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7841B1 -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7841B1
KR102117841B1 KR1020120121659A KR20120121659A KR102117841B1 KR 102117841 B1 KR102117841 B1 KR 102117841B1 KR 1020120121659 A KR1020120121659 A KR 1020120121659A KR 20120121659 A KR20120121659 A KR 20120121659A KR 102117841 B1 KR102117841 B1 KR 102117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control unit
display device
power
audio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1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5204A (ko
Inventor
장영익
김창용
장종혁
한제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1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7841B1/ko
Priority to MX2015005394A priority patent/MX341948B/es
Priority to RU2015116522A priority patent/RU2641480C2/ru
Priority to PCT/KR2013/006900 priority patent/WO2014069753A1/en
Priority to US13/955,701 priority patent/US8860890B2/en
Priority to EP20155668.5A priority patent/EP3684064A1/en
Priority to EP22179986.9A priority patent/EP4102848A1/en
Priority to EP20130189365 priority patent/EP2728894A1/en
Priority to EP17155722.6A priority patent/EP3182717A1/en
Priority to EP22177952.3A priority patent/EP4075817A1/en
Priority to JP2013219106A priority patent/JP6219121B2/ja
Priority to CN201310516207.XA priority patent/CN103792985B/zh
Publication of KR20140055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5204A/ko
Priority to US14/481,240 priority patent/US9300898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7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7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66Regulating electric pow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15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93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switching to a less power-consuming processor, e.g. sub-CPU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3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ound input device, e.g. micr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3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6Power management, e.g. shutting down unused components of the receiv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ower Sources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전자장치는, 소정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수행부와; 정상모드 시 상기 동작수행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대기모드 시 절전 상태가 되는 제1주제어부와;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입력수신부와; 상기 입력신호에 관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대기모드 시 절전 상태가 되는 제2주제어부와; 상기 대기모드에서 상기 입력신호의 수신 시, 상기 제2주제어부가 상기 입력신호에 관한 처리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부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주제어부는, 상기 부제어부의 제어에 대응하여 상기 수신된 입력신호에 관한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입력신호가 상기 정상모드의 진입에 대응하면, 상기 제1주제어부가 상기 정상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대기모드의 절전 상태로 복귀한다.
이에 의하여, 대기모드 시 전력소모를 최소화하면서 다양한 입력에 대응하여 정상모드로 진입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전력 절감을 위한 대기모드를 가지는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TV 등과 같은 전자장치는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정상모드와, 전력 절감을 위한 대기모드를 가진다. 최근 소비전력 관련 규격에 의하면, 대기모드 시 전자장치의 소비 전력이 예컨대 0.5와트 이하가 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편, 전자장치는 대기모드 시 정상모드로 진입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TV와 같은 전자장치는 전원 오프 상태에서 리모컨이나, 조작패널을 통하여 사용자의 전원 온 명령을 입력 받으면, 정상모드로 진입하여 동작하게 된다.
그런데, 최근 사용자의 입력 방식의 발전으로 인하여, 리모컨이나, 조작패널을 이용한 조작명령은 물론, 음성이나, 제스처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입력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음성이나, 제스처와 같은 다양한 입력을 수신하여 처리하기 위해서는 대응하는 처리 능력을 가진 구성(프로세서 등)이 필요한데, 이러한 구성은 통상적으로 전력 소모가 커서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은 대기모드 시 소비전력 제한규격을 만족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은 관련기술(related art)에 의한 전자장치(6)를 도시한다. 대기모드 시 전자장치(6)의 주요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수행부(61)와, 주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주제어부(62)에는 전원공급부(66)로부터의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다. 반면, 부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부제어부(65)는 대기모드 시 정상적으로 동작하면서, 입력수신부(63)를 통해 대기모드에서 깨어나도록 하는 입력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일, 대기모드에서 깨어나도록 하는 입력신호가 수신되면, 부제어부(65)는 주제어부(62)가 깨어나서 동작하도록 하여 동작수행부(61)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그런데, 입력신호가 예컨대 리모컨의 전원 온 신호인 경우와 같이 부제어부(65)가 단순히 키입력값을 처리하는 정도의 극히 저전력을 소모하는 경우에는 별 문제가 없으나, 음성이나, 동작과 같이 입력신호의 내용을 분석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분석엔진을 구동할 정도로 적지 않은 전력을 소모하므로,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은 대기모드 시 소비전력 제한규격을 만족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대기모드 시 전력소모를 최소화하면서 다양한 입력에 대응하여 정상모드로 진입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전자장치를 구현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와;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1제어부와; 적외선신호 또는 RF 신호를 포함하는 제1입력을 수신하는 제1입력수신부와; 음성신호를 포함하는 제2입력을 수신하는 제2입력수신부와; 상기 제1입력 또는 제2입력 중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1제어부에 전원공급을 제어하도록 제1전원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제2입력의 음성신호를 처리가능하게 전원공급을 제어하도록 제2전원동작을 수행하는 제2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제2전원동작에 따른 전원공급이 된 상태에서 수신된 상기 제2입력의 음성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처리된 제2입력의 음성신호가 상기 제1전원동작에 대응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1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대기모드일 때,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정상모드 진입에 대응하는 상기 제1입력 또는 제2입력 중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1제어부에 전원공급을 개시하도록 전원공급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전원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대기모드일 때,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정상모드일 때 보다 전력소모가 낮도록 제어하여 상기 제2전원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제2입력의 음성신호를 처리할 때 정상상태이고, 상기 제2입력의 음성신호를 처리하지 않을 때 대기상태일 수 있다.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정상모드 진입에 대응하는 상기 제2입력의 음성신호에 기초하여, 인터럽트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정상모드 진입에 대응하지 않는 상기 제2입력의 음성신호에 기초하여, 절전상태로 복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제2입력의 음성신호에 대하여 음성 전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전처리된 제2입력의 음성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제2입력의 음성신호에 관한 정보를 버퍼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버퍼메모리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입력의 음성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음성신호의 제2입력에 기초하여 초기화를 수행하고, 상기 초기화 완료에 기초하여 상기 버퍼메모리에 저장된 정보에 따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제1전원동작을 수행하는 제1부제어부와 상기 제2전원동작을 수행하는 제2부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디스플레이부와,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1제어부와,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제2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적외선신호 또는 RF 신호의 제1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2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2입력의 음성신호를 처리가능하게 전원공급을 제어하도록 제2전원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제2전원동작에 따른 전원공급이 된 상태에서 수신된 상기 제2입력의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처리된 제2입력의 음성신호가 상기 제1전원동작에 대응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1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1전원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대기모드일 때,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정상모드 진입에 대응하는 상기 제1입력 또는 제2입력 중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1제어부에 전원공급을 개시하도록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2전원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2제어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대기모드일 때,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정상모드일 때 보다 전력소모가 낮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제2입력의 음성신호를 처리할 때 정상상태이고, 상기 제2입력의 음성신호를 처리하지 않을 때 대기상태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2전원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정상모드 진입에 대응하는 상기 제2입력의 음성신호에 기초하여, 인터럽트 신호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정상모드 진입에 대응하지 않는 상기 제2입력의 음성신호에 기초하여, 절전상태로 복귀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2전원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2입력의 음성신호에 대하여 전처리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전처리된 제2입력의 음성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2전원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2입력의 음성신호에 관한 정보를 버퍼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버퍼메모리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입력의 음성신호를 처리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2전원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음성신호의 제2입력에 기초하여 초기화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초기화 완료에 기초하여 상기 버퍼메모리에 저장된 정보에 따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대기모드 시 전력소모를 최소화하면서 다양한 입력에 대응하여 정상모드로 진입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관련기술에 의한 전자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전자장치(1)는 TV 등과 같은 가전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 전자장치(1)는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정상모드와, 전력절감을 위한 대기모드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대기모드는, 전자장치(1)의 구성 중에서 전력 소모가 상대적으로 큰 주요한 구성은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가 되도록 하고, 전력 소모가 상대적으로 작은 보조적인 구성만 동작하는 모드이다. 예컨대, TV와 같은 전자장치(1)의 경우, 정상모드에서 리모컨(도시 안됨)이나, 조작패널(도시 안됨)을 통해 전원 오프 명령이 입력되면 대기모드가 된다.
대기모드 시 전자장치(1)의 구성은 그 소비전력이 소정치 이하가 된다. 전자장치(1)는 대기모드 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대기모드로부터 깨어나서 정상모드로 진입하여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한다. 예컨대, TV와 같은 전자장치(1)는 대기모드 상태에서, 사용자의 전원 온 명령에 따라 정상모드로 다시 진입할 수 있다.
도 1를 참조하면, 전자장치(1)는 동작수행부(11)와, 제1주제어부(12)와, 입력수신부(13)와, 제2주제어부(14)와, 부제어부(15)와, 전원공급부(16)를 포함한다. 동작수행부(11)는 전자장치(1)의 고유한 동작을 수행한다. 예컨대, 전자장치(1)가 TV로 구현되는 경우 동작수행부(11)는 영상신호를 수신 및 처리하고, 처리된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동작수행부(11)의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자장치(1)가 수행하는 동작 내지는 기능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동작수행부(11)는 정상모드 시 전원공급부(16)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아 정상적으로 동작하며, 대기모드 시에는 전력 절감을 위하여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도시의 편의상 전원공급부(16)로부터 각 구성에 공급되는 전원의 라인은 생략된다.
제1주제어부(12)는 전자장치(1)의 주제어부로서 동작수행부(11)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1주제어부(12)는 CPU를 포함하며, 제어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동작한다. 제1주제어부(12)는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플래시메모리 등의 비휘발성의 메모리와, CPU가 신속히 액세스할 수 있도록 저장된 제어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를 로딩하는 DDR과 같은 휘발성의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주제어부(12)의 제어프로그램은 동작수행부(1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내용으로 프로그램된다. 제1주제어부(12)는 정상모드 시 전원공급부(16)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아 정상적으로 동작하며, 대기모드 시에는 전력 절감을 위하여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입력수신부(13)는 대기모드 시 입력신호를 수신한다. 입력신호는, 예컨대, 사용자의 전원 온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전원 온 명령은 음성 입력 등의 방식으로 입력될 수 있다.
제2주제어부(14)는 입력수신부(13)를 통해 수신되는 입력신호를 처리한다. 제2주제어부(14)는 입력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의 형태로 구현된다. 제2주제어부(14)는 제1주제어부(12)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전력 소모가 적다.
부제어부(15)는 대기모드 시 제2주제어부(14)의 동작을 제어하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형태로 구현된다. 부제어부(15)도 제1주제어부(12)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전력 소모가 적다.
대기모드 시, 상대적으로 소비전력이 큰 동작수행부(11)와, 제1주제어부(12)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가 되며, 상대적으로 소비전력이 작은 입력수신부(13)와, 부제어부(15)가 동작한다.
한편, 제2주제어부(14)는 전력절감을 위하여 대기모드 시 기본적으로는 주어진 동작을 수행하지 않으며 전원을 소모하지 않는 상태이다. 다만, 제2주제어부(14)는 입력신호가 있는 경우에 간헐적으로 주어진 동작을 수행하여 입력신호를 처리한다. 이 경우 제2주제어부(14)에 의한 전력 소모가 생길 수 있다.
아래 표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력모드의 특성을 나타낸다.
정상모드 대기모드
제1주제어부 ON OFF
부제어부 ON ON
제2주제어부 ON ON/OFF
상기 [표 1]에서, 'ON'은 해당 구성이 주어진 동작을 수행하여 전력 소모가 발생하는 상태를, 'OFF'는 해당 구성이 주어진 동작을 수행하지 않아 전력소모가 발생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낸다.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주제어부(14)는 대기모드 시 항상 'ON' 상태이거나, 항상 'OFF' 상태인 것이 아니라, 기본적으로는 'OFF' 상태로 있다가, 필요한 경우 'ON' 상태 가 되어 동작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대기모드 시 입력신호에 처리에 필요한 제2주제어부(14)를 간헐적으로 동작시킴으로써, 전자장치(1)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관련기술의 전자장치(6)와 대비해 보면, 대기모드 시 전력소모가 많이 요구되는 입력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기능을 부제어부(65)로부터 분리시켜, 별도의 제2주제어부(14)를 마련함으로써, 부제어부(15)의 구성을 단순한 입력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정도의 적은 전력을 소모하는 구성으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여, 대기모드 시 소비전력 제한 규정을 만족시킬 수 있게 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자장치(1)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의 실시예에서는, 전자장치(1)가 대기모드에 있는 상태인 것으로 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대기모드에서, 동작수행부(11), 제1주제어부(12) 및 제2주제어부(14)는 전원이 소모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먼저, 동작 S21에서, 입력수신부(13)는 대기모드인 상태에서 입력신호를 수신한다. 다음으로, 동작 S22에서, 부제어부(15)는 제2주제어부(14)가 수신된 입력신호에 관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예컨대, 부제어부(15)는 제2주제어부(14)가 깨어나서 동작할 수 있도록 제2주제어부(14)에 웨이크업 신호를 보낼 수 있다.
다음으로, 동작 S23에서, 제2주제어부(14)가 깨어나면, 제2주제어부(14)는 입력신호에 관한 처리를 수행한다. 제2주제어부(14)는 입력신호에 관한 정보를 부제어부(15)로부터 전달받거나, 혹은 입력수신부(13)로부터 직접 전송 받을 수 있다. 동작 S24에서, 제2주제어부(14)는 입력신호에 관한 정보를 분석하여 입력신호가 정상모드 진입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컨대, 입력신호는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포함하며, 제2주제어부(14)는 음성 분석을 수행하여, 해당 음성 명령이 전원 온 명령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일, 동작 S24에서, 입력신호가 정상모드 진입에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동작 S25에서, 제1주제어부(12)가 정상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가 수행된다. 예컨대, 해당 음성 명령이 전원 온 명령에 해당하는 경우, 제2주제어부(14)는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하여 부제어부(15)에 이를 전송한다. 부제어부(15)는 제2주제어부(14)의 인터럽트 신호에 따라 제1주제어부(12)가 정상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를 수행한다. 예컨대, 부제어부(15)는 전원공급부(16)의 스위치(도시 안됨)를 제어하여 제1주제어부(12)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주제어부(12)는 대기모드에서 깨어나서 정상적으로 동작을 수행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2주제어부(14)는 부제어부(15)를 거치지 않고 직접 제1주제어부(12)가 정상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
만일, 동작 S24에서, 입력신호가 정상모드 진입에 대응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동작 S26에서, 제2주제어부(14)는 다시 대기모드의 절전 상태로 복귀하여 전력소모를 최소화한다. 제2주제어부(14)는 대기모드의 절전 상태로 복귀하는 경우, 복귀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부제어부(15)로 전송함으로써, 부제어부(15)가 제2주제어부(14)의 동작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전자장치(3)은 동작수행부(11)와, 제1주제어부(12)와, 입력수신부(13)와, 제2주제어부(14)와, 부제어부(15)와, 전원공급부(16)와, 저장부(17)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전자장치(3)와 관련하여, 도 1 및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전자장치(1)와 동일 내지는 유사한 구성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저장부(17)는 버퍼메모리로서, 입력신호에 관한 정보(171)를 저장한다.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전자장치(3)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의 실시예에서, 전자장치(3)는 대기모드에 있는 상태인 것으로 한다. 대기모드에서, 동작수행부(11), 제1주제어부(12) 및 제2주제어부(14)는 전원이 소모되지 않은 상태가 된다. 먼저, 동작 S41에서, 입력수신부(13)는 대기모드인 상태에서 입력신호를 수신한다. 다음으로, 동작 S42에서, 부제어부(15)는 제2주제어부(14)가 전원이 소모되지 않은 상태(슬립모드)에서 깨어나 동작하기 위한 초기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예컨대, 부제어부(15)는 제2주제어부(14)에 초기화 동작을 위한 신호를 보낼 수 있다. 제2주제어부(14)는 부제어부(15)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슬립모드에서 깨어나서 초기화 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동작 S43에서, 부제어부(15)는 수신되는 입력신호에 관한 정보(171)를 저장부(17)에 저장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동작 S43은 동작 S42보다 먼저 수행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동작 S44에서, 부제어부(15)는 제2주제어부(14)의 초기화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일, 제2주제어부(14)의 초기화가 아직 완료되지 아니하였으면, 다시 동작 S43으로 돌아간다. 하나의 실시예로서, 입력신호는 제2주제어부(14)의 초기화 시간 동안 하나 이상 수신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복수의 입력신호의 정보(171)는 저장부(17)에 순차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동작 S44에서, 만일 제2주제어부(14)의 초기화가 완료되었으면, 부제어부(15)는 저장부(17)에 저장된 입력신호에 관한 정보(171)를 제2주제어부(14)에 전송한다. 다음으로, 동작 S44에서, 제2주제어부(14)는 입력신호에 관한 정보(171)에 기초하여 입력신호에 관한 처리를 수행한다. 동작 S47에서, 제2주제어부(14)는 입력신호에 관한 정보(171)를 분석하여 입력신호가 정상모드 진입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동작 S47에서, 입력신호가 정상모드 진입에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동작 S48에서, 제1주제어부(12)가 정상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가 수행된다. 예컨대, 해당 음성 명령이 전원 온 명령에 해당하는 경우, 제2주제어부(14)는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하여 부제어부(15)에 이를 전송한다. 부제어부(15)는 제2주제어부(14)의 인터럽트 신호에 따라 제1주제어부(12)가 정상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를 수행한다.
만일, 동작 S47에서, 입력신호가 정상모드 진입에 대응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동작 S49에서, 제2주제어부(14)는 다시 대기모드의 절전 상태로 복귀하여 전력소모를 최소화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2주제어부(14)가 초기화 동작을 완료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 동안 입력신호를 저장부(17)에 임시로 보관해 둠으로써, 제2주제어부(14)가 초기화 완료 후 입력신호에 관한 처리 동작 시 오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전자장치(5)는 동작수행부(11)와, 제1주제어부(12)와, 입력수신부(13)와, 제2주제어부(14)와, 부제어부(15)와, 전원공급부(16)와, 저장부(17)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전자장치(5)와 관련하여, 도 1 내지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전자장치(1 및 3)와 동일 내지는 유사한 구성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장치(5)는 TV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동작수행부(11)는 신호수신부(111), 영상처리부(112) 및 디스플레이부(113)를 포함한다. 신호수신부(111)는 TV방송신호 등의 방송신호 송신장치(도시안됨)로부터 방송신호를 영상신호로서 수신하거나, DVD플레이어, BD플레이어 등의 영상기기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거나, PC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거나,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의 모바일기기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거나,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영상신호를 수신하거나, USB저장매체와 같은 저장매체에 저장된 영상컨텐츠를 영상신호로서 입력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112)는 신호수신부(111)에 의해 수신된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영상이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영상처리부(112)는 디코딩, 이미지 인핸싱, 스케일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3)는 영상처리부(112)에 의해 처리된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13)가 영상을 표시하는 방식에는 제한이 없으며, LCD, PDP, OLED 등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입력수신부(13)는 제1입력수신부(131) 및 제2입력수신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입력수신부(131)는 사용자의 조작 명령을 포함하는 입력신호를 수신한다. 제1입력수신부(131)는 리모컨(도시 안됨)으로부터 사용자의 조작 명령이 포함된 리모컨신호를 입력신호로서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제1입력수신부(131)는 적어도 하나의 조작키(도시 안됨)를 포함하는 조작 패널의 형태로 전자장치(5)에 마련되어, 조작키를 통한 사용자의 조작 명령을 포함하는 입력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제2입력수신부(132)는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포함하는 입력신호를 수신한다. 예컨대, 제2입력수신부(132)는 마이크로폰의 형태로 구현되어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제2주제어부(14)는 제2입력수신부(132)를 통해 수신되는 입력신호에 대응하도록 음성의 입력신호를 처리하도록 마련된다. 다른 예로서, 제2입력수신부(132)는 사용자의 음성 외에 사용자의 이미지나, 사용자의 움직임, 제스처 등을 인식하여 입력신호로서 수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2주제어부(14)는 이미지 혹은 제스처의 입력신호를 처리 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의 부제어부(15)는 제1부제어부(152) 및 제2부제어부(15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부제어부(152)는 제1입력수신부(131)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의 조작 명령을 포함하는 입력신호를 처리한다. 즉, 제1부제어부(152)는 대기모드 시 제1입력수신부(131)를 통해 사용자의 조작 명령을 포함하는 입력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조작 명령이 정상모드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해당 조작 명령이 정상모드에 대응하는 경우, 예컨대, 사용자가 전원 켜기에 해당하는 키를 누른 경우, 제1부제어부(152)는 전원공급부(16)를 제어하여 제1주제어부(12)가 정상모드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제2부제어부(153)는 제2입력수신부(132)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포함하는 입력신호를 처리한다. 즉, 제2부제어부(153)는 대기모드 시 제2입력수신부(132)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포함하는 입력신호가 수신되면, 도 1 내지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제2주제어부(14)가 해당 입력신호에 관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추가적인 실시예로서, 제2부제어부(153)는 음성 전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음성엔진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부제어부(153)는 수신되는 입력신호에 대하여 음성 전처리를 수행하고, 음성 전처리가 수행된 입력신호의 정보를 제2주제어부(14)에 전달한다.
본 실시예의 제2주제어부(14)는 음성의 입력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음성엔진을 포함한다. 제2주제어부(14)는 수신된 입력신호에 대하여 음성 분석을 수행하고, 해당 음성 명령이 정상모드의 진입에 대응하는 경우, 제1부제어부(152)에 인터럽트 신호를 전송한다. 제1부제어부(152)는 제2주제어부(14)로부터 인터럽트 신호가 수신되면, 도 1 내지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제1주제어부(12)가 정상모드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만일, 수신된 입력신호에 대하여 음성 분석을 수행한 결과, 해당 음성 명령이 정상모드의 진입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 제1부제어부(152)는 다시 대기모드의 절전상태로 복귀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대기모드 시 제1부제어부(151)의 전력 소모가 약 100mW, 제2부제어부(152)가 약 150mW, 그리고, 제2주제어부(14)가 슬립모드 시 약 20~30mW, 웨이크업 후 동작 시 약 200~300mW 정도이며, 제2주제어부(14)는 간헐적으로 동작하므로, 대기모드 시 전자장치(1)의 평균 소비전력을 약 500mW이하로 구현할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1: 전자장치
11: 동작수행부
12: 제1주제어부
13: 입력수신부
14: 제2주제어부
15: 부제어부
16: 전원공급부

Claims (17)

  1.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와;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1제어부와;
    적외선신호 또는 RF 신호를 포함하는 제1입력을 수신하는 제1입력수신부와;
    음성신호를 포함하는 제2입력을 수신하는 제2입력수신부와;
    상기 제1입력 또는 제2입력 중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1제어부에 전원공급을 제어하도록 제1전원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제2입력의 음성신호를 처리가능하게 전원공급을 제어하도록 제2전원동작을 수행하는 제2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제2전원동작에 따른 전원공급이 된 상태에서 수신된 상기 제2입력의 음성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처리된 제2입력의 음성신호가 상기 제1전원동작에 대응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1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대기모드일 때,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정상모드 진입에 대응하는 상기 제1입력 또는 제2입력 중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1제어부에 전원공급을 개시하도록 전원공급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전원동작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대기모드일 때,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정상모드일 때 보다 전력소모가 낮도록 제어하여 상기 제2전원동작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제2입력의 음성신호를 처리할 때 정상상태이고, 상기 제2입력의 음성신호를 처리하지 않을 때 대기상태인 디스플레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정상모드 진입에 대응하는 상기 제2입력의 음성신호에 기초하여, 인터럽트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정상모드 진입에 대응하지 않는 상기 제2입력의 음성신호에 기초하여, 절전상태로 복귀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제2입력의 음성신호에 대하여 전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전처리된 제2입력의 음성신호를 생성하는 디스플레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제2입력의 음성신호에 관한 정보를 버퍼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버퍼메모리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입력의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디스플레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음성신호의 제2입력에 기초하여 초기화를 수행하고,
    상기 초기화 완료에 기초하여 상기 버퍼메모리에 저장된 정보에 따라 처리하는 디스플레이장치.
  9. 디스플레이부와,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1제어부,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제2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적외선신호 또는 RF 신호의 제1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음성신호의 제2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1입력 또는 제2입력 중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1제어부에 전원공급을 제어하도록 제1전원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제2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2입력의 음성신호를 처리가능하게 전원공급을 제어하도록 제2전원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제2전원동작에 따른 전원공급이 된 상태에서 수신된 상기 제2입력의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처리된 제2입력의 음성신호가 상기 제1전원동작에 대응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1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원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대기모드일 때,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정상모드 진입에 대응하는 상기 제1입력 또는 제2입력 중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1제어부에 전원공급을 개시하도록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원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2제어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대기모드일 때,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정상모드일 때 보다 전력소모가 낮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제2입력의 음성신호를 처리할 때 정상상태이고, 상기 제2입력의 음성신호를 처리하지 않을 때 대기상태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원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정상모드 진입에 대응하는 상기 제2입력의 음성신호에 기초하여, 인터럽트 신호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정상모드 진입에 대응하지 않는 상기 제2입력의 음성신호에 기초하여, 절전상태로 복귀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원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2입력의 음성신호에 대하여 전처리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전처리된 제2입력의 음성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원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2입력의 음성신호에 관한 정보를 버퍼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버퍼메모리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입력의 음성신호를 처리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원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음성신호의 제2입력에 기초하여 초기화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초기화 완료에 기초하여 상기 버퍼메모리에 저장된 정보에 따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제1전원동작을 수행하는 제1부제어부와 상기 제2전원동작을 수행하는 제2부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20120121659A 2012-10-30 2012-10-30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117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1659A KR102117841B1 (ko) 2012-10-30 2012-10-30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RU2015116522A RU2641480C2 (ru) 2012-10-30 2013-07-31 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его управления
PCT/KR2013/006900 WO2014069753A1 (en) 2012-10-30 2013-07-31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3/955,701 US8860890B2 (en) 2012-10-30 2013-07-31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MX2015005394A MX341948B (es) 2012-10-30 2013-07-31 Dispositivo electronico y metodo de control del mismo.
EP22179986.9A EP4102848A1 (en) 2012-10-30 2013-10-18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0155668.5A EP3684064A1 (en) 2012-10-30 2013-10-18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0130189365 EP2728894A1 (en) 2012-10-30 2013-10-18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7155722.6A EP3182717A1 (en) 2012-10-30 2013-10-18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2177952.3A EP4075817A1 (en) 2012-10-30 2013-10-18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3219106A JP6219121B2 (ja) 2012-10-30 2013-10-22 電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201310516207.XA CN103792985B (zh) 2012-10-30 2013-10-28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US14/481,240 US9300898B2 (en) 2012-10-30 2014-09-09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1659A KR102117841B1 (ko) 2012-10-30 2012-10-30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2868A Division KR102190061B1 (ko) 2020-05-26 2020-05-26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5204A KR20140055204A (ko) 2014-05-09
KR102117841B1 true KR102117841B1 (ko) 2020-06-02

Family

ID=49474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1659A KR102117841B1 (ko) 2012-10-30 2012-10-30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8860890B2 (ko)
EP (5) EP4075817A1 (ko)
JP (1) JP6219121B2 (ko)
KR (1) KR102117841B1 (ko)
CN (1) CN103792985B (ko)
MX (1) MX341948B (ko)
RU (1) RU2641480C2 (ko)
WO (1) WO20140697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18108B2 (en) 2010-01-18 2016-04-19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US8977255B2 (en) 2007-04-03 2015-03-10 Apple Inc.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 multi-func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voice-activation
US8676904B2 (en) 2008-10-02 2014-03-18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voice command and contextual data processing capabilities
US20120309363A1 (en) 2011-06-03 2012-12-06 Apple Inc. Triggering notifications associated with tasks items that represent tasks to perform
US10417037B2 (en) 2012-05-15 2019-09-17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tegrating third party services with a digital assistant
EP3809407A1 (en) 2013-02-07 2021-04-21 Apple Inc. Voice trigger for a digital assistant
US9256269B2 (en) * 2013-02-20 2016-02-09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Speech recognition system for performing analysis to a non-tactile inputs and generating confidence scores and based on the confidence scores transitioning the system from a first power state to a second power state
US10652394B2 (en) 2013-03-14 2020-05-12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voicemail
US10748529B1 (en) 2013-03-15 2020-08-18 Apple Inc. Voice activated device for use with a voice-based digital assistant
US10176167B2 (en) 2013-06-09 2019-01-08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inferring user intent from speech inputs
KR102179506B1 (ko) 2013-12-23 2020-11-17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715875B2 (en) 2014-05-30 2017-07-25 Apple Inc. Reducing the need for manual start/end-pointing and trigger phrases
US10170123B2 (en) 2014-05-30 2019-01-01 Apple Inc. Intelligent assistant for home automation
US9966065B2 (en) 2014-05-30 2018-05-08 Apple Inc. Multi-command single utterance input method
CN105280180A (zh) * 2014-06-11 2016-01-2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终端控制方法、装置、语音控制装置及终端
US9338493B2 (en) 2014-06-30 2016-05-10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for TV user interactions
FR3030177B1 (fr) * 2014-12-16 2016-12-30 Stmicroelectronics Rousset Dispositif electronique comprenant un module de reveil d'un appareil electronique distinct d'un coeur de traitement
US9886953B2 (en) 2015-03-08 2018-02-06 Apple Inc. Virtual assistant activation
JP6518096B2 (ja) * 2015-03-17 2019-05-22 株式会社メガチップス 音声認識システムおよび音声認識方法
US10460227B2 (en) 2015-05-15 2019-10-29 Apple Inc. Virtual assistant in a communication session
US10200824B2 (en) 2015-05-27 2019-02-05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actively identifying and surfacing relevant content on a touch-sensitive device
US20160378747A1 (en) 2015-06-29 2016-12-29 Apple Inc. Virtual assistant for media playback
KR102349363B1 (ko) * 2015-08-24 2022-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처리시스템, 영상표시장치, 전자장치, 절전형 인터페이스장치 및 영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KR101709971B1 (ko) * 2015-08-27 2017-02-24 전자부품연구원 능동 대기 모드 지원을 위한 upnp 통신 시스템 및 방법
US10740384B2 (en) 2015-09-08 2020-08-11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for media search and playback
US10331312B2 (en) 2015-09-08 2019-06-25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in a media environment
US10671428B2 (en) 2015-09-08 2020-06-02 Apple Inc. Distributed personal assistant
US10747498B2 (en) 2015-09-08 2020-08-18 Apple Inc. Zero latency digital assistant
KR102379205B1 (ko) * 2015-10-19 2022-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US10691473B2 (en) 2015-11-06 2020-06-23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in a messaging environment
US10956666B2 (en) 2015-11-09 2021-03-23 Apple Inc. Unconventional virtual assistant interactions
US10223066B2 (en) 2015-12-23 2019-03-05 Apple Inc. Proactive assistance based on dialog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CN105739977A (zh) * 2016-01-26 2016-07-06 北京云知声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语音交互设备的唤醒方法及装置
US10586535B2 (en) 2016-06-10 2020-03-10 Apple Inc. Intelligent digital assistant in a multi-tasking environment
DK179415B1 (en) 2016-06-11 2018-06-14 Apple Inc Intelligent device arbitration and control
DK201670540A1 (en) 2016-06-11 2018-01-08 Apple Inc Application integration with a digital assistant
US11204787B2 (en) 2017-01-09 2021-12-21 Apple Inc. Application integration with a digital assistant
US10726832B2 (en) 2017-05-11 2020-07-28 Apple Inc. Maintaining privacy of personal information
DK180048B1 (en) 2017-05-11 2020-02-04 Apple Inc. MAINTAINING THE DATA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DK201770429A1 (en) 2017-05-12 2018-12-14 Apple Inc. LOW-LATENCY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DK179496B1 (en) 2017-05-12 2019-01-15 Apple Inc. USER-SPECIFIC Acoustic Models
DK179745B1 (en) 2017-05-12 2019-05-01 Apple Inc. SYNCHRONIZATION AND TASK DELEGATION OF A DIGITAL ASSISTANT
US10303715B2 (en) 2017-05-16 2019-05-28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for media exploration
US20180336892A1 (en) 2017-05-16 2018-11-22 Apple Inc. Detecting a trigger of a digital assistant
US10818288B2 (en) 2018-03-26 2020-10-27 Apple Inc. Natural assistant interaction
US10928918B2 (en) 2018-05-07 2021-02-23 Apple Inc. Raise to speak
US11145294B2 (en) 2018-05-07 2021-10-12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for delivering content from user experiences
CN108632673A (zh) * 2018-05-15 2018-10-09 苏州妙文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机顶盒待机省电方法
DK180639B1 (en) 2018-06-01 2021-11-04 Apple Inc DISABILITY OF ATTENTION-ATTENTIVE VIRTUAL ASSISTANT
DK179822B1 (da) 2018-06-01 2019-07-12 Apple Inc. Voice interaction at a primary device to access call functionality of a companion device
US10892996B2 (en) 2018-06-01 2021-01-12 Apple Inc. Variable latency device coordination
US11462215B2 (en) 2018-09-28 2022-10-04 Apple Inc. Multi-modal inputs for voice commands
CN109218785B (zh) * 2018-10-08 2020-06-30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待机状态智能电视机的唤醒方法及系统
US11475898B2 (en) 2018-10-26 2022-10-18 Apple Inc. Low-latency multi-speaker speech recognition
US11348573B2 (en) 2019-03-18 2022-05-31 Apple Inc. Multimodality in digital assistant systems
US11307752B2 (en) 2019-05-06 2022-04-19 Apple Inc. User configurable task triggers
DK201970509A1 (en) 2019-05-06 2021-01-15 Apple Inc Spoken notifications
US11475884B2 (en) 2019-05-06 2022-10-18 Apple Inc. Reducing digital assistant latency when a language is incorrectly determined
US11423908B2 (en) 2019-05-06 2022-08-23 Apple Inc. Interpreting spoken requests
US11140099B2 (en) 2019-05-21 2021-10-05 Apple Inc. Providing message response suggestions
US11289073B2 (en) 2019-05-31 2022-03-29 Apple Inc. Device text to speech
DK201970511A1 (en) 2019-05-31 2021-02-15 Apple Inc Voice identification in digital assistant systems
US11496600B2 (en) 2019-05-31 2022-11-08 Apple Inc. Remote execution of machine-learned models
DK180129B1 (en) 2019-05-31 2020-06-02 Apple Inc. USER ACTIVITY SHORTCUT SUGGESTIONS
US11360641B2 (en) 2019-06-01 2022-06-14 Apple Inc. Increasing the relevance of new available information
US11468890B2 (en) 2019-06-01 2022-10-11 Apple Inc. Methods and user interfaces for voice-based control of electronic devices
WO2021056255A1 (en) 2019-09-25 2021-04-01 Apple Inc. Text detection using global geometry estimators
JP2021099429A (ja) * 2019-12-23 2021-07-0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US11061543B1 (en) 2020-05-11 2021-07-13 Apple Inc. Providing relevant data items based on context
US11038934B1 (en) 2020-05-11 2021-06-15 Apple Inc. Digital assistant hardware abstraction
US11755276B2 (en) 2020-05-12 2023-09-12 Apple Inc. Reducing description length based on confidence
US11490204B2 (en) 2020-07-20 2022-11-01 Apple Inc. Multi-device audio adjustment coordination
US11438683B2 (en) 2020-07-21 2022-09-06 Apple Inc. User identification using headphones
CN112492393A (zh) * 2020-11-25 2021-03-12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mic开关关联节能模式的实现方法及显示设备
CN112637654B (zh) * 2020-12-29 2023-08-29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一种电视机、语音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KR20240016617A (ko) * 2022-07-29 2024-0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5120A (ja) * 1999-05-06 2000-11-14 Canon Inc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JP2012181374A (ja) 2011-03-01 2012-09-20 Toshiba Corp テレビジョン装置及び遠隔操作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74859A (en) * 1995-01-03 1998-06-30 Scientific-Atlanta, Inc. Information system having a speech interface
US6070140A (en) 1995-06-05 2000-05-30 Tran; Bao Q. Speech recognizer
JP3726448B2 (ja) * 1997-03-12 2005-12-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認識対象音声検出方法およびその装置
US6046549A (en) * 1997-09-29 2000-04-04 U.S. Energy, Inc. Energy saving lighting controller
KR20000026987A (ko) 1998-10-22 2000-05-15 구자홍 절전모드 제어장치 및 방법
US6397186B1 (en) 1999-12-22 2002-05-28 Ambush Interactive, Inc. Hands-free, voice-operated remote control transmitter
KR100385020B1 (ko) * 2000-03-02 2003-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리모트 컨트롤러로 구동되는 컴퓨터 시스템의 자동 암호확인 방법
JP3480923B2 (ja) * 2000-07-26 2003-12-22 株式会社東芝 ネットワーク上の機器制御方法およびこの制御方法を用いる映像機器
EP1215658A3 (en) * 2000-12-05 2002-08-14 Hewlett-Packard Company Visual activation of voice controlled apparatus
EP1341380A1 (en) * 2002-02-27 2003-09-0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Power standby mode circuitry for audiovisual device
US7295199B2 (en) * 2003-08-25 2007-11-13 Motorola Inc Matrix display having addressable display elements and methods
JP2005267099A (ja) * 2004-03-17 2005-09-29 Ricoh Co Ltd ネットワーク制御装置、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4444710B2 (ja) 2004-03-26 2010-03-3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KR20050122673A (ko) * 2004-06-25 2005-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탠바이 모드에서 디지털 셋탑박스의 전력을 절감하는방법 및 장치
JP3846504B2 (ja) * 2005-01-07 2006-11-15 オンキヨー株式会社 低消費電力装置
CN100337475C (zh) * 2005-10-10 2007-09-12 海信集团有限公司 双cpu电视机通过scart接口的开关机控制方法
JP4736889B2 (ja) * 2006-03-28 2011-07-27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2007296723A (ja) * 2006-04-28 2007-11-15 Ricoh Co Ltd 電力切換え機能を持つ制御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読取装置
TW200745803A (en) * 2006-06-05 2007-12-16 Asustek Comp Inc Computer system controlled by remote control signal
CN2919318Y (zh) * 2006-06-19 2007-07-04 海信集团有限公司 具有低待机功耗电源电路的电器设备
US8004617B2 (en) * 2006-08-30 2011-08-23 Ati Technologies Ulc Stand-by mode transitioning
JP4982304B2 (ja) * 2007-09-04 2012-07-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源障害の発生を把握するストレージシステム
CN201352831Y (zh) * 2008-12-30 2009-11-25 福建捷联电子有限公司 一种超低功耗的液晶电视多信号唤醒电路
US8339626B2 (en) 2009-09-08 2012-1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02025383A (zh) * 2009-09-10 2011-04-2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信号接收装置及信号接收方法
KR101688655B1 (ko) 2009-12-03 2016-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의 프레전스 검출에 의한 제스쳐 인식 장치의 전력 제어 방법
KR101657565B1 (ko) * 2010-04-21 2016-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증강 원격제어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8736243B2 (en) * 2009-12-19 2014-05-27 Lanery Mgmt. Limited Liability Company Control multiplexor for a switch mode power supply
KR20110080958A (ko) * 2010-01-07 2011-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비주얼 디스플레이 기기의 대기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대기전력 공급방법, 대기 전력 공급장치, 배터리 충전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비주얼 디스플레이 기기
JP5555032B2 (ja) * 2010-04-06 2014-07-23 ヤマト包装技術研究所株式会社 梱包ユニット
JP5625458B2 (ja) * 2010-04-12 2014-11-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TWI486024B (zh) 2010-11-25 2015-05-21 Realtek Semiconductor Corp 控制電路之省電機制與防止誤喚醒的機制及其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5120A (ja) * 1999-05-06 2000-11-14 Canon Inc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JP2012181374A (ja) 2011-03-01 2012-09-20 Toshiba Corp テレビジョン装置及び遠隔操作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18624A1 (en) 2014-05-01
CN103792985B (zh) 2017-01-18
US8860890B2 (en) 2014-10-14
MX2015005394A (es) 2015-07-21
MX341948B (es) 2016-09-08
US20140375893A1 (en) 2014-12-25
EP4075817A1 (en) 2022-10-19
JP2014089711A (ja) 2014-05-15
EP3684064A1 (en) 2020-07-22
KR20140055204A (ko) 2014-05-09
CN103792985A (zh) 2014-05-14
EP4102848A1 (en) 2022-12-14
RU2641480C2 (ru) 2018-01-17
RU2015116522A (ru) 2016-11-20
WO2014069753A1 (en) 2014-05-08
US9300898B2 (en) 2016-03-29
EP3182717A1 (en) 2017-06-21
JP6219121B2 (ja) 2017-10-25
EP2728894A1 (en) 2014-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7841B1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1860708B2 (en) Application processor and mobile terminal
US2008006591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Resume Control Method
CN104020837B (zh) 音频播放电源管理方法及电源管理装置
WO2020062495A1 (zh) 一种家庭智能控制终端
US20070180282A1 (en) Power-sav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a portable computer
TWI437419B (zh) 電腦系統及其睡眠控制方法
CN102523516A (zh) 多媒体智能芯片的电源管理控制方法及电源管理系统
KR102190061B1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5696071B2 (ja)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07545876A (zh) 调节屏幕背光亮度的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JP6985243B2 (ja) コンピュータ節電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復帰方法
CN102572592B (zh) 基于系统动态时钟管理的机顶盒待机控制方法
CN102930881B (zh) 一种蓝光播放器及其控制方法
US20120278604A1 (en) Control method applied to computer system in hybrid sleep mode
JP4659627B2 (ja) 電子機器
US20070294545A1 (en) Method of power down control for a display device, and power down controller for implementing the method
CN104077156A (zh) 可程序化中央处理单元的重新启动系统及其方法
TWI381271B (zh) 可攜式電子裝置及其省電方法
CN101477468A (zh) 电脑系统的自动开机方法
CN100410845C (zh) Usb设备的通信控制方法
CN109739561B (zh) 防止电子装置进入休眠状态的方法
US20070245126A1 (en) Program counter of microcontroll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6414448A (zh) 微控制器及其控制方法
CN107580258A (zh) 一种机顶盒自动待机控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