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1130B1 -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dual connectivity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dual connectiv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1130B1
KR102111130B1 KR1020190016926A KR20190016926A KR102111130B1 KR 102111130 B1 KR102111130 B1 KR 102111130B1 KR 1020190016926 A KR1020190016926 A KR 1020190016926A KR 20190016926 A KR20190016926 A KR 20190016926A KR 102111130 B1 KR102111130 B1 KR 102111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s
received
termi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69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고종환
김동현
박노혁
최증원
송황준
고윤민
김재우
박현
이종만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90016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113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1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11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84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detecting congestion or overload during communication
    • H04W72/049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3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regulatory allocation poli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A dual connection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comprises: a communication unit which receives status information on a network associated with the dual connection or characteristic information on content available to a terminal, when dual connectivity between base stations having different cell sizes and the terminal is possible; a resource allocation policy coordination unit which determines the status of the network on the received status information or the received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adjusts a resource allocation policy for each resource of the base stations based on the received status information or the received characteristic information if the network is determined to be in a congested state or a congested state; and a resource allocation unit for allocating resources of each of the base stations to the terminal based on the adjusted resource allocation policy.

Description

이중 연결 관리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DUAL CONNECTIVITY}Apparatus and method for dual connection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DUAL CONNECTIVITY}

본 발명은 이중 연결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al connection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스마트 기기가 보급되면서부터 전 세계적으로 트래픽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매크로셀에는 부하가 과도하게 집중되는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Since the spread of smart devices, traffic is increasing worldwide. Accordingly, a phenomenon in which the load is excessively concentrated in the macro cell is occurring.

이러한 부하 집중 현상을 해소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이 제시되어 있다. 그 중에는 매크로셀 내에 피코셀, 펨토셀 또는 마이크로셀과 같은 스몰셀을 두어 부하를 분산시키는 방안이 있다. 그런데 이러한 방안에 따를 경우, 이동 중인 무선 단말은 스몰셀들 사이에서 잦은 핸드오버를 경험할 가능성이 있으며, 따라서 이러한 잦은 핸드오버로 인한 오버헤드가 문제될 수 있다.Various methods have been proposed to solve the load concentration phenomenon. Among them, there is a method to distribute the load by placing small cells such as picocells, femtocells, or microcells within a macrocell. However, if this method is followed, the mobile wireless terminal is likely to experience frequent handover between small cells, and thus overhead due to such frequent handover may be a problem.

한편, 이러한 잦은 핸드오버로 인한 오버헤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가지 방안이 제시되어 있다. 셀 크기가 상이한 기지국들(예컨대 매크로셀의 기지국과 스몰셀의 기지국) 각각과 단말을 동시에 연결시키는 이중 연결(dual connectivity)은 이러한 여러가지 방안 중 하나이다. Meanwhile, in order to solve the overhead problem due to such frequent handover, various methods have been proposed. Dual connectivity that connects each of the base stations having different cell sizes (for example, a base station of a macro cell and a base station of a small cell) and a terminal at the same time is one of various methods.

이중 연결이 지원될 경우, 단말은 셀 크기가 상이한 기지국들 각각과 동시에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예컨대 매크로셀의 기지국에 대한 과도한 부하 집중 현상이 스몰셀의 기지국에 의해 어느 정도 해소될 수 있으며, 또한 이동 중인 무선 단말이 스몰셀들 사이에서 잦은 핸드오버를 경험할 가능성 자체가 줄어들 수 있다.When dual connectivity is supported, the UE can maintain a connection state with each of the base stations having different cell sizes. According to this, for example, the excessive load concentration phenomenon on the base station of the macro cell can be somewhat relieved by the base station of the small cell, and the possibility that the mobile wireless terminal experiences frequent handover between the small cells can be reduced.

한국등록특허공보 10-1615384호 (2016.04.19. 등록)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615384 (Registration on April 19, 2016)

전술한 이중 연결에서는 패킷 재정렬이 문제될 수 있다. 패킷 재정렬이란 예컨대 매크로셀의 기지국을 통해 전달되는 패킷과 스몰셀의 기지국을 통해 전달되는 패킷이 소정의 목적지에 도달했을 때, 이렇게 도달된 패킷들을 소정의 기준에 따라 정렬시키는 것을 지칭한다. 정렬이 필요한 이유는, 매크로셀의 기지국을 거쳐서 전달되는 패킷과 스몰셀의 기지국을 거쳐서 전달되는 패킷은 각 패킷이 거쳐가게 되는 네트워크의 상태에 따라 서로 간에 시간차를 두고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Packet reordering may be a problem in the above-described double connection. Packet reordering refers to, for example, when a packet transmitted through a base station of a macro cell and a packet transmitted through a base station of a small cell reach a predetermined destination, the packets are thus sort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The reason why alignment is necessary is that packets transmitted through the base station of the macro cell and packets transmitted through the base station of the small cell can reach a destination with a time difference between each other depending on the state of the network through which each packet passes. .

또한 전술한 이중 연결에서는 매크로셀용 무선 자원과 스몰셀용 무선 자원을 각각 단말에 할당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이 때 단말에 매크로셀용 무선 자원과 스몰셀용 무선 자원이 얼마만큼 할당되는지에 따라 단말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의 품질이 달라질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dual connection, a process of allocating radio resources for macro cells and radio resources for small cells to terminals is performed. At this time, the quality of service provided through the terminal may vary depending on how much radio resources for the macro cell and radio resources for the small cell are allocated to the terminal.

이에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중 연결에서 패킷 재정렬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면서 또한 단말을 통해 최상의 품질의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매크로셀용 무선 자원과 스몰셀용 무선 자원 각각을 단말에 할당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acket rearrangement problem in a dual connection, and also to allocate a radio resource for a macro cell and a radio resource for a small cell to the terminal so that the best quality service can be provided through the terminal. Is to provide.

다만,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problem to be solve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another problem not to be solv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a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연결 관리 장치는 셀 크기가 상이한 기지국들과 단말 간의 이중 연결(dual connectivity)이 가능한 경우, 상기 이중 연결과 연관된 네트워크에 대한 상태 정보 또는 상기 단말에게 제공 가능한 컨텐츠에 대한 특성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 또는 상기 수신된 특성 정보를 기초로 상기 네트워크의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네트워크가 혼잡한 상태 또는 혼잡 예정인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 또는 상기 수신된 특성 정보를 기초로 상기 기지국들 각각의 자원에 대한 자원 할당 정책을 조정하는 자원 할당 정책 조정부와, 상기 조정된 자원 할당 정책을 기초로 상기 기지국들 각각의 자원을 상기 단말에게 할당하는 자원 할당부를 포함한다.In the dual connectivity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dual connectivity between base stations having different cell sizes and a terminal is possible, status information on a network associated with the dual connection or characteristic information on content available to the terminal The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nd determines the state of the network based on the received status information or the received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if the determination result is determined that the network is in a congested state or a congested state, the received state information or the A resource allocation policy adjustment unit that adjusts a resource allocation policy for each resource of the base stations based on the received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a resource allocation that allocates each of the resources of the base stations to the terminal based on the adjusted resource allocation policy Includes wealth.

또한, 상기 셀 크기가 상이한 기지국들은 매크로셀의 기지국 및 스몰셀의 기지국을 포함할 수 있다.Also, base stations having different cell sizes may include a base station of a macro cell and a base station of a small cell.

또한,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는 상기 기지국들 각각에 대한 대역폭, 네트워크 지연 및 패킷 손실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ceived status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bandwidth, network delay, and packet loss rate for each of the base stations.

또한, 상기 이중 연결 관리 장치는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 또는 상기 수신된 특성 정보를 기초로 상기 컨텐츠에 대한 목표 인코딩 레이트(target encoding rate) 및 코드 레이트(code rate)를 결정하는 인코딩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결정된 목표 인코딩 레이트 및 코드 레이트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EPC(evolved packet core)에게 송신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ual connection management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encoding control unit determining a target encoding rate and a code rate for the content based on the received status information or the received characteristic information. Can be. At this time, the determined target encoding rate and code rate may be transmitted to an evolved packet core (EPC)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이중 연결 관리 장치가 수행하는 이중 연결 관리 방법은 셀 크기가 상이한 기지국들과 단말 간의 이중 연결(dual connectivity)이 가능한 경우, 상기 이중 연결과 연관된 네트워크에 대한 상태 정보 또는 상기 단말에게 제공 가능한 컨텐츠에 대한 특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 또는 상기 수신된 특성 정보를 기초로 상기 네트워크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 결과 상기 네트워크가 혼잡한 상태 또는 혼잡 예정인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 또는 상기 수신된 특성 정보를 기초로 상기 기지국들 각각의 자원에 대한 자원 할당 정책을 조정하는 단계와, 상기 조정된 자원 할당 정책을 기초로 상기 기지국들 각각의 자원을 상기 단말에게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된다.In the dual connection management method performed by the dual connection management apparatus, when dual connectivity between base stations having different cell sizes and a terminal is possible, status information on a network associated with the dual connection or content available to the terminal Receiving characteristic information, determining a state of the network based on the received state information or the received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determining that the network is in a congested state or a congested stat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Adjusting a resource allocation policy for each resource of the base stations based on status information or the received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allocating resources of each of the base stations to the terminal based on the adjusted resource allocation policy It is carried out including.

또한, 상기 셀 크기가 상이한 기지국들은 매크로셀의 기지국 및 스몰셀의 기지국을 포함할 수 있다.Also, base stations having different cell sizes may include a base station of a macro cell and a base station of a small cell.

또한,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는 상기 기지국들 각각에 대한 대역폭, 네트워크 지연 및 패킷 손실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ceived status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bandwidth, network delay, and packet loss rate for each of the base stations.

또한, 상기 이중 연결 관리 방법은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 또는 상기 수신된 특성 정보를 기초로 상기 컨텐츠에 대한 목표 인코딩 레이트(target encoding rate) 및 코드 레이트(code rate)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목표 인코딩 레이트 및 코드 레이트를 EPC(evolved packet core)에게 송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ual connection management method includes determining a target encoding rate and a code rate for the content based on the received status information or the received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the determined target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ransmitting an encoding rate and a code rate to an evolved packet core (EPC).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되며, 셀 크기가 상이한 기지국들과 단말 간의 이중 연결(dual connectivity)이 가능한 경우, 상기 이중 연결과 연관된 네트워크에 대한 상태 정보 또는 상기 단말에게 제공 가능한 컨텐츠에 대한 특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 또는 상기 수신된 특성 정보를 기초로 상기 네트워크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 결과 상기 네트워크가 혼잡한 상태 또는 혼잡 예정인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 또는 상기 수신된 특성 정보를 기초로 상기 기지국들 각각의 자원에 대한 자원 할당 정책을 조정하는 단계와, 상기 조정된 자원 할당 정책을 기초로 상기 기지국들 각각의 자원을 상기 단말에게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된 것이다.A computer pro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when dual connectivity between base stations having different cell sizes and a terminal is possible, state information about a network associated with the dual connection or the terminal Receiving property information on the content that can be provided, determining the state of the network based on the received state information or the received property information, an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network is in a congested or congested state If it is determined, adjusting the resource allocation policy for each resource of the base stations based on the received status information or the received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the resource of each of the base stations based on the adjusted resource allocation policy It is programmed to perform, including the step of allocating to the terminal.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에 이중 연결된 기지국들 각각의 자원에 대한 단말로의 자원 할당 정책은, 이러한 이중 연결과 연관된 네트워크에 대한 상태 정보 또는 단말에게 제공되는 컨텐츠에 대한 특성 정보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자원 할당 정책에 따르게 되면, 기지국들 각각의 자원이 단말에게 효율적으로 할당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이렇게 할당받은 자원을 이용하여서 사용자에게 고품질의 컨텐츠를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 resource allocation policy to a terminal for each resource of the base stations double-connected to the terminal may be determined based on status information on a network associated with the dual connection or characteristic information on content provided to the terminal. . According to this resource allocation policy, resources of each of the base stations can be efficiently allocated to the terminal. Therefore, the terminal can stably provide high-quality content to the user by using the allocated resource.

또한 컨텐츠에 대한 인코딩의 기초가 되는 목표 인코딩 레이트 및 코드 레이트 역시 전술한 이중 연결과 연관된 네트워크에 대한 상태 정보 또는 컨텐츠에 대한 특성 정보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이렇게 결정된 목표 인코딩 레이트를 기초로 컨텐츠에 대한 인코딩이 수행되고 아울러 이렇게 결정된 코드 레이트를 기초로 컨텐츠에 대한 파운틴 인코딩이 수행될 경우, 패킷 재정렬에 따른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arget encoding rate and code rate, which are the basis for encoding for content, may also be determined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for the network associated with the dual connection or property information for the content. When encoding for the content is performed based on the target encoding rate determined in this way and fountain encoding for the content is performed based on the determined code rate, a problem with packet realignment may be solved.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연결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연결 관리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연결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network system including a dual connection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dual connection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flow in a network system including a dual connection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clarifi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person hav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a user's or operator's intention or practice.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연결 관리 장치(100)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10)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시스템(10)은 구성으로서 이중 연결 관리 장치(100), 단말(200), 매크로셀 기지국(300), 스몰셀 기지국(400), EPC(Evolved Packet Core)(500) 및 미디어 서버(600)를 포함한다. 아울러 도 1에 도시된 각각의 구성은 도 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에 의해 연결된다. 다만, 도 1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사상이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 시스템(10)에만 적용되는 것으로 한정 해석되지는 않는다.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network system 10 including a dual connection manage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Referring to FIG. 1, the network system 10 includes a dual connection management apparatus 100, a terminal 200, a macro cell base station 300, a small cell base station 400, and an Evolved Packet Core (EPC) 500 as a configuration. And a media server 600. In addition, each configuration shown in FIG. 1 is not shown in FIG. 1, but is connected by a wired or wireless network. However, since FIG. 1 is merely exemplar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being applied only to the network system 10 illustrated in FIG. 1.

이 중 단말(200)은 자신이 정지해 있는 경우 뿐 아니라 이동 중인 경우에도 이동 통신 서비스와 같은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포터블 디바이스이다. 이러한 단말(200)은 예컨대 스마트폰이나 스마트패드와 같은 스마트 기기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mong them, the terminal 200 is a portable device capable of providing a predetermined service,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even when it is stationary as well as when it is stationary. The terminal 200 may be, for example, a smart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or a smart pad or a wearable devi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단말(200)은 이중 연결(dual connectivity)을 지원한다. 이중 연결에 의하면, 단말(200)은 셀 크기가 상이한 기지국들 각각에 동시에 연결되어서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이중 연결 그 자체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terminal 200 supports dual connectivity. According to the double connection, the terminal 200 can be simultaneously connected to each of the base stations having different cell sizes to receive a predetermined service. Here, since the double connection itself is a known techniqu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매크로셀 기지국(300)은 매크로셀 내에 있는 단말(200)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을 지칭한다. 반면, 스몰셀 기지국(400)은 스몰셀 내에 있는 단말(200)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을 지칭한다. 여기서 매크로셀 기지국(300)은 단말(200)에 이중 연결된 기지국들 중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셀의 기지국을 지칭하는 것일 뿐, '매크로셀'이라고 정의된 셀의 기지국만을 지칭하는 것으로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마찬가지로 스몰셀 기지국(400) 역시 단말(200)에 이중 연결된 기지국들 중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셀의 기지국을 지칭하는 것일 뿐이며, '스몰셀'이라고 정의된 셀의 기지국만을 지칭하는 것으로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The macro cell base station 300 refers to a base station that provides a service to the terminal 200 in the macro cell. On the other hand, the small cell base station 400 refers to a base station that provides a service to the terminal 200 in the small cell. Here, the macro cell base station 300 is only a base station of a relatively large sized cell among the base stations du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200, and is limited to being interpreted as referring only to a base station of a cell defined as a 'macro cell'. no. Similarly, the small cell base station 400 also refers to a base station of a relatively small size cell among base stations double-connected to the terminal 200, and is limited to being interpreted as referring only to a base station of a cell defined as a 'small cell'. no.

이중 연결 관리 장치(100)는 자원 할당 정책을 기초로 기지국들(300,400) 각각의 자원을 단말(200)에 할당한다. 또한 이중 연결 관리 장치(100)는 패킷 재정렬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솔루션을 제공한다. 이러한 이중 연결 관리 장치(100)에 대해서는 뒤에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The dual connection management apparatus 100 allocates each resource of the base stations 300 and 400 to the terminal 200 based on the resource allocation policy. In addition, the dual connection management apparatus 100 provides a solution for solving a problem according to packet realignment. The dual connection management apparatus 1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EPC(Evolved Packet Core)(500)는 진화된 패킷 코어라고도 지칭된다. 이러한 EPC(500)는 이중 연결 관리 장치(100)가 결정한 코드 레이트(code rate)를 기초로 컨텐츠에 대해 파운틴 인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EPC(500)는 이렇게 파운틴 인코딩이 수행된 컨텐츠를 분할할 수 있는데, 이렇게 분할된 컨텐츠들 각각은 단말(200)에 이중 연결된 기지국들(300,400)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단말(200)에게 제공된다. 여기서, 컨텐츠는 영상 또는 이미지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파운틴 인코딩/디코딩 그 자체, 목표 인코딩 레이트 그 자체 및 코드 레이트 그 자체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Evolved Packet Core (EPC) 500 is also referred to as an evolved packet core. The EPC 500 may perform fountain encoding on the content based on a code rate determined by the dual connection management apparatus 100. In addition, the EPC 500 may divide the content that has been subjected to the fountain encoding, and each of the divided contents is provided to the terminal 200 through any one of the base stations 300 and 400 that are du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200. . Here, the content may be an image or an image, but is not limited thereto. Meanwhile, since the fountain encoding / decoding itself, the target encoding rate itself, and the code rate itself are well-known technologies,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미디어 서버(600)는 목표 인코딩 레이트를 기초로 컨텐츠를 인코딩한 뒤, 이렇게 인코딩된 컨텐츠를 EPC(500) 등에게 제공하는 구성이다. 이 때 컨텐츠의 인코딩에 사용되는 목표 인코딩 레이트는 이중 연결 관리 장치(100)가 결정한 것을 EPC(500)로부터 전달받은 것일 수 있다.The media server 600 is a component that encodes content based on a target encoding rate and then provides the encoded content to the EPC 500. At this time, the target encoding rate used for encoding of the content may be that received from the EPC 500 that the dual connection management apparatus 100 determines.

이하에서는 전술한 이중 연결 관리 장치(100)에 대해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above-described dual connection management apparatus 1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연결 관리 장치(100)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중 연결 관리 장치(100)는 구성으로서 통신부(110), 자원 할당 정책 결정부(120), 자원 할당부(130) 및 인코딩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다만, 이중 연결 관리 장치(100)의 구성이 도 2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2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dual connection manage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Referring to FIG. 2, the dual connection management apparatus 1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10, a resource allocation policy determination unit 120, a resource allocation unit 130, and an encoding control unit 140 as components. However, the configuration of the dual connection management apparatus 100 is not limited to that illustrated in FIG. 2.

먼저 도 2에 도시된 이중 연결 관리 장치(100)는 서버 등에서 구현 가능하다. First, the dual connection management apparatus 100 illustrated in FIG. 2 may be implemented in a server or the like.

통신부(110)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모듈이다. 이중 연결 관리 장치(100)는 이러한 통신부(110)를 통해 기지국들(300,400), EPC(500) 또는 미디어 서버(600)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10 is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hat transmits and receives data. The dual connection management apparatus 100 may exchange data with the base stations 300 and 400, the EPC 500 or the media server 6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예컨대 이중 연결 관리 장치(100)는 통신부(110)를 통해 단말(200)에 이중 연결된 기지국들(300,400)로부터, 이러한 이중 연결과 연관된 네트워크에 대한 상태 정보를 수신 또는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이중 연결 관리 장치(100)는 통신부(110)를 통해, 미디어 서버(600)가 단말(200)에게 제공 가능한 컨텐츠에 대한 특성 정보를 이러한 미디어 서버(600)로부터 수신 또는 수집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ual connection management apparatus 100 may receive or collect status information on a network associated with the dual connection from base stations 300 and 400 that are du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In addition, the dual connection management apparatus 100 may receive or collect characteristic information on content that the media server 600 can provide to the terminal 200 from the media server 6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여기서 전술한 이중 연결과 연관된 네트워크에 대한 상태 정보는, 예컨대 단말(200)에 이중 연결된 기지국들(300,400) 각각에 대한 대역폭, 네트워크 지연 및 패킷 손실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tate information on the network associated with the above-described double connection may include, for example, at least one of a bandwidth, a network delay, and a packet loss rate for each of the base stations 300 and 400 double-connected to the terminal 200.

또한, 전술한 단말(200)에게 제공 가능한 컨텐츠에 대한 특성 정보는 예컨대 인코딩 레이트 또는 레이트-왜곡(rate-distortion) 손실 파라미터 모델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that can be provided to the terminal 200 described above may include, for example, an encoding rate or rate-distortion loss parameter model.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통신부(110)는 SDN(Software-Defined-Network) 컨트롤러를 거쳐서 전술한 기지국들(300,400), EPC(500) 또는 미디어 서버(600)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여기서 SDN이란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통신 장비를 물리적 자원의 할당을 통한 소프트웨어의 연산 능력을 이용하여 가상으로 구현하는 것을 의미한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exchange data with the above-described base stations 300,400, EPC 500 or media server 600 through a software-defined-network (SDN) controller. Here, the SDN means that the communication equipment constituting the network is virtually implemented using the computing power of software through the allocation of physical resources.

이러한 SDN 컨트롤러를 감안해서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 시스템(10)을 살펴보면, SDN 컨트롤러는 제어 계층(control plane)에 해당한다. 아울러, 단말(200), 매크로셀 기지국(300), 스몰셀 기지국(400), EPC(Evolved Packet Core)(500) 및 미디어 서버(600)는 데이터 계층(data plane)에 해당한다. 또한 이중 연결 관리 장치(100)는 응용 계층(application plane)에 해당한다.Considering the SDN controller, looking at the network system 10 shown in FIG. 1, the SDN controller corresponds to a control plane. In addition, the terminal 200, the macro cell base station 300, the small cell base station 400, the Evolved Packet Core (EPC) 500, and the media server 600 correspond to a data plane. In addition, the dual connection management device 100 corresponds to an application layer.

다시 도 2를 참조한다. 자원 할당 정책 조정부(120), 자원 할당부(130) 및 인코딩 제어부(140) 각각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이나 하드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See FIG. 2 again. Each of the resource allocation policy adjustment unit 120, the resource allocation unit 130, and the encoding control unit 14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oftware module or a hardware module executed by a processor, or a combination of a software module and a hardware module. have.

이 중 자원 할당 정책 조정부(120)는 단말(200)에 이중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의 상태를 판단한다. 판단 시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받은 전술한 네트워크에 대한 상태 정보 및 전술한 컨텐츠에 대한 특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고려될 수 있다.Among them, the resource allocation policy adjustment unit 120 determines a state of a network capable of being du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200. When determining, at least one of the status information for the above-described network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and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for the above-described content may be considered.

판단 결과 이러한 네트워크가 혼잡한 상태 또는 혼잡 예정인 상태로 판단될 수 있다. 이 경우 자원 할당 정책 조정부(120)는 기지국들(300,400) 각각의 자원에 대한 자원 할당 정책을 조정하는데, 이 때 전술한 네트워크에 대한 상태 정보 및 전술한 컨텐츠에 대한 특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고려될 수 있다. 반면 네트워크가 혼잡하지 않은 상태로 판단되거나 혼잡 예정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자원 할당 정책은 조정되지 않는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network is in a congested state or a congested state. In this case, the resource allocation policy adjustment unit 120 adjusts the resource allocation policy for each resource of the base stations 300 and 400. At this time, at least one of the status information for the above-described network and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for the above-mentioned content will be considered. Can be.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network is not congested or is not scheduled to be congested, the resource allocation policy is not adjusted.

자원 할당부(130)는 기지국들(300,400) 각각의 자원을 단말(200)에게 할당한다. 이 때 자원 할당부(130)는 자원 할당 정책 조정부(120)가 전술한 바와 같이 조정한 자원 할당 정책을 기초로 기지국들(300,400) 각각의 자원을 단말(200)에게 할당할 수 있다.The resource allocation unit 130 allocates resources of each of the base stations 300 and 400 to the terminal 200. At this time, the resource allocation unit 130 may allocate each resource of the base stations 300 and 400 to the terminal 200 based on the resource allocation policy adjusted by the resource allocation policy adjustment unit 120 as described above.

인코딩 제어부(140)는 컨텐츠에 적용될 목표 인코딩 레이트 및 코드 레이트를 결정한다. 결정 과정에서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받은 전술한 네트워크에 대한 상태 정보 및 전술한 컨텐츠에 대한 특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고려될 수 있고, 실시예에 따라 자원 할당부(130)가 단말(200)에게 할당한 자원이 고려될 수도 있다.The encoding control unit 140 determines a target encoding rate and a code rate to be applied to the content. In the determination process, at least one of the status information for the above-described network and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for the above-described content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be considered, and the resource allocation unit 130 may perform the terminal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resources allocated to may be considered.

아울러, 이렇게 결정된 목표 인코딩 레이트 및 코드 레이트는 EPC(500)에게 통신부(110)를 통해 송신된다.In addition, the determined target encoding rate and code rate are transmitted to the EPC 5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에 이중 연결된 기지국들 각각의 자원에 대한 단말로의 자원 할당 정책은, 이러한 이중 연결과 연관된 네트워크에 대한 상태 정보 또는 단말에게 제공되는 컨텐츠에 대한 특성 정보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자원 할당 정책에 따르게 되면, 기지국들 각각의 자원이 단말에게 효율적으로 할당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이렇게 할당받은 자원을 이용하여서 사용자에게 고품질의 컨텐츠를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resource allocation policy to the terminal for each resource of the base stations double-connected to the terminal, the status information for the network associated with the dual connection or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for the content provided to the terminal It can be determined on the basis of. According to this resource allocation policy, resources of each of the base stations can be efficiently allocated to the terminal. Therefore, the terminal can stably provide high-quality content to the user by using the allocated resource.

또한 컨텐츠에 대한 인코딩의 기초가 되는 목표 인코딩 레이트 및 코드 레이트 역시 전술한 이중 연결과 연관된 네트워크에 대한 상태 정보 또는 컨텐츠에 대한 특성 정보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이렇게 결정된 목표 인코딩 레이트를 기초로 컨텐츠에 대한 인코딩이 수행되고 아울러 이렇게 결정된 코드 레이트를 기초로 컨텐츠에 대한 파운틴 인코딩이 수행될 경우, 패킷 재정렬에 따른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arget encoding rate and code rate, which are the basis for encoding for content, may also be determined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for the network associated with the dual connection or property information for the content. When encoding for the content is performed based on the target encoding rate determined in this way and fountain encoding for the content is performed based on the determined code rate, a problem with packet realignment may be solved.

이하에서는 이러한 이중 연결 관리 장치(100)가 포함된 네트워크 시스템(10)에서 수행 가능한, 이중 연결을 통해 단말(200)에게 소정의 컨텐츠가 제공되는 절차 내지 과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a procedure or process in which predetermined content is provided to the terminal 200 through a dual connection, which can be performed in the network system 10 including the dual connection management apparatus 100, will be described.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연결 관리 장치(100)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10)에서의 동작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다만, 도 3에 도시된 동작 흐름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사상이 도 3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flow in the network system 10 including the dual connection manage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However, since the operation flow illustrated in FIG. 3 is merely exemplar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at illustrated in FIG. 3.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이중 연결 관리 장치(100)는 통신부(110)를 통해 단말(200)에 이중 연결된 기지국들(300,400)로부터, 이러한 이중 연결과 연관된 네트워크에 대한 상태 정보를 수신 또는 수집할 수 있다(S100). The dual connection management apparatus 100 may receive or collect status information on a network associated with the dual connection from base stations 300 and 400 that are du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S100).

또한 이중 연결 관리 장치(100)는 통신부(110)를 통해, 미디어 서버(600)가 단말(200)에게 제공 가능한 컨텐츠에 대한 특성 정보를 이러한 미디어 서버(600)로부터 수신 또는 수집할 수 있다(S110). 컨텐츠는 영상 또는 이미지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addition, the dual connection management apparatus 100 may receive or collect characteristic information about content that the media server 600 can provide to the terminal 200 from the media server 6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S110). ). The content may be an image or an imag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여기서, 기지국들(300,400)은 서로 간에 셀 크기가 상이한 기지국을 지칭하며, 예컨대 매크로셀 기지국(300)과 스몰셀 기지국(400)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base stations 300 and 400 refer to base stations having different cell sizes from each other,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 macro cell base station 300 and a small cell base station 400.

이 중, 매크로셀 기지국(300)은 매크로셀 내에 있는 단말(200)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을 지칭한다. 반면, 스몰셀 기지국(400)은 스몰셀 내에 있는 단말(200)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을 지칭한다. 여기서 매크로셀 기지국(300)은 단말(200)에 이중 연결된 기지국들 중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셀의 기지국을 지칭하는 것일 뿐, '매크로셀'이라고 정의된 셀의 기지국만을 지칭하는 것으로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마찬가지로 스몰셀 기지국(400) 역시 단말(200)에 이중 연결된 기지국들 중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셀의 기지국을 지칭하는 것일 뿐이며, '스몰셀'이라고 정의된 셀의 기지국만을 지칭하는 것으로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Among them, the macro cell base station 300 refers to a base station that provides a service to the terminal 200 in the macro cell. On the other hand, the small cell base station 400 refers to a base station that provides a service to the terminal 200 in the small cell. Here, the macro cell base station 300 is only a base station of a relatively large sized cell among the base stations du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200, and is limited to being interpreted as referring only to a base station of a cell defined as a 'macro cell'. no. Similarly, the small cell base station 400 also refers to a base station of a relatively small size cell among base stations double-connected to the terminal 200, and is limited to being interpreted as referring only to a base station of a cell defined as a 'small cell'. no.

한편, 전술한 이중 연결과 연관된 네트워크에 대한 상태 정보는, 예컨대 단말(200)에 이중 연결된 기지국들(300,400) 각각에 대한 대역폭, 네트워크 지연 및 패킷 손실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state information on the network associated with the dual connection described abov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bandwidth, a network delay, and a packet loss rate for each of the base stations 300 and 400 connected to the terminal 200.

또한, 전술한 단말(200)에게 제공 가능한 컨텐츠에 대한 특성 정보는 예컨대 인코딩 레이트 또는 레이트-왜곡(rate-distortion) 손실 파라미터 모델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that can be provided to the terminal 200 described above may include, for example, an encoding rate or rate-distortion loss parameter model.

단계 S100과 S110에서 수신받은 정보를 기초로 이중 연결 관리 장치(100)의 자원 할당 정책 조정부(120)는 단말(200)에 이중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의 상태를 판단한다(S200).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in steps S100 and S110, the resource allocation policy adjustment unit 120 of the dual connection management apparatus 100 determines the state of the network capable of dual connection to the terminal 200 (S200).

단계 S200의 판단 결과, 이러한 네트워크가 혼잡한 상태 또는 혼잡 예정인 상태로 판단될 수 있다. 이 경우 자원 할당 정책 조정부(120)는 기지국들(300,400) 각각의 자원에 대한 자원 할당 정책을 조정하는데, 이 때 전술한 네트워크에 대한 상태 정보 및 전술한 컨텐츠에 대한 특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고려될 수 있다(S220). 반면 네트워크가 혼잡하지 않은 상태로 판단되거나 혼잡 예정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자원 할당 정책은 조정되지 않는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200,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network is in a congested state or a congested state. In this case, the resource allocation policy adjustment unit 120 adjusts the resource allocation policy for each resource of the base stations 300 and 400. At this time, at least one of the state information for the above-described network and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for the above-described content is considered. It can be (S220).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network is not congested or is not scheduled to be congested, the resource allocation policy is not adjusted.

이 후 이중 연결 관리 장치(100)의 자원 할당부(130)는 기지국들(300,400) 각각의 자원을 단말(200)에게 할당한다. 이 때 자원 할당부(130)는 자원 할당 정책 조정부(120)가 전술한 바와 같이 조정한 자원 할당 정책을 기초로 기지국들(300,400) 각각의 자원을 단말(200)에게 할당할 수 있다.Thereafter, the resource allocation unit 130 of the dual connection management apparatus 100 allocates resources of each of the base stations 300 and 400 to the terminal 200. At this time, the resource allocation unit 130 may allocate each resource of the base stations 300 and 400 to the terminal 200 based on the resource allocation policy adjusted by the resource allocation policy adjustment unit 120 as described above.

이중 연결 관리 장치(100)의 인코딩 제어부(140)는 컨텐츠에 적용될 목표 인코딩 레이트 및 코드 레이트를 결정한다(S240). 결정 과정에서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받은 전술한 네트워크에 대한 상태 정보 및 전술한 컨텐츠에 대한 특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고려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자원 할당부(130)가 단말(200)에게 할당한 자원이 고려될 수도 있다.The encoding control unit 140 of the dual connection management apparatus 100 determines a target encoding rate and a code rate to be applied to the content (S240). In the determination process, at least one of the status information for the above-described network and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for the above-described content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be considered, and the resource allocation unit 130 may perform the terminal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resources allocated to may be considered.

이렇게 결정된 목표 인코딩 레이트 및 코드 레이트는 EPC(500)에게 통신부(110)를 통해 송신된다(S250).The determined target encoding rate and code rate are transmitted to the EPC 5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S250).

EPC(500)는 단계 S250에서 수신받은 목표 인코딩 레이트를 미디어 서버(600)에게 송신하면, 단말(200)에게 제공될 컨텐츠가 이러한 목표 인코딩 레이트를 만족시킬 수 있도록 미디어 서버(600)에게 요청한다(S300).When the EPC 500 transmits the target encoding rate received in step S250 to the media server 600, the content to be provided to the terminal 200 requests the media server 600 to satisfy the target encoding rate ( S300).

이러한 요청을 받은 미디어 서버(600)는 단말(200)에게 제공될 컨텐츠에 대한 인코딩을 수행한다(S310). 이 때 미디어 서버(600)는 단계 S300에서 EPC(500)로부터 수신받은 목표 인코딩 레이트를 기초로 인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The media server 600 receiving the request performs encoding for content to be provided to the terminal 200 (S310). At this time, the media server 600 may perform encoding based on the target encoding rate received from the EPC 500 in step S300.

단계 S310에서의 인코딩이 수행 완료되면, 미디어 서버(600)는 이렇게 인코딩된 컨텐츠를 EPC(500)에게 송신한다(S320).When the encoding in step S310 is completed, the media server 600 transmits the encoded content to the EPC 500 (S320).

그러면 EPC(500)는 S320에서 수신받은 인코딩된 컨텐츠에 대해 단계 S250에서 수신받은 코드 레이트를 기초로 파운틴 인코딩을 수행한다(S330).Then, the EPC 500 performs fountain encoding on the encoded content received in S320 based on the code rate received in step S250 (S330).

단계 S330에서의 파운틴 인코딩이 수행 완료되면, EPC(500)는 이렇게 파운틴 인코딩된 컨텐츠를 제1 컨텐츠 및 제2 컨텐츠의 형태로 분할한다(S340). 이 때 분할되는 컨텐츠의 개수가 2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When the fountain encoding in step S330 is completed, the EPC 500 divides the fountain-encoded content into first content and second content (S340). In this case, the number of divided contents is not limited to two.

단계 S340에서 분할된 컨텐츠들 각각은 단말(200)에 이중 연결된 기지국들(300,400)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단말(200)에게 제공된다(S350 내지 S380). Each of the contents divided in step S340 is provided to the terminal 200 through any one of the base stations 300 and 400 double-connected to the terminal 200 (S350 to S380).

그러면 단말(200)은 단계 S370 및 S380에서 수신받은 컨텐츠(제1 컨텐츠 및 제2 컨텐츠)를 병합하고, 파운틴 디코딩을 수행한다(S400).Then, the terminal 200 merges the content (first content and second content) received in steps S370 and S380, and performs fountain decoding (S400).

단계 S400에서의 파운틴 디코딩이 수행 완료되면, 단말(200)에서는 컨텐츠 재생이 가능해진다(S410).When the fountain decoding in step S400 is completed, content reproduction is possible in the terminal 200 (S410).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에 이중 연결된 기지국들 각각의 자원에 대한 단말로의 자원 할당 정책은, 이러한 이중 연결과 연관된 네트워크에 대한 상태 정보 또는 단말에게 제공되는 컨텐츠에 대한 특성 정보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자원 할당 정책에 따르게 되면, 기지국들 각각의 자원이 단말에게 효율적으로 할당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이렇게 할당받은 자원을 이용하여서 사용자에게 고품질의 컨텐츠를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resource allocation policy to the terminal for each resource of the base stations double-connected to the terminal, the status information for the network associated with the dual connection or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for the content provided to the terminal It can be determined on the basis of. According to this resource allocation policy, resources of each of the base stations can be efficiently allocated to the terminal. Therefore, the terminal can stably provide high-quality content to the user by using the allocated resource.

또한 컨텐츠에 대한 인코딩의 기초가 되는 목표 인코딩 레이트 및 코드 레이트 역시 전술한 이중 연결과 연관된 네트워크에 대한 상태 정보 또는 컨텐츠에 대한 특성 정보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이렇게 결정된 목표 인코딩 레이트를 기초로 컨텐츠에 대한 인코딩이 수행되고 아울러 이렇게 결정된 코드 레이트를 기초로 컨텐츠에 대한 파운틴 인코딩이 수행될 경우, 패킷 재정렬에 따른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arget encoding rate and code rate, which are the basis for encoding for content, may also be determined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for the network associated with the dual connection or property information for the content. When encoding for the content is performed based on the target encoding rate determined in this way and fountain encoding for the content is performed based on the determined code rate, a problem with packet realignment may be solved.

한편, 전술한 방법에 관한 발명은, 이러한 방법에 포함된 각각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의 형태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해당 방법에 포함된 각 단계를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실시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vention of the above-described method, the form of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computer program programmed to perform each step included in the method or stored i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each included in the method I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omputer program programmed to perform the steps.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품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qua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이중 연결 관리 장치100: dual connection management device

Claims (10)

셀 크기가 상이한 기지국들과 단말 간의 이중 연결(dual connectivity)이 가능한 경우, 상기 이중 연결과 연관된 네트워크에 대한 상태 정보 또는 상기 단말에게 제공 가능한 컨텐츠에 대한 특성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 또는 상기 수신된 특성 정보를 기초로 상기 네트워크의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네트워크가 혼잡한 상태 또는 혼잡 예정인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 또는 상기 수신된 특성 정보를 기초로 상기 기지국들 각각의 자원에 대한 자원 할당 정책을 조정하는 자원 할당 정책 조정부와,
상기 조정된 자원 할당 정책을 기초로 상기 기지국들 각각의 자원을 상기 단말에게 할당하는 자원 할당부와,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 또는 상기 수신된 특성 정보를 기초로 상기 컨텐츠에 대한 목표 인코딩 레이트(target encoding rate) 및 코드 레이트(code rate)를 상기 셀 크기가 상이한 기지국들 각각에 대해 상이하게 결정하는 인코딩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셀 크기가 상이한 기지국들 각각에 대해 상이하게 결정된 목표 인코딩 레이트 및 코드 레이트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EPC(evolved packet core)에게 송신되어서 상기 EPC가 수행하는 파운틴 인코딩에 이용되는
이중 연결 관리 장치.
When dual connectivity between base stations having different cell sizes and a terminal is possible, a communication unit that receives status information on a network associated with the dual connection or characteristic information on content available to the terminal;
The status of the network is determined based on the received status information or the received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when the determination result determines that the network is in a congested state or a congested state, the received state information or the received characteristic information is determined. And a resource allocation policy adjustment unit that adjusts a resource allocation policy for each of the base stations.
A resource allocation unit for allocating resources of each of the base stations to the terminal based on the adjusted resource allocation policy;
The encoding control unit determines a target encoding rate and a code rate for the content differently for each of the base stations having different cell sizes based on the received state information or the received characteristic information. Including,
The target encoding rate and code rate determined differently for each of the base stations having different cell sizes are:
It is transmitted to an evolved packet core (EPC)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used for fountain encoding performed by the EPC.
Dual connection management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셀 크기가 상이한 기지국들은,
매크로셀의 기지국 및 스몰셀의 기지국을 포함하는
이중 연결 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base stations having different cell sizes,
Comprising a base station of a macro cell and a base station of a small cell
Dual connection management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는,
상기 기지국들 각각에 대한 대역폭, 네트워크 지연 및 패킷 손실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중 연결 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received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bandwidth, network delay, and packet loss rate for each of the base stations
Dual connection management device.
삭제delete 이중 연결 관리 장치가 수행하는 이중 연결 관리 방법으로서,
셀 크기가 상이한 기지국들과 단말 간의 이중 연결(dual connectivity)이 가능한 경우, 상기 이중 연결과 연관된 네트워크에 대한 상태 정보 또는 상기 단말에게 제공 가능한 컨텐츠에 대한 특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 또는 상기 수신된 특성 정보를 기초로 상기 네트워크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 결과 상기 네트워크가 혼잡한 상태 또는 혼잡 예정인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 또는 상기 수신된 특성 정보를 기초로 상기 기지국들 각각의 자원에 대한 자원 할당 정책을 조정하는 단계와,
상기 조정된 자원 할당 정책을 기초로 상기 기지국들 각각의 자원을 상기 단말에게 할당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 또는 상기 수신된 특성 정보를 기초로 상기 컨텐츠에 대한 목표 인코딩 레이트(target encoding rate) 및 코드 레이트(code rate)를 상기 셀 크기가 상이한 기지국들 각각에 대해 상이하게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셀 크기가 상이한 기지국들 각각에 대해 상이하게 결정된 목표 인코딩 레이트 및 코드 레이트는,
EPC(evolved packet core)에게 송신되어서 상기 EPC가 수행하는 파운틴 인코딩에 이용되는
이중 연결 관리 방법.
A dual connection management method performed by the dual connection management device,
When dual connectivity between base stations having different cell sizes and a terminal is possible, receiving status information on a network associated with the dual connection or characteristic information on content available to the terminal;
Determining a state of the network based on the received state information or the received characteristic information,
Adjusting the resource allocation policy for each of the base stations based on the received status information or the received characteristic information when the network is determined to be congested or scheduled to be congest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Allocating resources of each of the base stations to the terminal based on the adjusted resource allocation policy,
Determining a target encoding rate and a code rate for the content differently for each of the base stations having different cell sizes based on the received status information or the received characteristic information. Including,
The target encoding rate and code rate determined differently for each of the base stations having different cell sizes are:
It is transmitted to an evolved packet core (EPC) and used for fountain encoding performed by the EPC.
How to manage dual connections.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셀 크기가 상이한 기지국들은,
매크로셀의 기지국 및 스몰셀의 기지국을 포함하는
이중 연결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The base stations having different cell sizes,
Comprising a base station of a macro cell and a base station of a small cell
How to manage dual connections.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는,
상기 기지국들 각각에 대한 대역폭, 네트워크 지연 및 패킷 손실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중 연결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The received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bandwidth, network delay, and packet loss rate for each of the base stations
How to manage dual connections.
삭제delete 셀 크기가 상이한 기지국들과 단말 간의 이중 연결(dual connectivity)이 가능한 경우, 상기 이중 연결과 연관된 네트워크에 대한 상태 정보 또는 상기 단말에게 제공 가능한 컨텐츠에 대한 특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 또는 상기 수신된 특성 정보를 기초로 상기 네트워크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 결과 상기 네트워크가 혼잡한 상태 또는 혼잡 예정인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 또는 상기 수신된 특성 정보를 기초로 상기 기지국들 각각의 자원에 대한 자원 할당 정책을 조정하는 단계와,
상기 조정된 자원 할당 정책을 기초로 상기 기지국들 각각의 자원을 상기 단말에게 할당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 또는 상기 수신된 특성 정보를 기초로 상기 컨텐츠에 대한 목표 인코딩 레이트(target encoding rate) 및 코드 레이트(code rate)를 상기 셀 크기가 상이한 기지국들 각각에 대해 상이하게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되되,
상기 셀 크기가 상이한 기지국들 각각에 대해 상이하게 결정된 목표 인코딩 레이트 및 코드 레이트는,
EPC(evolved packet core)에게 송신되어서 상기 EPC가 수행하는 파운틴 인코딩에 이용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When dual connectivity between base stations having different cell sizes and a terminal is possible, receiving status information on a network associated with the dual connection or characteristic information on content available to the terminal;
Determining a state of the network based on the received state information or the received characteristic information,
Adjusting the resource allocation policy for each of the base stations based on the received status information or the received characteristic information when the network is determined to be congested or expected to be congest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Allocating resources of each of the base stations to the terminal based on the adjusted resource allocation policy,
Determining a target encoding rate and a code rate for the content differently for each of the base stations having different cell sizes based on the received status information or the received characteristic information. Including,
The target encoding rate and code rate determined differently for each of the base stations having different cell sizes are:
It is transmitted to an evolved packet core (EPC) and used for fountain encoding performed by the EPC.
A computer program stored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셀 크기가 상이한 기지국들과 단말 간의 이중 연결(dual connectivity)이 가능한 경우, 상기 이중 연결과 연관된 네트워크에 대한 상태 정보 또는 상기 단말에게 제공 가능한 컨텐츠에 대한 특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 또는 상기 수신된 특성 정보를 기초로 상기 네트워크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 결과 상기 네트워크가 혼잡한 상태 또는 혼잡 예정인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 또는 상기 수신된 특성 정보를 기초로 상기 기지국들 각각의 자원에 대한 자원 할당 정책을 조정하는 단계와,
상기 조정된 자원 할당 정책을 기초로 상기 기지국들 각각의 자원을 상기 단말에게 할당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 또는 상기 수신된 특성 정보를 기초로 상기 컨텐츠에 대한 목표 인코딩 레이트(target encoding rate) 및 코드 레이트(code rate)를 상기 셀 크기가 상이한 기지국들 각각에 대해 상이하게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되되,
상기 셀 크기가 상이한 기지국들 각각에 대해 상이하게 결정된 목표 인코딩 레이트 및 코드 레이트는,
EPC(evolved packet core)에게 송신되어서 상기 EPC가 수행하는 파운틴 인코딩에 이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When dual connectivity between base stations having different cell sizes and a terminal is possible, receiving status information on a network associated with the dual connection or characteristic information on content available to the terminal;
Determining a state of the network based on the received state information or the received characteristic information,
Adjusting the resource allocation policy for each of the base stations based on the received status information or the received characteristic information when the network is determined to be congested or scheduled to be congest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Allocating resources of each of the base stations to the terminal based on the adjusted resource allocation policy,
Determining a target encoding rate and a code rate for the content differently for each of the base stations having different cell sizes based on the received status information or the received characteristic information. Including,
The target encoding rate and code rate determined differently for each of the base stations having different cell sizes are:
It is transmitted to an evolved packet core (EPC) and used for fountain encoding performed by the EPC.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computer program.
KR1020190016926A 2019-02-13 2019-02-13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dual connectivity KR1021111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926A KR102111130B1 (en) 2019-02-13 2019-02-13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dual connectiv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926A KR102111130B1 (en) 2019-02-13 2019-02-13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dual connectivit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1130B1 true KR102111130B1 (en) 2020-05-14

Family

ID=70736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6926A KR102111130B1 (en) 2019-02-13 2019-02-13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dual connectivi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1130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4682A (en) * 2012-08-20 2014-03-03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Base station management device and performance method thereof
KR20160012736A (en) * 2014-07-25 2016-02-03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adaptive flow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615384B1 (en) 2010-04-05 2016-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nel encoding in a commun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5384B1 (en) 2010-04-05 2016-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nel encoding in a communication system
KR20140024682A (en) * 2012-08-20 2014-03-03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Base station management device and performance method thereof
KR20160012736A (en) * 2014-07-25 2016-02-03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adaptive flow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1766B1 (en) Communication method, base station and terminal device
CN109246757B (en) Configuration method and device of novel service quality framework in dual-connection system
US20190349828A1 (en) Core network device, access network device, and data offloading method and system
KR10245294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mobility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805564B2 (en) Multi-connectivity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US10129766B2 (en) Quality of service management methods, quality of service management devices and quality of service management system
CN107770807B (en) Data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US11265762B2 (en) Management of bitrate for UE bearers
US20120026961A1 (en) Network management system
CN114830818A (en) QoS management method, relay terminal, PCF network element, SMF network element and remote terminal
EP3091693A1 (en) Control method and centralized controller in communication network 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CN114731723A (en)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CN112087777B (en) MDBV (minimum drive buffer volume) determina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WO2012009978A1 (en) Method, device and base station for resource and admission control
CN114079934A (en) Relay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KR10211113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dual connectivity
CN116782307A (en) Service rate adjusting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CN111955043A (en) Dynamic maximum data burst enforcement in user equipment
US20150071192A1 (en) Carrier Aggregation in Communications
US963558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call admission control for client balancing
KR101790192B1 (en) Method and device for application management
JP7131613B2 (en) Control device,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CN108810954B (en) Session shunting method and device
WO2022151170A1 (en) Handover control method, admission control method, and communication apparatus
KR101763525B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schedul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