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8178B1 - 블록체인을 위한 다중 트랜잭션 병렬 처리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록체인을 위한 다중 트랜잭션 병렬 처리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8178B1
KR102118178B1 KR1020190047880A KR20190047880A KR102118178B1 KR 102118178 B1 KR102118178 B1 KR 102118178B1 KR 1020190047880 A KR1020190047880 A KR 1020190047880A KR 20190047880 A KR20190047880 A KR 20190047880A KR 102118178 B1 KR102118178 B1 KR 102118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action
transactions
ledgers
subjects
su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7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선묵
김호현
김형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데이터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데이터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데이터젠
Priority to KR1020190047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81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8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8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ocessing data by operating upon the order or content of the data hand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06Q20/3678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e-cash details, e.g. blinded, divisible or detecting double spen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20/00Business processing using cryptography
    • G06Q2220/10Usage protection of distributed data fil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블록체인을 위한 다중 트랜잭션 병렬 처리 방법 및 시스템을 개시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트랜잭션 병렬 처리 방법은, 하나의 블록생성기간에 하나의 트랜잭션 식별자에 의해 식별되는 하나의 트랜잭션에 대해, 제1 주체와 복수의 제2 주체들 각각간의 복수의 하위 트랜잭션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하나의 블록생성기간에 상기 하나의 트랜잭션에 대한 상기 제1 주체를 위한 제1 원장 및 상기 복수의 하위 트랜잭션들 각각에 대한 상기 복수의 제2 주체들 각각을 위한 복수의 제2 원장들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원장을 상기 제1 주체로, 상기 복수의 제2 원장들을 상기 복수의 제2 주체들로 각각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블록체인을 위한 다중 트랜잭션 병렬 처리 방법 및 시스템{MULTIPLE TRANSACTION PARALLEL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FOR BLOCKCHAIN}
아래의 설명은 블록체인을 위한 다중 트랜잭션 병렬 처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블록체인에서는 자산의 트랜잭션에 대해 한 건의 트랜잭션에 하나의 트랜잭션 식별자(transaction ID, TXID)를 부여한다. 예를 들어, 한국등록특허 제10-1841561호는 UTXO 기반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전자 바우처를 발행, 사용, 환불, 정산 및 파기하는 방법과 이를 이용한 서버에 관한 것으로, 특정 발행자의 서명값을 포함하는 전자 바우처 발행 트랜잭션을 프라이빗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 등록된 전자 바우처 발행 트랜잭션의 프라이빗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 상의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PrivTxid를 특정 발행자에게 제공하도록 지원함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여러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서비스 생태계에서 블록체인을 통해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보상을 제공하려고 할 때, 트랜잭션 한 건당 하나의 TXID를 부여하게 되면, 보상 건에 대한 부하가 사용자의 수에 따라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예를 들어, 자산을 100 개 가진 지갑 A가 100 개의 서로 다른 지갑들에게 자산을 1 개씩 보내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우선, 지갑 A에서 지갑 B로 자산 1 개가 전송되면, 자산 100 개라는 한 개의 자산원장은 전송된 1 개의 자산원장과 나머지 99 개의 자산원장으로 분리가 된다. 이때, 블록체인의 특성상 나머지 99 개의 자산원장에 대한 확정을 얻기 전까지 지갑 A에서는 다음 트랜잭션을 할 수 없게 된다. 블록내에서 이루어진 트랜잭션들은 다음 블록이 생성되는 시점에 확정되며, 확정 후 다음 트랜잭션의 진행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만약, 블록들이 10 초마다 생성된다고 가정할 때, 지갑 A에서 다른 100 개의 지갑들로 1 개씩 자산을 모두 보내기 위해서는 1000초의 예상시간이 요구된다.
이처럼, 한 건의 트랜잭션마다 하나의 TXID가 부여되는 것은 개인들간의 트랜잭션에 있어서는 큰 부하로 작용하지 않지만, 블록체인을 활용한 하나의 서비스에서 다수의 사용자들 각각에게 자산을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 서비스에서의 실시간 응답 처리 속도 관점에서 실용성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사용자와 블록체인 사이에서 다수의 트랜잭션들에 트랜잭션 식별자(transaction ID, TXID)를 부여하여 다중 트랜잭션을 병렬 처리함으로써, 트랜잭션의 처리 속도를 혁신적으로 높일 수 있는 다중 트랜잭션 병렬 처리 방법,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장치, 상기 컴퓨터 장치와 결합되어 상기 방법을 상기 컴퓨터 장치에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및 그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컴퓨터 장치의 다중 트랜잭션 병렬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하나의 블록생성기간에 하나의 트랜잭션 식별자에 의해 식별되는 하나의 트랜잭션에 대해, 제1 주체와 복수의 제2 주체들 각각간의 복수의 하위 트랜잭션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하나의 블록생성기간에 상기 하나의 트랜잭션에 대한 상기 제1 주체를 위한 제1 원장 및 상기 복수의 하위 트랜잭션들 각각에 대한 상기 복수의 제2 주체들 각각을 위한 복수의 제2 원장들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제1 원장을 상기 제1 주체로, 상기 복수의 제2 원장들을 상기 복수의 제2 주체들로 각각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중 트랜잭션 병렬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1 주체는 블록체인에 기반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의 지갑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2 주체들은 상기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상기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들의 지갑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하위 트랜잭션들은 상기 제1 주체가 상기 하나의 블록생성기간 동안 상기 복수의 제2 주체들 각각으로 자산을 전달하고자 하는 트랜잭션들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의 트랜잭션을 식별하는 상기 하나의 트랜잭션 식별자에 의해 그룹의 형태로 식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다중 트랜잭션 병렬 처리 방법은 상기 하나의 트랜잭션 식별자에 의해 식별되는 상기 하나의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블록을 블록체인에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장치와 결합되어 상기 방법을 컴퓨터 장치에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을 컴퓨터 장치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하나의 블록생성기간에 하나의 트랜잭션 식별자에 의해 식별되는 하나의 트랜잭션에 대해, 제1 주체와 복수의 제2 주체들 각각간의 복수의 하위 트랜잭션들을 수신하고, 상기 하나의 블록생성기간에 상기 하나의 트랜잭션에 대한 상기 제1 주체를 위한 제1 원장 및 상기 복수의 하위 트랜잭션들 각각에 대한 상기 복수의 제2 주체들 각각을 위한 복수의 제2 원장들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원장을 상기 제1 주체로, 상기 복수의 제2 원장들을 상기 복수의 제2 주체들로 각각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를 제공한다.
사용자와 블록체인 사이에서 다수의 트랜잭션들에 트랜잭션 식별자(transaction ID, TXID)를 부여하여 다중 트랜잭션을 병렬 처리함으로써, 트랜잭션의 처리 속도를 혁신적으로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트랜잭션 병렬 처리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블록체인에서의 트랜잭션 처리 과정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트랜잭션 병렬 처리 시스템의 트랜잭션 처리 과정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트랜잭션 병렬 처리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다중 트랜잭션 병렬 처리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장치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컴퓨터 장치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이 설치 및 구동될 수 있고, 컴퓨터 장치는 구동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다중 트랜잭션 병렬 처리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장치와 결합되어 다중 트랜잭션 병렬 처리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은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 복수의 서버들(150, 160) 및 네트워크(170)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도 1은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례로 전자 기기의 수나 서버의 수가 도 1과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은 본 실시예들에 적용 가능한 환경들 중 하나의 예를 설명하는 것일 뿐, 본 실시예들에 적용 가능한 환경이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은 컴퓨터 장치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의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네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이 있다. 일례로 도 1에서는 전자 기기 1(110)의 예로 스마트폰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전자 기기 1(110)은 실질적으로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170)를 통해 다른 전자 기기들(120, 130, 140) 및/또는 서버(150, 160)와 통신할 수 있는 다양한 물리적인 컴퓨터 장치들 중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17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70)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170)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서버(150, 160) 각각은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과 네트워크(170)를 통해 통신하여 명령, 코드, 파일, 컨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50)는 네트워크(170)를 통해 접속한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로 서비스(일례로, 메시징 서비스, 메일 서비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지도 서비스, 번역 서비스, 금융 서비스, 결제 서비스, 검색 서비스, 컨텐츠 제공 서비스 등)를 제공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앞서 설명한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 각각이나 서버들(150, 160) 각각은 도 2를 통해 도시된 컴퓨터 장치(2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장치(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210), 프로세서(220), 통신 인터페이스(230) 그리고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0)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ROM과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는 메모리(210)와는 구분되는 별도의 영구 저장 장치로서 컴퓨터 장치(20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210)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메모리(210)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부터 메모리(210)로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아닌 통신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메모리(210)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네트워크(170)를 통해 수신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기반하여 컴퓨터 장치(200)의 메모리(210)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210)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230)에 의해 프로세서(220)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메모리(21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30)은 네트워크(170)를 통해 컴퓨터 장치(200)가 다른 장치(일례로, 앞서 설명한 저장 장치들)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컴퓨터 장치(200)의 프로세서(220)가 메모리(21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이나 명령, 데이터, 파일 등이 통신 인터페이스(230)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70)를 통해 다른 장치들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다른 장치로부터의 신호나 명령, 데이터, 파일 등이 네트워크(170)를 거쳐 컴퓨터 장치(200)의 통신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컴퓨터 장치(200)로 수신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수신된 신호나 명령, 데이터 등은 프로세서(220)나 메모리(210)로 전달될 수 있고, 파일 등은 컴퓨터 장치(200)가 더 포함할 수 있는 저장 매체(상술한 영구 저장 장치)로 저장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는 입출력 장치(250)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마이크,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스피커와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입출력 장치(250)는 컴퓨터 장치(200)와 하나의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적은 혹은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예를 들어, 컴퓨터 장치(200)는 상술한 입출력 장치(250)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트랜잭션 병렬 처리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다중 트랜잭션 병렬 처리 시스템(3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체인(310)과 병렬 처리 모듈(32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중 트랜잭션 병렬 처리 시스템(300)에는 다수의 서비스 제공자들이 연계될 수 있으며, 도 3에서는 다수의 서비스 제공자들 중 하나의 서비스 제공자(330)를 나타내고 있다. 서비스 제공자(330)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들(340)은 일례로,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에 기반하여 서비스 제공자(330)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자(330)는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트랜잭션들을 블록체인(310)에 기록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제공자(330)가 사용자들(340)에게 보상을 제공하는 것과 같이 하나의 주체가 다수의 주체들 각각과 개별 트랜잭션이 이루어져야 하는 상황들이 존재한다. 이때, 병렬 처리 모듈(320)은 하나의 주체가 다수의 주체들 각각과의 트랜잭션들을 하나의 트랜잭션 식별자(transaction ID, TXID)로 묶어 다중 트랜잭션을 병렬 처리함으로써, 트랜잭션 처리 속도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병렬 처리 모듈(320)은 사용자들(340)과 블록체인(310) 사이에서 트랜잭션속도(Transaction Per Second, TPS)를 혁신적으로 빠르게 하기 위한 다중 프로세싱 미들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블록체인에서의 트랜잭션 처리 과정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트랜잭션 병렬 처리 시스템의 트랜잭션 처리 과정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하나의 트랜잭션에 하나의 TXID가 할당되는 종래의 블록체인에서의 트랜잭션 처리 과정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에서는 자산을 1,000 개 가진 지갑 A(410)가 900 개의 서로 다른 지갑들에게 자산을 1 개씩 보내는 과정의 예를 설명하고 있다. 우선 지갑 A(410)가 지갑 1(420)로 자산 1 개를 전송하게 되면, 자산 1,000 개라는 하나의 자산원장은 전송된 자산 1 개의 자산원장과 나머지 자산 999 개의 자산원장으로 분리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지갑 A(410)가 지갑 1(420)로 자산 1을 전송하는 트랜잭션이 'TXID 1'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 이때, 블록체인의 특성상 나머지 999 개의 자산원장에 대한 확정을 얻기 전까지 지갑 A에서는 다음 트랜잭션을 할 수 없게 된다. 블록내에서 이루어진 트랜잭션들은 다음 블록이 생성되는 시점에 확정되며, 확정 후 다음 트랜잭션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블록생성시간 10초가 지난 후, 지갑 A는 지갑 2로 자산 1을 보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트랜잭션은 'TXID 2'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 종래기술에서는 이러한 트랜잭션이 총 900 번에 걸쳐 순차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블록생성시간 10초를 고려할 때, 총 9,000초의 트랜잭션 처리 시간이 요구된다.
이처럼, 한 건의 트랜잭션마다 하나의 TXID가 부여되는 것은 하나의 주체가 다수의 다른 주체들 각각에게 자산을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실시간 응답 처리가 거의 불가능하다.
한편 도 5는, 도 3을 통해 설명한 병렬 처리 모듈(320)이 900 번의 트랜잭션을 하나의 TXID로 묶어서 처리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지갑 B(510)가 900 개의 서로 다른 지갑들(520)에게 자산을 1 개씩 보내는 과정에서, 병렬 처리 모듈(320)은 'TXID 1' 내에서 자산을 지갑 B(510)의 자산 1,000 개라는 하나의 자산원장을 자산 1 개를 가진 900 개의 자산원장과 나머지 100 개를 가진 자산원장으로 분리시켜 줄 수 있으며, 분리시킨 원장을 한 번에 900 개의 주소(900 개의 서로 다른 지갑들(520))로 각각 보냄으로써, 다중 트랜잭션을 병렬 처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병렬 처리 모듈(320)은 하나의 트랜잭션에 다수의 하위 트랜잭션(도 5의 실시예에서는 900 개의 하위 트랜잭션)을 처리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병렬 처리는 블록생성시간 10초 내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종래기술에서 9,000초의 트랜잭션 처리 시간이 요구되었던 것에 비해 트랜잭션 처리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5에서는 지갑 B(510)의 총 자산이 1,000 개 이고, 이러한 자산 1,000 개를 가진 원장이 하나라는 가정하에 설명이 이루어졌다. 만약, 지갑 B(510)의 총 자산이 10,000 개이고, 여러 개의 원장으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 병렬 처리 모듈(320)은 지갑 B(510)가 보유한 원장의 개수만큼 다중처리를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트랜잭션 병렬 처리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다중 트랜잭션 병렬 처리 방법은 일례로 앞서 도 3을 통해 설명한 병렬 처리 모듈(320)을 구현하는 컴퓨터 장치(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장치(200)의 프로세서(220)는 메모리(210)가 포함하는 운영체제의 코드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코드에 따른 제어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220)는 컴퓨터 장치(200)에 저장된 코드가 제공하는 제어 명령에 따라 컴퓨터 장치(200)가 도 6의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610 내지 640)을 수행하도록 컴퓨터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단계(610)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하나의 블록생성기간에 하나의 트랜잭션 식별자에 의해 식별되는 하나의 트랜잭션에 대해, 제1 주체와 복수의 제2 주체들 각각간의 복수의 하위 트랜잭션들을 수신할 수 있다. 일례로, 도 5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주체는 블록체인에 기반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의 지갑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제2 주체들은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들의 지갑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예시로서, 하나의 지갑이 다수의 지갑들에게 자산을 전달하는 경우라면, 서비스 제공자와 서비스의 사용자에 대한 구분 없이 자산을 전달하는 하나의 지갑이 제1 주체가 될 수 있고, 자산을 전달받는 다수의 지갑들이 복수의 제2 주체들이 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하위 트랜잭션들은 제1 주체가 하나의 블록생성기간 동안 복수의 제2 주체들 각각으로 자산을 전달하는 트랜잭션들을 포함하고, 하나의 트랜잭션을 식별하는 하나의 트랜잭션 식별자에 의해 그룹의 형태로 식별될 수 있다.
단계(620)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하나의 블록생성기간에 하나의 트랜잭션에 대한 제1 주체를 위한 제1 원장 및 복수의 하위 트랜잭션들 각각에 대한 복수의 제2 주체들 각각을 위한 복수의 제2 원장들을 생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기존에 하나의 트랜잭션을 처리하면서 해당 트랜잭션에 의해 각각 분기되는 원장만을 생성하는 것과 달리, 컴퓨터 장치(200)는 하나의 트랜잭션이 포함하는 복수의 하위 트랜잭션들 각각에 의해 분기되는 원장들을 하나의 블록생성기간에 통합적으로 생성함으로써, 다중 트랜잭션에 대한 병렬 처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단계(630)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제1 원장을 제1 주체로, 복수의 제2 원장들을 복수의 제2 주체들로 각각 전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컴퓨터 장치(200)는 다중 트랜잭션에 대해 통합적으로 생성한 원장들을 각각 해당하는 주소(지갑 주소)로 전달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주체가 서비스 제공자인 경우, 복수의 제2 원장들은 제1 주체를 통해 제1 주체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사용자들인 제2 주체들로 전달될 수 있다.
단계(640)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하나의 트랜잭션 식별자에 의해 식별되는 하나의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블록을 블록체인에 추가할 수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의 하위 트랜잭션들은 하나의 트랜잭션을 식별하는 하나의 트랜잭션 식별자에 의해 그룹의 형태로 식별될 수 있다. 일례로, 도 3에서 설명한 병렬 처리 모듈(320)에 의해 블록체인(310)으로 해당 트랜잭션 식별자에 의해 식별되는 하나의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블록이 전달될 수 있으며, 블록체인(310)에서 블록에 대한 합의를 통해 전달된 블록이 블록체인(310)에 추가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와 블록체인 사이에서 다수의 트랜잭션들에 트랜잭션 식별자(transaction ID, TXID)를 부여하여 다중 트랜잭션을 병렬 처리함으로써, 트랜잭션의 처리 속도를 혁신적으로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시스템 또는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개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애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7)

  1.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컴퓨터 장치의 다중 트랜잭션 병렬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하나의 블록생성기간에 하나의 트랜잭션 식별자에 의해 식별되는 하나의 트랜잭션에 대해, 제1 주체와 복수의 제2 주체들 각각간의 복수의 하위 트랜잭션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하나의 블록생성기간에 상기 하나의 트랜잭션에 대한 상기 제1 주체를 위한 제1 원장 및 상기 복수의 하위 트랜잭션들 각각에 대한 상기 복수의 제2 주체들 각각을 위한 복수의 제2 원장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제1 원장을 상기 제1 주체로, 상기 복수의 제2 원장들을 상기 복수의 제2 주체들로 각각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의 트랜잭션 식별자에 의해 식별되는 상기 하나의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블록을 블록체인에 추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주체는 블록체인에 기반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의 지갑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2 주체들은 상기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상기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들의 지갑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하위 트랜잭션들은 상기 제1 주체가 상기 하나의 블록생성기간 동안 상기 복수의 제2 주체들 각각으로 자산을 전달하는 트랜잭션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하위 트랜잭션들은 상기 하나의 트랜잭션을 식별하는 상기 하나의 트랜잭션 식별자에 의해 식별되는 것으로 상기 하나의 트랜잭션 식별자에 의해 그룹의 형태로 식별되고,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의 트랜잭션이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하위 트랜잭션들 각각에 의해 분기되는 원장들을 상기 하나의 블록생성기간에 통합 생성하고,
    상기 다중 트랜잭션 병렬 처리 방법은,
    상기 제1 주체가 상기 복수의 제2 주체들 각각과의 트랜잭션들을 상기 하나의 트랜잭션 식별자로 묶어 다중 트랜잭션을 병렬 처리하는 것으로,
    상기 하나의 트랜잭션 식별자 내에서 상기 제1 원장을 상기 복수의 제2 원장들과 상기 복수의 제2 원장들을 제외한 나머지 원장으로 분리시킨 후 분리시킨 원장들 중 상기 복수의 제2 원장들을 상기 복수의 제2 주체들 각각으로 전달하고 상기 나머지 원장을 상기 제1 주체로 전달하고,
    상기 복수의 제2 원장들은 상기 제1 주체를 통해 상기 복수의 제2 주체들 각각으로 전달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트랜잭션 병렬 처리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90047880A 2019-04-24 2019-04-24 블록체인을 위한 다중 트랜잭션 병렬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118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880A KR102118178B1 (ko) 2019-04-24 2019-04-24 블록체인을 위한 다중 트랜잭션 병렬 처리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880A KR102118178B1 (ko) 2019-04-24 2019-04-24 블록체인을 위한 다중 트랜잭션 병렬 처리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8178B1 true KR102118178B1 (ko) 2020-06-02

Family

ID=71090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7880A KR102118178B1 (ko) 2019-04-24 2019-04-24 블록체인을 위한 다중 트랜잭션 병렬 처리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817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1241A (ko) * 2019-11-19 2021-05-2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트랜잭션의 병렬적 실행을 지원하는 방법, 이를 이용하는 블록체인 노드 및 프로그램
KR102518268B1 (ko) * 2022-04-13 2023-04-05 주식회사 비투엔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처 기반의 트랜잭션 가상화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230068800A (ko) 2021-11-11 2023-05-18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트랜잭션 충돌 방지 가능한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트랜잭션 충돌 방지 방법
KR102550125B1 (ko) * 2022-10-04 2023-06-30 주식회사 블록오디세이 서비스의 이용을 위한 nft를 대량으로 발송 및 관리하기 위한 방법, 이를 수행하는 서비스서버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KR102556892B1 (ko) * 2022-09-21 2023-07-19 주식회사 업루트컴퍼니 블록체인 온체인 데이터를 활용한 디지털자산 구매 및 보관 서비스 제공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80649A (zh) * 2017-02-28 2017-07-25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写入区块链业务数据的方法和装置及业务子集合确定方法
KR20190009958A (ko) * 2017-07-20 2019-01-30 주식회사 더블체인 확장형 블록체인 시스템 및 블록체인 확장방법
KR20190016743A (ko) * 2017-08-09 2019-02-19 네이버 주식회사 데이터베이스 샤딩 환경에서의 데이터 복제
KR20190034272A (ko) * 2016-07-29 2019-04-01 엔체인 홀딩스 리미티드 블록체인 구현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4272A (ko) * 2016-07-29 2019-04-01 엔체인 홀딩스 리미티드 블록체인 구현 방법 및 시스템
CN106980649A (zh) * 2017-02-28 2017-07-25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写入区块链业务数据的方法和装置及业务子集合确定方法
KR20190009958A (ko) * 2017-07-20 2019-01-30 주식회사 더블체인 확장형 블록체인 시스템 및 블록체인 확장방법
KR20190016743A (ko) * 2017-08-09 2019-02-19 네이버 주식회사 데이터베이스 샤딩 환경에서의 데이터 복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1241A (ko) * 2019-11-19 2021-05-2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트랜잭션의 병렬적 실행을 지원하는 방법, 이를 이용하는 블록체인 노드 및 프로그램
KR102342788B1 (ko) 2019-11-19 2021-12-2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트랜잭션의 병렬적 실행을 지원하는 방법, 이를 이용하는 블록체인 노드 및 프로그램
KR20230068800A (ko) 2021-11-11 2023-05-18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트랜잭션 충돌 방지 가능한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트랜잭션 충돌 방지 방법
KR102518268B1 (ko) * 2022-04-13 2023-04-05 주식회사 비투엔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처 기반의 트랜잭션 가상화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2556892B1 (ko) * 2022-09-21 2023-07-19 주식회사 업루트컴퍼니 블록체인 온체인 데이터를 활용한 디지털자산 구매 및 보관 서비스 제공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102550125B1 (ko) * 2022-10-04 2023-06-30 주식회사 블록오디세이 서비스의 이용을 위한 nft를 대량으로 발송 및 관리하기 위한 방법, 이를 수행하는 서비스서버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8178B1 (ko) 블록체인을 위한 다중 트랜잭션 병렬 처리 방법 및 시스템
US20190205932A1 (en) Blockchain-Enabled Targeted Content System
KR102034840B1 (ko) 테스트 그룹 분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및 서버
JP2019185767A (ja) 送金機能が搭載されたメッセンジャーでメッセージ内容を認識して送金機能を提供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EP3508262A1 (en)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user activity information
KR20200063595A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IoT 데이터 중개 방법 및 이를 위한 중개 서버
JP2021057036A (ja) 分割払い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7339335B2 (ja) DAppで要求する高いトランザクション処理量をブロックチェーンで効率的に処理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19125359A (ja) 情報推薦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US20240061702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llecting user information according to providing virtual desktop infrastructure service
JP7460348B2 (ja) ブロックチェーンの拡張を可能にするトランザクション処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11539730A (zh) 基于区块链的数据处理方法、装置和电子设备
KR20200085026A (ko) 메신저 기반 계좌 거래 이력과 관련된 사용자 편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20200076273A (ko) 얼굴 이미지와 메신저 계정의 연동에 기반한 이미지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082949B1 (ko) 선택적 결제 처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선택적 결제 요청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20084401A (ko) 블록체인에서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에스크로 거래 방법 및 시스템
JP7312224B2 (ja) 決済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20210047719A (ko) 메신저를 이용하여 결제 수단의 연동 계좌를 변경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US20210182812A1 (en)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 medium to process payments using payment-only cart
US20170351554A1 (en) Method and system for cloud service based on redistribution of processing power
KR102471734B1 (ko) 도전과제와 연계된 모임 통장을 관리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20220215381A1 (en) Methods, systems,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 media for prompt transfer of cryptocurrency
KR20230151657A (ko) 프로필을 이용한 위치 기반 송금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컴퓨터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10366398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digital content based on a social relationship
KR20230129651A (ko) 포인트에 기반하여 해외 송금을 처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