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8741B1 - An Apparatus for Blocking Discharge of Battery - Google Patents

An Apparatus for Blocking Discharge of Batte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8741B1
KR102118741B1 KR1020140013893A KR20140013893A KR102118741B1 KR 102118741 B1 KR102118741 B1 KR 102118741B1 KR 1020140013893 A KR1020140013893 A KR 1020140013893A KR 20140013893 A KR20140013893 A KR 20140013893A KR 102118741 B1 KR102118741 B1 KR 102118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unit
timer
voltage
re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38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93298A (en
Inventor
최창헌
최봉경
최도헌
Original Assignee
최창헌
최봉경
최도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창헌, 최봉경, 최도헌 filed Critical 최창헌
Priority to KR1020140013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8741B1/en
Publication of KR20150093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329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8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874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1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battery or load disconnect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배터리 방전 차단 장치로서, 배터리 전압 검출부, 타이머, 릴레이부, 제어부를 포함한다. 배터리 전압 검출부는 배터리의 출력 전압을 검출한다. 타이머는 제1 설정 시간이 경과하면 제1 종료 신호를 출력한다. 릴레이부는 배터리의 접지 단자와 그라운드 사이에 연결된다. 제어부는 배터리의 출력 단자에 연결되고, 배터리 전압 검출부로부터 수신하는 배터리 출력 전압이 기준 전압보다 낮아지면 타이머를 동작시키고, 타이머로부터 제1 종료 신호를 수신하면 릴레이부를 오프시킨다.The battery discharge blocking device includes a battery voltage detection unit, a timer, a relay unit, and a control unit. The battery voltage detector detects the output voltage of the battery. The timer outputs a first end signal when the first set time has elapsed. The relay unit is connected between the ground terminal of the battery and the ground. The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battery, and when the battery output voltage received from the battery voltage detection unit becomes low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operates the timer, and when the first termina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timer, the relay unit is turned off.

Description

배터리 방전 차단 장치{An Apparatus for Blocking Discharge of Battery}An Apparatus for Blocking Discharge of Battery}

본 발명은 전원 차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배터리 방전을 차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blocking pow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vice for blocking battery discharge.

배터리는 다양한 분야에서 전원공급 장치로 이용되고 있다. 예를들어, 자동차용 배터리는 자동차의 시동을 걸어주는 기본 역할 외에도, 조명 장치, 오디오, 네비게이션, 블랙박스 등에 전원을 공급한다.Batteries are used as power supplies in various fields. For example, automotive batteries provide power to lighting devices, audio, navigation, black boxes, etc., in addition to the basic role of starting a car.

그런데, 배터리는 관련 장치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전력이 계속적으로 소비된다. 예를들어, 블랙박스는 차량의 시동이 꺼지고 주차된 상태에서도 전방을 감시하여 차량 사고를 촬영하는 기능을 갖고 있는데, 이 경우 블랙박스는 지속적으로 전력을 소비하게 된다. 이로인해, 배터리의 전압은 급격히 감소하게 되고, 시동 장치를 동작시키는데 필요한 최소 전압인 방전 종지전압 이하로까지 떨어지게 된다. 그 결과, 시동마저 걸 수 없는 상태가 된다. However, the battery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related devices, and power is continuously consumed. For example, the black box has a function to monitor a vehicle accident and record a vehicle accident even when the vehicle is turned off and parked. In this case, the black box continuously consumes power. Due to this, the voltage of the battery decreases rapidly, and falls below the discharge end voltage, which is the minimum voltage required to operate the starting device. As a result, it is in a state in which even starting is not possible.

배터리 전압이 방전 종지전압 아래로 떨어져 시동이 걸리지 않으면, 보통은 외부의 도움으로, 즉 외부 배터리 점프 방식으로 시동을 걸어 주게 된다. 그러나, 배터리의 충전 전압이 방전 종지전압 아래로 떨어지면, 회당 약 20%의 배터리 사용능력이 저하되며, 그 결과 이러한 전압 강하가 3번 정도 발생하면 해당 배터리를 더이상 사용할 수 없다.If the battery voltage falls below the discharge end voltage and does not start, it is usually started with external help, that is, by an external battery jump method. However, if the charge voltage of the battery falls below the end voltage of discharge, the capacity to use the battery is reduced by about 20% per time. As a result, if this voltage drop occurs about 3 times, the battery can no longer be used.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을 보면, 전력을 소비하는 블랙박스 등에 타이머를 설치하여 소정 시간 동안만 블랙박스가 동작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서, 블랙박스의 동작을 정지시키더라도, 블랙박스는 배터리에 연결되어 있어 누설 전류에 의해 전력 소비가 일어나고 있기 때문에, 배터리의 전압 강하가 빠른 속도로 진행할 수밖에 없다.
Looking at the prior art for solving this problem, a timer is installed in a black box that consumes power to configure the black box to operate only for a predetermined time. However, in this configuration, even if the operation of the black box is stopped, since the black box is connected to the battery and power consumption is caused by the leakage current, the voltage drop of the battery is forced to proceed at a high speed.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첫째, 배터리의 누설 방전을 원천 차단함으로써 장시간 사용하지 않아도 배터리 출력 전압이 오랫 유지될 수 있고,First, the battery output voltage can be maintained for a long time even if it is not used for a long time by blocking the source of leakage discharge of the battery.

둘째, 배터리 전압이 방전 종지전압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배터리 재사용율을 크게 높일 수 있는, 배터리 방전 차단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Second, by minimizing the drop of the battery voltage below the discharge end voltage, it is intended to provide a battery discharge blocking device that can greatly increase the battery reuse rat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방전 차단 장치의 일 실시예는 배터리 전압 검출부, 타이머, 릴레이부,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battery discharge b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battery voltage detection unit, a timer, a relay unit, a control unit.

배터리 전압 검출부는 배터리 출력 전압을 검출하여 제어부로 전송한다.The battery voltage detector detects the battery output voltage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ler.

타이머는 배터리 출력 전압이 기준 전압까지 떨어지는 시점부터 제1 설정 시간이 경과하면 제1 종료 신호를 출력하여 제어부로 전송한다.The timer outputs a first termination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when the first set time elapses from the point when the battery output voltage falls to the reference voltage.

릴레이부는 배터리의 접지 단자와 그라운드 사이에 연결되어 온/오프하며, 배터리 전원이 관련 장치들에 공급되는 것을 허용 또는 차단한다.The relay unit is connected between the ground terminal of the battery and the ground to turn on/off, and allows or blocks the battery power from being supplied to related devices.

제어부는 배터리의 출력 단자에 연결된다. 제어부는 배터리 전압 검출부로부터 수신하는 배터리 출력 전압이 기준 전압보다 낮아지면 타이머를 동작시킨다. 제1 설정 시간의 경과에 따라 타이머로부터 제1 종료 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부는 릴레이부를 오프시켜, 배터리 전원이 관련 장치들에 공급되는 것을 차단한다.
The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battery. The controller operates a timer when the battery output voltage received from the battery voltage detector is low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When the first end signal is received from the timer according to the passage of the first set time, the control unit turns off the relay unit to block the battery power from being supplied to the related devices.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방전 차단 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리셋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셋부는 외부의 제어에 따라 릴레이부 온 신호를 출력하여 제어부로 전송한다. 이때, 제어부는 릴레이부 온 신호를 수신에 따라 릴레이부를 온시킨다.Another embodiment of the battery discharge b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eset unit. The reset unit outputs a relay-on signal according to external control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turns on the relay unit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relay unit on signal.

제어부는, 릴레이부 온 신호를 수신하면, 배터리 전압 검출부로부터 수신하는 배터리 출력 전압이 기준 전압보다 낮은 지를 다시 판단하고 낮으면 타이머를 동작시키고 이후 타이머로부터 제1 종료 신호를 다시 수신한다. 이어서, 제어부는 타이머를 다시 동작시킨 후 제2 설정 시간의 경과에 따른 제2 종료 신호를 타이머로부터 수신한다. 이 때, 제어부는 리셋부를 활성화시키며, 이로써 외부의 제어가 있으면, 리셋부가 릴레이부 온 신호를 다시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Upon receiving the relay unit on signal, the controller determines again whether the battery output voltage received from the battery voltage detector is low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operates the timer if it is low, and then receives the first end signal from the timer again. Subsequently,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timer again, and then receives a second end signal according to the passage of the second set time from the timer.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activates the reset unit, whereby if there is an external control, the reset unit may transmit the relay unit ON signal back to the control unit.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방전 차단 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는 상태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태 표시부는 릴레이부의 온/오프 상태를 외부로 표시한다.
Another embodiment of the battery discharge b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tatus display unit, which displays the on/off state of the relay unit to the outside.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방전 차단 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는 기준전압 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기준전압 조정부는 환경에 따라 기준 전압을 조정할 수 있다.
Another embodiment of the battery discharge b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eference voltage adjustment unit, the reference voltage adjustment unit may adjust the reference voltage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배터리 방전 차단 장치에 의하면, 배터리의 누설 방전을 원천 차단함으로써 배터리를 장시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배터리 출력 전압이 오랫 유지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battery discharge bloc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battery output voltage can be maintained for a long time even when the battery is not used for a long time by blocking the source of leakage discharge of the batter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방전 차단 장치에 의하면, 배터리 전압이 방전 종지전압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배터리 수명을 늘릴 뿐 아니라 재사용율도 크게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battery discharge b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battery life as well as greatly increase the reuse rate by minimizing the battery voltage from falling below the discharge end voltage.

도 1a~1d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방전 차단 장치의 제1~4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도 1a의 제1 실시예의 동작 과정을 보여주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3은 도 1b의 제2 실시예의 동작 과정을 보여주는 플로우챠트이다.
1A to 1D show first to fourth embodiments of a battery discharge b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lowchart showing an operation process of the first embodiment of FIG. 1A.
3 is a flowchart showing an operation process of the second embodiment of FIG. 1B.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a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방전 차단 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1A shows a first embodiment of a battery discharge b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100), 분배부(200) 등을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에, 배터리 전압 검출부(310), 타이머(320), 메모리(330), 릴레이부(340), 제어부(350)를 포함하는 배터리 방전 차단 장치를 추가하여 구성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1a, the battery 100, the power supply including the distribution unit 200, the battery voltage detector 310, the timer 320, the memory 330, the relay unit 340, It may be configured by adding a battery discharge blocking device including a control unit 350.

배터리(100)는 보통 화학 배터리를 사용하는데, 자동차용 배터리를 보면 전해액을 채운 용기 속에 양극판과 음극판을 이격 배치하고 그 사이에 세퍼레이터를 개재하여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양극판으로는 산화납을 사용하고, 음극판으로는 납을 사용할 수 있는데, 충전과 방전을 반복하며 관련 장치들에 전력을 공급한다.The battery 100 usually uses a chemical battery. When looking at an automobile battery, a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a negative electrode plate are spaced apart in a container filled with electrolyte, and a separator is interposed between them. Here, lead oxide may be used as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lead may be used as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and charging and discharging are repeated to supply power to related devices.

배터리(100)는 온도가 높은 환경에서는 반응이 활발하여 높은 성능을 발휘하지만, 저온 환경에서는 성능이 떨어지기도 한다.
The battery 100 reacts actively in a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and exhibits high performance, but performance may be deteriorated in a low temperature environment.

분배부(200)는 배터리(100)의 전압을 관련 장치들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자동차에서, 분배부(200)는 휴즈 박스일 수 있다. 분배부(200)의 입력단은 배터리(100)의 출력 단자(+)에 연결되고, 분배부(200)의 출력단에는 조명 장치, 네비게이션, 블랙 박스 등과 접속되는 다수의 접속 단자가 구비되어 있다.
The distribution unit 200 functions to transfer the voltage of the battery 100 to related devices. In an automobile, the distribution unit 200 may be a fuse box. The input terminal of the distribution unit 200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 of the battery 100,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distribution unit 20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nnection terminals connected to a lighting device, navigation, black box, and the like.

배터리 전압 검출부(310)는 배터리(100)의 출력 전압을 검출하여 제어부(350)로 전송한다. 배터리 전압 검출부(310)는 배터리(100)의 출력 단자(양극)와 접지 단자(음극)에 직접 연결하여 구성할 수도 있고, 제어부(350)에 연결되어 간접적으로 배터리(100)의 출력 전압을 검출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The battery voltage detector 310 detects the output voltage of the battery 100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ler 350. The battery voltage detection unit 310 may be configured by directly connecting to the output terminal (positive electrode) and the ground terminal (negative electrode) of the battery 100, and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350 to indirectly detect the output voltage of the battery 100 It can also be configured.

타이머(320)는 배터리 출력 전압이 설정한 기준 전압까지 떨어지더라도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배터리 전원이 차단되도록 구성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일정 시간은 1~120 초의 범위에서 설정할 수 있으며, 여름철에는 1~30 초의 범위에서 설정할 수도 있다. The timer 320 is configured to configure the battery power to be cut off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elapsed even if the battery output voltage falls to a set reference voltage. Here, the predetermined time can be set in the range of 1 to 120 seconds, and in the summer it can also be set in the range of 1 to 30 seconds.

이와 같이, 배터리 출력 전압이 기준 전압까지 떨어진 후에도 배터리 전원을 바로 차단하지 않고 지연 시간을 추가로 두는 이유는 시동을 걸 때 배터리 출력 전압이 기준 전압보다 훨씬 낮은 전압으로 떨어지기 때문이다. 즉, 승용차의 경우, 충전 전압은 13.5 ~ 14.1 V 이고, 기준 전압은 12 V 라고 할 때, 시동을 걸면 배터리의 출력 전압이 순간적으로 9.5 V 까지 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지연 시간을 두지 않으면, 시동을 거는 사이에 전원이 차단되어 시동을 걸 수 없게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여름보다 겨울철에 지연 시간을 길게 설정하는 것은 겨울철에 시동 거는데 더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다.
In this way, even after the battery output voltage drops to the reference voltage, the reason why an additional delay time is added without immediately shutting off the battery power is that the battery output voltage drops to a voltage much low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when starting. That is, in the case of a passenger car, the charging voltage is 13.5 to 14.1 V, and the reference voltage is 12 V. When starting, the output voltage of the battery may drop to 9.5 V instantaneously. In this case, if the delay time is not set, the power may be cut off during starting to prevent starting. Also, setting a longer delay time in winter than in summer is because it takes longer to start in winter.

메모리(330)는 기준 전압, 지연 시간, 배터리의 누설 방전 및 자연 방전 특성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예를들어, 기준 전압을 1월~3월, 10월~12월의 기간에는 12V, 4월~9월의 기간에는 11.6V로 설정하고, 지연 시간을 1월~3월, 10월~12월의 기간에는 90초, 4월~9월의 기간에는 20초 등으로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배터리의 누설 방전 및 자연 방전 특성은 계절별 기준 전압과 지연 시간을 정할 때 자료가 될 수 있다.The memory 330 stores data such as a reference voltage, a delay time, leakage discharge and natural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the battery. For example, the reference voltage is set to 12V for the period from January to March, October to December, and 11.6V for the period from April to September, and the delay time is January to March and October to 12 It can be set and saved as 90 seconds in the month period and 20 seconds in the period from April to September. Leakage discharge and natural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the battery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seasonal reference voltage and delay time.

또한, 메모리(330)는 배터리의 누설 방전 및 자연 방전 특성 등의 데이터로부터 기준 전압 또는 지연 시간을 계산하는 프로그램도 저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emory 330 may also store a program for calculating a reference voltage or a delay time from data such as leakage discharge and natural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a battery.

릴레이부(340)는 일종의 스위칭 소자로서, 배터리(100)의 접지 단자(-)와 그라운드(차량의 경우에는 차체) 사이에 연결되며, 제어부(350)의 제어에 따라 온/오프한다. 온인 경우에는 배터리 전원이 관련 장치들에 공급되고, 오프인 경우에는 배터리 전원이 차단된다.
The relay unit 340 is a kind of switching element, and is connected between the ground terminal (-) of the battery 100 and the ground (in the case of a vehicle, the vehicle body), and turns on/off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350. When on, battery power is supplied to related devices, and when off, battery power is cut off.

제어부(350)는 배터리(100)의 출력 단자(+)에 연결된다. 제어부(350)는 배터리 전압 검출부(310)로부터 수신하는 배터리 출력 전압이 설정한 기준 전압보다 낮아지면 타이머(320)를 동작시킨다. 설정한 지연 시간이 경과하면, 타이머로부터 지연시간 종료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제어부(350)는 릴레이부(340)를 오프시키며, 이를 통해 배터리 전원이 관련 장치들에 공급되는 것을 차단한다.The control unit 350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 of the battery 100. The control unit 350 operates the timer 320 when the battery output voltage received from the battery voltage detection unit 310 becomes lower than the set reference voltage. When the set delay time has elapsed, a delay time end signal is received from the timer.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350 turns off the relay unit 340, thereby blocking battery power from being supplied to related devices.

한편, 제어부(350)는 외부로부터 기준 전압, 지연 시간, 배터리의 누설 방전 및 자연 방전 특성 등의 데이터를 수신하면, 이를 메모리(330)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350)는 메모리(33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배터리의 누설 방전 및 자연 방전 특성 등에 기초하여 기준 전압 또는 지연 시간을 계산하여 타이머(320) 등의 제어에 적용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receiving data such as a reference voltage, a delay time, a leakage discharge and a natural discharge characteristic of the battery from the outside, the control unit 350 stores it in the memory 330.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50 may use a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330 to calculate a reference voltage or a delay time based on leakage discharge and natural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the battery and apply it to the control of the timer 320 and the like.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방전 차단 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1B shows a second embodiment of a battery discharge b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 방전 차단 장치는 리셋부(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셋부(360)는 예를들어 버튼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며, 차량의 경우에는 차량 내부의 시동키 옆에 구비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1B, the battery discharge block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reset unit 360. The reset unit 360 may be configured,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button, and in the case of a vehicle, it may be provided next to an ignition key inside the vehicle.

리셋부(360)는 리셋 버튼의 누름에 의해 릴레이부 온 신호를 제어부(350)로 전송한다. 이때, 제어부(350)는 릴레이부(340)를 온시킨다. 제어부(350)가 릴레이부(340)를 온시키면, 도 1a의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부(350)는 배터리 전압 검출부(310)로부터 배터리 출력 전압을 수신하고 이를 기준 전압과 비교하며, 만약 배터리 출력 전압이 기준 전압보다 낮으면 타이머(320)를 동작시킨다.The reset unit 360 transmits the relay unit 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350 by pressing the reset button.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350 turns on the relay unit 340. When the control unit 350 turns on the relay unit 340, a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of FIG. 1A, the control unit 350 receives the battery output voltage from the battery voltage detection unit 310 and compares it with a reference voltage. , If the battery output voltage is low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the timer 320 is operated.

이후, 타이머(320)로부터 지연시간 종료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부는 타이머를 다시 동작시켜 제2 지연 시간의 경과에 따른 제2 지연시간 종료신호를 타이머(320)로부터 수신한다. 이때, 제어부(350)는 리셋부(360)를 활성화시켜, 사용자가 리셋부(360)를 다시 조작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제2 지연 시간을 두는 것은, 배터리 출력 전압이 기준 전압 아래로 떨어져 있는 경우에도, 일정 시간 후에 시동을 다시 걸면 이전 시동의 시도로 인해 다음 시도의 시동이 걸리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제2 지연 시간은 예를들어 10~ 30초의 범위에서 설정할 수 있다.
Thereafter, when the delay time end signal is received from the timer 320, the controller operates the timer again to receive the second delay time end signal according to the elapse of the second delay time from the timer 320.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350 activates the reset unit 360, so that the user can operate the reset unit 360 again. In this way, the second delay time is set because even if the battery output voltage is low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if the ignition is restarted after a certain time, the next attempt may start due to the previous start attempt. Here, the second delay time can be set, for example, in a range of 10 to 30 seconds.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방전 차단 장치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1C shows a third embodiment of a battery discharge b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 방전 차단 장치는 상태 표시부(3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태 표시부(370)는 예를들어 LED 점등 장치로 구성할 수 있으며, 차량의 경우에는 운전석 전방의 차량 내부에 구비할 수 있다.1C, the battery discharge block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tatus display unit 370. The status display unit 370 may be configured with, for example, an LED lighting device, and in the case of a vehicle, it may be provided inside the vehicle in front of the driver's seat.

상태 표시부(370)는 릴레이부(340)의 온/오프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해준다.
The status display unit 370 allows the on/off status of the relay unit 340 to be checked.

도 1d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방전 차단 장치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1D shows a fourth embodiment of a battery discharge b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 방전 차단 장치는 기준전압 조정부(3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준전압 조정부(380)는 예를들어 가변 저항 등으로 구성할 수 있는데, 이를 이용하면 사용자가 계절 등의 환경에 따라 기준 전압을 수동으로 조정할 수 있다.
1D, the battery discharge block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reference voltage adjusting unit 380. The reference voltage adjusting unit 380 may be configured with, for example, a variable resistor, etc., and the user can manually adjust the reference voltage according to an environment such as a season.

도 2는 도 1a의 제1 실시예의 동작 과정을 보여주는 플로우챠트이다.FIG. 2 is a flowchart showing an operation process of the first embodiment of FIG. 1A.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배터리 전압 검출부(310)가 배터리(100)의 출력 전압을 측정한다(S111). 이 경우, 배터리 전압 검출부(310)는 배터리 출력 전압을 배터리(100)의 양 단자에 직접 연결되어 측정할 수도 있고, 제어부(350)를 통해 간접적으로 측정할 수도 있다.2, first, the battery voltage detector 310 measures the output voltage of the battery 100 (S111). In this case, the battery voltage detector 310 may measure the battery output voltage by directly connecting to both terminals of the battery 100 or indirectly through the controller 350.

이후, 제어부(350)는 수신한 배터리 출력 전압과 설정한 기준 전압을 비교한다(S113). 이때, 배터리 출력 전압이 기준 전압보다 낮으면, 제어부(350)는 타이머(320)를 동작시킨다. 그렇지 않고, 배터리 출력 전압이 기준 전압보다 높은 상태이면, 소정 시간마다 배터리 출력 전압을 다시 측정한다.Thereafter, the control unit 350 compares the received battery output voltage with the set reference voltage (S113). At this time, when the battery output voltage is low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the controller 350 operates the timer 320. Otherwise, if the battery output voltage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the battery output voltage is measured again every predetermined time.

타이머(320)가 동작한 후(S115), 타이머(320)로부터 제1 종료신호, 즉 지연시간 종료신호를 수신하면(S117), 제어부(350)는 릴레이부(340)를 오프시킨다(S119). 이 경우, 관련 장치들에 공급되는 배터리 전원이 차단되고, 미미한 전력만이 제어부(350)를 구동하는데 사용된다. 물론, 제어부(350)는 일정 시간 동안 관련 제어 신호를 수신하지 않으면, 휴면 상태로 들어가게 구성함으로써, 제어부(350)에 의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After the timer 320 is operated (S115 ), when the first termination signal, that is, the delay time termina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timer 320 (S117 ), the controller 350 turns off the relay unit 340 (S119 ). . In this case, the battery power supplied to the related devices is cut off, and only a small amount of power is used to drive the control unit 350. Of course, if the control signal is not received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control unit 350 may be configured to enter a dormant state, thereby minimizing power consumption by the control unit 350.

제어부(350)는, 릴레이부(340)를 오프시킨 후, 리셋부(360)를 활성화시켜, 사용자가 릴레이부(340)를 수동으로 온시킬 수 있게 한다(S121).
After turning off the relay unit 340, the control unit 350 activates the reset unit 360, so that the user can manually turn on the relay unit 340 (S121).

도 3은 도 1b의 제2 실시예의 동작 과정을 보여주는 플로우챠트이다.3 is a flowchart showing an operation process of the second embodiment of FIG. 1B.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셋부(360)가 활성화된 상태에서(S211), 리셋부(360)가 동작하면, 제어부(350)는 리셋부(360)로부터 릴레이부 온 신호를 수신한다(S213). 이 경우, 제어부(350)는 릴레이부(340)를 온시키고(S215), 다시 도 2에서 설명한 과정을 수행한다(S111~S121).As illustrated in FIG. 3, when the reset unit 360 is activated (S211) and the reset unit 360 operates, the control unit 350 receives a relay unit on signal from the reset unit 360 ( S213).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350 turns on the relay unit 340 (S215), and performs the process described in FIG. 2 again (S111 to S121).

이후, 제어부(350)는 타이머(320)를 다시 동작시킨다(S217). 이 경우, 타이머(320)는 제2 지연 시간이 경과하면, 그에 따른 제2 지연시간 종료신호를 제어부(350)로 전송한다(S219). 이때, 제어부(350)는, 리셋부(360)를 활성화시킨다.
Thereafter, the control unit 350 operates the timer 320 again (S217). In this case, when the second delay time has elapsed, the timer 320 transmits the second delay time end signal accordingly (S219 ).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350 activates the reset unit 360.

이상, 몇가지 실시예로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범위 내에서 위 실시예를 다른 형태로 변형할 수 있을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several examples, but this is for explaining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be able to modify the above embodiments to other form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가 아니라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므로, 통상의 기술자가 행하는 그러한 변형례들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However, sinc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below rather than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uch modifications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배터리 200 : 분배부
310 : 배터리 전압 검출부 320 : 타이머
330 : 메모리 340 : 릴레이부
350 : 제어부 360 : 리셋부
370 : 상태 표시부 380 : 기준전압 조정부
100: battery 200: distribution unit
310: battery voltage detector 320: timer
330: memory 340: relay unit
350: control unit 360: reset unit
370: Status display unit 380: Reference voltage adjustment unit

Claims (5)

배터리의 출력 전압을 검출하는 배터리 전압 검출부;
제1 설정 시간이 경과하면 제1 종료 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머;
상기 배터리의 접지 단자와 그라운드 사이에 연결되는 릴레이부;
릴레이부 온 신호를 출력하는 리셋부; 및
상기 배터리의 출력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배터리 전압 검출부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배터리 출력 전압이 기준 전압보다 낮아지면 상기 타이머를 동작시키고, 상기 타이머로부터 상기 제1 종료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릴레이부를 오프시키고, 상기 리셋부로부터 상기 릴레이부 온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릴레이부를 온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릴레이부 온 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배터리 전압 검출부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배터리 출력 전압이 기준 전압보다 낮은 지를 다시 판단하고 낮으면 상기 타이머를 동작시킨 후 상기 타이머로부터 상기 제1 종료 신호를 다시 수신하고, 이후 상기 타이머를 다시 동작시킨 후 제2 설정 시간의 경과에 따른 제2 종료 신호를 상기 타이머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리셋부를 활성화시키는, 배터리 방전 차단 장치.
A battery voltage detector configured to detect an output voltage of the battery;
A timer that outputs a first end signal when the first set time has elapsed;
A relay unit connected between the ground terminal of the battery and the ground;
A reset unit for outputting a relay unit on signal; And
When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battery, the battery output voltage received from the battery voltage detection unit is low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to operate the timer, when receiving the first termination signal from the timer, the relay unit is turned off, the And a control unit that turns on the relay unit when the relay unit on signal is received from a reset unit.
When receiving the on signal of the relay unit, the controller determines again whether the battery output voltage received from the battery voltage detector is lower than a reference voltage, and if it is low, operates the timer and then the first termination signal from the timer. When receiving the second, and after operating the timer again after receiving the second termination signal according to the elapse of the second set time from the timer, to activate the reset unit, the battery discharge blocking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부의 온/오프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방전 차단 장치.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tatus display for displaying the on / off state of the relay unit, battery discharge block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전압을 조정하는 기준전압 조정부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방전 차단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d a reference voltage adjusting unit that adjusts the reference voltage.
KR1020140013893A 2014-02-07 2014-02-07 An Apparatus for Blocking Discharge of Battery KR10211874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3893A KR102118741B1 (en) 2014-02-07 2014-02-07 An Apparatus for Blocking Discharge of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3893A KR102118741B1 (en) 2014-02-07 2014-02-07 An Apparatus for Blocking Discharge of Batter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3298A KR20150093298A (en) 2015-08-18
KR102118741B1 true KR102118741B1 (en) 2020-06-03

Family

ID=54057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3893A KR102118741B1 (en) 2014-02-07 2014-02-07 An Apparatus for Blocking Discharge of Batte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874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27145B2 (en) 2015-12-08 2018-07-17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for adjusting a voltage of battery by measuring a voltage decrease speed of battery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4774A (en) * 1995-12-22 1997-07-31 배순훈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overdischarge of car battery
KR19990027244A (en) * 1997-09-29 1999-04-15 양재신 Automotive battery discharge protection device
KR20050108127A (en) * 2004-05-11 2005-11-16 장귀수 Shut-off apparatus for the overcharged batteries of vehicle
KR101257024B1 (en) * 2011-06-30 2013-04-22 (주)피타소프트 Regular power supplying apparatus having user swit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3298A (en) 2015-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63825B2 (en) Method,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vehicle for charging awakening
CN108583478B (en) Low-battery control method and system
US8674657B2 (en) Rechargeable battery charging method, rechargeable battery charge controlling device and battery pack
US7923967B2 (en) Method for controlling battery pack
AU771405B2 (en) Portable jump-starting battery pack with charge monitoring system
US8847554B2 (en) System for preventing deep battery discharge
WO2020043128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charging state of battery, and chip, battery and aircraft
EP2819211B1 (en) Battery pack
JPH02299428A (en) Method and equipment for determining type of battery and changing operating characteristics
TW200843280A (en) Battery pack
KR102297930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overcharge of battery and method for preventing overcharge of battery by using the same
US20140015495A1 (en) Battery pack, method of charging the sam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US11721998B2 (en) Backup battery control module and backup battery control system
US9559540B2 (en) Mobile terminal with a rechargeable battery and method for discharging the rechargeable battery
KR2015004420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judging of current consumption of battery
KR102118741B1 (en) An Apparatus for Blocking Discharge of Battery
KR20170037260A (en) Battery Management System for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8766567B2 (en) Battery control and protective element validation method
KR102603038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high voltage battery of vehicle
CN110356345B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remotely monitoring storage battery condition and controlling power supply of storage battery
KR101897352B1 (en) System for processing fault information of vehicle
KR102062706B1 (en) Battery pack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72487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lay of vehicle
JP2009163552A (en) Vehicle power supply management system, vehicle power supply management apparatus and charge control method
WO2018219175A1 (en) Battery circuit, battery device, electronic cigarette and power supply control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