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8113B1 - Planning method of forming a dental membrane for implant procedure, Computer program for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computer program thereof - Google Patents

Planning method of forming a dental membrane for implant procedure, Computer program for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computer program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8113B1
KR102128113B1 KR1020180015864A KR20180015864A KR102128113B1 KR 102128113 B1 KR102128113 B1 KR 102128113B1 KR 1020180015864 A KR1020180015864 A KR 1020180015864A KR 20180015864 A KR20180015864 A KR 20180015864A KR 102128113 B1 KR102128113 B1 KR 102128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splaying
computer program
data
b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58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96207A (en
Inventor
염문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더스덴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더스덴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더스덴탈
Priority to KR1020180015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8113B1/en
Publication of KR20190096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620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8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81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3Not used, see subgroups
    • A61C8/0004Consolidating natural teeth
    • A61C8/0006Periodontal tissue or bone regen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chanical, radiation or invasive therapies, e.g. surgery, laser therapy, dialysis or acupun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1Computer-aided simulation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5Modelling of the patient, e.g. for ligaments or b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obo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컴퓨팅 수단을 이용하여 임플란트 시술용 차폐막을 형성하기 위한 플래닝을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1) 치아 및 치조골의 구조를 나타내는 치과 영상 데이터를 수득하는 단계- 상기 치과 영상 데이터는 치아 형상 데이터와 치조골 형상 데이터, 픽스쳐가 식립될 결손치 상태 데이터를 포함함-; 2) 상기 치과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골 결손부를 포함하는 치조골 영상 및 치아 영상을 3차원적으로 표시하는 단계; 3) 상기 골 결손부를 커버하는 상태가 되도록 차폐막 메쉬 객체의 영상을 3차원적으로 표시하는 단계; 및 4) 상기 차폐막 메쉬 객체의 영상 표시 상태에 기초하여, 차폐막 메쉬의 실물을 가공하기 위한 형상 데이터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임플란트 시술용 차폐막을 형성하기 위한 플래닝 방법이 개시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providing a plan for forming a shield for implant surgery using a computing means, 1) obtaining dental image data indicating the structure of teeth and alveolar bone-the dental image data Tooth shape data, alveolar bone shape data, and defect state data to which a fixture is to be placed; 2) three-dimensionally displaying an alveolar bone image and a tooth image including a bone defect part based on the dental image data; 3) displaying an image of a shielding mesh object in three dimensions to be in a state of covering the bone defects; And 4) on the basis of the image display state of the shield mesh object, obtaining the shape data for processing the real of the shield mesh; a planning method for forming a shield film for implant surgery comprising a.

Description

임플란트 시술용 차폐막을 형성하기 위한 플래닝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그 기록매체 {Planning method of forming a dental membrane for implant procedure, Computer program for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computer program thereof}A planning method for forming a shielding film for an implant procedure and a computer program therefor, and a recording medium therefor, a computer program for the same, and a recording medium storing computer program thereof}

본 발명은 임플란트 시술용 차폐막을 형성하기 위한 플래닝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그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치조골 재생 시술에 사용되는 차폐막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차폐막 형성 작업의 편의성과 정확성을 향상시켜 주는 플래닝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그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ning method for forming a shielding film for an implant procedure and a computer program therefor, and a recording medium therefor, to improve the convenience and accuracy of the shielding film forming operation in forming the shielding film used in the alveolar bone regeneration procedure for implant placement It relates to a planning method, a computer program therefor, and a recording medium.

임플란트는 결손된 치아의 수복을 위한 보철물 지지 용도로 턱뼈 안이나 위에 픽스쳐를 식립하여 인공치아를 고정 사용하는 치과용 보철물이다. The implant is a dental prosthesis that uses an artificial tooth by fixing a fixture in or on the jawbone for the purpose of supporting a prosthesis for the restoration of a missing tooth.

임플란트 시술은 일반적으로 노령 환자에 대해 이뤄지고 있는데, 인구 노령화로 인해 치아의 기능을 상실하거나 치아결손부의 장기적인 방치로 인해 치조골이 소실되거나 그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Implants are generally performed on elderly patients, but in many cases, alveolar bones are lost or fail to function properly due to loss of teeth function due to population aging or long-term neglect of dental defects.

치아 기능만 상실된 경우에는 임플란트 시술을 통해 인공치아를 식립하여 기능을 회복할 수 있지만, 치조골이 소실된 경우에는 골 이식술을 통해 새로운 치조골을 형성시킨 후 인공치아를 식립해야 한다. If only the dental function is lost, the implant can be restored by implanting an artificial tooth. However, if the alveolar bone is lost, a new alveolar bone must be formed through bone graft and then the artificial tooth must be placed.

치조골 이식술은 입자 형태의 골 이식재를 치조골 결손부에 채워 넣고 일정 시간 동안 유지되도록 하여, 골 이식재가 치조골 결손부에 일체로 결합하는 과정을 통해 골 재생이 이뤄지도록 한다. Alveolar bone grafts fill the bone graft material in the form of particles and keep i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so that bone regeneration is achieved through the process of integrally binding the bone graft material to the alveolar bone defect.

치조골이 재생되는 과정 중에, 골 이식재가 치조골 결손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치조골 결손부 외측에 차폐막을 설치하여 골 재생공간을 확보하게 된다. 차폐막은 치조골 결손부의 내측으로 치주 연조직의 성장으로 인한 침입을 방지하는 기능을 함께 제공한다. During the process of regenerating the alveolar bone, in order to prevent the bone graft material from escaping outside the alveolar bone defect, a shielding film is installed outside the alveolar bone defect to secure a bone regeneration space. The shielding membrane provides a function of preventing invasion due to the growth of periodontal soft tissue into the inner part of the alveolar bone defect.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차폐막으로는 PTFE(polytetrafluoroethylene) 멤브레인, 콜라겐(Collagen) 멤브레인, 티타늄(Titanium) 멤브레인 등이 있다. Typical shielding membranes currently being used include PTFE (polytetrafluoroethylene) membranes, collagen membranes, and titanium membranes.

종래기술의 예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10589(2015년04월02일 등록)는 PTFE 멤브레인에 관한 기술을 제안한 바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653850(2006년11월28일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40559(2015년07월24일 등록)는 티타늄 멤브레인에 관한 기술을 제안한 바 있다. As an example of the prior art,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510589 (registered on April 02, 2015) has proposed a technology related to PTFE membran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653850 (registered on November 28, 2006), registered in Korea Patent 10-1540559 (registered on July 24, 2015) proposed a technique for a titanium membrane.

종래에 차폐막의 준비는 크게 2가지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Conventionally, preparation of the shielding film has been largely performed in two ways.

일예로, 특정 형상으로 미리 제작된 다양한 모델의 차폐막 중에서 시술 대상 환자의 치조골 결손부의 형상에 적합한 모델을 시술자가 선택하여 사용하는 방식이다. As an example, the operator selects and uses a model suitable for the shape of an alveolar bone defect of a patient to be treated from a variety of pre-made shields of a specific shape.

다른예로, 특정 형상으로 가공되지 않은 벌크 제품 형태의 차폐막 메쉬를 시술 대상 환자의 치조골 결손부의 형상에 적합하도록 커팅하고 벤딩하여 사용하는 방식이다. 벌크 제품으로서는 사각형 박판 형태의 티타늄 차폐막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시술자는 치조골 결손부의 형상 조건을 고려하여 티타늄 차폐막을 적절한 형상과 크기로 커팅하여 사용한다. As another example, a method of cutting and bending a shielding mesh in the form of a bulk product that has not been processed into a specific shape is suitable for the shape of an alveolar bone defect of a patient to be treated. As a bulk product, a titanium thin film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thin plate is generally used, and the operator cuts the titanium film into an appropriate shape and size in consideration of the shape condition of an alveolar bone defect.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식에 따르는 경우, 차폐막을 미리 모델 선택하거나 차폐막 메쉬를 커팅하여 차폐막을 준비한 이후에 환자에 대한 차폐막 설치를 시도하게 되므로, 실제 시술 과정에서 미리 준비된 차폐막의 형상 또는 크기가 시술 부위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 다른 차폐막을 새로이 준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By the way,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metho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model is selected in advance for shielding or cutting the shielding mesh to prepare the shielding, an attempt is made to install the shielding for the patient. If it is not suitable for the treatment site, there is a problem that a new shielding film needs to be prepared.

이로 인해, 기존에 준비하였던 차폐막을 사용하지 못하고 폐기하거나, 새로운 차폐막을 준비하는데 시간과 비용이 추가 소요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환자에 대한 시술 횟수가 증가할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eviously prepared shielding film cannot be used and discarded, and time and cost are additionally required to prepare a new shielding film, or in some cases, the number of procedures for the patient may increase.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0-0126700(공개일자 2010년12월02일)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10-2010-0126700 (published on December 2, 2010)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93092(등록일자 2017년10월27일)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10-1793092 (Registration Date October 27, 201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치조골 재생 시술에 사용되는 차폐막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차폐막 형성 작업의 편의성과 정확성을 향상시켜 주는 플래닝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그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a planning method and a computer program for improving the convenience and accuracy of the shielding film forming operation in forming the shielding film used in the alveolar bone regeneration procedure for implant placement, The purpose is to provide the recording medium.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컴퓨팅 수단을 이용하여 임플란트 시술용 차폐막을 형성하기 위한 플래닝을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1) 치아 및 치조골의 구조를 나타내는 치과 영상 데이터를 수득하는 단계- 상기 치과 영상 데이터는 치아 형상 데이터와 치조골 형상 데이터, 픽스쳐가 식립될 결손치 상태 데이터를 포함함-; 2) 상기 치과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골 결손부를 포함하는 치조골 영상 및 치아 영상을 3차원적으로 표시하는 단계; 3) 상기 골 결손부를 커버하는 상태가 되도록 차폐막 메쉬 객체의 영상을 3차원적으로 표시하는 단계; 및 4) 상기 차폐막 메쉬 객체의 영상 표시 상태에 기초하여, 차폐막 메쉬의 실물을 가공하기 위한 형상 데이터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임플란트 시술용 차폐막을 형성하기 위한 플래닝 방법이 개시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s a method of providing a plan for forming a shield for implant surgery using a computing means, 1) to obtain dental image data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teeth and alveolar bone Step-The dental image data includes tooth shape data, alveolar bone shape data, and defect state data in which the fixture is to be placed; 2) three-dimensionally displaying an alveolar bone image and a tooth image including a bone defect part based on the dental image data; 3) displaying an image of a shielding mesh object in three dimensions to be in a state of covering the bone defects; And 4) on the basis of the image display state of the shield mesh object, obtaining the shape data for processing the real of the shield mesh; a planning method for forming a shield film for implant surgery comprising a.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2단계에서, 픽스쳐의 식립 위치 및 방향을 나타내는 픽스쳐 객체 영상을 상기 치조골 영상 및 치아 영상과 함께 표시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다. Preferably, in the second step, the step of displaying the fixture object image indicating the placement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fixture together with the alveolar bone image and the tooth image; is further configured to include.

바람직하게, 상기 3단계는, 31) 평면 형태의 차폐막 메쉬 기초 객체를 표시하는 단계; 및 32) 상기 차폐막 메쉬 기초 객체를 상기 치과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벤딩 처리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Preferably, the third step includes: 31) displaying a shield-shaped mesh base object in a planar form; And 32) displaying the shielding mesh base object by bending processing based on the dental image data.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32단계 이후에, 33) 벤딩 처리된 상태의 상기 차폐막 메쉬 기초 객체에 인접치와의 저촉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Preferably,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fter the 32nd step, 33) displaying a contact area with an adjacent value on the shielded mesh base object in a bent state.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33단계 이후에, 34) 상기 차폐막 메쉬 기초 객체로부터 상기 저촉 영역이 커팅 처리된 차폐막 메쉬 객체의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다. Preferably,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33 step, 34) displaying the image of the shielding mesh object in which the contact area is cut from the shielding mesh base object.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32단계에서, 상기 차폐막 메쉬 기초 객체를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벤딩 처리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in the step 32, the shielding mesh base object is characterized by displaying the bending process based on a user input.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32단계에서, 상기 차폐막 메쉬 기초 객체를 상기 골 결손부를 포함하는 치조골 형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벤딩처리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step 32, the shielding mesh base object is automatically displayed by bending processing based on alveolar bone shape data including the bone defect.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32단계에서, 상기 차폐막 메쉬 기초 객체를 상기 골 결손부를 포함하는 치조골 형상 데이터와 상기 골 결손부에 채워진 골 이식재 형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벤딩처리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step 32, the shielding mesh base object is displayed by bending processing based on alveolar bone shape data including the bone defect portion and bone graft material data filled in the bone defect portion.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34단계에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저촉 영역에 대한 커팅 처리를 실행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step 34, a cutting process for the touch area is executed and displayed based on a user input.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34단계에서, 상기 저촉 영역의 위치 및 크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저촉 영역에 대한 커팅 처리를 자동으로 실행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step 34, a cutting process for the contact area is automatically executed and displayed based on the position and size data of the contact area.

바람직하게, 상기 4단계에서, 상기 형상 데이터는 상기 3단계에서 3차원적으로 표시된 차폐막 메쉬 객체를 평면 매쉬 형태로 펼친 상태의 외곽선 형상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in step 4, the shape data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outline shape data in a state in which a shield mesh object 3D displayed in step 3 is expanded in a flat mesh shape.

바람직하게, 상기 4단계에서, 상기 형상 데이터는 상기 3단계에서 3차원적으로 표시된 차폐막 메쉬 객체를 3D 프린터로 출력 가능하도록 하는 3차원 객체 형상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in step 4, the shape data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3D object shape data that enables a 3D printer to output a 3D printer with a shield mesh object displayed in 3D in step 3).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32단계 이후에, 33') 벤딩 처리된 상태의 상기 차폐막 메쉬 기초 객체와 인접치를 간섭 충돌된 상태로 표시하는 단계; 34') 상기 차폐막 메쉬 기초 객체의 일부가 커팅 처리된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및 35') 일부가 커팅 처리된 상태의 상기 차폐막 메쉬 기초 객체로부터 차폐막 메쉬 객체를 생성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step 32, 33') the shielding mesh base object in the bending process and the adjacent value is displayed in an interference collision state; 34') displaying an image of which a part of the shield mesh base object is cut; And 35') generating a shield mesh object from the shield mesh base object in a partially processed state to display an image.

바람직하게, 상기 34'단계에서, 상기 커팅 처리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거나 미리 설정된 자동 커팅 처리 로직에 기초하여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in the step 34', the cutting processing is performed based on user input or based on a preset automatic cutting processing logic.

본 발명의 또다른 일측면에 따르면,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상기 임플란트 시술용 차폐막을 형성하기 위한 플래닝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개시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medium is disclosed in order to execute a planning method for forming a shielding film for implantation in combination with hardware.

본 발명의 또다른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임플란트 시술용 차폐막을 형성하기 위한 플래닝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개시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is disclosed in which a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a planning method for forming a shielding film for implantation in a computer is recorded.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치조골 재생 시술에 사용되는 차폐막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차폐막 형성 작업의 편의성과 정확성을 향상시켜 주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convenience and accuracy of the shielding film forming operation in forming the shielding film used in the alveolar bone regeneration procedure for implant placement.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차폐막의 준비가 한번에 정확하게 이뤄질 수 있으므로, 차폐막이 잘못 준비되어 발생할 수 있는 시술 시간 또는 횟수 증가에 따른 환자의 불편함과 잇몸 절개 등에 따른 통증을 최소화하는 이점을 제공받는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reparation of the shielding film can be accurately performed at once, the shielding film is provided with the advantage of minimizing pain due to discomfort of the patient and incision of the gums due to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times or procedures that may occur due to incorrect preparation.

도 1은 결손치 부위에 임플란트 픽스쳐가 식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결손치 부위의 발치 홈을 나타낸 평면 모식도,
도 3은 치과 시술용 차폐막의 설치 및 제거 과정을 나타낸 단면 모식도,
도 4는 치과 시술용 차폐막의 설치 및 제거 과정을 나타낸 또다른 단면 모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차폐막을 형성하기 위한 플래닝 방법이 실행되는 컴퓨팅 수단의 모듈 구성도,
도 6은 벌크 제품 형태의 차폐막 메쉬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차폐막을 형성하기 위한 플래닝 방법이 실행되는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차폐막을 형성하기 위한 플래닝 방법에 의해 생성된 차폐막의 2차원 모식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차폐막을 형성하기 위한 플래닝 방법에 의해 생성된 차폐막의 3차원 모식도,
도 13는 환자의 치과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화면의 예시도,
도 14는 환자의 치과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픽스쳐의 식립 위치 및 방향 데이터가 설정되는 과정을 나타낸 화면의 예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implant fixture is placed on a defective portion,
Figure 2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the extraction groove of the missing portion,
Figure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and removal process of the shield for dental procedures,
Figure 4 is another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and removal process of the shield for dental procedures,
FIG. 5 is a module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mputing means in which a planning method for forming a shield for implant surg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ecuted;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hielding mesh in the form of a bulk product,
7 to 10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process of the planning method for forming the shielding film for the implant proced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chematic two-dimensional view of the shielding film produced by the planning method for forming the shielding film for implant surg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chematic three-dimensional view of a shielding film produced by a planning method for forming a shielding film for implant surg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n exemplary view of a screen for displaying dental image data of a patient,
14 is an exemplary view of a screen showing a process in which a fixture's implantation position and orientation data are set based on a patient's dental image data.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its technical spirit or main characteristics. Therefor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erely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limiting.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 When an element is said to be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본 출원에서 사용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구성요소 또는 이들의 조합이 존재하는 것을 표현하려는 것이지, 다른 구성요소 또는 특징이 존재 또는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The singular expression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es", "have", etc. are intended to express the presence of a componen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possibility that another component or feature is present or added. It is not excluded in advance.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결손치 부위에 임플란트 픽스쳐가 식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결손치 부위의 발치 홈을 나타낸 평면 모식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implant fixture is placed on a defective tooth site, and FIG. 2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ooth extraction groove at a defective tooth site.

본 실시예의 플래닝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발치 홈(4') 부위에 도 1과 같은 픽스쳐(22)가 식립된 상태를 최종적으로 얻는 과정에서 있어서, 골 결손부에 골 이식재를 식립하기 위한 차폐막의 형상 데이터를 얻기 위한 플래닝 방법이다. The planning method of this embodiment is in the process of finally obtaining the state in which the fixture 22 as shown in FIG. 1 is placed in the extraction groove 4'shown in FIG. 2, a shielding film for implanting the bone graft material in the bone defect part It is a planning method for obtaining shape data.

미설명 부호 4는 잇몸, 부호 4''는 결손 영역을 각각 나타내며, 부호 1'은 결손치의 인접치를 나타낸다. Reference numeral 4 denotes a gum, reference numeral 4'' denotes a defective region, and reference numeral 1'denotes an adjacent value of the defective value.

도 3 및 도 4는 치과 시술용 차폐막의 설치 및 제거 과정을 나타낸 단면 모식도로서, 본 실시예의 플래닝 방법은 도 3(골 손실) 또는 도 4(골 부족)에 예시된 골 이식 시술을 위한 플래닝 과정에 적용될 수 있다. 3 and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rocess of installing and removing the shield for dental procedures, the planning method of this embodiment is the planning process for the bone graft procedure illustrated in Figure 3 (bone loss) or Figure 4 (bone deficiency) Can be applied to.

도 3은 골 손실의 경우에 임플란트의 픽스쳐(22)가 치조골(2)에 식립되기 전 상태에서 골 결손부(2a)에 골 이식재(32)를 채워 넣고 골 재생이 이뤄지는 과정을 예시한 것이다. FIG. 3 illustrates a process in which a bone graft material 32 is filled with a bone graft material 2a in a state before the fixture 22 of the implant is placed in the alveolar bone 2 in the case of bone loss.

먼저, 잇몸(4)을 절개하여 치조골(2)의 골 결손부(2a)를 노출시킨다. First, the gum 4 is incised to expose the bone defect 2a of the alveolar bone 2.

다음으로, 골 이식재(32)를 골 결손부(2a)에 채워 넣는다. 부호 4a,4b는 잇몸 절개부위를 나타낸다. Next, the bone graft material 32 is filled in the bone defect part 2a. Reference numerals 4a and 4b denote gum incision sites.

골 이식재(32)가 채워진 골 결손부(2a)를 차폐막(10)으로 커버한다. 일예로, 차폐막(10)은 골 결손부(2a)의 가장자리를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커버할 수 있으면서 적절한 각도와 방향으로 벤딩 가능한 티타늄 박판 소재의 메쉬를 사용할 수 있으며, 도 12와 같이 골 결손부 특징에 맞추어 플래닝될 수 있다. The bone defect material 2a filled with the bone graft material 32 is covered with the shielding film 10. As an example, the shielding film 10 may use a mesh of a titanium thin plate material that can be bent in an appropriate angle and direction while being able to cover the entirety including the edge of the bone defect portion 2a, and the feature of the bone defect portion as shown in FIG. Can be planned to fit.

다음으로, 잇몸 절개부위(4a,4b)를 봉합한다. Next, the gum incision (4a, 4b) is closed.

이후, 골 조직의 성장속도는 개인차가 있으므로, 골 조직의 성장여부를 X-ray로 확인하여, 골 조직이 완전히 재생된 것으로 확인된 후 차폐막(10)을 제거한다. 티타늄 또는 PTFE 등의 비흡수성 차폐막의 경우, 통상적으로 치주 조직 내 삽입 후 6~12개월 사이에 제거가 이뤄지게 된다. Thereafter, since the growth rate of the bone tissue has individual differences, the growth of the bone tissue is checked by X-ray to confirm that the bone tissue is completely regenerated, and then the shielding film 10 is removed. In the case of a non-absorbent shielding film such as titanium or PTFE, removal is usually performed within 6 to 12 months after insertion into the periodontal tissue.

도 4는 골 부족의 경우에 임플란트의 픽스쳐(22)가 치조골(2)에 식립된 상태에서 골 결손부(2a)에 골 이식재(32)를 채워 넣고 골 재생이 이뤄지는 과정을 예시한 것이다. 부호 24는 임플란트 스크류 중 커버 스크류를 나타낸다. FIG. 4 illustrates a process in which a bone graft material 32 is filled with a bone graft material 2a in a state in which the fixture 22 of the implant is placed in the alveolar bone 2 in the case of bone deficiency. Reference numeral 24 denotes a cover screw among the implant screws.

먼저, 잇몸(4)을 절개하여 치조골(2)의 골 결손부(2a)를 노출시킨다. First, the gum 4 is incised to expose the bone defect 2a of the alveolar bone 2.

다음으로, 커버 스크류(24)를 픽스쳐(22)로부터 분리하고, 골 이식재(32)를 골 결손부(2a)에 채워 넣는다. 부호 4a,4b는 잇몸 절개부위를 나타낸다. Next, the cover screw 24 is removed from the fixture 22, and the bone graft material 32 is filled in the bone defect 2a. Reference numerals 4a and 4b denote gum incision sites.

골 이식재(32)가 채워진 골 결손부(2a)를 차폐막(10)으로 커버한다. The bone defect material 2a filled with the bone graft material 32 is covered with the shielding film 10.

다음으로, 커버 스크류(24)를 차폐막(10)에 관통시킨 상태에서 픽스쳐(22)에 고정한다. Next, the cover screw 24 is fixed to the fixture 22 in a state that penetrates the shielding film 10.

다음으로, 잇몸 절개부위(4a,4b)를 봉합한다. Next, the gum incision (4a, 4b) is closed.

이후, 골 조직이 완전히 재생된 것으로 확인된 후 차폐막(10)을 제거한다. Thereafter, after confirming that the bone tissue has been completely regenerated, the shielding film 10 is removed.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차폐막을 형성하기 위한 플래닝 방법이 실행되는 컴퓨팅 수단의 모듈 구성도이다. 5 is a module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mputing means in which a planning method for forming a shield for implant surg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ecuted.

본 실시예의 컴퓨팅 수단(1000)은 치과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치조골 영상 및 치아 영상을 생성 및 표시하고, 차폐막 메쉬 기초 객체에 기반하여 차폐막 메쉬 객체를 생성 및 표시하고, 이에 기반하여 임플란트 시술용 차폐막을 형성하기 위한 플래닝 정보를 제공한다. The computing means 1000 of the present embodiment generates and displays an alveolar bone image and a tooth image based on dental image data, generates and displays a shield mesh object based on the shield mesh base object, and based on this, creates a shield for implant surgery Provides planning information to form.

이러한 컴퓨팅 수단(1000)은 CPU와 메모리, 입출력 수단, 데이터저장수단을 구비한 통상의 컴퓨터를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플래닝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실행됨으로써 각각의 기능이 제공된다. The computing means 1000 may be implemented through an ordinary computer having a CPU, memory, input/output means, and data storage means, and each function is provided by executing a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the planning method of the present embodiment. .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컴퓨팅 수단(1000)은, CT(Computed Tomography:컴퓨터 단층촬영)촬영을 통해 취득한 CT 화상 및 구강 내 스캔과 같은 환자의 치과 영상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데이터 입력부(1150)와, 입력된 치과 영상 데이터를 시뮬레이션용 데이터로 변환 처리하기 위한 치과 영상 데이터 처리 모듈(1102)과, 차폐막 메쉬 객체의 영상 표시 상태에 기초하여 차폐막 메쉬의 실물을 가공하기 위한 형상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형상 데이터 처리 모듈(1104)과, 차폐막 메쉬 기초 객체에 기반하여 차폐막 메쉬 객체를 생성하고 영상 시뮬레이션 처리하기 위한 차폐막 메쉬 데이터 처리모듈(1106)과, 본 실시예의 플래닝 프로세스(차폐막 메쉬 생성을 위한 벤딩, 커팅, 표시)에 의해 차폐막 형성 플래닝을 처리하고 표시하기 위한 플래닝 모듈(1108)과, 컴퓨팅 수단(1000)의 일반적인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 모듈(1110)과, 치과 영상, 차폐막 메쉬 객체 영상, 차폐막 매쉬 기초 객체 영상, 픽스쳐 영상 및 골 이식재 영상 등을 플래닝 프로세스에 따라 화면 표시하기 위한 화면 표시 모듈(1112)과, 플래닝 결과에 대한 시뮬레이션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160)를 포함한다. To this end, the computing means 10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data input unit 1150 for inputting dental image data of a patient such as CT images and intraoral scans obtained through computed tomography (CT) imaging. Dental image data processing module 1102 for converting and processing the converted dental image data into simulation data, and shape data processing for generating shape data for processing the real of the shield mesh based on the image display state of the shield mesh object Module 1104, a shield mesh data processing module 1106 for generating a shield mesh object based on the shield mesh base object and processing image simulation, and a planning process of the present embodiment (bending, cutting, and displaying for shield mesh generation) ), a planning module 1108 for processing and displaying the shielding formation planning, a control module 1110 for controlling general operations of the computing means 1000, a dental image, a shield mesh object image, and a shield mesh mesh base object image , A display module 1112 for displaying a fixture image and a bone graft material image according to a planning process, and a display 1160 for displaying a simulation screen for the planning results.

또한, 본 실시예의 컴퓨팅 수단(1000)은, 환자의 치과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치과 영상 데이터 기억부(1120)와, 차폐막 메쉬 객체의 형상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형상 데이터 기억부(1130)와, 본 실시예의 힐링 어버트먼트 플래닝을 위한 차폐막 메쉬 기초 객체의 형상 데이터를 라이브러리 형태로 저장하기 위한 차폐막 메쉬 라이브러리 기억부(1140)를 포함한다. Further, the computing means 10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dental image data storage unit 1120 for storing dental image data of a patient, a shape data storage unit 1130 for storing shape data of a shield mesh object, And a shield mesh library storage unit 1140 for storing shape data of the shield mesh base object for the healing abutment planning of the present embodiment in a library form.

차폐막 메쉬 라이브러리 기억부(1140)에는 본 실시예의 플래닝의 기반이 되는 다양한 크기 및 규격의 실제 차폐막 메쉬 상용 제품의 형상 데이터가 저장된다. 이러한 차폐막 메쉬 상용 제품(110)은 박판 형태의 메쉬 본체(110a)에 격자형의 메쉬 홀(110b)이 다수 형성된 구조를 가지며, 그 일예가 도 6에 예시되어 있다. The shielding mesh library storage unit 1140 stores shape data of actual shielding mesh commercial products of various sizes and standards that are the basis of the planning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mmercially available shielding mesh product 110 has a structure in which a large number of lattice-shaped mesh holes 110b are formed on a thin plate-shaped mesh body 110a, an example of which is illustrated in FIG. 6.

상기 차폐막 메쉬 라이브러리에는 벌크 형태의 차폐막 메쉬 상용 제품의 소재, 두께, 홀 크기 및 갯수 등이 입력 설정된다. 도 6에 예시된 차폐막 메쉬 상용 제품의 경우, 예를 들어, 44*44 (mm)의 크기와 0.1t의 두께를 가지며, 직경 0.6 (mm) 홀이 격자형으로 배치 형성된 제품이 사용될 수 있다. In the shielding mesh library, the material, thickness, hole size and number of commercial products of bulk shielding mesh are input and set. In the case of the commercial product of the shielding mesh illustrated in FIG. 6, for example, a product having a size of 44*44 (mm) and a thickness of 0.1t, and a hole having a diameter of 0.6 (mm) arranged in a grid may be used.

차폐막 메쉬 라이브러리에 저장된 벌크 형태의 차폐막 메쉬 상용 제품들은 차폐막 메쉬 기초 객체로서 환자의 치과 영상 데이터와 동일한 실물 축척을 갖도록 컴퓨팅 수단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Commercial products in bulk form of the shield mesh stored in the shield mesh library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computing means to have the same physical scale as the patient's dental image data as the shield mesh base object.

본 실시예의 컴퓨팅 수단(1000)이 제공하는 일부 모듈의 기능은 덴츠플라이(DENTSPLY)사의 심플랜트(SimPlant), 서지케이스(SurgiCase) 등과 같은 공지의 상용제품에서 제공하는 기능과 유사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데이터 입력부(1150)와 치과 영상 데이터 처리 모듈(1102)의 기능이 이러한 기능에 해당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공지의 상용제품들은 일반적으로 치조골에 대한 픽스쳐 식립 시뮬레이션 기능을 제공하며, 공지의 서지컬가이드를 이용한 픽스쳐 식립 시뮬레이션 기능을 함께 제공한다. 일예로, 본 실시예의 컴퓨팅 수단은 이러한 상용 제품의 시뮬레이션 기능에 차폐막 메쉬의 플래닝 기능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The functions of some modules provided by the computing means 1000 of this embodiment may be understood to be similar to those provided by known commercial products, such as DENTSPLY's SimplePlant and Surge Case. . For example, the functions of the data input unit 1150 and the dental image data processing module 1102 may be regarded as corresponding to these functions. These known commercial products generally provide a fixture placement simulation function for the alveolar bone, and a fixture placement simulation function using a known surgical guide. In one example, the computing means of this embodiment may provide the planning function of the shielding mesh together with the simulation function of such a commercial product.

도 13는 환자의 치과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컴퓨팅 수단의 화면의 예시도로서, 임플란트 시술이 필요한 환자의 치아, 치조골 및 잇몸의 구조를 나타낸다. 13 is an exemplary view of a screen of a computing means for displaying dental image data of a patient, and shows the structure of teeth, alveolar bone, and gums of a patient in need of an implant procedure.

도 14는 환자의 치과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픽스쳐의 식립 위치 및 방향 데이터가 설정되는 과정을 나타낸 화면의 예시도이다. 일예로, 픽스쳐의 식립 방향 및 위치는 입력된 치과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드릴링이 가능한 범위를 컴퓨팅 수단이 3차원적으로 연산하고, 컴퓨팅 수단을 이용하여 플래닝 방법을 실행하는 사용자가 상기 드릴링 가능 범위 내에서 픽스쳐 식립 방향선(도 14의 픽스쳐 모델의 중심선)을 입력 설정하는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드릴링 가능 범위는 결손치 인접 치아와의 간섭, 신경 손상 위험성 여부 등을 공간적으로 고려하여 연산될 수 있다. 컴퓨팅 수단에 의해 자동으로 최적의 픽스쳐 식립 방향 및 위치가 설정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픽스쳐의 식립 방향 및 위치는 공지의 서지컬 가이드의 시뮬레이션과 함께 설정될 수도 있다. 14 is an exemplary view of a screen showing a process in which a fixture's implantation position and orientation data are set based on a patient's dental image data. In one example, the implantation direction and position of the fixture is based on the input dental image data, the computing means calculates a range in which drilling is possible in three dimensions, and a user who executes a planning method using the computing means is within the drillingable range. It can be set in a manner of input setting the fixture placement direction line (center line of the fixture model in FIG. 14). The drillable range can be calculated by spatially considering interference with adjacent teeth of a missing tooth and whether or not there is a risk of nerve damage. It is also possible to be configured such that the optimal fixture placement direction and position are automatically set by the computing means. In addition, the placement direction and position of the fixture may be set together with simulation of a known surgical guide.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플래닝 방법을 설명한다. The planning method of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6은 벌크 제품 형태의 차폐막 메쉬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차폐막을 형성하기 위한 플래닝 방법이 실행되는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hield mesh in the form of a bulk product, and FIGS. 7 to 10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a process in which a planning method for forming a shield for implant surg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ecuted.

S1 단계에서 컴퓨팅 수단은, 치아(1) 및 치조골(2)의 구조를 나타내는 치과 영상 데이터를 수득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치과 영상 데이터는 치아 형상 데이터와 치조골 형상 데이터, 픽스쳐가 식립될 결손치 상태 데이터를 포함한다. In step S1, the computing means obtains dental image data representing the structures of the teeth 1 and the alveolar bone 2. Preferably, the dental image data includes tooth shape data, alveolar bone shape data, and defect state data in which the fixture is to be placed.

치과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본 실시예의 데이터들은 기본적으로 3차원 공간 데이터의 형태로 마련되며, 필요에 따라 2차원 단면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The data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ing dental image data are basically provided in the form of 3D spatial data, and may be displayed as a 2D cross-sectional image if necessary.

결손치 상태 데이터는 결손치가 아직 발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결손치의 형상 데이터(이뿌리 부분 포함)와 결손치가 잇몸과 맞닿는 부분(발치 홈에 대응하는 부분)의 데이터를 수득할 수도 있고, 발치가 이뤄진 후 발치 홈의 형상 데이터를 수득할 수도 있다. In the state of the missing tooth data, it is possible to obtain data on the shape data of the missing tooth (including the root portion) and the portion where the missing tooth comes into contact with the gum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extraction groove) while the missing tooth has not yet been extracted. It is also possible to obtain groove shape data.

다음으로, S2 단계에서 컴퓨팅 수단은, 상기 치과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골 결손부(2a)를 포함하는 치조골(2) 영상 및 치아(1) 영상을 3차원적으로 표시한다. 도 7에 이러한 표시 상태가 예시되어 있다. Next, in step S2, the computing means displays the alveolar bone 2 image and the tooth 1 image three-dimensionally including the bone defect part 2a based on the dental image data. This display state is illustrated in FIG. 7.

바람직하게, 상기 S2단계에서는, 픽스쳐의 식립 위치 및 방향을 나타내는 픽스쳐 객체(22) 영상을 상기 치조골(2) 영상 및 치아(1) 영상과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픽스쳐 객체(22) 영상은 예를 들어, 도 4의 (a)와 같은 상태의 영상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실제 화면예로서 도 14와 같이 표시될 수 있다. 픽스쳐 객체(22) 영상은 일예로, 도 4와 같은 골 부족 발생 시의 골 이식 시술 과정에서의 차폐막 플래닝을 위해 표시될 수 있다. Preferably, in the step S2, the fixture object 22 image indicating the placement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fixture may be displayed together with the alveolar bone 2 image and the tooth 1 image. The image of the fixture object 22 may be understood as, for example, an image in a state as shown in FIG. 4A, and may be displayed as an example of an actual screen. The image of the fixture object 22 may be displayed, for example, for shielding film planning during a bone graft procedure when a bone deficiency occurs as shown in FIG. 4.

다음으로, S3 단계에서 컴퓨팅 수단은, 상기 골 결손부(2a)를 커버하는 상태가 되도록 차폐막 메쉬 객체(10)의 영상을 3차원적으로 표시한다. 도 10에 이러한 표시 상태가 예시되어 있다. Next, in step S3, the computing means displays the image of the shielding mesh object 10 in three dimensions to be in a state of covering the bone defect part 2a. The display state is illustrated in FIG. 10.

상기 S3단계는 다음과 같은 상세 구성으로 이뤄질 수 있다. The step S3 may be made of the following detailed configuration.

S31 단계에서 컴퓨팅 수단은, 평면 형태의 차폐막 메쉬 기초 객체(110)를 표시한다(도 7의 부호 110의 상태). In step S31, the computing means displays the shield-shaped mesh-based object 110 in a planar form (state 110 of FIG. 7).

S32 단계에서 컴퓨팅 수단은, 상기 차폐막 메쉬 기초 객체(110)를 상기 치과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벤딩 처리하여 표시한다(도 9의 부호 110과 같이 벤딩된 상태). In step S32, the computing means displays the shielding mesh base object 110 by bending processing based on the dental image data (bending state as shown by reference numeral 110 in FIG. 9).

일예로, 상기 S32단계에서, 상기 차폐막 메쉬 기초 객체(11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벤딩 처리하여 표시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 입력은 컴퓨팅 수단의 일반적인 사용자 콘솔을 통해 이뤄질 수 있다. For example, in step S32, the shielding mesh base object 110 may be displayed by the bending process based on a user input. In one example, user input may be through a common user console of the computing means.

다른예로, 상기 S32단계에서, 상기 차폐막 메쉬 기초 객체(110)는 상기 골 결손부(2a)를 포함하는 치조골 형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벤딩처리하여 표시될 수 있다. 일예로, 자동 벤딩처리는 3차원 공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차폐막 메쉬 기초 객체(110)가 치조골(2)의 두께와 상부면(결손치 영역을 덮는 면)의 크기를 고려하여 벤딩 부분의 곡률이 연산되고, 상기 차폐막 메쉬 기초 객체(110)가 치조골(2)의 내측 표면 및 외측 표면에 면접촉되는 상태를 이루도록 3차원 벤딩 형상을 자동 산출하는 방식으로 이뤄질 수 있다. 이러한 3차원 모델링 데이터 생성 과정은 공지의 모델링 데이터 처리 기술을 이용하여 이뤄질 수 있으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As another example, in step S32, the shielding mesh base object 110 may be automatically displayed by bending processing based on alveolar bone shape data including the bone defect portion 2a. In one example, the automatic bending process is based on three-dimensional spatial data, and the curvature of the bending part takes into account the thickness of the alveolar bone 2 and the size of the upper surface (the surface covering the defective tooth area) of the shielding mesh base object 110. It is calculated, and the shielding mesh base object 110 may be formed in a manner of automatically calculating a three-dimensional bending shape so as to form a surface contact state with the inn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alveolar bone 2. Since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3D modeling data can be performed using a known modeling data processing techniqu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한편, 상기 S32단계에서, 상기 차폐막 메쉬 기초 객체(110)는 상기 골 결손부(2a)를 포함하는 치조골 형상 데이터와 상기 골 결손부(2a)에 채워진 골 이식재 형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벤딩처리하여 표시될 수 있다. 골 이식재(32)는 예를 들어, 도 3의 (c) 또는 도 4의 (c)와 같은 상태로 골 결손부(2a)에 채워질 수 있다. 골 이식재(32)가 골 결손부(2a)에 채워진 상태로 플래닝 조건을 설정하여 골 이식재 형상 데이터를 산출하고, 이에 기초하여 벤딩처리를 하는 경우, 상기 차폐막 메쉬 기초 객체(110)의 벤딩 부분의 곡률이 더욱 실제 시술 상태에 가깝게 산출될 수 있다. 일예로, 골 이식재(32)가 골 결손부(2a)에 채워진 상태로 플래닝 조건을 설정하는 것은 사용자 입력에 의해 이뤄질 수 있으며, 골 이식재의 충진량 등을 사용자가 원하는 충진량이 되도록 설정 입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n step S32, the shielding mesh base object 110 is bent and displayed based on the bone graft shape data including the bone defect portion 2a and the bone graft shape data filled in the bone defect portion 2a. Can be. The bone graft material 32 may be filled in the bone defect portion 2a,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c) or FIG. 4(c). When the bone graft material 32 is filled in the bone defect part 2a, the planning condition is set to calculate the bone graft material shape data, and when bending is performed based on this, the bending part of the shield mesh base object 110 The curvature can be calculated closer to the actual state of the procedure. As an example, setting the planning condition in a state where the bone graft material 32 is filled in the bone defect part 2a may be accomplished by user input, and configured to input the filling amount of the bone graft material so that the user desires the filling amount. It might be.

S33 단계에서 컴퓨팅 수단은, 벤딩 처리된 상태의 상기 차폐막 메쉬 기초 객체(110)에 인접치(1')와의 저촉 영역(C)을 표시한다. 저촉 영역(C)은 벤딩 처리된 판 형상을 갖는 상기 차폐막 메쉬 기초 객체(110)의 공간 데이터 중에서 인접치(1')의 공간 데이터와 저촉되는 부분을 영역의 판 형상의 전체 영역 중에서 구분하여 표시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In step S33, the computing means displays the contact area C with the adjacent value 1 ′ on the shielding mesh base object 110 in a bent state. The contact area (C) is divided into spatial data of the adjacent value (1') among the spatial data of the shielding mesh base object (110) having a bending plate shape, and is displayed by dividing it from the entire area of the plate shape of the area. It can be understood as.

S34 단계에서 컴퓨팅 수단은, 상기 차폐막 메쉬 기초 객체(110)로부터 상기 저촉 영역(C)이 커팅 처리된 차폐막 메쉬 객체(10)의 영상을 표시한다(도 10의 부호 10과 같이 커팅된 상태). In step S34, the computing means displays an image of the shield mesh object 10 in which the contact area C is cut from the shield mesh base object 110 (a state of being cut a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10 in FIG. 10 ).

일예로, 상기 S34단계에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저촉 영역에 대한 커팅 처리가 실행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커팅 처리를 표시 영상 내에서 그래픽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커팅 툴을 그래픽 메뉴 형태로 화면 제공하고, 커팅 툴에 의해 커팅이 이뤄지고 있는 커팅부 선을 상기 차폐막 메쉬 기초 객체(110) 상에 그래픽 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step S34, a cutting process for the touch area may be performed and displayed based on a user input. To this end, a cutting tool for graphically processing the cutting process within a display image is provided on the screen in the form of a graphic menu, and the cutting part line, which is being cut by the cutting tool, is graphically displayed on the shielding mesh base object 110. Can be displayed as

다른예로, 상기 S34단계에서, 상기 저촉 영역의 위치 및 크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저촉 영역에 대한 커팅 처리가 자동으로 실행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자동 커팅 처리는 예를 들어, 상기 차폐막 메쉬 기초 객체(110)로부터 미리 설정된 커팅 여유치를 고려하여 상기 저촉 영역보다 더 큰 영역을 커팅될 영역으로 자동 산출하여 커팅 처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차폐막의 커팅 부위에 날카롭거나 뾰족한 부분이 있으면 실제 시술 시에 환자의 잇몸에 상처를 줄 수 있으므로, 차폐막 메쉬의 홀(110b) 부분 중간을 가로지르는 커팅이 발생하지 않도록 미리 커팅 조건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라운딩 처리를 고려하여 자동 커팅 처리가 이뤄지도록 커팅 조건이 설정될 수도 있다. As another example, in step S34, a cutting process for the contact area may be automatically executed and displayed based on the position and size data of the contact area. For example, the automatic cutting process may be configured to automatically calculate an area larger than the contact area as the area to be cut in consideration of a preset cutting allowance from the shielding mesh base object 110 to be cut. At this time, if there is a sharp or pointed portion of the cutting portion of the shielding film, the cutting condition should be avoided in advance to avoid cutting across the middle of the hole 110b portion of the shielding mesh, since it may hurt the patient's gums during the actual procedure. Can be set. In addition, cutting conditions may be set so that an automatic cutting process is per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rounding process.

한편, 다른예로서, 상기 S32단계 이후에 다음과 같이 플래닝 과정이 구성될 수도 있다. Meanwhile, as another example, a planning process may be configured as follows after step S32.

S33' 단계에서 컴퓨팅 수단은, 벤딩 처리된 상태의 상기 차폐막 메쉬 기초 객체(110)와 인접치(1')를 간섭 충돌된 상태로 표시한다. 간섭 충돌된 상태란, 객체 상호 간에 공간적으로 중첩되지 않도록 상호 간섭되는 부분이 상호 충돌된 상태로 표시한 것을 말한다. 이러한 방식을 취하는 경우, 실제 오프 라인 상의 시술 과정과 더욱 유사한 플래닝 과정을 사용자가 체험할 수 있다. In step S33', the computing means displays the shielding mesh base object 110 and the adjacent value 1'in a state of being collided by bending. The interference-collision state means that parts that interfere with each other are displayed in a collision state so that they do not overlap each other spatially. In this way, the user can experience a planning process that is more similar to an actual offline procedure.

S34' 단계에서 컴퓨팅 수단은, 상기 차폐막 메쉬 기초 객체(110)의 일부가 커팅 처리된 영상을 표시한다. In step S34', the computing means displays an image in which a part of the shielding mesh base object 110 is cut.

이때, 상기 커팅 처리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거나 미리 설정된 자동 커팅 처리 로직에 기초하여 실행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utting process may be executed based on user input or based on a preset automatic cutting processing logic.

S35' 단계에서 컴퓨팅 수단은, 일부가 커팅 처리된 상태의 상기 차폐막 메쉬 기초 객체(110)로부터 차폐막 메쉬 객체(10)를 생성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In step S35', the computing means generates a shield mesh object 10 from the shield mesh base object 110 in a partially processed state to display an image.

차폐막 메쉬 객체(10)는 도 10에 표시된 것처럼 치조골(2)의 상부면을 감싸면서 인접치(1')와의 간섭이 이뤄지지 않는 외형선(10a,10b,10c,10d)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골 결손부(2a)에 충진된 골 이식재(32)가 외부로 새어 나오지 않도록 인접치(1') 형상을 고려한 돌출부(10a) 또는 오목부(미도시) 등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The shielding mesh object 10 may be formed to have an outline 10a, 10b, 10c, and 10d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adjacent teeth 1'while surrounding the upper surface of the alveolar bone 2 as shown in FIG. 10. , It may be formed to have a protrusion (10a) or recess (not shown) in consideration of the shape of the adjacent tooth (1') so that the bone graft material (32) filled in the bone defect (2a) does not leak out.

다음으로, S4 단계에서 컴퓨팅 수단은, 상기 차폐막 메쉬 객체(10)의 영상 표시 상태에 기초하여, 차폐막 메쉬의 실물을 가공하기 위한 형상 데이터를 수득한다. Next, in step S4, the computing means obtains shape data for processing the real object of the shielding mesh based on the image display state of the shielding mesh object 10.

일예로, 상기 형상 데이터는 상기 S3단계에서 3차원적으로 표시된 차폐막 메쉬 객체(10)를 평면 매쉬 형태로 펼친 상태의 외곽선 형상 데이터일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차폐막을 형성하기 위한 플래닝 방법에 의해 생성된 차폐막의 2차원 모식도로서, 차폐막 메쉬 객체(10)를 평면 매쉬 형태로 펼친 상태를 예시한다(x-y 좌표 데이터). 이러한 2차원 형상 데이터는 시술자가 평판 형태의 실제 메쉬 상용 제품을 커터로 절단하여 차폐막을 제작하기 위한 형상 데이터로서 사용자에게 제공되거나 커팅 머신의 가공 데이터로 제공될 수 있다. 일예로, 2차원 형상 데이터는 일반 프린터를 통해 종이에 인쇄 출력되어 사용자가 수작업으로 커팅 시에 메쉬 상용 제품에 부착하는 종이 본(本)으로 사용되도록 하거나, 시트 형태의 메쉬 상용 제품에 직접 인쇄 출력되어 사용자가 직접 출력 내용에 따라 수작업으로 커팅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hape data may be outline shape data in a state in which the shield mesh object 10 displayed in three dimensions in the step S3 is expanded in a flat mesh shape. FIG. 11 is a two-dimensional schematic view of a shielding film generated by a planning method for forming a shielding film for implant surg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shielding mesh object 10 is expanded in a flat mesh form (xy Coordinate data). The two-dimensional shape data may be provided to the user as shape data for a practitioner to manufacture a shielding film by cutting an actual mesh commercial product in the form of a flat plate with a cutter or may be provided as processing data of a cutting machine. For example, the 2D shape data is printed and printed on paper through a general printer so that the user can manually use it as a paper main body attached to a mesh commercial product when cutting, or directly print and output to a sheet commercial mesh product. It can be configured to be cut manually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output content.

다른예로, 상기 형상 데이터는 상기 3단계에서 3차원적으로 표시된 차폐막 메쉬 객체(10)를 3D 프린터로 출력 가능하도록 하는 3차원 객체 형상 데이터일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차폐막을 형성하기 위한 플래닝 방법에 의해 생성된 차폐막의 3차원 모식도로서, 차폐막 메쉬 객체(10)를 3D 프린터로 출력 가능하도록 3차원 객체 형상 데이터로 생성한 상태를 예시한다(x-y-z 좌표 데이터). 이러한 3차원 형상 데이터는 사용자가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차폐막을 프린팅 제작하기 위한 가공 데이터로 제공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shape data may be 3D object shape data that enables the 3D printer to output the shield mesh object 10 3D displayed in 3D. 12 is a three-dimensional schematic diagram of a shielding film generated by a planning method for forming a shielding film for implant surg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ielding mesh object 10 can be output to a 3D printer with 3D object shape data The state created with is illustrated (xyz coordinate data). The 3D shape data may be provided as processing data for a user to print and manufacture a shield using a 3D printer.

본 발명의 실시예 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이를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USB 드라이브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program for performing various computer-implemented operations and a computer-readable medium recording the same.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or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media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usable to those skilled in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DVDs, and USB drives, magnetic-optical media such as floppy disks, and ROM, RAM,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flash memory, are included.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etc., as well as machine language codes produced by a compiler.

1: 치아
1': 인접치
4: 잇몸
2: 치조골
2a: 골 결손부
10: 차폐막 메쉬 객체(또는 차폐막 메쉬)
22: 픽스쳐
110: 차폐막 메쉬 기초 객체(또는 차폐막 메쉬 상용 제품)
1: teeth
1': adjacent value
4: gum
2: alveolar bone
2a: bone defect
10: shield mesh object (or shield mesh)
22: Fixture
110: shielding mesh base object (or commercially available shielding mesh product)

Claims (16)

컴퓨팅 수단의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임플란트 시술용 차폐막을 형성하기 위한 플래닝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플래닝 방법은,
1) 치아 및 치조골의 구조를 나타내는 치과 영상 데이터를 수득하는 단계- 상기 치과 영상 데이터는 치아 형상 데이터와 치조골 형상 데이터, 픽스쳐가 식립될 결손치 상태 데이터를 포함함-;
2) 상기 치과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골 결손부를 포함하는 치조골 영상 및 치아 영상을 3차원적으로 표시하는 단계;
3) 상기 골 결손부를 커버하는 상태가 되도록 차폐막 메쉬 객체의 영상을 3차원적으로 표시하는 단계; 및
4) 상기 차폐막 메쉬 객체의 영상 표시 상태에 기초하여, 차폐막 메쉬의 실물을 가공하기 위한 형상 데이터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3단계는,
31) 평면 형태의 차폐막 메쉬 기초 객체를 표시하는 단계;
32) 상기 차폐막 메쉬 기초 객체를 상기 치과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벤딩 처리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33) 벤딩 처리된 상태의 상기 차폐막 메쉬 기초 객체에 인접치와의 저촉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for executing a planning method for forming a shield for implant surgery in combination with hardware of a computing means,
The planning method,
1) Obtaining dental image data indicating the structure of the teeth and alveolar bones, wherein the dental image data includes tooth shape data, alveolar bone shape data, and defect state data from which the fixture will be placed;
2) three-dimensionally displaying an alveolar bone image and a tooth image including a bone defect part based on the dental image data;
3) displaying an image of a shielding mesh object in three dimensions so as to cover the bone defects; And
4) based on the image display state of the shielding mesh object, obtaining shape data for processing the real thing of the shielding mesh;
Step 3 above,
31) displaying the base object of the planar shielding mesh;
32) displaying the shielding mesh base object by bending processing based on the dental image data; And
33) displaying a region of contact with an adjacent tooth on the shielded mesh base object in a bent state;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computer readable mediu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에서,
픽스쳐의 식립 위치 및 방향을 나타내는 픽스쳐 객체 영상을 상기 치조골 영상 및 치아 영상과 함께 표시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According to claim 1,
In step 2 above,
And displaying a fixture object image indicating the placement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fixture together with the alveolar bone image and the tooth image; and further comprising a computer readable medium.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3단계 이후에,
34) 상기 차폐막 메쉬 기초 객체로부터 상기 저촉 영역이 커팅 처리된 차폐막 메쉬 객체의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According to claim 1,
After step 33,
34) displaying an image of the shielding mesh object in which the touch area is cut from the shielding mesh base objec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2단계에서,
상기 차폐막 메쉬 기초 객체를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벤딩 처리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According to claim 1,
In step 32 above,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computer readable medium, characterized by displaying the shielding mesh base object by the bending process based on a user inpu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2단계에서,
상기 차폐막 메쉬 기초 객체를 상기 골 결손부를 포함하는 치조골 형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벤딩처리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According to claim 1,
In step 32 above,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computer readable medium, characterized in that the shielding mesh base object is automatically bent and displayed based on the alveolar bone shape data including the bone defec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2단계에서,
상기 차폐막 메쉬 기초 객체를 상기 골 결손부를 포함하는 치조골 형상 데이터와 상기 골 결손부에 채워진 골 이식재 형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벤딩처리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According to claim 1,
In step 32 above,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characterized in that the shielding mesh base object is bent and displayed based on alveolar bone shape data including the bone defect portion and bone graft material shape data filled in the bone defect por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34단계에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저촉 영역에 대한 커팅 처리를 실행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The method of claim 5,
In step 34 above,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computer readable medium, characterized by executing cutting processing for the touch area based on a user input and displaying i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34단계에서,
상기 저촉 영역의 위치 및 크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저촉 영역에 대한 커팅 처리를 자동으로 실행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The method of claim 5,
In step 34 above,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computer readable medium, characterized by automatically executing and displaying a cutting process for the contact area based on the position and size data of the contact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4단계에서,
상기 형상 데이터는 상기 3단계에서 3차원적으로 표시된 차폐막 메쉬 객체를 평면 매쉬 형태로 펼친 상태의 외곽선 형상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According to claim 1,
In step 4 above,
The shape data is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our mesh data in a state in which the shield mesh object displayed in three dimensions in the third step is expanded in a flat mesh sh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4단계에서,
상기 형상 데이터는 상기 3단계에서 3차원적으로 표시된 차폐막 메쉬 객체를 3D 프린터로 출력 가능하도록 하는 3차원 객체 형상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According to claim 1,
In step 4 above,
The shape data is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computer readable medium, characterized in that the three-dimensional object shape data to enable the 3D printer to output the shielding mesh object 3D displayed in the 3D step.
컴퓨팅 수단의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임플란트 시술용 차폐막을 형성하기 위한 플래닝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플래닝 방법은,
1) 치아 및 치조골의 구조를 나타내는 치과 영상 데이터를 수득하는 단계- 상기 치과 영상 데이터는 치아 형상 데이터와 치조골 형상 데이터, 픽스쳐가 식립될 결손치 상태 데이터를 포함함-;
2) 상기 치과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골 결손부를 포함하는 치조골 영상 및 치아 영상을 3차원적으로 표시하는 단계;
3) 상기 골 결손부를 커버하는 상태가 되도록 차폐막 메쉬 객체의 영상을 3차원적으로 표시하는 단계; 및
4) 상기 차폐막 메쉬 객체의 영상 표시 상태에 기초하여, 차폐막 메쉬의 실물을 가공하기 위한 형상 데이터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3단계는,
31) 평면 형태의 차폐막 메쉬 기초 객체를 표시하는 단계;
32) 상기 차폐막 메쉬 기초 객체를 상기 치과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벤딩 처리하여 표시하는 단계;
33') 벤딩 처리된 상태의 상기 차폐막 메쉬 기초 객체와 인접치를 간섭 충돌된 상태로 표시하는 단계;
34') 상기 차폐막 메쉬 기초 객체의 일부가 커팅 처리된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및
35') 일부가 커팅 처리된 상태의 상기 차폐막 메쉬 기초 객체로부터 차폐막 메쉬 객체를 생성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executing a planning method for forming a shield for implant surgery in combination with hardware of a computing means,
The planning method,
1) Obtaining dental image data indicating the structure of the teeth and alveolar bones, wherein the dental image data includes tooth shape data, alveolar bone shape data, and defect state data from which the fixture will be placed;
2) three-dimensionally displaying an alveolar bone image and a tooth image including a bone defect part based on the dental image data;
3) displaying an image of a shielding mesh object in three dimensions so as to cover the bone defects; And
4) based on the image display state of the shielding mesh object, obtaining shape data for processing the real thing of the shielding mesh;
Step 3 above,
31) displaying the base object of the planar shielding mesh;
32) displaying the shielding mesh base object by bending processing based on the dental image data;
33') displaying the shielding mesh base object and an adjacent value in a state of interference collision in a bending-processed state;
34') displaying an image in which a part of the shielding mesh base object is cut; And
35')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computer readable medium, comprising: a step of generating a shield mesh object from the shield mesh base object in a partially processed state to display an imag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34'단계에서,
상기 커팅 처리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거나 미리 설정된 자동 커팅 처리 로직에 기초하여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The method of claim 13,
In step 34',
The cutting process is performed on the basis of user input or a preset automatic cutting processing logic,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삭제delete 제1항 또는 제13항의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computer program according to claim 1 or 13 is recorded.
KR1020180015864A 2018-02-08 2018-02-08 Planning method of forming a dental membrane for implant procedure, Computer program for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computer program thereof KR1021281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864A KR102128113B1 (en) 2018-02-08 2018-02-08 Planning method of forming a dental membrane for implant procedure, Computer program for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computer program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864A KR102128113B1 (en) 2018-02-08 2018-02-08 Planning method of forming a dental membrane for implant procedure, Computer program for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computer program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6207A KR20190096207A (en) 2019-08-19
KR102128113B1 true KR102128113B1 (en) 2020-06-29

Family

ID=67807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5864A KR102128113B1 (en) 2018-02-08 2018-02-08 Planning method of forming a dental membrane for implant procedure, Computer program for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computer program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811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02608A (en) * 2020-02-27 2020-05-29 广州市健齿生物科技有限公司 Repair titanium mesh for alveolar bone grafting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12263358A (en) * 2020-11-13 2021-01-26 上海交通大学医学院附属第九人民医院 Personalized bone powder bone grafting guide plat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31130A (en) * 2008-12-03 2010-06-17 Univ Of Tokyo Method of manufacturing bioabsorbable three-dimensional membrane for regenerating alveolus bone
KR101703433B1 (en) * 2015-07-13 2017-02-08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of forming customized alveolar bone tissu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59114B2 (en) 2006-11-28 2013-01-22 Dentsable, Inc. Haptically enabled dental modeling system
KR20130042230A (en) * 2011-10-18 2013-04-26 (주) 코웰메디 Assembly of temporary abutment or fixture for bone and skin regeneration
DE102016000236B4 (en) * 2015-01-13 2023-12-21 Reoss Gmbh Device for covering and/or reconstructing a bone defect site; Method for producing an attachment of a covering device for a bone defect site
KR101793092B1 (en) 2016-06-03 2017-11-02 이민정 Implant assembly to enhance alveolar bo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31130A (en) * 2008-12-03 2010-06-17 Univ Of Tokyo Method of manufacturing bioabsorbable three-dimensional membrane for regenerating alveolus bone
KR101703433B1 (en) * 2015-07-13 2017-02-08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of forming customized alveolar bone tissu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6207A (en) 2019-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79034B2 (en) Bracket system and method for planning and producing a bracket system for the correction of tooth malpositions
EP3013273B1 (en) A method and system for the manufacturing of an oral template from a 3d digital data
CA2883556C (en) An improved virtual splint
KR102067614B1 (en) Methods, apparatus, and computer plates for planning implant surgery
US7292716B2 (en) Medical simul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3-dimensional image display in the medical simulation apparatus
AU2013314688B2 (en) An improved surgical template
EP2877118B1 (en) Designing a dental positioning jig
JP2017006658A (en) Generating design for dental restorative product from dental images
AU2013314690A1 (en) A digital splint
KR101735783B1 (en) System and method for examining a drilling template
KR102246985B1 (en) dental implant insertion set
KR102082414B1 (en) Planning method of installation of healing abutment for implant procedure, Computer program for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computer program thereof
KR102128113B1 (en) Planning method of forming a dental membrane for implant procedure, Computer program for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computer program thereof
KR20190008686A (en) Method for designing a dental surgical guide,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Fontenele et al. Convolutional neural network‐based automated maxillary alveolar bone segmentation on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images
EP3569185B1 (en) A method for providing a dental prothesis and a positioning guide for placing the dental prothesis
EP3236879B1 (en) Using a cbct bone scan to design a dental abutment
US20210369421A1 (en) Method for designing a prosthetic element
KR102026026B1 (en) Method and System for Designing Of Prosthetics
KR20190031711A (en) Edentulous jaw surgical guid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350098B1 (en) Method for generating arch line and den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erefor
KR20200040319A (en) Customized Surgical Guide for Mandibular Chin,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Recording Medium Therefor,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for
JP4408430B2 (en) Simulation method to support dental treatment
CN113164234B (en) Method for creating a graphical representation of a dental condition
KR102146292B1 (en) Partially Customized 3D Distractor for Jaw or Skeletal Bon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Recording Medium Therefor, Manufacturing Distractor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