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5094B1 - Supercooling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upercooling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5094B1
KR102125094B1 KR1020180144475A KR20180144475A KR102125094B1 KR 102125094 B1 KR102125094 B1 KR 102125094B1 KR 1020180144475 A KR1020180144475 A KR 1020180144475A KR 20180144475 A KR20180144475 A KR 20180144475A KR 102125094 B1 KR102125094 B1 KR 102125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pipe
bypass
heat exchanger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44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59578A (en
Inventor
신기현
류성헌
조은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4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5094B1/en
Publication of KR20200059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95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5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50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0/00Subcoolers, desuperheaters or superheaters
    • F25B40/02Subcoolers
    • F25B41/003
    • F25B41/046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 F25B41/26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of fluid flow revers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40Fluid line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7/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7/16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arranged in parallel spaced re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04Refrigeration circuit bypass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23Sepa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15Power, e.g. by voltage or current
    • F25B2700/151Power, e.g. by voltage or current of the compressor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17Temperatures of an evapo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냉각 열교환기는, 아우터 배관; 아우터 배관의 내부에 배치되고 아우터 배관의 내부를 제1공간과 제2공간으로 구획하는 격벽; 및 아우터 배관의 내부에 배치되며 격벽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너 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배관에는, 이너 배관의 양 단부 중 제1공간측의 단부와 연통된 제1입구; 이너 배관의 양 단부 중 제2공간측의 단부와 연통된 제1출구; 제1공간과 연통되는 제2입구; 제1공간과 연통되고 제2입구와 이격된 제2출구; 제2공간과 연통되는 제3입구; 및 제2공간과 연통되고 제3입구와 이격된 제3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Supercooling heat exc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pipe; A partition wall disposed inside the outer pipe and partitioning the outer pipe into first and second spaces; And at least one inner pipe disposed inside the outer pipe and penetrating the partition wall.
The outer piping includes: a first inlet communicating with an end of the first space side among both ends of the inner piping; A first outlet communicating with an end of the second space side of both ends of the inner pipe; A second entranc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space; A second exit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space and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entrance; A third entrance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space; And a third outlet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space and spaced apart from the third entrance.

Description

과냉각 열교환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 시스템{Supercooling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ing system including the same}Supercooling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과냉각 열교환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ercooling heat exchanger and an air condition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열은 고온 측에서 저온 측으로는 자연히 이동하지만 저온 측에서 고온 측으로 열을 이동시키려면 외부에서 어떤 작용을 가하여야 한다. 이것이 히트펌프의 원리이다. 히트펌프 공기조화기는 냉매의 압축-응축-팽창-증발로 이루어지는 냉동사이클로 순환되는 열에 대한 운반 메커니즘(mechanism)을 가역적으로 사용하여 냉 방 또는 난방 운전을 수행하며, 냉매의 압축을 위해 통상 압축기를 구비하고 있다.In general, heat naturally moves from the high temperature side to the low temperature side, but in order to transfer heat from the low temperature side to the high temperature side, some action must be applied from the outside. This is the principle of the heat pump. The heat pump air conditioner performs refrigeration or heating operation by reversibly using a transport mechanism for heat circulated in a refrigeration cycle consisting of compression-condensation-expansion-evaporation of the refrigerant, and is usually equipped with a compressor for compressing the refrigerant Doing.

최근에는, 이러한 히트펌프 공기조화기의 냉방 또는 난방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압축기(구체적으로, 압축실)에 기체상태의 냉매를 분사하는 증기 분사(Vapor Injection) 과냉각기를 도입하고 있다. Recently, in order to improve the cooling or heating capability of such a heat pump air conditioner, a vapor injection supercooler that injects a gaseous refrigerant into a compressor (specifically, a compression chamber) has been introduced.

좀 더 상세히, 실내열교환기와 실외열교환기를 연결하는 연결배관에서 분기된 분기 배관이 압축기에 마련된 분사포트에 연결하고, 상기 분기 배관에는 냉매를 팽창하기 위한 과냉각 팽창밸브가 설치된다. 이 경우, 과냉각 열교환기는 상기 연결배관을 통과하는 냉매와 상기 분기 배관을 통과하는 냉매간의 열교환을 수행한다. 즉, 상기 과냉각 팽창밸브에서 감압 팽창된 냉매는 과냉각 열교환기에서 열교환하여 과열된 기체상태의 냉매가 압축기의 분사포트로 분사된다.In more detail, a branch pipe branched from a connection pipe connecting an indoor heat exchanger and an outdoor heat exchanger is connected to an injection port provided in a compressor, and a supercooling expansion valve for expanding a refrigerant is installed in the branch pipe. In this case, the supercooling heat exchanger performs heat exchange between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connecting pipe and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branch pipe. That is, the refrigerant expanded under reduced pressure in the supercooling expansion valve exchanges heat in the supercooling heat exchanger, and the superheated gaseous refrigerant is injected into the injection port of the compressor.

KR10-2010-0063173A (2010년06월11일 공개)KR10-2010-0063173A (released on June 11, 2010)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유입된 냉매에 의해, 이너 배관을 통과하는 냉매의 2단 냉각이 가능한 과냉각 열교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percooling heat exchanger capable of two-stage cooling of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inner pipe by the refrigerant introduced through different path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컴팩트한 공기조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act air conditioning system.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다른 과제는 공조 성능이 향상된 공기조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ing system with improved air conditioning performan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냉각 열교환기는, 아우터 배관; 상기 아우터 배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아우터 배관의 내부를 제1공간과 제2공간으로 구획하는 격벽; 및 상기 아우터 배관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격벽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너 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배관에는, 상기 이너 배관의 양 단부 중 상기 제1공간측의 단부와 연통된 제1입구; 상기 이너 배관의 양 단부 중 상기 제2공간측의 단부와 연통된 제1출구; 상기 제1공간과 연통되는 제2입구; 상기 제1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제2입구와 이격된 제2출구; 상기 제2공간과 연통되는 제3입구; 및 상기 제2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제3입구와 이격된 제3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Supercooling heat exc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pipe; A partition wall disposed inside the outer pipe and partitioning the inner portion of the outer pipe into a first space and a second space; And at least one inner pipe disposed inside the outer pipe and penetrating the partition wall. The outer piping includes: a first inlet communicating with an end of the first space side among both ends of the inner piping; A first outlet communicating with an end of the second space among both ends of the inner pipe; A second entranc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space; A second outlet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space and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entrance; A third entrance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space; And a third outlet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space and spaced apart from the third entrance.

상기 제1공간의 길이는 상기 제2공간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The length of the first space may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 space.

상기 제2입구는 상기 제1입구와 상기 격벽 중 상기 제1입구에 인접하고, 상기 제2출구는 상기 제1입구와 상기 격벽 중 상기 격벽에 인접할 수 있다.The second entrance may be adjacent to the first entrance of the first entrance and the partition, and the second exit may be adjacent to the partition of the first entrance and the partition.

상기 제3입구는 상기 격벽과 상기 제1출구 중 상기 제1출구에 인접하고, 상기 제3출구는 상기 격벽과 상기 제1출구 중 상기 격벽에 인접할 수 있다.The third entrance may be adjacent to the first exit of the partition and the first exit, and the third exit may be adjacent to the partition of the partition and the first exit.

상기 아우터 배관의 길이 방향에 대해, 상기 제2입구와 상기 제2출구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3입구와 상기 제3출구의 거리보다 멀 수 있다.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er pipe, a distance between the second inlet and the second outlet may be grea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third inlet and the third outle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은, 아우터 배관; 상기 아우터 배관의 내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이너 배관; 상기 아우터 배관 내에 배치되고 상기 이너 배관에 의해 관통되는 격벽; 상기 아우터 배관의 내면과 상기 이너 배관 외면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격벽의 일측에 위치한 증기분사 유로; 상기 아우터 배관의 내면과 상기 이너 배관 외면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격벽의 타측에 위치한 바이패스 유로; 상기 이너 배관을 상기 응축기와 연통시키는 제1연결 배관; 상기 제1연결 배관에서 분지되어 상기 증기분사 유로와 연통된 증기분사 입구배관; 상기 증기분사 입구배관에 설치된 증기분사 팽창밸브; 상기 증기분사 유로를 상기 압축기의 흡입부와 연통시키는 증기분사 출구배관; 상기 이너 배관을 상기 증발기와 연통시키는 제2연결 배관; 상기 증발기에서 기상냉매와 액상냉매를 분리하는 기액 분리부재; 상기 기액 분리부재와 상기 바이패스 유로를 연통시키는 바이패스 입구배관; 상기 바이패스 유로를 상기 압축기의 흡입부와 연통시키는 바이패스 출구배관; 및 상기 바이패스 입구배관 또는 바이패스 출구배관에 설치된 바이패스 개폐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piping; At least one inner pipe disposed inside the outer pipe; A partition wall disposed in the outer pipe and penetrated by the inner pipe; A steam injection channel formed between an inner surface of the outer pipe and an outer surface of the inner pipe and located on one side of the partition wall; A bypass channel formed between an inner surface of the outer pipe and an outer surface of the inner pipe and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partition wall; A first connecting pipe communicating the inner pipe with the condenser; A steam injection inlet pipe branched from the first connection pipe and communicating with the steam injection flow path; A steam injection expansion valve installed in the steam injection inlet pipe; A steam injection outlet pipe communicating the steam injection passage with the suction portion of the compressor; A second connecting pipe communicating the inner pipe with the evaporator; A gas-liquid separating member separating a gas phase refrigerant and a liquid refrigerant in the evaporator; A bypass inlet pipe communicating the gas-liquid separation member and the bypass channel; A bypass outlet pipe communicating the bypass channel with the suction part of the compressor; And a bypass opening/closing valve installed in the bypass inlet pipe or the bypass outlet pipe.

상기 바이패스 출구배관은, 냉매의 유동 방향에 대해 상기 압축기의 흡입부와 어큐뮬레이터의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The bypass outlet pipe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suction part of the compressor and the accumulator with respect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refrigerant.

냉매의 유동 방향에 대하여, 상기 증기분사 유로의 길이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With respect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refrigerant, the length of the steam injection passage may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bypass passage.

상기 기액 분리부재는,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바이패스 입구배관에 연결되는 연결 튜브; 및 상기 연결 튜브와 연결되고 상기 증발기의 리턴밴드를 구성하는 분리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The gas-liquid separating member, a connection tube formed elongated in one direction and connected to the bypass inlet pipe; And a separation tu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ube and constituting the return band of the evaporator.

상기 분리 튜브는, 상기 연결 튜브가 연결되고 상기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서 분지된 리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paration tube includes a connection portion to which the connection tube is connected and elongated in the one direction; And a return portion branched from the connection portion.

상기 연결 튜브는, 상기 바이패스 입구배관에 연결되는 대경부; 및 상기 연결부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연결부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소경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ng tube includes a large diameter portion connected to the bypass inlet pipe; And a small diameter part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art and having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connection part.

상기 압축기의 흡입부는, 상기 증기분사 출구배관이 연결되는 저압 흡입부; 및 상기 저압 흡입부와 이격되고 상기 바이패스 출구배관이 연결되는 중압 흡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ction portion of the compressor, the low pressure suction portion to which the steam injection outlet pipe is connected; And a medium pressure suction part spaced apart from the low pressure suction part and connected to the bypass outlet pipe.

상기 압축기의 주파수가 설정 주파수보다 크면 상기 바이패스 밸브를 오픈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frequency of the compressor is greater than the set frequency, a controller that opens the bypass valve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증발기의 증발온도를 측정하는 증발 온도센서; 및 상기 압축기의 주파수가 설정 주파수보다 크고 상기 증발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가 기설정된 설정온도 이하이면 상기 바이패스 밸브를 오픈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 evaporation temperature sensor measuring the evaporation temperature of the evaporator; And a controller that opens the bypass valve when the frequency of the compressor is greater than a set frequency and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evaporation temperature sensor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set set temperatur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너 배관을 통과하는 냉매는 증기분사 유로를 통과하는 냉매에 의해 1차적으로 냉각되고 바이패스 유로를 통과하는 냉매에 의해 2차적으로 냉각된다. 따라서, 과냉각 열교환기에 의해 냉매의 과냉도를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inner pipe is primarily cooled by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steam injection passage and secondly cooled by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bypass passage.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upercooling degree of the refrigerant can be effectively secured by the supercooling heat exchanger.

또한, 과냉각 열교환기의 아우터 배관 내의 공간이 격벽에 의해 구획되므로, 증기분사 유로의 냉매와 바이패스 유로의 냉매가 서로 섞이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pace in the outer pipe of the supercooling heat exchanger is partitioned by a partition wall,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efrigerant in the steam injection passage from being mixed with the refrigerant in the bypass passage.

또한, 냉매의 유동 방향에 대해 증기분사 유로의 길이가 바이패스 유로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므로, 바이패스 유로에 냉매가 유동되지 않는 냉방 운전시에도 이너 배관의 냉매가 충분히 냉각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length of the steam injection flow path is formed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bypass flow path with respect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refrigerant, the refrigerant in the inner pipe can be sufficiently cooled even in the cooling operation in which the refrigerant does not flow in the bypass flow path.

또한, 기액 분리부재에 의해 증발기의 기상 냉매가 분리되어 바이패스 유로로 유동되므로, 증발기 및 증발기 후단의 압손이 최소화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vapor phase refrigerant of the evaporator is separated by the gas-liquid separation member and flows into the bypass flow path, so that the pressure loss at the evaporator and the rear end of the evaporator can be minimized.

또한, 증기분사 유로에서 과열된 냉매는 압축기의 중압 흡입부로 분사될 수 있다. 이로써, 저압 흡입부로 흡입되는 냉매의 밀도와 압축실의 체적에 의해 제한되는 냉매 흡입량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고, 압축기의 주파수가 상승하는 경우에 압축기의 토출온도가 지나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frigerant overheated in the steam injection channel may be injected into the medium pressure suction part of the compressor.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the refrigerant suction amount limited by the density of the refrigerant sucked into the low-pressure suction unit and the volume of the compression chamber, and to prevent the compressor discharge temperature from excessively rising when the compressor frequency increases. .

또한, 압축기의 주파수가 설정 주파수보다 클 때 바이패스 밸브가 개방됨으로써, 기액 분리부재로 흐르는 냉매가 환류를 형성하여 기액 분리부재에서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가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고, 분리된 기상 냉매가 바이패스 유로로 유동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requency of the compressor is greater than the set frequency, the bypass valve is opened, so that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gas-liquid separation member forms reflux so that the gaseous refrigerant and the liquid refrigerant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gas-liquid separation member, and separated gaseous refrigerant. Can flow into the bypass channel.

또한, 과냉각 열교환기가 증기분사 유로와 바이패스 유로를 모두 포함함으로써, 압축기의 주파수를 높게 유지하여 증발기 및 증발기 후단의 압손이 최소화되는 동시에, 압축기의 높은 주파수를 유지하면서도 압축기의 토출온도가 지나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ercooling heat exchanger includes both the steam injection flow path and the bypass flow path, so that the pressure of the evaporator and the rear end of the evaporator is minimized by keeping the frequency of the compressor high, and the discharge temperature of the compressor is too high while maintaining the high frequency of the compressor Can be prevented.

또한, 과냉각 열교환기가 증기분사 유로와 바이패스 유로를 모두 포함함으로써, 각 유로를 포함하는 과냉각 열교환기가 따로 구비되는 경우에 비해 공기조화 시스템이 컴팩트해질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upercooled heat exchanger includes both the steam injection flow path and the bypass flow path, the air conditioning system can be compact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supercooled heat exchanger including each flow path is separately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의 난방 운전 시 냉매의 흐름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의 냉방 운전 시 냉매의 흐름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냉각 열교환기의 외관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냉각 열교환기의 내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액 분리부재의 외관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액 분리부재의 내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패스 팽창밸브의 제어 순서의 일 예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패스 팽창밸브의 제어 순서의 다른 예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the flow of refrigerant during the heating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the flow of refrigerant during the cooling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supercooling heat exc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the supercooling heat exc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gas-liquid separation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the gas-liquid separation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n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trol sequence of a bypass expansion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control sequence of the bypass expansion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block diagram of an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은, 압축기(10)와, 사방변(14)과, 실내 열교환기(15)와, 실외 열교환기(18)와, 실내 팽창밸브(16)와, 실외 팽창밸브(17)와, 과냉각 열교환기(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pressor 10, four sides 14, an indoor heat exchanger 15, an outdoor heat exchanger 18, an indoor expansion valve 16, An outdoor expansion valve 17 and a supercooling heat exchanger 40 may be included.

압축기(10)는 주파수가 조절 가능한 인버터 압축기로 구성될 수 있다. 압축기에는 압축된 냉매가 토출되는 토출부(11)와, 냉매가 압축기(10)로 흡입되는 흡입부(12)(13)가 형성될 수 있다.The compressor 10 may be composed of an inverter compressor with adjustable frequency. In the compressor, a discharge unit 11 through which compressed refrigerant is discharged, and a suction unit 12 and 13 through which refrigerant is sucked into the compressor 10 may be formed.

흡입부(12)(13)는, 저압의 압축실과 연통되는 저압 흡입부(12)와, 중압의 압축실과 연통되는 중압 흡입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저압 흡입부(12)는 흡입 배관(26)과 연결될 수 있고, 중압 흡입부(13)는 증기분사 출구배관(32)과 연결될 수 있다. 중압 흡입부(13)는 분사포트(injection port)로 명명될 수 있다.The suction units 12 and 13 may include a low pressure suction unit 12 in communication with a low pressure compression chamber and a medium pressure suction unit 13 in communication with a medium pressure compression chamber. The low pressure suction unit 12 may be connected to the suction pipe 26, and the medium pressure suction unit 13 may be connected to the steam injection outlet pipe 32. The medium pressure suction part 13 may be referred to as an injection port.

따라서 압축기(10)는 저압 흡입부(12)로 흡입되는 저온저압의 기상냉매를 압축하여 고온고압의 기상냉매를 토출부(11)를 통해 토출하고, 이러한 압축과정에서 저압 흡입부(12)로 흡입되는 냉매의 밀도와 압축실의 체적에 의해 제한되는 냉매 흡입량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증기분사 출구배관(32)은 중압 흡입부(13)로 기상 냉매를 분사할 수 있다.Therefore, the compressor 10 compresses the low-temperature and low-pressure gaseous refrigerant sucked into the low-pressure suction unit 12 to discharge the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gaseous refrigerant through the discharge unit 11, and in the compression process, the low-pressure suction unit 12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the refrigerant intake amount limited by the density of the refrigerant to be sucked and the volume of the compression chamber, the vapor injection outlet pipe 32 may inject gaseous refrigerant into the medium pressure suction part 13.

압축기(10)의 토출부(11)에는 토출배관(21)이 연결될 수 있고, 저압 흡입부(12)에는 흡입배관(26)이 연결될 수 있다. 토출 배관(21)은 압축기(10)의 토출부(11)에서 토출된 냉매를 사방변(14)으로 안내할 수 있고, 흡입 배관(26)은 사방변(14)을 통과한 냉매를 압축기(10)의 저압 흡입부(12)로 안내할 수 있다.A discharge pipe 21 may be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ion 11 of the compressor 10, and a suction pipe 26 may be connected to the low pressure suction portion 12. The discharge pipe 21 can guide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ion 11 of the compressor 10 to the four sides 14, and the suction pipe 26 compresses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four sides 14 It can be guided to the low pressure suction part 12 of 10).

토출배관(21)에는 압축기(10)의 토출온도를 감지하는 토출 온도센서(71)가 구비될 수 있다. The discharge pipe 21 may be provided with a discharge temperature sensor 71 for detecting the discharge temperature of the compressor 10.

흡입 배관(26)에는 액상 냉매가 압축기(10)로 흡입되어 압축기(10)의 압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어큐뮬레이터(27)가 설치될 수 있다. 어큐뮬레이터(27)로 유입된 냉매 중 액상 냉매는 어큐뮬레이터(27)의 내부에서 하측으로 가라앉고 상측에 위치한 기상 냉매만이 압축기(10)의 저압 흡입부(12)로 흡입될 수 있다.An accumulator 27 may be installed in the suction pipe 26 to prevent the liquid refrigerant from being sucked into the compressor 10 and causing pressure loss of the compressor 10. Among the refrigerants flowing into the accumulator 27, the liquid refrigerant sinks downward from the inside of the accumulator 27, and only the gaseous refrigerant located at the upper side can be sucked into the low pressure suction unit 12 of the compressor 10.

사방변(14)는 토출 배관(21) 및 흡입 배관(26) 중 어느 하나를 실내 열교환기(15)와 연통시키고, 다른 하나를 실외 열교환기(18)와 연통시킬 수 있다. 즉, 사방변(14)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냉방 운전과 난방 운전의 모드에 따라 냉매의 흐름을 바꾸도록 절환 조작될 수 있다.The four sides 14 may communicate one of the discharge pipe 21 and the suction pipe 26 with the indoor heat exchanger 15 and the other with the outdoor heat exchanger 18. That is, the four sides 14 may be switched to change the flow of the refrigerant according to the mode of cooling operation and heat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실내열교환기(15)는 실내측에 설치되며 냉방 운전에서는 저온저압 액체상태의 냉매를 기체상태로 증발시키는 증발기 역할을 하고, 난방 운전에서는 고온고압 기체상태의 냉매를 상온고압 액체상태로 응축시키는 응축기의 역할을 하여 냉매의 엔탈피 변화에 대응하여 주변 공기와 열교환할 수 있다.The indoor heat exchanger (15) is installed on the indoor side and serves as an evaporator for evaporating the low-temperature, low-pressure liquid-state refrigerant into a gaseous state in cooling operation, and a condenser for condensing the high-temperature, high-pressure gaseous refrigerant into normal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liquid state in heating operation. By acting as, it can exchange heat with the surrounding air in response to a change in the enthalpy of the refrigerant.

실내 열교환기(15)의 일측은 제1사방변 배관(22)에 의해 사방변(14)과 연결될 수 있고, 타측은 제1연결배관(23)에 의해 과냉각 열교환기(4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사방변 배관(22)은 사방변(14)에 의해 토출 배관(21) 또는 흡입 배관(26)과 선택적으로 연통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15 may be connected to the four sides 14 by the first four sides piping 22, the other side may be connected to the supercooling heat exchanger 40 by the first connecting pipe 23. . The first oblique piping 22 may be selectively communicated with the discharge piping 21 or the suction piping 26 by the four sides.

실외열교환기(18)는 실외측에 설치되며 난방 운전에서는 저온저압 액체상태의 냉매를 기체상태로 증발시키는 증발기 역할을 하고, 냉방 운전에서는 고온고압 기체상태의 냉매를 상온고압 액체상태로 응축시키는 응축기의 역할을 하여 냉매의 엔탈피 변화에 대응하여 주변 공기와 열교환할 수 있다.The outdoor heat exchanger (18) is installed on the outdoor side and serves as an evaporator for evaporating the low-temperature, low-pressure liquid-state refrigerant into a gaseous state in the heating operation, and a condenser for condensing the high-temperature, high-pressure gaseous refrigerant into the normal temperature and high-pressure liquid state in the cooling operation. By acting as, it can exchange heat with the surrounding air in response to a change in the enthalpy of the refrigerant.

실외 열교환기(18)의 일측은 제2사방변 배관(25)에 의해 사방변(14)에 연결될 수 있고, 타측은 제2연결배관(24)에 의해 과냉각 열교환기(4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사방변 배관(25)은 사방변(14)에 의해 토출 배관(21) 또는 흡입 배관(26)과 선택적으로 연통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outdoor heat exchanger 18 may be connected to the four sides 14 by the second quadrangular piping 25, and the other side may be connected to the supercooling heat exchanger 40 by the second connecting pipe 24. . The second oblique piping 25 may be selectively communicated with the discharge piping 21 or the suction piping 26 by the four sides.

실내 열교환기(15) 및 실외 열교환기(18) 중 어느 하나에는 적어도 하나의 기액 분리부재(60)가 구비될 수 있다. 기액 분리부재(60)는 다수개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At least one gas-liquid separation member 60 may be provided in any one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15 and the outdoor heat exchanger 18. The gas-liquid separation member 6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plurality.

이하에서는 기액 분리부재(60)가 실외 열교환기(18)에 구비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ase where the gas-liquid separation member 60 is provided in the outdoor heat exchanger 18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실외 열교환기(18)는 다수의 핀과, 상기 핀을 관통하는 다수의 헤어핀 튜브와, 일 헤어핀 튜브와 타 헤어핀 튜브를 연통시키는 다수의 리턴 밴드를 포함하는 핀튜브 열교환기일 수 있다. The outdoor heat exchanger 18 may be a fin tube heat exchanger including a plurality of fins, a plurality of hairpin tubes penetrating the fins, and a plurality of return bands communicating one hairpin tube with another hairpin tube.

이 경우, 기액 분리부재(60)는 상기 리턴 밴드의 역할을 수행하는 동시에, 난방 운전시 실외 열교환기(18)를 통과하는 2상 냉매를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로 분리할 수 있다. 기액 분리부재(60)에서 분리된 기상 냉매는 바이패스 입구배관(34)으로 유동될 수 있고, 액상 냉매는 실외 열교환기(18)에서 증발되어 흡입 배관(26)으로 유동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gas-liquid separation member 60 serves as the return band, and can separate the two-phas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outdoor heat exchanger 18 into a gaseous refrigerant and a liquid refrigerant during heating operation. The gaseous refrigerant separated from the gas-liquid separation member 60 may flow into the bypass inlet pipe 34, and the liquid refrigerant may evaporate from the outdoor heat exchanger 18 and flow into the suction pipe 26.

즉, 난방 운전시 증발기로 작용하는 실외 열교환기(18)의 냉매 중 액상 냉매는 기액 분리부재(80)에 의해 분리되어 바이패스 입구 배관(34)으로 유출될 수 있다. 이로써, 실외 열교환기(18), 제2사방변 연결배관(25) 및 흡입 배관(26)에서의 압손이 방지되고, 공기 조화 시스템의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That is, the liquid refrigerant among the refrigerants of the outdoor heat exchanger (18) acting as an evaporator during the heating operation may be separated by the gas-liquid separation member (80) and flow out into the bypass inlet pipe (34). Accordingly, pressure loss in the outdoor heat exchanger 18, the second quadrilateral connecting pipe 25, and the suction pipe 26 is prevented, and the performance of the air conditioning system can be improved.

기액 분리부재(6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이후 자세히 설명한다.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gas-liquid separation member 60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실외 열교환기(18), 제2연결배관(24) 및 제2사방변 배관(25) 중 적어도 하나에는 냉매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난방 운전시 실외 열교환기(18)의 증발온도를 측정하는 증발 온도센서(72)는 제2연결배관(24)에서 실외 열교환기(18)에 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outdoor heat exchanger 18, the second connection pipe 24 and the second quadrangular pipe 25 may be provided with a temperature sensor for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For example, an evaporation temperature sensor 72 that measures the evaporation temperature of the outdoor heat exchanger 18 during heating operation may be installed adjacent to the outdoor heat exchanger 18 in the second connection pipe 24.

실내 팽창밸브(16)는 제1연결배관(23)에 설치되어 실내 열교환기(15)와 과냉각 열교환기(4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실내 팽창밸브(16)는 전자팽창밸브(EEV: Electroninc Expansion Valve)로 구성될 수 있다.The indoor expansion valve 16 is installed in the first connection pipe 23 and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indoor heat exchanger 15 and the supercooled heat exchanger 40. The indoor expansion valve 16 may be configured with an electronic expansion valve (EEV).

실내 팽창밸브(16)는 실내측에 설치되며 냉방 운전 시 실외 열교환기(18)에서 응축되어 오는 상온고압 액체상태의 냉매를 저온저압으로서 액체성분과 기체성분이 혼합된 2상 냉매로 팽창시켜 감압할 수 있다. 실내 팽창밸브(16)는 냉방 운전 시 냉매가 팽창되는 개도로 제어되며, 난방 운전 시에는 최대로 개방되어 압력 손실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The indoor expansion valve (16) is installed on the indoor side and expands the refrigerant in the room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liquid state, which is condensed in the outdoor heat exchanger (18) during cooling operation, into a two-phase refrigerant that is a low-temperature and low-pressure mixture of liquid and gas components. can do. The indoor expansion valve 16 is controlled to the opening degree at which the refrigerant expands during cooling operation, and is opened to the maximum during heating operation to prevent pressure loss.

실외 팽창밸브(17)는 제2연결배관(24)에 설치되어 실외 열교환기(18)와 과냉각 열교환기(4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실외 팽창밸브(17)는 전자팽창밸브(EEV)로 구성될 수 있다.The outdoor expansion valve 17 is installed in the second connection pipe 24 and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outdoor heat exchanger 18 and the supercooled heat exchanger 40. The outdoor expansion valve 17 may be configured as an electronic expansion valve (EEV).

실외 팽창밸브(17)는 실외측에 설치되며 난방 운전 시 실내 열교환기(15)에서 응축되어 오는 상온고압 액체상태의 냉매를 저온저압으로서 액체성분과 기체성분이 혼합된 2상 냉매로 팽창시켜 감압할 수 있다. 실외 팽창밸브(17)는 난방 운전 시 냉매가 팽창되는 개도로 제어되며, 냉방 운전 시에는 최대로 개방되어 압력 손실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The outdoor expansion valve (17) is installed on the outdoor side and expands the refrigerant in the room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liquid state condensed in the indoor heat exchanger (15) during heating operation to low temperature and low pressure to expand it into a two-phase refrigerant mixed with liquid components and gas components to reduce pressure. can do. The outdoor expansion valve (17) is controlled by the opening degree of refrigerant expansion during heating operation, and is opened to the maximum during cooling operation to prevent pressure loss.

과냉각 열교환기(40)는 다중관 열교환기일 수 있다. 과냉각 열교환기(40)는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배관(41)과, 상기 아우터 배관(41)의 내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이너 배관(42)과, 아우터 배관(41)의 내부에 배치되고 이너 배관(42)에 의해 관통되는 격벽(43)을 포함할 수 있다.The supercooled heat exchanger 40 may be a multi-tube heat exchanger. The supercooling heat exchanger 40 includes an outer pipe 41 that forms an exterior, at least one inner pipe 42 disposed inside the outer pipe 41, and an inner portion disposed inside the outer pipe 41. A partition wall 43 penetrated by the pipe 42 may be included.

과냉각 열교환기(40)는 이너 배관(42)을 통해 유동되는 냉매를, 아우터 배관(41)과 이너 배관(42) 사이로 흐르는 저온의 냉매와 열교환시킴으로써 과냉시킬 수 있다.The supercooling heat exchanger 40 may supercool the refrigerant flowing through the inner pipe 42 by exchanging heat with a low-temperature refrigerant flowing between the outer pipe 41 and the inner pipe 42.

좀 더 상세히, 과냉각 열교환기(40)에는 제1입구(51), 제1출구(52), 제2입구(53), 제2출구(54), 제3입구(55), 제3출구(56)가 형성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supercooling heat exchanger 40 includes a first inlet 51, a first outlet 52, a second inlet 53, a second outlet 54, a third inlet 55, and a third outlet ( 56) may be formed.

제1입구(51)에는 제1연결배관(23)이 연결될 수 있다. 제1입구(51)는 이너 배관(42)의 일측과 연통될 수 있다. 제1출구(52)에는 제2연결배관(24)이 연결될 수 있다. 제1출구(52)는 이너 배관(42)의 타측과 연통될 수 있다. A first connection pipe 23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entrance 51. The first inlet 51 may communicate with one side of the inner pipe 42. The second connection pipe 24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outlet 52. The first outlet 52 may communicate with the other side of the inner pipe 42.

즉, 난방운전을 기준으로 제1연결배관(23)에서 제1입구(51)로 유입된 냉매는 이너 배관(42)을 통과하여 제1출구(52)를 통해 제2연결배관(24)으로 유동될 수 있다.That is,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first inlet 51 from the first connecting pipe 23 based on the heating operation passes through the inner pipe 42 to the second connecting pipe 24 through the first outlet 52. Can be flowed.

제2입구(53)에는 제1연결배관(23)에서 분지된 증기분사 입구배관(31)이 연결될 수 있다. 제2입구(53)는 아우터 배관(41) 내부의 증기분사 유로(44)의 일측과 연통될 수 있다. 제2출구(54)에는 압축기(10)의 중압 흡입부(13)와 연결된 증기분사 출구배관(32)이 연결될 수 있다. 제2출구(54)는 증기분사 유로(44)의 타측과 연통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증기분사 유로(44)는 격벽(43)의 일측에 위치하며, 아우터 배관(41)과 이너 배관(4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A steam injection inlet pipe 31 branched from the first connection pipe 23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inlet 53. The second inlet 53 may communicate with one side of the steam injection passage 44 inside the outer pipe 41. A steam injection outlet pipe 32 connected to the medium pressure suction part 13 of the compressor 1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outlet 54. The second outlet 54 may communicate with the other side of the steam injection flow passage 44. In this case, the steam injection flow path 44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partition wall 43 and may mean a space formed between the outer pipe 41 and the inner pipe 42.

또한, 증기분사 입구배관(31)에는 냉매를 팽창 및 냉각시키는 증기분사 팽창밸브(33)가 설치될 수 있다. 증기분사 팽창밸브(33)는 전자팽창밸브(EEV)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steam injection expansion valve 33 that expands and cools the refrigerant may be installed in the steam injection inlet pipe 31. The steam injection expansion valve 33 may be configured as an electronic expansion valve (EEV).

즉, 난방운전을 기준으로 제1연결배관(23)의 냉매 중 일부가 증기분사 입구배관(31)으로 유입되고, 증기분사 팽창밸브(33)를 통과하며 팽창 및 냉각될 수 있다. 이후, 상기 냉매는 제2입구(53)로 유입되고, 증기분사 유로(44)을 통과하며 이너 배관(42) 내를 통과하는 냉매를 냉각시킬 수 있다. 이후, 증기분사 유로(44)의 냉매는 제2출구(54)로 유출될 수 있고, 증기분사 출구배관(32)에 의해 안내되어 압축기(10)의 중압 흡입부(13) 내로 분사될 수 있다.That is, some of the refrigerant in the first connection pipe 23 is introduced into the steam injection inlet pipe 31 based on the heating operation, and may be expanded and cooled while passing through the steam injection expansion valve 33. Thereafter, the refrigerant flows into the second inlet 53 and cools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steam injection passage 44 and passing through the inner pipe 42. Subsequently, the refrigerant in the steam injection flow passage 44 may be discharged to the second outlet 54 and guided by the steam injection outlet pipe 32 to be injected into the medium pressure suction part 13 of the compressor 10. .

제3입구(55)에는 실외 열교환기(18)의 기액 분리부재(60)에 연결된 바이패스 입구배관(34)이 연결될 수 있다. 제3입구(55)는 아우터 배관(41) 내부의 바이패스 유로(45)의 일측과 연통될 수 있다. 제3출구(56)에는 흡입 배관(26)과 연결된 바이패스 출구배관(35)이 연결될 수 있다. 제3출구(56)는 바이패스 유로(45)의 타측과 연통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바이패스 유로(45)는 격벽(43)의 타측에 위치하며, 아우터 배관(41)과 이너 배관(4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A bypass inlet pipe 34 connected to the gas-liquid separation member 60 of the outdoor heat exchanger 18 may be connected to the third inlet 55. The third inlet 55 may communicate with one side of the bypass flow path 45 inside the outer pipe 41. A bypass outlet pipe 35 connected to the suction pipe 26 may be connected to the third outlet 56. The third outlet 56 may communicate with the other side of the bypass flow passage 45. In this case, the bypass flow passage 45 is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partition wall 43 and may mean a space formed between the outer pipe 41 and the inner pipe 42.

또한, 바이패스 입구배관(34) 또는 바이패스 출구배관(35)에는 냉매의 유동을 단속하는 바이패스 밸브(36)가 설치될 수 있다. 바이패스 밸브(36)는 냉매의 유량을 조절하거나, 개폐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패스 밸브(36)가 바이패스 출구배관(35)에 설치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In addition, a bypass valve 36 that regulates the flow of the refrigerant may be installed in the bypass inlet pipe 34 or the bypass outlet pipe 35. The bypass valve 36 may control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or be opened or closed. Hereinafter, a case where the bypass valve 36 is installed in the bypass outlet pipe 35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1.

즉, 난방운전을 기준으로 실외 열교환기(18)의 기액 분리부재(60)에서 분리된 기상 냉매가 바이패스 입구배관(34)을 통해 제3입구(55)로 유입되고, 바이패스 유로(45)를 통과하며 이너 배관(42) 내를 통과하는 냉매를 냉각시킬 수 있다. 이후, 바이패스 유로(45)의 냉매는 제3출구(56)로 유출될 수 있고, 바이패스 출구배관(35)에 의해 안내되어 흡입 배관(26)으로 유동될 수 있고, 압축기(10)의 저압 흡입부(12)로 흡입될 수 있다.That is, based on the heating operation, gaseous refrigerant separated from the gas-liquid separation member 60 of the outdoor heat exchanger 18 flows into the third inlet 55 through the bypass inlet pipe 34, and the bypass flow passage 45 ) To cool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inner pipe 42. Subsequently, the refrigerant in the bypass flow passage 45 may be discharged to the third outlet 56, guided by the bypass outlet pipe 35, and flow to the suction pipe 26, and the compressor 10 It can be sucked into the low pressure suction unit 12.

이 경우, 바이패스 출구배관(35)과 흡입 배관(26)의 연결부는 압축기(10)의 저압 흡입부(12)와 인접한 부분임이 바람직하다. 즉, 바이패스 출구배관(35)은 흡입 배관(35) 중에서 어큐뮬레이터(27)와 압축기(10)의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사방변(14)을 통과하여 흡입 배관(26)으로 유동되는 냉매 유동의 압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bypass outlet pipe 35 and the suction pipe 26 is a portion adjacent to the low pressure suction portion 12 of the compressor 10. That is, the bypass outlet pipe 35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accumulator 27 and the compressor 10 among the suction pipes 35. As a result, there is an advantage of minimizing the pressure loss of the refrigerant flow flowing through the four sides 14 to the suction pipe 26.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의 난방 운전 시 냉매의 흐름이 도시된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the flow of refrigerant during the heating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난방 운전시에 공기조화 시스템을 순환하는 냉매의 유동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low of the refrigerant circulating in the air conditioning system during the heating ope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난방 운전 시, 사방변(14)은 압축기(10)의 토출부(11)를 실내 열교환기(15)와 연통시킬 수 있고, 압축기(10)의 저압 흡입부(12)를 실외 열교환기(18)와 연통시킬 수 있다. 따라서, 난방 운전시 실내 열교환기(15)는 응축기로 명명될 수 있고, 실외 열교환기(18)는 증발기로 명명될 수 있다.During the heating operation, the four sides 14 may communicate the discharge part 11 of the compressor 10 with the indoor heat exchanger 15, and the low pressure suction part 12 of the compressor 10 may be used as an outdoor heat exchanger 18. ). Therefore, during the heating operation, the indoor heat exchanger 15 may be referred to as a condenser, and the outdoor heat exchanger 18 may be referred to as an evaporator.

압축기(10)에서 압축되어 토출부로 토출된 냉매는 토출 배관(21), 사방변(14), 제1사방변 연결배관(22)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실내 열교환기(15)로 유동될 수 있다. 냉매는 실내 열교환기(15)에서 주변 공기을 가열하며 응축될 수 있다. 이로써 실내의 난방이 이뤄질 수 있다.The refrigerant compressed by the compressor 10 and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ion may sequentially pass through the discharge pipe 21, the four sides 14, and the first four sides connecting pipe 22 to flow to the indoor heat exchanger 15. . The refrigerant can be condensed while heating the ambient air in the indoor heat exchanger (15). Thus, indoor heating can be achieved.

실내 열교환기(15)에서 응축된 냉매는 제1연결배관(23)을 통해 과냉각 열교환기(40)로 향할 수 있다. 이 경우, 실내 팽창팰브(16)는 풀 오픈 상태이므로 냉매는 실내 팽창밸브(16)를 압력 손실없이 통과할 수 있다.The refrigerant condensed in the indoor heat exchanger 15 may be directed to the supercooling heat exchanger 40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pipe 23. In this case, since the indoor expansion valve 16 is in a fully open state, the refrigerant can pass through the indoor expansion valve 16 without pressure loss.

제1연결배관(23)의 냉매 중 일부는 과냉각 열교환기(40)의 제1입구(51)로 유입될 수 있다. 제1연결배관(23)의 냉매 중 다른 일부는 증기분사 입구배관(31)으로 유동되고 증기분사 팽창밸브(33)에서 팽창 및 냉각된 후 과냉각 열교환기(40)의 제2입구(53)로 유입될 수 있다. Some of the refrigerant in the first connection pipe 23 may be introduced into the first inlet 51 of the supercooling heat exchanger 40. The other part of the refrigerant in the first connection pipe 23 flows into the steam injection inlet pipe 31 and expands and cools in the steam injection expansion valve 33 to the second inlet 53 of the supercooling heat exchanger 40 Can be introduced.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과냉각 열교환기(40)의 제1입구(51)로 유입된 냉매유동을 메인 냉매유동으로 명명하고, 과냉각 열교환기(40)의 제2입구(53)로 유입된 냉매유동을 증기분사 냉매유동이라 명명한다. 또한, 과냉각 열교환기(40)의 제3입구(55)로 유입된 냉매유동을 바이패스 냉매유동으로 명명한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refrigerant flow flowing into the first inlet 51 of the supercooling heat exchanger 40 is referred to as a main refrigerant flow, and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second inlet 53 of the supercooling heat exchanger 40. The flow is called the steam injection refrigerant flow. In addition, the refrigerant flow flowing into the third inlet 55 of the supercooling heat exchanger 40 is referred to as a bypass refrigerant flow.

제1입구(51)로 유입된 상기 메인 냉매유동은 이너 배관(42)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증기분사 유로(44)를 통과하는 증기분사 냉매유동과, 바이패스 유로(45)를 통과하는 바이패스 냉매유동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The main refrigerant flow flowing into the first inlet 51 is a vapor injection refrigerant flow passing through the steam injection flow path 44 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inner pipe 42, and a bypass passing through the bypass flow path 45 It can be cooled by refrigerant flow.

좀 더 상세히, 상기 메인 냉매유동은 격벽(43)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이너 배관부(42A)(도 5 참조)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증기분사 냉매유동에 의해 1차적으로 냉각될 수 있고, 격벽(43)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이너 배관부(42B)(도 5 참조)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바이패스 냉매유동에 의해 2차적으로 냉각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main refrigerant flow may be primarily cooled by the vapor injection refrigerant flow in the process of passing the first inner piping portion 42A (see FIG. 5) located on one side of the partition wall 43, , 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second inner piping portion 42B (see FIG. 5)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partition wall 43, it may be secondarily cooled by the bypass refrigerant flow.

상기 메인 냉매유동은 이너 배관(42)을 통과하며 과냉된 이후 제1출구(52)와 연결된 제2연결배관(24)으로 유동될 수 있다.The main refrigerant flow may pass through the inner pipe 42 and be supercooled and then flow to the second connection pipe 24 connected to the first outlet 52.

한편, 제2입구(53)로 유입된 상기 증기분사 냉매유동은 증기분사 팽창밸브(33)를 통과하며 팽창 및 냉각되었으므로, 상기 메인 냉매유동보다 저온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증기분사 냉매유동은 증기분사 유로(44)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과열되고, 제1이너 배관부(42A)를 통과하는 상기 메인 냉매유동을 냉각시킬 수 있다.Meanwhile, since the steam injection refrigerant flow flowing into the second inlet 53 is expanded and cooled while passing through the steam injection expansion valve 33, it may be lower than the main refrigerant flow. Therefore, the steam injection refrigerant flow is superheated 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steam injection flow path 44 and can cool the main refrigerant flow passing through the first inner piping portion 42A.

증기분사 유로(44)를 통과하는 증기분사 냉매유동의 방향은, 이너 배관(42)을 통과하는 메인 냉매유동의 방향과 서로 나란할 수 있다.The direction of the steam injection refrigerant flow through the steam injection flow passage 44 may be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the main refrigerant flow passing through the inner pipe 42.

상기 증기분사 냉매유동은 증기분사 유로(44)를 통과하며 과열된 이후 제2출구(54)와 연결된 증기분사 출구배관(32)로 유동될 수 있고, 압축기(10)의 중압 흡입부(13)에 분사될 수 있다. 이로써, 저압 흡입부(12)로 흡입되는 냉매의 밀도와 압축실의 체적에 의해 제한되는 냉매 흡입량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또한, 압축기(10)의 주파수가 상승하는 경우에 압축기(10)의 토출온도가 지나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steam injection refrigerant flow passes through the steam injection flow passage 44 and can be flowed to the steam injection outlet pipe 32 connected to the second outlet 54 after being overheated, and the medium pressure suction part 13 of the compressor 10 Can be sprayed on.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the refrigerant suction amount limited by the density of the refrigerant sucked into the low pressure suction unit 12 and the volume of the compression chamber. Further, when the frequency of the compressor 10 rise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ischarge temperature of the compressor 10 from excessively rising.

한편, 제2연결배관(24)으로 유동된 메인 냉매유동은 실외 팽창밸브(17)를 통과하며 팽창 및 냉각될 수 있고, 실외 열교환기(18)로 유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실외 열교환기(18)로 유입되는 냉매는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가 혼합된 2상 냉매일 수 있다.Meanwhile, the main refrigerant flow flowing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pipe 24 may be expanded and cooled while passing through the outdoor expansion valve 17 and may be introduced into the outdoor heat exchanger 18. In this case,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outdoor heat exchanger 18 may be a two-phase refrigerant in which gaseous refrigerant and liquid refrigerant are mixed.

실외 열교환기(18)로 유입된 냉매는 실외 열교환기(18)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기액 분리부재(60)에 의해 액상 냉매와 기상 냉매로 분리될 수 있다. 기액 분리부재(60)에 의해 분리된 기상 냉매는 바이패스 입구배관(34)을 통해 과냉각 열교환기(40)의 제3입구(55)로 유입될 수 있고, 액상 냉매는 실외 열교환기(18)를 계속해서 통과하며 증발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과냉각 열교환기(40)의 제3입구(55)로 유입된 냉매 유동은 바이패스 냉매 유동으로 명명한다. 이 경우, 바이패스 밸브(36)는 오픈된 상태일 수 있다. The refrigerant introduced into the outdoor heat exchanger 18 may be separated into a liquid refrigerant and a gaseous refrigerant by the gas-liquid separation member 60 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outdoor heat exchanger 18. The gaseous refrigerant separated by the gas-liquid separation member 60 may be introduced into the third inlet 55 of the supercooling heat exchanger 40 through the bypass inlet pipe 34, and the liquid refrigerant may be an outdoor heat exchanger 18. Can continue to pass through and evaporate. As described above, the refrigerant flow flowing into the third inlet 55 of the supercooling heat exchanger 40 is referred to as a bypass refrigerant flow. In this case, the bypass valve 36 may be open.

증발기 역할을 하는 실외 열교환기(18)에서 기상 냉매를 분리하고 액상 냉매만을 유동시킴으로써, 실외 열교환기(18)에서의 압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냉매의 유동방향에 대해 실외 열교환기(18)의 후단에 위치하는 제2사방변 연결배관(25) 및 흡입 배관(26)에서의 압손도 최소화될 수 있다.By separating the gaseous refrigerant from the outdoor heat exchanger 18 serving as an evaporator and flowing only the liquid refrigerant, there is an advantage that pressure loss in the outdoor heat exchanger 18 can be minimized. In addition, pressure loss in the second quadrangular connecting pipe 25 and the suction pipe 26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outdoor heat exchanger 18 with respect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refrigerant may also be minimized.

제3입구(55)로 유입된 상기 바이패스 냉매유동은 실외 팽창밸브(17)를 통과하며 팽창 및 냉각되었으므로, 상기 메인 냉매유동보다 저온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이패스 냉매유동은 바이패스 유로(45)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과열되고, 제2이너 배관부(42B)(도 5 참조)를 통과하는 상기 메인 냉매유동을 냉각시킬 수 있다.Since the bypass refrigerant flow introduced into the third inlet 55 is expanded and cooled while passing through the outdoor expansion valve 17, it may be colder than the main refrigerant flow. Therefore, the bypass refrigerant flow is superheated 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bypass flow passage 45, and the main refrigerant flow passing through the second inner piping portion 42B (see FIG. 5) can be cooled.

바이패스 유로(45)를 통과하는 바이패스 냉매유동의 방향은, 이너 배관(42)을 통과하는 메인 냉매유동의 방향과 반대일 수 있다.The direction of the bypass refrigerant flow through the bypass flow passage 45 may be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the main refrigerant flow through the inner pipe 42.

상기 바이패스 냉매유동은 바이패스 유로(45)를 통과하며 과열된 이후 제3출구(56)와 연결된 바이패스 출구배관(35)로 유동될 수 있고, 압축기(10)의 저압 흡입부(12)로 흡입될 수 있다. The bypass refrigerant flow may pass through the bypass flow passage 45 and after being overheated, may flow to the bypass outlet pipe 35 connected to the third outlet 56, and the low pressure suction part 12 of the compressor 10 Can be inhaled with.

한편, 실외 열교환기(18)에서 증발된 냉매는 제2사방변 연결배관(25) 및 사방변(14)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흡입 배관(26)으로 유동될 수 있고, 어큐뮬레이터(27)에서 액냉매와 기상냉매로 분리된 후, 상기 기상 냉매가 압축기(10)의 저압 흡입부(12)로 흡입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efrigerant evaporated in the outdoor heat exchanger (18) may flow through the second quadrilateral connecting pipe (25) and the quadrilateral (14) sequentially to the suction pipe (26), and the liquid in the accumulator (27). After being separated into a refrigerant and a gaseous refrigerant, the gaseous refrigerant may be sucked into the low pressure suction unit 12 of the compressor 10.

이후, 압축기(10)는 저압 흡입부(12)와 중압 흡입부(13)로 흡입된 냉매를 압축하여 토출부(11)로 토출할 수 있고, 토출된 냉매는 앞서 설명한 과정을 반복하며 공기조화 시스템을 순환할 수 있다.Thereafter, the compressor 10 may compress the refrigerant sucked into the low pressure suction part 12 and the medium pressure suction part 13 and discharge the refrigerant to the discharge part 11, and the discharged refrigerant repeats the above-described process to perform air conditioning. The system can be cycled.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의 냉방 운전 시 냉매의 흐름이 도시된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the flow of refrigerant during the cooling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3를 참조하여 냉방 운전시에 공기조화 시스템을 순환하는 냉매의 유동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low of the refrigerant circulating in the air conditioning system during cooling ope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냉방 운전 시, 사방변(14)은 압축기(10)의 토출부(11)를 실외 열교환기(18)와 연통시킬 수 있고, 압축기(10)의 저압 흡입부(12)를 실내 열교환기(15)와 연통시킬 수 있다. 따라서, 냉방 운전시 실내 열교환기(15)는 증발기로 명명될 수 있고, 실외 열교환기(18)는 응축기로 명명될 수 있다.During the cooling operation, the four sides 14 can communicate the discharge portion 11 of the compressor 10 with the outdoor heat exchanger 18, and the low pressure suction portion 12 of the compressor 10 is an indoor heat exchanger 15 ). Therefore, the indoor heat exchanger 15 may be referred to as an evaporator during cooling operation, and the outdoor heat exchanger 18 may be referred to as a condenser.

압축기(10)에서 압축되어 토출부로 토출된 냉매는 토출 배관(21), 사방변(14), 제2사방변 연결배관(25)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실외 열교환기(18)로 유동될 수 있다. 냉매는 실외 열교환기(18)에서 주변 공기을 가열하며 응축될 수 있다.The refrigerant compressed by the compressor 10 and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art may sequentially pass through the discharge pipe 21, the four sides 14, and the second four sides connecting pipe 25 to flow to the outdoor heat exchanger 18. . The refrigerant may be condensed while heating the ambient air in the outdoor heat exchanger (18).

냉방 운전시, 바이패스 밸브(36)는 클로즈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실외 열교환기(18)로 유입된 냉매는 기상 냉매이므로 기액 분리가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실외 열교환기(18)에서 응축된 냉매는 바이패스 입구배관(34)을 통해 과냉각 열교환기(40)로 유동되지 않을 수 있다.In the cooling operation, the bypass valve 36 may be closed. In addition, since the refrigerant introduced into the outdoor heat exchanger 18 is a gaseous refrigerant, gas-liquid separation may not occur. Therefore, the refrigerant condensed in the outdoor heat exchanger 18 may not flow to the supercooling heat exchanger 40 through the bypass inlet pipe 34.

실외 열교환기(18)에서 응축된 냉매는 제2연결배관(24)을 통해 과냉각 열교환기(40)로 향할 수 있다. 이 경우, 실외 팽창팰브(17)는 풀 오픈 상태이므로 냉매는 실외 팽창밸브(17)를 압력 손실없이 통과할 수 있다.The refrigerant condensed in the outdoor heat exchanger 18 may be directed to the supercooling heat exchanger 40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pipe 24. In this case, since the outdoor expansion valve 17 is fully open, the refrigerant can pass through the outdoor expansion valve 17 without loss of pressure.

제2연결배관(24)의 냉매는 과냉각 열교환기(40)의 제1출구(52)로 유입될 수 있다. 제1출구(52)로 유입된 냉매는 이너 배관(42)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증기분사 유로(44)를 통과하는 냉매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The refrigerant in the second connection pipe 24 may be introduced into the first outlet 52 of the supercooling heat exchanger 40.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first outlet 52 may be cooled by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steam injection flow path 44 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inner pipe 42.

이너 배관(42)을 통과하며 냉각된 냉매는 제1입구(51)와 연결된 제1연결배관(23)으로 유동될 수 있다.The refrigerant cooled through the inner pipe 42 may flow to the first connection pipe 23 connected to the first inlet 51.

제1연결배관(23)의 냉매 중 일부는 실내 팽창밸브(16)를 통과하며 팽창 및 냉각되고 실내 열교환기(15)로 유동될 수 있다. 제1연결배관(23)의 냉매 중 다른 일부는 증기분사 입구배관(31)으로 유동되고 증기분사 팽창밸브(33)에서 팽창 및 냉각된 후 과냉각 열교환기(40)의 제2입구(53)로 유입될 수 있다. Some of the refrigerant in the first connection pipe 23 passes through the indoor expansion valve 16, expands and cools, and may flow to the indoor heat exchanger 15. The other part of the refrigerant in the first connection pipe 23 flows into the steam injection inlet pipe 31 and expands and cools in the steam injection expansion valve 33 to the second inlet 53 of the supercooling heat exchanger 40 Can be introduced.

제2입구(53)로 유입된 냉매는 증기분사 유로(44)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과열되고, 이너 배관(42)을 통과하는 냉매를 냉각시킬 수 있다.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second inlet 53 is overheated 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steam injection flow path 44 and can cool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inner pipe 42.

증기분사 유로(44)를 통과하는 냉매유동의 방향은, 이너 배관(42)을 통과하는 냉매유동의 방향과 반대일 수 있다.The direction of the refrigerant flow through the steam injection flow passage 44 may be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the refrigerant flow through the inner pipe 42.

증기분사 유로(44)를 통과하며 과열된 냉매는 제2출구(54)와 연결된 증기분사 출구배관(32)로 유동될 수 있고, 압축기(10)의 중압 흡입부(13)에 분사될 수 있다. 이로써, 저압 흡입부(12)로 흡입되는 냉매의 밀도와 압축실의 체적에 의해 제한되는 냉매 흡입량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refrigerant that has been superhea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steam injection flow passage 44 may be flowed into the steam injection outlet pipe 32 connected to the second outlet 54, and may be injected into the medium pressure suction part 13 of the compressor 10. . As a result, there is an advantage of overcoming the limitation of the refrigerant suction amount limited by the density of the refrigerant sucked into the low-pressure suction unit 12 and the volume of the compression chamber.

한편, 실내 열교환기(15)로 유동된 냉매는 실내 열교환기 주변의 공기를 냉각시키며 증발될 수 있고, 이로써 실내의 냉방이 이뤄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indoor heat exchanger 15 can be evaporated while cooling the air around the indoor heat exchanger, whereby indoor cooling can be achieved.

실내 열교환기(15)에서 증발된 냉매는 제1사방변 연결배관(22) 및 사방변(14)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흡입 배관(26)으로 유동될 수 있고, 어큐뮬레이터(27)에서 액냉매와 기상냉매로 분리된 후, 상기 기상 냉매가 압축기(10)의 저압 흡입부(12)로 흡입될 수 있다.The refrigerant evaporated in the indoor heat exchanger (15) can be sequentially passed through the first four sides connecting pipe (22) and the four sides (14) to flow into the suction pipe (26), and the liquid refrigerant in the accumulator (27). After being separated into a gaseous refrigerant, the gaseous refrigerant may be sucked into the low pressure suction part 12 of the compressor 10.

이후, 압축기(10)는 저압 흡입부(12)와 중압 흡입부(13)로 흡입된 냉매를 압축하여 토출부(11)로 토출할 수 있고, 토출된 냉매는 앞서 설명한 과정을 반복하며 공기조화 시스템을 순환할 수 있다.Thereafter, the compressor 10 may compress the refrigerant sucked into the low pressure suction part 12 and the medium pressure suction part 13 and discharge the refrigerant to the discharge part 11, and the discharged refrigerant repeats the above-described process to perform air conditioning. The system can be cycled.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냉각 열교환기의 외관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냉각 열교환기의 내부가 도시된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supercooled heat exc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a supercooled heat exc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과냉각 열교환기(40)는 아우터 배관(41)과, 아우터 배관(41)의 내부에 배치되고 아우터 배관(41)의 내부를 제1공간(S1)과 제2공간(S2)으로 구획하는 격벽(43)과, 아우터 배관(41)의 내부에 배치되며 격벽(43)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너 배관(42)을 포함할 수 있다.The supercooling heat exchanger 40 has an outer pipe 41 and a partition wall disposed inside the outer pipe 41 and partitioning the inner portion of the outer pipe 41 into a first space S1 and a second space S2 ( 43) and at least one inner pipe 42 disposed inside the outer pipe 41 and penetrating the partition wall 43.

아우터 배관(41)은 과냉각 열교환기(4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The outer pipe 41 may form the appearance of the supercooling heat exchanger 40.

일례로, 아우터 배관(41)은 2개의 부재가 체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2개의 부재 중 어느 하나의 일측은 폐쇄되어 격벽(43)을 구성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one example, the outer pipe 41 may be formed by two members fastened. In this case, one side of either of the two members may be closed to constitute the partition wall 43.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아우터 배관(41)의 내부 공간은 격벽(43)에 의해 제1공간(S1)과 제2공간(S2)으로 구획될 수 있다. 제1공간(S1)은 증기분사 유로(44)를 포함할 수 있고, 제2공간(S2)은 바이패스 유로(45)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ner space of the outer pipe 41 may be divided into a first space S1 and a second space S2 by the partition wall 43. The first space S1 may include the steam injection flow passage 44, and the second space S2 may include the bypass flow passage 45.

제1공간(S1)의 길이는 제2공간(S2)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즉, 냉매의 유동 방향에 대한 증기분사 유로(44)의 길이는, 바이패스 유로(45)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따라서, 바이패스 유로(45)로 냉매가 유동되지 않는 냉방 운전 시에도 증기분사 유로(44)를 통과하는 냉매에 의해 이너 배관(42)을 통과하는 메인 냉매유동이 충분히 냉각될 수 있다.The length of the first space S1 may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 space S2. That is, the length of the vapor injection passage 44 with respect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refrigerant may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bypass passage 45. Therefore, even in the cooling operation in which the refrigerant does not flow through the bypass flow passage 45, the main refrigerant flow through the inner pipe 42 may be sufficiently cooled by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steam injection flow passage 44.

아우터 배관(41)에는 제1입구(51), 제1출구(52), 제2입구(53), 제2출구(54), 제3입구(55) 및 제3출구(56)가 형성될 수 있다.A first inlet 51, a first outlet 52, a second inlet 53, a second outlet 54, a third inlet 55 and a third outlet 56 are formed in the outer pipe 41. Can.

제1입구(51)는 이너 배관(42)의 양 단부 중 제1공간(S1)측의 단부와 연통될 수 있고, 제1출구(52)는 이너 배관(42)의 양 단부 중 제2공간(S2)측의 단부와 연통될 수 있다.The first inlet 51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end of the first space S1 side of both ends of the inner pipe 42, and the first outlet 52 is the second space of both ends of the inner pipe 42 It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end of the (S2) side.

제1입구(51)에는 제1연결배관(23)이 연결되는 제1입구 커넥터(51A)가 구비될 수 있고, 제1출구(52)에는 제2연결배관(24)이 연결되는 제1출구 커넥터(52A)가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inlet 51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inlet connector 51A to which the first connecting pipe 23 is connected, and a first outlet in which the second connecting pipe 24 is connected to the first outlet 52. A connector 52A can be provided.

제2입구(53) 및 제2출구(54)는 제1공간(S1)과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제2입구(53) 및 제2출구(54)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The second entrance 53 and the second exit 54 may communicate with the first space S1. In addition, the second entrance 53 and the second exit 54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제2입구(53)에는 증기분사 입구배관(31)이 연결되는 제2입구 커넥터(53A)가 구비될 수 있고, 제2출구(54)에는 증기분사 출구배관(32)이 연결되는 제2출구 커넥터(54A)가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inlet 53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inlet connector 53A to which the steam injection inlet pipe 31 is connected, and the second outlet 54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outlet to which the steam injection outlet pipe 32 is connected. A connector 54A can be provided.

제2입구(53)는 제1입구(51)와 격벽(43) 중 제1입구(51)에 인접하고, 제2출구(54)는 제1입구(51)와 격벽(43) 중 격벽(43)에 인접할 수 있다.The second entrance 53 is adjacent to the first entrance 51 of the first entrance 51 and the partition wall 43, and the second exit 54 is the partition wall of the first entrance 51 and the partition wall 43 ( 43).

제3입구(55) 및 제3출구(56)는 제2공간(S2)과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제3입구(55) 및 제3출구(56)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The third entrance 55 and the third exit 56 may communicate with the second space S2. Also, the third inlet 55 and the third outlet 56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제3입구(55)에는 바이패스 입구배관(34)이 연결되는 제3입구 커넥터(55A)가 구비될 수 있고, 제3출구(56)에는 바이패스 출구배관(35)이 연결되는 제3출구 커넥터(56A)가 구비될 수 있다.A third inlet 55 may be provided with a third inlet connector 55A to which the bypass inlet pipe 34 is connected, and a third outlet 56 to which a bypass outlet pipe 35 may be connected. A connector 56A can be provided.

제3입구(55)는 격벽(43)과 제1출구(52) 중 제1출구(52)에 인접하고, 제3출구(56)는 격벽(43)과 제1출구(52) 중 격벽(43)에 인접할 수 있다.The third entrance 55 is adjacent to the first exit 52 of the partition 43 and the first exit 52, and the third exit 56 is the partition of the partition 43 and the first exit 52 ( 43).

아우터 배관(41)의 길이 방향에 대해, 제2입구(53)와 제2출구(54) 사이의 거리는 제3입구(55)와 제3출구(56)의 거리보다 멀 수 있다. 즉, 증기분사 유로(44)의 경로 길이가 바이패스 유로(45)의 경로 길이보다 멀 수 있다. 이로써, 바이패스 유로(55)로 냉매가 유동되지 않는 냉방 운전시에도 이너 배관(42)의 냉매가 충분히 냉각될 수 있다.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er pipe 41,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inlet 53 and the second outlet 54 may be grea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third inlet 55 and the third outlet 56. That is, the path length of the steam injection flow path 44 may be longer than the path length of the bypass flow path 45. Accordingly, the refrigerant in the inner pipe 42 can be sufficiently cooled even in the cooling operation in which the refrigerant does not flow into the bypass flow passage 55.

한편, 이너 배관(42)는 아우터 배관(4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너 배관(42)은 적어도 하나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임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inner pipe 42 may be disposed inside the outer pipe 41. At least one inner pipe 42 may be provided, and it is preferable that it is a plurality.

이너 배관(42)의 외둘레는 아우터 배관(41)의 내둘레와 이격될 수 있다. 이너 배관(42)은 격벽(43)을 관통할 수 있고, 제1공간(S1)과 제2공간(S2)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즉, 이너 배관(42)은, 격벽(43)의 일측에 위치한 제1공간(S1)에 위치하는 제1이너 배관부(42A)와, 격벽(43)의 타측에 위치한 제2공간(S2)에 위치하는 제2이너 배관부(42B)를 포함할 수 있다.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inner pipe 42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outer pipe 41. The inner pipe 42 may penetrate the partition wall 43 and may be disposed over the first space S1 and the second space S2. That is, the inner piping 42 includes a first inner piping portion 42A located in a first space S1 located on one side of the partition wall 43 and a second space S2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partition wall 43. It may include a second inner piping portion (42B) located in.

제1공간(S1) 중에서 아우터 배관(41)의 내면과 이너 배관(42)의 외면 사이는 증기분사 유로(44)를 형성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아우터 배관(41)의 내면과 제1이너 배관부(42A)의 외면 사이에는 증기분사 유로(44)가 형성될 수 있다.In the first space S1, a steam injection flow path 44 may be form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pipe 41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pipe 42. In more detail, a steam jet flow path 44 may be form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pipe 41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inner pipe portion 42A.

제2공간(S2) 중에서 아우터 배관(41)의 내면과 이너 배관(42)의 외면 사이는 바이패스 유로(45)를 형성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아우터 배관(41)의 내면과 제2이너 배관부(42B)의 외면 사이에는 바이패스 유로(45)가 형성될 수 있다.The bypass passage 45 may be form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pipe 41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pipe 42 in the second space S2. In more detail, a bypass flow passage 45 may be form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pipe 41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inner pipe portion 42B.

이너 배관(42)은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제1이너 배관부(42A) 내의 냉매와 증기분사 유로(44)의 냉매간 열교환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고, 제2이너 배관부(42B) 내의 냉매와 바이패스 유로(45)의 냉매간 열교환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다.The inner pipe 42 may include a material having high thermal conductivity. As a result, heat exchange between the refrigerant in the first inner piping portion 42A and the refrigerant in the vapor injection passage 44 can be smoothly performed, and heat exchange between the refrigerant in the second inner piping portion 42B and the refrigerant in the bypass flow passage 45 This can be done smoothly.

격벽(43)은 아우터 배관(41)의 내부를 제1공간(S1)과 제2공간(S2)으로 구획할 수 있다. 격벽(43)은 증기분사 유로(44)의 냉매와 바이패스 유로(45)의 냉매가 서로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partition wall 43 may divide the inside of the outer pipe 41 into a first space S1 and a second space S2. The partition wall 43 can prevent the refrigerant in the vapor injection passage 44 and the refrigerant in the bypass passage 45 from mixing with each other.

격벽(43)에는 이너 배관(42)이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의 내둘레와 이너 배관(42)의 외둘레 사이로 냉매가 흐르는 것을 막기 위해, 격벽(43)에는 실링(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inner pipe 42 passes may be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43. In order to prevent the refrigerant from flowing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through hole a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inner pipe 42, a sealing (not shown) may be provided in the partition wall 43.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액 분리부재의 외관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액 분리부재의 내부가 도시된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gas-liquid separation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the gas-liquid separation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액 분리부재(60)는 증발기(이하, 도면부호"18"로 표시한다)(도 2 참조)의 리턴 밴드의 역할을 수행하는 동시에 증발기(18)의 2상냉매를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로 분리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gas-liquid separation member 60 serves as a return band of the evaporator (hereinafter, referred to as “18”) (see FIG. 2), and at the same time, cools the two-phase refrigerant in the evaporator 18 as a vapor phase And liquid refrigerant.

좀 더 상세히, 기액 분리부재(60)는 바이패스 입구배관(34)에 연결되는 연결 튜브(61)와, 연결 튜브(61)에 연결되고 증발기(18)의 리턴밴드를 구성하는 분리 튜브(64)를 포함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gas-liquid separation member 60 is a connection tube 61 connected to the bypass inlet pipe 34 and a separation tube 64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ube 61 and forming a return band of the evaporator 18 ).

연결 튜브(61)는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연결 튜브(61)는 대경부(62)와, 대경부(62)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소경부(63)를 포함할 수 있다. 대경부(62)의 일측 단부에는 바이패스 입구 배관(34)이 연결될 수 있고, 타측 단부에는 소경부(63)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The connection tube 61 may be formed long in one direction. The connecting tube 61 may include a large-diameter portion 62 and a small-diameter portion 63 having an inner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large-diameter portion 62. The bypass inlet pipe 34 may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large diameter portion 62, and the small diameter portion 63 may be extended to the other end.

소경부(63)의 외경은 분리 튜브(64)의 연결부(65)의 내경보다 작을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소경부(63)의 외둘레는 연결부(65)의 내둘레와 이격될 수 있다.The outer diameter of the small diameter portion 63 may be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connection portion 65 of the separation tube 64. In more detail,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mall diameter portion 63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on portion 65.

분리 튜브(64)는 증발기(18)의 리턴 밴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분리 튜브(64)는 대략 "h"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separation tube 64 may serve as a return band of the evaporator 18. The separation tube 64 may have an approximately “h” shape.

좀 더 상세히, 분리 튜브(64)는, 연결 튜브(61)가 연결되며 연결 튜브(61)와 나란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연결부(65)와, 연결부(65)에서 분지된 리턴부(66)를 포함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separation tube 64 includes a connection part 65 to which the connection tube 61 is connected and formed elongat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connection tube 61, and a return part 66 branched from the connection part 65 can do.

연결부(65)에는 연결 튜브(61)가 내삽되는 삽입부(67)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 튜브(61)는 삽입부(67)에 끼워져 분리 튜브(64)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 튜브(61)의 대경부(62)는 삽입부(67)에 장착될 수 있고 소경부(63)는 연결부(65)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An insertion portion 67 into which the connection tube 61 is interpolated may be formed in the connection portion 65. The connection tube 61 may be fitted to the insertion portion 67 and coupled to the separation tube 64. In this case, the large-diameter portion 62 of the connection tube 61 may be mounted to the insertion portion 67 and the small-diameter portion 63 may be located inside the connection portion 65.

분리 튜브(64)의 리턴부(66)는, 연결부(65)에서 분지된 분지부(66A)와, 분지부(66B)에서 연장된 곡관부(66B)와, 곡관부(66B)에서 연장된 연장부(66C)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turn portion 66 of the separation tube 64 includes a branch portion 66A branched from the connection portion 65, a curved pipe portion 66B extending from the branch portion 66B, and a curved pipe portion 66B extending from the branch portion 66B. It may include an extension (66C).

분지부(66A)는 연결부(65)와 수직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고, 연장부(66B)는 연결부(65)와 나란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곡관부(66B)는 분지부(66A)와 연장부(66C)를 연결할 수 있다.The branch portion 66A may be formed lo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onnection portion 65, and the extension portion 66B may be formed lo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connection portion 65. The bent portion 66B may connect the branch portion 66A and the extension portion 66C.

이하, 기액 분리부재(60)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gas-liquid separation member 60 will be described.

증발기(18)에서 분리 튜브(64)의 연결부(65)로 유동되는 냉매의 흐름은 환류(annular flow)일 수 있다. 이 경우, 환류(annular flow)의 유동 특성상 액상 냉매는 연결부(65)의 내벽에 인접하여 흐를 수 있고, 기상 냉매는 연결부(65)의 내벽과 이격되어 흐를 수 있다. 즉, 액상 냉매는 상대적으로 외측에서 흐를 수 있고 기상 냉매는 액상 냉매보다 내측에서 흐를 수 있다. The flow of refrigerant flowing from the evaporator 18 to the connection portion 65 of the separation tube 64 may be an annular flow. In this case, due to the flow characteristics of the annular flow, the liquid refrigerant may flow adjacent to the inner wall of the connecting portion 65, and the gaseous refrigerant may flow away from the inner wall of the connecting portion 65. That is, the liquid refrigerant may flow relatively from the outside and the gaseous refrigerant may flow from the inside than the liquid refrigerant.

따라서, 연결부(65) 내의 냉매 중 기상 냉매는 소경부(63)내로 유입될 수 있고, 액상 냉매는 소경부(63)의 외둘레와 연결부(65)의 내둘레 사이로 유입되어 분리 튜브(64)의 리턴부(66)로 유동될 수 있다.Accordingly, gaseous refrigerant among refrigerants in the connection portion 65 may be introduced into the small diameter portion 63, and liquid refrigerant is introduc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mall diameter portion 63 and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on portion 65 to separate the tube 64. It can be flowed to the return unit (66).

연결 튜브(61)의 소경부(63) 내로 유입된 기상 냉매는 바이패스 입구배관(34)을 통해 과냉각 열교환기(40)로 안내될 수 있다. 또한, 약간의 액상 냉매가 소경부(63)로 유입되더라도 대경부(62)로 유동되는 과정에서 팽창되어 기체로 상변화될 수 있다. 이로써, 연결 튜브(61)는 기상 냉매를 최대한 포집하여 바이패스 입구배관(34)으로 안내할 수 있다.The gaseous refrigerant introduced into the small-diameter portion 63 of the connection tube 61 may be guided to the supercooling heat exchanger 40 through the bypass inlet pipe 34. In addition, even though some liquid refrigerant flows into the small-diameter portion 63, it may expand in the process of flowing to the large-diameter portion 62 and phase change into a gas. Thus, the connecting tube 61 can collect the gaseous refrigerant as much as possible and guide it to the bypass inlet pipe 34.

또한, 분리 튜브(64)의 리턴부(66)로 유동된 액상 냉매는 다시 증발기(18)로 유동되어 증발 될 수 있다. 이로써, 증발기(18) 및 증발기(18)와 압축기(10) 사이의 배관에서 압손이 최소화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quid refrigerant flowed to the return portion 66 of the separation tube 64 may be flowed back to the evaporator 18 to be evaporated. As a result, pressure loss in the pipe between the evaporator 18 and the evaporator 18 and the compressor 10 can be minimized.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어 블록도이다.8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n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은 컨트롤러(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80.

컨트롤러(80)는 공기조화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80 can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ing system.

컨트롤러(80)는 공기조화 시스템에 포함된 다수의 센서의 감지값을 전달받을 수 있다. 일례로, 컨트롤러(80)는 실내 온도센서(73), 실외 온도센서(74), 토출 온도센서(71) 및 증발 온도센서(72)의 감지값을 전달 받을 수 있다.The controller 80 may receive detection values of a plurality of sensors included in the air conditioning system. For example, the controller 80 may receive detection values of the indoor temperature sensor 73, the outdoor temperature sensor 74, the discharge temperature sensor 71, and the evaporation temperature sensor 72.

공기조화 시스템은 실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실내 온도센서(73)와, 실외의 온도를 감지하는 실외 온도센서(74)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ing system may further include an indoor temperature sensor 73 that senses the indoor temperature, and an outdoor temperature sensor 74 that senses the outdoor temperature.

또한, 공기조화 시스템은 입력부(7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75)를 통해 명령을 입력할 수 있고, 컨트롤러는 상기 명령을 전달받아 그에 맞는 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는 입력부(75)를 통해 냉/난방 운전을 결정하거나 희망 실내온도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75)는 스위치나 버튼일 수 있으며 그 구성은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air conditioning system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unit 75. The user may input a command through the input unit 75, and the controller may receive the command and perform driving accordingly. For example, the user may determine cooling/heating operation through the input unit 75 or input a desired indoor temperature. The input unit 75 may be a switch or a button, and the configuration is not limited.

컨트롤러(80)는 압축기(10)를 온오프 시키거나, 압축기(10)의 주파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80)는 운전중인 압축기(10)의 주파수를 전달 받을 수 있다.The controller 80 may turn the compressor 10 on or off, or control the frequency of the compressor 10. In addition, the controller 80 may receive the frequency of the compressor 10 in operation.

컨트롤러(80)는 증기분사 팽창밸브(33)의 개도를 조절하여, 증기분사 팽창밸브(33)를 통과한 냉매를 팽창 및 냉각시키고, 과냉각 열교환기(40)의 과열도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80 may adjust the opening degree of the steam injection expansion valve 33 to expand and cool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steam injection expansion valve 33 and control the superheat degree of the supercooling heat exchanger 40.

컨트롤러(80)는 실내 열교환기(15)의 부하에 따라 증기분사 팽창밸브(33)의 개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일례로, 컨트롤러(80)는 입력부(75)를 통해 입력된 희망 실내 온도와 실내 온도센서(73)에서 감지된 실내 온도의 차이를 통해 실내 열교환기(15)의 부하를 산출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증기분사 팽창밸브(33)의 개도를 조절할 수 있다.The controller 80 may adjust the opening degree of the steam injection expansion valve 33 according to the load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15. In one example, the controller 80 may calculate the load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15 through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sired room temperature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75 and the room temperature detected by the room temperature sensor 73, thereby Accordingly, the opening degree of the steam injection expansion valve 33 can be adjusted.

컨트롤러(80)는 바이패스 밸브(36)의 개도를 조절하여, 증발기(18)에서 바이패스 입구배관(34)으로 바이패스되는 냉매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The controller 80 may adjust the opening degree of the bypass valve 36 to adjust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bypassed from the evaporator 18 to the bypass inlet pipe 34.

컨트롤러(80)는 사방변(14)을 절환 제어할 수 있다. 난방 운전 시 컨트롤러(80)는 압축기(10)의 토출부(11)는 실내 열교환기(15)와 연통되고 압축기(10)의 저압 흡입부(12)는 실외 열교환기(18)와 연통되도록 사방변(14)을 제어할 수 있다. 냉방 운전 시 컨트롤러(80)는 압축기(10)의 토출부(11)는 실외 열교환기(18)와 연통되고 압축기(10)의 저압 흡입부(12)는 실내 열교환기(15)와 연통되도록 사방변(14)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80 can switch and control the four sides 14. In the heating operation, the controller 80 is connected so that the discharge portion 11 of the compressor 10 communicates with the indoor heat exchanger 15 and the low pressure suction portion 12 of the compressor 10 communicates with the outdoor heat exchanger 18. The side 14 can be controlled. In the cooling operation, the controller 80 is connected so that the discharge portion 11 of the compressor 10 communicates with the outdoor heat exchanger 18 and the low pressure suction portion 12 of the compressor 10 communicates with the indoor heat exchanger 15. The side 14 can be controlled.

컨트롤러(80)는 실외 팽창밸브(17) 및 실내 팽창밸브(16)의 개도를 각각 제어할 수 있다. 난방 운전 시 컨트롤러(80)는 실내 팽창밸브(16)를 최대 개도로 제어하고 실외 팽창밸브(17)를 냉매가 팽창되는 개도로 제어할 수 있다. 냉방 운전 시 컨트롤러(80)는 실외 팽창밸브(17)를 최대 개도로 제어하고 실내 팽창밸브(16)를 냉매가 팽창되는 개도로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80 may control the opening degree of the outdoor expansion valve 17 and the indoor expansion valve 16, respectively. During the heating operation, the controller 80 may control the indoor expansion valve 16 to the maximum opening degree and the outdoor expansion valve 17 to the opening degree at which the refrigerant expands. In the cooling operation, the controller 80 may control the outdoor expansion valve 17 to the maximum opening degree and the indoor expansion valve 16 to the opening degree at which the refrigerant expands.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패스 팽창밸브의 제어 순서의 일 예가 도시된 순서도이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trol sequence of a bypass expansion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컨트롤러(80)는 난방 운전시 압축기(10)의 주파수가 설정 주파수보다 크면 바이패스 밸브(36)를 오픈할 수 있다.The controller 80 may open the bypass valve 36 when the frequency of the compressor 10 is greater than the set frequency during heating operation.

좀 더 상세히, 컨트롤러(80)는 난방 운전시 압축기(10)의 주파수가 기설정된 설정 주파수보다 큰지 판단할 수 있다(S1). 일례로, 상기 설정 주파수는 75Hz 일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controller 80 may determine whether the frequency of the compressor 10 is greater than a preset frequency during heating operation (S1). In one example, the set frequency may be 75Hz.

기액 분리부재(60)에서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가 원활하게 분리되기 위해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결부(65)로 유동되는 냉매 유동이 환류(annular flow)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냉매 유동이 환류(annular flow)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증발기(18)의 냉매의 건도(Vapor Quality) 및 질량 유속(mass velocity)이 각각 일정 범위내의 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건도(Vapor Quality) 및 질량 유속(mass velocity)는 주지의 용어이므로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order to smoothly separate the gaseous refrigerant and the liquid refrigerant from the gas-liquid separation member 60, it is preferable that the refrigerant flow flowing into the connection portion 65 forms an annular flow as described above. In order for the refrigerant flow to form an annular flow, the vapor quality and mass velocity of the refrigerant in the evaporator 18 must satisfy conditions within a certain range, respectively. Vapor quality and mass velocity are well known terms, so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are omitted.

증발기(18)로 유입되는 냉매의 건도 범위(일례로 0.5 내지 0.6)는 비교적 일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냉매의 질량 유속이 일정값 이하이면 환류(annular flow)가 아닌 성층 물결류(stratified wavy flow) 가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기액 분리부재(60)에서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가 원활하게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The dryness range of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evaporator 18 (eg, 0.5 to 0.6) may be relatively constant. In this case, if the mass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is less than or equal to a certain value, a stratified wavy flow may be formed instead of an annular flow, and in this case, the gas-phase refrigerant and the liquid refrigerant are smooth in the gas-liquid separator 60. May not be separated.

따라서, 기액 분리부재(60)에서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가 원활하게 분리되기 위해서는 냉매의 질량 유속을 상기 일정값보다 크게 유지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압축기(10)의 주파수가 상기 설정 주파수보다 높게 유지됨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n order to smoothly separate the gaseous refrigerant and the liquid refrigerant from the gas-liquid separation member 60, the mass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must be maintained above the predetermined value, and for this, the frequency of the compressor 10 is maintained higher than the set frequency. desirable.

따라서, 컨트롤러(80)는 난방 운전시 압축기(10)의 주파수가 기설정된 설정 주파수보다 크면 바이패스 밸브(36)를 오픈할 수 있다(S2). 이로써, 기액 분리부재(60)에서 액상 냉매와 분리된 기상 냉매가 바이패스 입구배관(34), 바이패스 유로(45), 바이패스 출구배관(35)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압축기(10)의 저압 흡입부(12)로 흡입될 수 있다. 반면, 컨트롤러(80)는 난방 운전시 압축기(10)의 주파수가 기설정된 설정 주파수 이하이면 바이패스 밸브(36)를 클로즈 할 수 있다(S3).Therefore, the controller 80 may open the bypass valve 36 when the frequency of the compressor 10 is greater than a preset frequency during heating operation (S2). As a result, the gaseous refrigerant separated from the liquid refrigerant in the gas-liquid separation member 60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bypass inlet pipe 34, the bypass flow passage 45, and the bypass outlet pipe 35, thereby lowering the pressure of the compressor 10. It can be sucked into the suction unit 12.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ler 80 may close the bypass valve 36 when the frequency of the compressor 10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frequency during heating operation (S3).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패스 팽창밸브의 제어 순서의 다른 예가 도시된 순서도이다.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control sequence of the bypass expansion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컨트롤러(80)는 난방 운전시 압축기(10)의 주파수가 설정 주파수보다 크고, 측정 증발온도가 설정 증발온도 이하이면 바이패스 밸브(36)를 오픈할 수 있다(S1)(S4)(S2). 반면, 컨트롤러(80)는 난방 운전시 압축기(10)의 주파수가 설정 주파수 이하이면 바이패스 밸브(36)를 클로즈할 수 있다(S1)(S3). 또한, 컨트롤러(80)는 난방 운전시 압축기(10)의 주파수가 설정 주파수보다 크더라도 측정 증발온도가 설정 증발온도보다 크면 바이패스 밸브(36)를 클로즈할 수 있다(S1)(S4)(S3).The controller 80 may open the bypass valve 36 when the frequency of the compressor 10 is greater than the set frequency during the heating operation and the measured evaporation temperature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set evaporation temperature (S1) (S4) (S2).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ler 80 may close the bypass valve 36 when the frequency of the compressor 10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set frequency during heating operation (S1) (S3). In addition, the controller 80 may close the bypass valve 36 when the measured evaporation temperature is greater than the set evaporation temperature even if the frequency of the compressor 10 is greater than the set frequency during heating operation (S1) (S4) (S3) ).

이 경우, 상기 측정 증발온도는 증발 온도센서(72)에서 감지된 온도일 수 있고, 설정 증발온도는 기설정된 온도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measured evaporation temperature may be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evaporation temperature sensor 72, and the set evaporation temperature may be a preset temperature.

난방 운전시 실외 온도센서(74)에서 감지된 실외의 온도가 낮으면 증발기(18)에서 증발 부하를 만족시키기 위해 증발 온도센서(72)에서 감지되는 증발 온도가 내려갈 수 있고, 증발 온도가 내려가면 압축기(10)의 흡입 압력이 하강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증발기(18) 및 증발기(18) 후단측의 압손을 최소화하기 위해 기액 분리부재에서 기상 냉매가 분리됨이 바람직하다. When the outdoor temperature detected by the outdoor temperature sensor 74 during heating operation is low, the evaporation temperature detected by the evaporation temperature sensor 72 may be lowered to satisfy the evaporation load in the evaporator 18, and when the evaporation temperature decreases The suction pressure of the compressor 10 may drop. Therefore,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vapor phase refrigerant is separated from the gas-liquid separator to minimize pressure loss on the evaporator 18 and the rear end of the evaporator 18.

또한, 압축기(10)의 흡입 압력의 하강에 따른 냉매의 질량 유속의 감소를 보상하여 환류(annular flow)를 유지하기 위해 압축기(10)의 주파수가 상기 설정 주파수보다 커짐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requency of the compressor 10 is greater than the set frequency to compensate for the decrease in the mass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according to the drop in the suction pressure of the compressor 10 to maintain an annular flow.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11 is a block diagram of an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은 바이패스 입구배관(34A)(34B)의 구성을 제외하고는 앞서 도 1에서 설명한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The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embodiment described in FIG. 1 except for the configuration of the bypass inlet pipes 34A and 34B, so the overlapping contents are omitted and the difference will be mainly described.

기액 분리부재(60)와 과냉각 열교환기(40)의 제3입구(55)를 연결하는 바이패스 입구배관(34A)(34B)은, 냉매 유동 방향에 대해 어큐뮬레이터(27) 이전에 위치한 제1입구배관부(34A)와, 냉매 유동 방향에 대해 어큐뮬레이터(27) 이후에 위치한 제2입구배관부(34B)를 포함할 수 있다.The bypass inlet pipes 34A and 34B connecting the gas-liquid separation member 60 and the third inlet 55 of the supercooled heat exchanger 40 have a first inlet located before the accumulator 27 with respect to the refrigerant flow direction. A piping portion 34A and a second inlet pipe portion 34B located after the accumulator 27 with respect to the refrigerant flow direction may be included.

제1입구배관부(34A)는 기액 분리부재(60)와 어큐뮬레이터(27)를 연결할 수 있다. 제1입구 배관부(34A)는 기액 분리부재(60)에서 분리된 기상 냉매를 어큐뮬레이터(27)로 안내할 수 있다.The first inlet pipe portion 34A may connect the gas-liquid separation member 60 and the accumulator 27. The first inlet pipe portion 34A may guide the gaseous refrigerant separated from the gas-liquid separation member 60 to the accumulator 27.

제2입구 배관부(34B)는 어큐뮬레이터(27)와 제3입구(55)를 연결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2입구 배관부(34B)는 어큐뮬레이터(27)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제2입구 배관부(34B)는 어큐뮬레이터의 하부에 쌓인 액냉매를 과냉각 열교환기의 제3입구로 안내할 수 있다.The second inlet pipe portion 34B may connect the accumulator 27 and the third inlet 55. In more detail, the second inlet pipe portion 34B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accumulator 27. The second inlet pipe portion 34B may guide the liquid refrigerant accumulated under the accumulator to the third inlet of the supercooling heat exchanger.

제3입구로 유입된 액냉매는 바이패스 유로(45)를 통과하며 과열될 수 있고, 이너 배관(42)을 통과하는 냉매를 냉각시킬 수 있다. 과열된 냉매는 제3출구(56)로 유출되고 바이패스 출구배관(35)을 통과하여 압축기(10)의 저압 흡입부(12)로 흡입될 수 있다.The liquid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third inlet may be overhea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bypass flow passage 45, and cool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inner pipe 42. The superheated refrigerant may be discharged to the third outlet 56 and passed through the bypass outlet pipe 35 to be sucked into the low pressure suction part 12 of the compressor 10.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spirit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압축기 11: 토출부
12: 저압 흡입부 13: 중압 흡입부
14: 사방변 15: 실내 열교환기
18: 실외 열교환기 21: 토출 배관
23: 제1연결배관 24: 제2연결배관
26: 흡입 배관 27: 어큐뮬레이터
31: 증기분사 입구배관 32: 증기분사 출구배관
33: 증기분사 팽창밸브 34: 바이패스 입구배관
35: 바이패스 출구배관 36: 바이패스 밸브
40: 과냉각 열교환기 41: 아우터 배관
42: 이너 배관 43: 격벽
44: 증기분사 유로 45: 바이패스 유로
51: 제1입구 52: 제1출구
53: 제2입구 54: 제2출구
55: 제3입구 56: 제3출구
60: 기액 분리부재 61: 연결 튜브
62: 대경부 63: 소경부
64: 분리 튜브 65: 연결부
66: 리턴부 80: 컨트롤러
10: compressor 11: outlet
12: low pressure suction unit 13: medium pressure suction unit
14: four sides 15: indoor heat exchanger
18: outdoor heat exchanger 21: discharge piping
23: 1st connection pipe 24: 2nd connection pipe
26: suction piping 27: accumulator
31: steam injection inlet pipe 32: steam injection outlet pipe
33: steam injection expansion valve 34: bypass inlet pipe
35: bypass outlet piping 36: bypass valve
40: supercooling heat exchanger 41: outer piping
42: inner piping 43: bulkhead
44: steam injection flow path 45: bypass flow path
51: first entrance 52: first exit
53: second entrance 54: second exit
55: 3rd entrance 56: 3rd exit
60: gas-liquid separation member 61: connecting tube
62: large neck part 63: small neck part
64: separation tube 65: connection
66: return unit 80: controller

Claims (15)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아우터 배관;
상기 아우터 배관의 내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이너 배관;
상기 아우터 배관 내에 배치되고 상기 이너 배관에 의해 관통되는 격벽;
상기 아우터 배관의 내면과 상기 이너 배관 외면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격벽의 일측에 위치한 증기분사 유로;
상기 아우터 배관의 내면과 상기 이너 배관 외면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격벽의 타측에 위치한 바이패스 유로;
상기 이너 배관을 실내 열교환기와 연통시키는 제1연결 배관;
상기 제1연결 배관에서 분지되어 상기 증기분사 유로와 연통된 증기분사 입구배관;
상기 증기분사 입구배관에 설치된 증기분사 팽창밸브;
상기 증기분사 유로를 압축기의 흡입부와 연통시키는 증기분사 출구배관;
상기 이너 배관을 실외 열교환기와 연통시키는 제2연결 배관;
상기 실외 열교환기에서 기상냉매와 액상냉매를 분리하는 기액 분리부재;
상기 기액 분리부재와 상기 바이패스 유로를 연통시키는 바이패스 입구배관;
상기 바이패스 유로를 상기 압축기의 흡입부와 연통시키는 바이패스 출구배관;
상기 바이패스 입구배관 또는 바이패스 출구배관에 설치된 바이패스 밸브; 및
상기 실외 열교환기에서 냉매가 응축되는 냉방 운전시 상기 바이패스 밸브를 클로즈시키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Outer piping;
At least one inner pipe disposed inside the outer pipe;
A partition wall disposed in the outer pipe and penetrated by the inner pipe;
A steam injection channel formed between an inner surface of the outer pipe and an outer surface of the inner pipe and located on one side of the partition wall;
A bypass channel formed between an inner surface of the outer pipe and an outer surface of the inner pipe and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partition wall;
A first connecting pipe communicating the inner pipe with the indoor heat exchanger;
A steam injection inlet pipe branched from the first connection pipe and communicating with the steam injection flow path;
A steam injection expansion valve installed in the steam injection inlet pipe;
A steam injection outlet pipe communicating the steam injection passage with a suction portion of the compressor;
A second connecting pipe communicating the inner pipe with an outdoor heat exchanger;
A gas-liquid separating member separating the gas phase refrigerant and the liquid refrigerant in the outdoor heat exchanger;
A bypass inlet pipe communicating the gas-liquid separation member and the bypass channel;
A bypass outlet pipe communicating the bypass channel with the suction part of the compressor;
A bypass valve installed in the bypass inlet pipe or bypass outlet pipe; And
An air conditioning system including a controller that closes the bypass valve during a cooling operation in which refrigerant is condensed in the outdoor heat exchanger.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출구배관은, 냉매의 유동 방향에 대해 상기 압축기의 흡입부와 어큐뮬레이터의 사이에 연결된 공기 조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The bypass outlet pipe is an air conditioning system connected between the suction part of the compressor and the accumulator with respect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refrigerant.
제 6 항에 있어서,
냉매의 유동 방향에 대하여, 상기 증기분사 유로의 길이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의 길이보다 긴 공기 조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With respect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refrigerant, the length of the steam injection passage is longer than that of the bypass passag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액 분리부재는,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바이패스 입구배관에 연결되는 연결 튜브; 및
상기 연결 튜브와 연결되고 상기 실외 열교환기의 리턴밴드를 구성하는 분리 튜브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The gas-liquid separation member,
A connection tube formed elongated in one direction and connected to the bypass inlet pipe; And
And a separation tu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ube and forming a return band of the outdoor heat exchanger.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튜브는,
상기 연결 튜브가 연결되고 상기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서 분지된 리턴부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9,
The separation tube,
A connection portion to which the connection tube is connected and formed long in the one direction; And
An air conditioning system comprising a return portion branched from the connecting portion.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튜브는,
상기 바이패스 입구배관에 연결되는 대경부; 및
상기 연결부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연결부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소경부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0,
The connecting tube,
A large diameter part connected to the bypass inlet pipe; And
An air conditioning system including a small diameter part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art and having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connection par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의 흡입부는,
상기 증기분사 출구배관이 연결되는 저압 흡입부; 및
상기 저압 흡입부와 이격되고 상기 바이패스 출구배관이 연결되는 중압 흡입부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The suction part of the compressor,
A low pressure suction part to which the steam injection outlet pipe is connected; And
An air conditioning system including a medium pressure suction part spaced apart from the low pressure suction part and connected to the bypass outlet pip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에서 냉매가 증발되는 난방 운전 시, 상기 압축기의 주파수가 설정 주파수보다 크면 상기 바이패스 밸브를 오픈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The controller,
When the heating operation in which the refrigerant is evaporated in the outdoor heat exchanger, the air conditioning system opens the bypass valve when the frequency of the compressor is greater than the set frequency.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 열교환기의 증발온도를 측정하는 증발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에서 냉매가 증발되는 난방 운전 시, 상기 압축기의 주파수가 설정 주파수보다 크고 상기 증발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가 기설정된 설정온도 이하이면 상기 바이패스 밸브를 오픈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Further comprising an evaporation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evaporation temperature of the outdoor heat exchanger,
The controller,
When the heating operation in which the refrigerant is evaporated in the outdoor heat exchanger, the air conditioning system opens the bypass valve when the frequency of the compressor is greater than the set frequency and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evaporation temperature sensor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preset temperatur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의 흡입부와 연통된 어큐뮬레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이패스 입구배관은,
상기 기액 분리부재와 상기 어큐뮬레이터를 연결하는 제1입구 배관부; 및
상기 어큐뮬레이터와 상기 바이패스 유로를 연결하는 제2입구 배관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Further comprising an accumulator in communication with the suction portion of the compressor,
The bypass inlet pipe,
A first inlet pipe portion connecting the gas-liquid separation member and the accumulator; And
An air conditioning system including a second inlet pipe portion connecting the accumulator and the bypass flow path.
KR1020180144475A 2018-11-21 2018-11-21 Supercooling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21250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4475A KR102125094B1 (en) 2018-11-21 2018-11-21 Supercooling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4475A KR102125094B1 (en) 2018-11-21 2018-11-21 Supercooling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9578A KR20200059578A (en) 2020-05-29
KR102125094B1 true KR102125094B1 (en) 2020-07-07

Family

ID=70912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4475A KR102125094B1 (en) 2018-11-21 2018-11-21 Supercooling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509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8161A (en) 2019-10-23 2021-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Gas-liquid separator and air-conditioner having the same
KR102536383B1 (en) * 2021-06-22 2023-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Device including a refrigerant cyc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7482A (en) * 2003-11-14 2005-06-09 Tlv Co Ltd Gas-liquid separator
KR101382055B1 (en) * 2011-09-07 2014-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An air condition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0884B1 (en) 2008-12-03 2016-02-19 삼성전자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10116334A (en) * 2010-04-19 2011-10-26 윤상국 Refrigerator and freezer with subcool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7482A (en) * 2003-11-14 2005-06-09 Tlv Co Ltd Gas-liquid separator
KR101382055B1 (en) * 2011-09-07 2014-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An air conditio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9578A (en) 2020-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23401B2 (en) Refrigerant cycle device
US7918098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EP1467158B1 (en)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CN101688696B (en) Refrigerant vapor compression system and method of transcritical operation
CN101688698B (en) Refrigerant vapor compression system with flash tank economizer
KR101155494B1 (en) Heat pump
US10401067B2 (en) Air conditioner
CN102232167B (en) Liquid vapor separation in transcritical refrigerant cycle
US6343486B1 (en) Supercritical vapor compression cycle
WO2017063613A1 (en) Gas liquid separator, air conditioning system, and air conditioning system operation method
EP0779481A2 (en) Refrigeration cycle system
US7225635B2 (en) Refrigerant cycle apparatus
KR102198311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CN106196367A (en) A kind of air conditioning system with cold-working gas-liquid separator again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6668569B1 (en) Heat pump apparatus
US20080202156A1 (en) Air-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s
CN106482375A (en) Air conditioner
KR102125094B1 (en) Supercooling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JPH07120076A (en) Air conditioner
JP6549469B2 (en) Heat pump system
JP4767340B2 (en) Heat pump control device
JP2004232924A (en) Refrigeration cycle device
JP2009293887A (en) Refrigerating device
KR102551112B1 (en) Receiver united type accumulator
CN111256384A (en) Air condition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