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9204B1 - Monitoring System for Marine Distress Signal Based on Buoy type Smart Point - Google Patents

Monitoring System for Marine Distress Signal Based on Buoy type Smart Poi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9204B1
KR102119204B1 KR1020180129569A KR20180129569A KR102119204B1 KR 102119204 B1 KR102119204 B1 KR 102119204B1 KR 1020180129569 A KR1020180129569 A KR 1020180129569A KR 20180129569 A KR20180129569 A KR 20180129569A KR 102119204 B1 KR102119204 B1 KR 1021192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ess
information
smart point
life
reques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95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47993A (en
Inventor
최종선
박준규
Original Assignee
(주)케이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웍스 filed Critical (주)케이웍스
Priority to KR1020180129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9204B1/en
Publication of KR20200047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799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9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92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8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the presence of persons in a body of water, e.g. a swimming pool; responsive to an abnormal condition of a body of water
    • G08B21/088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the presence of persons in a body of water, e.g. a swimming pool; responsive to an abnormal condition of a body of water by monitoring a device worn by the person, e.g. a bracelet attached to the swimm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002Distress signalling devices, e.g. rescue ballo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20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signalling means, e.g. ligh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8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the presence of persons in a body of water, e.g. a swimming pool; responsive to an abnormal condition of a body of wat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022/006Buoy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or watch purposes
    • B63B2728/00

Abstract

본 발명은 조난자에게 구조요청신호 전달결과를 알려주는 부이형 스마트포인트 기반 해양 인명구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저전력 장거리 통신, GPS기반 위치신호 수신 등을 이용하여 조난자의 위치, 활동정보, 생체정보는 물론 조난장소에 대한 환경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인명구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통신환경이 원활하지 못한 해상사고의 특성을 고려하여 파도, 침수, 안개, 폭풍, 바람, 거리 등 해상의 제약사항을 극복할 수 있도록 10Km 내에 있는, 라이프디바이스를 착용한, 조난자 위치정보, 조난자 활동정보, 조난자 생체정보 및 주변 환경정보를 부이형 스마트포인트에서 수집하여 저장하도록 하고, 이를 포함하는 구조요청신호를 장거리에 위치한 관제서버에 전송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구조요청신호 전달결과를 조난자에게 알려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조난감지센서, 신호전달 확인장치 및 통신장치를 포함하는 라이프디바이스, 물 위에 뜰 수 있는 부이형으로서 조난발생 판단수단, 위치측정수단, 저장수단, 제1통신수단 및 제2통신수단을 포함하는 스마트포인트, 그리고 육상 또는 구조선박에 위치하는 관제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oy-type smart point-based marine lifesaving system that notifies the victim of the rescue request signal transmission, using low-power long-distance communication and GPS-based location signal reception, as well as the location, activity information, and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victim. It is a life-saving system that can grasp environmental information about a distress location, and it can overcome the constraints of the sea such as waves, floods, fog, storms, winds, distances, etc.,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maritime accidents in which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is not smooth. The control server located within a long distance to collect and stor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ictim, the activity information of the victim, the biological information of the victim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in the buoy type smart point, which is within 10 km, wearing the life device. The purpose is to notify the distress of the rescue request signal, as well as to enable the transmission to the station.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life device including a distress detection sensor, a signal transmission confirmation device, and a communication device, as a buoy that floats on water, a distress determination means, a location measurement means, a storage means, a first communication means and a second commun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mart point including a means, and a control server located on a land or rescue ship.

Description

조난자에게 구조요청신호 전달결과를 알려주는 부이형 스마트포인트 기반 해양 인명구조시스템 {Monitoring System for Marine Distress Signal Based on Buoy type Smart Point}Monitoring System for Marine Distress Signal Based on Buoy type Smart Point that informs the victims of the rescue request signal delivery result.

본 발명은 조난자에게 구조요청신호 전달결과를 알려주는 부이형 스마트포인트 기반 해양 인명구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부이(Buoy)형 스마트포인트를 기반으로 하여, 해양선박사고 발생 시 조난자의 위치, 생체신호, 조난환경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구조요청신호 전달여부를 조난자에게 알려줌으로써, 구조당국에게는 조난자 구조를 위한 골든타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조난자에게는 구조요청신호가 구조당국에 전달되었음을 알려주어 생존노력을 증가시키는 인명구조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해양에서의 재난관리에 체계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적용되는 기술로는 저 전력 장거리통신(LPWA), 위치정보수집 기술, 조난신호 전파기술, 조난자 모니터링과 구조지원을 위한 조난정보 전송/공유기술 등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oy-type smart point-based marine lifesaving system that informs the distress of a rescue request signal, and based on a buoy-type smart point, the location of the distress when a marine vessel accident occurs, a biosignal, It is possible to check the distress environment in real time, and at the same time inform the distress of whether or not the rescue request signal is transmitted, so that the rescue authorities can secure a golden time for the rescue of the distress, and that the rescue request signal is delivered to the distress. It is intended to systematically respond to disaster management in the ocean by providing lifesaving systems that increase survival efforts. Technologies applied for this include low-power long-distance communication (LPWA), location information collection technology, distress signal propagation technology, distress information transmission/sharing technology for distress monitoring and rescue support.

세월호 침몰사고(2014), 인천 낚시어선 전복사고(2017) 등 해양 분야 대형재난사고와 더불어, 매년 해수욕장에서만 수십 명의 사망사고가 발생하고, 낚시어선 등에서도 매년 수십 건의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해양 안전사고는 2009년 이후 선박사고가 대폭적으로 증가하는데, 2016년 한 해 동안만 해도 해양 선박사고가 무려 2,610건이나 있었으며 그 중 인명사상 및 침몰, 좌초로 인한 사고만 874건에 달한다고 되어 있다. 이러한 현실을 감안할 때 요구조자 중심의 재난대응체계가 아직도 정착되지 못하였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해양에서의 재난대응 모니터링 체계를 요구조자 중심으로 재구축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In addition to large-scale disasters in the marine sector, such as the sinking of the Sewol Lake (2014) and the overturning of the Incheon fishing boat (2017), dozens of fatalities occur in the beach every year, and dozens of accidents occur in fishing boats, etc. every year. In particular, marine safety accidents have significantly increased since 2009, and there were 2,610 marine marine accidents in 2016 alone, of which 874 were due to human injury, sinking, and stranding. . Given this reality, it can be seen that the disaster response system centered on demanders has not yet been established.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rebuild the disaster response monitoring system in the ocean centering on demand.

한편, 소득증대와 주5일 근무제 정착 등으로 래프팅·윈드서핑·카약 등 수상레저 스포츠 및 해양 생태체험을 즐기는 인구가 급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해양 재난사고 발생 가능성과 빈도도 덩달아서 급증하고 있는바, 해양 재난사고 발생 시 체계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체계구축의 필요성이 더욱 증가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opulation enjoying water leisure sports and marine ecological experiences such as rafting, windsurfing and kayaking has increased rapidly due to increased income and the establishment of a five-day work week, and accordingly, the likelihood and frequency of marine disasters has increased rapidly. The need to build a system that can systematically respond to marine disasters is increasing.

자료에 의하면 10도 이하의 물에 빠진 경우 1시간 이내 의식을 잃을 수 있고, 3시간 이내 구조되어야 생존 가능하다 한다. 따라서 침몰, 좌초로 인한 사고발생시 요구조자에 대한 신속한 구조체계가 마련되어야 해양재난사고로 인한 인명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그러나 선박 중심의 해양재난 관리체계는 활발히 투자 및 개발되고 있으나 인명 조난에 대한 구조 활동을 위한 안전구난 체계 구축은 상대적으로 취약한 실정이다. 따라서 기존의 대응 및 복구 중심의 해양재난에 대한 관리체계를 선제적 예방 및 대비체계로 변환할 필요성이 있으며, 이를 위하여 다양한 IT 기기를 활용한 지능형 해양안전 재난관리 체계로의 전환이 대안으로 제시되어야 한다.According to the data, if you fall into the water below 10 degrees, you can lose consciousness within 1 hour, and you must be rescued within 3 hours to survive. Therefore, in the event of an accident caused by sinking or stranding,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rapid rescue system for the requesting helper to minimize human injury caused by a marine disaster. However, the marine disaster management system centered on ships is actively invested and developed, but the construction of a safety and rescue system for rescue operations against human distress is relatively weak.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convert the management system for marine disasters focused on response and recovery into a preemptive prevention and preparedness system. To this end, the transition to an intelligent marine safety disaster management system using various IT devices should be presented as an alternative. do.

특히, 해양 조난상황을 조기에 모니터링 할 수 있고 재난관련 대응기관에 재난정보 전송과 공유를 통하여 재난현장의 긴급대응과 구조를 지원할 수 있는 모니터링 시스템의 마련이 필요하며, 해양조난 현장에서는 라이프재킷 착용자의 위치정보를 수집하여 조난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고, 재난통신망을 통하여 지상용 모니터링 시스템에 재난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모니터링체계 구축이 시급한 실정이다.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early monitoring of marine distress situations and supporting emergency response and rescue at disaster sites through the transmission and sharing of disaster information to disaster-related response agencies, and life jacket wearers at marine distress sites It is urgent to establish a monitoring system that collects location information to enable monitoring of distress situations and to transmit disaster information to a ground monitoring system through a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

조난자 정보수집기술과 관련하여 종래의 기술로는 RFiD 기술을 적용한 라이프재킷이나, 위성통신 기술을 이용한 라이프재킷 등이 있으나, RFiD 기술을 적용한 라이프재킷의 경우 통신가능 거리 즉 커버리지 상 제약으로 인하여, 망망대해에서 요구조자를 찾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에 가까워, 실현가능성이 없는 기술로 판명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배터리 유지시간조차 제약이 많은 실정이다. 반면 위성통신 기술을 이용한 라이프재킷의 경우 통신 커버리지는 좋으나, 통신장비 가동에 따른 파워소모로 배터리유지시간이 극히 짧으며, 통신유지비가 과다할 뿐만 아니라 무게 및 크기 또한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어서 라이프재킷에 적용하는 것은 무리가 있어 왔다. 또한 조난자의 위치정보를 파악하는 기술로서 GPS기술 등이 제시되어 왔으나. 이 또한 위치정보를 전송해야 하는 관계로 상술한 바 있는 정보수집기술의 벽에 막혀있는 상태로 있는 등 해양재난을 요구조자 중심의 대응체계로 만들기 위해서는 수많은 현실적인 문제점이 있어왔다. Prior arts related to the distress information collection technology include life jackets using RFiD technology or life jackets using satellite communication technology, but in the case of life jackets using RFiD technology, network life is limited due to communication distance, that is, coverage limitations. It is virtually impossible to find a demander in the Great Sea, which proves to be a technology that is not feasible, and even limits battery life. On the other hand, the life jacket using satellite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good communication coverage, but the battery maintenance time is extremely short due to the power consump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equipment, and the communication maintenance cost is excessive, and the weight and size cannot be ignored. It has been difficult to apply. In addition, GPS technology has been suggested as a technology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a victim. This also has a number of practical problems to make the maritime disaster a response system centered on demand, such as being blocked on the wall of the information collection technology described above due to the need to transmit location information.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조난자에게 구조요청신호 전달결과를 알려주는 부이형 스마트포인트 기반 해양 인명구조시스템에서는, 저 전력 장거리 통신, GPS기반 위치신호 수신, 자이로센서, 생체정보획득수단, 환경정보획득수단 등을 이용하여 착용자의 위치 및 활동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라이프디바이스, 상기 라이프디바이스의 정보를 수신하여 육상 및 해상현장 구조선의 조난구조 관제서버로 정보를 전송하는 부이형 스마트포인트, 육상 및 선박에서 조난자의 조난구조 상황을 모니터링 하는 관제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구성하며, 통신환경이 원활하지 못한 해상사고의 특성을 고려하여 파도, 침수, 안개, 폭풍, 바람, 거리 등 해상의 제약사항을 극복할 수 있도록 10Km 내에 있는, 라이프디바이스를 착용한, 조난자의 위치정보, 생체정보 및 활동정보 등을 부이형 스마트포인트에서 수집하여 저장하도록 하고, 또한 부이형 스마트포인트에서는 장거리에 위치한 관제서버에 해당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난자에 대한 구조요청정보가 관제서버에 전달되었음을 조난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조난자가 희망을 갖고 생존노력에 최선을 다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 the buoy type smart point-based marine lifesaving system informing the distress of the rescue request signal transmission to the distressed person, low-power long-distance communication, GPS-based location signal reception, gyro sensor, biometric information Life device to acquire the wearer's location and activity information using means, environmental information acquisition means, etc., buoy type that receives information from the life device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distress control server of the rescue boats on land and sea. Constructs a system that includes a control server that monitors the distress and rescue situation of the victims on the smart point, land and ship, and considers the characteristics of maritime accidents in which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is not smooth. Waves, flooding, fog, storm, wind, distance, etc. In order to overcome maritime constraints, the location information, biometric information, and activity information of the distressed person wearing a life device within 10 km are collected and stored in the buoy type smart point. The purpose is to be able to transmit the information to the control server located.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that enables the distress to do their best in survival efforts with hope by informing the distress that the rescue request information for the distress has been delivered to the control server.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조난감지센서, 신호전달 확인장치 및 통신장치를 포함하는 라이프디바이스, 물 위에 뜰 수 있는 부이형으로서 조난발생 판단수단, 위치측정수단, 저장수단, 제1통신수단 및 제2통신수단을 포함하는 스마트포인트, 그리고 육상 또는 구조선박에 위치하는 관제서버로 이루어진 해양조난자 구조신호 관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라이프디바이스는, 상기 조난감지센서의 작동에 의하여 조난사고 발생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통신장치를 통하여 일정간격으로 상기 스마트포인트에 대한 연결을 시도하고, 상기 스마트포인트에 연결된 경우에는 자기선박 식별코드, 자신의 식별정보인 제1식별코드 및 조난신호가 포함된 제1조난정보를 일정간격으로 상기 스마트포인트에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포인트로부터 구조신호 전달결과를 전송받은 경우에는, 상기 신호전달 확인장치를 작동시켜, 상기 라이프디바이스에서 송출된 구조요청신호가 상기 관제서버에 전달되었다는 내용을 상기 라이프디바이스를 이용하는 조난자에게 알려주며; 상기 스마트포인트는, 상기 조난발생 판단수단이 조난사고 발생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제1통신수단을 통하여 상기 제1조난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하고, 상기 위치측정수단이 측정한 자신의 위치정보, 상기 자기선박 식별코드, 자신의 식별정보인 제2식별코드 및 조난신호가 포함된 제2조난정보를 일정간격으로 상기 제2통신수단을 통하여 상기 관제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관제서버로부터 상세정보 요청신호를 전송받은 경우에는,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상기 제1조난정보를 상기 제2통신수단을 통하여 상기 관제서버에 전송한 후, 상기 구조신호 전달결과를 상기 제1통신수단을 통하여 상기 라이프디바이스에 전송하며;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제2조난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2조난정보를 분석하여 조난선박을 식별하고, 상기 조난선박에 대한 조난위치를 특정한 후, 상기 제2조난정보를 전송한 상기 스마트포인트에 대하여 상기 상세정보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난자에게 구조요청신호 전달결과를 알려주는 부이형 스마트포인트 관제시스템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life device including a distress detection sensor, a signal transmission confirmation device, and a communication device, as a buoy that can float on water, a distress occurrence determination means, a location measurement means, In the rescue signal control system for a marine distress consisting of a storage point, a smart point including a first communication means and a second communication means, and a control server located on a land or rescue ship, the life device operates the distress detection sensor. When it is switched to the distress accident occurrence mode by, it attempts to connect to the smart point at regular intervals through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when the first distress information including the distress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mart point at regular intervals, and when the rescue signal transmission result is transmitted from the smart point, the signal transmission confirmation device is operated to be transmitted from the life device. Inform the distress using the life device that the rescue request signal has been delivered to the control server; The smart point collects the first distress information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means and stores it in the storage means when the distress occurrence determination means determines that a distress accident has occurred, and its location measured by the location measurement means The second distress information including the information, the magnetic vessel identification code, the second identification code as its own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distress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server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means at regular intervals, and details from the control server. When an information request signal is received, after transmitting the first distress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means to the control server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means, the rescue signal transmission result is transmitted to the life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means. Send to the device; When the second distress information is received, the control server analyzes the second distress information to identify a distress ship, identifies the distress location for the distress ship, and transmits the second distress information. Transmitting the detailed information request signal to a poin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eferable to be a buoy type smart point control system that informs the victim of the rescue request signal transmission result.

그리고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라이프디바이스는, 위치측정장치, 자이로센서, 생체정보 획득수단 및 환경정보 획득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포인트로부터 추가정보 요청신호를 전송받은 경우에는, 상기 추가정보 요청신호에 따라 상기 위치측정장치, 상기 자이로센서, 상기 생체정보획득수단 또는 상기 환경정보획득수단을 가동시켜 상기 위치측정장치가 측정한 조난자 위치정보, 상기 자이로센서가 측정한 조난자 활동정보, 상기 생체정보획득수단이 획득한 조난자 생체정보 또는 상기 환경정보획득수단이 획득한 조난환경정보를 상기 제1조난정보에 더 포함하여 상기 스마트포인트에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포인트는, 상기 제1조난정보를 전송한 라이프디바이스에 대하여 일정시간 간격으로 상기 조난자 위치정보, 상기 조난자 활동정보, 상기 조난자 생체정보 또는 상기 조난환경정보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추가정보를 요청하는 상기 추가정보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난자에게 구조요청신호 전달결과를 알려주는 부이형 스마트포인트 기반 해양 인명구조시스템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features, the life device further includes a location measuring device, a gyro sensor, bio-information acquiring means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acquiring means, and when the additional information request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smart point, the additiona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equest signal, the position measuring device, the gyro sensor, the bio-information acquisition means or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acquisition means is operated to operate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distress measured by the position measuring device, the distress activity information measured by the gyro sensor, and the living body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distress obtained by the information acquisition means or the distress environment information obtained by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acquisition means is further included in the first distress information and transmitted to the smart point, and the smart point transmits the first distress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transmits the additional information request signal for requesting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one or more of the distress location information, the distress activity information, the distress biometric information or the distress environment information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for a life device.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buoy type smart point-based marine lifesaving system to inform the victims of the rescue request signal.

또한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라이프디바이스는, 일정시간 동안 상기 스마트포인트에 대한 연결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연결시도 간격을 확대하고, 상기 스마트포인트는, 상기 제2조난정보를 전송한 때로부터 일정한 시간이 지나기까지 상기 관제서버로 부터 상기 상세정보 요청신호를 전송받지 못한 경우에는 상기 제2조난정보를 전송하는 시간간격을 확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난자에게 구조요청신호 전달결과를 알려주는 부이형 스마트포인트 기반 해양 인명구조시스템으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features, if the connection to the smart point is impossibl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life device expands the connection attempt interval, and the smart point has a certain time from when the second distress information is transmitted. If the detailed information request signal is not received from the control server until it passes, the time interval for transmitting the second distress information is expanded, and the buoy type smart point that informs the distress of the rescue request signal transmission result. It is also desirable to use an offshore lifesaving system.

그리고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스마트포인트의 제1통신수단에는 게이트웨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포인트는 상기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상기 라이프디바이스와 상기 관제서버 간의 통신을 허용하며,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상기 라이프디바이스에 접속하여 제어 및 정보 수집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난자에게 구조요청신호 전달결과를 알려주는 부이형 스마트포인트 기반 해양 인명구조시스템으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며, 이에 더하여 상기 스마트포인트는, 조난사고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1통신수단을 통하여 상기 제1조난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중 상기 제1조난정보에 상기 자기선박 식별코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자기선박의 탑승객이 조난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1조난정보에 상기 자기선박 식별코드가 포함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타 선박 탑승객의 조난으로 판단하여, 상기 제1조난정보 수신결과를 상기 제2통신수단을 통하여 상기 자기선박의 관리서버 또는 상기 관제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난자에게 구조요청신호 전달결과를 알려주는 부이형 스마트포인트 기반 해양 인명구조시스템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And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features, the first communication means of the smart point further includes a gateway, the smart point allows communication between the life device and the control server through the gateway, and the control server is the gateway It is preferable to use a buoy-type smart point-based marine lifesaving system to inform the distress of the rescue request signal transmission resul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access and control and collect information through the life device. The point is that when the first distress information is received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means in a state in which no distress accident has occurred, if the first distress information includes the magnetic ship identification code, the passenger of the magnetic ship If the first distress information is determined to be distressed and the first ship information does not include the magnetic ship identification code, it is determined as the distress of another ship's passengers, and the first distress information reception result is received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means.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buoy type smart point-based marine lifesaving system that informs the distress of the rescue request signal transmission result, which is transmitted to the ship's management server or the control server.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한 조난자에게 구조요청신호 전달결과를 알려주는 부이형 스마트포인트 기반 해양 인명구조시스템은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스마트포인트는, 조난사고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1통신수단을 통하여 일정시간 간격으로 상기 라이프디바이스에 대하여 상태정보 요청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라이프디바이스는, 상기 상태정보 요청신호를 전송받은 경우에는 상기 제1식별코드를 포함하는 자신의 디바이스 상태정보를 상기 통신장치를 통하여 상기 스마트포인트로 전송하며, 상기 스마트포인트는, 상기 디바이스 상태정보를 상기 제2통신수단을 통하여 상기 관리서버 또는 상기 관제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buoy-type smart point-based marine lifesaving system that notifies the distr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rescue request signal transmission result is,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features, the smart point is the first if the distress accident does not occur A status information reques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life device at regular time intervals through a communication means, and when the status information request signal is received, the life device receives its device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the first identification code.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smart point is transmitted to the smart point through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smart point transmits the device status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or the control server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means.

본 발명에 의한, 조난자에게 구조요청신호 전달결과를 알려주는 부이형 스마트포인트 기반 해양 인명구조시스템은 스마트포인트의 제1통신수단이 AP역할을 하며 주변에 있는 라이프디바이스들에 대하여 사물인터넷망을 구성하고, 스마트포인트의 제2통신수단을 해상무선 데이터망에 접속시켜, 멀리 떨어져 있는 관제서버에 조난상황을 알려줄 수 있기 때문에 해양재난사고 발생 시 조난자(요구조자)들의 위치정보와 더불어서 조난자 활동정보, 조난자 생체정보 및 조난환경정보 등을 정확하고 빠르게 원격지에 위치한 구조당국 및 구조선박 등에 알려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uoy-type smart point-based marine lifesaving system that informs the victim of the rescue request signal transmission results in that the first communication means of the smart point acts as an AP and configures the Internet of Things for nearby life devices. And, by connecting the second communication means of the smart point to the maritime wireless data network, it can inform the remote control server of the distress situation, so when a marine disaster occurs, the information of the distress (recovery), along with the distress activity information, distress It has the effect of accurately and quickly reporting biological information and distress environment information to rescue authorities and rescue ships located at remote locations.

뿐만 아니라, 라이프디바이스에서 송출한 구조요청신호가 관제서버에 전달되는 경우 라이프디바이스에 포함된 신호전달 확인장치가, 구조당국에 구조요청신호가 전달되어 구조 중이라는 사실을 조난자에게 알려줄 수 있기 때문에 조난자들이 희망을 잃지 않고 버틸 수 있는 힘을 주고, 이에 따라 조난자의 생존노력이 증가되고 결과적으로 구조 시까지 조난자의 생존율을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when the rescue request signal sent from the life device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server, the signal transmission confirmation device included in the life device can transmit the rescue request signal to the rescue authority and inform the distress that it is under rescue. They give the power to endure without losing hope, and accordingly, the survivor's survival efforts are increased, and as a result, the survivor's survival rate can be increased until rescue.

또한 스마트포인트의 제1통신수단이 라이프디바이스들에 대한 게이트웨이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관제서버와 라이프디바이스 간에 직접적인 정보교환을 할 수 있고 관제서버가 라이프디바이스에 대한 원격제어까지도 가능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first communication means of the smart point can act as a gateway for life devices, it is possible to directly exchange information between the control server and the life device, and the control server can even remotely control the life device.

또한 라이프디바이스의 통신수단은 저 전력을 사용하는 사물인터넷망을 통하여 구현하기 때문에 해양재난 사고발생시 오랜 시간동안 라이프디바이스의 상태정보를 스마트포인트를 통하여 전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라이프디바이스 또는 스마트포인트에서 최소한의 정보만 전송하다가 필요시에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는 알고리즘을 구현하기 때문에 라이프디바이스나 스마트포인트의 배터리를 최대한 장시간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because the communication device of Life Device is implemented through the IoT network that uses low power, it is possible to transmit the status information of Life Device through a smart point for a long time in the event of a marine disaster, as well as at least from Life Device or Smart Point. Since it implements an algorithm that transmits only the information and provides detailed information when necessary, it has the effect of allowing the battery of a life device or a smart point to be used for as long as possible.

이에 더하여 라이프디바이스와 스마트포인트 간의 통신이 제대로 되지 않는 상태인 경우 즉, 해류 등에 의하여 라이프디바이스가 스마트포인트로부터 멀리 떨어지게 되는 경우에는 스마트포인트의 AP연결이 불가능해지는데, 이런 경우에 지속적으로 AP연결을 시도하면 배터리의 소모가 많아지게 되므로, AP연결이 일정시간 동안 불가능한 경우에는 AP연결 시도 간격을 길게 하도록 하여 AP연결 시도에 따른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스마트포인트가 관제서버와 통신이 원활하지 않는 경우에도 제2조난정보 전송간격을 길게 하도록 하여 스마트포인트의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f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life device and the smart point is not properly performed, that is, if the life device is far away from the smart point due to currents, etc., the AP connection of the smart point becomes impossible. Since the battery consumption increases when attempted, if the AP connection is impossibl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AP connection attempt is lengthened to minimize battery consumption due to the AP connection attempt. In addition, even if the smart point does not communicate with the control server smoothly, the second distress information transmission interval is lengthened to minimize the battery consumption of the smart point.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해당선박의 조난사고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라 하더라도 스마트포인트가 지속적으로 제1조난신호 발생여부를 감시할 수 있기 때문에, 자기선박의 탑승객 중 추락 등에 의한 조난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이를 감지해 낼 수 있고, 타 선박의 조난사고로 인하여 발생된 조난자로부터 오는 신호도 감지해 낼 수 있기 때문에 모든 선박들이 상호 간에 해양 재난사고 감시 및 구조활동에 원활하게 참여할 수 있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distress accident of the corresponding ship does not occur, since the smart point can continuously monitor whether the first distress signal is generated, when a distress accident occurs due to a fall, etc. among the passengers of the own ship Edo can detect this, and it can also detect signals from distress caused by distress accidents of other ships, so all ships can effectively participate in marine disaster accident monitoring and rescue activities. .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평상시 스마트포인트가 선박 내 라이프디바이스에 대한 자체점검을 자동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라이프디바이스의 관리 및 정비를 원활하게 하여 라이프디바이스 불량에 따른 문제점 발생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problems caused by poor life devices by smoothly managing and maintaining the life devices because the smart point can automatically perform self-inspection of the life devices on board the ship. hav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난자에게 구조요청신호 전달결과를 알려주는 부이형 스마트포인트 기반 해양 인명구조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라이프디바이스의 IoT통신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스마트포인트가 라이프디바이스들에 대한 게이트웨이 역할을 하는 경우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스마트포인트의 IoT통신 및 초고속 무선통신 구성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에서 해양재난사고 발생 시 작동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라이프디바이스가 스마트포인트의 AP연결이 중단되었을 때 재시도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에서 평상시 조난자를 감시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평상시 라이프디바이스를 점검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buoy type smart point-based marine lifesaving system informing a distress of a rescue request signal transmission resu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IoT communication of a life devic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case where the smart poin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erves as a gateway for life devices.
4 is a block diagram of IoT communication and ultra-high-speed wireless communication of a smart poin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peration process when a marine disaster occurs in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retry process when the AP connection of the smart device is interrupt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flow chart showing the process of monitoring the victims in the usual in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 chart showing a process of checking the life device in the normal life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상술한 목적과 특징이 분명해지도록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한 공지기술 중 이미 그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는 것으로서, 그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to clarify the objects and features described above, and accordingl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mong the known technologie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ready well-known in the technical field,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determin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omitted.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 예들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elected as general terms that are currently widely used as much as possible, but in certain cases, some terms are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is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applicable invention, so simple terms It is intended to clarify that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a meaning of a term rather than a name of. Terms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다양한 부가적 실시 예들을 가질 수 있는데, 여기에서는 특정한 실시 예들이 도면에 표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실시 예들을 특정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 예들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이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The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may have various additional embodiments, in which specific embodiments are shown in the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s related thereto are described.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to a specific form, and should be understood as including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embodiments.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 가운데 “제1”, “제2”, “첫째” 또는“둘째”등의 표현들이 실시 예들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구분하여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즉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 짓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 가운데 사용될 수 있는 “포함 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발명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expressions such as “first”, “second”, “first”, or “second” may be modified by distinguishing various components of the embodim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For example, the above expressions do not limit the order or importance of the components. That is, the above expressions may b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expressions such as “include” or “may include” which may be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may include the corresponding function, operation, or invention. Indicates the presence of a component, etc., and does not limit additional one or more functions, operations, or components.

본 발명에 의한, 조난자에게 구조요청신호 전달결과를 알려주는 부이형 스마트포인트 기반 해양 인명구조시스템에서는, 조난사고 발생시 선박에서 투척되면 바다위에 떠 있을 수 있는 부이형 스마트포인트를 중심으로 조난사고 현장에 저 전력 장거리 통신(Low Power Wide Area, LPWA) 사물인터넷(IoT)망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구명재킷이나 구명환 또는 구명보트 등의 라이프디바이스들은 상기 부이형 스마트포인트가 형성한 사물인터넷(IoT)망을 통하여 상기 부이형 스마트포인트의 액세스포인트(Access Point)와 게이트웨이에 접속하도록 하여 라이프디바이스의 위치와 조난자 활동정보 등 조난정보를 제공하고, 조난정보를 수신하는 부이형 스마트포인트는 원격지에 위치한 관제서버나 관련기관 모니터링 장비 등에 대하여 초고속 해상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조난정보를 주고받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부이형 스마트포인트는 최소한 두 개의 통신망 즉, 사물인터넷망과 초고속 해상무선통신망을 포함하고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marine lifesaving system based on a buoy type smart point that notifies the distress of a rescue request signal to the distressed person, when a distress accident occurs, when the ship is thrown from the ship, the buoy type smart point that can float on the sea is centered on the distress accident site. It is desirable to form a low power wide area (LPWA) Internet of Things (IoT) network. In addition, life devices such as life jackets, life jackets, or lifeboats are connected to the access point and gateway of the buoy smart point through the IoT network formed by the buoy smart point, thereby allowing the life devices Buoy-type smart points that provide distress information, such as location and distress information, and receive distress information are preferably configured to send and receive distress information through a high-speed maritim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a remote control server or related institution monitoring equipment. Do. Therefore, it is desirable that the buoy type smart point includes at least two communication networks, that is, the Internet of Things and the high-speed maritim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여기서 LPWA 즉 저 전력 장거리 통신기술이란 사물인터넷(IoT) 분야에서 사용하는 기술 가운데 하나로서, 기존 근거리무선통신이나 일반 이동통신과는 다른 필요에 의해 등장했는데, 저 전력 소모, 저가의 단말기, 낮은 구축비용, 안정적인 커버리지, 대규모로 접속 가능 등 다양한 사물인터넷 조건을 충족할 수 있는 통신수단이다. 통상의 IoT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 근거리무선통신을 활용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IoT 서비스 범위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근거리무선통신의 가장 큰 단점인 `단거리`를 극복해야 했다. LTE 같은 일반 이동통신 기술처럼 통신 칩 가격이 비싸도 안 된다. 충전이 어렵기 때문에 전력 소모도 적어야 한다. LPWA 구현을 위한 구체적 조건으로 배터리 수명 10년, 기기 당 5달러 이하 등이 제시된다.Here, LPWA, or low-power long-distance communication technology, is one of the technologies used in the field of Internet of Things (IoT). It appeared due to a different need from the exist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or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It is a communication means that can satisfy various IoT conditions, such as cost, stable coverage, and large-scale access. A typical IoT can provide services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and Wi-Fi. However, in order to expand the range of IoT services, it was necessary to overcome the short-range, the biggest shortcoming of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Like a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such as LTE, a communication chip price should not be high. Since it is difficult to charge, the power consumption should also be low. Specific conditions for LPWA implementation include a battery life of 10 years and less than $5 per device.

한편, 라이프디바이스나 스마트포인트는 자신의 위치정보를 스스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서는 GPS 위치측정수단을 이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마트포인트는 구조를 위해 접근하는 선박이나 인근해상을 지나는 선박 또는 구조헬기 등과도 통신할 수 있도록, 스마트포인트에는 Wifi나 VHF통신수단 같은 제3의 통신수단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스마트포인트와 라이프디바이스들은 선박내에 항상 탑재하고 다니는 장비로서, 선박이 정박 시나 평상운행 시에는 선내에서 스마트포인트와 라이프디바이스에 대한 통신망이 가동되고, 스마트포인트는 선내 통신망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스마트포인트가 라이프디바이스들에 대한 자동점검과 관리 등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선박의 좌초 등 해양재난사고 발생시 스마트포인트가 자동으로 해상에 투척되도록 하여 조난발생 모드로 자동 전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it is desirable for a life device or a smart point to be able to grasp its own location information on its own, and for this, it is preferable to use a GPS location measuring means. In addition,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smart point also includes a third communication means such as Wifi or VHF communication means so that the smart point can communicate with a ship approaching for rescue or a ship or rescue helicopter passing through the nearby sea. Smart Points and Life Devices are equipment that is always carried on board ships, and when the ship is moored or during normal operation, the communication network for Smart Points and Life Devices is operated on board, and Smart Points are connected to the ship's communication networks. It is desirable to enable automatic inspection and management of life devices, and to automatically switch to distress generation mode by automatically throwing smart points into the sea in the event of a marine disaster such as a stranded ship.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난자에게 구조요청신호 전달결과를 알려주는 부이형 스마트포인트 기반 해양 인명구조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조난자에게 구조요청신호 전달결과를 알려주는 부이형 스마트포인트 기반 해양 인명구조시스템은 라이프디바이스(100), 스마트포인트(200) 및 관제서버(300)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라이프디바이스(100)는 구명재킷이나 구명환 등 개인용 구명장비를 말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구명보트 등도 해당될 수 있다. 상기 라이프디바이스에는 조난감지센서(110), 신호전달 확인장치(170) 및 통신장치(140)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더하여 위치측정장치(120), 자이로센서(130), 생체정보 획득수단(150) 및 환경정보 획득수단(160)을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irst, 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buoy type smart point-based marine lifesaving system informing a victim of a rescue request signal transmission resu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uoy type smart point-based marine lifesaving system for informing the victim of the rescue request signal transmission includes the life device 100, the smart point 200 and the control server 300 It is desirable to do. Here, the life device 100 refers to personal life-saving equipment such as a life jacket or a life jacket, and in some cases, a lifeboat or the like. It is preferable that the life device includes a distress detection sensor 110, a signal transmission confirmation device 170, and a communication device 140. In addition, a position measurement device 120, a gyro sensor 130, and biometric information acquisition It is also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the means 150 and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obtaining means 160.

상기 라이프디바이스(100)의 조난감지센서(110)는 상기 라이프디바이스(100)가 바다에 있는 상태 즉, 예를 들어 구명재킷을 착용한 승객이 바다에 빠진 상태이거나, 구명보트 등이 바다위에 올려 진 상태 등을 감지해 낼 수 있는 센서로서, 공지된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센싱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물속에 잠긴 부분의 압력이 올라가는 것을 측정한다거나, 구명재킷에 공기가 부풀어 오르면, 공기압을 감지해 낼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자이로센서나 진동센서 등 라이프디바이스(100)의 움직임 상태를 이용하거나, 중력센서나 가속도센서에 의한 급속한 위치, 속도변화 파악 등 기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조난상태를 감지하는 방법의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라이프디바이스(100)에는 상기 조난감지센서(110)에 의하여 조난상태를 감지하도록 하는 것 외에도 조난자 스스로 수동조작에 의하여 조난사고 발생모드로 전환할 수 있는 모드변환 스위치(미도시)가 더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In the distress detection sensor 110 of the life device 100, the life device 100 is in the sea, that is, for example, a passenger wearing a life jacket is in the sea, or a lifeboat is put on the sea. As a sensor capable of detecting a lost state, etc., sensing may be performed by various known methods. For example, a pressure sensor may be used to measure the pressure rise in a submerged part, or if air is swollen in a life jacket, air pressure may be detect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pply a method of detecting a distress state by using a motion state of the life device 100, such as a gyro sensor or a vibration sensor, or by grasping a rapid position and speed change by a gravity sensor or an acceleration sensor. In addition to allowing the distress detection sensor 110 to detect the distress state, the life device 100 further includes a mode conversion switch (not shown) that enables the distress victim to manually switch to the distress accident generation mode by manual manipulation. It is more preferable to do.

상기 신호전달 확인장치(170)는 상기 스마트포인트(200)로부터 구조신호 전달결과를 전송받은 경우, 상기 라이프디바이스(100)에서 송출된 구조요청신호가 상기 관제서버(300)에 전달되었다는 내용을 상기 라이프디바이스(100)를 이용하는 조난자에게 알려주는 수단으로서, 방수기능을 갖춘 스피커 등을 이용하여 음성 등의 오디오출력으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며, 방수기능을 갖는 신호램프 등을 이용하여 색깔로 표시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When the signal transmission confirmation device 170 receives a result of transmitting a rescue signal from the smart point 200, the signal indicating that the rescue request signal sent from the life device 100 has been delivered to the control server 300 As a means of informing the distressed person using the life device 100, it is also preferable to use an audio output such as voice using a waterproof speaker or the like, and to display a color using a waterproof signal lamp or the like. It is possible.

한편 상기 위치측정장치(120)는 GPS를 이용한 위치정보 수집장치로서 GPS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라이프디바이스(100) 자신의 위치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통상 GPS를 이용한 위치정보 수집장치는 10m 이내의 오차로 자신이 위치한 곳을 정확하게 측정해 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이로센서(130)는 조난자의 활동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센서인데, 상세한 활동정보 수집을 위해 9축의 자이로센서에 가속도센서까지 포함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자이로센서(130)는 조난자의 움직임정보, 자세 등에 관한 정보를 측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조난자가 생존해 있는지 또는 움직임이 많은지 등을 판단해 낼 수 있고 이는 조난자의 상태를 파악하는 중요한 수단이 된다. Meanwhile, the location measuring device 120 is a location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using GPS, and it is preferable to use a GPS device to measur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life device 100 by receiving a GPS signal. The collection device can accurately measure where it is located with an error of less than 10 m. In addition, the gyro sensor 130 is a sensor for collecting activity information of the distress, and it is also preferable to include an acceleration sensor in the 9-axis gyro sensor for collecting detailed activity information. The gyro sensor 130 can measure the information of the victim's movement information, posture, and the like, thereby determining whether the victim is alive or having a lot of movement, which is an important means of determining the status of the victim. do.

상기 생체정보획득수단(150)은 조난자의 생체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다수의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조난자의 체온을 측정하여 체온 정보를 획득하는 체온센서, 조난자의 혈압을 측정하여 혈압정보를 획득하는 혈압센서, 조난자의 심전도를 측정하여 심전도정보를 획득하는 심전도센서 및 조난자의 산소포화도를 측정하여 산소포화도정보를 획득하는 산소포화도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bio-information acquisition means 150 is preferably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sensors for collecting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distress, a body temperature sensor that measures the body temperature of the distress and obtains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measures the blood pressure of the distress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t least one sensor among a blood pressure sensor for obtaining blood pressure information, an electrocardiogram sensor for measuring electrocardiogram information of a distressed person and an oxygen saturation sensor for obtaining oxygen saturation information by measuring an oxygen saturation degree of a distressed person. .

또한 상기 환경정보획득수단(160)은 조난자가 조난당한 해역의 주변 환경상태를 파악하는 수단으로서 조난자가 위치한 곳의 수온을 측정할 수 있는 온도센서, 조난자가 위치한 곳의 파도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가속도센서 등이 포함될 수 있을 것인데, 조난자에게는 무엇보다도 수온이 중요하므로 온도센서는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acquisition means 160 is a means for grasp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sea where the distress has been distressed, a temperature sensor capable of measuring the water temperature where the distress is located, and a wave condition where the distress is located. Accelerometers, etc. may be included, but the temperature sensor should be included as the water temperature is the most important for the distress.

한편 상기 통신장치(140)는 상기 스마트포인트(200)가 형성시킨 사물인터넷망인 제1통신망(400)을 통하여 상기 라이프디바이스(100)를 상기 스마트포인트(200)에 접속할 수 있는 수단이다. 상기 통신장치(140)는 상술한 바 있는 저 전력 장거리 통신(LPWA)을 통하여 사물인터넷망에 접속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조난자에게 구조요청신호 전달결과를 알려주는 부이형 스마트포인트 기반 해양 인명구조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라이프디바이스(100)의 IoT통신 구성도인데,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라이프디바이스(100)에는 상술한 구성들 외에도 상기 구성들에 대한 제어 등을 위한 제어수단인 MCU가 포함되도록 하고, LPWA 통신을 위한 안테나와 GPS통신을 위한 안테나가 각각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들을 가동시키기 위한 전원으로서 내장배터리가 필요한데, 정박 시 또는 정상운항 시 슬립모드에서 적어도 1년 이상은 사용이 가능하여야 하고 조난사고 발생 시에는 적어도 48시간 이상은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the communication device 140 is a means for connecting the life device 100 to the smart point 200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400, which is an Internet of Things network formed by the smart point 200. The communication device 140 may access the Internet of Things network through low-power long-distance communication (LPWA) as described above. FIG. 2 is an IoT communication configuration diagram of a life device 100 used in a buoy type smart point-based marine lifesaving system informing a distress of a rescue request signal transmission resu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s, it is preferable that the device 100 includes an MCU that is a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s, and includes an antenna for LPWA communication and an antenna for GPS communication, respectively. In addition, a built-in battery is required as a power source for operating them.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use at least one year in sleep mode at the time of anchoring or normal operation, and for at least 48 hours in case of distress.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포인트(200)는 물 위에 뜰 수 있는 부이형으로서, 정박 중이거나 정상항해 중에는 선박 내 일정장소에 고정 위치하며, 외부전원에 의한 충전수단을 이용하여 내장되어 있는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해오다가, 조난사고 발생 등 비상상황이 되면 자동으로 또는 수동으로 바다 위에 투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포인트(200)는 조난발생 판단수단(210), 위치측정수단(220), 저장수단(230), 제1통신수단(240) 및 제2통신수단(250)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smart point 200 is a buoy that can float on the water, and is fixed at a certain place in the ship during anchoring or normal navigation, and uses the built-in battery using charging means by external power. It is desirable to throw it over the sea either automatically or manually when it comes to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a distress accident.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1, the smart point 200 is a distress determination means 210, a location measurement means 220, storage means 230, the first communication means 24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eans 250 It is preferable to include.

상기 조난발생 판단수단(210)은 상기 스마트포인트(200)가 바다에 떠 있는 상태 즉, 조난사고 발생 등 비상상황이 되어 자동으로 또는 수동으로 바다위에 투척된 상태가 되면 이를 자동으로 감지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조난발생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가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가속도센서에 의한 급작스러운 운동량 감지, 압력센서에 의하여 물속에 잠긴 부분의 압력증가 감지, 진동센서에 의한 진동발생 감지 등이 있을 것인데, 이러한 감지수단과 함께 충전상태인지 여부를 연동해서 감지하도록 하면 정확한 감지가 가능해질 것인데, 바다에 투척된 상태이면 당연히 충전상태가 아닐 것이기 때문이다. 즉, 충전상태 여부는 선박이 정상운영 상태인지 조난상태인지를 판단하는 중요한 판단수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스마트포인트(200)를 수동으로 바다에 투척하는 경우에는 투척자 등이, 조난발생 상태로 수동 전환하여 투척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distress occurrence determination means 210 can automatically detect when the smart point 200 is floating in the sea, that is,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a distress accident, is automatically or manually thrown on the sea. As a means, it will be possible to accurately determine the occurrence of distress by various methods. For example, there may be a sudden momentum detection by an acceleration sensor, pressure increase detection of a submerged part by a pressure sensor, and vibration occurrence detection by a vibration sensor. Doing so will enable accurate detection, as it would of course not be charged if thrown into the sea. In other words, the state of charge may be an important means of determining whether the ship is in a normal operating state or a distressed state. When the smart point 200 is manually thrown into the sea, it is also possible for the thrower and the like to manually switch to the distress generation state to throw the smart point 200.

그리고 상기 위치측정수단(220)은 상술한 바 있는 상기 라이프디바이스(100)의 위치측정장치(120)와 마찬가지로 GPS를 이용한 위치정보 수집장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마트포인트(200)에는 상기 저장수단(230)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저장수단(230)에는 상기 라이프디바이스(100)에서 전송하는 제1조난정보 또는 상기 위치측정수단(220)에서 측정한 위치정보 등이 저장되게 되며, 저장되는 위치정보는 상기 라이프디바이스(100) 또는 상기 스마트포인트(200)가 해류 등에 의하여 표류되는 궤적 등을 알아낼 수 있는 중요한 정보가 될 수 있다. 상기 저장수단(230)은 중량, 전력소모량 등을 감안할 때 플레시메모리 등과 같은 반도체로 구성되는 저장수단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HDD 등의 다른 저장수단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location measuring means 220 is preferably a location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using GPS, similar to the location measuring device 120 of the life device 100 described above.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include the storage means 230 in the smart point 200. The storage means 230 includes first distress information or location measurement means 220 transmitted from the life device 100. The location information, etc. measured at will be stored, and the stored location information may be important information for determining the trajectory of the life device 100 or the smart point 200 drifting due to the current. The storage means 230 is preferably a storage means composed of a semiconductor such as a flash memory in consideration of weight, power consumption, etc., but may be used as other storage means such as an HDD in some cases.

한편 상기 제1통신수단(240)은 상기 스마트포인트(200) 주변에 LPWA 사물인터넷망을 형성시키고, 상기 라이프디바이스(100)들이 접속할 수 있는 Access Point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사물인터넷망의 게이트웨이 즉 LPWA 게이트웨이 역할도 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관제서버(300)가 상기 LPWA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상기 라이프디바이스(100)들로 부터 직접 정보를 수집하거나 상기 라이프디바이스(100)들에 포함된 센서 등을 직접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 질 것이다. 도 3은 상기 제1통신수단(240)이 상기 라이프디바이스(100)들에 대한 LPWA 게이트웨이 역할을 하는 경우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관제서버(300)는 상기 LPWA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상기 라이프디바이스(100)로부터 직접 정보를 수집하거나 상기 라이프디바이스(100)에 대하여 직접 명령을 내릴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LPWA 게이트웨이는 상기 관제서버(300)와 상기 라이프디바이스(100)와의 통신신호에 대한 터널링을 형성한다. Meanwhile, the first communication means 240 forms an LPWA Internet of Things network around the smart point 200, and serves as an access point for the life devices 100 to access, as well as a gateway of the Internet of Things (LPWA). It is also desirable to be able to act as a gateway. Therefore, it will be possible for the control server 300 to directly collect information from the life devices 100 through the LPWA gateway or directly control sensors included in the life devices 100.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ase where the first communication means 240 acts as an LPWA gateway for the life devices 100, as shown in FIG. 3, the control server 300 displays the LPWA gateway. Through this, information can be directly collected from the life device 100 or a command can be directly issued to the life device 100. In this case, the LPWA gateway communicates the communication signal between the control server 300 and the life device 100. For tunneling.

그리고 상기 제2통신수단(250)은 상기 스마트포인트(200)가 상기 관제서버(300)와 통신할 수 있는 수단이다. 도 1에서 보듯이 상기 스마트포인트(200)는 제2통신망(500)을 통하여 상기 관제서버(300)와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제2통신망(500)은 초고속 해상무선통신망으로서 하고, 상기 제2통신수단(250)은 초고속 해상무선통신망인 무선백홀용 LTE-M망 접속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모듈로 설계하여 장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즉, 국내 연근해 대부분 Coverage확보가 가능한 e-Navigation 기반 LTE-M모듈을 착용하여 재난 수신정보를 육상 기지국에 데이터 전송하도록 하되, LTE망을 이용한 면허대역 주파수를 사용하여 주파수 간섭 영향이 없도록 하고, 통신 커버리지가 관제서버가 위치한 곳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eans 250 is a means for the smart point 200 to communicate with the control server 300. As shown in Figure 1, the smart point 200 is preferably connected to the control server 300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500,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500 is a high-speed maritim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second communication means 250 is designed and installed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dule capable of accessing an LTE-M network for wireless backhaul, which is a high-speed maritim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 other words, by wearing the e-Navigation-based LTE-M module capable of securing coverage in most of the offshore coastal areas of Korea, data for disaster reception is transmitted to a land base station, but there is no influence of frequency interference by using a licensed band frequency using the LTE network This is to allow coverage to reach the control server.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조난자에게 구조요청신호 전달결과를 알려주는 부이형 스마트포인트 기반 해양 인명구조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스마트포인트(200)의 IoT통신 및 초고속 무선통신 구성도이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포인트(200)에는 상술한 구성들 외에 WiFi 모듈과 VHF채널 등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한데, 이들은 인근 해상을 지나는 선박이나 구조 등을 위해 접근하는 구조선박 또는 구조헬기 등과의 통신을 위한 제3의 채널형성 수단으로 이용이 가능하며, VHF채널을 통하여 조난신호를 실시간으로 전파하거나, 구조선박 또는 구조헬기 등에서 조난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WiFi 통신을 통하여 자료를 실시간으로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4 is a schematic diagram of IoT communication and ultra-high-speed wireless communication of a smart point 200 used in a buoy type smart point-based marine lifesaving system informing a distress of a rescue request signal transmission resu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the smart point 200 may include a WiFi module and a VHF channel, etc.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s. These are rescue ships or rescue helicopters approaching for ships or rescues passing through the nearby sea. It can be used as a third channel forming means for communication, and when the distress signal is propagated in real time through the VHF channel or when distress information is requested from a rescue ship or rescue helicopter, data can be exchanged in real time through WiFi communication. It is also possible to do so.

한편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조난자에게 구조요청신호 전달결과를 알려주는 부이형 스마트포인트 기반 해양 인명구조시스템에서 해양재난사고 발생 시 작동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이용하여 해양재난사고 발생 시 상기 라이프디바이스(100), 상기 스마트포인트(200) 및 상기 관제서버(300) 등에 대한 상호 간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Meanwhile, FIG. 5 is a flow chart showing an operation process when a marine disaster occurs in a buoy type smart point-based marine lifesaving system informing a victim of the rescue request signal transmission resu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n operation process of the life device 100, the smart point 200, and the control server 300 in the event of a marine disast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라이프디바이스(100)는 조난발생 전은 물론 조난발생 시 상기 스마트포인트(200)를 AP로 하여 상기 상기 스마트포인트(200)에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101 단계). 그리고 상기 라이프디바이스(100)는 상기 통신장치(140)를 상기 스마트포인트(200)와 연결하는 최소한의 통신상태는 유지하도록 하되 상기 라이프디바이스(100)에 내장된 배터리 소모예방을 위해 상기 위치측정장치(120), 상기 자이로센서(130), 상기 생체정보 획득수단(150), 상기 환경정보 획득수단(160) 등은 슬립모드로 해놓는 것이 좋다. 조난사고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라이프디바이스(100)는 상기 조난감지센서(110)에 의하여 조난발생모드로 변경되게 되고(s102 단계), 상기 스마트포인트(200) 역시 조난발생 판단수단(210)에 의하여 조난발생으로 판단하게 된다(s201 단계). 따라서 상기 라이프디바이스(100)는 자기선박 식별코드, 자신의 식별코드 및 조난신호가 포함된 제1조난정보를 상기 통신장치(140)와 제1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스마트포인트(200)로 전송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라이프디바이스(100)는 상기 위치측정장치(120), 상기 자이로센서(130), 상기 생체정보획득수단(150) 및 상기 환경정보획득수단(160)을 작동시켜 상기 제1조난정보에 상기 위치측정장치(120)가 측정한 조난자 위치정보, 상기 자이로센서(130)가 측정한 조난자 활동정보, 상기 생체정보획득수단(150)이 획득한 조난자 생체정보 및 상기 환경정보획득수단(160)이 획득한 조난환경정보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나, 상기 스마트포인트(200)로부터 추가정보 요청이 오기 전에는 상기 위치측정장치(120), 상기 자이로센서(130), 상기 생체정보획득수단(150) 및 상기 환경정보 획득수단(160)의 작동을 중단시켜 내장배터리의 소모를 최소화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5, it is preferable that the life device 100 is connected to the smart point 200 using the smart point 200 as an AP when distress occurs as well as before distress occurs (step S101). In addition, the life device 100 maintains a minimum communication state connecting the communication device 140 to the smart point 200, but the position measuring device is used to prevent battery consumption in the life device 100. (120), the gyro sensor 130, the bio-information acquisition means 150, the environment information acquisition means 160, it is preferable to put the sleep mode. When a distress accident occurs, the life device 100 is changed to the distress generation mode by the distress detection sensor 110 (step S102), and the smart point 200 is also determined by the distress occurrence determination means 210. It is determined that the distress has occurred (step S201). Therefore, the life device 100 transmits the first distress information including the magnetic vessel identification code, its own identification code, and the distress signal to the smart point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device 140 and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It is preferred. In this case, the life device 100 operates the position measurement device 120, the gyro sensor 130, the bio-information acquisition means 150, and the environment-information acquisition means 160 to the first distress information. Distress location information measured by the location measuring device 120, distress activity information measured by the gyro sensor 130,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distress obtained by the biometric information acquisition means 150, and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acquisition means 160 It is also possible to include the acquired distress environment information, but before the request for additional information from the smart point 200, the position measuring device 120, the gyro sensor 130, and the biological information acquisition means 150 And it is preferable to minimize the consumption of the built-in battery by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acquisition means (160).

한편 상기 s201 단계에서 조난발생 판단수단(210)에 의하여 조난발생으로 판단한 상기 스마트포인트(200)는 상기 위치정보측정수단(220)이 측정한 자신의 위치정보, 상기 자기선박 식별코드, 자신의 식별코드 및 조난신호가 포함된 제2조난정보를 상기 제2통신수단(250) 및 제2통신망(500)을 통하여 상기 관제서버(300)에 전송하도록 함(s202 단계)과 동시에 상기 라이프디바이스(100)에서 전송하는 상기 제1조난정보를 상기 제1통신망(400) 및 상기 제1통신수단(240)을 통하여 수신하여 상기 저장수단(230)에 저장하게 되며(s203 단계), 상기 제1조난정보에 조난자 위치정보 또는 조난자 활동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라이프디바이스(100)에 대하여 추가정보를 요청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204 단계). Meanwhile, in step s201, the smart point 200 judged as distress occurrence by the distress occurrence determination means 210 has its own location information measured by the location information measurement means 220, the magnetic vessel identification code, and its own identification. The second distress information including the code and the distress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server 300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means 25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500 (step s202) and at the same time the life device 100 ) Receives the first distress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400 and the first communication means 240 and stores it in the storage means 230 (step S203), and the first distress information If it does not include the distress location information or distress activity information, it is preferable to request additional information to the life device 100 (step s204).

상기 s204 단계에서 상기 스마트포인트(200)로부터 상기 추가정보를 요청받은 상기 라이프디바이스(100)는 상기 추가정보 요청내용에 따라 상기 위치측정장치(120). 상기 자이로센서(130), 상기 생체정보획득수단(150) 및/또는 상기 환경정보획득수단(160)을 작동시켜 조난자 위치정보, 조난자 활동정보, 조난자 생체정보 및/또는 조난환경정보를 측정 및 수집하도록 하고(s104 단계), 상기 제1조난정보에 상기 위치측정장치(120)가 측정한 조난자 위치정보, 상기 자이로센서(130)가 측정한 조난자 활동정보, 상기 생체정보 획득수단(150)이 획득한 조난자 생체정보 및/또는 상기 환경정보 획득수단(160)이 획득한 조난환경정보를 포함한 후, 상기 제1조난정보를 상기 제1통신망(400)을 통하여 상기 스마트포인트(200)에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105 단계). 그리고 상기 s105 단계에서 상기 라이프디바이스(100)로 부터 조난자 위치정보, 조난자 활동정보, 조난자 생체정보 및 조난환경정보가 포함된 제1조난정보를 수신한 상기 스마트포인트(200)는 전송받은 제1조난정보를 상기 저장수단(230)에 저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205 단계).In step s204, the life device 100 receivi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from the smart point 200 is the location measuring device 120 according to the additional information request. Measure and collect distress position information, distress activity information, distress biometric information and/or distress environment information by operating the gyro sensor 130, the biometric information acquisition means 150 and/or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acquisition means 160 (Step S104), the first distress information obtained by the position measurement device 120, the distress position information, the gyro sensor 130 measured distress activity information, and the biometric information acquisition means 150 is acquired After including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a distress and/or distress environment obtained by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acquiring means 160, transmitting the first distress information to the smart point 200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400 It is preferred (step s105). In step s105, the smart point 200 receiving the first distress information including the distress location information, distress activity information, distress biometric information, and distress environment information from the life device 100 is the first distress received. It is preferable to store information in the storage means 230 (step s205).

한편 상기 s202 단계에서 상기 스마트포인트(200)로 부터 위치정보 등이 포함된 제2조난정보를 전송받은 상기 관제서버(300)는 상기 제2조난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자기선박 식별코드, 상기 위치정보 등을 이용하여 상기 제2조난정보를 보내온 조난선박을 식별하고 상기 조난선박의 조난위치를 파악한 후, 이를 관계기관 등에 신속히 통보하도록 하고(s301단계), 상기 제2조난정보에 상기 제1조난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스마트포인트(200)에 대하여 상기 제1조난정보가 포함되는 상세정보를 요청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302 단계). 물론 상기 스마트포인트(200)가 상기 제2조난정보를 전송할 때 처음부터 상기 제1조난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제1조난정보는 조난자의 숫자 등에 따라 상당한 정보량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일단 조난상황을 신속하게 전파해야 하고, 상기 스마트포인트(200) 또한 배터리를 사용하므로 가급적 배터리 소모량을 절약해야 하는 상황이므로 처음에는 상기 제2조난정보에는 자신의 위치정보와 상기 자기선박 식별코드 등만 포함되도록 하여 전송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조난자에게 구조요청신호 전달결과를 알려주는 부이형 스마트포인트 기반 해양 인명구조시스템에서는 조난정보를 신속하게 전파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스마트포인트(200)의 배터리 사용시간을 최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Meanwhile, in step s202, the control server 300 receiving the second distress information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from the smart point 200 has the magnetic ship identification code and the location included in the second distress information. After identifying the distress ship that sent the second distress information by using information, etc., and after determining the distress location of the distress ship, promptly notify it to a related institution (step s301), and the first distress information to the second distress information When the information is not included, it is preferable to request detailed information including the first distress information to the smart point 200 (step s302). Of course, when the smart point 200 transmits the second distress information, it is also possible to include the first distress information from the beginning. However, since the first distress information can be a significant amount of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distressed persons, the distress situation must be quickly propagated, and the smart point 200 also uses a battery, so it is necessary to save battery consumption as much as possible. In the second distress information, it is more preferable that only the own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magnetic ship identification code are included and transmitted. In this way, the buoy type smart point-based marine lifesaving system informing the distress of the rescue request signal to the distressed person can quickly propagate distress information as well as the battery usage time of the smart point 200. It can be maximized.

그리고 상기 스마트포인트(200)가 상기 관제서버(300)로 부터 상기 상세정보에 대한 요청을 받는 경우에는(s206 단계) 상기 제2통신망(500)을 통하여 상기 제1조난정보를 상기 관제서버(300)에 전송하게 되며(s207 단계), 상기 관제서버(300)는 상기 제2조난정보 및 상기 제1조난정보를 이용하여 구체적인 조난자 숫자를 파악할 수 있고, 조난자의 세부 위치 및 상태 등을 식별할 수 있게 된다(s303 단계). And when the smart point 200 receives a request for the detailed information from the control server 300 (step s206), the first distress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server 300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500. ) (Step s207), and the control server 300 can identify a specific number of distressed persons by using the second distress information and the first distress information, and can identify the detailed location and status of the distressed person. There is (step s303).

상기 스마트포인트(200)가 상기 제1조난정보를 상기 관제서버(300)에 전송하고 난 뒤에는 상기 제1조난정보를 전송한 상기 라이프디바이스(100)에 대하여 상기 제1통신수단(400)을 통하여 ‘구조신호 전달결과’를 전송하도록 하고(s208 단계), 상기 ‘구조신호 전달결과’를 전송받은 상기 라이프디바이스(100)는 상기 신호전달 확인장치(170)를 작동시킴으로써 구조요청신호가 구조당국에 전달되었다는 내용을 조난자에게 알려주도록 하는 것(s106 단계)이 바람직하다.After the smart point 200 transmits the first distress information to the control server 300, the life device 100 that transmits the first distress information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means 400 The structured signal transmission result is transmitted (step s208), and the life device 100 receiving the structured signal transmission result operates the signal transmission confirmation device 170 to send a rescue request signal to the rescue authority. It is preferable to inform the distress of the contents that have been delivered (step s106).

한편, 상기 s206 단계에서 상기 관제서버(300)로부터 상기 상세정보가 요청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상기 스마트포인트(200)는, 상기 상세정보가 요청되지 않았고(s206 단계), 상기 상세정보 요청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2조난정보를 전송한 때로부터 일정시간이 경과된 경우에는(s209 단계), 상기 제2조난정보 전송간격을 확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210 단계).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구조선박 또는 육지의 기지국 등이 너무 멀리 있어서 초고속 해상무선통신망 즉 제2통신망 도달거리 밖에 있을 수도 있고, 날씨나 장비장애 등 여러 가지 문제로 일시적 또는 장시간 통신장애가 있을 수 있는데, 이럴 경우 상기 관제서버(300)는 상기 제2조난정보를 수신하지 못하기 때문에 상기 상세정보를 요청하지 못하는 것이고, 이러한 상태 즉 장애상태에도 불구하고 상기 스마트포인트(200)가 계속하여 상기 관제서버(300)에 대한 통신을 시도하게 되면 상기 관제서버(300)에 조난신호가 전달도 되지 않으면서 상기 스마트포인트(200)의 배터리만 빨리 소모되는 결과가 된다. 따라서 가급적 오랜 시간을 버텨야 하는 상황인 조난상항이기 때문에 배터리 소모를 절약해야 하므로 전송되는 시간간격을 확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조난정보에 대한 전송간격을 확대한 이후에 상기 상세정보가 요청되는 경우에는 다시 원래대로 단축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관제서버(300)의 관제에 따라 간격확대를 유지하거나 더 확대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구조선박 등이 접근에 오랜 시간이 걸릴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관제서버(300)는 상기 스마트포인트(200)에 대한 제어를 하거나 신호를 보내 제2조난정보 전송간격을 확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상기 관제서버(300)가 상기 라이프디바이스(100)에서 상기 제1조난정보를 전송하는 간격이나 상기 위치측정장치(120), 자이로센서(130), 상기 생체정보획득수단(150) 및 상기 환경정보획득수단(160)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즉, 날씨관계 등으로 인하여 구조선박 등의 접근에 오랜 시간이 걸릴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배터리 수명연장 등을 위해 상기 라이프디바이스(100)에서 상기 제1조난정보를 전송하는 간격을 확대하도록 하고, 상기 위치측정장치(120), 상기 자이로센서(130), 상기 생체정보획득수단(150) 및 상기 환경정보획득수단(160) 등을 가급적 슬립모드로 전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smart point 200 determining whether the detailed information is requested from the control server 300 in step s206, the detailed information is not requested (step s206), and the detailed information is not requested In the case that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elapsed since the transmission of the second distress information (step S209), it is preferable to enlarge the second distress information transmission interval (step S210). The reason for doing this is that the rescue ship or the base station on the land is too far, so it may be outside the reach of the ultra-high-speed maritim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at is,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re may be temporary or long-term communication failure due to various problems such as weather or equipment failure. In this case, the control server 300 cannot request the detailed information because it cannot receive the second distress information, and the smart point 200 continues to control the control server 300 despite this condition, that is, a failure condition. ), the distress signal is not transmitted to the control server 300, and the battery of the smart point 200 is quickly consumed.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increase the time interval to be transmitted because the battery consumption must be saved because it is a distress situation, which is a situation in which a long time should be kept as much as possible. If the detailed information is requested after expanding the transmission interval for the second distress information, it is also possible to shorten it again as it is, and maintaining or expanding the interval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server 300 It is possible. That is,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rescue ship or the like takes a long time to access, the control server 300 preferably controls the smart point 200 or sends a signal to enlarge the second distress information transmission interval. In this context, the control server 300 is the interval or the location measurement device 120, the gyro sensor 130, the biological information acquisition means 150 for transmitting the first distress information from the life device 100 And it is also preferabl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acquisition means (160). That is, if it is determined that it will take a long time to approach a rescue ship due to weather relations, etc., the life device 100 transmits the first distress information transmission interval to extend the battery life, etc. Preferably, the measurement device 120, the gyro sensor 130, the bio-information acquisition means 150, and the environment-information acquisition means 160 are preferably switched to the sleep mode.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조난자에게 구조요청신호 전달결과를 알려주는 부이형 스마트포인트 기반 해양 인명구조시스템에서 상기 라이프디바이스(100)가 상기 스마트포인트(200)의 AP에 대한 연결이 중단되었을 때 재시도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상기 라이프디바이스(100)는 조난자로부터 조난신호를 발생하는 장치로서, 조난자에 대한 구조가 원활히 되기 위해서는 상기 라이프디바이스(100)는 조난선박이 도착하기 까지 조난자로부터 조난신호를 지속적으로 발생하여야 한다. 그러나 날씨 등으로 인하여 구조선박 등이 늦게 도착할 수도 있는 상황에서 조난발생 직후에 통신이 원활하지 못 한 상황이 있을 수 있는데, 이런 경우에 상기 라이프디바이스(100)가 지속적으로 반복하여 통신을 시도하게 되면 내장배터리가 일찍 소모해 버리게 되며, 그렇게 되면 조난자에 대한 위치파악도 되기 전에 통신이 두절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조난자에게 구조요청신호 전달결과를 알려주는 부이형 스마트포인트 기반 해양 인명구조시스템에서는 상기 라이프디바이스(100)에서 상기 스마트포인트(200)에 대한 연결을 시도해서 연결이 잘 안되는 경우에는 연결시도 간격을 확대하여 배터리소모를 절약시킬 수 있게 한다. FIG. 6 is a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life device 100 in the buoy type smart point-based marine lifesaving system informing the distress of the rescue request signal transmission result, when the connection to the AP of the smart point 200 is stopped This is a flowchart showing the retry process. The life device 100 is a device that generates a distress signal from the distress, and in order to facilitate the rescue for the distress, the life device 100 must continuously generate the distress signal from the distress until the distress ship arrives. However, there may be a situation in which communication cannot be carried out immediately after distress in a situation where a rescue ship may arrive late due to weather, etc. In this case, if the life device 100 continuously attempts communication, The built-in battery will be consumed early, which increases the likelihood that communication will be lost before the location of the victim is identified.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buoy type smart point-based marine lifesaving system that informs the victim of the rescue request signal transmission, the life device 100 attempts to connect to the smart point 200 and the connection is not successful. To increase the interval between connection attempts, battery consumption can be saved.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라이프디바이스(100)는 선박이 정상항해 중인 경우에는 선박 안에서 상기 스마트포인트(200)와 같이 있고, 상기 스마트포인트(200)의 AP에 항상 연결되어 있는 상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101 단계). 그러나 조난사고의 발생으로 상기 라이프디바이스(100)가 조난발생모드로 된(s102 단계) 이후에, 일정시간이 지나 바람이나 해류 등의 영향으로 상기 스마트포인트(200)와 상기 라이프디바이스(100)와의 거리가 LPWA망의 도달거리 밖에 있게 되는 경우도 있고, 날씨 등에 의하여 일시적 또는 장시간 통신장애가 있을 수도 있다. 이럴 경우 상기 라이프디바이스(100)는 상기 스마트포인트(200)의 AP에 대한 연결이 끊어지게 되고(s111 단계), 이를 다시 연결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연결시도를 하게 되며(s112 단계), 이러한 상태가 장시간 가는 경우 상기 라이프디바이스(100)의 내장배터리가 과도하게 빨리 소모하게 된다. 따라서 AP에 대한 연결이 끊어진 상태로 일정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하여(s113 단계), 일정시간이 경과된 경우에는 AP에 대한 연결시도 간격을 확대하여 연결을 시도하게 하여(s115 단계) 배터리의 소모를 절약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6, when the ship is in normal navigation, the life device 100 is in the ship with the smart point 200 and is preferably connected to the AP of the smart point 200 at all times. Do (step s101). However, after the occurrence of distress accident, the life device 100 enters the distress generation mode (step s102),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smart point 200 and the life device 100 are affected by wind or current. In some cases, the distance may be outside the reach of the LPWA network, and there may be a temporary or long-term communication failure due to weather. In this case, the life device 100 is disconnected from the AP of the smart point 200 (step s111), and periodically attempts to connect it again (step s112), and this state is prolonged. When going, the built-in battery of the life device 100 is consumed excessively quickly. Therefore, it is determined whether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elapsed while the connection to the AP is disconnected (step S113), and when the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the connection attempt interval for the AP is enlarged to attempt to connect (step S115), thereby consuming the battery. It is desirable to save.

한편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조난자에게 구조요청신호 전달결과를 알려주는 부이형 스마트포인트 기반 해양 인명구조시스템에서 평상시 조난자를 감시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포인트(200)는 조난사고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기 제1통신수단(240)을 항상 가동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렇게 조난사고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포인트(200)가 상기 제1통신수단(240)을 통하여 상기 제1조난정보를 수신되는 경우는(s231 단계), 자신의 선박은 조난당하지 않은 상태이며, 상기 라이프디바이스(100)를 착용한 자신의 선박 탑승객 중 일부가 조난당한 경우이어서 제1조난정보를 보내오는 것이거나, 타 선박의 탑승객이 조난당해서 그들로 부터 전송되는 제1조난정보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마트포인트(200)는 상기 s231 단계에서 상기 제1조난정보를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1조난정보에 상기 자기선박 식별코드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게 되며(s232 단계), 상기 제1조난정보에 상기 자기선박 식별코드가 존재하는 경우 자기선박의 탑승객중 일부가 조난당한 것으로 판단하여(s233 단계), 조난사고 발생사실을 상기 관제서버(300)에 통보하거나, 자기선박의 관리서버(800) 등에 통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관제서버(300)와 상기 관리서버(800)에 동시통보 하는 것도 가능하다(s234 단계). On the other hand, Figure 7 is a flow chart showing the process of monitoring the usual victims in the buoy-type smart life-based marine lifesaving system to inform the victim of the rescue request signal transmission resu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mart poin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to always operate the first communication means 240 even in the state of no distress accident, the smart point 200 in the state in which no distress accident occurs ) Is received the first distress information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means 240 (step s231), his ship is not distressed, and his ship passenger wearing the life device 100 It may be the case where some of them are distressed, so the first distress information may be sent, or the first distress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m because the passengers of other ships are distressed. Accordingly, when the first distress information is received in step s231, the smart point 200 determines whether the magnetic ship identification code exists in the first distress information (step s232), and the first distress information. If the magnetic vessel identification code is present, it is determined that some of the passengers of the magnetic vessel are distressed (step s233), and the distress accident is notified to the control server 300, or the magnetic vessel management server 800, etc. It is preferable to notify, but it is also possible to simultaneously notify the control server 300 and the management server 800 (step s234).

또한, 상기 제1조난정보에 상기 자기선박 식별코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타 선박의 탑승객에 대한 조난사고로 판단하여(s235 단계), 조난사고 발생사실을 상기 관제서버(300)에 통보하거나, 자기선박의 관리서버(800) 등에 통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또한 상기 관제서버(300)와 상기 관리서버(800)에 동시통보 하는 것도 가능하다(s236 단계). 이와 같이 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조난자에게 구조요청신호 전달결과를 알려주는 부이형 스마트포인트 기반 해양 인명구조시스템은 정상운항 중인 선박에서 추락 등에 의하여 발생되는 탑승객중 일부 조난사고나 타 선박 조난사고 까지도 모니터링 해줄 수 있는 효과 및 장점이 있다.In addition, if the self-ship identification code does not exist in the first distress information, it is determined as a distress accident for the passengers of other ships (step s235), and the distress accident is notified to the control server 300, or self It is preferable to notify the management server 800 of the ship, etc. It is also possible to simultaneously notify the control server 300 and the management server 800 (step s236). By doing so, the buoy type smart point-based marine lifesaving system that informs the distress of the rescue request signal to the distressed person also monitors even some distress accidents or distress accidents among other passengers caused by a crash in a ship in normal operation. There are effects and advantages that can be done.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조난자에게 구조요청신호 전달결과를 알려주는 부이형 스마트포인트 기반 해양 인명구조시스템에서 평상시 라이프디바이스를 점검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포인트(200)는 조난사고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기 제1통신수단(240)을 항상 가동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렇게 함으로써 본 발명에서는 조난사고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포인트(200)는 상기 제1통신수단(240)을 통하여 상기 라이프디바이스들에 대한 상태를 점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포인트(200)는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면(s241 단계), 상기 제1통신망(400)을 통하여 상기 라이프디바이스(100)들에 대하여 상태정보를 요청하게 되고(s242 단계), 상기 상태정보를 요청받은 상기 라이프디바이스(100)들은 자신이 포함하고 있는 각종 센서와 장치들을 점검하여 그 점검결과와 자신의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상기 스마트포인트(200)에 전송하게 된다(s141 단계). 각각의 라이프디바이스(100)들로부터 상태정보를 수신한 상기 스마트포인트(200)는 각각의 라이프디바이스(100)에 대한 통신상태와 점검결과를 포함하는 ‘선내 라이프디바이스 상태보고서’를 작성하도록 하며(s243 단계), 작성된 보고서는 상기 관제서버(300) 및/또는 상기 관리서버(800)에 전송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조난자에게 구조요청신호 전달결과를 알려주는 부이형 스마트포인트 기반 해양 인명구조시스템에서는 상기 스마트포인트(200)가 상기 라이프디바이스(100)들에 대한 점검을 정기적으로, 그리고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하고 그 결과를 받아볼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상기 라이프디바이스(100)의 상태를 최선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해상재난사고 발생 시 차질 없이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더군다나 이러한 점검을 상기 스마트포인트(200)가 자동으로 수행하기 때문에 점검에 소요되는 인건비를 절감하는 등 경제적인 비용으로 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게 된다. And Figure 8 is a flow chart showing the process of checking the normal life device in the buoy-type smart life-based marine lifesaving system to inform the victim of the rescue request signal transmission resul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smart poin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e to always operate the first communication means 240 even when a distress accident does not occur. By doing so, a distress accident does not occur in the present invention. If not, the smart point 200 may check the status of the life devices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means 240. As shown in FIG. 8, when a certain time elapses (step s241), the smart device 200 requests status information to the life devices 100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400 (step s242). ), the life devices 100 that have been requested for the status information check various sensors and devices included therein and transmit the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the inspection result and their identification code to the smart point 200 Becomes (step s141). The smart point 200, which has received the status information from each of the life devices 100, prepares a'on board life device status report' including communication status and inspection results for each life device 100 ( Step s243), it is preferable to send the generated report to the control server 300 and / or the management server 800.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buoy type smart point based marine lifesaving system that informs the victim of the rescue request signal transmission, the smart point 200 periodically and automatically checks the life devices 100. Since it is possible to perform and receive the results, it is possible to provide information capable of maintaining the state of the life device 100 in the best state, an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spond without a disruption in the event of a marine disaster. It has the effect. Moreover, since the smart point 200 automatically performs such a check,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system at an economical cost, such as reducing labor costs required for the check.

상술한 여러 가지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예들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various example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xamples,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xample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xample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라이프디바이스
110 조난감지센서 120 위치측정장치
130 자이로센서 140 통신장치
150 생체정보수집수단 160 환경정보수집수단
170 신호전달 확인장치
200 스마트포인트
210 조난발생 판단수단 220 위치측정수단
230 저장수단 240 제1통신수단
250 제2통신수단 260 제3통신수단
300 관제서버
400 제1통신망
500 제2통신망
800 자기선박 관리서버
100 Life Devices
110 Distress detection sensor 120 Position measuring device
130 gyro sensor 140 communication device
150 Bio-information collection means 160 Environmental-information collection means
170 Signal transmission confirmation device
200 smart points
210 Distress occurrence judgment means 220 Position measurement means
230 Storage means 240 First communication means
250 Second communication means 260 Third communication means
300 control server
400 first communication network
500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800 Magnetic Ship Management Server

Claims (6)

조난감지센서, 신호전달 확인장치 및 통신장치를 포함하는 라이프디바이스, 물 위에 뜰 수 있는 부이형으로서 조난발생 판단수단, 위치측정수단, 저장수단, 제1통신수단 및 제2통신수단을 포함하는 스마트포인트, 그리고 육상 또는 구조선박에 위치하는 관제서버로 이루어진 해양조난자 구조신호 관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라이프디바이스는,
- 상기 조난감지센서의 작동에 의하여 조난사고 발생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통신장치를 통하여 일정간격으로 상기 스마트포인트에 대한 연결을 시도하고,
- 상기 스마트포인트에 연결된 경우에는 자기선박 식별코드, 자신의 식별정보인 제1식별코드 및 조난신호가 포함된 제1조난정보를 일정간격으로 상기 스마트포인트에 전송하고,
- 상기 스마트포인트로부터 구조신호 전달결과를 전송받은 경우에는, 상기 신호전달 확인장치를 작동시켜, 상기 라이프디바이스에서 송출된 자신의 구조요청신호가 구조당국에 전달되었다는 내용을 방수기능을 갖춘 스피커를 통한 오디오출력으로 또는 방수기능을 갖는 신호램프로 표시함으로써 상기 라이프디바이스를 이용하는 조난자에게 알려주며;
상기 스마트포인트는,
- 상기 조난발생 판단수단이 조난사고 발생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제1통신수단을 통하여 상기 제1조난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하고,
- 상기 위치측정수단이 측정한 자신의 위치정보, 상기 자기선박 식별코드, 자신의 식별정보인 제2식별코드 및 조난신호가 포함된 제2조난정보를 일정간격으로 상기 제2통신수단을 통하여 상기 관제서버에 전송하되, 상기 관제서버에 연결되기 전까지는 상기 제2조난정보만 전송하다가, 상기 관제서버와 연결되어 상기 관제서버로부터 상세정보 요청신호를 전송받은 경우에는,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상기 제1조난정보를 상기 제2조난정보와 함께 전송한 후, 상기 제1조난정보를 전송한 라이프디바이스의 구조요청신호가 구조당국에 전달되었음을 알리는 상기 구조신호 전달결과를 상기 제1통신수단을 통하여 상기 라이프디바이스에 전송하며;
상기 관제서버는,
- 상기 제2조난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2조난정보를 분석하여 조난선박을 식별하고, 상기 조난선박에 대한 조난위치를 특정한 후,
- 상기 제2조난정보를 전송한 상기 스마트포인트에 대하여 상기 상세정보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라이프디바이스는 위치측정장치, 자이로센서, 생체정보획득수단 및 환경정보획득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포인트로부터 추가정보 요청신호를 전송받은 경우에는, 상기 추가정보 요청신호에 따라 상기 위치측정장치, 상기 자이로센서, 상기 생체정보획득수단 또는 상기 환경정보획득수단을 가동시켜 상기 위치측정장치가 측정한 조난자 위치정보, 상기 자이로센서가 측정한 조난자 활동정보, 상기 생체정보획득수단이 획득한 조난자 생체정보 또는 상기 환경정보획득수단이 획득한 조난환경정보를 상기 제1조난정보에 더 포함하여 상기 스마트포인트에 전송하되, 상기 스마트포인트로부터 상기 추가정보 요청신호를 전송받기 전에는 상기 위치측정장치, 상기 자이로센서, 상기 생체정보획득수단 및 상기 환경정보획득수단의 작동을 중단시키며,
상기 스마트포인트는, 상기 제1조난정보를 전송한 라이프디바이스에 대하여 일정시간 간격으로 상기 조난자 위치정보, 상기 조난자 활동정보, 상기 조난자 생체정보 또는 상기 조난환경정보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추가정보를 요청하는 상기 추가정보 요청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스마트포인트의 제1통신수단에는 게이트웨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포인트는 상기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상기 라이프디바이스와 상기 관제서버 간의 직접적인 통신을 허용하며,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상기 라이프디바이스에 직접 접속하여 상기 라이프디바이스에 대한 직접적인 원격제어 및 직접적인 정보수집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난자에게 구조요청신호 전달결과를 알려주는 부이형 스마트포인트 기반 해양 인명구조시스템
Life device including distress detection sensor, signal transmission confirm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device, buoy type floatable on water, smart including distress generation determination means, location measurement means, storage means, first communication means and second communication means In the rescue signal control system for a marine distress consisting of a point and a control server located on a land or rescue ship,
The life device,
-When the distress accident occurrence mode is switched by the operation of the distress detection sensor, attempts are made to connect to the smart point at regular intervals through the communication device,
-When connected to the smart point, transmits the first distress information including the magnetic vessel identification code, the first identification code as its own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distress signal to the smart point at regular intervals,
-When the rescue signal transmission result is received from the smart point, the signal transmission confirmation device is operated to transmit the contents of the rescue request signal sent from the life device to the rescue authority through a waterproof speaker. Inform the distressed person using the life device by displaying it as an audio output or a signal lamp having a waterproof function;
The smart point,
-When the distress occurrence determination means determines that a distress accident has occurred, the first distress information is collected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means and stored in the storage means,
-The location information measured by the location measurement means, the magnetic vessel identification cod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identification code and the second distress information including the distress signal at regular intervals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means When transmitting to the control server, only the second distress information is transmitted until it is connected to the control server, and when it is connected to the control server and receives a detailed information request signal from the control server, the stored in the storage means After transmitting the first distress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second distress information, the rescue signal transmission result indicating that the rescue request signal of the life device that transmitted the first distress information has been transmitted to the rescue authority is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means. Send to life device;
The control server,
-When receiving the second distress information, analyze the second distress information to identify the distress ship, specify the distress position for the distress ship, and
-Transmitting the detailed information request signal to the smart point that has transmitted the second distress information; Characterized by,
The life device further includes a location measurement device, a gyro sensor, a bio-information acquisition means, and an environment information acquisition means, and when the additional information request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smart point, the location measur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additional information request signal The distress position information measured by the position measuring device by operating the gyro sensor, the biometric information acquisition means or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acquisition means, distress activity information measured by the gyro sensor, and the distress living body obtained by the biometric information acquisition means The location measurement device and the gyro before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or the distress environment information obtained by the environment information acquisition means to the smart point by further including the first distress information, but receivi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request signal from the smart point. Stop the operation of the sensor, the biological information acquisition means and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acquisition means,
The smart point requests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one or more of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activity information of the distressed person,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distressed person, or the distressed environment information at regular intervals with respect to the life device that has transmitted the first distress information. Transmit the additional information request signal,
The first communication means of the smart point further includes a gateway,
The smart point allows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life device and the control server through the gateway,
The control server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life device through the gatewa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perform direct remote control and direct information collection for the life device, buoy type smart point that informs the distress of the rescue request signal transmission result Based Marine Lifesaving System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프디바이스는,
- 일정시간 동안 상기 스마트포인트에 대한 연결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연결시도 간격을 확대하고,
상기 스마트포인트는,
- 상기 제2조난정보를 전송한 때로부터 일정한 시간이 지나기까지 상기 관제서버로 부터 상기 상세정보 요청신호를 전송받지 못한 경우에는 상기 제2조난정보를 전송하는 시간간격을 확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난자에게 구조요청신호 전달결과를 알려주는 부이형 스마트포인트 기반 해양 인명구조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life device,
-If the connection to the smart point is impossibl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connection attempt interval is enlarged,
The smart point,
-When the detailed information request signal is not received from the control server until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elapsed since the transmission of the second distress information, the time interval for transmitting the second distress information is expanded, Buoy type smart point-based marine lifesaving system that informs the victim of the rescue request signal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포인트는, 조난사고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1통신수단을 통하여 상기 제1조난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중 상기 제1조난정보에 상기 자기선박 식별코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자기선박의 탑승객이 조난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1조난정보에 상기 자기선박 식별코드가 포함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타 선박 탑승객의 조난으로 판단하여, 상기 제1조난정보 수신결과를 상기 제2통신수단을 통하여 상기 자기선박의 관리서버 또는 상기 관제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난자에게 구조요청신호 전달결과를 알려주는 부이형 스마트포인트 기반 해양 인명구조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first distress information is received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means in a state in which no distress accident has occurred, the smart point may include a self-ship of the ship if the first distress information includes the magnetic ship identification cod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assenger is distressed and the first ship distress information does not include the magnetic ship identification code, it is determined as the distress of another ship passenger and the first distress information reception result is transmitted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means. Buoy type smart point-based marine lifesaving system to inform the distress of the rescue request signal transmission resul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or the control server of the magnetic vess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포인트는, 조난사고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1통신수단을 통하여 일정시간 간격으로 상기 라이프디바이스에 대하여 상태정보 요청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라이프디바이스는, 상기 상태정보 요청신호를 전송받은 경우에는 상기 제1식별코드를 포함하는 자신의 디바이스 상태정보를 상기 통신장치를 통하여 상기 스마트포인트로 전송하며,
상기 스마트포인트는, 상기 디바이스 상태정보를 상기 제2통신수단을 통하여 자기선박의 관리서버 또는 상기 관제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난자에게 구조요청신호 전달결과를 알려주는 부이형 스마트포인트 기반 해양 인명구조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smart point transmits a status information request signal to the life device at regular time intervals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means when a distress accident does not occur.
When receiving the status information request signal, the life device transmits its device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the first identification code to the smart point through the communication device,
The smart point transmits the device status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or the control server of the magnetic vessel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means, the buoy type smart point based ocean that informs the victim of the rescue request signal transmission result Lifesaving system
KR1020180129569A 2018-10-29 2018-10-29 Monitoring System for Marine Distress Signal Based on Buoy type Smart Point KR1021192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569A KR102119204B1 (en) 2018-10-29 2018-10-29 Monitoring System for Marine Distress Signal Based on Buoy type Smart Poi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569A KR102119204B1 (en) 2018-10-29 2018-10-29 Monitoring System for Marine Distress Signal Based on Buoy type Smart Poi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7993A KR20200047993A (en) 2020-05-08
KR102119204B1 true KR102119204B1 (en) 2020-06-04

Family

ID=70677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9569A KR102119204B1 (en) 2018-10-29 2018-10-29 Monitoring System for Marine Distress Signal Based on Buoy type Smart Poi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920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1085B1 (en) * 2021-05-03 2021-10-07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Emergency AP Smart Buoy
KR102633175B1 (en) * 2021-11-25 2024-02-02 주식회사 산엔지니어링 Lte-m communication-based vessel automatic position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9446A (en) * 2006-06-15 2007-12-20 주식회사 엘림시스 The personal emergency locator transmitter and the search and rescue system
KR101160451B1 (en) * 2009-09-23 2012-06-27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Life saving system having RFID tag with IP communication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7993A (en) 2020-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5583B1 (en) Monitoring System for Marine Distress Signal Based on Buoy type Smart Point
US10154401B2 (en) Safety device utilizing a beacon
CN105701999B (en) A kind of ship collision, attitude monitoring alarm system
KR101135148B1 (en) An emergency position transmitter with which high floatable lifesaving clothes are equipped, and an accident rescue system using it
KR100716518B1 (en) Wireless distress signal device with gps and wireless rescue system thereof
JP2008531984A (en) Signal transmission / position detection device for individuals in the sea and method of use thereof
CN102109595A (en) Search and rescue system and search and rescue method using personal positioning terminal
KR101641787B1 (en) Platform and method for safety navigation and disaster response of iot intelligent ship
KR102119204B1 (en) Monitoring System for Marine Distress Signal Based on Buoy type Smart Point
CN105398552A (en) Active maritime search and rescue system and search and rescue method thereof
JP6594607B2 (en) Search system
CN204556833U (en) A kind of man overboard based on the Big Dipper/GPS shows a terminal
CN102956089A (en) Search and rescue terminal and overwater search and rescue method based on search and rescue terminal
KR20180042655A (en) Ship emergency response system
CN207799864U (en) Emergency AIS warning devices on a kind of combined type sea
KR102311085B1 (en) Emergency AP Smart Buoy
CN209852537U (en) Edge-sea patrol and reconnaissance device
KR20140031498A (en) Life rescue system using overwater robot and life rescue method using the same
KR102170351B1 (en) rescue system and method for a man overboard person
KR101942020B1 (en) A Remote Informationl Unit system that is based on group communication for buoys
KR20080004825A (en) Integrated maritime safety apparatus
KR20190081680A (en) For marine rescue real time control escalation and single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WO2020182683A1 (en) Device for detecting temperature profiles, and relative monitoring system
CN114745659A (en) Offshore multi-dimensional global alarm monitoring system and working method thereof
CN114429703A (en) Water rescue intelligent alarm system that falls into water based on quantum particle swarm optimiz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