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1252B1 - 자동 커피 추출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자동 커피 추출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1252B1
KR102111252B1 KR1020190012812A KR20190012812A KR102111252B1 KR 102111252 B1 KR102111252 B1 KR 102111252B1 KR 1020190012812 A KR1020190012812 A KR 1020190012812A KR 20190012812 A KR20190012812 A KR 20190012812A KR 102111252 B1 KR102111252 B1 KR 102111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dripper
nozzle
order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2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연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드립플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드립플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드립플랜
Priority to KR1020190012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12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1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1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21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means for varying the infusion outflow velocity, e.g. for brewing smaller quantit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2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following a specific operational sequence, e.g. for improving the taste of the extraction produc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러 번에 걸쳐 커피를 추출할 수 있게 하고, 특히 커피를 여러 차수에 걸쳐 추출할 때마다 다른 조건에서 커피 추출이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하므로, 다양한 맛과 풍미가 있는 커피를 추출할 수 있게 한 자동 커피 추출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이처럼 각 차수의 항목에서 설정한 대로 커피를 반복하여 추출할 수 있으므로, 항상 같은 향과 맛을 내는 커피를 추출할 수 있게 한 자동 커피 추출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항목을 테이블 형태로 저장하고, 테이블에서 선택한 조건에 따라 여러 번에 걸쳐 커피 추출을 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쉽고 편리하면서도 원하는 다양한 향과 맛을 내는 커피를 추출할 수 있게 한 자동 커피 추출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 커피 추출장치의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AUTOMATIC COFFEE BREWING MACHINE}
본 발명은 자동 커피 추출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피 추출에 필요한 여러 선택 항목을 여러 차수에 걸쳐 선택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다양한 맛과 풍미를 느낄 수 있는 커피를 추출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초보자도 쉽게 차수와 항목 선택을 통해 원하는 맛과 풍미가 있는 커피를 추출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커피 추출은 로스팅한 원두의 입자, 물에 접촉한 시간, 그리고 거름장치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원두 입자에서 커피 성분을 추출한다. 이때, 뜨거운 물이 원두 입자에 스며들어 가용성 성분을 용해하여 원두 입자 밖으로 용출하게 하여 커피를 추출한다. 이러한 커피 추출은 수동 방식으로도 이루어지나,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과 같이, 자동으로 커피를 추출하는 장치를 사용하기도 한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285558호
생두(그린 빈, Green beans)를 그라인딩하여 커피를 에스프레소 방식으로 추출하여 마실 수 있도록 하는 커피 추출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린 빈을 분쇄부의 호퍼에 그린 빈을 투입하고, 커터를 이용하여 그린 빈을 0.5mm 이하의 크기, 바람직하게는 0.1~0.2mm의 입자 크기로 그라인딩하며, 이와 같이 그라인딩된 그린 빈을 중공형 가열용기 내에서 190~230℃의 온도로 30~60초 동안 가열 교반시키면서 로스팅한 다음, 고압의 증기와 물을 투입하여 에스프레소(Espresso) 원두커피를 추출하는 커피 추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커피 추출방법을 제공한다. 이에 의하면 오래 전에 로스팅 처리되어 산폐된 원두를 이용하지 않고, 항상 신선한 그린 빈을 이용하여 원두커피를 추출할 수 있음으로써 참다운 커피의 맛과 향을 쉽게 즐길 수 있고, 구동 전원으로서 차량의 시가 잭으로 작동할 수 있으므로 일반 사용자가 차량이동중이나, 오토 캠핑중에 쉽게 원두커피를 추출할 수 있어서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더욱 품격있는 레저 생활을 즐길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얻게 된다.
(특허문헌 2)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148777호
커피캡슐을 다단으로 적재 공급하는 커피캡슐 적재부와, 이 커피캡슐 적재부로부터 공급되는 커피캡슐을 안착시켜 원하는 위치로 이송하는 커피캡슐 이송부와, 이 커피캡슐 이송부를 통해 이송된 커피캡슐로부터 커피 원액을 추출하기 위한 커피원액 추출부 및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로서, 상기 커피원액 추출부의 승하강수단은 상기 가압판의 상부에서 가압판을 감싸고 결합이 되어 승하강을 통해 가압력을 전달하는 가압커버 부재와, 상기 가압커버 부재의 승하강을 위해 나사 결합된 승하강축과, 상기 승하강축에 승하강 기어박스를 통해 구동력을 제공하는 승하강 모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원두커피 자동판매기의 커피 원액 추출부 승하강장치이다.
(특허문헌 3)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99074호
물확산부를 구비하는 커피 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물확산부를 구비하는 커피 추출장치는 거치대, 상기 거치대로 지지가 되며 물이 내부에 수용되고 하부의 배출구를 통하여 수용된 물을 아래로 공급하는 물탱크, 상기 배출구와 이격되게 상기 배출구의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아래로 공급되는 물을 확산하는 물확산부, 상기 거치대로 지지가 되며 내부에 고형커피가 수용되며 상기 물확산부로 확산한 상기 물을 이용하여 액상커피를 추출하는 커피 추출부 및 상기 커피 추출부가 추출한 상기 액상커피를 수용하는 커피 수용부를 포함한다. 상기 물확산부는 상기 배출구와 마주하여 배치되는 확산 판을 포함하며,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공급되는 상기 물은 상기 확산 판과 부딪힌 후 확산한다. 일례로, 상기 확산 판은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공급되는 상기 물은 상기 확산 판과 부딪힌 후 상기 확산 판의 가장자리를 통하여 흩뿌려짐으로써 확산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확산 판은 내부에 관통 홀을 가지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공급되는 상기 물은 확산 판과 부딪힌 후 상기 확산 판의 가장자리를 통하여 흩뿌려지고, 상기 관통 홀을 통하여 아래로 배출됨으로써 확산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기존의 커피 추출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커피 추출을 위해 노즐로 온수를 공급할 때, 노즐의 움직임과 출수량 그리고 드립 서버(커피 수용부)의 회전 등이 미리 정해진 대로만 작동하게 된다.
(2) 이에, 기존 커피 추출로 얻을 수 있는 커피는 그 향과 맛이 거의 같은 향과 맛을 내므로, 다양한 향과 맛을 커피를 추출하는 데 한계가 있다.
(3) 즉, 커피는 분쇄한 커피 위에서 온수를 주입하여 커피를 추출하게 되는 데, 이때 분쇄한 커피 위에 주입하는 온수량, 주입하는 속도, 그리고 커피를 집수하는 드립 서버의 회전량 등 여러 가지 요인에 따라 커피의 향과 맛이 달라진다.
(4) 하지만, 기존 커피 추출 장치는 이처럼 커피의 향과 맛을 좌우하는 요인이 이미 설정된 대로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추출한 커피의 맛이 거의 비슷하여 원하는 커피 맛과 향 등을 느낄 수 없게 된다.
(5) 또한, 이처럼 커피의 향과 맛을 좌우하는 요인을 수동 방식으로 조절할 수는 있으나, 매번 같은 양의 수량과 속도 그리고 회전량을 제어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6) 이에, 수동으로 조절하면 다양한 향과 맛을 가진 커피를 추출할 수는 있으나, 향과 맛이 같은 커피를 반복해서 추출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285558호 (등록일 : 2013.07.08)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148777호 (공개일 : 2016.12.27)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99074호 (공개일 : 2017.08.31)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여러 번에 걸쳐 커피를 추출할 수 있게 하고, 특히 커피를 여러 차수에 걸쳐 추출할 때마다 다른 조건에서 커피 추출이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하므로, 다양한 맛과 풍미가 있는 커피를 추출할 수 있게 한 자동 커피 추출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이처럼 각 차수의 항목에서 설정한 대로 커피를 반복하여 추출할 수 있으므로, 항상 같은 향과 맛을 내는 커피를 추출할 수 있게 한 자동 커피 추출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항목을 테이블 형태로 저장하고, 테이블에서 선택한 조건에 따라 여러 번에 걸쳐 커피 추출을 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쉽고 편리하면서도 원하는 다양한 향과 맛을 내는 커피를 추출할 수 있게 한 자동 커피 추출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커피 추출장치의 제어방법은, 드립퍼(10)를 올려놓은 드립 서버가 조절수단(30)을 통해 회전하고 또한 상기 드립 서버가 상하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하며, 상기 드립퍼 위에서 상기 드립퍼의 회전 중심을 지나는 가상선 쪽을 향해 움직이는 노즐(20)로 물을 공급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자동 커피 추출장치에서, 물을 부어 커피를 추출하는 차수를 적어도 1회 선택하게 하여 커피를 추출하되;, 각 커피를 추출하는 차수마다 출수량(Q), 노즐 이동 속도(V), 그리고 드립 서버의 회전 속도(R)를 포함하고, 노즐 이동 구간(L), 커피 추출시간(E), 뜸을 들이는 대기시간(W), 그리고 회전판 높이(H)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선택 항목의 값을 선택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커피 추출 차수는, 2~10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택 항목을 미리 테이블로 만들어서 저장하고, 상기 테이블에서 차수에 따라 선택 항목의 값을 선택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차수와 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선택 항목을 미리 저장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커피 추출장치의 제어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물을 부어 커피를 추출하는 차수를 여러 번에 걸쳐 선택할 수 있으므로, 각 차수마다 다른 맛과 풍미를 가진 커피를 추출하면서 혼합하여 다양한 맛과 풍미가 있는 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
(2) 이때, 커피 추출에서 필요한 여러 요소를 임의로 선택하여 값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커피의 향과 맛이 다른 커피를 추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처럼 설정한 선택 항목대로 반복하여 같은 향과 풍미가 있는 커피를 반복 추출할 수 있다.
(3) 특히, 여러 차수에 걸친 선택 항목의 값을 미리 저장해 놓고 사용하므로, 초보자들도 언제든지 원하는 향과 풍미가 있는 커피를 선택하여 추출할 수 있다.
(4) 또한, 커피를 추출하는 데 필요한 선택 항목에 대해 미리 값을 정해 놓고 선택할 수 있게 제어하므로, 일정한 품질의 향과 풍미가 있는 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커피 추출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인터페이스의 한 가지 예를 보여주는 이미지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커피 추출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장치 구성을 간단하게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3]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커피 추출장치의 제어방법을 통해 커피를 추출하는 과정을 차례로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한가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제어방법)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커피 추출장치의 제어방법은, [도 1] 내지 [도 9]와 같이, 커피 추출에 필요한 선택 항목을 적어도 1회 차수를 선택하여 추출하게 구성함으로써, 여러 번에 걸쳐 커피를 추출하더라도 커피의 향과 풍미가 항상 일정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향과 풍미가 있는 커피를 추출할 수 있게 한 것이다.
특히, 커피 추출에 필요한 선택 항목으로는 출수량(Q), 노즐 이동 속도(V), 그리고 드립 서버의 회전 속도(R)를 기본으로 노즐 이동 구간(L), 커피 추출시간(E), 뜸을 들이는 대기시간(W), 그리고 회전판 높이(H)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으로써, 최적의 맛과 풍미가 있는 커피를 추출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제어방법에 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서, 도면부호 "10"은 분쇄한 커피 원두를 수용하고 커피 원두 위로 온수를 따르면 커피를 추출하게 하는 드립퍼를, "20"은 상기 드립퍼 위에 위치하여 회전하는 드립퍼(10)의 중심 쪽을 향해 진퇴하면서 온수를 공급하는 노즐을, "30"은 상기 드립퍼(10)를 위에 올려놓고 지지하는 드립 서버가 회전함에 따라 노즐(20)에서 공급한 온수가 분쇄한 원두커피 위에 나선형으로 공급하게 하고 또한 상기 드립 서버와 노즐(20) 사이의 높이를 조절하는 데 사용하는 조절수단을 각각 나타낸다. 이때, 노즐(20)과 조절수단(30)은 각각 미도시한 제어기를 통해 제어하게 되며, 본 발명은 이때 사용하는 제어기를 통해 함께 제어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수>
차수는, [도 1]과 같이, 커피를 추출하는 횟수를 말한다. 이러한 커피 추출 횟수는 적어도 1회 선택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각 횟수에서 추출할 때마다 다른 향과 맛으로 추출한 커피를 혼합하여 원하는 커피의 향과 맛을 느낄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차수는 차수를 늘려갈수록 커피향과 맛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로스팅하여 분쇄한 커피 원두에서 커피 성분을 충분히 추출할 수 있는 범위에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차수는 2회~10회, 가장 바람직하게는 최대 5~7회 범위에서 이용자가 선택하여 결정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서, 차수는 "1단계"로 표시한 7차에 걸쳐 커피를 추출할 수 있게 선택한 예를 보여준다.
한편, 이처럼 선택하는 각 차수에서는 커피 추출에 필요한 선택 항목을 선택하게 한다. 즉, 각 차수에서 선택할 수 있는 선택 항목으로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출수량(Q), 노즐 이동 속도(V), 그리고 드립 서버의 회전 속도(R)를 포함하고, 노즐 이동 구간(L), 커피 추출시간(E), 뜸을 들이는 대기시간(W), 그리고 회전판 높이(H)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출수량
출수량(Q)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선택한 차수에서 분쇄한 커피 원두를 담은 드립퍼(10) 위에 온수를 어느 만큼 부을지를 선택하게 하는 항목이다. 이때, 출수량(Q)이 많으면 커피를 추출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길어질 수 있고, 반대로 출수량(Q)이 적으면 충분한 커피 성분을 추출하지 못할 수 있다.
이러한 출수량(Q)은, [도 3]과 같이, 이용자가 수~수백㎖ 단위로 입력하게 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여러 단계(예를 들어, 10단계)로 구분하여 각 단계에 미리 정한 출수량(Q)을 정해놓고 한 단계를 선택하면 미리 정한 만큼의 출수량(Q)이 출수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노즐 이동 속도
노즐 이동 속도(V)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노즐(20)이 회전하는 드립퍼(10)의 중심을 연장한 선을 향해 움직이게 하는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노즐 이동 속도(V)는, [도 4]와 같이, 노즐(20)이 드립퍼(10)의 외곽에서 그 중심을 향하거나 반대로 가장자리에서 중심을 향해 움직이는 속도를 제어한다. 이러한 노즐 이동 속도(V)는 속도를 빠르게 설정하면 드립퍼(10)에 담은 분쇄한 커피 원두 위에 그려지는 나선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게 온수를 공급하게 되고, 반대로 속도를 느리게 설정하면 그 나선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게 온수를 공급하게 된다.
[도 1]에서, 노즐 이동 속도는, 선택 버튼을 누름에 따라 미리 정한 속도만큼 빨라지거나 느려지게 선택하도록 구성한 예를 보여준다.
회전 속도
회전 속도(R)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드립퍼(10)를 올려놓은 드립 서버를 회전시켜 주는 조절수단(30)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항목이다.
즉, 상기 회전 속도(R)는, [도 5]와 같이, 조절수단(30)이 회전하는 속도를 제어함에 따라, 상술한 노즐(20)에서 공급한 온수가 드립퍼(10)에 담은 분쇄한 커피 원두 위에서 그려지는 나선을 그리는 데 걸리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회전 속도(R)는 상술한 노즐 이동 속도(V)와 후술할 노즐 이동 구간(L)과 함께 드립퍼(10)에 담은 분쇄한 커피 원두 위에 공급하는 온수량과 온수 범위를 공급하는 범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노즐 이동 구간
노즐 이동 구간(L)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노즐(20)이 드립퍼(10)의 가장자리에서 그 중심, 또는 반대로 드립퍼(10) 중심에서 그 가장자리 사이에서 어느 만큼의 구간에서 움직일 것인가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즉, [도 6]과 같이, 노즐 이동 구간(L)은 노즐(10)이 드립퍼(10)의 중심에서 어느만큼 떨어진 위치에서 시작하여 드립퍼(10)의 가장자리에서 어느 만큼 안쪽까지 이동하면서 그 사이 구간에서 나선 형태로 온수를 공급하게 할 것인가를 결정하게 하는 항목이다.
이러한 노즐 이동 구간(L)은, [도 1]에서, 노즐(20)이 이동할 수 있는 거리를 나타내는 바에 두 개의 점을 이동시킬 수 있게 구성하고, 한 점이 드립퍼(10)의 중심에서 어느 만큼 떨어진 위치에서 시작(또는 끝)하고, 다른 한 점이 드립퍼(10)의 가장자리에서 어느 만큼 안쪽까지 이동하게 할 것인지 선택하게 한 예를 보여준다.
커피 추출 시간
커피 추출 시간(E)은, [도 1] 및 [도 7]과 같이, 온수를 공급한 드립퍼(10)에서 드립 서버로 커피를 추출하는 시간을 설정한다.
이때, 커피 추출 시간(E)은 분쇄한 커피 원두나 출수량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추출 시간을 선택하거나 입력하여 사용한다.
도면에서, 커피 추출 시간(E)은 초(Sec) 단위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예를 보여준다. 또한, [도 7]에서, 커피 추출 시간(E)은, 예시적으로, 150sec로 셋팅한 예를 보여준다.
대기 시간
대기 시간(W)은, [도 1] 및 [도 8]과 같이, 여러 차수에 걸쳐 커피를 추출할 때 다음 차수로 진행하기 전에 뜸을 들이는 시간을 선택하게 하는 항목이다.
이러한 대기 시간은 뜸을 들이는 시간을 적당하게 선택해야 분쇄한 커피 원두에서 커피 성분이 원활하게 추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드립퍼(10)에 공급한 온수가 분쇄한 커피 원두에 충분히 스며들어 수용성 성분인 커피 성분이 충분히 녹일 수 있게 하여 원활한 커피 추출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시간이다.
이러한 대기 시간(W)은 원두의 종류와 로스팅 시간 그리고 분쇄한 커피 원두의 양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한다.
도면에서, 대기 시간(W)은 초(Sec) 단위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예를 보여준다. 또한, [도 8]에서, 대기 시간(W)은, 예시적으로, 70sec로 셋팅한 예를 보여준다.
회전판 높이
회전판 높이(H)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드립퍼(10)를 올려놓은 드립 서버가 회전할 수 있게 하는 조절수단(3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노즐(20)과 드립퍼(10) 사이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항목이다.
이러한 회전판 높이(H)의 조절은, [도 2] 및 [도 9]와 같이, 조절수단(30)이 상하로 움직이게 하여 그 위에 올려놓은 드립 서버가 드립퍼(10)와 함께 상하로 움직임에 따라 정해진 위치에 설치한 노즐(20)과의 사이의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게 한다.
특히, 이러한 회전판 높이(H) 조절을 통해, 노즐(10)로 드립퍼(10)에 주입하는 온수의 온도 조절하거나, 분쇄한 커피 원두량에 따라 적절한 높이에서 온수를 공급할 수 있게 하거나, 온수가 분쇄한 커피 원두에 골고루 퍼지게 하는 등의 역할을 한다.
이상과 같이 각 차수에서 선택하게 하는 선택 항목은, 커피를 추출하는 추출자가 차수와 함께 각 선택 항목을 하나씩 입력하게 하여 선택받거나, 각 항목에 팝 업 버튼 형태가 스크롤 바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미리 정한 값을 입력해 놓고 추출자가 선택하여 사용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여러 차수를 미리 셋팅하고, 각 차수에 포함한 선택 항목의 값을 미리 설정하여 하나의 테이블 형태로 저장해 놓고, 커피를 추출하는 추출자가 차수만 선택하면 그 차수에 미리 입력한 각 선택 항목의 값을 선택하게 구성할 수도 있음을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의 종사자라면 누구든지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처럼 테이블 형태로 저장한 데이터에서 적어도 하나의 차수를 선택함에 따라 얻은 항목을 미리 하나의 메뉴로 저장하고, 이 메뉴를 선택함에 따라 미리 저장한 차수와 각 차수에 따라 미리 저장한 선택 항목으로 셋팅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10 : 드립퍼
20 : 노즐
30 : 조절수단
L : 노즐 이동 구간
R : 회전 속도
V : 노즐 이동 속도
Q : 출수량
W : 대기 시간

Claims (4)

  1. 커피 원두를 수용하는 드립퍼에 온수를 공급하며 드립퍼의 중심을 향해 진퇴운동 가능하게 구성된 노즐과, 드립퍼를 회전시키며 드립퍼와 노즐 사이의 높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된 조절 수단과, 상기 노즐 및 상기 조절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여 드립 커피를 자동으로 추출하는 자동 커피 추출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2회 내지 10회의 범위에서 커피를 추출할 차수를 설정하는 단계와, 각 차수별 출수량(Q), 노즐 이동 속도(V), 조절 수단의 회전 속도(R), 노즐 이동 구간(L), 커피 추출 시간(E), 뜸을 들이는 대기시간(W), 조절 수단의 높이(H)를 설정하는 차수별 추출 조건 설정 단계와, 설정된 차수와 차수별 추출 조건에 따라 커피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차수별 추출 조건 설정 단계는 드립퍼에 공급할 온수의 유량을 입력 받아 출수량(Q)을 설정하는 단계와,
    노즐이 드립퍼의 중심으로부터 연장된 선을 따라 움직이는 속도를 입력 받아 드립퍼 상에 커피 원두에 그려지는 나선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노즐 이동 속도(V)를 설정하는 단계와,
    조절 수단의 회전 속도를 입력 받아 드립퍼 상의 커피 원두에 나선이 그려지는데 걸리는 시간을 조절하는 회전 속도(R) 설정 단계와,
    노즐이 드립퍼의 중심에서 가장자리 사이의 어느 구간 만큼 움직일 것인지를 입력 받아 드립퍼 상에 그려지는 나선이 드립퍼 중심으로부터 떨어진 안쪽 및 바깥쪽 위치를 조절하는 노즐 이동 구간(L) 설정 단계와,
    드립퍼로 온수를 공급하는 시간을 입력 받아 커피를 추출할 시간을 설정하는 커피 추출 시간(E) 설정 단계와,
    커피 추출 차수와 차수 사이에 뜸을 들이는 시간을 입력 받아 대기 시간(W)을 설정하는 단계와,
    조절 수단의 상하 높이를 입력 받아 노즐과 드립퍼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회전판 높이(H) 설정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 커피 추출 장치의 제어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90012812A 2019-01-31 2019-01-31 자동 커피 추출장치의 제어방법 KR102111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812A KR102111252B1 (ko) 2019-01-31 2019-01-31 자동 커피 추출장치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812A KR102111252B1 (ko) 2019-01-31 2019-01-31 자동 커피 추출장치의 제어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5501A Division KR20200095426A (ko) 2020-05-08 2020-05-08 자동 커피 추출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1252B1 true KR102111252B1 (ko) 2020-05-14

Family

ID=70736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2812A KR102111252B1 (ko) 2019-01-31 2019-01-31 자동 커피 추출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125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558B1 (ko) 2010-08-25 2013-07-12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커피추출장치 및 방법
KR20160148777A (ko) 2015-06-16 2016-12-27 주식회사 화수 캡슐 원두커피 자동판매기의 커피원액추출부 승하강장치
KR20170095523A (ko) * 2016-02-15 2017-08-23 (주)비섹전자 자동 커피 드립 장치
KR20170099074A (ko) 2016-02-23 2017-08-31 박준영 물확산부를 구비하는 커피추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558B1 (ko) 2010-08-25 2013-07-12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커피추출장치 및 방법
KR20160148777A (ko) 2015-06-16 2016-12-27 주식회사 화수 캡슐 원두커피 자동판매기의 커피원액추출부 승하강장치
KR20170095523A (ko) * 2016-02-15 2017-08-23 (주)비섹전자 자동 커피 드립 장치
KR20170099074A (ko) 2016-02-23 2017-08-31 박준영 물확산부를 구비하는 커피추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37811B2 (en) Adjustable volume brewer
US9066623B2 (en) Brewed beverage appliance and method
US9155418B2 (en) Brewed beverage appliance and method
JP5220337B2 (ja) 高温飲料調製装置および方法
US8286547B1 (en) Automated french press-like quality producing, high volume, automated, electric beverage maker
JP5702868B2 (ja) 調合飲料機器及び方法
US8646379B2 (en) Brewed beverage appliance and method
KR101612040B1 (ko) 자동 커피 추출장치
CA2780698C (en) Beverage preparation machines
US9788682B2 (en) Beverage brewing device for automatically brewing and dispensing single cup quantities of beverage through a vending machine with minimal manual participation
KR20120050684A (ko) 핸드드립 커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커피드립기
EP004108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hot beverages
US10004354B2 (en) Coffee making appliance for brewing coffee
GB2435609A (en) Hand-held coffee grinder and infusion apparatus
KR102111252B1 (ko) 자동 커피 추출장치의 제어방법
KR20200095426A (ko) 자동 커피 추출장치의 제어방법
KR102548170B1 (ko) 자동 드립 커피머신
KR102017395B1 (ko) 커피 자동 추출 장치
US20210298515A1 (en) Coffee extraction apparatus
KR102156392B1 (ko) 커피메이커를 이용한 커피 드립 방법
KR20230162504A (ko) 자동판매장치의 원두커피 추출장치
CA2919031C (en) Beverage brewing device for automatically brewing and dispensing single cup quantities of beverage through a vending machine with minimal manual participation
KR20100030184A (ko) 원두커피 제조장치
AU2014203154A1 (en) Brewed beverage appliance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