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9909B1 - The adhesive composition and the adhesive film - Google Patents

The adhesive composition and the adhesive fil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9909B1
KR102109909B1 KR1020160040133A KR20160040133A KR102109909B1 KR 102109909 B1 KR102109909 B1 KR 102109909B1 KR 1020160040133 A KR1020160040133 A KR 1020160040133A KR 20160040133 A KR20160040133 A KR 20160040133A KR 102109909 B1 KR102109909 B1 KR 102109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rylate
meth
adhesive composition
group
alk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01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114060A (en
Inventor
장애정
김상환
이수은
김장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60040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9909B1/en
Publication of KR20170114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406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9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99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9J1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2201/122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ly on one side of the carrier, e.g. single-sided adhesive tap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탄소수 4 내지 15의 알킬기를 갖는 제1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를 갖는 제2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아크릴산을 포함하는 혼합 모노머 성분으로부터 형성되고, 중량평균분자량(Mw)이 500만 내지 1,000만인 광중합 수지; 및 가교성 모노머를 포함하고, 상기 가교성 모노머는 글리시딜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이 제공된다.It is formed from a mixed monomer component comprising a first alkyl (meth) acrylate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4 to 15 carbon atoms, a second alkyl (meth) acrylate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1 to 3 carbon atoms, and acrylic acid, and has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 Is 5 to 10 million photopolymerizable resin; And a crosslinkable monomer, wherein the crosslinkable monomer is provided wit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omprising a glycidyl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Description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테이프 {THE ADHESIVE COMPOSITION AND THE ADHESIVE FILM}Adhesive composition and adhesive tape {THE ADHESIVE COMPOSITION AND THE ADHESIVE FILM}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It relates to an adhesive composition and an adhesive tape.

텔레비젼, 컴퓨터, 이동통신 단말기 등과 같이 터치스크린으로 정보를 입력, 조작, 표시하는 화상 표시 장치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화상 표시 장치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와 같은 화상 표시부 상에 유리기판 또는 투명 플라스틱 기판과 같은 보호부를 포함하고, 화상 표시 장치의 테두리 영역은 광이 투과되지 않아 이미지, 화상 등이 표시가 나타나지 않는 부분에서부터 화상 표시 장치의 본체의 말단 부분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Demand for an image display device that inputs, manipulates, and displays information through a touch screen, such as a television, computer,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creasing. The image display device includes a protection unit such as a glass substrate or a transparent plastic substrate on an image display unit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d an image, image, or the like is not transmitted through the border area of the image display device because light is not transmitted It can be formed from the portion where the display does not appear, including the distal portion of the body of the image display device.

이러한 화상 표시 장치의 테두리 영역은 베젤(bazel)이라고 하고, 이러한 베젤에서, 화상 표시 장치의 화상 표시부와 보호부는 점착 테이프, 즉 양면 점착 테이프를 매개로 점착될 수 있다.The edge region of the image display device is called a bezel, and in this bezel, the image display unit and the protection unit of the image display device may be adhered via an adhesive tape, that is, a double-sided adhesive tape.

또한, 요즘 화상 표시부의 크기를 확장시키는 것에 대한 요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반면, 기기 자체는 커지지 않는 것에 대한 요구가 많은 실정이다. 이러한 요구를 충족하기 위하여, 베젤의 크기 또는 폭을 축소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이, 좁은 베젤에 적용하기 위한 점착 테이프의 필요성도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좁은 베젤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점착 테이프가 좁은 베젤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가공 및 절단이 용이해야 하고, 좁은 면적에도 불구하고 제조 과정 및 제조 이후의 사용 중에 우수한 점착 성능을 나타내야 한다.
In addition, while the demand for expanding the size of the image display unit continues to increase these days, there are many demands for the device itself not to grow. To meet this demand, attempts have been made to reduce the size or width of the bezel. As such, the need for an adhesive tape for application to a narrow bezel is also increasing. In order to be applied to a narrow bezel, the adhesive tape must be easily processed and cut so as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narrow bezel, and despite a small area, it must exhibit excellent adhesive performance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after use.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좁은 베젤에 적용될 때, 우수한 가공성 및 절단성을 나타내고, 좁은 면적에 대해서도 내구성 및 부착성이 우수하며, 우수한 내반발성을 가지는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pplied to a narrow bezel, provides excellent processability and cutability, and provide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durability and adhesion even in a small area, and excellent repulsion resistance.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점착 테이프로서, 좁은 베젤에 적용되어 고온 및 고습 환경의 신뢰성 및 점착 성능이 우수한 점착 테이프를 제공한다.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dhesive tape prepared using the adhesive composition, and is applied to a narrow bezel to provide an adhesive tape having excellent reliability and adhesive performance in a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environment.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탄소수 4 내지 15의 알킬기를 갖는 제1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를 갖는 제2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아크릴산을 포함하는 혼합 모노머 성분으로부터 형성되고, 중량평균분자량(Mw)이 500만 내지 1,000만인 광중합 수지; 및 가교성 모노머를 포함하고, 상기 가교성 모노머는 글리시딜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a mixed monomer component comprising a first alkyl (meth) acrylate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4 to 15 carbon atoms, a second alkyl (meth) acrylate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1 to 3 carbon atoms, and acrylic acid It is formed,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5 to 10 million photopolymerizable resin; And a crosslinkable monomer, wherein the crosslinkable monomer provide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omprising a glycidyl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본 발명의 다른 구현 예에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광경화물을 포함하는 점착층을 갖는 점착 테이프을 제공한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dhesive tape having an adhesive layer comprising a photocured product of the adhesive composition.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좁은 베젤 영역에 적용되어 고온 고습 환경 하에서 우수한 내반발성 및 점착 유지력을 나타내며, 플라스틱 기재에 대한 적절한 점착력을 구현하여 가공성 및 절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s applied to a narrow bezel area, exhibits excellent repulsion resistance and adhesion retention under a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environment, and implements appropriate adhesion to a plastic substrate to improve processability and cutability.

상기 점착 테이프는 좁은 베젤 영역에 적용하기 위해 성형 및 가공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우수한 절단성을 나타내며, 플라스틱 기재에 대한 적절한 점착력을 바탕으로 양산의 불량률을 감소시키고, 우수한 내반발성 및 고온고습 신뢰성을 구현할 수 있다.
The adhesive tape exhibits excellent cutability in the process of forming and processing to be applied to a narrow bezel area, reducing the defect rate of mass production based on proper adhesion to a plastic substrate, and having excellent repulsion resistance and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reliability. Can be implemen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점착 테이프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1 schematically illustrates a cross-section of an adhesive ta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후술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described below.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are provided to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o provide those who have ordinary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It just work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 is enlarged to clearly express the various layers and regions. In the drawings, thicknesses of some layers and regions ar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또한, 본 명세서에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부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아울러,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또는 "하부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Also,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 part such as a layer, film, region, plate, etc. is said to be "above" or "above" another part, this is not only when the other part is "directly above" but also when there is another part in the middle Also includes. Conversely, when one part is "just above" another part, it means that there is no other part in the middle. In addition, when a part such as a layer, film, region, plate, etc. is said to be "below" or "below" another part, it is not only when the other part is "just below" but also when there is another part in the middle. Includes. Conversely, when one part is "just below" another part, it means that there is no other part in the middle.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탄소수 4 내지 15의 알킬기를 갖는 제1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를 갖는 제2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아크릴산을 포함하는 혼합 모노머 성분으로부터 형성되고, 중량평균분자량(Mw)이 500만 내지 1,000만인 광중합 수지; 및 가교성 모노머를 포함하고, 상기 가교성 모노머는 글리시딜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a mixed monomer component comprising a first alkyl (meth) acrylate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4 to 15 carbon atoms, a second alkyl (meth) acrylate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1 to 3 carbon atoms, and acrylic acid It is formed,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5 to 10 million photopolymerizable resin; And a crosslinkable monomer, wherein the crosslinkable monomer provide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omprising a glycidyl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광중합 수지를 포함하며, 상기 광중합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Mw)은 약 500만 내지 약 1,000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약 600만 내지 약 1,000만, 또는 약 700만 내지 약 1,000만 일수 있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범위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갖는 광중합 수지를 포함함으로써, 플라스틱 기재에 대한 초기 점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고온 고습 환경 하에서 우수한 내구성을 나타내고, 점착 유지력을 높일 수 있다.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ncludes a photopolymerizable resin, and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the photopolymerizable resin may be about 5 million to about 10 million. For example, it may be from about 6 million to about 10 million, or from about 7 million to about 10 millio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an improve the initial adhesion to the plastic substrate by including a photopolymerizable resin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in the above range, exhibits excellent durability under a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environment, and can increase adhesion retention.

또한, 기존에 점착제에 사용해왔던 중량평균분자량(Mw) 약 500만 미만의 수지와 달리, 상기 중량평균분자량을 갖는 상기 광중합 수지는 높은 응집력을 가지고, 열에 대하여 높은 저항성을 나타낼 수 있어 초기 점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고온 고습 환경 하에서 점착 유지력을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unlike the resin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less than about 5 million, which has been used in an adhesive, the photopolymerizable resin having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has a high cohesive force and can exhibit high resistance to heat, thereby improving initial adhes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adhesive holding power under a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environment.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의 베젤에서 예를 들어, 유리와 플라스틱; 또는 유리와 금속; 등과 같이 서로 다른 재질로 각각 형성되는 화상 표시부와 보호부는 점착 테이프를 매개로 점착되었고, 이러한 점착 테이프는 예를 들어, 아크릴계 점착제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Typically in the bezel of the display, for example, glass and plastic; Or glass and metal; The image display unit and the protection unit, which are formed of different materials, are adhered via an adhesive tape, and the adhesive tape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n acrylic adhesive.

다만,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아크릴계 점착제는 서로 다른 재질의 부품을 점착시키는 경우 내반발성이 낮아 고온고습 조건에서 들뜸, 기포 등이 발생하거나, 심지어 탈착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However, the acrylic adhesive that is commonly used may have a problem of lifting or foaming under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conditions or even desorption when the components of different materials are adhered to each other due to low repulsion resistance.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광중합 수지와 함께 가교성 모노머를 포함하여 우수한 내반발성 및 우수한 고온 고습 신뢰성을 구현할 수 있는 바, 들뜸, 기포 발생 및 탈착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교성 모노머는 상기 광중합 수지와 반응하여 광중합 수지끼리를 연결하는 가교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교성 모노머는 상기 광중합 수지의 아크릴산 구조와 반응하여 광중합 수지끼리를 연결할 수 있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ncluding the crosslinkable monomer together with the photopolymerizable resin, can realize excellent repulsion resistance and excellent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reliability, and can prevent lifting, bubble generation, and desorption. Specifically, the crosslinkable monomer may react with the photopolymerizable resin to form a crosslinking structure connecting photopolymerizable resins. For example, the crosslinkable monomer may react with the acrylic acid structure of the photopolymerizable resin to connect photopolymerizable resins to each other.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교성 모노머는 상온에서는 가교 반응성을 갖지 않고, 고온 및 고습 하에서 가교 반응성을 갖는 물질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가교 반응성'이란 가교성 모노머의 화학 구조에 있어서, 양 말단이 모두 화학적으로 반응하여 결합을 형성하는 물성을 의미한다. 즉, 상기 가교성 모노머는 상온에서 어느 하나의 말단 또는 양 말단 모두가 가교 반응을 하지 않으며, 고온에서 비로소 양 말단이 모두 화학적으로 반응하여 가교 반응성을 나타낸다. More specifically, the crosslinkable monomer may be a material having no crosslinking reactivity at room temperature and crosslinking reactivity under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crosslinking reactivity' refers to physical properties in which both ends react chemically to form a bond in the chemical structure of a crosslinkable monomer. That is, the crosslinkable monomer does not crosslink at either end or both ends at room temperature, and both ends react chemically at high temperatures to exhibit crosslinking reactivity.

상기 가교성 모노머는 상온에서는 가교 반응이 일어나지 않으면서, 고온 및 고습의 조건 하에서 가교성 모노머의 양 말단이 상기 광중합 수지와 반응하여 가교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점착제 조성물에 적절한 가교 밀도와 우수한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점착제 조성물로 제조된 점착 테이프는 높은 내반발성과, 우수한 고온고습 신뢰성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들뜸, 기포 발생 및 탈착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The crosslinking monomer does not undergo a crosslinking reaction at room temperature, and both ends of the crosslinkable monomer are reacted with the photopolymerizable resin to form a crosslinking structure under conditions of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thereby providing an appropriate crosslinking density and excellent flexibility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an do. As a result,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mad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an achieve high repulsion resistance and excellent high-temperature and high-humidity reliability, thereby preventing lifting, bubble generation and desorption.

. .

상기 가교성 모노머는 글리시딜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글리시딜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는 3각의 고리를 갖는 글리시딜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 4각 이상의 고리 구조 관능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보다 가교 반응성이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3각 고리를 갖는 글리시딜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는 고온 및 고습의 조건 하에서 고리 열림 반응성이 우수하며, 광중합 수지와 쉽게 반응하여 광중합 수지끼리 연결하는 가교 구조를 더 잘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우수한 내반발성 및 우수한 고온고습 신뢰성을 구현할 수 있다.The crosslinkable monomer includes a glycidyl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and the glycidyl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is a glycidyl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having a triangular ring, and is a tetragonal or more ring It has the advantage of excellent crosslinking reactivity than (meth) acrylate having a structural functional group. Specifically, the glycidyl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having a triangular ring has excellent ring-opening reactivity under conditions of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and can easily react with a photopolymerization resin to better form a crosslinking structure connecting photopolymerization resins. have. Accordingly, excellent repulsion resistance and excellent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reliability can be realized.

예를 들어, 상기 글리시딜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는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R1은 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m 은 0 내지 10의 정수일 수 있다.
For example, the glycidyl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may have the structure of Formula 1 below. In this case, R 1 is hydrogen or a methyl group, and m may be an integer from 0 to 10.

[화학식 1][Formula 1]

Figure 112016031659612-pat00001

Figure 112016031659612-pat00001

상기 글리시딜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상기 화학식 1과 같이, 3각의 고리를 갖는 글리시딜기를 함유하고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고온 및 고습의 조건 하에서, 글리시딜기의 고리가 열리면서, 광중합 수지와 반응하여 광중합 수지끼리를 연결하는 가교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The glycidyl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contains a glycidyl group having a triangular ring, as in Chemical Formula 1, and as described above, under conditions of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the ring of the glycidyl group is opened. , Reacting with the photopolymerizable resin may form a crosslinking structure connecting the photopolymerizable resins.

이때, m은 0 내지 10의 정수일 수 있다. m 이 상기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상기 가교성 모노머가 적정 수준의 가교 밀도를 구현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점착제 조성물이 우수한 유연성, 내반발성 및 고온 고습 신뢰성을 구현할 수 있다.At this time, m may be an integer from 0 to 10. When m satisfies the above range, the crosslinkable monomer can achieve an appropriate level of crosslink density, whereby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an realize excellent flexibility, repulsion resistance, and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reliability.

상기 가교성 모노머는 글리시딜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와 함께, 다른 산소 함유 헤테로 시클로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crosslinkable monomer may further include (meth) acrylate having a glycidyl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and another oxygen-containing heterocycloalkyl group.

예를 들어, 상기 가교성 모노머는 옥세탄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테트라하이드로퍼퓨릴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rosslinkable monomer may further include an oxetane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or a tetrahydrofurfuryl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가교성 모노머는 상온에서는 가교 반응성을 갖지 않고, 고온 및 고습 하에서 가교 반응성을 갖는 물질로서, 구체적으로, 약 60℃ 내지 약 90℃ 및 약 50% 내지 약 90%의 상대습도에서 가교 반응성을 가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rosslinkable monomer is a material having no crosslinking reactivity at room temperature and crosslinking reactivity under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specifically, about 60 ° C to about 90 ° C and a relative humidity of about 50% to about 90% In can have a crosslinking reactivity.

상기 가교성 모노머는 고온, 고습 하에서 가교 반응성을 갖는 물질로서, 상기 광중합 수지를 구성하는 혼합 모노머 성분의 모노머와는 구별되는 것으로, 상기 점착 조성물에 있어서, 미반응 형태의 모노머로 존재한다. The crosslinkable monomer is a material having crosslinking reactivity under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and is distinct from the monomer of the mixed monomer component constituting the photopolymerization resin, and is present as an unreacted monomer in the adhesive composition.

상기 가교성 모노머는 고온, 고습 하에서 가교 반응성을 갖는 물질로서, 상기 광중합 수지를 구성하는 혼합 모노머 성분의 모노머와 구별되는 별도의 성분이며 상기 점착 조성물에 있어서, 미반응 형태의 모노머로 존재한다. The crosslinkable monomer is a material having crosslinking reactivity under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and is a separate component distinct from the monomer of the mixed monomer component constituting the photopolymerization resin, and is present as an unreacted monomer in the adhesive composition.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후술된 바와 같이, 광에너지를 조사하여 광경화물을 형성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가교성 모노머는 가교 반응성을 나타내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광에너지를 조사하면 상기 가교성 모노머 중 적어도 일부는 이의 아크릴레이트기가 상기 광중합 수지와 광경화 반응을 할 수 있으나, 상기 가교성 모노머의 산소 함유 헤테로 시클로 알킬기는 가교 반응을 하지 않는다. 즉, 상기 가교성 모노머의 산소 함유 헤테로 시클로 알킬기는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경화 이후에도 프리(free) 상태로 존재한다. 이는 상기 가교성 모노머의 화학 구조 및 조성을 적절히 제어하며,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경화 단계에서 경화 조건, 온도 및 습도를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가능할 수 있다. As described below,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form a photocured product by irradiating light energy, wherein the crosslinkable monomer does not exhibit crosslinking reactivity. Specifically, when irradiating light energy, at least some of the crosslinkable monomers may have a photocuring reaction with an acrylate group of the photopolymerizable resin, but the oxygen-containing heterocycloalkyl group of the crosslinkable monomer does not crosslink. That is, the oxygen-containing heterocyclo alkyl group of the crosslinkable monomer is present in a free state even after curing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This may be possible by appropriately controlling the chemical structure and composition of the crosslinkable monomer and setting the curing conditions, temperature, and humidity appropriately in the curing step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상기 가교성 모노머는 점착제 조성물이 광경화된 이후에, 광경화물이 고온 및 고습의 조건 하에 놓일 때, 광중합 수지와 가교 반응을 하여, 적절한 가교밀도와 우수한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고, 그 결과 고온고습의 환경 하에서 우수한 점착성 및 신뢰성을 나타낼 수 있다. The crosslinkable monomer is capable of imparting appropriate crosslinking density and excellent flexibility by crosslinking with the photopolymerizable resin wh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s photocured and the photocured product is placed under conditions of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resulting in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It can show excellent adhesion and reliability under the environment.

상기 가교성 모노머는 광중합하여 형성된 광중합 수지와 함께 점착 조성물을 구성함으로써, 높은 응집력과 열에 대한 높은 저항성을 나타내며, 결과적으로 향상된 초기 점착력을 구현하고, 고온 고습의 환경하에서 점착 유지력을 높일 수 있으며, 동시에 우수한 내반발성 및 고온고습 신뢰성을 구현할 수 있다.
The crosslinkable monomer constitutes an adhesive composition together with a photopolymerizable resin formed by photopolymerization, thereby exhibiting high cohesiveness and high resistance to heat, consequently improving the initial adhesion, and improving the adhesion retention under an environment of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Excellent repulsion resistance and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reliability can be realized.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광중합 수지를 포함하며, 상기 광중합 수지는 열중합 수지와 구별되는 것으로서, 자외선 등의 광에너지를 조사하여 1종 이상의 모노머로부터 합성된 폴리머이다. 상기 광중합 수지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광량 및 온도 조건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높은 중량평균분자량을 갖는 수지가 제조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전술한 바와 같은 우수한 물성을 구현할 수 있다.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ncludes a photopolymerization resin, and the photopolymerization resin is a polymer synthesized from one or more monomers by irradiating light energy such as ultraviolet rays as being distinguished from a thermal polymerization resin.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photopolymerizable resin, a resin having a high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can be prepared as described above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light amount and temperature conditions, and through this,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as described above can be realized.

구체적으로, 상기 광중합 수지는 탄소수 4 내지 15의 알킬기를 갖는 제1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를 갖는 제2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아크릴산을 포함하는 혼합 모노머 성분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중합 수지는 상기 제1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제2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아크릴산만으로 구성되는 혼합 모노머 성분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photopolymerizable resin is formed from a mixed monomer component comprising a first alkyl (meth) acrylate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4 to 15 carbon atoms, a second alkyl (meth) acrylate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1 to 3 carbon atoms, and acrylic acid. Can be. For example, the photopolymerizable resin may be formed from a mixed monomer component composed of only the first alkyl (meth) acrylate, the second alkyl (meth) acrylate, and acrylic acid.

상기 광중합 수지를 형성하는 혼합 모노머 성분은 상기 제2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를 약 20중량% 내지 약 40중량%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약 20중량% 내지 약 30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중합 수지가 제2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를 상기 범위의 함량으로 포함하는 혼합 모노머 성분으로부터 제조됨으로써 플라스틱 기재에 대한 높은 박리력을 구현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점착 테이프의 절단 및 성형 과정에서 우수한 가공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내반발성이 낮아, 고온고습의 환경에서 들뜸, 기포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mixed monomer component forming the photopolymerizable resin may include about 20% to about 40% by weight of the second alkyl (meth) acrylate. Specifically, it may include about 20% to about 30% by weight. Since the photopolymerizable resin is prepared from a mixed monomer component containing a second alkyl (meth) acrylate in the above range, high peel strength to a plastic substrate can be realized, and as a result, excellent processability in the process of cutting and forming an adhesive tape Can represent In addition, low repulsion resistan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excitation, air bubbles, etc. in an environment of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상기 제2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는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를 갖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탄소수 1 내지 3의 직쇄형 또는 분쇄형 알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가 상기 탄소수 범위의 직쇄형 또는 분쇄형 알킬기를 가짐으로써 점착제의 플라스틱 기재에 대한 초기 점착력 및 박리력을 요구되는 수준으로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The second alkyl (meth) acrylate has an alkyl group having 1 to 3 carbon atoms, and specifically, may have a linear or pulverized alkyl group having 1 to 3 carbon atoms. Since the second alkyl (meth) acrylate has a linear or pulverized alkyl group in the carbon number range, it is possible to easily control the initial adhesive strength and peel strength to the plastic substrate of the adhesive to a required level.

상기 제2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는 예를 들어, 유리전이온도(Tg)가 약 5 ℃ 내지 약 20 ℃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약 5 ℃ 내지 약 15 ℃일 수 있다. 상기 혼합 모노머 성분이 상기 범위의 유리전이온도를 갖는 제2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함으로써, 플라스틱 기재에 대한 높은 박리력을 구현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점착 테이프의 절단 및 성형 과정에서 우수한 가공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내반발성이 낮아, 고온고습의 환경에서 들뜸, 기포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second alkyl (meth) acrylate may have, for example,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about 5 ° C to about 20 ° C, and specifically about 5 ° C to about 15 ° C. By including the second alkyl (meth) acrylate having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n the above range of the mixed monomer component, it is possible to realize a high peeling force to the plastic substrate, and as a result, excellent processability in the cutting and molding process of the adhesive tape. Can be represented. In addition, low repulsion resistan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excitation, air bubbles, etc. in an environment of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에서 알킬기의 길이가 짧을수록 광경화물의 응집력, 유리전이온도 및 점착력을 쉽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는 메틸아크릴레이트(MA)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알킬기의 길이가 짧아 경화물에 우수한 응집력을 부여할 수 있다. 이 경우, 특히 플라스틱 기재에 대한 박리력을 높이는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second alkyl (meth) acrylate may include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yl (meth) acrylate, ethyl (meth) acrylate, and combinations thereof. The shorter the length of the alkyl group in the second alkyl (meth) acrylate, the easier it is to adjust the cohesive forc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and adhesion of the photocured product. For example, the second alkyl (meth) acrylate may include methyl acrylate (MA), and in this case, the length of the alkyl group is short, thereby providing excellent cohesion to the cured product. In this case, it may be particularly advantageous in terms of increasing the peel strength to the plastic substrate.

상기 제2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는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의 알킬기를 갖는 것으로, 일부 종류의 경우 특유의 향을 유발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틸아크릴레이트(MA)는 고유의 향을 가지며, 이로 인해 점착제에 일정 함량 이상으로 함유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좁은 면적의 베젤에 적용하는 용도로 사용됨으로써, 이러한 향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고, 상기 제2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를 필요한 수준의 함량으로 사용함으로써 우수한 물성을 구현하는 장점을 확보할 수 있다.
The second alkyl (meth) acrylate has an alkyl group having a relatively short length, and in some cases, a problem that causes a peculiar fragrance may occur. For example, the methyl acrylate (MA) has an intrinsic fragrance, and there is a limitation that the adhesive is not contained in a certain amount or more. In one embodiment,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s used for application to a bezel of a small area, thereby minimizing the effect of this scent, and by using the second alkyl (meth) acrylate at a required level, excellent Advantages of realizing physical properties can be secured.

상기 혼합 모노머 성분은 상기 아크릴산을 약 6중량% 내지 약 8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산의 함량을 상기의 적정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점착제 조성물이 고온 고습 환경 하에서 우수한 점착력과 동시에 우수한 내반발성을 가질 수 있다. The mixed monomer component may include about 6% to about 8% by weight of the acrylic acid. By adjusting the content of the acrylic acid to the appropriate rang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have excellent adhesion and excellent repellency under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environments.

구체적으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아크릴산을 상기 범위의 함량으로 함유하는 혼합 모노머 성분으로부터 형성된 광중합 수지를 포함함으로써 좁은 베젤부에 적용되기에 적합한 초기 점착력과 고온 고습 환경 하에서의 점착 유지력 그리고 우수한 내반발성을 모두 확보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omprises both a photopolymerizable resin formed from a mixed monomer component containing acrylic acid in the above-described range, thereby providing both initial adhesion suitable for application to a narrow bezel portion, adhesion retention under a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environment, and excellent repellency. Can be secured.

상기 아크릴산은 높은 극성을 가지는 모노머로서, 피착체와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아크릴산은 피착체 표면의 관능기와 상호작용을 하여 시간이 경과할수록 점착력이 증대되는바, 상기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점착 테이프의 박리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아크릴산을 상기 범위의 함량으로 함유함으로써,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좁은 베젤부에 적용되기에 적합한 초기 점착력과 고온 고습 환경 하에서의 점착 유지력을 부여할 수 있다.The acrylic acid is a monomer having high polarity, and can improve adherend and adhesion. Specifically, the acrylic acid interacts with a functional group on the surface of the adherend to increase the adhesive force over time, and the peelability of the adhesive tape formed from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decrease. Thus, by containing the acrylic acid in the content of the above rang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an impart initial adhesion suitable for application to a narrow bezel portion and adhesion retention under a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environment.

또한, 상기 아크릴산은 상기 가교성 모노머와 반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아크릴산을 함유하는 혼합 모노머 성분으로부터 형성된 광중합 수지 외에 가교성 모노머인 글리시딜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글리시딜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는 고온 및 고습의 조건 하에서, 글리시딜기의 고리가 열리면서, 상기 광중합 수지와 반응하여 광중합 수지끼리를 연결하는 가교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적절한 가교 밀도와 우수한 유연성을 구현할 수 있다.Further, the acrylic acid may react with the crosslinkable monomer. Specifically,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include a glycidyl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that is a crosslinkable monomer in addition to the photopolymerization resin formed from the mixed monomer component containing the acrylic acid. At this time, the glycidyl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may form a cross-linking structure connecting the photopolymerizable resins by reacting with the photopolymerizable resin while the ring of the glycidyl group is opened under conditions of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As a result,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an implement an appropriate crosslinking density and excellent flexibility.

또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혼합 모노머 성분이 아크릴산을 상기 범위의 함량으로 포함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혼합 모노머 성분으로부터 제조된 광중합 수지가 전술한 범위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짐으로써 요구되는 수준의 초기 점착력과 점착 유지력 및 우수한 내반발성을 모두 확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the mixed monomer component contains acrylic acid in the content of the above range, and at the same time, the photopolymerized resin prepared from the mixed monomer component has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above-described range and the initial adhesive strength of the required level and Adhesion holding power and excellent repellency can be secured.

상기 광중합 수지를 제조하기 위한 혼합 모노머 성분은 상기 제2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상기 아크릴산과 함께 제1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혼합 모노머 성분은 상기 제1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제2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아크릴산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혼합 모노머 성분은 전술한 바와 같이 약 6중량% 내지 약 8중량%의 아크릴산을 포함하며, 이와 동시에 전술한 범위의 함량으로 제2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고, 나아가, 총 합이 100중량%가 되도록 제1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함량을 결정할 수 있다.The mixed monomer component for preparing the photopolymerizable resin may include the first alkyl (meth) acrylate together with the second alkyl (meth) acrylate and the acrylic acid. For example, the mixed monomer component may be composed of only the first alkyl (meth) acrylate, the second alkyl (meth) acrylate, and acrylic acid. At this time, the mixed monomer component includes about 6% by weight to about 8% by weight of acrylic acid as described above, and at the same time may include a second alkyl (meth) acrylate in the above-described range of content, furthermore, The content of the first alkyl (meth) acrylate may be determined so that the total sum is 100% by weight.

상기 제1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는 탄소수 4 내지 15의 알킬기를 갖는 것으로 이의 종류 및 함량을 통해 점착제의 우수한 초기 점착력을 부여하고, 점착력을 필요한 수준으로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The first alkyl (meth) acrylate has an alkyl group having 4 to 15 carbon atoms, and provides excellent initial adhes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hrough its type and content, and can easily control the adhesion to a required level.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는 탄소수 4 내지 15의 직쇄형 또는 분쇄형 알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가 상기 탄소수 범위의 직쇄형 또는 분쇄형 알킬기를 가짐으로써 점착제의 플라스틱 기재에 대한 초기 점착력 및 박리력을 요구되는 수준으로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alkyl (meth) acrylate may have a straight or pulverized alkyl group having 4 to 15 carbon atoms. Since the first alkyl (meth) acrylate has a straight or pulverized alkyl group in the carbon number range, it is possible to easily control the initial adhesive strength and peel strength to the plastic substrate of the adhesive to a required level.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는 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first alkyl (meth) acrylate may include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thylhexyl (meth) acrylate, butyl (meth) acrylate, isooctyl (meth) acrylate, and combinations thereof. have.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광중합 수지를 8 내지 12 중량%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중합 수지는 제1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제2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아크릴산을 포함하는 혼합 모노머 성분의 광중합에 의하여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범위 내의 함량으로 광중합 수지를 포함함으로써, 충분히 우수한 수준의 점착력을 구현하면서도 점도를 지나치게 증가시키지 않을 수 있다.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contain 8 to 12% by weight of the photopolymerizable resin. Specifically, the photopolymerizable resin is formed by photopolymerization of a mixed monomer component comprising a first alkyl (meth) acrylate, a second alkyl (meth) acrylate, and acrylic acid, and by including a photopolymerization resin in a content within the above range, While implementing a sufficiently good level of adhesion, the viscosity may not be excessively increased.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광중합 수지 및 가교성 모노머와는 별도로 광경화성 모노머, 광경화제, 광개시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photo-curable monomer, a photo-curing agent, a photo-initiator, and combinations thereof, apart from the photopolymerizable resin and the crosslinkable monomer.

상기 광경화성 모노머는 상기 가교성 모노머와 구별되는 것으로서, 상온에서 광에너지의 조사에 의하여 상기 광중합 수지와 화학적으로 결합되거나, 광경화성 모노머끼리 중합 반응을 수행할 수 있는 화합물로서, 이를 통해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광경화로 적절한 겔 함량을 구현할 수 있다.The photo-curable monomer is different from the cross-linkable monomer, and is a compound capable of chemically bonding to the photo-polymerizable resin by irradiation of light energy at room temperature or performing a polymerization reaction between photo-curable monomers, through which the adhesive composition Silver photocuring can achieve an appropriate gel content.

상기 광경화성 모노머는 상기 광중합 수지를 구성하는 혼합 모노머 성분의 모노머와 동일한 종류의 모노머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경화성 모노머는 상기 광중합 수지의 제조에 사용된 혼합 모노머 성분으로부터 유래될 수 있으나 양자는 서로 구별되는 것으로서, 상기 혼합 모노머 성분과는 달리 상기 점착제 조성물 내에서 모노머 형태로 존재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광경화성 모노머는 상기 점착제 조성물이 광에너지에 의해 경화되는 과정에서 상기 광중합 수지를 구성하는 혼합 모노머 성분과 서로 다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혼합 모노머 성분의 모노머와 상기 광경화성 모노머가 동일한 화합물이라 하여도, 양자는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점착 유지 성능, 초기 점착력, 내반발성 등 관련 물성에 주는 영향이 상이하다.The photocurable monomer may include the same type of monomer as the monomer of the mixed monomer component constituting the photopolymerization resin. More specifically, the photocurable monomer may be derived from a mixed monomer component used in the production of the photopolymerizable resin, but both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and unlike the mixed monomer component, exist in a monomer form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 At this time, the photo-curable monomers play a different role from the mixed monomer components constituting the photopolymerization resin in the process of cur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by light energy. Therefore, even if the monomer of the mixed monomer component and the photocurable monomer are the same compound, both have different influences on related properties, such as the adhesion retention performance, initial adhesion, and repellency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또한, 상기 광경화성 모노머는 상기 광중합 수지의 제조에 사용된 혼합 모노머 성분 외에 다른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카르복실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hoto-curable monomer is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ther alkyl (meth) acrylate, hydroxyl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carboxyl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and combinations thereof, in addition to the mixed monomer component used in the production of the photopolymerizable resin. It may further include a selected one.

예를 들어, 상기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는 탄소수 4 내지 15의 알킬기를 갖는 상기 제1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를 갖는 상기 제2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탄소수 16 이상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For example, the alkyl (meth) acrylate is the first alkyl (meth) acrylate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4 to 15 carbon atoms, the second alkyl (meth) acrylate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1 to 3 carbon atoms, 16 carbon atoms It may include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kyl (meth) acrylate and a combination thereof having the above alkyl group,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히드록시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의 예로는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아크릴아마이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Examples of the hydroxy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include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2-hydroxyethyl (meth) acrylate, 4-hydroxybutyl (meth) acrylate, 2-hydroxyethylacrylamide, and combinations thereof. It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카르복실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의 예로는 β-카르복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산, 푸마르산, 비닐초산,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퓨마릭산, 말레인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Examples of the carboxyl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include β-carboxyethyl (meth) acrylate, (meth) acrylic acid, itaconic acid, maleic acid, fumaric acid, vinyl acetate,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fumaric acid, maleic acid and their It may include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combina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기 광경화제는 2,4-트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6-트리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화 트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3-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4-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 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1,3-비스이소시아나토메칠 시클로헥산, 테트라 메틸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2,4-트리메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4,4-트리메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티롤프로판의 트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어덕트, 트리메티롤프로판의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어덕트, 토리페닐메탄토리이소시아네토, 메틸렌 비스 트리 이소시아네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광경화제는 광경화 수지의 가교도를 높일 수 있고, 초기 점착력 및 박리력을 요구되는 수준으로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hotocuring agent is 2,4-trilene diisocyanate, 2,6-triene diisocyanate, hydrogenated trilene diisocyanate, 1,3-xylene diisocyanate, 1,4-xylene diisocyanate, diphenyl methane- 4,4-diisocyanate, 1,3-bisisocyanatomethyl cyclohexane, tetra methyl xylene diisocyanate, 1,5-naphthalene diisocyanate, 2,2,4-trimethyl hexamethylene diisocyanate, 2,4,4-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rimethyl hexamethylene diisocyanate, trimethylene diisocyanate adduct of trimethylolpropane, xylene diisocyanate adduct of trimethylolpropane, toriphenylmethanetoriisocyanato, methylene bis triisocyanate, and combinations thereof. It may include on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photocuring agent can increase the degree of crosslinking of the photocurable resin, and can easily control the initial adhesion and peel strength to required levels.

상기 광개시제는 알파-케톤계 화합물, 아세토페논계 화합물, 케탈계 화합물, 방향족 술포닐클로라이드계 화합물, 광활성 옥심계 화합물, 벤조페논계 화합물, 티오크산톤계 화합물, 캄포퀴논계 화합물, 할로겐화케톤계 화합물, 아실포스피녹시드계 화합물, 아실포스포네이트계 화합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고,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광개시제는 방사선 또는 자외선에 의해 활성화되고, 탄소간의 이중결합을 활성화시켜 경화반응을 개시하는 역할을 한다.
The photoinitiator is an alpha-ketone-based compound, acetophenone-based compound, ketal-based compound, aromatic sulfonyl chloride-based compound, photoactive oxime-based compound, benzophenone-based compound, thioxanthone-based compound, campoquinone-based compound, halogenated ketone-based compound , Acylphosphinoxide-based compounds, acylphosphonate-based compounds, and combinations thereof, may or may not include one selected from the group,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photoinitiator is activated by radiation or ultraviolet rays, and acts to initiate a curing reaction by activating a double bond between carbons.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디스플레이의 베젤부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베젤부의 폭은 약 2 ㎜ 내지 약 5 ㎜일 수 있다.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be applied to the bezel portion of the display, wherein the width of the bezel portion may be about 2 mm to about 5 mm.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기기에 있어서, 최근 디스플레이를 확장하려는 추세에 부합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의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베젤부는 점차 좁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때,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약 2 ㎜ 내지 약 5 ㎜의 좁은 폭을 갖는 베젤부에 적용할 수 있으며 면적 대비 우수한 점착 성능을 나타낼 수 있다. In a device including a display, a bezel portion corresponding to an edge of a display screen is gradually narrowing in line with a recent trend to expand a display. At this tim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be applied to a bezel portion having a narrow width of about 2 mm to about 5 mm, and may exhibit excellent adhesion performance to an area.

또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점착 테이프가 좁은 폭을 갖는 베젤부에 적합한 형상으로 성형 및 절단되는 공정에서 우수한 가공성을 구현할 수 있다. 일반적인 점착 테이프의 경우에는 좁은 폭의 형상을 갖도록 절단하는 경우, 절단 도구에 점착제가 달라붙어 원하는 형상으로 제조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그러나,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점착 테이프를 좁은 폭의 형상을 갖도록 절단함에도 불구하고, 절단 계면이 깔끔한 윤곽선을 이루며 절단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절단되어 방출되는 부분이 플라스틱 기재에 부착되어 방출되는데,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함으로써 플라스틱 기재에 대한 높은 박리력을 나타낼 수 있어 정확한 방출을 도울 수 있고, 그 결과 점착 테이프의 제조 과정에서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excellent processability can be realized in a process in which the adhesive tape manufactured using the adhesive composition is molded and cut into a shape suitable for a bezel portion having a narrow width. In the case of a general adhesive tape, when cutting to have a narrow shap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dhesive is stuck to the cutting tool and difficult to manufacture in a desired shape. However, although the adhesive composition is cut to have a narrow width shape of the adhesive tape prepared using the adhesive composition, the cutting interface may be cut with a clean contour. In addition, the part that is cut and released is attached to the plastic substrate and is released. By us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t can exhibit a high peel strength to the plastic substrate, which can help accurate release, and as a result, a defective rate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adhesive tape. Can be reduced.

또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디스플레이의 좁은 베젤부에 적용되어 고온 고습 환경 하에서 우수한 점착 유지력 및 우수한 내반발성을 나타낼 수 있고, 면적 대비 우수한 점착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be applied to a narrow bezel portion of a display to exhibit excellent adhesion retention and excellent repulsion resistance under a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environment, and implement excellent adhesion performance to an area.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광경화물을 포함하는 점착층을 갖는 점착 테이프를 제공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dhesive tape having an adhesive layer comprising a photocured product of the adhesive composition.

상기 점착층은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며, 구체적으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광경화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점착층은 플라스틱 기재에 대한 초기 점착력과 고온 고습 환경 하에서의 점착 유지력을 적절한 범위로 확보하고, 동시에 우수한 내반발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점착 테이프는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베젤부에 적용되기 적합한 물성들을 확보할 수 있다.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prepared us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be specifically formed of a photocured product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s a result, the adhesive layer can secure initial adhesion to a plastic substrate and adhesion retention under a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environment in an appropriate range, and at the same time, excellent repellency. As a result, the adhesive tape can secure properties suitable for application to the display bezel portion as described above.

상기 광경화물은 상기 점착제 조성물에 광에너지를 조사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조사된 광에너지에 의하여 상기 점착제 조성물 내의 광중합 수지가 경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경화물은 글리시딜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가교성 모노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경화물에 포함된 가교성 모노머의 글리시딜기는 프리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The photocured product may be formed by irradiating light energy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may be formed by curing the photopolymerization resin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by specifically irradiated light energy. In this case, the photocured product may include a crosslinkable monomer containing a glycidyl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For example, the glycidyl group of the crosslinkable monomer contained in the photocured product may exist in a free state.

구체적으로, 상기 광경화물은 상기 점착제 조성물이 상온에서 광경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온은 약 23℃ 내지 약 25℃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점착제 조성물에 포함된 가교성 모노머인 글리시딜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고온 및 고습 하에서 가교 반응성을 갖는 물질로서, 상기 온도범위의 광경화 반응에서는 가교 반응을 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온도범위의 광경화 반응에 있어서, 글리시딜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의 고리는 열리지 않고, 광중합 수지와 반응하지 않는바, 광중합 수지끼리를 연결하는 가교구조를 형성하지 않는다. 즉, 상기 글리시딜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는 광경화물에 있어서 모노머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Specifically, the photocured product may be formed by photocur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t room temperature. The room temperature may be about 23 ℃ to about 25 ℃. At this time, the glycidyl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which is a crosslinkable monomer included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s a material having crosslinking reactivity under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as described above, and does not crosslink in a photocuring reaction in the temperature range. . Specifically, in the photocuring reaction in the above temperature range, the ring of the glycidyl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is not opened and does not react with the photopolymerization resin, and thus does not form a crosslinking structure connecting the photopolymerization resins. That is, the glycidyl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is present as a monomer in the photocured product.

상기 점착 테이프는 최종 제품에 적용되는 과정 중에, 또는 적용된 이후에 고온 고습의 환경 하에 놓일 수 있다. 이때, 통상적인 아크릴계 점착 테이프는 고온 고습의 환경에서 점착력이 저하되거나, 내반발성이 낮아 들뜸, 기포 등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 The adhesive tape may be placed in an environment of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during or after the process of being applied to the final product. At this time, the conventional acrylic adhesive tape may have problems such as low adhesion and low rebound resistance in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environments, such as excitation, air bubbles, and the like.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점착 테이프는 가교성 모노머를 포함하는 광경화물로 구성된 점착층을 포함함으로써 고온 고습 환경하에서 상기 가교성 모노머의 가교 반응에 의해 우수한 물성을 구현할 수 있다. 즉, 상기 가교성 모노머가 고온 고습의 환경 하에서 상기 광중합 수지와 가교 반응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점착층에 우수한 유연성 및 점착성을 부여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adhesive tape may realize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by a crosslinking reaction of the crosslinkable monomer under a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environment by including an adhesive layer composed of a photocured product containing a crosslinkable monomer. That is, the crosslinkable monomer can be imparted with excellent flexibility and tackiness to the adhesive layer by performing a crosslinking reaction with the photopolymerizable resin in an environment of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또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광경화물을 포함하는 점착층은 겔 함량이 약 40% 내지 약 50%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42% 내지 약 45%일 수 있다. 상기 '겔 함량'은 하기 식 1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Further,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ontaining a photocured product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have a gel content of about 40% to about 50%, for example, about 42% to about 45%. The 'gel content' may be calculated by Equation 1 below.

[식 1][Equation 1]

겔 함량(%)= W2 / W1 * 100
Gel content (%) = W 2 / W 1 * 100

상기 식 1에서, 상기 W1은 겔함량을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 경화물 시편의 질량을 측정하여 얻은 '처음 질량'을 의미하고, 상기 W2는 상기 처음 질량의 경화물 시편을 용제에 담가 상온에서 일정 시간동안 방치하고, 거름장치를 이용하여 거른 후, 남겨진 시편을 일정 온도에서 일정 시간 동안 건조시켜 얻은 시편의 질량(질량)인 '나중 질량'을 의미한다.In Equation 1, the W 1 refers to the 'first mass' obtained by measuring the mass of the target hardened material specimen to measure the gel content, and the W 2 is immersed in the solvent in the initial mass of the hardened specimen specimen at room temperature. It means 'later mass', which is the mass (mass) of a specimen obtained by leaving i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filtering it using a strainer, and drying the remaining specimen at a constant temperature for a period of time.

상기 용제는 예를 들어,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디메틸포름아마이드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거름 장치는 예를 들어, 약 200 메시 철망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solvent may be, for example, chloroform, ethyl acetate, acetone, methanol, ethanol, isopropanol, butanol, dimethylformamide, and the like, and the filtering device may use, for example, about 200 mesh wire mesh, but is not limited thereto. It does not work.

상기 시편을 용제에 담가 방치하는 시간은 예를 들어, 약 24시간 내지 약 48시간 동안 방치할 수 있으나, 겔을 제외한 다른 성분들이 용제에 녹아 분리될 수 있는 시간이면 충분하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time for immersing the specimen in a solvent and allowing it to stand can be left for, for example, about 24 to about 48 hours, but it is sufficient as long as other components except the gel can be dissolved and separated in the solvent,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

또한, 상기 거름 장치에 의해 걸러 얻은 시편을 건조시키는 온도 및 시간의 조건은 예를 들어, 약 100℃ 내지 약 150℃에서, 약 1시간 내지 약 2시간일 수 있으나, 상기 시편을 건조시키는데 충분한 온도 및 시간의 조건 하에서 적절히 수행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conditions of the temperature and time for drying the specimen obtained by the filtering device may be, for example, from about 100 ° C to about 150 ° C, for about 1 hour to about 2 hours, but a temperature sufficient to dry the specimen. And under conditions of time, i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상기 점착층의 겔 함량이 상기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적정 응집력을 유지하고, 고온 고습의 환경 하에서 점착력을 유지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우수한 점착성을 구현할 수 있으며 동시에 내반발성 및 가공성을 확보할 수 있다. The gel content of the adhesive layer satisfies the above range, thereby maintaining an appropriate cohesive force, and may have an effect of maintaining an adhesive force in an environment of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realize excellent adhesion and at the same time to secure repellency and processability.

도 1은 일 구현예에 따른 점착 테이프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할 때, 상기 점착 테이프(100)은 예를 들어, 양면점착테이프일 수 있다. 이 경우, 구체적으로 상기 점착 테이프는 심재(10) 및 상기 심재의 양면에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광경화시켜 얻은 점착층(20)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ross-section of an adhesive ta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referring to this, the adhesive tape 100 may be, for example, a double-sided adhesive tape. In this case, specifically, the adhesive tape may have a structure including a core material 10 and an adhesive layer 20 obtained by photocur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on both sides of the core material.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점착제 조성물에 포함된 제1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제2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아크릴산을 포함하는 혼합 모노머 성분으로부터 형성되고, 중량평균분자량(Mw)이 500만 내지 1,000만인 광중합 수지로 인하여, 상기 점착 테이프는 고온 고습의 환경하에서 적절한 점착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제 조성물에 포함된 가교성 모노머인 글리시딜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상기 광중합 수지와 반응하여 광중합 수지끼리를 연결하는 가교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 점착제 조성물에 적절한 가교밀도와 우수한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t is formed from a mixed monomer component comprising a first alkyl (meth) acrylate, a second alkyl (meth) acrylate and acrylic acid contained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is 5 million to Due to the photopolymerization resin of 10 million, the adhesive tape can secure an appropriate adhesive force in an environment of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In addition, the glycidyl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which is a crosslinkable monomer included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react with the photopolymerizable resin to form a crosslinked structure connecting photopolymerizable resins. As a result, appropriate crosslinking density and excellent flexibility can be imparted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그에 따라, 상기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점착층은 고온 고습의 환경하에서 적절한 점착력을 확보할 수 있고, 동시에 유연성이 적절한 수준으로 증가하여 우수한 내반발성 및 우수한 고온고습 신뢰성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들뜸, 기포 발생 및 탈착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med from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an secure an appropriate adhesion under an environment of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and at the same time, flexibility can be increased to an appropriate level to realize excellent repulsion resistance and excellent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reliability, thereby generating excitation, air bubbles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prevent the desorption phenomenon.

상기 점착 테이프는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베젤부에 적용될 수 있고, 상기 베젤부의 폭이 약 2㎜ 내지 약 5㎜일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adhesive tape may be applied to the display bezel portion, and the bezel portion may have a width of about 2 mm to about 5 mm.

상기 심재는 예를 들어, 아크릴 폼, 폴리에틸렌 폼, 폴리우레탄 폼 등의 발포 기재를 이용할 수도 있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폴리카보네이트(PC) 필름, 폴리염화비닐(PVC) 필름 등의 플라스틱 필름을 이용할 수도 있다.For the core material, for example, a foamed substrate such as acrylic foam, polyethylene foam, polyurethane foam, or the like may be used, and plastics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film, polycarbonate (PC) film, and polyvinyl chloride (PVC) film may be used. Films can also be used.

이때, 상기 심재의 두께는 약 50 ㎛ 내지 약 55 ㎛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층의 두께는 약 100 ㎛ 내지 약 110 ㎛일 수 있다. 상기 심재 및 점착층이 상기 범위의 두께를 가짐으로써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기기의 전체적인 두께를 지나치게 두껍게 만들지 않으면서 베젤부에 적용되어 적절한 점착 성능 및 점착 유지력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는 공정의 높은 효율성이 확보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thickness of the core material may be about 50 μm to about 55 μm. Further,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may be about 100 μm to about 110 μm. Since the core material and the adhesive layer have a thickness in the above range, the entire thickness of the device including the display may be applied to the bezel portion without excessively thick, thereby exhibiting proper adhesive performance and adhesive retention. In addition, high efficiency of the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adhesive tape can be secur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제시한다. 다만, 하기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거나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고, 이로써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아니 된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esented. However, the examples described below are only for specifically illustrating or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hereby.

<< 실시예Example  And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

실시예Example 1  One

아크릴산(AA) 5중량%, 메틸아크릴레이트(MA) 25중량%, 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EHA) 70중량% 를 혼합하여 혼합 모노머 성분을 제조하였다. 상기 혼합 모노머 성분으로부터 광중합을 통하여 중량평균분자량(Mw)이 800만인 광중합 수지를 제조하였다. 상기 광중합 수지 10중량%와, 광중합 수지 100 중량부 대비 광경화성 모노머 90중량부, 광경화제인 HDDA를 0.1중량부, 광개시제인 Irg651을 0.3중량부 및 가교성 모노머로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glycidyl methacrylate, GMA)를 0.1중량부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A mixed monomer component was prepared by mixing 5% by weight of acrylic acid (AA), 25% by weight of methyl acrylate (MA), and 70% by weight of ethylhexyl acrylate (EHA). A photopolymerizable resin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8 million was prepared from the mixed monomer component through photopolymerization. 10 parts by weight of the photopolymerizable resin, 90 parts by weight of a photocurable monomer compared to 100 parts by weight of a photopolymerizable resin, 0.1 parts by weight of HDDA as a photocuring agent, 0.3 parts by weight of Irg651 as a photoinitiator, and glycidyl methacrylate as a crosslinkable monomer (glycidyl methacrylate, GMA) was prepared in an adhesive composition containing 0.1 parts by weight.

실시예Example 2 2

아크릴산(Acrylic Acid, AA) 6중량%, 메틸아크릴레이트(methyl acrylate, MA) 25중량%, 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Ethylhexyl Acrylate, EHA) 69중량%를 혼합하여 혼합 모노머 성분을 제조하였다. 상기 혼합 모노머 성분으로부터 광중합을 통하여 중량평균분자량(Mw)이 800만인 광중합 수지를 제조하였다. 상기 광중합 수지 10중량%와, 광중합 수지 100 중량부 대비 광경화성 모노머 90중량부, 광경화제인 HDDA를 0.1중량부, 광개시제인 Irg651을 0.3중량부 및 가교성 모노머로 하기 화학식 1에서 m=0인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glycidyl methacrylate, GMA)를 0.1중량부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A mixed monomer component was prepared by mixing 6% by weight of acrylic acid (AA), 25% by weight of methyl acrylate (MA), and 69% by weight of ethylhexyl acrylate (EHA). A photopolymerizable resin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8 million was prepared from the mixed monomer component through photopolymerization. 10% by weight of the photopolymerizable resin, 90 parts by weight of a photocurable monomer compared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photopolymerizable resin, 0.1 parts by weight of HDDA as a photocuring agent, 0.3 parts by weight of Irg651 as a photoinitiator, and m = 0 in Chemical Formula 1 An adhesive composition comprising 0.1 parts by weight of glycidyl methacrylate (GMA) was prepared.

[화학식 1][Formula 1]

Figure 112016031659612-pat00002

Figure 112016031659612-pat00002

실시예Example 3 3

아크릴산(AA) 7중량%, 메틸아크릴레이트(MA) 25중량%, 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EHA) 68중량% 를 혼합하여 혼합 모노머 성분을 제조하였다. 상기 혼합 모노머 성분으로부터 광중합을 통하여 중량평균분자량(Mw)이 800만인 광중합 수지를 제조하였다. 상기 광중합 수지 10중량%와, 광중합 수지 100 중량부 대비 광경화성 모노머 90중량부, 광경화제인 HDDA를 0.1중량부, 광개시제인 Irg651을 0.3중량부 및 가교성 모노머로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glycidyl methacrylate, GMA)를 0.1중량부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A mixed monomer component was prepared by mixing 7% by weight of acrylic acid (AA), 25% by weight of methyl acrylate (MA), and 68% by weight of ethylhexyl acrylate (EHA). A photopolymerizable resin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8 million was prepared from the mixed monomer component through photopolymerization. 10 parts by weight of the photopolymerizable resin, 90 parts by weight of a photocurable monomer compared to 100 parts by weight of a photopolymerizable resin, 0.1 parts by weight of HDDA as a photocuring agent, 0.3 parts by weight of Irg651 as a photoinitiator, and glycidyl methacrylate as a crosslinkable monomer (glycidyl methacrylate, GMA) was prepared in an adhesive composition containing 0.1 parts by weight.

실시예Example 4 4

아크릴산(AA) 8중량%, 메틸아크릴레이트(MA) 25중량%, 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EHA) 67중량% 를 혼합하여 혼합 모노머 성분을 제조하였다. 상기 혼합 모노머 성분으로부터 광중합을 통하여 중량평균분자량(Mw)이 800만인 광중합 수지를 제조하였다. 상기 광중합 수지 10중량%와, 광중합 수지 100 중량부 대비 광경화성 모노머 90중량부, 광경화제인 HDDA를 0.1중량부, 광개시제인 Irg651을 0.3중량부 및 가교성 모노머로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glycidyl methacrylate, GMA)를 0.1 중량부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A mixed monomer component was prepared by mixing 8% by weight of acrylic acid (AA), 25% by weight of methyl acrylate (MA), and 67% by weight of ethylhexyl acrylate (EHA). A photopolymerizable resin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8 million was prepared from the mixed monomer component through photopolymerization. 10 parts by weight of the photopolymerizable resin, 90 parts by weight of a photocurable monomer compared to 100 parts by weight of a photopolymerizable resin, 0.1 parts by weight of HDDA as a photocuring agent, 0.3 parts by weight of Irg651 as a photoinitiator, and glycidyl methacrylate as a crosslinkable monomer (glycidyl methacrylate, GMA) was prepared in an adhesive composition containing 0.1 parts by weight.

실시예Example 5 5

아크릴산(AA) 10중량%, 메틸아크릴레이트(MA) 25중량%, 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EHA) 65중량% 를 혼합하여 혼합 모노머 성분을 제조하였다. 상기 혼합 모노머 성분으로부터 광중합을 통하여 중량평균분자량(Mw)이 800만인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glycidyl methacrylate, GMA)를 0.1 중량부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A mixed monomer component was prepared by mixing 10% by weight of acrylic acid (AA), 25% by weight of methyl acrylate (MA), and 65% by weight of ethylhexyl acrylate (EHA). An adhesive composition comprising 0.1 parts by weight of glycidyl methacrylate (GMA)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8 million was prepared from the mixed monomer component through photopolymerization.

실시예Example 6 6

가교성 모노머로 화학식 1에서 m=1인 1,2 에폭시-9-데센(1,2 Epoxy-9-decene)을 0.1 중량부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The same as in Example 1, except that an adhesive composition comprising 0.1 parts by weight of 1,2 epoxy-9-decene (1,2 Epoxy-9-decene) having m = 1 in Chemical Formula 1 as a crosslinkable monomer was prepared.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was prepared by the method.

실시예Example 7 7

가교성 모노머로 화학식 1에서 m=2인 4-하이드로부틸 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에테르(4-hydrobutyl Acrylate Glycidylether(4HBAGE))를 0.1중량부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Except for prepar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omprising 0.1 parts by weight of 4-hydrobutyl acrylate glycidyl ether (4HBAGE) of m = 2 in formula 1 as a crosslinkable monomer, Example 1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1 One

가교성 모노머로 옥세탄 메타크릴레이트(oxetane methacrylate, OMA)를 0.1 중량부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An adhesive composit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an adhesive composition containing 0.1 parts by weight of oxetane methacrylate (OMA) as a crosslinkable monomer was prepared.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2 2

가교성 모노머로 테트라하이드로퍼퓨릴 메타크릴레이트(Tetrahydrofurfuryl Methacrylate, THFMA)를 0.1중량부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omprising 0.1 parts by weight of tetrahydrofurfuryl methacrylate (THFMA) as a crosslinkable monomer was prepared.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3 3

상기 모노머 조성물로부터 광중합을 통하여 중량평균분자량(Mw)이 200만인 광중합 수지를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a photopolymerization resin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2 million was prepared from the monomer composition through photopolymerization.

혼합 모노머 성분Mixed monomer component 광중합 수지
[Mw]
Photopolymerization resin
[Mw]
점착제 조성물Adhesive composition
MA[중량%]MA [% by weight] AA[중량%]AA [% by weight] EHA[중량%]EHA [% by weight] 광중합 수지[중량%]Photopolymerization resin [% by weight] 가교성 모노머Crosslinkable monomer 종류Kinds 함량[중량부]/광중합 수지 100 중량부 Content [parts by weight] / 100 parts by weight of photopolymerizable resin 실시예 1Example 1 2525 55 7070 800만8 million 1010 GMAGMA 0.10.1 실시예 2Example 2 2525 66 6969 800만8 million 1010 GMAGMA 0.10.1 실시예 3Example 3 2525 77 6868 800만8 million 1010 GMAGMA 0.10.1 실시예 4Example 4 2525 88 6767 800만8 million 1010 GMAGMA 0.10.1 실시예 5Example 5 2525 1010 6565 800만8 million 1010 GMAGMA 0.10.1 실시예 6Example 6 2525 66 6969 800만8 million 1010 m=1m = 1 0.10.1 실시예 7Example 7 2525 66 6969 800만8 million 1010 m=2m = 2 0.10.1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2525 66 6969 800만8 million 1010 OMAOMA 0.10.1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2525 66 6969 800만8 million 1010 THFMATHFMA 0.10.1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2525 66 6969 200만2 million 1010 GMAGMA 0.10.1

<평가><Evaluation>

상기 실시예 1-7 및 상기 비교예 1-3의 점착제 조성물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레이트(PET) 재질의 기재의 양면 상에 도포하고, 30℃의 온도 조건 하에서, 약 1,800mJ/cm2의 UV 조사에 의해 UV 경화를 시켜 광경화물을 형성하였다. 이에, 광경화물을 포함하는 점착층을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점착 테이프는 상기 기재의 양면 상에 상기 점착층이 모두 100㎛의 두께로 각각 형성된 양면 점착테이프이다.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s of Examples 1-7 and Comparative Examples 1-3 were applied on both sides of a substrate made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material, and under a temperature condition of 30 ° C., UV irradiation of about 1,800 mJ / cm 2 was applied. UV curing was performed to form a photocured product. Thus, an adhesive tape including an adhesive layer containing a photocured product was prepared. Specifically,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is a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in whic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s on both sides of the substrate are formed to a thickness of 100 μm, respectively.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1: 경화도(=겔 함량)(%) 1: Curing degree (= gel content) (%)

상기 실시예 및 상기 비교예의 점착제 조성물로 제조된 점착층에 관하여, 하기 계산식 1에 의해 겔 함량[%]을 측정하였다.
With respect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prepared from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of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the gel content [%] was measured by the following calculation formula 1.

<계산식 1> <Calculation formula 1>

경화도 (GEL, %) = (W2 / W1) × 100
Curing degree (GEL,%) = (W 2 / W 1 ) × 100

상기 계산식 1에서, 경화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 경화물 시편의 질량을 측정하여 ‘처음 질량(W1)’을 얻는다. 상기 처음 무게의 경화물 시편을 에틸 아세테이트 용매에 담가 상온에서 24 시간 동안 방치한 뒤, 200 메쉬 철망을 이용하여 거른 후 남겨진 시편을 110℃에서 2 시간 동안 건조시켜 얻은 시편의 질량 (건조 질량)을 ‘나중 질량(W2)’으로 하며, 대상 경화물 시편을 50℃에 1일 보관 한 후 겔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기재한 바와 같다
In the above equation 1, the mass of the target hardened specimen to measure the degree of curing is measured to obtain the 'first mass (W 1 )'. The mass (dry mass) of the specimen obtained by immersing the specimen of the cured product of the first weight in ethyl acetate solvent and standing at room temperature for 24 hours, after filtering using 200 mesh wire, and drying the remaining specimen at 110 ° C. for 2 hours It is referred to as 'later mass (W 2 )' and the gel content was measured after storing the target hardened specimen at 50 ° C for 1 day, and the results are as shown in Table 2 below.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2:  2: 내반발성Repulsion resistance

측정방법: 상기 실시예 1-7 및 상기 비교예 1-3의 점착제 조성물로 제조된 각 점착 테이프에 대하여 하기 기재된 방법에 의해 상기 각 점착층이 서로 다른 재질의 플레이트로부터 박리된 시점의 시간을 측정하여 내반발성으로서 평가하였다.Measurement method: For each adhesive tape prepared with the adhesive composition of Examples 1-7 and Comparative Examples 1-3, the time at which each adhesive layer was peeled from plates of different materials was measured by the method described below. It was evaluated as repulsion resistance.

1) 알루미늄 재질로 155Ⅹ30Ⅹ0.5mm 크기의 제1 플레이트(plate)를 준비하고,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170Ⅹ35Ⅹ2mm 크기의 제2 플레이트를 준비한 후 이들을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IPA)로 1회, 헵테인(heptanes)으로 3회씩 세척하였다.1) Prepare a first plate of size 155Ⅹ30Ⅹ0.5mm from aluminum material, prepare a second plate size of 170Ⅹ35Ⅹ2mm from polycarbonate material, and prepare them once with isopropyl acetate (IPA), as heptanes. Washed 3 times.

2) 각각의 점착 테이프를 150mmⅩ20mm 크기로 잘라 각각의 시편을 준비하였다.2) Each adhesive tape was cut to a size of 150 mm to 20 mm to prepare each specimen.

3)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일면 상에 세로 방향의 테두리가 서로 일치하도록 맞추어 상기 시편을 위치시킨 후 7kg roller로 2회 왕복하여 누르고, 이어서 상기 시편의 일면 상에 세로 방향의 테두리가 서로 일치하도록 맞추어 상기 제2 플레이트를 위치시킨 후 7kg roller로 2회 왕복하여 누름으로써 상기 제2 플레이트/상기 시편/상기 제1 플레이트의 적층 구조를 갖는 적층체 시편을 형성하였다.3) On the one side of the first plate, the vertical edges are aligned with each other to position the specimen, and then pressed and pressed twice with a 7kg roller, and then the vertical edges are aligned with each other on one side of the specimen. After the second plate was positioned, it was reciprocated and pressed twice with a 7 kg roller to form a laminated body specimen having a laminated structure of the second plate / the specimen / the first plate.

c) 상기 적층체 시편을 60℃에서 30분 동안 에이징(aging)시킨 후 210Ⅹ165Ⅹ5mm 크기의 알루미늄 재질의 시험 지그에 상기 제2 플레이트의 가로(170mm)와 상기 시험 지그의 세로(165mm)가 평행하는 방향으로 양 끝단을 맞춰 끼웠고, 그에 따라 상기 적층체 시편이 구부러진 상태가 되었다.c) After aging the laminate specimen for 30 minutes at 60 ° C., a direction in which the horizontal (170 mm) of the second plate and the vertical (165 mm) of the test jig are parallel to a test jig made of aluminum having a size of 210Ⅹ165Ⅹ5mm. With both ends fitted, the laminate specimen was bent accordingly.

그에 따라, 상기 양 끝단 중 하나는 상기 적층체 시편의 각 층(상기 제2 플레이트/상기 시편/상기 제1 플레이트)을 모두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2 플레이트만을 포함되도록 하였다.Accordingly, one of the both ends includes each layer (the second plate / the specimen / the first plate) of the laminate specimen, and the other is such that only the second plate is included.

d) 상기 구부러진 상태의 상기 적층체 시편을 85℃/85% 조건의 고온고습 챔버에 넣고 2시간 동안 방치하였고, 상기 제2 플레이트만을 포함하는 끝단 쪽에서, 상기 제2 플레이트 상에 적층된 시편을 10분 간격으로 관찰하여 상기 시편;과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가 박리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기재한 바와 같다.
d) The laminated specimen in the bent state was placed in a high-temperature and high-humidity chamber at 85 ° C / 85% condition and left for 2 hours, and at the end side including only the second plate, the laminated specimen on the second plate was 10. Observing at minute intervals, the specimen; and the time taken for at least one of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to be peeled were measure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below.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3: 초기 점착력의 측정 3: Measurement of initial adhesion

상기 실시예 1-3 및 상기 비교예 1-3의 점착제 조성물로 제조된 점착층에 있어서, 각각의 점착층을 폴리카보네이트(PC) 기재에 부착한 후 20분을 상온에서 유지하였다. 이어서, 300mm/min의 속도로 박리강도를 측정하여 초기 점착력[kgf/in2]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기재한 바와 같다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s prepared from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of Examples 1-3 and Comparative Examples 1-3, 20 minutes were maintained at room temperature after each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as attached to a polycarbonate (PC) substrate. Subsequently, the peel strength was measured at a speed of 300 mm / min to measure the initial adhesive force [kgf / in 2 ], and the results are as shown in Table 2 below.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4: 점착  4: adhesion 유지력의Retention 측정 Measure

상기 실시예 및 상기 비교예의 점착제 조성물로 제조된 각 점착 테이프에 대하여, 60mm × 25mm 직사각형의 SUS 기재 2개를 준비한 후 양쪽에 1inch*1inch 해당하는 시편은 붙인다. 방치 후 2시간 후에 85℃/85% 조건의 고온/고습 챔버에 넣고 탈락하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기재한 바와 같다.
For each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mad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of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two 60 mm × 25 mm rectangular SUS substrates are prepared, and then specimens corresponding to 1 inch * 1 inch are attached to both sides. After leaving for 2 hours, it was placed in a high-temperature / high-humidity chamber at 85 ° C / 85%, and the time to drop off was measur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below.

경화도
[%]
Hardening degree
[%]
내반발성(시간)Repulsion resistance (time) 점착력adhesiveness
초기 점착력(kgf/in2)Initial adhesion (kgf / in2) 점착 유지력(시간)Adhesion holding power (time) 실시예 1Example 1 38 38 24시간24 hours 3.53.5 1시간1 hours 실시예 2Example 2 4242 24시간24 hours 3.03.0 24시간24 hours 실시예 3Example 3 4848 6시간6 hours 2.82.8 24시간24 hours 실시예 4Example 4 5050 4시간4 hours 2.52.5 24시간24 hours 실시예 5Example 5 5656 1시간1 hours 2.02.0 24시간24 hours 실시예 6Example 6 4242 24시간24 hours 3.03.0 12시간12 hours 실시예 7Example 7 4242 24시간24 hours 3.23.2 6시간6 hours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4545 1시간1 hours 3.03.0 2시간2 hours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4343 30분30 minutes 3.03.0 1시간1 hours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4242 24시간24 hours 2.82.8 2시간2 hours

상기 표 2의 결과를 참조할 때, 실시예로부터 제조된 점착 테이프는 비교예로부터 제조된 점착 테이프와 비교하여, 우수한 내반발성 및 높은 초기 점착력, 그리고 우수한 점착 유지력을 모두 만족하는 것을 알 수 있다.
When referring to the results of Table 2, it can be seen that the adhesive tape prepared from the example satisfies both excellent repellency and high initial adhesive strength, and excellent adhesive retention strength, compared to the adhesive tape prepared from the comparative example. .

100: 점착 테이프
10: 심재
20: 점착층
100: adhesive tape
10: heartwood
20: adhesive layer

Claims (17)

탄소수 4 내지 15의 알킬기를 갖는 제1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를 갖는 제2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아크릴산을 포함하는 혼합 모노머 성분으로부터 형성되고, 중량평균분자량(Mw)이 500만 내지 1,000만인 광중합 수지; 및 가교성 모노머를 포함하고,
상기 가교성 모노머는 글리시딜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광중합 수지를 8 내지 12 중량%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It is formed from a mixed monomer component comprising a first alkyl (meth) acrylate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4 to 15 carbon atoms, a second alkyl (meth) acrylate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1 to 3 carbon atoms, and acrylic acid, and has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 Is 5 to 10 million photopolymerizable resin; And a crosslinkable monomer,
The crosslinkable monomer includes a glycidyl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8 to 12% by weight of the photopolymerizable resin
Adhesive com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성 모노머는 60℃ 내지90 ℃ 및 50% 내지 90%의 상대습도에서 가교 반응성을 갖는
점착제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1,
The crosslinkable monomer has a crosslinking reactivity at 60 ° C to 90 ° C and a relative humidity of 50% to 90%.
Adhesive com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시딜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는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점착제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6031659612-pat00003


(상기 R1은 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m 은 0 내지 10의 정수임)
According to claim 1,
The glycidyl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has the structure of Formula 1
Adhesive composition.
[Formula 1]
Figure 112016031659612-pat00003


(R 1 is hydrogen or a methyl group, m is an integer from 0 to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모노머 성분은 상기 제2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를 20중량% 내지 40중량%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1,
The mixed monomer component comprises 20% to 40% by weight of the second alkyl (meth) acrylate
Adhesive com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모노머 성분은 상기 아크릴산을 6중량% 내지 8중량%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1,
The mixed monomer component contains 6% to 8% by weight of the acrylic acid
Adhesive com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는 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alkyl (meth) acrylate comprises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thyl hexyl (meth) acrylate, butyl (meth) acrylate, isooctyl (meth) acrylate, and combinations thereof
Adhesive com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alkyl (meth) acrylate comprises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yl (meth) acrylate, ethyl (meth) acrylate, and combinations thereof
Adhesive composit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광경화성 모노머, 광경화제, 광개시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더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1,
Photocurable monomer, photocuring agent, photoinitiator, and further comprising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ombinations thereof
Adhesive composi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광경화성 모노머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카르복실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The method of claim 9,
The photocurable monomer includes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kyl (meth) acrylate, hydroxyl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carboxyl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and combinations thereof.
Adhesive composi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광경화제는 2,4-트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6-트리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화 트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3-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4-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 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1,3-비스이소시아나토메칠 시클로헥산, 테트라 메틸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2,4-트리메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4,4-트리메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티롤프로판의 트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어덕트, 트리메티롤프로판의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어덕트, 토리페닐메탄토리이소시아네토, 메틸렌 비스 트리 이소시아네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The method of claim 9,
The photocuring agent is 2,4-trilene diisocyanate, 2,6-triene diisocyanate, hydrogenated trilene diisocyanate, 1,3-xylene diisocyanate, 1,4-xylene diisocyanate, diphenyl methane-4, 4-diisocyanate, 1,3-bisisocyanatomethyl cyclohexane, tetra methyl xylene diisocyanate, 1,5-naphthalene diisocyanate, 2,2,4-trimethyl hexamethylene diisocyanate, 2,4,4-trimethyl hexa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ylene diisocyanate, trimethylene diisocyanate adduct of trimethyrolpropane, xylene diisocyanate adduct of trimethyrolpropane, toriphenylmethanetoriisocyanato, methylene bis triisocyanate, and combinations thereof. Containing
Adhesive composi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광개시제는 알파-케톤계 화합물, 아세토페논계 화합물, 케탈계 화합물, 방향족 술포닐클로라이드계 화합물, 광활성 옥심계 화합물, 벤조페논계 화합물, 티오크산톤계 화합물, 캄포퀴논계 화합물, 할로겐화케톤계 화합물, 아실포스피녹시드계 화합물, 아실포스포네이트계 화합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The method of claim 9,
The photoinitiator is an alpha-ketone-based compound, acetophenone-based compound, ketal-based compound, aromatic sulfonyl chloride-based compound, photoactive oxime-based compound, benzophenone-based compound, thioxanthone-based compound, campoquinone-based compound, halogenated ketone-based compound , Acyl phosphoxide-based compound, acyl phosphonate-based compound and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combination thereof
Adhesive com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디스플레이의 베젤부에 적용되고, 상기 베젤부는 폭이 2 ㎜ 내지 5 ㎜인
점착제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1,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s applied to the bezel portion of the display, and the bezel portion has a width of 2 mm to 5 mm.
Adhesive composition.
제1항 내지 제7항 또는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의 광경화물을 포함하는 점착층을 갖는 점착 테이프.
An adhesive tape having an adhesive layer comprising a photocured product of the adhesive composi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or 9 to 13.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광경화물은 상기 점착제 조성물이 상온에서 광경화하여 형성되는
점착 테이프.
The method of claim 14,
The photocured product is formed by photocur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t room temperature.
Adhesive tap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광경화물은 글리시딜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가교성 모노머를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
The method of claim 14,
The photocured product comprises a crosslinkable monomer containing a glycidyl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Adhesive tap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의 겔 함량은 40% 내지 50%인
점착 테이프.

The method of claim 14,
The gel content of the adhesive layer is 40% to 50%
Adhesive tape.

KR1020160040133A 2016-04-01 2016-04-01 The adhesive composition and the adhesive film KR1021099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0133A KR102109909B1 (en) 2016-04-01 2016-04-01 The adhesive composition and the adhesive fil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0133A KR102109909B1 (en) 2016-04-01 2016-04-01 The adhesive composition and the adhesive fil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4060A KR20170114060A (en) 2017-10-13
KR102109909B1 true KR102109909B1 (en) 2020-05-13

Family

ID=60139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0133A KR102109909B1 (en) 2016-04-01 2016-04-01 The adhesive composition and the adhesive fil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9909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31218A (en) 2010-04-28 2011-11-17 Toyo Ink Sc Holdings Co Ltd Adhesive for decorative sheet and decorative sheet
JP2014156552A (en) 2013-02-15 2014-08-28 Nitto Denko Corp Adhesive composition, optical adhesive sheet, optical film, and display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2741B1 (en) * 2010-04-05 2015-09-11 (주)엘지하우시스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for touch panel, pressure-sensitive adhesive film and touch panel
KR101270976B1 (en) * 2010-12-02 2013-06-11 한국화학연구원 Manufacturing Method of Acryl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omprising Vinyl Group on Polymer Side Chai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31218A (en) 2010-04-28 2011-11-17 Toyo Ink Sc Holdings Co Ltd Adhesive for decorative sheet and decorative sheet
JP2014156552A (en) 2013-02-15 2014-08-28 Nitto Denko Corp Adhesive composition, optical adhesive sheet, optical film, and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4060A (en) 201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3842B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s, polarizers and liquid crystal displays comprising the same
KR101082447B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polariz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KR100990673B1 (e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for the Polarizing Film comprising photoinitiators
KR101866606B1 (en) Photo curable adhesive composition and adhesive sheet
KR101134553B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polariz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JP5696345B2 (en) Adhesive composition
TWI751199B (en) Optically clear adhesive composition, optically clear adhesive film comprising the same,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KR20140023624A (en) Adhesive composition for touch panel, adhesive film and touch panel
KR102083399B1 (en) Adhesive composition for optical use, adhesive for optical use and adhesive film comprising the same
KR101385038B1 (en) Adhesive Composition, Adhesive Film Comprising the Same, Method for Preparing the Adhesive Film and Display Member Using the Same
KR20120056176A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for touch panel, pressure-sensitive adhesive film and touch panel
KR100678795B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s and adhesive films
KR102122602B1 (en) The adhesive composition and the adhesive film
KR101647156B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for touch panel, pressure-sensitive adhesive film and touch panel
KR101509855B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KR20170114861A (en) Adhesive composition,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and adhesive
KR101541579B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for an optical film
KR102109909B1 (en) The adhesive composition and the adhesive film
KR102147778B1 (en) Adhesive composition and adhesive sheet for optical use
KR20170086741A (en) Adhesive composition for touch panel and adhesive film
KR102076119B1 (en) The adhesive composition and the adhesive tape
KR102131180B1 (en) The adhesive composition and the adhesive film
KR101550756B1 (en) Adhesive composition for touch screen panel and adhesive film using the same
KR101191113B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polariz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KR101260103B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polariz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