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7944B1 - 위조방지용 인쇄물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위조방지용 인쇄물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7944B1
KR102137944B1 KR1020180127852A KR20180127852A KR102137944B1 KR 102137944 B1 KR102137944 B1 KR 102137944B1 KR 1020180127852 A KR1020180127852 A KR 1020180127852A KR 20180127852 A KR20180127852 A KR 20180127852A KR 102137944 B1 KR102137944 B1 KR 102137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s
color
latent image
distributions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7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6541A (ko
Inventor
오창진
정종갑
홍광희
손희승
김현준
Original Assignee
한국조폐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조폐공사 filed Critical 한국조폐공사
Priority to KR1020180127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7944B1/ko
Priority to PCT/KR2019/012139 priority patent/WO2020085655A1/ko
Priority to JP2021512279A priority patent/JP7443341B2/ja
Priority to CN201980052533.5A priority patent/CN112616311B/zh
Priority to EP19875254.5A priority patent/EP3871893B1/en
Priority to US17/265,752 priority patent/US11317001B2/en
Publication of KR20200046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6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7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7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1/32144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embedded in the image data, i.e. enclosed or integrated in the image, e.g. watermark, super-imposed logo or stamp
    • H04N1/32149Methods relating to embedding, encoding, decoding, detection or retrieval operations
    • H04N1/32309Methods relating to embedding, encoding, decoding, detection or retrieval operations in colour image dat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42D25/337Guilloche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40Manufacture
    • B42D25/405Ma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38Preventing unauthorised reproduction
    • H04N1/0084Determining the necessity for prevention
    • H04N1/00843Determining the necessity for prevention based on recognising a copy prohibited original, e.g. a banknote
    • H04N1/00846Determining the necessity for prevention based on recognising a copy prohibited original, e.g. a banknote based on detection of a dedicated indication, e.g. mark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38Preventing unauthorised reproduction
    • H04N1/00883Auto-copy-preventive originals, i.e. originals that are designed not to allow faithful repro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1/32144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embedded in the image data, i.e. enclosed or integrated in the image, e.g. watermark, super-imposed logo or stamp
    • H04N1/32149Methods relating to embedding, encoding, decoding, detection or retrieval operations
    • H04N1/32203Spatial or amplitude domain methods
    • H04N1/32256Spatial or amplitude domain methods in halftone dat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3/00Printing processes to produce particular kinds of printed work, e.g. patterns
    • B41M3/14Security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2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use or purpose
    • B42D25/29Securities; Bank no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rinting Methods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조방지용 인쇄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육안상으로 보안 패턴의 잠상부를 식별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복사 또는 스캔을 통해서도 잠상부가 식별되지 않는 인쇄 패턴이 인쇄된 위조 방지용 인쇄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사나 스캔이 아닌, 인쇄물 원본에 위조 방지를 위해 인쇄된 인쇄 패턴을 인식하고 그 인식된 인쇄 패턴으로부터 보안 패턴의 잠상부를 도출하여 그 도출된 잠상부 형상을 화면에 표시 가능한 스마트 기기용 어플리케이션(앱)을 통하여 위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위조 방지용 인쇄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CMYK 잉크만을 이용한 위조 방지용 인쇄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CMYK 잉크만을 이용하여 인쇄하는 것에 의해 공정을 단축하여 인쇄물의 제조 시간을 단축하고, 인쇄물 제조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색분해된 CMYK 중 분포도의 합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인 2가지 또는 3가지 색을 2:1.6 ~ 1.8의 비율로 인쇄하고, 나머지 색을 1:1로 인쇄하는 것에 의해 잠상 이미지의 은폐력 상승 및 복사나 스캔 시 잠상 이미지가 현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스마트 기기용 어플리케이션(앱)을 통해서만 위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잠상부의 글자 또는 이미지 크기를 기 설정된 값만큼 크게 인쇄하는 것에 의해 육안상의 잠상 이미지 은폐력을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위조방지용 인쇄물 및 그 제조 방법{PRINTING MATTER WITH FOR PREVENTING COUNTERFEI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인쇄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위조방지용 인쇄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IT 기술의 발달에 따라 스캐너, 프린터, 복합기, 소프트웨어 등 컴퓨터 관련 기기들의 해상도 및 재현 능력 향상에 따라 은행권이나 수표, 각종 증명서, 보안문서 등을 쉽게 복사하여 이용하는 범죄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복사 위조 방지 기술들이 연구되어 오고 있는데, 대부분이 한국공개특허 제10-2001-0111242호와 같이 화폐, 유가증권류, 신분증, 카드 및 보안을 목적으로 하는 각종 제증명서 등의 인쇄물을 칼라 또는 흑백 복사기로 복사하거나 스캐너로 스캔하는 경우 인쇄물에 인쇄되어 있는 패턴을 통해 잠상이 현출되도록 함으로써 위조물임을 판별할 수 있는 복사 위조 방지용 인쇄 기술들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이 적용된 인쇄물에 대해서는 인쇄물 위조자가 잠상 현출 위치를 파악하여 해당 잠상이 현출되지 않도록 추가 조작을 함으로써 복사 등을 통해서 진위 여부를 판단하기 어려운 위조 인쇄물을 만들어 낼 수가 있다. 다시 말해, 위조 복사물에는 잠상이 나타난다는 점을 악용하여 그 잠상이 나타나지 않는 복사물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따라서, 기존에 잠상이 나타나게 하는 복사 위조 방지용 인쇄 기술은 상기와 같은 점에서 위조 방지에 있어서 취약한 면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잠상 이미지를 인쇄하기 위해서, CMYK의 잉크와 더불어 별색 잉크를 추가하여 잠상 이미지를 인쇄했다. 이에 따라, 인쇄비용이 증가하고, 추가 공정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1. 한국등록특허 제10-0369111호(2003.01.24 공고) 2. 한국등록특허 제10-1802808호(2017.12.28 공고)
본 발명은 육안상으로 보안 패턴의 잠상부를 식별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복사 또는 스캔을 통해서도 잠상부가 식별되지 않는 인쇄 패턴이 인쇄된 위조 방지용 인쇄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사나 스캔이 아닌, 인쇄물 원본에 위조 방지를 위해 인쇄된 인쇄 패턴을 인식하고 그 인식된 인쇄 패턴으로부터 보안 패턴의 잠상부를 도출하여 그 도출된 잠상부 형상을 화면에 표시 가능한 스마트 기기용 어플리케이션(앱)을 통하여 위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위조 방지용 인쇄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CMYK 잉크만을 이용한 위조 방지용 인쇄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위조방지용 인쇄물 및 그 제조 방법은 원본 이미지를 C/M/Y/K로 1차 색분해한 후 C/M/Y/K의 분포도를 분석하여 각 분포도에 따라 기 설정된 사이각을 가지는 C/M/Y/K 선으로 인쇄되는 배경부 및 상기 배경부의 제 1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영역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제 2 영역을 C/M/Y/K로 2차 색분해하여 각 분포도에 따라 상기 배경부의 C/M/Y/K 선 개수와 상이한 비율의 선 개수로 인쇄되는 잠상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C/M/Y/K 선이 가지는 사이각은 1차 색분해된 C/M/Y/K의 각 분포도를 기준으로 가장 낮은 2가지 색의 사이각을 105°로 배치하고, 나머지 색의 사이각을 25°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경부와 상기 잠상부의 C/M/Y/K 선 개수 비율은 상기 제 2 영역에서 2차 색분해된 C/M/Y/K의 각 분포도 중 분포도의 합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인 색을 선정하여 선정된 색의 선 개수 비율을 2:1.6~1.8로 형성하고, 나머지 색의 선 개수 비율을 1:1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경부와 상기 잠상부의 C/M/Y/K 선 개수 비율을 결정하는 기 설정된 분포도의 합은 7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 영역에서 2차 색분해된 C/M/Y/K의 각 분포도 중 분포도의 합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인 색은 적어도 1가지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잠상부의 선 굵기는 기 설정된 값만큼 추가되어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잠상부의 선 굵기에 추가하는 기 설정된 값은
Figure 112018105358948-pat00001
상기의 식에 의해 결정되며, a는 기 설정된 값이며, b는 상기 배경부 선 개수의 비율, c는 잠상부(200) 선 개수의 비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원본이미지를 C/M/Y/K로 1차 색분해하는 단계, 1차 색분해된 C/M/Y/K의 각 분포도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1차 색분해된 C/M/Y/K의 각 분포도에 따라 기 설정된 사이각을 가지는 C/M/Y/K 선으로 배경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배경부에서 잠상부가 인쇄되는 제 1 영역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 1 영역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제 2 영역을 C/M/Y/K로 2차 색분해하는 단계, 2차 색분해된 C/M/Y/K의 각 분포도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제 2 영역에서 2차 색분해된 C/M/Y/K 중 분포도의 합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인 색을 선정하는 단계, 상기 제 2 영역에서 2차 색분해된 C/M/Y/K의 분포도의 합에 따라 선정된 색을 상기 배경부의 선 개수와 상이한 비율의 선 개수로 형성하여 상기 잠상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배경부와 상기 잠상부를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1차 색분해된 C/M/Y/K의 각 분포도에 따라 기 설정된 사이각을 가지는 C/M/Y/K 선으로 배경부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C/M/Y/K 선이 가지는 사이각은 1차 색분해된 C/M/Y/K의 각 분포도를 기준으로 가장 낮은 2가지 색의 사이각을 105°로 배치하고, 나머지 색의 사이각을 25°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 영역에서 2차 색분해된 C/M/Y/K의 분포도의 합에 따라 선정된 색을 상기 배경부의 선 개수와 상이한 비율의 선 개수로 형성하여 상기 잠상부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배경부와 상기 잠상부의 C/M/Y/K 선 개수 비율은 상기 제 2 영역에서 2차 색분해된 C/M/Y/K의 각 분포도 중 분포도의 합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인 색을 선정하여 선정된 색의 선 개수 비율을 2:1.6~1.8로 형성하고, 나머지 색의 선 개수 비율을 1:1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경부와 상기 잠상부의 C/M/Y/K 선 개수 비율을 결정하는 기 설정된 분포도의 합은 7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 영역에서 2차 색분해된 C/M/Y/K의 각 분포도 중 분포도의 합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인 색은 적어도 1가지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잠상부의 선 굵기를 기 설정된 값만큼 추가 형성하는 단계가 상기 배경부와 상기 잠상부를 인쇄하는 단계보다 선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잠상부의 선 굵기에 추가하는 기 설정된 값은
Figure 112018105358948-pat00002
상기의 식에 의해 결정되며, a는 기 설정된 값이며, b는 상기 배경부 선 개수의 비율, c는 잠상부(200) 선 개수의 비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CMYK 잉크만을 이용하여 인쇄하는 것에 의해 공정을 단축하여 인쇄물 제조에 필요한 소요 시간을 단축하고, 인쇄물 제조에 소요되는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색분해된 CMYK 중 분포도의 합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인 2가지 또는 3가지 색을 2:1.6 ~ 1.8의 비율로 인쇄하고, 나머지 색을 1:1로 인쇄하는 것에 의해 잠상 이미지의 은폐력을 상승시킬 수 있으며, 복사나 스캔 시 잠상 이미지가 현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스마트 기기용 어플리케이션(앱)을 통해서만 위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위조방지용 인쇄물
도 2는 도 1의 A를 확대한 이미지
도 3은 도 2의 B를 확대한 이미지
도 4a는 도 3이 색분해된 C/M/Y/K 중 C의 포지션에 대한 이미지
도 4b는 도 3이 색분해된 C/M/Y/K 중 M의 포지션에 대한 이미지
도 4c는 도 3이 색분해된 C/M/Y/K 중 Y의 포지션에 대한 이미지
도 4d는 도 3이 색분해된 C/M/Y/K 중 K의 포지션에 대한 이미지
도 5a 및 5b는 Ebbinghaus Illusion의 예시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위조방지용 인쇄물의 제조 순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위조방지용 인쇄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종래 주지된 사항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하기 위해 생략하거나 간단히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위조방지용 인쇄물이다. 도 2는 도 1의 A를 확대한 이미지이다. 도 3은 도 2의 B를 확대한 이미지이다. 도 4a는 도 3이 색분해된 C/M/Y/K 중 C의 포지션에 대한 이미지이다. 도 4b는 도 3이 색분해된 C/M/Y/K 중 M의 포지션에 대한 이미지이다. 도 4c는 도 3이 색분해된 C/M/Y/K 중 Y의 포지션에 대한 이미지이다. 도 4d는 도 3이 색분해된 C/M/Y/K 중 K의 포지션에 대한 이미지이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위조방지용 인쇄물(1)은 인쇄물 제조에 필요한 소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인쇄물 제조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잠상 이미지의 은폐력을 상승시킬 수 있으며, 복사나 스캔 시 잠상 이미지가 현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스마트 기기용 어플리케이션(앱)을 통해서만 위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잠상부의 글자 또는 이미지 크기를 기 설정된 값만큼 크게 인쇄하는 것에 의해 육안상의 잠상 이미지 은폐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위조방지용 인쇄물(1)은 배경부(100) 및 잠상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배경부(100)는 원본 이미지를 C/M/Y/K로 1차 색분해 후 C/M/Y/K의 분포도를 분석하여 각 분포도에 따라 기 설정된 사이각을 가지는 C/M/Y/K 선으로 인쇄될 수 있으며, 잠상부(200)가 형성되는 제 1 영역(110)을 포함할 수 있다. 잠상부(200)가 형성되는 제 1 영역(110)은 배경부(100) 상에서 임의의 영역일 수 있으며, 배경부(100) 상에서 위치를 한정하지 않는다.
배경부(100)의 선 개수는 1inch(25.4mm)당 200개일 수 있으며, 선 간격은 1inch(25.4mm)당 200개의 선이 인쇄되는 것으로 25.4mm/200 = 0.127mm 가 될 수 있다. C/M/Y/K의 분포도는 원본 이미지에 분포되어 있는 색을 픽셀(Pixel) 단위로 계산하여 구할 수 있다. 배경부(100)의 선 개수가 1inch(25.4mm)당 200개인 것은 선의 개수가 1inch(25.4mm)당 200개 보다 적은 수가 되면 육안상으로 구별이 될 가능성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C/M/Y/K 선이 가지는 사이각은 1차 색분해된 C/M/Y/K의 각 분포도를 기준으로 가장 낮은 2가지 색의 사이각을 105°로 배치할 수 있으며, 나머지 색의 사이각을 25°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색분해된 C/M/Y/K 중 분포도가 가장 낮은 색 또는 가장 낮은 색 2가지 중 하나를 망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분포도가 가장 낮은 색 또는 가장 낮은 색 2가지 중 하나를 망점 형태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잠상부(200)의 육안상 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잠상부(200)는 배경부(100)의 제 1 영역(110)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 1 영역(110)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제 2 영역(120)을 C/M/Y/K로 2차 색분해한 후 분포도를 분석하여 각 분포도에 따라 배경부(100)의 C/M/Y/K 선 개수와 상이한 비율의 선 개수로 인쇄될 수 있다.
잠상부(200)의 선 개수 결정은 배경부(100)의 C/M/Y/K 선 개수가 기준이 될 수 있으며, 배경부(100):잠상부(200)의 상이한 비율은 2:1.6~1.8, 바람직하게는 2:1.7일 수 있다. 즉, 잠상부(200)의 선 개수는 1inch(25.4mm)당 160~180개, 바람직하게는 170개 일 수 있으며, 선 간격은 1inch(25.4mm)당 160~180개의 선이 인쇄되는 것으로 25.4mm/160~180 = 0.141~0.15875mm 가 될 수 있다.
또한, 잠상부(200)의 C/M/Y/K 선 중 제 2 영역(120)에서 2차 색분해된 C/M/Y/K의 각 분포도 중 분포도의 합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인 색을 선정하여 선정된 색의 선 개수 비율을 2:1.6~1.8로 형성하고, 나머지 색의 선 개수 비율을 1:1로 형성할 수 있다.
제 2 영역(120)에서 2차 색분해된 C/M/Y/K의 각 분포도 중 분포도의 합으로 색을 선정하기 위한 기 설정된 값은 60~80%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70% 이상일 수 있다. 이는 분포도의 합이 60~80% 이상으로 선정된 색상만으로도 잠상부(200)를 형성할 수 있으며, 선정되지 않은 색상의 배경부(100) 및 잠상부(200)의 선 개수의 비율을 1:1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잠상부(200)의 은폐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 영역(120)에서 2차 색분해된 C/M/Y/K의 각 분포도 중 분포도의 합이 60~80% 이상인 색은 적어도 1가지 이상일 수 있으며, 최대 3가지일 수 있다.
Ebbinghaus Illusion의 예시도인 도 5a 및 5b를 참조하면, 잠상부(200)의 선 굵기는 동일한 크기의 형상이 다른 크기로 보이게 하는 Ebbinghaus Illusion(에빙하우스 착시)현상에 의해 기 설정된 잠상부(200)의 크기보다 작게 관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기 설정된 값만큼 굵기를 강제적으로 추가하여 인쇄할 수 있으며, 강제적으로 추가하는 기 설정된 값을 구하는 식은 다음과 같다.
[수학식 1]
Figure 112018105358948-pat00003
상기의 식에서, a는 강제적으로 굵기를 추가하기 위한 값이며, b는 배경부(100) 선 개수의 비율, c는 잠상부(200) 선 개수의 비율일 수 있다.
예시로, 배경부(200)와 잠상부(200)의 비율이 2:1.8 인 경우, 강제적 굵기 추가 값(a) = (2+2/1.8)-1.8 = 1.31이 될 수 있다. 즉, 잠상부(200)의 선은 0.0131% 만큼 추가된 굵기로 인쇄될 수 있다.
배경부(200)와 잠상부(200)의 비율이 2:1.6 인 경우, 강제적 굵기 추가 값(a) = (2+2/1.6)-1.6 = 1.65가 될 수 있다. 즉, 잠상부(200)의 선은 0.0165% 만큼 추가된 굵기로 인쇄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위조방지용 인쇄물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종래 주지된 사항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하기 위해 생략하거나 간단히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위조방지용 인쇄물의 제조 순서도이다.
도 6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위조방지용 인쇄물(1)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의해, 앞서 설명된 구성이 보다 명확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위조방지용 인쇄물(1)은 원본 이미지를 C/M/Y/K로 1차 색분해를 한 후(S1) 1차 색분해된 C/M/Y/K의 각 분포도를 분석할 수 있으며(S2), 1차 색분해된 C/M/Y/K의 각 분포도에 따라 기 설정된 사이각을 가지는 C/M/Y/K 선으로 배경부(100)를 형성할 수 있다(S3).
여기서, 1차 색분해된 C/M/Y/K의 각 분포도에 따라 기 설정된 사이각을 가지는 C/M/Y/K 선으로 배경부(100)를 형성하는 단계(S3)에서 C/M/Y/K 선이 가지는 사이각은 1차 색분해된 C/M/Y/K의 각 분포도를 기준으로 가장 낮은 2가지 색의 사이각을 105°로 배치할 수 있으며, 나머지 색의 사이각을 25°로 배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배경부(100)에서 잠상부(200)가 인쇄되는 제 1 영역(110)을 선택할 수 있으며(S4), 제 1 영역(110)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제 2 영역(120)을 C/M/Y/K로 2차 색분해를 할 수 있다(S5). 그 다음 2차 색분해된 C/M/Y/K의 각 분포도를 분석할 수 있으며(S6), 제 2 영역(120)에서 2차 색분해된 C/M/Y/K 중 분포도의 합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인 색을 선정할 수 있다(S7).
다음으로, 제 2 영역(120)에서 2차 색분해된 C/M/Y/K의 분포도의 합에 따라 선정된 색을 배경부(100)의 선 개수와 상이한 비율의 선 개수로 형성하여 잠상부(200)를 형성할 수 있으며(S8), 잠상부(200)의 선 굵기를 기 설정된 값만큼 추가하여 기 설정된 값만큼 굵게 형성할 수 있다(S9).
여기서, 제 2 영역(120)에서 2차 색분해된 C/M/Y/K의 분포도의 합에 따라 선정된 색을 배경부(100)의 선 개수와 상이한 비율의 선 개수로 형성하여 잠상부(200)를 형성하는 단계(S8)에서 배경부(100)와 잠상부(200)의 C/M/Y/K 선 개수 비율은 제 2 영역(120)에서 2차 색분해된 C/M/Y/K의 각 분포도 중 분포도의 합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인 색을 선정하여(S7) 선정된 색의 선 개수 비율을 2:1.6~1.8로 형성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2:1.7로 형성할 수 있으며, 나머지 색의 선 개수 비율을 1:1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배경부(100)와 잠상부(200)의 C/M/Y/K 선 개수 비율을 결정하는 기 설정된 분포도의 합은 60~80%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70% 이상일 수 있다. 이는 분포도의 합이 60~80% 이상으로 선정된 색상만으로도 잠상부(200)를 형성할 수 있으며, 선정되지 않은 색상의 배경부(100) 및 잠상부(200)의 선 개수의 비율을 1:1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잠상부(200)의 은폐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 영역(120)에서 2차 색분해된 C/M/Y/K의 각 분포도 중 분포도의 합이 60~80% 이상인 색은 적어도 1가지 이상일 수 있으며, 최대 3가지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분포도를 기준으로 형성되는 사이각 및 선 개수 비율이 적용된 배경부(100) 및 잠상부(200)를 인쇄할 수 있다(S10).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해당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 위조방지용 인쇄물
100 : 배경부
110 : 제 1 영역
120 : 제 2 영역
200 : 잠상부

Claims (14)

  1. 원본 이미지를 C/M/Y/K로 1차 색분해한 후 C/M/Y/K의 분포도를 분석하여 각 분포도에 따라 기 설정된 사이각을 가지는 C/M/Y/K 선으로 인쇄되는 배경부; 및
    상기 배경부의 제 1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영역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제 2 영역을 C/M/Y/K로 2차 색분해하여 상기 제 2 영역에서 2차 색분해된 C/M/Y/K의 각 분포도에 따라 상기 배경부의 C/M/Y/K 선 개수와 상이한 비율의 선 개수로 인쇄되는 잠상부; 를 포함하고,
    상기 C/M/Y/K 선이 가지는 사이각은 1차 색분해된 C/M/Y/K의 각 분포도를 기준으로 가장 낮은 2가지 색의 사이각을 105°로 배치하고, 나머지 색의 사이각을 25°로 배치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배경부와 상기 잠상부의 C/M/Y/K 선 개수 비율은 상기 제 2 영역에서 2차 색분해된 C/M/Y/K의 각 분포도 중 분포도의 합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인 색을 선정하여 선정된 색의 선 개수 비율을 2:1.6~1.8로 형성하고, 나머지 색의 선 개수 비율을 1:1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인쇄물.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부와 상기 잠상부의 C/M/Y/K 선 개수 비율을 결정하는 기 설정된 분포도의 합은 7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인쇄물.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잠상부의 선 굵기는 기 설정된 값만큼 추가되어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인쇄물.
  7. 삭제
  8. 원본이미지를 C/M/Y/K로 1차 색분해하는 단계;
    1차 색분해된 C/M/Y/K의 각 분포도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1차 색분해된 C/M/Y/K의 각 분포도에 따라 기 설정된 사이각을 가지는 C/M/Y/K 선으로 배경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배경부에서 잠상부가 인쇄되는 제 1 영역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 1 영역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제 2 영역을 C/M/Y/K로 2차 색분해하는 단계;
    상기 제 2 영역에서 2차 색분해된 C/M/Y/K의 각 분포도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제 2 영역에서 2차 색분해된 C/M/Y/K 중 분포도의 합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인 색을 선정하는 단계;
    상기 제 2 영역에서 2차 색분해된 C/M/Y/K의 분포도의 합에 따라 선정된 색을 상기 배경부의 선 개수와 상이한 비율의 선 개수로 형성하여 상기 잠상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배경부와 상기 잠상부를 인쇄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1차 색분해된 C/M/Y/K의 각 분포도에 따라 기 설정된 사이각을 가지는 C/M/Y/K 선으로 배경부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C/M/Y/K 선이 가지는 사이각은 1차 색분해된 C/M/Y/K의 각 분포도를 기준으로 가장 낮은 2가지 색의 사이각을 105°로 배치하고, 나머지 색의 사이각을 25°로 배치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 2 영역에서 2차 색분해된 C/M/Y/K의 분포도의 합에 따라 선정된 색을 상기 배경부의 선 개수와 상이한 비율의 선 개수로 형성하여 상기 잠상부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배경부와 상기 잠상부의 C/M/Y/K 선 개수 비율은 상기 제 2 영역에서 2차 색분해된 C/M/Y/K의 각 분포도 중 분포도의 합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인 색을 선정하여 선정된 색의 선 개수 비율을 2:1.6~1.8로 형성하고, 나머지 색의 선 개수 비율을 1:1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인쇄물 제조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부와 상기 잠상부의 C/M/Y/K 선 개수 비율을 결정하는 기 설정된 분포도의 합은 7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인쇄물 제조 방법.
  12. 삭제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잠상부의 선 굵기를 기 설정된 값만큼 추가 형성하는 단계가 상기 배경부와 상기 잠상부를 인쇄하는 단계보다 선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인쇄물 제조 방법.
  14. 삭제
KR1020180127852A 2018-10-25 2018-10-25 위조방지용 인쇄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137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7852A KR102137944B1 (ko) 2018-10-25 2018-10-25 위조방지용 인쇄물 및 그 제조 방법
PCT/KR2019/012139 WO2020085655A1 (ko) 2018-10-25 2019-09-19 위조방지용 인쇄물 및 그 제조 방법
JP2021512279A JP7443341B2 (ja) 2018-10-25 2019-09-19 偽造防止用印刷物及びその製造方法
CN201980052533.5A CN112616311B (zh) 2018-10-25 2019-09-19 防伪用印刷品及其制造方法
EP19875254.5A EP3871893B1 (en) 2018-10-25 2019-09-19 Anti-counterfeiting printed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17/265,752 US11317001B2 (en) 2018-10-25 2019-09-19 Anti-counterfeiting printed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7852A KR102137944B1 (ko) 2018-10-25 2018-10-25 위조방지용 인쇄물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6541A KR20200046541A (ko) 2020-05-07
KR102137944B1 true KR102137944B1 (ko) 2020-07-27

Family

ID=70331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7852A KR102137944B1 (ko) 2018-10-25 2018-10-25 위조방지용 인쇄물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317001B2 (ko)
EP (1) EP3871893B1 (ko)
JP (1) JP7443341B2 (ko)
KR (1) KR102137944B1 (ko)
CN (1) CN112616311B (ko)
WO (1) WO20200856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2422B1 (ko) * 2020-10-20 2022-08-12 한국조폐공사 흰색 보안 패턴을 가지는 보안 인쇄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8490A (ja) * 1998-10-09 2000-04-18 Dainippon Printing Co Ltd カラー印刷物、判別具、カラー画像の形成方法およびカラー複写物の判別方法
KR101658557B1 (ko) * 2015-09-08 2016-09-21 주식회사 무궁화엘앤비 감식 패턴과 이를 갖는 인쇄물, 그리고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75886A (en) * 1993-04-14 1994-12-27 Hosokawa Printing Co., Ltd. Counterfeit-proof paper for discouraging attempt at reproduction with copying device
JP3010365U (ja) * 1994-05-10 1995-05-02 光村印刷株式会社 コピー偽造対策用フィルムポジ原版
US5708717A (en) * 1995-11-29 1998-01-13 Alasia; Alfred Digital anti-counterfeiting software method and apparatus
JP2000158791A (ja) 1998-11-30 2000-06-13 Nikka Kk 情報隠蔽印刷方法および情報隠蔽印刷物
JP4304356B2 (ja) 1999-04-28 2009-07-29 独立行政法人 国立印刷局 偽造防止用潜像模様形成体及びその作製方法
KR100369111B1 (ko) 2000-06-09 2003-01-24 한국조폐공사 복사 위조방지용 인쇄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8444181B2 (en) * 2002-10-10 2013-05-21 Document Security Systems, Inc. Single-color screen patterns for copy protection
CA2501513C (en) * 2002-10-10 2010-02-02 Thomas M. Wicker Document containing security images
US7194105B2 (en) 2002-10-16 2007-03-20 Hersch Roger D Authentication of documents and articles by moiré patterns
JP3938176B2 (ja) * 2003-12-10 2007-06-2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EP1739947B1 (en) * 2005-06-30 2013-10-02 Canon Kabushiki Kaisha Density determination metho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system
CN101336440A (zh) * 2005-12-05 2008-12-31 联邦科学和工业研究机构 形成安全化图像的方法
CN100558139C (zh) * 2005-12-15 2009-11-04 佳能株式会社 图像处理装置及图像处理方法
US8804152B2 (en) * 2006-06-23 2014-08-12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copy restriction function
US7639400B2 (en) * 2007-02-13 2009-12-29 Xerox Corporation Glossmark image simulation with application of background modified gloss effect image
CN101183496A (zh) * 2007-12-25 2008-05-21 深圳市乐天科技有限公司 一种书写式电子装置进行文字笔划的校正方法
CN101561863A (zh) * 2008-04-14 2009-10-21 北京中科诚通科技发展有限公司 用手机、扫描仪、摄像头识别防伪印刷品的防伪识别系统
CN201950913U (zh) * 2010-12-22 2011-08-31 东莞虎彩印刷有限公司 一种激光全息加密防伪母版
JP5599124B2 (ja) 2011-10-11 2014-10-01 独立行政法人 国立印刷局 偽造防止印刷物
CN102411697A (zh) * 2011-11-11 2012-04-11 陈银洋 变频多层隐形潜像防伪技术
CN202331467U (zh) * 2011-11-11 2012-07-11 陈银洋 变频多层隐形潜像防伪技术
US20140225362A1 (en) 2013-02-08 2014-08-14 Graphic Security Systems Corporation Multiple shade latent images
CN104129184A (zh) * 2013-05-02 2014-11-05 北京中标方圆防伪技术有限公司 一种防伪材料及其制作方法
CN104010112A (zh) * 2014-06-13 2014-08-27 深圳市汇亿丰印刷包装有限公司 一种彩色图像的多角度的防伪印刷方法
JP6705092B2 (ja) * 2014-07-30 2020-06-03 シクパ ホルディング ソシエテ アノニムSicpa Holding Sa 光学効果層を製造するためのベルト駆動式方法
KR101802804B1 (ko) * 2015-10-20 2017-12-29 한국조폐공사 위조방지용 잠상 인쇄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70984B1 (ko) * 2016-03-14 2017-09-06 한국조폐공사 위조방지 인쇄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02808B1 (ko) 2016-05-16 2017-12-28 한국조폐공사 위조 방지용 인쇄물 및 그에 대한 위조 여부 확인 방법
CN107590839B (zh) * 2017-09-18 2021-08-24 臧戈平 一种基于高保真藏图的溯源防伪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8490A (ja) * 1998-10-09 2000-04-18 Dainippon Printing Co Ltd カラー印刷物、判別具、カラー画像の形成方法およびカラー複写物の判別方法
KR101658557B1 (ko) * 2015-09-08 2016-09-21 주식회사 무궁화엘앤비 감식 패턴과 이를 갖는 인쇄물, 그리고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526203A (ja) 2022-05-24
WO2020085655A1 (ko) 2020-04-30
JP7443341B2 (ja) 2024-03-05
EP3871893A1 (en) 2021-09-01
KR20200046541A (ko) 2020-05-07
CN112616311A (zh) 2021-04-06
US11317001B2 (en) 2022-04-26
US20210168260A1 (en) 2021-06-03
EP3871893A4 (en) 2022-03-09
CN112616311B (zh) 2022-05-10
EP3871893B1 (en) 2023-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98999B2 (ja) 印刷物、該印刷物の検知方法及び検知装置、並びに認証方法及び認証装置
US8593698B2 (en) Void pantographs and methods for generating the same using at least one test void pantograph
KR101802808B1 (ko) 위조 방지용 인쇄물 및 그에 대한 위조 여부 확인 방법
KR101535534B1 (ko) 프린터 스테가노그래피 기법을 이용한 위조방지수단이 구비된 문서의 생성 방법 및 그 문서에 대한 위변조 확인 방법
KR101468412B1 (ko) 위조 방지용 인쇄물 및 그에 대한 위조 여부 확인 방법
EA027635B1 (ru) Защитный элемент, защищенный от подделки печатный материал с указанным защитным элементом и способ проверки аутентичности указанного печатного материала
JP2011034535A (ja) 本人確認書類真贋判定装置
WO2014201438A2 (en) Printed authentication for low resolution reproductions
KR102137944B1 (ko) 위조방지용 인쇄물 및 그 제조 방법
JP2020089971A (ja) 偽造防止印刷物、偽造防止印刷物用データの作成方法及び偽造防止印刷物の作製システム
KR100874752B1 (ko) 지폐 인식장치 및 그 인식방법
KR101727585B1 (ko) 프린터 스테가노그래피 기법을 이용한 위조방지수단이 구비된 문서
JP7284950B2 (ja) 潜像印刷物の読取装置、読取方法及び読取用ソフトウェア
KR102500424B1 (ko) 서명을 포함하는 보안 장치를 검증하는 방법
CN109684796A (zh) 一种基于数字水印的文档防伪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US20220150378A1 (en) Method of Printing Authentication Indicators with Amplitude Modulated Halftone Printing
KR102240840B1 (ko) 위조방지용지 또는 보안 인쇄 구조를 이용한 진위 여부 확인 시스템
JP5678364B2 (ja) 真偽判別可能な印刷物、その作製装置及びその作製方法並びに真偽判別可能な印刷物の認証装置及びその認証方法
KR101642710B1 (ko) 유가증권 위변조 검사 방법
KR101858965B1 (ko) 이미지에 진위 판별 코드 삽입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생산된 생산물의 진위 여부 판별 방법
JP5652787B2 (ja) 真偽判別可能な印刷物及びその該印刷物の認証方法
JP5850370B2 (ja) 印刷物作製方法、印刷物及び真偽判別方法
EP3687823B1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insertion of guilloche patterns
BG110837A (bg) Защитна перфорация и метод за защита чрез перфорацията на продукти срещу фалшификация
JP2017072988A (ja) 偽造防止用印刷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