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0655B1 - Drones for geo-rectification with improved Discrimination - Google Patents

Drones for geo-rectification with improved Discrimin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0655B1
KR102130655B1 KR1020180151529A KR20180151529A KR102130655B1 KR 102130655 B1 KR102130655 B1 KR 102130655B1 KR 1020180151529 A KR1020180151529 A KR 1020180151529A KR 20180151529 A KR20180151529 A KR 20180151529A KR 102130655 B1 KR102130655 B1 KR 102130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identification
main body
drone
geographic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15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65246A (en
Inventor
정의영
박준용
정의용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80151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0655B1/en
Publication of KR20200065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524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0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06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5/00Alighting gear
    • B64C25/02Undercarriages
    • B64C25/08Undercarriages non-fixed, e.g. jettisonable
    • B64C25/10Undercarriages non-fixed, e.g. jettisonable retractable, foldable,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30/00Means for producing lift; Empennages; Arrangements thereof
    • B64U30/20Rotors; Roto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10Propulsion
    • B64U50/13Propulsion using external fans or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5/00Alighting gear
    • B64C25/32Alighting gear characterised by elements which contact the ground or similar surface 
    • B64C2025/325Alighting gear characterised by elements which contact the ground or similar surface  specially adapted for helicopters
    • B64C2201/024
    • B64C2201/108
    • B64C2201/12
    • B64C2201/16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리정보 수정용 드론에 관한 것으로서, 프로펠러 구동에 의한 양력으로 비행하는 본체; 상기 본체 상에 설치되는 식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부재는, 중심판과, 상기 중심판의 적어도 일측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판을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판은, 상기 중심판의 일측을 중심으로 펼쳐지거나, 상기 중심판의 일측에서 인출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지리정보 조사지역에 배치된 식별판이 그 외주연에 구비된 코일로부터 인가받은 열을 발산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열화상카메라, 분광센서 또는 초분광센서를 이용한 측량자료의 보정을 용이하고, 드론의 크기 및 프로펠러에 의한 제약 없이 식별판을 장착한 드론을 운용하여 지리정보 조사지역에 골고루 배치시켜 종래에 식별판 및 식별장치를 설치, 위치측정 및 회수에 소요되는 인력 및 시간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one for modifying geographic information, the body flying in lift by a propeller drive; It includes an identification member installed on the main body, the identification member includes a center plate, and at least one side plate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center plate, the side plate, one side of the center plat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o be unfolded to the center, or withdrawn from one side of the center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identification plate disposed in the geographic information survey area is configured to dissipate the heat applied from the coil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thereby correcting the survey data using a thermal imaging camera, a spectroscopic sensor, or a hyperspectral sensor. It is easy to operate, and the drone equipped with the identification plate is operated evenly in the geographic information survey area without restrictions due to the size and propeller of the drone.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Description

식별성이 향상된 지리정보 수정용 드론{Drones for geo-rectification with improved Discrimination}Drones for geo-rectification with improved discrimination

본 발명은 식별성이 향상된 지리정보 수정용 드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상, 해안 또는 육상에서 카메라 또는 관측센서를 이용해 측량한 자료의 위치보정을 위해, 드론에 식별성이 향상된 식별판 또는 식별장치 등을 장착하여 지리정보 수정에 필요한 자료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획득할 수 있는 식별성이 향상된 지리정보 수정용 드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one for correcting geographic information with improved discrimination, and more specifically, to improve the position of data surveyed using a camera or observation sensor at sea, coast, or land, an identification plate or identification device with improved discrimination on drone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one for modifying geographic information with improved discrimination that can easily and accurately acquire data necessary for modifying geographic information by mounting a lamp.

드론을 이용한 사진측량은 알지비(RGB) 카메라가 장착된 드론을 이용하여 중첩된 사진을 촬영하고 이를 이용하여 3차원 지형자료를 획득하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하며, 근래에 드론에 RGB 카메라 이외에 열화상카메라, 분광센서 등을 장착하여 관련자료를 획득하는 형태로 운용되고 있다.Photogrammetry using drones is mainly aimed at taking superimposed photos using drones equipped with RGB cameras and acquiring 3D terrain data using them. Recently, drones have thermal images other than RGB cameras. It is operated in the form of acquiring related data by installing a camera, a spectroscopic sensor, etc.

하지만 이미지 자료 또는 관측센서로 측정한 자료를 사용하기 위하여 그 위치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며, 이를 위하여 지리정보 보정에 필요한 위치정보를 알고 있는 식별판 또는 식별장치를 이용하여 정확한 위치정보를 관측장비로부터 얻어야만 한다.However, in order to use image data or data measured with an observation sensor, information on its location is required, and for this purpose, accurate location information is obtained from observation equipment using an identification plate or an identification device that knows the location information necessary to correct geographic information. Must get.

예를 들어 드론을 이용한 사진측량의 경우 촬영된 사진에는 고도값을 포함하고 있는 정확한 x, y, z의 위치정보 값을 알고 있는 식별표식이 포함되어야만 자료처리 과정에서 이 정보를 이용하여 획득한 자료의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photogrammetry using a drone, the photographed picture must contain an identification mark that knows the exact location information of x, y, and z, which contains the altitude value. You will know the exact location.

그러나, 이렇게 얻어진 정사영상과 측량자료들은 드론의 GNSS(Globa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하여 얻어진 위치자료로 실제 위치와 10m 이상 차이가 나게 된다.However, the orthogonal images and survey data obtained as described above are position data obtained using a drone's GNSS (Globa Positioning System), which is more than 10m from the actual position.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미지를 촬영하는 영역에서 지상기준점(GCP: Ground Control Point)를 설치하고 그 점에 대한 정확한 위치값을 측정하여 자료처리 시 지리정보 수정을 하게 된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ground control point (GCP) is installed in the area where the image is taken, and geographic information is corrected during data processing by measuring an accurate position value for the point.

지상기준점의 설치는 조사지역에 골고루 분포되도록 위치를 선정하고 카메라에서 인식이 되는 식별표지판을 설치하고 식별표식의 정확한 x, y z 값을 정밀측량기기로 측정하는 과정이 수반되는데 이때, 지상기준점의 설치, 측량 및 회수에 소요되는 인력과 시간이 드론 사진측량 수행 시간의 2배 이상이 소요되어 인력 및 예산 낭비로 이어질 수 있다.The installation of the ground reference point involves selecting a location so that it is evenly distributed over the survey area, installing an identification sign that is recognized by the camera, and measuring the exact x and yz values of the identification mark with a precision surveying device. In addition, the manpower and time required for surveying and recovery may be more than twice the time for performing drone photogrammetry, which may lead to waste of manpower and budget.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853348호(공고일 : 2018.04.30)에는 '드론을 이용한 지상기준점 설정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지상기준점 설정방법은 드론을 이용한 설정방법으로 RGB 카메라를 이용한 이미지 관측에 한정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As a prior art for solving this problem,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853348 (Announcement Date: April 30, 2018) discloses a method of setting a ground reference point using a drone, but a method of setting a ground reference point using a drone As a result, there was a problem limited to image observation using an RGB camera.

또한, 선행기술에 의한 '드론을 이용한 지상기준점 설정방법'에 적용되는 식별판의 크기가 한정됨으로써, 식별판의 식별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size of the identification plate applied to the'method for establishing a ground reference point using a dron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limited, so that the identification of the identification plate is lowered.

따라서, 드론을 이용한 지리보정 자료의 수집이 용이하게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식별판의 크기를 확장시킬수 있는 장치, 기타 관측센서에서 식별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식별장치 등이 요구되었다. Accordingly, in order to easily and accurately collect geographic correction data using a drone, a device capable of extending the size of the identification plate, an identification device capable of being identified by other observation sensors, and the like have been required.

.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853348호(공고일 : 2018.04.30). Korea Registered Patent No. 10-1853348 (Announcement date: 2018.04.30)

본 발명의 목적은, 해상, 해안 또는 육상에서 카메라 또는 관측센서를 이용해 측량한 자료의 위치보정을 위해, 드론에 식별성이 향상된 식별판 또는 식별장치 등을 장착하여 지리정보 수정에 필요한 자료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획득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acilitate the data necessary for the correc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by equipping a drone with an improved identification plate or identification device for position correction of data measured using a camera or observation sensor at sea, coast or land. It is to provide a means to obtain accuratel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리정보 조사지역에 배치된 식별판이 그 외주연에 구비된 코일로부터 인가받은 열을 발산하도록 구성함으로써, RGB 카메라 뿐만 아니라 열화상카메라, 분광센서 또는 초분광센서를 이용하여 측량자료의 보정을 위한 지상 기준점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게 획득하도록 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nfiguring the identification plate disposed in the geographic information survey area to radiate the heat applied from the coil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using a thermal imaging camera, a spectroscopic sensor or an ultra-spectral sensor as well as an RGB camera. It provides a means to accurately obtain information about ground reference points for calibration of survey data.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정밀 위치 측정을 위해 드론에 장착 가능한 식별판의 형상을 가변시키되, 드론의 비행중에는 접혀진 상태를 유지시키고, 기 설정된 고도 이하 또는 착륙시에 펼쳐져 그 면적이 확장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드론의 크기 및 프로펠러에 의한 제약 없이 식별판을 장착한 드론을 운용하여 지리정보 조사지역에 골고루 배치시켜 종래에 식별판 및 식별장치를 설치, 위치측정 및 회수에 소요되는 인력 및 시간을 현저히 절감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hange the shape of the identification plate that can be mounted on the drone for precise position measurement, while maintaining the folded state during the flight of the drone, and controlled to expand the area under a preset altitude or when landing. By doing so, the drone equipped with the identification plate is operated evenly in the geographic information survey area without restrictions due to the size and propeller of the drone. It is to save.

본 발명의 목적은, 드론 하부에 접이식 판형 다리를 구성하여 드론의 비행중에는 접혀진 상태를 유지시키고, 기 설정된 고도 이하 또는 착륙시에 펼쳐지도록 제어함으로써, 갯벌 등과 같이 함수율이 높고 침하의 우려가 있는 토양에서도 드론이 정위치에 안전하게 착륙하도록 하는데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intain a folded state during flight of the drone by constructing a foldable plate-shaped leg at the bottom of the drone, and controlling it to unfold under a predetermined altitude or upon landing, so that the water content is high and there is a risk of settlement. Edo also allows drones to land safely in place.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프로펠러 구동에 의한 양력으로 비행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 상에 설치되는 식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부재는, 중심판과, 상기 중심판의 적어도 일측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판을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판은, 상기 중심판의 일측을 중심으로 펼쳐지거나, 상기 중심판의 일측에서 인출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성이 향상된 지리정보 수정용 드론에 의해 달성된다. The object i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to fly with lift by propeller driving; And an identification member installed on the main body, wherein the identification member includes a center plate and at least one side plate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center plate, and the side plate comprises one side of the center plate. It is achieved by a drone for correcting geographic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pread around the center, or is provided to be drawn out from one side of the center plate.

상기 식별부재는, 상기 중심판 상부에 구비되는 금속재질의 열판; 및 상기 열판 외주연에 구비되어 상기 열판으로 열을 인가하는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The identification member, a hot plate made of a metal material provided on the center plate; And it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hot plate may include a coil for applying heat to the hot plate.

상기 중심판은, 그 상부에 기 설정된 색상 또는 패턴이 도포될 수 있다.The center plate may have a predetermined color or pattern applied thereon.

상기 중심판과 사이드판은, 힌지에 의해 회전 지지되고, 상기 사이드판은, 상기 본체에 일단이 축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사이드판의 한쪽에 축으로 결합되는 제1 엑츄에이터의 전진 및 후진 작동으로 상기 중심판의 상면으로 접히도록 회동되거나, 상기 식별부재의 면적이 확장되도록 펼쳐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enter plate and the side plate are rotatably supported by a hinge, and the side plate has one end axially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the other end axial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side plate. It may be rotated to fol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enter plate, or may be configured to expand to expand the area of the identification member.

상기 식별부재는, 상기 중심판 상측에 '+ 형상으로' 포개지는 가이드부를 구성하되,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2 엑츄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판은 상기 가이드부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엑츄에이터의 전진 또는 후진 작동에 의해 ; 및 에 의해 상기 사이드판이 상기 가이드부에 수용되거나 외부로 노출되도록 인출될 수 있다. The identification member constitutes a guide part superimposed in a'+ shape' on the upper side of the center plate, wherein the guide part includes a second actuator installed inside the guide part, and the side plate is accommodated inside the guide part. By the forward or reverse operation of the second actuator in the closed state; And by the side plate can be withdrawn to be accommodated in the guide portion or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식별부재는, 상기 본체 하부로부터 소정길이 돌출되고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가이드홈과 연통되며, 내부에 스프링이 설치된 지지가이드; 상기 지지가이드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착륙에 의해 지면과 맞닿는 경우 상기 스프링의 탄성을 극복하면서 인입되고, 상기 본체가 이륙하면 상기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상기 지지가이드 외측으로 돌출되는 작동부재; 플랙시블한 소재로 이루어지고 일단이 상기 작동부재의 상단과 연결되어 상기 지지가이드와 상기 가이드홈에 설치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부재의 끝단과 연결되는 보조 식별판을 포함할 수 있다. The identification member, a predetermined length protruding from the bottom of the main body and communicating with a guide groove formed in the main body, a support guide having a spring installed therein; A working member inserted into the support guide to be drawn while overcoming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when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by landing of the main body, and protruding outward of the support guide by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when the main body takes off; A guide member made of a flexible material and one end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operation member to be installed in the support guide and the guide groove; And an auxiliary identification plate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and connected to an end of the guide member.

상기 본체의 하부에는, 착륙 지지장치가 구비되되, 상기 착륙 지지장치는, 상기 본체가 갯벌 또는 수면에 착륙할 때에는 펼쳐져 상기 본체를 지지하고, 이륙시에 하중이 작용할 경우에는 상기 본체로부터 이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the bottom of the main body, a landing support device is provided, and the landing support device is configured to expand when the main body lands on a tidal flat or water surface to support the main body, and to be detached from the main body when a load is applied during takeoff. Can be.

상기 착륙 지지장치는, 상기 본체의 저면에 설치되는 지지체; 하향으로 개방되고, 입구보다 내부가 확장된 구조를 갖는 결합홈을 구비하여 상기 지지체의 저면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임시 고정부재; 상단에 상기 결합홈에 끼워지기 위한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를 중심으로 펼침과 접힘이 가능하도록 "∧"형상으로 접혀지며, 양쪽의 각 하단에는 내측 상향으로 개구된 고정고리가 형성된 상판; 및 펼침과 접힘이 가능하도록 "∧"형상으로 접혀지고, 양쪽의 각 하단이 상기 고정고리에 걸리도록 걸림고리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상판의 내부에서 양쪽의 각 상기 걸림고리가 양쪽의 상기 고정고리에 걸려 결합되는 하판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가 갯벌이나 수면에 착륙하면, 상기 하판과 상판이 상기 본체의 하중에 의해 펼쳐지면서 상기 본체의 착륙을 지지하고, 상기 본체의 이륙시 상기 하판이나 상기 상판에 물이나 갯벌을 포함한 이물질이 부착되어 설정된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 상기 결합부가 상기 결합홈에서 이탈되어 상기 본체의 이륙을 돕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landing support device includes a support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A plurality of temporary fixing members that are installed downwardly and are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with a coupling groov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inside is expanded from the entrance; A coupling plate for fitting into the coupling groove at the top, and folded in a “∧” shape so as to be able to expand and fold around the coupling portion, and at each bottom of each side, a top plate formed with a fixed ring opened upwards upwards; And folded in a “∧” shape to allow unfolding and folding, and each of the hooks i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top plate so that each of the hooks i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top plate so that each bottom of each of the hooks is hooked to the locks. When the main body lands on a tidal flat or water surface, the bottom plate and the top plate are unfolded by the load of the main body to support the landing of the main body, and when the main body takes off, When a foreign substance including water or tidal flat is attached and a set load acts, the coupling portion may be detached from the coupling groove and may be configured to help the body take off.

상기 상판과 하판은, 설정된 시간 후에 수분에 의해 분해되는 녹말재 또는 종이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may be made of starch material or paper material that is decomposed by moisture after a predetermined tim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지리정보 조사지역에 배치된 식별판이 그 외주연에 구비된 코일로부터 인가받은 열을 발산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식별성이 향상될 수 있고, 따라서 RGB 카메라 뿐만 아니라 열화상카메라, 분광센서 또는 초분광센서를 이용한 다양한 측량 장비로 지상 기준점에 대한 정보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획득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configuring the identification plate disposed in the geographic information survey area to radiate the heat applied from the coil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the identification can be improved, and thus the thermal imaging camera as well as the RGB camera, Various measurement equipment using a spectroscopic sensor or a hyperspectral sensor can provide an effect of easily and accurately acquiring information about a ground reference point.

본 발명에 따르면, 정밀 위치 측정을 위해 드론에 장착 가능한 식별판의 형상을 가변시켜 확장시키되, 드론의 비행중에는 접혀진 상태를 유지시키고, 기 설정된 고도 이하 또는 착륙시에 펼쳐지도록 제어함으로써, 드론의 크기 및 프로펠러에 의한 제약 없이 면적의 확장으로 식별성이 향상된 식별판을 장착한 드론을 운용하여 지리정보 조사지역에 골고루 배치시켜 종래에 식별판 및 식별장치를 설치, 위치측정 및 회수에 소요되는 인력 및 시간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ze of the drone is controlled by expanding the shape of the identification plate that can be mounted on the drone for precise position measurement, while maintaining the folded state during the flight of the drone, and controlling it to expand below a predetermined altitude or when landing. And manpower and time required to install, locate and recover identification plates and identification devices by deploying them evenly in the geographic information survey area by operating drones equipped with identification plates with improved identification by expanding the area without restrictions by propellers.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본 발명에 따르면, 드론 하부에 접이식 판형 착륙 지지장치를 구비시켜 드론의 비행중에는 접혀진 상태를 유지시키고, 착륙시에 펼쳐지도록 제어함으로써, 갯벌 등과 같이 함수율이 높고 침하의 우려가 있는 토양에서도 드론이 정위치에 안전하게 착륙할 수 있으며, 착륙 지지장치의 상판과 하판이 수분에 젖거나 갯벌에 오염되어 하중이 증가하는 경우에 본체의 지지체로부터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본체의 이륙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folding plate-type landing support device at the bottom of the drone, the drone is maintained in a folded state during flight, and controlled to be unfolded during landing. It can safely land in a position and provides an effect to help take-off of the body by allowing the upper and lower plates of the landing support device to be separated from the body's support when the load increases due to being wet with moisture or contaminated with tidal flats. I can do i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성이 향상된 지리정보 수정용 드론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식별성이 향상된 지리정보 수정용 드론의 식별부재가 확장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성이 향상된 지리정보 수정용 드론의 식별부재가 접히고 펼쳐지는 것을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성이 향상된 지리정보 수정용 드론의 식별부재에 구비된 힌지의 위치를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성이 향상된 지리정보 수정용 드론의 식별부재에 구비된 중심판을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성이 향상된 지리정보 수정용 드론의 식별부재에 구비된 중심판의 색상 또는 패턴을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성이 향상된 지리정보 수정용 드론의 식별부재가 접히고 펼쳐지는 것을 도시한 또 다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성이 향상된 지리정보 수정용 드론의 식별부재의 보조 식별판을 도시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성이 향상된 지리정보 수정용 드론의 착률 지지장치를 도시한 예시도.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drone for modifying geographic information with improved identif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identification member of the drone for modifying geographic information with improved identification shown in FIG. 1 is expanded.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at the identification member of the drone for modifying geographic information with improved identif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lded and unfolded.
Figure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hinge provided on the identification member of the drone for modifying geographic information with improved identif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enter plate provided on the identification member of the drone for modifying geographic information with improved identif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color or pattern of the center plate provided on the identification member of the drone for modifying geographic information with improved identif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other exemplary view showing that the identification member of the drone for modifying geographic information with improved identif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lded and unfolded.
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auxiliary identification plate of an identification member of a drone for modifying geographic information with improved identif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apparatus for supporting a landing rate of a drone for modifying geographic information with improved identif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Specific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 inventor can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describe his or her invention 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atching meaning and concept. 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이하에서는 그 구체적인 언급을 생략하겠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리정보 수정용 드론은 회전익 드론, 고정익 드론 또는 수직이착륙 고정익 드론을 포함하며, 자동 및 수동으로 이동 가능한 모든 무인체를 총칭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Hereinafter, the specific reference will be omitted, but the drone for modifying geographic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otorcraft drone, a fixed-wing drone, or a fixed-wing drone for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nd collectively refers to all unmanned vehicles that can be moved automatically and manually. It is desirable to understand.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성이 향상된 지리정보 수정용 드론을 도시한 구성도이다.Among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drone for modifying geographic information with improved identif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리정보 수정용 드론(100)은, 프로펠러 구동에 의한 양력으로 비행하는 본체(102), 본체(102)에 구비된 힌지(104a)에 의해 회전 지지되어 접힌 상태 또는 펼쳐진 상태로 가변되는 식별부재(104)와, 본체(102) 저면에 접이식 판형상으로 구비되는 착륙 지지장치(10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착륙 지지장치(106)는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drone 100 for modifying geographic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102 flying with a lift driven by a propeller and a hinge 104a provided in the body 102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landing support device 106 provided in a foldable plate shap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02, and an identification member 104 that is rotationally supported by and is changed to a folded or unfolded state. At this time, the landing support device 106 may be selectively applied.

그리고, 본체(102)는 자세제어 또는 위치제어를 위한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원격지로부터 수신한 제어신호에 부합하도록 자세제어 및 프로펠러 구동을 제어한다. 예컨대, 지리정보 조사 대상의 위치가 파도가 심한 바다인 경우, 본체(102)가 수면위의 기 설정된 높이에 위치하도록 정밀한 자세제어가 가능하다.In addition, the main body 102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nsor for posture control or position control, and controls posture control and propeller driving to match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a remote location. For example, when the location of the object for surveying geographic information is a sea with severe waves, precise posture control is possible such that the main body 102 is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bove the water surface.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식별성이 향상된 지리정보 수정용 드론의 식별부재가 확장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성이 향상된 지리정보 수정용 드론의 식별부재가 접히고 펼쳐지는 것을 도시한 예시도이다.Among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identification member of the drone for modifying geographic information with improved identification shown in FIG. 1 is expanded, and FIG. 3 has improved identif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ample showing that the identification member of the drone for modifying geographic information is folded and unfolded.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별부재(104)는 힌지(104a)에 의해 본체(102)의 비행중에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고, 본체(102)가 기 설정된 고도 이하 또는 착륙시에 펼쳐지는 식별판(104b)을 구성한다.2 and 3, the identification member 104 maintains a folded state during the flight of the body 102 by the hinge 104a, and the body 102 is unfolded below a predetermined altitude or upon landing Constitutes the identification plate 104b.

또한, 식별부재(104)는 그 중심판(104c)과 적어도 하나의 면이 맞닿아 구성된 힌지(104a)를 기준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복수개의 사이드판(104d)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각각의 사이드판(104d)은 힌지(104a)를 중심으로 중심판(104c) 상측으로 서로 적층되도록 접히거나, 중심판(104c)과 수평 또는 소정의 각도가 되도록 펼쳐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identification member 104 includes a plurality of side plates 104d that are folded or unfolded based on a hinge 104a formed by abutting the center plate 104c and at least one surface, each side The plate 104d may be folded to be stacked on top of the center plate 104c around the hinge 104a, or may be unfolded to be horizontal or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center plate 104c.

이때, 식별부재(104)는 본체(102)로부터 인가받은 위치제어 센서값 또는 원격지로부터 수신한 제어신호에 따라 사이드판(104d)을 펼침 또는 접힘 작동시키는 제1 엑츄에이터(104d-1)의 전진 또는 후진 구동을 제어하고, 이에 따라 사이드판(104d)이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서로 적층되도록 접혀지거나 펼쳐지게 되며, 사이드판(104d)의 크기는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dentification member 104 advances or folds the first actuator 104d-1 to expand or fold the side plate 104d according to a position control sensor value received from the main body 102 or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a remote location, or The reverse driving is controlled, and thus the side plates 104d are folded or unfolded so as to be stacked with each other, as shown in FIG. 2, and the size of the side plates 104d can be arbitrarily set.

여기서 제1 엑츄에이터(104d-1)의 일단은 본체(102)에 축 결합되고 타단은 사이드판(104d)의 저면(또는 힌지에 근접한 영역)에 별도의 브라켓에에 축 결합된다. 따라서 제1 엑츄에이터(104d-1)의 전진 또는 후진 작동에 의해 사이드판(104d)이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다. Here, one end of the first actuator 104d-1 is axially coupled to the main body 102 and the other end is axially coupled to a separate bracket on the bottom surface (or an area close to the hinge) of the side plate 104d. Therefore, the side plate 104d may be folded or unfolded by the forward or reverse operation of the first actuator 104d-1.

구체적으로, 식별부재(104)는 중심판(104c)에 힌지(104a)에 의해 고정된 사이드판(104d)이 펼침 구동을 수행하는 경우, 사이드판(104d)을 고정하던 제1 엑츄에이터(104d-1)의 작동로드가 펼침 신호에 의해 후진하면서 사이드판(104d)를 당기게 되므로 사이드판(104d)은 소정각도로 펼쳐진다. 즉, 힌지(104a)에 의해 회전 지지되는 각 사이드판(104d)을 제1 엑츄에이터(104d-1)가 펼침 신호에 의해 후진 작동하여 사이드판(104d)를 당기게 되므로 사이드판(104d-1)은 소정각도로 펼쳐질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the side plate 104d fixed by the hinge 104a to the center plate 104c performs the unfolding operation, the identification member 104 is the first actuator 104d- which fixed the side plate 104d. The side plate 104d is unfolded at a predetermined angle because the operating rod of 1) pulls the side plate 104d while reversing by the unfolding signal. That is, since the first actuator 104d-1 retracts the side plates 104d that are rotationally supported by the hinge 104a by the spread signal, the side plates 104d are pulled, so the side plates 104d-1 are It can be spread at a certain angle.

마찬가지로, 사이드판(104d)이 접힘 구동을 수행하는 경우, 접힘 신호에 제1 엑츄에이터(104d-1)가 사이드판(104d)을 밀게 되므로 사이드판(104d)는 접혀지게 된다. Similarly, when the side plate 104d performs folding driving, the side plate 104d is folded because the first actuator 104d-1 pushes the side plate 104d to the folding signal.

예컨대, 위치제어 센서값에 포함된 고도정보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본체(102)가 비행중인 것으로 판단하여 식별부재(104)가 엑츄에이터로 접힘 신호를 인가하고, 접힘 신호에 의한 엑츄에이터에 구동에 의해 식별부재(104)가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For example, when the altitud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osition control sensor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the body 102 determines that it is in flight, and the identification member 104 applies a folding signal to the actuator, and is driven to drive the actuator by the folding signal. By controlling the identification member 104 to maintain the folded state.

또한, 식별부재(104)가 본체(102)로부터 인가받은 위치제어 센서값의 고도정보가 기 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본체(102)가 착륙 또는 착륙중인 것으로 판단하여 힌지(104a) 또는 각 엑츄에이터로 펼침 신호를 인가하고, 펼침 신호에 의한 엑츄에이터에 구동에 의해 식별부재(104)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In addition, if the altitude information of the position control sensor value received from the main body 102 by the identification member 104 is less than a preset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main body 102 is landing or landing and is unfolded to the hinge 104a or each actuator. The signal is applied, and the identification member 104 is controlled to maintain the unfolded state by driving the actuator by the unfolding signal.

이와 같이 식별부재(104)에 구비된 사이드판(104d)가 필요에 따라 펼쳐져 식별판(104)의 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음으로써, 식별부재(104)의 식별성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사이드판(104d)에도 식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표시를 함으로써 식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ide plate 104d provided in the identification member 104 can be expanded as necessary to expand the area of the identification plate 104, whereby the identification of the identification member 104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At this time, the identification can be further improved by displaying the side plate 104d to assist in identification.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성이 향상된 지리정보 수정용 드론의 식별부재에 구비된 힌지의 위치를 도시한 예시도이다.Among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position of a hinge provided on an identification member of a drone for modifying geographic information with improved identif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판(104d)을 회전 지지하는 힌지(104a)의 위치는 중심판(104c)의 센터, 센터를 기준으로 마주보는 대각선 꼭지점 또는 중심판(104c)의 꼭지점 중에 어느 하나의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position of the hinge 104a for rotationally supporting the side plate 104d is either a center of the center plate 104c, a diagonal vertex facing the center, or a vertex of the center plate 104c. It can be provided in one location.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성이 향상된 지리정보 수정용 드론의 식별부재에 구비된 중심판을 도시한 예시도이다.Among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enter plate provided in an identification member of a drone for modifying geographic information with improved identif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별부재(104)의 중심판(104c) 상부에는 금속재질의 열판(104e)이 구비되고, 열판(104e)은 그 외주연에 구비된 코일(104f)로부터 인가받은 열을 발산하도록 구성된다.As shown in FIG. 5, the central plate 104c of the identification member 104 is provided with a metal hot plate 104e, and the hot plate 104e is applied from the coil 104f provided on its outer periphery. It is configured to dissipate heat.

이때, 열판(104e)은 중심판(104c) 상부 전면에 적층되거나, 중심판(104c)의 센터를 기준으로 적층되는 원판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hot plate 104e may be provided in a disk shape stack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enter plate 104c or on the center of the center plate 104c.

전술한 바와 같이, 식별부재(104)의 열판(104e)이 외기로 열을 발산하여 자신의 위치를 노출시킴에 따라 열화상카메라, 분광센서 또는 초분광센서를 이용한 측량자료의 보정을 용이한 장점이 있다. 즉, 식별부재(104)를 RGB 카메라로만 촬영하여 지상기준점 자료로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열화상카메라, 분광센서 또는 초분광센서 등을 이용함으로써 다양한 장비로 지상 기준점의 자료 획득이 가능하고, 따라서 측량자료의 정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s the hot plate 104e of the identification member 104 radiates heat to the outside air and exposes its position, it is easy to correct the survey data using a thermal imaging camera, a spectroscopic sensor, or a hyperspectral sensor. There is this. That is, it is possible to acquire the data of the ground reference point with a variety of equipment by using the thermal imaging camera, a spectroscopic sensor, or an ultra-spectral sensor, rather than using the identification member 104 as a ground reference point by shooting only with an RGB camera. The accuracy of the data can be further improved.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성이 향상된 지리정보 수정용 드론의 식별부재에 구비된 중심판의 색상 또는 패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Among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lor or pattern of a center plate provided in an identification member of a drone for modifying geographic information with improved identif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별부재(104)의 중심판(104c)은 식별력을 갖도록 그 상부에 다양한 색상 또는 패턴이 도포될 수 있고, 도포되는 색상 또는 패턴은 항공영상 촬영시 중심판(104c)의 센터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색상이나 패턴이 사이드판(104d)에도 적용될 경우에 중심판(104d)과 더불어 식별부재(104)의 식별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 the center plate 104c of the identification member 104 may have various colors or patterns applied thereon to have discrimination power, and the applied color or pattern may be the center plate 104c when photographing aerial images ) Can be changed to easily identify the center. When this color or pattern is also applied to the side plate 104d, the identification of the identification member 104 in addition to the center plate 104d may be further improved.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성이 향상된 지리정보 수정용 드론의 식별부재가 접히고 펼쳐지는 것을 도시한 또 다른 예시도이다.Among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 7 is another exemplary view showing that the identification member of the drone for modifying geographic information with improved identif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lded and unfolded.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부재(104)는 중심판(104c) 상측에 '+ 형상으로' 포개지는 가이드부(104g)를 구성하고, 각 가이드부(104g)에는 제2 엑츄에이터(104d-2)들이 각각 설치되며, 좁은 폭으로 형성된 사이드판(104d)이 가이드부(104g)에 내삽 또는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As illustrated in FIG. 7, the identification member 10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s a guide portion 104g overlapped in a'+ shape' on the upper side of the center plate 104c, and each guide portion 104g ), the second actuators 104d-2 are respectively installed, and the side plate 104d formed with a narrow width is configured to interpolate or protrude to the guide portion 104g.

이때, 식별부재(104)는 본체(102)로부터 인가받은 위치제어 센서값 또는 원격지로부터 수신한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하는 제2 엑츄에이터(104d-2)에 의해 사이드판(104d)이 가이드부(104g) 내측으로 수납되거나 외부로 돌출되어 노출된다.At this time, the identification member 104, the side plate 104d is guided by the second actuator 104d-2 driven according to the position control sensor value received from the main body 102 or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remote location. ) It is stored inside or protrudes to the outside to expose.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사이드판(104d)이 가이드부(104g) 외측으로 돌출되는 구동은, 사이드판(104d)와 일단이 연결되도록 가이드부(104g)의 중심부 내측에 구비된 제2 엑츄에이터(104d-2)가 제어신호에 따라 사이드판(104d)을 가이드부(104g) 외측으로 밀어내는 구동에 의해 돌출되어 외부로 노출된다.Looking more specifically, the driving of the side plate 104d protruding outward of the guide portion 104g is a second actuator 104d- provided inside the center of the guide portion 104g so that one end is connected to the side plate 104d. 2) is protruded by driving to push the side plate 104d outward of the guide portion 104g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마찬가지로, 사이드판(104d)이 가이드부(104g) 내측으로 인입되어 수납되는 구동은, 가이드부(104g) 중심부 내측에 구비된 제2 엑츄에이터(104d-2)가 사이드판(104d)을 가이드부(104g) 내측으로 잡아당기는 구동에 의해 삽입되어 수납된다. Similarly, the drive in which the side plate 104d is drawn in and received inside the guide portion 104g, the second actuator 104d-2 provided inside the central portion of the guide portion 104g guides the side plate 104d ( 104g) It is inserted and received by a drive that pulls inward.

이때, 제2 엑츄에이터(104d-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로드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2 엑츄에이터는 피니언을 구동시키도록 구성되고 사이드판(104d)은 랙으로 구성되어, 피니언의 구동에 따라 사이드판(104d)이 돌출되거나 수납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actuator (104d-2) may be made of a structure to advance or reverse the operation rod, as shown in Figure 6, the second actuator is configured to drive the pinion, the side plate (104d) is a rack It is configured to, so that the side plate 104d is protruded or received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pinion.

이와 같이, 중심판(104c)에서 각각의 사이드판(104d)들이 돌출되어 중심판(104c)의 면적을 확장시킴으로써 식별부재(104)의 식별성 향상될 수 있다. In this way, the identification of the identification member 104 can be improved by protruding each side plate 104d from the center plate 104c to expand the area of the center plate 104c.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성이 향상된 지리정보 수정용 드론의 식별부재의 보조 식별판을 도시한 예시도이다.Among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 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auxiliary identification plate of an identification member of a drone for modifying geographic information with improved identif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별부재(104)는, 본체(102) 하부로부터 소정길이 돌출되고 내부에 스프링(104h-1)이 내장되며, 본체(102)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홈(102-1)과 연통되는 지지가이드(104h)와, 지지가이드(104h)에 삽입설치되어 본체(102)의 착륙에 의해 지면과 맞닿는 경우 스프링(104h-1)의 탄성을 극복하면서 인입되고, 본체(102)가 이륙하면 스프링(104h-1)의 탄성에 의해 지지가이드(104h)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지지가이드(104h)에 결합되는 작동부재(104i)와, 작동부재(104i) 상부와 연결되어 지지가이드(104h)의 상부 일측와 상기 가이드홈(102-1)에 설치되도록 플랙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102)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홈(102-1)에 설치되는 가이드부재(104j)와, 가이드부재(104j)의 끝단과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본체(102)에 형성된 가이드홈(102-1)에 삽입 설치되는 보조 식별판(104k)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가이드부재(104j)는 플랙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나 밀고 당기는 작용이 가능한 재질 및 구조로 이루어져야 함은 물론이다. As shown in Figure 8, the identification member 104, a predetermined length protrud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2, the spring 104h-1 is embedded therein, the guide groove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main body 102 ( 102-1)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guide 104h in communication with the support guide 104h and is installed while overcoming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104h-1 when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by landing of the main body 102, and is drawn. When the 102 is taken off, the working member 104i coupled to the supporting guide 104h and the upper working member 104i are connected to the supporting guide 104h so as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supporting guide 104h by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104h-1. A guide member made of a flexible material to be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guide 104h and the guide groove 102-1 and installed in the guide groove 102-1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main body 102 (104j), the end and one end of the guide member (104j) is coupled, and is configured to include an auxiliary identification plate (104k)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02-1) formed in the main body (102). Here, the guide member 104j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but of course, it should be made of a material and structure capable of pushing and pulling.

이러한 구조의 식별부재(104)는, 본체(102)가 이륙하면 스프링(104h-1)의 탄성에 의해 지지가이드(104h)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가이드부재(104j)를 당겨 보조 식별판(104k)가 가이드홈(102-1)으로 인입되어 수납되도록 하고, 본체(102)가 착륙하면 작동부재(104i)가 본체(102)의 무게에 의해 지지가이드(104h) 내부로 인입되면서 가이드부재(104j)를 밀어 보조 식별판(104k)가 가이드홈(102-1) 밖으로 돌출되도록 작동된다. When the main body 102 takes off, the identification member 104 having such a structure protrudes outward of the support guide 104h by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104h-1, and pulls the guide member 104j, so that the auxiliary identification plate 104k Guided in the guide groove (102-1) to be received, and when the main body 102 lands, the operating member (104i) is guided by the weight of the main body 102 into the support guide (104h) while the guide member (104j) Push the auxiliary identification plate (104k) is operated to protrude out of the guide groove (102-1).

이러한 보조 식별판(104k)은 지지가이드(104h) 상부에 구비된 가이드홈(102-1)의 방향 및 가이드부재(104j)의 개수에 따라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The auxiliary identification plate 104k may be provided in plural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guide groove 102-1 provided on the support guide 104h and the number of guide members 104j.

또한, 원격지로부터 수신한 제어신호에 따라 모터 또는 엑츄에이터가 작동부재(104i)를 이동 작동시켜 본체(102) 저면에 구비된 보조 식별판(104k)이 본체(102)의 가이드홈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인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uxiliary identification plate 104k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02 protrudes outward from the guide groove of the main body 102 by the motor or actuator moving and operating the operation member 104i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remote site. It can be configured to be drawn.

이와 같이, 보조 식별판(104k)들이 본체(102)의 이륙에 의해 수납되고, 착륙에 의해 돌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보조 식별판(104k)을 착륙에 따라 돌출시키고 이륙에 따라 수납시키기 위한 전기적 구성요소가 불필요하게 된다. As such, the auxiliary identification plates 104k are received by the take-off of the main body 102, and are configured to protrude by landing, thereby protruding the auxiliary identification plates 104k upon landing and receiving electrical components for taking off upon takeoff. Becomes unnecessary.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성이 향상된 지리정보 수정용 드론의 착륙 지지장치를 도시한 예시도이다.Among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 9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landing support device for a drone for modifying geographic information with improved identif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륙 지지장치(106)는, 본체(102)가 갯벌 또는 수면에 착륙할 때에는 펼쳐져 본체(102)를 지지하고, 이륙시에 하중이 작용할 경우에는 본체(102)로부터 이탈되도록 하여 본체(102)의 이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As shown in FIG. 9, the landing support device 106 is unfolded when the main body 102 lands on the tidal flat or the water surface to support the main body 102, and when the load is applied during take-off, the landing support device 106 It is intended to be disengaged so that the take-off of the main body 102 is made smoothly.

착륙 지지장치(106)는, 본체(102)의 저면에 설치되는 지지체(106-1)와, 하향으로 개방되고, 입구보다 내부가 확장된 구조를 갖는 결합홈(106-2a)을 구비하여 지지체(106-1)의 저면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임시 고정부재(106-2)와, 상단에 결합홈(106-2a)에 끼워지기 위한 결합부(106-3a)가 형성되고, 결합부(106-3a)를 중심으로 펼침과 접힘이 가능하도록 "∧"형상으로 접혀지며, 양쪽의 각 하단에는 내측 상향으로 개구된 고정고리(106-3b)가 형성된 상판(106-3)과, 펼침과 접힘이 가능하도록 "∧"형상으로 접혀지고, 양쪽의 각 하단이 고정고리(106-3b)에 걸리도록 걸림고리(106-4a)가 각각 형성되어 상판(106-3)의 내부에서 양쪽의 각 걸림고리(106-4a)가 양쪽의 고정고리(106-3b)에 걸려 결합되는 하판(106-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landing support device 106 is provided with a support 106-1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02, and a coupling groove 106-2a having a structure that is open downward and has an extended interior than the entrance. A plurality of temporary fixing members 106-2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106-1, and a coupling portion 106-3a for being fitted into the coupling groove 106-2a at the top are formed, and the coupling portion 106 -3a) is folded in a "∧" shape to be able to unfold and fold around the center, and at the bottom of each side, an upper plate 106-3 formed with a fixing ring 106-3b that is opened upward inward, and unfolding and folding Folded in a “∧” shape to enable this, each of the two hooks is formed inside the top plate 106-3 so that the hooks 106-4a are formed so that each lower end of each of them is caught by the fixing rings 106-3b. The ring 106-4a includes a lower plate 106-4 that is coupled to the two fixed rings 106-3b.

이때, 결합부(106-3a)는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은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결합홈(106-2a)에 끼워질 때에는 억지끼움으로 삽입되면서 변형되어 좁아지고, 삽입 후에는 자체 복원력으로 복원되어 다시 확장된다. 따라서 결합홈(106-2a)에 삽입된 결합부(106-3a)는 삽입된 방향으로 다시 임의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즉, 설정된 하중으로 하향으로 잡아 당기는 경우에 결합홈(106-2a)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upling portion 106-3a has a wide upper portion and a narrow lower portion. When it is fitted into the coupling groove 106-2a, it is deformed and narrowed as it is inserted with an interference fit. Expands. Therefore, the engaging portion 106-3a inserted into the engaging groove 106-2a is not arbitrarily separated again in the inserted direction. That is, when pulling downward with a set load, it may be detached from the coupling groove 106-2a.

이러한 착륙 지지장치(106)의 상판(106-3)과 하판(106-4)은 접힘이 용이하고 어느 정도의 복원력이 있으며, 수분에 의해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분해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체(102)가 갯벌이나 수면에 착륙한 후 다시 이륙할 때 상판(106-3)과 하판(106-4)에 물, 갯벌이나 기타 이물질이 묻어 설정된 중량으로 본체(102)의 이륙을 방해하는 경우에 지지체(106-1)로부터 분리되어 자연상태에서 분해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재질은 종이재가 바람지하며,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수분에 의해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분해되는 재질이면 만족한다.The upper plate 106-3 and the lower plate 106-4 of the landing support device 106 are easy to fold and have a certain degree of resilience, and are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that decomposes when the time set by moisture elapses. This prevents take-off of the main body 102 at a set weight when the body 102 lands on the tidal flat or water surface and then takes off again, the top plate 106-3 and the bottom plate 106-4 have water, mudflat, or other foreign matter. In order to be separated from the support (106-1) in order to decompose in the natural state. The material is satisfactory if the paper material is windy,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a material that decomposes when the time set by moisture has elapsed.

이와 같이 구성된 착륙 지지장치(106)는, 본체(102)가 갯벌이나 수면에 착륙하면, "∧"형상으로 접혀진 하판(106-4)과 상판(106-3)이 본체(102)의 하중에 의해 각각 외측으로 펼쳐지면서 본체(102)의 착륙을 지지한다. 이때 하판(106-4)과 상판(106-3)은 고정고리(106-3b)와 106-4a)가 서로 맞물로 힌지 역할을 하게 되므로 본체(102)의 하중에 의해 자연스럽게 펼쳐진다.In the landing support device 106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main body 102 lands on the tidal flat or the water surface, the lower plate 106-4 and the upper plate 106-3 folded in a “∧” shape are applied to the load of the body 102. By spreading outward by each, the landing of the main body 102 is supported. At this time, the lower plate (106-4) and the upper plate (106-3) is a fixed ring (106-3b) and 106-4a) are hinged to each other, so naturally unfolded by the load of the body (102).

그리고, 본체(102)의 이륙시에는, 하판(106-4)이나 상판(106-3)에 물이나 갯벌을 포함한 이물질이 부착되어 설정된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 하중에 의해 결합부(106-3a)가 변형되면서 결합홈(106-2a)에서 이탈된다. 따라서 본체(102)는 이륙은 간섭없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And, at the time of takeoff of the main body 102, when the foreign matter including water or tidal flat is attached to the lower plate 106-4 or the upper plate 106-3, the coupling portion 106-3a is applied by the load when the set load acts. ) Is deformed and detached from the coupling groove 106-2a. Therefore, the main body 102 can be smoothly taken off without interference.

이상에서와 같이, 드론(100)에 구비되는 식별부재(104)가 필요시에 펼쳐지거나 인출되어 면적이 확장되거나, 식별부재(104)에 열선이 구비됨으로써, 지상 기준점으로서의 식별성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고, RGB 카메라 뿐만 아니라, 열화상카메라, 분광센서 또는 초분광센서 등을 이용하여 지리정보 수정에 필요한 자료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획득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identification member 104 provided in the drone 100 is expanded or drawn out when necessary, and the area is expanded, or the identification member 104 is provided with a hot wire, thereby significantly improving the identification as a ground reference poin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and accurately acquire data necessary for correcting geographic information by using a thermal imaging camera, a spectroscopic sensor, or an ultra-spectral sensor, as well as an RGB camera.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 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in connection with a preferred embodiment for illustra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s illustrated and described, and deviates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changes and modifications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without. Accordingly, all such suitable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should be consider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지리정보 수정용 드론 102: 본체
104: 식별부재 104a: 힌지
104b: 식별판 104c: 중심판
104d: 사이드판 104e: 열판
104f: 코일 104g: 가이드부
104h: 지지가이드 104i: 작동부재
104j: 가이드부재 104k: 보조 식별판
106: 지지부재 106a: 엑츄에이터
100: drone for modifying geographic information 102: main body
104: identification member 104a: hinge
104b: identification plate 104c: center plate
104d: side plate 104e: heating plate
104f: coil 104g: guide
104h: Support guide 104i: Operating member
104j: guide member 104k: auxiliary identification plate
106: support member 106a: actuator

Claims (9)

프로펠러 구동에 의한 양력으로 비행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 상에 설치되는 식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부재는,
중심판과, 상기 중심판의 적어도 일측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판을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판은,
상기 중심판의 일측을 중심으로 펼쳐지거나, 상기 중심판의 일측에서 인출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성이 향상된 지리정보 수정용 드론.
A body flying in lift by a propeller drive; And an identification member installed on the main body,
The identification member,
And a center plate and at least one side plate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center plate,
The side plat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o be unfolded around one side of the center plate, or withdrawn from one side of the center plate,
Drone for modifying geographic information with improved identific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재는,
상기 중심판 상부에 구비되는 금속재질의 열판; 및
상기 열판 외주연에 구비되어 상기 열판으로 열을 인가하는 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성이 향상된 지리정보 수정용 드론.
According to claim 1,
The identification member,
A hot plate made of metal provided on the center plate; And
It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hot plat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il for applying heat to the hot plate,
Drone for modifying geographic information with improved identific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판은,
그 상부에 기 설정된 색상 또는 패턴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성이 향상된 지리정보 수정용 드론.
According to claim 1,
The center plate,
Characterized in that a predetermined color or pattern is applied to the upper portion,
Drone for modifying geographic information with improved identific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판과 사이드판은, 힌지에 의해 회전 지지되고,
상기 사이드판은, 상기 본체에 일단이 축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사이드판의 한쪽에 축으로 결합되는 제1 엑츄에이터의 전진 및 후진 작동으로 상기 중심판의 상면으로 접히도록 회동되거나, 상기 식별부재의 면적이 확장되도록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성이 향상된 지리정보 수정용 드론.
According to claim 1,
The center plate and the side plate are rotationally supported by a hinge,
The side plate is rotated so as to be fold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enter plate by the forward and reverse operations of the first actuator, one end of which is axially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the other end is axial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side plate, or the area of the identification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unfolded to expand,
Drone for modifying geographic information with improved identific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재는,
상기 중심판 상측에 '+ 형상으로' 포개지는 가이드부를 구성하되,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2 엑츄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판은 상기 가이드부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엑츄에이터의 전진 또는 후진 작동에 의해 ; 및 에 의해 상기 사이드판이 상기 가이드부에 수용되거나 외부로 노출되도록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성이 향상된 지리정보 수정용 드론.
According to claim 1,
The identification member,
The guide plate is configured to be superimposed in a'+ shape' on the upper side of the center plate, wherein the guide portion includes a second actuator installed inside the guide portion, and the side plate is stored in the guide portion. 2 by actuating the actuator forward or backward; And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plate is drawn out so as to be accommodated in the guide portion or exposed to the outside,
Drone for modifying geographic information with improved identific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재는,
상기 본체 하부로부터 소정길이 돌출되고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가이드홈과 연통되며, 내부에 스프링이 설치된 지지가이드;
상기 지지가이드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착륙에 의해 지면과 맞닿는 경우 상기 스프링의 탄성을 극복하면서 인입되고, 상기 본체가 이륙하면 상기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상기 지지가이드 외측으로 돌출되는 작동부재;
플랙시블한 소재로 이루어지고 일단이 상기 작동부재의 상단과 연결되어 상기 지지가이드와 상기 가이드홈에 설치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부재의 끝단과 연결되는 보조 식별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성이 향상된 지리정보 수정용 드론.
According to claim 1,
The identification member,
A support guide that protrudes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bottom of the main body and communicates with a guide groove formed in the main body, and has a spring installed therein;
A working member inserted into the support guide to be drawn while overcoming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when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by landing of the main body, and protruding outward of the support guide by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when the main body takes off;
A guide member made of a flexible material and one end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operation member to be installed in the support guide and the guide groove; An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uxiliary identification plate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and connected to the end of the guide member,
Drone for modifying geographic information with improved identification.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부에는, 착륙 지지장치가 구비되되,
상기 착륙 지지장치는, 상기 본체가 갯벌 또는 수면에 착륙할 때에는 펼쳐져 상기 본체를 지지하고, 이륙시에 상기 착륙 지지장치에 물이나 갯벌을 포함한 이물질이 부착되어 설정된 하중이 작용할 경우에는 상기 본체로부터 이탈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성이 향상된 지리정보 수정용 드론.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At the bottom of the main body, a landing support device is provided,
The landing support device is extended when the main body lands on a tidal flat or water surface to support the main body, and when a set load acts by attaching foreign matter including water or tidal flat to the landing support device during take-off, it is detached from the main bod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as possible,
Drone for modifying geographic information with improved identifica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착륙 지지장치는,
상기 본체의 저면에 설치되는 지지체;
하향으로 개방되고, 입구보다 내부가 확장된 구조를 갖는 결합홈을 구비하여 상기 지지체의 저면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임시 고정부재;
상단에 상기 결합홈에 끼워지기 위한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를 중심으로 펼침과 접힘이 가능하도록 "∧"형상으로 접혀지며, 양쪽의 각 하단에는 내측 상향으로 개구된 고정고리가 형성된 상판; 및
펼침과 접힘이 가능하도록 "∧"형상으로 접혀지고, 양쪽의 각 하단이 상기 고정고리에 걸리도록 걸림고리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상판의 내부에서 양쪽의 각 상기 걸림고리가 양쪽의 상기 고정고리에 걸려 결합되는 하판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가 갯벌이나 수면에 착륙하면, 상기 하판과 상판이 상기 본체의 하중에 의해 펼쳐지면서 상기 본체의 착륙을 지지하고, 상기 본체의 이륙시 상기 하판이나 상기 상판에 물이나 갯벌을 포함한 이물질이 부착되어 설정된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 상기 결합부가 상기 결합홈에서 이탈되어 상기 본체의 이륙에 간섭되지 않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성이 향상된 지리정보 수정용 드론.
The method of claim 7,
The landing support device,
A support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A plurality of temporary fixing members that are installed downwardly and are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with a coupling groov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inside is expanded from the entrance;
A coupling plate for fitting into the coupling groove at the top, and folded in a “∧” shape so as to be able to expand and fold around the coupling portion, and at each bottom of each side, a top plate formed with a fixed ring opened upwards upwards; And
It is folded in a shape of "∧" to allow unfolding and folding, and hooking hooks are formed so that each lower end of each of the hooks is caught by the retaining hooks, so that each of the retaining hooks on both sides of the retaining hooks is caught inside the top plate. It includes a lower plate to be combined,
When the main body lands on the tidal flat or water surface, the lower plate and the upper plate are unfolded by the load of the main body to support the landing of the main body, and foreign substances including water or mud flat are attached to the lower plate or the upper plate during take-off of the main body. When the set load acts,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ing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engaging groove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take-off of the main body,
Drone for modifying geographic information with improved identifica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과 하판은, 설정된 시간 후에 수분에 의해 분해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성이 향상된 지리정보 수정용 드론.


The method of claim 8,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material that is decomposed by moisture after a set time,
Drone for modifying geographic information with improved identification.


KR1020180151529A 2018-11-30 2018-11-30 Drones for geo-rectification with improved Discrimination KR1021306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1529A KR102130655B1 (en) 2018-11-30 2018-11-30 Drones for geo-rectification with improved Discrimin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1529A KR102130655B1 (en) 2018-11-30 2018-11-30 Drones for geo-rectification with improved Discrimin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5246A KR20200065246A (en) 2020-06-09
KR102130655B1 true KR102130655B1 (en) 2020-07-06

Family

ID=71082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1529A KR102130655B1 (en) 2018-11-30 2018-11-30 Drones for geo-rectification with improved Discrimin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065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6290A (en) 2022-09-13 2024-03-20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Unmanned mobile assistant robots for geospatial survey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8922B1 (en) * 2020-08-05 2021-05-3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Method and geodetic surveying system for using unmanned air vehic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0189A1 (en) 2011-04-14 2012-10-18 Hexagon Technology Center Gmbh Measuring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new points
KR101853348B1 (en) 2016-08-22 2018-04-30 한국해양과학기술원 Setting method of ground control point using dron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11659A1 (en) * 2011-04-14 2012-10-17 Hexagon Technology Center GmbH Geodesic marking system for marking target points
US9592912B1 (en) * 2016-03-08 2017-03-14 Unmanned Innovation, Inc. Ground control point assignment and determin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0189A1 (en) 2011-04-14 2012-10-18 Hexagon Technology Center Gmbh Measuring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new points
KR101853348B1 (en) 2016-08-22 2018-04-30 한국해양과학기술원 Setting method of ground control point using dro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6290A (en) 2022-09-13 2024-03-20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Unmanned mobile assistant robots for geospatial survey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5246A (en) 2020-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3348B1 (en) Setting method of ground control point using drone
JP6842190B2 (en) Drug spraying methods, programs, and equipment with unmanned aerial vehicles
US11220338B2 (en) Package loading mechanism
CN209014148U (en) Airborne auditing system
KR102130655B1 (en) Drones for geo-rectification with improved Discrimination
US10249200B1 (en) Deployable delivery guidance
US9336568B2 (en) Unmanned aerial vehicle image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US9488630B2 (en) Integrated remote aerial sensing system
KR101988212B1 (en) Surveying system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 and method using the same
US20210011492A1 (en) Unmanned Aircraft
Ahmad et al. Aerial mapping using high resolution digital camera and unmanned aerial vehicle for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US20110315810A1 (en) Airborne, tethered, remotely stabilized surveillance platform
KR101943342B1 (e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solar panel using drone
JP7152836B2 (en) UNMANNED AIRCRAFT ACTION PLAN CREATION SYSTEM, METHOD AND PROGRAM
WO201819863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system
JP2011183824A (en) Aerial photographing system
CN104494838B (en) The UAS of high spectral resolution aviation image remote sensing survey and method thereof
JP6670789B2 (en) GNSS base station system
JP2020534910A5 (en)
Laliberte et al. Unmanned aerial vehicles for rangeland mapping and monitoring: A comparison of two systems
CN115280398A (en) Ad hoc geographic reference pad for landing UAV
Sze et al. High resolution DEM generation using small drone for interferometry SAR
CN110217401A (en) A kind of multi-rotor unmanned aerial vehicle geographical mapping system
KR102324163B1 (en) Operating method for rider data mearsuring system
Mirijovský et al. Utilization of a small-format aerial photography from drone pixy concept in the evaluation of the landscape chan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