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0538B1 - Image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Image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0538B1
KR102130538B1 KR1020130094241A KR20130094241A KR102130538B1 KR 102130538 B1 KR102130538 B1 KR 102130538B1 KR 1020130094241 A KR1020130094241 A KR 1020130094241A KR 20130094241 A KR20130094241 A KR 20130094241A KR 102130538 B1 KR102130538 B1 KR 102130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display device
cradle
sliding rail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42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17958A (en
Inventor
신동혁
은성진
김완식
박상돈
정원묵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4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0538B1/en
Publication of KR20150017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795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0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05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9/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면에 곡면형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고 후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응하는 곡면형으로 형성되는 영상표시장치 본체,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본체의 후면과 동일한 곡률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후면에 결합되며 상기 곡률의 연장 방향을 따라 상기 본체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거치부는, 상기 슬라이딩 거치부를 외부에서 진입되는 임의의 거치대에 탈착 가능하게 거치시키도록 상기 곡률의 연장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슬라이딩 레일, 및 상기 슬라이딩 레일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상기 거치대를 기설정된 위치에서 고정시키도록 상기 슬라이딩 레일의 기설정된 위치마다 배치되는 복수의 스탑퍼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를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curved display unit on the front surface and a rear surface of the video display device formed in a curved shape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unit, and at least a portion formed to extend along the same curvature as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It is coupled and includes at least one sliding mount formed to be able to slide the main body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curvature, and the sliding mount is detachably mounted to any mount that enters the sliding mount from the outside. An image comprising a sliding rail formed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curvature to make, and a plurality of stoppers arranged at predetermined positions of the sliding rail to fix the cradle slidingly moving on the sliding rail at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display device is started.

Description

영상표시장치{IMAGE DISPLAY DEVICE}Image display device {IMAG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곡면형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커브드 영상표시장치를 거치대에 거치시킨 상태에서 디스플레이의 곡률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formed to be able to slide and move along a curvature of a display while a curved image display device having a curved display unit is mounted on a cradle.

영상표시장치는 방송을 수신하여 출력하거나, 영상을 기록 및 재생하는 장치와 오디오를 기록 및 재생하는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 이러한 영상표시장치로는 예를 들어, 텔레비전, 모니터, 프로젝터, 태블릿 등이 포함된다.The video display device includes both a device for receiving and outputting a broadcast, a device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an image, and a device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audio. Such video display devices include, for example, televisions, monitors, projectors, tablets, and the like.

영상표시장치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방송의 출력이나 영상의 재생 기능 외에도,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With the diversification of functions, the video display device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ultimedia player with multiple functions, such as shooting a picture or video, receiving a game, and broadcasting, in addition to a broadcast output or video playback function. .

이러한 영상표시장치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하드웨어적인 부분에 해당하는 시도들에는 영상표시장치의 조립 구조를 단순화하는 구조적인 변화 및 개량이 포함된다.Various new attempts have been applied in terms of hardware or software to support and increase the function of the image display device. Attempts corresponding to the hardware part include structural changes and improvements that simplify the assembly structure of the image display device.

상기 구조적인 변화 및 개량의 일 예로서, 최근의 영상표시장치는 곡면형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커브드 영상표시장치로 구현되고 있다. 그러나, 커브드 영상표시장치는 여전히 종래의 영상표시장치와 마찬가지로 고정된 위치에서만 사용이 가능한 형태로 출시되고 있고, 커브드 영상표시장치의 곡면형 구조를 이용하여 영상표시장치의 이동성을 확장하는 구조는 제안된 바가 없다.As an example of the structural change and improvement, a recent image display device is implemented as a curved image display device having a curved display unit. However, the curved video display device is still being released in a form that can be used only at a fixed position, like the conventional video display device, and the structure of expanding the mobility of the video display device using the curved structure of the curved video display device Has not been proposed.

또한, 기존의 영상표시장치는 초기 구매시 사용자가 스탠드형과 벽걸이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구매하여야 하고, 사용하던 도중 다른 하나로 변경하는 것이 어려웠다. 그리고 설령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더라도 다른 하나로 변경하기 위한 추가적인 장치들이 필요한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initial purchase of the existing video display device, the user has to select either the stand type or the wall-mounted type and purchase it, and it is difficult to change it to the other while using. And even if it is possible to change, there was a problem that additional devices needed to change to another.

따라서, 커브드 영상표시장치의 곡면형 구조를 이용하여 영상표시장치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스탠드형에서 벽걸이형으로 또는 벽걸이형에서 스탠드형으로 변경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가 고려될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not only to move the video display device using the curved structure of the curved video display device, but also a video display device that can be changed from a stand type to a wall type or from a wall type to a stand type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Can be considered.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종래와 다른 구조로 거치시키는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age display device mounted in a structure different from the prior art.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커브드 영상표시장치를 디스플레이부의 곡률을 따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구조를 개시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sclose a structure capable of moving a curved image display device along a curvature of a display unit.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임의로 스탠드형과 벽걸이형으로 변경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video display device that can be arbitrarily changed to a stand-type or wall-mounted type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영상표시장치는, 전면에 곡면형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고 후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응하는 곡면형으로 형성되는 영상표시장치 본체,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본체의 후면과 동일한 곡률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후면에 결합되며 상기 곡률의 연장 방향을 따라 상기 본체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거치부는, 상기 슬라이딩 거치부를 외부에서 진입되는 임의의 거치대에 탈착 가능하게 거치시키도록 상기 곡률의 연장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슬라이딩 레일, 및 상기 슬라이딩 레일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상기 거치대를 기설정된 위치에서 고정시키도록 상기 슬라이딩 레일의 기설정된 위치마다 배치되는 복수의 스탑퍼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such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of a video display device having a curved display portion on the front side and a rear side formed in a curved shape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portion. And at least one sliding mounting portion formed to extend at least partially along the same curvature as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coupled to the rear surface and to slide the main body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curvature. The sliding mounting portion is fixed to a sliding rail formed along an extension direction of the curvature so as to detachably mount the sliding mounting portion to an arbitrary cradle entering from the outside, and the mounting base sliding in the sliding rail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t includes a plurality of stoppers that are arranged at each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liding rail to make.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딩 거치부는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According to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the sliding mounting portions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딩 레일은 상기 거치대에 거치되도록 상기 거치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liding rail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radle so as to be mounted on the cradle.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거치대는 상기 본체의 이동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레일의 내부에서 회전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레일에 삽입되는 슬라이딩 휠을 구비하며 상기 수평면과 일정한 각을 이루는 임의의 결합면에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거치부는 상기 슬라이딩 휠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휠이 걸리는 걸림부를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딩 휠에 탈착 가능하게 거치된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radle is provided with a sliding wheel that is inserted into the sliding rail to rotate within the sliding rail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ain body and to any coupling surface forming a constant angle with the horizontal surface It is formed to be coupled, and the sliding moun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locking portion to which the sliding wheel is applied to prevent the sliding wheel from being detached and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sliding wheel.

상기 거치대는 회전축을 형성하도록 하나의 지점에서 상기 결합면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는 상기 거치대가 상기 결합면에 결합된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cradle is coupled to the coupling surface at one point to form a rotation axis, and the body can be rotatably formed around a point where the cradle is coupled to the coupling surface.

상기 거치대는 적어도 일부가 서로 대칭을 이루며 상기 결합면에 결합된 지점으로부터 상기 슬라이딩 레일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각 단부에 상기 슬라이딩 휠이 결합될 수 있다.The cradle is at least partially symmetrical to each other and is formed to extend toward the sliding rail from a point coupled to the coupling surface, and the sliding wheel may be coupled to each end.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스탑퍼들은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pper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the same distance.

상기 각 스탑퍼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에 형성되는 요철부를 구비할 수 있다.Each stopper may have an uneven portion formed on the sliding rail.

상기 각 스탑퍼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의 일면에 형성되는 홈과 상기 일면과 마주하는 면에 형성되는 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Each stopper may include a groov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liding rail and a protrusion formed on a surface facing the one surface.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와 상기 슬라이딩 거치부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거치부는 상기 본체를 서로 평행하지 않는 임의의 결합면들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거치시키도록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결합면들과 마주한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ing a hinge portion rotatably connecting the main body and the sliding mounting portion, the sliding mounting portion is selectively on any one of the arbitrary coupling surfaces that do not parallel the main body to each other Rotating around the hinge portion to mount, facing the engaging surfaces.

상기 슬라이딩 거치부의 회전범위는 상기 본체의 하단과 상기 본체의 후면 사이일 수 있다.The rotation range of the sliding mount may be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and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커브드 영상표시장치는 거치대에 거치시킨 상태에서 슬라이딩 레일 및 상기 슬라이딩 레일 내에서 회전하는 슬라이딩 휠을 이용하여 영상표시장치를 디스플레이부의 곡률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탑퍼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위치에서 영상표시장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the curved image display device may slide the image display device along the curvature of the display unit using a sliding rail and a sliding wheel rotating within the sliding rail while mounted on a cradle. In addition, the video display device can be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using a stopper.

또한, 본 발명은 슬라이딩 거치부가 영상표시장치 본체와 힌지 연결되므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영상표시장치를 바닥과 벽에 선택적으로 거치시킬 수 있으며 언제라도 변경하여 거치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liding mount is hinged to the main body of the video display device, the video display device can be selectively mounted on the floor and wall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and can be changed and mounted at any time.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영상표시장치 및 원격제어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영상표시장치를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슬라이딩 거치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4a 내지 도 4c는 영상표시장치를 거치대에 거치시켜 슬라이딩 이동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5는 영상표시장치와 결합되는 거치대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거치대와 다른 구조의 거치대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7은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거치대와 결합되어 벽에 거치된 영상표시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8은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거치대와 또 다른 구조의 거치대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거치대와 결합되어 벽에 거치된 영상표시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0a 내지 도 10c는 벽에 거치된 영상표시장치를 곡면형 디스플레이부의 곡률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구조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11은 거치대가 벽에 결합된 지점을 중심으로 영상표시장치를 회전시키는 구조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련된 영상표시장치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14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영상표시장치를 스탠드형에서 벽걸이형으로 변경한 것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15는 벽걸이형으로 변경된 영상표시장치에 거치대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개념도.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video display device and a remote control devic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sliding mounting portion shown in FIG. 2;
4A to 4C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 structure in which a video display device is mounted on a cradle and slidingly moved.
5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cradle coupled with a video display device.
6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cradle of a different structure from the cradle shown in FIG. 5;
7 is a side view showing an image display device mounted on a wall in combination with the cradle shown in FIGS. 5 to 6.
8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cradle of another structure and the cradle shown in FIGS. 5 to 6;
9 is a side view showing an image display device mounted on a wall in combination with the cradle shown in FIG. 8.
10A to 10C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 structure for sliding the image display device mounted on a wall along a curvature of a curved display unit.
11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the image display device rotates around a point where the cradle is coupled to the wall.
12 and 13 are conceptual views showing a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that the image display device shown in FIGS. 12 and 13 is changed from a stand type to a wall type.
15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at the cradle is coupled to a video display device changed to a wall-mounted type.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가변 거치대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Hereinafter, a variable crad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imag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is specification,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s in different embodiments, and the description is replaced with the first description. In addition, the singular expression used in this specificat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발명과 관련된 영상표시장치는 방송을 수신하여 출력하거나, 영상을 기록 및 재생하는 장치와 오디오를 기록 및 재생하는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 이하, 이러한 예로서, 텔레비전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The video display devic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both a device for receiving and outputting a broadcast, a device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an image, and a device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audio. Hereinafter, a television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영상표시장치(100) 및 원격제어장치(121a)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video display device 100 and a remote control device 121a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100)는 튜너부(110), 복조부(111),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3), 저장부(13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21), 제어부(17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 구동부(150), 오디오 출력부(160), 전원공급부(180) 및 3D 시청장치(140a)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includes a tuner unit 110, a demodulator 111,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22, a network interface unit 123, a storage unit 130, and a user input interface unit. (121), the control unit 170, a flexible display unit 140, a driving unit 150, an audio output unit 160, a power supply unit 180 and a 3D viewing device 140a may be included.

튜너부(1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The tuner 110 selects an RF broadcast signal corresponding to a channel selected by a user or all pre-stored channels from among radio frequency (RF) broadcast signals received through an antenna. In addition, the selected RF broadcast signal is converted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or a baseband video or audio signal.

예를 들어, 선택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부(110)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튜너부(1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17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selected RF broadcast signal is a digital broadcast signal, it is converted to a digital IF signal (DIF), and if it is an analog broadcast signal, it is converted to an analog baseband video or audio signal (CVBS/SIF). That is, the tuner 110 may process a digital broadcast signal or an analog broadcast signal. The analog baseband video or audio signal (CVBS/SIF) output from the tuner 110 may be directly input to the controller 170.

또한, 튜너부(110)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에 따른 단일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복수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uner 110 may receive a single carrier RF broadcast signal according to an 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ATSC) method or a multiple carrier RF broadcast signal according to a Digital Video Broadcasting (DVB) method.

한편, 튜너부(110)는 본 발명에서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uner 110 sequentially selects RF broadcast signals of all broadcast channels stored through a channel storage function among RF broadcast signals received through an antenna, and converts them into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s or baseband video or audio signals. Can be converted.

복조부(111)는 튜너부(1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The demodulator 111 receives the digital IF signal DIF converted by the tuner 110 and performs a demodulation operation.

예를 들어, 튜너부(11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ATSC 방식인 경우, 복조부(111)는 8-VSB(8-Vestigal Side Band)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111)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11)는 트렐리스 디코더(Trellis Decoder), 디인터리버(De-interleaver) 및 리드 솔로먼 디코더(Reed Solomon Decoder) 등을 구비하여, 트렐리스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digital IF signal output from the tuner 110 is an ATSC system, the demodulator 111 performs 8-VSB (8-Vestigal Side Band) demodulation. Further, the demodulator 111 may perform channel decoding. To this end, the demodulator 111 includes a Trellis Decoder, a De-interleaver, and a Reed Solomon Decoder, such as Trellis decoding, deinterleaving, and Reed Soloman. Decryption can be performed.

예를 들어, 튜너부(11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DVB 방식인 경우, 복조부(111)는 COFDMA(Co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odulation)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111)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11)는 컨벌루션 디코더(convolution decoder), 디인터리버 및 리드-솔로먼 디코더 등을 구비하여, 컨벌루션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digital IF signal output from the tuner 110 is a DVB method, the demodulator 111 performs Co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odulation (COFDMA) demodulation. Further, the demodulator 111 may perform channel decoding. To this end, the demodulator 111 may include a convolution decoder, a deinterleaver and a Reed-Soloman decoder, and perform convolutional decoding, deinterleaving, and Reed Soloman decoding.

복조부(111)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일예로, 스트림 신호는 MPEG-2 규격의 영상 신호, 돌비(Dolby) AC-3 규격의 음성 신호 등이 다중화된 MPEG-2 TS(Transport Stream)일수 있다. 구체적으로 MPEG-2 TS는 4 바이트(byte)의 헤더와 184 바이트의 페이로드(payload)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modulator 111 may output a stream signal TS after demodulation and channel decoding. At this time, the stream signal may be a video signal, an audio signal or a data signal multiplexed. As an example, the stream signal may be an MPEG-2 Transport Stream (TS) in which an MPEG-2 standard video signal, a Dolby AC-3 standard audio signal, and the like are multiplexed. Specifically, the MPEG-2 TS may include a header of 4 bytes and a payload of 184 bytes.

한편, 상술한 복조부(111)는 ATSC 방식과 DVB 방식에 따라 각각 별개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ATSC 복조부와 DVB 복조부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Meanwhile, the demodulator 111 may be separately provided according to the ATSC method and the DVB method. That is, it is possible to be provided with an ATSC demodulator and a DVB demodulator.

복조부(111)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60)로 음성을 출력한다.The stream signal output from the demodulator 111 may be input to the controller 170. After performing demultiplexing, video/audio signal processing, and the like, the controller 170 outputs an image to the flexible display unit 140 and outputs audio to the audio output unit 16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는 외부 장치와 영상표시장치(100)를 접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22 may connect the external device and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o this end,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22 may include an A/V input/output unit (not shown) or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는 연결된 외부 장치를 통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연결된 외부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22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DVD (Digital Versatile Disk), Blu-ray, game device, camera, camcorder, computer (laptop), by wire/wireless.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22 transmits an image, audio, or data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connected external device to the control unit 170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Also, the image, audio, or data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70 may be output to a connected external device. To this end,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22 may include an A/V input/output unit (not shown) or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영상표시장치(100)로 입력할 수 있도록,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A/V input and output unit allows input of video and audio signals from external devices to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USB terminal, CVBS (Composite Video Banking Sync) terminal, component terminal, S-video terminal (analog), DVI ( Digital Visual Interface (HDMI) terminals, 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terminals, RGB terminals, and D-SUB terminals.

무선 통신부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의 통신 규격에 따라 다른 전자기기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may perform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other electronic devices.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is a network with other electronic devices according to communication standards such as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etc. Can be connected.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는 다양한 셋탑 박스와 상술한 각종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접속되어, 셋탑 박스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Also,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22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various set-top boxes and various terminals described above, and perform input/output operations with the set-top box.

한편,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는 3D 시청장치(140a)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Meanwhile,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22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to and from the 3D viewing device 140a.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3)는 영상표시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3)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WLAN(Wireless LAN, 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network interface unit 123 provides an interface for connecting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to a wired/wireless network including an Internet network. The network interface unit 123 may be provided with an Ethernet terminal or the like for connection to a wired network, and for connection with a wireless network, WLAN (Wireless LAN, Wi-Fi), Wibro (Wireless broadband) ,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communication standards, etc. may be used.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3)는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The network interface unit 123 may receive content or data provided by the Internet or a content provider or a network operator through a network. That is, it is possible to receive content and related information such as movies, advertisements, games, VODs, broadcast signals provided from a content provider through a network.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ceive update information and update files of firmware provided by a network operator. It can also send data to the Internet or content providers or network operators.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3)는 예를 들어, IP(internet Protocol) TV와 접속되어,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IPTV용 셋탑 박스에서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할 수 있으며,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신호들을 IPTV용 셋탑 박스로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etwork interface unit 123 is connected to an IP (internet protocol) TV, for example, to receive a video, audio or data signal processed by the IPTV set-top box to enable two-way communication, to the control unit 170 The signals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70 may be transmitted to the IPTV set-top box.

한편, 상술한 IPTV는 전송네트워크의 종류에 따라 ADSL-TV, VDSL-TV, FTTH-TV 등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으며, TV over DSL, Video over DSL, TV overIP(TVIP), Broadband TV(BTV) 등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또한, IPTV는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인터넷 TV, 풀브라우징 TV를 포함하는 의미일 수도 있다.Meanwhile, the above-described IPTV may mean including ADSL-TV, VDSL-TV, FTTH-TV, etc., depending on the type of transmission network, TV over DSL, Video over DSL, TV overIP (TVIP), Broadband TV (BTV) ) And the like. In addition, IPTV may also mean an Internet TV with full Internet access and a full browsing TV.

저장부(13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The storage unit 130 may store programs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each signal in the control unit 170, and may store signal-processed video, audio, or data signals.

또한, 저장부(13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30)는 채널 맵 등의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Also, the storage unit 130 may perform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an image, audio, or data signal input to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22. Also, the storage unit 130 may store information on a predetermined broadcast channel through a channel storage function such as a channel map.

저장부(13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저장부(130) 내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30 includes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nd a card type memory (for example, SD or XD memory), RAM, a ROM (EEPROM, etc.) may include at least one type of storage medium.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may play a file (video file, still image file, music file, document file, etc.)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0 and provide it to the user.

도 1은 저장부(130)가 제어부(17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130)는 제어부(170) 내에 포함될 수 있다.1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the storage unit 130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control unit 170,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storage unit 130 may be included in the control unit 17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21)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21 transmits a signal input by the user to the control unit 170 or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70 to the user.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21)는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121a)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원격제어장치(121a)로 송신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21 may power on/off, select a channel, and set a screen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121a according to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a radio frequency (RF) communication method and an infrared (IR) communication method. A user input signal, such as, may be received, or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70 may be transmitted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121a.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21)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for example,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21 may transmit a user input signal input from a local key (not shown) such as a power key, a channel key, a volume key, and a set value to the control unit 170.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21)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센싱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부(미도시)는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for example,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21 transmits a user input signal input from a sensing unit (not shown) that senses a user's gesture to the control unit 170, or senses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70. Can be transmitted to a negative (not shown). Here, the sensing unit (not shown) may include a touch sensor, a voice sensor, a position sensor, a motion sensor, and the like.

제어부(170)는 튜너부(110) 또는 복조부(111)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70 de-multiplexes the input stream through the tuner unit 110 or the demodulator 111 or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22 or processes demultiplexed signals, and outputs a signal for video or audio output. Can generate and print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The image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70 may be input to the flexible display unit 140 and displayed as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image signal. In addition, the image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70 may be input to the external output device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22.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60)로 음향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도 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audio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70 may be sound output to the audio output unit 160. Also, the audio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70 may be input to the external output device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22. Although not illustrated in FIG. 1, the control unit 170 may include a demultiplexing unit, an image processing unit, and the like.

그 외, 제어부(17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튜너부(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70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in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For example, the controller 170 may control the tuner 110 to control the user to select (Tuning) an RF broadcast corresponding to a channel selected by a user or a pre-stored channel.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Also, the control unit 170 may control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by a user command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21 or an internal program.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하여 수신한 소정 채널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한 채널의 신호가 입력되도록 튜너부(110)를 제어한다. 그리고, 선택한 채널의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처리한다.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 또는 오디오 출력부(160)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70 controls the tuner 110 to input a signal of a selected channel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hannel selection command received through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21. Then, the video, audio or data signals of the selected channel are processed. The control unit 170 allows the channel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to be output through the flexible display unit 140 or the audio output unit 160 together with the processed image or audio signal.

다른 예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 또는 오디오 출력부(16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 unit 170 may receive an external device image reproduction command received through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21, and receive an external device input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22, for example, a camera or a camcorder. The video signal or the audio signal can be output through the flexible display unit 140 or the audio output unit 160.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3)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영상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170 may control the flexible display unit 140 to display an image. For example, the broadcast image input through the tuner unit 110, the external input image input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22 or the image input through the network interface unit 123 or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0 The image may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on the flexible display unit 140.

이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image displayed on the flexible display unit 140 may be a still image or a video, and may be a 2D video or a 3D video.

한편, 제어부(17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는 영상 중에, 소정 오브젝트에 대해 3D 오브젝트로 생성하여 표시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는 접속된 웹 화면(신문, 잡지 등),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다양한 메뉴, 위젯, 아이콘, 정지 영상, 동영상,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170 generates and displays a 3D object as a 3D object for an image displayed on the flexible display unit 140. For example, the object may be at least one of a connected web screen (newspaper, magazine, etc.), EPG (Electronic Program Guide), various menus, widgets, icons, still images, videos, and text.

이러한 3D 오브젝트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는 영상과 다른 깊이를 가지도록 처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3D 오브젝트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는 영상에 비해 돌출되어 보이도록 처리될 수 있다.The 3D object may be processed to have a different depth from the image displayed on the flexible display unit 140. Preferably, the 3D object may be processed to appear protruding compared to the image displayed on the flexible display unit 140.

한편, 제어부(1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와 영상표시장치(100) 간의 거리(z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그 외,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는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x축 좌표 및 y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170 recognizes the user's location based on the image photographed from the photographing unit (not shown). For example, a distance (z-axis coordinate) between the user and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may be grasped. In addition, the x-axis coordinates and the y-axis coordinates in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corresponding to the user's location can be grasped.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채널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가 더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는 복조부(111)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TS)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 등을 입력받아,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로부터 영상을 추출하여 썸네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그대로 또는 부호화되어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스트림 형태로 부호화되어 제어부(170)로 입력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70)는 입력된 썸네일 영상을 이용하여 복수의 썸네일 영상을 구비하는 썸네일 리스트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의 썸네일 리스트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 소정 영상을 표시한 상태에서 일부 영역에 표시되는 간편 보기 방식으로 표시되거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대부분 영역에 표시되는 전체 보기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it is also possible to further include a channel browsing processing unit for generating a thumbnail image corresponding to a channel signal or an external input signal. The channel browsing processing unit may receive a stream signal (TS) output from the demodulator 111 or a stream signal output from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22 and extract an image from the input stream signal to generate a thumbnail image. have. The generated thumbnail image may be input as it is or as encoded. Also, the generated thumbnail image may be encoded in a stream form and input to the control unit 170. The controller 170 may display a thumbnail list including a plurality of thumbnail images on the flexible display unit 140 using the input thumbnail image. At this time, the thumbnail list may be displayed in a simple view method displayed in some areas while displaying a predetermined image on the flexible display unit 140, or in a full view method displayed in most areas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140. have.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The flexible display unit 140 converts a video signal, a data signal, an OSD signal, a control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70, or a video signal, data signal, or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22 to drive signals. Produces

본 발명에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평평한 형태 또는 곡면 형태로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전면 상의 사용자를 감싸듯 곡선 형태로 변형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실감나는 화질과 몰입감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예를 들어, OLED 패널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llustrated that the flexible display unit 140 is configured to be deformable in a flat shape or a curved shape. When the flexible display unit 140 is deformed in a curved shape as if surrounding the user on the front surface, a realistic image quality and immersion may be provided to the user. Such a flexible display can be implemented, for example, by an OLED panel.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는 사용자에게 3차원 영상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3차원 영상 시청을 위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는 추가 디스플레이 방식과 단독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나뉠 수 있다.The flexible display unit 140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a 3D image to the user. For viewing a 3D image, the flexible display unit 140 may be divided into an additional display method and a single display method.

단독 디스플레이 방식은, 별도의 3D 시청장치(140a), 예를 들어 3D 안경 등이 없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 단독으로 3D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예로, 렌티큘라 방식, 파라랙스 베리어(parallax barrier)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The single display method is a flexible display unit 140 that can realize a 3D image without a separate 3D viewing device 140a, for example, 3D glasses, for example, a lenticular method, a parallax barrier ( Various methods such as parallax barrier) can be applied.

한편, 추가 디스플레이 방식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 외에 3D 시청장치(140a)를 사용하여 3D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예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 타입, 안경 타입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안경 타입은, 편광 안경 타입 등의 패시브(passive) 방식과, 셔터 글래스(Shutter Glass) 타입 등의 액티브(active) 방식으로 다시 나뉠 수 있다. 한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타입에서도 패시브 방식과 액티브 방식으로 나뉠 수 있다.Meanwhile, as an additional display method, a 3D image may be implemented using a 3D viewing device 140a in addition to the flexible display unit 140. For example, various methods, such as a head mounted display (HMD) type and a glasses type, may be applied. have. In addition, the glasses type may be further divided into a passive method such as a polarized glasses type and an active method such as a shutter glass type. Meanwhile, the head mounted display type can also be divided into a passive method and an active method.

한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the flexible display unit 140 may be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and used as an input device in addition to an output device.

구동부(15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를 평평한 형태 또는 곡선 형태로 변형시키도록 형성된다. 구동부(15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물리적 힘을 가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변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driving unit 150 is formed to deform the flexible display unit 140 into a flat shape or a curved shape. The driving unit 150 may be configured to deform the flexible display unit 140 by applying a physical force directly or indirectly to the flexible display unit 140.

오디오 출력부(160)는 제어부(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 채널 신호 또는 5.1 채널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오디오 출력부(160)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The audio output unit 160 receives a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70, for example, a stereo signal, a 3.1 channel signal, or a 5.1 channel signal, and outputs it as voice. The audio output unit 160 may be implemented as various types of speakers.

한편,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센싱부(미도시)가 영상표시장치(100)에 더 구비될 수 있다. 센싱부(미도시)에서 감지된 신호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해 제어부(170)로 전달된다.Meanwhile, in order to sense a user's gesture, as described above, a sensing unit (not shown) having at least one of a touch sensor, a voice sensor, a position sensor, and a motion sensor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have. The signal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not shown)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70 through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21.

제어부(1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를 각각 또는 조합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70 may detect a user's gesture by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with an image captured by a photographing unit (not shown) or a signal detected from a sensing unit (not shown).

전원 공급부(190)는 영상표시장치(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6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열선을 포함하는 발열부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90 supplies corresponding power throughout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In particular, the control unit 170, which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ystem on chip (SOC), a flexible display unit 140 for displaying images, and an audio output unit 160 for audio output are supplied. Can. Further, depending on the embodiment, power may be supplied to a heating unit including a heating wire.

원격제어장치(121a)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21)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121a)는 적외선(IR) 통신, RF(Radio Frequency) 통신,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121a)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21)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121a)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출력할 수 있다.The remote control device 121a transmits a user input to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21. To this end, the remote control device 121a may use infrared (IR) communication, radio frequency (RF) communication, Bluetooth, UWB (Ultra Wideband), ZigBee method, or the like. In addition, the remote control device 121a may receive an image, audio, or data signal output from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21, and display or output the sound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121a.

상술한 영상표시장치(100)는 고정형으로서 ATSC 방식(8-VSB 방식)의 디지털 방송, DVB-T 방식(COFDM 방식)의 디지털 방송, ISDB-T 방식(BST-OFDM방식)의 디지털 방송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또한, 이동형으로서 지상파 DMB 방식의 디지털 방송, 위성 DMB 방식의 디지털 방송, ATSC-M/H 방식의 디지털 방송, DVB-H 방식(COFDM 방식)의 디지털 방송, 미디어플로(Media Foward Link Only) 방식의 디지털 방송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또한, 케이블, 위성통신, IPTV 용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도 있다.The above-described video display device 100 is a fixed type, among ATSC (8-VSB) digital broadcasting, DVB-T (COFDM) digital broadcasting, ISDB-T (BST-OFDM) digital broadcasting, etc. It may be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capable of receiving at least one. In addition, digital broadcasting of terrestrial DMB method, digital broadcasting of satellite DMB method, digital broadcasting of ATSC-M/H method, digital broadcasting of DVB-H method (COFDM method), and media flow (Media Foward Link Only) method It may be a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capable of receiving at least one of digital broadcasting and the like. Also, it may be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for cable, satellite communication, and IPTV.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영상표시장치는 TV 수상기,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video display device described herein includes a TV receiver,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notebook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nd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Can.

한편, 도 1에 도시된 영상표시장치(1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Meanwhile, the block diagram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shown in FIG. 1 is a block diagram fo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component of the block diagram may be integrated, added, or omitted depending on the specification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hat is actually implemented. That is, two or more components may be combined into one component, or one component may be divided into two or more components as necessary. In addition, the function performed in each block i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cific operation or device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곡면형 디스플레이부의 곡률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영상표시장치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structure of an image display device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sliding along the curvature of the curved display unit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영상표시장치(200)를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이다.2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mage display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개시하는 영상표시장치(200)는 전면과 후면의 적어도 일부가 곡면형으로 형성되는 커브드 영상표시장치(200)(Curved Image Display Device)에 관한 것으로, 영상 및 시각 정보를 출력하는 영상표시장치 본체(210)와 상기 영상표시장치(200)를 임의의 결합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거치시키기 위한 슬라이딩 거치부(220)를 포함한다. The image display device 200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rved image display device 200 (Curved Image Display Device)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are formed in a curved shape, and outputs image and visual information. And a sliding mounting unit 220 for slidingly mounting the display device main body 210 and the image display device 200 on an arbitrary coupling surface.

커브드 영상표시장치(200)의 본체(210)는 전면에 곡면형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구비하고, 후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응하는 곡면형으로 형성된다. 곡면형 디스플레이부는 임의의 초점으로부터 디스플레이부의 임의의 지점까지의 거리가 일정하게 형성되는 곡률을 가질 수 있다.The body 210 of the curved image display device 200 includes a curved display unit (not shown) on the front surface, and a rear surface is formed in a curved shape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unit. The curved display unit may have a curvature in which a distance from an arbitrary focus to an arbitrary point in the display unit is constant.

영상표시장치 본체(210)의 후면은 상기 곡면형 디스플레이부에 대응하는 곡면형으로 형성되므로, 영상표시장치 본체(210)는 전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의 곡률을 따라 곡면형으로 형성된다.Since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210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is formed in a curved shape corresponding to the curved display unit, the main body 210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is generally formed in a curved shape along the curvature of the display unit.

슬라이딩 거치부(220)는 적어도 일부가 영상표시장치 본체(210)의 후면과 동일한 곡률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영상표시장치 본체(210)의 후면에 결합된다. 슬라이딩 거치부(220)는 상기 곡률의 연장방향을 따라 영상표시장치 본체(210)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The sliding mounting portion 220 is formed to extend at least partially along the same curvature as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210 of the video display device and is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210 of the video display device. The sliding mounting unit 220 is formed to be able to slide the main body 210 of the image display device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curvature.

슬라이딩 거치부(220)는 적어도 하나가 영상표시장치 본체(210)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220a, 220b). 복수개의 슬라이딩 거치부(2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sliding mounting units 220 may be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210 of the image display device, and a plurality of sliding mounting units 220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220a, 220b). The plurality of sliding mounting portions 220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as shown in FIG. 2.

슬라이딩 거치부(220)는, 곡률(또는 영상표시장치 본체(210)의 전면과 후면의 곡률)의 연장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슬라이딩 레일(221)과 상기 슬라이딩 레일(221)에 형성되는 복수의 스탑퍼(222)를 포함하며, 이에 관하여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sliding mounting unit 220 includes a sliding rail 221 formed along an extending direction of a curvature (or a curvature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video display device 210) and a plurality of stops formed on the sliding rail 221. It includes a fur 222,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슬라이딩 거치부(220)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sliding mounting portion 220 shown in FIG. 2.

슬라이딩 레일(221)은 슬라이딩 거치부(220)를 외부에서 진입되는 임의의 거치대(미도시)에 탈착 가능하게 거치시키도록 슬라이딩 거치부(220)의 곡률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다. 외부에서 진입되는 임의의 거치대란, 슬라이딩 거치부(220)를 임의의 결합면에 거치시키기 위한 장치이다(230, 도 4a 내지 도 4c 참조).The sliding rail 221 is formed to extend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curvature of the sliding mount 220 so that the sliding mount 220 can be detachably mounted on an arbitrary cradle (not shown) entering from the outside. An optional cradle entering from the outside is a device for mounting the sliding mounting portion 220 on an arbitrary coupling surface (see FIGS. 230 and 4A to 4C).

상기 결합면에 고정된 거치대에 슬라이딩 거치부(220)를 거치시킴으로써 영상표시장치를 상기 결합면에 거치시킬 수 있다. 거치대는 슬라이딩 레일(221)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레일(22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An image display device may be mounted on the coupling surface by mounting the sliding mounting portion 220 on a mounting base fixed to the coupling surface. The cradle is inserted into the sliding rail 221 and is formed to slide along the sliding rail 221.

스탑퍼(222)는 슬라이딩 레일(221)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거치대를 기설정된 위치에서 고정시키도록 슬라이딩 레일(221)의 기설정된 위치마다 배치된다. 스탑퍼(222)들은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각 스탑퍼(222)는 슬라이딩 레일(221)에 형성되는 요철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각 스탑퍼(222)는 슬라이딩 레일(221)의 일면에 형성되는 홈(222a)과 상기 일면과 마주하는 면에 형성되는 돌기(222b)를 구비할 수도 있다.The stopper 222 is disposed at each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liding rail 221 so as to fix the cradle that slides on the sliding rail 221 at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stoppers 222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the same interval, and each stopper 222 may have an uneven portion formed on the sliding rail 221. In addition, each stopper 222 may include a groove 222a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liding rail 221 and a protrusion 222b formed on a surface facing the one surface.

도 3은 스탑퍼(222)는 슬라이딩 레일(221)의 양면에 각각 홈(222a)과 돌기(222b)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홈(222a)과 돌기(222b)는 서로 마주할 수 있으며, 홈(222a)이 슬라이딩 레일(221)로부터 만입된 정도나 돌기(222b)가 슬라이딩 레일(221)로부터 돌출된 정도, 또는 스탑퍼(222)가 서로 이격된 정도에 따라 거치대를 고정시키는 매커니즘이 달라질 수 있다.3 shows that the stopper 222 is provided with grooves 222a and protrusions 222b on both sides of the sliding rail 221, respectively. The groove 222a and the protrusion 222b may face each other, and the degree to which the groove 222a is indented from the sliding rail 221 or the degree to which the protrusion 222b protrudes from the sliding rail 221, or a stopper ( Mechanisms for fixing the cradle may vary depending on the degree to which 222) are spaced from each other.

예를 들어, 외부에서 진입되는 거치대가 슬라이딩 레일(221)에 삽입된 상태에서 돌기(222b)와 돌기(222b) 사이(또는 홈(222a)과 홈(222a) 사이)에 거치대(230)가 위치함으로써 양 옆의 돌기(222b)에 의해 거치대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한하여 거치대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돌기(222b)를 지나 거치대를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외력을 가해 돌기(222b)를 넘어 다른 돌기(222b)와 돌기(222b) 사이(또는 홈(222a)과 홈(222a) 사이)에 거치대를 위치시키면 된다.For example, the cradle 230 is positioned between the protrusion 222b and the protrusion 222b (or between the groove 222a and the groove 222a) while the cradle entering from the outside is inserted into the sliding rail 221. By limiting the sliding movement of the cradle by the projections 222b on both sides, the position of the cradle can be fixed. To slide the cradle past the protrusion 222b, apply an external force to place the cradle between the other protrusion 222b and the protrusion 222b (or between the groove 222a and the groove 222a) beyond the protrusion 222b. do.

또 다른 예로, 홈(222a)과 돌기(222b) 사이의 공간에 거치대를 위치시킴으로써 거치대를 고정시킬 수 있다. 거치대의 슬라이딩 이동이 필요한 경우에는 외력을 가해 슬라이딩 레일(221)에 스탑퍼(222)가 없는 공간(돌기(222b)와 돌기(222b) 사이의 공간, 또는 홈(222a)과 홈(222a) 사이의 공간)을 따라 거치대(230)를 이동시킨 후, 다른 홈(222a)과 돌기(222b) 사이의 공간에 거치대를 위치시킴으로써 거치대를 고정시킬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cradle may be fixed by placing the cradle in the space between the groove 222a and the protrusion 222b. When sliding movement of the cradle is required, a space without a stopper 222 on the sliding rail 221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a space between the protrusions 222b and the protrusions 222b, or between the grooves 222a and the grooves 222a) After moving the cradle 230 along the space of the, the cradle can be fixed by placing the cradle in the space between the other grooves 222a and the protrusions 222b.

이하에서는 슬라이딩 거치부(220)를 거치시킬 수 있는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에 거치된 영상표시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cradle capable of mounting the sliding cradle 220 and an image display device mounted on the cradle will be described.

도 4a 내지 도 4c는 영상표시장치(200)를 거치대(230)에 거치시켜 슬라이딩 이동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4A to 4C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 structure in which the image display device 200 is mounted on the cradle 230 and slidingly moved.

거치대(230)는 적어도 일부가 외부에서 슬라이딩 레일(221)에 진입되어 상기 슬라이딩 거치부(220)와 결합된다. 거치대(230)는 영상표시장치(200)를 거치시키고자 하는 임의의 결합면에 고정되된다. 영상표시장치(200)는 상기 거치대(230)에 슬라이딩 거치부(220)를 결합시킴으로써 거치시키고자 하는 결합면에 거치될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cradle 230 enters the sliding rail 221 from the outside and is coupled to the sliding cradle 220. The cradle 230 is fixed to an arbitrary coupling surface to mount the image display device 200. The image display device 200 may be mounted on a coupling surface to be mounted by coupling the sliding mounting portion 220 to the mounting base 230.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230)는 슬라이딩 거치부(2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레일(22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거치대(230)가 임의의 결합면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슬라이딩 레일(221)을 따라 이동하면, 영상표시장치는 슬라이딩 거치부(220)의 곡률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4A to 4C, the cradle 230 may be slidably moved along the sliding rail 221 while being coupled to the sliding cradle 220. When the cradle 230 moves along the sliding rail 221 in a state where it is fixed to an arbitrary coupling surface, the image display device may slide along the curvature of the sliding cradle 220.

이하에서는 영상표시장치(200)를 결합면에 거치시키기 위한 거치대(230)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holder 230 for mounting the image display device 200 on the coupling surface will be described.

도 5는 영상표시장치(200)와 결합되는 거치대(230)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cradle 230 coupled with the image display device 200.

거치대(230)는 영상표시장치(200)를 지지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슬라이딩 레일(221)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된다. 거치대(230)는 수평면과 일정한 각을 이루는 임의의 결합면에 결합되는 결합부(230c)로부터 슬라이딩 레일(221)을 향해 연장되게 형성되는 브리지부(230a)와 상기 브리지부(230a)마다 설치되는 슬라이딩 휠(230b)을 포함한다.At least a portion of the cradle 230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sliding rail 221 to support the image display device 200. The cradle 230 is installed for each bridge portion 230a and the bridge portion 230a formed to extend toward the sliding rail 221 from the coupling portion 230c coupled to an arbitrary coupling surface forming a constant angle with the horizontal surface. It includes a sliding wheel (230b).

브리지부(230a)는 영상표시장치(200)의 지지시 균형을 유지하도록 복수개가 서로 대칭을 이루며, 결합부(230c)로부터 연장된다. 브리지부(230a)의 적어도 일부는 슬라이딩 레일(221)에 삽입되도록 슬라이딩 레일(221)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일부가 절곡될 수 있다.A plurality of bridge portions 230a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so as to maintain a balance when the image display device 200 is supported, and extend from the coupling portion 230c. At least a portion of the bridge portion 230a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sliding rail 221 to be inserted into the sliding rail 221, and accordingly, as shown in FIG. 5, at least a portion may be bent.

슬라이딩 휠(230b)은 브리지부(230a)의 단부마다 설치되어, 슬라이딩 거치부(220)가 거치대(230)에 거치되었을 때 슬라이딩 레일(221)을 따라 회전하도록 형성된다. 영상표시장치 본체(210)가 슬라이딩 거치부(220)의 곡률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 슬라이딩 휠(230b)은 슬라이딩 레일(221)의 내부에서 회전하고, 이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200)는 부드럽게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The sliding wheel 230b is installed at each end of the bridge portion 230a, and is formed to rotate along the sliding rail 221 when the sliding mount 220 is mounted on the mount 230. When the main body 210 of the image display device slides along the curvature of the sliding mounting portion 220, the sliding wheel 230b rotates inside the sliding rail 221, whereby the image display device 200 slides smoothly. Can be.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거치대(230)의 변형례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modification of the cradle 23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거치대(230)와 다른 구조의 거치대(231)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FIG. 6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cradle 230 shown in FIG. 5 and a cradle 231 having a different structure.

거치대(231)는 서로 대칭을 이루는 브리지부(231a)를 형성하도록 결합부에서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로드(231a', 231a")를 포함한다. 거치대(231)가 결합면에 결합되는 결합부(231c)는 복수의 로드(231a', 231a")가 교차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복수의 로드(231a', 231a")는 로드(231a')와 로드(231a")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교차점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cradle 231 includes a plurality of rods 231a' and 231a" which are disposed to intersect each other at the coupling portion to form a bridge portion 231a that is symmetrical to each other. The portion 231c may be formed by crossing a plurality of rods 231a' and 231a", so that the plurality of rods 231a' and 231a" are angles between the rods 231a' and the rods 231a". It can be formed to be rotatable around the intersection so that it is possible to adjust.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미도시)의 후면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슬라이딩 거치부(220) 사이의 거리가 다른 영상표시장치라도 로드들(231a', 231a") 사이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영상표시장치와 결합될 수 있는 범용성을 갖는다.The angle between the rods 231a' and 231a" may be adjusted even if the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sliding mounts 220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rear surface of the image display device (not shown) by this structure. By controlling, it has versatility that can be combined with various video display devices.

도 7은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거치대(230)와 결합되어 벽에 거치된 영상표시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7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n image display device mounted on a wall in combination with the cradle 230 shown in FIGS. 5 to 6.

거치대(230, 231)는 임의의 결합면인 벽에 결합되고, 영상표시장치(200)는 슬라이딩 거치부(220)가 거치대(230)에 거치된다.The cradles 230 and 231 are coupled to a wall that is an arbitrary coupling surface, and the sliding display 220 is mounted on the cradle 230 of the image display device 200.

슬라이딩 거치부(220)는 슬라이딩 휠(231b, 도 5 내지 도 6 참조)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휠이 걸리는 걸림부(223)를 구비할 수 있으며, 거치대(230, 231)의 슬라이딩 휠은 슬라이딩 거치부(220)에 삽입된다.The sliding mounting portion 220 may include a locking portion 223 on which the sliding wheel is applied so as to prevent departure of the sliding wheel 231b (see FIGS. 5 to 6 ), and the sliding wheels of the mounting plates 230 and 231 It is inserted into the sliding mounting portion 220.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거치대(230, 231)와 다른 구조의 거치대(232) 및 이를 이용하여 거치되는 영상표시장치를 설명한다.Hereinafter, the holders 232 having a different structure from the holders 230 and 231 illustrated in FIGS. 5 to 6 and an image display device mounted using the holders will be described.

도 8은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거치대(230)와 또 다른 구조의 거치대(232)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8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the cradle 230 shown in FIGS. 5 to 6 and the cradle 232 having another structure.

거치대(232)는 복수의 로드(232a', 232a")가 결합부(232c)를 중심으로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형성되는 브리지부(232a)와 상기 브리지부(232a)의 각 단부마다 형성되는 슬라이딩 휠(232b)을 구비한다. 도 7에 도시된 거치대(232)는 도 6에 도시된 거치대(231)와 다르게 로드(232a', 232a")가 결합부(232c)에서 절곡되어 결합면과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되며, 각 단부는 절곡되어 있지 않다.The cradle 232 is a plurality of rods (232a', 232a") is a bridge portion 232a formed by being disposed to intersect with each other around the coupling portion 232c and sliding formed at each end of the bridge portion 232a It is provided with a wheel 232b. Unlike the cradle 231 shown in Fig. 6, the rod 232a', 232a" is bent at the engaging portion 232c, so that the engaging surface is constant. It extends obliquely at an angle, and each end is not bent.

거치대(230)는 영상표시장치(200)와 결합되되, 경사지게 형성되는 형상으로 인해 도 7에 도시된 구조와는 다른 구조로 결합된다. 이하에서 도 9를 참조하여 결합 구조를 설명한다.The cradle 230 is combined with the image display device 200, but is combined with a structure different from the structure shown in FIG. 7 due to the inclined shape. Hereinafter, the coupling struct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거치대(230)와 결합되어 벽에 거치된 영상표시장치(200)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9 is a side view showing the image display device 200 mounted on the wall in combination with the cradle 230 shown in FIG. 8.

거치대(230)는 결합면에 결합되고, 결합면과 일정한 각도를 이루도록 경사지게 연장되어 슬라이딩 거치부(220a, 220b)에 삽입된다. 슬라이딩 거치부(220a, 220b)는 거치대(230)에 대응하게 형성되는 슬라이딩 레일(221)과 슬라이딩 레일(221)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걸림부(223)를 구비한다.The cradle 230 is coupled to the coupling surface, and is extended obliquely to form a constant angle with the coupling surface and is inserted into the sliding mounting portions 220a and 220b. The sliding mounting portions 220a and 220b include a sliding rail 221 formed corresponding to the mounting base 230 and a locking portion 223 cover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liding rail 221.

걸림부(223)도 거치대(230)와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거치대(230)가 슬라이딩 거치부(220)에 삽입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고, 슬라이딩 거치부(220)에 삽입되는 거치대(230)의 이탈을 방지한다.The engaging portion 223 is also formed to be inclined to correspond to the cradle 230 to form a space where the cradle 230 can be inserted into the sliding cradle 220, and detachment of the cradle 230 inserted into the sliding cradle 220 To prevent.

도 10a 내지 도 10c는 벽에 거치된 영상표시장치(200)를 곡면형 디스플레이부의 곡률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구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10A to 10C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 structure in which the image display device 200 mounted on a wall is slidably moved along a curvature of a curved display unit.

영상표시장치 본체(210)가 벽에 결합된 거치대(230)에 거치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하면, 거치대(도 4a 내지 도 4c 참조)는 벽에 고정되어 있고 영상표시장치 본체(210)와 슬라이딩 거치부(220)는 곡면형 디스플레이부의 곡률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된다.When the main body 210 of the video display device slides while being mounted on the cradle 230 coupled to the wall, the cradle (see FIGS. 4A to 4C) is fixed to the wall and the video display body 210 and the sliding mount The unit 220 slides along the curvature of the curved display unit.

영상표시장치는 앞서 설명한 바에 따라 스탑퍼(222)에 의해 기설정된 위치에서 추가적인 외력이 가해지기 전까지 이동된 위치가 고정될 수 있으며, 반대로 외력을 가해 이동된 위치에서 초기의 위치까지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In the video display device, the moved position can be fixed until an additional external force is appli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by the stopper 222 as described above, and on the contrary,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slide the moved position to the initial position. have.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영상표시장치(200)는 특히, 영상표시장치 본체(210)의 전면과 후면이 모두 곡면형 디스플레이부와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고, 슬라이딩 거치부(220)도 그와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어 영상표시장치(200)가 상기 곡률에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In particular, the video display device 200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the same curvature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video display body 210 as the curved display unit, and the sliding mounting unit 220 also has the same curvature. It is forme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mage display device 200 can be slidingly moved according to the curvature.

커브드 영상표시장치(200)는 시청자가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시청하는 초점으로부터 곡면형 디스플레이부의 각 위치까지의 거리가 일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구조를 통해 초점으로부터 영상표시장치를 응시하는 방향 변화에 맞추어 영상표시장치(200)를 슬라이딩 이동시킴으로써 변화된 방향으로부터의 일정한 거리를 유지시킬 수 있다.The curved image display device 200 may have a constant distance from a focus where a viewer views an image output from the display unit to each position of the curved display unit, and through the structure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 video display apparatus from the focus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changed direction by sliding the image display device 200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direction of staring.

도 11은 거치대(230)가 벽에 결합된 지점을 중심으로 영상표시장치(200)를 회전시키는 구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11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the cradle 230 rotates the image display device 200 around a point coupled to a wall.

거치대(230)는 영상표시장치를 지지하기 위해 임의의 결합면에 결합된다. 거치대(230)가 임의의 결합면과 결합되는 결합부(230c, 도 5 참조)는 대칭구조를 갖는 거치대(230)의 가운데 부분으로, 회전축을 형성할 수 있다.The cradle 230 is coupled to an arbitrary coupling surface to support the image display device. The coupling portion 230c, in which the cradle 230 is coupled to an arbitrary coupling surface, is a central portion of the cradle 230 having a symmetrical structure, and may form a rotation axis.

거치대(230)는 결합부에 의해 형성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영상표시장치는 거치대(230)에 거치되어 거치대(23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200)는 스탑퍼(222)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되므로, 영상표시장치(200)의 회전과 슬라이딩 이동은 서로 독립적일 수 있다.The cradle 230 may rotate around a rotation axis formed by the coupling portion, and the image display device may be mounted on the cradle 230 and rotat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cradle 230. Since the position of the video display device 200 is fixed by the stopper 222, rotation and sliding movement of the video display device 200 may be independent of each other.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련된 영상표시장치(300)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12 and 13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 video display device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영상표시장치는 본체(310)와 슬라이딩 거치부(320)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324)를 포함하고, 슬라이딩 거치부(320) 중 적어도 하나는 힌지부(324)에 의해 본체(310)와 연결된다. 따라서, 어느 하나의 슬라이딩 거치부(320a)는 영상표시장치 본체(310)의 후면에 부착되고, 다른 하나의 슬라이딩 거치부(320b)는 본체(310)에 힌지 연결되어 커브드 영상표시장치(300)를 스탠드형과 벽걸이형으로 선택에 의해 전환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The image display device includes a hinge part 324 rotatably connecting the main body 310 and the sliding mount part 320, and at least one of the sliding mount parts 320 is provided by the hinge part 324 to the main body 310. ). Therefore, any one of the sliding mounting portions 320a is attached to the rear of the main body 310 of the image display device, and the other sliding mounting portion 320b is hinged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310 to provide a curved image display device 300. ) Can be switched between the stand type and the wall type.

연결부(325)는 힌지부(324)와 슬라이딩 거치부(320)를 연결하며, 커브드 영상표시장치(300)가 스탠드형으로 전환되었을 때 영상표시장치를 지지하는 기둥의 역할을 한다. 슬라이딩 거치부(320)는 영상표시장치 본체(310)를 서로 평행하지 않은 임의의 결합면들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거치시키도록 힌지부(324)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결합면들을 마주한다.The connection portion 325 connects the hinge portion 324 and the sliding mounting portion 320, and serves as a pillar supporting the image display device when the curved image display device 300 is converted into a stand type. The sliding mounting portion 320 rotates around the hinge portion 324 so as to selectively mount the image display device body 310 on any one of arbitrary coupling surfaces that are not parallel to each other, so as to face the coupling surfaces.

슬라이딩 거치부(320)의 회전범위는 본체(310)의 하단과 본체(310)의 후면 사이일 수 있으며, 슬라이딩 거치부(320)의 회전범위에 의해 커브드 영상표시장치(300)가 스탠드형에서 벽걸이형으로 또는 벽걸이형에서 스탠드형으로 전환될 수 있다.The rotation range of the sliding mounting portion 320 may be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310 and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310, and the curved image display device 300 is a stand type by the rotation range of the sliding mounting portion 320. Can be switched from wall-mounted to wall-mounted or stand-up.

도 14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영상표시장치(300)를 스탠드형에서 벽걸이형으로 변경한 것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1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at the image display device 300 shown in FIGS. 12 and 13 is changed from a stand type to a wall mount type.

슬라이딩 거치부(320)를 회전시켜 영상표시장치 본체(310)의 후면에 배치시킴으로써, 커브드 영상표시장치(300)는 벽걸이형으로 전환된다. 힌지부(324)에 의해 본체(310)와 결합되는 슬라이딩 거치부(320)만으로도 스탠드형 커브드 영상표시장치(300)는 수평면에 거치시킬 수 있는 반면, 벽걸이형으로 전환된 커브드 영상표시장치(300)는 슬라이딩 거치부(320)만으로는 결합면에 거치시킬 수 없고, 거치대(330)와 결합이 필요하다.The curved image display device 300 is converted into a wall-mounting type by rotating the sliding mounting portion 320 to be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image display device body 310. The stand-type curved image display device 300 can be mounted on a horizontal surface only by the sliding mounting portion 320 combined with the main body 310 by the hinge portion 324, while the curved image display device converted to a wall-mounted type The 300 can not be mounted on the coupling surface only with the sliding mounting portion 320, and it is necessary to engage with the mounting base 330.

본체(310)에는 슬라이딩 거치부(320)의 회전에 따라 연결부(325)가 기둥 역할을 할 때 상기 연결부(325)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지지홈(311)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홈(311)은 연결부(325)의 회전 범위를 제한할 뿐만 아니라 연결부(325)를 지지한다.A support groove 311 formed to support the connection portion 325 may be formed in the body 310 when the connection portion 325 acts as a pillar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liding mounting portion 320. The support groove 311 not only limits the rotation range of the connection portion 325 but also supports the connection portion 325.

도 15는 벽걸이형으로 변경된 영상표시장치에 거치대(330)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1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at the cradle 330 is coupled to a wall-mounted image display device.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 거치부(320)에 거치대(330)가 결합될 수 있고, 거치대(330)는 수평면과 일정한 각도를 형성하는 임의의 결합면에 결합됨으로써 영상표시장치(300)를 결합면에 거치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radle 330 may be coupled to the sliding cradle 320, and the cradle 330 is coupled to an arbitrary coupling surface forming a constant angle with the horizontal surface, thereby attaching the image display device 300 to the coupling surface. Can be mounted.

영상표시장치(300)를 슬라이딩 이동 및 회전시킬 수 있는 구조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The structure capable of sliding and rotating the image display device 300 is as described above.

이상에서 설명된 영상표시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image display device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part of each embodiment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Claims (11)

전면에 곡면형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고, 후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응하는 곡면형으로 형성되는 영상표시장치 본체;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본체의 후면과 동일한 곡률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후면에 결합되며, 상기 곡률의 연장 방향을 따라 상기 본체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거치부는,
상기 슬라이딩 거치부를 외부에서 진입되는 임의의 거치대에 탈착 가능하게 거치시키도록 상기 곡률의 연장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슬라이딩 레일; 및
상기 슬라이딩 레일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상기 거치대를 기설정된 위치에서 고정시키도록 상기 슬라이딩 레일의 기설정된 위치마다 배치되는 복수의 스탑퍼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대는 상기 본체의 이동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레일의 내부에서 회전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레일에 삽입되는 슬라이딩 휠을 구비하며, 수평면과 일정한 각을 이루는 임의의 결합면에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거치부는 상기 슬라이딩 휠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휠이 걸리는 걸림부를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딩 휠에 탈착 가능하게 거치되며,
상기 거치대는 회전축을 형성하도록 하나의 지점에서 상기 결합면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는 상기 거치대가 상기 결합면에 결합된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An image display apparatus main body having a curved display portion on the front side and a rear side formed in a curved shape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portion; And
At least a portion is formed to extend along the same curvature as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is coupled to the rear surface, and includes at least one sliding mount formed to be able to slide the body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curvature,
The sliding mounting portion,
A sliding rail formed along an extension direction of the curvature so as to detachably mount the sliding mount on an arbitrary mount entering from the outside; And
It includes a plurality of stoppers which are arranged at each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liding rail to fix the holder that is sliding on the sliding rail at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holder is provided with a sliding wheel that is inserted into the sliding rail to rotate in the interior of the sliding rail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ain body, is formed to be coupled to any coupling surface forming a constant angle with the horizontal surface,
The sliding moun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locking portion to which the sliding wheel is applied to prevent the sliding wheel from being detached, and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sliding wheel,
The holder is coupled to the engaging surface at one point to form a rotation axis,
The main body is a video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der is rotatably formed around a point coupled to the coupling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거치부는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liding mounting portion is a video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레일은 상기 거치대에 거치되도록 상기 거치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liding rail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radle so as to be mounted on the crad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적어도 일부가 서로 대칭을 이루며 상기 결합면에 결합된 지점으로부터 상기 슬라이딩 레일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각 단부에 상기 슬라이딩 휠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radle is at least partially symmetrical to each other and is formed to extend toward the sliding rail from a point coupled to the coupling surface, and the sliding wheel is coupled to each e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탑퍼들은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topper is a video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arrang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the same distan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 스탑퍼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에 형성되는 요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7,
Each stopper is provided with an uneven portion formed on the sliding rail image display devi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 스탑퍼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의 일면에 형성되는 홈과 상기 일면과 마주하는 면에 형성되는 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7,
Each stopper has a groov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liding rail and a projection display formed on a surface facing the one surface, characterized in that the video display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슬라이딩 거치부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거치부는 상기 본체를 서로 평행하지 않는 임의의 결합면들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거치시키도록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결합면들과 마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hinge portion for rotatably connecting the main body and the sliding mounting portion,
The sliding mounting portion rotates around the hinge portion so as to selectively mount the main body on any one of the arbitrary coupling surfaces that are not parallel to each other, and the image display device facing the coupling surface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거치부의 회전범위는 상기 본체의 하단과 상기 본체의 후면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The range of rotation of the sliding mount is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and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KR1020130094241A 2013-08-08 2013-08-08 Image display device KR1021305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4241A KR102130538B1 (en) 2013-08-08 2013-08-08 Image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4241A KR102130538B1 (en) 2013-08-08 2013-08-08 Image disp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7958A KR20150017958A (en) 2015-02-23
KR102130538B1 true KR102130538B1 (en) 2020-07-06

Family

ID=53046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4241A KR102130538B1 (en) 2013-08-08 2013-08-08 Image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053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3641B1 (en) 2016-05-03 2024-04-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37626A (en) * 2010-05-11 2011-11-24 Sharp Corp Flat panel display wall-hang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8685A (en) * 2009-12-31 2011-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device
KR101227644B1 (en) * 2010-08-10 2013-01-30 유상규 Rollable flexible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37626A (en) * 2010-05-11 2011-11-24 Sharp Corp Flat panel display wall-hang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7958A (en) 2015-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3921B1 (en) Image display device
US9311843B2 (en) Image display device
US9536456B2 (en) Image display device
KR102101742B1 (en) Image display device
US9801291B2 (en) Image display device
KR20120116613A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aging contents using the same
US9477265B2 (en) Image display device
KR20140109168A (en) Image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2465804B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KR102091517B1 (en) Image display device
KR102178635B1 (en) Image display device
KR102179833B1 (en) Image display device
KR20150088605A (en) Image display device
KR102091518B1 (en) Image display device
KR102130538B1 (en) Image display device
KR102251090B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thereof
KR102070280B1 (en) Image display device
KR102241289B1 (en) Display apparatus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KR101668245B1 (en) Image Display Device Controllable by Remote Controller and Operation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20160024273A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70024843A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60059842A (en) Display device
KR20160059840A (en) Display device having speaker
KR20150116283A (en) Image display device
KR20160059843A (en) Display device having spea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