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9743B1 - Electronic terminal device for performing a correction process for a homophonic vowel based on speech recogni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Electronic terminal device for performing a correction process for a homophonic vowel based on speech recogni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9743B1
KR102119743B1 KR1020180113560A KR20180113560A KR102119743B1 KR 102119743 B1 KR102119743 B1 KR 102119743B1 KR 1020180113560 A KR1020180113560 A KR 1020180113560A KR 20180113560 A KR20180113560 A KR 20180113560A KR 102119743 B1 KR102119743 B1 KR 102119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wel
word
correction
vowels
simi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35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34163A (en
Inventor
최보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Priority to KR1020180113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9743B1/en
Publication of KR20200034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416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9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97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32Orthographic correction, e.g. spell checking or vowe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37Lexical tools
    • G06F40/242Dictiona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79Recognition of textual entiti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G10L15/265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10L2015/223Execution procedure of a spoken comm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음성인식을 기반으로 동음 모음에 대한 보정 처리를 수행하는 전자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입력 장치를 통해 전자 단말 장치에 입력된 단어에 포함되어 있는 동음 모음에 오타가 발생하였을 때, 사용자의 음성인식에 기반하여 보정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전자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쉽게 동음 모음에 대한 오타를 정정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Disclosed is an electronic terminal devic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which perform a correction process for a homophone collection based on speech recogn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onic terminal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correction processing based on a user's voice recognition when a typo occurs in a homophone vowel included in a word input to an electronic terminal device through an input device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assist the user in correcting a typo in the homophone collection.

Description

음성인식을 기반으로 동음 모음에 대한 보정 처리를 수행하는 전자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ELECTRONIC TERMINAL DEVICE FOR PERFORMING A CORRECTION PROCESS FOR A HOMOPHONIC VOWEL BASED ON SPEECH RECOGNI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ELECTRONIC TERMINAL DEVICE FOR PERFORMING A CORRECTION PROCESS FOR A HOMOPHONIC VOWEL BASED ON SPEECH RECOGNI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입력 장치를 통해 전자 단말 장치에 입력된 단어에 포함되어 있는 동음 모음에 오타가 발생하였을 때, 사용자의 음성인식에 기반하여 보정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기법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for performing correction processing based on a user's voice recognition when a typo occurs in a homophone vowel included in a word input to an electronic terminal device through an input device.

키보드 등과 같은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전자 단말 장치에 문자를 입력할 때, 오타가 발생하는 경우가 종종 존재한다.When a user inputs a character into an electronic terminal device using an input device such as a keyboard, a typo often occurs.

특히, 최근에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와 같은 터치스크린이 탑재된 전자 단말 장치가 보급됨에 따라 이러한 전자 단말 장치에서 문자 입력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가상키보드가 널리 활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가상키보드는 물리적인 버튼이 구비된 키보드와 달리 터치스크린 상에 터치 입력을 인가하는 형태로 사용자로부터 입력 명령을 수신하기 때문에 문자의 입력 과정에서 오타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Particularly, as electronic terminal devices equipped with a touch screen such as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are widely used, virtual keyboards for enabling text input in such electronic terminal devices have been widely used, and these virtual keyboards are physical buttons. Unlike this provided keyboard, since a user receives an input command in the form of applying a touch input on a touch screen, a typo often occurs during a character input process.

보통, 키보드를 통해서 입력된 문자에 오타가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가 직접 오입력된 문자를 삭제하고 다시 문자를 제대로 입력함으로써, 오타에 대한 정정을 수행하지만, 이러한 오타 정정은 사용자에게 많은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Normally, when a typo occurs in a character entered through the keyboard, the user corrects the typo by deleting the mistyped character and re-entering the character correctly, but the correction of the typo causes a lot of inconvenience to the user Doing.

한글의 경우에는 'ㅔ'와 'ㅐ' 등과 같이, 같은 음을 갖는 모음, 즉 동음 모음이 다수개 존재하고 있어서, 사용가가 문자 입력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동음 모음을 잘못 입력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한글 키보드에서는 'ㅐ', 'ㅔ'와 같은 동음 모음에 대응하는 자판이 서로 인접한 지점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하는 과정에서 동음 모음을 잘못 입력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In the case of Hangeul, there are many vowels with the same note, ie, homophone vowels, such as'ㅔ' and'ㅐ', so users often enter the same vowel vowel incorrectly in the process of entering text. have. In particular, in Korean keyboards, since keyboards corresponding to homophone vowels such as'ㅐ' and'ㅔ' are located at adjacent points, the user frequently enters a homophone vowel in the process of inputting characters.

예컨대, 사용자가 '인재'를 입력하려고 하였는데, '재'에서 'ㅐ' 대신 'ㅔ'를 입력함에 따라 전자 단말 장치에 '인제'라고 하는 오타가 입력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For example, when a user tries to input'personnel', a typo called'person' is often inputted to the electronic terminal device as'ㅔ' instead of'ㅐ' is inputted from'jae'.

따라서, 전자 단말 장치에서 사용자가 소정의 단어를 입력할 때, 동음 모음에 오타가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가 손쉽게 동음 모음에 대한 오타 정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기술의 연구가 필요하다.Therefore, when a user inputs a predetermined word in the electronic terminal device, if there is a typo in the homophone vowel,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on a technique to assist the user to easily correct the typo for the homophone vowel.

본 발명은 입력 장치를 통해 전자 단말 장치에 입력된 단어에 포함되어 있는 동음 모음에 오타가 발생하였을 때, 사용자의 음성인식에 기반하여 보정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전자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쉽게 동음 모음에 대한 오타를 정정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onic terminal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correction processing based on a user's voice recognition when a typo occurs in a homophone vowel included in a word input to an electronic terminal device through an input device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By doing so, it is intended to assist the user in correcting a typo in the homophone collec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을 기반으로 동음 모음에 대한 보정 처리를 수행하는 전자 단말 장치는 동음 모음인 것으로 미리 지정된 복수의 모음들과 상기 복수의 모음들 각각에 대응하는 미리 정해진 발음 문자열이 서로 대응되어 기록되어 있는 모음 테이블을 저장하여 유지하는 모음 테이블 유지부, 문자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입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상기 복수의 모음들 중 제1 모음이 포함되어 있는 제1 단어가 입력되면, 화면상에 상기 제1 단어를 표시하고, 상기 제1 단어가 화면상에 표시된 이후 마이크로폰을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모음의 오타 보정을 위한 대체 모음의 발음에 대응하는 음성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한 결과에 따른 제1 발음 문자열를 생성하는 발음 문자열 생성부, 상기 모음 테이블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모음들 중 상기 제1 발음 문자열에 대응하는 제1 대체 모음을 확인하고, 상기 제1 단어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제1 모음을 상기 제1 대체 모음으로 변경하여 상기 제1 단어에 대한 보정 단어를 생성하는 보정 단어 생성부 및 화면상에 표시되고 있는 상기 제1 단어를 상기 보정 단어로 대체하여 표시하는 보정 처리부를 포함한다.An electronic terminal device that performs a correction process for a homophone vowel based on speech recogn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vowels predefined as a homophone vowel and a predetermined pronunciation string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vowels The first word including the first vowel among the plurality of vowels is input from the user through a vowel table holding unit that stores and maintains the vowel tables recorded in correspondence with each other and an input device that enables input of characters. When the first word is displayed on the screen, and after the first word is displayed on the screen, a voice corresponding to the pronunciation of the alternative vowel for correcting the typographical error of the first vowel is input from the user through the microphone. A pronunciation string generation unit that recognizes the user's voice and generates a first pronunciation string according to a result of recognizing the user's voice, and a first pronunciation string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onunciation string among the plurality of vowels recorded in the vowel table. 1 A correction word generation unit that identifies a replacement vowel and changes the first vowel included in the first word to the first alternative vowel to generate a correction word for the first word and is displayed on the screen And a correction processing unit displaying the first word by replacing it with the correction word.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을 기반으로 동음 모음에 대한 보정 처리를 수행하는 전자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은 동음 모음인 것으로 미리 지정된 복수의 모음들과 상기 복수의 모음들 각각에 대응하는 미리 정해진 발음 문자열이 서로 대응되어 기록되어 있는 모음 테이블을 저장하여 유지하는 단계, 문자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입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상기 복수의 모음들 중 제1 모음이 포함되어 있는 제1 단어가 입력되면, 화면상에 상기 제1 단어를 표시하고, 상기 제1 단어가 화면상에 표시된 이후 마이크로폰을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모음의 오타 보정을 위한 대체 모음의 발음에 대응하는 음성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한 결과에 따른 제1 발음 문자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모음 테이블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모음들 중 상기 제1 발음 문자열에 대응하는 제1 대체 모음을 확인하고, 상기 제1 단어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제1 모음을 상기 제1 대체 모음으로 변경하여 상기 제1 단어에 대한 보정 단어를 생성하는 단계 및 화면상에 표시되고 있는 상기 제1 단어를 상기 보정 단어로 대체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an operation method of an electronic terminal device that performs a correction process for a homophone vowel based on voice recogn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s to a plurality of vowels previously designated as a homophone vowel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vowels Storing and maintaining a vowel table in which predetermined pronunciation strings are recorded in correspondence with each other, a first word including a first vowel among the plurality of vowels from a user through an input device enabling input of characters When is input, the first word is displayed on the screen, and after the first word is displayed on the screen, a voice corresponding to the pronunciation of the alternative vowel for correcting a typo in the first vowel is input from the user through a microphone. When the user's voice is recognized, generating a first pronunciation string according to a result of recognizing the user's voice, the first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onunciation string among the plurality of vowels recorded in the vowel table Checking a replacement vowel, changing the first vowel included in the first word to the first alternative vowel to generate a correction word for the first word, and the first word displayed on the screen And replacing and displaying the corrected word.

본 발명은 입력 장치를 통해 전자 단말 장치에 입력된 단어에 포함되어 있는 동음 모음에 오타가 발생하였을 때, 사용자의 음성인식에 기반하여 보정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전자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쉽게 동음 모음에 대한 오타를 정정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onic terminal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correction processing based on a user's voice recognition when a typo occurs in a homophone vowel included in a word input to an electronic terminal device through an input device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assist the user in correcting a typo in the homophone colle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을 기반으로 동음 모음에 대한 보정 처리를 수행하는 전자 단말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을 기반으로 동음 모음에 대한 보정 처리를 수행하는 전자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n electronic terminal device that performs a correction process for a homophone collection based on voice recogn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an electronic terminal device that performs a correction process for a homophone collection based on voice recogn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설명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으며,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se description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describing each drawing, similar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used for similar elements, and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has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people who have i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을 기반으로 동음 모음에 대한 보정 처리를 수행하는 전자 단말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n electronic terminal device that performs a correction process for a homophone collection based on voice recogn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음성인식을 기반으로 동음 모음에 대한 보정 처리를 수행하는 전자 단말 장치(110)는 모음 테이블 유지부(111), 발음 문자열 생성부(112), 보정 단어 생성부(113) 및 보정 처리부(114)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electronic terminal device 110 that performs a correction process for a homophone vowel based on voice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owel table holding unit 111, a pronunciation string generator 112, and a correction word generation It includes a section 113 and a correction processing section 114.

모음 테이블 유지부(111)는 동음 모음인 것으로 미리 지정된 복수의 모음들과 상기 복수의 모음들 각각에 대응하는 미리 정해진 발음 문자열이 서로 대응되어 기록되어 있는 모음 테이블을 저장하여 유지한다.The vowel table holding unit 111 stores and maintains a vowel table in which a plurality of vowels previously designated as homophone vowels and a predetermined pronunciation string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vowels are recorded in correspondence with each other.

여기서, 동음 모음이란 'ㅔ'와 'ㅐ' 등과 같이, 같은 음을 갖는 모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모음 테이블에는 'ㅔ'와 'ㅐ' 등과 같이 관리자에 의해 미리 정해진 복수의 모음들이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모음들 각각에 대응하는 발음 문자열이란 각 모음을 표현할 때 발음으로 사용하는 문자열로 'ㅔ'라는 모음에 대해서는 'ㅓ'와 'ㅣ'가 연속 조합되어 생성된 모음이기 때문에, '어이'라고 하는 발음 문자열이 대응되어 기록되어 있을 수 있다.Here, the homophone vowel means a vowel having the same notes, such as'ㅔ' and'ㅐ', and a plurality of vowels predetermined by the administrator such as'ㅔ' and'ㅐ' are recorded in the vowel table. . In addition, the pronunciation string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vowels is a string used for pronunciation when expressing each vowel, and for the vowel'ㅔ' is a vowel created by continuously combining'ㅓ' and'ㅣ', ' A phonetic character string'Hey' may be recorded in correspondence.

이러한 점을 종합하면, 상기 모음 테이블에는 하기의 표 1과 같이 정보가 기록되어 있을 수 있다.Summarizing these points, information may be recorded in the collection table as shown in Table 1 below.

복수의 모음들Multiple vowels 발음 문자열Pronunciation string 아이Child 어이Hey 여이Hey 야이Hey Uh 으이Uh ...... ......

발음 문자열 생성부(112)는 문자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입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상기 복수의 모음들 중 제1 모음이 포함되어 있는 제1 단어가 입력되면, 화면상에 상기 제1 단어를 표시하고, 상기 제1 단어가 화면상에 표시된 이후 마이크로폰을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모음의 오타 보정을 위한 대체 모음의 발음에 대응하는 음성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한 결과에 따른 제1 발음 문자열를 생성한다.The pronunciation string generator 112 displays the first word on the screen when the first word including the first vowel among the plurality of vowels is input from the user through an input device that enables input of characters. Then, after the first word is displayed on the screen, when a voice corresponding to the pronunciation of the alternative vowel for correcting the first vowel is input from the user through a microphone, the user's speech is recognized and the user's speech is recognized. Creates a first pronunciation string according to the result of recognizing.

예컨대, 사용자가 키보드를 이용하여 '인재'라고 하는 단어를 입력하고자 하였는데, 잘못 입력해서 '인제'라고 하는 오타가 입력된 경우, 사용자는 '제'의 'ㅔ'를 정정하기 위해 마이크로폰을 통해서 'ㅔ'라는 모음의 오타 보정을 위한 대체 모음인 'ㅐ'에 대응하는 발음인 '아이'라고 하는 음성을 입력할 수 있다. 이때, 발음 문자열 생성부(112)는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아이'라고 하는 제1 발음 문자열을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user wants to input the word'Talent' using the keyboard, but when a typo called'Inje' is entered due to a wrong input, the user may use the ' It is possible to input a voice called'eye', which is a pronunciation corresponding to'ㅐ', which is an alternative vowel for correcting a typographical error of 라는. At this time, the pronunciation string generation unit 112 may recognize the user's voice and generate a first pronunciation string called'child'.

보정 단어 생성부(113)는 상기 모음 테이블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모음들 중 상기 제1 발음 문자열에 대응하는 제1 대체 모음을 확인하고, 상기 제1 단어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제1 모음을 상기 제1 대체 모음으로 변경하여 상기 제1 단어에 대한 보정 단어를 생성한다.The correction word generation unit 113 identifies a first replacement vowel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onunciation string among the plurality of vowels recorded in the vowel table, and checks the first vowel included in the first word. The correction word for the first word is generated by changing to the first replacement vowel.

그리고, 보정 처리부(114)는 화면상에 표시되고 있는 상기 제1 단어를 상기 보정 단어로 대체하여 표시한다.Then, the correction processing unit 114 replaces and displays the first word displayed on the screen with the correction word.

관련해서, 앞서 설명한 예시와 같이 사용자가 키보드를 통해 '인제'라고 하는 단어를 입력한 후 '아이'라고 하는 음성을 입력함에 따라 '아이'라고 하는 제1 발음 문자열이 생성된 경우, 보정 단어 생성부(113)는 상기 표 1과 같은 모음 테이블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모음들 중 상기 제1 발음 문자열인 '아이'에 대응하는 제1 대체 모음으로 'ㅐ'를 확인할 수 있고, '인제'라고 하는 단어에서 'ㅔ'를 'ㅐ'로 변경하여 '인제'라고 하는 단어에 대한 보정 단어로 '인재'를 생성할 수 있다.In relation to this,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inputs the word'Inje' through the keyboard and then inputs the voice'I', the first pronunciation string called'I' is generated, and the correction word is generated. The unit 113 may identify'ㅐ' as a first alternative vowel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onunciation string'eye' among the plurality of vowels recorded in the vowel table as shown in Table 1, and'Inje' By changing the word'ㅔ' to'ㅐ', a'person' can be generated as a correction word for the word'Inje'.

그러고 나서, 보정 처리부(114)는 화면상에 표시되고 있는 '인제'를 상기 보정 단어인 '인재'로 대체하여 표시할 수 있다.Thereafter, the correction processing unit 114 may replace the “person” displayed on the screen with the correction word “person” to display.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정 단어 생성부(113)는 상기 보정 단어의 생성을 처리하기 위한 구체적인 구성으로 대체 모음 확인부(115), 유사 모음 확인부(116), 단어 확인부(117) 및 보정부(118)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모음 테이블에는 상기 복수의 모음들 각각에 대해 각 모음에 대응하는 미리 정해진 유사 모음이 추가로 기록되어 있을 수 있다.At this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rection word generation unit 113 has a specific configuration for processing the generation of the correction word, a replacement vowel confirmation unit 115, a similar vowel confirmation unit 116, and a word confirmation unit 117 and a correction unit 118, and a predetermined similar vowel corresponding to each vowel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vowels may be additionally recorded in the vowel table.

관련해서, 상기 모음 테이블에는 하기의 표 2와 같이 각 모음에 대응하는 유사 모음이 추가로 기록되어 있을 수 있다.Relatedly, similar vowels corresponding to each vowel may be additionally recorded in the vowel table as shown in Table 2 below.

복수의 모음들Multiple vowels 발음 문자열Pronunciation string 유사 모음Similar vowels 아이Child 어이Hey 여이Hey 야이Hey Uh 으이Uh ...... ...... ......

이때, 대체 모음 확인부(115)는 상기 제1 발음 문자열이 생성되면, 상기 모음 테이블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모음들 중 상기 제1 발음 문자열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대체 모음을 확인한다.In this case, when the first pronunciation string is generated, the replacement vowel checking unit 115 checks the first replacement vowel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onunciation string among the plurality of vowels recorded in the vowel table.

유사 모음 확인부(116)는 상기 제1 대체 모음이 확인되면, 상기 모음 테이블에서 상기 제1 대체 모음에 대응되어 기록되어 있는 제1 유사 모음을 확인한다.When the first alternative vowel is confirmed, the similar vowel checking unit 116 checks the first similar vowel recorded in the vowel tab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alternative vowel.

단어 확인부(117)는 상기 제1 단어에서 상기 제1 유사 모음과 동일한 모음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The word checking unit 117 checks whether the first vowel includes the same vowel as the first similar vowel.

보정부(118)는 상기 제1 단어에서 상기 제1 유사 모음과 동일한 모음으로 상기 제1 모음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제1 단어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제1 모음을 상기 제1 대체 모음으로 변경함으로써, 상기 제1 단어를 대체하기 위한 상기 보정 단어의 생성을 처리한다.The correction unit 118 replaces the first vowel included in the first word with the first vowe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vowel is included in the first vowel as the same vowel as the first similar vowel. By changing to a vowel, the generation of the correction word for replacing the first word is processed.

관련해서, 앞서 사용한 예시를 이용하여 대체 모음 확인부(115), 유사 모음 확인부(116), 단어 확인부(117) 및 보정부(118)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relation to this, the alternative vowel checking unit 115, the similar vowel checking unit 116, the word checking unit 117, and the correcting unit 118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using the examples used above.

우선, 사용자가 키보드를 이용하여 '인제'라고 하는 제1 단어를 인가한 후 '아이'라고 하는 음성을 입력함에 따라 발음 문자열 생성부(112)에서 '아이'라고 하는 제1 발음 문자열이 생성된 경우, 대체 모음 확인부(115)는 상기 표 2와 같은 모음 테이블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모음들 중 '아이'라고 하는 상기 제1 발음 문자열에 대응하는 제1 대체 모음으로 'ㅐ'를 확인할 수 있다.First, as the user applies the first word called'Inje' using the keyboard and then inputs a voice called'I', the pronunciation string generating unit 112 generates a first pronunciation string called'I'. In the case, the alternative vowel checking unit 115 confirms'ㅐ' as the first alternative vowel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onunciation string called'child' among the plurality of vowels recorded in the vowel table as shown in Table 2 above. Can be.

그리고, 유사 모음 확인부(116)는 'ㅐ'라고 하는 상기 제1 대체 모음이 확인되면, 상기 모음 테이블에서 'ㅐ'라고 하는 상기 제1 대체 모음에 대응되어 기록되어 있는 제1 유사 모음인 'ㅔ'를 확인할 수 있다.Then, when the first replacement vowel called'ㅐ' is identified, the similar vowel checking unit 116 is the first similar vowel recorded in correspondence to the first alternative vowel called'ㅐ' in the vowel table. ㅔ'can be checked.

그러고 나서, 단어 확인부(117)는 '인제'라고 하는 상기 제1 단어에서 'ㅔ'라고 하는 상기 제1 유사 모음과 동일한 모음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Then, the word confirming unit 117 may check whether the first vowel that is'Inje' contains the same vowel as the first similar vowel that is'ㅔ'.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어 확인부(117)는 상기 제1 단어를 자소 단위로 구분하고, 상기 제1 단어를 구성하는 복수의 자소들 각각과 상기 제1 유사 모음을 서로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자소들 중에서 상기 제1 유사 모음과 동일한 모음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제1 단어에서 상기 제1 유사 모음과 동일한 모음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At this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ord identification unit 117 divides the first word into units of words, and compares each of the plurality of elements constituting the first word with the first similar vowel. By checking whether the same vowel as the first similar vowel is included among the plurality of vocabularies,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first vowel is the same as the first similar vowel.

관련해서, 단어 확인부(117)는 '인제'라는 상기 제1 단어를 자소 단위로 구분하여 'ㅇㅣㄴㅈㅔ'라고 하는 복수의 자소들을 생성할 수 있고, 'ㅇㅣㄴㅈㅔ'라고 하는 복수의 자소들 각각과 상기 제1 유사 모음인 'ㅔ'를 서로 비교하여 'ㅇㅣㄴㅈㅔ'라고 하는 복수의 자소들 중에서 상기 제1 유사 모음인 'ㅔ'와 동일한 모음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함으로써, '인제'라고 하는 상기 제1 단어에서 'ㅔ'라고 하는 상기 제1 유사 모음과 동일한 모음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In relation to this, the word confirming unit 117 may divide the first word called'Inje' into units, and generate a plurality of elements called'ㅇㅣㄴㅈㅔ', a plurality of words called'ㅇㅣㄴㅈㅔ' By comparing each of the elements of the first and the first similar vowel'ㅔ' with each other and checking whether the same vowel as the first similar vowel'ㅔ' is included among the plurality of elements called'ㅇㅣㄴㅈㅔ', In the first word called'Inje',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same vowel as the first similar vowel called'ㅔ' is included.

본 실시예에서 'ㅇㅣㄴㅈㅔ'라고 하는 복수의 자소들에는 'ㅔ'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단어 확인부(117)는 '인제'라는 상기 제1 단어에 'ㅔ'라고 하는 상기 제1 유사 모음과 동일한 모음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plurality of elements called'ㅇㅣㄴㅈㅔ' includes'ㅔ', the word confirming unit 117 is the first similarity called'ㅔ' to the first word'Inj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same vowel as the vowel is included.

이렇게, '인제'라는 상기 제1 단어에서 상기 제1 유사 모음과 동일한 모음으로 'ㅔ'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보정부(118)는 '인제'라는 상기 제1 단어에 포함되어 있는 'ㅔ'를 대체 모음 확인부(115)에서 확인된 상기 제1 대체 모음인 'ㅐ'로 변경함으로써, '인제'라는 상기 제1 단어를 대체하기 위한 보정 단어로 '인재'를 생성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word'Inje' includes the same vowel as the first similar vowel, the correction unit 118 is included in the first word'Inje'. By changing'ㅔ' to the first alternative vowel'ㅐ' identified by the alternative vowel checking unit 115,'person' can be generated as a correction word for replacing the first word'Inje'. .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정부(118)는 상기 제1 단어에서 상기 제1 유사 모음과 동일한 모음으로 상기 제1 모음이 둘 이상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제1 단어에 포함되어 있는 둘 이상의 상기 제1 모음 중 상기 입력 장치를 통해 가장 늦게 입력된 모음을 상기 제1 대체 모음으로 변경함으로써, 상기 제1 단어를 대체하기 위한 상기 보정 단어의 생성을 처리할 수 있다.At this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rrection unit 118 includes two or more of the first vowels in the same vowel as the first similar vowels in the first word, the first word It is possible to process the generation of the correction word for replacing the first word by changing the last input vowel through the input device among the two or more first vowels included in the first vowel.

예컨대, 키보드를 통해 입력된 상기 제1 단어가 '재무재표'이고, 사용자가 모음에 대한 오타 보정을 수행하기 위해서 입력한 음성이 '어이'라고 하는 경우, 대체 모음 확인부(115)는 상기 표 2와 같은 모음 테이블을 참조하여 'ㅔ'라고 하는 제1 대체 모음을 확인할 수 있고, 유사 모음 확인부(116)는 'ㅔ'라고 하는 상기 제1 대체 모음에 대응하는 'ㅐ'라고 하는 제1 유사 모음을 확인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first word input through the keyboard is a'financial statement', and the voice input by the user to perform a typo correction on the vowel is'o', the alternative vowel confirmation unit 115 may display the table A first alternative vowel called'ㅔ' may be identified by referring to a vowel table such as 2, and the similar vowel checking unit 116 may include a first called '제'corresponding to the first alternative vowel called'ㅔ'. You can see similar vowels.

이때, 단어 확인부(117)는 '재무재표'라는 상기 제1 단어에서 'ㅐ'라고 하는 상기 제1 유사 모음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데, '재무재표'라는 상기 제1 단어에서는 'ㅐ'가 2개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보정부(118)는 '재무재표'라는 상기 제1 단어에 포함되어 있는 2개의 'ㅐ' 중 키보드를 통해 가장 늦게 입력된 모음, 즉, '재표'상에 위치해 있는 'ㅐ'를 'ㅔ'라고 하는 상기 제1 대체 모음으로 변경함으로써, '재무재표'라고 하는 상기 제1 단어를 대체하기 위한 보정 단어로 '재무제표'를 생성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word confirming unit 117 may check whether the first similar vowel, which is called'ㅐ', is included in the first word called'financial statement'. Since two'ㅐ' are included, the correction unit 118 is the last input vowel through the keyboard among the two'ㅐ' included in the first word'financial statement', that is, the'remark' A'financial statement' may be generated as a correction word for substituting the first word'financial statement' by changing the'ㅐ' located at to the first alternative vowel called'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음성인식을 기반으로 동음 모음에 대한 보정 처리를 수행하는 전자 단말 장치(110)는 폰트 정보 테이블 유지부(119) 및 음량 값 확인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nic terminal device 110 that performs a correction process for a homophone collection based on speech recognition may further include a font information table holding unit 119 and a volume value checking unit 120. Can be.

폰트 정보 테이블 유지부(119)는 미리 정해진 복수의 서로 다른 음량 값 범위들과 상기 복수의 서로 다른 음량 값 범위들 각각에 대한 미리 정해진 고유 폰트(font)에 대한 정보가 서로 대응되어 기록되어 있는 폰트 정보 테이블을 저장하여 유지한다.The font information table holding unit 119 is a font in which information on predetermined unique font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different volume value ranges and the plurality of different volume value ranges are recorded in correspondence with each other. Store and maintain information tables.

예컨대, 상기 폰트 정보 테이블에는 하기의 표 3과 같이 정보가 기록되어 있을 수 있다.For example, information may be recorded in the font information table as shown in Table 3 below.

복수의 서로 다른 음량 값 범위들Multiple different volume ranges 고유 폰트에 대한 정보Information about native fonts 0~30dB0~30dB 명조체Myeongjo 30~70dB30~70dB 고딕체Gothic 70~100dB70~100dB 궁서체Archery ...... ......

음량 값 확인부(120)는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음성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의 음성 입력에 따른 제1 음량 값을 확인한다.When a voice is input from the user through the microphone, the volume value checking unit 120 checks a first volume value according to the user's voice input.

이때, 보정 처리부(114)는 상기 보정 단어가 생성되면, 상기 폰트 정보 테이블로부터 상기 제1 음량 값이 속해있는 음량 값 범위에 대응되어 기록되어 있는 제1 고유 폰트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보정 단어에 상기 제1 고유 폰트에 따른 폰트 서식을 적용한 후 화면상에 표시되고 있는 상기 제1 단어를 상기 보정 단어로 대체하여 표시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correction word is generated, the correction processing unit 114 checks the information on the first unique font recorded corresponding to the volume value range to which the first volume value belongs, from the font information table, and the correction After applying the font format according to the first unique font to the word, the first word displayed on the screen may be replaced with the correction word to be displayed.

예컨대, 사용자에 의해 인가된 음성에 따른 상기 제1 음량 값이 '40dB'이라고 하고, 상기 제1 단어가 '인제', 상기 보정 단어가 '인재'라고 하는 경우, 보정 처리부(114)는 상기 표 3과 같은 폰트 정보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제1 음량 값인 '40dB'이 속해있는 음량 값 범위에 대응되어 기록되어 있는 제1 고유 폰트에 대한 정보인 '고딕체'를 확인하고, 상기 보정 단어인 '인재'에 대해 '고딕체'에 따른 폰트 서식을 적용한 후 화면상에 표시되고 있는 상기 제1 단어인 '인제'를 '인재'로 대체하여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first volume value according to the voice applied by the user is '40dB', and the first word is'Inje' and the correction word is'Talent', the correction processing unit 114 may display the table. Referring to the font information table as 3, check the'Gothic' which is the information on the first unique font recorded in correspondence to the volume value range to which the first volume value '40dB' belongs, and check the correction word'Talent' After applying the font format according to'Gothic' for', the first word,'Inje' displayed on the screen may be replaced with'Talent'.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을 기반으로 동음 모음에 대한 보정 처리를 수행하는 전자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an electronic terminal device that performs a correction process for a homophone collection based on voice recogn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계(S210)에서는 동음 모음인 것으로 미리 지정된 복수의 모음들과 상기 복수의 모음들 각각에 대응하는 미리 정해진 발음 문자열이 서로 대응되어 기록되어 있는 모음 테이블을 저장하여 유지한다.In step S210, a vowel table in which a plurality of vowels pre-designated as homophones and a predetermined pronunciation string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vowels is recorded in correspondence with each other is stored and maintained.

단계(S220)에서는 문자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입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상기 복수의 모음들 중 제1 모음이 포함되어 있는 제1 단어가 입력되면, 화면상에 상기 제1 단어를 표시하고, 상기 제1 단어가 화면상에 표시된 이후 마이크로폰을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모음의 오타 보정을 위한 대체 모음의 발음에 대응하는 음성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한 결과에 따른 제1 발음 문자열를 생성한다.In step S220, when a first word including a first vowel among the plurality of vowels is input from a user through an input device that enables input of characters, the first word is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 After the first word is displayed on the screen, if a voice corresponding to the pronunciation of the alternative vowel for correcting the first vowel is input from the user through the microphone, the user's speech is recognized to recognize the user's speech. The first pronunciation string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result.

단계(S230)에서는 상기 모음 테이블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모음들 중 상기 제1 발음 문자열에 대응하는 제1 대체 모음을 확인하고, 상기 제1 단어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제1 모음을 상기 제1 대체 모음으로 변경하여 상기 제1 단어에 대한 보정 단어를 생성한다.In step S230, a first replacement vowel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onunciation string is identified among the plurality of vowels recorded in the vowel table, and the first vowel included in the first word is the first vowel. A correction word for the first word is generated by changing to an alternative vowel.

단계(S240)에서는 화면상에 표시되고 있는 상기 제1 단어를 상기 보정 단어로 대체하여 표시한다.In step S240, the first word displayed on the screen is replaced with the correction word to be displayed.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모음 테이블에는 상기 복수의 모음들 각각에 대해 각 모음에 대응하는 미리 정해진 유사 모음이 추가로 기록되어 있을 수 있다.At this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edetermined similar vowel corresponding to each vowel may be additionally recorded in each vowel table in the vowel table.

이때, 단계(S230)에서는 상기 제1 발음 문자열이 생성되면, 상기 모음 테이블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모음들 중 상기 제1 발음 문자열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대체 모음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대체 모음이 확인되면, 상기 모음 테이블에서 상기 제1 대체 모음에 대응되어 기록되어 있는 제1 유사 모음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단어에서 상기 제1 유사 모음과 동일한 모음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어에서 상기 제1 유사 모음과 동일한 모음으로 상기 제1 모음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제1 단어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제1 모음을 상기 제1 대체 모음으로 변경함으로써, 상기 제1 단어를 대체하기 위한 상기 보정 단어의 생성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step S230, when the first pronunciation string is generated, checking the first replacement vowel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onunciation string among the plurality of vowels recorded in the vowel table, the first When a replacement vowel is confirmed, checking a first similar vowel record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first alternative vowel in the vowel table, and checking whether the first vowel includes the same vowel as the first similar vowel.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vowel is included in the first vowel as the same vowel as the first similar vowel, the first vowel included in the first word is changed to the first alternative vowel. By doing so, it may include the step of processing the generation of the correction word to replace the first word.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유사 모음과 동일한 모음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어를 자소 단위로 구분하고, 상기 제1 단어를 구성하는 복수의 자소들 각각과 상기 제1 유사 모음을 서로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자소들 중에서 상기 제1 유사 모음과 동일한 모음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제1 단어에서 상기 제1 유사 모음과 동일한 모음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At this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same vowels as the first similar vowels are included is divided into the first words in units of letters, and a plurality of letters forming the first words Each of the first similar vowels is compared with each other to determine whether the same vowels as the first similar vowels are included among the plurality of elements, and the same vowels as the first similar vowels are included in the first word. You can check whether it is.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정 단어의 생성을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어에서 상기 제1 유사 모음과 동일한 모음으로 상기 제1 모음이 둘 이상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제1 단어에 포함되어 있는 둘 이상의 상기 제1 모음 중 상기 입력 장치를 통해 가장 늦게 입력된 모음을 상기 제1 대체 모음으로 변경함으로써, 상기 제1 단어를 대체하기 위한 상기 보정 단어의 생성을 처리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processing the generation of the corrected wor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word includes two or more of the first vowels in the same vowel as the first similar vowels, Processing the generation of the corrected word to replace the first word by changing the last input vowel through the input device among the two or more first vowels included in the first word to the first alternative vowel. can do.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음성인식을 기반으로 동음 모음에 대한 보정 처리를 수행하는 전자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은 미리 정해진 복수의 서로 다른 음량 값 범위들과 상기 복수의 서로 다른 음량 값 범위들 각각에 대한 미리 정해진 고유 폰트에 대한 정보가 서로 대응되어 기록되어 있는 폰트 정보 테이블을 저장하여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음성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의 음성 입력에 따른 제1 음량 값을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peration method of an electronic terminal device that performs a correction process for a vowel collection based on the speech recognition includes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volume ranges and a plurality of different volume ranges Storing and maintaining a font information table in which information about a predetermined unique font for each of them is recorded in correspondence with each other, and when a voice is input from the user through the microphone, a first volume according to the user's voice input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checking a value.

이때, 단계(S240)에서는 상기 보정 단어가 생성되면, 상기 폰트 정보 테이블로부터 상기 제1 음량 값이 속해있는 음량 값 범위에 대응되어 기록되어 있는 제1 고유 폰트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보정 단어에 상기 제1 고유 폰트에 따른 폰트 서식을 적용한 후 화면상에 표시되고 있는 상기 제1 단어를 상기 보정 단어로 대체하여 표시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step S240, when the correction word is generated, the information on the first unique font recorded corresponding to the volume value range to which the first volume value belongs is checked from the font information table, and the correction word After applying the font format according to the first unique font to the first word displayed on the screen can be displayed by replacing the correction word.

이상,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을 기반으로 동음 모음에 대한 보정 처리를 수행하는 전자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을 기반으로 동음 모음에 대한 보정 처리를 수행하는 전자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은 도 1을 이용하여 설명한 음성인식을 기반으로 동음 모음에 대한 보정 처리를 수행하는 전자 단말 장치(110)의 동작에 대한 구성과 대응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operation method of the electronic terminal device that performs correction processing for the homophone vowel based on speech recogn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2. He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peration method of an electronic terminal device that performs a correction process for a phonetic vowel based on speech recognition performs a correction process for a phonetic vowel based on the speech recogni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Since it may correspond to the configuration of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terminal device 110,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을 기반으로 동음 모음에 대한 보정 처리를 수행하는 전자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컴퓨터와의 결합을 통해 실행시키기 위한 저장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An operation method of an electronic terminal device that performs a correction process for a vowel collection based on speech recogn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storage medium for execution through combination with a computer.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을 기반으로 동음 모음에 대한 보정 처리를 수행하는 전자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In addition, an operation method of an electronic terminal device that performs a correction process for a phonetic vowel based on voice recogn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n a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perform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thus is computer readable media. Can be written on.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or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DVDs, and magnetic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magneto-optical media, and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etc., as well as machine language codes produced by a compiler.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matter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the like have been described by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ese are provided only to help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 Anyone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ese descriptions.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determined, and all claims that are equivalent or equivalent to the scope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belong to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invention. .

110: 음성인식을 기반으로 동음 모음에 대한 보정 처리를 수행하는 전자 단말 장치
111: 모음 테이블 유지부 112: 발음 문자열 생성부
113: 보정 단어 생성부 114: 보정 처리부
115: 대체 모음 확인부 116: 유사 모음 확인부
117: 단어 확인부 118: 보정부
119: 폰트 정보 테이블 유지부 120: 음량 값 확인부
110: an electronic terminal device that performs a correction process for a homophone collection based on speech recognition
111: vowel table holding unit 112: pronunciation string generating unit
113: correction word generation unit 114: correction processing unit
115: Alternative vowel confirmation unit 116: Similar vowel confirmation unit
117: word confirmation unit 118: correction unit
119: Font information table maintenance unit 120: Volume value confirmation unit

Claims (12)

동음 모음인 것으로 미리 지정된 복수의 모음들과 상기 복수의 모음들 각각에 대응하는 미리 정해진 발음 문자열이 서로 대응되어 기록되어 있으면서, 상기 복수의 모음들 각각에 대해 각 모음에 대응하는 미리 정해진 유사 모음이 추가로 기록되어 있는 모음 테이블을 저장하여 유지하는 모음 테이블 유지부;
문자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입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상기 복수의 모음들 중 제1 모음이 포함되어 있는 제1 단어가 입력되면, 화면상에 상기 제1 단어를 표시하고, 상기 제1 단어가 화면상에 표시된 이후 마이크로폰을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모음의 오타 보정을 위한 대체 모음의 발음에 대응하는 음성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한 결과에 따른 제1 발음 문자열을 생성하는 발음 문자열 생성부;
상기 모음 테이블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모음들 중 상기 제1 발음 문자열에 대응하는 제1 대체 모음을 확인하고, 상기 제1 단어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제1 모음을 상기 제1 대체 모음으로 변경하여 상기 제1 단어에 대한 보정 단어를 생성하는 보정 단어 생성부; 및
화면상에 표시되고 있는 상기 제1 단어를 상기 보정 단어로 대체하여 표시하는 보정 처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보정 단어 생성부는
상기 제1 발음 문자열이 생성되면, 상기 모음 테이블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모음들 중 상기 제1 발음 문자열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대체 모음을 확인하는 대체 모음 확인부;
상기 제1 대체 모음이 확인되면, 상기 모음 테이블에서 상기 제1 대체 모음에 대응되어 기록되어 있는 제1 유사 모음을 확인하는 유사 모음 확인부;
상기 제1 단어에서 상기 제1 유사 모음과 동일한 모음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어 확인부; 및
상기 제1 단어에서 상기 제1 유사 모음과 동일한 모음으로 상기 제1 모음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제1 단어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제1 모음을 상기 제1 대체 모음으로 변경함으로써, 상기 제1 단어를 대체하기 위한 상기 보정 단어의 생성을 처리하는 보정부
를 포함하는 음성인식을 기반으로 동음 모음에 대한 보정 처리를 수행하는 전자 단말 장치.
While a plurality of vowels pre-designated as homophone vowels and a predetermined pronunciation string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vowels are recorded in correspondence with each other, a predetermined similar vowel corresponding to each vowel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vowels A collection table holding unit for storing and maintaining additionally recorded collection tables;
When the first word including the first vowel among the plurality of vowels is input from the user through an input device that enables input of characters, the first word is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 first word is displayed. After being displayed on the screen, if a voice corresponding to the pronunciation of the alternative vowel for correcting the first vowel is input from the user through the microphone, the first voice according to the result of recognizing the user's voice by recognizing the user's voice A pronunciation string generator for generating a pronunciation string;
A first replacement vowel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onunciation string is identified among the plurality of vowels recorded in the vowel table, and the first vowel included in the first word is changed to the first alternative vowel. A correction word generation unit generating a correction word for the first word; And
A correction processing unit that replaces and displays the first word displayed on the screen with the correction word
Including,
The correction word generation unit
When the first pronunciation string is generated, a replacement vowel checking unit that checks the first replacement vowel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onunciation string among the plurality of vowels recorded in the vowel table;
When the first replacement vowel is confirmed, a similar vowel checking unit that checks the first similar vowel recorded in the vowel tab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alternative vowel;
A word checking unit checking whether the first vowel includes the same vowel as the first similar vowel;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vowel includes the same vowel as the first similar vowel in the first word, by changing the first vowel included in the first word to the first alternative vowel, the Correction unit for processing the generation of the correction word for replacing the first word
An electronic terminal device that performs correction processing for a homophone collection based on speech recognition including a.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어 확인부는
상기 제1 단어를 자소 단위로 구분하고, 상기 제1 단어를 구성하는 복수의 자소들 각각과 상기 제1 유사 모음을 서로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자소들 중에서 상기 제1 유사 모음과 동일한 모음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제1 단어에서 상기 제1 유사 모음과 동일한 모음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음성인식을 기반으로 동음 모음에 대한 보정 처리를 수행하는 전자 단말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word confirmation unit
The first word is divided into units,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elements constituting the first word is compared with the first similar vowel to each other to include the same vowel as the first similar vowel among the plurality of vocabularies. An electronic terminal device that performs a correction process for a homophone vowel based on a voice recognition that checks whether the first vowel includes the same vowel as the first pseudo vowel by checking whether or not it exis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부는
상기 제1 단어에서 상기 제1 유사 모음과 동일한 모음으로 상기 제1 모음이 둘 이상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제1 단어에 포함되어 있는 둘 이상의 상기 제1 모음 중 상기 입력 장치를 통해 가장 늦게 입력된 모음을 상기 제1 대체 모음으로 변경함으로써, 상기 제1 단어를 대체하기 위한 상기 보정 단어의 생성을 처리하는 음성인식을 기반으로 동음 모음에 대한 보정 처리를 수행하는 전자 단말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rrection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vowel includes the first vowel in the same vowel as the first similar vowel in the first word, the first vowel among the two or more first vowels included in the first word is impersonated through the input device. An electronic terminal device that performs correction processing for a homophone vowel based on speech recognition processing the generation of the correction word for replacing the first word by changing the lately input vowel to the first replacement vowel.
제1항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복수의 서로 다른 음량 값 범위들과 상기 복수의 서로 다른 음량 값 범위들 각각에 대한 미리 정해진 고유 폰트(font)에 대한 정보가 서로 대응되어 기록되어 있는 폰트 정보 테이블을 저장하여 유지하는 폰트 정보 테이블 유지부; 및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음성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의 음성 입력에 따른 제1 음량 값을 확인하는 음량 값 확인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정 처리부는
상기 보정 단어가 생성되면, 상기 폰트 정보 테이블로부터 상기 제1 음량 값이 속해있는 음량 값 범위에 대응되어 기록되어 있는 제1 고유 폰트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보정 단어에 상기 제1 고유 폰트에 따른 폰트 서식을 적용한 후 화면상에 표시되고 있는 상기 제1 단어를 상기 보정 단어로 대체하여 표시하는 음성인식을 기반으로 동음 모음에 대한 보정 처리를 수행하는 전자 단말 장치.
According to claim 1,
Font information that stores and maintains a font information table in which information on a predetermined plurality of different volume value ranges and predetermined unique font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different volume value ranges are recorded in correspondence with each other Table holding unit; And
When a voice is input from the user through the microphone, a volume value confirmation unit to check a first volume value according to the user's voice input
Further comprising,
The correction processing unit
When the corrected word is generated, information about a first unique font recorded corresponding to a volume value range to which the first volume value belongs is checked from the font information table, and the corrected word is assigned to the first unique font. An electronic terminal device that performs correction processing for a homophonic vowel based on speech recognition that replaces and displays the first word displayed on the screen with the correction word after applying the font format.
동음 모음인 것으로 미리 지정된 복수의 모음들과 상기 복수의 모음들 각각에 대응하는 미리 정해진 발음 문자열이 서로 대응되어 기록되어 있으면서, 상기 복수의 모음들 각각에 대해 각 모음에 대응하는 미리 정해진 유사 모음이 추가로 기록되어 있는 모음 테이블을 저장하여 유지하는 단계;
문자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입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상기 복수의 모음들 중 제1 모음이 포함되어 있는 제1 단어가 입력되면, 화면상에 상기 제1 단어를 표시하고, 상기 제1 단어가 화면상에 표시된 이후 마이크로폰을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모음의 오타 보정을 위한 대체 모음의 발음에 대응하는 음성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한 결과에 따른 제1 발음 문자열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모음 테이블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모음들 중 상기 제1 발음 문자열에 대응하는 제1 대체 모음을 확인하고, 상기 제1 단어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제1 모음을 상기 제1 대체 모음으로 변경하여 상기 제1 단어에 대한 보정 단어를 생성하는 단계; 및
화면상에 표시되고 있는 상기 제1 단어를 상기 보정 단어로 대체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보정 단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발음 문자열이 생성되면, 상기 모음 테이블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모음들 중 상기 제1 발음 문자열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대체 모음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대체 모음이 확인되면, 상기 모음 테이블에서 상기 제1 대체 모음에 대응되어 기록되어 있는 제1 유사 모음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단어에서 상기 제1 유사 모음과 동일한 모음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어에서 상기 제1 유사 모음과 동일한 모음으로 상기 제1 모음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제1 단어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제1 모음을 상기 제1 대체 모음으로 변경함으로써, 상기 제1 단어를 대체하기 위한 상기 보정 단어의 생성을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성인식을 기반으로 동음 모음에 대한 보정 처리를 수행하는 전자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
While a plurality of vowels pre-designated as homophone vowels and a predetermined pronunciation string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vowels are recorded in correspondence with each other, a predetermined similar vowel corresponding to each vowel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vowels Storing and maintaining additionally recorded collection tables;
When the first word including the first vowel among the plurality of vowels is input from the user through an input device that enables input of characters, the first word is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 first word is displayed on the screen. When the voice corresponding to the pronunciation of the alternative vowel for correcting the first vowel is input from the user through the microphone after being displayed on the screen, the first voice according to the result of recognizing the user's voice by recognizing the user's voice Generating a pronunciation string;
A first replacement vowel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onunciation string among the plurality of vowels recorded in the vowel table is identified, and the first vowel included in the first word is changed to the first alternative vowel. Generating a correction word for the first word; And
Displaying the first word displayed on the screen with the correction word
Including,
The step of generating the correction word
When the first pronunciation string is generated, identifying the first replacement vowel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onunciation string among the plurality of vowels recorded in the vowel table;
When the first replacement vowel is confirmed, checking a first similar vowel recorded in the vowel tab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alternative vowel;
Checking whether the first vowel includes the same vowel as the first similar vowel;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vowel is included in the first vowel as the same vowel as the first similar vowel, by changing the first vowel included in the first word to the first alternative vowel, the Processing the generation of the corrected word to replace the first word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terminal device for performing a correction process for a homophone collection based on speech recognition including a.
삭제delet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사 모음과 동일한 모음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어를 자소 단위로 구분하고, 상기 제1 단어를 구성하는 복수의 자소들 각각과 상기 제1 유사 모음을 서로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자소들 중에서 상기 제1 유사 모음과 동일한 모음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제1 단어에서 상기 제1 유사 모음과 동일한 모음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음성인식을 기반으로 동음 모음에 대한 보정 처리를 수행하는 전자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same vowel as the first similar vowel is included is
The first word is divided into units,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elements constituting the first word is compared with the first similar vowel to each other to include the same vowel as the first similar vowel among the plurality of vocabularies. A method of operation of an electronic terminal device that performs correction processing for a homophone vowel based on speech recogni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first vowel includes the same vowel as the first pseudo vowel by checking whether the first vowel is presen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단어의 생성을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어에서 상기 제1 유사 모음과 동일한 모음으로 상기 제1 모음이 둘 이상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제1 단어에 포함되어 있는 둘 이상의 상기 제1 모음 중 상기 입력 장치를 통해 가장 늦게 입력된 모음을 상기 제1 대체 모음으로 변경함으로써, 상기 제1 단어를 대체하기 위한 상기 보정 단어의 생성을 처리하는 음성인식을 기반으로 동음 모음에 대한 보정 처리를 수행하는 전자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he step of processing the generation of the correction word i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vowel includes the first vowel in the same vowel as the first similar vowel in the first word, the first vowel among the two or more first vowels included in the first word is impersonated through the input device. An operation method of an electronic terminal device that performs a correction process for a homophone vowel based on speech recognition that processes the generation of the correction word to replace the first word by changing the lately input vowel to the first replacement vowel .
제6항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복수의 서로 다른 음량 값 범위들과 상기 복수의 서로 다른 음량 값 범위들 각각에 대한 미리 정해진 고유 폰트(font)에 대한 정보가 서로 대응되어 기록되어 있는 폰트 정보 테이블을 저장하여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음성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의 음성 입력에 따른 제1 음량 값을 확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정 단어로 대체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보정 단어가 생성되면, 상기 폰트 정보 테이블로부터 상기 제1 음량 값이 속해있는 음량 값 범위에 대응되어 기록되어 있는 제1 고유 폰트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보정 단어에 상기 제1 고유 폰트에 따른 폰트 서식을 적용한 후 화면상에 표시되고 있는 상기 제1 단어를 상기 보정 단어로 대체하여 표시하는 음성인식을 기반으로 동음 모음에 대한 보정 처리를 수행하는 전자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Storing and maintaining a font information table in which information on a predetermined plurality of different volume value ranges and predetermined unique font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different volume value ranges are recorded in correspondence with each other; And
When a voice is input from the user through the microphone, checking a first volume value according to the user's voice input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replacing and displaying the correction word is
When the corrected word is generated, information about a first unique font recorded corresponding to a volume value range to which the first volume value belongs is checked from the font information table, and the corrected word is assigned to the first unique font. After applying the font format according to the method of operation of the electronic terminal device for performing a correction process for the homophone collection based on the speech recognition to replace the first word displayed on the screen with the correction word.
제6항, 제8항, 제9항 또는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6, 8, 9 or 10. 제6항, 제8항, 제9항 또는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와의 결합을 통해 실행시키기 위한 저장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storage medium for executing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6, 8, 9 or 10 through a combination with a computer.
KR1020180113560A 2018-09-21 2018-09-21 Electronic terminal device for performing a correction process for a homophonic vowel based on speech recogni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1197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560A KR102119743B1 (en) 2018-09-21 2018-09-21 Electronic terminal device for performing a correction process for a homophonic vowel based on speech recogni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560A KR102119743B1 (en) 2018-09-21 2018-09-21 Electronic terminal device for performing a correction process for a homophonic vowel based on speech recogni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4163A KR20200034163A (en) 2020-03-31
KR102119743B1 true KR102119743B1 (en) 2020-06-05

Family

ID=70002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3560A KR102119743B1 (en) 2018-09-21 2018-09-21 Electronic terminal device for performing a correction process for a homophonic vowel based on speech recogni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9743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8148B1 (en) * 2007-02-20 2008-07-2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syllabled speech recognition and inputting characters using syllabled speech recognition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KR101632534B1 (en) * 2015-04-06 2016-06-21 주식회사 카카오 Typing error processing method and user apparatus performing the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79017B1 (en) * 1996-08-07 2001-08-21 Randall C. Walker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text based upon attributes found within the text
KR100835172B1 (en) * 2006-10-16 2008-06-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ystem and method for searching information using synonyms
KR102357321B1 (en) * 2014-08-27 2022-02-03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voiceof speech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8148B1 (en) * 2007-02-20 2008-07-2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syllabled speech recognition and inputting characters using syllabled speech recognition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KR101632534B1 (en) * 2015-04-06 2016-06-21 주식회사 카카오 Typing error processing method and user apparatus performing the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4163A (en) 2020-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10154B2 (en) Input method editor having a secondary language mode
CN100555203C (en) Revise the system and method for input characters
US9798393B2 (en) Text correction processing
US20100217581A1 (en) Multi-Mode Input Method Editor
JPH11328312A (en) Method and device for recognizing handwritten chinese character
CN103369122A (en) Voice input method and system
KR20130020418A (en) A method for recomending character string
JP2015176000A (en) Electronic equipment and program
KR102144345B1 (en) Voice recognition processing device for performing a correction process of the voice recognition result based on the user-defined word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4189336B2 (en) Audio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udio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2015040908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update program, and information update method
KR102119743B1 (en) Electronic terminal device for performing a correction process for a homophonic vowel based on speech recogni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8386236B2 (en) Method for prompting by suggesting stroke order of chinese character,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KR102168316B1 (en) Electronic terminal device having a touch screen for performing a typing correction process on an input charact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8265377B2 (en) Cursive handwriting recognition with hierarchical prototype search
CN106709294B (en) User authentication method and device
KR101632534B1 (en) Typing error processing method and user apparatus performing the method
US20070271087A1 (en) Language-independent language model using character classes
KR102119740B1 (en) Electronic terminal device for performing a typing correction process on an input word based on speech recogni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915789B1 (en) Touch screen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easy text input via the virtual keyboard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651909B1 (en) Voice recognition text correction method and a device implementing the method
JP2019168935A (en) Input device, input method and program
JP2010122966A (en) Character recognition processor and program
KR20220067130A (en) Electronic apparatus that performs a search for similar sentences based on the bleu scor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13553832A (en) Word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