으로 볼륨이나 줌을 조절할 수 있어서 편리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onvenient because the user can adjust the volume or zoom only by rubbing the grip area while holding the electronic devic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를 손에 쥠에 따라 그립된 상태에서 터치 스크린상에 손바닥에 의한 터치 입력이 발생한 경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을 무시함으로써, 터치 스크린 상에 불필요한 터치 입력을 무시할 수 있어서 정확한 터치 입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touch input by a palm occurs on a touch screen in a state where a user is gripped by holding an electronic device in hand, unnecessary touch on the touch screen is ignored by ignoring the touch input on the touch screen. The input can be neglected to enable accurate touch inpu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전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에서 그립 패턴 변화를 이용한 화면 회전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그립 패턴 변화에 따라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에서 그립 패턴에 따른 기능 수행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그립 패턴 일예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에서 그립 패턴을 이용한 명령 생성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에서 그립 감지를 이용한 잠금 해제 및 전원 온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에서 그립 영역에 미리 정해진 방식의 입력이 감지됨에 따른 볼륨 조절 또는 줌 조절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에서 볼륨 조절 또는 줌 조절을 나타낸 화면 일예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가 그립된 상태에서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 무시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가 그립된 상태에서 터치 입력 무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가 그립된 상태에서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 무시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가 그립된 상태에서 터치 입력 무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1 is a schematic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of a screen rotation control method using a grip pattern change in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views illustrating a screen displayed according to a change in a grip pattern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controlling a function execution according to a grip pattern in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ample of a grip patter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of a command generation control method using a grip pattern in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unlocking and power-on control using grip detection in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controlling volume control or zoom control when an input of a predetermined method is detected in a grip area in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and 13 is an example of a screen showing a volume control or zoom control in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ignoring touch input on a touch screen when an electronic device is gripped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view for explaining ignoring a touch input while the electronic device is gripped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controlling touch input ignore on a touch screen while an electronic device is gripped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view for explaining ignoring a touch input while the electronic device is gripped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예시적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xemplary embodiment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each drawing denote members that perform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디바이스는 터치 센서(10), 압력 센서(20), 저전력 MPU(Micro Processor Unit)(30), 제어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1 is a schematic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electronic device may include a touch sensor 10, a pressure sensor 20, a low power micro processor unit (MPU) 30, and a control unit 40.

터치 센서(10)는 전자 디바이스의 적어도 일면 예컨대 전자 디바이스를 사용자가 쥐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전자 디바이스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터치 센서(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터치 어레이(11-1 내지 111-N), 적어도 하나 이상의 터치 제어부(13-1 내지 13-N)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터치 어레이(11-1 내지 111-N) 각각은 손가락, 터치 도구 등의 터치 가능한 객체에 의한 터치에 의한 터치 감지 신호를 출력한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터치 제어부(13-1 내지 13-N) 각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터치 어레이(11-1 내지 111-N) 각각에 의한 터치 감지 신호에 따라 터치된 지점을 판단하고, 터치된 지점에 해당하는 터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The touch sensor 10 may be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electronic device, for example, on the side of the electronic device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holds the electronic device or not. The touch sensor 10 may include at least one touch array 11-1 to 111-N, and at least one touch control unit 13-1 to 13-N. Each of the at least one or more touch arrays 11-1 to 111-N outputs a touch detection signal by touch by a touchable object such as a finger or a touch tool. Each of the at least one touch control unit 13-1 to 13-N determines a touched point according to a touch detection signal by each of the at least one touch array 11-1 to 111-N, and corresponds to the touched point The touch information can be output.

압력 센서(20)는 터치 센서(10)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의 적어도 일면 예컨대 전자 디바이스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트레인 게이지(21-1 내지 21-N), 적어도 하나 이상의 ADC(23-1 내지 23-N)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트레인 게이지(21-1 내지 21-N) 각각은 손가락, 가압체 등의 압력을 가할 수 있는 객체의 가압에 의한 압력 감지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ADC(23-1 내지 23-N)는 아날로그 압력 감지 신호를 디지털 압력 정보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The pressure sensor 20 may be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electronic device, such as the touch sensor 10, for example, on the side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strain gauge 21-1 to 21-N, and at least one ADC 23 -1 to 23-N). Each of the at least one or more strain gauges 21-1 to 21-N may output a pressure detection signal by pressing an object capable of applying pressure, such as a finger or a pressing body. At least one ADC (23-1 to 23-N) may convert an analog pressure sensing signal to digital pressure information and output it.

저전력 MPU(30)는 저전력으로 전자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저전력 MPU(30)는 저전력으로 터치 센서(10) 및 압력 센서(20)로부터 터치 정보 및 압력 정보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저전력 MPU(30)는 전자 디바이스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도 터치 센서(10) 및 압력 센서(20)로부터 터치 정보 및 압력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전력 MPU(30)는 전자 디바이스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도 터치 센서(10) 및 압력 센서(20)로부터 터치 정보 및 압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그립 상태, 그립 패턴, 그립 시간 중 어느 하나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립 상태는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를 쥐고 있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그립 패턴은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를 어떤 패턴으로 쥐고 있는지 나타낼 수 있다. 그립 시간은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를 얼마의 시간 동안 쥐고 있는지 나타낼 수 있다. The low power MPU 30 can control the electronic device with low power. The low power MPU 30 may receive and process touch information and pressure information from the touch sensor 10 and the pressure sensor 20 with low power. The low-power MPU 30 may process touch information and pressure information from the touch sensor 10 and the pressure sensor 20 even when the power of the electronic device is turned off. For example, the low-power MPU 30 uses the touch state and grip information from at least one of the touch information and the pressure information from the touch sensor 10 and the pressure sensor 20 even when the power of the electronic device is off. You can judge either. The grip state may indicate whether the user is holding the electronic device. The grip pattern may indicate in which pattern the user holds the electronic device. The grip time can indicate how long the user is holding the electronic device.

제어부(40)는 터치 정보, 압력 정보를 이용하여 그립 여부, 그립 패턴, 그립 시간을 판단할 수 있고, 그립 여부, 그립 패턴, 그립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전자 디바이스의 다양한 기능 중 미리 정해진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40 may determine whether or not to grip, the grip pattern, and the grip time using the touch information and the pressure information. The controller 40 may use the at least one of grip, grip pattern, and grip time to determine a predetermined function among various functions of the electronic device. Function can be controlled.

전자 디바이스는 터치 센서(10), 압력 센서(20), 저전력 MPU(30), 제어부(40)를 포함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전자 디바이스라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자 디바이스가 휴대형 이동 단말(100)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The electronic device can be any electronic device as long as it can include a touch sensor 10, a pressure sensor 20, a low power MPU 30, and a control unit 40.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an example in which the electronic device is a portable mobile terminal 100.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구성도이다. 도 2에서는 전자 디바이스가 휴대형 이동 단말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디바이스(이하 '장치'라고도 칭함)(100)는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및 커넥터(165)를 이용하여 외부장치(도시되지 아니함)와 연결될 수 있다. 외부장치는 다른 장치(도시되지 아니함), 휴대폰(도시되지 아니함), 스마트폰(도시되지 아니함), 태블릿PC(도시되지 아니함) 및 서버(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한다. 2 is a block diagram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shows a case where the electronic device is a portable mobile terminal. Referring to FIG. 2, the electronic device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device”) 10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not shown)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20, the sub communication module 130, and the connector 165. Can. External devices include other devices (not shown), mobile phones (not shown), smartphones (not shown), tablet PCs (not shown), and servers (not shown).

또한, 장치(100)는 터치스크린(190) 및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를 포함한다. 또한, 장치(100)는 제어부(110),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모듈(155),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저장부(175), 전원공급부(185), 저전력 MPU(185)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device 100 includes a touch screen 190 and a touch screen controller 195. In addition, the device 100 includes a control unit 110,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20, a sub communication module 130, a multimedia module 140, a camera module 150, a GPS module 155, an input/output module 160 ), a sensor module 170, a storage unit 175, a power supply unit 185, and a low-power MPU 185.

서브통신 모듈(130)은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 오디오재생 모듈(142) 및 동영상재생 모듈(14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메라 모듈(150)은 제1 카메라(151) 및 제2 카메라(1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입/출력 모듈(160)은 버튼(161), 마이크(162), 스피커(163), 진동모터(164), 커넥터(165), 및 키패드(16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The sub-communication module 130 includes at least one of a wireless LAN module 131 and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32, and the multimedia module 140 includes a broadcast communication module 141, an audio playback module 142, and a video playback module. (143). The camera module 150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first camera 151 and the second camera 152, and the input/output module 160 includes a button 161, a microphone 162, a speaker 163, vibration Motor 164, connector 165, and keypad 166.

제어부(110)는 CPU(111), 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112) 및 장치(100)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기억하거나,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작업을 위한 기억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 113)을 포함할 수 있다. CPU(111)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또는 쿼드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CPU(111), 롬(112) 및 램(113)은 내부버스(bus)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10 stores the CPU 111, a ROM (ROM, 112) in which a control program for controlling the device 100 is stored, and signals or data input from outside of the device 100, or in the device 100 The RAM may be used as a storage area for the work to be performed. The CPU 111 may include a single core, dual core, triple core, or quad core. The CPU 111, the ROM 112, and the RAM 113 may be interconnected through an internal bus.

제어부(110)는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 모듈(155),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전원공급부(185), 저전력 MPU(185), 저장부(185), 터치스크린(190) 및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를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10 includes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20, a sub communication module 130, a multimedia module 140, a camera module 150, a GPS module 155, an input/output module 160, and a sensor module 170. , The power supply unit 185, the low-power MPU 185, the storage unit 185, the touch screen 190 and the touch screen controller 195 can be controlled.

이러한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100)를 손으로 쥐는 등 그립 동작을 수행함에 따라 그립을 감지하고 그립 감지에 따라 다양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10 may detect a grip and perform various control operations according to the grip detection as the user performs a grip operation such as holding the electronic device 100 by h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동통신 모듈(120)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하나 또는 복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을 통해 장치(100)가 외부 장치와 연결되도록 한다. 이동통신 모듈(120)은 장치(100)에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가지는 휴대폰(도시되지 아니함), 스마트폰(도시되지 아니함), 태블릿PC 또는 다른 장치(도시되지 아니함)와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문자메시지(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 및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데이터 전송을 위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20 allows the device 100 to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through mobile communication using at least one- or multiple-antenna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20 is a mobile phone (not shown), a smart phone (not shown), a tablet PC or other device (not shown) having a phone number input to the device 100, a voice call, a video call, Transmits/receives a wireless message for text message (SMS) or multimedia message (MMS) and video data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서브통신 모듈(130)은 무선랜 모듈(131),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랜 모듈(131)만 포함하거나, 근거리통신 모듈(132)만 포함하거나, 또는 무선랜 모듈(131), 근거리통신 모듈(132)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The sub-communication module 13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wireless LAN module 131 and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32. For example, it may include only the wireless LAN module 131, only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32, or both the wireless LAN module 131 and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32.

무선랜 모듈(131)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예를 들면, 무선 랜 안테나 또는 WIFI 안테나를 이용하여 무선 AP(access point)(도시되지 아니함)가 설치된 장소에서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무선랜 모듈(131)은 미국전기전자학회(IEEE)의 무선랜 규격(IEEE802.11x)을 지원한다. 근거리통신 모듈(132)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장치(100)와 화상형성장치(도시되지 아니함) 사이에 무선으로 근거리 통신을 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방식은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일 수 있다. 장치(100)는 성능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무선랜 모듈(131),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100)는 성능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무선랜 모듈(131), 근거리통신 모듈(132)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The wireless LAN module 131 may be connected to the Internet at a place where a wireless access point (AP) (not shown) is installed using, for example, a wireless LAN antenna or a WIFI antenna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The wireless LAN module 131 supports a wireless LAN standard (IEEE802.11x) of the Americ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s (IEEE).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32 may perform short-range communication wirelessly between the device 100 and an image forming apparatus (not show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10.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ethod may be at least one communication method among Bluetooth, zigbee, an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The device 1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20, a wireless LAN module 131, and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32 according to performance. For example, the device 100 may include a combin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20, the wireless LAN module 131, and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32 according to performance.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 오디오재생 모듈(142) 또는 동영상재생 모듈(143)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통신 모듈(141)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방송국에서부터 송출되는 방송 신호(예, TV방송 신호, 라디오방송 신호 또는 데이터방송 신호) 및 방송부가 정보(예, EPS(Electric Program Guide) 또는 ESG(Electric Service Guide))를 수신할 수 있다. 오디오재생 모듈(142)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저장되거나 또는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예, 파일 확장자가 mp3, wma, ogg 또는 wav인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저장되거나 또는 수신되는 디지털 동영상 파일(예, 파일 확장자가 mpeg, mpg, mp4, avi, mov, 또는 mkv인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The multimedia module 140 may include a broadcast communication module 141, an audio playback module 142, or a video playback module 143. The broadcast communication module 141 includes a broadcast signal (eg, TV broadcast signal, radio broadcast signal or data broadcast signal) and broadcast unit information (eg, EPS (Electric Program Guide)) transmitted from a broadcasting st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or ESG (Electric Service Guide) can be received. The audio playback module 142 may play digital audio files (eg, files having a file extension of mp3, wma, ogg, or wav) that are stored or receiv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The video playback module 143 may play digital video files (eg, files having a file extension of mpeg, mpg, mp4, avi, mov, or mkv) that are stored or receiv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The video playback module 143 can play digital audio files.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을 제외하고 오디오재생 모듈(142)과 동영상재생 모듈(14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모듈(140)의 오디오재생 모듈(142) 또는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제어부(100)에 포함될 수 있다.The multimedia module 140 may include an audio playback module 142 and a video playback module 143 except for the broadcast communication module 141. Also, the audio playback module 142 or the video playback module 143 of the multimedia module 140 may be included in the control unit 100.

GPS 모듈(155)는 지구 궤도상에 있는 복수의 GPS위성(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전파를 수신하고, GPS위성(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장치(100)까지 전파도달시간(Time of Arrival)을 이용하여 장치(100)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The GPS module 155 receives radio waves from a plurality of GPS satellites (not shown) on Earth orbit, and uses a time of arrival from the GPS satellites (not shown) to the device 100. The position of the device 100 can be calculated.

카메라 모듈(150)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정지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151) 및 제2 카메라(1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카메라(151) 또는 제2 카메라(152)는 촬영에 필요한 광량을 제공하는 보조 광원(예, 플래시(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51)는 상기 장치(100) 후면에 배치되고, 제2 카메라(152)는 상기 장치(100)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The camera module 15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first camera 151 and the second camera 152 for capturing a still image or a video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Also, the first camera 151 or the second camera 152 may include an auxiliary light source (eg, a flash (not shown)) that provides an amount of light required for photographing. The first camera 151 may be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evice 100, and the second camera 152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evice 100.

입/출력 모듈(160)은 복수의 버튼(161), 마이크(162), 스피커(163), 진동모터(164), 커넥터(165), 및 키패드(16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nput/output module 16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buttons 161, a microphone 162, a speaker 163, a vibration motor 164, a connector 165, and a keypad 166.

버튼(161)은 상기 장치(100)의 하우징(101)의 전면, 측면 또는 후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전원/잠금 버튼(도시되지 아니함), 볼륨버튼(도시되지 아니함), 메뉴 버튼, 홈 버튼, 돌아가기 버튼(back button) 및 검색 버튼(도시되지 아니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Button 161 may be formed on the front, side or back of the housing 101 of the device 100, the power / lock button (not shown), volume button (not shown), menu button, home button ,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back button and a search button (not shown).

마이크(162)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음성(voice) 또는 사운드(sound)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한다. The microphone 162 receives voice or sound under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to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스피커(163)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또는 카메라 모듈(150)의 다양한 신호(예, 무선신호, 방송신호, 디지털 오디오 파일, 디지털 동영상 파일 또는 사진 촬영 등)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장치(100)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63)는 장치(100)가 수행하는 기능에 대응되는 사운드(예, 전화 통화에 대응되는 버튼 조작음, 또는 통화 연결음)를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63)는 상기 장치(100)의 하우징의 적절한 위치 또는 위치들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The speaker 163 may control various signals (eg, wireless signals, broadcast signals, etc.) of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20, the sub communication module 130, the multimedia module 140, or the camera module 15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A sound corresponding to a digital audio file, a digital video file, or a photo shoot) may be output outside the device 100. The speaker 163 may output a sound (for example, a button operation sound corresponding to a phone call, or a call connection sound) corresponding to a function performed by the device 100. The speaker 163 may be formed in one or a plurality of appropriate positions or positions of the housing of the device 100.

진동모터(164)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드에 있는 장치(100)는 다른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로부터 음성통화가 수신되는 경우, 진동모터(164)가 동작한다. 상기 장치(100)의 하우징 내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모터(164)는 터치스크린(190) 상을 터치하는 사용자의 터치 동작 및 터치스크린(190) 상에서의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응답하여 동작할 수 있다. The vibration motor 164 may convert electrical signals into mechanical vibration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For example, when the voice call is received from another device (not shown), the device 100 in the vibration mode operates the vibration motor 164. One or a plurality of devices may be formed in the housing of the device 100. The vibration motor 164 may operate in response to a user's touch operation touching the touch screen 190 and continuous movement of the touch on the touch screen 190.

커넥터(165)는 장치(100)와 외부장치(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이용될 수 있다.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커넥터(165)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장치(100)의 저장부(175)에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로 전송하거나 또는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커넥터(165)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전원이 입력되거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를 충전할 수 있다.The connector 165 may be used as an interface for connecting the device 100 and an external device (not shown) or a power source (not show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10,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175 of the device 100 is transmitted to an external device (not shown) through a wired cable connected to the connector 165, or an external device (not shown) Data can be received from. Power may be input from a power source (not shown) or a battery (not shown) may be charged through a wired cable connected to the connector 165.

키패드(166)는 장치(100)의 제어를 위해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키패드(166)는 장치(10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터치스크린(190)에 표시되는 가상의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한다. 장치(10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는 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제외될 수 있다. The keypad 166 may receive a key input from a user for control of the device 100. The keypad 166 includes a physical keypad (not shown) formed on the device 100 or a virtual keypad (not shown)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90. The physical keypad (not shown) formed in the device 100 may be excluded depending on the performance or structure of the device 100.

센서 모듈(170)은 장치(100)의 상태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센서모듈(170)은 장치(100) 주변의 빛의 양을 검출하는 조도센서(172), 또는 장치(100)의 동작(예, 장치(100)의 회전, 장치(100)에 가해지는 가속도 또는 진동)을 검출하는 가속도센서(174)를 포함할 수 있다. 가속도센서(174)는 장치(100)의 방향 및 기울기를 포함하는 상태를 검출하고, 검출에 대응되는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The sensor module 170 includes at least one sensor that detects the state of the device 100. For example, the sensor module 170 may be applied to the illumination sensor 172 that detects the amount of light around the device 100, or the operation of the device 100 (eg, the rotation of the device 100, the device 100). It may include an acceleration sensor 174 to detect the applied acceleration or vibration. The acceleration sensor 174 may detect a state including the direction and inclination of the device 100, generate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 unit 110.

또한 센서 모듈(170)은 사용자가 장치(100)를 잡거나 움켜쥐는 그립(grip) 동작('파지'라고도 함)에 의해 장치(100)에 발생하는 접촉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176)와 사용자가 장치(100)에 가하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17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nsor module 170 includes a touch sensor 176 and a user that detects a contact occurring in the device 100 by a grip operation (also referred to as a'grip') in which the user grasps or grasps the device 100. A pressure sensor 178 for sensing pressure applied to the device 100 may be further included.

터치 센서(176)는 장치(100)의 적어도 일면 예컨대 장치(100)를 사용자가 쥐었을 때 터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장치(100)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터치 센서(176)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터치 어레이들(도시되지 아니함)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터치 제어부들(도시되지 아니함)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터치 어레이 각각은 손가락, 터치 도구 등의 터치 가능한 객체에 의한 터치에 의한 터치 감지 신호를 출력한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터치 제어부 각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터치 어레이 각각에 의한 터치 감지 신호에 따라 터치된 지점을 판단하고, 터치된 지점에 해당하는 터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The touch sensor 176 may be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device 100, for example, on the side of the device 100 to detect a touch when the user holds the device 100. The touch sensor 176 may include at least one touch array (not shown) and at least one touch controller (not shown). Each of the at least one or more touch arrays outputs a touch detection signal by a touch by a touchable object such as a finger or a touch tool. Each of the at least one touch control unit may determine a touched point according to a touch detection signal by each of the at least one touch array, and output touch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ouched point.

압력 센서(178)는 터치 센서(176)과 같이 장치(100)의 적어도 일면 예컨대 장치(100)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트레인 게이지(도시되지 아니함), 적어도 하나 이상의 ADC(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트레인 게이지 각각은 손가락, 가압체 등의 압력을 가할 수 있는 객체의 가압에 의한 압력 감지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ADC는 아날로그 압력 감지 신호를 디지털 압력 정보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센서모듈(170)의 센서는 장치(100)의 성능에 따라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The pressure sensor 178 may be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device 100, such as the touch sensor 176, for example, on the side of the device 100,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strain gauge (not shown) and at least one ADC (not shown) May not be included). Each of the at least one strain gauge may output a pressure detection signal by pressing an object that can apply pressure, such as a finger or a pressing body. At least one ADC may convert and output an analog pressure sensing signal to digital pressure information. The sensor of the sensor module 170 may be added or deleted depending on the performance of the device 100.

저전력 MPU(180)는 저전력으로 장치(100)의 일부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저전력 MPU(180)는 저전력으로 터치 센서(176) 및 압력 센서(178)로부터 터치 정보 및 압력 정보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저전력 MPU(180)는 장치(100)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도 터치 센서(176) 및 압력 센서(178)로부터 터치 정보 및 압력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전력 MPU(180)는 장치(100)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도 터치 센서(176) 및 압력 센서(178)로부터 터치 정보 및 압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그립 상태, 그립 패턴, 그립 시간 중 어느 하나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립 상태는 사용자가 장치(100)를 쥐고 있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그립 패턴은 사용자가 장치(100)를 어떤 패턴으로 쥐고 있는지 나타낼 수 있다. 그립 시간은 사용자가 장치(100)를 얼마의 시간 동안 쥐고 있는지 나타낼 수 있다.The low power MPU 180 may control some functions of the device 100 with low power. The low power MPU 180 may receive and process touch information and pressure information from the touch sensor 176 and the pressure sensor 178 with low power. The low power MPU 180 may process touch information and pressure information from the touch sensor 176 and the pressure sensor 178 even when the power of the device 100 is turned off. For example, the low-power MPU 180 uses a grip state, a grip pattern, using at least one of touch information and pressure information from the touch sensor 176 and the pressure sensor 178 even when the device 100 is turned off. Any one of the grip times can be determined. The grip state may indicate whether the user is holding the device 100. The grip pattern may indicate in which pattern the user holds the device 100. The grip time may indicate how long the user is holding the device 100.

전원공급부(185)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장치(100)의 하우징에 배치되는 하나의 배터리 팩(41) 또는 복수의 배터리 팩(도시되지 아니함)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 팩은 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전원공급부(185)는 커넥터(165)와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외부의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장치(100)로 공급할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185 may supply power to one battery pack 41 or a plurality of battery packs (not shown) disposed in the housing of the device 10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10. One or more battery packs supply power to the device 100. Also, the power supply unit 185 may supply power input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not shown) to the device 100 through a wired cable connected to the connector 165.

저장부(175)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모듈(155),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터치스크린(190)의 동작에 대응되게 입/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75)는 장치(100) 또는 제어부(11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75 is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20, a sub communication module 130, a multimedia module 140, a camera module 150, a GPS module 155, an input/output modul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10 160, a signal or data input/output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ensor module 170 or the touch screen 190 may be stored. The storage unit 175 may store control programs and applications for control of the device 100 or the control unit 110.

저장부라는 용어는 저장부(175), 제어부(110)내 롬(112), 램(113) 또는 장치(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도시되지 아니함)(예,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한다. 저장부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 있다. The term storage unit refers to a memory card (not shown) (eg, SD card, memory stick) mounted in the storage unit 175, the controller 110, the ROM 112, the RAM 113, or the device 100. Includes. The storage unit may include a non-volatile memory, a volatile memory, a hard disk drive (HDD) or a solid state drive (SSD).

터치스크린(190)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예, 통화, 데이터 전송, 방송, 사진촬영)에 대응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유저 인터페이스에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로 전송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다양한 물체들 예컨대 사용자의 신체(예, 엄지를 포함하는 손가락)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 예컨대 전자펜(스타일러스 펜) 등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터치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190)은 적어도 하나의 터치 중에서, 하나의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을 입력받을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입력되는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로 전송할 수 있다. The touch screen 190 may provide a user interface corresponding to various services (eg, calls, data transmission, broadcasting, and photography) to the user. The touch screen 190 may transmit an analog signal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touch input to the user interface to the touch screen controller 195. The touch screen 190 may receive at least one touch through various objects such as a user's body (eg, a finger including a thumb) or a touchable input means such as an electronic pen (stylus pen). Also, the touch screen 190 may receive a continuous movement of one touch among at least one touch. The touch screen 190 may transmit an analo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tinuous movement of the input touch to the touch screen controller 195.

본 발명에서 터치는 터치스크린(190)과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과의 접촉에 한정되지 않고, 비접촉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에서 검출 가능한 간격은 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예를 들어, 저항막(resistive) 방식, 정전용량(capacitive) 방식, 적외선(infrared) 방식, 전자기유도(EMR:Electronic Magnetic Resonance) 방식(이하 EMR 방식이라 칭함) 또는 초음파(acoustic wave)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방식이 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is not limited to contact between the touch screen 190 and the user's body or touchable input means, and may include non-contact. The interval detectable on the touch screen 190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or structure of the device 100. The touch screen 190 is, for example, a resistive method, a capacitive method, an infrared method, an electromagnetic magnetic resonance (EMR) metho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EMR method) or an ultrasonic wave ( acoustic wave),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methods.

또한, 제어부(110)는 상기 터치 스크린(190)뿐만 아니라 카메라 모듈(150), 입/출력 모듈(160), 및 센서모듈(170) 등을 통해 수신되는 다양한 사용자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터치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제스쳐, 음성, 눈동자 움직임, 생체신호 등 상기 장치(100) 내로 입력되는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상기 검출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미리 정해진 동작 또는 기능이 장치(100) 내에서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10 may detect various user inputs received through the camera module 150, the input/output module 160, and the sensor module 170 as well as the touch screen 190. The user input may include not only the touch, but also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input into the device 100 such as a user's gesture, voice, pupil movement, and biosignal. The controller 110 may control a predetermined operation or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user input to be performed in the device 100.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 센서(176) 및 압력 센서(178)는 사용자에 의한 전자 디바이스(100)의 그립 감지가 용이하도록 미리 정해진 그립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그립 영역은 전자 디바이스(100)의 측면 둘레(100b)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sensor 176 and the pressure sensor 178 may be disposed in a predetermined grip area to facilitate grip detec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by the user. The predetermined grip area may be the side circumference 100b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손에 쥐고(griped) 사용될(handheld) 수 있는 크기일 수 있으며, 하우징(101)으로 이루어진 바형 단말기일 수 있다. 하우징(101)의 전면(100a) 중앙에는 터치스크린(19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190)은 전면(100a)의 대부분을 차지하도록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의 측면(100b)은 그립 영역일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한 그립 감지가 용이하도록 그립 영역(100b)에 터치 센서(176) 및 압력 센서(178)가 배치될 수 있다. 3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a size that can be gripped and handheld by a user, and may be a bar-shaped terminal made of the housing 101. The touch screen 190 may be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front surface 100a of the housing 101. The touch screen 190 may be formed to occupy most of the front surface 100a. The side surface 100b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a grip region, and a touch sensor 176 and a pressure sensor 178 may be disposed in the grip region 100b to facilitate grip detection by a user.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전자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100)를 손으로 쥐는 등 그립 동작을 수행함에 따라 그립을 감지하고 그립 감지에 따라 다양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nic device 1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senses a grip and performs various control operations according to the grip detection as the user performs a grip operation such as holding the electronic device 100 by hand. Can.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100)가 회전했어도 그립 패턴이 변화되지 않으면 이전에 표시되고 있던 제1 화면이 고정적으로 계속 표시되도록 하는 로테이션 락(Rotation Lock)과, 이전에 표시되고 있던 제1 화면이 제2 화면으로 변했을 때, 사용자가 제2 화면으로 변하기를 원치 않는 경우 압력 감지에 따라 다시 제1 화면이 표시되는 로테이션 백(Rotation Back)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Firs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grip pattern does not change even if the electronic device 100 rotates according to the user's posture, the electronic device 100 continuously displays the first screen that was previously displayed. The rotation lock and the rotation screen (Rotation Bag) where the first screen is displayed again according to pressure detection when the user does not want to change to the second screen when the previously displayed first screen is changed to the second screen Back) can be controlled to be performed.

이러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로테이션 락 및 로테이션 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에서 그립 패턴 변화를 이용한 화면 회전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그립 패턴 변화에 따라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When the rotation lock and the rotation back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in detail, FIG. 4 illustrates a method of controlling rotation of a screen using a grip pattern change in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views illustrating a screen displayed according to a change in a grip pattern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전자 디바이스(100)는 410 동작에서 전자 디바이스(100)의 회전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전자 디바이스(100)는 가속도 센서(174)를 이용하여 전자 디바이스(100)의 회전 여부 및 회전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Referring first to FIG. 4, the electronic device 100 determines whether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rotated in operation 410. At this tim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rotated and the rotation direction using the acceleration sensor 174.

전자 디바이스(100)는 회전된 것으로 판단되면, 420 동작에서 그립 패턴이 변화되었는지 판단한다. 그립 패턴은 손 등의 객체가 그립 영역(100b)에 접촉된 면의 패턴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디바이스(100)는 도 5의 (a)와 같이 제1 화면(510)을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그립 패턴이 변화되었는지 판단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electronic device 100 has been rotat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grip pattern has been changed in operation 420. The grip pattern may mean a pattern of a surface in which an object such as a hand is in contact with the grip region 100b. 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100 determines whether the grip pattern is changed when it is rotated clockwise while displaying the first screen 510 as shown in FIG. 5(a).

전자 디바이스(100)는 그립 패턴이 변화되었으면 430동작에서 도 5의 (c)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 회전 방향에 따라 제1 화면이 회전된 제2 화면(520)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자 디바이스(100)는 그립 패턴이 변화되지 않았으면 410동작으로 되돌아가 도 5의 (b)와 같이 제1 화면을 계속해서 표시할 수 있다. When the grip pattern is changed,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isplay a second screen 520 in which the first screen is rotated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in operation 430 as shown in FIG. 5C. Also, if the grip pattern has not changed,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return to operation 410 and continue to display the first screen as shown in FIG. 5B.

이러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100)를 회전하면 무조건 화면을 회전하는 것이 아니라, 전자 디바이스(100)가 회전된 상태에서 그립 패턴이 변했을 때 화면을 회전하므로 의도치 않은 화면 회전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rotates the electronic device 100, the screen is not unconditionally rotated, but the screen is rotated when the grip pattern is changed while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rota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screen rotation.

한편, 전자 디바이스(100)는 상기 회전된 제2 화면을 표시하고 나서 440동작에서 압력이 감지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압력 센서(178)를 통해 그립 영역에서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Meanwhile, after displaying the rotated second screen,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etermine whether pressure is detected in operation 440.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sense pressure in the grip region through the pressure sensor 178.

전자 디바이스(100)는 압력이 감지되면 450 동작에서 제2 화면을 다시 제1 화면으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디바이스(100)는 도 6의 (a)와 같이 제2 화면(620)을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압력이 감지되면 도 6의(c)와 같이 제2 화면(620)을 다지 회전되기 전의 제1 화면(610)으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압력이 감지되지 않았으면 제2 화면을 계속해서 표시할 수 있다. When the pressure is sensed,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hange the second screen back to the first screen in operation 450 and display it. For example, when pressure is sensed while the second screen 620 is being displayed as shown in FIG. 6(a),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rotated before the second screen 620 is rotated as shown in FIG. 6(c). It can be displayed by changing to the first screen 610. If the pressure is not sensed,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ntinue to display the second screen.

이러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100)를 회전함에 따라 제1 화면이 회전된 제2 화면으로 변했을 때, 다시 회전 전인 제1 화면을 보고 싶을 경우 압력을 가하는 쉽고 간단한 조작에 의해 원하는 제1 화면을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screen is changed to the rotated second screen as the user rotates the electronic device 100, an easy and simple operation of applying pressure when the user wants to see the first screen before rotation again By doing so, the desired first screen can be viewed.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미리 정해진 그립 패턴대로 전자 디바이스(100)를 그립하면 미리 정해진 기능이 실행되도록 하는 그립 투 런(Grip to run)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grips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grip pattern, the electronic device 100 performs a grip to run operation to execute a predetermined function. It can be controlled as much as possible.

이러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그립 투 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에서 그립 패턴에 따른 기능 수행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그립 패턴 일예도이다. When the grip-to-ru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FIG. 7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controlling a function execution according to a grip pattern in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n exemplary view of a grip patter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전자 디바이스(100)는 710 동작에서 그립 감지 여부를 판단한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그립 영역(100b)에 구비된 터치 센서(176)을 통해 획득한 터치 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100)를 쥐었는지 여부 즉, 그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First, referring to FIG. 7, the electronic device 100 determines whether a grip is detected in operation 710. The electronic device 100 determines whether the user grips the electronic device 100, that is, grips, through touch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touch sensor 176 provided in the grip area 100b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can do.

전자 디바이스(100)는 그립이 감지되었으면, 720 동작에서 그립 패턴을 판단할 수 있다. When the grip is detected,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etermine the grip pattern in operation 720.

도 8을 참조하면, 도 8의 (a)는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100)를 오른손으로 쥐었을 때(그립하였을 때) 그립 패턴을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100)를 오른손으로 쥐었을 경우 엄지가 전자 디바이스(100)의 오른쪽 측면에 접촉하게 되고, 중지, 약지, 소지가 전자 디바이스(100)의 왼쪽 측면에 접촉함에 따른 그립 패턴이 판단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FIG. 8A illustrates a grip pattern when the user holds the electronic device 100 with the right hand (when gripped). When the user holds the electronic device 100 with the right hand, the thumb comes into contact with the right side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grip pattern is determined as the middle finger, the ring finger, and the other hand contact the left side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Can be.

또한 도 8의 (b)는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100)를 왼손으로 쥐었을 때 그립 패턴을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100)를 왼손으로 쥐었을 경우 엄지가 전자 디바이스(100)의 왼쪽 측면에 접촉하게 되고, 중지, 약지, 소지가 전자 디바이스(100)의 오른쪽 측면에 접촉함에 따른 그립 패턴이 판단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디바이스(100)는 손 등의 객체가 그립 영역(100b)에 접촉된 부분들을 이용하여 그립 패턴을 판단할 수 있으며, 그립 패턴은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100)를 어떻게 쥐었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Also, FIG. 8B illustrates a grip pattern when the user holds the electronic device 100 with the left hand. When the user holds the electronic device 100 with the left hand, the thumb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eft side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grip pattern is determined as the middle finger, ring finger, and possession touch the right side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Can be. 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etermine a grip pattern by using parts where an object such as a hand touches the grip area 100b, and the grip pattern may vary depending on how the user grips the electronic device 100. have.

전자 디바이스(100)는 그립 패턴이 판단되면, 730 동작에서 그립 패턴에 따라 미리 정해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그립 패턴별로 실행할 프로그램 또는 실행할 기능이 미리 정해져 있을 수 있다. 미리 정해진 프로그램 또는 기능은 카메라 기능, 웹 브라우져 기능, 게임 프로그램, 문자 메시지 전송 프로그램, 음악 재생 프로그램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전자 기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기능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When the grip pattern is determined,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erform a predetermined function according to the grip pattern in operation 730. At this time, a program to be executed for each grip pattern or a function to be executed may be predetermined. The predetermined program or function may include a camera function, a web browser function, a game program, a text message transmission program, a music playback program, and the like, or any other program or function that can be executed on an electronic device.

이러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전자 디바이스(100) 그립 동작을 이용하여 기능을 바로 실행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쉽고 간단하게 원하는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unction can be executed immediately by using the grip action of the user's electronic device 100, it is possible to easily and simply execute the desired function.

한편,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100)는 어떠한 한 기능 수행 시 동일한 그립 패턴이 반복되면, 반복되는 그립 패턴을 기능 수행 명령으로 생성하도록 하는 그립 커맨드 제너레이션(Grip command generation)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Meanwhi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ame grip pattern is repeated when any one function is performed, the electronic device 100 performs a grip command generation operation to generate a repeated grip pattern as a function execution command. It can be controlled to be performed.

이러한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그립 커맨드 제너레이션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에서 그립 패턴을 이용한 명령 생성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When the grip command generation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FIG. 9 is a flowchart of a command generation control method using a grip pattern in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9를 참조하면, 전자 디바이스(100)는 910 동작에서 기능이 수행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때 기능은 미리 정해진 프로그램 또는 기능이 될 수 있으며, 카메라 기능, 웹 브라우져 기능, 게임 프로그램, 문자 메시지 전송 프로그램, 음악 재생 프로그램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전자 기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기능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9,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etermine whether a function is performed in operation 910. At this time, the function may be a predetermined program or function, and may include a camera function, a web browser function, a game program, a text message transmission program, a music playback program, etc., in addition, any program or function that can be executed on an electronic device It is possible.

전자 디바이스(100)는 기능이 수행되면 920 동작에서 그립 패턴을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디바이스(100)는 기능 수행 시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100)를 쥠에 따라 그립 영역(100b)에 발생하는 접촉 부분을 이용하여 그립 패턴을 판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930 동작에서 그립 패턴을 저장할 수 있다. When the function is performed,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etermine the grip pattern in operation 920. For example, when performing a function,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etermine a grip pattern by using a contact portion generated in the grip area 100b according to the user holding the electronic device 100.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store the grip pattern in operation 930.

전자 디바이스(100)는 940 동작에서 기능 수행 시 동일 그립 패턴이 반복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디바이스(100)는 카메라 기능 수행 시마다의 그립 패턴이 동일 그립 패턴으로 반복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etermine whether the same grip pattern is repeated when the function is performed in operation 940. 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grip pattern for each camera function is repeated with the same grip pattern.

전자 디바이스(100)는 기능 수행 시 동일 그립 패턴이 반복되면, 950 동작에서 그립 패턴을 이용한 기능 수행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 기능 수행 시마다 그립 패턴이 동일 그립 패턴으로 반복되었다면, 해당 그립 패턴이 감지되면 카메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그립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If the same grip pattern is repeated when performing the function,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generate a function execution command using the grip pattern in operation 950. For example, if the grip pattern is repeated with the same grip pattern each time the camera function is performed, a grip command can be generated to perform the camera function when the corresponding grip pattern is detected.

이러한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기능을 수행할 때 어떤 그립 패턴으로 전자 디바이스(100)를 쥐었는지를 이용하여 그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그립 명령을 생성함으로써, 보다 쉽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performs a function, a grip command for executing the function is generated by using a grip pattern in which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held, and thus, the function can be more easily performed. I can do it.

한편,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100)는 잠금 상태에서 사용자의 전자 디바이스(100) 그립 패턴에 따라 잠금 해제되도록 하는 그립 패턴 언락(grip pattern unlock)과, 전원 오프 상태에서 사용자의 전자 디바이스(100) 그립 시간에 따라 전원 온되도록 하는 그립 투 온(grip to on)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a grip pattern unlock that allows the electronic device 100 to be unlocked according to a grip pattern of the user's electronic device 100 in a locked state, and a user in a power off stat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controlled to perform grip to on so that power is turned on according to a grip time.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그립 패턴 언락 및 그립 투 온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에서 그립 감지를 이용한 잠금 해제 및 전원 온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Referring to the grip pattern unlocking and grip-on operation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diagram for a method of unlocking and power-on control using grip sensing in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low chart.

도 10을 참조하면, 전자 디바이스(100)는 1010 동작에서 그립 감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그립 영역(100b)에 구비된 터치 센서(176)을 통해 획득한 터치 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100)를 쥐었는지 여부 즉, 그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etermine whether a grip is detected in operation 1010. The electronic device 100 determines whether the user grips the electronic device 100, that is, grips, through touch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touch sensor 176 provided in the grip area 100b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can do.

전자 디바이스(100)는 그립이 감지되었으면, 1020 동작에서 잠금 상태인지 판단할 수 있다. If the grip is detected,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etermine whether it is locked in operation 1020.

만약 잠금 상태이면 1030 동작에서 그립 패턴을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디바이스(100)는 손 등의 객체가 그립 영역(100b)에 접촉된 부분들을 이용하여 그립 패턴을 판단할 수 있으며, 그립 패턴은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100)를 어떻게 쥐었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그립 패턴이 판단되면, 1040 동작에서 상기 판단된 그립 패턴이 미리 정해진 그립 패턴인지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미리 정해진 그립 패턴은 잠금 해제를 수행하도록 미리 정해진 그립 패턴일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미리 정해진 그립 패턴이면 1050 동작에서 잠금 해제를 수행할 수 있다.If it is locked, the grip pattern may be determined in operation 1030. 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etermine a grip pattern by using parts where an object such as a hand touches the grip area 100b, and the grip pattern may vary depending on how the user grips the electronic device 100. have. When the grip pattern is determined,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etermine whether the determined grip pattern is a predetermined grip pattern in operation 1040. At this time, the predetermined grip pattern may be a predetermined grip pattern to perform unlocking. If the predetermined grip pattern is used,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erform unlocking in operation 1050.

전자 디바이스(100)는 잠금 상태가 아니면 1060 동작에서 전원 오프 상태인지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전원 오프 상태이면 전자 디바이스(100)는 1070 동작에서 그립 시간이 미리 정해진 시간을 초과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If no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etermine whether the power is off in operation 1060. If the power is off,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etermine whether the grip time exceeds a predetermined time in operation 1070.

그립 시간이 미리 정해진 시간을 초과하면 전자 디바이스(100)는 1080 동작에서 전원 온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전자 디바이스(100)는 그립 시간이 미리 정해진 시간을 초과하면 전원 온 여부를 묻는 메시지 또는 화면을 터치 스크린(190)상에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전원 온을 확인받은 후 전원 온을 수행할 수도 있다. If the grip time exceeds a predetermined tim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erform power on in operation 1080. At this time, when the grip time exceeds a predetermined tim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isplay a message or a screen asking whether to turn on the power on the touch screen 190 and perform power-on after receiving the power-on by the user. have.

이러한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100)를 쥐는 그립 동작만으로 잠금 상태를 해제하거나, 전원 온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므로 별도의 잠금 해제를 위한 조작이나 전원 온을 위한 조작을 수행할 필요가 없어서 편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release the lock state only by gripping the electronic device 100 or perform power-on, so a separate unlock operation or power-on operation is performed. It can be convenient because there is no need to do it.

한편,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100)는 그립된 상태에서 그립 영역(100b)에 미리 정해진 방식의 입력이 감지됨에 따라 스피커 볼륨 조절 또는 카메라 줌 조절이 되도록 하는 스트렝쓰 컨트롤(Strength control)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in a gripped state, a strength control (or a zoom control) to adjust the speaker volume or the camera zoom as the input of the predetermined method is detected in the grip area 100b ( Strength control) can be controlled to be performed.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스트렝쓰 컨트롤에 대해 설명하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에서 그립 영역에 미리 정해진 방식의 입력이 감지됨에 따른 볼륨 조절 또는 줌 조절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고,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에서 볼륨 조절 또는 줌 조절을 나타낸 화면 일예도이다.When describing the strength control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volume control according to which an input of a predetermined method is detected in a grip area in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It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controlling zoom adjustment, and FIGS. 12 and 13 are exemplary views showing a volume adjustment or zoom adjustment in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전자 디바이스(100)는 1110 동작에서 그립 감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그립 영역(100b)에 구비된 터치 센서(176)을 통해 획득한 터치 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100)를 쥐었는지 여부 즉, 그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etermine whether a grip is detected in operation 1110. The electronic device 100 determines whether the user grips the electronic device 100, that is, grips, through touch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touch sensor 176 provided in the grip area 100b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can do.

전자 디바이스(100)는 그립이 감지되었으면, 1120 동작에서 그립 영역(100b) 중 일부 영역에 문지르는 입력 예컨대 스와이프(swipe) 입력이 감지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스와이프 입력이란 손가락을 댄 후 일직선으로 드래그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스크롤(scroll)이라고도 할 수 있다.When the grip is detected,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etermine whether an input, such as a swipe input, that rubs on some of the grip areas 100b in operation 1120 is detected. Swipe input can mean dragging your finger and dragging it in a straight line, or it can also be called scrolling.

전자 디바이스(100)는 스와이프 입력이 감지되면 1130 동작에서 스피커 기능이 수행 중인지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스피커 기능이 수행 중이면 전자 디바이스(100)는 1140 동작에서 스와이프 방향 및 길이에 따라 볼륨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가 수직 위치에 있을 때 (예컨대, 도 12(a)와 같은 위치), 전자 장치(100)의 좌측 측면의 일부에서 스와이프 입력이 감지되면,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스와이프 입력의 방향이 상향인 경우, 스와이프 입력의 길이에 따라 볼륨-업을 수행하고, 스와이프 입력의 방향이 하향인 경우, 스와이프 입력의 길이에 따라 볼륨-다운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가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한 후에, 전자 장치(100)의 상측 측면의 일부에서 스와이프 입력이 감지되면,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스와이프 입력의 방향이 상향인 경우 스와이프 입력의 길이에 따라 볼륨-업을 수행하고, 스와이프 입력의 방향이 하향인 경우 스와이프 입력의 길이에 따라 볼륨-다운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스피커 기능이 수행되고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1130의 아니오), 카메라 기능이 수행 중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1150). 전자 장치(100)가 카메라 기능이 수행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1160 동작에서, 전자 장치(100)는 스와이프 입력의 방향 및 길이에 따라 줌-인/아웃을 조절할 수 있다.
When the swipe input is detected,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etermine whether the speaker function is being performed in operation 1130. If the speaker function is being performed,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adjust the volume according to the swipe direction and length in operation 1140.
For example, when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in a vertical position (for example, a position as in FIG. 12(a)), when a swipe input is detected in a portion of the left side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FIG. 12(a) ), the electronic device 100 performs volume-up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swipe input when the direction of the swipe input is upward, and when the direction of the swipe input is downward, the electronic device 100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volume-down can be performed. Further, after the electronic device 100 rotates 90 degrees counterclockwise, when a swipe input is detected in a part of the upper side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as shown in FIG. 12(b), the electronic device ( 100) may perform volume-up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swipe input when the direction of the swipe input is upward, and perform volume-down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swipe input when the direction of the swipe input is downward. .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peaker function is not being performed (No in 1130),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etermine whether the camera function is being performed (115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performing the camera function, in operation 1160,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adjust zoom-in/out according to the direction and length of the swipe input.

예를 들면, 전자 디바이스(100)는 도 13의 (a)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가 회전되지 않은 상태에서 측면 좌측의 일부분에 스와이프 입력이 있으면, 스와이프 방향이 위인 경우 위로 스와이프 입력 길이에 따라 줌 인을 수행하고, 스와이프 방향이 아래인 경우 아래로의 스와이프 입력 길이에 따라 줌 아웃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전자 디바이스(100)는 도 13의 (b)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가 좌측으로 90도 회전된 상태에서 좌측 일부분에 스와이프 입력이 있으면, 스와이프 방향이 위인 경우 위로 스와이프 입력 길이에 따라 줌 인을 수행하고, 스와이프 방향이 아래인 경우 아래로의 스와이프 입력 길이에 따라 줌 아웃을 수행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electronic device 100 has a swipe input on a portion of the left side of the side when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not rotated, as shown in FIG. 13(a), when the swipe direction is upward,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swiped upward. The zoom-in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length, and when the swipe direction is downward, the zoom-out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downward swipe input length.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3B, the electronic device 100 has a swipe input on a portion of the left side when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rotated 90 degrees to the left, and when the swipe direction is upward, the length of the swipe input is up. Accordingly, zoom-in is performed, and when the swipe direction is downward, zoom-out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swipe input downward.

또한 전자 디바이스(100)는 스피커 기능 및 카메라 기능 수행 중이 아니면 1170 동작에서 다른 기능에 따라 해당 조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진 보기 기능인 경우 사진 확대 또는 축소 조절 기능을 수행하거나, 웹 브라우져 기능 인 경우 웹 페이지 스크롤업 또는 스크롤다운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Also, if the speaker function and the camera function are not being performed,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erform a corresponding adjustment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function in operation 1170.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picture viewing function, a picture enlargement or reduction adjustment function may be performed, or in the case of a web browser function, a webpage scroll up or scrolldown function may be performed.

이러한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100)를 쥔 상태에서 그립 영역(100b)을 문지르는 동작만으로 볼륨이나 줌을 조절할 수 있어서 편리하다.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onvenient because the user can adjust the volume or zoom only by rubbing the grip area 100b while holding the electronic device 100.

한편,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100)는 터치 스크린(190) 상에 터치 입력이 있으면, 그립된 상태인지 판단하여 그립된 상태인 경우 그립에 의해 접촉되는 부위에 의한 터치 입력을 무시할 수 있도록 하는 팜 리젝션(palm rejection)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electronic device 100 has a touch input on the touch screen 190, it is determined whether it is in a gripped state, and if it is in a gripped state, a touch input by a part contacted by the grip It can be controlled to perform a palm rejection (palm rejection) that can be ignored.

예를 들면, 전자 디바이스(100)는 터치 스크린(190)상에 터치 입력이 있으면, 터치 입력이 사용자가 의도한 터치가 아닌 그립에 의해 접촉된 부위에 의한 터치 입력을 무시할 수 있도록 하는 팜 리젝션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electronic device 100 has a touch input on the touch screen 190, the palm input allows the touch input to ignore the touch input due to a portion touched by the grip rather than the intended touch. It can be controlled to be performed.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팜 리젝션에 대해 설명하면, 도 14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에서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 입력 시 그립된 상태인지에 따른 터치 입력 무시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에서 그립된 상태에서 터치 입력 무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Referring to the palm rejection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touch input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a gripped state when a touch is input on the touch screen. 15 is a flowchart for a method for ignoring control, and FIG. 15 is a diagram for describing ignoring a touch input in a gripped state in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4 를 참조하면, 전자 디바이스(100)는 1410 동작에서 터치 스크린(190) 상에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Referring first to FIG. 14,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etermine whether a touch input is detected on the touch screen 190 in operation 1410.

만약 터치 스크린(190) 상에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전자 디바이스(100)는 1420 동작에서 전자 디바이스(100)가 그립된 상태인지 판단한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그립 영역(100b)에 구비된 터치 센서(176)을 통해 획득한 터치 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100)를 쥐었는지 여부 즉, 그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f a touch input is detected on the touch screen 190, the electronic device 100 determines whether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in a gripped state in operation 1420.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 grips the electronic device 100, that is, whether or not the grip is performed, through touch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touch sensor 176 provided in the grip area 100b.

전자 디바이스(100)는 그립된 상태이면 1430 동작에서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을 무시할 수 있다. 만약 그립된 상태가 아니면 전자 디바이스(100)는 1440 동작에서 터치 스크린(190) 상에 터치 입력에 따른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If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in a gripped state, in operation 1430, the touch input on the touch screen may be ignored. If no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erform a corresponding function according to a touch input on the touch screen 190 in operation 1440.

예를 들면, 전자 디바이스(100)는 도 15와 같이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100)를 손에 쥠에 따라 그립된 상태에서 터치 스크린(190)상에 손바닥에 의한 터치 입력(1500)이 발생한 경우, 터치 스크린(190) 상의 터치 입력을 무시함으로써, 터치 스크린(190) 상에 불필요한 터치 입력을 무시할 수 있어서 정확한 터치 입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touched by a palm on the touch screen 190 while the user grips the electronic device 100 as shown in FIG. 15 by gripping the hand, as shown in FIG. 15, By ignoring the touch input on the touch screen 190, unnecessary touch input on the touch screen 190 can be ignored, thereby enabling accurate touch input.

한편, 그립에 의해 접촉이 예상되는 부위에 실제 터치 입력이 일어나는 경우에 대해 상기 팜 리젝션은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palm rejection may be implemented as another embodiment in a case where an actual touch input occurs in a region where contact is expected by a grip.

예를 들면, 도 16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가 그립된 상태에서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 무시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가 그립된 상태에서 터치 입력 무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or example, FIG. 16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controlling touch input ignore on a touch screen while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gripped, and FIG. 17 is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ignore touch input in the gripped state.

도 16을 참조하면, 전자 디바이스(100)는 1602 동작에서 그립이 감지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디바이스(100)는 그립 영역(100b)에 구비된 터치 센서(176)를 통해 획득한 터치 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100)를 쥐었는지 여부 즉, 그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6,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etermine whether a grip is detected in operation 1602. 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 grips the electronic device 100, that is, whether it is a grip, through touch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touch sensor 176 provided in the grip area 100b. have.

전자 디바이스(100)는 그립된 상태이면 1604 동작에서 그립 패턴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100)를 오른손으로 쥐었을 경우 엄지가 전자 디바이스(100)의 오른쪽 측면에 접촉하게 되고, 중지, 약지, 소지가 전자 디바이스(100)의 왼쪽 측면에 접촉함에 따른 그립 패턴이 판단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100)를 왼손으로 쥐었을 경우 엄지가 전자 디바이스(100)의 왼쪽 측면에 접촉하게 되고, 중지, 약지, 소지가 전자 디바이스(100)의 오른쪽 측면에 접촉함에 따른 그립 패턴이 판단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디바이스(100)는 손 등의 객체가 그립 영역(100b)에 접촉된 부분들을 이용하여 그립 패턴을 판단할 수 있으며, 그립 패턴은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100)를 어떻게 쥐었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If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in a gripped state, the grip pattern may be determined in operation 1604. For example, when the user holds the electronic device 100 with the right hand, the thumb comes into contact with the right side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middle finger, the ring finger, and the other hand come into contact with the left side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The grip pattern can be determined. When the user holds the electronic device 100 with the left hand, the thumb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eft side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grip pattern is determined as the middle finger, ring finger, and possession touch the right side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Can be. 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etermine a grip pattern using parts where an object such as a hand touches the grip area 100b, and the grip pattern may vary depending on how the user holds the electronic device 100. have.

전자 디바이스(100)는 그립 패턴이 판단되면 1606 동작에서 터치 스크린(190) 상에 터치 입력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When the grip pattern is determined,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touch input on the touch screen 190 in operation 1606.

예를 들면, 전자 디바이스(100)는 도 17의 (a)와 같이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100)를 손에 쥠에 따라 그립된 상태에서 터치 스크린(190)상에 손바닥(팜)이 닿은 경우, 팜에 의한 터치 입력(1700)을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electronic device 100 touches the palm (palm) on the touch screen 190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grips the electronic device 100 by holding the hand as shown in (a) of FIG. 17, The touch input 1700 by the palm may be determined.

만약 터치 스크린(190) 상에 터치 입력이 없으면 전자 디바이스(100)는 1608 동작에서 그립 패턴에 따라 미리 정해진 기능을 수행하거나, 미리 정해진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때 그립 패턴별로 실행할 프로그램 또는 실행할 기능이 미리 정해져 있을 수 있다. 미리 정해진 프로그램 또는 기능은 카메라 기능, 웹 브라우져 기능, 게임 프로그램, 문자 메시지 전송 프로그램, 음악 재생 프로그램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전자 기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기능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If there is no touch input on the touch screen 190,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erform a predetermined function or execute a predetermined program according to a grip pattern in operation 1608. For example, a program to be executed for each grip pattern or a function to be executed may be determined in advance. The predetermined program or function may include a camera function, a web browser function, a game program, a text message transmission program, a music playback program, and the like, or any other program or function that can be executed on an electronic device.

전자 디바이스(100)는 그립 패턴이 판단된 상태에서 터치 스크린(190)상에 터치 입력이 있으면, 1610 동작에서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If there is a touch input on the touch screen 190 while the grip pattern is determined,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etermine the touch position on the touch screen in operation 1610.

전자 디바이스(100)는 1612 동작에서 그립 패턴의 접촉 위치와 터치 스크린(190) 상의 터치 위치를 비교할 수 있다.In operation 1612,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mpare the contact position of the grip pattern with the touch position on the touch screen 190.

전자 디바이스(100)는 1614 동작에서 상기 그립 패턴 상의 접촉 위치와 터치 스크린(190) 상의 터치 위치의 사이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보다 작은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100)는 도 17의 (b)와 같이 그립 패턴 상의 접촉 위치들(1701, 1702, 1703, 1704, 1705) 각각과 터치 스크린(190) 상의 터치 위치(1700) 사이의 거리(d1, d2, d3, d4, d5)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보다 작은지 판단할 수 있다. In operation 1614,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etermine whether the distance between the contact position on the grip pattern and the touch position on the touch screen 190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have a distance between each of the contact positions 1701, 1702, 1703, 1704, and 1705 on the grip pattern and the touch position 1700 on the touch screen 190 as shown in FIG. 17B.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d1, d2, d3, d4, d5) is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전자 디바이스(100)는 만약 그립 패턴 상의 접촉 위치와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위치의 사이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보다 작지 않으면, 1616 동작에서 터치 스크린(190)상에 터치에 대응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If the distance between the contact position on the grip pattern and the touch position on the touch screen is not less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erform a function corresponding to a touch on the touch screen 190 in operation 1616. have.

전자 디바이스(100)는 그립 패턴 상의 접촉 위치와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위치의 사이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보다 작으면 1618 동작에서 터치 스크린(190) 상의 터치 위치 변화를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한 팜의 터치인 경우에는 터치 위치의 변화가 작으므로, 터치 위치의 변화값을 이용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190) 상의 터치가 팜의 터치에 의한 것인지, 팜의 터치에 의한 것이 아닌지가 판단될 수 있다.If the distance between the contact position on the grip pattern and the touch position on the touch screen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etermine a change in the touch position on the touch screen 190 in operation 1618. In the case of a palm touch by a user, since the change in the touch position is small,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touch on the touch screen 190 is a touch of the palm or not a touch of the palm using the change value of the touch position. Can be.

전자 디바이스(100)는 1620 동작에서 터치 스크린(190) 상의 터치 위치 변화값이 미리 정해진 임계값보다 작은지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미리 정해진 임계값은 팜의 터치였을 경우와 팜의 터치가 아니었을 경우를 실험하여 미리 정해질 수 있다.In operation 1620,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etermine whether a touch position change value on the touch screen 190 is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At this time, the predetermined threshold may be determined in advance by experimenting with a case where the palm is touched and a case where the palm is not touched.

전자 디바이스(100)는 만약 터치 위치 변화값이 미리 정해진 임계값보다 작지 않으면, 터치 스크린(190) 상의 터치(1700)가 팜에 의한 터치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고 1616 동작으로 돌아가 터치 스크린(190) 상의 터치에 대응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f the touch position change value is not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the electronic device 100 determines that the touch 1700 on the touch screen 190 is not a touch by the palm and returns to operation 1616 to return to the touch screen 190. A function corresponding to a touch can be performed.

전자 디바이스(100)는 터치 위치 변화값이 미리 정해진 임계값보다 작으면, 터치 스크린(190) 상의 터치(1700)가 팜에 의한 터치인 것으로 판단하고 1622 동작에서 터치 스크린(190) 상의 터치(1700)를 무시할 수 있다.If the touch position change value is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the electronic device 100 determines that the touch 1700 on the touch screen 190 is a palm touch, and in operation 1622, the touch 1700 on the touch screen 190 ) Can be ignored.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Method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or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usable by those skilled in the computer software field.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제어부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또는 휴대 단말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상기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명세서의 임의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컴퓨터 등)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method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feasible in the form of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Any such software may be volatile or non-volatile storage, such as a storage device such as a ROM, or memory, such as a RAM, memory chip, device or integrated circuit, whether or not it is erasable or rewritable, for example. Alternatively, it may be stored in a storage medium readable by a machine (eg, a computer) while being optically or magnetically recordable, for example, a CD, DVD, magnetic disk, or magnetic tape. The method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by a computer or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control unit and a memory, and the memory is a machine suitable for storing a program or programs including instructions for implement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will see that it is an example of a storage medium that can be read by. Accordingl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program comprising code for implementing the apparatus or method described in any claim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a storage medium readable by a machine (computer, etc.) storing the program. In addition, such a program can be transferred electronically through any medium, such as a communication signal carried over a wired or wireless connec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suitably includes this equivalen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프로그램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상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휴대형 전자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휴대형 전자 장치의 요청 또는 자동으로 해당 프로그램을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receive and store the program from a program providing apparatus connected by wire or wirelessly. The program providing apparatus includes a memory for storing a program including instructions for performing method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the portable electronic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request of the device or automatically to transmit the corresponding program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Claims (21)

전자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정면에 배치된 터치스크린;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적어도 두 개의 다른 측면들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다른 측면들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 및
상기 터치 센서 및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그립 패턴 및 상기 그립 패턴이 유지된 시간을 판단하고, 상기 그립 패턴 및 상기 그립 패턴이 유지된 시간에 따라 미리 정해진 기능을 제어하도록 설정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가 회전되면 상기 그립 패턴이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그립 패턴이 변경되면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제1화면을 제2화면으로 변경하고, 상기 그립 패턴이 변경되지 않으면 상기 제1화면의 표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In an electronic device,
A touch screen disposed in front of the electronic device;
A touch sensor that senses at least one touch on at least two different aspects of the electronic device;
A pressure sensor that senses at least one pressure against the at least two different sides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touch sensor and the pressure sensor are used to determine a grip pattern for the electronic device and a time when the grip pattern is maintained,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control a predetermined function according to the grip pattern and the time the grip pattern is maintained. Including,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grip pattern is changed when the electronic device is rotated, and changes the first screen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to a second screen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when the grip pattern is changed. , If the grip pattern is not changed, the display of the first screen is maintain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 및 상기 압력 센서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측면의 그립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According to claim 1,
The touch sensor and the pressure sensor are arranged in the grip area of the side of the electronic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그립 패턴에 따라 상기 전자 디바이스가 그립되면 상기 미리 정해진 기능이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predetermined function to be executed when the electronic device is gripp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grip patter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능 수행 시 동일한 그립 패턴이 반복되면, 반복되는 그립 패턴을 기능 수행 명령으로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same grip pattern is repeated when performing the function, the control unit controls to generate a repeated grip pattern as a function execution comma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잠금 상태에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그립 패턴에 따라 잠금 해제되도록 제어하는 전자 디바이스.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electronic device to be unlocked in a locked state according to a grip pattern of the electronic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원 오프 상태에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그립 패턴이 유지된 시간에 따라 전원 온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electronic device to be powered on according to a time when the grip pattern for the electronic device is maintained in a power-off sta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가 그립된 상태에서 상기 그립 영역에 미리 정해진 방식의 입력이 감지됨에 따라 스피커 볼륨 조절 및 카메라 줌 조절 중 어느 하나가 조절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According to claim 2,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electronic device to be controlled such that any one of a speaker volume adjustment and a camera zoom adjustment is adjusted as an input of a predetermined method is detected in the grip area while the electronic device is gripp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터치 입력이 있으면, 상기 전자 디바이스가 그립된 상태인지 판단하여 그립된 상태인 경우 상기 터치 입력을 무시하도록 제어 하는 전자 디바이스.
According to claim 1,
If there is a touch input on the touch screen, the electronic device determines whether the electronic device is in a gripped state and controls to ignore the touch input in the gripped st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가 그립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터치 입력이 있으면, 상기 터치 입력이 팜에 의한 터치 입력인지 판단하여 상기 팜에 의한 터치 입력인 경우 상기 터치 입력을 무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According to claim 1,
If there is a touch input on the touch screen while the electronic device is gripp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touch input is a touch input by a palm and controls to ignore the touch input when it is a touch input by the palm. Electronic device.
전자 디바이스에서 그립 센싱을 이용한 제어 방법 있어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적어도 두 개의 다른 측면에 배치된 터치 센서와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그립 패턴을 판단하는 동작과,
상기 그립 패턴 및 상기 그립 패턴이 유지된 시간에 따라 미리 정해진 기능을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기능을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 디바이스가 회전되면 상기 그립 패턴이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그립 패턴이 변경되면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 포함된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제1화면을 제2화면으로 변경하고, 상기 그립 패턴이 변경되지 않으면 상기 제1화면의 표시를 유지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In a control method using grip sensing in an electronic device,
Determining a grip pattern of the electronic device using a touch sensor and a pressure sensor disposed on at least two different sides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ling a predetermined function according to the grip pattern and the time the grip pattern is maintained,
The operation of controlling the predetermined function determines whether the grip pattern is changed when the electronic device is rotated, and when the grip pattern is changed, the touch screen included in the electronic devic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changing the displayed first screen to the second screen and maintaining the display of the first screen if the grip pattern is not chang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패턴에 따라 미리 정해진 기능을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그립 패턴이 미리 정해진 그립 패턴인지 판단하는 동작과,
상기 미리 정해진 그립 패턴에 따라 상기 전자 디바이스가 그립되면 상기 미리 정해진 기능이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controlling a predetermined function according to the grip pattern,
Determining whether the grip pattern is a predetermined grip pattern,
And controlling the predetermined function to be executed when the electronic device is gripped according to the predetermined grip pattern.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패턴에 따라 미리 정해진 기능을 제어하는 동작은,
기능 수행 시 동일한 그립 패턴이 반복되는지 판단하는 동작과,
상기 동일한 그립 패턴이 반복되면, 반복되는 그립 패턴을 기능 수행 명령으로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controlling a predetermined function according to the grip pattern,
An operation for determining whether the same grip pattern is repeated when performing the function,
And when the same grip pattern is repeated, controlling to generate a repeated grip pattern as a function execution command.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패턴에 따라 미리 정해진 기능을 제어하는 동작은,
잠금 상태에서 상기 그립 패턴을 판단하는 동작과,
상기 그립 패턴에 따라 잠금 해제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controlling a predetermined function according to the grip pattern,
Determining the grip pattern in a locked state,
And controlling to be unlocked according to the grip pattern.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패턴에 따라 미리 정해진 기능을 제어하는 동작은,
전원 오프 상태에서 상기 그립 패턴이 유지된 시간을 판단하는 동작과,
상기 그립 패턴이 유지된 시간에 따라 전원 온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controlling a predetermined function according to the grip pattern,
Determining a time when the grip pattern is maintained in a power-off state;
And controlling the power to be turned on according to the time the grip pattern is maintained.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패턴에 따라 미리 정해진 기능을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 디바이스가 그립된 상태에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그립 영역에 미리 정해진 방식의 입력이 감지되는지 판단하는 동작과,
상기 미리 정해진 방식의 입력이 감지됨에 따라 스피커 볼륨 조절 및 카메라 줌 조절 중 어느 하나가 조절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controlling a predetermined function according to the grip pattern,
Determining whether an input of a predetermined method is detected in a grip region of the electronic device while the electronic device is gripped;
And controlling one of the speaker volume control and the camera zoom control to be adjusted as the input of the predetermined method is sensed.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패턴에 따라 미리 정해진 기능을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터치 입력이 있는지 판단하는 동작과,
상기 터치 입력이 있으면, 상기 전자 디바이스가 그립된 상태인지 판단하여 그립된 상태인 경우 상기 터치 입력을 무시하도록 제어 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controlling a predetermined function according to the grip pattern,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touch input on the touch screen,
And if there is the touch input, determining whether the electronic device is in a gripped state and controlling to ignore the touch input in the gripped stat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패턴에 따라 미리 정해진 기능을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 디바이스가 그립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터치 입력이 있는지 판단하는 동작과,
상기 터치 입력이 있으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터치 입력이 팜에 의한 터치 입력인지 판단하는 동작과,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터치 입력이 팜에 의한 터치 입력이면 상기 팜에 의한 터치 입력을 무시하도록 제어 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controlling a predetermined function according to the grip pattern,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touch input on the touch screen while the electronic device is gripped;
If there is the touch input, determining whether the touch input on the touch screen is a touch input by a palm,
And if the touch input on the touch screen is a touch input by a palm, controlling the operation to ignore the touch input by the palm.
KR1020130128151A 2013-06-20 2013-10-25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using grip sensing in the electronic device KR1021391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4172405.4A EP2816442B1 (en) 2013-06-20 2014-06-13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using grip sensing
US14/310,860 US9626029B2 (en) 2013-06-20 2014-06-20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using grip sensing
US15/489,123 US9778775B2 (en) 2013-06-20 2017-04-17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using grip sensing
US15/710,386 US10048793B2 (en) 2013-06-20 2017-09-20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using grip sens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1037 2013-06-20
KR1020130071037 2013-06-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7647A KR20140147647A (en) 2014-12-30
KR102139110B1 true KR102139110B1 (en) 2020-07-30

Family

ID=52676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8151A KR102139110B1 (en) 2013-06-20 2013-10-25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using grip sensing in the electronic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911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95728A1 (en) * 2022-04-05 2023-10-12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reducing current consump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2620B1 (en) 2015-11-12 2022-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action according to proximity of external object
KR102659062B1 (en) * 2016-11-29 2024-04-19 삼성전자주식회사 Device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based on sensing signal of grip sensor
KR20180087527A (en) 2017-01-24 2018-08-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WO2019160171A1 (en) * 2018-02-13 2019-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WO2019168208A1 (en) * 2018-02-27 2019-09-06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10009216A (en) 2019-07-16 2021-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force key structure
KR20210041785A (en) 2019-10-08 2021-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Key structure, key input method and electonic device using it
KR20210131802A (en) * 2020-04-24 2021-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WO2023106830A1 (en) * 2021-12-08 2023-06-15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one-handed operation mode, and operating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EP4343526A1 (en) 2021-12-08 2024-03-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one-handed operation mode, and operating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304648A1 (en) 2010-06-15 2011-12-1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mobile terminal
US20120287076A1 (en) 2011-05-12 2012-11-15 Motorola Mobility, Inc. Touch-screen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touch-scree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9194A (en) * 2008-10-06 2010-04-15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displaying graphic user interface according to user's touch pattern and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1862706B1 (en) * 2011-09-23 2018-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locking auto screen rotating in portable terminla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304648A1 (en) 2010-06-15 2011-12-1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mobile terminal
US20120287076A1 (en) 2011-05-12 2012-11-15 Motorola Mobility, Inc. Touch-screen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touch-screen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95728A1 (en) * 2022-04-05 2023-10-12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reducing current consump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7647A (en) 2014-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9110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using grip sensing in the electronic device
US10048793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using grip sensing
KR102080183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unlocking in the electronic device
KR102031142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display
KR102141155B1 (en) Mobile apparatus providing with changed-shortcut icon responding to status of mobil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261995B2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selecting object by using multi-touch with related reference point
KR102113683B1 (en) Mobile apparatus providing preview by detecting rub gestur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51418B1 (en) User interface controlling device and method for selecting object in image and image input device
US9323446B2 (en) Apparatus including a touch screen and screen change method thereof
EP2752754B1 (en) Remote mouse function method and terminals
KR101990567B1 (en) Mobile apparatus coupled with external input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30142824A (en) Remote controll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40076261A (en)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sing pen
JP2014523675A (en)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user interface of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device
US20140281962A1 (en) Mobile device of executing action in display unchecking mod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4011179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keys using random valuable on virtual keyboard
KR102186815B1 (en) Method, apparatus and recovering medium for clipping of contents
US20140062965A1 (en) Apparatus for measuring coordinat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123406B1 (en)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touch screen supporting a multi touch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KR102118091B1 (en) Mobile apparatus having fuction of pre-action on object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40348334A1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detecting earphone connection
US2014025892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screen image
KR102115727B1 (en) Mobile apparatus providing hybrid-widget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4004932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ents display according to handwriting
KR102117450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