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8088B1 - 전자 장치의 방송 채널 정보 공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의 방송 채널 정보 공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8088B1
KR102128088B1 KR1020130140496A KR20130140496A KR102128088B1 KR 102128088 B1 KR102128088 B1 KR 102128088B1 KR 1020130140496 A KR1020130140496 A KR 1020130140496A KR 20130140496 A KR20130140496 A KR 20130140496A KR 102128088 B1 KR102128088 B1 KR 102128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hannel
user
broadcast channel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0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7309A (ko
Inventor
김장성
이성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0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8088B1/ko
Priority to US14/547,755 priority patent/US9538248B2/en
Publication of KR20150057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7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8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8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04Monitoring of content usage, e.g.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copied or the amount which has been watch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62Authorising the user terminal, e.g. by paying; Registering the use of a subscription channel, e.g. billing
    • H04N7/163Authorising the user terminal, e.g. by paying; Registering the use of a subscription channel, e.g. billing by receiver means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 H04N7/17309Transmission or handling of upstream communications
    • H04N7/17336Handling of requests in head-e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장치의 방송 채널 정보 공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정보, 위치 정보, 그리고 습관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방송 채널 정보의 공유를 요청하는 요구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 상기 요구 메시지를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네트워크 서버로 전송한 후, 상기 요구 메시지에 상응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다른 전자 장치의 방송 채널 정보를 추출하여 공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와 다른 실시 예들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의 방송 채널 정보 공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BROADCASTING CHEANNEL INFORMATION SHARING METHOD OF ELECTRONIC APPARATUS AND ELECTRONIC AP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전자 장치의 방송 채널 정보 공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방송은, 다채널 방송을 제공하는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그리고 위성파 방송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디지털 방송 사업자는,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다양한 부가 정보로서, 전자 프로그램 안내(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전자 프로그램 안내 정보는, EPG 정보로 약칭될 수 있고, 상기 EPG 정보는, 디지털 방송의 빈 주파수 대역이나 부가 채널 등을 통해 제공되며, 방송 프로그램, 방송 채널, 방송 시간, 방송 내용, 그리고 출연자 정보 등과 같은 다양한 방송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디지털 텔레비전(D-TV), 셋탑 박스(Set Top Box), 그리고 인터넷 텔레비전(IP-TV)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EPG 정보를 수신하여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고, 이후,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를 조작하여, 상기 EPG 화면 내에 디스플레이 되는 임의의 방송 프로그램 등을 검색하거나 선택하여, 시청 또는 예약 녹화 등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스마트 폰(Smart Phone) 또는 태블릿(Tablet) PC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전자 장치가,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기반의 네트워크 서버와 통신하여, 사용자(user) 정보, 위치(location) 정보, 그리고 습관(habit)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과 연관성이 있는 다른 전자 장치의 방송 채널 정보를 수신 받아 공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방송 채널 정보 공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정보, 위치 정보, 그리고 습관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방송 채널 정보의 공유를 요청하는 요구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 상기 요구 메시지를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네트워크 서버로 전송한 후, 상기 요구 메시지에 상응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다른 전자 장치의 방송 채널 정보를 추출하여 공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네트워크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 및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정보, 위치 정보, 그리고 습관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방송 채널 정보의 공유를 요청하는 요구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요구 메시지를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네트워크 서버로 전송한 후, 상기 요구 메시지에 상응하여 수신되는 응답 메시지에서 다른 전자 장치의 방송 채널 정보를 추출하여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스마트 폰 또는 태블릿 PC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제1 전자 장치를 보유한 사용자는, 자신이 보유한 다른 전자 장치의 방송 채널 정보를,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수신 받아,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방송 채널 정보로 공유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스마트 폰 또는 태블릿 PC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제1 전자 장치를 보유한 사용자는, 동일 지역 또는 허용 범위 내의 인접 지역에 위치한 다른 전자 장치의 방송 채널 정보를,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수신 받아,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방송 채널 정보로 공유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스마트 폰 또는 태블릿 PC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제1 전자 장치를 보유한 사용자는, 동일한 방송 시청 습관 또는 허용 범위 내의 유사한 방송 시청 습관을 갖는 다른 전자 장치의 방송 채널 정보를,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수신 받아,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방송 채널 정보로 공유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하드웨어의 블록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래밍 모듈의 블록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이피지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요구 메시지와 응답 메시지의 송수신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채널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채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사용자 습관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요구 메시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요구 메시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응답 메시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방송 채널 정보 공유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방송 채널 정보 공유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방송 채널 정보 공유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서버의 방송 채널 정보 공유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채널 정보와 습관 정보의 디스크립션(description)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응답 메시지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특정 실시 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으나,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부호가 사용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는, 통신 기능이 포함된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전화기(Mobile Phone), 화상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카메라(Camera),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전자 시계(Electronic Clock), 손목 시계(Wrist Watch), 스마트 가전(Smart White Appliance)(예: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인공 지능 로봇, TV,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전자 액자 등), 각종 의료기기(예: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GPS 수신기(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셋톱 박스(Set-Top Box), TV 박스(예를 들면,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전자 사전,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Electronic Equipment for Ship, 예를 들면, 선박용 항법 장치,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전자 의복, 전자 키, 캠코더(Camcorder), 게임 콘솔(Game Consoles), HMD(Head-Mounted Display), 평판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 Device), 전자 앨범, 통신 기능을 포함한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입력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또는 프로젝터(Projector) 등의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장치(100)는 버스(110),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사용자 입력 모듈(140), 디스플레이 모듈(150), 그리고 통신 모듈(1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스(110)는 전술한 구성요소들을 서로 연결하고, 전술한 구성요소들 간의 통신(예: 제어 메시지)을 전달하는 회로일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상기 버스(110)를 통해 전술한 다른 구성요소들(예: 메모리(130), 사용자 입력 모듈(140), 디스플레이 모듈(150), 통신 모듈(160) 등)로부터 명령을 수신하여, 수신된 명령을 해독하고, 해독된 명령에 따른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30)는, 상기 프로세서(120) 또는 다른 구성요소들(예: 사용자 입력 모듈(140), 디스플레이 모듈(150), 통신 모듈(160) 등)로부터 수신되거나 상기 프로세서(120) 또는 다른 구성요소들에 의해 생성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30)는, 예를 들면, 커널(131), 미들웨어(13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133) 또는 애플리케이션(134) 등의 프로그래밍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각각의 프로그래밍 모듈들은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널(131)은 나머지 다른 프로그래밍 모듈들, 예를 들면, 미들웨어(132), API(133) 또는 애플리케이션(134)에 구현된 동작 또는 기능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시스템 리소스들(예: 버스(110), 프로세서(120) 또는 메모리(130) 등)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커널(131)은 상기 미들웨어(132), API(133) 또는 애플리케이션(134)에서 전자 장치(100)의 개별 구성요소에 접근하여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미들웨어(132)는 상기 API(133) 또는 애플리케이션(134)이 커널(131)과 통신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중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들웨어(132)는 (다수의) 애플리케이션들(134)로부터 수신된 작업 요청들과 관련하여, 예를 들면, (다수의) 애플리케이션들(134) 들 중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 전자 장치(100)의 시스템 리소스(예: 버스(110), 프로세서(120) 또는 메모리(130) 등)를 사용할 수 있는 우선 순위를 배정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작업 요청에 대한 로드 밸런싱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API(133)는 애플리케이션(134)이 커널(131) 또는 미들웨어(132)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로, 예를 들면, 파일 제어, 창 제어, 화상 처리 또는 문자 제어 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또는 함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 모듈(140)은, 예를 들면, 사용자로부터 명령 또는 데이터를 입력 받아 버스(110)를 통해 프로세서(120) 또는 메모리(130)에 전달할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50)은 사용자에게 화상, 영상 또는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160)은 다른 전자 장치(102)와 전자 장치(100) 간의 통신을 연결할 수 있고, 상기 통신 모듈(160)은 소정의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예: Wifi(Wireless Fidelity), BT(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소정의 네트워크 통신(162)(예: 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AN(Wire Area Network), Telecommunication Network, Cellular Network, Satellite Network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0)와 동일한 (예: 같은 타입의) 장치이거나 또는 다른 (예: 다른 타입의) 장치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드웨어의 블록 도면이다. 상기 하드웨어(200)는,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하드웨어(2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210),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214), 메모리(220), 통신 모듈(230), 센서 모듈(240), 사용자 입력 모듈(250), 디스플레이 모듈(260), 인터페이스(270), 오디오 코덱(280), 카메라 모듈(291), 전력관리 모듈(295), 배터리(296), 인디케이터(297) 또는 모터(29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210) (예: 프로세서 120)는,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Application Processor, 211) 또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 Communication Processor, 2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210)는,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프로세서(120)일 수 있다. 도 1에서는 상기 AP(211) 및 CP(213)가 상기 프로세서(210) 내에 포함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상기 AP(211)와 CP(213)는 서로 다른 IC 패키지들 내에 각각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AP(211) 및 CP(213)는 하나의 IC 패키지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AP(211)는 운용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상기 AP(211)에 연결된 다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고,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한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AP(211)는, 예를 들면,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210)는, GPU(Graphic Processing Unit, 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P(213)는 상기 하드웨어(200)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 100)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른 전자 장치들 간의 통신에서 데이터 링크를 관리하고 통신 프로토콜을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CP(213)는, 예를 들면, SoC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CP(213)는 멀티미디어 제어 기능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CP(213)는, 예를 들면, 가입자 식별 모듈(예: SIM 카드 214)을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단말의 구별 및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P(213)는 사용자에게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문자 메시지 또는 패킷 데이터(packet data) 등의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P(213)는 통신 모듈(230)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상기 CP(213), 전력관리 모듈(295) 또는 메모리(220) 등의 구성요소들이 상기 AP(211)와 별개의 구성요소로 도시되어 있으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AP(211)가 전술한 구성요소들의 적어도 일부(예: CP(213))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AP(211) 또는 CP(213)는 각각에 연결된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다른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load)하여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P(211) 또는 CP(213)는 다른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하거나 다른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store)할 수 있다.
상기 SIM 카드(214)는 가입자 식별 모듈을 구현한 카드일 수 있으며, 전자 장치의 특정 위치에 형성된 슬롯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SIM 카드(214)는 고유한 식별 정보(예: ICCID(Integrated Circuit Card Identifier)) 또는 가입자 정보(예: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220)는 내장 메모리(222) 또는 외장 메모리(2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220)는,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메모리(130)일 수 있다. 상기 내장 메모리(222)는, 예를 들면,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면,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 예를 들면,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NAND flash memory, NOR flash memory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내장 메모리(222)는 Solid State Drive (SSD)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상기 외장 메모리(224)는,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또는 memory stick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230)은 무선 통신 모듈(231) 또는 RF 모듈(23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230)은,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통신 모듈(160)일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 모듈(231)은, 예를 들면, WiFi(233), BT(BlueTooth, 235), GPS(237)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239)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무선 통신 모듈(231)은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상기 무선 통신 모듈(231)은 하드웨어(200)를 네트워크(예: 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AN(Wire Area Network), Telecommunication Network, Cellular Network, Satellite Network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와 연결시키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예: LAN card) 또는 모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F 모듈(234)은 데이터의 송수신, 예를 들면, RF 신호 또는 호출된 전자 신호의 송수신을 담당할 수 있다. 상기 RF 모듈(234)은,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예를 들면, 트랜시버(Transceiver), PAM(Power Amp Module), 주파수 필터(Frequency Filter) 또는 LNA(Low Noise Amplifi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RF 모듈(234)은 무선통신에서 자유공간 상의 전자파를 송수신하기 위한 부품, 예를 들면, 도체 또는 도선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모듈(240)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240A), 자이로 센서(240B), 기압 센서(240C), 마그네틱 센서(240D), 가속도 센서(240E), 그립 센서(240F), 근접 센서(240G), RGB(Red, Green, Blue) 센서(240H), 생체 센서(240I), 온/습도 센서(240J), 조도 센서(240K) 또는 UV(Ultra Violet) 센서(240M)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모듈(240)은 물리량을 계측하거나 전자 장치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계측 또는 감지된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대체적으로, 상기 센서 모듈(240)은, 예를 들면, 후각 센서(E-Nose Sensor, 미도시), EMG 센서(Electromyography Sensor, 미도시), EEG 센서(Electroencephalogram Sensor, 미도시), ECG 센서(Electrocardiogram Sensor, 미도시) 또는 지문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모듈(240)은 그 안에 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 모듈(250)은 터치 패널(Touch Panel, 252), (디지털) 펜 센서(Pen Sensor, 254), 키(Key, 256) 또는 초음파 입력 장치(25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 모듈(250)은,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입력 모듈(140)일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252)은, 예를 들면, 정전식, 감압식,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터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패널(252)은 컨트롤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정전식의 경우, 직접 터치뿐만 아니라 근접 인식도 가능하다. 상기 터치 패널(252)은 택타일 레이어(Tactile Layer)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터치 패널(252)은 사용자에게 촉각 반응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펜 센서(254)는, 예를 들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받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법 또는 별도의 인식용 시트(Sheet)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키(256)로서, 예를 들면, 키패드 또는 터치 키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입력 장치(258)는 초음파 신호를 발생하는 펜을 통해, 단말에서 마이크(예: 마이크(288))로 음파를 감지하여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로서, 무선 인식이 가능하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하드웨어(200)는 통신 모듈(230)를 이용하여 이와 연결된 외부 장치(예: 네트워크, 컴퓨터 또는 서버)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60)은 패널(262) 또는 홀로그램(26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60)은,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모듈(150)일 수 있다. 상기 패널(262)은, 예를 들면, LCD(Liquid-Crystal Display) 또는 AM-OLED(Act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등일 수 있다. 상기 패널(262)은, 예를 들면, 유연하게(Flexible), 투명하게(Transparent) 또는 착용할 수 있게(Wearable)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패널(262)은 터치 패널(252)과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홀로그램(264)은 빛의 간섭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허공에 보여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60)은 패널(262) 또는 홀로그램(264)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270)는, 예를 들면,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272), USB(Universal Serial Bus, 274), 프로젝터(276) 또는 D-sub(D-subminiature, 278)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상기 인터페이스(270)는, 예를 들면, SD(Secure Digital)/MMC(Multi-Media Card)(미도시)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코덱(280)은 음성과 전기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코덱(280)은, 예를 들면, 스피커(282), 리시버(284), 이어폰(286) 또는 마이크(288) 등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음성 정보를 변환시킬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291)은 화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로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예: 전면 렌즈 또는 후면 렌즈), ISP(Image Signal Processor, 미도시) 또는 플래쉬 LED(Flash LED,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관리 모듈(295)은 하드웨어(200)의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전력관리 모듈(295)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충전 IC(Charger Integrated Circuit) 또는 배터리 게이지(Battery Fuel Gaug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MIC는, 예를 들면, 집적회로 또는 SoC 반도체 내에 탑재될 수 있다. 충전 방식은 유선과 무선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충전 IC는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으며, 충전기로부터의 과전압 또는 과전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충전 IC는 유선 충전 방식 또는 무선 충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충전 IC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충전 방식으로는, 예를 들면, 자기공명 방식, 자기유도 방식 또는 전자기파 방식 등이 있으며, 무선 충전을 위한 부가적인 회로, 예를 들면, 코일 루프, 공진 회로, 정류기 등의 회로가 추가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게이지는, 예를 들면, 상기 배터리(296)의 잔량, 충전 중 전압, 전류 또는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296)는 전기를 생성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충전식 전지(Rechargeable Battery)일 수 있다.
인디케이터(297)는 하드웨어(200) 혹은 그 일부(예: 상기 AP 211)의 특정 상태, 예를 들면, 부팅 상태, 메시지 상태 또는 충전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모터(298)는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MCU (299)은, 센서 모듈(240)을 제어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하드웨어(200)는 모바일 TV 지원을 위한 처리 장치(예: GPU)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TV지원을 위한 처리 장치는, 예를 들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또는 미디어 플로우(Media Flow) 등의 규격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드웨어의 전술한 구성요소들의 명칭은 전자 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드웨어는 전술한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드웨어의 구성 요소들 중 일부가 결합되어 하나의 개체(Entity)로 구성됨으로써, 결합되기 이전의 해당 구성 요소들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래밍 모듈의 블록 도면이다. 프로그래밍 모듈(300)은,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예: 메모리(130))에 포함(예: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래밍 모듈(300)의 적어도 일부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래밍 모듈(300)은 하드웨어(예: 하드웨어(200))에 구현되어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0))에 관련된 자원을 제어하는 운용체제(OS: Operation System) 또는 운용체제 상에서 구동되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예: 애플리케이션(37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운용체제는 안드로이드(Android), iOS, 윈도우즈(Windows), 심비안(Symbian), 타이젠(Tizen) 또는 바다(Bada) 등이 될 수 있다. 도 3를 참조하면, 상기 프로그래밍 모듈(300)은 커널(310), 미들웨어 (330),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360) 또는 애플리케이션(3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널(310)(예: 커널(131))은 시스템 리소스 매니저(311) 또는 디바이스 드라이버(3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 리소스 매니저(311)는, 예를 들면, 프로세스관리부(313), 메모리관리부(315) 또는 파일시스템 관리부(31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 리소스 매니저(311)는 시스템 리소스의 제어, 할당 또는 회수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 드라이버(312)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드라이버(314), 카메라 드라이버(316), 블루투스 드라이버(318), 공유 메모리 드라이버(320), USB 드라이버(322), 키패드 드라이버(324), WiFi 드라이버(326) 또는 오디오 드라이버(328)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디바이스 드라이버(312)는 IPC(Inter-Process Communication, 미도시)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들웨어(330)는 애플리케이션(370)이 공통적으로 필요로 하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미리 구현해 놓은 복수의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들웨어(330)는 애플리케이션(370)이 전자 장치 내부의 제한된 시스템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API(360)를 통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들웨어(330)(예: 미들웨어(132))는 런타임 라이브러리(335), 어플리케이션 매니저(Application Manager, 341), 윈도우 매니저(Window Manager, 342), 멀티미디어 매니저(Multimedia Manager, 343), 리소스 매니저(Resource Manager, 344), 파워 매니저(Power Manager, 345), 데이터베이스 매니저(Database Manager, 346), 패키지 매니저(347), 연결 매니저(Connectivity Manager, 348), 통지 매니저(Notification Manager, 349), 위치 매니저(Location Manager, 350), 그래픽 매니저(Graphic Manager, 351) 또는 보안 매니저(Security Manager, 3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런타임 라이브러리(335)는, 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370)이 실행되는 동안에 프로그래밍 언어를 통해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기 위해 컴파일러가 사용하는 라이브러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런타임 라이브러리(335)는 입출력, 메모리 관리 또는 산술 함수에 대한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매니저(341)는, 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370) 중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생명주기(Life Cycle)를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 매니저(342)는 화면에서 사용하는 GUI 자원을 관리할 수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매니저(343)는 다양한 미디어 파일들의 재생에 필요한 포맷을 파악하고, 해당 포맷에 맞는 코덱(Codec)을 이용하여 미디어 파일의 인코딩(Encoding) 또는 디코딩(Decoding)을 수행할 수 있다. 리소스 매니저(344)는 상기 애플리케이션(3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소스 코드, 메모리 또는 저장 공간 등의 자원을 관리할 수 있다.
상기 파워 매니저(345)는 바이오스(BIOS: Basic Input/Output System) 등과 함께 동작하여 배터리(Battery) 또는 전원을 관리하고, 동작에 필요한 전력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매니저(346)는 애플리케이션(370) 중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할 데이터베이스를 생성, 검색 또는 변경할 수 있도록 관리할 수 있다.
상기 패키지 매니저(347)는 패키지 파일의 형태로 배포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또는 업 데이트를 관리할 수 있다. 연결 매니저(348)는, 예를 들면, WiFi 또는 블루투스 등의 무선 연결을 관리할 수 있다. 상기 통지 매니저(349)는 도착 메시지, 약속, 근접성 알림 등의 사건(Event)을 사용자에게 방해되지 않는 방식으로 표시 또는 통지할 수 있다. 상기 위치 매니저(350)는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상기 그래픽 매니저(351)는 사용자에게 제공될 그래픽 효과 또는 이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관리할 수 있다. 상기 보안 매니저(352)는 시스템 보안 또는 사용자 인증 등에 필요한 제반 보안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0))가 전화 기능을 구비한 경우에는, 미들웨어(330)는 전자 장치의 음성 또는 영상 통화 기능을 관리하기 위한 통화 매니저(Telephony Manager, 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들웨어(330)는 전술한 내부 구성요소 모듈들의 다양한 기능 조합을 통해 새로운 미들웨어 모듈을 생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미들웨어(330)는 차별화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운용체제의 종류별로 특화된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들웨어(330)는 동적으로 기존의 구성요소를 일부 삭제하거나 새로운 구성요소들을 추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기재된 구성요소를 일부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하거나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른 명칭을 갖는 구성요소로 대체할 수 있다.
상기 API(360)(예: API(133))는 API 프로그래밍 함수들의 집합으로, 운용체제에 따라 다른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드로이드 또는 IOS의 경우, 예를 들면, 플랫폼별로 하나의 API 셋을 제공할 수 있으며, 타이젠(Tizen)의 경우, 예를 들면, 두 개 이상의 API 셋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370)(예: 상기 애플리케이션(134))은, 예를 들면, 프리로드 어플리케이션(Preloaded Application) 또는 제 삼자 어플리케이션(Third Party Applic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래밍 모듈(300)의 적어도 일부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예: 상기 프로세서(210))에 의해 실행될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예를 들면, 메모리(260)가 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래밍 모듈(300)의 적어도 일부는, 예를 들면, 프로세서(210)에 의해 구현(Implement) (예: 실행)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래밍 모듈(300)의 적어도 일부는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예를 들면, 모듈, 프로그램, 루틴, 명령어 세트(Sets of instructions) 또는 프로세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래밍 모듈(예: 프로그래밍 모듈(300))의 구성요소들의 명칭은 운용체제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래밍 모듈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방송 채널 정보 공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도 3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폰(smart phone) 또는 태블릿(tablet) PC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전자 장치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저 인터페이스(UI)가 가능한 EPG 화면(EPG Screen)을 통해, 디지털 방송 채널 정보 등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상기 EPG 화면에는, 각 방송 프로그램을 대표하는 축소 영상(Thumbnail Picture)과, 방송 프로그램 명(name) 등이 한 쌍으로 연계된 리스트(list)가 사용자 선택이 가능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으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자 장치는,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튜너(tuner)를 구비하거나, 또는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만일, 튜너가 없으면, 디지털 방송을 통해 제공되는 EPG 정보를 수신할 수 없다.
상기 튜너가 없는 전자 장치는,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기반의 네트워크 서버와 통신하여, 사용자(user) 정보, 위치(location) 정보, 그리고 습관(habit)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과 연관성이 있는 다른 전자 장치의 방송 채널 정보를 수신 받아 공유하게 된다.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자(user)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전자 장치의 현재 위치(location)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습관 정보는,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자가 시청한 시청 채널(watching channel) 또는 선호 채널(prefer channe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적용되는 제1 전자 장치의 사용자는, 자신이 보유한 다른 전자 장치, 예를 들어, 튜너가 있는 IP-TV 등과 같은 다른 전자 장치의 방송 채널 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수신 받아,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방송 채널 정보로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사용자는,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위치하고 있는 현재 지역과 동일한 지역 또는 허용 범위 내의 인접 지역에 위치한 다른 전자 장치의 방송 채널 정보를,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수신 받아,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방송 채널 정보로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사용자는, 시청 채널 또는 선호 채널 등과 같은 자신의 방송 시청 습관과 동일한 습관 또는 허용 범위 내의 유사한 습관을 갖는 임의의 사용자가 보유한 전자 장치의 방송 채널 정보를,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수신 받아,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방송 채널 정보로 공유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요구(request) 메시지와 응답(response) 메시지의 송수신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스마트 폰 또는 태블릿 PC 등과 같은 제1 전자 장치를 클라이언트 A(Client A)라고 가정한다.
상기 클라이언트 A에,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튜너(tuner)가 없으면, 디지털 방송을 통해 제공되는 EPG 정보를 수신할 수 없다. 상기 클라이언트 A는, 사용자의 요청 등에 따라, 방송 채널 정보의 공유를 요청하는 요구(request) 메시지를 생성한 후,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네트워크 서버(network server)로 전송한다.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은, 인터넷 기반의 컴퓨터 기술을 의미하는 것으로, 클라우드는, 컴퓨터 네트워크 상에 숨겨진 복잡한 인프라 구조를 의미하고, 클라우드 컴퓨팅은 사용자가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자신의 컴퓨터에 설치하지 않고도 인터넷 접속을 통해 언제든 사용할 수 있고 동시에 각종 정보 통신 기기로 데이터를 손쉽게 공유할 수 있는 사용 환경을 의미한다.
상기 네트워크 서버는, 클라우드 서버(cloud server) 또는 채널 정보 제공 서버(channel information provide server) 등으로 다양하게 일컬어질 수 있으며, 상기 네트워크 서버는, 다양한 방송 채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네트워크 서버에서 관리하는 채널 정보 데이터베이스(channel information database)는, 사용자 정보(user information), 사용자 위치 정보(user location information), 그리고 채널 설정 정보(channel set informa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아이디(user id), 사용자 명(user name), 그리고 인증 정보(authentication information) 등을 포함하고, 사용자 식별 및 인증을 위한 유저 인증 토큰(user authentication token)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저 인증 토큰은, 컴퓨터 보안 장치, 스마트 카드, 그리고 인터넷 시스템 등에 널리 사용되는 사용자 인증 정보의 하나이다.
상기 사용자 위치 정보는, 사용자 아이디(user id), 국기 코드(country code), 지역 식별 정보(zip code), 그리고 방송 사업자 이름(Broadcasting Operator 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국가 코드는, 전자 장치가 위치한 국가를 나타내는 넓은 지역의 위치 정보이고, 상기 지역 식별 정보는, 전자 장치가 위치하고 있는 지역의 우편 번호 등에 해당하는 좁은 지역의 위치 정보이다.
상기 지역 식별 정보는, 필수(mandatory) 정보이고, 상기 국가 코드는, 옵션(option) 정보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방송 사업자 이름은, 해당 지역 내에서 채널을 제공하는 사업자 아이디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채널 설정 정보는, 채널 설정 아이디(channel set id), 제공자 아이디(provider id), 제공자 명(provider name), 채널 아이디(channel id), 채널 정보(channel information), 채널 명(channel name), 그리고 선호 채널(prefer channel) 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채널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습관(user habit)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습관 정보는, 사용자의 독특한 방송 시청 습관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습관 정보는, 사용자 아이디(user id), 활동 종류(activity type), 주문형 비디오(VOD: Video On Demand) 시청 여부, 제공자 아이디(provider id), 채널 아이디(channel id), 타이틀(title), 장르(genre), 방송 시작 시간(on air time start), 방송 종료 시간(on air time end), 활동 시간(activity time), 유료(pay) 여부, 선호 채널(prefer channel) 여부, 그리고 검색(search) 이력 등의 사용자 시청 습관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클라이언트 A에서 네트워크 서버로 전송되는 요구 메시지(예: Request 1)는,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알엘(url)과 헤더(header), 그리고 바디(body)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바디에는, 사용자 인증을 위한 유저 토근(user token)과, 지역을 나타내는 국가 코드(country code)와 지역 식별 정보 (zip code)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유저 토큰은, 유저 인증 토큰으로 일컬어질 수 있고, 더 나아가, 상기 바디에는, 사용자 습관(user habit) 정보(미도시)와, 지역 방송 사업자 이름(예: stv)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서버는, 하나의 독립된 서버로 운영되거나, 또는 방송 채널 정보 등을 공유할 수 있도록 각종 데이터들이 이미 구축되어 있는 다른 플랫 폼의 서버와 연동하여 운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다른 플랫 폼의 서버를, 이하에서는, 푸시 서버(push server)라고 가정한다.
참고로, 네트워크의 푸시 기술은, 인터넷 환경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 정보 목록을 선택하기만 하면 자동적, 주기적으로 최신 정보를 컴퓨터 화면에 직접 밀어 넣어(push) 주는 기술을 의미한다.
상기 푸시 기술은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서버(server)가 자동적으로 제공하는 방식으로, 사용자가 매번 요청하지 않아도 특정 정보를 전송 받을 수 있도록 자동화된 기술의 하나이다.
도 5에 도시한 네트워크 서버에서 푸시 서버로 전송되는 요구 메시지(예: Request 2)는,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저 토큰, 국가 코드, 지역 식별 정보, 그리고 지역 방송 사업자 이름(예: stv)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상기 네트워크 서버를 인증하기 위한 서버 인증 토큰(SVR authToken)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시 서버는, 방송 채널 정보 등을 공유할 수 있도록, 사전에 등록된 클라이언트와 연동하여 운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와 같이 사전에 등록된 클라이언트를 푸시 클라이언트(push client)라고 가정한다.
도 5에 도시한 푸시 서버에서 푸시 클라이언트로 전송되는 요구 메시지(예: Request 3)는, 도 9를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이, 유저 토큰, 국가 코드, 지역 식별 정보, 그리고 지역 방송 사업자 이름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상기 네트워크 서버를 인증하기 위한 서버 인증 토큰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시 클라이언트는, 상기 클라이언트 A의 사용자 정보(user info)를 기반으로, 상기 클라이언트 A의 사용자가 보유한 다른 전자 장치, 예를 들어, 튜너가 있는 IP-TV 등과 같은 다른 전자 장치로 요구 메시지(예: Request 4)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가 보유한 다른 전자 장치를 클라이언트 A'(client A')라고 가정한다.
또는, 상기 클라이언트 A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클라이언트 A가 위치하고 있는 현재 지역과 동일한 지역 또는 허용 범위 내의 인접 지역에 위치한 다른 전자 장치, 예를 들어, 튜너가 있는 IP-TV 등과 같은 다른 전자 장치로 요구 메시지(예: Request 4)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동일 지역 또는 인접 지역의 다른 전자 장치를 클라이언트 B(client B)라고 가정한다.
한편, 상기 클라이언트 A' 또는 클라이언트 B는, 상기 푸시 클라이언트의 요구 메시지(예: Request 4)에 상응하여, 응답 메시지(예: Response 1)를 생성한 후, 상기 네트워크 서버로 전송한다. 상기 응답 메시지는, 상기 클라이언트 A' 또는 클라이언트 B의 방송 채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응답 메시지는, 채널 리스트의 개수를 나타내는 채널 카운트(channel count)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널 리스트(channel lis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채널 리스트는, 채널 제공자 아이디(provider id), 채널 제공자 명(provider name), 채널 아이디(id), 채널 명(name), 그리고 선호 채널(prefer channel) 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요구 메시지들(request 1~4)과 응답 메시지(response 1)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 방향의 통신 경로를 경유하는 배타적 전송 방식인 원 웨이(one way) 방식으로 송신되거나, 또는 양방향의 다양한 통신 방식으로 송수신될 수도 있다.
상기 네트워크 서버는, 상기 푸시 서버와 푸시 클라이언트와의 연동 없이, 독립적으로 운영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상기 네트워크 서버는, 상기 푸시 서버와 푸시 클라이언트 등을 포함하는 상위 개념의 포괄적 서버로 운영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네트워크 서버가 포괄적 서버로 운영되는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방송 채널 정보 공유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스마트 폰 또는 태블릿 PC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제1 전자 장치(500)는, 통신 모듈(501)과 프로세서(502), 그리고 메모리(503) 등을 포함하되,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튜너(Tuner) 등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네트워크 상에서 제1 터미널(terminal 1)(500)로 일컬어질 수 있다.
또한, IP-TV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제2 전자 장치(700)는, 통신 모듈(701)과 프로세서(702), 메모리(703), 그리고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튜너(Tuner)(704)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상에서 제2 터미널(terminal 2)(700)로 일컬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터미널(500) 및 제2 터미널(700)과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는 네트워크 서버(600)는, 방송 채널 정보 등을 제공하는 CIP(channel information provider) 서버 등으로 일컬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터미널(500)과 제2 터미널(700)은, 동일한 사용자(user A)가 보유한 전자 장치들로서, 상기 제1 터미널(500)은, 튜너가 없는 스마트 폰(smart phone)이고, 상기 제2 터미널(700)은, 튜너가 있는 IP-TV 일 수 있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터미널(500)의 프로세서(502)는, 사용자의 요청 등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서버(600)로 방송 채널 정보의 공유를 요청하는 요구 메시지를 전송한다(S10).
상기 요구 메시지에는, 도 6을 참조로 전술한 사용자 정보(user info)와 위치 정보(location info) 등이 포함되고, 더 나아가, 도 7을 참조로 전술한 사용자 습관 정보(habit info)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서버(600)는, 상기 요구 메시지에 상응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한다(S11). 예를 들어, 상기 네트워크 서버(600)는, 상기 요구 메시지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user info)를 기반으로, 동일한 사용자(user A)가 보유한 다른 전자 장치가, 상기 제2 터미널(700)인 경우, 상기 제2 터미널(700)로 방송 채널 정보의 공유를 요청하는 요구 메시지를 전송한다(S12).
상기 네트워크 서버(600)에서 제2 터미널(700)로 전송되는 요구 메시지는, 사용자 정보와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더 나아가, 도 9를 참조로 전술한 서버 인증 토큰(SVR authToke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터미널(700)의 프로세서(702)는, 상기 요구 메시지에 포함된 서버 인증 토큰을 확인하여, 상기 네트워크 서버(600)를 인증하고(S13), 상기 인증 결과, 유효하면, 상기 메모리(703)에 저장된 방송 채널 정보를 포함하여 응답(response) 메시지를 생성한 후, 상기 네트워크 서버(600)로 전송한다(S14).
상기 응답 메시지는, 도 10을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이, 채널 리스트의 개수를 나타내는 채널 카운트(channel count)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널 리스트(channel lis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채널 리스트는, 채널 제공자 아이디(provider id), 채널 제공자 명(provider name), 채널 아이디(id), 채널 명(name), 그리고 선호 채널(prefer channel) 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서버(600)는, 상기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제2 터미널(700)의 방송 채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내에 저장하는 업데이트 동작을 수행하고(S15), 상기 제2 터미널(700)의 방송 채널 정보를 포함하여 응답 메시지를 생성한 후, 상기 제1 터미널(500)로 전송한다(S16).
상기 네트워크 서버(600)에서 제1 터미널(500)로 전송되는 응답 메시지는, 상기 네트워크 서버를 인증하기 위한 서버 인증 토큰(SVR authToke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터미널(500)의 프로세서(502)는, 상기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방송 채널 정보를 추출한 후, 상기 메모리(503)에 저장하여 방송 채널 설정 동작을 수행한다(S17).
이에 따라, 사용자 A의 제1 터미널(500)은, 동일한 사용자 A가 보유한 제2 터미널(700)의 방송 채널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서버(600)와의 통신을 통해 수신 받아 간편하게 공유할 수 있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방송 채널 정보 공유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가 적용되는 제1 전자 장치(500)는, 통신 모듈(501)과 프로세서(502), 그리고 메모리(503) 등을 포함하되,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튜너(Tuner) 등이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네트워크 상에서 제1 터미널(terminal 1)(500)로 일컬어질 수 있다.
한편, 제2 전자 장치(700)는, 통신 모듈(701)과 프로세서(702), 메모리(703), 그리고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튜너(Tuner)(704)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상에서 제2 터미널(terminal 2)(700)로 일컬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터미널(500)은, 사용자 A가 보유한 스마트 폰(smart phone) 또는 태블릿 PC 등이고, 상기 제2 터미널(700)은, 사용자 B가 보유한 IP-TV 등일 수 있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터미널(500)의 프로세서(502)는, 사용자의 요청 등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서버(600)로 방송 채널 정보의 공유를 요청하는 요구 메시지를 전송한다(S30).
상기 요구 메시지는, 도 6을 참조로 전술한 사용자 정보(user info)와 위치 정보(location info) 등을 포함하고, 더 나아가 도 7을 참조로 전술한 사용자 습관 정보(habit info)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서버(600)는, 상기 요구 메시지에 상응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한다(S31).
예를 들어, 상기 요구 메시지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user info)를 기반으로, 동일한 사용자 A가 보유한 다른 전자 장치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요구 메시지에 포함된 위치 정보(location info)를 기반으로, 동일 지역 또는 허용 범위 내의 인접 지역에 위치한 다른 전자 장치들을 검색한다.
상기 검색된 다른 전자 장치들 중 하나가, 상기 제2 터미널(700)인 경우, 상기 제2 터미널(700)로 방송 채널 정보의 공유를 요청하는 요구 메시지를 전송한다(S32).
상기 요구 메시지는, 방송 채널 정보의 공유 서비스에 미리 등록 또는 동의한 사용자의 전자 장치들이면서, 상기 제1 터미널의 현재 위치와 동일 지역 또는 허용 범위 이내의 인접 지역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서버(600)에서 제2 터미널(700)로 전송되는 요구 메시지는, 사용자 정보와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도 9를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네트워크 서버를 인증하기 위한 서버 인증 토큰(SVR authToke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터미널(700)의 프로세서(702)은, 상기 요구 메시지에 포함된 서버 인증 토큰을 확인하여, 상기 네트워크 서버(600)를 인증하고(S13), 상기 인증 결과, 유효하면, 상기 메모리(703)에 저장된 방송 채널 정보를 포함하여 응답(response) 메시지를 생성한 후, 상기 네트워크 서버(600)로 전송한다(S34).
상기 응답 메시지는, 도 10을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이, 채널 리스트의 개수를 나타내는 채널 카운트(channel count)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널 리스트(channel lis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채널 리스트는, 채널 제공자 아이디(provider id), 채널 제공자 명(provider name), 채널 아이디(id), 채널 명(name), 그리고 선호 채널(prefer channel) 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서버(600)는, 상기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제2 터미널(700)의 방송 채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내에 저장하는 업데이트 동작을 수행하고(S35), 상기 제2 터미널(700)의 방송 채널 정보를 포함하여 응답 메시지를 생성한 후, 상기 제1 터미널(500)로 전송한다(S36).
상기 제1 터미널(500)로 전송되는 응답 메시지는, 상기 네트워크 서버를 인증하기 위한 서버 인증 토큰(SVR authToke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터미널(500)의 프로세서(502)는, 상기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방송 채널 정보를 추출한 후, 메모리(503)에 저장하여 방송 채널 설정 동작을 수행한다(S37).
이에 따라, 사용자 A의 제1 터미널(500)은, 동일 지역 또는 허용 범위 내의 인접 지역에 위치한 사용자 B의 제2 터미널(700)의 방송 채널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수신 받아 간편하게 공유할 수 있게 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방송 채널 정보 공유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가 적용되는 제1 전자 장치(500)는, 통신 모듈(501)과 프로세서(502), 그리고 메모리(503) 등을 포함하되,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튜너(Tuner) 등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네트워크 상에서 제1 터미널(terminal 1)(500)로 일컬어질 수 있다.
한편, 제2 전자 장치(700)는, 통신 모듈(701)과 프로세서(702), 메모리(703), 그리고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튜너(Tuner)(704)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상에서 제2 터미널(terminal 2)(700)로 일컬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터미널(500) 및 제2 터미널(700)과 통신하는 네트워크 서버(600)는, 방송 채널 정보 등을 제공하는 CIP(channel information provider) 서버 등으로 일컬어질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서버(600)은, 예를 들어, 방송 채널 정보의 공유 서비스에 미리 등록 또는 동의한 사용자의 전자 장치들과 주기적으로 통신하여, 상기 전자 장치들의 방송 채널 정보와, 사용자 정보(user info), 위치 정보(location info), 그리고 습관 정보(habit info) 등을 수신 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업데이트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네트워크 서버(600)는, 상기와 같이 업데이트되는 데이터베이스의 방송 채널 정보와, 사용자 정보, 위치 정보, 그리고 습관 정보 등을 기반으로, 방송 채널 정보의 공유 서비스를 보다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터미널(500)과 제2 터미널(700)은, 동일한 사용자(user A)가 보유한 스마트 폰(smart phone)과 IP-TV 일 수 있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터미널(700)의 프로세서(702)는, 사용자의 요청 등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서버(600)로 방송 채널 정보의 공유를 요청하는 요구 메시지를 전송한다(S50).
상기 요구 메시지는, 도 6을 참조로 전술한 사용자 정보(user info)와 위치 정보(location info) 등을 포함하고, 더 나아가 도 7을 참조로 전술한 사용자 습관 정보(habit info)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서버(600)는, 상기 요구 메시지에 상응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한 후(S51), 응답(response)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제2 터미널(700)로 전송한다(S52).
예를 들어, 상기 네트워크 서버(600)는, 상기 요구 메시지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user info)를 기반으로, 동일한 사용자가 보유한 다른 전자 장치의 방송 채널 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지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 결과, 방송 채널 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응답 메시지에 방송 채널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한다.
반면,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반한 방송 채널 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요구 메시지에 포함된 위치 정보(location info)를 기반으로, 동일 지역 또는 허용 범위 내의 인접 지역에 위치한 다른 전자 장치의 방송 채널 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지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 결과, 방송 채널 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응답 메시지에 방송 채널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한다.
또한, 상기 위치 정보에 기반한 방송 채널 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네트워크 서버(600)는, 상기 요구 메시지에 사용자 습관 정보(habit info)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한 후, 상기 사용자 습관 정보를 기반으로, 동일한 습관 또는 허용 범위 내에서 유사한 습관을 갖는 다른 전자 장치의 방송 채널 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지를 검색한다.
상기 검색 결과, 방송 채널 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응답 메시지에 방송 채널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하고, 상기 습관 정보에 기반한 방송 채널 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방송 채널 정보의 검색 실패(not found)를 알리는 정보를, 상기 응답 메시지에 포함하여 전송한다.
상기 습관 정보를 기반으로 방송 채널 정보를 검색하는 동작은, 상기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방송 채널 정보를 검색할 때 보다 더 넓은 허용 범위의 지역으로 확대된 상태에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 터미널(700)의 프로세서(702)은, 상기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방송 채널 정보를 추출한 후, 비휘발성 메모리(703) 등에 저장하여 방송 채널 설정 동작을 수행한다(S53). 반면, 상기 응답 메시지에 방송 채널 정보의 검색 실패(not found)를 알리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튜너(704)를 동작 제어하여, 디지털 방송을 통해 제공되는 이피지(EPG) 정보 등을 수신한 후, 방송 채널 정보를 직접 설정한다.
상기 제2 터미널(700)의 프로세서(702)는, 상기 방송 채널 설정 동작이 완료되면, 상기 방송 채널 정보와, 사용자 정보, 위치 정보, 그리고 습관 정보 등을 포함하는 보고(report)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네트워크 서버(600)로 전송한다(S54).
상기 네트워크 서버(600)는, 상기 제2 터미널(700)의 방송 채널 정보를, 상기 사용자 정보와 위치 정보, 그리고 습관 정보 등과 연계하여, 데이터베이스 내에 추가하는 업데이트 동작을 수행하고(S55), 이후, 방송 채널 정보 공유 서비스에 활용한다.
한편, 튜너가 없는 제1 터미널(500)의 프로세서(502)는, 사용자의 요청 등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서버(600)로 방송 채널 정보의 공유를 요청하는 요구 메시지를 전송한다(S56).
상기 요구 메시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정보(user info)와 위치 정보(location info) 등을 포함하고, 더 나아가 사용자 습관 정보(habit info)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서버(600)는, 상기 요구 메시지에 상응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한 후(S57), 응답(response)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제1 터미널(700)로 전송한다(S58).
상기 네트워크 서버(600)는, 상기 요구 메시지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user info)를 기반으로, 동일한 사용자가 보유한 다른 전자 장치의 방송 채널 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지를 검색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터미널(700)이, 상기 제1 터미널(500)의 사용자가 보유한 다른 전자 장치이고, 상기 제2 터미널(700)의 방송 채널 정보가 데이터베이스 내에 존재하면, 상기 응답 메시지에 제2 터미널의 방송 채널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한다.
상기 제1 터미널(500)의 프로세서(502)은, 상기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제2 터미널의 방송 채널 정보를 추출한 후, 비휘발성 메모리(503) 등에 저장하여 방송 채널 설정 동작을 수행한다(S59).
이에 따라, 사용자 A의 제1 터미널(500)은, 동일한 사용자 A가 보유한 제2 터미널(700)의 방송 채널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서버(600)와의 통신을 통해 보다 신속하게 수신 받아 공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서버(600)는,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각종 전자 장치들의 방송 채널 정보를, 사용자 정보, 위치 정보, 그리고 습관 정보 등을 기반으로 검색하여, 방송 채널 정보의 공유 서비스를 보다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서버의 방송 채널 정보 공유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 도면이다.
상기 네트워크 서버(600)는, 방송 채널 정보의 공유를 요청하는 요구(request) 메시지가, 예를 들어, 제1 터미널(500)으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요구 메시지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user info), 위치 정보(location info), 그리고 습관 정보(habit info) 등을 확인한다.
상기 네트워크 서버(600)는, 이후,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user info)에 기반하여 다른 전자 장치의 방송 채널 정보를 제공하거나, 상기 위치 정보(location info)에 기반하여 다른 전자 장치의 방송 채널 정보를 제공하거나, 상기 습관 정보(habit info)에 기반하여 다른 전자 장치의 방송 채널 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네트워크 서버(600)는, 상기 제1 터미널과 동일한 사용자의 전자 장치이면서(S70), 동일 지역의 전자 장치를 검색하여(S71), 해당 전자 장치의 방송 채널 정보를 포함한 응답(response) 메시지를, 상기 제1 터미널로 전송한다(S78).
반면,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전자 장치가 검색되지 않으면, 동일 지역 또는 허용 범위 내의 인접 지역의 전자 장치이면서(S72), 정보를 공개한 사용자의 전자 장치이고(S73), 동일 또는 허용 범위 내의 유사한 습관을 갖는 사용자의 전자 장치를 검색하여(S74), 해당 전자 장치의 방송 채널 정보를 포함한 응답(response) 메시지를, 상기 제1 터미널로 전송한다(S78).
또는, 동일 지역 또는 허용 범위 내의 인접 지역의 전자 장치이고, 정보를 공개한 사용자의 전자 장치이되, 동일 또는 허용 범위 내의 유사한 습관을 갖지 않는 사용자의 전자 장치들이 검색되면, 상기 검색된 전자 장치들을 보유한 각 사용자들의 공통 채널 정보를 추출하여(S77), 상기 응답(response) 메시지를 생성한 후 상기 제1 터미널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전자 장치가 검색되지 않으면, 허용 범위의 지역을 확대한 후(S75), 상기 확대된 허용 범위 내의 전자 장치이면서, 정보를 공개한 사용자의 전자 장치들을 검색한다(S76).
상기 검색된 전자 장치들을 보유한 각 사용자들의 공통 채널 정보를 추출하여(S77), 상기 응답(response) 메시지를 생성한 후 상기 제1 터미널로 전송한다(S78).
반면,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전자 장치가 검색되지 않으면, 사용자 정보와, 위치 정보, 그리고 습관 정보 등에 기반한 다른 전자 장치를 더 이상 검색할 수 없다고 판단한 후, 사전에 설정된 기본 방송 채널 정보를 포함한 응답(response)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제1 터미널로 전송한다(S79).
상기 기본 방송 채널 정보는, 예를 들어, 디지털 방송을 통해 제공되는 모든 방송 채널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기본 방송 채널 정보를 수신한 제1 터미널의 사용자는, 원하는 않는 방송 채널 정보를 수동으로 직접 소거하는 가지치기(pruning)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채널 정보와 습관 정보의 디스크립션(description)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채널 정보와 습관 정보가 포함된 응답 메시지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응답 메시지는, 방송 채널 정보로서, 채널 리스트의 개수를 나타나는 채널 카운트(channel count)와, 상기 채널 카운트에 상응하는 적어도 1 개 이상의 채널 리스트(channel list)들을 포함한다.
상기 채널 리스트는, 채널 제공자 아이디(provider id), 채널 제공자 명(provider name), 채널 정보(channel info), 채널 아이디(id), 채널 명(channel name), 그리고 선호 채널(prefer channel) 여부 등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응답 메시지는, 습관 정보로서, 습관 정보 리스트의 개수를 나타내는 카운트 습관 정보(count habit info)와, 상기 카운트 습관 정보에 상응하는 적어도 1 개 이상의 습관 정보 리스트(habit info list)들을 포함한다.
상기 습관 정보 리스트는, 필수(mandatory) 정보로서, 활동 종류(activity type), 브이오디(VOD) 여부, 콘텐츠 제공자(content provider), 타이틀(title) 등을 포함하고, 옵션(option) 정보로서, 시청 채널 아이디(channel id), 방송 시작 시간(on air time start), 방송 종료 시간(on air time end), 시청 시간(watching time), 결제(pay) 여부, 선호(prefer) 여부, 검색 여부(search), 그리고 채널 정보 이외의 부가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수 정보와 옵션 정보는, 필요에 따라 변경되거나, 임의의 정보들이 추가 또는 삭제될 수 있으며, 상기 정보들에 대한 명칭은, 필요에 따라 또는 역할에 따라 임의의 다른 명칭으로 일컬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Implemented)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Device)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Configured for execution).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로 하여금 본 발명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소프트웨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OM: Read Only Memory),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D-ROM: Compact Disc-ROM), DVD(Digital Video Disk) 또는 다른 형태의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세트(Magnetic Cassette)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 메모리는 다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LAN(Wide LAN),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Access)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Attachable) 저장 장치(Storage Device)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외부 포트를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상의 별도의 저장장치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발명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전자 장치 102: 전자 장치
104: 전자 장치 110: 버스
120: 프로세서 130: 메모리
131: 커널 132: 미들웨어
133: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140: 사용자 입력모듈 150: 디스플레이 모듈
160: 통신 모듈 162: 네트워크
164: 서버 200: 전자 장치
210: 프로세서 211: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213: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 214: SIM 카드
220: 메모리 222: 내장 메모리
224: 외장 메모리 230: 통신 모듈
231: 무선 통신 모듈 234: RF 모듈
233: WiFi 235: BT
237: GPS 239: NFC
240: 센서 모듈 240A: 제스처 센서
240B: 자이로 센서 240C: 기압 센서
240D: 마그네틱 센서 240E: 가속도 센서
240F: 그립 센서 240G: 근접 센서
240H: RGB 센서 240I: 생체 센서
240J: 온/습도 센서 240K: 조도 센서
240M: UV 센서 250: 사용자 입력모듈
252: 터치 패널 254: 펜 센서
256: 키 258: 울트라 소닉
260: 디스플레이 모듈 262: 패널
264: 홀로그램 270: 인터페이스
272: HDMI 274: USB
276: 프로젝터 278: D-SUB
280: 오디오 코덱 282: 스피커
284: 리시버 286: 이어폰
288: 마이크 291: 카메라 모듈
295: 전력 관리 모듈 296: 배터리
297: 인디케이터 298: 모터
300: 전자 장치 310: 커널
311: 시스템 리소스 매니저 312: 디바이스 드라이버
330: 미들웨어 341: 애플리케이션 매니저
342: 윈도우 매니저 343: 멀티미디어 매니저
344: 리소스 매니저 345: 파워 매니저
346: 데이터베이스 매니저 347: 패키지 매니저
348: 연결 매니저 349: 통지 매니저
350: 위치 매니저 351: 그래픽 매니저
352: 보안 매니저 355: 런타임 라이브러리
360: API 370: 애플리케이션
371: 홈 372: 다이얼러
373:SMS/MMS 374: IM
375: 브라우저 376: 카메라
377: 알람 378: 컨텐트
379: 음성 다이얼 380: 이메일
381: 달력 382: 미디어 플레이어
383: 앨범 384: 시계
500: 제1 터미널 600: 네트워크 서버
700 : 제2 터미널

Claims (20)

  1.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하여 방송 채널 정보의 공유를 요청하는 요구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
    상기 요구 메시지를 네트워크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
    상기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상기 요구 메시지에 상응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방송 채널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서버가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반하여 방송 채널 정보를 획득하면, 상기 응답 메시지는,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반한 방송 채널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서버가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반한 방송 채널 정보의 획득에 실패하면, 상기 응답 메시지는, 상기 위치 정보에 기반한 방송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구 메시지는, 습관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는, 유저 인증 토큰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 정보는, 국가 코드와 지역 식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습관 정보는, 시청 정보 또는 선호 채널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사용 이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반한 방송 채널 정보는, 상기 요구 메시지의 사용자 정보에 기반한 동일 사용자가 보유한 다른 전자 장치의 방송 채널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위치 정보에 기반한 방송 채널 정보는, 상기 요구 메시지의 위치 정보에 기반한, 동일 지역 또는 허용 범위 내의 인접 지역에 위치한 다른 전자 장치의 방송 채널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서버가, 상기 위치 정보에 기반한 방송 채널 정보의 획득에 실패하면, 상기 응답 메시지는, 상기 요구 메시지의 습관 정보에 기반한 동일 습관 또는 허용 범위 내의 유사한 습관 정보를 갖는 다른 전자 장치의 방송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서버는, 채널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고,
    상기 채널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사용자 정보, 위치 정보, 그리고 채널 설정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아이디, 사용자 명, 인증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 정보는, 사용자 아이디, 국가 코드, 지역 식별 정보, 방송 사업자 이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채널 설정 정보는, 채널 설정 아이디, 제공자 아이디, 제공자 명, 채널 아이디, 채널 정보, 채널 명, 그리고 선호 채널 여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습관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습관 정보는, 사용자 아이디, 활동 종류, 주문형 비디오(VOD) 여부, 제공자 아이디, 채널 아이디, 타이틀, 장르, 시작/종료 시간, 활동 시간, 유료 여부, 선호 채널 여부, 그리고 검색 이력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구 메시지를 상기 네트워크 서버로 전송한 후, 다른 전자 장치에게 상기 요구 메시지를 재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다른 전자 장치는, 디지털 방송 수신을 위한 튜너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메시지는, 채널 리스트의 개수 정보와, 채널 리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채널 리스트는, 채널 제공자 아이디, 채널 제공자 명, 채널 아이디, 채널 명, 그리고 선호 채널 여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네트워크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 및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하여 방송 채널 정보의 공유를 요청하는 요구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요구 메시지를 네트워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상기 요구 메시지에 상응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방송 채널 정보를 추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네트워크 서버가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반하여 방송 채널 정보를 획득하면, 상기 응답 메시지는,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반한 방송 채널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서버가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반한 방송 채널 정보의 획득에 실패하면, 상기 응답 메시지는, 상기 위치 정보에 기반한 방송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요구 메시지는, 습관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는, 유저 인증 토큰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 정보는, 국가 코드와 지역 식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습관 정보는, 시청 정보 또는 선호 채널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사용 이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반한 방송 채널 정보는, 상기 요구 메시지의 사용자 정보에 기반한 동일 사용자가 보유한 다른 전자 장치의 방송 채널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위치 정보에 기반한 방송 채널 정보는, 상기 요구 메시지의 위치 정보에 기반한 동일 지역 또는 허용 범위 내의 인접 지역에 위치한 다른 전자 장치의 방송 채널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서버가, 상기 위치 정보에 기반한 방송 채널 정보의 획득에 실패하면, 상기 응답 메시지는, 상기 요구 메시지의 습관 정보에 기반한 동일 습관 또는 허용 범위 내의 유사한 습관 정보를 갖는 다른 전자 장치의 방송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서버는, 채널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고,
    상기 채널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사용자 정보, 위치 정보, 그리고 채널 설정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아이디, 사용자 명, 인증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 정보는, 사용자 아이디, 국가 코드, 지역 식별 정보, 방송사업자 이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채널 설정 정보는, 채널 설정 아이디, 제공자 아이디, 제공자 명, 채널 아이디, 채널 정보, 채널 명, 그리고 선호 채널 여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습관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습관 정보는, 사용자 아이디, 활동 종류, 주문형 비디오 여부, 제공자 아이디, 채널 아이디, 타이틀, 장르, 시작/종료 시간, 활동 시간, 유료 여부, 선호 채널 여부, 그리고 검색 이력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요구 메시지를 상기 네트워크 서버로 전송한 후, 다른 전자 장치에게 상기 요구 메시지를 재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다른 전자 장치는, 디지털 방송 수신을 위한 튜너를 구비하며,
    상기 응답 메시지는, 채널 리스트의 개수 정보와, 채널 리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채널 리스트는, 채널 제공자 아이디, 채널 제공자 명, 채널 아이디, 채널 명, 그리고 선호 채널 여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1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KR1020130140496A 2013-11-19 2013-11-19 전자 장치의 방송 채널 정보 공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1280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0496A KR102128088B1 (ko) 2013-11-19 2013-11-19 전자 장치의 방송 채널 정보 공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4/547,755 US9538248B2 (en) 2013-11-19 2014-11-19 Method for sharing broadcast channel informa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0496A KR102128088B1 (ko) 2013-11-19 2013-11-19 전자 장치의 방송 채널 정보 공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7309A KR20150057309A (ko) 2015-05-28
KR102128088B1 true KR102128088B1 (ko) 2020-06-29

Family

ID=53174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0496A KR102128088B1 (ko) 2013-11-19 2013-11-19 전자 장치의 방송 채널 정보 공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538248B2 (ko)
KR (1) KR1021280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54170S1 (en) * 2013-12-30 2016-04-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WO2015103773A1 (zh) * 2014-01-10 2015-07-1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消息推送方法及装置
KR20160146022A (ko) * 2015-06-11 2016-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사용자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5228024A (zh) * 2015-07-07 2016-01-06 深圳市美贝壳科技有限公司 机顶盒用户交互方法
KR102454746B1 (ko) * 2015-10-01 2022-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미디어 리소스 식별 정보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CN105898430A (zh) * 2016-04-20 2016-08-24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一种多媒体分享方法和装置
CN108121817A (zh) * 2017-12-29 2018-06-05 广州创慧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大数据的智能应答方法和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57242A1 (en) * 2005-12-29 2007-07-05 United Video Propert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content
US20120084804A1 (en) * 2010-10-05 2012-04-05 Microsoft Corporation Authenticated content discovery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86425B2 (en) * 1998-07-17 2019-01-30 Rovi Guides, Inc. Interactive television program guide system having multiple devices within a household
US20060101504A1 (en) * 2004-11-09 2006-05-11 Veveo.Tv, Inc.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searches for television content and channels using a non-intrusive television interface and with reduced text input
US8392594B2 (en) 2007-01-30 2013-03-05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ffectively providing content to client devices in an electronic network
US8631440B2 (en) * 2007-04-30 2014-01-14 Google Inc. Program guide user interface
JP5267062B2 (ja) * 2007-11-16 2013-08-2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コンテンツ視聴装置、コンテンツ表示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共有システム
US8015302B2 (en) * 2007-11-30 2011-09-0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oviding media channel services
US20100011020A1 (en) 2008-07-11 2010-01-14 Motorola, Inc. Recommender system
KR20120061589A (ko) * 2010-12-03 2012-06-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아이피 텔레비젼 서비스 제어장치 및 그를 이용한 콘텐츠 검색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57242A1 (en) * 2005-12-29 2007-07-05 United Video Propert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content
US20120084804A1 (en) * 2010-10-05 2012-04-05 Microsoft Corporation Authenticated content discov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538248B2 (en) 2017-01-03
KR20150057309A (ko) 2015-05-28
US20150143402A1 (en) 2015-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85374B2 (en) Method of controlling the sharing of videos and electronic device adapted thereto
KR102122476B1 (ko) 화면의 회전을 컨트롤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128088B1 (ko) 전자 장치의 방송 채널 정보 공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20170235435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application data display therefor
US9602286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extracting encrypted message
US20150130705A1 (en) Method for determining location of content and an electronic device
KR102105520B1 (ko) 디스플레이 링크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193704B1 (ko) 전자 장치의 락 스크린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109883B1 (ko) 컨텐츠 전송 방법 및 전자 장치
KR102157858B1 (ko)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20150063778A1 (en) Method for processing an imag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20150066876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9948732B2 (en) Method for providing status messaging service in electronic device and the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2157338B1 (ko) 복수의 센서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50043894A (ko) 복수의 영상의 프리뷰 영역을 조정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240526B1 (ko) 전자 장치의 컨텐츠 다운로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140294B1 (ko) 전자 장치의 광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20160330251A1 (en) Method and device for sharing connection information in electronic device
KR102213429B1 (ko) 사운드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 장치
US20150052145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capable of searching application
KR102285072B1 (ko) 전자 기기간 연동 방법 및 장치
US20170048292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US11522870B2 (en) Method for URL analysis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20150045560A (ko) 업 데이트 된 포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분류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154324B1 (ko) 배터리 충전 중 통화 품질을 향상시키는 전자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