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5147B1 - Oral rehabilitation therapy device - Google Patents

Oral rehabilitation therap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5147B1
KR102125147B1 KR1020180147228A KR20180147228A KR102125147B1 KR 102125147 B1 KR102125147 B1 KR 102125147B1 KR 1020180147228 A KR1020180147228 A KR 1020180147228A KR 20180147228 A KR20180147228 A KR 20180147228A KR 102125147 B1 KR102125147 B1 KR 102125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al
treatment tool
rehabilitation treatment
food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72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61662A (en
Inventor
민경철
Original Assignee
민경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경철 filed Critical 민경철
Priority to KR1020180147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5147B1/en
Publication of KR20200061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16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5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514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3/00Gum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4Spoons; Pastry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83Surface of interface
    • A61H2201/169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rface, e.g. material, relief, texture or indicia
    • A61H2201/1695Enhanced pressure effect, e.g. substantially sharp projections, needles or pyram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gnetic Treatment Device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강을 자극하여 구강의 기능이나 감각을 회복시키는데 사용할 수 있는 구강 재활 치료 도구를 제공하는 것이 그 기술적 과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구강 재활 치료 도구는, 구강의 기능이나 감각을 회복시키는데 사용하기 위한 구강 재활 치료 도구로, 길다란 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의 일단부에 이루며 음식물을 뜨기 위한 수저부; 및 상기 몸체의 타단부에 구비되며 입안을 자극하기 위한 자극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ral rehabilitation treatment tool that can be used to restore the function or sensation of the oral cavity by stimulating the oral cavity. To this end, the oral rehabilitation treatment too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ral rehabilitation treatment tool for use in restoring the function or sensation of the oral cavity, an elongated body; It is formed on one end of the body and cutlery for floating food; And a stimulation part provided on the other end of the body to stimulate the mouth.

Description

구강 재활 치료 도구{Oral rehabilitation therapy device}Oral rehabilitation therapy device

본 발명은 구강 재활 치료 도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al rehabilitation treatment tool.

일반적으로, 구강은 음식물의 저작, 타액과의 혼합, 미각의 작용을 지니고 호흡 및 발성의 보조가 되는 기관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구강은, 안면 하부 중앙에 있는 소화기의 입구를 이루는 기관이고, 구열을 거쳐 구협까지를 말하며, 인두에 이어진다. 앞 및 측벽은 입술과 볼이고 이 후방에 하악골의 치조돌기와 그것을 뒤덮는 점막과 거기에 치아의 치열궁이 있다. 상벽은 구개, 하벽은 구저와 혀이다.In general, the oral cavity is an organ that has the action of chewing food, mixing with saliva, taste, and assisting breathing and vocalization. Specifically, such an oral cavity is an organ forming an inlet of a digestive tract located in the lower center of the face, and refers to an isthmus through a cleft lip, leading to the pharynx. The front and side walls are the lips and cheeks, and on the rear there are the alveolar projections of the mandible, the mucous membrane that covers it, and the dental arch of the teeth. The upper wall is the palate and the lower wall is the tongue and tongue.

하지만, 이러한 구강은, 뇌졸중, 노화, 조산, 뇌성마비 등의 원인으로 구강 운동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며, 이러한 구강 기능 저하로 인해 음식물의 저작(咀嚼)이나 타액과의 혼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할 뿐만 아니라 미각이 제대로 형성되지 못하며, 호흡 및 발성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 oral cavit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ral motor function is reduced due to the causes of stroke, aging, premature birth, cerebral palsy, etc., due to such a decrease in oral function can not be properly mixed with the chewing or saliva of food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aste is not properly formed, and breathing and vocalization are not properly performed.

미국 특허출원공개공보 US2005/0091854호(2005.05.05)US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US2005/0091854 (2005.05.05)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구강을 자극하여 구강 운동 기능, 구강 감각, 구강 인식, 구강 처리 기능을 회복시키는데 사용할 수 있는 구강 재활 치료 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ral rehabilitation treatment tool that can be used to restore oral exercise function, oral sensation, oral recognition, and oral treatment function by stimulating the oral cavit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재활 치료 도구는, 구강의 기능이나 감각을 회복시키는데 사용하기 위한 구강 재활 치료 도구로, 길다란 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의 일단부에 이루며 음식물을 뜨기 위한 수저부; 및 상기 몸체의 타단부에 구비되며 입안을 자극하기 위한 자극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일단부를 이루는 상기 수저부는, 상기 몸체의 타단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지고, 상기 몸체의 일단부를 이루는 상기 수저부 중 상면은, 상기 몸체의 타단부의 상면에 비해 낮은 높이에 위치되고, 상기 몸체의 일단부를 이루는 상기 수저부 중 하면은, 상기 몸체의 타단부의 하면에 비해 높은 위치에 위치된다.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oral rehabilitation treatment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ral rehabilitation treatment tool for use in restoring the function or sensation of the oral cavity, an elongated body; It is formed on one end of the body and cutlery for floating food; And provided on the other end of the body and the stimulation portion for stimulating the mouth; includes, the bottom portion forming the one end of the body, has a relatively thin thickness compared to the other end of the body, one end of the body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art of the body is located at a lower height compar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body,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part of the body forming one end of the body is locat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lower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body. .

상기 자극부는, 상기 몸체의 타단부의 상면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상부 자극 돌기; 및 상기 몸체의 타단부의 하면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하부 자극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gnetic pole portion, one or more upper magnetic pole projection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body; And one or more lower stimulation protrusion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body.

삭제delete

상기 수저부는, 상기 몸체의 일단부의 상면을 이루며 음식물이 놓이기 위한 음식물 안착면; 및 상기 몸체의 일단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되 상기 음식물 안착면보다 높게 구비되는 음식물 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다.The cutlery portion forms a top surface of one end of the body, and a food seating surface for placing food; And it is provided along the edge of one end of the body, the food catching jaw is provided higher than the food seating surface may include.

삭제delete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재활 치료 도구는, 상기 몸체의 일단부와 상기 몸체의 타단부 사이에 구비되는 천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천이부는, 상기 몸체의 타단부의 상면에서 상기 몸체의 일단부의 상면을 향해 하향 경사진 상부 경사면; 및 상기 몸체의 타단부의 하면과 상기 몸체의 일단부의 하면을 연결하는 하부 오목면;을 포함할 수 있다.Oral rehabilitation treatment too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further include a transition portion provided between one end of the body and the other end of the body, the transition por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body An upper inclined surface inclined downward toward an upper surface of one end of the body; And a lower concave surface connec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body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one end of the body.

상기 천이부는, 상기 자극부 보다 상기 수저부에 더 인접되게 위치될 수 있다.The transition portion may be positioned closer to the bottom portion than the magnetic pole portion.

상기 천이부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재활 치료 도구의 길이를 기준으로 그 중심과 상기 수저부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The transition part may be located between the center and the cutlery part based on the length of the oral rehabilitation treatment too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상기 수저부의 말단 가장자리는, 상기 몸체의 상면을 향해 볼 때 둥근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distal edge of the bottom portion may have a round shape when viewed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상기 자극부의 말단 가장자리는, 상기 몸체의 상면을 향해 볼 때 둥근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distal edge of the magnetic pole portion may have a round shape when viewed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상기 몸체와, 상기 수저부와, 그리고 상기 자극부는, 상기 몸체의 상면을 향해 볼 때 서로 동일한 너비를 가질 수 있다.The body, the spoon portion, and the magnetic pole portion may have the same width as each other when viewed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재활 치료 도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oral rehabilitation treatment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몸체와, 수저부와, 자극부를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재활 치료사(이하, 환자 가족 등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됨)가 수저부를 통해 음식물을 환자의 입에 넣어주면서 음식물의 위치를 환자에게 인지시키는 것으로 음식물의 저작이나 타액과의 혼합을 위한 구강 기능에 대한 재활훈련을 할 수 있고, 자극부를 통해 환자의 구강을 누르면서 자극시키는 것으로 구강의 감각을 회복시키기 위한 재활훈련을 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 하나의 구강 재활 치료 도구를 이용하여 저작에 대한 구강 기능과 미각이나 호흡 등에 대한 구강 감각을 회복하기 위한 재활훈련을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구강 재활 치료 도구를 사용하여, 구강 인식, 구강 감각, 구강 운동 기능, 그리고 먹기 등의 구강 처리 기능 증진의 단계로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고, 혀, 치아, 구개, 입술, 볼의 움직임을 유도할 수 있고 이에 자극을 가할 수 있다. 그리고, 수저부를 통한 음식 제공, 적절한 양을 적절한 위치에 제공할 수 있고, 자극부를 통한 감각 자극 뿐만 아니라 자극부를 씹어 재활을 유도할 수 있다. 즉, 자극부를 통해 자극을 제공할 수 있고, 아동 치발기처럼 어금니 사이에 위치시켜 직접적인 저작 훈련을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technical configuration including a body, a spoon, and a stimulus is provided, a rehabilitation therapist (hereinafter, used as a meaning including a patient's family, etc.) puts food into the patient's mouth through the spoon. By recognizing the location of food while putting it into the patient, it is possible to perform rehabilitation training for oral function for chewing or mixing saliva, and to restore the sensation of the oral cavity by stimulating the patient's mouth through the stimulator. Rehabilitation training is available. Ultimately, a single oral rehabilitation treatment tool can be used to rehabilitate the oral function for mastication and to restore oral sensation to taste or breathing. In particular, by using the oral rehabilitation treatment tool of the present invention, treatment may be performed as a step of promoting oral treatment functions such as oral recognition, oral sense, oral exercise function, and eating, and of the tongue, teeth, palate, lips, cheeks It can induce movement and excite i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food through the cutlery portion, to provide an appropriate amount at an appropriate location, and to induce rehabilitation by chewing the stimulation portion as well as sensory stimulation through the stimulation portion. In other words, stimulation can be provided through the stimulation section, and direct authoring training can be performed by placing it between the molars like a child's teeth.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수저부는 몸체의 타단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지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입을 충분히 벌릴 수 없는 구강 기능 저하나 마비 환자에 보다 효과적으로 구강 내로 음식물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입 뿐만 아니라 구강 내의 치아와 볼, 치아와 입술 사이 공간으로도 음식을 제공하고 자극을 줄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utlery portion provides a technical configuration having a relatively thin thickness compared to the other end of the body, it can provide food into the mouth more effectively to patients with reduced oral function or paralysis that cannot sufficiently open their mouth. You can. Furthermore, it can provide and stimulate food not only in the mouth but also in the space between the teeth and cheeks in the mouth, and between the teeth and lip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수저부의 상면은 몸체의 타단부의 상면에 비해 낮은 높이에 위치되고, 수저부의 하면은 상기 몸체의 타단부의 하면에 비해 높은 위치에 위치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본 발명의 구강 재활 치료 도구를 바닥에 놓더라도 수저부가 바닥에 닿지 않게 되어 수저부가 오염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is located at a lower height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body,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provides a technical configuration that is locat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lower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body. Therefore, even if the oral rehabilitation treatment too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laced on the floo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ottom portion from being contaminated because the bottom portion does not contact the floo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하부 오목면을 포함하는 천이부가 구비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수저부를 이용하기 위해 재활 치료사가 펜(pen)을 잡듯이 본 발명의 구강 재활 치료 도구를 잡을 경우 재활 치료사의 중지를 받칠 수 있고, 자극부를 이용하기 위해 재활 치료사가 칼을 잡듯이 본 발명의 구강 재활 치료 도구를 잡을 경우 재활 치료사의 검지를 받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적은 힘으로도 환자의 구강에 충분한 자극을 가할 수 있고, 정교하게 목적한 자극 부위에 음식을 제공하거나 직접적인 자극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provides a technical configuration provided with a transition portion including a lower concave surface, the rehabilitation therapist uses the pen as a rehabilitation therapist to use the cutlery. In this case, the rehabilitation therapist can be stopped, and the rehabilitation therapist can hold the index of the rehabilitation therap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f the rehabilitation therapist is holding the knife to use the stimulator. Also, sufficient stimulation can be applied to the patient's mouth, and food can be provided to a precisely targeted stimulation site or direct stimulation can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수저부의 말단 가장자리와 자극부의 말단 가장자리 각각은 몸체의 상면을 향해 볼 때 둥근 형상을 가지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환자의 구강으로 넣는 과정에서나 구강 내에서 이동하는 과정에서 환자의 구강 조직에 상처를 입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each of the distal edge of the bottom portion and the distal edge of the magnetic pole portion provides a technical configuration having a round shape when viewed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it moves in the oral cavity of the patient during the process of being put into the mouth In the process, it is possible to prevent injury to the patient's oral tissu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몸체와, 수저부와, 그리고 자극부는, 몸체의 상면을 향해 볼 때 서로 동일한 너비를 가지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제조 시 치수 공차를 서로 다르게 관리하지 않아도 되어,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the bottom portion, and the magnetic pole portion, when viewed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roviding a technical configuration having the same width as each other, there is no need to manage different dimensional tolerances during manufacturing , Manufacturing cost can be lower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재활 치료 도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구강 재활 치료 도구를 우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구강 재활 치료 도구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ral rehabilitation treatment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of the oral rehabilitation treatment tool of FIG. 1 viewed from the right.
FIG. 3 is a view of the oral rehabilitation treatment tool of FIG. 1 as viewed from abov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practic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재활 치료 도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강 재활 치료 도구를 우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그리고 도 3은 도 1의 구강 재활 치료 도구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ral rehabilitation treatment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of the oral rehabilitation treatment tool of FIG. 1 viewed from the right, and FIG. 3 is an oral rehabilitation treatment tool of FIG. 1 It is the view seen from abo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재활 치료 도구(100)는, 구강의 기능이나 감각을 회복시키는데 사용하기 위한 구강 재활 치료 도구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와, 수저부(120)와, 자극부(130)를 포함한다.Oral rehabilitation treatment too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ral rehabilitation treatment tool for use in restoring the function or sensation of the oral cavity, as shown in FIGS. 1 to 3, the body 110 and , The bottom part 120 and the magnetic pole part 130.

따라서, 재활 치료사나 환자의 가족 등(이하, "재활 치료사"라 통칭함)이 수저부(120)를 통해 음식물을 환자의 입에 넣어주면서 음식물의 위치를 환자에게 인지시키는 것으로 음식물의 저작이나 타액과의 혼합을 위한 구강 기능에 대한 재활훈련을 할 수 있고, 자극부(130)를 통해 환자의 구강을 누르면서 자극시키는 것으로 구강의 감각을 회복시키기 위한 재활훈련을 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 하나의 구강 재활 치료 도구(100)를 이용하여 저작에 대한 구강 기능 뿐만 아니라 미각이나 호흡 등에 대한 구강 감각을 회복하기 위한 재활훈련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계속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Therefore, a rehabilitation therapist or a family of a pati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rehabilitation therapist") puts food into the patient's mouth through the spoon 120 and recognizes the location of the food to the patient, thereby authoring food or saliva. Rehabilitation training may be performed on oral functions for mixing with a stimulus, and rehabilitation training may be performed to restore a sense of the oral cavity by stimulating the patient's oral cavity through the stimulation unit 130. Ultimately, a single oral rehabilitation treatment tool 100 can be used to perform both rehabilitation exercises to restore oral sensation for taste and breath, as well as oral function for mastication. Hereinafter,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몸체(110)는, 본 발명의 구강 재활 치료 도구(100)의 몸체를 이루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몸체(1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다란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body 110 is a component constituting the body of the oral rehabilitation treatment too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110 may have an elongated shape, as shown in FIGS. 1 to 3.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의 일단부(120)[도 2를 기준으로 좌측 부분으로 "수저부(120)"에 해당함, 이하 수저부(120)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함]는 몸체(110)의 타단부[도 2를 기준으로 우측 부분으로 "자극부(130)"를 구비함]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즉, 상대적으로 얇은 수저부(120)를 통해, 입을 충분히 벌릴 수 없는 구강 기능 저하나 마비 환자에 보다 효과적으로 구강 내로 음식물을 정교하게 제공할 수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1 and 2, one end 120 of the body 110 (corresponding to the “lower part 120” in the left part based on FIG. 2), hereinafter, with the lower part 120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may have a relatively thin thickness compared to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body 110 (having a “stimulation portion 130” as the right portion based on FIG. 2 ). That is, through the relatively thin cutlery portion 120, it is possible to more precisely provide food into the oral cavity more effectively to patients with reduced oral function or paralysis that cannot open their mouth sufficiently.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의 일단부(120)의 상면은 몸체(110)의 타단부의 상면에 비해 낮은 높이에 위치될 수 있고, 몸체(110)의 일단부(120)의 하면은 몸체(110)의 타단부의 하면에 비해 높은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강 재활 치료 도구(100)를 바닥에 놓더라도 몸체(110)의 일단부(120)를 이루는 수저부(120)가 바닥에 닿지 않게 되어 수저부(120)가 오염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the upper surface of one end 120 of the body 110 may be located at a lower height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body 110, and one end of the body 110 ( The lower surface of 120) may be position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lower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body 110. Therefore, even if the oral rehabilitation treatment too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laced on the floor, the cutlery part 120 forming one end 120 of the body 110 does not contact the floor, so that the cutlery part 120 is contaminated. To prevent.

수저부(120)는, 죽이나 미음 등의 음식물을 떠서 환자의 구강 내로 안내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수저부(1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의 일단부에 이룰 수 있다.The bottom part 120 is a component for guiding food into the mouth of a patient by floating food such as porridge or rice. The cutlery part 120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body 110, as shown in FIGS. 1 and 2.

구체적으로, 수저부(12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 안착면(121)과 음식물 걸림턱(122)을 포함할 수 있다. 음식물 안착면(121)은 음식물이 놓이는 부분으로 몸체(110)의 일단부의 상면을 이룰 수 있고, 음식물 걸림턱(122)은 음식물 안착면(121)에 놓인 음식물이 옆으로 흘러 내리지 않도록 몸체(110)의 일단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되 음식물 안착면(121)보다 높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구강 기능 저하나 마비로 인해 구강의 입구가 좁아진 환자를 위해, 이러한 수저부(120)를 통해 소량의 죽이나 미음 등을 계속해서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활 치료사 등이 환자의 어금니 부분, 혀 안쪽, 또는 혀 앞쪽 등 구강 내의 위치를 바꿔가며 죽이나 미음 등의 음식물을 환자에게 제공하면서, 그 부위에 음식물이 있음을 환자에게 인식시키는 것으로, 환자가 그 부위의 움직임을 집중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환자의 구강 기능의 회복을 유도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utlery portion 120 may include a food seating surface 121 and a food catching jaw 122 as shown in FIGS. 1 and 3. The food seating surface 121 is a part where food is placed, and may form an upper surface of one end of the body 110, and the food catching jaw 122 is a body 110 so that food placed on the food seating surface 121 does not flow sideways. ) Is provided along the edge of one end portion, it may be provided higher than the food receiving surface 121. Therefore, for a patient whose mouth has been narrowed due to a decrease in oral function or paralysis, a small amount of porridge or decay can be continuously supplied through the cutlery part 120. For example, a rehabilitation therapist or the like changes the position in the oral cavity of the patient's molar portion, the inside of the tongue, or the front of the tongue, and provides the patient with food, such as porridge or decay, while recognizing the patient that there is food in the area, The patient can focus the movement of the area, thereby inducing the patient's oral function to recover.

또한, 수저부(120)의 말단 가장자리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의 상면을 향해 볼 때 둥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수저부(120)를 환자의 구강으로 넣는 과정에서나 구강 내에서 이동하는 과정에서 환자의 구강 조직에 상처를 입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tal edge of the bottom portion 120, as shown in Figure 3, may have a round shape when viewed toward the top surface of the body.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atient's oral tissue from being injured in the process of putting the cutlery part 120 into the patient's mouth or in the process of moving in the mouth.

자극부(130)는, 환자의 구강을 자극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자극부(13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의 타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The stimulation unit 130 is a component for stimulating the oral cavity of the patient. The magnetic pole part 130 may be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body 110, as shown in FIGS. 1 to 3.

구체적으로, 자극부(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상부 자극 돌기(131)와 하나 이상의 하부 자극 돌기(132)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 the magnetic pole portion 130 may include one or more upper magnetic pole protrusions 131 and one or more lower magnetic pole protrusions 132.

상부 자극 돌기(131)는 몸체(110)의 타단부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고, 하부 자극 돌기(132)는 몸체(110)의 타단부의 하면에 구비될 수 있다. 환자의 잇몸, 이, 혀, 입천장 등에 자극을 가해 구강 감각의 회복을 유도할 수 있다. 특히, 상부 자극 돌기(131)는 환자의 윗 잇몸, 윗 이, 입천장 등을 눌러 자극을 가할 수 있고, 하부 자극 돌기(132)는 환자의 아랫 잇몸, 아랫 이, 혀 등을 눌러 자극을 가할 수 있다. 나아가. 자극부(130)가 잇몸과 치아 자극 외에 환자의 혀 자극에도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고, 혀의 위, 옆, 앞 부분 등을 눌러 직접적인 자극과 운동을 안내할 수 있다.The upper magnetic pole protrusion 131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body 110, and the lower magnetic pole protrusion 132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body 110. Stimulation of the patient's gums, teeth, tongue, and palate may induce the recovery of oral sensation. In particular, the upper stimulation protrusion 131 may apply stimulation by pressing the patient's upper gum, upper teeth, palate, etc., and the lower stimulation protrusion 132 may apply stimulation by pressing the patient's lower gum, lower teeth, tongue, etc. have. Furthermore. The stimulation unit 130 can be very useful for stimulating the tongue of the patient in addition to stimulation of the gums and teeth, and can direct direct stimulation and exercise by pressing the upper, side, and front parts of the tongue.

또한, 자극부(130)의 말단 가장자리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의 상면을 향해 볼 때 둥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자극부(130)를 환자의 구강으로 넣는 과정에서나 구강 내에서 이동하는 과정에서 환자의 구강 조직에 상처를 입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tal edge of the pole portion 130, as shown in FIG. 3, may have a round shape when viewed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10.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atient's oral tissue from being injured in the process of putting the stimulation unit 130 into the patient's mouth or in the process of moving in the mouth.

나아가, 이러한 몸체(110)와, 수저부(120)와, 그리고 자극부(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의 상면을 향해 볼 때 서로 동일한 너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강 재활 치료 도구(100)의 제조 시 치수 공차를 서로 다르게 관리하지 않아도 되어,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Furthermore, the body 110, the bottom part 120, and the magnetic pole part 130, as shown in FIG. 3, may have the same width when viewed toward the top surface of the body 110. Therefore, when manufacturing the oral rehabilitation treatment too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necessary to manage dimensional tolerances differently, so that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lowered.

이와 더불어,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재활 치료 도구(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의 일단부(120)와 몸체(110)의 타단부 사이에 구비되는 천이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ral rehabilitation treatment too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ures 1 and 2, one end 120 of the body 110 and the other of the body 110 It may further include a transition portion 140 provided between the ends.

구체적으로, 천이부(14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경사면(141)과 하부 오목면(1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경사면(141)은 몸체(110)의 타단부의 상면에서 몸체(110)의 일단부(120)의 상면을 향해 하향 경사질 수 있고, 하부 오목면(142)은 몸체(110)의 타단부의 하면과 몸체(110)의 일단부(120)의 하면을 오목한 형태로 연결할 수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transition unit 140 may include an upper inclined surface 141 and a lower concave surface 142. The upper inclined surface 141 may be inclined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body 110 toward the upper surface of one end 120 of the body 110, and the lower concave surface 142 may be the other end of the body 110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and the lower surface of one end 120 of the body 110 may be connected in a concave shape.

따라서, 수저부(120)를 이용하기 위해 재활 치료사가 펜(pen)을 잡듯이 본 발명의 구강 재활 치료 도구(100)를 잡을 경우 재활 치료사의 중지를 받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수저부(120)를 정교하게 환자의 구강 내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자극부(130)를 이용하기 위해 재활 치료사가 칼을 잡듯이 본 발명의 구강 재활 치료 도구(100)를 잡을 경우 재활 치료사의 검지를 받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적은 힘으로도 환자의 구강에 충분한 자극을 가할 수 있다.Therefore, when using the oral rehabilitation treatment too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habilitation therapist holds a pen in order to use the cutlery part 120, the rehabilitation therapist can be stopped, which is not only convenient but also a spoon The unit 120 can be precisely moved into the patient's mouth. In addition, when using the oral rehabilitation treatment too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habilitation therapist holds a knife to use the stimulation unit 130, it can support the index of the rehabilitation therapist, which is not only convenient to use, but also requires less power. Sufficient stimulation can be applied to the patient's mouth.

나아가, 천이부(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극부(130) 보다 수저부(120)에 더 인접되게 위치될 수 있다. 특히, 천이부(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구강 재활 치료 도구(100)의 길이를 기준으로 그 중심(C10)과 수저부(12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transition part 140 may be located closer to the bottom part 120 than the magnetic pole part 130, as shown in FIG. 2. In particular, the transition unit 140, as shown in Figure 2, based on the length of the oral rehabilitation treatment too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located between the center (C10) and the bottom portion 120 hav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s.

100: 구강 재활 치료 도구 110: 몸체
120: 몸체의 일단부(수저부) 121: 음식물 안착면
122: 음식물 걸림턱 130: 자극부
131: 상부 자극 돌기 132: 하부 자극 돌기
140: 천이부 141: 상부 경사면
142: 하부 오목면 C10: 구강 재활 치료 도구의 중심
100: oral rehabilitation treatment tool 110: body
120: one end of the body (spoon bottom) 121: food seating surface
122: food jam jaw 130: stimulation part
131: upper stimulus protrusion 132: lower stimulus protrusion
140: transition part 141: upper slope
142: lower concave surface C10: center of oral rehabilitation tool

Claims (3)

구강의 기능이나 감각을 회복시키는데 사용하기 위한 구강 재활 치료 도구로,
길다란 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의 일단부에 이루며 음식물을 뜨기 위한 수저부; 및
상기 몸체의 타단부에 구비되며 입안을 자극하기 위한 자극부;
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일단부를 이루는 상기 수저부는,
상기 몸체의 타단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지고,
상기 몸체의 일단부를 이루는 상기 수저부 중 상면은,
상기 몸체의 타단부의 상면에 비해 낮은 높이에 위치되고,
상기 몸체의 일단부를 이루는 상기 수저부 중 하면은,
상기 몸체의 타단부의 하면에 비해 높은 위치에 위치되는
구강 재활 치료 도구.
An oral rehabilitation treatment tool for use in restoring the function or sensation of the oral cavity.
Elongated body;
It is formed on one end of the body and cutlery for floating food; And
A stimulation part provided on the other end of the body to stimulate the mouth;
Including,
The cutlery part forming one end of the body,
Has a relatively thin thickness compared to the other end of the body,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constituting one end of the body,
Located at a lower height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body,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constituting one end of the body,
Locat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lower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body
Oral rehabilitation treatment tools.
삭제delete 제1항에서,
상기 구강 재활 치료 도구는,
상기 몸체의 일단부와 상기 몸체의 타단부 사이에 구비되는 천이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천이부는,
상기 몸체의 타단부의 상면에서 상기 몸체의 일단부의 상면을 향해 하향 경사진 상부 경사면; 및
상기 몸체의 타단부의 하면과 상기 몸체의 일단부의 하면을 연결하는 하부 오목면;
을 포함하는
구강 재활 치료 도구.
In claim 1,
The oral rehabilitation treatment tool,
Transition portion provided between one end of the body and the other end of the body
Further comprising,
The transition portion,
An upper inclined surface inclined downward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body toward an upper surface of one end of the body; And
A lower concave surface connec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body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one end of the body;
Containing
Oral rehabilitation treatment tools.
KR1020180147228A 2018-11-26 2018-11-26 Oral rehabilitation therapy device KR10212514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228A KR102125147B1 (en) 2018-11-26 2018-11-26 Oral rehabilitation therap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228A KR102125147B1 (en) 2018-11-26 2018-11-26 Oral rehabilitation therap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662A KR20200061662A (en) 2020-06-03
KR102125147B1 true KR102125147B1 (en) 2020-06-19

Family

ID=71087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7228A KR102125147B1 (en) 2018-11-26 2018-11-26 Oral rehabilitation therap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514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9647A (en) 2022-08-26 2024-03-06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Oral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91854A1 (en) * 2003-10-29 2005-05-05 Johnson Lori A.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ding oral tactile stimulation while delivering food
JP4979985B2 (en) 2006-05-31 2012-07-18 コンビウェルネス株式会社 Dysphagia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JP6233871B2 (en) * 2012-09-28 2017-11-22 株式会社大塚製薬工場 Spoon for swallowing adjustment food and method for forming swallowing adjustment food pie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9186A (en) * 1998-04-30 1999-11-09 Yoshie Mishima Swallowing function training too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91854A1 (en) * 2003-10-29 2005-05-05 Johnson Lori A.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ding oral tactile stimulation while delivering food
JP4979985B2 (en) 2006-05-31 2012-07-18 コンビウェルネス株式会社 Dysphagia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JP6233871B2 (en) * 2012-09-28 2017-11-22 株式会社大塚製薬工場 Spoon for swallowing adjustment food and method for forming swallowing adjustment food pie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9647A (en) 2022-08-26 2024-03-06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Oral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662A (en) 2020-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73969C (en) An oral training appliance
JP4979985B2 (en) Dysphagia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AU64226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ntal treatment
EP1323393A1 (en) Mouthpiece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device for orthodontic treatment using the mouthpiece
KR101919909B1 (en) Functional dentofacial orthopedic apparatus
JP6017780B2 (en) Oral function training device
JP4399645B1 (en) Salivary secretion enhancer
CN210095946U (en) Multifunctional invisible appliance
KR102125147B1 (en) Oral rehabilitation therapy device
JP4474187B2 (en) Dysphagia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Gargari et al. Esthetic and function rehabilitation of severely worn dentition with prosthetic-restorative approach and VDO increase. Case report
JP2007319304A (en) Dysphagia rehabilitation and training device
JP2006326017A (en) Mouth opener for cleaning and treating oral cavity
US11660166B2 (en) Method and device to increase blood circulation and to encourage tooth eruption and muscle efficiency of a dental patient
JP4634430B2 (en) A dental medical device for the treatment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that stabilizes jaw movement and makes effective use of toothpaste to improve circulation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JP2018126265A (en) Deglutition function training apparatus
JP6120780B2 (en) Oral appliance
JP2011115316A (en) Occlusion correction device
WO2013057979A1 (en) Smile-calisthenics mouthpiece for mouth and tongue
JP3668744B2 (en) (Bite block using thermoplastic material)
JP6933783B1 (en) Oral vagal nerve stimulator and how to use it
WO2024080315A1 (en) Mouthpiece
CN107693139A (en) Anti- jaw apparatus for correcting and anti-jaw antidote
JP3500401B2 (en) Electric toothbrush device for nursing care
KR102611351B1 (en) Mouthpiece type auxiliary device for Individuals with Dysphag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