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7705B1 - Portable multi-used battery charging plaform apparatus - Google Patents

Portable multi-used battery charging plaform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7705B1
KR102127705B1 KR1020180130038A KR20180130038A KR102127705B1 KR 102127705 B1 KR102127705 B1 KR 102127705B1 KR 1020180130038 A KR1020180130038 A KR 1020180130038A KR 20180130038 A KR20180130038 A KR 20180130038A KR 102127705 B1 KR102127705 B1 KR 102127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voltage
charging
usb
cas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00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49941A (en
Inventor
김영조
Original Assignee
김영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조 filed Critical 김영조
Priority to KR1020180130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7705B1/en
Publication of KR20200049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994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7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77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38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using passive battery identification means, e.g. resistors or capacitors
    • H02J7/0004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using passive battery identification means, e.g. resistors or capacitors using switches, contacts or markings, e.g. optical, magnetic or barcod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6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connection detecting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형 다목적 배터리충전 플랫폼 장치(2)로서, 소스 배터리(10)를 갖는 플랫폼 본체(4)와, 플랫폼 본체(4)에 충전가능케 연결되며 휴대단말(14)이 착용 가능하며 휴대폰 배터리(38)가 실장되는 케이스모듈(16)로 구성하며; 플랫폼 본체(4)는; USB충전케이블과 연결 가능한 제1,제2 USB입력부(18)(20)와, 케이스 모듈(16)과 연결 가능하며 5V전압과 4.2V전압의 두가지 충전경로 형성이 가능한 포트를 갖는 USB출력부(22)와, 제1,제2 USB입력부(18)(20)를 이용한 각기 5V전압 및 4.2V전압의 두가지 종류의 충전경로 형성과 소스배터리(10)로부터 USB출력부(22)로의 5V전압 및 4.2V전압의 두가지 종류의 배터리전원 충전경로 형성이 이루어지게 구성하고, USB출력부(22)에 4.2V전압으로 인가되는 4.2V전압 충전경로상에는 케이스모듈(16)의 플랫폼 본체(4)와의 접속여부에 따라 스위칭되는 이중경로 활성화 스위치(28)가 형성되는 충방전 제어회로부(100)를 구비하고, 케이스 모듈(16)은; 플랫폼 본체(4)의 USB출력부(22)에 꽂히며 5V전압 및 4.2V전압의 두가지 충전경로 형성이 가능한 포트를 가지는 USB입력소켓부(26)와 외부기기가 꽂힐 수 있는 출력 핀포트 독(32)과, USB입력소켓부(26)에서 출력 핀포트 독(32)까지 USB전원단을 이용한 5V전압 충전경로와 USB데이터신호단을 이용하는 4.2V전압 충전경로를 가지게 하는 모듈 제어회로부(110)를 구비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rtable multi-purpose battery charging platform device (2), the platform body (4) having a source battery (10), and is connected to the platform body (4) to be rechargeable, the mobile terminal (14) is wearable and a mobile phone battery ( 38) is composed of a case module 16 is mounted; The platform body 4 is; A USB output unit that has ports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USB charging cable, the first and second USB inputs (18), (20), and the case module (16), and that can form two charging paths: 5V and 4.2V. 22), using the first and second USB inputs 18 and 20, respectively, forming two types of charging paths of 5V voltage and 4.2V voltage, and 5V voltage from the source battery 10 to the USB output unit 22 and It is configured to form two types of battery-powered charging paths of 4.2V voltage, and is connected to the platform body 4 of the case module 16 on the 4.2V voltage charging path applied to the USB output unit 22 as a 4.2V voltage.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control circuit 100 is formed with a double path activation switch 28 that is switched depending on whether the case module 16 is; It is plugged into the USB output section 22 of the platform body 4 and has a port capable of forming two charging paths of 5V voltage and 4.2V voltage. The USB input socket section 26 and an output pin port dock through which external devices can be plugged ( 32) and a module control circuit unit 110 having a 5V voltage charging path using a USB power terminal and a 4.2V voltage charging path using a USB data signal terminal from the USB input socket portion 26 to the output pin port dock 32. It is to be provided.

Description

휴대형 다목적 배터리충전 플랫폼 장치{PORTABLE MULTI-USED BATTERY CHARGING PLAFORM APPARATUS}PORTABLE MULTI-USED BATTERY CHARGING PLAFORM APPARATUS}

본 발명은 배터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터리 일체형 휴대폰이나 배터리 탈착식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도 가능할 뿐만 아니라 휴대폰 케이스형 보조배터리의 보관 및 즉시 사용이 가능케 하고, 각종 블루투스장비와 같은 휴대기기의 전원 공급이나 다양한 기종의 휴대폰용 예비 배터리의 재활용도 가능하며 대용량 보조배터리 역할도 가능케 하는 휴대형 다목적 배터리충전 플랫폼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device,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not only to charge the battery of a battery-integrated mobile phone or a battery-removable mobile phone, but also to store and immediately use a mobile phone case-type auxiliary battery, and to supply power to mobile devices such as various Bluetooth devices or variou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multi-purpose battery charging platform device capable of recycling a spare battery for a mobile phone and also serving as a large capacity auxiliary battery.

요즈음 스마트폰의 보급이 보편화되면서 하루중 스마트폰의 활용 빈도와 사용시간이 상당히 높아지고 많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에 따라 자연히 스마트폰의 배터리 소모가 급속하게 이루어져 밤새 충전하여 만충전을 해두어도 이튿날 하루를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된다. With the widespread use of smart phones these days, the frequency and use time of smart phones has increased considerably and increased throughout the day. As a result, naturally, the battery consumption of the smartphone is rapidly generated, and even if it is fully charged by charging overnight, it is often impossible to use the next day.

이러한 배터리용량 부족현상을 극복하기 위해서 스마트폰 제조업체에서는 스마트폰의 배터리 용량을 늘리려는 노력을 경주하여 보다 큰 용량의 배터리를 탑재한 스마트폰을 공급하고 있다. 또 배터리 제조업체에서는 스마트폰의 지속 사용을 요구하는 소비자의 요구에 발맞춰 스마트폰과는 별도의 대용량 보조배터리 제품을 출시하여 시중에 판매하고 있는 실정이다.To overcome this shortage of battery capacity, smartphone manufacturers are making efforts to increase the battery capacity of smartphones and supply smartphones equipped with larger batteries. In addition, battery manufacturers have released a large-capacity auxiliary battery product that is separate from the smartphone to meet the needs of consumers who require the continuous use of the smartphone, and are on the market.

그러므로 스마트폰 사용자는 스마트폰을 별도의 보조배터리를 휴대하고 다니면서 충전이 필요시에 수시로 스마트폰을 충전하는 것이 일상이 되고 있다. Therefore, it is becoming common for smartphone users to charge their smartphones frequently when they need to be charged while carrying a separate auxiliary battery.

한편 요즈음의 스마트폰의 배터리 탑재방식에 있어서도 배터리가 내장된 배터리 일체형 휴대폰이 있고 배터리가 착탈 가능한 착탈식 휴대폰도 있다. 또 배터리일체형 휴대폰에 배터리가 방전되었을 경우 요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케이스형 보조배터리도 시중에 나와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battery-mounted method of smartphones these days, there are battery-integrated cell phones with built-in batteries, and there are also removable cell phones with removable batteries. In addition, there is also a commercially available case-type auxiliary battery that can be used when the battery is discharged in a battery-integrated cell phone.

또 SNS나 무선인터넷이 가능한 3G통신방식이나 4G통신방식의 휴대폰이 아니고 음성통화에 주로 사용되는 2G방식 휴대폰도 아직까지 공존하고 있다. Also, it is not a 3G or 4G communication mobile phone capable of SNS or wireless Internet, but a 2G mobile phone mainly used for voice communication still exists.

그러한 관계로 통화용 휴대폰이나 스마트폰 등을 사용하는 가정에서는 다양한 기종의 휴대폰용 정품 예비 배터리나 정품 메인배터리가 남아 있고 충전기도 여러가지 형태로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Due to such a relationship, there are many cases where genuine spare batteries or genuine main batteries for various types of mobile phones are left in the homes using mobile phones or smart phones for various types of phones, and chargers are also provided in various forms.

만일 스마트폰의 배터리 탑재방식(일체형이나 착탈형)에 구애 받음이 없이 충전할 수 있고 배터리 일체형 휴대폰에 끼워서 주로 사용되는 케이스형 보조배터리도 사용할 수 있고 각종 블루투스장비와 같은 휴대기기의 전원 공급을 할 수 있으며 별도의 대용량 보조배터리기능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배터리장치가 구현되고 또 기존의 정품배터리의 재활용도 가능하고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대용량 외장형 보조배터리를 활용할 수 있다면 관련된 많은 사람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If the smartphone's battery-mounted method (integrated or detachable) can be charged without regard to it, it can be used in a battery-integrated cell phone to use a commonly used case-type auxiliary battery and can supply power to portable devices such as various Bluetooth devices. In addition, if a battery device that can perform all of the separate large-capacity auxiliary battery functions is implemented, and the existing genuine battery can be recycled, and a large-capacity external auxiliary battery sold on the market can be used, it can receive great response from many people involved. There will be.

공개특허 제10-2014-0126576호 "멀티 아답타기능과 다양한 휴대폰배터리를 활용한 멀티 충전기능 및 비리모콘 장치의 리모콘방식 변환기능을 갖는 연결장치"Published Patent No. 10-2014-0126576 "Multi-adapter function and a multi-charging function utilizing various cell phone batteries and a connection device having a remote control type conversion function of a non-remote control devic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 일체형 휴대단말이나 배터리 착탈식 휴대단말의 배터리 충전도 가능할 뿐만 아니라 휴대폰 케이스형 보조배터리의 보관 및 즉시 사용이 가능케 하고, 각종 블루투스장비와 같은 휴대기기의 전원 공급이나 다양한 기종의 휴대단말용 예비 배터리의 재활용도 가능하며 대용량 보조배터리 역할도 가능케 하는 휴대형 다목적 충전플랫폼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Therefor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possible to charge the battery of the battery-integrated portable terminal or the battery-removable portable terminal, but also enables the storage and immediate use of a mobile phone case-type auxiliary battery, power supply of various portable devices such as Bluetooth devices, and various model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multi-purpose charging platform device capable of recycling a spare battery for a portable terminal and also acting as a large capacity auxiliary batter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플랫폼 본체를 사용하여서 외부의 상용전원을 이용하거나 자체에 구비된 배터리를 이용하여서 하나의 USB출력부를 매개로 5V전압 및 4.2V전압을 동시 사용이나 선택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종류의 휴대용 배터리 충전이나 휴대단말과 유무선으로 연결되는 외부기기(블루투스 장비 등)의 구동에 적절히 이용할 수 있도록 구현하는 휴대형 다목적 충전플랫폼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a commercially available external power supply using a platform body or a battery provided on its own to allow simultaneous use or selective use of 5V voltage and 4.2V voltage through one USB output uni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multi-purpose charging platform device that can be suitably used for charging a portable battery or driving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Bluetooth device) connected to a mobile terminal by wire or wireles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존제품의 외장형 보조배터리의 결합사용이 가능하며 배터리 일체형 휴대단말에 착용가능한 케이스모듈에서의 착탈형 휴대단말배터리 및 착용된 배터리 일체형 휴대단말으로의 동시 충전이 가능한 휴대형 다목적 충전플랫폼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rtable multi-purpose charging capable of simultaneous use of a detachable portable terminal battery and a worn battery-integrated portable terminal in a case module that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an external auxiliary battery of an existing product and worn on a battery-integrated portable terminal. In providing a platform devi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존제품의 외장형 보조배터리의 결합 용이 가능하며 배터리형보다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무배터리형 블루투스기기의 구동을 가능케 해주는 휴대형 다목적 충전플랫폼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multi-purpose charging platform device that enables easy coupling of an external auxiliary battery of an existing product and enables operation of a battery-free Bluetooth device that is relatively inexpensive than a battery type.

상기한 목적에 따른 본 발명은, 휴대형 다목적 배터리충전 플랫폼 장치에 있어서, 소스 배터리(10)를 갖는 플랫폼 본체(4)와, 플랫폼 본체(4)에 충전가능케 연결되며 휴대단말(14)이 착용 가능하며 휴대단말 배터리(38)가 실장되는 케이스모듈(16)로 구성하며;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 object, in the portable multi-purpose battery charging platform device, the platform body 4 having a source battery 10, and the platform body 4 is rechargeably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14 can be worn And it consists of a case module 16 o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battery 38 is mounted;

상기 플랫폼 본체(4)는; The platform body (4);

USB충전케이블과 연결 가능한 제1,제2 USB입력부(18)(20)와, 케이스 모듈(16)과 연결 가능하며 5V전압과 4.2V전압의 두가지 충전경로 형성이 가능한 포트를 갖는 USB출력부(22)와, 제1,제2 USB입력부(18)(20)를 이용한 각기 5V전압 및 4.2V전압의 두가지 종류의 충전경로 형성과 소스배터리(10)로부터 USB출력부(22)로의 5V전압 및 4.2V전압의 두가지 종류의 배터리전원 충전경로 형성이 이루어지게 구성하고, USB출력부(22)에 4.2V전압으로 인가되는 4.2V전압 충전경로상에는 케이스모듈(16)의 플랫폼 본체(4)와의 접속여부에 따라 스위칭되는 이중경로 활성화 스위치(28)가 형성되는 충방전 제어회로부(100)를 구비하고, A USB output unit that has ports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USB charging cable, the first and second USB inputs (18), (20), and the case module (16), and that can form two charging paths: 5V and 4.2V. 22), using the first and second USB inputs 18 and 20, respectively, forming two types of charging paths of 5V voltage and 4.2V voltage, and 5V voltage from the source battery 10 to the USB output unit 22 and It is configured to form two types of battery-powered charging paths of 4.2V voltage, and is connected to the platform body 4 of the case module 16 on the 4.2V voltage charging path applied to the USB output unit 22 as a 4.2V voltage. It is provided with a charge and discharge control circuit 100, the double path activation switch 28 is switched depending on whether it is formed,

상기 케이스 모듈(16)은; 플랫폼 본체(4)의 USB출력부(22)에 꽂히며 5V전압 및 4.2V전압의 두가지 충전경로 형성이 가능한 포트를 가지는 USB입력소켓부(26)와, 5V전압 및 4.2V전압의 두가지 충전경로 형성이 가능한 포트를 가지며 휴대단말(14)을 포함한 외부기기가 꽂힐 수 있는 출력 핀포트 독(32)과, 다기종의 휴대폰 배터리(38)가 장탈착 가능케 형성된 배터리장착부(40)와, 상기 USB입력소켓부(26)에서 출력 핀포트 독(32)까지 USB전원단을 이용한 5V전압 충전경로와 USB데이터신호단을 이용하는 4.2V전압 충전경로를 가지되 4.2V전압 충전경로상에는 케이스모듈(16)의 플랫폼 본체(4)와의 접속여부에 따라 스위칭되는 이중경로 활성화 스위치(39)가 형성되고 케이스모듈(16)내의 휴대폰 배터리(38)로부터 출력 핀포트 독(32)으로의 5V전압 충전경로를 형성하는 모듈 제어회로부(110)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The case module 16 is; It is inserted into the USB output section 22 of the platform body 4 and has a USB input socket section 26 having ports capable of forming two charging paths of 5V voltage and 4.2V voltage, and two charging paths of 5V voltage and 4.2V voltage. An output pin port dock 32 having a port that can be formed and an external device including a portable terminal 14 can be plugged in, a battery mounting part 40 formed by attaching and detaching a multi-cell phone battery 38, and the USB From the input socket section 26 to the output pin port dock 32, it has a 5V voltage charging path using a USB power stage and a 4.2V voltage charging path using a USB data signal stage, but on the 4.2V voltage charging path, the case module 16 A dual path activation switch 39 that is switched according to the connection with the platform body 4 of the is formed and forms a 5V voltage charging path from the mobile phone battery 38 in the case module 16 to the output pinport dock 32.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odule control circuit 110.

또한 본 발명에서 플랫폼 본체(4)의 케이싱 양측부에는 소스배터리 실장부(6a)와 케이스모듈 수용부(8a)를 가져서 소스배터리 실장부(6a)에는 소스배터리(10)가 실장되고 케이스모듈 수용부(8a)에는 휴대폰 배터리(38)가 실장된 케이스모듈(16)이 수용 가능케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rce battery 10 is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casing of the platform body 4, and the source battery 10 is mounted on the source battery mounting portion 6a by receiving the source battery mounting portion 6a and the case module receiving portion 8a. The unit (8a)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ell phone battery 38 is mounted to accommodate the case module 16 is accommodat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M 휴대형 다목적 배터리충전 플랫폼 장치에 있어서, 자체 충전회로를 갖는 외장형 보조배터리(80)로부터 5V전압 배터리전원을 공급받는 플랫폼 본체(4)와, 플랫폼 본체(4)에 충전가능케 연결되며 휴대단말(14)이 착용 가능한 케이스모듈(16)로 구성하며;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 portable multi-purpose battery charging platform device, the platform main body 4 and the platform main body 4 that are supplied with 5V voltage battery power from the external auxiliary battery 80 having its own charging circuit It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and is composed of a case module 16 that the portable terminal 14 can wear;

상기 플랫폼 본체(4)는; The platform body (4);

외장형 보조배터리(80)의 5V전압 USB소켓부(82)에 꽂힐 수 있는 USB 충전용 컨넥터(84)와, 케이스 모듈(16)과 연결 가능하며 5V전압과 4.2V전압의 두가지 충전경로 형성이 가능한 포트를 갖는 USB출력부(22)와, 상기 USB 충전용 컨넥터(84)에 연결된 외장형 보조배터리(80)의 배터리전원을 이용하여 5V전압 및 4.2V전압의 두가지 종류의 배터리전원 충전경로 형성이 이루어지게 구성하고, USB출력부(22)로 인가되는 4.2V전압 배터리전원 충전경로상에는 케이스모듈(16)의 플랫폼 본체(4)와의 접속여부에 따라 스위칭되는 이중경로 활성화 스위치(28)가 형성되는 충방전 제어회로부(200)를 구비하고, The USB charging connector 84 that can be plugged into the 5V voltage USB socket 82 of the external auxiliary battery 80 and the case module 16 can be connected, and two charging paths of 5V and 4.2V voltage can be formed. Two types of battery power charging paths, 5V voltage and 4.2V voltage, are formed by using the battery power of the USB output unit 22 having a port and the external auxiliary battery 80 connected to the USB charging connector 84.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dual path activation switch 28 is formed on the 4.2V voltage battery power charging path applied to the USB output unit 22 and switched depending on whether the case module 16 is connected to the platform body 4 or not. Discharge control circuit 200 is provided,

상기 케이스 모듈(16)은; The case module 16 is;

플랫폼 본체(4)의 USB출력부(22)에 꽂히며 5V전압 및 4.2V전압의 두가지 충전경로 형성이 가능한 포트를 갖는 USB입력소켓부(26)와, 5V전압 및 4.2V전압의 두가지 충전경로 형성이 가능한 포트를 가지며 휴대단말(14)을 포함한 외부기기가 꽂힐 수 있는 출력 핀포트 독(32)과, 다기종의 휴대폰 배터리(38)가 장탈착 가능케 형성된 배터리장착부(40)와, 상기 USB입력소켓부(26)에서 출력 핀포트 독(32)까지 USB전원단을 이용한 5V전압 충전경로와 USB데이터신호단을 이용하는 4.2V전압 충전경로를 가지되 4.2V충전경로상에는 케이스모듈(16)의 플랫폼 본체(4)와의 접속여부에 따라 스위칭되는 이중경로 활성화 스위치(39)가 형성되고 케이스모듈(16)내의 휴대폰 배터리(38)로부터 출력 핀포트 독(32)으로의 5V전압 충전경로를 형성하는 모듈 제어회로부(110)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It is inserted into the USB output section 22 of the platform body 4 and has a USB input socket section 26 having ports capable of forming two charging paths of 5V voltage and 4.2V voltage, and two charging paths of 5V voltage and 4.2V voltage. An output pin port dock 32 having a port that can be formed and an external device including a portable terminal 14 can be plugged in, a battery mounting part 40 formed by attaching and detaching a multi-cell phone battery 38, and the USB From the input socket section 26 to the output pin port dock 32, there is a 5V voltage charging path using a USB power terminal and a 4.2V voltage charging path using a USB data signal stage, but on the 4.2V charging path, the case module 16 A dual path activation switch 39 that is switched according to the connection with the platform body 4 is formed and forms a 5V voltage charging path from the mobile phone battery 38 in the case module 16 to the output pinport dock 32.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odule control circuit 110.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플랫폼 본체(4)는 끼움부를 구비하여 외장형 보조배터리(80)에 끼워지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tform body (4) is provided with a fitting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fitted to the external auxiliary battery (80).

또한 본 발명의 플랫폼 본체(4)의 충방전 제어회로부(100)(200)에 구비된 이중경로 활성화 스위치(28)는 플랫폼 본체(4)에 케이스 모듈(16)이 장착시 플랫폼 본체(4)로 삽입되는 케이스모듈(16)의 모듈장착감지편(24)에 의해서 스위치 온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고, In addition, the dual path activation switch 28 provided in the charge/discharge control circuit unit 100, 200 of the platform body 4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platform body 4 when the case module 16 is mounted on the platform body 4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switched on by the module mounting detection piece 24 of the case module 16 is inserted into,

또 케이스 모듈(16)의 모듈제어회로부(110)에 구비된 이중경로 활성화 스위치(39)는 플랫폼 본체(4)에 케이스 모듈(16)이 장착시 케이스모듈(16)로 삽입되는 플랫폼 본체(4)의 모듈장착감지편(37)에 의해서 스위치 온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In addition, the dual path activation switch 39 provided in the module control circuit 110 of the case module 16 is a platform body 4 inserted into the case module 16 when the case module 16 is mounted on the platform body 4.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switched on by the module mounting detection piece 37 of.

또한 본 발명은, 플랫폼 본체(4)의 소스 배터리(10)와 케이스모듈(16)에 실장된 휴대폰 배터리(38)는 각기 장탈착 가능하게 구성하며,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rce battery 10 of the platform body 4 and the mobile phone battery 38 mounted on the case module 16 are configured to be detachable, respectively.

케이스모듈(16)의 배터리장착부(40)는 다양한 종류의 휴대폰배터리(38)를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배터리 실장부가 되는 배터리안착 바닥판(42) 상에서 위치이동 및 방향전환되며 휴대폰배터리(38)를 고정할 수 있는 이동식 배터리 클램프(44)를 구비하며, 실장된 휴대폰배터리(38)를 덮어주기 위한 커버(58)를 포함하여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The battery mounting portion 40 of the case module 16 is moved and turned on the battery seating bottom plate 42, which becomes a battery mounting portion so that various types of mobile phone batteries 38 can be fixed and used, and the mobile phone battery 38 It is provided with a removable battery clamp 44 that can be fixed, and includes a cover 58 for covering the mounted mobile phone battery 38.

더욱이 본 발명에서 USB출력부(22)는 플러그 형태로서 힌지 조인트되거나 볼 조인트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고, Moreo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B output unit 22 is configured to be hinged or ball jointed as a plug shape,

USB출력부(22)는 5V전압 충전경로 형성이 가능한 전원단 포트와 케이스모듈(16)의 장착에 따른 4.2V전압 충전경로의 형성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져 데이터신호 대신 4.2V의 충전전원이 인가되는 데이터신호단 포트를 갖는 마이크로 5핀 USB타입 출력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The USB output unit 22 is formed of a power supply terminal port capable of forming a 5V voltage charging path and a 4.2V voltage charging path according to the mounting of the case module 16, so that data of 4.2V charging power is applied instead of a data signa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micro 5-pin USB type output with a signal port.

또한 본 발명은, 플랫폼 본체(4)의 충방전회로부(100)에서 소스배터리(10)로부터 USB출력부(22)까지의 4.2V전압 배터리전원 충전경로 상에는 4.2V전압을 5V전압으로 승압하는 DC승압부(66)가 연결되고, 소스배터리(10)로부터 USB출력부(22)까지의 5V전압 배터리전원 충전경로 상에는 DC승압부(66)에서 출력된 5V전압을 출력 부하변동에도 무관하게 4.2V전압의 정전압으로 유지되게 하는 정전압부(60b)가 연결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he DC to boost the voltage of 4.2V to 5V on the charging path of the 4.2V voltage battery power from the source battery 10 to the USB output unit 22 in the charge/discharge circuit unit 100 of the platform main body 4 The step-up section 66 is connected, and the 5V voltage from the source battery 10 to the USB output section 22 on the battery power charging path, the 5V voltage output from the DC step-up section 66 regardless of the output load fluctuation is 4.2V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stant voltage portion 60b to be maintained at a constant voltage of the voltage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또한 본 발명은, 플랫폼 본체(4)의 충방전회로부(200)에서 외장형 보조배터리(80)에 접속된 USB 충전용 컨넥터(84)로부터 USB출력부(22)까지의 4.2V전압의 배터리전원 충전경로 상에는 4.2V전압을 5V전압으로 승압하는 DC승압부(66)가 연결되고, 외장형 보조배터리(80)에 접속된 USB 충전용 컨넥터(84)로부터 USB출력부(22)까지의 5V전압의 배터리전원 충전경로는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circuit portion 200 of the platform main body (4) connected to the external auxiliary battery (80) from the USB charging connector 84 to the USB output section 22 charging the battery power of the battery voltage of 4.2V A DC booster 66 for boosting a 4.2V voltage to a 5V voltage is connected on the path, and a battery of 5V voltage from the USB charging connector 84 connected to the external auxiliary battery 80 to the USB output unit 22 is connected. The power charging path is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directly.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 모듈(16)의 모듈 제어회로부(110)에서 USB입력소켓부(26)에서 출력 핀포트 독(32)까지의 5V전압 충전경로는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되고 USB입력소켓부(26)에서 출력 핀포트 독(32)까지의 5V전압 충전경로상에는 이중경로 활성화 스위치(39)가 연결되게 구성하고, 케이스 모듈(16)에서 실장된 휴대폰 배터리(38)로부터 출력 핀포트 독(32)까지의 5V전압 충전경로상에는 휴대폰 배터리(38)로부터의 배터리전원 4.2V전압을 5V전압으로 승압하는 DC승압부(66)가 연결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5V voltage charging path from the module control circuit unit 110 of the case module 16 to the output pin port dock 32 from the USB input socket unit 26 is directly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SB input socket unit ( On the 5V voltage charging path from 26) to the output pinport dock 32, the dual path activation switch 39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and the output pinport dock 32 from the cell phone battery 38 mounted in the case module 16 Characterized in that the DC booster 66 for boosting the 4.2V voltage of the battery power from the mobile phone battery 38 to the 5V voltage is connected to the 5V voltage charging path up to ).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견지로서, 휴대형 다목적 배터리충전 플랫폼 장치에 있어서, 자체 충전회로를 갖는 외장형 보조배터리(80)로부터 5V전압 배터리전원을 공급받는 플랫폼 본체(4)와, 플랫폼 본체(4)에 충전가능케 연결되며 무충전회로형 및 무배터리형의 휴대용 외부기기(90)로 구성하며; In addition, as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ortable multi-purpose battery charging platform device, the platform main body 4 and the platform main body 4 that receives 5V voltage battery power from the external auxiliary battery 80 having its own charging circuit It is connected to be chargeable and consists of a portable external device 90 of a non-rechargeable circuit type and a battery-free type;

상기 플랫폼 본체(4)는; The platform body (4);

외장형 보조배터리(80)의 5V전압 USB소켓부(82)에 꽂힐 수 있는 USB 충전용 컨넥터(84)와, 케이스 모듈(16)과 연결 가능하며 5V전압과 4.2V전압의 두가지 충전경로 형성이 가능한 포트를 갖는 USB출력부(22)와, 상기 USB 충전용 컨넥터(84)에 연결된 외장형 보조배터리(80)의 배터리전원을 이용하여 5V전압 및 4.2V전압의 두가지 종류의 배터리전원 충전경로 형성이 이루어지게 구성하고, USB출력부(22)로 인가되는 4.2V전압 배터리전원 충전경로상에는 케이스모듈(16)의 플랫폼 본체(4)와의 접속여부에 따라 스위칭되는 이중경로 활성화 스위치(28)가 형성되는 충방전 제어회로부(200)를 구비하고, The USB charging connector 84 that can be plugged into the 5V voltage USB socket 82 of the external auxiliary battery 80 and the case module 16 can be connected, and two charging paths of 5V and 4.2V voltage can be formed. Two types of battery power charging paths, 5V voltage and 4.2V voltage, are formed by using the battery power of the USB output unit 22 having a port and the external auxiliary battery 80 connected to the USB charging connector 84.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dual path activation switch 28 is formed on the 4.2V voltage battery power charging path applied to the USB output unit 22 and switched depending on whether the case module 16 is connected to the platform body 4 or not. Discharge control circuit 200 is provided,

플랫폼 본체(4)의 끼움부가 외장형 보조배터리(80)에 끼워지게 구성하고, USB출력부(22)는 플러그 형태로서 힌지 조인트되거나 볼 조인트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The fitting portion of the platform body (4) is configured to fit into the external auxiliary battery (80), and the USB output portion (22)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hinged or ball jointed as a plug.

본 발명은 휴대형 다목적 충전플랫폼 장치를 구현하여서 배터리 일체형 휴대단말이나 배터리 착탈식 휴대단말의 배터리 충전도 가능할 뿐만 아니라 휴대단말 케이스형 보조배터리의 보관 및 즉시 사용이 가능케 하고, 각종 블루투스장비와 같은 휴대기기의 전원 공급이나 다양한 기종의 휴대단말용 예비 배터리의 재활용도 가능하며 대용량 보조배터리 역할도 가능케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플랫폼 본체를 사용하여서 외부의 상용전원을 이용하거나 자체에 구비된 배터리를 이용하여서 하나의 USB출력부를 매개로 5V전압 및 4.2V전압을 동시 사용이나 선택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종류의 휴대용 배터리 충전이나 휴대단말과 유무선으로 연결되는 외부기기(예컨대 블루투스 장비)의 구동에 적절히 이용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a portable multi-purpose charging platform device to enable battery charging of a battery-integrated portable terminal or a battery-removable portable terminal, as well as storage and immediate use of a portable terminal case-type auxiliary battery, and the use of portable devices such as various Bluetooth devices. It is possible to recycle power supply or spare batteries for various types of portable terminals, and it also has the advantage of enabling a large capacity auxiliary battery.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platform body to use an external commercial power source or a battery provided on its own to allow simultaneous use or selection of 5V voltage and 4.2V voltage through one USB output unit. It can be implemented so that it can be appropriately used for charging a battery or driving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a Bluetooth device) connected to a mobile terminal by wire or wireles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형 다목적 배터리충전 플랫폼 장치의 분리 사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휴대형 다목적 배터리충전 플랫폼 장치의 결합 사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플랫폼 본체에서 분리한 케이스모듈의 사시 구성도,
도 4는 도 3의 케이스모듈의 배면 분리 사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케이스모듈에 배터리일체형 휴대단말을 끼운 사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다목적 충전플랫폼 장치의 회로 블록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형 다목적 배터리충전 플랫폼 장치의 분리 사시 구성도,
도 8은 도 7의 플랫폼 본체에 외장형 보조배터리(80)를 삽입한 후 케이스모듈이나 무배터리형 블루투스 스피커를 연결하기 위한 사시 구성도,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다목적 충전플랫폼 장치의 회로 블록 구성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configuration diagram of a portable multi-purpose battery charging platform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mbined configuration of the portable multi-purpose battery charging platform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configuration diagram of a case module separated from the platform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ar separation of the case module of Figure 3,
Figure 5 is a perspective configuration diagram of a battery-integrated portable terminal in the case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ircuit block configuration diagram of a portable multi-purpose charging platform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configuration diagram of a portable multi-purpose battery charging platform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configuration diagram for connecting the case module or the battery-free Bluetooth speaker after inserting the external auxiliary battery 80 in the platform body of FIG.
9 is a circuit block configuration diagram of a portable multi-purpose charging platform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형 다목적 배터리충전 플랫폼 장치(2)의 분리 사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휴대형 다목적 배터리충전 플랫폼 장치(2)의 결합 사시 구성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configuration diagram of a portable multi-purpose battery charging platform device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ombined perspective configuration diagram of a portable multi-purpose battery charging platform device 2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형 다목적 배터리충전 플랫폼 장치(2)는, 크게 소스 배터리(10)를 갖는 플랫폼 본체(4)와, 플랫폼 본체(4)에 충전가능케 연결되며 휴대단말(14)이 착용 가능하며 휴대폰 배터리(38)가 실장되는 케이스모듈(16)로 구성한다. The portable multi-purpose battery charging platform device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connected to the platform main body 4 having the source battery 10 and the platform main body 4, and is worn by the portable terminal 14 It is possible and consists of a case module 16 on which the mobile phone battery 38 is mounted.

도 1 내지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휴대형 다목적 배터리충전 플랫폼 장치(2)는 일측케이싱(6)과 타측케이싱(8)이 조립 구성된 플랫폼 본체(4)를 구비하며, 일측케이싱(6)에는 대용량의 소스배터리(10)를 실장하는 소스배터리 실장부(6a)가 마련되고 소스배터리 실장부(6a)를 덮는 커버(12)가 구비된다. Referring to FIG. 1 to FIG. 2 together to explain this in more detail, the portable multi-purpose battery charging platform device 2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atform body 4 in which one side casing 6 and the other side casing 8 are assembled. The one side casing (6) is provided with a source battery mounting portion (6a) for mounting a large-capacity source battery (10) and is provided with a cover (12) covering the source battery mounting portion (6a).

플랫폼 본체(4)의 타측 케이싱(8)에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단말(도 5의 14)이 끼워져 배터리 충전될 수 있도록 구성의 케이스 모듈(16)이 삽입될 수 있는 케이모듈 수용부(8a)가 마련되어 있다. On the other side casing 8 of the platform main body 4,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14 in FIG. 5) is fitted so that the case module 16 of the configuration can be inserted so that the battery can be charged. Has been prepared.

또한 플랫폼 본체(4)의 헤드부에는 도 2에서와 같이 휴대단말 충전 및 신호 송수신을 위해 사용하는 USB충전케이블의 컨넥터부가 꽂힐 수 있는 두개의 제1 USB입력부(18)(20)와, 소스 배터리(10)의 사용여부를 단속하는 소스배터리용 스위치(SW)와, 소스배터리(10)의 잔량 및 충전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잔량 및 충전상태 표시부(42)가 구비된다. In addition, the head portion of the platform body 4, as shown in Figure 2, the first USB input unit 18 and 20, and the source battery can be plugged into the connector of the USB charging cable used for charging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mobile terminal, the source battery A source battery switch SW that regulates whether to use (10) and a remaining amount and a charging state display unit 42 for displaying the remaining amount and charging state of the source battery 10 are provided.

그리고 본 발명에 따라 플랫폼 본체(4)의 케이싱모듈 수용부(8a)의 내실측벽에는 힌지조인트를 갖는 플러그형태의 USB출력부(22)가 구비된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g-type USB output unit 22 having a hinge joint is provided on the inner wall of the casing module receiving unit 8a of the platform main body 4.

본 발명에 따른 USB출력부(22)는 USB(Universal Serial Bus) 마이크로 B타입(마이크로USB 5핀 타입) 숫놈 컨넥터로 구현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어느 방향으로 꼽아 넣을 수 있는 형태인 USB 타입-C 숫놈 컨넥터로도 가능하다. The USB output unit 2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a USB (Universal Serial Bus) micro B type (micro USB 5 pin type) male connector, and a USB type that can be inserted in any direction if necessary. C male connector is also available.

플러그형태의 USB출력부(22)는 케이스 모듈(16)이 케이스모듈 수용부(8a)에 실장되고 케이스모듈(16)의 충전소켓부에 꽂힐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케이스모듈(16)처럼 실장되지 않고 케이스모듈 수용부(8a) 위에 얹혀서 일반적인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단말(14)의 USB입력소켓부에도 꽂힐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플러그가 상하 축선회가 가능한 힌지조인트 형태로 구성된다. In the plug-type USB output unit 22, the case module 16 is mounted on the case module accommodating portion 8a and can be inserted into the charging socket portion of the case module 16, and is not mounted like the case module 16. The plug is composed of a hinge joint capable of pivoting up and down so that it can be plugged into the USB input socket of the portable terminal 14, such as a general smartphone, by placing it on the case module accommodating portion 8a.

USB출력부(22)의 다른 구현 예로서, 상하 축선회가 가능한 힌지조인트를 갖는 플러그형 USB출력부(22)는 축요동도 가능할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힌지축 탈착시 리드케이블(lead cable)이 소폭으로 연장 돌출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As another example of implementation of the USB output unit 22, the plug-type USB output unit 22 having a hinge joint capable of pivoting up and down is not only capable of axial fluctuation, but also has a lead cable when detaching the hinge shaft as required.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to be able to protrude slightly narrow.

또한, USB출력부(22)의 다른 구현 예로서, 플러그형 USB출력부(22)의 뿌리축부가 볼조인트 형태로 구성하여서 상하좌우로의 축요동뿐만 아니라 어느정도의 전후회전도 가능케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as another implementation example of the USB output unit 22, the root shaft portion of the pluggable USB output unit 22 is configured in a ball joint form, and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not only axial fluctuation up and down, left and right, but also some degree of front and rear rotation. Do.

플랫폼 본체(4)에 구비된 제1,제2 USB입력부(18)(20)와 힌지조인트을 갖는 플러그형 USB출력부(22)는 본 발명에 따라 USB 마이크로 B타입 즉 마이크로 USB 5핀 형태가 바람직하다. The first and second USB inputs 18 and 20 provided on the platform main body 4 and the plugged USB output 22 having a hinge joint are preferably USB micro B type or micro USB 5 pin ty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

플랫폼 본체(4)의 힌지조인트를 갖는 플러그형 USB출력부(22)가 있는 벽부의 일측편에는 케이스모듈(16)의 하방돌부(24a)에 심겨진 모듈장착 감지편(24)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23)이 형성되고, 플러그형 USB출력부(22)가 있는 벽부의 타측편에는 케이스모듈(16)의 모듈제어회로부(도 6의 110)내 마련된 이중경로 활성화스위치(39)를 온/오프하기 위해 자석과 같은 모듈장착 감지편(37)이 심겨진 돌부(37a)가 구성된다. A module-mounted detection piece 24 embedded in the lower protrusion 24a of the case module 16 may be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wall portion having the plug-type USB output unit 22 having the hinge joint of the platform body 4 The insertion hole 23 is formed, and on the other side of the wall portion with the pluggable USB output 22, the dual path activation switch 39 provided in the module control circuit (110 of FIG. 6) of the case module 16 is turned on. In order to turn on/off, a protrusion 37a in which a module-mounted detection piece 37 such as a magnet is planted is configured.

본 발명에 따라 제1,제2 USB입력부(18)(20)는 외부 상용전원이 휴대폰충전기의 USB충전케이블의 컨넥터가 꽂히는 입력부로서, 예컨대 5V, 2A의 USB입력포트가 되게 구현할 수 있다. 제1,제2 USB입력부(18)(20)의 바람직한 예시로서, USB(Universal Serial Bus) B타입(마이크로USB 5핀 타입) 암놈 소켓으로 구현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USB input units 18 and 20 may be implemented such that external commercial power is an input unit through which a connector of a USB charging cable of a mobile phone charger is inserted, for example, a 5V, 2A USB input port. As a preferred example of the first and second USB inputs 18 and 20, a USB (Universal Serial Bus) B type (micro USB 5 pin type) female socket can be implemented.

일반 충전모드의 경우에는, 제1 USB입력부(18)로 입력된 5V, 2A의 입력충전전원은 플랫폼 본체(4)의 소스배터리실장부(6a)에 실장된 소스배터리(10)에 인가되고, 제2 USB입력부(20)로 입력된 5V, 2A의 충전입력전원은 USB출력부(22)를 경유해 케이스모듈 수용부(8a)에 삽입된 케이스모듈(16)로 인가된다. In the normal charging mode, the input charging power of 5V and 2A input to the first USB input unit 18 is applied to the source battery 10 mounted on the source battery mounting unit 6a of the platform main body 4, The charging input power of 5V and 2A input to the second USB input unit 20 is applied to the case module 16 inserted into the case module accommodating unit 8a via the USB output unit 22.

플랫폼 본체(4)의 케이싱 내부에는 본 발명에 따른 충방전 제어회로부(도 6의 100)의 구성 회로부품들이 탑재된 인쇄회로기판이 내장된다. Inside the casing of the platform body 4, a printed circuit board in which the component circuit components of the charge/discharge control circuit part 100 (100 in FIG. 6)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mounted is embedded.

플랫폼 본체(4)의 충방전 제어회로부(100)는, 스마트폰의 USB충전케이블과 연결 가능한 제1,제2 USB입력부(18)(20)와, 케이스 모듈(16)과 연결 가능하며 5V전압과 4.2V전압의 두가지 충전경로 형성이 가능한 포트를 갖는 USB출력부(22)와, 제1,제2 USB입력부(18)(20)를 이용한 각기 5V전압 및 4.2V전압의 두가지 종류의 충전경로 형성과 소스배터리(10)로부터 USB출력부(22)로의 5V전압 및 4.2V전압의 두가지 종류의 배터리전원 충전경로 형성이 이루어지게 구성하고, USB출력부(22)에 4.2V전압으로 인가되는 4.2V전압 충전경로상에는 케이스모듈(16)의 플랫폼 본체(4)와의 접속여부에 따라 스위칭되는 이중경로 활성화 스위치(28)가 형성되게 구성한다. The charge/discharge control circuit 100 of the platform body 4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USB inputs 18 and 20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USB charging cable of the smartphone, and the case module 16, which is connectable to the 5V voltage. And 4.2V voltage, two types of charging paths using a USB output unit 22 and a first and second USB input unit 18 and 20, each having a port capable of forming two charging paths, and a charging voltage of 4.2V voltage Formation and formation of two types of battery power charging paths of 5V voltage and 4.2V voltage from the source battery 10 to the USB output unit 22 is formed, and 4.2 applied to the USB output unit 22 at a 4.2V voltage On the V voltage charging path, the dual path activation switch 28 is configured to be switched depending on whether the case module 16 is connected to the platform body 4 or not.

이러한 본 발명은 플랫폼 본체(4)의 USB출력부(22)를 이용하여 배터리 일체형 휴대단말이나 배터리 착탈식 휴대단말 모두에 호환가능케 충전할 수 있고, 소스배터리실장부(6a)를 이용하면 기존 휴대단말용 배터리까지도 충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플랫폼 본체(4)를 사용하여서 외부의 상용전원을 이용하거나 플랫폼 본체(4) 자체에 구비된 소스 배터리(10)를 이용하여서 하나의 USB출력부(22)를 매개로 5V전압 및 4.2V전압을 동시 사용이나 선택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종류의 휴대용 배터리 충전이나 휴대단말과 유무선으로 연결되는 외부기기(블루투스 기기 등)의 구동에 적절히 이용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atible with both the battery-integrated portable terminal and the battery removable portable terminal using the USB output unit 22 of the platform body 4, and using the source battery mounting unit 6a, the existing portable terminal You can even charge your battery.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platform main body (4) using an external commercial power source or the platform main body (4) using a source battery (10) via a single USB output unit 22 via the 5V voltage and 4.2 V voltage can be used at the same time or selected to be used so that various types of portable batteries can be charged or used to drive external devices (Bluetooth devices, etc.) that are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by wire or wireless.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케이스 모듈(16)을 이용해서 배터리 일체형 휴대단말 등을 위한 휴대단말 케이스형 보조배터리 역할을 도모하며, 케이스모듈(16)이 스마트폰의 USB충전케이블이 이용되어 충전되게 할 수도 있고 외부의 상용전원을 사용하지 못하는 상황에서도 케이스모듈(16)이 플랫폼 본체(4)에 보관만 되어 있어도 자체충전이 자동으로 이루어져서 사용자가 필요하는 즉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허락한다. Moreo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module 16 is used to serve as a portable terminal case-type auxiliary battery for a battery-integrated portable terminal, etc., and the case module 16 may be charged using a USB charging cable of a smartphone. Even when the external commercial power is not available, even if the case module 16 is stored only in the platform body 4, self-charging is automatically performed so that the user can use it immediately as needed.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모듈(16)에 관련한 도면으로서, 도 3은 본 발명의 플랫폼 본체(4)에서 분리한 케이스모듈(16)의 사시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3의 케이스 모듈(16)의 배면 분리 사시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케이스모듈(16)에 배터리일체형 휴대단말(14)을 끼운 사시 구성도이다. 도 5의 예시에서 배터리일체형 휴대단말(14)은 배터리 일체형 스마트폰이다. 3 to 5 is a view related to the case module 16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configuration diagram of a case module 16 separated from the platform main body 4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Figure 3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ar separation of the case module 16, and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ttery module-type portable terminal 14 fitted to the case module 16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xample of Figure 5, the battery-integrated portable terminal 14 is a battery-integrated smartphone.

케이스 모듈(16)은 플랫폼 본체(4)의 케이스모듈 수용부(8a)에 넣되 안내레일과 레일홈으로 구성된 일예의 안내부(25)를 따라가며 수용 안내되도록 하고 케이스모듈 수용부(8a) 내측에 위치된 USB출력부(22)에 케이스 모듈(16)의 USB입력소켓부(26)가 끼워지게 함과 동시에 케이스모듈(16)이 케이스모듈 수용부(8a)에 온전히 장착됨을 감지하기 위한 모듈장착 감지편(24)이 케이스 모듈(16)에 구비된다. The case module 16 is inserted into the case module accommodating portion 8a of the platform main body 4 to be guided by accommodating the guide portion 25 composed of a guide rail and a rail groove, and inside the case module accommodating portion 8a A module for detecting that the USB input socket portion 26 of the case module 16 is inserted into the USB output portion 22 located at the same time and that the case module 16 is completely mounted on the case module accommodating portion 8a. The mounting detection piece 24 is provided on the case module 16.

모듈장착 감지편(24)은 바람직한 예시로는 케이스모듈(16)의 하방 돌부(24a)의 선두에 심겨진 자석으로서, 플랫폼 본체(4)의 케이스 수용부(8a) 내측벽에 있는 삽입공(23)에 하방돌부(24a)가 삽입시 자석의 자력에 의해 케이스 모듈(16)이 장착됨을 인식케 한다. 즉 모듈장착 감지편(24)이 삽입공(23)내에 삽입되면 도 6과 함께 후술될 것이지만 충방전 제어회로부(100)에서의 외부 상용전원을 이용해 충전하는 충전경로를 활성화시키는 이중경로 활성화 스위치(28)가 모듈장착 감지편(24)의 자력에 의해서 스위치 온(ON)된다. The module mounting detection piece 24 is a magnet planted at the front of the lower protrusion 24a of the case module 16 as a preferred example, and the insertion hole 23 in the inner wall of the case receiving portion 8a of the platform body 4 ) When the lower protrusion 24a is inserted, the case module 16 is recognized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That is, when the module mounting detection piece 24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23, it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6, but a dual path activation switch for activating the charging path for charging using external commercial power from the charge/discharge control circuit unit 100 ( 28) is switched on (ON)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module mounting detection piece (24).

모듈장착 감지편(24)은 본 발명에서는 자석으로 일예를 들었지만 푸쉬돌봉 등과 같은 다른 수단으로도 구현가능하다. The module-mounted detection piece 24 is an example of a magnet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can be implemented by other means, such as a push stone rod.

본 발명에 따라 휴대단말 케이스형 보조배터리 기능을 겸하는 케이스 모듈(16)은 전방부의 하측 내벽부에 휴대단말(14)의 핀포트 독(pin port dock)(30)이 형성되며 전면바닥부에는 휴대단말(14)이 끼움 안착되는 휴대단말 안착부(32)가 마련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module 16 serving as a portable terminal case-type auxiliary battery has a pin port dock 30 of the portable terminal 14 formed on the lower inner wall of the front portion and is carried on the front bottom portion. The terminal 14 is provided with a portable terminal seating portion 32 to be seated.

그리고 본 발명의 케이스 모듈(16)의 후방부에는 도 4에서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휴대폰배터리(38)를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다기종 배터리 장착부(40)가 구비된다. And the rear portion of the case module 16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multi-type battery mounting unit 40 that can be used by fixing various types of mobile phone batteries 38, as shown in FIG.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케이스 모듈(16)의 후방에 구비된 다기종 배터리장착부(40)는 배터리 실장부가 되는 배터리안착 바닥판(42) 상에서 위치이동 및 방향전환되는 이동식 배터리 클램프(44)를 구비하며, 실장된 휴대폰배터리(38)를 덮어주기 위한 커버(58)도 갖는다. Referring to FIG. 4 in more detail, the multi-type battery mounting unit 40 provided at the rear of the case module 16 is a movable battery clamp that is moved and turned on the battery seating bottom plate 42 which is a battery mounting unit ( 44), and has a cover 58 for covering the mounted cell phone battery 38.

상기 이동식 배터리 클램프(44)는, 제1 안내장공(46)이 형성되며 마찰면을 갖는 배터리안착 바닥판(42)과, 제2 안내장공(48)이 형성되고 배터리 코너부를 지지하는 L자형 코너브라켓(50)과 배터리안착 바닥판(42)의 제1 안내장공(46)과 코너브라켓(50)의 제2 안내장공(48)에 함께 끼워져 제1,제2 안내장공(46)(48)을 따라 제한 이동되는 이동축부와 상기 이동축부에 연결되며 L자형 코너브라켓(50)을 현재 위치 및 설정 방향을 고정시키는 잠금부재(52)를 포함한 클램프지그(54)로 구성한다. The movable battery clamp 44 is formed with a first guide hole 46, a battery seating bottom plate 42 having a friction surface, a second guide hole 48, and an L-shaped corner supporting the battery corner portion The first and second guide holes 46 and 48 are fitted together in the first guide hole 46 of the bracket 50 and the battery seating bottom plate 42 and the second guide hole 48 of the corner bracket 50. It consists of a clamp jig 54 including a locking member 52 that is connected to the moving shaft portion and is limited to move along the moving shaft portion and locks the L-shaped corner bracket 50 to a current position and a set direction.

그리고 케이스 모듈(16)의 후방에 구비된 다기종 배터리장착부(40)는 다양한 휴대폰 배터리(38)의 충전단자와 대응 접촉될 수 있도록 슬라이드 레버(56)에 의해서 이동되는 이동식 충전단자도 구비한다. In addition, the multi-type battery mounting unit 40 provided at the rear of the case module 16 also includes a movable charging terminal that is moved by the slide lever 56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charging terminals of various mobile phone batteries 38.

이러한 케이스 모듈(16)의 후방에 위치뒨 다기종 배터리장착부(40)는 다양한 기종의 휴대폰 배터리(38)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Located at the rear of the case module 16, the multi-model battery mounting unit 40 can easily mount the mobile phone batteries 38 of various models.

한편 플랫폼 본체(4)의 소스배터리실장부(6a)에 실장된 소스배터리(10)나 케이스모듈(16)의 휴대폰배터리(38)로의 외부 상용전원 충전이나, 일측 소스배터리실장부(6a)의 소스 배터리(10)에서 플랫폼 본체(4)에 삽입된 케이스모듈(16)에 실장된 휴대폰 배터리(38)로의 자가 충전기능이나 소스 배터리(10)에서 플랫폼 본체(4)에 삽입된 케이스모듈(16)에 실장된 휴대폰배터리(38) 및 케이스모듈(16)에 끼워진 휴대단말(14)으로의 동시 자가충전을 수행하기 위한 충방전 제어회로부(100)를 일측케이싱(6) 및 타측케이싱(8)내의 인쇄회로기판에 탑재한다. On the other hand, external commercial power charging to the mobile phone battery 38 of the source battery 10 or the case module 16 mounted on the source battery mounting portion 6a of the platform main body 4, or one side of the source battery mounting portion 6a Self-charging function from the source battery 10 to the mobile phone battery 38 mounted in the case module 16 inserted in the platform body 4 or the case module 16 inserted in the platform body 4 from the source battery 10. ), one side casing (6) and the other side casing (8) of the charge/discharge control circuit 100 for performing simultaneous self-charging to the mobile phone 14 mounted on the mobile phone battery 38 and the case module 16 It is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inside.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충방전기능을 갖는 플랫폼 본체(4)에 구비된 충방전 제어회로부(100)의 회로 구성도이다. 6 is a circuit configuration diagram of a charge/discharge control circuit 100 provided in a platform body 4 having a charge/discharge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충방전 제어회로부(100)는 두 개의 제1 USB입력부(18)(20)와 하나의 USB출력부(22)를 구비한다. The charge/discharge control circuit uni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wo first USB input units 18 and 20 and one USB output unit 22.

본 발명에 따라 플랫폼 본체(4)의 USB출력부(22)는 USB마이크로 B타입(즉 마이크로 5핀 USB타입)으로 채용된다. USB마이크로 B타입(마이크로 5핀 USB타입)에서 1번 핀은 전원단(Vcc)이고 2번 및 3번 핀은 데이터신호단(D-/D+), 4번 핀은 감지선(sense), 5번 핀은 접지선(GND)이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B output unit 22 of the platform body 4 is adopted as a USB micro B type (ie, a micro 5 pin USB type). In the USB micro B type (micro 5 pin USB type), pin 1 is the power supply terminal (Vcc), pins 2 and 3 are the data signal terminal (D-/D+), and pin 4 is the sensing wire (sense), 5 Pin #1 is the ground wire (GND).

USB마이크로 B타입(마이크로 5핀 USB타입)에서의 전원단(Vcc)은 본 발명에서는 5V전압이 출력되는 USB출력부(22)의 5V출력포트①로 사용되고, 데이터신호단(D-)인 2번 핀은 상기 USB출력부(22)의 4.2V출력포트②로서 선택적으로 활용되게 한다. 즉 USB출력부(22)에서 2번 핀이 데이터신호단으로 사용될 경우를 제외하고는 4.2V 전원을 공급해주는 포트로 사용하는 것이다. The power supply terminal (Vcc) of the USB micro B type (micro 5 pin USB type) is used as the 5V output port ① of the USB output unit 22 in which the 5V voltage is output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ata signal terminal (D-) 2 Pin number 2 is selectively utilized as a 4.2V output port ② of the USB output unit 22. That is, except that pin 2 is used as a data signal terminal in the USB output unit 22, it is used as a port for supplying 4.2V power.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USB출력부(22) 뿐만 아니라 USB입력소켓부(26), 출력 핀포트 독(30) 역시도 USB마이크로 B타입(마이크로 5핀 USB타입)을 채용한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the USB output 22, the USB input socket 26, the output pin port dock 30 also employs a USB micro B type (micro 5 pin USB type).

그러므로 플랫폼 본체(4)나 케이스모듈(16)에 접속되는 스마트폰이나 휴대기기가 USB마이크로 B타입(마이크로 5핀 USB타입)이 아닌 경우에는 USB젠더를 사용해서 접속할 수 있음을 이해하야야 한다.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f the smartphone or mobile device connected to the platform body 4 or the case module 16 is not a USB micro B type (micro 5 pin USB type), it can be connected using a USB gender.

또 본 발명의 충방전 제어회로부(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USB입력부(18)를 통한 외부의 상용전원 인가시에 제1 USB입력부(18)로부터 플랫폼 본체(4) 소스배터리 실장부(6a)에 실장된 장탈형 소스 배터리(10)까지 형성되는 제1 충전경로(P1)와, 제2 USB입력부(20)를 통한 외부의 상용전원 인가시에 제2 USB입력부(20)로부터 플랫폼 본체(4)의 케이스 모듈(16)에 장착된 휴대폰 배터리(38)까지 형성되는 제2 충전경로(P2)와, 소스배터리(10)로부터 USB출력부(22)의 5V포트①까지 형성되는 제3 충전경로(P3)와, 소스배터리(10)로부터 USB출력부(22)의 4.2V포트②까지 형성되는 제4 충전경로(P4)를 갖는다. In addition, the charge/discharge control circui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6, when the external commercial power is applied through the first USB input unit 18, the platform main body 4 from the first USB input unit 18 The first charging path P1 formed up to the demountable source battery 10 mounted on the source battery mounting section 6a and the second USB input section (when external commercial power is applied through the second USB input section 20) ( A second charging path (P2) formed from 20) to the mobile phone battery (38) mounted on the case module (16) of the platform body (4), and the 5V port of the USB output unit (22) from the source battery (10)① It has a third charging path (P3) formed up to and a fourth charging path (P4) formed from the source battery 10 to 4.2V port ② of the USB output unit 22.

제1,제2 충전경로(P1)(P2) 상에는 각기 대응된 정전압부(60a)(60b)가 구비되며, 충전경로(P1)상의 정전압부(60a)의 출력과 소스 배터리실장부(6a) 사이에는 소스배터리용 스위치(SW)가 연결된다. 상기 소스배터리용 스위치(SW)는 소스 배터리(10) 활성화 용도로 사용되며 딥 스위치(dip switch)형태가 바람직하다. The corresponding constant voltage units 60a and 60b are provided on the first and second charging paths P1 and P2, respectively, and the output of the constant voltage unit 60a on the charging path P1 and the source battery mounting unit 6a The source battery switch SW is connected between them. The source battery switch SW is used to activate the source battery 10, and a dip switch type is preferable.

그리고 충전경로(P2)상의 정전압부(60b)의 출력과 USB출력부(22) 사이에는(4.2V전압 충전경로임) 케이스 모듈(16)이 플랫폼 본체(4)에 끼워질 경우에만 4.2V전압이 USB출력부(22)의 4.2V포트②을 매개로 케이스모듈(16)의 휴대폰 배터리(38)로 인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중경로 활성화 스위치(28)가 연결된다. 이중경로 활성화 스위치(28)는 케이스모듈(16)의 USB입력소켓부(26)가 플랫폼 본체(4)의 USB출력부(22)에 삽입됨에 따라 케이스 모듈(16)의 하방돌부(24a)의 선두에 심겨진 자석인 모듈장착감지편(24)에 감응하여서 스위치 온된다. And between the output of the constant voltage section (60b) on the charging path (P2) and the USB output section 22 (4.2V voltage charging path), the case module 16 is inserted into the platform body 4 only 4.2V voltage A dual path activation switch 28 for connecting to the mobile phone battery 38 of the case module 16 via the 4.2V port ② of the USB output unit 22 is connected. The dual path activation switch 28 of the lower protrusion 24a of the case module 16 as the USB input socket portion 26 of the case module 16 is inserted into the USB output portion 22 of the platform body 4. It is switched on in response to the module mounting detecting piece 24 which is a magnet planted at the head.

또 본 발명의 충방전 제어회로부(100)는 소스배터리용 스위치(SW)가 오프(OFF)가 되더라도 제2 USB입력부(20)를 통해 케이스모듈 수용부(8a)에 장착된 케이스 모듈(16)로의 외부 상용전원을 이용한 충전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charge/discharge control circui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se module 16 mounted to the case module accommodating portion 8a through the second USB input unit 20 even when the source battery switch SW is turned OFF. Charging using the external commercial power source of the furnace is possible.

제1,제2 충전경로(P1)(P2) 상에는 각기 대응된 정전압부(60a)(60b)는 제1 USB입력부(18)(20)로 인가된 외부의 상용전원인 충전입력전압을 출력 부하변동에도 일정 정전압으로 유지하는 충전 집적회로(IC)이다. 즉, 정전압부(60a)(60b)는 제1,제2 USB입력부(18)(20)로 인가되는 충전입력전원을 출력 부하변동에도 일정 정전압(예컨대 4.2V)으로 유지케 하며, 소스 배터리(10) 및 케이스모듈(16)내의 휴대폰배터리(38)에 그 정전압을 인가하는 것이다. On the first and second charging paths P1 and P2, the corresponding constant voltage units 60a and 60b respectively output charging input voltages, which are external commercial power applied to the first USB input units 18 and 20, as output loads. It is a charging integrated circuit (IC) that maintains a constant voltage despite fluctuations. That is, the constant voltage units 60a and 60b maintain the charging input power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USB input units 18 and 20 at a constant constant voltage (for example, 4.2V) even during output load fluctuation, and the source battery ( 10) and to apply the constant voltage to the cell phone battery 38 in the case module 16.

상기 정전압부(60a)(60b) 각각에는 현재 충전하고 있는 배터리의 충전중상태나 만충전상태를 색상으로 발광표시하기 위한 충전상태 표시부(62)와 연결된다. 정전압부(60a)(60b)에는 소스 배터리(10) 및 케이스 모듈(16)의 휴대폰 배터리(38)로의 과충방전을 방지하기 위한 PCM(Protection Circuit Module for rechargeable battery)보호회로(64)도 함께 구비한다. Each of the constant voltage units 60a and 60b is connected to a charging state display unit 62 for emitting light in a charging state or a fully charged state of a battery currently being charged. The constant voltage units 60a and 60b also include a protection circuit 64 for protection circuit module for rechargeable battery (PCM) for preventing over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source battery 10 and the case module 16 to the mobile phone battery 38. do.

본 발명의 충방전 제어회로부(100)의 제3 충전경로(P3)는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전압부(60a)의 출력과 소스배터리용 스위치(SW) 사이에 위치한 노드(node)에서 분기되어서 USB출력부(22)로 연결된 경로이며, 제3 충전경로(P3) 상에는 DC승압부(66)를 갖는다. The third charging path P3 of the charge/discharge control circuit uni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ranched at a node located between the output of the constant voltage unit 60a and the switch SW for the source battery, as shown in FIG. 6. It is a path connected to the USB output unit 22, and has a DC booster 66 on the third charging path P3.

DC승압부(66)는 상용전원을 사용할 수 없는 환경에서 플랫폼 본체(4)내의 소스 배터리(10)에서부터 USB출력부(22)를 통해 배터리전원을 케이스모듈(16)의 휴대폰 배터리(38)로의 내부 자가충전시에 자가충전이 가능하도록 승압시키는 수단이다. The DC booster 66 transfers battery power from the source battery 10 in the platform body 4 to the mobile phone battery 38 of the case module 16 through the USB output unit 22 in the environment where commercial power is not available. It is a means of boosting to enable self-charging during internal self-charging.

DC승압부(66)는 제1 USB입력부(18)를 통해 외부의 상용전원이 인가되지 않을 시(즉 자가충전모드시)에 제어부(70)의 제어 하에 활성화되며, 소스 배터리(10)의 방전 출력전원(예컨대 3V ~ 4.2V)을 타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하게 승압(예컨대 5V)을 하여서, 휴대폰과 같은 외부 기기나 케이스 모듈(16)을 연결시켜주는 USB출력부(22)로 방전 출력하는 기능이다. 상기 DC승압부(66)에도 필요에 따라서는 정전압부(60a)(60b)에 포함된 PCM보호회로(64)가 구비될 수 있다. The DC booster 66 is activ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70 when external commercial power is not applied through the first USB input unit 18 (ie, in the self-charging mode), and discharges the source battery 10 The output power (e.g., 3V to 4.2V) is boosted (e.g., 5V) to enable charging of other batteries, and discharged to a USB output unit 22 that connects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or case module 16. Function. The DC booster 66 may also be provided with a PCM protection circuit 64 included in the constant voltage units 60a and 60b, if necessary.

USB출력부(22)의 5V포트①과 정전압부(60b)의 입력단 사이에는 제4 충전경로(P4)가 형성되는데, 제4 충전경로(P4)는 DC승압부(66)가 비활성화시에도 외부의 상용전원이 USB입력부(20)를 매개로 USB출력부(22)로 5V 전압으로 인가되게 하는 다리역할도 담당한다. 또 제4 충전경로(P4)는 DC승압부(66)가 활성화시 소스배터리(10)의 배터리 방전전원이 DC승압부(66)에 의해 5V로 승압된 후에 케이스 모듈(16)의 휴대폰 배터리(38)로 충전되게끔 하는 다리역할도 담당한다. A fourth charging path P4 is formed between the 5V port① of the USB output unit 22 and the input terminal of the constant voltage unit 60b, and the fourth charging path P4 is external even when the DC booster 66 is inactive. Also serves as a bridge that allows the commercial power supply to be applied with a 5V voltage to the USB output unit 22 via the USB input unit 20. In addition, when the DC booster 66 is activated, the fourth charging path P4 is the cell phone battery of the case module 16 after the battery discharge power of the source battery 10 is boosted to 5V by the DC booster 66. It also plays the role of a bridge that allows it to be charged with 38).

또한 본 발명의 충방전 제어회로부(100)는 외부 상용전원 미인가상태에서 플랫폼 대본체(4) 내의 소스배터리(10)에서 케이스모듈(16)에 끼워진 휴대단말(14)으로의 내부 자가충전기능(5V충전전압)을 제공하기 위해 제어부(70)의 제어 하에 DC승압부(66)를 활성화시키며, 자가충전기능이나 출력체크부(74)를 통한 출력전압 체크, 잔량표시부(76)를 이용한 배터리 잔량확인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부(70)를 구비한다. In addition, the charge/discharge control circui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internal self-charging function from the source battery 10 in the platform main body 4 to the portable terminal 14 inserted in the case module 16 in the state where external commercial power is not applied ( To provide a 5V charging voltage), the DC booster 66 is activ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70, and the output voltage is checked through the self-charging function or the output checker 74, and the remaining battery power is maintained using the remaining amount indicator 76 And a control unit 70 for controlling the confirmation display.

제1 USB입력부(18)의 출력에 연결된 입력체크부(68)는 제1 USB입력부(18)를 통해서 외부 상용전원이 인가되는지를 체크하여 제어부(70)에게 제공하고, 제3 충전경로(P3)에 연결된 출력체크부(74)는 USB출력부(22)에 외부 기기가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체크와 장탈형 소스 배터리(10)의 출력상태를 체크하여서 제어부(70)로 제공한다. The input check unit 68 connected to the output of the first USB input unit 18 checks whether external commercial power is applied through the first USB input unit 18, provides it to the control unit 70, and provides a third charging path P3. ), the output check unit 74 connected to the USB output unit 22 checks whether an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and checks the output state of the demountable source battery 10 and provides it to the control unit 70.

제어부(70)는 외부 상용전원의 인가여부를 입력체크부(68)를 통해서 인지할 수 있고, 또 USB출력부(22)에서의 출력상태나 소스 배터리(10)의 배터리전원상태를 출력체크부(74)를 통해 인지할 수 있다. 만일 입력체크부(68)와 출력체크부(74)의 체크상태에 의거하여 소스배터리용 스위치(SW)가 연결되고 외부 상용전원의 입력이 없으면 제어부(70)는 DC승압부(66)를 활성화시키는 자가충전모드신호(72)를 '액티브 하이'상태로 DC승압부(66)에 인가한다. 또 제어부(70)는 소스 배터리(10)의 잔량을 표시하기 위한 잔량 표시부(76)와도 연결된다. The control unit 70 may recognize whether external commercial power is applied through the input check unit 68, and also output the output state of the USB output unit 22 or the battery power state of the source battery 10. It can be recognized through 74. If the source battery switch SW is connected based on the check state of the input check unit 68 and the output check unit 74 and there is no external commercial power input, the control unit 70 activates the DC boosting unit 66 The self-charging mode signal 72 is applied to the DC booster 66 in an'active high' state.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70 is also connected to the remaining amount display unit 76 for displaying the remaining amount of the source battery 10.

또 상기 제어부(70)는 입력체크부(68)를 통해서 외부의 상용전원이 공급됨을 체크하면 자가충전모드신호(72)를 '로우'상태로 DC승압부(66)로 출력하여서 DC승압부(66)가 비활성화(disable)되게 하며, 외부의 상용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내부 자가충전모드로 인식하여서 자가충전모드신호(72)를 '액티브 하이(H)'상태로 출력하여서 DC승압부(66)를 활성화(enable)시킨다. In addition, when the control unit 70 checks that external commercial power is supplied through the input check unit 68, the self-charging mode signal 72 is output to the DC booster 66 in a'low' state to generate a DC booster ( 66) is disabled, and when external commercial power is not supplied, it recognizes the internal self-charging mode and outputs the self-charging mode signal 72 in an'active high (H)' state, thereby DC booster 66 Enable it.

또한 제어부(70)는 DC승압부(66)를 활성화시킨 후에도 출력체크부(74)를 통해서 출력상태를 체크하여서 USB출력부(22)에 외부기기가 접속되지 않는 출력상태나, 소스 배터리(10)의 방전 출력전원이 미리 설정한 기준충전값 이하인 경우에는 DC승압부(66)를 다시 비활성화시킨다. In addition, even after activating the DC booster 66, the control unit 70 checks the output state through the output checker 74, so that the external device is not connected to the USB output unit 22 or the source battery 10 When the discharge output power of)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preset reference charge value, the DC booster 66 is deactivated again.

한편 본 발명에서는 배터리 일체형의 휴대단말(14)이 끼워질 수 있는 케이스 모듈(16)내에도 도 6에서와 같은 모듈제어회로부(110)가 내장된다. 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a module control circuit 110 as shown in FIG. 6 is built into the case module 16 into which the battery-integrated portable terminal 14 can be fitted.

케이스 모듈(16)은, 플랫폼 본체(4)의 USB출력부(22)에 꽂히며 5V전압 및 4.2V전압의 두가지 충전경로 형성이 가능한 포트를 가지는 USB입력소켓부(26)와, 5V전압 및 4.2V전압의 두가지 충전경로 형성이 가능한 포트를 가지며 휴대단말(14)을 포함한 외부기기가 꽂힐 수 있는 출력 핀포트 독(32)과, 다기종의 휴대폰 배터리(38)가 장탈착 가능케 형성된 배터리장착부(40)를 구비한다. The case module 16 is inserted into the USB output section 22 of the platform body 4 and has a USB input socket section 26 having a port capable of forming two charging paths of 5V voltage and 4.2V voltage, and 5V voltage and A battery mounting unit that has a port capable of forming two charging paths of 4.2V voltage and an external pin port dock (32) to which external devices including a portable terminal (14) can be plugged in and a mobile phone battery (38) of various models are detachable. (40).

또한 케이스 모듈(16)내에는 도 6에서와 같은 모듈제어회로부(110)가 내장된다. 케이스 모듈(16)의 모듈제어회로부(110)는, USB입력소켓부(26)에서 출력 핀포트 독(32)까지 USB전원단을 이용한 5V전압 충전경로와 USB데이터신호단을 이용하는 4.2V전압 충전경로를 가지되 4.2V전압 충전경로상에는 케이스모듈(16)의 플랫폼 본체(4)와의 접속여부에 따라 스위칭되는 이중경로 활성화 스위치(39)가 형성되고 케이스모듈(16)내의 휴대폰 배터리(38)로부터 출력 핀포트 독(32)으로의 5V전압 충전경로를 형성하는 구성이다. In addition, a module control circuit 110 as shown in FIG. 6 is built in the case module 16. The module control circuit 110 of the case module 16 is charged from the USB input socket 26 to the output pin port dock 32 using a 5V voltage charging path using a USB power terminal and a 4.2V voltage charging using a USB data signal terminal. A dual path activation switch 39 having a path but switched according to whether the case module 16 is connected to the platform main body 4 is formed on the 4.2V voltage charging path, and from the cell phone battery 38 in the case module 16. It is a configuration that forms a 5V voltage charging path to the output pinport dock 32.

도 6을 계속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케이스 모듈(16)의 모듈제어회로부(110)는 USB 마이크로 B타입(마이크로 5핀 USB)으로 채용된 USB입력소켓부(26)와 출력 핀포트 독(pin port dock)(30)를 구비한다. 6, the module control circuit 110 of the case module 16 is a USB micro B type (micro 5 pin USB) USB input socket 26 and output pin port dock adopted as (pin port dock) 30 is provided.

USB입력소켓부(26)와 출력 핀포트 독(30)이 마이크로 5핀 USB로 채용될 경우 1번 핀은 전원단(Vcc)이고 2번 및 3번 핀은 데이터신호단(D-/D+), 4번 핀은 감지선(sense), 5번 핀은 접지선(GND)이다. When the USB input socket 26 and output pin port dock 30 are employed as a micro 5 pin USB, pin 1 is the power supply terminal (Vcc) and pins 2 and 3 are the data signal terminal (D-/D+). , Pin 4 is a sense wire, and Pin 5 is a ground wire (GND).

USB 마이크로 B타입(마이크로 5핀 USB타입)에서의 전원단(Vcc)은 본 발명에서는 5V전압이 입력/출력되는 USB입력소켓부(26) 및 출력 핀포트 독(30)의 5V 입출력포트①로 사용되고 데이터신호단(D-)인 2번 포트는 USB입력소켓부(26) 및 출력 핀포트 독(30)의 4.2V입력포트②로서 선택적으로 활용되게 한다. 즉 USB입력소켓부(26) 및 출력 핀포트 독(30)의 4.2V입력포트②는 USB입력소켓부(26) 및 출력 핀포트 독(30)의 데이터신호단(D-)으로 사용될 경우를 제외하고는 4.2V 전원을 공급해주는 포트로 사용된다. The power supply terminal (Vcc) of the USB micro B type (micro 5 pin USB type) is a 5V input/output port ① of the USB input socket 26 and output pin port dock 30 to which the 5V voltage is input/output. Port 2, which is used and is a data signal terminal (D-), is selectively utilized as a 4.2V input port ② of the USB input socket 26 and the output pin port dock 30. That is, when the 4.2V input port ② of the USB input socket unit 26 and the output pin port dock 30 is used as the data signal terminal D- of the USB input socket unit 26 and the output pin port dock 30, Except it is used as a port that supplies 4.2V power.

USB입력소켓부(26)의 5V입력포트①는 배터리 일체형 휴대단말(14)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출력 핀포트 독(30)의 5V출력포트①과 회로선 등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5V전압 충전경로). The 5V input port① of the USB input socket 26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5V output port① of the output pin port dock 30 for supplying power to the battery-integrated portable terminal 14 and a circuit line (5V voltage) Charging path).

그리고 USB입력소켓부(26)의 4.2V입력포트②는 내부에 실장된 다기종의 휴대폰 배터리(38)와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이중경로 활성화 스위치(39)를 매개로 출력 핀포트 독(30)의 4.2V출력포트②와도 연결된다(4.2V전압 충전경로). In addition, the 4.2V input port ② of the USB input socket 26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ulti-cell phone battery 38 mounted therein, and at the same time, the output pin port dock 30 through the dual path activation switch 39. ) Is also connected to the 4.2V output port ② (4.2V voltage charging path).

또한 케이스 모듈(16)의 모듈 제어회로부(110)에서 실장된 휴대폰 배터리(38)의 배터리 전원을 외부기기로 충전해주기 위한 DC승압부(33)도 더 구비한다. In addition, a DC booster 33 for charging the battery power of the mobile phone battery 38 mounted in the module control circuit 110 of the case module 16 to an external device is further provided.

DC승압부(33)는 휴대폰 배터리(38)의 방전단자에 연결되며 휴대폰 배터리(38)의 배터리전압(4.2V)을 5V전압으로 승압하며, DC승압부(33)의 출력단은 핀포트 독(30)의 5V출력포트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5V전압 충전경로). The DC booster 33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terminal of the mobile phone battery 38, boosts the battery voltage (4.2 V) of the mobile phone battery 38 to a 5 V voltage,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DC booster 33 is a pin port dock ( 3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5V output port ① (5V voltage charging path).

그래서 케이스 모듈(16)이 플랫폼 본체(4)에 USB출력부(22)를 매개로 접속되면 이중경로 활성화스위치(39)가 플랫폼 본체(4)에 고정된 자석인 모듈장착감지편(37)이 삽입되면 스위치 온되어서 USB데이터신호단을 이용하는 4.2V전압 충전경로가 활성화되어 형성되고, 동시에 USB입력소켓부(26)에서 출력 핀포트 독(32)까지 USB전원단을 이용한 5V전압 충전경로도 함께 형성된다. So, when the case module 16 is connected to the platform body 4 via the USB output unit 22, the dual path activation switch 39 is a magnet fixed to the platform body 4, and the module mounting detection piece 37 is a magnet. When inserted, it is switched on, and the 4.2V voltage charging path using the USB data signal stage is activated and formed. At the same time, the 5V voltage charging path using the USB power terminal is also provided from the USB input socket 26 to the output pin port dock 32. Is formed.

그러므로 케이스 모듈(16)의 모듈제어회로부(110)를 이용하면 4.2V전압과 5V전압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Therefore, if the module control circuit 110 of the case module 16 is used, the 4.2V voltage and the 5V voltage can be used at the same time.

케이스모듈(16)의 출력 핀포트 독(30)도 힌지조인트되거나 볼조인트되어서 방향전환되게 구성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의 착용뿐만 아니라 기타 블루투스 장비와 같은 외부기기의 충전접속도 가능하다. The output pinport dock 30 of the case module 16 can also be configured to be hinged or ball-joined to change direction, and it is also possible to wear a smartphone as well as charge connection to external devices such as other Bluetooth devices.

도 1 내지 도 6과 함께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플랫폼 본체(4)와 케이스 모듈(16)을 함께 사용하면, 다양한 기종의 휴대폰이나 스마트폰의 정품배터리를 그대로 재활용할 수 있으면서도 외장형 보조배터리기능과 배터리 일체형 휴대단말용의 케이스형 보조배터리 기능을 그대로 수행하고, 다양한 종류의 예비배터리의 충전도 가능해진다.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latform body 4 and the case module 16 are used together, an external auxiliary battery function can be used while recycling genuine batteries of various types of mobile phones or smartphones as they are. And battery-integrated case-type auxiliary battery functions for portable terminals, and it is possible to charge various types of spare batteries.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배터리충전 플랫폼 장치(2)를 사용하면, 휴대단말충전 USB케이블을 통한 상용전원 공급을 받을 수 있는 환경에서는 두 개의 배터리 즉 소스배터리(10)와 케이스모듈(16)의 다양한 기종 수용이 가능한 실장부에 넣어진 휴대폰 배터리(38)의 동시 충전할 수 있고, 더욱이 케이스모듈(16)에 착용된(끼워진)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단말(14)의 충전도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the battery charging platform device 2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an environment in which commercial power can be supplied through a portable terminal charging USB cable, various models of two batteries, a source battery 10 and a case module 16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simultaneously charge the mobile phone battery 38 placed in an acceptable mounting portion, and also to simultaneously charge the mobile terminal 14, such as a smart phone worn on the case module 16 (interleaved). have.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형 다목적 배터리충전 플랫폼 장치(2)의 분리 사시 구성도이고, 도 8은 도 7의 플랫폼 본체(4)에 외장형 보조배터리(80)를 삽입한 후 케이스 모듈(16)이나 무배터리형 블루투스 스피커와 같은 무배터리형 휴대용 외부기기(90)를 연결하기 위한 사시 구성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다목적 충전플랫폼 장치(2)의 제어회로부(200)의 회로 블록 구성도이다.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portable multi-purpose battery charging platform device 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case after the external auxiliary battery 80 is inserted into the platform body 4 of FIG. 7 FIG. 9 is a perspective configuration diagram for connecting a battery-free portable external device 90 such as a module 16 or a battery-free Bluetooth speaker, and FIG. 9 is a portable multi-purpose charging platform device 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circuit block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control circuit unit 200.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다목적 배터리충전 플랫폼 장치(2)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기존의 대용량 외장형 보조배터리(80)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portable multi-purpose battery charging platform device 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use the existing large-capacity external auxiliary battery 80 in circulation as shown in FIGS. 7 and 8.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다목적 배터리충전 플랫폼 장치(2)의 플랫폼 본체(4)는 도 1에 도시된 플랫폼 본체(4)와는 다르게 소스 배터리(10)가 없는 대신에 기존제품인 외장형 보조배터리(80)를 활용한다. The platform main body 4 of the portable multi-purpose battery charging platform device 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platform main body 4 shown in FIG. 1, does not have a source battery 10 instead of an existing external battery that is a conventional product. Use (80).

기존의 대용량 외장형 보조배터리(80)는 자체 충전회로 및 승압회로 등을 모두 구비하고 있으므로 외장형 보조배터리(80)에서는 5V배터리 전압이 제공되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본체(4)에서는 USB 마이크로 B타입(USG 마이크로 5핀)으로 된 USB출력부(22)를 이용하되 5V 충전단자를 기본으로 이용하고 데이터신호단자는 4.2V전압용으로 선택적으로 이용하여서 외장형 보조배터리(80)로부터 제공되는 5V배터리 전압을 5V전압과 4.2V전압으로 구분하여 동시에 공급할 수 있게 구현한다. Since the existing large-capacity external auxiliary battery 80 has both its own charging circuit and a boosting circuit, a 5V battery voltage is provided in the external auxiliary battery 80, and in the platform body 4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ovided from the external auxiliary battery 80 by using the USB output section 22 of the USB micro B type (USG micro 5 pin) but using the 5V charging terminal as a standard and the data signal terminal selectively using for the 4.2V voltage. The 5V battery voltage is divided into a 5V voltage and a 4.2V voltage so that it can be supplied simultaneously.

이렇게 제공된 5V전압은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단말에 충전될 수 있으며, 4.2V전압은 배터리가 없고 또 충전회로가 필요없도록 하여 저렴하게 제작가능한 블루투스 스피커와 같은 외부기기(90)의 구동에 제공될 수 있다. The 5V voltage provided in this way can be charged to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and the 4.2V voltage can be provided to drive an external device 90 such as a Bluetooth speaker that can be manufactured inexpensively without a battery and without a charging circuit. have.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다목적 배터리충전 플랫폼 장치(2)는, 자체 충전회로를 갖는 외장형 보조배터리(80)로부터 5V전압 배터리전원을 공급받는 플랫폼 본체(4)와, 플랫폼 본체(4)에 충전가능케 연결되며 휴대단말(14)이 착용 가능한 케이스모듈(16)로 구성한다. That is, the portable multi-purpose battery charging platform device 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atform main body 4 and a platform main body 4 that receives 5V voltage battery power from an external auxiliary battery 80 having its own charging circuit. It is connected to the chargeable and consists of a case module 16 that the portable terminal 14 is wearable.

상기 플랫폼 본체(4)는, 도 9의 회로도에서와 같이, 외장형 보조배터리(80)의 5V전압 USB소켓부(82)에 꽂힐 수 있는 USB 충전용 컨넥터(84)와, 케이스 모듈(16)과 연결 가능하며 5V전압과 4.2V전압의 두가지 충전경로 형성이 가능한 포트를 갖는 USB출력부(22)와, 상기 USB 충전용 컨넥터(84)에 연결된 외장형 보조배터리(80)의 배터리전원을 이용하여 5V전압 및 4.2V전압의 두가지 종류의 배터리전원 충전경로 형성이 이루어지게하고 또 플랫폼 본체(4)에는 USB출력부(22)로 인가되는 4.2V전압 배터리전원 충전경로상에는 케이스모듈(16)의 플랫폼 본체(4)와의 접속여부에 따라 스위칭되는 이중경로 활성화 스위치(28)가 형성되는 충방전 제어회로부(200)를 구비한다. The platform main body 4, as in the circuit diagram of Figure 9, the USB charging connector 84 that can be plugged into the 5V voltage USB socket portion 82 of the external auxiliary battery 80, and the case module 16 and 5V using the battery power of the external output battery 80 connected to the USB output connector 22 and the USB charging connector 22 having a port capable of forming two charging paths of 5V voltage and 4.2V voltage. Two main types of battery power charging paths are formed: voltage and 4.2V voltage, and the platform main body of the case module 16 is mounted on the 4.2V voltage battery power charging path applied to the USB output unit 22 on the platform main body 4. (4) is provided with a charge and discharge control circuit 200 is formed a double path activation switch 28 is switched according to the connection with or not.

도 9의 케이스 모듈(16)은; 플랫폼 본체(4)의 USB출력부(22)에 꽂히며 5V전압 및 4.2V전압의 두가지 충전경로 형성이 가능한 포트를 갖는 USB입력소켓부(26)와, 5V전압 및 4.2V전압의 두가지 충전경로 형성이 가능한 포트를 가지며 휴대단말(14)을 포함한 외부기기가 꽂힐 수 있는 출력 핀포트 독(32)과, 다기종의 휴대폰 배터리(38)가 장탈착 가능케 형성된 배터리장착부(40)와, 상기 USB입력소켓부(26)에서 출력 핀포트 독(32)까지 USB전원단을 이용한 5V전압 충전경로와 USB데이터신호단을 이용하는 4.2V전압 충전경로를 가지되 4.2V충전경로상에는 케이스모듈(16)의 플랫폼 본체(4)와의 접속여부에 따라 스위칭되는 이중경로 활성화 스위치(39)가 형성되고 케이스모듈(16)내의 휴대폰 배터리(38)로부터 출력 핀포트 독(32)으로의 5V전압 충전경로를 형성하는 모듈 제어회로부(110)를 구비한다. The case module 16 of Figure 9; It is inserted into the USB output section 22 of the platform body 4 and has a USB input socket section 26 having ports capable of forming two charging paths of 5V voltage and 4.2V voltage, and two charging paths of 5V voltage and 4.2V voltage. An output pin port dock 32 having a port that can be formed and an external device including a portable terminal 14 can be plugged in, a battery mounting part 40 formed by attaching and detaching a multi-cell phone battery 38, and the USB From the input socket section 26 to the output pin port dock 32, there is a 5V voltage charging path using a USB power terminal and a 4.2V voltage charging path using a USB data signal stage, but on the 4.2V charging path, the case module 16 A dual path activation switch 39 that is switched according to the connection with the platform body 4 is formed and forms a 5V voltage charging path from the mobile phone battery 38 in the case module 16 to the output pinport dock 32. A module control circuit 110 is provided.

도 7 및 도 8을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다목적 배터리충전 플랫폼 장치(2)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기존의 외장형 보조배터리(80)를 이용하기 위해서 플랫폼 본체(4)는 USB 충전용 컨넥터(84)를 구비한다. 7 and 8 together, the portable multi-purpose battery charging platform device 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order to use the existing external auxiliary battery 80, the platform body 4 Is provided with a USB charging connector (84).

플랫폼 본체(4)의 USB 충전용 컨넥터(84)는 기존제품인 외장형 보조배터리(80)의 5V전압 USB소켓부(82)에 삽입되어서 외장형 보조배터리(80)의 5V배터리전원을 공급받으며, 5V전압을 USB출력부(22)의 5V포트①으로 인가한다. The USB charging connector 84 of the platform main body 4 is inserted into the 5V voltage USB socket portion 82 of the external auxiliary battery 80, which is a conventional product, and is supplied with 5V battery power of the external auxiliary battery 80, and receives 5V voltage. Is applied to the 5V port① of the USB output section 22.

외장형 보조배터리(80)의 배터리전원의 5V전압은 USB 충전용 컨넥터(84)의 출력선에서 분기되어 정전압부(60)에 인가되며, 정전압부(60)에서는 5V전압을 부하변동에도 무관한 4.2V 정전압으로 유지한다. 정전압부(60)에서의 4.2V의 정전압은 이중경로 활성화 스위치(28)를 경유해서 USB출력부(22)의 4.2V포트②로 인가한다.The 5V voltage of the battery power of the external auxiliary battery 80 is branched from the output line of the USB charging connector 84 and applied to the constant voltage section 60, and the constant voltage section 60 applies a 5V voltage regardless of load fluctuation 4.2 V is maintained at a constant voltage. The constant voltage of 4.2V in the constant voltage section 60 is applied to the 4.2V port ② of the USB output section 22 via the dual path activation switch 28.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본체(4)는 도 1과는 다르게 소스배터리 실장부(6a)가 없게되며, 또 케이스모듈 수용부(8a)도 제거하여서 도 1의 플랫폼 본체(4)에 비해 사이즈가 축소된 콤팩트한 육면체 형태로 구성된다. 더욱이 도 7에 도시된 플랫폼 본체(4)는 외장형 보조배터리(80)에 끼워질 수 있는 끼움부(88)를 가지며, 끼움부(88)에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일예와 같은 USB 4핀 숫놈 컨넥터나 도 7에는 미도시되었지만 케이블이 연결된 USB마이크로 B타입(5핀 마이크로 USB 숫놈 컨넥터로 된 USB충전용 컨넥터(84)를 구비한다. The platform body 4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7 does not have a source battery mounting portion 6a unlike FIG. 1, and also removes the case module accommodating portion 8a to remove the platform of FIG. 1 It is composed of a compact hexahedral shape with a reduced size compared to the main body 4. Moreover, the platform body 4 shown in FIG. 7 has a fitting portion 88 that can be fitted to the external auxiliary battery 80, and the fitting portion 88 has a USB 4 as an example shown in FIGS. 7 to 9 A pin male connector or a USB micro connector type (not shown in FIG. 7) with a USB micro B type (a USB charging connector 84 made of a 5-pin micro USB male connector) is provided.

그리고 USB 충전용 컨넥터(84)가 구비된 플랫폼 본체(4)의 상부면에는 힌지조인트를 갖는 플러그형태의 USB출력부(22)가 축선회 가능하게 구비되며, USB출력부(22)의 옆에는 케이스모듈(16)의 하방돌부(24a)에 고정된 모듈장착 감지편(24)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23)이 형성된다.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form main body 4 equipped with a USB charging connector 84 is provided with a plug-type USB output unit 22 having a hinge joint so that it can be pivoted, and next to the USB output unit 22 An insertion hole 23 into which the module mounting detection piece 24 fixed to the lower protrusion 24a of the case module 16 can be inserted is formed.

상기 USB출력부(22)는 힌지조인트형 이외에도 플러그형 USB출력부(22)의 뿌리축부가 볼조인트 형태로 구성가능하며, 또 USB출력부(22)의 위치도 플랫폼 본체(4)의 상부면 대신에 플랫폼 본체(4)의 측벽부에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hinge-joint type, the USB output section 22 can be configured as a ball joint form of the root shaft portion of the plug-in USB output section 22, and the position of the USB output section 22 is also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form body 4 Instead, it may be formed on the side wall portion of the platform body 4.

플랫폼 본체(4)의 USB출력부(22)에 케이스모듈(16)의 USB입력소켓부(26)가 꽂힘과 동시에 케이스모듈(16)의 하방돌부(24a)가 플랫폼 본체(4)의 상부면에 형성된 삽입공(23)에 삽입되면 하방돌부(37a)에 심겨진 모듈장착 감지편(37)의 자력에 의해 도 9의 충방전 제어회로부(200)에서의 기존의 외장형 보조배터리(80)로부터 공급되는 배터리전원을 이용한 이중 충전경로를 활성화시키는 이중경로 활성화 스위치(39)가 스위치 온(ON)된다. At the same time that the USB input socket 26 of the case module 16 is plugged into the USB output 22 of the platform body 4, the lower protrusion 24a of the case module 16 is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form body 4 When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23 formed in the supply from the existing external auxiliary battery 80 in the charge-discharge control circuit 200 of FIG. 9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module-mounted detection piece 37 planted in the lower protrusion 37a The dual path activation switch 39 that activates the dual charging path using the battery power is switched on.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determin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and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2)-- 휴대형 다목적 배터리충전 플랫폼 장치
(4)-- 플랫폼 본체
(6)-- 일측케이싱 (6a)-- 소스배터리실장부
(8)-- 타측케이싱 (8a)-- 케이스모듈 수용부
(10)-- 소스 배터리 (12)-- 커버
(14)-- 휴대단말 (16)-- 케이스모듈
(18)(20)-- 제1,제2 USB입력부 (22)-- USB출력부
(SW)-- 소스배터리용 스위치 (23)-- 삽입공
(24)(37)-- 모듈장착 감지편 (24a)-- 하방돌부
(26)-- USB입력소켓부 (28)-- 이중경로 활성화 스위치
(30)-- 출력 핀포트 독(pin port dock) (32)-- 휴대단말 안착부
(38)-- 휴대폰 배터리 (40)-- 배터리 장착부
(44)-- 이동식 배터리 클램프 (60)(60a)(60b)-- 정전압부
(62)-- 충전상태표시부 (80)-- 외장형 보조배터리
(84)-- USB 충전용 컨넥터 (90)-- 휴대용 외부기기
(100)(200)-- 충방전 제어회로부
(110)-- 모듈제어회로부
(2)-- Portable multi-purpose battery charging platform device
(4)-- Platform body
(6)-- One-sided casing (6a)-- Source battery mounting unit
(8)-- Other casing (8a)-- Case module housing
(10)-- Source battery (12)-- Cover
(14)-- Mobile terminal (16)-- Case module
(18)(20)-- First and second USB inputs (22)-- USB outputs
(SW)-- Switch for source battery (23)-- Insertion hole
(24)(37)-- Module mounting detection piece (24a)-- Lower projection
(26)-- USB input socket (28)-- Dual path activation switch
(30)-- Output pin port dock (32)-- Mobile terminal seat
(38)-- Mobile phone battery (40)-- Battery compartment
(44)-Removable battery clamp (60) (60a) (60b)-Constant voltage section
(62)-- Charging status indicator (80)-- External auxiliary battery
(84)-- USB charging connector (90)-- Portable external device
(100)(200)-- Charge/discharge control circuit
(110)-- Module control circuit

Claims (16)

휴대형 다목적 배터리충전 플랫폼 장치에 있어서,
소스 배터리(10)를 갖는 플랫폼 본체(4)와, 플랫폼 본체(4)에 충전가능케 연결되며 휴대단말(14)이 착용 가능하며 휴대폰 배터리(38)가 실장되는 케이스모듈(16)로 구성하며;
상기 플랫폼 본체(4)는;
USB충전케이블과 연결 가능한 제1,제2 USB입력부(18)(20)와,
케이스 모듈(16)과 연결 가능하며 5V전압과 4.2V전압의 두가지 충전경로 형성이 가능한 포트를 갖는 USB출력부(22)와,
제1,제2 USB입력부(18)(20)를 이용한 각기 5V전압 및 4.2V전압의 두가지 종류의 충전경로 형성과 소스배터리(10)로부터 USB출력부(22)로의 5V전압 및 4.2V전압의 두가지 종류의 배터리전원 충전경로 형성이 이루어지게 구성하고, USB출력부(22)에 4.2V전압으로 인가되는 4.2V전압 충전경로상에는 케이스모듈(16)의 플랫폼 본체(4)와의 접속여부에 따라 스위칭되는 이중경로 활성화 스위치(28)가 형성되는 충방전 제어회로부(100)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 모듈(16)은;
플랫폼 본체(4)의 USB출력부(22)에 꽂히며 5V전압 및 4.2V전압의 두가지 충전경로 형성이 가능한 포트를 가지는 USB입력소켓부(26)와,
5V전압 및 4.2V전압의 두가지 충전경로 형성이 가능한 포트를 가지며 휴대단말(14)을 포함한 외부기기가 꽂힐 수 있는 출력 핀포트 독(32)과,
다기종의 휴대폰 배터리(38)가 장탈착 가능케 형성된 배터리장착부(40)와,
상기 USB입력소켓부(26)에서 출력 핀포트 독(32)까지 USB전원단을 이용한 5V전압 충전경로와 USB데이터신호단을 이용하는 4.2V전압 충전경로를 가지되 4.2V전압 충전경로상에는 케이스모듈(16)의 플랫폼 본체(4)와의 접속여부에 따라 스위칭되는 이중경로 활성화 스위치(39)가 형성되고 케이스모듈(16)내의 휴대폰 배터리(38)로부터 출력 핀포트 독(32)으로의 5V전압 충전경로를 형성하는 모듈 제어회로부(110)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다목적 배터리충전 플랫폼 장치.
In a portable multi-purpose battery charging platform device,
It consists of a platform body (4) having a source battery (10) and a case module (16) connected to the platform body (4) to be rechargeable and a portable terminal (14) wearable and a mobile phone battery (38) mounted;
The platform body (4);
First and second USB inputs 18 and 20 that can be connected to a USB charging cable,
A USB output unit 22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case module 16 and has a port capable of forming two charging paths of 5V voltage and 4.2V voltage,
Formation of two kinds of charging paths of 5V voltage and 4.2V voltage using the first and second USB input units 18 and 20, respectively, and of the 5V voltage and the 4.2V voltage from the source battery 10 to the USB output unit 22. Two types of battery power charging paths are configured to be formed, and switching is performed according to whether the case module 16 is connected to the platform body 4 on the 4.2V voltage charging path applied to the USB output unit 22 at a 4.2V voltage. The dual-path activation switch 28 is provided with a charge and discharge control circuit 100 is formed,
The case module 16 is;
It is inserted into the USB output section 22 of the platform body 4 and has a USB input socket section 26 having a port capable of forming two charging paths of 5V voltage and 4.2V voltage,
An output pin port dock (32) that has a port capable of forming two charging paths of 5V voltage and 4.2V voltage and allows external devices including the portable terminal (14) to be plugged in.
Battery mounting unit 40 is formed to be detachable mobile phone battery 38 of various models,
From the USB input socket section 26 to the output pin port dock 32, there is a 5V voltage charging path using a USB power stage and a 4.2V voltage charging path using a USB data signal stage, but a case module on the 4.2V voltage charging path ( A dual path activation switch 39 that is switched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connection with the platform body 4 of 16) is formed, and a 5V voltage charging path from the mobile phone battery 38 in the case module 16 to the output pinport dock 32 Portable multi-purpose battery charging platform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odule control circuit 110 to form a.
제1항에 있어서, 플랫폼 본체(4)의 케이싱 양측부에는 소스배터리 실장부(6a)와 케이스모듈 수용부(8a)를 가져서 소스배터리 실장부(6a)에는 소스배터리(10)가 실장되고 케이스모듈 수용부(8a)에는 휴대폰 배터리(38)가 실장된 케이스모듈(16)이 수용 가능케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다목적 배터리충전 플랫폼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ource body (10) is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casing of the platform body (4) and has a source battery mounting portion (6a) and a case module accommodating portion (8a). A portable multi-purpose battery charging platform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odule module (8a) is configured to accommodate a case module (16) mounted with a mobile phone battery (38).
휴대형 다목적 배터리충전 플랫폼 장치에 있어서,
자체 충전회로를 갖는 외장형 보조배터리(80)로부터 5V전압 배터리전원을 공급받는 플랫폼 본체(4)와, 플랫폼 본체(4)에 충전가능케 연결되며 휴대단말(14)이 착용 가능한 케이스모듈(16)로 구성하며;
상기 플랫폼 본체(4)는;
외장형 보조배터리(80)의 5V전압 USB소켓부(82)에 꽂힐 수 있는 USB 충전용 컨넥터(84)와,
케이스 모듈(16)과 연결 가능하며 5V전압과 4.2V전압의 두가지 충전경로 형성이 가능한 포트를 갖는 USB출력부(22)와,
상기 USB 충전용 컨넥터(84)에 연결된 외장형 보조배터리(80)의 배터리전원을 이용하여 5V전압 및 4.2V전압의 두가지 종류의 배터리전원 충전경로 형성이 이루어지게 구성하고, USB출력부(22)로 인가되는 4.2V전압 배터리전원 충전경로상에는 케이스모듈(16)의 플랫폼 본체(4)와의 접속여부에 따라 스위칭되는 이중경로 활성화 스위치(28)가 형성되는 충방전 제어회로부(200)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 모듈(16)은;
플랫폼 본체(4)의 USB출력부(22)에 꽂히며 5V전압 및 4.2V전압의 두가지 충전경로 형성이 가능한 포트를 갖는 USB입력소켓부(26)와,
5V전압 및 4.2V전압의 두가지 충전경로 형성이 가능한 포트를 가지며 휴대단말(14)을 포함한 외부기기가 꽂힐 수 있는 출력 핀포트 독(32)과,
다기종의 휴대폰 배터리(38)가 장탈착 가능케 형성된 배터리장착부(40)와,
상기 USB입력소켓부(26)에서 출력 핀포트 독(32)까지 USB전원단을 이용한 5V전압 충전경로와 USB데이터신호단을 이용하는 4.2V전압 충전경로를 가지되 4.2V충전경로상에는 케이스모듈(16)의 플랫폼 본체(4)와의 접속여부에 따라 스위칭되는 이중경로 활성화 스위치(39)가 형성되고 케이스모듈(16)내의 휴대폰 배터리(38)로부터 출력 핀포트 독(32)으로의 5V전압 충전경로를 형성하는 모듈 제어회로부(110)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다목적 배터리충전 플랫폼 장치.
In a portable multi-purpose battery charging platform device,
To the platform main body (4) receiving 5V voltage battery power from the external auxiliary battery (80) having its own charging circuit, and to the platform main body (4), which can be recharged and the portable terminal (14) to the wearable case module (16) Constitutes;
The platform body (4);
USB charging connector 84 that can be plugged into the 5V voltage USB socket 82 of the external auxiliary battery 80,
A USB output unit 22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case module 16 and has a port capable of forming two charging paths of 5V voltage and 4.2V voltage,
Using the battery power of the external auxiliary battery 80 connected to the USB charging connector 84, two types of battery power charging paths of 5V voltage and 4.2V voltage are configured to be formed, and the USB output unit 22 is used. On the charging path of the applied 4.2V voltage battery power, a charging/discharging control circuit unit 200 is provided on which a dual path activation switch 28 that is switched according to whether the case module 16 is connected to the platform body 4 is formed,
The case module 16 is;
It is inserted into the USB output section 22 of the platform body 4 and has a USB input socket section 26 having a port capable of forming two charging paths of 5V voltage and 4.2V voltage,
An output pin port dock (32) that has a port capable of forming two charging paths of 5V voltage and 4.2V voltage and allows external devices including the portable terminal (14) to be plugged in.
Battery mounting unit 40 is formed to be detachable mobile phone battery 38 of various models,
From the USB input socket section 26 to the output pin port dock 32, there is a 5V voltage charging path using a USB power terminal and a 4.2V voltage charging path using a USB data signal stage, but a case module 16 on the 4.2V charging path. ), a dual path activation switch 39 that is switched according to the connection with the platform body 4 is formed, and a 5V voltage charging path from the mobile phone battery 38 in the case module 16 to the output pinport dock 32 is formed. Portable multi-purpose battery charging platform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odule control circuit 110 to form.
제3항에 있어서, 플랫폼 본체(4)는 끼움부를 구비하여 외장형 보조배터리(80)에 끼워지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다목적 배터리충전 플랫폼 장치.
4. The portable multi-purpose battery charging platform devic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platform body (4) is provided with a fitting portion to be fitted to the external auxiliary battery (80).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플랫폼 본체(4)의 충방전 제어회로부(100)(200)에 구비된 이중경로 활성화 스위치(28)는 플랫폼 본체(4)에 케이스 모듈(16)이 장착시 플랫폼 본체(4)로 삽입되는 케이스모듈(16)의 모듈장착감지편(24)에 의해서 스위치 온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다목적 배터리충전 플랫폼 장치.
According to claim 1 or claim 3, The dual path activation switch (28) provided in the charge/discharge control circuit (100) (200) of the platform body (4) is equipped with a case module (16) on the platform body (4). A portable multi-purpose battery charging platform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switched on by the module mounting detection piece 24 of the case module 16 inserted into the city platform body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케이스 모듈(16)의 모듈제어회로부(110)에 구비된 이중경로 활성화 스위치(39)는 플랫폼 본체(4)에 케이스 모듈(16)이 장착시 케이스모듈(16)로 삽입되는 플랫폼 본체(4)의 모듈장착감지편(37)에 의해서 스위치 온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다목적 배터리충전 플랫폼 장치.
According to claim 1 or claim 3, The dual path activation switch 39 provided in the module control circuit 110 of the case module 16 is a case module (16) when the case module (16) is mounted on the platform body (4). 16) A portable multi-purpose battery charging platform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switched on by the module mounting detection piece 37 of the platform body 4 inserted into.
제1항에 있어서, 플랫폼 본체(4)의 소스 배터리(10)와 케이스모듈(16)에 실장된 휴대폰 배터리(38)는 각기 장탈착 가능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다목적 배터리충전 플랫폼 장치.
The portable multi-purpose battery charging platform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ource battery (10) of the platform body (4) and the mobile phone battery (38) mounted on the case module (16) are configured to be detachable.
제7항에 있어서, 케이스모듈(16)의 배터리장착부(40)는 다양한 종류의 휴대폰배터리(38)를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배터리 실장부가 되는 배터리안착 바닥판(42) 상에서 위치이동 및 방향전환되며 휴대폰배터리(38)를 고정할 수 있는 이동식 배터리 클램프(44)를 구비하며, 실장된 휴대폰배터리(38)를 덮어주기 위한 커버(58)를 포함하여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다목적 배터리충전 플랫폼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battery module 40 of the case module (16) is a mobile phone battery (38) of various types to be fixed and used to move the position on the battery seating base plate (42) to be used as a battery mounting portion A portable multi-purpose battery charging platform device comprising a mobile battery clamp (44) capable of fixing the mobile phone battery (38) and a cover (58) for covering the mounted mobile phone battery (38). .
제1항에 있어서, 케이스모듈(16)에 착용되는 휴대단말(14)는 배터리 일체형 휴대폰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다목적 배터리충전 플랫폼 장치.
The portable multi-purpose battery charging platform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rtable terminal (14) worn on the case module (16) is a battery-integrated mobile phone.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USB출력부(22)는 플러그 형태로서 힌지 조인트되거나 볼 조인트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다목적 배터리충전 플랫폼 장치.
The portable multi-purpose battery charging platform device according to claim 1 or 3, wherein the USB output unit (22) is configured to be hinged or ball-jointed as a plug.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USB출력부(22)는 5V전압 충전경로 형성이 가능한 전원단 포트와 케이스모듈(16)의 장착에 따른 4.2V전압 충전경로의 형성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져 데이터신호 대신 4.2V의 충전전원이 인가되는 데이터신호단 포트를 갖는 마이크로 5핀 USB타입 출력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다목적 배터리충전 플랫폼 장치.
The data signal according to claim 1 or 3, wherein the USB output unit (22) is formed with a power supply terminal port capable of forming a 5V voltage charging path and a 4.2V voltage charging path according to the mounting of the case module (16). Instead, it is a portable multi-purpose battery charging platform device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micro 5-pin USB type output unit with a data signal terminal port to which 4.2V charging power is applied.
제1항에 있어서, 플랫폼 본체(4)의 충방전회로부(100)에서 소스배터리(10)로부터 USB출력부(22)까지의 4.2V전압 배터리전원 충전경로 상에는 4.2V전압을 5V전압으로 승압하는 DC승압부(66)가 연결되고, 소스배터리(10)로부터 USB출력부(22)까지의 5V전압 배터리전원 충전경로 상에는 DC승압부(66)에서 출력된 5V전압을 출력 부하변동에도 무관하게 4.2V전압의 정전압으로 유지되게 하는 정전압부(60b)가 연결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다목적 배터리충전 플랫폼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4.2V voltage from the charging/discharging circuit unit (100) of the platform body (4) from the source battery (10) to the USB output unit (22) boosts the 4.2V voltage to a 5V voltage on the battery power charging path. DC booster 66 is connected, 5V voltage from the source battery 10 to the USB output 22 22 On the battery power charging path, the 5V voltage output from the DC booster 66 regardless of the output load fluctuation 4.2 Portable multi-purpose battery charging platform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a constant voltage portion (60b) to maintain the constant voltage of the V voltage.
제3항에 있어서, 플랫폼 본체(4)의 충방전회로부(200)에서 외장형 보조배터리(80)에 접속된 USB 충전용 컨넥터(84)로부터 USB출력부(22)까지의 4.2V전압의 배터리전원 충전경로 상에는 4.2V전압을 5V전압으로 승압하는 DC승압부(66)가 연결되고, 외장형 보조배터리(80)에 접속된 USB 충전용 컨넥터(84)로부터 USB출력부(22)까지의 5V전압의 배터리전원 충전경로는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다목적 배터리충전 플랫폼 장치.
The battery power of 4.2V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charging/discharging circuit (200) of the platform body (4)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auxiliary battery (80) from the USB charging connector (84) to the USB output (22). The DC booster 66 for boosting the 4.2V voltage to the 5V voltage is connected on the charging path, and the 5V voltage from the USB charging connector 84 connected to the external auxiliary battery 80 to the USB output unit 22 is connected. A portable multi-purpose battery charging platform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battery-powered charging path is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directly.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케이스 모듈(16)의 모듈 제어회로부(110)에서 USB입력소켓부(26)에서 출력 핀포트 독(32)까지의 5V전압 충전경로는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되고 USB입력소켓부(26)에서 출력 핀포트 독(32)까지의 5V전압 충전경로상에는 이중경로 활성화 스위치(39)가 연결되게 구성하고, 케이스 모듈(16)에서 실장된 휴대폰 배터리(38)로부터 출력 핀포트 독(32)까지의 5V전압 충전경로상에는 휴대폰 배터리(38)로부터의 배터리전원 4.2V전압을 5V전압으로 승압하는 DC승압부(66)가 연결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다목적 배터리충전 플랫폼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or 3, wherein the 5V voltage charging path from the module control circuit 110 of the case module 16 to the output pin port dock 32 of the USB input socket 26 is electrically connected directly. On the 5V voltage charging path from the USB input socket 26 to the output pinport dock 32, a dual path activation switch 39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and output from the mobile phone battery 38 mounted in the case module 16. Portable multi-purpose battery charg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DC booster 66 for boosting the 4.2V voltage of the battery power from the mobile phone battery 38 to the 5V voltage is connected to the 5V voltage charging path up to the pinport dock 32 Platform device.
제5항에 있어서, 모듈장착 감지편(24)은 자석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다목적 배터리충전 플랫폼 장치.
6. The portable multi-purpose battery charging platform device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module-mounted sensing piece (24) is a magnet.
삭제delete
KR1020180130038A 2018-10-29 2018-10-29 Portable multi-used battery charging plaform apparatus KR1021277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038A KR102127705B1 (en) 2018-10-29 2018-10-29 Portable multi-used battery charging plaform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038A KR102127705B1 (en) 2018-10-29 2018-10-29 Portable multi-used battery charging plaform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9941A KR20200049941A (en) 2020-05-11
KR102127705B1 true KR102127705B1 (en) 2020-06-30

Family

ID=70729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0038A KR102127705B1 (en) 2018-10-29 2018-10-29 Portable multi-used battery charging plaform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770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1070B1 (en) * 2023-12-22 2024-05-30 (주)프리뉴 Drone having an electric molu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9986B1 (en) * 2016-07-18 2017-12-19 김영조 Both auxiliary battery and muti charging cradle apparatus for moible phon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7954A (en) * 2012-02-27 2013-09-04 최상효 Case for mobile
KR20140126576A (en) 2013-04-23 2014-10-31 김영조 The connection device having multi adapter function and multi charge function and remote control changing function about non-remote control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9986B1 (en) * 2016-07-18 2017-12-19 김영조 Both auxiliary battery and muti charging cradle apparatus for moible pho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1070B1 (en) * 2023-12-22 2024-05-30 (주)프리뉴 Drone having an electric mol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9941A (en) 2020-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48103B2 (en) Multi-functional high capacity portable power charger
US9093848B2 (en) Multi-source power adapter
US10250056B2 (en) Multi-function external attachment and safety circuit for a portable power charger
EP1641100B1 (en) Power supply system comprising rechargeable battery pack and attachment apparatus
US20130193911A1 (en) Motion-actuated portable charger
US8461805B2 (en) Rechargeable battery pack with connecting ports for internal and external charging/output operations
US20180109128A1 (en) Portable power charger with two-way charging interface
US8860371B2 (en) Series battery charger with the function of separate detection
EP1610438A2 (en) Mobile charger
US20170264118A1 (en) Combination portable power charger and compact mirror
US2007012629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owering an electronic device from selectable power sources
US20080185990A1 (en) Portable power storage and supply module
US20090179615A1 (en) Universal battery charger
KR102127705B1 (en) Portable multi-used battery charging plaform apparatus
KR101613058B1 (en) Battery pack pouch apparatus with charger and discharger for moible phone
KR102039662B1 (en) Cordless battery pack apparatus for battery substitute
KR100623625B1 (en) Portable type apparatus for universal supplying an electric power
JP2012075273A (en) Charger
KR20060080652A (en) Portable charger
WO2007053743A9 (en) Systems and methods for powering an electronic device from selectable power sources
KR20210056148A (en) Module Type Battery
KR20070050696A (en) Compatible connecto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70138120A (en) Supplementary battery for Bluetooth mobile 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