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3009B1 - 실시간 키보드 입력 정보를 활용한 키워드 광고 시스템 - Google Patents

실시간 키보드 입력 정보를 활용한 키워드 광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3009B1
KR102113009B1 KR1020180026570A KR20180026570A KR102113009B1 KR 102113009 B1 KR102113009 B1 KR 102113009B1 KR 1020180026570 A KR1020180026570 A KR 1020180026570A KR 20180026570 A KR20180026570 A KR 20180026570A KR 102113009 B1 KR102113009 B1 KR 102113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keyboard
user
information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6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5892A (ko
Inventor
박종환
Original Assignee
박종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환 filed Critical 박종환
Priority to KR1020180026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3009B1/ko
Publication of KR20190105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58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3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3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06Q30/0271Personalized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실시간 키보드 입력 정보를 활용한 키워드 광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키보드를 통해서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입력하는 정보를 미리 준비한 자동완성사전 및 광고태그와 매칭하여 사용자의 입력과 동시에 매칭되는 자동완성사전에 알림을 설정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추가의 광고 정보를 제공하는 광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실시간 키보드 입력 정보를 활용한 키워드 광고 시스템{Keyword Advertising System Utilizing Real-Time Keyboard Input Information}
본원 발명은 실시간 키보드 입력 정보를 활용한 키워드 광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키보드를 통해서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입력하는 정보를 가지고 미리 준비한 자동완성사전에 의해서 후보군을 제시하면서, 상기 후보군 중 광고와 매칭되는 키워드를 가지는 후보군에 대해서는 광고 정보가 있음을 알려주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관련된 추가 정보를 제공하는 광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 광고는 생산자와 소비자를 이어주는 필수적인 매개체이다. 생산자에게는 사업을 진행하기 위한 중요한 수단이며, 소비자에서는 최적의 선택을 위한 중요한 기초 정보가 된다. 기본적으로 광고주는 저렴한 비용으로 가장 많은 노출이 일어나기를 바라며, 소비자는 필요한 정보를 가장 많이 접하기를 바란다.
현대인이 하루에 접하는 정보량이 20세기 초 사람들이 평생 접하는 정보량에 버금간다는 분석이 있다. 노출된 광고는 순식간에 희석되어 소비자에게 전달되기가 매우 어렵다. 많이 노출하는 것 보다는 구매 가능한 소비자 또는 잠재적 소비자에게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광고의 기본 전제가 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방식을 위해서는 소비자가 생산하는 정보에 접근하여 이를 기반으로 한 맞춤형 광고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현재의 IT 기반 사회에서 소비자가 생산하는 일차적인 정보는 전화를 통한 음성 정보와 실제 또는 가상 키보드를 사용한 문자정보다. 키보드를 통한 문자정보는 이미 디지털화 된 것이며, 분석을 통한 키워드 추출이 용이하다는 점에서 광고를 위한 가장 중요한 기초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웹상에서 진행되는 광고는 소비자가 검색을 위해서 입력한 문자정보를 분석하여 소비자의 관심사에 가까운 광고를 제공하는 키워드 기반 광고 방식이 많이 사용된다. 심지어 강제적으로 광고를 열람시키기 위해서 사용 중인 웹 콘텐츠를 덮어씌우는 박스광고도 주저치 않는다. 등록된 사용자의 경우 사용자의 문자정보 이력을 분석하여 해당 웹 페이지에 접근만 할 경우에도 키워드 기반 광고를 시도한다.
키워드 광고를 위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내용이 노출되거나 외부 서버로 전송되는 것에 대해서 사용자는 개인정보 침해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또한 광고를 위한 배너, 박스 윈도우 등이 자신의 화면을 차지하는 것을 방해요소로 생각하고 있다. 모바일 환경에서는 화면이 PC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화면을 점유하는 요소에 대해 더욱 민감하게 반응한다. 특히 일방적으로 유입(push)되는 광고에 대한 거부감이 더 많다.
이와 같이 무차별, 일방적 노출로 발생한 광고 기피 현상으로 키워드 기반 광고의 효율이 지극히 낮은 실정이다. 내용은 보지도 않고 새로운 팝업 창이 뜨면 무작정 닫기 버튼을 누르고 있다.
소비자가 입력하는 문자정보를 취합하여 원하는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자가 사용중인 정보 시스템에 제약을 주지 않고, 소비자에게 선택을 유도함으로써 광고에 대한 거부감을 대폭 줄일 수 있는 방법은 아직까지 제시되지 않았다.
특허문헌 1은 사용자 입력 텍스트에 관한 이미지 처리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별도의 이미지 처리 프로그램이 웹 브라우저의 현재 활성화된 창에서 입력되는 도메인 주소, 검색어, 로그인 정보, 및 전자 우편 주소 텍스트를 감지하는 단계; 이미지 처리 프로그램이 감지된 텍스트를 이미지 사이트로 전송하는 단계; 이미지 사이트는 이미지 처리 프로그램으로부터 수신한 텍스트와 대응되는 이미지 정보를 이미지 처리 프로그램으로 전달하는 단계; 및 이미지 처리 프로그램은 화면상의 특정 위치에 이미지 사이트로부터 수신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사용자의 직접적인 정보를 외부 사이트로 전송함으로써 개인 정보 유출의 문제가 있고, 사용자의 의사와 상관없이 이미지를 강제적으로 표시하고 있어 소비자의 거부감을 유발할 수 있으며, 또한 모바일 기기와 같이 제약된 화면에서 이미지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실제 필요한 정보를 제한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2는 컨텍스트 광고 정보를 노출하는 광고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컨텍스트 광고 정보를 포함하는 컨텍스트 광고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사용자가 입력한 키워드의 쿼리 셋(query set)을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 키워드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및 텍스트가 존재하지 않거나 광고 키워드 매칭이 되지 않는 콘텐츠 페이지에 상기 사용자가 방문하는 경우, 상기 컨텍스트 광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쿼리 셋과 연관된 컨텍스트 광고 정보를 찾아 노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허문헌 2는 사용자가 입력한 키워드의 쿼리 셋을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 키워드 데이터베이스를 운용하는 점에서 개인 정보 유출의 문제가 있고, 컨텍스트 광고 데이터베이스, 키워드 데이터베이스 유지에 따른 별도의 자원이 소요된다. 또한 가장 큰 문제점으로 일방적으로 광고 정보를 노출함으로써, 소비자의 거부감을 유발하고 사용자가 실제 필요한 정보에 대한 접근을 제한한다.
특허문헌 3은 사용자 단말기에 실행 중인 채팅 대화창의 입력 키워드에 기초한 광고 방법으로서, 사용자 단말기에 실행 중인 채팅 대화창으로 입력되는 키워드를 키워드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검색한 키워드에 해당하는 광고 이미지를 키워드 광고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채팅 대화창에 디스플레이하는 광고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3은 사용자의 채팅 대화창에 입력되는 정보를 직접 가로채고 사용자의 의사에 상관없이 외부 프로그램에 제공하며, 이를 기반으로 광고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개인정보 도용의 문제점이 우려된다. 일방적으로 광고를 제시함으로써, 소비자의 거부감을 유발하고 사용자가 실제 필요한 정보에 대한 접근을 제한한다는 점도 문제가 된다. 특허문헌 3은 해당 IT 기기의 사용 시간 중 채팅창을 이용할 때만 가능하다는 제한도 있다. 반면 본원 발명은 OS 차원의 키보드의 기본 입력을 사용하기 때문에 해당 IT 기기를 사용하는 전체 시간에 적용할 수 있다.
특허문헌 4는 사용자 행태 기반 광고 노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웹 페이지에 대응되는 키워드를 검출하는 단계 및 검출된 키워드와 관련된 광고를 노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는 웹 페이지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저장하고,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는 웹 페이지에 접속한 기존 사용자들에 의해 수행된 액션들에 기초하여 미리 구비된다.
특허문헌 4는 특허문헌 1 또는 2와 유사한 발명으로서, 사용자의 정보를 외부 사이트로 전송함으로써 개인 정보 유출의 문제가 있고, 사용자의 의사와 상관없이 이미지를 강제적으로 표시하고 있어 소비자의 거부감을 유발할 수 있으며, 또한 모바일 기기와 같이 제약된 화면에서 이미지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실제 필요한 정보를 제한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5는 키워드 기반의 광고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키보드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된 키보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키보드 어플리케이션 실행부, 상기 키보드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후보 키워드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후보 키워드 저장부, 상기 키보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키워드를 입력받는 키워드 입력부, 상기 입력된 키워드를 상기 후보 키워드와 매칭하는 키워드 매칭부, 상기 매칭 결과 상기 후보 키워드 중 상기 입력된 키워드와 동일한 키워드가 존재하는 경우, 광고 콘텐츠 제공 서버에 해당 키워드에 대응하는 광고 콘텐츠를 요청하는 콘텐츠 요청부, 및 상기 요청한 광고 콘텐츠를 광고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전달받아 표시하는 콘텐츠 표시부를 포함한다.
특허문헌 5는 사용자의 의사와 상관없이 광고를 전달한다는 점에서 다른 특허문헌과 동일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키워드에 대응하는 광고 콘텐츠가 다루어지기 때문에 결국 해당 콘텐츠에 대응된 사용자 입력 키워드 정보가 유추되어 개인정보가 그대로 외부에 노출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상과 같은 현재까지의 키워드 기반 광고는 1) 사용자의 정보를 외부 사이트로 전송함으로써 개인 정보 유출의 문제가 있고 2) 사용자의 의사와 상관없이 광고 정보를 강제적으로 표시하고 있어 소비자의 거부감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작업 효율성을 떨어트리며 3) 강제적으로 표시되는 광고로 인해서 사용자가 현재 사용하고 정보를 제한한다. 특히, 모바일 기기와 같이 제약된 화면에서 이미지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실제 필요한 정보를 제한하는 문제점이 있다. 4) 광고로 인해서 실시간 키보드 입력에 방해가 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워드가 변경될 때마다 계속적으로 광고 정보가 변경됨으로써, 사용자에게는 불편을 초래하고 광고에 대한 노출 시간이 급격히 줄어든다는 문제점이 있다. 5) 사용자의 키워드에 매칭되는 하나의 정보만을 제공하고 있어, 매우 단편적인 광고 정보만을 제공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6) 덧붙여, 표출방식 측면에서도 사용자의 시선이 집중되는 위치가 아닌 주변 영역이거나, 사용자 시선을 강탈하는 팝업을 사용하므로서 거부감을 유발하는 등 광고효과가 저해되는 요소를 갖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401470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9-000069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08257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479834호 국제공개 제2016-126013호
본원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시간 키보드 입력 정보를 활용한 키워드 광고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원 발명은 개인 정보 유출의 문제를 최소화하고, 사용자의 의사를 반영하여 강제적으로 광고를 제공하지 않으며,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서 정보가 제공되므로 사용자의 사용 화면을 제약하지 않고, 사용자의 시선을 효과적으로 공략하면서, 사용자의 키워드에서 연관되는 여러 정보를 동시에 제공하면서 실시간 키보드 입력에 장애가 없는 키워드 광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원 발명의 제1양태는
1) 키보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키보드를 통해 문자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2) 사용자로부터 키보드를 통해 입력받은 상기 문자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3) 미리 저장된 자동완성사전과 비교하여 상기 문자정보에 연관된 자동완성 추천단어목록을 마련하는 단계;
4) 상기 자동완성 추천단어목록을 미리 저장된 광고태그목록과 비교하는 단계;
5) 상기 4) 단계에서 비교한 결과 상기 자동완성 추천단어목록 중 상기 광고태그목록에 있는 자동완성단어에는 알림을 설정한 자동완성단어목록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6) 사용자에게 제공된 상기 자동완성단어목록에 대해서 사용자의 대응 키를 입력 받는 단계;
7) 사용자가 1개 이상에 대해서 광고 정보를 제공 받겠다는 대응 키를 입력할 경우에는 그에 해당하는 광고태그를 광고DB로 전송하고, 그외에 사용자가 상기 자동완성단어목록 중 하나를 선택하면 그 선택한 자동완성단어를 현재의 입력부에 표시하고, 또 그 외의 키를 입력하면 상기 그 외의 키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8) 상기 1)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시간 키보드 입력 정보를 활용한 키워드 광고 방법을 제공한다.
본원 발명의 제2양태는
사용자로부터 문자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는 키보드 및 키보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자동완성사전 및 광고태그목록을 제공하는 서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광고 URL을 전송하는 광고DB;
를 포함하는 실시간 키보드 입력 정보를 활용한 키워드 광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키보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키보드 어플리케이션 실행부;
상기 키보드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자동완성사전 및 광고태그목록을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로부터 키보드를 통해 입력 받은 상기 문자정보를 상기 자동완성사전과 비교하는 비교부;를 포함하는 실시간 키보드 입력 정보를 활용한 키워드 광고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제1양태 및 제2양태에서 상기 키보드는 실제 물리적인 키보드 또는 프로그램에서 구현된 키보드이며, 상기 키보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물리적인 키보드에 부가된 펌웨어 또는 상기 물리적인 키보드나 프로그램에서 구현된 키보드와 연계된 프로그램이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스마트 워치 및 스마트 안경과 같은 스마트 디바이스, 휴대폰, 노트북 PC, 태블릿 PC, 데스크톱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이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기기,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등과 같은 핸드헬드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 중 적어도 1개 이상이 선택될 수 있다.
본원 발명은 사용자의 적극적 의사를 반영하여 광고를 제공하고 있으므로, 광고에 대한 거부감이 없을 뿐만 아니라 광고에 의한 효과가 높다. 사용자가 입력하는 문자정보에 음영과 같은 최소한의 알림만을 설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업무 간섭을 최소화하였기 때문에, 광고에 대한 거부감이 거의 없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광고를 노출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진정으로 원하는 광고 정보를 제공하여, 실질적인 매출 등의 효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광고 서버로부터 미리 태그 키워드를 다운로드 받아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함으로써, 사용자의 개인 정보 등이 외부로 전송되는 문제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 정보와 연관된 여러 광고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연관된 광고 정보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자동완성사전과 광고태그목록과의 매칭에 대한 예시이다.
도 3은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 따라 광고를 열람하는 경우에 대한 작업의 흐름도 예시이다.
도 4은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 따라 광고를 열람을 예약하는 경우에 대한 작업의 흐름도 예시이다.
도 5은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 따라 광고를 열람을 무시하는 경우에 대한 작업의 흐름도 예시이다.
도 6은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화면의 구동 예이다.
도 7는 본원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 따른 화면의 구동 예이다.
도 8는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의 구동 예이다.
본원 발명은 실시간 키보드 입력 정보를 활용한 키워드 광고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키보드는 여타의 앱 또는 메모리 상주프로그램에 비해 사용자가 항상 사용하는 디바이스이고, 사용자의 의도를 표출하는 도구이기 때문에 사용자의 관심사를 가장 지근거리에서 파악할 수 있는 통로이다. 사용자의 키보드 입력을 통한 문자정보는 이미 디지털화 되어 있고, 바로 키워드 추출이 가능한바, 키워드를 통한 광고 노출 중 키보드에 기반을 둔 광고 노출은 가장 사용자 점유율이 높은 광고수단이 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입력하는 문자정보가 외부의 서버 등으로 전송될 경우에 사용자의 사생활을 침해할 수 있다는 우려를 내포하여 사용자가 수용하기 어려운 문제점도 있지만 본원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 또한 해결하였다.
본원 발명 또 다른 특징으로는 화면의 일부분을 상시 점유하는 배너광고 또는 돌출광고를 제시하지 않고, 사용자가 사용한 입력한 문자정보와 연관된 광고가 있음을 알려주고 사용자가 광고의 열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다.
키보드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에 기반한 본원 발명은 사용자 작업 환경 또는 작업 앱이나 프로그램에 관계없이 키워드 광고 연결이 가능하다. 사용자 문자 입력 창의 인터페이스에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 사용자가 사용 중인 다른 프로그램과 충돌을 야기하지 않는다.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정보와 연관된 키워드 광고가 존재함을 알려주는 인터페이스 구조로는, 사용자가 입력 작업 중인 창에서 해당 문자정보가 입력된 후 음영이 되거나, 자동입력창 또는 리스트에서 해당 문자정보만 음영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알람을 무시하고 사용자가 키보드 입력을 진행하면 자동으로 해당 키워드에 대한 알람인 음영 등의 표시가 삭제되면서 사용자 작업이 방해받지 않고 계속 키보드 입력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사용자의 시선이 머무르는 커서 위치에 키워드 광고 신호가 계속 표출할 수 있으면서도 사용자는 추가 동작 없이 기존 작업을 연속적으로 이어갈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키워드 광고가 아니라 이미 지정된 광고문구나 안내 문구를 키보드 모듈을 통해 표출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문자정보를 온전히 입력하지 않거나 인접용어를 통한 키워드 광고를 표출하기 위하여 자동완성사전과 연동하여 작동하는 방법이 있다. 사용자가 입력하는 도중에 자동완성사전이 입력후보 단어를 복수개 표출시키는데, 이 중 저장된 광고와 연관된 키워드가 있다면 이를 음영으로 하이라이트 시켜 노출시키는 방법이 있다.
노출된 광고에 사용자가 반응하여 광고를 보고자 한다면, 저장된 소형 배너광고로 화면을 이동하거나, 브라우저를 구동시켜 광고 사이트로 이동시키도록 한다. 이 때 사용자에게 복수의 광고리스트를 제시하고 선택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시킬 수 있다. 이때 외부 장치인 광고 DB로는 광고 태그만이 전달된다.
일련의 작업은 키보드 기반을 둔 동작이므로 사용자는 키보드 상의 특수 키를 이용하여 기존의 진행 중인 입력 작업에 영향 없이 노출된 키워드 광고에 대한 알람 또는 추후보기 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
본원 발명에 따른 실시간 키보드 입력 정보를 활용한 키워드 광고 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1) 키보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키보드를 통해 문자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2) 사용자로부터 키보드를 통해 입력받은 상기 문자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3) 미리 저장된 자동완성사전과 비교하여 상기 문자정보에 연관된 자동완성 추천단어목록을 마련하는 단계;
4) 상기 자동완성 추천단어목록을 미리 저장된 광고태그목록과 비교하는 단계;
5) 상기 4) 단계에서 비교한 결과 상기 자동완성 추천단어목록 중 상기 광고태그목록에 있는 자동완성단어에는 알림을 설정한 자동완성단어목록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6) 사용자에게 제공된 상기 자동완성단어목록에 대해서 사용자의 대응 키를 입력 받는 단계;
7) 사용자가 1개 이상에 대해서 광고 정보를 제공 받겠다는 대응 키를 입력할 경우에는 그에 해당하는 광고태그를 광고DB로 전송하고, 그외에 사용자가 상기 자동완성단어목록 중 하나를 선택하면 그 선택한 자동완성단어를 현재의 입력부에 표시하고, 또 그 외의 키를 입력하면 상기 그 외의 키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8) 상기 1)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상기 키보드는 실제 물리적인 키보드 또는 프로그램에서 구현된 키보드이며, 상기 키보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물리적인 키보드에 부가된 펌웨어 또는 상기 물리적인 키보드나 프로그램에서 구현된 키보드와 연계된 프로그램이다. 통상적으로 스마트폰의 경우 화면에 가상의 키보드가 구현된 경우가 다수이고 PC의 경우 별도의 물리적인 키보드가 제공되나 본원 발명에 따른 키보드는 이러한 모든 경우를 다 포함한다.
본원 발명에 따른 키보드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기 또는 키보드의 펌웨어 상에서 운용되는 프로그램으로서 예를 들어 스마트 폰에서 실행되는 앱을 들 수 있으며, PC의 경우 키보드 자체 내 펌웨어에서 구동되는 프로그램 또는 윈도우 상에서 구현되는 프로그램일 수 있다.
서버는 자동완성사전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 또는 사용자 단말기의 키보드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요청이 있는 경우 자동완성사전 정보를 전송한다. 서버에 저장되는 자동완성사전 정보는 지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는바, 이 또한 주기적 또는 간헐적으로 단말기 또는 사용자 단말기의 키보드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되어야 한다.
광고DB는 광고태그목록과 상기 광고태그에 해당하는 광고 URL 정보 또는 광고 콘텐츠를 가지고 있다. 사용자 단말기 또는 사용자 단말기의 키보드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정보를 전송한다. 광고DB에 저장되는 광고태그목록과 상기 광고태그에 해당하는 광고 URL 정보는 지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는바, 이 변동에 따른 광고태그목록 또한 주기적 또는 간헐적으로 단말기 또는 사용자 단말기의 키보드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되어야 한다.
상기 문자정보는 사용자가 키보드를 통해서 입력할 수 있는 빈칸을 포함하는 문자열이다. 사용자가 실제 의도를 가지고 입력하는 문자정보는 빈칸 입력 이후부터 적용하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ID나 Password 입력과 같은 동작 시 본원 발명에 따른 광고 시스템이 적용된다면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할 수 있는바, 빈칸이 입력된 이후의 문자 입력에 광고 시스템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빈칸이 입력된다는 것은 문장이 입력된다고 추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3) 단계에서 상기 태그 키워드와 비교하는 상기 문자정보는 빈칸 이후에 입력되는 문자열에 대하여 적용할 수 있다. 또는 현재 문자정보가 입력되는 입력창의 정보를 파악하여 입력창이 ID나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입력창일 경우 본원 발명에 따른 광고 시스템이 작동하지 않도록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3) 단계에 이전에 키보드 어플리케이션이 서버로부터 자동완성사전에 관한 자료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4) 단계 이전에 키보드 어플리케이션이 서버로부터 광고태그목록에 관한 자료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가 부가될 수 있다.
자동완성사전의 각각의 목록에는 일련번호가 부여되고 이러한 일련번호가 광고태그와 매칭된다. 이때 광고태그는 복수개의 사전단어 일련번호와 연결되어 있어, 광고태그만으로는 사용자의 입력 내용을 파악하기 어려운바, 이를 통해서 사용자의 입력 정보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상기 5) 단계에서 사용자에 알림을 주는 것은 사용자가 키보드를 통해서 입력하고 있는 문자정보에 의해서 생선된 자동완성문자 음영을 주거나, 사용자가 키보드를 통해서 입력하고 있는 문자정보를 대치한 광고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일련의 키워드 광고 노출 동작은 별도의 광고화면을 돌출시킴으로서 사용자 작업 화면을 축소시키거나, 이를 위해 프로그램간 충돌을 야기하는 문제없이 순전히 키보드 입력 시퀀스 상에서 필요한 문자의 출력과 편집기 음영조작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하여, 사용자의 시선이 머무르는 위치에 알림을 노출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알람을 생성하기 위해서 해당 글자 수 만큼 “쉬프트+왼쪽 화살표”코드를 발생시켜 음영으로 형상화 시키고, 사용자가 지속적인 추가 입력을 수행할 때 음영으로 선택된 문자열은 다음 입력문자로 대체되므로 키보드 내부적으로 “엔드” 문자를 자동 삽입하여 선택 해제 후 입력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6) 단계에서 상기 대응 키는 통상의 문자 입력에 사용되는 키가 아닌 미리 지정된 특수 키 또는 키의 조합이다.
상기 7) 단계에서 상기 알림에 대해서 광고 정보를 제공 받겠다는 대응 키를 입력할 경우 상기 알림에 대응하는 광고 정보를 바로 제공하거나, 해당 광보 정보를 별도로 저장하여 이후에 일괄 조회할 수 있게 한다.
상기 7) 단계에서 광고태그를 광고DB로 전송하면 광고DB에서는 해당 광고태그에 해당하는 광고 URL 또는 광고 콘텐츠를 전송한다. 이를 별도의 배너 광고로 사용해서 정보를 제공하거나, 브라우저를 구동하여 광고 사이트로 이동한다.
동일 자동완성사전에 의한 한 개의 자동완성문자에 여러 개의 광고태그가 연관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복수 광고 URL을 제시할 때 광고별 가중치를 설정할 수 있다. 가중치는 날짜 코드와 연결하여 최신 날짜가 우선권 갖도록 할 수도 있고, 키워드 광고 판매에 따라 가중치를 조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광고를 일람할 수 있는 기회를 제한하는 방안이 있을 수 있다. 티저광고와 유사하게 제공되는 정보/기회에 대한 자유도를 감소시킴으로서 긴장감과 집중도를 상승시키고, 이는 기억을 강화하는 효과를 유도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일예로서 사용자가 배너광고를 일람할 수 있는 유효기간을 설정한다던지, 시간에 따라 리워드가 감소한다던지, 키워드에 연결된 광고가 변경되는 등의 전략을 설정할 수 있다.
리워드를 적용할 때, 특정 광고의 리워드가 현저히 높을 경우 이를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찾아보는 Abusing 현상이 발생할 수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해 리워드를 랜덤으로 조절하는 방법 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본원 발명은 실시간 키보드 입력 정보를 활용한 키워드 광고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는 사용자로부터 문자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는 키보드 및 키보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자동완성사전 및 광고태그목록을 제공하는 서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광고 URL을 전송하는 광고DB;
를 포함하는 실시간 키보드 입력 정보를 활용한 키워드 광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키보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키보드 어플리케이션 실행부;
상기 키보드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자동완성사전 및 광고태그목록을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로부터 키보드를 통해 입력 받은 상기 문자정보를 상기 자동완성사전과 비교하는 비교부;를 포함하는 실시간 키보드 입력 정보를 활용한 키워드 광고 시스템이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스마트 워치 및 스마트 안경과 같은 스마트 디바이스, 휴대폰, 노트북 PC, 태블릿 PC, 데스크톱 PC, PDA와 같이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기기, PCS, GSM, PDC, PHS, IMT-2000, CDMA-2000, W-CDMA, Wibro 단말 등과 같은 핸드헬드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 중 적어도 1개 이상이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에서 언급하고 있는 유/무선 통신의 일예는 인터넷, LAN, Wireless LAN, WAN, PAN, 3G, 4G, 5G, LTE, W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사용자 단말기 또는 사용자 단말기의 키보드 어플리케이션은 서버로부터 자동완성사전을 다운로드 받아 저장한다. 상기 자동완성사전은 일련번호와 각각의 단어로 구성된다. 이와 병행하여 또는 순차적으로 사용자 단말기 또는 사용자 단말기의 키보드 어플리케이션은 광고DB로부터 광고태그목록을 다운로드 받아 저장한다. 광고태그목록은 복수 개의 자동완성사전 일련번호와 광고태그 및 광고 소개 정보를 매칭한 것이다.
키보드를 통해서 사용자가 문자정보를 입력하면 사용자 단말기에서는 이를 미리 다운받아 놓은 자동완성사전과 비교를 하여 자동완성 추천단어목록을 마련한다. 상기 자동완성 추천단어목록을 미리 다운받아 놓은 광고태그목록과 비교한다. 자동완성 추천단어목록 중 상기 광고태그목록에 있는 자동완성단어에는 알림을 설정한 후 자동완성단어목록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제공하는 형태는 화면 입력창의 해당 커서 하단에 풀다운 메뉴 형식 등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자동완성사전을 제공하는 방법은 이미 많이 제시되어 있는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시된 자동완성단어목록 중 사용자가 어느 자동완성단어를 선택하면 사용자 단말기는 해당 자동완성단어에 해당하는 일련번호로부터 광고태그를 파악하여 이를 광고DB로 전송한다. 광고DB는 광고태그로부터 광고 URL파악하여 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기는 전송된 광고 URL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배너 또는 별도의 방법을 통해서 상기 URL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도 2는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자동완성사전과 광고태그목록과의 매칭에 대한 예시다. 본원 발명에 따른 매칭은 사용자의 입력내용 노출을 최소화 할 수 있는 2단계의 필터 방식이다.
사용자 입력한 문자정보가 아닌 인접단어는 자동완성단어를 사용하여 광고와 연결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입력 정보가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오디'를 입력했을 때 자동완성단어 중 '오디오'가 추천되어 광고연결이 될 수 도 있고, '오디'라는 입력단어에 의해 광고연결이 될 수도 있다. 즉, 연결된 광고의 키워드가 사용자 입력내용이라는 점이 명확하지 않게 된다.
또한 도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광고태그는 복수개의 단어에 연결되어 있어 광고태그만으로 사용자의 입력 내용을 파악할 수 없다. 또한 자동완성사전의 1개의 일련번호가 여러개의 광고태그에도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가'를 입력하면 복수개의 자동완성 단어인 '가', '가발', '가방', '가랑비', '가르마'와 같은 자동완성 추천단어목록을 마련한다. 상기 추천단어목록 중 광고태그목록에 있는 가발, 가방, 가랑비, 가르마에 음영으로 알림을 설정한 자동완성단어목록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자동완성단어가 나타나는 위치는 현재 키보드 커서의 아래 또는 옆면 등이 가능하다. 사용자가 광고를 선택하면 해당 광고에 대한 광고태그를 광고DB로 전송하고 광고DB는 광고 URL 등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한다.
광고DB로 전송되는 내용은 자동완성사전단어의 일련 번호도 아니고 복수개의 사전단어가 연결된 광고태그만 전송되기 때문에 사용자 입력내용의 맥락을 알기 어렵다는 특징이 있다.
도 3 내지 5는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작업의 흐름도 예시이다. 각각 사용자, 사용자 단말기, 서버, 광고DB 간의 작업 순서를 나타내고 있다. 서버로부터 자동완성사전 및 광고태그목록이 전송된다. 도 1에는 광고태그목록이 광고DB로부터 전송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서버 또는 광고DB는 필요에 따라 필요한 자료를 보관할 수 있는 것이므로 이를 통합하여 하나의 기계로 운영하거나 복수의 기계로 운영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키보드 입력이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는 자동완성 단어를 추천하고 이와 동시에 자동완성사전의 목록 중 광고태그가 존재하는 목록에 대해서는 사용자에가 음영 등을 통해서 알린다.
사용자가 광고 열람을 수락하면 사용자 단말기는 광고태그를 광고DB로 전송하고 광고DB는 광고 URL 또는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실제 광고의 내용을 제공한다(도 3 참조).
사용자가 광고 일람을 예약하면 광고태그를 별도로 저장하고 이후에 저장된 광고태그로부터 사용자 단말기는 광고태그를 광고DB로 전송하고 광고DB는 광고 URL 또는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사용자가에 실제 광고의 내용을 제공한다(도 4 참조).
사용자가 광고 열람을 무시하면, 계속적으로 키보드에 의한 사용자의 입력을 받는다(도 5 참조).
도 6은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화면의 구동 예이다.
사용자가 화면의 입력창에 '오늘_선풍기'를 입력하는 경우, '선풍기'가 서버로부터 미리 전송받는 키워드에 해당한다면 키보드 어플리케이션 자체적으로 “쉬프트+왼쪽 화살표” 코드를 3번 발생하여 '선풍기'만을 음영으로 처리한다. 이때 사용자가 미리 정해진 특수 키 또는 키의 조합을 입력하지 않고 계속적으로 '_있으면_좋겠어'를 입력하면 상기 음영을 제거하여 위해서 키보드 어플리케이션에서 “엔드” 코드를 발생한다(여기에서 '_'은 공백문자를 의미한다). 만약에 사용자가 미리 정해진 특수 키 또는 키의 조합을 입력한다면 별도의 배너 등을 통해서 '선풍기'관련 광고 정보를 제공한다.
도 7은 본원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 따른 화면의 구동 예이다.
사용자가 화면의 입력창에 '오늘_'를 입력하는 경우, 내부적으로 미리 설정된 광고인 '광고입니다' 등의 특정한 문구를 음영으로 제공한다. 이때 사용자가 미리 정해진 특수 키 또는 키의 조합을 입력하지 않고 계속적으로 '선풍기_있으면_좋겠어'를 입력하면 상기 음영 처리된 '광고입니다' 문구는 사라지고 원래의 '선풍기_있으면_좋겠어'가 정상적으로 표시된다. 만약에 사용자가 미리 정해진 특수 키 또는 키의 조합을 입력한다면 별도의 배너 등을 통해서 '광고입니다.'관련 광고 정보를 제공한다.
도 8은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의 구동 예이다.
사용자가 화면의 입력창에 '오늘_선'을 입력하는 경우, '선'으로 시작하는 단어를 자동완성사전에서 검색 후 '선풍기'를 화면의 입력창에 나타내면서 키보드 어플리케이션 자체적으로 “쉬프트+왼쪽 화살표” 코드를 3번 발생하여 '선풍기'만을 음영으로 처리한다. 이때 사용자가 미리 정해진 특수 키 또는 키의 조합을 입력하지 않고 계속적으로 '생님_있으면_좋겠어'를 입력하면 상기 음영 및 자동완성사전에 의해 입력된 '풍기'를 제거하기 위해서 키보드 어플리케이션에서 “쉬프트+오른쪽 화살표” 코드를 1번 발생한다. 이후에 '생님_있으면_좋겠어'를 정상적으로 생성한다. 만약에 사용자가 미리 정해진 특수 키 또는 키의 조합을 입력한다면 별도의 배너 등을 통해서 '선풍기'관련 광고 정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2)

1) 키보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키보드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로부터 키보드를 통해 문자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2) 사용자로부터 키보드를 통해 입력받은 상기 문자정보를 키보드 어플리케이션이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3) 키보드 어플리케이션이 미리 저장된 자동완성사전과 비교하여 상기 문자정보에 연관된 자동완성 추천단어목록을 마련하는 단계;
4) 키보드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자동완성 추천단어목록을 미리 저장된 광고태그목록과 비교하는 단계;
5) 키보드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4) 단계에서 비교한 결과 상기 자동완성 추천단어목록 중 상기 광고태그목록에 있는 자동완성단어에는 알림을 설정한 자동완성단어목록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6) 사용자에게 제공된 상기 자동완성단어목록에 대해서 키보드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의 대응 키를 입력 받는 단계;
7) 사용자가 1개 이상에 대해서 광고 정보를 제공 받겠다는 대응 키를 입력할 경우에는 키보드 어플리케이션이 그에 해당하는 광고태그를 광고DB로 전송하고, 그외에 사용자가 상기 자동완성단어목록 중 하나를 선택하면 키보드 어플리케이션이 그 선택한 자동완성단어를 현재의 입력부에 표시하고, 또 사용자가 그 외의 키를 입력하면 키보드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그 외의 키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8) 상기 1)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실시간 키보드 입력 정보를 활용한 키워드 광고 방법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는 실제 물리적인 키보드 또는 프로그램에서 구현된 키보드이며, 상기 키보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물리적인 키보드에 부가된 펌웨어 또는 상기 물리적인 키보드나 프로그램에서 구현된 키보드와 연계된 프로그램이고,
상기 3) 단계에 이전에 키보드 어플리케이션이 서버로부터 자동완성사전에 관한 자료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4) 단계 이전에 키보드 어플리케이션이 서버로부터 광고태그목록에 관한 자료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가 부가되며,
상기 4) 단계의 키보드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자동완성 추천단어목록을 미리 저장된 광고태그목록과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키보드 어플리케이션이 i) 상기 자동완성 추천단어목록 각각에 대응되는 일련번호를 파악하는 단계, ii) 상기 광고태그목록에서 상기 일련번호와 연결된 광고태그를 검색하여 파악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때 하나의 광고태그는 복수개의 상기 일련번호에 연결되어 있거나, 하나의 일련번호는 복수개의 광고태그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자동완성사전은 일련번호와 각각의 단어로만 구성되며,
상기 광고태그목록은 복수 개의 자동완성사전의 상기 일련번호와 광고태그 및 광고 소개 정보를 매칭한 것이고,
상기 광고태그목록에서 상기 일련번호와 연결된 광고태그를 검색하여 파악하고,
인터페이스 구조로는 사용자가 입력 작업 중인 창에서 입력된 문자정보가 상기 광고태그목록에 있는 자동완성단어일 경우 음영이 되며,
상기 3) 단계 내지 7) 단계는 빈칸 입력 이후에 입력되는 문자정보에만 적용되는 실시간 키보드 입력 정보를 활용한 키워드 광고 방법.
삭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정보는 사용자가 키보드를 통해서 입력할 수 있는 빈칸을 포함하는 문자열인 실시간 키보드 입력 정보를 활용한 키워드 광고 방법.
삭제
삭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5) 단계에서 알림을 설정하는 것은 키보드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가 키보드를 통해서 입력한 문자정보에 음영을 주거나, 사용자가 키보드를 통해서 입력하고 있는 문자정보를 대치한 광고 정보를 제공하는 것인 실시간 키보드 입력 정보를 활용한 키워드 광고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6) 단계에서 상기 대응 키는 통상의 문자 입력에 사용되는 키가 아닌 미리 지정된 특수 키 또는 키의 조합인 실시간 키보드 입력 정보를 활용한 키워드 광고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7) 단계에서 사용자가 상기 광고 정보를 제공 받겠다는 대응 키를 입력할 경우 키보드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광고 정보를 사용자에게 바로 제공하거나, 키보드 어플리케이션이 해당 광고 정보를 별도로 저장하여 이후에 사용자가 일괄 조회할 수 있게 하는 실시간 키보드 입력 정보를 활용한 키워드 광고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7) 단계에서 광고태그를 받은 광고DB는 광고 URL을 전송하고, 상기 광고 URL은 별도의 배너 광고로 화면을 이동하거나, 브라우저를 구동하여 광고 사이트로 이동하는 것인 실시간 키보드 입력 정보를 활용한 키워드 광고 방법,
실시간 키보드 입력 정보를 활용한 키워드 광고 시스템을 사용하여 제1항, 제3항,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실시간 키보드 입력 정보를 활용한 키워드 광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키보드 입력 정보를 활용한 키워드 광고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문자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는 키보드 및 키보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자동완성사전 및 광고태그목록을 제공하는 서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광고 URL을 전송하는 광고DB;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키보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키보드 어플리케이션 실행부;
상기 키보드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자동완성사전 및 광고태그목록을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로부터 키보드를 통해 입력 받은 상기 문자정보를 상기 자동완성사전과 비교하는 비교부;를 포함하는 실시간 키보드 입력 정보를 활용한 키워드 광고 방법
삭제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스마트 워치 및 스마트 안경과 같은 스마트 디바이스, 휴대폰, 노트북 PC, 태블릿 PC, 데스크톱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이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기기,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등과 같은 핸드헬드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 중 적어도 1개 이상이 선택되는 것인 실시간 키보드 입력 정보를 활용한 키워드 광고 방법.
KR1020180026570A 2018-03-06 2018-03-06 실시간 키보드 입력 정보를 활용한 키워드 광고 시스템 KR102113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570A KR102113009B1 (ko) 2018-03-06 2018-03-06 실시간 키보드 입력 정보를 활용한 키워드 광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570A KR102113009B1 (ko) 2018-03-06 2018-03-06 실시간 키보드 입력 정보를 활용한 키워드 광고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5892A KR20190105892A (ko) 2019-09-18
KR102113009B1 true KR102113009B1 (ko) 2020-05-28

Family

ID=68070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6570A KR102113009B1 (ko) 2018-03-06 2018-03-06 실시간 키보드 입력 정보를 활용한 키워드 광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30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38574B (zh) * 2021-12-15 2024-05-10 平安科技(深圳)有限公司 基于人工智能的意图识别方法及其相关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15901A (ja) 2014-05-12 2015-12-03 ワイジェム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能動的な広告提供方法
KR101799327B1 (ko) 2016-10-21 2017-11-20 주식회사 티니어 광고 플랫폼과 연계되는 키보드 sdk 장치 및 그 광고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1470B1 (ko) 2000-05-22 2003-10-17 진천웅 사용자 입력 텍스트에 관한 이미지 처리 서비스 방법
US9318108B2 (en) * 2010-01-18 2016-04-19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KR20090000691A (ko) 2007-03-21 2009-01-08 엔에이치엔(주) 컨텍스트 광고 정보를 노출하는 광고 방법 및 시스템
US8825691B2 (en) * 2009-06-03 2014-09-02 Yahoo! Inc. Open search assist
KR101090819B1 (ko) * 2009-10-07 2011-12-08 주식회사 네티모 문자열의 자동완성 방법
KR20130082578A (ko) 2011-12-09 2013-07-22 매디슨에비뉴 주식회사 사용자 단말기에 실행 중인 채팅 대화창의 입력 키워드에 기초한 광고 방법
KR101479834B1 (ko) 2013-03-20 2015-01-12 정승훈 사용자 행태 기반 광고 노출 방법 및 장치
KR20150098096A (ko) * 2014-02-19 2015-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이 연동 가능한 자동완성 텍스트 입력 방법 및 디바이스
KR101645674B1 (ko) * 2014-11-04 2016-08-05 주식회사 케이티 자동완성 후보 단어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16126013A1 (ko) 2015-02-06 2016-08-11 (주)위자드웍스 키워드 기반의 광고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82293B1 (ko) * 2016-08-19 2018-07-30 네이버 주식회사 문자 입력 및 컨텐츠 추천을 위한 통합 키보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15901A (ja) 2014-05-12 2015-12-03 ワイジェム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能動的な広告提供方法
KR101799327B1 (ko) 2016-10-21 2017-11-20 주식회사 티니어 광고 플랫폼과 연계되는 키보드 sdk 장치 및 그 광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5892A (ko) 2019-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90052B2 (en) Intent-aware keyboard
CN109885251B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以及存储介质
JP5328149B2 (ja) あいまいなキャラクタの明確化
US1019242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alerts
US8495484B2 (en) Intelligent link population and recommendation
US8214357B2 (en) System and method for linking ad tagged words
US8924956B2 (en) Systems and methods to identify users using an automated learning process
KR101351992B1 (ko) 비표준화된 위치기반의 텍스트 입력
US11164208B2 (en) Presenting options for content delivery
US9129009B2 (en) Related links
US20090249198A1 (en) Techniques for input recogniton and completion
US20100114936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publication dates for search results
US9542475B2 (en) Presenting content in accordance with a placement designation
CN103180849A (zh) 使用移动计算装置搜索多数据源
KR20060088845A (ko) 키워드 관련 광고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30297413A1 (en) Using actions to select advertisements
EP2357599A1 (en) System and method for linking ad tagged words
US20180322213A1 (en) Processor-implemented method, computing system and computer program for invoking a search
KR102113009B1 (ko) 실시간 키보드 입력 정보를 활용한 키워드 광고 시스템
KR20160039523A (ko) 키보드 어플리케이션 서버 및 그것을 이용한 광고 콘텐츠 제공 방법
KR101633525B1 (ko) 명령 기반 웹 사이트 브라우징
KR20160008083A (ko) 검색어 기반의 광고 콘텐츠 서버 및 그것을 이용한 광고 콘텐츠 오버레이 방법
KR20140054642A (ko) 관심사항 기반 주소록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