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7502B1 - Monitor supporter with height adjustment and power control - Google Patents

Monitor supporter with height adjustment and power contro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7502B1
KR102117502B1 KR1020180123057A KR20180123057A KR102117502B1 KR 102117502 B1 KR102117502 B1 KR 102117502B1 KR 1020180123057 A KR1020180123057 A KR 1020180123057A KR 20180123057 A KR20180123057 A KR 20180123057A KR 102117502 B1 KR102117502 B1 KR 102117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height
power
monitor
main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30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42666A (en
Inventor
정일석
백승호
이현빈
김재형
Original Assignee
(주)아이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원 filed Critical (주)아이원
Priority to KR1020180123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7502B1/en
Publication of KR20200042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266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7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75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이조절 및 전원제어 기능이 있는 모니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메인지지부 및 보조지지부를 통해 메인받침부 및 메인지지부의 높이를 설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에 맞게 거치대의 높이조절이 가능하고, 앉아서 작업하는 것뿐만 아니라 서서 작업하는 것도 가능하게 하며, 케이블 중계기능을 하는 보조모듈을 통해 케이블 선에 의해 제약받지 않은 상태에서 승강 가능하게 하고, 통신부와 제어부를 통해 모니터의 전원을 자동으로 제어하여 절전효과가 있는 모니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nitor holder having a height adjustment and power control function, and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holder according to the user's body by setting the height of the main support and the main support through the main support and the auxiliary support, and sit and work It is possible not only to do work, but also to stand and work, and it is possible to move up and down without being restricted by cable lines through an auxiliary module that functions as a cable relay function, and it automatically controls the power of the monito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control unit to save power. It is about a monitor holder with.

Description

높이조절 및 전원제어 기능이 있는 모니터 거치대 {MONITOR SUPPORTER WITH HEIGHT ADJUSTMENT AND POWER CONTROL}Monitor stand with height adjustment and power control function {MONITOR SUPPORTER WITH HEIGHT ADJUSTMENT AND POWER CONTROL}

본 발명은 높이조절 및 전원제어 기능이 있는 모니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신체에 맞게 거치대의 높이조절이 가능하고, 앉아서 작업하는 것뿐만 아니라 서서 작업하는 것도 가능하게 하며, 모니터, 키보드 및 마우스가 본체와 연결된 케이블 전선에 의해 제약받지 않은 상태에서 승강 가능하게 하고, 사용자 인증을 통해 자동으로 모니터의 전원을 제어하여 절전효과가 있는 모니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nitor holder having a height adjustment and power control function, and more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holder according to the user's body, and it is also possible to work as well as sit and work. It relates to a monitor holder having a power saving effect by enabling the keyboard and mouse to move up and down without being restricted by a cable wire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monitor through user authentication.

현대 사회에서 컴퓨터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사무직 종사자는 근무시간의 대부분을 책상에 올려진 모니터를 보며 키보드와 마우스를 통해 작업해야 하므로, 오랜시간 한 자세를 유지하고 앉아 작업을 해야 한다. In modern society, the use of computers is increasing, and in particular, office workers have to work for a long time in a sitting posture, since most of the working hours must be monitored on a desk through a keyboard and mouse.

일반적으로 책상에 설치된 모니터는 화면의 높이가 눈높이보다 낮게 위치하게 되며, 눈높이보다 낮은 모니터를 고정적으로 바라보는 것은 자세의 불균형을 유발하여 목이나 허리가 휘게 되고, 자연스럽게 목이 앞으로 나오게 되는 거북목증후군을 유발할 수 있다.In general, a monitor installed on a desk is positioned at a height lower than the eye level, and fixedly looking at a monitor lower than the eye level causes an imbalance in posture, which causes the neck or waist to bend, and the turtle neck syndrome, which naturally leads to the neck. Can cause

또한, 앉아있는 자세는 척추가 감당해야 하는 하중이 서 있을 때보다 허리에 더 큰 부담을 주며, 목의 피로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장시간 앉아있는 자세는 신체에 상당한 부담을 주게 된다.In addition, the sitting posture puts a greater burden on the waist than when the load that the spine has to bear, and the sitting posture for a long time puts a considerable burden on the body because it creates neck fatigue.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85267호 "모니터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받침대형 컴퓨터 본체"에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모니터 받침대가 개시되어 있다.As a prior art for solving such a problem, a height-adjustable monitor stand is disclosed in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85267 "Monitor stand and a stand-type computer body using the same".

종래기술은 다층으로 형성된 가이드홈에 결합가이드가 선택적으로 슬라이딩 결합하도록 하여 상기 받침대의 높이를 조절하여 모니터의 눈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prior art is configur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pedestal to adjust the eye height of the monitor by selectively sliding the coupling guide to the multi-layer guide groove.

그러나 종래기술은 앉은 자세에서 소정의 높이만 조절할 수 있는 받침대이므로 앉은 자세를 유지한 상태로 컴퓨터 작업을 해야하는 문제점이 여전히 있으며, 높이조절을 위해서는 각각의 다리부가 결합된 가이드홈의 위치를 변경해야 하므로, 모니터를 거치한 상태에서 수시로 높낮이를 변경하기는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prior art is a pedestal that can adjust only a predetermined height in a sitting position, there is still a problem of having to work with a computer while maintaining a sitting position, and in order to adjust the height, the position of the guide groove in which each leg is combined must be changed. ,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change the height at any time while the monitor is mounted.

또한, 종래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모니터 거치대는 높낮이 조절 시 모니터와 본체와의 거리가 케이블 길이에 의해 제약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height-adjustable monitor holder has a problem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monitor and the main body is restricted by the cable length when adjusting the height.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85267호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No. 20-048526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작동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고, 앉아서 작업하는 것과 서서 작업하는 것이 모두 가능한 모니터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nitor holder capable of both height adjustment by simple operation and sitting and standing.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높낮이 조절 시 모니터와 본체와의 거리가 케이블 길이에 의한 제약을 줄이며, 케이블이 엉키는 현상을 방지하여 승강이 원활한 모니터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nitor holder having a smooth lifting by preventing the cable from becoming tangled when the height is adjusted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monitor and the body is reduced by the cable length.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력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모니터의 전원을 자동으로 제어하여 절전효과가 있는 모니터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nitor holder having a power saving effect by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monitor to minimize power consump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한 본 발명은 사각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 상측에 이격되어 위치하되 상측면에 모니터가 안착될 수 있도록 판형으로 이루어지는 메인받침부; 한쪽 끝이 각각 상기 바닥부에 힌지 결합되며 다른 쪽 끝이 상기 메인받침부에 접촉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는 제1지지대와, 한쪽 끝이 상기 메인받침부에 힌지 결합되며 다른 쪽 끝이 상기 바닥에 접촉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는 제2지지대가 X자를 이루며 구성되어 상기 메인받침부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메인지지부; 상기 제1지지대 및 제2지지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상기 메인받침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구동부; 및 상기 메인받침부의 하측에 구비되되,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기와 통신하며 데이터 송수신 및 상호 거리를 측정하는 통신부와, 상기 메인받침부의 높이를 측정하는 센서부와, 외부로부터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중계 및 분배하는 공급부와, 상기 상용전원을 설정된 전압의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변환부와, 상기 공급부의 출력 전원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차단부와, 상기 변환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통해 상기 통신부와 센서부와 차단부와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보조모듈;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above object is a bottom portion made of a square frame and the main support portion made of a plate-shaped so that the monitor is seated on the upper side but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ne end is respectively hinged to the bottom portion, the other end is in contact with the main support and slides first support, and one end is hinged to the main support and the other end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A second support for moving the slide is formed of an X-shaped main support for height adjustment of the main support; A driving unit that adjusts the height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s to adjust the height of the main support; And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main support, a communication unit for measuring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mutual distance to communicate with the terminal carried by the user, a sensor unit for measuring the height of the main support, and receiving commercial power from the outside to relay and The distribution unit, the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and supplying the commercial power to DC power having a set voltage, a blocking unit for selectively blocking the output power of the supply unit, and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sensor through the power supplied from the conversion unit An auxiliary module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unit and the blocking unit and the driving unit;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또한, 상기 메인받침부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하 길이조절이 이루어지며 전력선 및 그래픽 케이블을 포함한 전선을 지지하되, 단부에 전선이 접촉되는 제1가이드바와, 중앙에 상기 제1가이드바 및 전선이 삽입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제1가이드바를 사이에 두고 단부에 롤러가 형성된 제2가이드바가 형성되는 가이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main supporting portion to adjust the length up and down and supports the electric wire including the power line and the graphic cable, the first guide bar in contact with the wire at the end, and the first guide bar and the wire can be inserted in the center A guide portion in which a space is formed but a second guide bar having a roller is formed at an end with the first guide bar interposed therebetwee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또한, 상기 구동부는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를 통해 회전하는 스크류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스크류부재를 통해 상기 제1지지대 및 제2지지대의 한쪽 끝을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상기 메인지지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스크류부재는 베어링과 결합되며, 상기 베어링은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driving unit is provided with a driving motor driven by the applied power, and a screw member rotating through the driving motor, but slides one end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s left and right through the screw member. It is configur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main support, the screw member is coupled to the bearing, it is preferred that the bearing comprises a spring.

또한, 상기 메인받침부 전면형성되며, 키보드 및 마우스를 거치할 수 있는 판형의 보조받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받침부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보조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를 통해 회전하는 스크류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스크류부재를 통해 상기 보조지지부의 한쪽 끝을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상기 보조지지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스크류부재는 베어링과 결합되며, 상기 베어링은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ain support part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and further includes a plate-shaped auxiliary support part that can mount a keyboard and a mouse, and further includes an auxiliary support for height adjustment of the auxiliary support part, and the driving part is applied by an applied power. It is provided with a drive motor that is driven, and a screw member that rotates through the drive motor, and is configur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auxiliary support by sliding one end of the auxiliary support left and right through the screw member. The member is coupled to the bearing, the bearing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pring.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측정된 단말기와의 거리가 설정치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차단부를 통해 모니터의 전원을 차단하고, 미리 등록된 단말기의 설정된 거리 이내로의 접근을 감지하여 모니터 전원을 재공급하는 인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cuts off the power of the monitor through the blocking unit when the distance to the terminal measur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exceeds the set value, and detects the access within the preset distance of the terminal registered in advance to re-supply monitor power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n authentication unit.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를 통해 상기 메인받침부의 높이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서서 작업하는 것으로 판단하되, 상기 통신부를 통해 단말기와 상기 보조모듈의 거리를 측정하여 단말기와 상기 보조모듈의 거리가 설정된 거리 이내일 경우에만 서서 작업한 것으로 판단하여, 서서 작업한 시간에 대응한 칼로리를 산출 및 기록해주는 산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detects the height of the main support unit through the sensor unit and determines that the user is standing, but measures the distance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auxiliary modul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to set the distance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auxiliary modul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calculation unit for determining and calculating the calories corresponding to the standing work time by determining that the work was performed only within the case.

본 발명은 높이조절 및 전원제어 기능이 있는 모니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모니터 거치대와 마우스 및 키보드 거치대를 승강시켜, 사용자의 신체에 맞는 높이로 설정할 수 있으며, 앉아서 작업하는 것과 스탠딩 워크(standing work)가 모두 가능하도록 하여, 자세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장시간 앉아있음으로써 발생하는 신체적 부담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nitor cradle having a height adjustment and power control function, 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nitor cradle and the mouse and keyboard cradles can be elevated and set to a height suitable for a user's bod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hysical burden caused by sitting for a long time because the standing posture can be changed by making all possibl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블 중계기능 및 멀티탭 기능을 하는 보조모듈을 통해 모니터와 본체를 연결하는 케이블의 길이로 인한 모니터 높이조절의 한계를 해결하며, 케이블이 엉키는 현상을 해결하여, 모니터 거치대의 승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solves the limitation of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monitor due to the length of the cable connecting the monitor and the main body through the auxiliary module having the cable relay function and the multi-tap function, and solves the phenomenon that the cable is tangled, and the monitor holder There is an effect that the lifting is smooth.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보조모듈의 통신부와 단말기를 연동하여 사용자 인증을 적용함으로써, 단말기와 보조모듈이 설정거리를 벗어나면 차단되고, 설정거리 이내범위이면 모니터의 전원이 연결되어, 절전효과가 있다는 강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pplying the user authentication by interworking with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auxiliary module and the terminal, the terminal and the auxiliary module are cut off when they are out of the set distance, and if the range is within the set distance, the monitor's power is connected to save power. There is a strength.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센서부가 모니터 거치대의 높낮이를 측정하여, 사용자가 서서 작업한 시간을 기록하여 칼로리 소모량을 측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unit measures the height of the monitor hold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measure the calorie consumption by recording the time the user stood and work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예의 높이조절 및 전원제어 기능이 있는 모니터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예의 모니터 거치대의 구동부와 보조모듈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예의 모니터 거치대의 높이조절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예의 보조모듈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예의 인증부를 통한 사용자인증 및 전원제어 과정을 나타낸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실시예의 보조받침부를 포함하는 모니터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 3실시예의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모니터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 3실시예의 높이조절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nitor holder having a height adjustment and power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rive unit and the auxiliary module of the monitor holder of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height adjustment state of the monitor holder of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auxiliary module of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user authentication and power control process through the authentication unit of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nitor cradle including the auxiliary support of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nitor holder including a guide portion of a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height adjustment state of the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높이조절 및 전원제어 기능이 있는 모니터 거치대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monitor holder having a height adjustment and power control func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예의 높이조절 및 전원제어 기능이 있는 모니터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예의 모니터 거치대의 구동부와 보조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예의 모니터 거치대의 높이조절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예의 보조모듈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예의 인증부를 통한 사용자인증 및 전원제어 과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nitor holder having a height adjustment and power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ive unit and an auxiliary module of the monitor holder of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height adjustment state of the monitor holder of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auxiliary module of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process of user authentication and power control through the authentication unit of the first embodiment.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높이조절 및 전원제어 기능이 있는 모니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하고, 앉아서 작업하는 것과 서서 작업하는 것이 모두 가능하여 자세를 변경하며 작업할 수 있으므로 신체의 부담을 줄여주며, 케이블에 의해 제약받지 않은 상태에서 모니터 거치대의 승강이 가능하고, 사용자 인증을 통해 자동으로 모니터의 전원을 제어하여 절전효과가 있는 모니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1 to 5,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nitor holder having a height adjustment and a power control function, height adjustment is possible, and both sitting and standing are possible, thereby changing posture. Since it can reduce the burden on the body, it is possible to elevate the monitor cradle without being restricted by the cable, and it relates to a monitor cradle with power saving effect by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monitor through user authentication.

이를 위해 모니터 거치대(10)는 기본적으로 바닥부(20), 메인받침부(30), 메인지지부(40, 40'), 구동부(60), 보조모듈(70)로 이루어진다. To this end, the monitor holder 10 is basically composed of a bottom part 20, a main support part 30, a main support part 40, 40 ', a driving part 60, and an auxiliary module 70.

상기 메인받침부(30)는 사각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바닥부(20)의 상측에 이격되어 위치하되 상측면에 모니터가 안착될 수 있도록 판형으로 이루어지며, 전력선 및 그래픽 케이블을 포함한 전선(55)을 상기 보조모듈(70)이 위치한 하측으로 배치하기 위해 관통된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전선캡(33)을 구비한다.The main support portion 30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bottom portion 20 made of a square frame, but is formed in a plate shape so that the monitor can be seated on the upper side, and the electric wire 55 including a power line and a graphic cable is recalled. The auxiliary module 70 is provided with a wire cap 33 made of a through hole in order to arrange the lower side.

상기 메인지지부(40)는 제1지지대(41) 및 제2지지대(42)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지지대(41)는 한쪽 끝이 상기 바닥부(20)에 힌지 결합되며 다른 쪽 끝이 상기 메인받침부(30)에 접촉하여 슬라이드 이동하고, 상기 제2지지대(42)는 한쪽 끝이 상기 메인받침부(30)에 힌지 결합되며 다른 쪽 끝이 상기 바닥부(20)에 접촉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형성된다.The main support 40 is composed of a first support 41 and a second support 42, the first support 41 is one end hinged to the bottom portion 20, the other end is the The slide moves in contact with the main support portion 30, and the second support 42 is hinged to one end of the main support portion 30 and the other end contacts the bottom portion 20 to move the slide. Is formed.

이때, 상기 제1지지대(41)와 상기 제2지지대(42)는 X자를 이루며 구성되어 상기 제1지지대(41)와 상기 제2지지대(42)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하여 상기 메인받침부(3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first support 41 and the second support 42 are formed in an X-shape, the main support 30 by the slide movement of the first support 41 and the second support 42 The height can be adjusted.

상기 메인받침부(30)의 상측에 구비된 높이조절스위치(32)에 의하여 상기 제1지지대(41) 및 제2지지대(42)의 슬라이드 이동이 이루어지므로, 상기 높이조절스위치(32)의 버튼 작동에 의해 상기 메인받침부(30)의 높이 조절이 간편하게 이루어진다.Since the slide of the first support 41 and the second support 42 is made by the height adjustment switch 32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support 30, the button of the height adjustment switch 32 By operation, the height of the main support 30 is easily adjusted.

상기 구동부(60)는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모터(61)와, 상기 구동모터(61)를 통해 회전하는 스크류부재(62)를 구비한다.The driving unit 60 includes a driving motor 61 driven by the applied power and a screw member 62 rotating through the driving motor 61.

상기 스크류부재(62)는 베어링(63)과 결합되며, 상기 스크류부재(62)의 회전을 통해 상기 제1지지대(41) 및 제2지지대(42)의 한쪽 끝을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상기 제1지지대(41) 및 제2지지대(42)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메인지지부(40, 4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screw member 62 is coupled to the bearing 63, and slides one end of the first support 41 and the second support 42 left and right through the rotation of the screw member 62, so that the agent It is configur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main support (40, 40 ')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upport (41) and the second support (42).

또한, 상기 베어링(63)은 스프링(64)을 포함하여, 상기 메인지지부(40, 40') 및 보조지지부(44)의 슬라이드 이동 시 상기 스프링(64)의 탄성에 의하여 상기 메인받침부(30)의 승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In addition, the bearing 63 includes a spring 64, the main support portion 30 by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64 when the main support portion (40, 40 ') and the auxiliary support portion 44 slides ) Should be smoothly elevated.

상기 메인지지부(40, 40')는 상기 메인받침부(30)의 전면 및 배면에 각각 배치되며, 전면에 배치된 메인지지부(40)와 배면에 배치된 메인지지부(40')를 연결하여 결합하는 지지결합부(43)에 상기 스크류부재(62)가 연결된다.The main support parts 40 and 40 'are disposed on the front and back surfaces of the main support part 30, respectively, and connected by connecting the main support part 40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and the main support part 40' disposed on the back surface. The screw member 62 is connected to the supporting coupling portion 43.

상기 구동부(60)의 작동 시, 상기 스크류부재(62)의 회전에 따라 상기 지지결합부(43)가 이동하며, 상기 지지결합부(43)에 의해 전면과 배면에 배치된 한쌍의 메인지지부(40, 40')가 동시에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When the driving part 60 is operated, the support coupling part 43 move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crew member 62, and a pair of main supports arrang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by the support coupling part 43 ( 40, 40 ') slide simultaneously.

상기 보조모듈(70)은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탈부착이 가능하며, 상기 메인지지부(40, 40')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른 높이 제어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메인받침부(30)의 하측에 구비된다.The auxiliary module 70 is formed in a box shape, is detachable, and is located at the lower side of the main support 30 so that interference does not occur in the height control according to slide movement of the main supports 40 and 40 '. It is provided.

상기 보조모듈(70)은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기와 통신하며 데이터 송수신 및 상호 거리를 측정하는 통신부(71)와, 상기 메인받침부(30)의 높이를 측정하는 센서부(72)와, 외부로부터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중계 및 분배하는 공급부(73)와, 상기 상용전원을 설정된 전압의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변환부(74)와, 상기 공급부(73)의 출력 전원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차단부(75)와, 상기 변환부(74)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통해 상기 통신부(71)와 센서부(72)와 차단부(75)와 구동부(60)를 제어하는 제어부(76)를 포함한다. The auxiliary module 70 communicates with a terminal possessed by a user, a communication unit 71 for measuring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mutual distance, a sensor unit 72 for measuring the height of the main support unit 30, and from the outside A supply unit 73 for relaying and distributing commercial power, a conversion unit 74 for converting and supplying the commercial power to DC power of a set voltage, and a blocking for selectively blocking the output power of the supply unit 73 A control unit 76 for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unit 71, the sensor unit 72, the blocking unit 75, and the driving unit 60 through the power supplied from the unit 75 and the conversion unit 74 is included. .

또한, 상기 보조모듈(70)은 모듈 내부의 열기를 외부로 내보내기 위해서 쿨러(79)와, 상기 제어부(76)의 전원을 켜고 끌 수 있는 전원스위치(76a)와, 본체로부터 연결되는 케이블과 거치대의 모니터 케이블을 서로 연결시켜주는 디스플레이 포트(77)와, 모니터 전원 케이블을 연결할 수 있는 연결부(78)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auxiliary module 70 has a cooler 79, a power switch 76a that can turn on and off the power of the controller 76, and a cable and a cradle connected from the main body to send heat inside the module to the outside. It further includes a display port 77 for connecting the monitor cables to each other, and a connection portion 78 for connecting the monitor power cable.

이를 통해 상기 보조모듈(70)은 케이블 중계 기능을 하여, 높낮이 조절 시 모니터와 본체와의 거리가 케이블 길이에 의해 발생하는 제약을 줄이며, 케이블이 엉키는 현상을 방지하여 모니터 거치대의 승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Through this, the auxiliary module 70 functions as a cable relay, reducing the constraint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monitor and the main body is caused by the cable length when adjusting the height and preventing the cable from becoming tangled so that the monitor cradle is smoothly lifted. do.

상기 제어부(76)는 상기 통신부(71)를 통해 측정된 단말기와 보조모듈(70)의 거리가 설정치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차단부(75)를 통해 모니터의 전원을 차단하고, 미리 등록된 단말기의 설정된 거리 이내로의 접근을 감지하여 모니터 전원을 재공급하는 인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auxiliary module 70 measur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71 is out of the set value, the control unit 76 cuts off the monitor power through the blocking unit 75, a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authentication unit for re-supplying the monitor power by detecting the acces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이때, 상기 통신부(71)는 블루투스 모듈을 적용하여 상기 보조모듈(70)과 사용자의 단말기 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mmunication unit 71 applies a Bluetooth module to measure the distance between the auxiliary module 70 and the user's terminal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상기 인증부는 상기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와 페어링이 가능하며, 사용자를 추가 등록 및 삭제 등의 관리가 가능하다. 등록된 사용자의 단말기와 상기 보조모듈(70) 간의 거리를 설정하여, 설정거리를 이탈하면 페어링이 끊기게 되어 상기 차단부(75)를 통해 모니터의 전원이 자동으로 꺼지게 되고, 설정거리 이내의 범위에 들게되면 페어링 되어 모니터의 전원이 켜지는 동작을 수행하여 전력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The authentication unit is capable of pairing with the user's terminal through the Bluetooth module, and managing additional registration and deletion of the user. By set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registered user's terminal and the auxiliary module 70, if the set distance is exceeded, pairing is cut off, and the monitor is automatically turned off through the blocking unit 75, and within a range within the set distance. When lifted, it can be paired to perform power-on operation to minimize power consumption.

이때, 상기 차단부(75)는 모니터의 전원을 켜고 끌 수 있는 2채널 접점 릴레이를 적용하며, 상기 제어부(76)는 MCU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blocking unit 75 applies a two-channel contact relay that can turn on and off the power of the monitor, and the control unit 76 preferably applies an MCU.

사용자가 전원 차단기능을 원하지 않는다면, 모니터의 전원이 차단되는 대신에 PC의 화면 보호기 기능이 작동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If the user does not want the power off function, the screen saver function of the PC can be set to operate instead of the power off of the monitor.

상기 센서부(72)는 초음파센서 또는 변위센서 등의 거리측정이 가능한 센서를 적용하여 상기 바닥부(20)로부터 상기 메인받침부(30)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The sensor unit 72 applies a sensor capable of measuring a distance, such as an ultrasonic sensor or a displacement sensor, to measure the height of the main support unit 30 from the floor unit 20.

상기 센서부(72)의 높이 측정을 통해,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적절한 거치대의 높이를 추천하여, 사용자에 따라 적합한 높이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Through the measurement of the height of the sensor unit 72, it is possible to recommend the height of an appropriate cradle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user, and set it to a suitable height according to the user.

상기 모니터 거치대(10)는 상기 메인지지부(40, 40')를 통해 사용자가 앉은 자세로 컴퓨터 작업을 하며 모니터 거치대(1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스탠딩 워크가 가능한 상태로 높이를 변경할 수 있다.The monitor holder 10 may perform a computer operation in a sitting position by the user through the main supports 40 and 40 ', and the height of the monitor holder 10 may be adjusted and the height may be changed to a standing workable state. .

상기 제어부(76)는 상기 센서부(72)를 통해 상기 메인받침부(30)의 높이를 감지하여 스탠딩 워크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통신부(71)를 통해 단말기와 상기 보조모듈(70)의 거리를 측정하여, 단말기와 상기 보조모듈(70)의 거리가 설정된 거리 이내일 경우에만 사용자가 서서 작업하는 것으로 판단하되, 서서 작업한 시간에 대응한 칼로리를 산출 및 기록해주는 산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unit 76 detects the height of the main supporting unit 30 through the sensor unit 72 to detect a standing work stat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auxiliary module 7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71 By measuring the,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standing and working only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auxiliary module 70 is within a set distance, and further comprising a calculating unit for calculating and recording calories corresponding to the standing time. Is done.

이때, 사용자 인증이 성공한 단말기로부터 상기 보조모듈(70)과의 설정거리를 이탈할 경우. 사용자가 자리를 비운 것으로 처리하여 실제로 서서 작업한 시간만을 산출해주며, 시간별로 소모한 칼로리를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user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the set distance from the auxiliary module 70 deviates from the terminal. By processing the user as vacant, only the time actually stood and worked is calculated, and calories burned per hour can be recorded in the internal database.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실시예의 보조받침부를 포함하는 모니터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nitor cradle including an auxiliary support portion of a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use state of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 2실시예는 제 1실시예를 포함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받침부(30)의 전면에는 판형으로 이루어진 보조받침부(31)를 더 형성하여, 키보드 및 마우스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보조받침부(31)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보조지지부(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the first embodiment, and as shown in FIG. 6, a secondary support part 31 made of a plate shape is further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support part 30 to mount a keyboard and a mouse. It is possible to, and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support portion 44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auxiliary support portion (31).

이때, 상기 구동부(60)는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모터(61)와, 상기 구동모터(61)를 통해 회전하는 스크류부재(62)를 구비하되, 상기 스크류부재(62)의 회전을 통해 상기 보조지지부(44)의 한쪽 끝을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상기 보조지지부(44)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driving unit 60 is provided with a driving motor 61 driven by the applied power, and a screw member 62 rotating through the driving motor 61, the rotation of the screw member 62 It is configured to slide the one end of the auxiliary support 44 to the left and right to adjust the height of the auxiliary support 44.

또한, 상기 스크류부재(62)는 베어링(63)과 결합되며, 상기 베어링(63)은 스프링(64)을 포함하여, 상기 메인지지부(40, 40') 및 보조지지부(44)의 슬라이드 이동 시 상기 스프링(64)의 탄성에 의하여 상기 메인받침부(30) 및 보조받침부(31)의 승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In addition, the screw member 62 is coupled to the bearing 63, the bearing 63 includes a spring 64, when the main support (40, 40 ') and the auxiliary support 44 slide movement By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64, the lifting of the main supporting portion 30 and the auxiliary supporting portion 31 is made smoothly.

도 7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받침부(31)는 상기 메인받침부(30)의 승강에 따라 같이 승강하도록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 7 (b), the auxiliary support portion 31 is configured to move together in accordance with the elevation of the main support portion (30).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 3실시예의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모니터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 3실시예의 높이조절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nitor cradle including a guide portion of a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height adjustment state of the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 3실시예는 제 1실시예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받침부(30)의 하측에 가이드부(50)가 구비된다.The third embodiment includes the first embodiment, and a guide part 50 is provided below the main support part 30.

상기 가이드부(50)은 상하 길이조절이 이루어지며 전력선 및 그래픽 케이블을 포함한 전선을 지지하여, 상기 가이드부(50)는 전선이 엉키는 현상을 방지하여 상기 메인받침부(30)의 승강 구동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며, 상기 메인지지부(40, 40')와 더불어 상기 메인받침부(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The guide portion 50 is vertically and vertically adjusted and supports electric wires including a power line and a graphic cable, so that the guide portion 50 prevents the wires from becoming tangled and affects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main supporting portion 30 It does not give, and serves to stably support the main supporting portion 30 together with the main supporting portions 40 and 40 '.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50)는 제1가이드바(52)와 제2가이드바(53)를 포함하며, 상기 제1가이드바(52)는 단부에 전선(55)이 접촉되며, 전선(55)을 가이드하며 지지하기 위해 코너는 라운드로 이루어지고 측면은 홈 형상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ure 8, the guide portion 50 includes a first guide bar 52 and a second guide bar 53, the first guide bar 52 has an electric wire 55 at the end In order to guide and support the wires 55, the corners are rounded and the sides are grooved.

상기 제2가이드바(53)는 중앙에 상기 제1가이드바(52) 및 전력선 및 그래픽 케이블을 포함한 전선(55)이 삽입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가이드바(52)를 사이에 두고 단부에 롤러(51)가 형성되며, 상기 롤러(51)는 상기 제1가이드바(52)와 전선(55)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The second guide bar 53 is formed with a space in which the first guide bar 52 and an electric wire 55 including a power line and a graphic cable can be inserted, and the first guide bar 52 interposed therebetween. A roller 51 is formed at an end, and the roller 51 facilitates movement of the first guide bar 52 and the electric wire 55.

상기 제2가이드바(53)의 내측면에는 돌기(54)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54)에 상기 제2가이드바(53)에 삽입된 상기 제1가이드바(52)가 걸림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A protrusion 54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guide bar 53, and the first guide bar 52 inserted into the second guide bar 53 is fixed to the protrusion 54 by being locked. Can be.

상기 가이드부(50)는 상기 메인받침부(30)의 높이조절에 따라 상기 제2가이드바(53)에 상기 제1가이드바(52)가 삽입되는 정도가 변경되며 전선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The guide portion 50 changes the degree to which the first guide bar 52 is inserted into the second guide bar 53 according to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main support portion 30 and accommodates electric wires. .

도 9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받침부(30)의 높이가 높아질 경우에는 상기 메인받침부(3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2가이드바(53)가 상측으로 이동하므로, 상기 제2가이드바(53)에 상기 제1가이드바(52) 및 전선(55)을 적게 수용하도록 한다.As shown in Figure 9 (a), when the height of the main support portion 30 is high, the second guide bar 53 moves upwar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ain support portion 30, the The first guide bar 52 and the first guide bar 52 and the electric wire 55 are accommodated less.

도 9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받침부(30)의 높이가 낮아지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2가이드바(53)가 하측으로 이동하므로, 상기 제1가이드바(52)가 제2가이드바(53)의 중앙에 형성된 공간에 더 깊게 삽입됨으로써, 길게 늘어지는 전선(55)을 수용할 수 있다.9 (b), when the height of the main support portion 30 is lowered, since the second guide bar 53 moves downward, the first guide bar 52 is removed. 2 By being inserted deeper into the spac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guide bar 53, the elongated electric wire 55 can be accommodated.

상기 제2가이드바(53)의 내부공간에 전선(55)을 수용함으로써, 전선정리가 잘되지 않아 복잡하고 외관상 보기 좋지 않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깔끔하게 전선을 정리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By accommodating the electric wire 55 in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guide bar 53, it is possible to solve a complicated and unsightly problem due to poor electric wire arrangement, and to clean the electric wire neatly.

이때, 상기 메인받침부(30)가 낮은 높이로 설정될 경우, 상기 가이드부(50)는 높이를 낮게 변경하기 위하여 상기 제1가이드바(52)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main support portion 30 is set to a low height, the guide portion 50 may adjust the length of the first guide bar 52 in order to change the height low.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As described above,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are defined by the claim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adapt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rights described in the claim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obvious that you can do it.

10 : 모니터 거치대 20 : 바닥부
30 : 메인받침부 31 : 보조받침부
32 : 높이조절스위치 33 : 전선캡
40, 40' : 메인지지부 41 : 제1지지대
42 : 제2지지대 43 : 지지결합부
44 : 보조지지부 50 : 가이드부
51 : 롤러 52 : 제1가이드바
53 : 제2가이드바 54 : 돌기
55 : 전선 60 : 구동부
61 : 구동모터 62 : 스크류부재
63 : 베어링 64 : 스프링
70 : 보조모듈 71 : 통신부
72 : 센서부 73 : 공급부
74 : 변환부 75 : 차단부
76 : 제어부 76a : 전원스위치
77 : 디스플레이 포트 78 : 연결부
79 : 쿨러 80 : 모니터
90 : 책상
10: monitor holder 20: bottom
30: main support 31: auxiliary support
32: height adjustment switch 33: wire cap
40, 40 ': main support 41: first support
42: second support 43: support coupling
44: auxiliary support 50: guide
51: roller 52: first guide bar
53: second guide bar 54: projection
55: wire 60: drive unit
61: drive motor 62: screw member
63: bearing 64: spring
70: auxiliary module 71: communication unit
72: sensor unit 73: supply unit
74: conversion unit 75: blocking unit
76: control unit 76a: power switch
77: display port 78: connection
79: cooler 80: monitor
90: desk

Claims (6)

모니터 거치대에 있어서,
사각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바닥부(20) 및 상기 바닥부(20) 상측에 이격되어 위치하되 상측면에 모니터가 안착될 수 있도록 판형으로 이루어지는 메인받침부(30);
한쪽 끝이 각각 상기 바닥부(20)에 힌지 결합되며 다른 쪽 끝이 상기 메인받침부(30)에 접촉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는 제1지지대(41)와, 한쪽 끝이 상기 메인받침부(30)에 힌지 결합되며 다른 쪽 끝이 상기 바닥부(20)에 접촉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는 제2지지대(42)가 X자를 이루며 구성되어 상기 메인받침부(3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메인지지부(40, 40');
상기 제1지지대(41) 및 제2지지대(42)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상기 메인받침부(30)의 높이를 조절하는 구동부(60); 및
상기 메인받침부(30)의 하측에 구비되되,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기와 통신하며 데이터 송수신 및 상호 거리를 측정하는 통신부(71)와, 상기 메인받침부(30)의 높이를 측정하는 센서부(72)와, 외부로부터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중계 및 분배하는 공급부(73)와, 상기 상용전원을 설정된 전압의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변환부(74)와, 상기 공급부(73)의 출력 전원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차단부(75)와, 상기 변환부(74)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통해 상기 통신부(71)와 센서부(72)와 차단부(75)와 구동부(60)를 제어하는 제어부(76)를 포함하는 보조모듈(70); 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76)는 상기 센서부(72)를 통해 상기 메인받침부(30)의 높이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서서 작업하는 것으로 판단하되, 상기 통신부(71)를 통해 단말기와 상기 보조모듈(70)의 거리를 측정하여 단말기와 상기 보조모듈(70)의 거리가 설정된 거리 이내일 경우에만 서서 작업한 것으로 판단하여, 서서 작업한 시간에 대응한 칼로리를 산출 및 기록해주는 산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 및 전원제어 기능이 있는 모니터 거치대.
In the monitor holder,
A bottom part 20 made of a square frame and a main support part 30 formed in a plate shape so that the bottom part 20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and a monitor is seated on the upper side;
One end is hinged to the bottom portion 20, respectively, and the other end is in contact with the main support portion 30, the first support 41 slides,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main support portion 30. The second support 42, which is hinged and slides in contact with the other end of the other end 20, forms an X-shape and is configured to form an X-shaped main support 40, 40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main support 30 );
A driving unit 60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main support unit 30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upport 41 and the second support 42; And
It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main support 30, the communication unit 71 for communicating with a terminal carried by the user and measuring data transmission and mutual distance, and a sensor unit for measuring the height of the main support 30 ( 72), a supply unit 73 for relaying and distributing commercial power from the outside, a conversion unit 74 for converting and supplying the commercial power to DC power of a set voltage, and the output power of the supply unit 73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unit 71, the sensor unit 72, the blocking unit 75, and the driving unit 60 through the power supplied from the conversion unit 74 and the blocking unit 75 selectively blocking the Auxiliary module 70, including 76; Is made of,
The control unit 76 senses the height of the main support unit 30 through the sensor unit 72 and determines that the user is standing, but the terminal and the auxiliary module 70 are controll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71.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alculating unit for calculating and recording the calories corresponding to the standing time by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auxiliary module 70 when the distance is within the set distance and determining that the work has been performed. Monitor stand with height adjustment and power control fun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받침부(30)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하 길이조절이 이루어지며 전력선 및 그래픽 케이블을 포함한 전선(55)을 지지하되,
단부에 전선(55)이 접촉되는 제1가이드바(52)와, 중앙에 상기 제1가이드바(52) 및 전선(55)이 삽입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제1가이드바(52)를 사이에 두고 단부에 롤러(51)가 형성된 제2가이드바(53)가 형성되는 가이드부(5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 및 전원제어 기능이 있는 모니터 거치대.
According to claim 1,
It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main support portion 30 is adjusted up and down length and supports the electric wire 55 including a power line and a graphic cable,
A space in which the first guide bar 52 and the wire 55 can be inserted is formed in the center between the first guide bar 52 in which the electric wire 55 is contacted at the end, and the first guide bar 52 is interposed. A guide portion 50 in which a second guide bar 53 having a roller 51 at its end is forme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height adjustment and a monitor holder with a power control fun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60)는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모터(61)와, 상기 구동모터(61)를 통해 회전하는 스크류부재(62)를 구비하되,
상기 스크류부재(62)를 통해 상기 제1지지대(41) 및 제2지지대(42)의 한쪽 끝을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상기 메인지지부(40, 4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스크류부재(62)는 베어링(63)과 결합되며, 상기 베어링(63)은 스프링(6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 및 전원제어 기능이 있는 모니터 거치대.
According to claim 1,
The driving unit 60 includes a driving motor 61 driven by the applied power and a screw member 62 rotating through the driving motor 61,
It is configured to slide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s 41 and 42 through the screw member 62 to the left and right to adjust the height of the main supports 40 and 40 ',
The screw member 62 is coupled to the bearing 63, the bearing 63 is a monitor holder with a height adjustment and power contro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pring (6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받침부(30) 전면에 형성되며, 키보드 및 마우스를 거치할 수 있는 판형의 보조받침부(31)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받침부(31)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보조지지부(44)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60)는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모터(61)와, 상기 구동모터(61)를 통해 회전하는 스크류부재(62)를 구비하되,
상기 스크류부재(62)를 통해 상기 보조지지부(44)의 한쪽 끝을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상기 보조지지부(44)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스크류부재(62)는 베어링(63)과 결합되며, 상기 베어링(63)은 스프링(6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 및 전원제어 기능이 있는 모니터 거치대.
According to claim 1,
It is formed on the front of the main support portion 30, and further includes a plate-shaped auxiliary support portion 31 that can mount a keyboard and a mouse, and an auxiliary support portion 44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auxiliary support portion 31 Further comprising,
The driving unit 60 includes a driving motor 61 driven by the applied power and a screw member 62 rotating through the driving motor 61,
It is configured to slide the one end of the auxiliary support 44 through the screw member 62 to the left and right to adjust the height of the auxiliary support 44,
The screw member 62 is coupled to the bearing 63, the bearing 63 is a monitor holder with a height adjustment and power contro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pring (6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76)는 상기 통신부(71)를 통해 측정된 단말기와의 거리가 설정치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차단부(75)를 통해 모니터의 전원을 차단하고, 미리 등록된 단말기의 설정된 거리 이내로의 접근을 감지하여 모니터 전원을 재공급하는 인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 및 전원제어 기능이 있는 모니터 거치대.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distance from the terminal measur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71 exceeds the set value, the control unit 76 cuts off the power of the monitor through the blocking unit 75 and accesses within a preset distance of the previously registered terminal. A monitor holder with height adjustment and power control, further comprising an authentication unit that detects and re-supplies the monitor power.
삭제delete
KR1020180123057A 2018-10-16 2018-10-16 Monitor supporter with height adjustment and power control KR1021175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3057A KR102117502B1 (en) 2018-10-16 2018-10-16 Monitor supporter with height adjustment and power contr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3057A KR102117502B1 (en) 2018-10-16 2018-10-16 Monitor supporter with height adjustment and power contr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2666A KR20200042666A (en) 2020-04-24
KR102117502B1 true KR102117502B1 (en) 2020-06-01

Family

ID=70466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3057A KR102117502B1 (en) 2018-10-16 2018-10-16 Monitor supporter with height adjustment and power contro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750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8195B1 (en) * 2022-06-28 2022-11-17 아이퍼텍코리아 주식회사 AI WORKSTATIONS BASED ON ToF SENSOR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4298Y1 (en) * 2004-07-23 2004-10-08 김순자 a apparatus for lifting a monitor
JP2005267491A (en) * 2004-03-22 2005-09-29 Fuji Xerox Co Ltd Vdt work environment control device
JP2007300951A (en) 2006-05-08 2007-11-22 Mitsubishi Electric Corp Health condition measuring device and health care system
KR101193476B1 (en) 2012-06-20 2012-10-24 조성욱 Monitor lifting type computer desk
KR101370335B1 (en) * 2006-02-28 2014-03-05 삼성전자주식회사 Monitor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3118B1 (en) * 2008-10-13 2009-06-16 김기형 Television capable of screen elimination
KR20100070405A (en) * 2008-12-18 2010-06-28 전현구 Monitor a desk lamp
KR101638433B1 (en) * 2014-09-12 2016-07-12 주식회사 와이즈웰니스 System For Wellness Platform Using Internet Of Things And Wearable Device
KR200485267Y1 (en) 2016-09-09 2017-12-14 (주)다정씨앤씨 Monitor stand and computer body using the same
KR101949296B1 (en) * 2017-03-09 2019-02-18 승 호 윤 Computer desk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67491A (en) * 2004-03-22 2005-09-29 Fuji Xerox Co Ltd Vdt work environment control device
KR200364298Y1 (en) * 2004-07-23 2004-10-08 김순자 a apparatus for lifting a monitor
KR101370335B1 (en) * 2006-02-28 2014-03-05 삼성전자주식회사 Monitor apparatus
JP2007300951A (en) 2006-05-08 2007-11-22 Mitsubishi Electric Corp Health condition measuring device and health care system
KR101193476B1 (en) 2012-06-20 2012-10-24 조성욱 Monitor lifting type computer des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2666A (en) 2020-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7502B1 (en) Monitor supporter with height adjustment and power control
EP3420854A1 (en) Quick mounting holder structure for sinking mechanical extension device of functional sofa
KR101729192B1 (en) Subsidiary desk put on desk
CN205125469U (en) Pneumatic electronic desktop lift desk
CN101884469A (en) Mobile keyboard and mouse support
CN204950100U (en) Multifunctional lifting desk
CN208331670U (en) Electronic display lifting support
CN204181248U (en) For the chair back wane lock mechanism of Revolving chair chassis
CN214047954U (en) But intelligence memory remote control cabinet formula computer table
CN211408023U (en) Angle-adjustable electric lifting computer art table
CN211186516U (en) Sofa device with armrest adjusted through sound control
CN209084342U (en) A kind of support device of meeting all-in-one machine
KR102030658B1 (en) comfortable chair for using electronic appliance during long term
KR20160049606A (en) Ergonomic desk
CN108783910A (en) Adjustable computer table
CN220249361U (en) Computer display supporting table
CN216854182U (en) Office table chair convenient to adjust
CN220228567U (en) Touch-control lift all-in-one
CN215831459U (en) Height increasing rack for computer display
KR101613053B1 (en) SMART Height-adjustable desk
CN214963389U (en) Control cabinet for LNG production
CN218922172U (en) Anti-falling apartment bed
CN219692731U (en) Keyboard support bracket
CN205030837U (en) Shoot by oneself with seat bench that goes up and down
CN218737865U (en) Shoe cabin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