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5087B1 - 후면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후면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5087B1
KR102135087B1 KR1020130142411A KR20130142411A KR102135087B1 KR 102135087 B1 KR102135087 B1 KR 102135087B1 KR 1020130142411 A KR1020130142411 A KR 1020130142411A KR 20130142411 A KR20130142411 A KR 20130142411A KR 102135087 B1 KR102135087 B1 KR 102135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ember
fastening
display module
divided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2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8990A (ko
Inventor
이광원
박충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2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5087B1/ko
Priority to US14/156,185 priority patent/US9854693B2/en
Priority to EP14000196.7A priority patent/EP2759903B1/en
Priority to CN201610626805.6A priority patent/CN106055040B/zh
Priority to CN201410035467.XA priority patent/CN103971601B/zh
Publication of KR20150058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8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5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5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이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형상을 변화시키는 가변 부재;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위치하며, 분할부에 의하여 구획되는 복수 개의 분할 영역을 포함하는 후면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 개의 분할 영역이 고정 부재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서로 체결되는 제1 고정 부재 및 제2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후면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REAR COVER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후면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커버하기 적합하도록 설계된 후면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다양한 형태가 사용되고 있다. 일례로,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pane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가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 분야가 점차 확대됨에 따라 각 사용 분야에서 다양한 특성이 요구되고 있으며, 단순히 화상을 표시하는 것과 관련된 특성뿐만 아니라 입체감, 몰입감 등을 고려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요구를 만족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를 다양한 형태로 개선하고자 하는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모듈의 개선 구조에 대응하여 형상이 쉽게 변화될 수 있는 후면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이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형상을 변화시키는 가변 부재;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위치하며, 분할부에 의하여 구획되는 복수 개의 분할 영역을 포함하는 후면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 개의 분할 영역이 고정 부재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서로 체결되는 제1 고정 부재 및 제2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면 커버가 일체로 연결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분할 영역은 서로 이웃하는 제1 분할 영역 및 제2 분할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분할 영역은 상기 제2 분할 영역에 인접한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체결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분할 영역은 상기 제1 분할 영역에 인접한 일측에 형성되는 제2 체결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가 상기 제1 체결 부분 및 상기 제2 체결 부분에 체결되어 이들을 이동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가 상기 제1 분할 영역과 상기 제2 분할 영역이 서로 중첩된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체결 부분은 체결 홀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제2 체결 부분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체결 홀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1 고정 부재와, 상기 제1 체결 부분 쪽에서 삽입되어 상기 제1 고정 부재에 체결되는 제2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 부재가, 내면에 제1 나사가 형성되는 너트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 부재가, 상기 너트 부재의 제1 나사에 계합되는 제2 나사가 형성되는 나사부와, 상기 나사부에 연결되며 상기 나사부보다 큰 면적을 가지는 머리부를 구비하는 볼트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머리부와 상기 제1 체결 부분 사이에 간극이 위치할 수 있다.
상이 제1 고정 부재가 상기 제1 체결 부분보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쪽으로 더 많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 부재의 높이에 대한, 상기 제1 고정 부재에서 상기 제1 체결 부분보다 돌출된 부분의 높이의 비율이 0.2 내지 0.4일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 부재가 상기 제1 체결 부분보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향하여 0.1mm 내지 1mm만큼 더 많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체결 홀이 상기 제1 고정 부재보다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체결 홀이, 상기 제1 고정 부재의 일측에 대응하는 제1 홀부와, 상기 제1 고정 부재의 타측에 대응하는 제2 홀부와, 상기 제1 홀부와 상기 제2 홀부 사이에 위치하는 여유 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 홀의 폭에 대한 상기 제1 고정 부재의 폭의 비율이 1.2 내지 1.8일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 부재의 폭과 상기 체결 홀의 폭의 차이가 0.1mm 내지 10mm일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 부재가 상기 제2 체결 부분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머리부는 상기 체결 홀보다 세로 폭 및 가로 폭 중 적어도 하나가 더 클 수 있다.
상기 제1 체결 부분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1 돌출 부분과, 상기 제1 돌출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2 분할 영역과 중첩되는 제1 중첩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체결 부분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2 돌출 부분과, 상기 제2 돌출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1 중첩 부분에 중첩되는 제2 중첩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중첩 부분에 상기 고정 부재가 위치하는 체결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분할 영역 및 상기 제2 분할 영역이 각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하 방향으로 길게 이어지고, 상기 제1 체결 부분과 상기 제2 체결 부분이 각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하 방향으로 길게 이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면 커버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위치하는 후면 커버로서, 분할부에 의하여 구획되는 복수 개의 분할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분할 영역이 고정 부재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서로 체결되는 제1 고정 부재 및 제2 고정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고정 부재가 너트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 부재가 볼트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후면 커버가 분할부에 의하여 구획된 복수의 분할 영역을 구비하므로 작은 힘에 의해서도 디스플레이 모듈과 일체화되어 형상이 변화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모듈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형상을 변화시키기 위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고, 원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균일하게 변형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때, 복수의 분할 영역이 고정 부재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 상태로 고정되므로, 후면 커버를 일체화하여 구조를 단순화하고 취급 용이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이때, 고정 부재로 너트 부재인 제1 고정 부재와 볼트 부재인 제2 고정 부재를 사용하면 체결 구조를 좀더 간단하고 견고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고정 부재, 체결 홀의 폭, 높이 등을 한정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의 형상 변화 시 후면 커버가 이에 대응하도록 형상이 쉽게 변화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고정 부재가 후면 커버의 외곽면 내부에서 서로 중첩되는 제1 및 제2 체결 부분의 제1 및 제2 중첩 부분에 위치하여, 후면 커버의 형상이 변화하더라도 체결 홀 등이 사용자의 눈에 띄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로서, 후면 커버의 고정단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본 사시도이다.
도 5은 도 4의 IV-IV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한 분할 영역의 본체부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VII-VII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한 분할 영역에 형성된 체결 홀과 제1 고정 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형상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설명을 좀더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두께, 넓이 등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하였는바, 본 발명의 두께, 넓이 등은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떠한 부분이 다른 부분을 "포함"한다고 할 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부분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며 다른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분이 위치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위치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면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정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화상이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모듈(10)과,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형상을 변화시키는 가변 부재(20)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면에 위치하는 후면 커버(30)을 포함한다. 이때, 후면 커버(30)는 분할부(32)에 의하여 구획되며 고정 부재(330)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분할 영역(34)을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가변 부재(20)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형상이 변화될 때 후면 커버(30)의 형상이 쉽게 변화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분할 영역(34)을 포함하는 후면 커버(30)를 고정 부재(330)에 의하여 일체화하여 쉽게 취급할 수 있다. 이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0)은, 실질적으로 화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2)과, 디스플레이 패널(12)의 후면에 위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2)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14)와, 지지 부재(14)에 고정되며 디스플레이 패널(12)의 구동을 위한 신호를 제공하는 패널 구동부(도시하지 않음)와, 디스플레이 패널(12) 및 지지 부재(14)의 측면을 감싸서 디스플레이 모듈(10)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프레임부(16)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2)은 화상을 구현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 및 방식을 가지며 플렉서블(flexible)한 특성을 가져 가변 부재(20)에 의하여 형상이 변화할 수 있는 패널이다.
일례로, 디스플레이 패널(12)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를 이용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다.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이라 함은 형광 또는 인광 유기물 박막에 전류를 흐르게 하여 전자와 정공이 유기물 박막에서 결합하면서 빛이 발생하는 원리를 이용한 자체 발광형 디스플레이 패널이다.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은 밝고 선명한 화질을 가지고 시야각에 의한 제한이 없으며 전력 소모가 적은 등의 다양한 장점이 있다. 특히, 유기물 박막을 적층하는 것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으므로 플렉서블한 특성이 우수하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구조 및 방식을 가지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패널(12)이 적용될 수 있다.
지지 부재(14)는 디스플레이 패널(12)의 후면에 위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2)을 지지한다. 또한 지지 부재(14)의 후면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2)을 구동하며 지지 부재(14)의 후면에 고정되는 패널 구동부 및 가변 부재(20)가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 부재(14)는 디스플레이 패널(12), 패널 구동부 및 가변 부재(20)가 지지되고 고정될 수 있는 강도를 가지면서, 디스플레이 패널(12)의 형상이 변화할 때는 형상이 변화할 수 있도록 플렉서블한 특성, 탄성 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열적 스트레스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지지 부재(14)는 디스플레이 패널(12)과 유사한 수준의 열팽창 계수를 가질 수 있다.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 지지 부재(14)는 강화 플라스틱 등의 복합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복합 소재라 함은 두 종류 이상의 물질을 인위적으로 결합하여 우수한 특성을 가지도록 한 재료이다.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 지지 부재(14)는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CFRP),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GFRP) 등의 강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플라스틱에 의하여 가볍고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지면서도, 다양한 섬유 형태의 보강재에 의하여 높은 강도, 탄성, 우수한 내마모성을 가질 수 있다. 지지 부재(14)는 단일의 복합 소재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우수한 강도를 위하여 복수 개의 복합 소재층이 적층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지지 부재(14)는 디스플레이 패널(12)의 후면에 접착제(일례로, 양면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외의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2)과 지지 부재(14)가 고정될 수 있다.
지지 부재(14)의 후면에 고정되는 패널 구동부는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신호를 제공하는 다양한 배선, 소자 등을 포함하는 회로 기판(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한다. 이러한 패널 구동부는 브라켓(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하여 지지 부재(14)에 고정될 수 있는데, 일례로, 브라켓은 중앙 부분에서만 지지 부재(14)에 고정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2)의 형상을 변화시킬 때 필요한 힘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패널 구동부의 일부 또는 전부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외부에 위치하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때, 본 실시예의 패널 구동부는 가변 부재(20)를 구동하기 위한 배선, 소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2) 및 지지 부재(14)의 가장자리를 따라 프레임부(16)가 위치한다. 프레임부(16)는 디스플레이 패널(12) 및 지지 부재(14)를 고정하고 디스플레이 패널(12) 및 지지 부재(14)의 상부 및 하부 가장자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프레임부(16)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2)의 후면을 덮는 후면 커버(30) 등이 고정될 수 있다. 도 3에는 간략하고 명확한 도시를 위하여 프레임부(16)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좀더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프레임부(16)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가장자리을 덮는 제1 프레임 부분(도 5의 참조부호 16a, 이하 동일)와, 제1 프레임 부분(16a)로부터 돌출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면에 위치하는 제2 프레임 부분(도 5의 참조부호 16b, 이하 동일)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프레임 부분(16a, 16b)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의 가장자리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제2 프레임 부분(16b)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에 후면 커버(30)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프레임부(16)와 후면 커버(30)의 고정 구조 등은 추후에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레임부(16)의 형상 및 위치 등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지지 부재(14)의 후면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2)(또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을 변형시킬 수 있는 가변 부재(20)가 위치한다. 가변 부재(2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형상을 변화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 및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변 부재(20)는, 일 예로, 변형부(22)와, 변형부(22)를 지지 부재(14)에 고정하는 고정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24)의 양쪽 단부에는 각기 스토퍼 부재(도시하지 않음)가 위치할 수 있다.
변형부(22)는, 온도 변화, 전기적 신호 등에 의하여 길이, 형상 등이 변화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 및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일례로, 변형부(22)가 형상 기억 합금을 포함하며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좌우 방향을 따라 길게 이어지는 와이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형상 기억 합금은 오스테나이트-마르텐사이트 변태를 하는 금속에서 나타나는 형상 기억 및 초소성 성질을 이용하는 합금으로, 온도에 따라 다른 형상을 가지게 된다. 변형부(22)는 패널 구동부에서 가변 부재(20)를 구동하는 소자 등에 연결되어 온도가 조절되고, 이에 따라 그 길이가 변화하는 것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2)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형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변형부(22)로 형상 기억 합금을 이용하면 구조가 간단하여 적용이 쉬우며, 디스플레이 모듈(10)의 변형 시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다.
변형부(22)가 고정부(24)에 고정되고, 변형부(22)가 고정된 고정부(24)가 지지 부재(14)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24)는 변형부(22)가 내부에 위치하면서 좌우 방향으로 길게 이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고정부(24)는 변형부(22)를 지지하면서 디스플레이 패널(12)의 형상이 변화할 때 함께 형상이 변화할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부(24)는 복합 소재, 일례로 강화 플라스틱(CFRP, GFRP 등)을 포함하는 층을 단일 또는 복수로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물질로 고정부(24)를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고정부(24)의 중앙 부분에 위치한 고정 부재(24a)가 일정 높이를 가져 고정부(24)와 지지 부재(14)는 중앙 부분과 다른 부분보다 큰 간격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고정부(24)의 중앙 부분이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방으로 좀더 돌출된 라운드 형태를 가지도록 고정부(24)가 지지 부재(14)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부(24)의 중앙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좀더 돌출된 라운드 형태로 위치하게 되면, 변형부(22)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2)을 변형할 때 디스플레이 패널(12)을 좀더 쉽게 변형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가변 부재(2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2)의 양측 단부를 돌출시켜 디스플레이 패널(12)이 좌우 방향으로 일정한 곡률 반경(R)을 가지는 곡면이 되도록 한다. 따라서, 고정부(24)를 중앙 부분에서 좀더 돌출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0)에 고정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좀더 쉽게 변형될 수 있도록 한다.
스토퍼 부재는 변형부(22)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22)의 형상이 변화한 경우에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패널 구동부에 의하여 변형부(22)에 전류를 가하여 온도를 상승시키면 변형부(22)의 길이가 짤아지면서 변형부(22)의 양쪽 단부가 앞으로 휘어질 수 있다. 그러면,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좌우 방향의 양쪽 단부가 앞으로 돌출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좌우 방향에서 곡률을 가지도록 만곡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의 눈으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12)까지의 거리가 중앙 부분과 측면 부분에서 차이를 가지지 않거나 차이가 있더라도 미세한 수준이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몰입감을 향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변형 상태에서 스토퍼 부재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2)의 변형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할 수 있다. 그러면, 디스플레이 패널(12)의 변형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전류를 공급하지 않아도 되므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패널(12)를 다시 원래 상태로 변화하기 위해서는 스토퍼 부재의 상태를 원래 상태로 돌리거나 전류 공급을 제거하여 변형부(22)를 원래 길이로 되돌리면 디스플레이 패널(12)이 다시 평판 형상으로 변화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온도가 상승하면 변형부(22)가 길이가 줄어들면서 디스플레이 패널(12)의 형상이 변화하도록 설정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변형부(22)가 온도가 상승할 때 변형부(22)의 길이가 길어지도록 설정할 수도 있고, 그 외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가변 부재(20)가 형상 기억 합금을 이용한 변형부(22)를 이용한 것을 예시하였으나, 변형부(22)가 모터, 스프링 부재 등의 다양한 방식 및 구조를 이용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24) 및 스토퍼 부재의 구조 및 방식 또한 다양한 구조 및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스토퍼 부재는 그 구조 및 방식에 따라 그 위치, 배열 등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12)이 좌우 방향에서 일정한 곡률 반경(R)을 가지는 곡면을 가지도록 변형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도 곡면을 가지도록 변형하거나, 그 외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가변 부재(20)가 지지 부재(14)의 후면에 위치한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12)과 지지 부재(14)의 사이, 지지 부재(14)의 내부, 지지 부재(14)와 후면 커버(30)의 사이, 후면 커버(30)의 외부 등 다양한 위치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2)의 형상을 변화시키는 힘을 제공하면 족하다.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면에는 후면 커버(30)가 위치한다. 후면 커버(30)는 패널 구동부 등의 구성이 위치할 공간을 제공하면서 디스플레이 모듈(10), 패널 구동부 등을 외부 충격으로 보호한다. 또한, 후면 커버(30)는 패널 구동부 등을 덮어서 외부에서 내부 구성이 보이는 것을 방지하고 외관을 향상하는 역할을 한다. 일례로, 후면 커버(30)는 전체적으로 완곡한 곡면으로 이루어져서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고, 외관을 향상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후면 커버(3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형상이 변화할 때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형상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형상 변화를 방해하지 않고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형상이 변화된 상태에서도 디스플레이 모듈(10)을 보호하고 외관을 유지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 후면 커버(30)는 서로 분할되어 구획되는 복수 개의 분할 영역(34)을 포함한다. 이때, 분할부(32)는 이웃한 분할 영역(34)을 완전하게 분할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후면 커버(30)는 분할부(32)에 의하여 서로 별개로 형성된 복수의 분할 영역(34)을 고정 부재(330)에 의하여 서로 연결하여 일체화한다.
이와 같이 후면 커버(30)가 서로 별개로 형성된 복수 개의 분할 영역(34)을 포함하게 되면 가변 부재(20)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형상이 변화할 때 후면 커버(30)의 형상을 변화하는 힘을 줄일 수 있다. 즉, 후면 커버(30)가 분할부(32)를 구비하지 않아서 균일한 두께를 가지는 하나의 판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하나의 판의 형상을 전체적으로 변화하여야 하므로 큰 힘이 필요하다. 또한, 하나의 판을 기준으로 하므로 변위 또한 커지며 모든 부분에 균일하게 힘을 가하기도 어렵다. 반면,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후면 커버(30)가 복수 개의 분할 영역(34)을 포함하면 하나의 분할 영역(34)을 변형할 수 있는 정도의 상대적으로 작은 힘을 가하는 것에 의하여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각 분할 영역(34)의 변위가 작으므로 형상 변화에 좀더 잘 대응할 수 있으며 균일한 형상 변화가 가능하다.
일례로,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좌우 방향에서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변형되는 경우, 분할부(32)가 좌우 방향과 교차하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이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0)이 곡면으로 변형되는 경우에는 후면 커버(30)의 좌우 방향에서 굽힘력(bending force)이 작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분할부(32)를 상하 방향으로 길게 이어지게 형성하여, 복수 개의 분할 영역(34)이 좌우 방향으로 배열된다. 이에 의하여 굽힘력이 가해지는 분할 영역(34)의 폭이 상대적으로 작아져서 분할 영역(34)이 쉽게 변형될 수 있다.
이때, 분할부(32)에 의하여 분할된 분할 영역(34)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이어질 수 있다. 그리고 분할 영역(34)은, 완만한 곡면을 이루며 외곽을 형성하는 본체부(34a)와, 본체부(34a)의 상하 방향에서의 양 단부에 위치하는 프레임부(16)와의 고정을 위한 고정단(34b)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부(16)와 고정단(34b)은 체결 부재(36)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할 영역(34)은 변형 방향과 교차하는 상하 방향의 양 단부에 형성된 고정단(34b)에 의하여 프레임부(16)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상하 방향의 양 단부를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좌우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대응하게 쉽게 변형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고정단(34b)의 구조, 그리고 고정단(34b)과 프레임부(16)의 고정 구조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로서, 후면 커버의 고정단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본 사시도이고, 도 5은 도 4의 IV-IV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일 예로, 고정단(34b)은 본체부(34a)보다 디스플레이 모듈(10) 쪽으로(좀더 정확하게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면에 위치한 프레임부(16)의 제2 프레임 부분(16b) 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단(34b)은 제2 프레임 부분(16b)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제2 프레임 부분(16b)에 밀착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체부(34a)는 디스플레이 모듈(10)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위치할 수 있도록 하여 본체부(34a)와 디스플레이 모듈(10) 사이에 지지 부재(20), 패널 구동부 등이 위치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제공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각 분할 영역(34)의 고정단(34b)은 이웃한 분할 영역(34)의 고정단(34b)과 겹쳐지도록 측면 부분에 돌출부(P)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하나의 분할 영역(34)의 고정단(34b)에 형성된 돌출부(P)와 이에 이웃한 분할 영역(34)의 고정단(34b)이 겹쳐진다. 상기 하나의 분할 영역(34)의 고정단(34b)에 형성된 돌출부(P)에 나사 구멍(340c)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돌출부(P)와 겹쳐지는 이웃한 분할 영역(34)의 부분에 이에 대응하는 나사 구멍(340d)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에 대응하는 제2 프레임 부분(16b)의 위치에 나사 구멍(340b)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나사 구멍(340b, 340c, 340d)에 체결 부재(36)(일 예로, 나사 또는 볼트 부재)를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이웃한 두 개의 분할 영역(34)을 함께 제2 프레임 부분(16b)에 고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서로 이격된 두 개의 분할 영역(34)을 프레임부(16)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나사 결합 구조에 의하여 간단한 구조로 분할 영역(34)의 상하 단부를 프레임부(16)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체결 부재(36)가 프레임부(16)를 관통하여 지지 부재(14)에도 고정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체결 부재(36)가 프레임부(16)에만 고정되고 지지 부재(14)에는 고정되지 않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때, 고정단(34b)의 돌출부(P)에서 체결 부재(36)가 체결되는 나사 구멍(340c)이 형성된 부분이 후면에서 볼 때 오목하게(즉, 디스플레이 모듈(10)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체결 부재(36)가 나사 구멍(340b, 340c, 340d)에 체결되었을 때 체결 부재(36)가 위치하지 않은 고정단(34b)의 면과 체결 부재(36)의 면이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외관 상으로 체결 부재(36)가 도드라지게 보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나사 구멍(340b, 340c, 340d)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좌우 방향에서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변형되는 경우, 분할 영역(34)이 늘어나거나 및/또는 분할부(32)의 간격이 커지게 된다. 이에 따라 나사 구멍(340b, 340c, 340d)을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하여 분할 영역(34) 및/또는 분할부(32)의 폭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후면 커버(30)와 프레임부(16)의 고정 구조 등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일례로, 후면 커버(30)과 프레임부(16)의 고정 구조로 끼움 결합, 접착제 등의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분할 영역(34)이 서로 동일한 폭을 가지는 것을 예시하였다. 여기서 동일한 폭이라 함은 물리적으로 완벽하게 동일한 경우뿐만 아니라, 공정 오차 등을 고려하여 동일하다고 판단할 수 있는 폭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동일한 폭을 가지는 복수의 분할 영역(34)을 사용하게 되면 동일한 공정에서 형성된 복수 개의 분할 영역(34)을 사용하여 후면 커버(30)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로 다른 폭의 분할 영역(34)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분할 영역(34)의 폭이 좌우 방향에서의 단부로 향하면서 작아질 수도 있다.
그리고 분할 영역(34)(좀더 구체적으로는, 본체부(34a))의 좌우 방향의 양 단부는 고정 부재(330)에 의하여 서로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연결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고정 부재(330)에 의한 본체부(34a)의 고정 구조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도 3에 도시한 분할 영역의 본체부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VII-VII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도 3에 도시한 분할 영역에 형성된 체결 홀과 제1 고정 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각 분할 영역(34)(좀더 정확하게는 본체부(34a))은 이웃한 분할 영역(34)과 중첩되어 체결에 이용되는 체결 부분(1321, 1322)을 포함한다. 그리고 이웃한 두 개의 분할 영역(34)의 체결 부분(1321, 1322)에 고정 부재(330)를 체결하여 이웃한 두 개의 분할 영역(34)을 이동 가능하게 고정한다. 일 예로,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분할 영역(34)을 제1 분할 영역(341a)과 제2 분할 영역(342a)이라고 하면, 제1 분할 영역(341a)의 일측에는 제1 체결 부분(1321)이 형성되고, 이에 인접하는 제2 분할 영역(342a)의 일측에는 제2 체결 부분(1322)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분할 영역(341a)과 제2 분할 영역(342a)은 제1 및 제2 체결 부분(1321, 1322)에 고정 부재(330)을 체결하여 서로 이동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체결 부분(1321)은 제1 분할 영역(341a)의 일측으로부터 제2 분할 영역(342a) 쪽으로 돌출되며 체결 홀(1321d)을 구비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제1 체결 부분(1321)은 제2 분할 영역(342a)에 인접한 일측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1 돌출 부분(1321a)과, 제1 돌출 부분(1321a)으로부터 제2 분할 영역(342a)과 중첩되도록 제1 돌출 부분(1321a)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1 중첩 부분(1321b)을 포함한다. 중첩 부분(1321b)에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 개의 체결 홀(1321d)가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중첩 부분(1321b)의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후방을 향하여 또는 제2 분할 영역(342a)을 향하여 연장되는 연장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돌출 부분(1321a)에 의하여 제1 중첩 부분(1321b)이 제2 분할 영역(342a)와 이격되면서 이의 일부를 덮도록 확장될 수 있다. 제1 중첩 부분(1321b)은 체결 홀(1321d)에 의하여 고정 부재(330)가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1 중첩 부분(1321b)은 제1 분할 영역(341a)과 제2 분할 영역(342a)의 거리가 서로 멀어질 때 이들 사이의 간격이 외부에서 인식되지 않도록 가려주는 역할도 수행한다.
제2 체결 부분(1322)은, 제1 분할 영역(341a)에 인접한 단부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10)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2 돌출 부분(1322a)과, 제2 돌출 부분(1322a)으로부터 제2 분할 영역(342a)의 중앙 쪽으로 연장되며 제1 중첩 부분(1321b)에 중첩되는 제2 중첩 부분(1322b)를 포함한다. 제2 돌출 부분(1322a)에 의하여 제2 중첩 부분(1322b)이 제1 중첩 부분(1321b)과 중첩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중첩 부분(1322b)는 제1 중첩 부분(1321b)과 평행하게 중첩될 수 있고 제1 중첩 부분(1321b)에 밀착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로 중첩되는 제1 및 제2 중첩 부분(1321b, 1322b)에 고정 부재(330)가 서로 체결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고정 부재(330)는, 제2 중첩 부분(1322b)으로부터 돌출되어 체결 홀(1321d)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1 고정 부재(332)와, 제1 체결 부분 쪽에서(좀더 구체적으로는, 제1 중첩 부분(1321b) 쪽에서) 삽입되어 제1 고정 부재(332)에 체결되는 제2 고정 부재(3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 부재(332)는 제2 중첩 부분(1322b)으로부터 돌출되어 제1 중첩 부분(1321b)의 체결 홀(1321d)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고정 부재(332)는 내측면에 제1 나사(332a)가 형성되는 너트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고정 부재(332)는 압입 너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1 고정 부재(332)가 제2 중첩 부분(1322b)에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가지는 것을 예시하였다. 제1 고정 부재(332)가 일체로 형성된 제2 중첩 부분(1322b)은 분할 영역(34)을 형성하는 공정에서 제1 고정 부재(332)를 함께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쉽게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고정 부재(332)가 제2 중첩 부분(1322b)에 일체로 형성되면(즉, 제2 중첩 부분(1322b)의 일부를 구성하면서 형성되면) 제1 고정 부재(332)의 고정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고정 부재(332)가 별도로 제조된 후에 제2 중첩 부분(1322b)에 부착 또는 조립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제1 고정 부재(332)는 제1 체결 부분(1321)의 제1 중첩 부분(1321b)보다 디스플레이 모듈(10) 쪽으로 좀더 많이 돌출될 수 있다. 즉, 제1 고정 부재(332)의 제1 높이(H1)가 제1 중첩 부분(1321b)의 두께(T)보다 클 수 있다. 여기서, 제1 높이(H1)는 디스플레이 모듈(10) 쪽에 인접한 제2 중첩 부재(1322b)의 면으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10) 쪽에 인접한 제1 고정 부재(332)의 단부 사이에서 측정된 길이일 수 있다. 그러면, 디스플레이 모듈(10) 쪽에 인접한 고정 부재(332)의 단부는 디스플레이 모듈(10)에 인접한 제1 중첩 부분(1321b)의 면보다 디스플레이 모듈(10) 쪽으로 좀더 가깝게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제1 고정 부재(332)는, 제1 높이(H1)와 두께(T)의 차이에 해당하는 제2 높이(H2)에 해당하는 부분이 제1 중첩 부분(1321b)보다 디스플레이 모듈(10)을 향하게 돌출된다.
이에 의하여 제1 고정 부재(332)에 체결되는 제2 고정 부재(334)(특히, 제2 고정 부재(334)의 머리부(3344))는 제1 중첩 부분(1321b)과 접촉하지 않고 제1 중첩 부분(1321b)과 일정한 간극(제2 높이(H2)에 해당하는 간극)을 가지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제1 고정 부재(332)와 제1 중첩 부분(1321b)이 서로 마찰을 일으키지 않도록 위치한다. 이에 따라 가변 부재(20)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또는 디스플레이 패널(12))의 형상이 변화하면서 제1 분할 영역(341a)와 제2 분할 영역(341b) 사이의 간격이 멀어지거나 줄어들 때 제1 중첩 부분(1321b)이 제2 고정 부재(334)에 의한 간섭을 받지 않고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수 있다.
제1 고정 부재(332)의 제1 높이(H1)에 대한, 제1 고정 부재(322)에서 제1 중첩 부분(1321b)보다 돌출된 부분의 제2 높이(H2)의 비율(H2/H1)이 0.2 내지 0.4일 수 있다. 상기 비율(H2/H1)이 0.2 미만이면, 제2 높이(H2)가 상대적으로 작아 제1 중첩 부분(1321b)에 대한 제1 고정 부재(332)의 간섭을 충분하게 방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상기 비율(H2/H1)이 0.4를 초과하면, 제2 높이(H2)가 상대적으로 커서 후면 커버(30)의 구조적인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고, 외부 충격 등에 의하여 진동하면서 소음을 일으킬 수 있다. 또는, 제2 높이(H2)가 0.1mm 내지 1mm일 수 있다. 제2 높이(H2)가 0.1mm 미만이면, 제2 높이(H2)가 상대적으로 작아 제1 중첩 부분(1321b)에 대한 제1 고정 부재(332)의 간섭을 충분하게 방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제2 높이(H2)가 1mm를 초과하면, 제2 높이(H2)가 상대적으로 커서 후면 커버(30)의 구조적인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고, 외부 충격 등에 의하여 진동하면서 소음을 일으킬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높이(H2)의 크기, 제1 높이(H1)에 대한 제2 높이(H2)의 비율 등은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제1 고정 부재(332)에 체결되는 제2 고정 부재(334)는 제1 체결 부분(1321)의 제1 중첩 부분(1321b) 쪽 또는 태양 전지 모듈(10) 쪽에서 제1 고정 부재(332) 쪽으로 삽입되어 제1 고정 부재(332)에 고정된다. 일 예로, 제2 고정 부재(334)가 너트 부재인 제1 고정 부재(332)에 체결되는 볼트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제2 고정 부재(334)가 제1 고정 부재(332)의 제1 나사(332a)에 계합되는 제2 나사(334a)가 형성되는 나사부(3342)와, 나사부(3342)에 연결되며 나사부(3342)보다 큰 면적을 가지는 머리부(3344)를 포함할 수 있다. 나사부(3342)는 제1 고정 부재(332)와의 체결을 위한 부분이다. 그리고 머리부(3344)는 제1 중첩 부분(1321b)의 체결 홀(1321d)보다 큰 세로 폭 및/또는 가로 폭을 가져 체결 홀(1321d)을 구비한 제1 중첩 부분(1321b)이 제2 중첩 부분(1322b)과 머리부(3344) 사이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체결 홀(1321d)의 제1 폭(W1)이 제1 고정 부재(332)의 폭(W2)보다 클 수 있다. 여기서, 폭이라 함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좌우 방향을 따라 측정한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체결 홀(1321d)의 제1 폭(W1)이 제1 고정 부재(332)의 제2 폭(W2)보다 크므로 제1 고정 부재(332)가 체결 홀(1321d) 내에서 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체결 홀(1321d)는 제1 고정 부재(334)의 일측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제1 홀부(S1)와, 제1 고정 부재(334)의 타측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제2 홀부(S2)와, 제1 홀부(S1)와 제2 홀부(S2) 사이에 위치하는 여유 홀부(S3)를 포함할 수 있다. 여유 홀부(S3)는 제1 고정 부재(334)의 세로 방향의 폭(W)에 대응하는 세로 폭을 가지면서, 제1 고정 부재(334)의 이동 거리에 해당하는 가로 폭인 제3 폭(W3)을 가지면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폭(W1)과 제2 폭(W2)의 차이가 제3 폭(W3)에 해당하게 된다. 이와 같이 체결 홀(1321d)이 여유 홀부(S3)를 구비하여 제1 고정 부재(334)가 제3 폭(W3)에 해당하는 만큼 좌우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도면에서는 제1 고정 부재(334)의 평면 형상이 원형인 경우를 예시하였다. 이 경우에는, 제1 홀부(S1)가 반원 형상을 가지고, 제2 홀부(S2)가 반원 형상을 가지며, 제3 홀부(S3)가 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내지 제3 홀부(S1, S2, S3)의 형상 등은 제1 고정 부재(334)의 형상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고정 부재(334)의 제2 폭(W2)에 대한 체결 홀(1321d)의 제1 폭(W1)의 비율(W1/W2)이 1.2 내지 1.8일 수 있다. 상기 비율(W1/W2)이 1.2 미만이면, 좌우로의 이동 거리가 충분하지 않아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형상 변화 시에 후면 커버(30)의 형상이 원활하게 변화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비율(W1, W2)이 1.8을 초과하면, 체결 홀(1321d)이 불필요하게 큰 폭을 가져 구조적 안정성을 저하시킬 수 있고, 외부에서 체결 홀(1321d)이 보일 수도 있으며, 머리부(3344)의 크기를 좀더 크게 하여야 하는 부담이 생길 수 있다. 또는, 체결 홀(1321d)의 제1 폭(W1)에서 제1 고정 부재(334)의 제2 폭(W2)을 뺀 값(즉, 제3 홀부(S3)의 제3 폭(W3))이 0.1mm 내지 10mm일 수 있다. 상기 제3 폭(W3)이 0.1mm 미만이면, 좌우로의 이동 거리가 충분하지 않아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형상 변화 시에 후면 커버(30)의 형상이 원활하게 변화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3 폭(W3)이 10mm를 초과하면, 체결 홀(1321d)이 불필요하게 큰 폭을 가져 구조적 안정성을 저하시킬 수 있고, 외부에서 체결 홀(1321d)이 보일 수도 있으며, 머리부(3344)의 크기를 좀더 크게 하여야 하는 부담이 생길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폭(W1), 제2 폭(W2), 제3 폭(W2), 그리고 이들의 비율은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이와 같이 체결 후에 제1 고정 부분(332)이 체결 홀(1321d) 내에서 일정 간격만큼 이동할 수 있으므로, 제1 분할 영역(341a)과 제2 분할 영역(342a)이 서로 안정적으로 고정되면서도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형상 변화 시에는 제1 분할 영역(341a)과 제2 분할 영역(342a)의 사이가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한다. 이에 의하여 분할 영역(34) 사이의 거리 및 분할부(32)의 폭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1 및 제2 고정 부재(332, 334)는 서로 체결되어 복수의 분할 영역(34)을 고정 및 연결하므로 후면 커버(30)가 하나의 구조로 일체화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고정 부재(332, 334)로 각기 볼트 부재와 너트 부재를 사용하면 체결 구조를 좀더 간단하고 견고하게 할 수 있다.
이때, 최외각에 위치한 분할 영역(34)에서는 최외각 가장자리에 프레임부(10)와의 고정을 위한 고정부(예를 들어, 나사 구멍)가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내측 가장자리에 제1 체결 부분(1321) 또는 제2 체결 부분(1322)이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정중앙에 위치한 중앙 분할 영역(343a)에는 양측 가장자리에 각기 제1 및 제2 체결 부분(1321, 1321) 중 하나가 위치하게 되고, 중앙 분할 영역(343a)과 최외각에 위치한 분할 영역(34) 사이에 위치한 분할 영역(34)에는 일측 가장자리에 제1 체결 부분(1321)이 위치하고 타측 가장자리에 제2 체결 부분(1322)이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복수 개의 분할 영역(34)을 하나로 연결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최외각에 위치한 분할 영역(34)의 내측 가장자리에 제1 체결 부분(1321)이 위치하고, 중앙 분할 영역(343a)의 양측 가장자리에 제2 체결 부분(1322)이 위치하고, 그 사이에 위치한 분할 영역(34)의 외각쪽 가장자리에 제2 체결 부분(1322)이 위치하고 중앙쪽 가장자리에 제1 체결 부분(1321)이 위치한 것을 예시하였다. 그러면, 최외각에 위치한 분할 영역(34)으로부터 차례로 분할 영역(34)을 체결한 다음 중앙 분할 영역(343c)을 끼워서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후면 커버(30)를 조립할 수 있다. 그러면, 제조 공정을 단순화 할 수 있고, 중앙 분할 영역(343c)을 기준으로 양쪽의 분할 영역(34)이 대칭 구조를 가져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으며, 패밀리 금형에 의하여 복수의 분할 영역(34)을 가지는 후면 커버(30)를 쉽게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후면 커버(30)의 분할 영역(34)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후면을 구성할 수 있는 정도의 강도를 가지면서도 가볍고 형상 변형이 쉬운 물질을 포함하여야 한다. 분할 영역(34)은 다양한 금속 또는 수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금속으로는 가볍고 형상 변형에 적합한 알루미늄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수지로는 고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체결 부분(1321, 1322)이 분할 영역(34)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분할 영역(34)과 일체의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분할 영역(34)의 구조 및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체결 부분(1321, 1322)가 분할 영역(34)과 별도의 부분을 이루도록 제조된 후에 분할 영역(34) 상에 고정되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 부재(332, 334)가 체결되는 제1 및 제2 중첩 부분(1321b, 1322b)을 분할 영역(34)의 본체부(34a)와 일정 거리를 두고 이격되도록 제1 및 제2 돌출 부분(1321a, 1322a)에 의하여 일정한 단차를 형성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및 제2 돌출 부분(1321a, 1322a)을 구비하지 않아 단차를 구비하지 않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형상 변화에 대하여 도 9를 참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형상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참고로 도 9는 도 3의 VIII-VIII 선에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9의 (a)에서와 같이, 다른 조작이 없는 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이 평판 형태를 가지게 된다. 이때, 가변 부재(20)는 중앙 부분이 고정 부재(24a)에 의하여 고정되며, 좌우 가장자리보다 중앙 부분에서 후면을 향해 좀더 돌출된 형태로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형상 변형이 좀더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가 형상을 변화하기 위한 명령을 부여하면, 패널 구동부 중에서 가변 부재(20)를 구동하는 소자에 의하여 가변 부재(20)가 작동한다.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는 가변 부재(20)의 변형부(22)에 전류를 흘려 변형부(22)의 온도를 상승시키면, 형상 기억 합금으로 구성된 변형부(22)의 길이가 줄어들면서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좌우 가장자리 부분을 돌출시키면서 중앙 부분을 후퇴시키는 힘을 부여한다. 그러면, 도 9의 (b)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좌우 방향에서 곡률(R)을 가지는 곡면으로 변형되어 사용자의 몰입감을 좀더 향상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때, 디스플레이 모듈(10)에 고정된 후면 커버(30)도 이와 함께 곡면을 가지도록 변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 부재(330)에 의하여 분할 영역(34) 사이의 거리 또는 분할부(32) 사이의 거리가 쉽게 조절되도록 분할 영역(34)이 연결되므로, 후면 커버(30)의 형상 또한 쉽게 변화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원하는 형상으로 변형되면 스토퍼 부재를 이용하여 이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다시 원래 상태로 형상을 변화시키기 위한 명령을 부여하면, 도 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토퍼 부재의 잠금을 풀거나 변형부(22)로의 전류 공급을 제한하여 변형부(22)가 최초 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후면 커버(30)가 분할부(32)에 의하여 구획된 복수의 분할 영역(34)을 구비하므로 작은 힘에 의해서도 디스플레이 모듈(10)과 일체화되어 형상이 변화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형상을 변화시키기 위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고, 원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균일하게 변형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때, 복수의 분할 영역(34)이 고정 부재(330)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 상태로 고정되므로, 후면 커버(30)를 일체화하여 구조를 단순화하고 취급 용이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고정 부재(332, 334)로 각기 볼트 부재와 너트 부재를 사용하면 체결 구조를 좀더 간단하고 견고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고정 부재(332, 334)와 체결 홀(1321d)의 폭, 높이 등을 한정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형상 변화 시 후면 커버(30)가 이에 대응하도록 형상이 쉽게 변화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고정 부재(332, 334)가 후면 커버(30)의 외곽면 내부에서 서로 중첩되는 제1 및 제2 체결 부분(1321, 1322)의 제1 및 제2 중첩 부분(1321b, 1322b)에 위치하여, 후면 커버(30)의 형상이 변화하더라도 체결 홀(1321d) 등이 사용자의 눈에 띄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른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디스플레이 장치
10: 디스플레이 모듈
12: 디스플레이 패널
14: 지지 부재
20: 가변 부재
22: 변형부
24: 고정부
30: 후면 커버
32: 분할부
34: 분할 영역
330: 고정 부재
332: 제1 고정 부재
334: 제2 고정 부재

Claims (20)

  1. 화상이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위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형상을 변화시키는 가변 부재;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위치하며, 분할부에 의하여 구획되는 복수 개의 분할 영역을 포함하는 후면 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분할 영역이 고정 부재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서로 체결되는 제1 고정 부재 및 제2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분할 영역은 서로 이웃하는 제1 분할 영역 및 제2 분할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분할 영역은 상기 제2 분할 영역에 인접한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체결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분할 영역은 상기 제1 분할 영역에 인접한 일측에 형성되는 제2 체결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가 상기 제1 체결 부분 및 상기 제2 체결 부분에 체결되어 이들을 이동 가능하게 고정하며,
    상기 제1 체결 부분은 체결 홀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제1 분할 영역과 상기 제2 분할 영역이 서로 중첩된 부분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체결 부분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체결 홀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1 고정 부재와, 상기 제1 체결 부분 쪽에서 삽입되어 상기 제1 고정 부재에 체결되는 제2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 부재가, 내면에 제1 나사가 형성되는 너트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 부재가, 상기 너트 부재의 제1 나사에 계합되는 제2 나사가 형성되는 나사부와, 상기 나사부에 연결되며 상기 나사부보다 큰 면적을 가지는 머리부를 구비하는 볼트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머리부와 상기 제1 체결 부분 사이에 간극이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홀이 상기 제1 고정 부재보다 큰 폭을 가지며,
    상기 체결 홀이, 상기 제1 고정 부재의 일측에 대응하는 제1 홀부와, 상기 제1 고정 부재의 타측에 대응하는 제2 홀부와, 상기 제1 홀부와 상기 제2 홀부 사이에 위치하는 여유 홀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 부분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1 돌출 부분과, 상기 제1 돌출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2 분할 영역과 중첩되는 제1 중첩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체결 부분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2 돌출 부분과, 상기 제2 돌출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1 중첩 부분에 중첩되는 제2 중첩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중첩 부분에 상기 고정 부재가 위치하는 체결 홀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할 영역 및 상기 제2 분할 영역이 각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하 방향으로 길게 이어지고,
    상기 제1 체결 부분과 상기 제2 체결 부분이 각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하 방향으로 길게 이어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삭제
  20. 삭제
KR1020130142411A 2013-01-24 2013-11-21 후면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35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2411A KR102135087B1 (ko) 2013-11-21 2013-11-21 후면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4/156,185 US9854693B2 (en) 2013-01-24 2014-01-15 Rear cover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EP14000196.7A EP2759903B1 (en) 2013-01-24 2014-01-20 Rear cover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201610626805.6A CN106055040B (zh) 2013-01-24 2014-01-24 显示设备
CN201410035467.XA CN103971601B (zh) 2013-01-24 2014-01-24 后盖和包括该后盖的显示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2411A KR102135087B1 (ko) 2013-11-21 2013-11-21 후면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8990A KR20150058990A (ko) 2015-05-29
KR102135087B1 true KR102135087B1 (ko) 2020-07-17

Family

ID=53393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2411A KR102135087B1 (ko) 2013-01-24 2013-11-21 후면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50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4364B1 (ko) * 2016-12-22 2023-11-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183884B1 (ko) 2020-04-21 2020-11-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3182B1 (ko) 2011-02-18 2013-06-17 주식회사 팬택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096B1 (ko) * 2009-06-01 2011-04-05 주식회사 팬택 힌지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20110100936A (ko) * 2010-03-05 2011-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1148397B1 (ko) * 2010-08-17 2012-05-23 주식회사 팬택 휴대 단말기
KR101401196B1 (ko) * 2011-12-19 2014-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3182B1 (ko) 2011-02-18 2013-06-17 주식회사 팬택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8990A (ko) 2015-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26654B2 (en) Display
US10025347B2 (en) Display apparatus
EP2759903B1 (en) Rear cover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04692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160324018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transparent protection window
US9282667B2 (en) Display apparatus
US9516775B2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curvature changing member
US9301411B2 (en) Display device using sandwich honeycomb panel
CN107170367B (zh) 显示装置
KR20150061418A (ko) 후면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35087B1 (ko) 후면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20150208017A1 (en) Display device
EP2728401B1 (en) Display module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2104444B1 (ko) 후면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9064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후면 커버
EP2755079A2 (en) Display apparatus
KR102068565B1 (ko) 샌드위치 허니컴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5897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117182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066021A (ko) 백커버를 가지는 박형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4836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가변 부재
KR10213509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039021A (ko) 후면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1094B1 (ko) 각 변환 가능한 디스플레이용 플라스틱 패널
KR20140122917A (ko)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